KR20190020305A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305A
KR20190020305A KR1020190017391A KR20190017391A KR20190020305A KR 20190020305 A KR20190020305 A KR 20190020305A KR 1020190017391 A KR1020190017391 A KR 1020190017391A KR 20190017391 A KR20190017391 A KR 20190017391A KR 20190020305 A KR20190020305 A KR 20190020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radle
cigarette
heater
sm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714B1 (ko
Inventor
한정호
이장욱
김영래
임헌일
이종섭
윤진영
한대남
장지수
임왕섭
이문봉
주성호
박두진
윤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7758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36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ublication of KR2019002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Electronic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궐련이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디바이스 및 홀더 디바이스가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홀더 디바이스에 궐련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과 함께 홀더가 틸트(tilt)되는 크래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Aerosol generating system}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다.
근래에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궐련이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디바이스; 및 상기 홀더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홀더 디바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 디바이스에 상기 궐련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과 함께 상기 홀더가 틸트(tilt)되는 크래들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디바이스는 상기 홀더 디바이스가 상기 크래들 디바이스에서 틸트된 제 1 상태 및 상기 홀더 디바이스가 상기 크래들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된 제 2 상태에서의 흡연 패턴을 누적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이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홀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되었다가 뒤이어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흡연이 진행된 경우 상기 제 1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상기 제 2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을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흡연 패턴이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홀더 디바이스 내 구비된 히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홀더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되었다가 뒤이어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흡연이 진행된 경우 상기 제 2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상기 제 1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을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흡연 패턴이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홀더 디바이스 내 구비된 히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흡연 패턴은 상기 삽입된 궐련에 대한 퍼프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은 퍼프 제한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상태 및 상기 제 2 상태에서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퍼프 횟수가 상기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홀더 디바이스 내 구비된 히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흡연 패턴은 상기 홀더의 동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은 동작 제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상태 및 상기 제 2 상태에서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동작 시간이 상기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홀더 디바이스 내 구비된 히터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이용되는 홀더 디바이스는, 궐련이 삽입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상기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을 위하여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전력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더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크래들 디바이스에서 상기 홀더 디바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과 함께 틸트된 제 1 상태 및 상기 홀더 디바이스가 상기 크래들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된 제 2 상태에서의 흡연 패턴을 누적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이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되었다가 뒤이어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흡연이 진행된 경우 상기 제 1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상기 제 2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을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흡연 패턴이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되었다가 뒤이어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흡연이 진행된 경우 상기 제 2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상기 제 1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을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흡연 패턴이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흡연 패턴은 상기 삽입된 궐련에 대한 퍼프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은 퍼프 제한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상태 및 상기 제 2 상태에서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퍼프 횟수가 상기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흡연 패턴은 상기 홀더의 동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은 동작 제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상태 및 상기 제 2 상태에서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동작 시간이 상기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홀더 디바이스가 크래들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틸트된 상태이거나 또는 홀더 디바이스가 크래들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 등 어떠한 상태에서도, 홀더 디바이스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홀더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크래들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홀더 및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홀더가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홀더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12b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궐련의 냉각 구조물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크래들에서 틸트된 홀더를 이용하여 흡연을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홀더가 틸트 및 분리된 경우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홀더가 틸트 및 분리된 경우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홀더에서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이하, '홀더'라고 함)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를 포함한다. 또한, 홀더(1)는 케이스(140)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홀더(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홀더(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홀더(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한다.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의 필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다만,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다.
케이스(140)는 홀더(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케이스(140)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케이스(140)는 홀더(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40)의 말단(141)이 형성하는 구멍의 직경은 케이스(140)와 히터(1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제작될 수 있고, 이 경우 홀더(1)에 삽입되는 궐련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홀더(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직경이 10mm이고, 길이가 37mm인 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110)의 용량은 120mAh 이상 일 수 있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이거나 일회용 배터리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가 충전이 가능한 경우, 배터리(110)의 충전율(C-rate)은 10C, 방전율(C-rate)는 16C 내지 20C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110)는 충/방전이 8000회 진행된 경우에도, 전체 용량의 80% 이상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는,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배터리(110)의 전체 용량 대비 어느 수준인가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95% 이상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10% 이하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터(130)는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된다.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는 원기둥과 원뿔이 조합된 형상일 수 있다. 히터(130)의 직경은 2mm 내지 3mm의 범위 중 적절한 사이즈가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히터(130)는 2.15mm의 직경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30)의 길이는 20mm 내지 30mm의 범위 중 적절한 사이즈가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히터(130)는 19mm의 길이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30)의 말단(131)은 예각으로 마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는 일부 부분만 가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의 길이가 19mm라고 가정하면, 히터(130)의 말단(131)으로부터 12mm만 가열되고, 히터(130)의 나머지 부분은 가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히터(1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히터(130)에는 3.2 V, 2.4 A, 8 W의 규격에 따른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히터(130)의 표면 온도는 40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한 때부터 15초가 초과되기 이전에 히터(130)의 표면 온도는 약 350℃까지 상승할 수 있다.
홀더(1)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홀더(1)에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되지 않고,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홀더(1)의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홀더(1)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히터(130)에는 발열 및 온도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에는 발열을 위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이외에 온도 감지를 위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이 별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걸리는 전압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면, 저항(R)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R은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현재 저항 값을 의미하고, R0는 온도 T0(예를 들어, 0℃)에서의 저항 값을 의미하고, α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온도 계수를 의미한다.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금속)은 고유의 저항 온도 계수를 갖고 있는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을 구성하는 전도성 물질에 따라 α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R)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연산될 수 있다.
히터(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2개의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1개 또는 2개의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온도 감지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홀더(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및 히터(130)뿐 만 아니라 홀더(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홀더(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히터(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히터(13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의 상태(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량 등)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퍼프(puff)의 유무 및 퍼프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고, 퍼프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가 작동하고 있는 시간을 계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후술할 크래들(2)이 홀더(1)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홀더(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홀더(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홀더(1)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홀더(1)의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홀더의 사용 가능 여부 등), 히터(13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예열 시작, 예열 진행, 예열 완료 등), 배터리(110)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 홀더(1)의 리셋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 홀더(1)의 청소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 홀더(1)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 퍼프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퍼프 횟수, 퍼프 종료 예고 등) 또는 안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시간 경과 등) 등을 전달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에 모터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모터를 이용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술한 정보들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사용자가 홀더(1)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및/또는 크래들(2)과 결합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홀더(1)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예를 들어, 1회, 2회 등)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예를 들어, 0.1초, 0.2초 등)을 조절함으로써, 홀더(1)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홀더(1)는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홀더(1)가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배터리(1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홀더(1)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홀더(1)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홀더(1)는 다음과 같이 히터(130)를 제어함으로써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히터(130)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분히 높은 온도는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이 청소되기에 적절한 온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홀더(1)는 삽입된 궐련에서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는 온도 범위 및 히터(130)를 예열하는 온도 범위 중 가장 높은 온도로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홀더(1)는 소정의 시구간 동안 히터(130)의 온도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시구간은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이 청소되기에 충분한 시구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홀더(1)는 10초 내지 10분의 시구간 중 적절한 시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홀더(1)는 20초 내지 1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적절한 시구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홀더(1)는 20초 내지 1분 30초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적절한 시구간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홀더(1)가 히터(130)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하고 또한 소정의 시구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킴에 따라, 히터(130)의 표면 및/또는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에 증착된 물질이 휘발됨으로써 청소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및/또는 궐련 삽입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압력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홀더(1)는, 별도의 퍼프 감지 센서가 구비됨이 없이,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변화에 의하여 퍼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발열을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 및/또는 온도 감지를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한다. 또는, 홀더(1)가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을 이용하여 퍼프를 감지하는 것과는 별개로 퍼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궐련 삽입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정전용량형 센서 또는 저항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궐련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홀더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a는 홀더(1)를 제 1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는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의 케이스(140)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으며, 케이스(140)의 말단(141)으로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는 사용자가 홀더(1)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150) 및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6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b는 홀더(1)를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홀더(1)는 크래들(2)과 결합되는 단자(17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의 단자(170)가 크래들(2)의 단자(260)와 결합함으로써,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단자(170)와 단자(260)를 통하여,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가 동작할 수도 있고, 홀더(1)와 크래들(2)간에 통신(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자(170)는 3개 또는 4개의 마이크로 핀(pin)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크래들(2)은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2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230)은 크래들(2)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이 별도의 뚜껑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크래들(2)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크래들(2)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배터리(210)는 크래들(2)이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어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가 결합하는 경우, 크래들(2)의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된 경우, 배터리(2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가 결합되면, 홀더(1)의 배터리(110)가 방전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10)는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210)의 용량은 배터리(110)의 용량보다 클 수 있고, 예를 들어 배터리(210)의 용량은 3000mAh 이상이 될 수 있다, 다만, 배터리(210)의 용량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모든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크래들(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면,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110)를 충전하거나 히터(130)를 가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홀더(1)와 크래들(2)을 결합하여 연속적으로 흡연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은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배터리(220)(예를 들어, 배터리(22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리셋(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홀더(1)의 청소(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충전(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은 사용자가 크래들(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홀더(1)와 결합하는 단자(260) 및/또는 배터리(210)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크래들(2)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크래들(2)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크래들(2)은 홀더(1)의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홀더(1)의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홀더(1) 내의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크래들(2)이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크래들(2)의 배터리(2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크래들(2)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크래들(2)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는 크래들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크래들(2)을 제 1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크래들(2)의 일 측면에는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230)이 있다. 또한, 크래들(2)이 뚜껑과 같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에는 사용자가 크래들(2)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240) 및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25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b는 크래들(2)을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크래들(2)에는 삽입된 홀더(1)와 결합되는 단자(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260)가 홀더(1)의 단자(170)와 결합함으로써,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단자(170)와 단자(260)을 통하여,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가 동작할 수도 있고, 홀더(1)와 크래들(2)간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자(260)는 4개의 마이크로 핀(pin)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1)는 크래들(2)의 내부 공간(23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크래들(2)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도 있고,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tilt)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5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삽입될 공간(230)이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존재하므로, 삽입된 홀더(1)는 크래들(2)의 다른 측면들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은, 홀더(1)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기 위한 다른 구성(예를 들어, 뚜껑)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크래들(2)에는 홀더(1)와의 결착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271, 27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181)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착 부재(181, 271, 272)는 자석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1)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1, 27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결착 부재(181, 271, 272)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는 제 1 위치에 결착 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고, 크래들(2)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각각 결착 부재(271, 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와 제 3 위치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는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일 수 있다.
홀더(1) 및 크래들(2)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포함됨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삽입되더라도,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1) 및 크래들(2)에 단자(170, 260) 이외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더 포함됨에 따라,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에 별도의 구성(예를 들어, 뚜껑)이 없더라도, 삽입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자들(170, 260) 및/또는 결착 부재들(181, 271, 272)에 의하여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6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의 내부에서 틸트되어 있다. 여기에서, 틸트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는 흡연을 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면, 홀더(1)에 궐련이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흡연을 할 수 없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틸트되면, 홀더(1)의 말단(141)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말단(141)에 궐련을 삽입하고,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흡연)할 수 있다. 틸트 각(θ)은 궐련이 홀더(1)의 말단(141)에 삽입될 때, 궐련이 꺽이거나 훼손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한 각도가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말단(141)에 포함된 궐련 삽입 구멍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최소 각도 또는 그 보다 큰 각도로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트 각(θ)의 범위는 0°초과 180°이하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이상 9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의 범위는 5°이상 20°이하, 5°이상 30°이하, 5°이상 40°이하, 5°이상 50°이하, 또는 5°이상 6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은 10°가 될 수 있다.
또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1)의 히터(13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의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거나 없는 경우에도,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는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2)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3, 274)을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결착 부재들(182, 273, 274) 각각의 위치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만약, 결착 부재들(182, 273, 274)이 자석이라고 가정하면, 결착 부재(274)의 자석 강도가 결착 부재(273)의 자석 강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결착 부재(182) 및 결착 부재(274)에 의하여, 홀더(1)는 크래들(2)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자들(170, 260) 및/또는 결착 부재들(182, 273, 274)에 의하여 홀더(1)가 틸트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히터(130)를 가열하거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에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가 홀더(1)에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크래들(2)의 내부 공간(230)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어부(220)는,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도록,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한다.
도 7b에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틸트되면, 제어부(220)는,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되거나, 홀더(1)의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한다.
도 8은 홀더 및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홀더(1) 또는 도 3에 도시된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홀더(1) 및 도 3에 도시된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8의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810 단계에서, 홀더(1)는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홀더(1) 및 크래들(2)의 단자들(170, 260)이 서로 연결되었는지 및/또는 결착 부재들(181, 271, 272)이 동작하는지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경우에는 82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가 크래들(2)가 분리된 경우에는 830 단계로 진행한다.
820 단계에서, 크래들(2)은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홀더(1) 및 크래들(2)의 단자들(170, 260)이 서로 연결되었는지 및/또는 결착 부재들(182, 273, 274)이 동작하는지에 따라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820 단계에서는 크래들(2)이 홀더(1)의 틸트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홀더(1)의 틸트 여부는 홀더(1)의 제어부(120)에 의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홀더(1)가 틸트된 경우에는 84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가 틸트되지 않은 경우(즉,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는 870 단계로 진행한다.
830 단계에서, 홀더(1)는 홀더(1)의 사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배터리(110)의 잔량 및 홀더(1)의 다른 구성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지를 체크함으로써 사용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의 사용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8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절차를 종료한다.
840 단계에서, 홀더(1)는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 상태임을 알린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홀더(1)의 디스플레이에 사용 가능함을 알리는 화면(image)을 출력할 수도 있고, 홀더(1)의 모터를 제어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850 단계에서, 히터(130)가 가열된다. 일 예로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경우, 홀더(1)의 배터리(110)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가 틸트된 경우, 크래들(2)의 배터리(210)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 또는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히터(13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홀더(1)에 포함된 온도 감지 센서 또는 히터(130)의 전기 전도성 트랙을 통하여 히터(13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860 단계에서, 홀더(1)는 에어로졸 생성 기작(mechanism)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가 퍼프를 수행함에 따라 변하는 히터(130)의 온도를 확인하여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조절하거나 히터(130)에 전력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고, 일정한 퍼프 횟수(예를 들어, 1500회)에 도달하면 홀더의 청소가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870 단계에서, 크래들(2)은 홀더(1)의 충전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 전력을 홀더(1)의 배터리(110)에 공급함으로써 홀더(1)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 또는 홀더(1)의 동작 시간에 따라 홀더(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제어부(120, 220)가 홀더(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9는 홀더가 동작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홀더(1) 및 도 3에서 도시된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홀더(1) 또는 도 3에 도시된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9의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91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홀더(1)에 포함된 퍼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 220)는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발열을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 및/또는 온도 감지를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한다. 또는, 제어부(120, 220)는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변화 및 퍼프 감지 센서를 모두 이용하여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920 단계에서, 사용자의 퍼프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제어부(120, 220)가 사용자의 퍼프 및 히터(130)의 온도에 따라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를 카운팅한다.
93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퍼프 제한 횟수가 14회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20, 220)는 카운팅된 퍼프 횟수가 14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만, 퍼프 제한 횟수는 14회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퍼프 제한 횟수는 10회 내지 16회 중 적절한 횟수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근접한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12회인 경우), 제어부(120, 220)는 디스플레이 또는 진동 모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95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보다 적을 경우에는 940 단계로 진행한다.
94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홀더(1)가 동작한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홀더(1)가 동작한 시간은 홀더가 동작을 시작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동작 제한 시간이 10분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20, 220)는 홀더(1)가 10분 이상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한편, 홀더(1)의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근접한 경우(예를 들어, 홀더(1)가 8분 동안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20, 220)는 디스플레이 또는 진동 모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홀더(1)가 동작 제한 시간 이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95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의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보다 적은 경우에는 920 단계로 진행한다.
95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홀더의 동작을 강제 종료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 220)는 홀더의 에어로졸 생성 기작을 중지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홀더의 동작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도 10은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3에 도시된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0의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하에서 설명할 크래들(2)의 동작은,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수행될 수 있다.
1010 단계에서,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버튼(240)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버튼(240)이 눌려진 경우에는 1020 단계로 진행하고, 버튼(240)이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1030 단계로 진행한다.
1020 단계에서, 크래들(2)은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현재 상태(예를 들어, 잔량량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1030 단계에서,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크래들(2)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크래들(2)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크래들(2)에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에는 10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절차를 종료한다.
1040 단계에서, 크래들(2)은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210)를 충전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1)에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궐련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고,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f를 참조하여, 홀더(1)에 삽입될 수 있는 궐련의 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홀더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궐련(3)은 케이스(140)의 말단(141)을 통하여 홀더(1)에 삽입될 수 있다. 궐련(3)이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3)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궐련(3)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궐련(3)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310)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3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3)은 제 2 부분(320)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320)에 삽입될 수도 있다.
홀더(1)의 내부에는 제 1 부분(310)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320)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홀더(1)의 내부에 제 1 부분(310)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310) 및 제 2 부분(320)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320)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310)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외부 공기는 홀더(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1120)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외부 공기는 궐련(3)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유입(1110)될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궐련(3)은 담배 로드(310),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을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310)은 담배 로드(310)를 포함하고, 제 2 부분(320)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을 포함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궐련(3)은 총 5 개의 래퍼들(341, 342, 343, 344, 345)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한편, 도 12b를 참조하면, 궐련(3)은 총 6 개의 래퍼들(341, 342, 343, 344, 346, 347)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310)는 제 1 래퍼(341)에 의하여 포장되고,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는 제 2 래퍼(342)에 의하여 포장된다. 또한, 냉각 구조물(322)은 제 3 래퍼(343)에 의하여 포장되고,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는 제 4 래퍼(344)에 의하여 포장된다.
도 12a의 제 5 래퍼(345)는 제 1 래퍼(341), 제 2 래퍼(342), 제 3 래퍼(343) 및 제 4 래퍼(344)의 외곽에 둘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궐련(3) 전체는 제 5 래퍼(345)에 의하여 이중으로 포장될 수 있다.
한편, 도 12b의 제 6 래퍼(346)는 제 1 래퍼(341), 제 2 래퍼(342) 및 제 3 래퍼(343)의 외곽에 둘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궐련(3)의 담배 로드(310),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및 냉각 구조물(322)은 제 6 래퍼에 의하여 이중으로 포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2b의 제 7 래퍼(347)은 제 3 래퍼(343)의 적어도 일부분 및 제 4 래퍼(344)의 외곽에 둘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궐련(3)의 냉각 구조물(322)의 적어도 일부분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은 제 7 래퍼(347)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제 1 래퍼(341) 및 제 2 래퍼(342)는 일반적인 필터 권지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341) 및 제 2 래퍼(342)는 다공질 권지 또는 무다공질 권지일 수 있다. 또한, 제 1 래퍼(341) 및 제 2 래퍼(342)는 내유성을 갖는 종이류 및 알루미늄 합지 포장제로 제작될 수 있다.
제 3 래퍼(343)는 하드 권지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래퍼(343)의 평량은 90g/m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4 래퍼(344)는 내유성 하드 권지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래퍼(344)의 평량은 92g/m2이고, 두께는 125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는 멸균지(MFW)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멸균지(MFW)는 인장 강도, 내수도, 평활도 등이 일반 종이보다 증진되도록 특수하게 제조된 종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의 평량은 60g/m2이고, 두께는 67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의 인장 강도는 건식 기준 8kgf/15mm 내지 11kgf/15mm의 범위 이내, 습식 기준 1.0kgf/15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는 소정의 물질이 내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물질의 예로서는 실리콘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리콘은 온도에 따른 변화가 적은 내열성, 산화되지 않는 내산화성, 각종 약품에 대한 저항성, 물에 대한 발수성, 또는 전기 절연성 등의 특성을 갖는다. 다만, 실리콘이 아니더라도, 상술한 특성들을 갖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에 도포(또는, 코팅)될 수 있다.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는 궐련(3)이 연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310)가 히터(130)에 의하여 가열되면, 궐련(3)이 연소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담배 로드(310)에 포함된 물질들 중 어느 하나의 발화점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될 경우, 궐련(3)이 연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는 불연성 물질을 포함하므로, 궐련(3)이 연소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는 궐련(3)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에 의하여 홀더(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에 의하여, 궐련(3) 내에서 액체 물질들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됨으로써, 액체 물질들(예를 들어, 수분 등)이 생성될 수 있다. 제 5 래퍼(345), 제 6 래퍼(346) 및 제 7 래퍼(347)가 담배 로드(310) 및/또는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를 포장함에 따라, 궐련(3) 내에서 생성된 액체 물질들이 궐련(3)의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의 케이스(140) 등이 궐련(3)에서 생성된 액체 물질들에 의하여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궐련(3)의 직경은 5mm 내지 9mm의 범위 이내이고, 길이는 약 48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궐련(3)의 직경은 7.2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310)의 길이는 약 12mm,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약 10mm,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는 약 14mm,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의 길이는 약 12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궐련(3)의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에는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담배 로드(3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3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미제는 감초, 자당, 과당 시럽, 이소감미제(isosweet), 코코아, 라벤더, 시나몬, 카르다몸, 셀러리, 호로파, 카스카릴라, 백단,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민트 오일, 계피, 케러웨이, 코냑, 자스민, 카모마일, 멘톨, 계피, 일랑일랑, 샐비어, 스피어민트, 생강, 고수 또는 커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윤제는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담배 로드(310)는 담배 각초들로 충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담배 각초들은 담배 시트를 잘게 절단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넓은 담배 시트가 좁은 공간의 담배 로드(310)에 채워지기 위해서는, 담배 시트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는 특수한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담배 로드(310)를 담배 시트로 충진하는 것에 비하여, 담배 로드(310)를 담배 각초들로 충진하는 것이 더 용이하며, 담배 로드(310)를 생산하는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담배 로드(310)는 담배 시트가 세절된 복수의 담배 가닥들로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310)는 복수의 담배 가닥들이 서로 같은 방향(평행)으로 또는 무작위로 합쳐져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배 로드(310)는 복수의 담배 가닥들이 합쳐져서 형성되고, 히터(130)가 삽입되거나 에어로졸이 통과할 수 있는 종방향의 복수의 채널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담배 가닥들의 크기 및 배열에 의하여, 종방향의 채널들은 균일하거나 불균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가닥은 아래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담배 원료를 분쇄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등), 가향액, 바인더(예를 들어, 구아검, 잔탄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등), 물 등이 혼합된 슬러리를 만든 후, 슬러리를 이용하여 시트를 형성한다. 슬러리를 만들 때, 담배 가닥의 물성을 개질하기 위하여 천연 펄프 또는 셀룰로오스가 첨가될 수 있으며, 1개 이상의 바인더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를 건조시킨 후, 건조된 시트를 절각 또는 세절함으로써 담배 가닥이 생성될 수 있다.
담배 원료는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및/또는 담배 처리 중 발생된 담배 미분일 수 있다. 또한, 담배 시트에는 목재 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은 다른 첨가제가 함유될 수도 있다.
슬러리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5% 내지 40%가 첨가될 수 있으며, 담배 가닥 완제품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2% 내지 35%가 잔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담배 가닥 완제품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10% 내지 25%가 잔류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310)가 제 1 래퍼(341)에 의하여 포장되는 과정 이전에,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을 담배 로드(310)의 중앙에 분사하여 첨가할 수 있다.
담배 가닥은 가로 길이가 0.5mm 내지 2 mm, 세로 길이가 5mm 내지 50mm, 두께(높이)가 0.1 mm 내지 0.3mm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담배 가닥은 가로 길이가 0.9mm, 세로 길이가 20mm, 두께(높이)가 0.2mm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담배 가닥은 평량이 100g/m2 내지 250g/m2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담배 가닥은 평량이 180 g/m2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담배 로드(310)가 담배 시트로 충진되는 것과 비교하여, 담배 가닥들로 충진된 담배 로드(310)는 더 많은 양의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다. 동일한 공간에 충진되는 것을 가정하면, 담배 시트에 비하여, 담배 가닥들이 더 넓은 표면적을 보장한다. 넓은 표면적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기회가 더 많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담배 로드(310)가 담배 가닥들로 충진될 경우, 담배 시트로 충진된 것에 비하여 더 많은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궐련(3)을 홀더(1)에서 분리할 때, 담배 가닥들로 충진된 담배 로드(310)가 담배 시트로 충진된 것에 비하여 보다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담배 로드(310)가 담배 가닥들로 충진될 경우, 담배 시트로 충진된 것에 비하여 홀더(1)로부터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4mm 내지 30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길이가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10 mm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에 포함된 중공의 직경은 3mm 내지 4.5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직경이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제조 시에 가소제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경도가 조정될 수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외곽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를 다른 구성(예를 들어, 다른 필터 세그먼트)과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는 내부(예를 들어, 중공)에 동일 혹은 이형의 재질의 필름, 튜브 등의 구조물을 삽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130)가 삽입되는 경우에 담배 로드(310)의 내부 물질이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은 히터(130)가 담배 로드(310)을 가열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당한 온도로 냉각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 또는 직경은 궐련(3)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는 7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는 약 14mm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각 구조물(322)은 순수한 폴리락트산으로 제작되거나, 다른 분해성 폴리머와 폴리락트산을 조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22)은 압출 방식 또는 섬유의 직조 방식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은 단위 면적 당 표면적(즉, 에어로졸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들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22)은 폴리락트산으로 제조된 섬유를 직조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락트산으로 제조된 섬유에 가향액을 도포할 수도 있다. 또는,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와 폴리락트산으로 제조된 섬유를 함께 이용하여 냉각 구조물(322)을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락트산 섬유를 소정의 컬러로 염색하고, 염색된 섬유를 이용하여 냉각 구조물(322)을 제작할 수도 있다.
냉각 구조물(322)의 다양한 예들은 도 13a 내지 도 13f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는 리세스 필터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의 길이는 4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의 길이는 약 12mm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에 가향액을 분사함으로써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는,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를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의 내부에 삽입할 수도 있다. 담배 로드(31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냉각 구조물(322)을 통과함에 따라 냉각되고, 냉각된 에어로졸이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에 가향 요소가 첨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향미의 지속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324)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324)은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324)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캡슐(324)의 피막은 한천(agar), 펙틴(pectin),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카라기난(carrageenan), 젤라틴 또는 구아검 등의 검류 등으로 제조될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경화 조제(助劑)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겔화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칼슘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가소제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가소제로서는 글리세린 및/또는 소르비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착색료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의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로서는 멘톨, 식물의 정유(精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MCT)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은 색소, 유화제(乳化劑), 증점제(增粘劑) 등의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궐련의 냉각 구조물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예를 들어, 도 13a 내지 도 13f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은 순수한 폴리락트 산(PLA)으로 생산된 섬유들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필름(시트)를 충전하여 냉각 구조물을 필름(시트)을 제작하는 경우, 필름(시트)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부스러질 수 있다. 이 경우, 냉각 구조물이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효과가 감소된다.
다른 예로서, 압출 성형 등에 의하여 냉각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 구조물의 절단 등의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공정의 효율이 낮아진다. 또한, 냉각 구조물을 다양한 형상들로 제작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구조물을 폴리락트산 섬유들을 이용하여 제작함(예를 들어, 직조)에 따라, 냉각 구조물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기능을 상실하게 될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섬유들을 조합하는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냉각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섬유들을 이용하여 냉각 구조물을 제작함으로써, 에어로졸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냉각 구조물의 에어로졸 냉각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10)은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냉각 구조물(1310)의 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1311)가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20)은 복수의 섬유들이 서로 얽힌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섬유들 사이로 흐를 수 있고, 냉각 구조물(1320)의 형태에 따라 와류가 형성될 수도 있다. 형성된 와류는 냉각 구조물(1320)에서 에어로졸이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주고, 에어로졸이 냉각 구조물(1320) 내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켜 준다. 따라서, 가열된 에어로졸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30)은 복수 개의 다발(1331)들이 모아진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3d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40)은 폴리락트산, 각초 또는 숯 각각으로 제조된 과립들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과립은 폴리락트산, 각초 및 참숯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과립은 폴리락트산, 각초 및/또는 숯 외에도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3e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50)은 제 1 단면(1351) 및 제 2 단면(13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면(1351)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과 접경하며, 에어로졸이 유입되는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면(1352)은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와 접경하며, 에어로졸이 방출될 수 있는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면(1351)과 제 2 단면(1352)은 직경이 동일한 단일 공극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 1 단면(1351)과 제 2 단면(1352)에 포함되는 공극의 직경 및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불어, 냉각 구조물(1350)은 제 1 단면(1351)과 제 2 단면(1352) 사이에, 복수의 공극들이 포함된 제 3 단면(13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단면(1353)에 포함된 복수의 공극들의 직경은 제 1 단면(1351) 및 제 2 단면(1352)에 포함된 공극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 3 단면(1353)에 포함된 공극들의 수는 제 1 단면(1351) 및 제 2 단면(1352)에 포함된 공극의 수 보다 많을 수 있다.
도 13f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60)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와 접경하는 제 1 단면(1361)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와 접경하는 제 2 단면(13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각 구조물(1360)은 하나 이상의 관형 요소(136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형 요소(1363)는 제 1 단면(1361)과 제 2 단면(1362)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관형 요소(1363)는 미세다공질 포장재로 포장될 수 있고,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충전재(예를 들어, 도 13d를 참조하여 상술한 과립)로 충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홀더는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가 독립적으로 또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어 틸트된 상태에서도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특히, 홀더가 틸트된 경우에는 크래들의 배터리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가 가열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크래들에서 틸트된 홀더를 이용하여 흡연을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크래들(2)은 홀더(1)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홀더(1)가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홀더(1)에 궐련(3)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과 함께 홀더(1)가 틸트(tilt)될 수 있다. 홀더(1)는 크래들(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의 틸트 각(θ)으로 틸트될 수 있다. 틸트 각(θ)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0°초과 180°이하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이상 9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의 범위는 5°이상 20°이하, 5°이상 30°이하, 5°이상 40°이하, 5°이상 50°이하, 또는 5°이상 6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은 10°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홀더(1)의 일 말단에 궐련(3)을 삽입하고 크래들(2)을 손에 쥔 상태에서 흡연을 할 수 있다. 홀더(1), 크래들(2) 및 궐련(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서 틸트된 상태로 흡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히터(도 1의 130)를 가열시킴으로써 궐련(3)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홀더(1)가 틸트된 상태라 할지라도 홀더(1)는 크래들(2)에 여전히 결합된 상태이므로, 홀더(1)의 배터리(11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한편, 홀더(1)의 배터리(110)는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만 히터(도 1의 130)를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었는지 여부,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된 경우,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에 의한 배터리(110)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홀더(1)가 틸트된 경우,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전력 공급에 의한 홀더(1)의 히터(도 1의 130)의 가열, 즉 히터(도 1의 13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틸트된 경우, 홀더(1)는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수 회의 흡연을 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1회의 흡연은 14회의 퍼프 단위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크래들(2)에서 틸트된 제 1 상태 및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제 2 상태에서의 흡연 패턴을 누적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이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퍼프의 유무를 감지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이 지속되고 있는 동작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어부(120)는 홀더(1)가 크래들(2)에 결합되었는지, 틸트되었는지, 또는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가 틸트되고 궐련(3)이 홀더(1)에 삽입된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지, 또는 홀더(1)의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 홀더(1)가 틸트된 상태에서 퍼프 횟수 또는 동작 시간이 퍼프 제한 횟수 또는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된 경우, 제어부(120)는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히터(도 1의 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홀더(1)의 제어부(120)는 크래들(2)의 제어부(220)로, 배터리(210)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명령함으로써,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을 중단시킬 수 있다.
홀더(1)는 흡연 패턴과 흡연 제한 조건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다. 흡연 패턴은 예를 들어, 삽입된 궐련(3)에 대한 퍼프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연 제한 조건은 퍼프 제한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홀더(1)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서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한 경우, 삽입된 궐련(3)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홀더(1) 내 구비된 히터(도 1의 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흡연 패턴은 홀더(1)의 동작 시간(예를 들어, 히터(도 1의 130)의 가열 시간)을 포함하고, 흡연 제한 조건은 동작 제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홀더(1)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서 누적적으로 모니터링된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홀더(1) 내 구비된 히터(도 1의 130)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되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2)에서 홀더(1)가 분리되면,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을 중단 시킬 수 있고, 이때 사용자는 다시 홀더(1)를 크래들(2)에 결합시킴으로써 다음 흡연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되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분리된 경우라 할지라도, 틸트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퍼프 횟수와 분리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퍼프 횟수를 누적하여 합산한 후 총 퍼프 횟수를 퍼프 제한 횟수와 비교하여, 히터(도 1의 130)의 가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홀더(1)가 틸트되어 있거나 또는 홀더(1)가 분리되어 있다 할지라도, 홀더(1)의 제어부(120)는 퍼프 횟수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퍼프 횟수와 마찬가지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되어 있거나 또는 홀더(1)가 분리되어 있다 할지라도, 홀더(1)의 동작 시간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결국, 홀더(1)의 동작의 종료, 즉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의 종료는, 홀더(1)의 제어부(120)의 판단에 의존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홀더가 틸트 및 분리된 경우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501 단계에서, 홀더(1) 또는 크래들(2)은 사용자로부터 흡연 개시 요청을 수신한다. 흡연 개시 요청은, 홀더(1) 또는 크래들(2)에 구비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 또는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흡연 개시 요청이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흡연은 홀더(1)가 틸트된 상태이거나 또는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경우에 가능하다. 다만,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홀더(1)가 틸트되지도 않은 경우, 홀더(1)는 사용자가 흡연을 하지 못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히터를 동작시키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가 흡연을 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온도 또는 시간으로만 히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하, 홀더(1)가 크래들(2)에서 틸트되거나, 분리된 경우임을 가정하여 홀더(1)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1502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크래들(2)에 결합된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크래들(2)의 제어부(220)도 또한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가 틸트된 경우, 1503 단계로 진행된다. 하지만, 홀더(1)가 분리된 경우, 1507 단계로 진행된다.
1503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틸트된 상태에서의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다.
1504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틸트된 상태에서의 퍼프 횟수와 분리된 상태에서의 퍼프 횟수를 합산한다. 만약, 사용자가 틸트된 상태에서만 궐련(3)을 퍼프한 경우, 분리된 상태에서의 퍼프 횟수는 0회이다.
1505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합산된 총 퍼프 횟수와 미리 설정된 퍼프 제한 횟수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퍼프 제한 횟수는 14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합산된 총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 이하인 경우, 1502 단계로 진행된다. 하지만, 합산된 총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한 경우, 1506 단계로 진행된다.
1506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히터(130)를 제어한다. 한편, 홀더(1)가 여전히 틸트된 경우라면, 크래들(2)의 제어부(220)도 히터(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히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1507 단계에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경우,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된 상태에서의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에 따라, 1504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퍼프 횟수와 틸트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퍼프 횟수를 합산하여 총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홀더가 틸트 및 분리된 경우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601 단계에서, 홀더(1) 또는 크래들(2)은 사용자로부터 흡연 개시 요청을 수신한다.
1602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크래들(2)에 결합된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크래들(2)의 제어부(220)도 또한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가 틸트된 경우, 1603 단계로 진행된다. 하지만, 홀더(1)가 분리된 경우, 1607 단계로 진행된다.
1603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틸트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을 카운트한다.
1604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틸트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과 분리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을 합산한다. 만약, 사용자가 틸트된 상태에서만 홀더(1)를 동작시킨 경우, 분리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은 0시간이다.
1605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합산된 총 동작 시간과 미리 설정된 동작 제한 시간을 비교한다. 예를 들어, 동작 제한 시간은 10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합산된 총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 이하인 경우, 1602 단계로 진행된다. 하지만, 합산된 총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1606 단계로 진행된다.
1606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히터(130)를 제어한다. 한편, 홀더(1)가 여전히 틸트된 경우라면, 크래들(2)의 제어부(220)도 히터(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히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1607 단계에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경우,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에 따라, 1604 단계에서,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동작 시간과 틸트된 상태에서 카운팅된 동작 시간을 합산하여 총 동작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홀더(1)는 도 15에서 설명된 퍼프 횟수 및 도 16에서 설명된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히터(도 1의 130)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1)는 제 1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되었다가 뒤이어 제 2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된 경우 제 1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제 2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을 누적하고, 누적된 흡연 패턴이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홀더(1) 내 구비된 히터(도 1의 130)를 제어한다. 또한, 홀더(1)는 제 2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되었다가 뒤이어 제 1 상태에서 흡연이 진행된 경우 제 2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제 1 상태에서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을 누적하고, 누적된 흡연 패턴이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홀더(1) 내 구비된 히터(도 1의 130)를 제어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홀더(1)가 크래들(2)에서 틸트되고 궐련(3)이 홀더(1)에 삽입된 상태에서, 흡연이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홀더(1)가 틸트된 상태에서 1번째 퍼프부터 6번째 퍼프까지 궐련(3)을 퍼프하고, 그 이후에 홀더(1)를 크래들(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6회의 퍼프들이 진행되는 동안 퍼프 횟수를 누적적으로 카운팅한다.
사용자는 분리된 홀더(1)를 이용하여 8회 더 퍼프할 수 있다. 이때,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된 홀더(1)에서 최초로 진행된 퍼프는, 틸트된 상태에서의 6번째 퍼프에 뒤이은 7번째 퍼프인 것으로 누적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즉, 홀더(1)의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된 때부터 분리된 때까지 진행된 모든 퍼프들을 누적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누적된 총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한 경우 (즉, 14번째 퍼프가 완료된 경우), 홀더(1)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도 17과는 반대의 경우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궐련(3)이 홀더(1)에 삽입된 후에, 흡연이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분리된 홀더(1)를 이용하여 1번째 퍼프부터 4번째 퍼프까지 궐련(3)을 퍼프하고, 그 이후에 홀더(1)를 크래들(2)에 결합하고 틸트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4회의 퍼프들이 진행되는 동안 퍼프 횟수를 누적적으로 카운팅한다.
사용자는 틸트된 홀더(1)를 이용하여 10회 더 퍼프할 수 있다. 이때, 홀더(1)의 제어부(120)는 틸트된 홀더(1)에서 최초로 진행된 퍼프는, 분리된 상태에서의 4번째 퍼프에 뒤이은 5번째 퍼프인 것으로 누적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즉, 홀더(1)의 제어부(120)는 홀더(1)가 분리된 때부터 틸트된 때까지 진행된 모든 퍼프들을 누적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누적된 총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한 경우 (즉, 14번째 퍼프가 완료된 경우), 홀더(1)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홀더에서 퍼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의 (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홀더(1)를 틸트된 상태로 이용하다가 홀더(1)를 크래들(2)로부터 분리하여 이용하고 뒤이어 다시 홀더(1)를 틸트하여 이용하더라도, 홀더(1)의 제어부(120)는 흡연이 개시된 이후부터(즉, 1번째 퍼프) 진행된 퍼프들을 누적적으로 카운팅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19의 (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홀더(1)를 분리된 상태로 이용하다가 홀더(1)를 틸트하여 이용하고 뒤이어 다시 홀더(1)를 분리하여 이용하더라도, 홀더(1)의 제어부(120)는 흡연이 개시된 이후부터(즉, 1번째 퍼프) 진행된 퍼프들을 누적적으로 카운팅할 수 있다.
즉, 홀더(1)의 제어부(120)는 흡연이 개시된 이후에는 홀더(1)의 틸트 또는 분리와 무관하게, 진행된 퍼프 횟수를 누적적으로 카운팅하고, 누적된 총 퍼프 횟수에 기초하여 홀더(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홀더에서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홀더(1)가 크래들(2)에서 틸트되고 궐련(3)이 홀더(1)에 삽입된 상태에서, 흡연이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홀더(1)가 틸트된 상태에서 6분동안 궐련(3)을 퍼프하고, 그 이후에 홀더(1)를 크래들(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된 동안의 동작 시간을 카운팅한다.
틸트된 상태에서의 동작 시간이 아직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분리된 홀더(1)를 이용하여 더 퍼프할 수 있다. 도 20의 예에서, 사용자는 4분 동안 더 퍼프할 수 있다. 이때, 홀더(1)의 제어부(120)는 분리되기 전의 동작 시간은 이미 경과된 동작 시간인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즉, 홀더(1)의 제어부(120)는 홀더(1)가 틸트된 때부터 분리된 때까지 경과된 모든 동작 시간을 누적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는 누적된 총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즉, 10분이 경과된 경우), 홀더(1)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궐련이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디바이스; 및
    상기 홀더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홀더 디바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된 홀더 디바이스와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이 틸트(tilt)되는 크래들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디바이스는
    상기 홀더 디바이스가 상기 크래들 디바이스에서 틸트된 상태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홀더 디바이스에 상기 궐련이 삽입되어 가열이 시작된 경우 흡연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이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흡연 패턴이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홀더 디바이스 내 구비된 히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패턴은 상기 삽입된 궐련에 대한 퍼프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은 퍼프 제한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디바이스는
    상기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포함된 퍼프 횟수가 상기 퍼프 제한 횟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홀더 디바이스 내 구비된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패턴은 상기 홀더의 동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은 동작 제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디바이스는
    상기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에 포함된 동작 시간이 상기 동작 제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홀더 디바이스 내 구비된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이용되는 홀더 디바이스에 있어서,
    궐련이 삽입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상기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을 위하여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전력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디바이스는
    상기 홀더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크래들 디바이스에서, 상기 내부 공간과 함께 틸트(tilt)되어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더 디바이스가 상기 크래들 디바이스에서 틸트된 상태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홀더 디바이스에 상기 궐련이 삽입되어 가열이 시작된 경우 흡연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흡연 패턴이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흡연 패턴이 상기 흡연 제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홀더 디바이스.
KR1020190017391A 2016-12-16 2019-02-14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52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889 2016-12-16
KR20160172889 2016-12-16
KR20170046938 2017-04-11
KR1020170046938 2017-04-11
KR1020170077586A KR20180070436A (ko) 2016-12-16 2017-06-19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170077586 2017-06-19
KR1020170100888 2017-08-09
KR1020170100888 2017-08-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839A Division KR102065070B1 (ko) 2016-12-16 2018-01-29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721A Division KR102033038B1 (ko) 2016-12-16 2019-03-25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305A true KR20190020305A (ko) 2019-02-28
KR102052714B1 KR102052714B1 (ko) 2019-12-09

Family

ID=62788542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348A KR20180070451A (ko) 2016-12-16 2017-08-09 에어로졸 형성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시스템
KR1020170101350A KR20180070452A (ko) 2016-12-16 2017-08-09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170119664A KR102135893B1 (ko) 2016-12-16 2017-09-18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10839A KR102065070B1 (ko) 2016-12-16 2018-01-29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180010838A KR102082948B1 (ko) 2016-12-16 2018-01-29 에어로졸 형성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시스템
KR1020190017391A KR102052714B1 (ko) 2016-12-16 2019-02-14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190018812A KR102033034B1 (ko) 2016-12-16 2019-02-18 에어로졸 형성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시스템
KR1020190033721A KR102033038B1 (ko) 2016-12-16 2019-03-25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348A KR20180070451A (ko) 2016-12-16 2017-08-09 에어로졸 형성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시스템
KR1020170101350A KR20180070452A (ko) 2016-12-16 2017-08-09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170119664A KR102135893B1 (ko) 2016-12-16 2017-09-18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10839A KR102065070B1 (ko) 2016-12-16 2018-01-29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180010838A KR102082948B1 (ko) 2016-12-16 2018-01-29 에어로졸 형성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812A KR102033034B1 (ko) 2016-12-16 2019-02-18 에어로졸 형성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시스템
KR1020190033721A KR102033038B1 (ko) 2016-12-16 2019-03-25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8) KR20180070451A (ko)
CN (1) CN20819212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993A (ko)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296B1 (ko) * 2018-07-05 2021-1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0019122A1 (zh) * 2018-07-23 2020-01-30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调温和调周期功能的电加热卷烟器具
WO2020054554A1 (ja) * 2018-09-11 2020-03-19 京セラ株式会社 ヒ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バコ用加熱具
KR20210075113A (ko) * 2018-10-12 2021-06-22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가열 챔버
WO2020074604A1 (en) * 2018-10-12 2020-04-16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chamber therefor
EP3863441A1 (en) * 2018-10-12 2021-08-18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chamber therefor
TWI752359B (zh) * 2018-10-12 2022-01-11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瑞士) 氣溶膠產生裝置及其加熱腔體
GB201817535D0 (en) * 2018-10-29 2018-12-12 Nerudia Ltd Smoking substitute consumable
CN109288139B (zh) * 2018-11-27 2024-02-13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气雾产生装置的加热组件和气雾产生装置
KR102270185B1 (ko) * 2018-12-11 2021-06-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19853B1 (ko) * 2019-01-16 2021-02-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복수의 지자기센서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
JP7153738B2 (ja) * 2019-05-21 2022-10-14 雲南中煙工業有限責任公司 中空降温部材を内包する中空支持要素、及びかかる中空支持要素を含むタバコスティック
WO2020249648A1 (en) * 2019-06-13 2020-12-17 Jt International Sa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KR102480482B1 (ko) * 2019-07-05 2022-12-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TWI779347B (zh) * 2019-09-06 2022-10-01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瑞士) 氣溶膠產生裝置及其加熱腔體
KR102413551B1 (ko) 2019-10-21 2022-06-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
KR102431330B1 (ko) 2019-11-12 2022-08-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987955A4 (en) * 2019-11-29 2023-01-25 Japan Tobacco Inc. SUCTION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10073373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배 시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405812B1 (ko) * 2020-06-19 2022-06-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2172A (ko)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금속섬유 면상발열 히터
EP4312614A1 (en) * 2021-11-11 2024-02-07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30111934A (ko) * 2022-01-19 2023-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333A (ko) * 2010-02-05 2012-10-16 카인드 컨슈머 리미티드 모조 흡연 장치
KR20150058569A (ko) * 2009-05-21 2015-05-2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기 가열식 흡연 시스템
JP2016528910A (ja) * 2013-08-30 2016-09-23 ニコベンチャーズ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電力調整機能付き器具
KR20160129024A (ko) * 2014-02-28 2016-11-08 비욘드 투웬티 리미티드 전자-담배 개인 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287B1 (ko) 2005-07-29 2006-10-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열식 담배용 전기 가열기
EP2193312B1 (en) * 2007-08-28 2014-08-06 Oglesby & Butler,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A gas powered heating unit and a heat not burn vaporising device
JP4739433B2 (ja) * 2009-02-07 2011-08-03 和彦 清水 無煙喫煙治具
EP2316286A1 (en) * 2009-10-29 2011-05-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with improved heater
CN103997922B (zh) 2011-11-21 2016-12-14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气雾产生装置的提取器
SG11201403623YA (en) * 2011-12-30 2014-07-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AR091509A1 (es) * 2012-06-21 2015-02-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para fumar para ser usado con un elemento de calentamiento interno
KR101940893B1 (ko) * 2012-12-28 2019-01-2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위한 가열 조립체
EP3138424B1 (en) * 2014-05-02 2019-06-12 Japan Tobacco Inc.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er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60001476U (ko) * 2014-10-28 2016-05-10 하기성 전자 담배
AU2016240554B2 (en) * 2015-04-02 2019-09-19 Japan Tobacco Inc. Flavor inhaler
JP3207506U (ja) * 2016-06-22 2016-11-17 佐藤 雅昭 加熱式タバコ収納室付き携帯チャージャーケ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569A (ko) * 2009-05-21 2015-05-2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기 가열식 흡연 시스템
KR20120114333A (ko) * 2010-02-05 2012-10-16 카인드 컨슈머 리미티드 모조 흡연 장치
JP2016528910A (ja) * 2013-08-30 2016-09-23 ニコベンチャーズ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電力調整機能付き器具
KR20160129024A (ko) * 2014-02-28 2016-11-08 비욘드 투웬티 리미티드 전자-담배 개인 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993A (ko)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038B1 (ko) 2019-10-16
KR102052714B1 (ko) 2019-12-09
KR20180070454A (ko) 2018-06-26
KR102033034B1 (ko) 2019-10-16
KR20180070452A (ko) 2018-06-26
KR20180070513A (ko) 2018-06-26
KR102135893B1 (ko) 2020-07-21
CN208192126U (zh) 2018-12-07
KR102082948B1 (ko) 2020-04-28
KR20180070451A (ko) 2018-06-26
KR102065070B1 (ko) 2020-01-10
KR20190019113A (ko) 2019-02-26
KR20190035643A (ko) 2019-04-03
KR20180070514A (ko)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038B1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376514B1 (ko)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33037B1 (ko)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13887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제어 방법
US11641879B2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KR10206507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00154772A1 (en) Aerosol generation system of preheating heater
KR10207493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3303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1432593B2 (en) Device for cleaning smoking member, and smoking memb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