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867A - Method for removing a cover from a display module using two number of wires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moving a cover from a display module using two number of wires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867A
KR20190019867A KR1020180095990A KR20180095990A KR20190019867A KR 20190019867 A KR20190019867 A KR 20190019867A KR 1020180095990 A KR1020180095990 A KR 1020180095990A KR 20180095990 A KR20180095990 A KR 20180095990A KR 20190019867 A KR20190019867 A KR 20190019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xis direction
display module
pair
cove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장현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넥스디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디스플레이 filed Critical (주)넥스디스플레이
Publication of KR2019001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8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separating a cover glass and a display module coupled to each other, comprising: a step of inserting a first wire between a display module and a cover glass in order to move the same in a second direction (a Y-axis) orthogonal to a first direction (an X-axis) to which the first wire is extended; and a step of inserting a second wire therebetween to move the same in the first direction. Here, the direction of force inflicted b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Moreover, force inflicted by the second wire comprises a third direction (a Z-axis) component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Description

두 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커버를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제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위한 분리장치{Method for removing a cover from a display module using two number of wires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the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moving a cover from a display module using two wires and a separation device for the method,

본 발명은 OCA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커버와 디스플레이 모듈가 제공되었을 때에, 두 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removing the cover from the display module using two wires when a cover and a display modul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OCA.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기기를 재활용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모듈만을 분리하여 이용하고자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커버글래스가 본딩 결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이로부터 커버글래스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In the case of reusing a user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use only the display module. At this time, a cover glass is often bonded to the display module. Therefore, in order to recycle the display modul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cover glass.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커버글래스는 투명한 접착성 필름인 OCA 또는 투명한 접착성 레진인 OCR에 의해 서로 본딩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딩 결합의 결합력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커버글래스를 분리할 때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파손되어 그 재활용률이 감소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In the display module, the cover glass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OCA, which is a transparent adhesive film, or OCR, which is a transparent adhesive resin.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cover glass is detached from the display module due to the bonding force of the bonding, the display module may be damaged and the recycling rate may be reduced.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커버글래스를 안전하게 분리하는 기술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technique for safely detaching the cover glass from the display module.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글래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easily removing a cover glass coupled to a display module from the display module.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서로 결합되어 있는 커버글래스(1)와 디스플레이 모듈(2)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커버글래스(1)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디바이스(10)를 x축과 y축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와이어(11)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과 상기 커버글래스(1) 간의 틈에 끼워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12)를 상기 틈에 끼워 상기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11)와 상기 제2와이어(12)가 상기 틈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와이어(11)와 상기 제2와이어(12)가 가하는 힘의 방향은 서로 다르며, 상기 제2와이어(12)가 가하는 힘은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separating the cover glass 1 and the display module 2,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from each other.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 device (10) on which the cover glass (1) and the display module (2) are coupled to each other on a plane consisting of an x axis and a y axis; moving the first wire (11)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in a gap between the display module (2) and the cover glass (1) in the y-axis direction; And moving the second wire (12)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by sandwich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wire (11) and the second wire (12) The force applied by the first wire 11 and the second wire 12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force applied by the second wire 12 includes a z-axis component. do.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커버글래스(1)와 디스플레이 모듈(2)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디바이스(10)를 안착시키기 위한 스테이지(300); 안착된 상기 디바이스(10)를 -z축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이동모듈로서, 안착된 상기 디바이스(10)의 양쪽 가장자리의 상면에 접촉하여 구르도록 되어 있는 바퀴(231, 232), 상기 바퀴(231, 232)가 설치되어 있으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행거로드(221, 222), 및 상기 행거로드(221, 222)를 z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220)를 포함하는, 상기 가압이동모듈; 상기 제1와이어(11)를 잡고 있는 한 쌍의 제1와이어 홀더(511); 상기 제2와이어(12)를 잡고 있는 한 쌍의 제2와이어 홀더(512); 상기 제1와이어 홀더(511) 및 상기 제2와이어 홀더(512)가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을 갖는 쌍의 레일(410); 상기 한 쌍의 제1와이어 홀더(511)를 y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와이어 홀더(511)에 연결된 한 쌍의 제2행거로드(521) 및 제2구동부(531);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 홀더(512)를 y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 홀더(512)에 연결된 한 쌍의 제3행거로드(522) 및 제3구동부(532); 상기 제2와이어(12)의 두 개의 지점에 연결된 한 쌍의 리프팅 와이어(211); 상기 제2와이어(12)가 상기 커버글래스(1)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 간의 틈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한 쌍의 리프팅 와이어(211)를 +z축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는 와이어 리프터(210); 및 상기 제1구동부(220), 상기 제2구동부(531), 상기 제3구동부(532), 및 상기 와이어 리프터(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을 포함하는 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ge 300 for seating a device 10 to which a cover glass 1 and a display module 2 are coupled to each other; A pressing moving module moving in the + y axis direction while the device 10 is pressed in the -z axis direction, the pressing moving module comprising: The hanger rods 221 and 222 and the hanger rods 221 and 222 provided with the wheels 231 and 232 and extending in the z axis direction are moved in the z axis direction and the y axis direction The first driving part (220) for moving the pressing member A pair of first wire holders (511) holding the first wires (11); A pair of second wire holders (512) holding the second wires (12); A pair of rails 410 having slits extending along the y-axis direction so that the first wire holder 511 and the second wire holder 512 can move along the y-axis direction; A pair of the second hanger rod 52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531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wire holders 511 so as to move the pair of first wire holders 511 along the y- ; A pair of third hanger rod 522 and third driving unit 532 connected to the pair of second wire holders 512 to move the pair of second wire holders 512 along the y- ; A pair of lifting wires (211) connected to two points of the second wire (12); When the second wire 12 enters the clearance between the cover glass 1 and the display module 2, it applies a force to lift the pair of lifting wires 211 in the + z-axis direction A wire lifter 210; And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driving unit 220, the second driving unit 531, the third driving unit 532, and the wire lifter 210, have.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OCA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커버글래스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분리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법은 제1보빈에 감겨있는 제1와이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OCA 사이에 끼워 상기 제1와이어가 연장되어 있는 제1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2보빈에 감겨있는 제2와이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OCA 사이에 끼워 상기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가하는 힘의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eparating a cover glass and a display module,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OCA, can be provided. Moving the first wire wrapped around the first bobbin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OC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wire extends; And moving the second wire wound around the second bobbin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OCA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directions of forces applied b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글래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glass attached to a display modul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displa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래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OCA가 결합된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래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OCA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래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OCA가 결합된 디바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분리하기 위해 와이어 및 보빈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내부에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진입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A-A' 부분을 잘랐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y축 방향으로 더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커버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서로 분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분리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2와이어에 추가적으로 부가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와이어 홀더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분리장치에 포함된 구동부들 및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ver glass, a display module, and a device combined with an OC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process of combining a cover glass, a display module, and an OC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cover glass, a display module, and a device combined with an OC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the arrangement of wires and bobbins to separate the components of a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state where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enter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further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paration devic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eparating a cover and a display module from each other.
Figure 9 shows the components that are additionally added to the second wire.
10 shows a driving unit connected to a wire holder.
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units and the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separation apparatus, which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below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expressly have the opposite mea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래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OCA가 결합된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ver glass, a display module, and a device combined with an OC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바이스(10)를 구성하는 부품은 아래쪽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2), OCA(3), 커버글래스(1)를 나타낸다.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evice 10 represent the display module 2, the OCA 3, and the cover glass 1 from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래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OCA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FIG. 2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cover glass, a display module, and an OC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커버글래스(1)와 디스플레이 모듈(2)을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커버글래스(1)와 디스플레이 모듈(2) 사이에 OCA(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OCA 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glass 1 and the display module 2 to couple the cover glass 1 and the display module 2 togeth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래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OCA가 결합된 디바이스를 나타낸 것이다.3 shows a cover glass, a display module, and a device combined with an OC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같이 커버글래스(1), OCA(3), 및 디스플레이 모듈(2)을 결합함으로써 도 3과 같은 디바이스(10)가 생성될 수 있다.By combining the cover glass 1, the OCA 3, and the display module 2 as shown in Fig. 2, the device 10 as shown in Fig. 3 can be crea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분리하기 위해 와이어 및 보빈(bobbin)이 제공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4 shows a wire and bobbin provided to separate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4는 커버글래스(1), 디스플레이 모듈(2), 및 OCA(3)로 구성되는 상기 디바이스를 -z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라본 모습이다. 4 is a view of the device including the cover glass 1, the display module 2, and the OCA 3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z axis.

제1와이어(11) 및 상기 제1와이어(11)가 감겨있는 제1보빈(21)을 포함하는 제1분리모듈(110) 및 제2와이어(12) 및 상기 제2와이어(12)가 감겨있는 제2보빈(22)을 포함하는 제2분리모듈(120)이 순차적으로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분리모듈(110) 및 제2분리모듈(120)은 OCA(3)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커버글래스(1)와 디스플레이 모듈(2)을 서로 분리하기 위한 한 쌍의 분리모듈일 수 있다.The first separation module 110 and the second wire 12 including the first wire 11 and the first bobbin 21 around which the first wire 11 is wound and the second wire 12 are wound The second separation module 120 including the second bobbin 22 having the second bobbin 22 can move sequentially along the + y axis direction.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modules 110 and 120 include a pair of separation modules for separating the cover glass 1 and the display module 2,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OCA 3, Lt; / RTI >

이때, 제1와이어(11) 및 제2와이어(12)의 연장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wire 11 and the second wire 12 may be the x-axis direc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10)의 내부에 제1와이어(11) 및 제2와이어(12)가 커버글래스(1), 디스플레이 모듈(2), 및 OCA(3) 간의 틈 사이로 진입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wire 11 and a second wire 12 are disposed within a cover glass 1, a display module 2, and an OCA 3, In the middle of the gap.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제1와이어(11) 및 제2와이어(12) 중 디스플레이 모듈(2), 및 OCA(3) 간의 틈 사이로 진입한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5, dotted lines indicate portions of the first wire 11 and the second wire 12 which have enter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2 and the OCA 3.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A-A' 부분을 잘랐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와이어(11) 및 제2와이어(12)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과 OCA(3) 사이에 끼워서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글래스(1), 디스플레이 모듈(2), 및 OCA(3)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제1와이어(11) 및 제2와이어(12)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커버글래스(1)는 디스플레이 모듈(2)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다.6, the first wire 11 and the second wire 12 are sequentially sandwich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2 and the OCA 3 and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whereby the cover glass 1, The module 2, and the OCA 3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as the first wire 11 and the second wire 12 move in the y-axis direction, the cover glass 1 can be separated from the display module 2 in the z-axis direction.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달리, 제1와이어(11) 및 제2와이어(12)를 순차적으로 커버글래스(1)와 OCA(3) 사이에 끼워서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버글래스(1), 디스플레이 모듈(2), 및 OCA(3)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6, the first wire 11 and the second wire 12 are sequentially sandwiched between the cover glass 1 and the OCA 3 and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whereby the cover glass 1, The display module 2, and the OCA 3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도 6의 상태에 비하여 +y축 방향으로 더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7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move further in the + y axis direction compared to the state of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와이어(11)가 상기 디바이스(10)에게 가하는 힘의 방향이 +y축 방향이 되도록 제1와이어(11) 또는 제1분리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first wire 11 or the first separation module 110 can be controlled such that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by the first wire 11 to the device 10 is the + y axis direction.

그리고 제2와이어(12)가 상기 디바이스(10)에게 가하는 힘의 방향은 +y-+z축 방향이 되도록 제2와이어(12) 또는 제2분리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와이어(12)는 +y축 방향뿐만 아니라 +z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wire 12 or the second separation module 12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by the second wire 12 to the device 10 is the + y- + z axis direction. I.e., the second wire 12 can be controlled to exert a force in the + y-axis direction as well as the + z-axis direction.

이와 같이 하면, 제1와이어(11)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2)을 커버글래스(1)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2와이어(12)는 제1와이어(11)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2)로부터 분리된 커버글래스(1)가, OCA(3)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2)에 다시 붙지 않도록, 분리된 사이의 거리를 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first wire 11 serves to separate the display module 2 from the cover glass 1 and the second wire 12 serves to separate the display module 2 from the cover glass 1 by the first wire 11. [ The cover glass 1 can be separated from the display module 2 by the OCA 3 so that the cover glass 1 can be separated from the display glass.

도 8은 커버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서로 분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분리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paration devic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eparating a cover and a display module from each other.

도 9는 제2와이어(12)에 추가적으로 부가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것이다. Fig. 9 shows components which are additionally added to the second wire 12. Fig.

도 10은 와이어 홀더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나타낸 것이다.10 shows a driving unit connected to a wire holder.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8 to 10 will be described below together.

분리장치는 하우징(미도시)에 고정되어 있는 스테이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300) 위에는 디바이스(10)가 안착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분리장치에는 디바이스(10)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The separation device may include a stage 300 fixed to a housing (not shown). The device 10 may be seated on the stage 300. In the sepa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8, the device 10 is not shown.

분리장치는 안착된 상기 디바이스(10)를 아래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y 방향으로 굴러서 이동하는 가압이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이동모듈은 디바이스(10)의 양쪽 가장자리의 상면에 접촉하여 구르도록 되어 있는 바퀴(231, 232), 상기 바퀴(231, 232)가 설치되어 있으며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행거로드(221, 222), 상기 행거로드(221, 222)를 +z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220)는, 디바이스(10)가 스테이지(300)에 안착되기 이전에는 바퀴(231, 232) 및 행거로드(221, 222)를 +z 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제어되고, 디바이스(10)가 스테이지(300)에 안착된 이후에는 바퀴(231, 232) 및 행거로드(221, 222)를 -z 방향으로 밀어내어 디바이스(10)를 스테이지(300)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구동부(220)와 행거로드(221, 222)의 상측 단부 사이에는 피스톤 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바퀴(231, 232) 및 행거로드(221, 222)를 스테이지(300)에 대하여 가압한 이후에, 제1구동부(220)는 도시되지 않은 레일을 따라 +y 방향으로 상기 가압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구동부(220)는 -y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The separation device may include a pressure transfer module that rolls in the + y direction while pressing the device 10 seated downward. The pressing movement module includes wheels 231 and 232 that are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upper surfaces of both edges of the device 10 and rollers 231 and 232 and hanger rods 221 222, and a first driving unit 220 for moving the hanger rods 221, 222 in the + z direction and the + y direction. The first driving unit 220 is controlled so as to lift the wheels 231 and 232 and the hanger rods 221 and 222 in the + z direction before the device 10 is seated on the stage 300, It is possible to press the device 10 against the stage 300 by pushing the wheels 231 and 232 and the hanger rods 221 and 222 in the -z direction. To this end, a piston devic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drive part 220 and the upper end of the hanger rod 221, 222. After the wheels 231 and 232 and the hanger rods 221 and 222 are pressed against the stage 300, the first driving unit 220 maintains the pressed state in the + y direction along the unillustrated rails As shown in FIG. The first driving unit 220 may be controlled to move along the -y direction.

한편, 제1와이어(11)는 한 쌍의 와이어 홀더(511)에 의해 고정되어 그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 홀더(511)는 +y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411)을 갖는 한 쌍의 레일(41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와이어 홀더(511)의 상측면에도 행거로드(221, 22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행거로드(521)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2행거로드(521)는 제1구동부(2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구동부(531)에 고정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531)는 도시되지 않은 제2레일을 따라 y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단, 제2구동부(531)는 상기 제2행거로드(521)를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wire 11 can be fixed by a pair of wire holders 511 to maintain its tension. The pair of wire holders 511 can slide along the pair of rails 410 having the slits 411 extending along the + y-axis direction. At this time, a second hanger rod 521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hanger rods 221 and 222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wire holders 511,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a second driving unit 531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driving unit 220. The second driving unit 531 may be controlled to reciprocate along a y-axis direction along a second rail (not shown). However, the second driving unit 531 may not move the second hanger rod 521 in the z-axis direction.

마찬가지로, 제2와이어(12)는 한 쌍의 와이어 홀더(512)에 의해 고정되어 그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 홀더(512)는 +y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411)을 갖는 한 쌍의 레일(41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와이어 홀더(512)의 상측면에도 행거로드(221, 22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3행거로드(522)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3행거로드(522)는 제1구동부(2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3구동부(532)에 고정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는 도시되지 않은 제3레일을 따라 y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Likewise, the second wire 12 can be fixed by a pair of wire holders 512 to maintain its tension. The pair of wire holders 512 can slide along a pair of rails 410 having slits 411 extending along the + y-axis direction. A third hanger rod 522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hanger rods 221 and 222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wire holders 512. The third hanger rod 522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a third driving unit 532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driving unit 220. The third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reciprocate along the y-axis direction along a third rail (not shown).

상기 제2레일 및 상기 제3레일은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cond rail and the third rail may be fixed to the housing.

스테이지(300)는 z축 방향의 따라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스테이지(300)에 안착되는 디바이스(10)의 틈 사이로 와이어들(11, 12)이 침투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stage 300 is configured to move finely along the z-axis direction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wires 11 and 12 can penetrate into the gap of the device 10 that is seated on the stage 300 .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와이어(12)는 제1와이어(11)와는 다른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제1와이어(11)가 y축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면 제2와이어(12)는 z축 방향 및 y 축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어야 한다. The second wire 12 must be able to exert a forc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wire 11, as described above. That is, if the first wire 11 applies a force in the y-axis direction, the second wire 12 should be able to exert a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이를 위하여 제2와이어(12)의 2 개의 지점에는 필요에 따라 제2와이어(12)를 z축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한 쌍의 리프팅 와이어(21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지점 간의 거리(W1)은 디바이스(10)의 x축 방향 폭보다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a pair of lifting wires 211 for lifting the second wire 12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two points of the second wire 12 as necessary. The distance W1 between the two points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device 10 in the x-axis direction.

도 9에 제시한 와이어 리프터(210)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을 갖는 또 다른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2와이어(12)가 디바이스(10)의 틈에 침투하게 되면, 와이어 리프터(210)는 리프팅 와이어(211)를 들어올림으로써 제2와이어(12)의 상기 2개의 지점 사이이 세그먼트가 z축 방향을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ire lifter 210 shown in Fig. 9 can move along another rail (not shown) having a slit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wire 12 penetrates into the gap of the device 10, the wire lifter 210 lifts the lifting wire 211 so that the segment between the two points of the second wire 12 moves in z And may be configured to exert an axial forc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분리장치에 포함된 구동부들 및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units and the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separation apparatus, which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600)는 와이어 리프터(210), 제1구동부(220), 제2구동부(531), 및 제3구동부(53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을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00 may be programm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ire lifter 210, the first driving unit 220, the second driving unit 531, and the third driving unit 532.

제1와이어(11) 및 제2와이어(12)에 의해 디바이스(10)가 분해되는 동안, 바퀴(231, 232)의 y 축 상의 위치값은 언제나 제1와이어(11) 및 제2와이어(12)의 y 축 상의 위치값보다 크다.While the device 10 is being disassembled by the first wire 11 and the second wire 12 the position values on the y-axis of the wheels 231 and 232 are always the first wire 11 and the second wire 12 ) On the y-axis.

상술한 스테이지(300), 한 쌍의 레일(410)은 미도시된 하우징에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stage 300 and the pair of rails 410 may be fixedly coupled to a housing (not shown).

한 쌍의 와이어 홀더(511)에 연결된 상기 제2구동부, 한 쌍의 와이어 홀더(512)에 연결된 상기 제3구동부, 및 와이어 리프터(210)의 동작은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wire holders 511, the third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wire holders 512, and the wire lifter 21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0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 contents of each claim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with other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3)

서로 결합되어 있는 커버글래스(1)와 디스플레이 모듈(2)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커버글래스(1)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디바이스(10)를 x축과 y축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와이어(11)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과 상기 커버글래스(1) 간의 틈에 끼워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12)를 상기 틈에 끼워 상기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11)와 상기 제2와이어(12)가 상기 틈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와이어(11)와 상기 제2와이어(12)가 가하는 힘의 방향은 서로 다르며, 상기 제2와이어(12)가 가하는 힘은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글래스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
As a method of separating the cover glass 1 and the display module 2,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Providing a device (10) having the cover glass (1) and the display module (2) coupled to each other on a plane comprising an x-axis and a y-axis;
moving the first wire (11)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in a gap between the display module (2) and the cover glass (1) in the y-axis direction; And
moving the second wire (12)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into the gap and moving it in the y-axis direction;
/ RTI >
The directions of the forces applied by the first wire 11 and the second wire 1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le the first wire 11 and the second wire 12 move in the gap,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e exerted by the wire (12) comprises a z-
A method of separating a cover glass and a display module from each other.
커버글래스(1)와 디스플레이 모듈(2)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디바이스(10)를 안착시키기 위한 스테이지(300);
안착된 상기 디바이스(10)를 -z축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이동모듈로서, 안착된 상기 디바이스(10)의 양쪽 가장자리의 상면에 접촉하여 구르도록 되어 있는 바퀴(231, 232), 상기 바퀴(231, 232)가 설치되어 있으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행거로드(221, 222), 및 상기 행거로드(221, 222)를 z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220)를 포함하는, 상기 가압이동모듈;
상기 제1와이어(11)를 잡고 있는 한 쌍의 제1와이어 홀더(511);
상기 제2와이어(12)를 잡고 있는 한 쌍의 제2와이어 홀더(512);
상기 제1와이어 홀더(511) 및 상기 제2와이어 홀더(512)가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을 갖는 쌍의 레일(410);
상기 한 쌍의 제1와이어 홀더(511)를 y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와이어 홀더(511)에 연결된 한 쌍의 제2행거로드(521) 및 제2구동부(531);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 홀더(512)를 y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 홀더(512)에 연결된 한 쌍의 제3행거로드(522) 및 제3구동부(532);
상기 제2와이어(12)의 두 개의 지점에 연결된 한 쌍의 리프팅 와이어(211);
상기 제2와이어(12)가 상기 커버글래스(1)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 간의 틈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한 쌍의 리프팅 와이어(211)를 +z축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는 와이어 리프터(210); 및
상기 제1구동부(220), 상기 제2구동부(531), 상기 제3구동부(532), 및 상기 와이어 리프터(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
을 포함하는,
분리장치.
A stage 300 for seating the device 10 to which the cover glass 1 and the display module 2 are coupled to each other;
A pressing moving module moving in the + y axis direction while the device 10 is pressed in the -z axis direction, the pressing moving module moving in the + y axis direction, wherein the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mounted device, The hanger rods 221 and 222 and the hanger rods 221 and 222 provided with the wheels 231 and 232 and extending in the z axis direction are moved in the z axis direction and the y axis direction The first driving part (220) for moving the pressing member
A pair of first wire holders (511) holding the first wires (11);
A pair of second wire holders (512) holding the second wires (12);
A pair of rails 410 having slits extending along the y-axis direction so that the first wire holder 511 and the second wire holder 512 can move along the y-axis direction;
A pair of the second hanger rod 52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531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wire holders 511 so as to move the pair of first wire holders 511 along the y- ;
A pair of third hanger rod 522 and third driving unit 532 connected to the pair of second wire holders 512 to move the pair of second wire holders 512 along the y- ;
A pair of lifting wires (211) connected to two points of the second wire (12);
When the second wire 12 enters the clearance between the cover glass 1 and the display module 2, it applies a force to lift the pair of lifting wires 211 in the + z-axis direction A wire lifter 210; And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driving unit 220, the second driving unit 531, the third driving unit 532, and the wire lifter 210,
/ RTI >
Separating device.
제2항의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는 커버글래스(1)와 디스플레이 모듈(2)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커버글래스(1)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디바이스(10)를 상기 스테이지(300) 상에 제공하는 단계;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와이어(11)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과 상기 커버글래스(1) 간의 틈에 끼워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12)를 상기 틈에 끼워 상기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와이어(12)가 상기 틈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와이어 리프트(210)가 상기 한 쌍의 리프팅 와이어(211)를 +z축 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글래스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
A method of separating a cover glass (1) and a display module (2)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the separating device of claim 2,
Providing a device (10) on the stage (300) with the cover glass (1) and the display module (2) coupled to each other;
moving the first wire (11)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in a gap between the display module (2) and the cover glass (1) in the y-axis direction; And
moving the second wire (12)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into the gap and moving it in the y-axis direction;
/ RTI >
And controls the wire lift (210) to lift the pair of lifting wires (211) in the + z-axis direction while the second wire (12) moves in the gap.
A method of separating a cover glass and a display module from each other.
KR1020180095990A 2017-08-17 2018-08-17 Method for removing a cover from a display module using two number of wires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the method KR2019001986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4342 2017-08-17
KR1020170104342 2017-08-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867A true KR20190019867A (en) 2019-02-27

Family

ID=6556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990A KR20190019867A (en) 2017-08-17 2018-08-17 Method for removing a cover from a display module using two number of wires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986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8532A (en) * 2021-05-21 2021-10-08 深圳市米珈来智能装备有限公司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odule sepa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8532A (en) * 2021-05-21 2021-10-08 深圳市米珈来智能装备有限公司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odule sepa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1777B2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KR101582485B1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device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apparatus including thereof
CN107745187B (en) Film pressing jig and laser film cutting system
KR20100072035A (en) Substrate holding member,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substrate, substrate bonding metho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semiconductor device
TWI62157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supplying optical film
KR20190019867A (en) Method for removing a cover from a display module using two number of wires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the method
CN210526954U (en) Film pasting device
US20100243171A1 (en) Vacuum laminator
KR20200078237A (en) A pressing jig apparatus that closely contacts electrode lead with bus bar and a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11977383A (en)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EP2889241A1 (en) Method for separating and supplying sheet materials, device therefor, and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agent to sheet materials
KR102593614B1 (en) Substrate cutting apparatus
CN108312086A (en) The adjustable multiple degrees of freedom flexible micro clamping device of constant force
JP6110970B1 (en) Binding band gripping and cutting device, binding band gripping and cutting system, and binding band gripping and cutting method
JP2002318352A (en) Holding member for positioning object carrier and device for laser cutting of specimen as well as microscope
JPS61121830A (en) Electric wire discharge machining unit
CN203283919U (en) Film feeding mechanism of storage battery wrapping piece in-groove machine
CN213814033U (en) Welding table easy to clamp optical fiber
CN102610384B (en) Rubber coating mechanism of high-speed automatic coil winding machine
KR101608615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mobile phone case
CN109388019B (en) Film frame,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system, and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CN212402706U (en) Separating device
CN214672718U (en) Pole piece carrying device
KR20130109486A (en) Apparatus for attaching film and film attached optical panel using thereof
CN205732203U (en) A kind of clamping device for screen and machine and glue remo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