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443A -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443A
KR20190019443A KR1020170104336A KR20170104336A KR20190019443A KR 20190019443 A KR20190019443 A KR 20190019443A KR 1020170104336 A KR1020170104336 A KR 1020170104336A KR 20170104336 A KR20170104336 A KR 20170104336A KR 20190019443 A KR20190019443 A KR 20190019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p
window
cap film
heat insulating
adiab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844B1 (ko
Inventor
허지운
이행우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8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2Means to increase gliss, light, sound or thermal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문(5)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부착수단(13,15)과, 상기 창문(5)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덮고 상기 부착수단(13,15)에 의해 가장자리가 창문(5)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에어캡필름(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캡필름(30)은 펼쳐진 상태로 상기 창문(5)을 덮어 단열기능을 수행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감기거나 접힌 상태로 부착수단(13,15)에 고정되어 창문(5)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해 빛을 투과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캡필름(30)이 펼쳐진 상태로 창문(5)에 부착되어 단열성을 높일 수도 있지만, 에어캡필름(30)이 접히거나 말려 창문(5)의 전부 또는 일부를 노출시키면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창문(5)의 단열성을 높일 것인지 아니면 투과성을 높여 조망권을 확보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Heat-insulating device using air cap film}
본 발명은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에어캡을 이용하여 단열성 및 조도확보가 가능한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보온,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설치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건물 벽을 통한 열 손실은 여전히 존재하며, 특히 건물에 설치된 창문을 통한 열 손실이 건물 전체의 열손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물의 창문에 대해서는 보온, 단열 처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건물 벽 및 창문을 통한 열손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문의 유리 표면에 점착 필름을 부착하거나 커튼을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일명 '뽁뽁이' 또는 '에어캡'이라고 불리는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시트는 보통 두 장의 필름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칸막이 필름을 끼워 공기층이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열손실을 막는 원리로 보온 특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러한 에어캡을 창문의 유리 표면에 붙이면, 단열성능은 얻을 수 있지만 조망권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에어캡으로 인해 자연광 투과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물론, 조망권을 얻기 위해서 에어캡을 잠시 떼어낸 후에 다시 붙일 수도 있지만,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829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858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창문에 에어캡을 덮어 단열성을 높이거나 에어캡을 걷어서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에 에어캡을 덮거나 걷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창문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부착수단과, 상기 창문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덮고 상기 부착수단에 의해 가장자리가 창문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에어캡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캡필름은 펼쳐진 상태로 상기 창문을 덮어 단열기능을 수행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감기거나 접힌 상태로 부착수단에 고정되어 창문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해 빛을 투과시킨다.
상기 창문 가장자리에는 창문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창문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된다.
상기 창문의 외면과 상기 에어캡필름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는 단열바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격된 공간을 메운다.
상기 단열바는 싱기 에어캡필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장형의 바몸체부와, 상기 바몸체부에서 입출가능하게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바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길이조절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단열바는 상기 창문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된다.
상기 바몸체부의 내부공간에는 단열수단이 채워진다.
상기 에어캡필름에는 와인딩바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캡필름이 감기는 중심부가 된다.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에어캡필름의 가장자리 외면과 접착되는 단열접착부와, 상기 단열접착부의 안쪽에서 단열접착부와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에어캡필름과 결합되는 필름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접착부는 접착력이 있는 단열테이프이고, 상기 필름고정부 및 에어캡필름의 서로 대응하는 면은 벨크로후크 및 벨크로루프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프레임 또는 상기 단열바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에어캡필름의 감기거나 접힌 부분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단열바에서 돌출되어 상기 에어캡필름의 감긴 부분을 감싸 고정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캡필름이 펼쳐진 상태로 창문에 부착되어 단열성을 높일 수도 있지만, 에어캡필름이 접히거나 말려 창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노출시키면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창문의 단열성을 높일 것인지 아니면 투과성을 높여 조망권을 확보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에어캡필름의 가장자리가 창문프레임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부착되므로, 사용자는 에어캡필름을 말아올리거나 접어올려서 창문을 노출시키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에어캡필름이 말리거나 펼쳐지는 정도에 따라 에어캡필름이 창문을 덮는 면적이 달라지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만큼만 창문을 개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창문의 단열성과 조도확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캡필름과 창문 외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단열바를 이용해서 메울 수 있다. 따라서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의 단열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열바는 탄성부재와 길이조절부를 통해 다양한 폭의 창문에 적용될 수 있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창문프레임에 고정되므로 단열바를 설치/분리하는 작업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를 적용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절개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에어캡필름의 일부가 말려올라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에어캡필름의 일부가 말려올라간 상태를 도 4의 반대쪽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열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에어캡필름이 말려올라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단열장치를 단계별로 창호에 적용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도 8의 적용예에 따라 기준 실내조도를 유지하기 위해 소모된 소비전력을 나타낸 표.
도 10은 도 8의 적용예에 따라 실내의 냉방 및 난방을 위해 소모된 소비전력을 나타낸 표.
도 11은 도 8의 적용예에 따라 기준 실내조도 유지 및 온도 유지를 위해 소모된 총 소비전력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이하 '단열장치'라고 한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문(5)의 실내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서 보듯이 건물의 실내공간 중 창문(5)이 있는 벽체(W) 쪽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는 창문(5)의 실내쪽 면에 설치되어 단열기능을 하지만, 실내 공간에 채광이 필요한 경우에는 말리거나 접혀서 창문(5)을 통해 빛이 투과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장치는 부착수단(13,15)과 에어캡필름(30)을 포함한다. 이들은 창문(5)에 설치되는데, 도 3을 참조해서 창문(5)을 살펴보면 창문(5)의 가장자리에는 설치면(3,8)이 있고, 상기 설치면(3,8)에 본 발명의 단열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설치면(3,8)은 창문(5)의 가장자리 중에서 위쪽과 아래쪽에 있는 설치면(3)과, 좌/우에 있는 설치면(8)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상에는 서로 다른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 창문(5)의 설치면(3,8)에는 창문프레임(10)이 있다. 상기 창문프레임(10)은 상기 창문(5)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는 것으로, 그 중심에 창문(5)이 고정된다. 물론 상기 창문프레임(10)은 생략되거나, 벽체(W)의 일부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창문프레임(10)은 상기 설치면(3,8)에 고정된다. 상기 설치면(3,8) 안쪽에 창문프레임(10)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창문프레임(10)에 부착수단(13,15)이 설치된다. 상기 창문프레임(10)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벽체(W)에 일체로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부착수단(13,15)은 상기 창문프레임(10)에 설치된다. 상기 부착수단(13,15)은 에어캡필름(3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창문프레임(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부착수단(13,15)은 좌우 창문프레임(10)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룬다. 따라서 에어캡필름(30)은 그 양단 가장자리가 한 쌍의 부착수단(13,1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례와 달리 상기 부착수단(13,15)은 창문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를 따라 구비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에어캡필름(30)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말리는 것이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말리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부착수단(13,15)은 두 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수단(13,15)은 단열접착부(13)와 필름고정부(15)로 구성되고, 이들은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연장된다. 여기서 단열접착부(13)는 상기 에어캡필름(30)의 가장자리 외면과 접착되는 부분으로, 단열테이프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고정부(15)는 상기 단열접착부(13)의 안쪽에서 단열접착부(13)와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에어캡필름(30)과 결합되는 벨크로테이프으로 구성된다.
단열접착부(13)와 필름고정부(15)는 모두 에어캡필름(30)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지만, 단열접착부(13)는 에어캡필름(30)의 가장자리와 창문프레임(10) 사이의 틈을 없애기 위해 밀착시켜 단열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면, 필름고정부(15)는 에어캡필름(30)과 창문프레임(10) 사이가 틈없이 밀착되지는 않더라도 강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필름고정부(15) 및 에어캡필름(30)의 서로 대응하는 면은 벨크로후크 및 벨크로루프로 구성된다. 물론, 본 실시례와 달리 필름고정부(15)가 단열접착부(13) 보다 더 바깥쪽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필름고정부(15)와 단열접착부(13) 중 어느 하나만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고정부(15)와 단열접착부(13)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착수단(13,15)은 벨크로테이프와 단열테이프가 겹쳐진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창문프레임(10)에는 에어캡필름(30)이 부착된다. 상기 에어캡필름(30)은 창문(5)의 크기와 모양에 대응하는 크기 및 모양을 갖고, 창문(5)의 외면에 가깝게 밀착되어서 단열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어캡필름(30)은 창문(5)의 단열성을 높임과 동시에 자연광을 투과하여 실내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에어캡필름(30)은 발포 비닐 시트로, 내부에 다수개의 에어캡이 형성되어 포장용 완충재(bubble wrap)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캡필름(30)은 투명한 비닐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에어캡필름(30)은 하나가 아니라 다수개가 서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에어캡필름(30)에 의한 창문(5)의 단열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캡필름(30)에는 와인딩바(31)가 있다. 상기 와인딩바(31)는 에어캡필름(30)의 끝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원기둥형상의 세장(細長)형 구조물이다. 상기 와인딩바(31)는 에어캡필름(30)이 잘 감길 수 있도록 그 중심역할을 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에어캡필름(30)은 와인딩바(31)에 감긴다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인딩바(31)는 에어캡필름(30)보다 밀도가 높은 중량물로 구성되어 무게추역할을 할 수도 있다. 와인딩바(31)의 중력에 의해 에어캡필름(30)이 쉽게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캡필름(30)은 그 양단 가장자리가 앞서 설명한 부착수단(13,15)에 의해 창문프레임(10)에 고정된다. 에어캡필름(30)과 창문프레임(10) 사이가 밀착되어야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인데, 에어캡필름(3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필름고정부(15)에 대응되는 상대고정부가 있다. 여기서 상대고정부는 상기 필름고정부(15)인 벨크로후크에 대응하는 벨크로루프일 수 있다. 상기 벨크로루프는 상기 에어캡필름(30)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간헐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반대로 필름고정부(15)에 벨크로루프가 있고, 에어캡필름(30)의 가장자리에 벨크로후크가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만약 부착수단(13,15)이 단열접착부(13)로만 구성된다면, 에어캡필름(30)에는 벨크로루프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부착수단(13,15)에 의해 에어캡필름(30)은 창문(5) 외면을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다. 상기 에어캡필름(30)은 창문(5) 외면에 대응하는 모양과 크기를 갖지만, 둥글게 감기거나 접혀 창문(5)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방이란, 창문(5)이 빛을 투과시킬 수 있게 가리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에어캡필름(30)이 전부 또는 일부의 창문(5)만을 가리게 되면, 나머지 부분을 통해 빛이 투과되어 실내의 조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어캡필름(30)은 펼쳐진 상태로 상기 창문(5)을 덮어 단열기능을 수행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감기거나 접힌 상태로 부착수단(13,15)에 고정되어 창문(5)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해 빛이 투과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을 보면, 상기 에어캡필름(30)이 일부만 감긴 상태를 볼 수 있다. 여기서 전체 에어캡필름(30) 중에서 감긴 부분(35)은 아래에서부터 감겨 중간 높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고, 나머지 펼쳐진 부분(33)은 위에서부터 감긴 부분(35)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감긴 부분(35)의 아래쪽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를 통해서 빛이 내부로 투과될 수 있고, 조망권이 확보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감긴 부분(35)이 더욱 많아지고 펼쳐진 부분(33)이 좁아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모습은 도 7에서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에어캡필름(30)이 감기거나 펼쳐지는 정도에 따라 에어캡필름(30)이 창문(5)을 덮는 면적이 달라지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만큼만 창문(5)을 개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창문(5)의 단열성과 조도확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에어캡필름(30)과 창문(5)의 외면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S, 도 5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창문프레임(10)이 창문(5)의 외면보다 돌출되어 있어서, 창문프레임(10)에 고정된 에어캡필름(30)과 창문(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에어캡필름(30)의 가장 하단과 창문(5) 사이에 이격된 공간(S)의 개구된 부분이 형성되고, 그 위로는 이격된 공간(S)이 이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이격된 공간(S)은 단열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단열바(50)가 이를 보완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단열바(50)는 상기 창문(5)의 외면과 상기 에어캡필름(30) 사이에 이격된 공간(S)을 메우는 역할을 하는 세장(細長)형 구조물이다. 도 5에는 단열바(50)가 상기 에어캡필름(30)의 하단과 창문(5) 외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바(50)는 에어캡필름(30)의 하단과 창문(5)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여, 이격된 공간(S)의 개구된 부분을 가로질러 막고 있다. 따라서 단열바(50)는 화살표① 방향으로 차가운 공기가 전달되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단열바(50)는 그 폭이 상기 에어캡필름(30)의 폭과 같아서, 상기 창문(5)과 에어캡필름(30)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다. 단열바(50)의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보면,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단열바(50)에는 골격을 형성하는 바몸체부가 있다. 상기 바몸체부는 2개로 구성되는데, 제1몸체(51)와 제2몸체(52)는 그 사이에 있는 길이조절부(55)를 매개로 해서 연결된다. 상기 길이조절부(55)는 상기 제1몸체(51)의 내외로 입출되면서 단열바(5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길이조절부(55)는 상기 제1몸체(5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도 6과 같이 일부는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돌출된 부분이 제2몸체(52)에 연결된다. 상기 길이조절부(55)가 제1몸체(51) 안쪽으로 더욱 들어가면 제1몸체(51)는 화살표② 방향으로 이동해서 제2몸체(52)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단열바(50)의 전체 길이는 짧아진다. 이때, 상기 제1몸체(51)의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55)가 제1몸체(51)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해준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힘을 주지 않으면 단열바(50)는 그 전체 길이가 길어지려는 성향을 갖는다. 탄성부재를 통해 단열바(50)는 창문프레임(10)의 좌우측 사이에 강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제1몸체(51) 내부에 있어서 도면상에 표시되지 않았다.
본 실시례에서는 바몸체부가 제1몸체(51)와 제2몸체(52)로 구성되지만, 하나의 몸체로만 구성되고, 어느 한쪽에 길이조절부(55)가 끼워질 수도 있다. 또는 단열바(50)에서 길이조절부(55) 자체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해서 단열바(50)가 창문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몸체부의 내부공간에는 단열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채워질 수 있다. 단열수단은 스트로폼을 비롯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단열수단은 바몸체부 내부에서 단열바(50) 자체의 단열성능을 높이는 역할을 해준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창문프레임(10) 또는 단열바(50)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창문프레임(10) 또는 단열바(50)에서 돌출되어 상기 에어캡필름(30)을 걸어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에어캡필름(30)은 부착수단(13,15)에 의해 고정되지만, 에어캡필름(30)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감긴 상태에서 다시 펼쳐지려는 성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이게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이다. 고정수단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단열바(50)에서 돌출되어 에어캡필름(30)의 감긴 부분(35) 하단을 받쳐주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수단은 평소에는 단열바(50)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면에 밀착되어 있다가 밖으로 돌출되거나 회전되면서 에어캡필름(30)의 하단을 받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고정수단은 창문프레임(10) 또는 단열바(50)에 한쪽 끝이 고정된 끈이나 줄과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에어캡필름(30)의 감긴 부분(35)을 감싸 고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창문(5)의 단열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창문(5)의 외면에 에어캡필름(30)을 부착한다. 에어캡필름(30)은 그 양단에 구비된 상대고정부를 필름고정부(15)에 밀착시켜 창문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필름고정부(15)와 인접한 단열접착부(13)도 에어캡필름(30)의 가장자리를 고정해준다. 이처럼 에어캡필름(30)은 그 양단이 창문프레임(10)의 필름고정부(15) 및 단열접착부(13)에 고정되고, 창문(5) 외면에 대응하는 중심 부분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에어캡필름(30)이 창문(5)을 완전히 가리면 단열성능이 가장 좋은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단열바(50)가 필요없다. 에어캡필름(30)의 하단까지 펼쳐져 창문프레임(10)에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에어캡필름(30)의 하단이 창문프레임(10)의 아래쪽에 고정되도록 상기 창문프레임(10)의 하단과 에어캡필름(30)의 하단에는 서로 대응하는 고정부, 예를 들어 벨크로테이프가 있을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에어캡필름(30)의 일부를 말아서 창문(5)을 개방시키고자 한다면, 에어캡필름(30)의 하단부터 감아 올리면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와인딩바(31)를 중심으로 에어캡필름(30)을 말아올리면, 에어캡필름(30)의 일부가 상기 와인딩바(31)를 감으면서 창문(5)의 하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동하고, 창문(5)의 아래쪽은 개방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에어캡필름(30)의 양쪽 가장자리는 필름고정부(15) 및 단열접착부(13)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므로, 사용자는 어느 정도 힘을 주어 에어캡필름(30)의 양쪽 가장자리가 부착수단(13,15)에서 떨어지게 해야 한다. 감기지 않은 나머지 펼쳐진 부분(33)은 여전히 부착수단(13,15)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에어캡필름(30)을 원하는 만큼만 감은 상태로 둘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창문(5)의 단열성을 높일 것인지 아니면 투과성을 높여 조망권을 확보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만큼만 창문(5)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창문(5)의 단열성과 조도확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에어캡필름(30)을 반드시 감을 필요는 없고, 접을 수도 있다.
에어캡필름(30)을 원하는만큼 감아 올린 후에는 에어캡필름(30)과 창문(5)의 외면 사이에 단열바(50)를 삽입한다. 상기 단열바(50)는 창문(5)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기 창문(5)의 외면과 에어캡필름(30) 사이의 이격된 공간(S)을 막아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때, 단열바(50)에는 길이조절부(55)가 있으므로, 길이조절을 통해 단열바(50)를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길이조절부(55)가 제1몸체(51) 안으로 어느 정도 들어가게 한 후에 단열바(50)를 창문프레임(10) 사이에 둔 상태로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가 길이조절부(55)를 밀어내면서 단열바(50)가 창문프레임(10) 사이에 강하게 고정되도록 만든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단열바(50)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물론, 단열바(50)는 길이조절부(55)를 가지므로 다양한 창문프레임(10)에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정수단을 이용해서 에어캡필름(30)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단열바(50) 또는 창문프레임(1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이를 이용해서 에어캡필름(30)의 감긴 부분(35)을 고정해준다. 고정수단은 에어캡필름(30)이 다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단열바(50)에 고정수단이 설치된다면 고정수단은 에어캡필름(30)의 감긴 부분(35)을 받쳐 고정하거나, 감긴 부분(35)을 감싼 상태로 창문프레임(10) 또는 창문(5) 외면 쪽으로 밀착시켜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한 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창호에 적용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8에서 Case1 내지 Case6은 본 발명의 에어캡필름(30)이 창호를 덮는 넓이가 서로 다른데, Case1은 완전히 덮은 것이고, Case6은 완전히 개방한 것이다. 그리고 Case2 내지 Case5는 Case1과 Case6 사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각각 창호를 80%, 60%, 40% 및 20%를 차폐한 것이다. 실제 테스트에서는 바닥에서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Case2는 바닥에서 1,200mm, Case3은 바닥에서 1,500mm, Case4는 바닥에서 1,800mm 그리고 Case5는 바닥에서 2,100mm의 높이까지 에어캡필르(30)을 부착하였다.
도 9는 실내공간의 적정조도인 400lx를 만족시키기 위해 조명을 사용한 것을 정리한 표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표의 상부는 여름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하부는 겨울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도 9에서 보듯이 에어캡필름(30)의 면적이 넓은 Case1의 경우가 실내 조도가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고, Case6으로 갈수록 실내 조도가 높아진다. 이것은 에어캡필름(30)이 창호를 가리는 정도가 줄어들면 그에 따라 투과되는 태양광의 양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내조도가 낮은 Case1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인공조명을 실내에 사용해야 한다. 즉, 실내의 조명개수와 레벨을 증가시켜 부족한 조도를 보충해야 적정조도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Case1에서 Case6으로 갈수록 필요한 조명강도가 감소한다.
필요한 실내의 조명에 따라 소비된 전력이 도 9의 가장 오른쪽에 표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여름과 겨울 모두 Case1의 경우가 가장 높은 소비전력을 소모하고, Case6은 가장 낮은 소비전력을 소모한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겨울에는 Case1와 Case6의 소비전력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조명에너지 저감에는 부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도 8의 적용예에 따라 실내의 냉방 및 난방을 위해 소모된 소비전력이 표로 정리되어 있다. 실내의 냉방(여름)과 난방(겨울)을 위해서 에너지가 소모되는데, 도 8의 각 Case별로 소비되는 소비전력이 다르게 나타난다. 보다 정확하게는 에어캡필름(30)이 창호를 덮는 면적이 가장 넓은 Case1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단열기능이 Case1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기 때문이다.
도 11은 도 8의 적용예에 따라 기준 실내조도 유지 및 온도 유지를 위해 소모된 총 소비전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에어캡필름(30)을 사용하면 실내조도 유지에는 불리하지만 온도 유지에는 유리하므로, 둘을 만족하기 위해 사용되는 총 소비전력을 더한 값을 각 Case 별로 정리한 것이다.
도 11에서 보듯이, 총 소비전력은 Case6에서 Case1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는 에어캡필름(30)의 사용면적이 가장 넓을 때 전력이 적게 소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어캡필름(30)의 사용면적이 넓어지면 비록 실내조도 유지를 위한 에너지는 증가하지만 온도 유지를 위한 에너지는 줄어들고, 온도 유지를 위한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도 11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는 Case6에 비해 본 발명을 가장 많이 적용한 Case1은 소비전력이 크게 감소하였고, 본 발명의 에너지저감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자세하게는, 여름을 기준으로 하면 Case4에서부터 소비전력이 급증하고, 겨울을 기준으로 하면 Case3에서부터 소비전력이 급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여름철에는 Case1 내지 Case3이 본 발명의 적정한 사용범위이고, 겨울철에는 Case1 내지 Case2가 본 발명의 적정한 사용범위로 볼 수 있다. 물론, 재실자의 유무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이와 같은 범위는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창문 10: 창문프레임
13: 단열접착부 15: 필름고정부
30: 에어캡필름 31: 와인딩바
50: 단열바 51: 제1몸체
52: 제2몸체 55: 길이조절부

Claims (10)

  1. 창문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부착수단과,
    상기 창문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덮고 상기 부착수단에 의해 가장자리가 창문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에어캡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캡필름은 펼쳐진 상태로 상기 창문을 덮어 단열기능을 수행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감기거나 접힌 상태로 부착수단에 고정되어 창문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해 빛을 투과시키는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 가장자리에는 창문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창문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되는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외면과 상기 에어캡필름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는 단열바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격된 공간을 메우는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바는
    싱기 에어캡필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장형의 바몸체부와,
    상기 바몸체부에서 입출가능하게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바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길이조절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단열바는 상기 창문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몸체부의 내부공간에는 단열수단이 채워지는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필름에는 와인딩바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캡필름이 감기는 중심부가 되는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에어캡필름의 가장자리 외면과 접착되는 단열접착부와,
    상기 단열접착부의 안쪽에서 단열접착부와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에어캡필름과 결합되는 필름고정부를 포함하는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접착부는 접착력이 있는 단열테이프이고, 상기 필름고정부 및 에어캡필름의 서로 대응하는 면은 벨크로후크 및 벨크로루프로 구성되는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 또는 상기 단열바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에어캡필름의 감기거나 접힌 부분을 고정하는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단열바에서 돌출되어 상기 에어캡필름의 감긴 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KR1020170104336A 2017-08-17 2017-08-17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KR10197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36A KR101972844B1 (ko) 2017-08-17 2017-08-17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36A KR101972844B1 (ko) 2017-08-17 2017-08-17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443A true KR20190019443A (ko) 2019-02-27
KR101972844B1 KR101972844B1 (ko) 2019-04-26

Family

ID=6556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336A KR101972844B1 (ko) 2017-08-17 2017-08-17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8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079A (ko) * 2003-07-29 2004-10-08 황성욱 방풍용 창틀비닐
KR200382999Y1 (ko) 2005-01-27 2005-04-28 (주)동성에스엔피 소음 방지재
KR20110071934A (ko) * 2009-12-22 2011-06-29 (주)풍전티.티 보온성과 경량성이 우수한 블라인드용 직물지
KR20120069053A (ko) * 2010-12-20 2012-06-28 이기철 창호 단열장치
KR101217047B1 (ko) * 2012-10-23 2013-01-02 유상원 블라인드 하단 바 충격 및 소음방지장치
KR20160068588A (ko) 2014-12-05 2016-06-15 제이제이테크놀로지(주) 소음차단/공기정화 겸용 다기능 창문 부착형 단열 에어캡
KR20160069168A (ko) * 2014-12-08 2016-06-16 김현중 단열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079A (ko) * 2003-07-29 2004-10-08 황성욱 방풍용 창틀비닐
KR200382999Y1 (ko) 2005-01-27 2005-04-28 (주)동성에스엔피 소음 방지재
KR20110071934A (ko) * 2009-12-22 2011-06-29 (주)풍전티.티 보온성과 경량성이 우수한 블라인드용 직물지
KR20120069053A (ko) * 2010-12-20 2012-06-28 이기철 창호 단열장치
KR101217047B1 (ko) * 2012-10-23 2013-01-02 유상원 블라인드 하단 바 충격 및 소음방지장치
KR20160068588A (ko) 2014-12-05 2016-06-15 제이제이테크놀로지(주) 소음차단/공기정화 겸용 다기능 창문 부착형 단열 에어캡
KR20160069168A (ko) * 2014-12-08 2016-06-16 김현중 단열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844B1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8751B2 (ja) 絶縁用の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のスペーサーおよび格子エレメント
CA2561327C (en) Insulating panel
RU2567929C2 (ru) Покро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зданий с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м элементом
EP2009220B1 (en) Roller blind and assembly comprising a roller blind of this type and double glazing unit
KR101670178B1 (ko) 단열시트 블라인드
KR101972844B1 (ko)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ES2640621T3 (es) Climatización para un edificio
CN213682713U (zh) 一种节能环保室外建筑装饰用幕墙结构
JP2004317022A (ja) エアコン室外機遮熱用カバー
US7086447B2 (en) Window covering
US20130075046A1 (en) Folding window covering
JP2009128005A (ja) 太陽光熱の採光および集排熱装置とその利用方法
US6546745B2 (en) Cooler shade cover for evaporative or swamp coolers
WO2020105870A1 (ko) 에어컨 실외기 덮개
JP2006316423A (ja) 窓構造用断熱シート
KR20190078012A (ko) 접음 길이가 줄어드는 단열시트 블라인드
JP3050499B2 (ja) 蓄熱構造
US20130081766A1 (en) Insulation blind and blind assembly
JP2018031183A (ja) 外壁改装構造
CN218759532U (zh) 一种中置蜂窝构造的防眩光中空玻璃
JPH08260832A (ja) ガラス窓の採光断熱カバー
JP5700498B2 (ja) バーチカルブラインドおよびこれを用いた窓際構造
CN202144717U (zh) 一种外遮阳装置的卷帘
CN209179296U (zh) 一种机房吊顶保温结构
CN220212613U (zh) 一种电暖窗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