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426A -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426A
KR20190019426A KR1020170104294A KR20170104294A KR20190019426A KR 20190019426 A KR20190019426 A KR 20190019426A KR 1020170104294 A KR1020170104294 A KR 1020170104294A KR 20170104294 A KR20170104294 A KR 20170104294A KR 20190019426 A KR20190019426 A KR 20190019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pray
push button
spray wat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658B1 (ko
Inventor
윤병순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2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05B1/163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by relative rotative movement of the valv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 바디; 상기 헤드 바디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푸시 버튼(push button); 상기 헤드 바디 내에 마련되되 상기 푸시 버튼과 연결되며, 상기 푸시 버튼이 1회 가압될 때마다 직수, 상기 직수와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 상기 스프레이수, 그리고 상기 직수와 상기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가 토수되게 유도하는 버튼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Spray head for a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처럼 좌우의 위치를 구별하지 않고 한 지점에서 가압(push)하는 동작만으로 직수와 스프레이수를 구별해서 토수시킬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직수 또는 스프레이수를 반반씩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에 관한 것이다.
설거지를 하거나 음식을 세척하는 장소인 싱크대의 일측에는 수전이 마련된다. 최근에 공급되는 수전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스프레이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프레이 헤드는 욕실의 샤워 헤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직수부와 스프레이부로 토수구가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레이 헤드의 일측에는 물의 토수 형태의 전환기능으로서 좌우 전환버튼이 탑재된다.
이에, 사용자가 좌우 전환버튼을 예컨대 좌측으로 동작시키면 스프레이 헤드의 토수구를 통해 직수가 토수될 수 있고, 우측으로 동작시키면 스프레이 헤드의 토수구를 통해 스프레이수가 토수될 수 있다.
한편, 종전의 스프레이 헤드에는 직수와 스프레이수의 전환을 위해 좌우 전환버튼이 탑재된 경우가 대부분인데, 전술한 것처럼 좌측과 우측의 서로 다른 위치를 동작시켜야만 직수와 스프레이수를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이 다소 불편할 수도 있다.
특히, 종전의 스프레이 헤드는 구조상 직수와 스프레이수를 동시에 사용하기에 다소 불편하다. 즉 종전의 스프레이 헤드를 통해 직수와 스프레이수를 반반씩 토수되게 하려면 좌우 전환버튼의 좌측과 우측을 동시에 50%씩 동작시켜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상당히 불편할 수 있다.
실제, 직수의 경우에는 수압에 의해 물이 튀는 현상이 있을 수 있고, 스프레이수의 경우에는 물살이 다소 약할 수 있다는 이유로 인해 직수 또는 스프레이수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빈도보다는 직수 또는 스프레이수를 반반씩 혼합해서 사용하는 빈도가 훨씬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종전의 스프레이 헤드는 직수 또는 스프레이수를 반반씩 혼합해서 사용하기에 다소 불편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종전과 상이한 신개념의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85-00045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처럼 좌우의 위치를 구별하지 않고 한 지점에서 가압(push)하는 동작만으로 직수와 스프레이수를 구별해서 토수시킬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직수 또는 스프레이수를 반반씩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헤드 바디; 상기 헤드 바디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푸시 버튼(push button); 상기 헤드 바디 내에 마련되되 상기 푸시 버튼과 연결되며, 상기 푸시 버튼이 1회 가압될 때마다 직수, 상기 직수와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 상기 스프레이수, 그리고 상기 직수와 상기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가 토수되게 유도하는 버튼 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의 작용으로 상기 직수가 토수되게 가이드하는 직수형 토수구와, 상기 스프레이수를 토수되게 가이드하는 스프레이수 토수구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토수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는, 측부에 반달 형상의 직수 유입 유로와, 상기 직수 유입 유로와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반달 형상의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가 형성되며, 하부의 돌출부 영역에 상기 직수 유입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직수를 상기 직수형 토수구로 배출시키는 직수 배출 유로와, 상기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스프레이수를 상기 스프레이수 토수구로 배출시키는 스프레이수 배출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헤드 블록; 및 상기 밸브 바디와의 사이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면서 상기 밸브 바디의 타측에 결합되는 테일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는, 일단부는 상기 헤드 블록을 통과하여 상기 푸시 버튼에 연결되고 나머지 영역은 상기 밸브 바디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푸시 버튼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력 전달 샤프트; 및 상기 이격공간부에 배치되되 상기 가압력 전달 샤프트의 가압 시 90°간격으로 단계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직수 유입 유로 및 상기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직수 유입 유로 및 상기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상기 직수 유입 유로 및 상기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를 차폐하면서 유로를 전환시키는 다수의 유로 전환용 통공을 구비하는 유로 전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바디와 상기 가압력 전달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해당 위치를 실링(sealing)하는 더블 오링; 및 상기 더블 오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더블 오링의 백업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유로 전환 유닛의 가이드를 위해 일단부가 상기 테일 캡에 결합되는 유닛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유로 전환 유닛과 상기 유닛 가이드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유로 전환 유닛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유닛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전환 유닛은, 상기 다수의 유로 전환용 통공이 형성되는 유로 전환판; 및 상기 유로 전환판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압력 전달 샤프트와 맞물리는 맞물림 돌출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돌출 샤프트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력 전달 샤프트의 가압 시 90°간격으로 단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가압력 전달 샤프트와 경사지게 맞물리는 경사 맞물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버튼과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 사이에는 상기 푸시 버튼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상기 푸시 버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버튼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처럼 좌우의 위치를 구별하지 않고 한 지점에서 가압(push)하는 동작만으로 직수와 스프레이수를 구별해서 토수시킬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직수 또는 스프레이수를 반반씩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푸시 버튼이 가압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버튼 밸브 어셈블리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버튼 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밸브 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밸브 바디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밸브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밸브 바디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유로 전환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의 사용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푸시 버튼이 가압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버튼 밸브 어셈블리의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버튼 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6은 밸브 바디의 정면도, 도 7은 밸브 바디의 배면도, 도 8은 밸브 바디의 측면도, 도 9는 밸브 바디의 저면도, 도 10은 유로 전환 유닛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배면도,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100)는 종전처럼 좌우의 위치를 구별하지 않고 한 지점에서 푸시 버튼(120)을 가압(push)하는 동작만으로 직수와 스프레이수를 구별해서 토수시킬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직수 또는 스프레이수를 반반씩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100)는 헤드 바디(110), 푸시 버튼(120, push button), 토수 바디(130), 그리고 버튼 밸브 어셈블리(140)를 포함한다.
헤드 바디(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헤드 바디(110)의 앞쪽 부분에 푸시 버튼(120)을 비롯하여 토수 바디(130), 그리고 버튼 밸브 어셈블리(140) 등의 구성들이 탑재되며, 뒤쪽 부분은 손으로 잘 쥘 수 있게끔 긴 막대형 구조를 이룬다.
푸시 버튼(120)은 헤드 바디(110)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일종의 택트(tact)형 버튼이다. 평상 시 도 2처럼 부분적으로 노출된 상태를 취하며, 1회 가압 시 도 3처럼 헤드 바디(110) 측으로 가압되면서 들어간다. 이때, 구조상 푸시 버튼(120)은 도 3처럼 경사지게 가압된다.
푸시 버튼(120)과 버튼 밸브 어셈블리(140) 사이, 다시 말해 푸시 버튼(120)과 버튼 밸브 어셈블리(140)의 헤드 블록(161) 사이에는 도 2에서 도 3처럼 가압된 푸시 버튼(120)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푸시 버튼(12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버튼 스프링(115)이 개재된다. 버튼 스프링(115)은 판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토수 바디(130)는 헤드 바디(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토수 바디(130)에는 버튼 밸브 어셈블리(140)의 작용으로 직수가 토수되게 가이드하는 직수형 토수구(131)와, 스프레이수를 토수되게 가이드하는 스프레이수 토수구(132)가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직수형 토수구(131)는 토수 바디(13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고, 스프레이수 토수구(132)는 직수형 토수구(13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버튼 밸브 어셈블리(140)는 푸시 버튼(120)과 함께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100)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버튼 밸브 어셈블리(140)는 헤드 바디(110) 내에 마련되되 푸시 버튼(120)과 연결되며, 푸시 버튼(120)이 1회 가압될 때마다 직수{도 13의 (a)}, 직수와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도 13의 (b)}, 스프레이수{도 13의 (c)}, 그리고 직수와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도 13의 (d)}가 토수되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버튼 밸브 어셈블리(140)는 밸브 바디(150), 헤드 블록(161), 테일 캡(163),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 유로 전환 유닛(170), 유닛 가이드 샤프트(167), 그리고 유닛 스프링(16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밸브 바디(150)의 측부에는 반달 형상의 직수 유입 유로(151)와, 직수 유입 유로(151)와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반달 형상의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152)가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 바디(150)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53) 영역에는 직수 유입 유로(151)와 연통되어 직수를 토수 바디(130)의 직수형 토수구(131)로 배출시키는 직수 배출 유로(154)와,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152)와 연통되어 스프레이수를 토수 바디(130)의 스프레이수 토수구(132)로 배출시키는 스프레이수 배출 유로(155)가 형성된다.
헤드 블록(161)은 밸브 바디(15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헤드 블록(161)은 직수 유입 유로(151)와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152)의 일측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테일 캡(163)은 밸브 바디(15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부(S)가 형성되게 하면서 밸브 바디(150)의 타측에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밸브 바디(150)와 테일 캡(163) 사이의 이격공간부(S)는 유로 전환 유닛(170)이 배치되는 한편 유로 전환 유닛(170)이 동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테일 캡(163)에는 공급되는 물을 유로 전환 유닛(170)을 경유해서 밸브 바디(150)의 직수 유입 유로(151)와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152)로 공급하는 물 공급구(163a)가 형성된다.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는 일단부는 헤드 블록(161)을 통과하여 푸시 버튼(120)에 연결되고 나머지 영역은 밸브 바디(15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푸시 버튼(120)의 가압력을 유로 전환 유닛(17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의 외측, 다시 말해 밸브 바디(150)와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 사이에는 더블 오링(165a)이 마련된다.
더블 오링(165a)은 밸브 바디(150)와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 사이를 실링(sealing)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더블 오링(165a) 사이에는 더블 오링(165a)의 백업을 방지하는 스페이서(165b)가 개재된다.
한편, 유로 전환 유닛(170)은 이격공간부(S)에 배치되되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의 가압 시 90°간격으로 단계적으로 회전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유로 전환 유닛(170)에는 직수 유입 유로(151) 및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152)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직수 유입 유로(151) 및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15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직수 유입 유로(151) 및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152)를 차폐하면서 유로를 전환시키는 다수의 유로 전환용 통공(172)이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전환 유닛(170)은 다수의 유로 전환용 통공(172)이 형성되는 유로 전환판(171)과, 유로 전환판(171)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마련되고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와 맞물리는 맞물림 돌출 샤프트(173)를 포함한다.
이때, 맞물림 돌출 샤프트(173)의 단부에는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의 가압 시 90°간격으로 단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와 경사지게 맞물리는 경사 맞물림부(174)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가 직선으로 유로 전환 유닛(170)을 가압하면 유로 전환 유닛(170)의 경사 맞물림부(174)의 작용으로 유로 전환 유닛(170)이 90°간격으로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 전환 유닛(170)은 도 13의 (a) 내지 (d)처럼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의 1회 가압 시마다 90°간격으로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유로 전환 유닛(170)의 유로 전환용 통공(172)들이 직수 유입 유로(151) 및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152)와 공용으로 연통되거나 혹은 어느 한 유로에만 연통됨으로써, 직수{도 13의 (a)}, 직수와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도 13의 (b)}, 스프레이수{도 13의 (c)}, 그리고 직수와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도 13의 (d)}가 토수될 수 있게끔 한다.
유닛 가이드 샤프트(167)는 유로 전환 유닛(170)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유닛 가이드 샤프트(167)의 일단부는 테일 캡(163)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유닛 스프링(169)은 유로 전환 유닛(170)과 유닛 가이드 샤프트(167) 사이에 개재되며, 유로 전환 유닛(170)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이러한 유닛 스프링(169)은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의에서 도 3처럼 푸시 버튼(120)을 1회 가압한다. 그러면, 푸시 버튼(120)에 의해 밀린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가 유로 전환 유닛(170)을 밀어내면서 경사 맞물림부(174)의 작용으로 인해 유로 전환 유닛(170)이 90°회전되게 한다. 유로 전환 유닛(170)이 90°회전되면 그에 따라 유로 전환용 통공(172)들의 위치가 바뀌면서 도 13의 (a)처럼 밸브 바디(150)의 직수 유입 유로(151)와 연통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직수가 단독으로 토수된다.
이 상태에서 푸시 버튼(120)을 1회 더 가압한다. 그러면, 푸시 버튼(120)에 의해 밀린 가압력 전달 샤프트(165)가 유로 전환 유닛(170)을 밀어내면서 경사 맞물림부(174)의 작용으로 인해 유로 전환 유닛(170)이 90° 더 회전되게 한다. 유로 전환 유닛(170)이 90° 더 회전되면 그에 따라 유로 전환용 통공(172)들의 위치가 바뀌면서 도 13의 (b)처럼 밸브 바디(150)의 직수 유입 유로(151)와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152) 모두에 공통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직수와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가 토수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푸시 버튼(120)을 계속해서 가압하면 스프레이수{도 13의 (c)}, 그리고 직수와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도 13의 (d)}가 단계적으로 토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처럼 좌우의 위치를 구별하지 않고 한 지점에서 푸시 버튼(120)을 가압(push)하는 동작만으로 직수와 스프레이수를 구별해서 토수시킬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직수 또는 스프레이수를 반반씩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110 : 헤드 바디
115 : 버튼 스프링 120 : 푸시 버튼
130 : 토수 바디 131 : 직수형 토수구
132 : 스프레이수 토수구 140 : 버튼 밸브 어셈블리
150 : 밸브 바디 151 : 직수 유입 유로
152 :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 153 : 돌출부
154 : 직수 배출 유로 155 : 스프레이수 배출 유로
161 : 헤드 블록 163 : 테일 캡
165 : 가압력 전달 샤프트 165a : 더블 오링
165b : 스페이서 167 : 유닛 가이드 샤프트
169 : 유닛 스프링 170 : 유로 전환 유닛
171 : 유로 전환판 172 : 유로 전환용 통공
173 : 맞물림 돌출 샤프트 174 : 경사 맞물림부

Claims (8)

  1. 헤드 바디;
    상기 헤드 바디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푸시 버튼(push button); 및
    상기 헤드 바디 내에 마련되되 상기 푸시 버튼과 연결되며, 상기 푸시 버튼이 1회 가압될 때마다 직수, 상기 직수와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 상기 스프레이수, 그리고 상기 직수와 상기 스프레이수의 반반 혼합수가 토수되게 유도하는 버튼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의 작용으로 상기 직수가 토수되게 가이드하는 직수형 토수구와, 상기 스프레이수를 토수되게 가이드하는 스프레이수 토수구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토수 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는,
    측부에 반달 형상의 직수 유입 유로와, 상기 직수 유입 유로와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반달 형상의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가 형성되며, 하부의 돌출부 영역에 상기 직수 유입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직수를 상기 직수형 토수구로 배출시키는 직수 배출 유로와, 상기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스프레이수를 상기 스프레이수 토수구로 배출시키는 스프레이수 배출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헤드 블록; 및
    상기 밸브 바디와의 사이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면서 상기 밸브 바디의 타측에 결합되는 테일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는,
    일단부는 상기 헤드 블록을 통과하여 상기 푸시 버튼에 연결되고 나머지 영역은 상기 밸브 바디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푸시 버튼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력 전달 샤프트; 및
    상기 이격공간부에 배치되되 상기 가압력 전달 샤프트의 가압 시 90°간격으로 단계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직수 유입 유로 및 상기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직수 유입 유로 및 상기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상기 직수 유입 유로 및 상기 스프레이수 유입 유로를 차폐하면서 유로를 전환시키는 다수의 유로 전환용 통공을 구비하는 유로 전환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바디와 상기 가압력 전달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해당 위치를 실링(sealing)하는 더블 오링; 및
    상기 더블 오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더블 오링의 백업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유로 전환 유닛의 가이드를 위해 일단부가 상기 테일 캡에 결합되는 유닛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유로 전환 유닛과 상기 유닛 가이드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유로 전환 유닛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유닛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 유닛은,
    상기 다수의 유로 전환용 통공이 형성되는 유로 전환판; 및
    상기 유로 전환판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압력 전달 샤프트와 맞물리는 맞물림 돌출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돌출 샤프트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력 전달 샤프트의 가압 시 90°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가압력 전달 샤프트와 경사지게 맞물리는 경사 맞물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과 상기 버튼 밸브 어셈블리 사이에는 상기 푸시 버튼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상기 푸시 버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버튼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KR1020170104294A 2017-08-17 2017-08-17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KR101963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294A KR101963658B1 (ko) 2017-08-17 2017-08-17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294A KR101963658B1 (ko) 2017-08-17 2017-08-17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426A true KR20190019426A (ko) 2019-02-27
KR101963658B1 KR101963658B1 (ko) 2019-03-29

Family

ID=6556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294A KR101963658B1 (ko) 2017-08-17 2017-08-17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4003A (zh) * 2021-04-09 2021-06-18 厦门欧圣斯卫浴有限公司 一种新型喷枪与新型喷枪相匹配的固定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26B1 (ko) 2021-01-26 2021-07-23 성종현 분사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싱크헤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63A (ja) * 1993-07-09 1995-01-27 Takahata Seiko Kk シャワーヘッド
US5476225A (en) * 1994-06-24 1995-12-19 Jing Mei Industrial Limited Multi spray pattern shower hea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63A (ja) * 1993-07-09 1995-01-27 Takahata Seiko Kk シャワーヘッド
US5476225A (en) * 1994-06-24 1995-12-19 Jing Mei Industrial Limited Multi spray pattern shower he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4003A (zh) * 2021-04-09 2021-06-18 厦门欧圣斯卫浴有限公司 一种新型喷枪与新型喷枪相匹配的固定座
CN112974003B (zh) * 2021-04-09 2023-02-03 厦门欧圣斯卫浴有限公司 一种喷枪与喷枪相匹配的固定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658B1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6281B1 (en) Button switching type handheld shower head
WO2017190278A1 (zh) 一种水路切换机构及采用其的按钮花洒
US10322420B2 (en) Pressing waterway switch device and shower head
KR101963658B1 (ko) 싱크대용 스프레이 헤드
US10239065B2 (en) Flow control component and shower
CN113117909B (zh) 出水装置及厨房花洒
US11167294B2 (en) Multifunctional pull-out spray head
US20210277637A1 (en) Water outlet device
CN100427215C (zh) 淋浴喷头的出水控制机构
US20220364341A1 (en) Kitchen shower
CN104307652B (zh) 一种花洒水路切换装置
CN217450583U (zh) 一种多功能花洒
CN110841813A (zh) 一种操作方便的喷枪花洒
CN112705370A (zh) 同嘴出不同水花的出水装置
CN212418408U (zh) 一种水路控制装置及花洒及驱动装置
CN212702488U (zh) 一种出水设备
CN212702493U (zh) 一种水路切换结构及具有其的花洒和龙头
CN111442114A (zh) 一种自动复位切换阀及其淋浴装置
KR101307186B1 (ko) 샤워헤드
CN219317700U (zh) 一种带按钮式水路切换功能的暗装龙头
CN217646637U (zh) 一种带出洗头水功能的花洒
CN216936534U (zh) 一种花洒喷枪机构、花洒手柄开关及其花洒
CN220091738U (zh) 多种模式高压水形的六功能手持花洒
CN212263600U (zh) 一种防溅水花洒
CA2376342A1 (en) Mixing faucet having multiple dischar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