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944A - 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944A
KR20190018944A KR1020170103732A KR20170103732A KR20190018944A KR 20190018944 A KR20190018944 A KR 20190018944A KR 1020170103732 A KR1020170103732 A KR 1020170103732A KR 20170103732 A KR20170103732 A KR 20170103732A KR 20190018944 A KR20190018944 A KR 20190018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helf
posture
cook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현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8944A/en
Publication of KR2019001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9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heating device and a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The heat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etter cooking performance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ed upper portion; a container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receive a fluid; a heating unit heating the container; and a shelf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The shelf includes a support unit forming a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bent unit forming a plane facing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at both ends in front and back directions of the support unit.

Description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0001] 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0002]

본 발명은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비드 조리와 같은 조리를 수행하기 위한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apparatus and a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cooking such as a bead cooking and a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A cooking device is one of household appliances for cooking food, and is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to cook foo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Such cooking device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heat source or type used and the type of fuel.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Cooking equipment can be classified into open type and closed type cooking equip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pace where food is placed. The closed cooking devices include an oven and a microwave oven, and open cooking devices include a cooktop and a hop.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그리고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위치하고, 음식물 또는 음식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A closed type cooking device is a cooking device that shields a space where food is placed and cooks food by heating a shielded space. The open type cooking device is a cooking device in which a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is placed in an open space and the food or food container is heated to cook food.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The closed type cook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which is a space that is shielded when the food is placed and food is to be cooked. Such a cooking chamber becomes a space where food is substantially cooked. A heat source is provided in the inside or outside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to heat the cooking chamber.

근래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와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되어 다수의 열원이 조합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복합 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열원이 설치되는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열원 및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의 유로가 동반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closed type cooking device and an open type cooking device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nd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re combined to provide various cooking utensils and a plurality of foods simultaneously. In such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re installed, a flow path of cooling air for cooling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nd electrical components is accompanied.

상기 복합 조리기기에서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측에 개방형 조리기기가 위치된다. 또한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히터 또는 버너가 설치되어 동시에 다수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In the above complex cooking device, an open type cooking device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osed type cooking device. Also, the open cook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ers or burners, and is installed so that a large number of dishes can be cooked at the same time.

즉 사용자가 바비큐요리나 빵 등과 같은 오븐요리, 생선구이와 같이 구이요리를 할 때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게 되고,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서 가열하는 일반요리를 할 때는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개방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uses a closed cooking device to cook the oven, such as a barbecue or a bread, or a roasted fish, the user uses the closed cooking device to cook the food. Cooking is done using cooker.

한편, 최근에는 개방형 조리기기 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한 오븐요리, 구이요리, 찜요리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조리법 외에도 여러 새로운 조리법이 새롭게 개발되거나 일부에서만 사용되던 독특한 조리법들이 일반에 점차 전파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 중 하나가 수비드 조리법이다.Meanwhile, in recent years, in addition to commonly known recipes such as oven cooking, grilled cooking, steamed cooking using open cooking utensils or closed cooking utensils, various new recipes have been newly developed or unique recipes that are used only in some cases gradually spread to the general public , One of which is a water bead recipe.

수비드(Sous Vide)는, 저온 진공 조리법을 통해 영양소, 질감, 맛 등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조리법이다. 1799년 영국의 럼포드 백작(Benjamin Thomson, Count Rumford)에 의해 공기를 사용하는 형태로 처음 고안되어 1960년대 미국 및 프랑스의 엔지니어에 의해 조명된 식품보존 방법으로, 1974년 조르주 프랄뤼(George Pralus)에 의해 푸아그라(Foie gras) 요리에 사용된 이후, 브루노 구솔(Bruno Coussalult)에 의해 발전된 조리법이다. 프랑스어 "Sous-vide"는 진공 저온 조리법을 뜻하며, 영어로는 "Under vacuum"이라고도 한다. 1970년 이후 유럽의 일부 고급 레스토랑에서 사용되어 오다가 최근 국내에 소개되어 레스토랑이나 호텔 등의 고급메뉴에 활용되고 있다.Sous Vide is a recipe for keeping nutrients, texture and taste at the best through low temperature vacuum recipe. It was first designed in 1799 by British Count Rumford (Benjamin Thomson, Count Rumford), and was first designed in the form of air using a food preservation method illuminated by US and French engineers in the 1960s. In 1974, George Pralus, It is a recipe developed by Bruno Coussalult since it was used in Foie gras cooking by. French "Sous-vide" refers to vacuum low-temperature cooking, also known as "Under vacuum" in English. Since 1970, it has been used in some high quality restaurants in Europe, and recently it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and is being used for high quality menus such as restaurants and hotels.

일반적으로 수비드 조리법은, 밀폐된 비닐봉지에 담긴 음식물을 약 50~60를 유지하는 저온의 물속에서 장시간 가열하는 조리방법이다. 이러한 수비드 조리법은, 재료 본연의 맛을 그대로 살려 최상의 질감, 향 및 영양분들을 모두 지켜내는 것이 장점이고, 특히 식감이 우수한데, 고기는 고온에서 조리시 단백질의 변형으로 인한 질겨짐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 부드러움과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겉과 속이 골고루 가열된다는 특징이 있다.Generally, a water bead recipe is a cooking method in which a food in a sealed plastic bag is heated for a long time in a low temperature water maintaining about 50 to 60%. Such a water bead recipe is advantageous in that it preserves the best texture, flavor and nutrients by utilizing the original taste of the material and has excellent texture. Especially, meat has a tendency to be deformed due to deformation of protein during cooking at high temperature It is able to maintain softness and moistness by blocking, a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ood are heated evenly.

상기 수비드 조리법을 이용한 조리에서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물의 온도를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 그리고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진공 상태로 포장하여 확실하게 밀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n the cooking using the water bead recipe,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o be cooked constant for a long time, and to securely seal the food to be cooked by vacuum packing.

그러나 수비드 조리는 조리를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고(통상 4시간에서 최대 48시간 정도),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 조절이 까다로우므로, 효과적인 수비드 조리를 위해서는 수비드 조리를 위한 별도의 전용 조리기기가 요구된다.However, since the bead cooking takes a long time for cooking (usually 4 to 48 hours) and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he cooking time are difficult to control, a separate dedicated cooking device Is required.

본 발명은 다양한 조리 기능과 향상된 조리 성능 및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cooking functions, improved cooking performance, and ease of use and a cook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열기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기 용기의 측면과 마주보는 평면을 각각 형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portion opened; A container insert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a flui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ntainer; And a shelf disposed within the container, wherein the shelf includes: a support defining a plane parallel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bent portion that forms a plane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선반은, 제1자세와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로 상기 용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세에서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절곡부가 상기 지지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자세로 상기 선반이 설치되고, 상기 제2자세에서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접촉되며 상기 절곡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자세로 상기 선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elf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in any one of a first posture and a second posture, and in the first posture, the bending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helf is provided in a posture for supporting the support portion from the bottom and the shelf is installed in the postur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the bending portion is supported at the bottom.

또한 상기 선반은, 측부에서 봤을 때 상기 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절곡부가 “┌┐”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자세와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로 상기 용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세에서는, 상기 선반이 “┌┐” 형상을 이루는 자세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자세에서는, 상기 선반이 “└┘” 형상을 이루는 자세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shelf has a shape in which a pair of the bent portions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when viewed from a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n any one of a first posture and a second posture In the first posture, the shelf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n a posture of "┌┐", and in the second posture, in the posture of the shelf in the "└┘"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선반은, 상기 지지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하관통부와 상기 절곡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전후관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helf includes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penetration portions that penetrate the support por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forward and backward penetration portions that penetrate the bending portion i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복수개의 상하관통부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through portions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절곡부에는, 복수개의 전후관통부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orward and backward penetrating portions are vertically arranged in the bent portion.

또한 상기 선반은, 내측이 관통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 양측이 절곡되어 전후방향 양측에 상기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절곡부 사이에 지지부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관통된 내측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elf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n inner side penetrated, and both sides of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are bent to form the bending parts on both sid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support part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bending parts.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to laterally cross the penetrated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이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하관통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절곡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절곡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전후관통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support portion, and upper and lower through portions penetrating the support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provided on the bent portion, forward and backward penetrating portions penetrating the bent portion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re respectively formed .

또한 상기 선반은, 내측이 관통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 양측이 절곡되어 전후방향 양측에 상기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절곡부 사이에 지지부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관통된 내측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제2자세에서 상기 메인프레임보다 상기 용기의 바닥면 및 측면으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elf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n inner side penetrated, and both sides of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are bent to form the bending parts on both sid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support part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bending parts.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pawls mounted on the main frame to laterally transverse the perforated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the second and third pawls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and sides of the main frame, And a support frame.

또한 상기 선반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elf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기 용기의 측면과 마주보는 평면을 각각 형성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가열기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 container insert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a flui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ntainer; And a shelf disposed within the container, wherein the shelf includes: a support defining a plane parallel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bending portion that forms a plane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at both 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설치되는 자세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선반을 이용하여 수비드 조리법을 이용한 조리 기능, 스팀 요리 기능, 많은 개수의 조리물에 대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 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h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oking function using a bead cooking method, a steam cooking function, and a stable cooking method using a shelf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ccording to the pos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efficient cooking and uniform cooking of each food.

또한 본 발명은 가열 면적이 확장되도록 설치된 선반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물을 통해 전달되는 대류열과 선반(150)을 통해 전달되는 전도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입체 가열 형태로 조리물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조리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efficiently perform heating by using a shelf provided to extend a heating area, and furthermore, can be cooked in a three-dimensional heating form in which convection heat transferred through water and conductive heat transmitted through a shelf It is possible to provide heating for water, thereby providing an improved cooking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반의 자세를 바꾸어가며 선반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파지가 용이한 손잡이가 마련된 형태의 선반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helf in which the shelf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d, if necessary, a shelf in which a handle can be easily gripped can be provided, thereby further improving ease of us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의 커버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반의 제2자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에서의 선반의 제1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에서의 선반의 제2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에서의 선반의 제3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선반의 인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가열기기 내에서의 가열 양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oktop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ver-opened state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elf in the second posture state shown in Fig.
9 is a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a lathe in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use of a lathe in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third example of use of a lathe in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draw-out state of the shelf shown in FIG.
Fig.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ing aspect in th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1.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portion "B"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heating apparatus and a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coo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1 and 2,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outer appearance by a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protect a plurality of part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본체(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there is a cooktop portion 20 provided for cooking food by heating the opened space, that is,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or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ide.

쿡탑부(20)는, 쿡탑케이스(21)와 고온조리유닛(25) 및 저온가열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쿡탑부(20)는, 고온조리유닛(25)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리와 저온가열장치(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비드 조리와 같은 저온조리를 함께 실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쿡탑부(2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cook top part 20 may include a cook top case 21, a high temperature cooking unit 25, and a low temperature heating device 100. The cook top part 2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cooking at the high temperature cooking unit 25 and low temperature cooking such as water bead cooking by the low temperature heating device 100, Details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위치한다.On the lower side of the cooktop portion 20, an oven portion 30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ven part (30), a cooking chamber (31) for providing space for cooking food is located.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The cooking chamber 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an open front face,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s heated to cook the food while the cooking chamber 31 is shielded. That is, in the oven portion 30,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s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substantially.

조리실(31)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34)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1)의 하측에도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35)가 더 제공될 수 있다.An upper heater 34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from above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31 and a lower heater 34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from below A lower heater 35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조리실(3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6)가 더 제공될 수 있다.Further,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31, there can be further provided a convection portion 36 for heat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by convecting hot air.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The convection section 36 forcibly flows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That is, the convection part 36 is configured to heat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by flowing air while sucking and heating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discharging the ai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Thus, the foo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s uniformly heated.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In the oven part (30), a door (32)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31) is rotatably provided.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33)이 설치된다. 핸들(33)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The door 32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2, a handle 33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door 32 when the door 32 is to be rotated. The user can easily rotate the door 32 by the handle 33. [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A control panel 51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oktop portion 20, that is, above the door 32. The control panel 51 may b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a control panel 5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51. The control panel 51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operation signals for operating the cooktop unit 20 and the oven unit 30, (52) is provided.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input unit 5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switches through which a user can directly input operation signals.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control panel 51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cooking information of the food, and the like, and the user can check various information regarding the cooking device through the display unit.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1)이 전장실(50)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이루어진다.An electric field chamber 50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oktop portion 20 and the oven portion 30 to provide a space in which electrical components are located. The control panel 51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ical component chamber 50 and the control panel 51 substantially shields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ical component chamber 50. [

[쿡탑부의 구성][Composition of the Cooktop Departm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3은 상판이 제거된 상태의 쿡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임을 밝혀둔다.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oktop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 top in a state in which the top plate is remov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쿡탑부(20)는 쿡탑케이스(21)와 고온조리유닛(25) 및 저온가열장치(100)를 포함한다.1 to 3, the cook top part 20 includes a cooktop case 21, a high-temperature cooking unit 25, and a low-temperature heating apparatus 100.

쿡탑케이스(2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쿡탑부(2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이러한 쿡탑케이스(21)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은, 제1영역(22)과 제2영역(23)으로 구분된다. 제1영역(22)은 쿡탑케이스(21) 내에 고온조리유닛(25)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공간이며, 제2영역(23)은 쿡탑케이스(21) 내에 저온가열장치(100)가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공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영역(22)과 제2영역(23)이 좌우방향으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고, 제1영역(22)과 제2영역(23) 사이는 쿡탑케이스(21) 내부를 구획하는 베리어(28)에 의해 구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cooktop case 21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cooktop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n inner space having an open top is formed in the cooktop case 21. The inner space of the cooktop case 21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22 and a second area 23. The first region 22 is a space provided in the cooktop case 21 so that the high-temperature cooking unit 25 is installed. The second region 23 is provided in the cooktop case 21 so that the low- . The first region 22 and the second region 23 are disposed adjacently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inside of the cooktop case 2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gion 22 and the second region 23. [ And is divided by a barrier 28 for partitioning.

고온조리유닛(25)은, 쿡탑케이스(21) 내에 설치되되, 제1영역(22)에 위치하도록 쿡탑케이스(21)에 수용된다. 이러한 고온조리유닛(25)은, 상판(26) 및 쿡탑가열부(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igh-temperature cooking unit 25 is accommodated in the cooktop case 21 so as to be located in the first region 22 in the cooktop case 21. The high-temperature cooking unit 25 may include a top plate 26 and a cook top heating unit 27.

상판(26)은, 쿡탑케이스(21)의 상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영역(22)의 상부에 구비되어 고온조리유닛(25)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조리를 위한 용기와 식품이 올려 질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판(26)은, 세라믹 글라스로 구성될 수 있고,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upper plate 26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oktop case 21 and more specifically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22 to form an upper surface appearance of the hot cooking unit 25, Providing a surface that can be raised. The upper plate 26 may be formed of a ceramic glass and has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판(26)의 전방부에는, 후술할 쿡탑가열부(27)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쿡탑케이스(21) 내에 마련되는 조작유닛(미도시)의 조작 부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조작부 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 표시는 상판(26)의 상면에 인쇄되거나, 필름 형태로 부착되거나, 상기 조작유닛이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세라믹 글라스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작 전에는 외부로 표시가 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근처를 터치하였을 때 세라믹 글라스의 저면으로부터 백라이트가 점등되어 조작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판(26)의 조작부 표시부위 저면은 조작유닛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plate 26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display for identifying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cooktop case 21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cooktop heating portion 27 . The operation unit display may be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6, attached in the form of a film, or the corresponding ceramic glass part may be configured in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m so that the operation unit can be exposed. Also, although the display is not displayed outside before the opera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vicinity, the backlight may be turned on from the bottom of the ceramic glass to display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ng portion display portion of the upper plate 26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또한 상판(26)이 쿡탑케이스(21) 상에 고정되었을 때, 쿡탑가열부(27)와 대응하는 상판(26) 위치에는, 해당 위치가 가열부 위치임을 표시하는 표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표식은, 버너의 가열부인지, 인버터 가열부인지, 또는 핫 플레이트 가열부인지 등이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upper plate 26 is fixed on the cooktop case 21, markings may be provided on the top plate 26 corresponding to the cooktop heating section 27 to indicate that the position is the position of the heating section. These markings may be displayed so as to distinguish between a heating portion of the burner, an inverter heating portion, or a hot plate heating portion.

상판(26)의 저면에는 상기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 전면부(21b) 및 배면부(21c)와 대응하는 형태의 연결브래킷(미도시)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을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 전면부(21b) 및 배면부(21c)에 고정함으로써 상판(26)를 쿡탑케이스(21)에 고정할 수 있다.A connection bracket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portion 21a, the front surface portion 21b and the back surface portion 21c of the cooktop case 21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26, The upper plate 26 can be fixed to the cooktop case 21 by fixing to the side face portion 21a, the front face portion 21b and the back face portion 21c of the case 21. [

상기 상판(26)은, 쿡탑가열부(27)가 설치된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쿡탑가열부(27)의 일부분이 쿡탑케이스(21)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top plate 26 may be provided to shield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top case 21 provided with the cooktop heating section 27 and a part of the cooktop heating section 27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oktop case 21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so as to be exposed.

쿡탑가열부(27)는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쿡탑케이스(21)의 제1영역(22)에 해당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에는 쿡탑가열부(27)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The cook top heating section 27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k top case 21, more specifically, in the inner sp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22 of the cook top case 21, At least one cooktop heating section 27 is provided.

쿡탑가열부(27)는, 자기 코일에 전류를 보내 와류전류를 발생시켜 조리용기 자체를 발열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인덕션 히팅 모듈(Induction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히팅 코일을 발열시켜 발생되는 복사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라디안트 히팅 모듈(Radiant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ok top heating section 27 may include an induction he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vortex current by sending a current to the magnetic coil to generate heat to cook the food, And a radiant heating module for cooking food with radiant heat generated by heating.

또한 쿡탑가열부(27)는, 가스연료를 연소시킴에 의해 발생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스 버너(Gas burner)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ok top heating unit 27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gas burner for cooking food using a flame generated by burning the gaseous fuel.

또한 쿡탑가열부(27)는, 가스연료를 연소시킨 에너지를 이용하되, 직화열이 아닌 가스연료에 의한 복사에너지를 이용하는 세라믹 균일 버너로 상판을 가열하는 히든 라디안트 버너(Hidden radiant burner)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ok top heating unit 27 also includes a Hidden radiant burner that uses energy generated by burning the gaseous fuel and heats the top plate with a ceramic uniform burner using radiant energy generated by gaseous fuel As shown in FIG.

가열기기(100)는, 쿡탑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2영역(23)에 위치하도록 쿡탑케이스(21)에 수용된다. 이러한 가열기기(100)는, 쿡탑가열부(27)를 구비하는 고온조리유닛(25)의 주변에 배치되되, 고온조리유닛(25)에 좌우방향으로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heat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inside the cooktop case 21 and is accommodated in the cooktop case 21 so as to be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23. The heating device 100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high-temperature cooking unit 25 including the cooking tower heating unit 27 and adjacent to the high-temperature cooking unit 25 in the left-right direction.

[가열기기의 전반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heating apparatu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의 커버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open state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열기기(100)는 하우징(110)과 용기(120)와 가열부(130) 및 커버(140)를 포함한다.4 to 6, the hea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housing 110, a container 120, a heating unit 130, and a cover 140.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100)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부프레임부(111)와 수용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using 110 forms a skeleton of the he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include an upper frame portion 111 and a receiving portion 115.

상부프레임부(111)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다.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프레임부(111)의 내측에는 수용부(115)가 배치된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후방측을 향한 상부프레임부(111)의 후방에는 커버(140)를 하우징(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의 설치에 필요한 지지면이 제공되며, 조리기기의 전방측을 향한 상부프레임부(111)의 전방에는 가열기기(100)의 내부를 폐쇄한 커버(140)의 전방측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이 제공된다.The upper frame part 1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fram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receiving portion 115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frame portion 111 having the through-hole formed therei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frame portion 111 facing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surface for mounting the cover 140 to the housing 110,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front side of the cover 140 closing the inside of the heating device 100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portion 111. [

또한 상부프레임부(111)의 양측부에는, 가열기기(100)의 내부를 폐쇄한 커버(140)의 측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측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부프레임부(111)의 측벽에는 후술할 힌지부(h)가 설치되어 커버(140)를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Side walls of the upper frame part 11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part 111 so as to surround the sides of the cover 140 closing the inside of the heating device 100. On the side walls of the upper frame part 111, The cover 14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10 by providing the hinge h.

수용부(115)는, 상부프레임부(111)의 내측에 설치된다. 수용부(115)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금속재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부(115)는, 하우징(110)에서 용기(120)의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또한 수용부(115)는, 하우징(110)에 수용된 용기(12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130) 등과 같은 구성이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기도 하다.The accommodating portion 115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frame portion 111. The receiving portion 115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x of a metal material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 top. The receiving portion 115 corresponds to a portion provided in the housing 110 so that the container 120 can be received. The housing part 115 also has a structure for providing a space for installing a structure such as the heating part 130 for heating the container 120 housed in the housing 110. [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115)는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eiving portion 115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 hexahedron shape in which the width increases toward the upper direction,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n upper surface is opened

또한 상기 수용부(115)는, 상부프레임부(111)와 별물로 제작되어 상부프레임부(111)에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부프레임부(111)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작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15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upper frame portion 111 a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frame portion 111, ≪ / RTI >

용기(120)는, 내부에 물과 같은 유체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하우징(110)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용부(115)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container 120 is provided to receive a fluid such as water inside and can be drawably receiv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more particularly,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115.

용기(1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용기(120)는, 수용부(115)의 형상과 유사한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12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container 1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 top. Such a container 1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having a hexahedron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receiving portion 115. 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12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가열부(130)는, 하우징(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용부(115)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열부(130)는, 용기(12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10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저온 가열부로 마련된다.The heating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more specifically, the receiving unit 115 to heat the fl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120. The heating unit 130 is provided as a low-temperature heating unit that heats the fl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120 to a temperature of 100 ° C or lower.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130)는 수용부(115)의 내부에 장착되는 용기(120)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수용부(115)의 하부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전열히터(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열히터(131)는, 용기(120)의 바닥면과 접촉되며 용기(12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unit 130 includes a plate-shaped electrothermal heater 131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unit 115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moun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115 And the like. This electrothermal heater 131 can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and can he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120.

다른 예로서, 가열부(130)는 용기(120)의 바닥면 외에 다른 부분과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코일 형상의 히터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전열히터가 아닌 다른 형태의 가열장치, 예를 들면 유도 가열방식으로 용기(120)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the heating unit 13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nother part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il-shaped heater, Or a heating device that heats the container 120 by an induction heating method, for example, or the like.

아울러 가열부(130)는, 온도측정부(133) 및 가열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다. 온도측정부(133)는 전열히터(131)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120)의 온도 또는 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며, 가열온도조절부는 용기(120)의 온도 또는 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전열히터(13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측정부(133)가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열온도조절부가 서모스탯(Thermostat)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133 and a heating temperature adjusting unit.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133 is provi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120 heated by the electrothermal heater 131 o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120. The heating temperature controlling uni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120, And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 transfer heater 131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120 is maintained at the set temperature.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133 includes a thermistor, and the heating temperature controlling unit includes a thermostat.

커버(140)는, 하우징(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프레임부(111)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40)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는 사각판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cover 140 is installed on the housing 110, and more specifically, on the upper frame portion 111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cover 14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length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width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커버(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에서의 상부면이 상판(26)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고온조리유닛(25)과 가열기기(100)가 일체감 있게 보여지면서도 그 상면이 매끄럽게 연결된 외관미를 가질 뿐 아니라, 상면 부분의 청소가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cover 14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in the closed state is coplanar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6, as shown in Fig.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oking device which not only has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temperature cooking unit 25 and the heating device 100 in an integrated manner but also smoothly connects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device 25 and the top surface of the cooking device.

또한 이러한 형태로 형성된 커버(140)는, 그 전방측 단부 영역에 커버(14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마련되는 히든 손잡이(140a)를 제공할 수도 있다.Also, the cover 140 formed in this form may be provided with a hidden handle 140a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 of the cover 140 in the front end region thereof.

상기 커버(140)는, 그 길이방향 후방측이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The cover 1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es around the rear side pivotally coupled to the housing 110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

예를 들어, 커버(140)의 후방측 단부는 하우징(110)의 상부프레임부(111)에 설치된 힌지부(h)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140)는 이처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ar side end portion of the cover 140 can be pivotably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h provided on the upper frame portion 111 of the housing 110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can be opened and closed.

이때 힌지부(h)를 토크 힌지(Torque hinge) 형태로 구성하면, 커버(14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회동 각도에서 커버(140)가 정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140)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hinge portion h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rque hinge, the cover 140 can be smoothly rotated by the user's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ver 140 coupling structure that can stably maintain the cover 140.

아울러 본 실시예의 가열기기(100)는, 용기(120)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반(150)은 필요에 따라 용기(120)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마련되며, 이러한 선반(150)은 용기(120) 내부에서 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조리물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반(150)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addition, the hea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helf 150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120. The shelf 150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120 as needed and may be used to support the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120 inside the container 120 . In this embodiment, the shelf 15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선반의 구조][Structure of the shelf]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반의 제2자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elf in a second posture state shown in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선반(150)은 지지부(151)와 절곡부(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shelf 150 may include a support 151 and a bent portion 153.

지지부(151)는, 용기(120)의 바닥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부(151)는, 선반(150)의 자세에 따라 선반(150)의 상부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선반(15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151 forms a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The supporting portion 151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150 or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lf 150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shelf 150.

절곡부(153)는, 지지부(151)의 전후방향 양측 단부에서 용기(120)의 측면과 마주보는 평면을 각각 형성한다. 이러한 절곡부(153)는, 지지부(151)의 전후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선반(150)의 자세에 따라 지지부(151)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형성할 수도 있고, 지지부(151)의 상부로 연장되는 돌출 구조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bending section 153 forms planes facing opposite sides of the container 120 at both 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upport section 151, respectively. These bent portions 153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15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may form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support portion 151 from the lower portion thereof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shelf 150, To form a protruding structure exte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structur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반(150)은 측부에서 봤을 때 지지부(151)와 한 쌍의 절곡부(153)가 "┌┐"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선반(150)은 제1자세와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로 용기(12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helf 15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such that the support portion 151 and the pair of bent portions 153 are connected in a "┌┐"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shelf 15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120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rientations.

제1자세에서는, 지지부(151)가 용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절곡부(153)가 지지부(151)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자세로 선반(150)이 설치된다. 즉 제1자세에서는, 선반(150)이 "┌┐" 형상을 이루는 자세로 용기(120)의 내부에 설치된다.In the first posture, the shelf 150 is installed in a posture in which the bent portion 153 supports the support portion 151 from the bottom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51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That is, in the first posture, the shelf 150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120 in a posture of "┌┐" shape.

제2자세에서는, 지지부(151)가 용기(120)의 바닥면과 접촉되며 절곡부(153)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자세로 선반(150)이 설치된다. 즉 제2자세에서는, 선반이 "└┘" 형상을 이루는 자세로 용기(120)의 내부에 설치된다(도 8 및 도 11 참조).In the second posture, the shelf 150 is installed in a postur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15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and the bent portion 153 is supported in the lower portion. That is, in the second posture, the shelf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120 in a posture of "└┘" (see FIGS. 8 and 11).

상기 선반(150)은, 지지부(151)를 관통하는 상하관통부(152)와 절곡부(153)를 관통하는 전후관통부(1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반(150)이 상하관통부(152)와 전후관통부(154)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shelf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ertical penetration portion 152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portion 151 and a front and back penetration portion 154 penetrating the bending portion 153. In this embodiment, the shelf 150 is exemplified as including both the upper and lower penetrating portions 152 and the front and rear penetrating portions 154.

상하관통부(152)는 지지부(15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부(151)에는 복수개의 상하관통부(152)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upper and lower perforations 152 are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portion 15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perforations 152 are arranged in the support portion 15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그리고 전후관통부(154)는 절곡부(153)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절곡부(153)에는 복수개의 전후관통부(154)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front and rear penetration portions 154 are formed to penetrate the bending portion 15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orward and backward penetration portions 154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each of the bending portions 153 .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선반(150)은, 메인프레임(a)과 지지프레임(b)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The shelf 150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hape can be manufactured by the main frame a and the support frame b.

메인프레임(a)은, 선반(150)의 골격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내측이 관통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a)을 그 전후방향을 따라 3분하고, 3분된 각 영역 간의 경계 부분을 벤딩하면, 전후방향 양측이 절곡되어 메인프레임(a)의 전후방향 양측 영역에 절곡부(153)의 골격이 각각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절곡부 사이에 지지부(151)의 골격이 형성된다.The main frame a is provided to form the skeleton of the shelf 150 and is formed into a square frame shape with the inside thereof penetrated. When the main frame (a) formed in the square frame shap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long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and the boundary part between the three areas is bent, both sid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re bent, And the skeleton of the support portion 151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bent portions thus formed.

본 실시예에서, 메인프레임(a)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frame (a)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지지프레임(b)은, 메인프레임(a)에 의해 형성된 절곡부(153)의 골격 부분과 지지부(151)의 골격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b)은 메인프레임(a)과 마찬가지로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support frame b is provided to the skeleton portion of the bending portion 153 formed by the main frame a and the skeleton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51,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frame (b)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imilarly to the main frame (a).

상기 지지프레임(b)은 메인프레임(a)의 관통된 내측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메인프레임(a)에 설치되며, 메인프레임(a)에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b)이 설치되어 메인프레임(a)의 관통된 내측을 부분 부분 채우게 된다.The support frame b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 so as to laterally cross the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a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b ar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 the perforated inner side of (a) is partially filled.

예를 들어, 지지부(151)의 골격 부분에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b)이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와 같이 지지부(15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b)들 사이에는, 지지부(15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하관통부(152)가 각각 형성된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b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frame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51,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b installed on the support portion 151, And upper and lower penetration portions 152 penetrating the support portion 15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respectively.

또한 절곡부(153)의 골격 부분에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b)이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와 같이 절곡부(153)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b)들 사이에는, 절곡부(153)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전후관통부(154)가 각각 형성된다.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b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t a skeleton portion of the bending portion 153.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b installed at the bending portion 153, Backward penetrating portion 154 penetrating the bending portion 153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formed.

이때 지지부(151)에 설치되는 각각의 지지프레임(b)은, 선반(150)이 제2자세로 용기(120) 내부에 설치될 때 메인프레임(a)보다 용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Each support frame b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151 is mov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to the main frame a when the shelf 150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120 in the second posture And is installed in a spaced apart position.

또한 절곡부(153)에 설치되는 각각의 지지프레임(b)은, 선반(150)이 용기 내부에 설치될 때 메인프레임(a)보다 용기(120)의 측면으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Each support frame b installed in the bent portion 153 is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further awa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than the main frame a when the shelf 150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do.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선반(15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자세로 용기(12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2자세로 용기(12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그 설치된 자세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선반(150)의 다양한 사용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helf 150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in the container 120 in the first posture or may be installed in the container 120 in the second posture according to the user's need, Depending on the posture,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Hereinafter, various uses of the shelf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선반의 제1사용례][First Use Case of Shelf]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에서의 선반의 제1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a lathe in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물이 잠길 정도로 용기(12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선반(150)이 제1자세로 용기(120) 내부에 설치되면, 지지부(151)는 절곡부(153)의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용기(120)의 바닥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용기(120)의 바닥면과 지지부(151) 사이의 공간에는 물이 채워져 있다.9, when the shelf 150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120 in the first posture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120 is filled with water so that the food is locked, the support portion 151 is bent at the bent portion 153 And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and the supporting portion 151 is filled with water.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지지부(151)에 형성된 상하관통부(152; 도 7 참조)를 통해 조리물을 선반(150)의 내부에 끼울 수 있고, 이와 같이 선반(150)의 내부에 끼워진 조리물은 상하관통부(152)를 둘러싸는 각 프레임들(a,b)에 의해 지지되어 그 끼워진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In such a state, the food can be inserted into the shelf 150 through the upper and lower through-holes 152 (see FIG. 7)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151, The upper and lower perforations 152 are supported by the respective frames a and b surrounding the perforations 152 so that the fitted state can be fixed.

이때 조리물은, 식품포장용기에 의해 진공 포장된 상태로 조리될 수도 있고, 포장되지 않은 상태로 조리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ood product may be cooked in a vacuum packed state by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or may be cooked in an unpacked state.

도 9에는 각각의 조리물이 세로방향으로 선반(150)에 끼워진 형태로 복수개의 조리물이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조리물들을 선반(150)에 세로방향으로 끼워 고정시켜주면, 조리물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많은 개수의 조리물들이 서로 겹치지 않게 정돈된 상태에서 조리물들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9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oked foods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such a manner that each of the cooked foods is fitted in the shelf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manner, the cooked foods are fixed to the shelf 15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oked food can be cooked while the position of the food is stably fixed and the cooked food can be cooked in a state in which a large number of cooked foods do not overlap each other.

즉 본 사용례에서의 선반(150)은, 조리물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 그리고 많은 개수의 조리물들이 서로 겹치지 않게 정돈된 상태에서 조리물들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개수의 조리물에 대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 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helf 150 in this embodiment allows the cooking to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food is stably fixed and a large number of the foods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stable and efficient cooking of the food while allowing the cooking to be performed uniformly for each food.

[선반의 제2사용례][Second Use of Shelf]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에서의 선반의 제2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use of a lathe in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물이 잠기기에 훨씬 못 미칠 정도로 용기(12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선반(150)이 제1자세로 용기(120) 내부에 설치되면, 지지부(151)는 수면과 상당한 거리가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부(151)의 상부에 조리물이 얹혀지고, 용기(120)에 채워진 물에 대한 가열이 실시되면, 용기(120)에 채워진 물이 가열되어 발생된 수증기에 의해 조리가 이루어지는 스팀 조리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shelf 150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120 in the first posture with the container 120 filled with water to a level far below that of the food, It is placed at a position which is considerably distant from the water surface. In this state, when the cooking water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51 and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120 is heated,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120 is heated, A cooking function can be provided.

이때 용기(120)의 측면에는 스팀 조리에 적합한 물의 수위를 표시하는 표식이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표식에 의해 표시된 수위만큼 물을 채운 상태에서 스팀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a mark indicating the water level suitable for steam cooking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and the user can proceed with the steam cooking with water filled in the water level indicated by the mark.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로 사용되는 본 실시예의 선반은, 조리물을 물에 담근 상태로 실시하는 조리 외에도 스팀 조리 기능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리 기능이 가열기기(100)에 의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shelf of the present embodiment us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s not limited to the effect of allowing various types of cooking functions such as the steam cooking function to be performed by the heating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cooking in which the cooking water is immersed in water Can be provided.

[선반의 제3사용례][The third use example of the shelf]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에서의 선반의 제3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선반의 인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가열기기 내에서의 가열 양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third example of use of a shelf in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drawing showing a draw-out state of the shelf shown in FIG. Fig.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heating pattern in th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1, and Fig. 1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B" portion of Fi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물이 잠길 정도로 용기(12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선반(150)이 제2자세로 용기(120) 내부에 설치되면, 지지부(151)는 용기(120)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선반(15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절곡부(153)는 지지부(151)의 전후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11, when the shelf 150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120 in the second posture with the container 120 filled with water so that the food is locked,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lf 150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51. The bent portion 153 forms side walls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15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용기(120)의 바닥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선반(15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부(151)에 조리물이 가로방향으로 얹혀진 상태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such a state, the cooked food can be cooked in a state where the cooked food is plac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support 151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lf 15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상기와 같이 선반(150)이 설치된 상태에서 주목할 점은, 지지부(151)의 전후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측벽을 형성하는 절곡부(153)가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In the state where the shelf 15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t is noted that the bent portion 153 forming the side wall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151 in the front-rear direction can be used as a handle.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53) 부분을 손으로 잡고 선반(150)에 얹혀진 조리물을 용기(120) 내부에 넣거나 용기(120) 내부의 조리물을 용기(120)로부터 꺼낼 수 있는 등, 절곡부(153)가 선반(150)의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8 and 12, the user holds the bent portion 153 by hand and inserts the food placed on the shelf 150 into the container 120, or cook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20 The folded portion 153 can be used as a handle of the shelf 150, for example, water can be taken out from the container 120. [

이때 절곡부(153)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a) 부분이 손잡이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절곡부(153)에 설치된 지지프레임(b) 부분이 손잡이로 사용될 수도 있다. , 메인프레임(a) 부분이 손잡이로 사용될 경우에는 그만큼 손잡이의 높이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으며, 지지프레임(b) 부분이 손잡이로 사용될 경우에는 메인프레임(a) 부분을 손잡이로 사용할 때보다 용기(1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서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portion of the main frame a forming the skeleton of the bending portion 153 may be used as a handle or a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b provided on the bending portion 153 may be used as a handle. When the main frame a is used as a handle, the height of the handle is increased. When the support frame b is used as a handle, the main frame 'a' So that the handle can be held at a position protrud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andl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절곡부(153) 부분에서 지지프레임(b)이 메인프레임(a)보다 측면으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므로, 지지프레임(b) 부분이 손잡이로 사용될 경우에는 손잡이와 용기(120)의 측면 간의 간격이 좀 더 넓은 폭으로 확보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손잡이의 파지가 좀 더 용이해지고, 손잡이를 잡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용기(120)에 접촉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되어 좀 더 편리하고 안전한 형태의 손잡이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upport frame b is located at a position further away from the side face than the main frame a at the bent portion 153, when the support frame b is used as a handle, The gap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can be ensured with a wider width, thereby making it easier to grasp the handle and lower the possibility of the user's hand contacting the container 120 So that a more convenient and safe handle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와 같이 제2자세로 설치되는 선반(150)은, 용기(120) 내부에 채워진 물의 가열 및 선반(150)에 얹혀진 조리물로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helf 150 installed in the second posture may provide the function of heating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120 and improv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to the food placed on the shelf 150.

도 13을 참조하면, 용기(120)에 채워진 물에 대한 가열은 가열부(130)가 용기(120)를 가열하고, 가열된 용기(120)의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용기(120)에 채워진 물에 대한 가열은 가열부(130)에 의해 가열된 용기(120)가 물을 가열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물과 용기(120) 간의 접촉 면적이 넓을수록 물의 가열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13, the heating of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120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heating unit 130 heats the container 120 and the water is heated by the heat of the heated container 120. That is, the heating of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120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tainer 120 heated by the heating unit 130 heats the water. Therefore, the wide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ater and the container 120,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fficiently.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열부(130)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120)에서는 바닥면의 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제2자세로 설치되는 선반(150)은 선반(150)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지지부(151)가 용기(120)의 바닥면에 접촉되게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heated by the heating unit 130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20 is the highest, and the shelf 150 installed in the second posture is heated A supporting portion 151 that occupies more than half of the entire area of the container 150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이와 같이 설치되는 선반(150)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열부(130)가 용기(120)의 바닥면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용기(120)에 전달되는 열의 상당량이 선반(150)으로 전달되어 용기(120)의 가열과 함께 선반(150)의 가열도 함께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선반(150)으로 전달된 열은 선반(150) 주변의 물을 가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Since the shelf 150 is formed of a met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when the heating unit 130 heat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a considerable amount of heat, which is transferred to the container 120, The heat transferred to the shelf 150 may be used to heat the water around the shelf 150. In this case, .

결과적으로, 선반(150)의 표면이 차지하는 면적만큼 물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는 면적이 확장되고, 이로써 용기(120) 내부에 채워진 물의 가열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area of heating the water by the area occupied by the surface of the shelf 150 is expanded, thereby heating the filled water in the container 120 quickly and efficiently.

한편, 도 14를 참조하여 용기(120)의 바닥면과 조리물 사이의 공간을 살펴보면, 지지부(151)에서의 조리물의 지지는 지지부(151)를 구성하는 요소 중 지지프레임(b)에 의해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4,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and the food is consider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b 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upport portion 151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51)에 설치되는 각각의 지지프레임(b)은 선반(150)이 제2자세로 용기(120) 내부에 설치될 때 메인프레임(a)보다 용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므로, 조리물은 메인프레임(a)의 두께와 지지프레임(b)의 두께를 합한 높이만큼 용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게 된다.Each support frame b provided on the support 151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helf 150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120 in the second posture, The food is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by the height of the thickness of the main frame a a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frame b.

이에 따라 조리물은 용기(120)의 바닥면과 직접 접촉되지 않으며, 조리물과 용기(120)의 바닥면 사이에는 물이 채워져 조리물 바닥이 물과 접촉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Accordingly, the food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and water is filled between the foo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bottom of the food can be in contact with the water.

만약 조리물이 용기(120)의 바닥면과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조리를 위한 가열이 이루어진다면, 조리물의 바닥면에는 용기(120)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열에 의한 가열만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If the food is heated for cooking in a state in which the foo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only heating by conduction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container 120 can be per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d.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리물과 용기(120)의 바닥면 사이에 조리물 바닥이 물과 접촉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면, 물을 통해 전달되는 대류열과 선반(150)을 통해 전달되는 전도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입체 가열 형태로 조리물의 바닥면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가열기기(100)가 더욱 향상된 조리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f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oo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0 so that the bottom of the food can be in contact with the wat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vection heat transferred through the water and the heat transferred through the shelf 150 The heating device 100 can provide improved cooking performance because the heating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d product can be performed in a complex heating mod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본체
20 : 쿡탑부
21 : 쿡탑케이스
22 : 제1영역
23 : 제2영역
25 : 고온조리유닛
26 : 상판
27 : 고온가열부
28 : 베리어
30 : 전장실
100 : 가열기기
110 : 하우징
111 : 상부프레임부
115 : 수용부
120 : 용기
130 : 가열부
131 : 전열히터
140 : 커버
150 : 선반
151 : 지지부
152 : 상하관통부
153 : 절곡부
154 : 전후관통부
a : 메인프레임
b : 지지프레임
h : 힌지부
10: Body
20: cook top
21: Cook top case
22: first region
23: second region
25: High temperature cooking unit
26: top plate
27: high temperature heating section
28: Barrier
30: Electric field room
100: Heating device
110: Housing
111: upper frame part
115:
120: container
130:
131: Electric heater
140: cover
150: Shelf
151:
152: upper and lower through-
153:
154:
a: Mainframe
b: Support frame
h: Hinge section

Claims (1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기 용기의 측면과 마주보는 평면을 각각 형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가열기기.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 container insert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flui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ntainer; And
And a shelf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The shelf,
A support defining a plane parallel to a bottom surface of the vessel; And
And a bent portion that forms a plane facing opposite sides of the container at both 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제1자세와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로 상기 용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세에서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절곡부가 상기 지지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자세로 상기 선반이 설치되고,
상기 제2자세에서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접촉되며 상기 절곡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자세로 상기 선반이 설치되는 가열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lf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in any one of a first posture and a second posture,
In the first posture, the shelf is installed in a postur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support portion from below so that the support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the shelf is installed in a postur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the bent portion is supported in the lower portion in the second pos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측부에서 봤을 때 상기 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절곡부가 "┌┐"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자세와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로 상기 용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세에서는, 상기 선반이 "┌┐" 형상을 이루는 자세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자세에서는, 상기 선반이 "└┘" 형상을 이루는 자세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elf has a shape in which a pair of the bent portions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n any one of a first posture and a second posture ,
In the first posture, the shelf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in a posture of "
And in the second posture, the shelf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in a posture of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지지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하관통부와 상기 절곡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전후관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가열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lf includes at least one of an upper through-hole penetrating the support portion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a fore-and-aft penetrating portion penetrating the bending por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복수개의 상하관통부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열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perforations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support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복수개의 전후관통부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열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plurality of forward and backward penetrating portions are vertically arranged in the be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내측이 관통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 양측이 절곡되어 전후방향 양측에 상기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절곡부 사이에 지지부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관통된 내측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열기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main frame which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with an inner side penetrating and which is bent at both sid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form the bending portion on both sid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forms a support portion between the pair of bending portions; And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so as to laterally cross the penetrated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이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하관통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절곡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절곡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전후관통부가 각각 형성되는 가열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A plurality of said support frames are disposed on said support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front-
And upper and lower through portions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bent portion,
And a front and rear penetrat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bent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provided on the ben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내측이 관통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 양측이 절곡되어 전후방향 양측에 상기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절곡부 사이에 지지부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관통된 내측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제2자세에서 상기 메인프레임보다 상기 용기의 바닥면 및 측면으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열기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 main frame which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with an inner side penetrating and which is bent at both sid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form the bending portion on both sid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forms a support portion between the pair of bend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support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so as to laterally intersect the penetrated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the plurality of supports being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further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than the main frame in the second posture; And a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가열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lf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열기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KR1020170103732A 2017-08-16 2017-08-16 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KR201900189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732A KR20190018944A (en) 2017-08-16 2017-08-16 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732A KR20190018944A (en) 2017-08-16 2017-08-16 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44A true KR20190018944A (en) 2019-02-26

Family

ID=6556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732A KR20190018944A (en) 2017-08-16 2017-08-16 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89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514B1 (en) Combination cooking appliance
KR102428720B1 (en) 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EP3634087A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er
EP3342318B1 (en) Vaccum cooking appliance
CN203182729U (en) Multifunctional cooking box
EP1628078A1 (en) Overheat steam cooker
KR102471069B1 (en) Under vacuum cooking appliance
KR101975325B1 (en) Combination cooking appliance
KR20190018944A (en) 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KR101634059B1 (en) Two faces flying pan
KR102471054B1 (en) Combination cooking appliance
CN216346411U (en) Integrated household appliance
KR102232819B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er
CN219782357U (en) Multifunctional oven
KR100676530B1 (en) A structure of Oven part for Electric oven
KR100938384B1 (en) Rack for oven
KR101438232B1 (en) A built-in type cooker
CN116458780A (en) Multifunctional oven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101192352B1 (en) A cooker
KR20090059295A (en) Rack for oven
CN111110007A (en) Steam pot
CN102370430A (en) Multifunctional oven
KR20110053628A (en) Cooking appliance
KR20050039944A (en) A multi-using cooking utensil
KR20060013775A (en) A structure of oven section for electric oven 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