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221A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earning level using physiological data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earning level using physiological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221A
KR20190017221A KR1020170101697A KR20170101697A KR20190017221A KR 20190017221 A KR20190017221 A KR 20190017221A KR 1020170101697 A KR1020170101697 A KR 1020170101697A KR 20170101697 A KR20170101697 A KR 20170101697A KR 20190017221 A KR20190017221 A KR 20190017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level
learning
determining
t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8449B1 (en
Inventor
조일현
오예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449B1/en
Priority to US16/059,702 priority patent/US20190051201A1/en
Priority to PCT/KR2018/009091 priority patent/WO2019031869A1/en
Publication of KR2019001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2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ard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the learning level using physiological data. The disclos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earning level determines a level of achievement of a learner on the basis of whether the learner′s answers to questions are correct, determines the learner′s level of tension on the basis of the learner′s physiological data obtained in the process of the learner responding to the questions, and determines the learner′s learning level on the basis of the learner′s level of achievement and the level of tension.

Description

생리 데이터를 이용한 학습 수준 판단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EARNING LEVEL USING PHYSIOLOGICAL DATA}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earning level using physiological data,

아래의 설명은 생리 데이터를 이용한 학습 수준 판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학습자의 생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긴장감 레벨을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과 함께 고려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evel of learning using physiological data, and more specifically, a method of determining a level of learning of a learner by considering a level of tensions determined based on learner's physiological data, ≪ / RTI >

오늘날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에 접속하여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학교와 기업의 교육 현장이나 개인적인 학습 환경에서 온라인 학습이 보편화되고 있다.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line learning is becoming commonplace in schools and corporations' education sites and personal learning environments by creating an environment to access and learn online anytime and anywhere.

온라인 학습은 학습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 분석, 설계, 개발의 과정을 거쳐 학습자에게 제공된다. 특히, 교수설계자가 의도한 학습 목표에 따라 학습자가 어느 정도 수준으로 학습하였는지를 평가 및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내용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Online learning is provided to learners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to promote learning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learning contents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o what extent the learner has learned according to the intended learning objectives of the instructional designer.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 수준은 일반적으로 시험 점수를 활용한 인지적인 측면에서 측정되어 왔다. 그러나, 동일한 시험 점수를 획득한 학습자들이라도 불안을 크게 느껴 본래의 학습 수준보다 낮은 시험 점수를 받는 학습자가 있기도 하고, 또는 매우 잘 알고 있는 내용이라 깊게 몰입하지 않고도 높은 시험 점수를 받은 학습자도 있다. 즉, 학습 수준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정서적 측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levels have generally been measured in terms of cognitive aspects using test scores. However, even for learners who have acquired the same test scores, there are some learners who feel uneasines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riginal level of learning, or some learners who have received high test scores without being deeply involved because they know very well.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grasp emotional aspects of learners in order to accurately assess the level of learning.

따라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accurately diagnose the learning level of learners.

본 발명은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과 긴장감 레벨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진단함으로써, 시험 맥락에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면밀하게 진단하고, 그에 따른 후속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iagnose a learner's learning level in a test context by diagnosing a learner's level of learning by using a learner's level of performance and a level of a learner, and present a follow-up task accordingly.

본 발명은 학습자의 피부전도 반응, 심박 변이도, 피부온도와 같은 생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험 맥락에서의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평가하고, 학습자의 문항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성취도를 평가함으로써,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도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valuates the learner's level of tension in the test context using physiological data such as the learner's skin conduction response, heart beat variability, and skin temperature, evaluates the learner's achievement level using the response to the learner's question,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can be accurately judged eve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은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항에 응답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학습자의 생리 데이터(physiological data)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 및 상기 긴장감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termining a level of learning,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n achievement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whether the learner has an answer to the question; Determining a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physiological data of the learner obtained in the course of responding to the item by the learner; And determining a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the learner's achievement level and the tense level.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에서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항에 응답하는 동안 상기 학습자의 손에 분비된 땀 정도에 기초한 피부전도 반응, 상기 학습자의 심장 주기에 대한 변이에 기초한 심박 변이도 및 상기 학습자의 피부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생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긴장감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tense level of the learner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a level of learn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a tender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a degree of a skin conduction reaction based on the level of sweat secreted in the learner's hand while the learner responds to the item, The stress level can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physiological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heart beat variability based on the mutation and the skin temperature of the learner.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에서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문항에 대한 상기 생리 데이터의 평균 값과 상기 학습자의 기저반응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tense level of the learner in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etermine the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physiological data for the question and the base response value of the learner.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에서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문항에 대한 상기 생리 데이터의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tense level of the learner in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etermine the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the ranking of the physiological data for the question.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에서 상기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성취도 레벨이 높고 상기 긴장감 레벨이 높은 경우, 자신의 지식, 높은 집중력 및 많은 노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1 유형으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The step of judging the learning level in the learning level jud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first type in which, when the performance level is high and the tension level is high, the problem can be solved through knowledge of the user, high concentration,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can be determined.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에서 상기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성취도 레벨이 높고 상기 긴장감 레벨이 낮은 경우, 높은 전문성으로 많은 노력이 없이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2 유형으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arning level in the learning level jud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second type in which the problem can be solved without much effort with high professionalism when the performance level is high and the tension level is low, The level can be judged.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에서 상기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성취도 레벨이 낮고 상기 긴장감 레벨이 높은 경우, 문제를 해결하고 싶으나 불안으로 인해 능력을 발휘하지 못한 제3 유형으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The step of judging the learning level in the learning level jud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method of judging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by the third type in which the performance level is low and the tense level is high, The level of learning can be judged.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에서 상기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성취도 레벨이 낮고 상기 긴장감 레벨이 낮은 경우, 문제 해결에 낮은 수준의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제4 유형으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arning level in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determining a level of learning of the learner as a fourth type in which a low level of interest and effort is paid for problem solving when the performance level is low and the tense level is low, Can be determined.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에서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높게 결정하고, 상기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오답인 경우,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낮게 결정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learner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a level of learn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determining a level of the learner's achievement level when the learner's answer to the question is correct, In the case of an incorrect answer, the learner's level of achievement can be determined to be low.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에서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tense level of the learner in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whether the learner has an answer to the question.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은 상기 판단된 학습 수준에 기초하여 결정된 후속 학습을 상기 학습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determining a learning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 subsequent learning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ed learning level to the learner.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항을 응답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학습자의 생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며,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 및 상기 긴장감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한다.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earning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including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able by the processor, wherein, if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is executed in the processor,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learners' achievement level based on the learner's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Determining a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physiological data of the learner obtained in the process of the learner responding to the question, and determining a level of the learner's learning based on the learner's level of achievement and the tense level .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항에 응답하는 동안 상기 학습자의 손에 분비된 땀 정도에 기초한 피부전도 반응, 상기 학습자의 심장 주기에 대한 변이에 기초한 심박 변이도 및 상기 학습자의 피부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생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긴장감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In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earning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skin conduction reaction based on the degree of sweat secreted in the learner's hand while the learner responds to the item, a heart rate variation based on a variation in the learner's heart cycle, The tense level can be determined based on physiological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learner's skin temperature.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에 대한 상기 생리 데이터의 평균 값과 상기 학습자의 기저반응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In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ocessor can determine the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the physiological data for the question and a base response value of the learner.

일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과 긴장감 레벨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진단함으로써, 시험 맥락에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면밀하게 진단하고, 그에 따른 후속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arner's level of learning can be diagnosed using the learner's level of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the learner, so that the learner's level of learning can be closely diagnosed in the test context and the subsequent tasks can be presented.

일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의 피부전도 반응, 심박 변이도, 피부온도와 같은 생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험 맥락에서의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평가하고, 학습자의 문항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성취도를 평가함으로써,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도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arner's level of tension in the test context is evaluated using physiological data such as the learner's skin conduction response, heart beat variability, and skin temperature, and the learner's achievement level is evaluated using the response to the learner's question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even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 수준의 유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 수준에 따라 제공되는 후속 학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 수준 판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learning level of a learn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learning lev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ypes of learning lev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follow-up learning provided according to a learning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are set forth for illustration purposes only and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disclosed, and the scope of the disclosure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such terms should be interpreted sole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although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one or more of the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실시예의 범위가 본문에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공지된 기능 및 구조는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below are illustra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to those described in the tex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and the well-known functions and structures are omitt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learning level of a learn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자(110) 및 컴퓨팅 장치(120)가 도시된다.1, there is shown a learner 110 and computing device 120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자(110)의 학습 수준이 판단될 수 있다. 학습자(110)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을 수행하고 평가 받는 사용자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자(110)는 교수자(teacher)와 동일한 장소에서 학습이 수행되는 오프라인 학습 환경이 아닌, 교수자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온라인 학습 환경에 속할 수 있다.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11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earner 110 may be a user who performs learning and evaluation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learner 110 may belong to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physically separate from the instructor, rather than an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where learning is performed in the same place as the teacher.

본 명세서에서는 교수자가 부재한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110)의 학습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In this specification, a method for more accurately diagnosing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110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ithout a teacher is suggested.

학습자(110)는 컴퓨팅 장치(120)를 통해 제시되는 문항에 응답함으로써, 학습자(110)의 학습 수준이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학습자(110)의 생리 데이터(physiological data)도 측정되어 학습자(110)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The learner 110 can determine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110 by responding to the item presented through the computing device 120. [ At this time, physiological data of the learner 110 may also be measured and used to determine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110. [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20)는 학습자(110)로 문항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110)의 응답을 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학습자(110)로 제공되는 문항은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문제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학습자(110)의 응답에 기초하여 해당 문항의 정답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a device that provides a question to a learner 110 and receives a response of the learner 110 to the question. An item provided to the learner 110 may include one or more predetermined problems,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item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sponse of the learner 110. [

또한, 컴퓨팅 장치(120)는 학습자(110)가 문항에 응답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센서(121)를 통해 학습자(110)의 생리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121)는 학습자(110)의 생리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피부전도 반응 측정센서, 심박 변이도 측정센서, 피부온도 측정센서, 아이트래커(Eye Track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121)는 학습자(110)에 접촉되거나, 학습자(110)로부터 일정 거리로 떨어져 학습자(110)를 향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120 may also measure physiological data of the learner 110 via one or more sensors 121 while the learner 110 answers the question. The at least one sensor 121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data of the learner 110 and includes, for example, a skin conduction reaction measurement sensor, a heart rate variation measurement sensor, a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an eye tracker, can do. One or more sensors 121 may contact the learner 110 or may be directed a distance 110 away from the learner 110 to the learner 110. [

일실시예에 따른 생리 데이터는 학습자(110)의 손에 분비된 땀 정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피부전도 반응, 학습자(110)의 심장 주기에 대한 변이로 결정되는 심박 변이도 및 학습자(110)의 피부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hysiological dat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skin conduction response determined based on the degree of sweat secreted in the hands of the learner 110, a heartbeat variation determined by the variation with respect to the cardiac cycle of the learner 110, Or the like.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자(110)의 성취도 레벨은 컴퓨팅 장치(120)로부터 획득한 문항에 대한 학습자(110)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항에 대한 학습자(110)의 응답이 정답인 경우, 학습자(110)의 성취도 레벨은 높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문항에 대한 학습자(110)의 응답이 오답인 경우, 학습자(110)의 성취도 레벨은 낮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learner 110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learner 110 has an answer to the question obtained from the computing device 120. [ For example, if the answer of the learner 110 to an item is correct,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learner 110 may be determined to be high. Conversely, if the learner's 110 response to the question is an incorrect answer, then the learner's 110 achievement level may be determined to be low.

또한, 학습자(110)의 긴장감 레벨은 학습자(110)가 문항에 응답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학습자(110)의 생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110)가 문항에 응답할 때 학습자(110)의 생리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큰 경우 학습자(110)의 긴장감 레벨이 높은 것으로 결정되고, 그렇지 않으면 긴장감 레벨이 낮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tense level of the learner 110 may be determined based on physiological data of the learner 110 obtained in the course of the learner 110 responding to the question. For example, when the learner 110 answers the question, if the physiological data of the learner 110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the learner 110 is determined to have a high level of tense, and if not, the tense level may be determined to be low have.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자(110)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장치는 학습자(110)로부터 문항에 대한 응답 및 생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컴퓨팅 장치(120)이거나, 또는 컴퓨팅 장치(120)로부터 학습자(110)의 응답과 생리 데이터, 또는 성취도 레벨 및 긴장감 레벨을 수신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학습자(110)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장치를 학습 수준 판단 장치로 지칭한다.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evel of learning of a learn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 computing device 120 that obtains responses and physiological data from a learner 110 or from a computing device 120 to a learner 110, Or physiological data, or a separate device that has received an achievement level and a tensions level.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110 is referred to as a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learning lev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2, a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method performed by a processor of a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shown.

단계(210)에서,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정답인 경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은 높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문항에 대한 학습자(110)의 응답이 오답인 경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은 낮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step 210,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es the learner's achievement level based on the learner's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For example, if the learner's answer to an item is the correct answer, the learner's level of achievement may be determined to be high. Conversely, if the learner's 110 response to the question is an incorrect answer, then the learner's level of achievement may be determined to be low.

만약 문항에 복수의 문제들이 포함된 경우, 학습자(110)가 미리 결정된 임계 점수보다 높은 점수를 취득하면 성취도 레벨이 높은 것으로 결정되고, 그렇지 않다면 성취도 레벨이 낮은 것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학습자(11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학습자들의 평균 점수(또는, 상위 n%에 해당하는 점수, n은 실수)보다 높은 점수를 취득한 학습자의 학습 레벨은 높게 결정되고, 그렇지 않은 학습자의 학습 레벨은 낮게 결정될 수 있다.If the question includes a plurality of questions, the learner 110 may determine that the achievement level is high if it acquires a scor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score, otherwi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achievement level is low. If there are a plurality of learners 110, the learning level of a learner who has acquired a score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of a plurality of learners (or a score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n% and n is a mistake) is determined to be high, The level can be determined to be low.

단계(220)에서,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학습자가 문항에 응답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학습자의 생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한다.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학습자가 문항을 응답하는 동안 학습자의 손에 분비된 땀 정도에 기초한 피부전도 반응, 학습자의 심장 주기에 대한 변이에 기초한 심박 변이도 및 학습자의 피부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생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장감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220,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es the level of the learner's tense based on the learner's physiological data obtained in the process of the learner responding to the item.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determines physiological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a skin conduction response based on the degree of sweat secreted in the hand of a learner, a heart rate variation based on a variation of a learner's heart cycle, The tense level can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tense level.

예를 들어, 학습자가 문항에 응답할 때 학습자의 피부전도 반응이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보다 큰 경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이 높은 것으로 결정되고, 그렇지 않으면 긴장감 레벨이 낮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학습자가 문항에 응답할 때 학습자의 심박 변이도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이 높은 것으로 결정되고, 그렇지 않으면 긴장감 레벨이 낮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문항에 응답할 때 학습자의 피부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3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이 높은 것으로 결정되고, 그렇지 않으면 긴장감 레벨이 낮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학습자의 피부전도 반응, 심박 변이도 및 피부온도가 복합적으로 고려되어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learner responds to an item, if the learner's skin conduction respons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the learner's tense level is determined to be high, otherwise the tense level can be determined to be low. Alternatively, when the learner responds to the item, the learner's tension level is determined to be high when the learner's heart rate variability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econd threshold, and otherwise, the tense level may be determined to be low. Further, when the learner responds to the item, the learner's tense level is determined to be high when the learner's skin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hird threshold, and otherwise the tense level can be determined to be low. Alternatively, the learner's level of tension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learner's skin conduction response, heart beat variability, and skin temperature in a complex manner.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생리 데이터의 평상시 기저반응과 각 문항에 응시하는 구간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여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determine the level of the learner's level by comparing the baseline response of the physiological data with the response to the section of each question.

시험 전 빈 화면과 차분한 배경음을 제시하는 동안 피부전도 반응, 심박 변이도, 피부 온도를 측정하여 생리 데이터 유형별로 학습자의 평소 생리 데이터 반응 값인 기저반응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자의 생리 데이터에 대한 기저반응 값이 표 1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By measuring skin conduction response, heart beat variability, and skin temperature while presenting a blank screen and a calm background sound before the test,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basal response, which is the normal physiological data response value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type of physiological data. The baseline response values for the learner's physiological data may be generated as shown in Tabl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심박변이Heart beat variation 피부반응Skin reaction 피부온도Skin temperature 생리데이터의 기저반응Basal response of physiological data 44.344.3 3.43.4 36.536.5

이후 시험 단계에서 각 문항에 응답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생리 데이터의 평균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문항1을 해결하는 데 총 10초의 시간이 소요된 경우, 해당 10초 동안 해당 학습자의 심박변이, 피부반응 및 피부온도 등 생리 데이터를 측정해서, 해당 10초 동안의 생리 데이터의 평균 값이 계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생리 데이터의 평균 값은 표 2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In the test step, an average value of physiological data corresponding to a section responding to each item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if a learner takes a total of 10 seconds to solve item 1, physiological data such as heart rate variability, skin reaction, and skin temperature of the learner are measured for 10 seconds, Can be calculated. The average value of the physiological dat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generated as shown in Table 2.

문항별 생리데이터와 기저반응의 차Physiological data by item and difference of basal response 심박변이Heart beat variation 피부반응Skin reaction 피부온도Skin temperature 문항1Question 1 44.144.1 3.33.3 36.536.5 문항2Question 2 45.245.2 3.83.8 36.436.4 문항3Question 3 44.844.8 3.53.5 36.536.5

기저반응보다 피부전도 반응, 심박 변이도의 평균이 높은 경우, 피부 온도 값이 낮은 경우, 각 생리 심리 데이터의 긴장감 레벨을 상 수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저반응보다 피부전도 반응, 심박 변이도의 평균이 같거나 낮은 경우, 피부 온도 값이 같거나 높은 경우, 각 생리 심리 데이터의 긴장감 레벨을 하 수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긴장감 레벨이 표 3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If the skin conduction response, heart rate variability is higher than the baseline response, and the skin temperature is low, the level of tensions in each physiological data can be determined at the upper level. If the skin conduction response, heart rate variability average or lower than the baseline response is the same, or if the skin temperature value is the same or higher, the tense level of each physiological data can be determined as the lower lev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nse level can be determined as shown in Table 3. [

기저반응과 문항별 데이터 간 비교Comparison between baseline response and question-based data 심박변이Heart beat variation 피부반응Skin reaction 피부온도Skin temperature 문항1Question 1 Ha Ha Ha 문항2Question 2 Prize Prize Prize 문항3Question 3 Prize Prize Ha

이후 문항별로 각 생리 데이터별 긴장감 레벨의 과반수가 상 수준이면 최종 긴장감 레벨을 상 수준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과반수가 하 수준이면 최종 긴장감 레벨을 하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최종 긴장감 레벨은 표 4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If the majority of the tense levels of each physiological data item is the upper level, the final tense level is judged as the upper level. If the majority of the tense level is the lower level, the final tense level can be judged as the lower lev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nal tense level may be determined as shown in Table 4.

기저반응과 문항별 데이터 간 비교Comparison between baseline response and question-based data 심박변이Heart beat variation 피부반응Skin reaction 피부온도Skin temperature 과반수majority 최종 긴장감 레벨Final tension level 문항1Question 1 Ha Ha Ha 이하Below Ha 문항2Question 2 Prize Prize Prize 초과Excess Prize 문항3Question 3 Prize Prize Ha 초과Excess Prize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문항에 응답한 학습자의 손에 분비된 땀의 정도에 기초한 피부전도 반응 수준의 문항별 평균, 학습자의 심장주기에 대한 변이에 기초한 심박 변이도의 문항별 평균, 학습자가 주로 사용하지 않는 손의 중지에서 측정된 피부온도 수준의 문항별 평균 중 적어도 하나를 생리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의 생리 데이터를 각각의 기저반응과 문항별 평균을 비교하여 문항별 긴장감 상하 레벨을 구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es the average of the items of the skin conduction response level based on the degree of sweat secreted by the learner's hand responding to the item, the average of the items of the heart rate variability based on the variation of the learner's heart cycle, At least one of the average of the items of the skin temperature level measured at the hand stop which is not mainly used by the learner can be used as physiological data. The learning level judgment device can classify the three types of physiological data by the basis reaction and the average of the items to determine the upper and lower levels of the tensions per item.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정답인 경우에 긴장감 레벨의 유형을 몰입으로 결정하고,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오답인 경우에 긴장감 레벨의 유형을 불안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determine the type of the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the learner's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For example, if the learner's answer to the question is correct,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es the type of the tense level as the immersion, and if the learner's response to the item is an incorrect answer, the type of the tense level can be determined as anxiety have.

단계(230)에서,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 및 긴장감 레벨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성취도 레벨 및 긴장감 레벨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3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In step 230,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determines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the learner's performance level and the tense level. For example,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can determine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as one of the three types based on the achievement level and the tense level.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learning level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판단된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기초하여 결정된 후속 학습을 학습자로 제공할 수 있다. 후속 학습을 학습자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can provide the learner with subsequent learning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ed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subsequent learning to the learne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 수준의 유형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types of learning lev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의 3가지 유형을 나타낸 테이블(300)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3, a table 300 illustrating three types of learning lev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일실시예에 따라 테이블(300)은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과 긴장감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3가지 유형의 학습 수준을 나타낼 수 있다. 학습자의 학습 수준은 3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판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ble 300 may represent three types of learning levels that are determined based on the learner's performance level and the tense level.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can be judged to be one of the three types.

일실시예에 따른 생리 데이터는 문항의 난이도나 학습자의 선수학습 수준에 의해 발생하는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학습자의 긴장감은 몰입으로 발현되어 학습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또는 불안으로 발현되어 학습을 저해할 수도 있다.The physiological dat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indicate the level of the tense of the learner caused by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or the level of the player's learning of the learner. Learner 's tense is expressed as immersion, which helps learning, but it can also manifest itself as anxiety and inhibit learning.

예를 들어,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정답이면 성취도 레벨이 높다고 진단하고, 이 때 긴장감 레벨이 높으면 몰입 수준이 높다고 진단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몰입을 통해 높은 성취도를 획득하였으므로,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해당 문항이 다루는 학습내용에 대한 자신의 지식, 높은 집중력 및 많은 노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1 유형으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진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learner 's answer to the question is correct, it is diagnosed that the level of achievement is high, and if the level of tension is high, it can be diagnosed that the level of commitment is high. Because of the high level of commitment, the learning level decision device is the first type that can solve problems through knowledge, high concentration, and a lot of effort on the learning content covered by the item. Can be diagnosed.

또한,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정답이면 성취도 레벨이 높다고 진단하고, 이 때 긴장감 레벨이 낮으면 몰입 수준이 낮다고 진단할 수 있다. 낮은 수준의 몰입에서도 높은 성취도를 획득하였으므로,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높은 전문성으로 해당 문항이 다루는 학습내용에 익숙함을 느끼고 많은 노력이 없이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2 유형으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진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learner 's answer to the question is correct, it is diagnosed that the level of achievement is high, and if the level of tense is low, the level of commitment is low. Because of the high level of achievement achieved at low levels of immersion, the level-of-learning instrument is a second type of problem-solving method that allows students to feel familiar with the content of the topic .

또한,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오답이면 성취도 레벨이 낮다고 진단하고, 긴장감 레벨이 높으면 불안이 높다고 진단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불안을 느끼며 낮은 수준의 성취도를 획득하였으므로,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문제를 해결하고 싶으나 불안으로 인해 능력을 발휘하지 못한 제3 유형으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진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learner 's response to the question is an incorrect answer, it is diagnosed that the achievement level is low, and if the tense level is high, the anxiety is diagnosed to be high. Because of the high level of anxiety and low level of achievement,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device can diagnose the level of learning of the learner by the third type that wants to solve the problem but does not show ability due to anxiety.

또한,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오답이면 성취도 레벨이 낮다고 진단하고, 긴장감 레벨이 낮으면 불안 수준이 낮다고 진단할 수 있다. 낮은 수준의 불안을 느끼며 낮은 성취도를 획득하였으므로,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문항 해결에 대한 낮은 수준의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제4 유형으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진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learner 's response to the question is an incorrect answer, it is diagnosed that the level of achievement is low, and if the level of tension is low, the level of anxiety is low. Because of the low level of anxiety and low achievement level, the learning level judgment device can diagnose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with the fourth type that has low level interest and effort in solving the problem.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 수준에 따라 제공되는 후속 학습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follow-up learning provided according to a learning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에 따라 제공되는 3가지 후속 학습을 나타낸 테이블(400)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4, a table 400 is shown showing three subsequent learning provided according to a learning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라 적절한 후속 학습을 학습자로 제공할 수 있다.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ovide appropriate follow-up learning to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예를 들어,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제1 유형의 학습자에게 해당 문항이 다루는 학습 내용에 대한 연습문제를 한번 더 제시하여 학습자가 학습내용에 익숙해지고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뒤, 도전적 학습(예컨대, 난이도가 높은 학습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device provides the learner of the first type with an exercise question about the learning contents covered by the item so that the learner can become accustomed to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and increase the expertise, It is possible to provide learning contents having a high degree of difficulty).

또한,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제2 유형의 학습자에게 해당 문항이 다루는 학습 내용보다 도전적인 난이도의 학습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can present the learning contents of challenging difficulty to the second type of learners rather than the learning contents covered by the corresponding items.

또한,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제3 유형의 학습자에게 격려 메시지를 제시한 후 후속학습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제3 유형의 학습자에게 불안을 낮출 수 있도록 학습에 대한 격려 메시지를 제시한 뒤, (a) 해당 문항이 다루는 학습내용과 (b) 해당 문항이 다루는 학습내용보다 기초적인 학습내용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후속학습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can provide follow-up learning options after presenting an encouragement message to the third type of learner. For example,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device presents an encouragement message for learning to lower anxiety to a third type of learner, and then (a) the learning content covered by the relevant item and (b) You can provide follow-up learning options that allow you to choose one of the basic learning content.

또한,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제4 유형의 학습자에게 동기 메시지를 제시한 후 후속학습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수준 판단 장치는 제4 유형의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흥미와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동기 부여 메시지를 제시한 뒤, (a) 해당 문항이 다루는 학습내용과 (b) 해당 문항이 다루는 학습내용보다 기초적인 학습내용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후속학습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can provide a follow-up learning option after presenting the synchronization message to the fourth type of learner. For example, the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device presents a motivation message to the fourth type of learner to feel the interest and necessity of the learning, and then, (a) the learning content covered by the question and (b) You can provide follow-up learning options that allow you to choose one of the basic learning content rather than the content.

학습 후 시험에 응시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높은 긴장감으로 인지적 부하가 발생하여 충분히 능력이 발휘되지 못하는 경우 학습자는 본래 능력보다 낮은 시험 점수를 받게 되고 절하된 평가로 인해 다시 긴장감이 증폭되는 악순환을 겪을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시험에서 높은 성취도를 받은 학습자 중 이미 높은 전문성을 획득하여 시험에 별다른 긴장감을 보이지 않는 학습자와 자신의 지식을 적용하여 문제를 풀기 위해 많은 긴장감을 느끼는 학습자의 학습 수준은 다를 것이며, 이에 따른 후속 학습도 달리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안은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과 긴장감 레벨에 따라 학습 수준을 3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판단함으로써, 판단된 유형에 따라 해당 학습자에게 적합한 후속 학습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f the learner experiences a cognitive load due to high tensions during the test, the learner will receive a lower test score than his / her original ability and undergo a vicious cycle in which the depressed evaluation amplifies the tension again. There may be a possibility. Or learners who have already achieved high level of expertise in the test and who do not show much tension in the test and learners who feel a lot of tension to solve problems by applying their knowledge will be different, It should be desig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 the learning level is determined to be one of the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learner's performance level and the tense level, thereby effectively providing follow-up learning suitable for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 수준 판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판단 장치(500)는 메모리(510), 프로세서(520) 및 센서(530)를 포함한다. 메모리(510), 프로세서(520) 및 센서(530)는 버스(bus)(54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emory 510, a processor 520, and a sensor 530. The memory 510, the processor 520, and the sensor 53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a bus 540.

메모리(510)는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메모리(510)에 저장된 명령어가 프로세서(520)에서 실행됨에 따라 앞서 언급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51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mory 510 may include instructions readable by a computer. The processor 520 may perform the aforementioned operations as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510 are executed in the processor 520. [ The memory 510 may be a volatile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프로세서(520)는 명령어들, 혹은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학습 수준 판단 장치(500)는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등 컴퓨팅 장치, 이동 전화, 스마트 폰, PDA,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등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rocessor 520 may execute instructions or programs. The learning level determining device 500 may be implemented as a part of various computing devic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tablet computer,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netbook,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a tablet computer, a laptop computer and the like.

프로세서(520)는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결정하고, 학습자가 문항에 응답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학습자의 생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 및 긴장감 레벨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한다.The processor 520 determines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learner based on the learner's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determines the level of the learner's learner based on the learner's physiological data obtained in the course of responding to the question,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achievement level and the tense level.

그 밖에, 학습 수준 판단 장치(500)에 관해서는 상술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level determining apparatus 500 can proces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such as an array,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세서 (Processor), 컨트롤러 (Controlle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Programmable Logic Element), 다른 전자 기기들 및 이것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hardware components)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functions) 또는 프로세스들(processes)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기록 매체(recording medium)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 기능들 및 프로세스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mable logic device such as one or mor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Logic Element,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combinations thereof. ≪ RTI ID = 0.0 >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r processe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and the software may be recorded in a recording medium. The components, functions and processe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appli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110: 학습자
120: 컴퓨팅 장치
121: 센서
110: Learners
120: computing device
121: sensor

Claims (14)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항에 응답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학습자의 생리 데이터(physiological data)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 및 상기 긴장감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
Determining an achievement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whether the learner has an answer to the question;
Determining a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physiological data of the learner obtained in the course of responding to the item by the learner; And
Determining a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the learner's achievement level and the tense level;
A learning level determination method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항에 응답하는 동안 상기 학습자의 손에 분비된 땀 정도에 기초한 피부전도 반응, 상기 학습자의 심장 주기에 대한 변이에 기초한 심박 변이도 및 상기 학습자의 피부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생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arner's tense level
Physiological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a skin conduction reaction based on the degree of sweat secreted in the hand of the learner, a heart rate variation based on a variation of the learner's heart cycle, and a skin temperature of the learner while the learner responds to the question And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tens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문항에 대한 상기 생리 데이터의 평균 값과 상기 학습자의 기저반응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arner's tense level
And determining a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the physiological data for the question and a base response value of the lear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문항에 대한 상기 생리 데이터의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arner's tense level
And determining a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the ranking of the physiological data for the ques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성취도 레벨이 높고 상기 긴장감 레벨이 높은 경우, 자신의 지식, 높은 집중력 및 많은 노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1 유형으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arning level
Wherein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is determined to be a first type that can solve the problem through knowledge, high concentration, and a lot of effort, if the level of the achievement is high and the level of the tension is hi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성취도 레벨이 높고 상기 긴장감 레벨이 낮은 경우, 높은 전문성으로 많은 노력이 없이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2 유형으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arning level
Wherein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is determined as a second type that can solve the problem without much effort with high professionalism when the performance level is high and the tense level is 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성취도 레벨이 낮고 상기 긴장감 레벨이 높은 경우, 문제를 해결하고 싶으나 불안으로 인해 능력을 발휘하지 못한 제3 유형으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arning level
Wherein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is judged to be a third type in which, if the performance level is low and the tense level is high, the user tries to solve the problem but fails to demonstrate his ability due to anxie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성취도 레벨이 낮고 상기 긴장감 레벨이 낮은 경우, 문제 해결에 낮은 수준의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제4 유형으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arning level
Wherein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is determined as a fourth type in which a low level of interest and effort is paid for problem solving when the performance level is low and the tense level is 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높게 결정하고, 상기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이 오답인 경우,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낮게 결정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arner's achievement level
Determining a level of achievement of the learner when the learner's response to the item is correct; and determining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learner to be low if the learner's response to the item is an incorrect ans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의 유형을 결정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arner's tense level
And determining a type of the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whether or not the learner has an answer to the ques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학습 수준에 기초하여 결정된 후속 학습을 상기 학습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학습 수준 판단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Providing the subsequent learning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ed learning level to the learner
The learning level determin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항을 응답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학습자의 생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며, 상기 학습자의 성취도 레벨 및 상기 긴장감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는,
학습 수준 판단 장치.
A processor; And
A memory including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able by the processor,
Lt; / RTI >
If the at least one command is executed in the processor,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learner on the basis of whether the learner has an answer to the question, and if the learner's physiology Determining a level of the learner's learner based on the data and determining a learner's level of learning based on the learner's achievement level and the tense level,
Learning level judgment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항에 응답하는 동안 상기 학습자의 손에 분비된 땀 정도에 기초한 피부전도 반응, 상기 학습자의 심장 주기에 대한 변이에 기초한 심박 변이도 및 상기 학습자의 피부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생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학습 수준 판단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Physiological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a skin conduction reaction based on the degree of sweat secreted in the hand of the learner, a heart rate variation based on a variation of the learner's heart cycle, and a skin temperature of the learner while the learner responds to the question And determines the tense level based on the tile leve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항에 대한 상기 생리 데이터의 평균 값과 상기 학습자의 기저반응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긴장감 레벨을 결정하는, 학습 수준 판단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And determines a tense level of the learner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the physiological data for the question and a base response value of the learner.
KR1020170101697A 2017-08-10 2017-08-10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earning level using physiological data KR102098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97A KR102098449B1 (en) 2017-08-10 2017-08-10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earning level using physiological data
US16/059,702 US20190051201A1 (en) 2017-08-10 2018-08-09 Learning situation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PCT/KR2018/009091 WO2019031869A1 (en) 2017-08-10 2018-08-09 Learning situation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97A KR102098449B1 (en) 2017-08-10 2017-08-10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earning level using physiological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221A true KR20190017221A (en) 2019-02-20
KR102098449B1 KR102098449B1 (en) 2020-04-07

Family

ID=6556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697A KR102098449B1 (en) 2017-08-10 2017-08-10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earning level using physiological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44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571A (en) * 2011-04-05 2012-10-15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of selecting supplementary learning contents using bio-electric signal
KR20120113573A (en) * 2011-04-05 2012-10-15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learning contents based on brainwave information
KR20120124772A (en) * 2011-05-04 2012-11-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nalysing focus and nonfocus states and method therof
KR20140117827A (en) * 2013-03-27 2014-10-08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A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encephalography signal correction
KR20160085577A (en) * 2015-01-08 2016-07-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sion of psychological state using bio signa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571A (en) * 2011-04-05 2012-10-15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of selecting supplementary learning contents using bio-electric signal
KR20120113573A (en) * 2011-04-05 2012-10-15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learning contents based on brainwave information
KR20120124772A (en) * 2011-05-04 2012-11-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nalysing focus and nonfocus states and method therof
KR20140117827A (en) * 2013-03-27 2014-10-08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A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encephalography signal correction
KR20160085577A (en) * 2015-01-08 2016-07-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sion of psychological state using bio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449B1 (en)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0551A1 (en)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 driven by real-time identification of engagement level
Hong et al. Intrinsic motivation of Chinese learning in predicting online learning self-efficacy and flow experience relevant to students’ learning progress
Kołakowska et al. Emotion recognition and its applications
Huddle et al. Taking apart the art: the risk of anatomizing clinical competence
Chen et al. Web‐based reading annotation system with an attention‐based self‐regulated learning mechanism for promoting reading performance
US100684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tudent learning by monitoring student cognitive state
Curran et al. A test of perfectionistic vulnerability following competitive failure among college athletes
Goudas et al. Self-regulated learning and students’ metacognitive feelings in physical education
EP315309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learning experience of a person
Gulz et al.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a teachable agent-based game in early mathematics as reflected in their gaze behaviors–an experimental study
Sharma et al. Information flow and cognition affect each other: Evidence from digital learning
Park et al. Secondary task as a measure of cognitive load
Lim et al. The effects of typing demand on emotional stress, mouse and keystroke behaviours
Hsu et al. Students’ efficacy profiles and outcomes of perceived 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support in physical education
KR1020984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earning level using physiological data
Vanacore et al. Benefit of gamification for persistent learners: Propensity to replay problems moderates algebra-game effectiveness
Noël et al. Hypersensitivity-to-interference in memory as a possible cause of difficulty in arithmetic facts storing
Alghabban et al. Student Perception of Usability: A Metric for Evaluating the Benefit When Adapting e-Learning to the Needs of Students with Dyslexia.
Brown et al. Assessment of engagement for intelligent educational agents: A pilot study with middle school students
Ying et al. Intuitive or Dependent? Investigating LLMs' Robustness to Conflicting Prompts
Lim et al. Exploring direct learning instruction and external stimuli effects on learner's states and mouse/keystroke behaviours
KR101955949B1 (en) A method for diagnosis of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disorde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Tang et al. A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movement specific reinvestment and motor performance
Kay et al. Empowering teachers to design learning resources with metacognitive interface elements
KR101006263B1 (en) Abacus calculation and mental arithmetic assessment system and assessment method using a beads' m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