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035A - 셀 스위칭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셀 스위칭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035A
KR20190017035A KR1020197000917A KR20197000917A KR20190017035A KR 20190017035 A KR20190017035 A KR 20190017035A KR 1020197000917 A KR1020197000917 A KR 1020197000917A KR 20197000917 A KR20197000917 A KR 20197000917A KR 20190017035 A KR20190017035 A KR 20190017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user data
layer
target
link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이선 에드워드 테니
수에롱 왕
하이보 수
하오 비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7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6/36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for reassigning the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releas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2 DU와의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는 단계 - 사용자 데이터 경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앙 유닛(CU)과 연결하는 경로이고, CU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제어 프로토콜 엔티티를 포함하고 있음 -; C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데이터와 제2 사용자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및 제1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CU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제1 DU에서 작동하도록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는(adapt) 단계 - 상기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제1 DU의 최상위 프로토콜 계층을 CU의 최하위 프로토콜 계층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음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스위칭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출원은 2016년 6월 10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62/348,475호("System and Method for Cell Switching")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는 2017년 4월 4일에 출원된 미국 정규출원 일련 번호 제15/478,908호("System and Method for Cell Switching")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그 전체 내용이 재현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포함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셀 스위칭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5세대(5G) 셀룰러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위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설계는 중앙 유닛(또는 제어 유닛)(centralized unit, CU) 및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이라고 불리는 엔티티 간에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분할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추정된다. 이러한 엔티티 간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분할이 유연할 수 있지만, 적어도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하위 계층을 포함하는 사용자 평면 그리고 PDCP +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하위 계층을 포함하는 제어 평면이 CU에 있을 것이고, 물리 계층(PHY) 하위 계층은 DU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간의 계층 2 하위 계층이 CU에 있거나 또는 DU에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하위 계층도 DU에 위치하여 스케줄링 과정에서 백홀 지연을 방지할 가능성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셀 스위칭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분산 유닛(DU)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1 DU가 제2 DU와의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link layer context transfer)에 참여하는 단계; 제1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는 단계 - 사용자 데이터 경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앙 유닛(centralized unit, CU)과 연결하는 경로이고, CU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제어 프로토콜 엔티티를 포함하고 있음 -; 제1 DU가 C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1 DU가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1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제1 DU가 제1 사용자 데이터와 제2 사용자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및 제1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CU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제1 DU에서 작동하도록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는(adapt) 단계 - 상기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제1 DU의 최상위 프로토콜 계층을 CU의 최하위 프로토콜 계층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음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1 DU가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CU에 대한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1 DU가 제3 사용자 데이터를 CU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사용자 데이터는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송신되는,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DU는 타깃 DU이고, 제2 DU는 소스 DU인,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하는 단계는, 제2 DU로부터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링크 계층 콘텍스트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콘텍스트인,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2 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2 DU가 제1 DU와의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하는 단계; 제2 DU가 CU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 - CU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제어 프로토콜 엔티티를 포함하고 있음 -; 제2 DU가 C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2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구축된 것을 나타내는 제1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DU가 제1 사용자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2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2 DU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CU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DU가 제1 지시를 수신한 후에 제2 사용자 데이터를 CU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2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2 DU가 제2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 - 제2 지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링크 계층을 제1 DU에 전송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롬프트하는 지시임 - 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C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CU가 CU와 제1 DU 간의 제1 경로의 해제에 참여하는 단계; CU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CU가 CU와 제2 DU 간의 제2 경로의 구축에 참여하는 단계; 및 CU가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제2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C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CU가 제1 경로를 해제하기 전에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제1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C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CU가 제2 DU로부터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링크 계층을 제1 DU에 전송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롬프트하는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1 DU 및 제2 DU와의 핸드오버에 참여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2 DU로부터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핸드오버에 참여하기 전에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제1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계층 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핸드오버에 참여한 후에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제2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계층 2 구성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2 DU 간의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DU가 제공된다. 제1 DU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래밍은, 제2 DU와의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며 -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 경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CU와 연결하는 경로이고, CU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제어 프로토콜 엔티티를 포함하고 있음 -; C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하고; 제1 사용자 데이터와 제2 사용자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와 CU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제1 DU에서 작동하도록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게끔(adapt) 제1 DU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여기서,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는 것은 제1 DU의 최상위 프로토콜 계층을 CU의 최하위 프로토콜 계층과 연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CU에 대한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3 사용자 데이터를 CU에 송신하도록 제1 DU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제2 DU로부터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신하도록 제1 DU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실시하면 분산 유닛 간에 사용자 장비의 계층 2 이동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와 중앙 유닛 간의 부담스러운 계층 3 시그널링이 회피된다.
본 개시 및 본 개시의 장점을 더 완전하게 이해하도록,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의 상위 레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계층 2 스위칭 절차를 수행하기 전의 예시적인 단절전 채널 접속(make before break)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강조하는 예시적인 계층 2 스위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SDU의 순서를 강조하는 예시적인 계층 2 스위칭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강조하는 예시적인 계층 2 스위칭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통신을 강조하는,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소스 DU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의 흐름도이다.
도 7b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통신을 강조하는,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소스 DU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통신을 강조하는,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타깃 DU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b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통신을 강조하는,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타깃 DU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CU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900)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UE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1000)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처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송수신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현재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동작과 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다양한 구체적인 상황에서 구현될 수 있는 많은 적용 가능한 발명 개념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작동시키는 방법의 예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5G 셀룰러 시스템이다.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예컨대 UE(105), UE(107), 및 UE(109)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 예컨대 DU(110)와 DU(112)를 더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NR 설계를 활용하지 않고 UE(109)를 서비스하는 향상된 LTE(eLTE)의 진화된 NodeB(eNB)(115)를 더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프로토콜 스택(122)과 제어 평면(control plane, CP) 프로토콜 스택(124)을 포함하는 원격의 중앙 유닛(centralized unit, CU)(120)을 더 포함한다. CU(120)는 eLTE eNB(115)와 코어 네트워크(CN)(125)뿐만 아니라 DU에도 연결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이 다수의 UE와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네트워크 엔티티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지만, 단순화를 위해 2개의 DU와 하나의 eLTE eNB, 그리고 3개의 UE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예시적인 것이고, 특정한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토폴로지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의 DU는 eLTE 시스템의 eNB(도면의 인터페이스 R3)에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일부 5G 셀룰러 시스템은 이웃하는 eLTE와 상호 작용하지 않고 소위 "독립형(standalone)"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범위나 사상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DU가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를 구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는 PHY 하위 계층 엔티티, MAC 하위 계층 엔티티, 및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하위 계층 엔티티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예로서, DU(110)는 PHY 하위 계층 엔티티(130), MAC 하위 계층 엔티티(132), 및 RLC 하위 계층 엔티티(134)를 포함한다. CU와 UP 역시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를 구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U와 UP는 사용자 평면에서 IP 및 PDCP 계층/하위 계층 엔티티를 구현하고, 제어 평면에서 RRC 및 PDCP 계층/하위 계층 엔티티를 구현한다. 예시적인 예로서, CU(120)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124)은 RRC/PDCP 하위 계층 엔티티(135)를 포함한다. RRC 엔티티와 PDCP 엔티티가 결합된 엔티티(135)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CU의 구현에 따라 단일 엔티티 또는 개별 엔티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5G 셀룰러 시스템의 NR 설계의 계층 모델을 나타내며, 하나의 CU가 다수의 DU를 관리한다(예를 들어, CU(120)가 DU(110)과 DU(112)를 관리한다). 도 1에 도시된 계층 모델은 집중화된 CU와 분산된 DU를 나타내고 있다. NR 설계가 하나 이상의 CU가 있는 상황으로 확장될 수 있지만, 도 1은 하나의 CU의 관리하에 있는 NR 무선 접속 네트워크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UE가 DU에 의해 서비스되고, UE가 이동할 때, UE와 DU 사이의 링크가 다른 DU로 재배치되거나 또는 절체된다. 계층 3 제어가 CU에 위치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CU의 제어하에 있는 다른 DU로의 UE의 링크의 재배치는 UE에 대한 계층 3 앵커 포인트의 대응하는 재배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계층 3 절차가 사용될 때 CU에서의 계층 3의 위치로 인해 무선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한 지연이 길어질 수 있다. CU와 DU 간의 시그널링 교환은 지연에 민감한 시그널링이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수반되는 지연의 크기는 CU-DU 인터페이스(도 1에서의 R1-C/R1-U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전송, CU에 의해 관리되는 네트워크 부하의 양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보안뿐만 아니라 패킷 처리의 제1 하위 계층(PDCP 하위 계층)이 CU에 위치하고 또한 MAC 하위 계층과 PHY 하위 계층이 DU에 있을 수 있도록, 계층 2 프로토콜 하위 계층이 CU와 DU 간에 분할되어 있다. 신뢰성 하위 계층(RLC 하위 계층)은 (도 1에는 DU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CU 또는 DU에 위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RLC 하위 계층이 CU에 위치하거나, 또는 심지어는 CU와 DU 간에 RLC 기능을 나누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다른 계층 또는 하위 계층이 있을 수 있지만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설명은 다음의 용어를 사용한다.
- 송수신점(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DU, eNB와 같이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 TRP는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이라고도 할 수 있다.
- CU: 제어 평면(CP)과 UP 모두에 대한 제어를 위한 중앙 엔티티. CU에 위치하는 프로토콜 계층은, CP 기능에 대한 제어하는 프로토콜 계층, 예를 들어 RRC 프로토콜 하위 계층뿐만 아니라 사용자 평면에 대한 전송 기능을 제어하는 계층/하위 계층, 예를 들어 PDCP 하위 계층을 포함한다. 논리적으로, 단일 CU는 DU, eNB, gNB(eNB에 해당하는 NR의 허용된 약어) 등과 같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셀 앵커 포인트를 관리할 수 있다. RRC/PDCP 하위 계층은 CU에 위치한다.
- DU: 무선 전개를 위한 분산된 엔티티. 하나의 DU가 하나 또는 복수의 RRU나 TRP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MAC/PHY 하위 계층은 경우에 따라 RLC 계층뿐만 아니라 DU에도 위치한다.
- 물리적 셀: TRP/RRU의 섹터 또는 하나 이상의 TRP/ RRU의 클러스터가 무선 계층에서 단일 개체로 나타나도록 조정된다.
종래의 셀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이, 물리적 셀 아이덴티티(physical cell identity)(PCI)과 같은 물리적 셀의 아이덴티티는 제한된 커버리지 영역 안에서 고유하다.
- 셀 앵커 포인트: RRC 계층 및 NG-C 인터페이스에서 계층 3 개념의 셀. 셀 앵커 포인트는 계층 3 앵커라고도 한다. 하나의 셀 앵커 포인트는 복수의 물리적 셀에 매핑될 수 있다(계층 2에 정의된 바와 같음). 전역 셀 식별자(예를 들어, 3GPP LTE에서의 셀 전역 아이덴티티(cell global identity, CGI))가 계층 3 앵커에서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현재 세대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계층 1, 계층 2, 계층 3에 걸쳐 셀이 공유된다. 계층 1과 계층 2에서 셀은 PCI로 구분되고, CGI는 계층 3에서 셀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PCI와 CGI는 3GPP LTE에서 동일한 범위를 정의하고 있다. 즉, 특정한 LTE 셀은 정확히 하나의 PCI와 정확히 하나의 CGI를 가지고 있다. 이 식별자는 계층 3에서 더 길고 전역적으로 고유한 식별자를 허용하기 위해서 다를 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셀 구조가 계층 2와 계층 3 간에 분리된다. 계층 1 셀 또는 커버리지 영역이 계층 2와 계층 3에 투명하다고 가정한다. 계층 2에서의 셀 개념은 물리적 셀이라고 한다. 3GPP LTE에서의 물리적 셀이 PCI에 의해 구별되기 때문에, 계층 2는 셀이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서 보이는 가장 낮은 레벨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계층 2 셀(예를 들어, DU)을 관리하는 계층 3 셀(예를 들어, CU)에는 계층 모델이 제공된다. 따라서, 셀 구조는 계층 2와 계층 3 사이에서 분리된다. 셀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앵커 포인트, 및 DU 영역 등과 같은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200)을 상위 레벨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200)은 계층 3 셀(205)을 포함한다. 계층 3 셀(205)은 복수의 계층 2 셀을 관리하는 CU(210)를 포함한다. 각각의 계층 2 셀은 DU로서 구현된다. 일 예로서, 계층 2 셀(215)은 DU(220)로서 구현된다. 일부 배치에서, CU는 복수의 계층 3 셀로 구성되며, 각 셀에는 계층 2 셀의 자체 보완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RRC 제어 시그널링으로 구현될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이 DU(계층 2)로 재배치된다. DU에서의 제어 시그널링은, 절차를 가속화하고 불필요한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피하기 위하여, 다양한 계층 2 하위 계층, 예컨대 RLC 하위 계층 또는 MAC 하위 계층 중 어느 계층에서의 시그널링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DU가 관련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계층 2에서 DU와 UE 간의 조정을 처리할 수 있기만 하면, CU에서의 계층 3 RRC 처리는 포함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평면 측면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셀 앵커 포인트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동안(계층 3 이동성을 피함)의 물리적 셀(계층 2 이동성) 간의 핸드오버가 고려된다. 표 1은 동등한 5G 기능을 가진 3GPP LTE RRC 기능을 나타내, 5G RRC(계층 3) 절차와 5G 계층 2 절차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 핸드오버 절차가 5G 시스템 내의 계층 2와 계층 3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성이 계층 2 앵커 포인트, 예를 들어 DU에 영향을 미칠 때 핸드오버(물리적 셀 변경)가 계층 2 셀 변경(Layer 2 cell change, L2CC)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계층 3 앵커 포인트,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CU가 변경될 때 계층 3 RRC 연결 재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표 1) 동등한 5G 기능을 갖는 3GPP LTE RRC 기능
Figure pct0000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계층 2 및/또는 계층 3 측정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예를 들어, DU, CU, CN 등)에서 계층 2 재배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측정은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하향링크 신호에 기초하여 UE에 의해 수행되어 네트워크에 보고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계층 2 재배치는 하나 이상의 DU 및 CU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세부사항은 UE에 투명하다. 일 예로서, 소스 DU(UE가 현재 접속된 DU)가 DU 간 스위칭에 대한 결정을 한다. DU의 결정 권한은 CU에 의해 선험적으로 허가될 필요가 있다. DU 스위칭에 관한 결정이 내려지는 상황에서, DU는 CU가 계층 2 스위칭과 관련된 데이터 전달 경로 스위칭을 준비하도록 이 결정을 보고한다. 잠재적인 타깃 DU, 하나 이상의 CU 등과 같은 다른 노드 역시 스위칭을 위한 결정에 기여할 수 있다.
예시적인 계층 2 스위칭 절차는 이하를 포함한다.
- 하위 계층 콘텍스트가 소스 DU에서 타깃 DU(계층 2 재배치가 완료된 후 UE가 접속될 DU)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소스 DU는 무선 링크에 대한 RLC 콘텍스트를 타깃 DU에 전송한다.
- 소스 DU <-> CU에서 타깃 DU <-> CU로 데이터 전달 경로가 절체된다.
- 계층 2 스위칭이 계층 2 제어 시그널링, 예를 들어 MAC 제어 요소(MAC CE)를 이용하여 소스 DU로부터 UE로 지시된다. 예를 들어, UE는 계층 2 스위칭 순서에 지시된 계층 2 구성의 변경에 따라 수정된 소스 DU와 함께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계층 2 구성을 이용하여 타깃 DU와의 통신을 시작하도록 트리거된다.
- UE가 타깃 DU에 의해 검출될 때, 예컨대 접속 절차 중에, 무선링크 데이터 통신이 시작된다.
계층 2 스위칭 절차의 변형은 타깃 DU와의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소스 DU와의 연결이 끊어지는 접속전 채널 단절(break before make) 절차뿐만 아니라 타깃 DU와의 연결이 소스 DU와의 연결이 끊기기 전에 이루어지는 단절전 채널 접속(make before break)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계층 2 스위칭 절차의 경우, RLC가 DU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CU와 DU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 패킷은 PD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CP protocol data unit, PDU)과 동일한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DU)이다. 대안적으로, RLC가 CU에 있으면, 패킷은 RLC PDU와 동일한 MAC SDU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는 DU 내의 최상위 계층 또는 하위 계층의 SDU로 구성되며, SDU는 CU의 하위 계층 또는 하위 계층의 PDU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접속전 채널 단절 계층 2 스위칭 절차의 다이어그램(300)이다. 다이어그램(300)은 접속전 채널 단절 계층 2 스위칭 절차에 참여하는 UE(305), 타깃 DU(307), 소스 DU(309), 및 CU(311)에 의해 교환되는 메시지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다이어그램(300)은 또한 다양한 장치에서의 프로토콜 스택, 그리고 프로토콜 스택 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링크 모니터링 및 링크 측정에 기초하여 재배치 결정이 이루어진다(블록 315). 재배치 결정은 소스 DU(309), 타깃 DU(307), 및/또는 CU(31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UE(305)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신호의 네트워크 모니터링이 재배치 결정을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된다. 소스 DU(309)와 타깃 DU(307)가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한다(이벤트 317). 소스 DU(309)와 CU(311)가 계층 2 경로 해제에 참여한다(이벤트 319). 콘텍스트 전송이 완료된 후에, 소스 DU(309)가 UE(305)로부터의 데이터 전달을 중단한다. 대신에, 소스 DU(309)가 나중의 포워딩을 위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한다(블록 321). 실질적으로 동시에, CU(311)가 UE(305)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중단한다. 대신에, CU(311)가 나중의 전송을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한다(블록 323). 이벤트 317의 시작과 이벤트 319의 종료 사이에서, UE(305)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소스 DU(309)에 도달할 수 있다. 소스 DU(309)가 계층 2 콘텍스트를 타깃 DU(307)에 이미 전송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다. 대신에, 소스 DU(309)가 하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나중에, 예를 들어 핸드오버의 완료 이후에 하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307)로 포워딩한다. 다이어그램(300)은 하향링크 데이터의 도착, 하향링크 데이터의 버퍼링,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포워딩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퍼링되고 포워딩될 하향링크 데이터의 양은, 단계 317 및 단계 319의 절차가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거의 동시적이어야 하므로 작다고 예측될 것이다. 유사하게, UE(305)와 타깃 DU(307) 사이의 연결이 이 시점에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에, CU(311)는 UE(305)를 위해 의도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하고(블록 323),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나중에 하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307)에 전송한다(이벤트 327).
CU(311)와 타깃 DU(307)는 계층 2 경로를 구축하는 데 참여한다(이벤트 325). CU(311)와 타깃 DU(307) 사이에 계층 2 경로가 구축된 상태에서, CU(311)는 CU(311)에 의해 버퍼링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307)에 포워딩한다(이벤트 327). 소스 DU(309)가 계층 2 스위칭 명령(예를 들어, MAC CE)과 같은 무선링크 트리거링 이벤트를 UE(305)에 송신한다(이벤트 329). 예를 들어, UE에 의한 자율적인 결정,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되는 이전에 구성된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되는 UE 거동 등에 기초하여, 무선링크 트리거링 이벤트없이 계층 2 스위칭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무선링크 트리거링 이벤트가 선택적일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 UE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 등과 같은 UE(305)와 타깃 DU(307) 사이의 활동(이벤트 331)이 발생하고, 타깃 DU(307)가 핸드오버 완료 지시를 소스 DU(309)에 송신한다(이벤트 333). 타깃 DU(307)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UE(305)에 송신한다(이벤트 335). 이벤트(333)에서의 핸드오버 완료 지시는 UE(305)가 타깃 DU(307)에 의해 검출되었다는 것 또는 타깃 DU(307)에 연결된다는 것을 DU(309)에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핸드오버 완료 지시는 UE(305)로부터 포워딩된 메시지라고 가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는 3GPP LTE 핸드오버와는 다르다.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소스 DU(309)는 CU(311)로의 후속 포워딩(이벤트 341)을 위해 상향링크 데이터의 버퍼링을 중지하고(블록 337), 버퍼링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307)에 송신한다(이벤트 339). 대안적으로, 소스 DU(309)가 버퍼링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CU(311)에 직접 포워딩할 수 있지만, 이 접근법은 계층 2 콘텍스트 정렬 불일치로 인한 잠재적인 추가 데이터 전송에 비용이 든다. 이벤트 317과 이벤트 339 사이에서, 계층 2과 계층 1 콘텍스트가 동기화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타깃 DU(307)로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포워딩이 예를 들어, 신뢰성 계층(예를 들면, RLC 하위 계층)으로 하여금 요청, 긍정응답, 소스 DU(309)에 의해 저장된 상향링크 데이터에 존재하는 임의의 다른 제어 정보를 처리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콘텍스트를 재정렬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저장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307)에 포워딩하는 것은 CU로 하여금 잠재적인 순서가 뒤바뀐(out-of-order) 도착을 야기하지 않고, 언제 모든 저장된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달되었는지 그리고 UE로부터의 새로운 상향링크 데이터가 CU(311)로 송신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도면에서는 UE(305)에서 CU(311)까지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흐름이 이벤트(317)에서 이벤트(341)로 인터럽트된다.
도 4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강조하는 예시적인 계층 2 스위칭 절차의 다이어그램(400)이다. 다이어그램(400)은 계층 2 스위칭 절차에 참여하는 UE(405), 타깃 DU(407), 소스 DU(409), 및 CU(411)에 의해 교환되는 메시지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블록(415)는 계층 2 스위칭이 일어나기 전의 계층 2 데이터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링크 모니터링 및 링크 측정에 기초하여 재배치 결정이 이루어진다(블록 417). 재배치 결정은 소스 DU(409), 타깃 DU(407), 및/또는 CU(41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스 DU(409)와 타깃 DU(407)가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한다(이벤트 419). 콘텍스트 전송의 완료 이후, 하향링크 데이터가 CU(411)에서 소스 DU(423)(이벤트 421)로 RLC SDU 형태로 송신된다(블록 423). 소스 DU(409)가 하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407)에 송신하고(이벤트 425), 타깃 DU(407)에서 하향링크 데이터가 RLC SDU의 형태로 버퍼링된다(블록 427). CU(411)와 소스 DU(409)가 계층 2 경로 해제 절차에 참여한다(이벤트 429). 계층 2 경로 해제 절차의 완료 이후에 그리고 새로운 계층 2 이전에 CU(411)와 타깃 DU(407) 간에는 경로가 구축되고, CU(411)가 UE(405)를 위해 의도된 임의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PDCP SDU 또는 PDCP PDU의 형태로 버퍼링한다(블록 431). CU(411)가 PDCP SDU를 수신하고, PDCP PDU를 타깃 DU(407)에 송신하기 전에 PDCP SDU를 버퍼링하고 나서 PDCP SDU를 PDCP PDU로 변환할 수 있거나, 또는 PDCP PDU를 타깃 DU(407)에 송신하기 전에 CU(411)가 수신된 PDCP SDU를 PDCP PDU로 변환하고 나서 PDCP PDU를 버퍼링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층 2 경로 해제 절차(이벤트 429) 및 계층 2 경로 구축(이벤트 433)이 단일 "경로 스위칭" 절차로 간주될 수 있다. 이벤트 429의 계층 2 경로 해제 절차의 완료 이후에, 소스 DU(409)가 CU(411)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더 이상 수신하지 말아야 한다. 소스 DU(409)가 이벤트 445까지 기다리지 않고 이벤트 441 이전에 하향링크 데이터 포워딩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핸드오버 성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CU(411)와 타깃 DU(407)가 계층 2 경로의 구축에 참여한다(이벤트 433). 계층 2 경로가 구축되면, CU(411)가 버퍼링된 PDCP PDU(블록 435)를 타깃 DU(407)(이벤트 437)에 송신하고, 타깃 DU(407)에서 PDCP PDU가 버퍼링된다(블록 435). 소스 DU(409)와 CU(411)로부터 수신되었을 수도 있는 버퍼링된 RLC SDU를 재정렬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CU(411)로부터 제1 SDU가 전달되기 전에, 소스 DU(409)로부터 수신된 마지막 SDU가 전달되어야 한다. CU(411)가 SDU를 소스 DU(409)에 계속 전달하고(이벤트 429 이전), 타깃 DU(407)에 계속 전달할 수 있다(이벤트 433 이후).
소스 DU(409)가 선택적으로, 계층 2 스위칭 명령(예를 들어, MAC CE)과 같은 무선링크 트리거링 이벤트를 UE(405)에 송신한다(이벤트 441). UE(405)와 타깃 DU(407) 사이의 활동(이벤트 443)이 발생하고, 타깃 DU(407)가 소스 DU(409)로 핸드오버 완료 지시를 송신한다(이벤트 445). 소스 DU(409)가 타깃 DU(407)(이벤트 449)에 임의의 나머지 RLC SDU를 송신하고(블록 447), 타깃 DU(407)가 하향링크 데이터를 UE(405)에 전송한다(이벤트 451). 블록 453이 계층 2 스위칭이 발생한 후의 계층 2 데이터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443과 이벤트 445가 3GPP LTE에 기반하고 있다. 핸드오버 절차를 완료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이 가능하다. 타깃 DU(407)가 언제 UE(405)가 도달하는지를 알고 또한 소스 DU(409)가 언제 UE(405)가 타깃 DU(407)에 의해 획득되는지를 알고 있는 한, 다양한 다른 접근법이 가능하다. 따라서, 3GPP LTE 기반의 기술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범위나 사상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5은 하향링크 SDU의 순서를 강조하는 예시적인 계층 2 스위칭 절차의 다이어그램(500)이다. 다이어그램(500)은 계층 2 스위칭 절차에 참여하는 UE(505), 타깃 DU(507), 소스 DU(509), 및 CU(511)에 의해 교환되는 메시지와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타깃 DU(507)가 계층 2 경로 스위치에 상대적으로 언제 하향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하향링크 데이터, 예를 들어 소스 DU(509) 또는 CU(511)로부터 RLC SDU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타깃 DU(507)가 순서대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DU(509)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는, 데이터가 타깃 DU(507)에 도달하는 순서와 무관하게 CU(511)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 앞에 UE로의 전달을 위해 항상 순서화된다. 따라서, 타깃 DU(507)는 소스 DU(509)가 마지막 SDU를 포워딩했다는 것을 지시할 때까지 양쪽의 소스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버퍼링한다. 일 예로서, 소스 DU(509)는 이벤트 515에서 마지막 하향링크 데이터가 포워딩되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고, 핸드오버(이벤트 519) 또는 이벤트 517의 완료 이전에 이벤트 515가 일어나고, 핸드오버 (이벤트 519)의 완료 이후에 이벤트 517이 일어난다. 타깃 DU(507)가 소스 DU(509)로부터 지시를 수신한 후, 타깃 DU(507)는 소스 DU(509)로부터 버퍼링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나서(이벤트 521) CU(511)로부터 버퍼링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이벤트 523).
도 6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강조하는 예시적인 계층 2 스위칭 절차의 다이어그램(600)을 도시하고 있다. 다이어그램(600)은 계층 2 스위칭 절차에 참여하는 UE(605), 타깃 DU(607), 소스 DU(609), 및 CU(611)에 의해 교환되는 메시지와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블록 615가 계층 2 스위칭이 일어나기 이전의 계층 2 데이터 경로이다.
링크 모니터링 및 링크 측정에 기초하여 재배치 결정이 이루어진다(블록 617). 재배치 결정은 소스 DU(609), 타깃 DU(607), 및/또는 CU(61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스 DU(609)와 타깃 DU(607)가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한다(이벤트 619). 소스 DU(509)와 CU(611)가 계층 2 경로 해제에 참여한다(이벤트 621). 계층 2 경로 해제의 완료 이후에, UE(605)가 계속 상향링크 데이터를 소스 DU(609)에 송신할 수 있다(이벤트 623). 하지만, 계층 2 경로가 해제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상향링크 데이터가 CU(611)에 송신될 수 없으며, 소스 DU(609)가 UE(605)로부터의 데이터를 RLC PDU 형태로 버퍼링한다(블록 625). 소스 DU(609)가 타깃 DU(607)와의 계층 2 스위칭이 완료될 때까지 UE(605)로부터의 RLC PDU를 버퍼링한다.
타깃 DU(607)와 CU(611)가 계층 2 경로 구축에 참여한다(이벤트 627). 소스 DU(609)는 선택적으로, 계층 2 스위칭(예를 들어, MAC CE)와 같은 무선링크 트리거링 이벤트를 UE(605)에 송신한다(이벤트 629). UE(605)와 타깃 DU(607) 사이의 활동이 발생하고(이벤트 631), 타깃 DU(607)가 핸드오버 완료 지시를 소스 DU(609)에 송신한다(이벤트 633). 소스 DU(609)가 버퍼링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607)에 송신한다(이벤트 635). 타깃 DU(607)가 CU(611)와의 계층 2 경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버퍼링된 상향링크 데이터가 타깃 DU(607)에 송신된다. 또한, 타깃 DU(607)가 소스 DU(609)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깃 DU(607)는 UE(605)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소스 DU(609)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부가 언제 CU(611)에 전송되었는지를 알고 있다. 타깃 DU(607)에 의한 제어는 CU(611)가 상향링크 데이터를 재정렬해야 하는 것을 방지한다. 최종적으로, RLC PDU를 타깃 DU(607)에 포워딩하면 타깃 DU(607) 내의 RLC 프로토콜 엔티티에 의해 PDU가 처리될 수 있고, RLC 프로토콜 엔티티는 UE로의 무선링크 연결을 요구하는 절차, 예를 들어 RLC 확인 모드(RLC AM)를 이용하여 전송되었던 PDU에 대한 UE 긍정응답을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타깃 DU(607)가 상향링크 데이터를 CU(611)에 송신한다(이벤트 637). 타깃 DU(607)가 계층 2 구성 정보를 UE(605)에 송신한다(이벤트 639). 계층 2 구성 정보는, UE(605)가 상향링크 정보를 타깃 DU(605)에 송신할 수 있도록 UE(605)에 정보를 제공한다. UE(605)가 상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607)에 송신한다(이벤트 641). 소스 DU(609)로부터의 모든 상향링크 데이터가 CU(611)에 송신될 때까지(블록 643), 타깃 DU(607)가 UE(605)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그 시점에 타깃 DU(607)가 UE(605)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CU(611)에 송신한다(이벤트 645). 블록 645는 계층 2 스위칭이 일어난 이후의 계층 2 데이터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를 CU(611)에 직접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하지만, CU(611)는 CU(611)에 위치한 PDCP 하위 계층 또는 상위 RLC 하위 계층에서 재정렬하는 것을 의미하는 RLC SDU의 정확한 순서를 보장해야 할 것이다.
도 7a는 하향링크 통신을 강조하는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소스 DU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700)의 흐름도이다. 작동(700)은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소스 DU에서 일어나는 작동을 나타낼 수 있다.
작동(700)은 재배치 결정에 참여하는 소스 DU(블록 705)로 시작한다. 재배치 결정은 소스 DU, 타깃 DU, 및 CU의 참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의 측정에 따라 재배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스 DU가 타깃 DU와의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한다(블록 707). 소스 DU가 CU(블록 709)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버퍼링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에 송신한다(블록 711). 소스 DU와 CU가 소스 DU와 CU 간의 계층 2 경로를 해제하기 위해 메시징을 교환한다(블록 713). 소스 DU가 선택적으로 무선링크 트리거링 이벤트를 송신할 수 있다. 소스 DU가 핸드오버를 완료한다(블록 715). 핸드오버를 완료하는 것은, 소스 DU가 UE와 타깃 DU 사이의 활동을 검출하는 것 그리고 소스 DU가 타깃 DU로부터의 핸드오버 완료 지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DU는 버퍼링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에 포워딩한다(블록 717).
도 7b는 상향링크 통신을 강조하는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소스 DU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750)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작동(750)은 소스 DU가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할 때 소스 DU에서 일어나는 작동을 나타낼 수 있다.
작동(750)은 재배치 결정에 참여하는 소스 DU로 시작한다(블록 755). 소스 DU, 타깃 DU, CU의 참여로 재배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의 측정에 따라 재배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스 DU가 타깃 DU와의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한다(블록 757). 소스 DU와 CU가 소스 DU와 CU 간의 계층 2 경로를 해제하기 위해 메시징을 교환한다(블록 759). 소스 DU가 UE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한다(블록 761). 소스 DU가 선택적으로 무선링크 트리거링 이벤트를 송신할 수 있다. 소스 DU가 핸드오버를 완료한다(블록 763). 핸드오버를 완료하는 것은, 소스 DU가 UE와 타깃 DU 사이의 활동을 검출하는 것 그리고 소스 DU가 타깃 DU로부터의 핸드오버 완료 지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DU가, 버퍼링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에 송신한다(블록 765).
제1 양태에서, 본 출원은 제1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제1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1 DU가 제2 DU와의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link layer context transfer)에 참여하는 단계; 제1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는 단계 - 사용자 데이터 경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앙 유닛(centralized unit, CU)과 연결하는 경로이고, CU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제어 프로토콜 엔티티를 포함하고 있음 -; 제1 DU가 C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1 DU가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1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제1 DU가 제1 사용자 데이터와 제2 사용자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및 제1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CU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제1 DU에서 작동하도록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는(adapt) 단계 -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제1 DU의 최상위 프로토콜 계층을 CU의 최하위 프로토콜 계층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음 - 를 포함한다.
제1 양태에 따른 제1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1 DU가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CU에 대한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1 DU가 제3 사용자 데이터를 CU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어느 선행하는 실시예 또는 제1 양태 자체에 따른 제1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데이터는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송신된다. 제1 양태의 어느 선행하는 실시예 또는 제1 양태 자체에 따른 제1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DU는 타깃 DU이고, 제2 DU는 소스 DU이다. 제1 양태의 어느 선행하는 실시예 또는 제1 양태 자체에 따른 제1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하는 단계는, 제2 DU로부터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어느 선행하는 실시예 또는 제1 양태 자체에 따른 제1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 계층 콘텍스트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콘텍스트이다.
도 8a는 하향링크 통신을 강조하는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타깃 DU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800)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작동(800)은 타깃 DU가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할 때 타깃 DU에서 일어나는 작동을 나타낼 수 있다.
작동(800)은 재배치 결정에 참여하는 타깃 DU로 시작한다(블록 805). 소스 DU, 타깃 DU, 및 CU의 참여로 재배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의 측정에 따라 재배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타깃 DU가 소스 DU와의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한다(블록 807). 타깃 DU가 하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한다(블록 809). 타깃 DU와 CU가 타깃 DU와 CU 간의 계층 2 경로를 구축하기 위해 메시징을 교환한다(블록 811). 타깃 DU가 CU로부터위 하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한다(블록 813). 타깃 DU가 핸드오버를 완료한다(블록 815). 핸드오버를 완료하는 것은, 타깃 DU가 UE와의 통신에 참여하는 것 그리고 핸드오버 완료 지시를 소스 DU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타깃 DU가, 버퍼링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UE에 송신한다(블록 809).
도 8b는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타깃 DU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850)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상향링크 통신을 강조하고 있다. 작동(850)은 타깃 DU가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할 때 타깃 DU에서 일어나는 작동을 나타낼 수 있다.
작동(850)은 재배치 결정에 참여하는 타깃 DU로 시작한다(블록 855). 소스 DU, 타깃 DU, 및 CU의 참여로 재배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의 측정에 따라 재배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타깃 DU가 소스 DU와의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한다(블록 857). 타깃 DU와 CU가 타깃 DU와 CU 간의 계층 2 경로를 구축하기 위해 메시징을 교환한다(블록 869). 타깃 DU가 핸드오버를 완료한다(블록 871). 핸드오버를 완료하는 것은, 타깃 DU가 UE와의 통신에 참여하는 것 그리고 핸드오버 완료 지시를 소스 DU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타깃 DU가 UE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뿐만 아니라 소스 DU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한다(블록 863). 타깃 DU가, 버퍼링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CU에 송신한다(블록 865).
제2 양태에서, 본 출원은 제2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제2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2 DU가 제1 DU와의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하는 단계; 제2 DU가 CU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 - CU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제어 프로토콜 엔티티를 포함하고 있음 -; 제2 DU가 C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2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구축된 것을 나타내는 제1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DU가 제1 사용자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른 제2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2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2 DU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CU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DU가 제1 지시를 수신한 후에 제2 사용자 데이터를 CU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어느 선행하는 실시예 또는 제2 양태 자체에 따른 제2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2 D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2 DU가 제2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 - 제2 지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링크 계층을 제1 DU에 전송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롬프트하는 지시임 - 를 포함한다.
도 9는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CU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900)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작동(900)은 CU가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할 때 CU에서 일어나는 작동을 나타낼 수 있다.
UE로의 전달을 위해 CU가 하향링크 데이터를 소스 DU에 송신하는 것으로 작동(900)이 시작된다(블록 905). CU가 CU와 소스 DU 간의 경로의 해제에 참여한다(블록 910). 이 경로가 해제되었기 때문에, CU가 UE를 위해 의도된 임의의 추가적인 하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한다(블록 915). CU가 CU와 타깃 DU 간의 경로를 구축하는 데 참여한다(블록 920). CU가, 버퍼링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UE에 전달하기 위해 타깃 DU에 송신한다(블록 925). CU가 상향링크 데이터(블록 930)를 수신한다.
제3 양태에서, 본 출원은 C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C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CU가 CU와 제1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 간의 제1 경로의 해제에 참여하는 단계; CU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CU가 CU와 제2 DU 간의 제2 경로의 구축에 참여하는 단계; 및 CU가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제2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른 C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C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CU가 제1 경로를 해제하기 전에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제1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의 어느 선행하는 실시예 또는 제3 양태 자체에 따른 C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CU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CU가 제2 DU로부터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0은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하는 UE에서 일어나는 예시적인 작동(1000)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작동(1000)은 UE가 계층 2 스위칭에 참여할 때 UE에서 일어나는 작동을 나타낼 수 있다.
UE가 CU를 위해 의도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소스 DU에 송신하는 것으로 작동(1000)이 시작된다(블록 1005). UE가 무선링크 트리거링 이벤트, 예컨대 계층 2 스위칭 명령(예를 들어, MAC CE)(블록 1010)을 수신한다. UE가 소스 DU와 타깃 DU 간의 핸드오버에 참여한다(블록 1015). UE가 타깃 DU와 UE 간의 연결을 위한 계층 2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블록 1020). UE가 타깃 DU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1025). UE가 CU를 위해 의도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타깃 DU에 송신한다(블록 1030).
제4 양태에서, 본 출원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링크 계층을 제1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에 전송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롬프트하는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1 DU 및 제2 DU와의 핸드오버에 참여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2 DU로부터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핸드오버에 참여하기 전에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제1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어느 선행하는 실시예 또는 제4 양태 자체에 따른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계층 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 자체의 어느 선행하는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핸드오버에 참여한 후에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제2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어느 선행하는 실시예 또는 제4 양태 자체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계층 2 구성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2 DU 간의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서, 본 출원은 제1 DU를 제공한다. 제1 DU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프로그래밍은, 제2 DU와의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며 -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 경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CU와 연결하는 경로이고, CU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제어 프로토콜 엔티티를 포함하고 있음 -; C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하고; 제1 사용자 데이터와 제2 사용자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와 CU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제1 DU에서 작동하도록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게끔(adapt) 제1 DU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여기서,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는 것은 제1 DU의 최상위 프로토콜 계층을 CU의 최하위 프로토콜 계층과 연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5 양태에 따른 제1 DU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래밍은,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CU에 대한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3 사용자 데이터를 CU에 송신하도록 제1 DU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어느 선행하는 실시예 또는 제5 양태 자체에 따른 제1 DU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래밍은, 제2 DU로부터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신하도록 제1 DU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도 11은 호스트 장치에 설치될 수 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처리 시스템(1100)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시스템(1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될 수 있거나(또는 배열되지 않을 수 있는) 프로세서(1104), 메모리(1106), 및 인터페이스(1110-111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4)는 계산 및/또는 다른 처리 관련된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어떤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컬렉션일 수 있으며, 메모리(1106) 프로세서(1104)가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되어 있는 어떤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컬렉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106)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110, 1112, 1114)는 처리 시스템(1100)이 다른 장치/컴포넌트 및/또는 사용자와 통신하게 하는 어떤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컬렉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110, 1112, 1114) 중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가 프로세서(1104)에서 호스트 장치 및/또는 원격 장치 상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 제어, 또는 관리 메시지를 통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인터페이스(1110, 1112, 1114) 중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 등)가 처리 시스템(1100)과 상호작용하도록/통신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 시스템(1100)은 도 11에 도시되지 않는 추가적인 컴포넌트, 예컨대 장기 스토리지(long term storage)(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시스템(900)은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인 네트워크 장치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처리 시스템(1100)은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또는 유선 전기 통신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측 장치, 예컨대 기지국, 중계국, 스케줄러, 제어기, 게이트웨이, 라우터,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 내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처리 시스템(1100)은 무선이나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측 장치, 예컨대 이동국,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개인용 컴퓨터(PC), 태블릿, 웨어러블 통신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워치 등), 또는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되어 있는 어떤 다른 장치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1110, 1112, 1114) 중 하나 이상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송수신기에 처리 시스템(1100)을 연결한다. 도 12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송수신기(1200)의 블록도이다. 송수신기(1200)는 호스트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1200)는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 커플러(1204), 송신기(1206), 수신기(1208), 신호 프로세서(1210), 및 장치 측 인터페이스(121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어떤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컬렉션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1204)는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있는 어떤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컬렉션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1206)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 상에서 전송에 적합한 변조된 캐리어 신호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는 어떤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컬렉션(예를 들어, 업컨버터, 전력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208)는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 상에서 수신된 캐리어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는 어떤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컬렉션(예를 들어, 다운 컨버터, 저잡음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210)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장치 측 인터페이스(들)(1212)를 통해 통신에 적합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데이터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는 어떤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컬렉션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측 인터페이스(들)(1012)는 신호 프로세서(1210)와 호스트 장치(예를 들어, 처리 시스템(1100),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포트 등) 내의 컴포넌트 간에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어떤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컬렉션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200)는 어떠한 유형의 통신 매체를 통해서도 시그널링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200)는 무선 매체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1200)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 예컨대 셀룰러 프로토콜(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LTE) 등),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WLAN) 프로토콜(예를 들어, 와이파이 등), 또는 어떤 다른 타입의 무선 프로토콜(예를 들어,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 통신(NFC) 등)에 따라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무선 송수신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방사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는 단일 안테나, 복수의 개별 안테나, 또는 다계층 통신, 예를 들어,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다중 입력 단일 출력(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SO),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MO) 등을 위해 구성된 멀티-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200)는 유선 매체, 예를 들어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등을 통해 시그널링을 송수신한다. 구체적인 처리 시스템 및/또는 송수신기는 도시된 컴포넌트 전부를 이용하거나 또는 컴포넌트의 서브 세트만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장치에 따라 통합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방법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단계가 대응하는 유닛 또는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송신 유닛 또는 송신 모듈에 의해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수신 유닛 또는 수신 모듈에 의해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처리 장치 또는 처리 모듈에 의해 신호가 처리될 수 있다. 전송 유닛/모듈, 저장 유닛/모듈, 구축 유닛/모듈, 및 적응 유닛/모듈에 의해 다른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유닛/모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유닛/모듈이 집적 회로, 예컨대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그 이점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개시 내용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제1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DU가 제2 DU와의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link layer context transfer)에 참여하는 단계;
    제1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는 단계 - 사용자 데이터 경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앙 유닛(centralized unit, CU)과 연결하는 경로이고, CU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제어 프로토콜 엔티티를 포함하고 있음 -;
    제1 DU가 C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1 DU가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1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제1 DU가 제1 사용자 데이터와 제2 사용자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및
    제1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CU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제1 DU에서 작동하도록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는(adapt) 단계 - 상기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제1 DU의 최상위 프로토콜 계층을 CU의 최하위 프로토콜 계층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음 -
    를 포함하는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DU가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CU에 대한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1 DU가 제3 사용자 데이터를 CU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데이터는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송신되는,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DU는 타깃 DU이고, 제2 DU는 소스 DU인,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하는 단계는,
    제2 DU로부터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링크 계층 콘텍스트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콘텍스트인, 제1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7. 제2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2 DU가 제1 DU와의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link layer context transfer)에 참여하는 단계;
    제2 DU가 중앙 유닛(centralized unit, CU)과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 - CU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제어 프로토콜 엔티티를 포함하고 있음 -;
    제2 DU가 C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2 DU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구축된 것을 나타내는 제1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DU가 제1 사용자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2 DU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CU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DU가 제1 지시를 수신한 후에 제2 사용자 데이터를 CU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2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제2 DU가 제2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 - 제2 지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링크 계층을 제1 DU에 전송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롬프트하는 지시임 -
    를 더 포함하는 제2 분산 유닛(D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0. 중앙 유닛(centralized unit, C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CU가 CU와 제1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 간의 제1 경로의 해제에 참여하는 단계;
    CU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CU가 CU와 제2 DU 간의 제2 경로의 구축에 참여하는 단계; 및
    CU가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제2 DU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앙 유닛(C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CU가 제1 경로를 해제하기 전에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제1 DU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앙 유닛(C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CU가 제2 DU로부터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앙 유닛(CU)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3.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링크 계층을 제1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에 전송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프롬프트하는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1 DU 및 제2 DU와의 핸드오버에 참여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2 DU로부터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핸드오버에 참여하기 전에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제1 DU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계층 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핸드오버에 참여한 후에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제2 DU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2 구성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2 DU 간의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8. 제1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제2 DU와의 링크 계층 콘텍스트 전송에 참여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며 -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 경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앙 유닛(centralized unit, CU)과 연결하는 경로이고, CU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제어 프로토콜 엔티티를 포함하고 있음 -,
    C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하고,
    제1 사용자 데이터와 제2 사용자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와 CU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제1 DU에서 작동하도록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게끔(adapt) 제1 DU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고,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정하는 것은 제1 DU의 최상위 프로토콜 계층을 CU의 최하위 프로토콜 계층과 연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분산 유닛(DU).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제2 DU로부터 수신되는 CU에 대한 제3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3 사용자 데이터를 CU에 송신하도록 제1 DU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제1 분산 유닛(DU).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제2 DU로부터 링크 계층 콘텍스트를 수신하도록 제1 DU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제1 분산 유닛(DU).
KR1020197000917A 2016-06-10 2017-05-19 셀 스위칭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70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8475P 2016-06-10 2016-06-10
US62/348,475 2016-06-10
US15/478,908 US10178702B2 (en) 2016-06-10 2017-04-04 System and method for cell switching
US15/478,908 2017-04-04
PCT/CN2017/085165 WO2017211171A1 (en) 2016-06-10 2017-05-19 System and method for cell switc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035A true KR20190017035A (ko) 2019-02-19

Family

ID=6057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917A KR20190017035A (ko) 2016-06-10 2017-05-19 셀 스위칭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178702B2 (ko)
EP (1) EP3456095B1 (ko)
JP (1) JP2019517760A (ko)
KR (1) KR20190017035A (ko)
CN (1) CN110036665B (ko)
AU (1) AU2017276424A1 (ko)
RU (1) RU2713442C1 (ko)
WO (1) WO2017211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9803A1 (en) * 2016-11-14 2018-05-17 Intel IP Corporation Dynamic protocol stack reset during radio handover
WO2018164469A1 (ko) * 2017-03-07 2018-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574967B (zh) 2017-03-13 2021-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EP3596998B1 (en) * 2017-03-14 2020-09-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viding communication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central unit node and distributed unit nodes
WO2018170377A1 (en) * 2017-03-17 2018-09-20 Intel Corporation Re-transmission of pdcp pdus by centralized nodes of a ran architecture
WO2018194498A1 (en) * 2017-04-21 2018-10-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service nodes for transferring a service session for a wireless device between service nodes associated to different base stations
WO2019035752A1 (en) * 2017-08-17 2019-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LINK MANAGEMENT IN A DIVIDED RAN ARCHITECTURE
JP6564827B2 (ja) * 2017-09-28 2019-08-21 株式会社Nttドコモ 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通信システム
CN109788517B (zh) * 2017-11-15 2023-04-0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Pcell或PScell管理方法及装置
CN110139387B (zh) * 2018-02-08 2022-02-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小数据的传输方法、网络侧du和网络侧cu
CN115002924A (zh) * 2018-02-08 2022-09-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小数据的传输方法、网络侧du和网络侧cu
WO2019160549A1 (en) * 2018-02-15 2019-08-22 Nokia Technologies Oy Coordinated selection of ran and core user plane compon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10351779A (zh) * 2018-04-03 2019-10-18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475256A (zh) * 2018-05-09 2019-11-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层二统计量的发送方法及节点设备
CN110650502B (zh) * 2018-06-26 2021-04-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及装置
CN110753372B (zh) * 2018-07-24 2023-05-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带处理分离架构中的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3618518B1 (en) * 2018-08-28 2022-11-30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for wireless network management and network node for implementing the same
US11419021B2 (en) * 2018-08-31 2022-08-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nnection re-direction method for UE and remote access node, UE using the same and remote access node using the same
CN111526559B (zh) * 2019-02-02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4615738A (zh) * 2019-02-03 2022-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定位的方法、网元、系统及存储介质
CN113785629A (zh) * 2019-02-11 2021-12-10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非陆地网络中的ue小区选择控制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US11895549B2 (en) 2019-02-11 2024-02-06 Nokia Technologies Oy Enhanced mobility in cellular deployments with network slicing
CN111836314A (zh) * 2019-04-22 2020-10-27 索尼公司 集中单元设备、用户设备、无线通信方法和存储介质
WO2021072727A1 (en) * 2019-10-18 2021-04-22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from non-standalone mode to standalone mode for new radio communications
WO2021134721A1 (zh) * 2019-12-31 2021-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以及系统
CN112511980B (zh) * 2020-11-06 2022-09-1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方法及装置
US11843982B2 (en) * 2020-12-14 2023-12-12 Qualcomm Incorporated Layer 1 and layer 2 mobility in multiple distributed unit deployments
CN115278865A (zh) * 2021-04-30 2022-11-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定位配置方法和电子设备
WO2022253485A1 (en) * 2021-06-03 2022-12-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adio access network data transfer for user equipment mo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0241A (en) * 1997-01-17 1999-07-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Centralized radio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an operator can select either the fixed network or the mobile to control the radio traffic therebetween
FI20040280A0 (fi) * 2004-02-23 2004-02-23 Nokia Corp Menetelmä pakettikytkentäisen kanavanvaihdon suorittamiseksi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WO2007116701A1 (ja) * 2006-03-28 2007-10-18 Ntt Docomo, Inc. 基地局および経路制御装置並びに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GB0616682D0 (en) * 2006-08-22 2006-10-04 Nec Corp Mobile telecommunications
US8660085B2 (en) * 2006-12-04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obile device from a source eNB to a target eNB
US8369854B2 (en) * 2006-12-19 2013-02-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ink layer control protocol implementation
JP4838181B2 (ja) * 2007-03-19 2011-12-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無線基地局
GB2449629A (en) * 2007-05-01 2008-12-03 Nec Corp Buffering numbered unsegmented PDCP SDUs in 3GPP system to assist efficient hard handover
JP5056851B2 (ja) 2007-07-27 2012-10-24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US8437306B2 (en) * 2007-08-08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Layer 2 tunneling of data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26618B1 (en) * 2007-08-14 2012-08-01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with data forwarding from source to target evolved node-b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1344400B1 (ko) * 2007-11-29 2014-0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간 핸드오버시의 패킷 포워딩 방법
KR101521886B1 (ko) * 2009-01-23 2015-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티피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2875673A4 (en) * 2012-07-17 2016-05-11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AND METHOD FOR PROACTIVE USER PLANE INTERCELLULAR TRANSFERS
EP2836011B1 (en) * 2013-08-09 2016-05-25 Alcatel Lucent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Base Station Transceivers and for a Mobile Transceiver Relating to Change of Payload Data Reception
WO2015131926A1 (en) 2014-03-04 2015-09-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Management International Gmbh Ran based gateway functions
KR102567917B1 (ko) * 2017-02-06 2023-08-17 알티오스타 네트웍스, 인코포레이티드 롱 텀 에볼루션 통신 시스템을 위한 다중-기술 집적 아키텍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7760A (ja) 2019-06-24
US10582470B2 (en) 2020-03-03
US20190037522A1 (en) 2019-01-31
RU2713442C1 (ru) 2020-02-05
CN110036665B (zh) 2021-06-15
AU2017276424A1 (en) 2019-01-03
EP3456095A4 (en) 2019-06-19
WO2017211171A1 (en) 2017-12-14
CN110036665A (zh) 2019-07-19
US20170359848A1 (en) 2017-12-14
EP3456095B1 (en) 2021-09-22
EP3456095A1 (en) 2019-03-20
US10178702B2 (en)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24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 switching
US11184886B2 (e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implementing carrier aggregation
KR101998016B1 (ko)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EP3588851B1 (en) Method for configuring an access network node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CN109905849A (zh) 使用多连接来对业务进行多播
EP3639551B1 (en) Ue context handling in a disaggregated radio access node
CN106941700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和基站及ue
JP2016513892A (ja) デバイス間通信の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TWI722851B (zh) 用於行動性增強之雙堆疊方法及其使用者設備
EP3226606B1 (en) Method for ran-wlan aggregation
JP2018500802A (ja) セカンダリ基地局ベアラの変更
CN107302773B (zh) 连接的建立方法、装置及系统
KR10224649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셀 네트워크 구축 방법 및 장치
JP2024503709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WO2022083732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WO2020150997A1 (en) Apparatus and methods to support dual-protocol for mobility enhancement
CN109076405A (zh) 异制式小区间切换的方法及装置
WO2021036963A1 (zh) 数据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04053146B (zh) 小小区承载的激活与去激活方法及设备
JP6298745B2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CA323511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23004601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의 inter-CU(central unit)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5022865A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KR2016014359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