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805A - 회전식 카드지갑 - Google Patents

회전식 카드지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805A
KR20190016805A KR1020170101214A KR20170101214A KR20190016805A KR 20190016805 A KR20190016805 A KR 20190016805A KR 1020170101214 A KR1020170101214 A KR 1020170101214A KR 20170101214 A KR20170101214 A KR 20170101214A KR 20190016805 A KR20190016805 A KR 20190016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card
wallet
mobil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17010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6805A/ko
Publication of KR2019001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6Wallets; Note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6Wallets; Notecases
    • A45C2001/065Wallets; Notecases combined with card hold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지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부 카드만이 지갑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카드 식별이 용이하고 사용 후 카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손쉽게 고정되도록 지갑본체; 및 내측에 카드가 수용되고 하부가 상기 지갑본체에 축결합되어 지갑본체에 전체가 포개진 원위치로부터 지갑본체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이동포켓;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포켓 및 지갑본체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포켓이 지갑본체의 내측으로 회전시 자석에 의해 원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카드지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카드지갑{Rotatable card wallet}
본 발명은 카드지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드 식별이 용이하고 카드 분실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회전식 카드지갑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멤버쉽 카드, 마일리지 카드 등 많은 카드를 지갑에 소지하고 다니고 있으며, 자주 이용하는 카드의 경우 지갑에서 꺼내어 윗옷이나 바지의 호주머니 속에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기도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움직이는 과정 또는 카드나 현금을 사용하기 위해 주머니로부터 빼고 넣는 과정에서 자신도 모른 체 주머니로부터 지갑이나 카드가 빠져 분실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갑이나 카드 분실의 우려를 줄일 수 있는 목걸이형 카드지갑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722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를 통해 제시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목걸이형 카드지갑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갑 본체(10)에 목줄(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지갑 본체의 안쪽면에는 카드나 현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포켓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다수의 카드를 수납가능하면서 사용자의 목에 걸고 다니므로 일반적인 지갑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지갑이나 카드를 분실할 우려가 적기는 하나, 수납된 카드 중 하나의 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수납된 카드가 모두 외부에 노출되므로 카드가 분실될 가능성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버스, 택시 등의 요금을 계산하기 위하여 카드지갑을 단말기에 접촉시 하나의 IC칩만이 인식되어야 하나 그러하지 못하고 복수의 IC칩이 인식되어 요금 계산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부 카드만이 지갑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카드 식별이 용이하고 사용 후 카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손쉽게 고정되는 회전식 카드지갑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회전식 카드지갑은 지갑본체; 및 내측에 카드가 수용되고 하부가 상기 지갑본체에 축결합되어 지갑본체에 전체가 포개진 원위치로부터 지갑본체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이동포켓;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포켓 및 지갑본체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포켓이 지갑본체의 내측으로 회전시 자석에 의해 원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가 수용된 이동포켓이 지갑본체와 포개진 상태에서 카드가 수용된 이동포켓을 지갑본체의 외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이동포켓과 지갑본체에 자석이 구비되어 회전된 이동포켓을 원위치로 회전시키는 경우, 자력에 의해 이동포켓이 지갑본체에 포개지는 상태인 원위치로의 이동이 유도될 뿐만 아니라, 원위치에 놓인 이동포켓은 회전되지 않도록 지갑본체에 손쉽게 고정되는바, 카드 분실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카드지갑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카드지갑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카드지갑에 적용된 이동포켓이 회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카드지갑에 지폐가 수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카드지갑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카드지갑의 이동포켓이 다수 개 구비되어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카드지갑에 자석이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카드지갑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본 발명에서는 일부 카드만이 지갑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카드 식별이 용이하고 사용 후 카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손쉽게 고정되도록 지갑본체; 및 내측에 카드가 수용되고 하부가 상기 지갑본체에 축결합되어 지갑본체에 전체가 포개진 원위치로부터 지갑본체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이동포켓;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포켓 및 지갑본체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포켓이 지갑본체의 내측으로 회전시 자석에 의해 원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카드지갑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회전식 카드지갑은 첨부된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회전식 카드지갑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갑본체(100) 및 내측에 카드(A)가 수용되고 상기 지갑본체(100)에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이동포켓(200)을 포함한다.
지갑본체(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갑본체(100)는 직물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물로 이루어진 전면커버지와 후면커버지가 박음질을 통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면커버지와 후면커버지 사이에 본체프레임이 구비되어 상기 지갑본체(100)를 견고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지갑본체(100)를 구성하는 전면커버지와 후면커버지에는 일부분이 개구되거나 수납커버지가 덧대어져 카드나 명함 등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갑본체(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되어 지폐가 수용되는 지폐수납공간(1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지갑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카드(A)가 내측에 수용되는 고정포켓(110)이 별도로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갑본체(100)는 하단부에 축결합되는 이동포켓(20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갑본체(100)의 상부가 접혀져 이동포켓(2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갑본체(100)의 상부는 이동포켓(200) 또는 지갑본체(100)에 수납되어 있는 카드(A)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동포켓(200)을 이하에서 설명할 자석(10)과 더불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덮개(130)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회전식 카드지갑을 사용자가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도록 상기 지갑본체(1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줄을 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인 회전식 카드지갑을 허리에 차고 다니거나 윗옷 또는 바지 등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가 상기 지갑본체(10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포켓(200)은 내측에 카드(A)가 수용되도록 카드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카드수용공간은 상기 지갑본체(100)와 마찬가지로 전면커버지와 후면커버지가 박음질을 통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지와 후면커버지 사이에 추후 설명할 프레임(210)이 구비되어 이동포켓(200)을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지와 후면커버지는 일부분이 개구되어 카드(A)를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개구된 지점은 전면커버지 또는/및 후면커버지의 상부 또는 중앙부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이동포켓(200b)과 같이 전면커버지 또는/및 후면커버지의 상부가 개구된 경우 이동포켓(200)의 내측에 수용되는 카드의 폭과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 개구된 부분을 통해 카드수용공간으로 카드가 수납되거나 카드수용공간으로부터 카드가 꺼내어진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이동포켓(200a)과 같이 전면커버지 또는/및 후면커버지의 중앙부가 개구된 경우 카드의 폭과 상관없이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개구되어 개구된 부분을 통해 카드수용공간에 수납된 카드를 손가락으로 밀어올려 카드를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이동포켓(200)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부가 상기 지갑본체(100)에 축결합되며, 상기 지갑본체(100)에 하나의 이동포켓(200)이 축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이동포켓(200)이 축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갑본체(100)의 일면에 고정포켓(110)이 형성된 경우 이동포켓(200)은 고정포켓(110)과 축결합된다.
상기 이동포켓(200)의 회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이동포켓(200)은 지갑본체(100)에 전체가 포개진 상태를 원위치로 하였을 때, 지갑본체(100)의 외측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카드가 수용된 이동포켓(200)을 지갑본체(100)의 외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가 어디에 수납되어 있는지 손쉽게 식별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이동포켓(200)이 포함된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가 수납되어 있는 이동포켓(200)을 사용자가 미리 알고 있다면 해당 이동포켓(200)만을 회전시켜 카드를 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중교통 이용시 교통카드가 수납된 이동포켓(200)만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바, 교통기능이 내장된 IC칩이 포함된 다수의 카드로 인해 교통요금 결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포켓(200) 및 지갑본체(100)에 자석(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석(10)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동포켓(200)이 지갑본체(100)의 내측으로 회전시 자석(10)에 의해 원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지갑본체(100)에 고정포켓(11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동포켓(200)과 맞닿는 상기 고정포켓(110)에 자석(10)이 구비된다.
상기 자석(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포켓(200)의 상단 중앙부 및 이에 대응되는 지갑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의 사용을 위해 지갑본체(100)의 외측으로 회전된 이동포켓(200)을 다시 지갑본체(100)의 내측으로 회전시 자력에 의해 이동포켓(200) 전체가 지갑본체(100)가 포개지는 상태인 원위치로의 이동이 유도되고, 원위치에 놓인 이동포켓(200)은 회전되지 않도록 지갑본체(100)에 손쉽게 고정되므로 카드 분실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다른 일 예로, 상기 자석(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포켓(200)의 상단 모서리부 각각을 비롯하여 이에 대응되는 지갑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에서 이동포켓(200)의 상단 중앙부에 자석(10)이 구비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동포켓(200)이 다수 개가 상호 포개지도록 구비되는 경우 부채 형태로 이동포켓(200)의 펼침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갑본체(100)의 일면에 고정포켓(110)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포켓(200)이 2개가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면, 최외곽에 위치한 일 이동포켓(200a)은 회전 후 왼쪽 모서리가 자석에 의해 타 이동포켓(200b)의 오른쪽 모서리와 겹쳐지게 되며, 타 이동포켓(200b)은 회전 후 왼쪽 모서리가 자석에 의해 고정포켓(110)의 오른쪽 모서리와 겹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부채 형태로 이동포켓(200a, 200b)을 펼침으로써 다수의 이동포켓(200a, 200b)에 수용되어 있는 카드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자석에 의해 상호 결합이 되어 있는바 이동포켓(200a, 200b)이 회전하여 카드가 빠져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포켓(200)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개구되고 자석(10)이 구비된 프레임(210)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의 개구된 부분은 카드(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어 내측에 카드(A)가 수용되며, 상기 프레임(210)의 두께를 조절하여 프레임(210) 내측에 카드(A)가 수용되는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포켓(200)에 구비되는 자석(10)은 상기 프레임(210) 이외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나, 자석(10)의 이동포켓(200) 내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210) 상에 자석(1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210)의 상단부에 자석(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위에서 이동포켓(200) 상에 자석이 구비되는 위치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10)의 상단 중앙부 또는 상단 모서리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 카드 10 : 자석
100 : 지갑본체 110 : 고정포켓
120 : 지폐수납공간 130 : 덮개
200(200a, 200b) : 이동포켓
210 : 프레임

Claims (7)

  1. 지갑본체(100); 및
    내측에 카드(A)가 수용되고 하부가 상기 지갑본체(100)에 축결합되어 지갑본체(100)에 전체가 포개진 원위치로부터 지갑본체(100)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이동포켓(200);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포켓(200) 및 지갑본체(100)에 자석(10)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포켓(200)이 지갑본체(100)의 내측으로 회전시 자석(10)에 의해 원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카드지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0)은 이동포켓(200)의 상단 중앙부 및 이에 대응되는 지갑본체(100)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카드지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0)은 이동포켓(200)의 상단 모서리부 및 이에 대응되는 지갑본체(100)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카드지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켓(200)이 다수 개가 상호 포개지도록 구비되어, 부채 형태로 이동포켓(200)의 펼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카드지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켓(200)은 내측이 개구되어 카드(A)가 수용되고 상단부에 자석(10)이 구비된 프레임(210)이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카드지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갑본체(100)는 내측에 카드(A)가 수용되고 자석(10)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포켓(200)과 축결합되는 고정포켓(110)이 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카드지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갑본체(100)는 이동포켓(20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지폐가 수용되는 지폐수납공간(120)을 형성하며 하단부가 이동포켓(200)과 축결합되되,
    상기 지갑본체(100) 상부는 접혀져 이동포켓(200)과 결합되는 덮개(1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카드지갑.
KR1020170101214A 2017-08-09 2017-08-09 회전식 카드지갑 KR20190016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14A KR20190016805A (ko) 2017-08-09 2017-08-09 회전식 카드지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14A KR20190016805A (ko) 2017-08-09 2017-08-09 회전식 카드지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805A true KR20190016805A (ko) 2019-02-19

Family

ID=65528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214A KR20190016805A (ko) 2017-08-09 2017-08-09 회전식 카드지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68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277A (ko) 2019-11-28 2021-06-07 최정태 스마트 카드 지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277A (ko) 2019-11-28 2021-06-07 최정태 스마트 카드 지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4028B2 (en) Front pocket wallet
US8923938B2 (en) Protective carrying apparatus for a cellular phone and essential personal items
US8707469B1 (en) Concealed smartphone pocket
US20140224390A1 (en) Handbag Insert Assembly and Method
KR20190016805A (ko) 회전식 카드지갑
EP2809195B1 (en) Wallet
US20140083578A1 (en) Card Retention Device
US20160286941A1 (en) Pocketed Sash
KR102196435B1 (ko) 위치 추적기능이 구비된 여행용 지갑
US8833408B1 (en) Wallet system
CN204032563U (zh) 便携式多功能手包
US20130305778A1 (en) Fashion Article Having a Concealed Storage Cavity
JP3062978U (ja) バッグ
JP3147397U (ja) 財布付きズボンおよび財布形成用生地材
JP3069364U (ja) 身体装着に適した財布
KR200473243Y1 (ko) 카드 케이스
JPH067531U (ja) 携帯用貴重品収容器
CN210642873U (zh) 一种钱包
US11191330B1 (en) Wallet
JP2017113130A (ja) 組み付け財布
JP3179237U (ja) 小型財布
CN206482154U (zh) 多功能钱包
CN209547342U (zh) 一种背包
JP3200292U (ja) スマートフォン収納着脱機能付ウォレット
JP3054119U (ja) 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