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839A - 공기안전대피소 - Google Patents

공기안전대피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839A
KR20190015839A KR1020170099532A KR20170099532A KR20190015839A KR 20190015839 A KR20190015839 A KR 20190015839A KR 1020170099532 A KR1020170099532 A KR 1020170099532A KR 20170099532 A KR20170099532 A KR 20170099532A KR 20190015839 A KR20190015839 A KR 20190015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artment
door
indoor
indo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쥴
Priority to KR102017009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5839A/ko
Publication of KR2019001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안전대피소는, 내부가 실내공간과 격실로 구분되고, 격실을 거쳐 실내공간으로 진입되는 구조를 가진 컨테이너박스; 격실로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실외도어와, 실내공간으로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실내도어가 구비된 도어부; 실내공간에 위치되고, 컨테이너박스에 마련된 공기유입구에 연결되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부; 실내공간과 격실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내부공기를 격실로 토출하는 제 1 댐퍼; 및 외부와 격실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격실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 2 댐퍼를 포함하고, 도어부는 실외도어 또는 실내도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는 개방되지 않도록 작동되어, 외부공기가 격실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공기안전대피소{Air safety shelter}
본 발명은 공기안전대피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화생방사고, 원자력사고, 바이러스 사고 등과 같이 공기가 오염된 경우에 대피하기 위한 공기안전대피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전쟁은 소총이나 미사일이 사용되는 기계전과 함께 화학전, 생물학전 및 방사능전을 통해 인명 대량 살상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화생방전이 발생되는 지역에서는 살포된 신경가스와 같은 화학가스,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 그리고 핵폭발에 의한 방사능 및 유해 분진에 대해 대다수의 인명이 그대로 노출되어 무방비로 희생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화생방전에 의해 대기중을 통해 전파되는 각종 유해가스 및 미생물 오염으로 사고 당한 사람은 아트로핀주사나 기타 해독제와 같은 기타 해독수단을 사용하여 회복될 수 있는 정도로, 화생방전에 대한 적극적인 보호수단이 제공되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해당 사고에 대해 수동적으로 해독 대처하는 등으로 인명보호에 한계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20-0198187호에는 인명보호용 화생방 방호실이 개시되어 있습니다.
본 발명은 화생방사고, 원자력사고, 바이러스 사고 등과 같이 공기가 오염된 경우에 대피하기 위한 공기안전대피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생방전 발발시나 기타 천재지변시에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유해가스나 미생물과 같은 화생방 오염물질이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상태로 정화하여,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이 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막아 위험에 대피할 수 있는 공기안전대피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안전대피소는, 내부가 실내공간과 격실로 구분되고, 격실을 거쳐 실내공간으로 진입되는 구조를 가진 컨테이너박스; 격실로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실외도어와, 실내공간으로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실내도어가 구비된 도어부; 실내공간에 위치되고, 컨테이너박스에 마련된 공기유입구에 연결되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부; 실내공간과 격실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내부공기를 격실로 토출하는 제 1 댐퍼; 및 외부와 격실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격실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 2 댐퍼를 포함하고, 도어부는 실외도어 또는 실내도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는 개방되지 않도록 작동되어, 외부공기가 격실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공기정화부에 연결된 송풍팬; 및 송풍팬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회전페달이 구비되어, 수동으로 공기정화기로 외부공기를 제공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송풍팬은 자전거의 휠을 대체하여 자전거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부는, 실외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 실내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 및 실외도어와 실내도어가 모두 개방되지 않도록 실외도어의 잠금부 및 실내도어의 잠금부의 잠금동작을 제어하는 도어잠금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격실에는 제2댐퍼와 연결된 격실덕트와, 격실덕트에 연결된 변기가 설치되고, 격실의 내부공기는 격실덕트를 경유하여 제2댐퍼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정화부는, 정화공기배출구가 마련된 공기정화하우징; 공기유입구와 공기정화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배관; 및 공기정화하우징에 내장되고, 외부공기를 필터링하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여, 복수의 필터에서 필터링된 내부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어, 실내공간이 외부보다 높은 양압을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필터는, 복수의 필터는 공기정화하우징으로 유입된 외부공기에서 큰 먼지를 필터링하는 프리필터; 프리필터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초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헤파필터; 및 헤파필터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화학가스 또는 방사선가스를 필터링하는 흡착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배관에는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표시 및 조절하는 유랑조절부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화생방전 발발시나 기타 천재지변시에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유해가스나 미생물과 같은 화생방 오염물질이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상태로 정화되어 피신중인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생방오염물질이 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막아 화생방 위험에 대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안전대피소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안전대피소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기에서, 오물수용부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공기유량부의 설치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안전대피소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안전대피소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안전대피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화생방사고, 원자력사고, 바이러스 사고 등과 같이 공기가 오염된 경우에 대피하는 곳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안전대피소(100)는, 컨테이너박스(110), 도어부, 공기정화부(120), 제 1 댐퍼(130) 및 제 2 댐퍼(15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박스(110)는 내부가 실내공간(111)과 격실(115)로 구분된다. 컨테이너박스(110)는 격실(115)을 거쳐 실내공간(111)으로 진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컨테이너박스(110)에는 공기유입구(111a) 및 공기배출구(117a)가 마련된다. 공기유입구(111a)는 실내공간(111)과 외부가 연통되게 위치된다. 공기배출구(117a)는 격실(115)과 외부가 연통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실외도어(114)가 설치된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서, 컨테이너박스(110)의 외부에는 실내공간(111)의 환경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160)가 설치된다. 표시부(160)는 실내공간(111)에서 공기정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여부, 및/또는 실내공간(111)에서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지 여부 등의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실내공간(111)에는 공기정화부(120) 및 제 1 댐퍼(130)가 설치된다. 제 1 댐퍼(130)는 실내공간(111)과 격실(115)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제 1 댐퍼(130)는 실내공간(111)의 내부공기를 격실(115)로 토출한다. 제 1 댐퍼(130)로는 초과압력댐퍼(overpressure damper)가 사용된다.
격실(115)에는 변기(140), 격실덕트(145) 및 제 2 댐퍼(150)가 설치된다. 변기(140)는 격실(115)에 마련된 화장실(117)에 설치된다. 화장실(117)은 화장실도어(117a)에 의해 실내도어와 실외도어 사이의 격실(115)과 구획된다.
변기(140)는 안전대피소용 변기가 사용된다. 변기(140)는 오물수용부(142)가 변기지지대(141)와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수용부(142)가 들어올려졌을 때, 격실(115) 내의 내부공기는 격실덕트(145)로 유입된다. 변기지지대(141)의 측면에는 복수의 공기유동홀(141a)가 마련된다.
격실덕트(145)는 변기지지대(141)의 내부공간(143)과 연통되게, 화장실에 설치된다. 격실덕트(145)는 공기배출구(117a)에 연결된다. 그리고, 공기배출구(117a)에는 제 2 댐퍼(150)가 설치된다. 제 2 댐퍼(150)는 격실(115)의 내부공기를 공기배출구(117a)를 통해 외부로 토출한다. 제 2 댐퍼(150)로는 초과압력댐퍼(overpressure damper)가 사용된다.
격실 내의 공기는 복수의 공기유동홀(141a)을 통해 변기지지대(141)의 내부공간(143)으로 유입되고, 격실덕트(145)를 경유하여 공기배출구(117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어부는 실외도어(114), 실내도어(112), 제 1 감지센서(114a), 제 2 감지센서(112a), 도어잠금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실외도어(114)는 격실(115)로 출입가능하게 컨테이너박스(110)에 설치된다. 실내도어(112)는 격실(115)에서 실내공간(111)으로 출입가능하게 컨테이너박스(110)에 설치된다. 실외도어(114)와 실내도어(112)는 격실(115)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컨테이너박스(110)에 위치된다. 실외도어(114) 및 실내도어(112)에는 창문이 마련된다. 실내공간(111)에서 외부를 볼 수 있도록 실외도어(114)의 창문과 실내도어(112)의 창문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컨테이너박스(110)에는 제 1 감지센서(114a) 및 제 2 감지센서(112a)가 설치된다. 제 1 감지센서(114a)는 실외도어(114)의 개폐를 감지한다. 제 2 감지센서(112a)는 실내도어(112)의 개폐를 감지한다. 제 1 감지센서(114a) 및 제 2 감지센서(112a)는 도어잠금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된다.
도어잠금제어부(미도시)는 실외도어(114)와 실내도어(112)가 모두 개방되지 않도록 실외도어(114)의 잠금부 및 실내도어(112)의 잠금부의 잠금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도어부는 실외도어(114) 또는 실내도어(112)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는 개방되지 않도록 작동되어, 외부공기가 격실(115)을 통해 실내공간(1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실외도어(114)가 개방되면, 실내도어(112)는 실외도어(114)가 락킹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열리지 않는다, 이는, 격실(115)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실내공간(1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내도어(112)가 개방되면, 실외도어(114)는 도어잠금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작동된다. 이는 실내도어(1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실외도어(114)가 갑자기 열리면, 실외도어(114)를 통해 외부공기가 실내공간(111)으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부(120)는 컨테이너박스(110)의 실내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정화한다. 공기정화부(120)는 실내공간(111)에 위치되며, 공기유입구(111a)에 연결된다.
공기정화부(120)는 연결배관(122), 공기정화하우징(123) 및 복수의 필터(124, 125, 126)로 이루어진다. 공기정화부(120)는 복수의 필터(124, 125, 126)에서 필터링된 내부공기가 실내공간(111)으로 토출되어, 실내공간(111)이 외부보다 높은 양압을 유지되게 한다.
공기정화하우징(123)은 실내공간(111)에 위치된다. 공기정화하우징(123)은 연결배관(122)에 의해 공기유입구(111a)에 연결된다. 연결배관(122)은 플렉시블하게 휘어지는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배관(122)에는 필터부(12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121)는 공기유입구(111a)를 통해 연결배관(122)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1차적으로 필터링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배관(122)에는 공기유입구(11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표시 및 조절하는 유량조절부(180)가 더 설치된다. 유량조절부(180)는 공기유동판(181), 눈금표지판(183) 및 유량조절나사(185)로 이루어진다. 눈금표지판(183)은 연결배관(122)의 외부에 위치된다.
공기유동판(181)은 일단이 연결배관(122)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눈금표지판(183)에 위치된다. 공기유동판(181)은 연결배관(122)과 눈금표지판(183)이 맞닿는 부분의 한 지점을 중심점으로 하여, 연결배관(122)에 연결된다.
눈금표지판(183)은 각도기와 같은 반원형 형상으로, 눈금이 표시된다. 공기유동판(181)의 타단은 눈금표지판(183)에 표시된 눈금을 가리키도록 눈금표지판(183)에 연결된다. 공기유동판(181)의 일단은 연결배관(122)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회전각도가 가변된다. 이때, 공기유동판(181)의 타단은 공기유동판(181)의 일단의 회전각도만큼 위치가 가변되면서 눈금표지판(183)의 눈금을 가리킨다. 실내공간(111) 내의 사람은 눈금표지판(183)을 통해 연결배관(12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공기유동판(181)에는 유량조절나사(185)가 연결된다. 유량조절나사(185)는 연결배관(122)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하우징(123)에는 복수의 필터(124, 125, 126)가 내장된다. 복수의 필터(124, 125, 126)는 외부공기(Ain)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것이다. 복수의 필터(124, 125, 126)는 프리필터(124), 헤파필터(125) 및 흡착필터(126)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리필터(124)는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 중에 동물의 털, 머리카락, 큰 먼지 등을 필터링한다. 헤파필터(125)는 프리필터(124)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초미세입자를 필터링한다. 그리고, 흡착필터(126)는 헤파필터(125)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화학가스 또는 방사선가스를 필터링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정화부(120)의 작동시, 컨테이너박스(110)의 외부공기는 공기유입구(111a)를 통해 연결배관(122)으로 유입된다. 연결배관(122)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필터붕서 1차적으로 필터링된 후, 공기정화하우징(123)으로 유입된다.
공기정화하우징(123)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프리필터(124), 헤파필터(125) 및 흡착필터(12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후, 정화공기토출구(129)를 통해 실내공간(111)으로 토출된다.
실내공간(111)에 존재하는 내부공기(Aclean)는 제 1 댐퍼(130)를 통해 격실(115)로 토출된다. 이후, 격실(115) 내의 내부공기는 화장실로 유동되고, 격실덕트(145)를 경유하여 제 2 댐퍼(150)를 통해 외부로 도출된다. 제 2 댐퍼(150)의 작동시, 격실(115) 내의 내부공기와 함께 화장실의 냄새도 함께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외부의 오염물질의 실내공간(111)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실내공간(111)에서 순환된 내부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과정에서 화장실 냄새까지 외부로 토출할 수 있어, 컨테이너박스(110)의 내부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안전대피소(100)는 컨테이너박스(110)로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안전대피소(10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자전거(170a) 및 송풍부(170)를 더 포함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가 적용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연결배관(122)은 제 1 연결배관(122a)과 제 2 연결배관(122b)으로 구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부(120)에는 송풍부(170)가 연결된다. 송풍부(170)는 공기정화부(120)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송풍부(170)는 송풍하우징(171), 회전페달(173) 및 송풍팬(175)을 포함하여, 수동조작에 의해 외부공기를 공기정화기로 제공한다.
송풍하우징(171)에는 제 1 연결배관(122a)과 제 2 연결배관(122b)이 연결된다. 제 1 연결배관(122a)은 공기유입구(111a)와 송풍하우징(171)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 2 연결배관(122b)은 송풍하우징(171)과 공기정화하우징(123)을 연결한다. 송풍하우징(171)의 외부에는 회전페달(173)이 설치된다. 회전페달(173)은 자전거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송풍팬(175)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송풍하우징(171)에는 송풍팬(175)이 내장된다. 그리고, 송풍팬(175)은 자전거(170a)의 휠을 대체하여 설치된다. 송풍팬(175)은 회전페달(173)의 작동시 회전되게 송풍하우징(171)에 설치된다. 송풍팬(175)의 회전시, 외부공기를 공기정화부(120)로 블로잉한다.
송풍팬(175)에는 발전기(미도시)가 연결된다. 회전페달(173)의 조작에 의해, 송풍팬(175)의 회전시 발전기는 송풍팬(175)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된다. 발전기에 충전된 전기는 도어부, 제 1 댐퍼(130), 제 2 댐퍼(150)의 작동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공기안전대피소 110: 컨테이너박스
111: 실내공간 112: 실내도어
114: 실외도어 115: 격실
120: 공기정화부 140: 변기
141: 변기지지대 142: 오물수용부
145: 격실덕트 150: 제 2 댐퍼
160: 표시부 170: 송풍부
180: 유랑조절부

Claims (8)

  1. 내부가 실내공간과 격실로 구분되고, 상기 격실을 거쳐 상기 실내공간으로 진입되는 구조를 가진 컨테이너박스;
    상기 격실로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실외도어와, 상기 실내공간으로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실내도어가 구비된 도어부;
    상기 실내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컨테이너박스에 마련된 공기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부;
    상기 실내공간과 상기 격실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의 내부공기를 상기 격실로 토출하는 제 1 댐퍼; 및
    외부와 상기 격실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격실의 내부공기를 상기 외부로 토출하는 제 2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실외도어 또는 상기 실내도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는 개방되지 않도록 작동되어,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격실을 통해 상기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대피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정화부에 연결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회전페달이 구비되어, 수동으로 상기 공기정화기로 상기 외부공기를 제공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대피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자전거의 휠을 대체하여 상기 자전거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대피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실외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
    상기 실내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 및
    상기 실외도어와 상기 실내도어가 모두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실외도어의 잠금부 및 상기 실내도어의 잠금부의 잠금동작을 제어하는 도어잠금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대피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에는 상기 제2댐퍼와 연결된 격실덕트와, 상기 격실덕트에 연결된 변기가 설치되고,
    상기 격실의 내부공기는 상기 격실덕트를 경유하여 상기 제2댐퍼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대피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정화공기배출구가 마련된 공기정화하우징;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정화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배관; 및
    상기 공기정화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외부공기를 필터링하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필터에서 필터링된 내부공기가 상기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어, 상기 실내공간이 상기 외부보다 높은 양압을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대피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는
    상기 공기정화하우징으로 유입된 외부공기에서 큰 먼지를 필터링하는 프리필터;
    상기 프리필터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초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헤파필터; 및
    상기 헤파필터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화학가스 또는 방사선가스를 필터링하는 흡착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대피소.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표시 및 조절하는 유랑조절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대피소.
KR1020170099532A 2017-08-07 2017-08-07 공기안전대피소 KR20190015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532A KR20190015839A (ko) 2017-08-07 2017-08-07 공기안전대피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532A KR20190015839A (ko) 2017-08-07 2017-08-07 공기안전대피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839A true KR20190015839A (ko) 2019-02-15

Family

ID=6536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532A KR20190015839A (ko) 2017-08-07 2017-08-07 공기안전대피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58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0470B2 (en) Safe rooms and other such spaces and air processing systems for such safe rooms and spaces
EP1506023B1 (en) Air decontamination devices
KR101860904B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
EP1434012A2 (en) Air purifier
KR101518624B1 (ko) 환기형 공기정화장치
US20060248866A1 (en) Air decontamination system
CN111237917A (zh) 一种动静态结合式空气智能消毒净化设备
US7744682B2 (en) Multi-chamber air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KR20180007206A (ko) 벽체관통형 선택적 청정공기 공급장치
WO2005051437A2 (en) Portable filter unit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20180067465A (ko)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KR20050013858A (ko)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방법
WO2020045803A1 (ko) 물을 이용한 다용도 공기 청정기
KR20080050552A (ko) 인명보호용 다기능챔버
US20030101700A1 (en) Means of, and apparatus for, rapidly converting homes or other common structures into safe areas during biological or chemical attack
GB2448522A (en) Gas adsorption air filtering fan
KR101901847B1 (ko) 실내 유해가스 정화장치 및 실내 유해가스 정화장치의 필터 적층방법
KR102322052B1 (ko)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JP2007021099A (ja) 空気清浄機
CN212930287U (zh) 一种动静态结合式空气智能消毒净化设备
CN103398455B (zh) 酸性腐蚀气体环境中密闭空间安全防护与控制系统
KR100778492B1 (ko) 기중기용 공기정화 시스템
US74945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esired air pressure in a home
KR20190015839A (ko) 공기안전대피소
CN205641455U (zh) 一种空气净化消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