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835A - Device for connecting faucet and water pipe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nnecting faucet and water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835A
KR20190014835A KR1020170098859A KR20170098859A KR20190014835A KR 20190014835 A KR20190014835 A KR 20190014835A KR 1020170098859 A KR1020170098859 A KR 1020170098859A KR 20170098859 A KR20170098859 A KR 20170098859A KR 20190014835 A KR20190014835 A KR 2019001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opening
connection
wat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8138B1 (en
Inventor
황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9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138B1/en
Priority to PCT/KR2018/002222 priority patent/WO2019027114A1/en
Publication of KR2019001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8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1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connecting a faucet and a water pipe, including: a feed pipe (20) for feeding water from a water pipe into a faucet of sanitary devices such as a wash stand and a toilet bowl; and a first joint (40A) and a second joint (40B) connecting a first connecting end portion (21A) and a second connecting end portion (21B)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si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eed pipe (20) to a water outlet end portion (11) of the water pipe and an inlet water end portion (15) of the faucet in one-touch manner.

Description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DEVICE FOR CONNECTING FAUCET AND WATER PIP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ip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도관과 세면대, 양변기 등의 수전을 연결시키는 데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used to connect water faucets, wash basins, toilet flushes,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세면대나 싱크대, 양변기, 욕조나 샤워기 등의 위생기구에는 수전이 적용되고, 수전에는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수송하는 급수관이 연결된다.Generally, water supply is applied to a sanitary apparatus such as a sink, a sink, a toilet, a bathtub or a shower, and a water pipe for transporting water from the water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before the water pipe.

도 1은 일반적인 수전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전(1)은 물이 유입되는 입수단부(2)를 가진다. 입수단부(2)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두 개(냉수용과 온수용)가 구비될 수도 있다. 입수단부(2)는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급수관(3)은 입수단부(2)에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가 너트(nut, 4)에 의하여 체결되어 수전(1)과 연결된다. 물론, 너트(4)는 급수관(3)의 한쪽 단부에 급수관(3)의 관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너트(4)와 입수단부(2)는 수나사와 암나사에 의하여 서로 나사 결합이 된다. 참고로, 수전(1)에는 입수단부(2)를 제공하는 생크 볼트(shank bolt)가 장착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faucet. Referring to Fig. 1, the water receiver 1 has an water receiving end 2 into which water is introduced. Only one inlet end 2 may be provided or two (cold water and hot water) may be provided. The water inlet end portion 2 is formed with a male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water supply pipe 3 is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1 by one end of the water inlet end portion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nut 4. The nut 4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3 around the center of the tube of the water supply pipe 3 and the nut 4 and the water supply end 2 are screwed to each other by a male screw and a female screw. Lt; / RTI > For reference, a shank bolt for providing the inlet end portion 2 may be mounted on the water receiver 1.

급수관(3)은 수도관의 출수단부(길이방향 양쪽 단부 중 물이 유출되는 단부)에 길이방향의 다른 쪽 단부가 한쪽 단부와 마찬가지로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수도관과 연결된다. 물론, 수도관의 출수단부는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water pipe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by the nut similarly to the end of the water pipe 3 at the outflow end (the end where the water flows out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course, in the outlet portion of the water pipe, a male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그러나, 이와 같은 수도관과 수전 연결구조는, 수도관과 수전에 급수관(3)이 수나사와 암나사를 이용하는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점, 수전(1)의 입수단부(2)나 수도관의 출수단부가 거치적거림 또는 미관 저해 방지를 위하여 대체로 구석진 곳(예 : 위생기구의 하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적용되는 점 때문에, 수도관이나 수전에 급수관(3)을 연결하거나 유지와 보수 등을 위하여 연결을 해제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우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자(사용자)가 수도관이나 수전과 급수관(3)의 나사 결합 및 그 해제를 수행하려면 렌치(wrench)나 스패너(spanner)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야만 하고, 작업자가 구석진 곳에 위치한 입수단부(2)나 출수단부에 접근하기 어려운 데다, 접근 가능할지라도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힘든 문제가 있는 것이다.However,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are such that the water pipe (3)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3) by a combination method using a male screw and a female screw, that the water inlet end (2) (3)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or faucet, or disconnected for maintenance or repair, because it is usually located at a corner (for example, below or behind the sanitary apparatus) This is a very cumbersome, difficult and difficult problem. That is, a tool such as a wrench or a spanner must be used for the worker (user) to perform screw connection and disengagement of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supply pipe 3, ) Or the end of the water,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sufficient work space even if it is accessibl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1633호(2014.02.11.)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61633 (Feb.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도관과 수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급수관의 연결 및 수도관, 수전 또는 급수관의 유지와 보수를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a water supply pipe to at least one of a water pipe and a water faucet, and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 water pipe, faucet or water pipe more simply and conveniently.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관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세면대, 싱크대, 양변기, 욕조, 샤워기와 같은 위생기구의 수전(도 1의 도면부호 1 참조)으로 수송하기 위한 급수관(20)과; 상기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상기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각각 상기 급수관(20)의 길이방향 양쪽의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를 연결시키는 제1 조인트(first joint, 40A)와 제2 조인트(second joint, 40B)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단부(11)는 외주에 수나사(1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속단부(21A)는, 니플(nipple, 22)과; 상기 니플(22)의 양단 사이에 외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플랜지(flange, 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인트(40A)는 접속도관(410), 조인트 하우징(joint housing, 420), 로크 플레이트(lock plate, 430), 탄성력 부여수단(440) 및 너트(nut, 46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도관(410)은, 길이방향 양쪽의 제1 개방단부(411)와 제2 개방단부(412)를 가지고, 내부에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니플(22)이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니플(22)을 삽입 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end)에 상기 플랜지(23)가 접촉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길이방향 양단의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및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사이의 중간공간(도면부호 423, 424 및 425 참조)을 가지되, 상기 중간공간은 서로 연통된 도관 수용공간(423), 플랜지 수용공간(424) 및 관통공간(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연통되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상기 제1 개방단부(411)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는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 사이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 상태의 플랜지(23)를 수용하며, 상기 관통공간(425)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 사이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을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편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연통되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는, 상기 관통공간(425)에 상기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접속단부(21A)가 통과 가능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가져,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되거나 불일치되면서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상기 제1 접속단부(21A)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를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불일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제1 개방단부(411)의 외주에 수나사(413)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460)는,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개방단부(411)의 수나사(413)에 한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고, 상기 출수단부(11)의 수나사(12)에 다른 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된,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upply pipe 20 for transporting water provided from a water pipe to a faucet (see reference numeral 1 in Fig. 1) of a sanitary apparatus such as a sink, a sink, a toilet, a bathtub, and a shower; The first joint (21)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21B) o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pipe (20) to the water outlet end (11) of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inlet end the first connecting end portion 21A includes a first joint 40A and a second joint 40B and the outflow end portion 11 has a male thread 12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thereof, (nipple, 22); And a flange 23 provid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nipple 22. The first joint 40A includes a connecting conduit 410, a joint housing 420, a lock plate a lock plate 430 and an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and a nut 460. The connection conduit 410 includes a first open end 411 and a second open end 412, The nipple 22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 end 412 and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second open end 412 when the nipple 22 is inserted therein The flange 23 is contacted and the joint housing 420 has a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and a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Refer to reference numerals 423, 424, and 425), and the intermediate space includes a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Wherein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is communicated with the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conduit 4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open end 411 is communicated with the conduit opening 421, Is received in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in a state of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lead-out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is arranged to face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 end (412) The flange accommodating space 424 receives the flange 23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open end 412 between the connection end opening 422 and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The space 425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end opening 422 and the flange receiving space 424 so as to penetrate the joint housing 4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Out opening 422, and the lock plate 4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end- And a connection end through hole 431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through space 425 along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through space 425 and through which the first connection end 21A can pass, The first connection end portion 21A is allowed or blocked through the connection end portion opening / closing opening 422 while the connection end portion through-hole 431 coincides with or is inconsistent with the connection end portion opening / closing opening 422, The means 44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lock plate 430 to move the lock plate 4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end portion opening and closing opening 422 and the connection end portion through hole 431 are not mismatched, The conduit 410 is formed with a male screw 413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open end 411 and the nut 460 has the first open end 411 protruding through the conduit lead- One end of which is threadedly engaged with the male thread 413,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by screwing to the male screw 12 of the outflow end portion 11, may be provided.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세면대, 싱크대, 양변기, 욕조, 샤워기와 같은 위생기구의 수전(도 1의 도면부호 1 참조)으로 수송하기 위한 급수관(20)과; 상기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상기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각각 상기 급수관(20)의 길이방향 양쪽의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를 연결시키는 제1 조인트(first joint, 40A)와 제2 조인트(second joint, 40B)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단부(15)는 외주에 수나사(16)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접속단부(21B)는, 니플(nipple, 22)과; 상기 니플(22)의 양단 사이에 외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플랜지(flange, 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인트(40B)는 접속도관(410), 조인트 하우징(joint housing, 420), 로크 플레이트(lock plate, 430), 탄성력 부여수단(440) 및 너트(nut, 46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도관(410)은, 길이방향 양쪽의 제1 개방단부(411)와 제2 개방단부(412)를 가지고, 내부에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니플(22)이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니플(22)을 삽입 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end)에 상기 플랜지(23)가 접촉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길이방향 양단의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및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사이의 중간공간(도면부호 423, 424 및 425 참조)을 가지되, 상기 중간공간은 서로 연통된 도관 수용공간(423), 플랜지 수용공간(424) 및 관통공간(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연통되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상기 제1 개방단부(411)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는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 사이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 상태의 플랜지(23)를 수용하며, 상기 관통공간(425)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 사이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을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편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연통되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는, 상기 관통공간(425)에 상기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접속단부(21B)가 통과 가능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가져,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되거나 불일치되면서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상기 제2 접속단부(21B)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를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불일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제1 개방단부(411)의 외주에 수나사(413)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460)는,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개방단부(411)의 수나사(413)에 한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고, 상기 입수단부(15)의 수나사(16)에 다른 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된,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upply pipe 20 for transporting water from a water pipe to a faucet (see reference numeral 1 in FIG. 1) of a sanitary apparatus such as a sink, a sink, a toilet, a bathtub, and a shower; The first joint (21)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21B) o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pipe (20) to the water outlet end (11) of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inlet end and a second joint 40B having a first joint 40A and a second joint 40B and the inlet end 15 having a male thread 16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thereof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21B having a nipple (nipple, 22); And a flange 23 provid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nipple 22. The second joint 40B includes a connecting conduit 410, a joint housing 420, a lock plate a lock plate 430 and an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and a nut 460. The connection conduit 410 includes a first open end 411 and a second open end 412, The nipple 22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 end 412 and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second open end 412 when the nipple 22 is inserted therein The flange 23 is contacted and the joint housing 420 has a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and a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Refer to reference numerals 423, 424, and 425), and the intermediate space includes a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Wherein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is communicated with the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conduit 4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open end 411 is communicated with the conduit opening 421, Is received in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in a state of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lead-out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is arranged to face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 end (412) The flange accommodating space 424 receives the flange 23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open end 412 between the connection end opening 422 and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The space 425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end opening 422 and the flange receiving space 424 so as to penetrate the joint housing 4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Out opening 422, and the lock plate 4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end- And has a connection end through hole 431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through space 425 along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through space 425 and through which the second connection end 21B can pass, The second connecting end portion 21B is allowed or blocked through the connecting end portion opening / closing opening 422 while the connecting end portion through-hole 431 coincides with or mismatches with the connecting end opening / closing portion 422, The means 44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lock plate 430 to move the lock plate 4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end portion opening and closing opening 422 and the connection end portion through hole 431 are not mismatched, The conduit 410 is formed with a male screw 413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open end 411 and the nut 460 has the first open end 411 protruding through the conduit lead- One end of which is threadedly engaged with the male thread 413, And the other end is screwed into the male thread 16 of the input end 15, as shown in Fig.

상기 제1 조인트(40A) 또는 상기 제2 조인트(40B)는,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의 앞쪽 단부 또는 뒤쪽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되고, 누름 조작이 되는 푸시 블록(push block, 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joint 40A or the second joint 40B extends from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lock plate 430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ock plate 430, And a push block 450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ush block 450 and is pressed.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상기 접속도관(410)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즉, 상기 접속도관(410)의 관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푸시 블록(450)은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The joint housing 4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conduit 410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i.e., about the tube center of the connection conduit 410) The block 450 can be positio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joint housing 420.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푸시 블록(450)으로부터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푸시 블록(450)과 함께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된 판 스프링(plate spring, 441)과;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서 상기 푸시 블록(450)을 누름 조작 시 상기 푸시 블록(450)과 함께 이동되는 상기 판 스프링(441)과 접촉되어 상기 판 스프링(441)의 휨 변형을 유도하는 휨 유도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protrudes from the push block 45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and is moved together with the push block 450, A plate spring 441 disposed on one side; The push block 45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eaf spring 441 which is moved together with the push block 450 when the push block 450 is pressed from one side of the joint housing 420 to induce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leaf spring 441 And a bending inducing portion 442 for guiding the bending force.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will be more specifically and clarified through the embodiments, drawings, and the lik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various solution mean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solution means may be further propo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위생기구용 수전의 입수단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급수관(20)의 연결 및 연결 해제가 조인트(joint, 40A, 40B)에 의하여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도관이나 수전에 급수관(20)을 연결시키는 작업, 수도관이나 수전 또는 급수관(20)의 유지와 보수를 위한 작업 등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함이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20 to at least one of the water outlet end 11 of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inlet end 15 of the sanitary apparatus are connected to the joint 40A, 40B, The operation for connecting the water pipe 20 to the water pipe or the water outlet and the operation for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 water pipe or the water supply pipe 20 can be performed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It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접속도관(410)에 조인트 하우징(420)이 접속도관(410)의 관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조인트 하우징(420)을 회전시켜 푸시 블록(450)의 방향을 원하는 다른 방향으로 변경함으로써, 급수관(20)의 연결 및 연결 해제를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joint housing 4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conduit 410 about the tube center of the connection conduit 410, the joint housing 420 is rotated,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water pipe 20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n a narrow space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ater pipe 450 to another desired direction.

도 1은 일반적인 수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조인트(joint, 40A, 40B)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5 등에 도시된 조인트 하우징(joint housing, 42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3 등에 도시된 조인트(40A, 40B)의 내부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내는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faucet.
2 is a front view showing a water pipe and a water receiving and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ipe and a water receiving and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respectively a plan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joints 40A and 40B shown in Fig. 3, respectively.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oint housing 420 shown in Figs.
Figs. 7 to 10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ternal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joints 40A and 40B shown in Fig. 3 and othe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ze of elements and the thickness of lin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understanding. Further, the terms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in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intentions and customs of the user and the operator. Therefore, the terminology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도관과 수전을 연결시키는 장치, 더 자세하게는 수도관과 수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급수관(20)을 간편한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evice for connecting a water pipe to a water faucet, and more particularly, a device for connecting a water pipe 20 to at least one of a water pipe and a faucet by a simple one-touch metho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는,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수전(도 1의 도면부호 1 참조)으로 유실 없이 수송하기 위한 급수관(20), 수도관의 출수단부(11)에 급수관(20)의 길이방향 한쪽의 제1 접속단부(21A)를 연결시키는 제1 조인트(first joint, 40A), 그리고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급수관(20)의 길이방향 다른 쪽의 제2 접속단부(21B)를 연결시키는 제2 조인트(second joint, 40B)를 포함한다.2 and 3,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receiving and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water supply pipe 20 for transporting water from the water pipe to the water receiving unit (see reference numeral 1 in FIG. 1) A first joint 40A for connecting a first connecting end portion 21A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20 to the water outlet end 11 of the water supply pipe 20, And a second joint 40B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ing end portion 21B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관의 출수단부(11)는 외주에 수나사(12)가 형성된다. 수전의 입수단부(15)도 외주에 수나사(16)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water outlet end 11 of the water pipe is formed with a male screw 12 on its outer periphery. A male thread 16 is also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receiving end 15 of the water receiving part.

도 3,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20)은 기다란 급수관 본체를 포함하고, 급수관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가 각각 장착된다. 급수관 본체로는 플렉시블 튜브(flexible tube),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 등이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7 to 10, the water supply pipe 20 includes an elongated water supply pipe main body, and a first connection end 21A and a second connection end 21B are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main body Respectively. The main body of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a flexible tube, a flexible hose, or the like.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는 둘 모두, 니플(nipple, 22) 및 니플(22)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의 플랜지(flange, 23)를 포함한다. 플랜지(23)는, 니플(22)의 외주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일정한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플랜지(23)에 의하면,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는 일부분의 외주 크기가 확장된 형상을 가진다.Both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21B include a flange 23 between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nipple 22 and the nipple 22. The flange 23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nipple 22 and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According to this flange 23,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21B have an expanded shape of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ize.

도 5,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조인트(40A)는 접속도관(410), 조인트 하우징(joint housing, 420), 로크 플레이트(lock plate, 430), 탄성력 부여수단(440), 푸시 블록(push block, 450) 및 너트(nut, 460)를 포함한다.5 and 7 to 10, the first joint 40A includes a connection conduit 410, a joint housing 420, a lock plate 430, an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A push block 450, and a nut 460.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도관(410)은 길이방향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된 제1 개방단부(411)와 제2 개방단부(412)를 가진다. 제1 개방단부(411)의 외주에는 수나사(413)가 형성된다. 접속도관(410)의 내부에는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이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다.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end)에는 접속도관(410)의 내부에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을 삽입 시 제1 접속단부(21A)의 플랜지(23)가 접촉되고, 이에 따라 플랜지(23)는 접속도관(410)에 대한 니플(2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한다.As shown in Figs. 5 and 8, the connection conduit 410 has a first open end 411 and a second open end 412,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ale thread 41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open end 411. The nipple 22 of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conduit 410 through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 end 412. The flange 23 of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econd open end 412 when the nipple 22 of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conduit 410 So that the flange 23 limits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nipple 22 relative to the connection conduit 41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하우징(420)은 길이방향 양단의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가진다. 또, 조인트 하우징(420)은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사이의 중간공간(도면부호 423, 424 및 425 참조)을 가진다.As shown in Fig. 6, the joint housing 420 has a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and a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joint housing 420 also has an intermediate space (see reference numerals 423, 424, and 425) between the conduit withdrawal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중간공간은 서로 연통된 도관 수용공간(423), 플랜지 수용공간(424) 및 관통공간(425)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관 수용공간(423)은 도관 인출개구(421)와 연통된다. 그리고,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도관 수용공간(423) 사이에 배치되어 도관 수용공간(423)과 연통된다. 또, 관통공간(425)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플랜지 수용공간(424) 사이에 배치되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및 플랜지 수용공간(424)과 연통된다.The intermediate space is composed of a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a flange accommodating space 424, and a through space 425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communicates with the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The flange accommodating space 424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end opening / closing opening 422 and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The through space 425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end opening 422 and the flange receiving space 424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and the flange receiving space 424.

도관 수용공간(423)에는 접속도관(410)이 배치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에서와 같이, 접속도관(410)은 제1 개방단부(411)가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도관 수용공간(423)에 수용된다.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는 이렇게 수용된 접속도관(410)의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In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a connection conduit 410 is disposed. 8, the connection conduit 410 is received in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with the first open end 411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conduit withdrawal opening 421 .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 end 412 of the connection conduit 410 thus accommodated.

도 8에서와 같이,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접속도관(410)의 내부에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이 삽입되어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 제1 접속단부(21A)의 플랜지(23)를 수용한다.8, the flange accommodating space 424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conduit 410, in which the nipple 22 of the first connection end portion 21A is inserted, and the first open end portion 412 is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open end portion 412 And accommodates the flange 23 of the connecting end 21A.

관통공간(425)은 조인트 하우징(420)을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양쪽의 개구를 가진다.The penetrating space 425 is formed to penetrate the joint housing 4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and has both opening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joint housing 420.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430)는, 관통공간(425)에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즉, 조인트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430)의 정확한 직선이동 안내를 위하여, 로크 플레이트(43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로크 플레이트(430)의 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미끄럼 이동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관통공간(425)에는 미끄럼 이동 안내돌기가 삽입되는 미끄럼 이동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7 to 10, the lock plate 4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425 in the penetrating direction of the through space 425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And is linearly movably coupled along the penetration direction of the space 425. As shown in FIGS. 5, 8 and 9, at least one of the right and left of the lock plate 43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ock plate 430 for guiding the correct linear movement of the lock plate 430 And a sliding guide groove into which the sliding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through space 425. [

로크 플레이트(430)의 중앙부에는 플랜지(23)를 구비한 제1 접속단부(21A)가 통과 가능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형성된다.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은, 로크 플레이트(430)의 이동방향에 따라 도 9와 같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되어 로크 플레이트(430)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제1 접속단부(21A)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하거나 도 8과 같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불일치되어 로크 플레이트(430)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제1 접속단부(21A)의 출입을 차단하도록 한다.A connecting end through hole 431 through which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having the flange 23 can pas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ck plate 430. [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coincides with the connection end access opening 422 as shown in FIG. 9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lock plate 430 so that the lock plate 4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d through the connection end access opening 422 It is possible to allow the access end 21A to be inserted or removed or to disengage from the connection end access opening 422 as shown in Fig. 8 so that the lock plate 430 can access the access end 21A through the connection end access opening 422 .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로크 플레이트(4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도 9와 같이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로크 플레이트(430)를 도 8 또는 도 10과 같이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불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lock plate 430 so that the lock plate 430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end through hole 431 coincides wit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8 or 10,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moves in a direction inconsistent wit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이와 같은 역할의 탄성력 부여수단(440)에 의하면, 로크 플레이트(430)는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불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된다.According to the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having such a role, the lock plate 430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does not coincide wit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푸시 블록(450)은 로크 플레이트(43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로크 플레이트(430)의 앞쪽 또는 뒤쪽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된다. 물론, 푸시 블록(450)은 로크 플레이트(430)와 함께 이동된다.5 and 9, the push block 450 extends from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lock plate 430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lock plate 430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joint housing 420 . Of course, the push block 450 is moved with the lock plate 430.

도 5,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휨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plate spring, 441) 및 판 스프링(441)과 접촉되어 판 스프링(441)의 휨 변형을 유도하는 휨 유도부(442)를 포함한다.5 and 7 to 10, the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plate spring 441 and the leaf spring 441 which are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so that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leaf spring 441 (Not shown).

판 스프링(441)은 푸시 블록(450)으로부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된다. 이러한 판 스프링(441)은, 푸시 블록(450)을 이동시키면 푸시 블록(450)과 함께 이동되고, 푸시 블록(450)의 이동방향에 따라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이나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판 스프링(441)은 작업자가 푸시 블록(450)을 누르면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대하여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leaf spring 441 protrudes from the push block 45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and is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joint housing 420. The leaf spring 441 is moved together with the push block 450 when the push block 450 is moved and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one side of the joint housing 420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block 450 And is moved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Specifically, the leaf spring 441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af spring 441 is pressed toward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joint housing 420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push block 450.

휨 유도부(442)는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판 스프링(441)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휨 유도부(442)는 판 스프링(441)이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판 스프링(441)과 접촉되어 판 스프링(441)이 휘어지도록 유도하는 볼록 구조 또는 오목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flexure inducing portion 442 is arranged to face the leaf spring 441 on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joint housing 420. The bending inducing portion 442 is formed to have a convex structure or a concave structure for guiding the leaf spring 441 to be bent when the leaf spring 441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leaf spring 441.

조인트 하우징(420)은, 접속도관(410)에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즉, 접속도관의 관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이를 위하여,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하우징(420)의 내주에는 안내돌기(426)가 형성되고, 접속도관(410)의 외주에는 안내돌기(426)가 삽입되는 안내홈(414)이 외주방향으로 형성된다.The joint housing 4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conduit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i.e., the tube center of the connecting conduit) A guide protrusion 426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joint housing 420 and a guide groove 414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426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conduit 410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조인트 하우징(420)이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에 의하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푸시 블록(450)은 조인트 하우징(4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가 원하는 다른 방향에서 푸시 블록(450)에 대한 누름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4, the push block 450, which is operated by the operator, can be rotated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joint housing 420 by rota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The posi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angle. Theref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push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push block 450 in another direction desired by the operator.

너트(460)는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도 7이나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조인트 하우징(420)의 외부로 돌출된 접속도관(410)의 제1 개방단부(411)는 너트(460)에 너트(460)의 양단 중 한쪽의 개구를 통하여 진입되어 너트(460)와 체결된다. 출수단부(11)는 너트(460)에 너트(460)의 양단 중 다른 쪽의 개구를 통하여 진입되어 너트(460)와 체결된다. 물론, 너트(460)의 내주에서 한쪽에는 제1 개방단부(411)의 수나사(413)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출수단부(11)의 수나사(12)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된다.The nut 460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open. The first open end 411 of the connection conduit 410 projecting out of the joint housing 420 through the conduit lead-out opening 421 is connected to the nut 460 by a nut (not shown) 460) and is fastened to the nut (460). The outflow end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nut 460 through the other opening of both ends of the nut 460 and fastened to the nut 460. One end of the nut 460 is provided with a female thread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male thread 413 of the first open end 411 and a threaded engagement with the male thread 12 of the outgoing end 11 A female thread is formed.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조인트(40A)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The first joint 40A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로크 플레이트(430)의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은 탄성력 부여수단(440)의 작용에 의하여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불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푸시 블록(450)을 누르면, 로크 플레이트(430)가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판 스프링(441)은 휨 유도부(442)와 접촉되면서 휘어진다.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of the lock plate 430 is kept in a state of incoincidence wit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by the action of the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 In this state, when the push block 450 is pushed, the lock plate 430 is moved along the penetration direction of the through space 425, so that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and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can be moved. In this process, the leaf spring 441 is bent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lexure inducing portion 442. [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1 접속단부(21A)를 일치된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통하여 접속도관(410)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이 때,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은 접속도관(410)에 삽입되고, 제1 접속단부(21A)의 플랜지(23)는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다.The first connection end portion 21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duit (not shown) throug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and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end portion through-hole 431 coincides wit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410). At this time, the nipple 22 of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conduit 410, and the flange 23 of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is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of the second opening end 412 .

접속도관(410)에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이 완전히 삽입되면, 푸시 블록(450)에 대한 누름 조작을 해제한다. 그러면, 로크 플레이트(430)는 판 스프링(441)의 복원력에 의하여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불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제1 접속단부(21A)는 도 8에서와 같이 플랜지(23)와 로크 플레이트(430)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분리가 방지된다.When the nipple 22 of the first connection end portion 21A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nduit 410, the push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push block 450 is released. Then, the lock plate 430 is moved along the penetration direction of the through space 425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441.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is moved in a direction inconsistent wit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end portion 21A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engaging action of the flange 23 and the lock plate 430 as shown in FIG.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은 내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조인트 하우징(420)으로 진입되는 제1 접속단부(21A)와 접촉 가능한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의 경사면은 조인트 하우징(420)에 대한 제1 접속단부(21A)의 진입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connection end portion through-hole 431 is composed of an inclined surface tha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end portion 21A in which a part or the whole of the inner circumference enters the joint housing 420.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is formed to have an ascending slope in the entry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nd 21A with respect to the joint housing 420. [

이와 같이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430)는 조인트 하우징(420)에 진입되는 제1 접속단부(21A)의 니플(22)이나 플랜지(23)가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이 경사면을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위에서의 설명과 달리, 푸시 블록(450)을 누르는 조작 없이도 접속도관(410)에 제1 접속단부(21A)를 연결할 수 있다.7, the lock plate 430 has a nipple 22 of the first connecting end portion 21A that enters the joint housing 420, and the nipple 22 of the first connecting end portion 21A, which enters the joint housing 420, The flange 2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and the connection end through-hole 431 is moved in the direction coinciding wit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 exit opening 422 by pressing the inclined surface. Accordingly,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connection end 21A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duit 410 without pushing the push block 450. [

도 9 및 도 10은 제1 접속단부(21A)를 접속도관(41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블록(450)을 누르고 급수관(20)을 잡아당기면 제1 접속단부(21A)가 분리된다.Figs. 9 and 10 illustrate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from the connecting conduit 410. Fig. As shown, when the push block 450 is pushed and the water pipe 20 is pulled,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is separated.

제1 조인트(40A)와 제2 조인트(40B)는 급수관(20)을 연결시키려는 대상이 수도관과 수전으로 상이하므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즈(size) 면에서는 서로 다를 수 있지만 구성과 작용 면에서는 서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2 조인트(40B)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irst joint 40A and the second joint 40B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size as shown in FIG. 2 (B) because the object to which the water pipe 20 is connected differs from the water pipe by the water supply, They are the same in composition and function.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joint 40B will be omitted.

한편,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S는 모두 누수 방지와 이물 유입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실링부재(sealing member)이다. 실링부재(S)로는 오링(O-ring) 등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S is a sealing member that performs leakage prevention and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function. As the sealing member S, an O-ring or the like may be appli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urther, 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wo or more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11 : 수도관의 출수단부
15 : 수전의 입수단부
20 : 급수관
21A, 21B : 접속단부
22 : 니플(nipple)
23 : 플랜지(flange)
40A, 40B : 조인트(joint)
410 : 접속도관
420 : 조인트 하우징(joint housing)
421 : 도관 인출개구
422 : 접속단부 출입개구
423 : 도관 수용공간
424 : 플랜지 수용공간
425 : 관통공간
430 : 로크 플레이트(lock plate)
431 : 접속단부 관통구멍
440 : 탄성력 부여수단
441 : 판 스프링(plate spring)
442 : 휨 유도부(442)
450 : 푸시 블록(push block)
460 : 너트(nut)
11: Water outlet end of water pipe
15: Receipt end of the faucet
20: Water supply pipe
21A, 21B: connection end
22: nipple
23: flange
40A, 40B: joint,
410: connection conduit
420: joint housing
421: conduit withdrawal opening
422: Connection end opening /
423: Conduit accommodation space
424: Flange accommodating space
425: Through space
430: Lock plate
431: connection end through hole
440: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1: Plate spring
442:
450: push block
460: nut

Claims (5)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수전(도 1의 도면부호 1 참조)으로 수송하기 위한 급수관(20)과; 상기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상기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각각 상기 급수관(20)의 길이방향 양쪽의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를 연결시키는 제1 조인트(first joint, 40A)와 제2 조인트(second joint, 40B)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단부(11)는 외주에 수나사(1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속단부(21A)는, 니플(nipple, 22)과; 상기 니플(22)의 양단 사이에 외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플랜지(flange, 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인트(40A)는 접속도관(410), 조인트 하우징(joint housing, 420), 로크 플레이트(lock plate, 430), 탄성력 부여수단(440) 및 너트(nut, 46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도관(410)은, 길이방향 양쪽의 제1 개방단부(411)와 제2 개방단부(412)를 가지고, 내부에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니플(22)이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니플(22)을 삽입 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end)에 상기 플랜지(23)가 접촉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길이방향 양단의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및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사이의 중간공간(도면부호 423, 424 및 425 참조)을 가지되, 상기 중간공간은 서로 연통된 도관 수용공간(423), 플랜지 수용공간(424) 및 관통공간(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연통되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상기 제1 개방단부(411)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는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 사이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 상태의 플랜지(23)를 수용하며, 상기 관통공간(425)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 사이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을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편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연통되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는, 상기 관통공간(425)에 상기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접속단부(21A)가 통과 가능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가져,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되거나 불일치되면서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상기 제1 접속단부(21A)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를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불일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제1 개방단부(411)의 외주에 수나사(413)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460)는,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개방단부(411)의 수나사(413)에 한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고, 상기 출수단부(11)의 수나사(12)에 다른 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된,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A water supply pipe 20 for transporting water from the water pipe to the water receiving unit (see reference numeral 1 in Fig. 1); The first joint (21)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21B) o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pipe (20) to the water outlet end (11) of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inlet end a first joint 40A and a second joint 40B,
The outflow end (11) has a structure in which a male screw (1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includes a nipple 22; And a flange (23)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nipple (22)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irst joint 40A includes a connection conduit 410, a joint housing 420, a lock plate 430, an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and a nut 460,
The connection conduit 410 has a first open end 411 and a second open end 412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nipple 22 extends through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 end 412, The flange 2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face of the second open end 412 when the nipple 22 is inserted therein,
The joint housing 420 has an intermediate space between the conduit extraction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conduit extraction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424, and 425), and the intermediate space includes a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a flange accommodating space 424, and a through space 425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is communicated with the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conduit 410 is formed so that the first open end 411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And the flange receiving space 424 is received in the conduit receiving space 423 and the connecting end entrance opening 422 is arranged to face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 end 412, 422 and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and the through-hole 425 is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open end 412, And the flange receiving space 424 is formed to penetrate the joint housing 4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The lock plate 430 is movably coupled to the through space 425 along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through space 425 and has a connecting end through hole 431 through which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can pass, So that the connection end portion through hole 421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end portion insertion / removal opening 422 and the connection end portion insertion / Allow or block,
The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lock plate 430 to move the lock plate 4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and the connection end through hole 431 are not mismatched ,
The connection conduit 410 is formed with a male screw 413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open end 411,
One end of the nut 460 is threadedly engaged with the male thread 413 of the first open end 411 protruded through the conduit lead-out opening 421, (12) and the other is fastened by screwing,
Water pipes and faucet connec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40A)는,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의 앞쪽 단부 또는 뒤쪽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되고, 누름 조작이 되는 푸시 블록(push block, 450)을 더 포함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joint (40A)
A push block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joint housing 420 and extends from a front end or a rear end of the lock plate 430 with respect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lock plate 430, 450)
Water pipes and faucet connection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상기 접속도관(410)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푸시 블록(450)은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joint housing 4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conduit 410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so that the push block 450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of the joint housing 420 The location is changed,
Water pipes and faucet connections.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푸시 블록(450)으로부터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푸시 블록(450)과 함께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 배치된 판 스프링(plate spring, 441)과;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둘레 한쪽에서 상기 푸시 블록(450)을 누름 조작 시 상기 푸시 블록(450)과 함께 이동되는 상기 판 스프링(441)과 접촉되어 상기 판 스프링(441)의 휨 변형을 유도하는 휨 유도부(442)를 포함하는,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elastic force application means 440,
The push block 450 protrudes from the push block 45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and is moved together with the push block 450. The plate spring 45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joint housing 420, , 441);
The push block 45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eaf spring 441 which is moved together with the push block 450 when the push block 450 is pressed from one side of the joint housing 420 to induce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leaf spring 441 And a bending inducing portion (442)
Water pipes and faucet connections.
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수전(도 1의 도면부호 1 참조)으로 수송하기 위한 급수관(20)과; 상기 수도관의 출수단부(11)와 상기 수전의 입수단부(15)에 각각 상기 급수관(20)의 길이방향 양쪽의 제1 접속단부(21A)와 제2 접속단부(21B)를 연결시키는 제1 조인트(first joint, 40A)와 제2 조인트(second joint, 40B)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단부(15)는 외주에 수나사(16)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접속단부(21B)는, 니플(nipple, 22)과; 상기 니플(22)의 양단 사이에 외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플랜지(flange, 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인트(40B)는 접속도관(410), 조인트 하우징(joint housing, 420), 로크 플레이트(lock plate, 430), 탄성력 부여수단(440) 및 너트(nut, 46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도관(410)은, 길이방향 양쪽의 제1 개방단부(411)와 제2 개방단부(412)를 가지고, 내부에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니플(22)이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니플(22)을 삽입 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end)에 상기 플랜지(23)가 접촉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은 길이방향 양단의 도관 인출개구(421)와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및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 사이의 중간공간(도면부호 423, 424 및 425 참조)을 가지되, 상기 중간공간은 서로 연통된 도관 수용공간(423), 플랜지 수용공간(424) 및 관통공간(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와 연통되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상기 제1 개방단부(411)가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는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도관 수용공간(423) 사이에서 상기 제2 개방단부(412)의 끝면에 접촉된 상태의 플랜지(23)를 수용하며, 상기 관통공간(425)은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플랜지 수용공간(424) 사이에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을 상기 조인트 하우징(4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편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연통되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는, 상기 관통공간(425)에 상기 관통공간(425)의 관통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접속단부(21B)가 통과 가능한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을 가져,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일치되거나 불일치되면서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를 통한 상기 제2 접속단부(21B)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탄성력 부여수단(440)은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430)를 상기 접속단부 출입개구(422)와 상기 접속단부 관통구멍(431)이 불일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속도관(410)은 제1 개방단부(411)의 외주에 수나사(413)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460)는, 상기 도관 인출개구(42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개방단부(411)의 수나사(413)에 한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고, 상기 입수단부(15)의 수나사(16)에 다른 쪽이 나사 결합으로 체결된,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A water supply pipe 20 for transporting water from the water pipe to the water receiving unit (see reference numeral 1 in Fig. 1); The first joint (21)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end (21A)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21B) o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pipe (20) to the water outlet end (11) of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inlet end a first joint 40A and a second joint 40B,
The inlet end portion 15 has a structure in which a male screw 16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 second connecting end 21B includes a nipple 22; And a flange (23)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nipple (22)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econd joint 40B includes a connection conduit 410, a joint housing 420, a lock plate 430, an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and a nut 460,
The connection conduit 410 has a first open end 411 and a second open end 412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nipple 22 extends through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 end 412, The flange 2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face of the second open end 412 when the nipple 22 is inserted therein,
The joint housing 420 has an intermediate space between the conduit extraction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conduit extraction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424, and 425), and the intermediate space includes a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a flange accommodating space 424, and a through space 425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is communicated with the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and the connection conduit 410 is formed so that the first open end 411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conduit withdrawing opening 421 And the flange receiving space 424 is received in the conduit receiving space 423 and the connecting end entrance opening 422 is arranged to face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 end 412, 422 and the conduit accommodating space 423 and the through-hole 425 is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open end 412, And the flange receiving space 424 is formed to penetrate the joint housing 4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housing 420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The lock plate 430 is movably coupled to the through space 425 along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through space 425 and has a connecting end through hole 431 through which the second connecting end 21B can pass, So that the connecting end portion through hole 422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end portion through-hole 422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so that the connecting end portion through- Allow or block,
The elastic force applying means 44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lock plate 430 to move the lock plate 4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end entrance opening 422 and the connection end through hole 431 are not mismatched ,
The connection conduit 410 is formed with a male screw 413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open end 411,
One end of the nut 460 is threadedly engaged with the male thread 413 of the first open end 411 protruded outward through the conduit lead-out opening 421, (16) and the other is fastened by screwing,
Water pipes and faucet connections.
KR1020170098859A 2017-08-04 2017-08-04 Device for connecting faucet and water pipe KR1020381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859A KR102038138B1 (en) 2017-08-04 2017-08-04 Device for connecting faucet and water pipe
PCT/KR2018/002222 WO2019027114A1 (en) 2017-08-04 2018-02-22 Water pipe-and-faucet conn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859A KR102038138B1 (en) 2017-08-04 2017-08-04 Device for connecting faucet and water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35A true KR20190014835A (en) 2019-02-13
KR102038138B1 KR102038138B1 (en) 2019-10-29

Family

ID=6523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859A KR102038138B1 (en) 2017-08-04 2017-08-04 Device for connecting faucet and water pip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8138B1 (en)
WO (1) WO2019027114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348A1 (en) * 2019-05-02 2020-11-05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Drain trap assembly
KR20210050770A (en) * 2019-10-29 2021-05-10 한 의 박 Faucet bracket with fountain water jet
KR102433129B1 (en) * 2021-07-21 2022-08-1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ipe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38U (en) 2021-11-26 2023-06-05 진승호 Device for connecting faucet and water pip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080A (en) * 2001-03-09 2002-09-18 Inax Corp Easy release joint
JP2006307872A (en) * 2005-04-26 2006-11-09 Jiyopuratsukusu Kk Faucet joint
KR100844522B1 (en) * 2004-08-11 2008-07-08 아. 레이몽 에 씨에 Coupling
KR101361633B1 (en) 2011-09-19 2014-02-11 황경원 Method of manufacturing a shank bolt for water supply valve of hot and cold water
KR20160142205A (en) * 2015-06-02 2016-12-12 홍기 The lower fastening structure of the hand spray faucet wonhol
KR101696306B1 (en) * 2015-08-31 2017-02-17 주식회사 디아 connection pipe with fastening nu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080A (en) * 2001-03-09 2002-09-18 Inax Corp Easy release joint
KR100844522B1 (en) * 2004-08-11 2008-07-08 아. 레이몽 에 씨에 Coupling
JP2006307872A (en) * 2005-04-26 2006-11-09 Jiyopuratsukusu Kk Faucet joint
KR101361633B1 (en) 2011-09-19 2014-02-11 황경원 Method of manufacturing a shank bolt for water supply valve of hot and cold water
KR20160142205A (en) * 2015-06-02 2016-12-12 홍기 The lower fastening structure of the hand spray faucet wonhol
KR101696306B1 (en) * 2015-08-31 2017-02-17 주식회사 디아 connection pipe with fastening nu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348A1 (en) * 2019-05-02 2020-11-05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Drain trap assembly
KR20200127519A (en)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Drain trap assembly
CN113785094A (en) * 2019-05-02 2021-12-10 Ib韩国有限责任公司 Drain assembly
US11946236B2 (en) 2019-05-02 2024-04-02 Ib Korea Co., Ltd. Drain trap assembly
KR20210050770A (en) * 2019-10-29 2021-05-10 한 의 박 Faucet bracket with fountain water jet
KR102433129B1 (en) * 2021-07-21 2022-08-1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ip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114A1 (en) 2019-02-07
KR102038138B1 (en)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4835A (en) Device for connecting faucet and water pipe
HUE032577T2 (en) Magnetic separator
KR100683478B1 (en) Holder device for connection of a tap and water supply hose
JP2010053889A (en) Water stop valve apparatus and water supply equipment using the same
US20190284785A1 (en) A device for quickly mounting and quickly detaching a faucet on a countertop
KR101798112B1 (en) Connector of gas hose
KR20200082950A (en) Pipe joint for sanitary appliance
KR20170054122A (en) Fitting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US7322615B1 (en) Adjustable plumbing fitting
EP2914359B1 (en) Magnetic separator
JP2014040738A (en) Water supply apparatus
JP4639181B2 (en) Gas socket
CA2889106C (en) Magnetic separator
KR102105499B1 (en) One-touch nut for sanitary appliance
JP2794210B2 (en) Water meter mounting device
KR101559545B1 (en) Locking device of the bidet water pipe
KR20180062623A (en) The separated valve for the sink
AU2007225510B2 (en) Plumbing fitting
KR102602091B1 (en) Valve apparatus for sanitary appliance
KR200183342Y1 (en) Device for shower bath
KR20200127519A (en) Drain trap assembly
JP2002267072A (en) Easy release joint
KR20230001138U (en) Device for connecting faucet and water pipe
KR101284895B1 (en) Flexible hose connectors
US20070194262A1 (en) Faucet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