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814A -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814A
KR20190014814A KR1020170098771A KR20170098771A KR20190014814A KR 20190014814 A KR20190014814 A KR 20190014814A KR 1020170098771 A KR1020170098771 A KR 1020170098771A KR 20170098771 A KR20170098771 A KR 20170098771A KR 20190014814 A KR20190014814 A KR 20190014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ail
electrode
sides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진섭
Original Assignee
소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진섭 filed Critical 소진섭
Priority to KR102017009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4814A/ko
Publication of KR2019001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쪽에 각각 레일을 끼워서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커넥터를 구성하므로, 때에 따라 하나의 커넥터에 하나 또는 두 개의 레일을 연결하여 쉽게 레일 길이를 확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양방향 커넥터를 기준으로 양쪽에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레일을 끼우거나 서로 다른 형상과 길이를 가진 레일을 삽입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조명 레일의 확장성과 더불어 미감을 더욱 넓혀 실내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BIDIRECTIONAL POWER CONNECTOR FOR RAIL LIGHTING}
본 발명은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양쪽에 각각 레일 조명용 레일을 삽입하여 쉽게 레일 길이를 연장하여 시공할 수 있고, 또한 레일 길이와 형상이 다른 레일을 본체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어 레일 조명 전체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 조명은 미리 정한 길이와 형상으로 제작한 레일을 따라 여러 개의 조명을 장착하여 때에 따라 조명 사이의 간격이나 장착하는 조명의 개수 그리고 조명의 조사 각도 등을 조절하여 실내 인테리어 효과 등을 높이려고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레일 조명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655270호
가압 체결 방식의 조명 레일용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조명등을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전원 플러그가 조명 레일에 배치된 전극과 간단하게 접촉되어 조명 레일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 체결 방식의 조명 레일용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가압 체결 방식의 조명 레일용 전원 플러그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위쪽에 설치되어 탄성에 의한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전극단자가 고정되는 탄성 접속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접속 모듈은 상기 조명 모듈에 결합하는 분리 틈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 이동에 의하여 분리 틈이 개방 또는 차단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678108호
레일 콘센트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레일 콘센트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레일 콘센트용 조명기구에 있어서, 한 쌍의 푸시 버튼의 푸시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레일 콘센트에 착탈되는 플러그를 하나 이상 구비한 레일 소켓; 및 상기 플러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점등되는 조명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콘센트용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719269호
각종 수납장 등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시 자동으로 점멸되게 한 조명등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수납가구 혹은 인테리어 기둥 등에 부착 혹은 매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설치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레일에는 전원단속구 및 조명구를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부착 및 부착과 동시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은 물론 상기 설치레일 간에는 접속연결구를 부착하여 상호 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장롱이나 장식장 또는 싱크대 등의 각종 수납장이나 인테리어 기둥 등 설치 대상물의 종류 및 목적이나 형태의 구애 없이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고, 매입 설치시에는 가용공간에 대한 침해가 거의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매우 합리적인 것이며, 전원단속구 및 조명구 혹은 접속연결구 등을 간편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가장 최선의 조명 상태를 연출시킬 수 있는 것이며, 설치레일에 대한 전원단속구 및 조명구 혹은 접속연결구의 부착과 동시에 고정과 전원 연결이 일시에 이루어지므로 설치 및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레일 조명에 사용하는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레일 조명은 레일을 미리 정한 길이와 형상으로 제작하는 데, 통상 [도 1]과 같이 레일을 한쪽에만 삽입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커넥터는 레일 조명을 확장하는 데 불편함이 있다.
(2) 즉, 처음에 미리 정한 길이와 형상으로 제작한 레일을 커넥터에 연결하여 레일 조명을 시공했으나, 시공한 레일 조명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레일 조명을 연장하고자 할 때 기존 커넥터에는 이미 레일 조명을 연결했으므로 더는 레일 조명을 확장하거나 연결할 수 없고, 이에 다른 형태나 길이를 가진 레일을 새로 제작하여 다시 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3) 또한, 이처럼 레일 조명을 확장할 때 처음에 사용했던 레일은 다시 사용할 수 없으므로, 기존 레일은 폐기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산업폐기물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레일 조명을 확장하는 데 그만큼 더 비용이 늘어난다.
(4) 때에 따라 두 개의 레일을 이루어진 레일 조명을 시공할 때는 각 레일에 하나씩 두 개의 커넥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그만큼 시공 비용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시공 시간도 늘어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655270호 (등록일 : 2016.09.01) 한국등록특허 제1678108호 (등록일 : 2016.11.15) 한국등록특허 제1719269호 (등록일 : 2017.03.17)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양쪽에 각각 레일을 끼워서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커넥터를 구성하므로, 때에 따라 하나의 커넥터에 하나 또는 두 개의 레일을 연결하여 쉽게 레일 길이를 확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양방향 커넥터를 기준으로 양쪽에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레일을 끼우거나 서로 다른 형상과 길이를 가진 레일을 삽입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조명 레일의 확장성과 더불어 미감을 더욱 넓혀 실내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는, 레일 조명에서 조명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레일(R)을 양쪽에 각각 하나씩 삽입 연결하여 사용하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중간 부분에 턱을 형성하여 양쪽에 각각 레일(R)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한쪽 면에 전기적으로 닿지 않도록 길이 중간 부분이 고정 설치되고, 양쪽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100)의 양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레일(R) 내면과의 접촉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한 두 개의 전극(200); 상기 본체(100)와 이 본체(100)에 마주하는 전극(200)의 각 끝 가장자리 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전극(200)의 끝 가장자리 부분이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게 탄성 지지를 받게 지지하는 탄성 부재(300); 상기 두 개의 전극(200)의 양단 부분이 본체(100) 양쪽으로 노출되고 상기 본체(100)에 고정한 전극(200)의 중간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본체(100)에 조립과 분해할 수 있게 설치한 두 개의 제1 덮개(400'); 상기 전극(200)의 노출된 중간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제1 덮개(400')의 한쪽 끝과 중첩하게 겹쳐지도록 본체(100)에 조립과 분해할 수 있게 설치한 제2 덮개(400"); 및 상기 본체(100)에 장착한 접지 단자(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각 전극(200)은, 본체(100)에 볼트(210)로 체결하여 고정하되, 상기 볼트(210)에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압착 부재(211)가 끼워져서 전선을 누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300)는, 띠 형상의 판 부재로 이루어지되, 전체적으로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꺾인 중간 부분에 "V"자의 반대 방향으로 리브(310)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각 전극(200)은, 상기 본체(100)에 밀착하여 체결 고정할 수 있게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 부분(220), 상기 고정 부분(220)에서 양쪽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지게 형성하며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여 레일(R)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부분(230), 그리고 상기 고정 부분(220)과 단자 부분(230)을 연결하며 상기 단자 부분(230)이 본체(100) 밖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변형하는 연결 부분(240)을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커넥터 양쪽에 각각 레일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때에 따라 레일 조명을 쉽게 확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양방향 커넥터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길이와 형상이 같거나 적어도 하나가 다른 레일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레일 전체 미감을 달리하여 실내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3) 커넥터에 삽입 방식으로 레일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커넥터에 레일을 장착하거나 교환할 수 있어 쉽게 시공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레일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극이 탄성 부재의 탄성 지지를 받아 본체 밖으로 돌출하게 구성하므로, 커넥터에 레일을 삽입하면 이 전극이 눌리면서 레일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하여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레일 조명용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넥터 양쪽에 각각 레일을 삽입하여 장착한 상태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넥터의 전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넥터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부재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커넥터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본체(100), 두 개의 전극(200), 탄성 부재(300), 제1 및 제2 덮개(400', 400"), 그리고 접지 단자(500)를 포함한다.
특히, 본체(100)에는 양쪽에 각각 레일(R)을 끼울 수 있게 구성하므로, 레일 조명의 레일(R) 길이를 임의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레일(R)의 길이와 형상을 다르게 제작하여 실내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R"은 레일 조명에서 조명이 움직일 수 있는 경로로 제작한 레일을 나타낸다.
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막대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양쪽에 각각 레일(R)을 삽입해서 끼울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때에 따라 본체(100)에 하나의 레일(R)을 끼워서 사용하거나, 양쪽에 각각 레일(R)을 끼워서 레일 길이를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도 2]에서는 본체(100) 양쪽에 각각 레일(R)을 삽입하여 고정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본체(100)는 길이 중간에 턱을 형성하여 양쪽에 끼운 각 레일(R)이 이 턱에 걸려 더는 진행하지 못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2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본체(100)에 두 개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극(200)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특히 길이 중간 부분을 고정하여 양쪽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레일(R)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전극(200)은, [도 4]와 같이, 상술한 본체(100)의 한쪽 면에서 돌출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제작하고, 길이 중간 부분을 본체(100)에 체결 볼트(210)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체결 볼트(210)는 압착 부재(211)와 전극(200)을 관통하여 본체(100)에 체결하게 구성함으로써, 이들 압착 부재(211)와 전극(200)에 외부에서 전원 공급을 위해 연결하는 음극 또는 양극의 단자를 삽입하거나 끼워서 압착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전극(20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양쪽 끝의 가장자리 부분이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여 본체(100)에 레일(R)을 끼웠을 때 돌출한 전극(200)이 레일(R) 내부에 구성한 전극과 접촉이 잘 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전극(200)은, 고정 부분(220), 단자 부분(230), 그리고 연결 부분(2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분(220)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한쪽 면이 본체(100)에 밀착하게 하여 체결 볼트(210)로 체결 고정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고정 부분(220)은 본체(100)에 견고하게 밀착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단자 부분(23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고정 부분(220)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지게 위치하며, 특히 한쪽 가장자리가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여 실질적으로 레일(R) 내부에 장착한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한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단자 부분(230)은 레일(R)과 접하는 바깥쪽 가장자리 부분을 화살촉이나 쐐기 그리고 돌기 형태로 돌출하게 하여 본체(100)에 레일(R)을 끼웠을 때 레일(R)에 구성한 전극과 걸림 작용을 하면서 전기적으로 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자 부분(230)은 본체(100)에 레일(R)을 끼워서 결합했을 때 변형되는 범위를 고려하여 고정 부분(220)과 간섭받지 않을 정도의 간격만큼 떨어지게 설치한다.
상기 연결 부분(24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고정 부분(220)과 단자 부분(230)을 연결하는 부분을 말한다. 특히, 상기 연결 부분(240)은 단자 부분(230)이 본체(100) 밖으로 탄성 지지를 받을 수 있게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 부분(240)은 띠 형상으로 형성하되, 고정 부분(220)과 단자 부분(230)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어느 한쪽으로 꺾인 형태로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연결 부분(240)에서 고정 부분(220)과 단자 부분(230) 사이의 구간이 휘어질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단자 부분(230)이 쉽게 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에서, 상기 전극(200)은, [도 4]와 같이, 두 개가 서로 대칭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전극(200)을 한 종류로 제작하여 장착 위치를 돌려서 설치함에 따라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여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에서, 상기 전극(200)은, [도 4]와 같이, 하나의 극판을 미리 정한 형상, 예를 들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형태로 꺾거나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함으로써,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3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체(100)와 각 전극(200) 사이에 각각 설치한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300)는 전극(200)의 양쪽 끝 가장자리 부분이 항상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게 탄성 지지하도록 본체(100)에 4개를 장착함으로써, 본체(100)에 레일(R)을 끼웠을 때 이 전극(200)의 양쪽 끝 가장자리 부분이 본체(100) 쪽으로 눌리면서 전기적인 접촉 효율이 높게 하고, 본체(100)에서 레일(R)을 빼면 이 가장자리 부분이 다시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게 하여 다시 레일(R)을 끼울 때 간섭을 받아 접촉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대기 상태로 되돌아가게 한다.
이러한 탄성 부재(300)는 전극(200)을 탄성 지지하여 본체(100) 밖으로 밀어줄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탄성 부재(300)는 전체적으로 "V"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꺾인 부분이 본체(100)에 지지가 되고 양단 부분이 전극(200)을 지지하는 형태로 제작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300)에는 꺾인 부분에 리브(310)를 형성한다. 리브(310)는 탄성 부재(300)가 쉽게 벌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극(200)을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V"자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덮개(4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본체(100)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두 개를 설치한다. 이때, 이들 덮개(400')는 전극(220)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여 레일(R)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구성하고, 또한 전극(200)의 중간 부분, 바람직하게는 체결 볼트(210) 주변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장착한다. 이는, 이처럼 체결 볼트(210) 주변이 노출되게 하여 후술할 제2 덮개(400")로 덮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 본체(100)에서 이 제2 덮개(400")만 분리하면 쉽게 전극(200)에 외부 전원 단자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제1 덮개(400')는 본체(100)에 고정한 상태에서 본체(100)와 함께 레일(R) 안으로 끼워지도록 구성하거나, 레일(R)이 본체(100)와 제1 덮개(400') 사이로 끼워지게 구성하거나, 제1 덮개(400')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레일(R)에 걸쳐지도록 끼워지게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결합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덮개(4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볼트 체결 방식으로 본체에 고정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터치 방식이나 탄성 돌기 등을 이용하여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손으로도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덮개(4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두 개의 제1 덮개(400') 사이에 장착한다. 이때, 제2 덮개(400")는, 상술한 제1 덮개(400')와 마찬가지로 체결 방식으로 고정하거나 원터치 방식 또는 탄성 돌기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덮개(4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전극(200)의 중간 부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제1 덮개(400') 사이를 마감하여 전극(20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본체(10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2 덮개(400")는 양쪽 가장자리가 제1 덮개(400')에 중첩하게 하여 전극(200)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하면서도 본체(100)에서 이 제2 덮개(400")를 분리함에 따라 체결 볼트(210)가 노출되게 하여 외부 전원 단자를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
접지 단자(500)는, [도 6]과 같이, 본체(100)의 배면, 즉 전극(200)을 설치하지 않은 면에 장착한다. 이때, 접지 단자(500)는 체결 나사 등을 이용하여 링 단자나 말굽 단자 등을 이용하여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물론, 상기 접지 단자(500)는 전극(200)이나 다른 구성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라면 본체(100)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접지 단자(500)는 전기 회로나 전기기기의 일부를 대지와 도선으로 연결하여 대지를 도체로 활용하는 접지 기술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접지 단자(500)의 구성과 장착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본체 양쪽에 각각 레일을 삽입하여 끼움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때에 따라 한쪽 또는 양쪽에 각각 레일을 삽입하여 레일을 쉽게 연결하여 레일 조명을 편리하게 확장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본체
200 : 전극
210 : 체결 볼트
211 : 압착 부재
220 : 고정 부분
230 : 단자 부분
240 : 연결 부분
300 : 탄성 부재
400' : 제1 덮개
400 : 제2 덮개
500 : 접지 단자

Claims (4)

  1. 레일 조명에서 조명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레일(R)을 양쪽에 각각 하나씩 삽입 연결하여 사용하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중간 부분에 턱을 형성하여 양쪽에 각각 레일(R)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한쪽 면에 전기적으로 닿지 않도록 길이 중간 부분이 고정 설치되고, 양쪽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100)의 양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레일(R) 내면과의 접촉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한 두 개의 전극(200);
    상기 본체(100)와 이 본체(100)에 마주하는 전극(200)의 각 끝 가장자리 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전극(200)의 끝 가장자리 부분이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게 탄성 지지를 받게 지지하는 탄성 부재(300);
    상기 두 개의 전극(200)의 양단 부분이 본체(100) 양쪽으로 노출되고 상기 본체(100)에 고정한 전극(200)의 중간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본체(100)에 조립과 분해할 수 있게 설치한 두 개의 제1 덮개(400');
    상기 전극(200)의 노출된 중간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제1 덮개(400')의 한쪽 끝과 중첩하게 겹쳐지도록 본체(100)에 조립과 분해할 수 있게 설치한 제2 덮개(400"); 및
    상기 본체(100)에 장착한 접지 단자(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2. 제1 항에서,
    상기 각 전극(200)은,
    본체(100)에 볼트(210)로 체결하여 고정하되, 상기 볼트(210)에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압착 부재(211)가 끼워져서 전선을 누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3. 제1 항에서,
    상기 탄성 부재(300)는,
    띠 형상의 판 부재로 이루어지되, 전체적으로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꺾인 중간 부분에 "V"자의 반대 방향으로 리브(310)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각 전극(200)은,
    상기 본체(100)에 밀착하여 체결 고정할 수 있게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 부분(220), 상기 고정 부분(220)에서 양쪽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지게 형성하며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여 레일(R)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부분(230), 그리고 상기 고정 부분(220)과 단자 부분(230)을 연결하며 상기 단자 부분(230)이 본체(100) 밖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변형하는 연결 부분(240)을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KR1020170098771A 2017-08-04 2017-08-04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KR20190014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71A KR20190014814A (ko) 2017-08-04 2017-08-04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71A KR20190014814A (ko) 2017-08-04 2017-08-04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14A true KR20190014814A (ko) 2019-02-13

Family

ID=6536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771A KR20190014814A (ko) 2017-08-04 2017-08-04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48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462B1 (ko) * 2022-03-21 2022-09-30 강은석 레일 부속
KR20220159189A (ko)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린노앤파트너스 조명 프레임용 전선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189A (ko)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린노앤파트너스 조명 프레임용 전선 커넥터
KR102450462B1 (ko) * 2022-03-21 2022-09-30 강은석 레일 부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469B1 (ko) 소켓 아울렛
US8105094B2 (en) Receptacle with antenna
CN100568432C (zh) 电气构件,特别是电气开关
KR101884644B1 (ko) 연결 커넥터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US9276350B1 (en) Waterproof electric plug with transformer
KR101306175B1 (ko) 콘센트장치
KR20190014814A (ko)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US20160327257A1 (en) Led power shell, led power supply and lighting device
US4245284A (en) Electric lighting fixture and globe support
WO2002011250A1 (en) Fluorescent light tube adaptor
US10113720B2 (en) Illumination module holding device
EP3591288B1 (en) Lamp
US20090091939A1 (en) Lamp structure
CN208253261U (zh) 一种led三防灯
CN104879715A (zh) 一种条形灯
TWI595712B (zh) 連接器
KR200392571Y1 (ko) 코너용 멀티 콘센트기구
CN214094152U (zh) 具有开放结构的镜前灯
CN214094153U (zh) 镜前灯
CN211176439U (zh) 一种led壁灯
CN215489462U (zh) 光源透镜及灯体结构
CA2858524C (en) Waterproof electric plug with transformer
KR940000312A (ko) 스위치 부착 등구
KR20170119420A (ko) 이동확장 가능한 트랙 모듈 어셈블리
JP3085929U (ja) 防水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