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668A -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668A
KR20190014668A KR1020170098410A KR20170098410A KR20190014668A KR 20190014668 A KR20190014668 A KR 20190014668A KR 1020170098410 A KR1020170098410 A KR 1020170098410A KR 20170098410 A KR20170098410 A KR 20170098410A KR 20190014668 A KR20190014668 A KR 2019001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orthosis
finger
scan data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준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7009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4668A/ko
Publication of KR2019001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61F2/58Elbows; Wrists ; Other joints; Hands
    • A61F2/583Hands; Wrist joints
    • A61F2/586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조기의 제작 방법은, 보조기가 착용될 손 및 정상 측 손을 사용자가 원하는 손 모양으로 고정한 후 3차원(3-Dimention: 3D) 스캐너를 통해 3D 스캔하는 단계, 3D 스캔을 통해 생성된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 및 정상 측 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조기에 대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설계도에 따라 보조기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3D 스캔 데이터의 합성을 통해 사용자의 정상 측 손의 손가락 부위에 상응하는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손가락 부위를 위한 보조 손가락이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및 그 제작 방법{A CUSTOMIZED FINGER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NGER PROTHESIS}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 보조기가 착용될 손 및 정상 측 손을 3D 스캔하여 보조기를 설계하고 이를 통해 손가락 보조기를 제작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작가능한 손가락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절단장애용 의료 보조기를 필요로 하는 이들은 상당수가 근로환경에서 사고로 절단장애를 입고 있으며, 상당수가 가구 소득이 낮아 의족·의수 등 신체 보조기의 구입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우리나라는 의족이나 의수, 전동휠체어 등에 대해서 정부 지원금(보장구 지원비)을 받을 수 있지만 지원금의 규모가 턱없이 낮아 일상생활을 위한 기능성 신체 보조기를 구입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손가락 절단에 의한 손가락 보조기의 경우 현재 대부분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으며, 대부분 일상생활을 위한 기능보다 미용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하고 있어,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보조기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물건을 집거나 키보드를 두드리는 등의 손 사용 목적에 따라 손가락의 형태가 달라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목적에 따라 일일이 형태가 다른 손가락 보조기를 제작해야한다는 점에서 보조기의 제작 비용 상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손가락 보조기의 경우 장착되어 사용될 시 손가락의 마디에 끼울 수 있는 형태로 고정하거나 별도의 고정부재를 연결하여 손가락 또는 손에 고정해야하는데, 끼울 수 있는 형태로 고정하는 경우 견고한 고정이 어려워 착용 상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물건을 집는 등의 동작을 하는 때에 튼튼한 지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손가락 보조기 제작 시, 기존의 손가락 의수 샘플을 이용하여 정상 측 손과 가장 흡사한 샘플을 채택하여 이를 바탕으로 손가락 의수를 제작하므로, 착용 상 이질감이 없고 편안한 보조기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0583호 (2007.02.2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기가 착용될 손 및 정상 측 손의 3차원 스캔을 통해 보조기를 설계하여 제작함으로써, 손가락 절단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이질감이 적고, 상황에 따라 필요한 모양으로 제작가능한 맞춤형 보조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손가락 보조기의 고정을 위해 손 전체에 탈부착 가능한 착용부 및 보조 손가락 부위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물건을 집는 등의 동작 시 보조기가 미끄러지지 않고 튼튼한 지지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손 사용 목적에 따라 3차원 기법을 이용하여 보조기를 설계하고 제작함으로써, 손 사용 목적에 맞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의 제작 방법에는 보조기가 착용될 손 및 정상 측 손을 사용자가 원하는 손 모양으로 고정한 후 3차원(3-Dimention: 3D) 스캐너를 통해 3D 스캔하는 단계, 3D 스캔을 통해 생성된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 및 정상 측 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조기에 대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설계도에 따라 보조기를 성형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3D 스캔 데이터의 합성을 통해 사용자의 정상 측 손의 손가락 부위에 상응하는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손가락 부위를 위한 보조 손가락이 모델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스캔을 통해 생성된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 및 정상 측 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에는, 정상 측 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좌 또는 우로 대칭이동하는 단계, 대칭이동을 통해 생성된 정상 측 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에 중첩하는 단계 및 3D 스캔 데이터들의 중첩을 통해 보조기가 착용될 손가락 부위를 제외한 신체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조기에 대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3D 스캔 데이터의 합성을 통해 모델링될 보조 손가락과 보조기를 사용자 손에 고정시키기 위한 착용부가 일체형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는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조기가 착용될 손에 밀착되도록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조기에 대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보조 손가락 부위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턴이 생성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에는, 정상 측 손가락의 형태를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보조 손가락 및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가 사용자의 손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착용부가 포함되고, 착용부는 보조 손가락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는 보조기가 착용될 손에 밀착되도록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손가락 부위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및 그 제작 방법에 따르면, 3차원 기법을 이용하여 보조기가 착용될 손뿐만 아니라 정상 측 손을 스캔하여 손가락 보조기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 시 이질감이 적으며, 손가락 보조기의 활용 목적에 따라 형태가 구체화된 손가락 보조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기법을 이용한 손가락 보조기의 설계 과정은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쉽게 가능하여 다양한 인공 손 모양을 제작할 수 있다. 이는 가격을 낮추고 다양한 손가락 위치를 가지는 자신만의 의수를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조 손가락 및 사용자의 손에 고정하기 위한 착용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가락 보조기를 착용할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맞게 동작을 수행할 때 착용부가 보조 손가락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가락 보조기를 통해 원하는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정상 측 손을 3차원 스캐너를 통해 3D 스캔하는 모습의 예, (b) 보조기가 착용될 손 및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의 예, (c)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 및 정상 측 손의 3D 스캔데이터의 중첩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보조기가 착용될 손 및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계된 보조기 데이터의 예, (b) 설계된 보조기 데이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손가락 보조기가 착용되기 전 블록을 잡는 모습, (b) 손가락 보조기가 착용된 후 블록을 잡는 모습의 예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400)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400)의 제작 방법에는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 및 정상 측 손(500)을 사용자가 원하는 손 모양으로 고정한 후 3차원(3-Dimention: 3D) 스캐너를 통해 3D 스캔하는 단계, 3D 스캔을 통해 생성된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의 3D 스캔 데이터(200) 및 정상 측 손(500)의 3D 스캔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조기(400)에 대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설계도에 따라 보조기(400)를 성형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3D 스캔 데이터의 합성을 통해 사용자의 정상 측 손(500)의 손가락 부위에 상응하는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의 손가락 부위를 위한 보조 손가락(410)이 모델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기(400)의 성형은 3D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oD(Drop on Demand), EBM(Electron Beam Melting), BJ(Binder Jetting) 등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한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보조기(400)를 성형할 수 있으며,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된 보조기(400)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종래의 보조기(400)에 비해 독성이 적고 가벼워 사용자가 착용하여 사용하기에 보다 편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정상 측 손(500)을 3차원 스캐너를 통해 3D 스캔하는 모습의 예, (b)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 및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의 3D 스캔 데이터(200)의 예, (c)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의 3D 스캔 데이터(200) 및 정상 측 손(500)의 3D 스캔데이터의 중첩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300)의 예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 및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계된 보조기(400) 데이터의 예, (b) 설계된 보조기(400) 데이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스캔을 통해 생성된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의 3D 스캔 데이터(200) 및 정상 측 손(500)의 3D 스캔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에는, 정상 측 손(500)의 3D 스캔 데이터를 좌 또는 우로 대칭이동하는 단계, 대칭이동을 통해 생성된 정상 측 손(500)의 3D 스캔 데이터를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의 3D 스캔 데이터(200)에 중첩하는 단계 및 3D 스캔 데이터들의 중첩을 통해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가락 부위를 제외한 신체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이 왼손인 경우 정상인 오른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좌로 대칭이동할 수 있고, 대칭이동된 오른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보조기(400)가 착용될 왼손의 3D 스캔 데이터의 중첩을 통해 모델링될 보조 손가락(410)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보조기(400)가 착용될 왼손가락 부위를 제외한 신체 부위는 대칭이동된 오른손 부위와 중첩될 것이므로, 모델링될 보조 손가락(410) 부위를 확인가능하고 중첩된 신체부위를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보조 손가락(410)을 모델링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조기(400)에 대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3D 스캔 데이터의 합성을 통해 모델링될 보조 손가락(410)과 보조기(400)를 사용자 손에 고정시키기 위한 착용부(420)가 일체형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보조기(400)를 착용하여 동작 시 보조기(400)가 고정 되지 않고 밀리거나 손으로부터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막기 위해 보조 손가락(410)과 착용부(4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420)는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의 3D 스캔 데이터(200)를 기반으로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에 밀착되도록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즉,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의 3D 스캔 데이터(200) 상에서 보조 손가락(41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밴드나 링 등의 형태로 착용부(420)를 설계할 수 있으며,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의 굴곡 및 형태 등에 일치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불편함없이 보조기(400)를 착용할 수 있고, 보조기(400)의 착용 후에도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며, 보다 자연스러운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조기(400)에 대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보조 손가락(410) 부위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턴이 생성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패턴(411)은 돌출된 형태 또는 그물 형태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조 손가락(410)에서 물건과 맞닿을 수 있는 부위에는 사람의 지문 등과 같은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부위에는 천연 고무와 같은 마찰력이 있는 소재가 감싸져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조 손가락(410)의 다른 부위에는 손톱과 같은 모양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상 측(건측) 손처럼 보다 자연스러운 보조기(400) 또는 손가락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400)에는, 정상 측 손가락의 형태를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보조 손가락(410) 및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400)가 사용자의 손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착용부(420)가 포함되고, 착용부(420)는 보조 손가락(4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보조기(400)를 착용하여 동작 시 보조기(400)가 고정 되지 않고 밀리거나 손으로부터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막기 위해 보조 손가락(410)과 착용부(4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420)는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에 밀착되도록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 손가락(41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밴드나 링 등의 형태로 착용부(4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기(400)가 착용될 손(100)의 굴곡 및 형태 등에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불편함없이 보조기(400)를 착용할 수 있고, 보조기(400)의 착용 후에도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며, 보다 자연스러운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손가락(410) 부위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패턴(411)은 돌출된 형태 또는 그물 형태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조 손가락(410)에서 물건과 맞닿을 수 있는 부위에는 사람의 지문 등과 같은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부위에는 천연 고무와 같은 마찰력이 있는 소재가 감싸져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조 손가락(410)의 다른 부위에는 손톱과 같은 모양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상 측(건측) 손처럼 보다 자연스러운 보조기(400) 또는 손가락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손가락 보조기(400)가 착용되기 전 블록을 잡는 모습 예, (b) 손가락 보조기(400)가 착용된 후 블록을 잡는 모습 예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손가락 보조기(400) 착용 시 작은 박스형 물체(예컨대, 나무 블록 등)를 집는 것이 손가락 보조기(400) 착용 전보다 용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젭슨-타일러 손 기능 검사(Jepson-Taylor hand function test) 결과, 큰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쌓는 동작을 제외하고 글 쓰기, 카드 뒤집기, 작은 물체 집기 등의 동작에 있어서 시간이 단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보조기(400)의 착용으로 사용자의 일상생활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어려움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보조기가 착용될 손
200: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
300: 3D 스캔 데이터의 중첩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
400: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410: 보조 손가락
411: 미끄럼 방지 패턴
420: 착용부
500: 정상 측 손

Claims (9)

  1.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가 착용될 손 및 정상 측 손을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손 모양으로 고정한 후 3차원(3-Dimention: 3D) 스캐너를 통해 3D 스캔하는 단계;
    상기 3D 스캔을 통해 생성된 상기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정상 측 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기에 대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설계도에 따라 상기 보조기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D 스캔 데이터의 합성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정상 측 손의 손가락 부위에 상응하는 상기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손가락 부위를 위한 보조 손가락이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의료 보조기의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스캔을 통해 생성된 상기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정상 측 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 측 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좌 또는 우로 대칭이동하는 단계; 상기 대칭이동을 통해 생성된 정상 측 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상기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에 중첩하는 단계; 및
    상기 3D 스캔 데이터들의 중첩을 통해 상기 보조기가 착용될 손가락 부위를 제외한 신체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의료 보조기의 제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기에 대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3D 스캔 데이터의 합성을 통해 모델링될 보조 손가락과 상기 보조기를 상기 사용자 손에 고정시키기 위한 착용부가 일체형이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의료 보조기의 제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보조기가 착용될 손의 3D 스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보조기가 착용될 손에 밀착되도록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형태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의료 보조기의 제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된 3D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기에 대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보조 손가락 부위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턴이 생성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의료 보조기의 제작 방법.
  6.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에 있어서,
    정상 측 손가락의 형태를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보조 손가락; 및
    상기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가 상기 사용자의 손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착용부가 포함되고,
    상기 착용부는 상기 보조 손가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보조기가 착용될 손에 밀착되도록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손가락 부위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98410A 2017-08-03 2017-08-03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및 그 제작 방법 KR20190014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10A KR20190014668A (ko) 2017-08-03 2017-08-03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및 그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10A KR20190014668A (ko) 2017-08-03 2017-08-03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및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668A true KR20190014668A (ko) 2019-02-13

Family

ID=6536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410A KR20190014668A (ko) 2017-08-03 2017-08-03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및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46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542A (ko) * 2020-12-31 2022-07-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 변형이 가능한 환자용 맞춤형 하지 소켓
KR20230121490A (ko) 2022-02-11 2023-08-18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542A (ko) * 2020-12-31 2022-07-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 변형이 가능한 환자용 맞춤형 하지 소켓
KR20230121490A (ko) 2022-02-11 2023-08-18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o et al. A 1.4-million-year-old bone handaxe from Konso, Ethiopia, shows advanced tool technology in the early Acheulean
KR20190014668A (ko) 사용자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 및 그 제작 방법
EP3735942B1 (en) Bio-mechanical prosthetic finger with h-shaped rocker
Banga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prosthetic and orthotic product by 3D printing
Dunlop et al. Computed tomography recovers data from historical amber: an example from huntsman spiders
JP7222399B2 (ja) 装具
US11696636B2 (en) Customized assistive gripping device
JP2013069262A (ja) デジタル人体モデルの特徴データ構造
Koo et al. The development of a wrist brace using 3D scanner and 3D printer
Sheppard Anatomy: A complete guide for artists
White Why I hate the index finger
Orozco et al. Aesthetics in orthopedic products: Applications of the advanced manufacture (AM) to the industrial design of orthoses
Benoit et al. Petrosal and bony labyrinth morphology supports paraphyly of Elephantulus within Macroscelididae (Mammalia, Afrotheria)
JP6896954B1 (ja) マスク支持具
Sanamxay et al. A summary of the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the red giant flying squirrel, Petaurista petaurista (Sciuridae, Sciurinae, Pteromyini), in mainland Southeast Asia with the first record from Lao PDR
KR20160076781A (ko)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Thompson et al. Hospitalitermes krishnai, a new nasute termite (Nasutitermitinae, Termitidae, Isoptera), from southern Sumatra, Indonesia
Morimoto et al. Upper limbs orthesis and prostheses printed in 3D: an integrative review
JP2020177578A (ja) 爪3次元形状推定システム、爪3次元形状推定システムの利用方法、端末装置、爪3次元形状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Vedi et al. Desig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low-cost 3D printed prosthetic hand
Satomi et al. Designing our Extended Body
Caccavari Sources of Variation in the Semi-Circular Canals in Old World Primates
Caldeira et al. Use of silicone finger prostheses in amputee patients: An integrative review
Lee et al. Reducing the Barriers to Designing 3D-Printable Prosthetics In Resource-Constrained Environments
JPWO202308477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