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607A - 정수기용 정농필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정농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607A
KR20190014607A KR1020170097958A KR20170097958A KR20190014607A KR 20190014607 A KR20190014607 A KR 20190014607A KR 1020170097958 A KR1020170097958 A KR 1020170097958A KR 20170097958 A KR20170097958 A KR 20170097958A KR 20190014607 A KR20190014607 A KR 20190014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eaning liquid
raw water
hou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호
최수현
김효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7009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4607A/ko
Publication of KR2019001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정수기의 장시간동안 사용으로 인해 오염되는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유로를 용출되는 세정제에 의해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는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가 충전되고, 상단이 막혀 있는 제1내통;
상기 제1내통 외측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통 외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내통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의 원수에 의해 희석시켜 상기 출수구로 이동시키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내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정농필터{a specular filter of water purifier}
본 명세서는 정농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수기의 장시간동안 사용으로 인해 오염되는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 등의 유로를 용출되는 세정제 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성장에 의한 산업규모의 확대와 대도시 및 공장 집중화 등에 의하여 환경오염 문제가 크게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질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식수의 경우 필수적으로 수처리 기기(정수기, 이온수기 등을 말함)를 통해 정수처리하여 정수를 음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수처리 기기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와,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취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취수 코크를 포함한다. 또한 수처리 기기는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 탱크,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와, 또는 탱크들 중 일부가 설치되는 탱크 타입의 정수기와, 탱크들이 설치되지않는 직수 타입의 정수기가 사용된다.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취수 코크, 각종 탱크들은 정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튜브와 같은 정수관에 의해 이음연결된다.
수처리 기기를 장시간동안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탱크들, 취수 코크 및 각종 정수관에는 물에 함유된 스케일, 고착성 미생물 등의 이물질이 끼이게 된다.
또한, 수돗물이나 지하수와 같이 TDS(total dissolved solid;총고형물질)가 높은 경도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물을 정수처리하는 경우 물속의 칼슘과 마그네슘 등의 성분이 굳어지면 필터막 뿐만 아니라 정수관 등의 유로에 스케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수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한 때에 각 탱크들의 내부를 청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취수 코크 또는 각종 정수관의 유로가 좁고 길게 형성되어 세척 도구가 들어가지 않거나, 또는 손이 닿지않아 완전하게 세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정수기의 저수조, 유로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소위, 코디(cordinator) 라고 불리는 전문 서비스 요원이 직접 방문하여 정수기 본체를 개방시킨 후 세정제 등을 이용하여 내부를 세척하여 왔으나, 이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정수기를 분해 및 재조립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종래에는 오염된 정수기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해 물과 접촉되는 동시에 용출되는 세정소재를 필터에 수용하여 세척하고 있다.
즉, 필터에 일정량의 세정소재를 수용하여 물이 흐르도록 할 경우, 초기에 세정소재가 과다하게 용출되어 세정제 용출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해 세정소재의 사용수명이 단축되고, 세정에 필요한 시간만큼의 세정제 농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아래 표 참조).
항목 단위 시험결과 기타
통수량 L 2 4 6 8 10 12 유입TDS:110mg/L
수온:18℃
실측정TDS mg/L 720 900 160 110 110 110
△TDS mg/L 610 790 50 0 0 0
전술한 [표 1]에서와 같이, 유입 TDS가 110/mg/L이고, 18℃의 수온을 유지하는 환경에서 구연산 세정소재를 적용시킨 일반 필터를 사용하여 시험한 결과, 통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초기(2L, 4L, 6L)에 필터로부터 세정제가 과잉 용출(720mg/L, 900mg/L, 160mg/L)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6223호에 세정수단이 결합된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세정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정수기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 세척을 위한 세정제가 초기에 과다하게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세정에 필요한 만큼의 일정한 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초기에 과잉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에 세정제를 수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정수기에 원터치 타입으로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가 충전되고, 상단이 막혀 있는 제1내통;
상기 제1내통 외측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통 외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내통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의 원수에 의해 희석시켜 상기 출수구로 이동시키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내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부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가 충전되고, 상단이 막혀 있는 제1내통;
상기 제1내통 외측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통 외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내통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의 원수에 의해 희석시켜 상기 출수구로 이동시키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내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부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고 하단 개구부에 장착되는 부직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세정액을 용출시키되, 세정액을 상단 개구부에 장착되는 경화 부직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가 충전되는 제1내통;
상기 제1내통 외측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통 외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내통의 소수성 부직포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출수구로 이동시키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내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가 충전되고, 상단이 막혀 있는 내통;
상기 내통과 상기 하우징본체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내통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의 원수에 의해 희석시켜 상기 출수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 세척을 위한 세정제가 초기에 과다하게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하고, 세정에 필요한 만큼의 일정한 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신뢰성 및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초기에 과잉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필터에 세정제를 수용함에 따라, 전문 요원을 초빙하지않고도 사용자가 직접 정수기에 원터치 타입으로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 및 경제성을 갖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의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의 개략도,
도 5는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정농필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는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입수구 및 출수구가 필터하우징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U자형 니쁠타입의 정농필터를 말함)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10)와, 하우징본체(10)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1)와,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12)가 형성되는 하우징캡(13)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14);
필터하우징(14)에 수용되고,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4)에 유입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을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15)가 충전되고, 상단이 막혀 있는 제1내통(17);
제1내통(17) 외측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를 형성하도록 제1내통(17) 외측으로 결합되고, 제1내통(17)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의 원수에 의해 희석시켜 하우징캡(13)의 출수구(12)로 이동시키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내통(19);을 구비한다.
제2내통(19)의 토출구(20) 외측면에 장착되고, 토출구(20) 및 하우징캡(13)의 보스부(21)사이의 틈새를 실링처리하여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4)에 유입되는 원수와, 제2내통(19)으로부터 하우징캡(13)의 출수구(12)로 배출되는 세정액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22);을 더 구비한다.
제1내통(17) 개구부에 장착되고, 제1내통(17)과 제2내통(19)사이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를 형성하도록 연장편(23)이 형성되고, 필터하우징(14)으로부터 제1내통(17)에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세정소재(1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여과재(24);
제2내통(19)의 내부 출구측에 장착되고, 제2내통(19)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킨 하우징캡(13)의 출수구(12)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여과재(25);를 더 구비한다.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징본체(10)의 내부 하측에 장착되고, 제1여과재(24)의 바닥면을 받쳐지지하고, 제2내통(19)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리테이너(26);를 더 구비한다.
세정소재(15)는 분말형태의 구연산, 초산, 염소계 살균 소독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수돗물 등의 원수가 하우징캡(13)에 형성된 니쁠형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4)에 유입되어 도면상,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하우징본체(10) 하측에 이동된 원수는 제1여과재(24) 또는 제2내통(19)을 지지하는 리터이너(26)를 통과하여 방향전환한 후, 제1여과재(24)를 통과함에 따라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질 등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게 된다.
제1여과재(24)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원수가 하단이 개방된 제1내통(17) 하측에 유입될 경우 제1내통(17)에 충전된 세정소재(15)와 접촉되므로 세정소재(15)가 용출된다.
이때, 제1내통(17)의 상단이 닫혀있는 상태이므로, 원수 접촉에 의해 세정소재(15)로부터 용출되는 세정액이 제1내통(17)을 곧바로 통과하여 제2내통(19)의 토출구(20)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세정소재(15)로부터 용출된 세정액은 제1내통(17)의 하단 개구부 및 제1여과재(24)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1내통(17)과 제2내통(19)사이에 형성된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에 있는 원수와 합류되어 희석된다. 이때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에서 원수와 희석된 세정액은 제1내통(17)으로부터 용출된 세정액보다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세정액을 유지하게 된다.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에서 원수와 희석된 세정액은 도면상, 상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내통(19) 내부 상측에 장착된 제2여과재(25)를 통과한 후 제2내통(19)의 토출구(2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원수와 접촉되어 세정소재(15)로부터 용출되는 세정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2여과재(25)에 의해 여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내통(19)의 토출구(20) 외측면에 장착된 오링(22)에 의해 토출구(20)와 하우징캡(13)의 보스부(21)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함에 따라, 제2내통(19)으로부터 하우징캡(13)의 출수구(12)로 배출되는 세정액과, 하우징캡(13)의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4)에 유입되는 원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에 의하면,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또는 호스를 말함)와 같은 정수관 내부를 원수와 접촉시 세정소재(15)로부터 용출되는 세정액에 의해 세척할 경우, 제1내통(17)에 충전된 세정소재(15)가 원수와 접촉되는 초기에 과잉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입수구(11)를 통과하여 필터하우징(14)에 유입된 원수가 제1내통(17)에 충전된 세정소재(15)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이 제1내통(17)의 상단이 막혀있어 제2내통(19)측으로 곧바로 배출되지않게 된다.
따라서, 제1내통(17)에 충전된 세정소재(15)로부터 용출되는 세정액이 제1내통(17)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배출된 후, 제1내통(17) 및 제2내통(19)사이에 형성된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에 이동되고, 제1내통(17)으로부터 배출된 세정액이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의 원수에 의해 희석된 후 제2내통(19)의 토출구(20)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1내통(17)에 충전되어 원수와 접촉시 세정액을 용출시키는 세정소재(15)를 정수기의 탱크 또는 정수관 내부를 세정시킬 수 있는 시간만큼 임의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아래 표 참조).
항목 단위 시험결과 기타
통수량 L 2 4 6 8 10 12 ...... 30 유입TDS:110mg/L
수온: 18℃


실측정TDS mg/L 475 403 406 416 417 433 ...... 160
△TDS mg/L 365 293 296 306 307 323 ...... 50
구연산농도 g/L 1.5 ∼ 2
전술한 [표 2]에서와 같이, 유입 TDS가 110/mg/L이고, 18℃의 수온을 유지하는 환경에서 구연산 세정소재를 적용시킨 이중 필터를 사용하여 시험한 결과, 통수량이 증대되는 경우(2L, 4L, 6L, 8L, 10L, 12L)에도 이중 필터로부터 용출되는 세정제(475mg/L, 403mg/L, 406mg/L, 416mg/L, 417mg/L, 433mg/L) 용출량이 큰 변화가 없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구연산 1g이 물 1L에 용해될 경우 TDS는 약 200ppm이 상승된다.
또한, L당 1.5∼2g의 구연산이 일정하게 용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는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입수구 및 출수구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가 필터하우징 개구부에 장착되고, 정수기에 원터치타입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정농필터를 말함)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10)와, 하우징본체(10)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는 하우징캡(13)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14);
필터하우징(14)의 개구부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28)와,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29)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30);
필터하우징(14)에 수용되고, 입수구(28)를 통해 필터하우징(14)에 유입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을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15)가 충전되고, 상단이 막혀 있는 제1내통(17);
제1내통(17) 외측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를 형성하도록 제1내통(17) 외측으로 결합되고, 제1내통(17)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의 원수에 의해 희석시켜 유로전환가이드(30)의 출수구(29)로 이동시키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내통(19);을 구비한다.
제1내통(17) 개구부에 장착되고, 제1내통(17)과 제2내통(19)사이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를 형성하도록 연장편(23)이 형성되고, 필터하우징(14)으로부터 제1내통(17)에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세정소재(1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여과재(24);
제2내통(19)의 내부 출구측에 장착되고, 제2내통(19)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킨 후 유로전환가이드(30)의 출수구(29)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여과재(25);를 더 구비한다.
제2내통(19)의 토출구(20) 외측면에 장착되고, 토출구(20) 및 유로전환가이드(30)의 보스부(27)사이의 틈새를 실링처리하여 유로전환가이드(30)의 입수구(28)를 통해 필터하우징(14)에 유입되는 원수와, 제2내통(19)으로부터 유로전환가이드(30)의 출수구(29)로 배출되는 세정액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22);을 더 구비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하우징캡(13)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수돗물 등의 원수가 필터하우징(14)측으로 유입되는 입수구(28) 및 원수와 접촉시 제1내통(17)으로부터 용출되는 세정액을 필터하우징(14)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수구(29)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30)와, 정수기에 원터치타입(정수기의 커넥터에 필터하우징(14)의 개구부를 가압하여 결합시키는 push off 방식, 또는 정수기의 커넥터에 대해 필터하우징(14)의 개구부를 결합시킨 후 일방향으로 임의각도만큼 회전시켜 결합시키는 turn off 방식을 말함)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우징캡(13)의 개구부 외측면에 걸림턱(A)이 형성되는 필터하우징(14)을 제외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는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입수구 및 출수구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가 필터하우징 개구부에 장착되고, 정수기에 원터치타입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정농필터를 말함)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10)와, 하우징본체(10)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는 하우징캡(13)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14);
필터하우징(14)의 개구부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28)와,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29)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30);
필터하우징(14)에 수용되고, 유로전환가이드(30)의 입수구(28)를 통해 필터하우징(14)에 유입되고 하단 개구부에 장착되는 부직포(3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세정액을 용출시키되, 세정액을 상단 개구부에 장착되는 소수성 부직포(32)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15)가 충전되는 제1내통(17);
제1내통(17) 외측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를 형성하도록 제1내통(17) 외측으로 결합되고, 제1내통(17)의 경화 부직포(32)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유로전환가이드(30)의 출수구(29)로 이동시키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내통(19);을 구비한다.
이때, 제1내통(17)의 상단 개구부에 장착된 경화 부직포(32)는 제1내통(17)의 하단 개구부에 장착된 부직포(31)보다 상대적으로 더 조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내통(17)에 유입된 원수에 의해 용출된 제1내통(17)의 상단의 개구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세정액의 배출속도를 지연시키게 된다.
제2내통(19)의 내부 출구측에 장착되고, 제2내통(19)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킨 후 유로전환가이드(30)의 출수구(29)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여과재(25);를 더 구비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서와 같이, 필터하우징(14)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수돗물 등의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28)와, 원수와 접촉시 세정소재(15)로부터 용출되는 세정액을 배출시키는 출수구(29)가 형성된 유로전환가이드(30)와, 하단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세정액을 용출시키는 세정소재(15)가 충전된 제1내통(17)의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는, 세정소재(15)가 충전된 제1내통(17)의 상단 개구부에 경화 부직포(32)를 장착시킴에 따라, 제1내통(17) 하단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되어 용출되는 세정액 일부는 제1내통(17) 상단의 경화 부직포(32)를 통해 제1내통(17)으로부터 배출된 후, 제2내통(19)의 상부에 장착된 제2여과재(25)를 통과하여 토출구(20)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1내통(17) 하단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되어 용출되는 세정액 일부는 제1내통(17) 하단의 부직포(31)를 통해 배출된 후, 제1내통(17)과 제2내통(19)사이에 형성된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의 원수에 의해 임의농도로 희석되며, 제2내통(19) 상측에 장착된 제2여과재(25)를 통과하여 제2내통(19)의 토출구(20)쪽으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에 의하면, 하단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세정액을 용출시키는 세정소재(15)가 충전된 제1내통(17)의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경우에도, 제1내통(17)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이 곧바로 유로전환가이드(30)의 출수구(29)를 통해 필터하우징(14)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입수구가 하우징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출수구가 하우징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I자형 니쁠타입의 정농필터를 말함)는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1)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10)와, 하우징본체(10)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12)가 형성되는 하우징캡(13)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14);
필터하우징(14)에 수용되고,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4)에 유입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을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15)가 충전되고, 상단이 막혀 있는 내통(17a);
내통(17a)과 하우징본체(10)사이에 형성되고, 내통(17a)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의 원수에 의해 희석시켜 상기 출수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를 구비한다.
내통(17a) 개구부에 장착되고, 내통(17a)과 하우징본체(10)사이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를 형성하도록 연장편(23)이 형성되고, 입수구(11)로부터 내통(17a)에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여과재(24);
하우징본체(10)의 출구측에 장착되어 내통(17a) 상단을 지지하고,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킨 후 하우징캡(13)의 출수구(12)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여과재(25);를 더 구비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수돗물 등의 원수가 하우징본체(10)에 형성된 니쁠형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4)에 유입되어 도면상,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하우징본체(10) 하측에 이동된 원수는 제1여과재(24)를 통과함에 따라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질 등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게 된다.
제1여과재(24)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원수가 하단이 개방된 내통(17a) 하측에 유입될 경우 내통(17a)에 충전된 세정소재(15)와 접촉되므로 세정소재(15)가 용출된다.
이때, 내통(17a)의 상단이 닫혀있는 상태이므로, 원수 접촉에 의해 세정소재(15)로부터 용출되는 세정액이 내통(17a)을 곧바로 통과하여 하우징캡(13)의 출수구(12)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세정소재(15)로부터 용출된 세정액은 내통(17a)의 하단 개구부 및 제1여과재(24)를 차례로 통과하여 내통(17a)과 하우징본체(009)사이에 형성된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에 있는 원수와 합류되어 희석된다. 이때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에서 원수와 희석된 세정액은 내통(17a)으로부터 용출된 세정액보다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세정액을 유지하게 된다.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에서 원수와 희석된 세정액은 도면상, 상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내통(17a) 상단을 지지한 제2여과재(25)를 통과한 후 하우징캡(13)의 출수구(12)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원수와 접촉되어 세정소재(15)로부터 용출되는 세정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2여과재(25)에 의해 여과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정농필터에 의하면,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또는 호스를 말함)와 같은 정수관 내부를 원수와 접촉시 세정소재(15)로부터 용출되는 세정액에 의해 세척할 경우, 내통(17a)에 충전된 세정소재(15)가 원수와 접촉되는 초기에 과잉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입수구(11)를 통과하여 필터하우징(14)에 유입된 원수가 내통(17a)에 충전된 세정소재(15)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이 내통(17a)의 상단이 막혀있어 하우징캡(13)의 출수구(12)측으로 곧바로 배출되지않게 된다.
따라서, 내통(17a)에 충전된 세정소재(15)로부터 용출되는 세정액이 내통(17a)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배출된 후, 내통(17a) 및 하우징본체(10)사이에 형성된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에 이동되고, 내통(17a)으로부터 배출된 세정액이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18)의 원수에 의해 희석된 후 하우징캡(13)의 출수구(12)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내통(17a)에 충전되어 원수와 접촉시 세정액을 용출시키는 세정소재(15)를 정수기의 탱크 또는 정수관 내부를 세정시킬 수 있는 시간만큼 임의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하우징본체
11; 입수구
12; 출수구
13; 하우징캡
14; 필터하우징
15; 세정소재
17; 제1내통
18;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
19; 제2내통
20; 토출구
21; 보스부
22; 오링
23; 연장편
24; 제1여과재
25; 제2여과재
26; 리테이너
27; 보스부
28; 입수구
29; 출수구
30; 유로전환가이드
31; 부직포
32; 경화 부직포

Claims (12)

  1.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가 충전되고, 상단이 막혀 있는 제1내통;
    상기 제1내통 외측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통 외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내통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의 원수에 의해 희석시켜 상기 출수구로 이동시키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내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2.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부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가 충전되고, 상단이 막혀 있는 제1내통;
    상기 제1내통 외측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통 외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내통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의 원수에 의해 희석시켜 상기 출수구로 이동시키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내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3.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부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고 하단 개구부에 장착되는 부직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세정액을 용출시키되, 세정액을 상단 개구부에 장착되는 경화 부직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가 충전되는 제1내통;
    상기 제1내통 외측에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통 외측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내통의 경화 부직포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출수구로 이동시키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내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여과재의 바닥면을 받쳐지지하고, 상기 제2내통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통의 토출구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토출구 및 상기 하우징캡의 보스부사이의 틈새를 실링처리하여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와, 상기 제2내통으로부터 상기 출수구로 배출되는 세정액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통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내통과 제2내통사이에 상기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1내통에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여과재;
    상기 제2내통의 내부 출구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내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세정액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킨 후 상기 하우징캡의 출수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여과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통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내통과 제2내통사이에 상기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1내통에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여과재;
    상기 제2내통의 내부 출구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내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세정액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킨 후 상기 유로전환가이드의 출수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여과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통의 내부 출구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내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세정액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킨 후 상기 유로전환가이드의 출수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여과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통의 토출구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토출구 및 상기 유로전환가이드의 보스부사이의 틈새를 실링처리하여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원수와, 상기 제2내통으로부터 상기 유로전환가이드의 출수구로 배출되는 세정액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10.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소재는 분말형태의 구연산, 초산, 염소계 살균 소독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11. 정수기의 탱크 또는 튜브와 같은 정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세정제에 의해 세척하기 위한 정농필터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되고 하단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접촉시 용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세정소재가 충전되고, 상단이 막혀 있는 내통;
    상기 내통과 상기 하우징본체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내통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의 원수에 의해 희석시켜 상기 출수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통과 하우징본체사이에 상기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로부터 상기 내통에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여과재;
    상기 하우징본체의 출구측에 장착되어 상기 내통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원수 및 세정액 이동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킨 후 상기 하우징캡의 출수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여과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정농필터.
KR1020170097958A 2017-08-02 2017-08-02 정수기용 정농필터 KR20190014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958A KR20190014607A (ko) 2017-08-02 2017-08-02 정수기용 정농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958A KR20190014607A (ko) 2017-08-02 2017-08-02 정수기용 정농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607A true KR20190014607A (ko) 2019-02-13

Family

ID=6536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958A KR20190014607A (ko) 2017-08-02 2017-08-02 정수기용 정농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46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2837A (zh) * 2021-08-20 2021-12-10 佛山市麦克罗美的滤芯设备制造有限公司 滤芯及净水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2837A (zh) * 2021-08-20 2021-12-10 佛山市麦克罗美的滤芯设备制造有限公司 滤芯及净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0829A (en) Conditioning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pure water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2639274B1 (ko) 자가 관리형 정수기
KR20190014607A (ko) 정수기용 정농필터
WO2009116479A1 (ja) 水処理装置給水配管の洗浄方法
KR20160115576A (ko) 농축수를 이용하여 압력탱크의 정수수를 토출시키는 정수기
CN208038196U (zh) 一种可实现反方向冲洗的高精度阻垢前置过滤系统
CN114364444B (zh) 净水器和用于净水器的过滤器
CN210796022U (zh) 一种用于洗衣机的洗涤用水前处理系统
CN114162484A (zh) 一种弹簧式浮顶储罐用排水装置
US201902181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water filtration systems
KR100416136B1 (ko) 역세형정수기
CN101665290B (zh) 一种自动控制的水处理装置
KR20130127832A (ko) 시간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KR101439830B1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US5536417A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washing automatic backwashing filters
KR100575369B1 (ko) 소규모 상수용 무인 제어형 급속 정수시스템
CN211056876U (zh) 一种反渗透式污水处理装置
JPH1114157A (ja) 浴槽装置
CN207699376U (zh) 一种植物精华制剂水循环系统
KR960008096B1 (ko) 세탁기 급수정화장치
CN207713588U (zh) 一种城镇污水处理系统
KR20230130260A (ko) 우라늄 제거 여과기
KR20150135183A (ko) 고탁도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KR101907736B1 (ko) 정수기 살균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