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413A -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413A
KR20190014413A KR1020170098214A KR20170098214A KR20190014413A KR 20190014413 A KR20190014413 A KR 20190014413A KR 1020170098214 A KR1020170098214 A KR 1020170098214A KR 20170098214 A KR20170098214 A KR 20170098214A KR 20190014413 A KR20190014413 A KR 20190014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astic body
fiber filter
por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864B1 (ko
Inventor
최승도
우창현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8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9/0027
    • B01D29/003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섬유여재(20); 케이스(10)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케이스(10) 및 섬유여재(20) 사이에 위치하는 유연성 재질의 한 쌍의 공극제어판(30); 케이스(10) 및 공극제어판(3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PORE-CONTROLLABLE FIBER FILTER DEVICE}
본 발명은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여재의 공극을 제어하여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장치는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여과장치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처리수가 생성된다.
특히 여과장치는 여재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며, 섬유여과장치도 그 중 하나이다.
종래의 섬유여과장치는 섬유여재가 선(실타래), 볼(구형, 리본), 펠릿(조각) 형태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공극 제어가 어려워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섬유여재의 공극을 제어할 수 있는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72266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는 섬유포나 부직포 등과 같은 섬유여재로 여층을 형성시키고, 여층에 1개 또는 그 이상의 공극제어낭을 배치한 후 공기와 같은 유체를 공극제어낭의 내부에 일정량 주입함으로써 여층의 공극율과 공극의 크기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조절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여층 및 공극제어낭의 설치성 및 유지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극제어낭으로의 공기주입을 통해 여층의 공극을 제어함으로써 공극의 제어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복잡할 뿐 아니라 여층의 공극을 제어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섬유여재의 폐색 시 여층의 자연스러운 공극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결국,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체적인 구성이 단순함은 물론이고 섬유여재의 공극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섬유여재; 상기 케이스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섬유여재 사이에 위치하는 유연성 재질의 한 쌍의 공극제어판;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공극제어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공극제어판을 탄성적으로 유동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는 케이스 및 섬유여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공극조절판을 통해 섬유여재의 공극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섬유여재의 폐색 시 공극 제어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섬유여재(20);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극제어판(30); 케이스(10) 및 공극제어판(3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는 통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로 부유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우수 등이 통과된다.
이러한 케이스(10)는 고정부(12); 고정부(12)에 결합되는 착탈부(14)로 이루어진다.
고정부(12)의 상·하부에는 섬유여재(20)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메쉬망(13a, 13b)이 설치된다. 착탈부(14)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고정부(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고정부(12) 및 착탈부(14)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돌기(13)가 형성됨과 아울러 다른 하나에는 끼움홈(15)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결합된다.
특히 착탈부(14)는 공극제어판(30)과 마주보는 케이스(10)의 측부에 형성되며, 탄성체(40)가 지지된다.
이와 같이, 착탈부(14)가 고정부(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탄성체(40)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의 크기 및 재질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섬유여재(20)는 케이스(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밀착 설치되어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여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섬유여재(20)로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섬유여재(20)로는 부직포를 비롯하여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공극제어판(30)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유동에 의해 섬유여재(20)의 공극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공극제어판(30)은 케이스(10)의 측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테두리부가 케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케이스(10) 및 섬유여재(20) 사이에 위치한다.
공극제어판(30)으로는 고무를 비롯하여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유연성 재질을 적용할 수 있으며, 공극제어판(30)의 외부면에는 내수성을 고려한 내수코팅층(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40)로는 일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탄성체(40)를 통해 공극제어판(30)을 전후진 유동시켜 섬유여재(20)의 공극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탄성체(40)의 탄성력 및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한편, 공극제어판(30)에는 연결대(50)가 부착되고, 탄성체(40)는 케이스(10) 및 연결대(50) 사이에 개재된다. 연결대(50)는 탄성체(40)에 의해 공극제어판(30)이 직접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공극제어판(30)과 마찬가지로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스(10)의 착탈부(14) 및 연결대(50)에는 탄성체(40)의 양측 단부가 삽입되는 탄성체삽입홈(16, 56)이 형성되어, 탄성체(10)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의 동작상태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0) 및 공극제어판(30) 사이에 탄성체(40)가 개재되어 섬유여재(20)의 공극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케이스(10) 상부의 메쉬망(13a)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에 의해 섬유여재(20)의 폐색이 발생될 경우에는 탄성체(40)가 압축되어 섬유여재(20)의 공극이 이완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메쉬망(13b)을 통해 우수가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섬유여재(20)의 폐색으로 인해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역세척을 통해 섬유여재(20)에 부착되어 있는 부유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섬유여재(20); 케이스(10)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케이스(10) 및 섬유여재(20) 사이에 위치하는 유연성 재질의 한 쌍의 공극제어판(30); 케이스(10) 및 공극제어판(3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체(40)는 케이스(10) 및 공극제어판(30)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되며, 이에 따라 섬유여재(20)의 공극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 13a는 메쉬망을 나타낸 것이고, 탄성체(40)의 개수 및 배치형태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 : 케이스 16 : 탄성체삽입홈
20 : 섬유여재 30 : 공극조절판
40 : 탄성체 50 : 연결대
56 : 탄성체삽입홈

Claims (4)

  1.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섬유여재(20);
    상기 케이스(10)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테두리부가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섬유여재(20) 사이에 위치하는 유연성 재질의 한 쌍의 공극제어판(30);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공극제어판(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공극제어판(30)을 탄성적으로 유동시키는 탄성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0)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극조절판(30)에 연결대(50)가 부착되고,
    상기 탄성체(40)는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연결대(50)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연결대(50)에는 상기 탄성체(40)의 양측 단부가 삽입되는 탄성체삽입홈(16, 5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KR1020170098214A 2017-08-02 2017-08-02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KR102002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214A KR102002864B1 (ko) 2017-08-02 2017-08-02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214A KR102002864B1 (ko) 2017-08-02 2017-08-02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413A true KR20190014413A (ko) 2019-02-12
KR102002864B1 KR102002864B1 (ko) 2019-07-23

Family

ID=6536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214A KR102002864B1 (ko) 2017-08-02 2017-08-02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8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235A (ko) * 2003-08-11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공진스프링 조립구조
KR20090126569A (ko) * 2008-06-04 2009-12-09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섬유사 여과장치
KR20100137350A (ko) * 2010-03-23 2010-12-30 김창수 수처리용 여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235A (ko) * 2003-08-11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공진스프링 조립구조
KR20090126569A (ko) * 2008-06-04 2009-12-09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섬유사 여과장치
KR20100137350A (ko) * 2010-03-23 2010-12-30 김창수 수처리용 여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864B1 (ko)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329B1 (ko) 하이브리드형 섬유여과장치
KR100813114B1 (ko) 당김형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KR101150675B1 (ko) 역세기능을 구비한 상수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JP4724688B2 (ja) 濾過装置
KR100389793B1 (ko) 가변 유연성 섬유사 필터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CN102186551A (zh) 具有可调孔隙率的过滤器
KR101050182B1 (ko) 직물 매체 여과 시스템
KR102002864B1 (ko) 공극 제어형 섬유여과장치
KR101211369B1 (ko)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RU2009110258A (ru)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свеча для фильтра с обратной промывкой элементов
KR100362597B1 (ko) 공극 제어형 여과장치
KR101541148B1 (ko) 가변형 스트레이너 섬유여과기
KR101685637B1 (ko) 활성탄을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
KR100949058B1 (ko) 여과장치
KR100547005B1 (ko) 공극조절기가 장착된 심층형 섬유 여과기
KR100425049B1 (ko) 공극 제어형 심층여과기
KR101278020B1 (ko) 가변필터 여과장치
KR101171869B1 (ko) 개착식 하상여과역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착식 하상여과시스템
KR20110094158A (ko) 수처리장치
KR102413024B1 (ko) 결속력이 향상된 균등 분산형 하부집수장치
KR20110116284A (ko) 상부역세장치 및 스크린 역세장치를 갖는 개착식 하상여과 자동역세시스템 및 자동역세방법
KR101568844B1 (ko) 다중구조 여재
JP2011194355A (ja) ろ過装置
KR200292996Y1 (ko) 가변 유연성 섬유사 필터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KR20150138951A (ko) Geo-Textile 섬유필터 여재를 이용한 AOS TYPE 유수분리 및 초기우수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