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637B1 - 활성탄을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 - Google Patents

활성탄을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637B1
KR101685637B1 KR1020160086716A KR20160086716A KR101685637B1 KR 101685637 B1 KR101685637 B1 KR 101685637B1 KR 1020160086716 A KR1020160086716 A KR 1020160086716A KR 20160086716 A KR20160086716 A KR 20160086716A KR 101685637 B1 KR101685637 B1 KR 101685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ctivated carbon
filtration
wat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임
이기곤
Original Assignee
이에스피 주식회사
이기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피 주식회사, 이기곤 filed Critical 이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6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01D23/14
    • B01D2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2Carbon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 개의 관통구를 구비하되, 상기 관통구 내에 활성탄이 채워지는 몸체; 상기 관통구의 상측입구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측망; 상기 관통구의 하측입구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측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여과블록; 상기 여과블록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여과사와 안트라사이트를 구비하는 여재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활성탄을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 {Filtration block with activated carbon and under drain apparatus for filtration pla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활성탄을 구비하여 여과성능이 개선되고, 보다 효율적인 역세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이라 함은 댐 또는 강, 하천 등으로부터 취수된 원수(이하 '원수'라 약칭한다)를 공급받아 소정의 정수처리공정들을 거쳐 정화시킨 후, 정수된 물을 가정에 식수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정수시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원수 정수처리 공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수장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여과지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유입되는 착수정(1)과, 상기 착수정(1)에 유입된 원수(原水)를 수(水)처리 약품과 혼화시키는 혼화지(2)와, 상기 혼화지(2)에서 수처리 약품과 화합된 원수에서 응집된 플록을 형성시키는 응집지(3)와, 상기 응집지(3)에서 형성된 플록(floc)을 중력에 의해 자연 침강시켜 침전시키는 침전지(4)와, 상기 침전지(4)에서 플록이 제거된 원수(原水)를 여과시키는 여과지(5)와, 상기 여과지(5)에서 여과된 원수에 염소 등의 소독약품을 투입시켜 최종 정수시킨 수돗물을 저장하는 정수지(6)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여과지(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블록(12)과 여재지지판(14)과 여재층(16)으로 구성되는 하부집수장치(10)가 바닥측에 설치되고, 여과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로(20) 및 배관(30)과, 역세척을 위해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공급관(40)과, 부유물질 배출을 위한 트라프(50)를 구비한다.
상기 여재층(16)은 여과사와 안트라사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물을 여과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바, 상기 여재층(16)을 통과하는 동안 여과된 물은 여재지지판(14)을 지나 유공블록(12) 내부로 포집된 후, 수로(20) 및 배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여과지(5)는 수명연장과 효과적인 여과를 위해 역세척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역세척 방법은 유공블록(12)을 통해 일정 압력의 역세수와 역세공기를 공급하여 여재층(16)에 함유되어 있던 이물질을 부유시켜 트라프(50)로 넘겨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트라프(50)로 넘겨진 부유물질들은 트라프의 경사면을 타고 배출되도록 설계된다.
이때, 상기 유공블록(12)은 다수 개의 오리피스(13)가 형성되는바, 여재층(16)을 통과한 물이 하측에 마련된 유로로 원활하게 포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여재층(16) 전체에 걸쳐 고르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나의 유공블록(12)에 다수 개의 오리피스(13)를 형성하는 제조공정이 다소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공블록(12) 제조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정수장시스템은, 하부집수장치(10)의 여과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여재층(16) 중 가장 하부에 활성탄층을 추가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단순히 여재층(16)에 활성탄층을 추가하는 경우, 여과 과정이나 역세척 과정에서 활성탄 입자가 여과사나 안트라사이트에 섞여 상기 활성탄층의 두께가 불규칙하게 변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세척 과정에서 상기 활성탄과 여과사가 혼합되어 활성탄층이 정상적으로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77351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여과성능이 향상되도록 활성탄층이 추가되되, 여과 과정이나 역세 과정에서 활성탄층의 변형 및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 개의 오리피스가 형성된 유공블록 없이도 물의 여과 및 포집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어 하부집수장치의 내부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 개의 관통구를 구비하되, 상기 관통구 내에 활성탄이 채워지는 몸체; 상기 관통구의 상측입구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측망; 상기 관통구의 하측입구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측망;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구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내벽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측망은 기준치 이상의 탄성을 갖는 탄력망으로 제작된다.
상기 관통구는 육각형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는 벌집판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하측망은 상기 상측망보다 큰 메쉬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측망은 상기 몸체의 상면 전체에 걸쳐 부착되고, 상기 하측망은 상기 몸체의 저면 전체에 걸쳐 부착되어, 각각의 관통구는 독립적인 내부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여과블록; 상기 여과블록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여과사와 안트라사이트를 구비하는 여재층;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블록은, 상기 관통구의 하측입구로 역세수 및 역세공기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과블록이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여과블록의 저면과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도록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지지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는, 활성탄을 이용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물을 여과시킬 수 있고, 여과 과정이나 역세 과정에서 활성탄층의 변형 및 손실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다수 개의 오리피스가 형성된 유공블록 없이도 물의 여과 및 포집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어 여과지의 내부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수장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여과지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이 적용된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을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이 적용된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는 여과지의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지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 및 집수시켜 정수지로 제공하는 장치로서, 안트라사이트(220)와 여과사(210) 등으로 구성된 여재층(200)을 지나는 동안 여과된 물을 활성탄(C)으로 한 번 더 여과시킴으로써, 보다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첫 번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는, 활성탄(C)이 내장된 여과블록(100)과, 상기 여과블록(1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여과사(210)와 안트라사이트(220)를 구비하는 여재층(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안트라사이트(220)와 여과사(210)를 통과하는 동안 여과된 물은 여과블록(100) 내의 활성탄(C)을 통과하면서 더욱 깨끗하게 여과되는바, 정수지로 공급되는 물의 순도가 현저히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하부집수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블록(12) 상부에 여재층(16)이 안정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유공블록(12)과 여재층(16) 사이에 여재지지판(14)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는 상기 여과블록(100)이 물을 한 번 더 여과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여재층(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까지 하도록 구성되는바, 종래의 하부집수장치에 비해 내부구성이 간략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활성탄(C)이 단순히 적층 구조로 배치되면, 역세척 과정에서 활성탄(C) 입자가 여과사(210)와 혼합되어 여재층(200)과 여과블록(100)의 경계가 없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바,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는 활성탄(C)이 다른 층과 혼합되거나 유실되지 못하는 구조로 여과블록(100)이 제작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100)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 개의 관통구(112)를 구비하되, 상기 관통구(112) 내에 활성탄(C)이 채워지는 몸체(110)와, 상기 관통구(112)의 상측입구를 덮도록 상기 몸체(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측망(130)과, 상기 관통구(112)의 하측입구를 덮도록 상기 몸체(110)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측망(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측망(130)과 하측망(120)은, 물은 통과할 수 있되 활성탄(C)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눈을 갖도록 제작되는바, 관통구(112) 내에 채워진 활성탄(C)은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관통구(112) 하측입구를 통해 유출되지 아니하고 역세척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관통구(112) 상측입구를 통해 유출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상기 여과블록(100)은 활성탄(C)이 여과사(210)와 혼합되거나 유실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는바, 유지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활성탄(C)이 채워지는 관통구(112)의 내벽이 수직으로 형성되면, 상기 관통구(112) 내에 채워진 활성탄(C)에 수압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활성탄(C)이 관통구(112)의 하부에만 집중되어 하측망(120)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100)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112)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내벽이 경사지게 형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구(112)가 상광하협 형상으로 제작되면, 관통구(112)로 인가되는 수압이 하측망(120)으로만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관통구(112)의 내벽으로도 일부 분산되는바, 하측망(120)의 손상을 일정 수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112)의 단면적이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면, 관통구(112) 내의 활성탄(C)이 수압에 의해 아래로 내려갈수록 활성탄(C) 입자 간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므로 여과성능이 더욱 높아진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구(112) 내벽의 경사도는 상기 관통구(112) 내에 채워지는 활성탄(C)의 규격이나 관통구(112)의 규격, 관통구(112) 내측으로 인가되는 수압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10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벌집판 구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110)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구(112)는 육각형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벌집패턴을 이루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10)가 벌집판 구조로 제작되면, 하향으로 인가되는 수압 및 여재층(200)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대해서도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가지게 되는바, 내구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몸체(11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다면, 상기 관통구(112)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육각홀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100)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100)은, 별도의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112) 전체에 걸쳐 활성탄(C)이 고르게 분포되고, 상측망(130)과 하측망(120) 모두 수평으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블록(100)의 상면으로 물이 공급되면, 관통구(112) 내에 채워져 있던 활성탄(C)은 수압에 의해 하측으로 압착되고, 상측망(130)은 수압에 의해 아래로 오목하게 처지게 된다. 상기 관통구(112)는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112) 내의 활성탄(C)이 하측으로 압착되면 상기 관통구(112) 내의 활성탄(C) 입자들은 상하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밀착되므로, 여과성능이 더욱 개선된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역세척을 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112)의 하측입구로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관통구(112) 내의 활성탄(C) 입자들은 상향으로 올려지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커지고, 이에 따라 활성탄(C) 입자 사이에 끼어 있던 이물질은 공기를 따라 상향 배출된다.
이때, 이물질 배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활성탄(C) 입자 간의 간격이 커져야 하는데, 활성탄(C)이 채워지는 공간이 한정된 상태에서는 활성탄(C) 입자 간의 간격이 증가되는데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이물질 배출 효과 역시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100)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역세척 수행 시 활성탄(C)이 채워지는 공간이 증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관통구(112)의 상측 입구를 덮는 상측망(130)이 기준치 이상의 탄성을 갖는 탄력망으로 제작되어, 관통구(112)의 하측 입구로 고압의 공기가 주입되어 역세척이 수행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압에 의해 상기 상측망(130)이 상향으로 볼록하게 늘어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측망(130)이 상향으로 볼록하게 늘어나면, 활성탄(C)이 채워지는 공간이 그만큼 증가되므로 활성탄(C) 간의 이격거리가 보다 넓게 확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역세척 시에 상측망(130)이 상향으로 볼록하게 늘어나면, 상측망(130)의 눈 크기 역시 증가하게 되는바, 이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블록(100)을 이용한 여과 및 여과블록(100)의 역세척이 수 회에 걸쳐 반복되면 상기 몸체(110) 내의 활성탄(C)은 매우 작은 입자(이하 '활성탄(C) 미립자'로 약칭한다)로 쪼개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활성탄(C) 미립자가 다량으로 발생되면 정수지로 공급되는 물에 활성탄(C) 미립자가 함유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역세척 시에는 이물질뿐만 아니라 활성탄(C) 미립자도 상향으로 배출되어야 함이 바람직한데, 상측망(130)의 눈이 매우 작으면 활성탄(C) 미립자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100)은, 역세척 시 상측망(130)이 상향으로 볼록하게 늘어나면서 상측망(130)의 눈이 커지게 되는바, 이물질 및 활성탄(C) 미립자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하측망(120)까지 탄력망으로 제작되면 여과 시 하측망(120)이 아래로 볼록하게 늘어나게 되어 활성탄(C) 미립자가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상측망(130)은 탄력망으로 제작되고 상기 하측망(120)은 탄력이 낮은 여과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관통구(112) 내의 활성탄(C) 미립자가 상측망(130)은 쉽게 통과하되 하측망(120)은 쉽게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하측망(120)은 상측망(130)보다 눈이 작은 패턴으로 즉, 상기 하측망(120)은 상측망(130)보다 큰 메쉬수를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여과 시에는 활성탄(C) 미립자가 하측망(120)을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역세척 시에는 활성탄(C) 미립자가 상측망(130)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면, 상기 상측망(130)과 하측망(120)의 메쉬수는 특정하게 한정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상측망(130)이 상향으로 볼록하게 늘어날 때 상기 상측망(130)의 가장자리만 몸체(110)의 상면에 부착되면, 각각의 관통구(112) 내에 채워져 있던 활성탄(C)들이 뒤섞여 각각의 관통구(112) 내의 활성탄(C) 양이 변동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어느 관통구(112)에는 많은 양이 활성탄(C)이 채워지고 또 다른 관통구(112)에는 적은 양의 활성탄(C)이 채워져, 상기 여과블록(100)의 여과성능이 부위별로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100)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망(130)은 상기 몸체(110)의 상면 전체에 걸쳐 부착되고, 상기 하측망(120)은 상기 몸체(110)의 저면 전체에 걸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측망(130)이 몸체(110)의 상면 전체에 걸쳐 부착되고 하측망(120)이 몸체(110)의 저면 전체에 걸쳐 부착되면, 상기 상측망(130)이 어떠한 패턴으로 변형되더라도 각각의 관통구(112)는 독립적인 내부공간을 유지하는바, 각각의 관통구(112) 내에 채워진 활성탄(C)이 뒤섞이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이 지지구조체에 안착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여과블록(100)을 통과한 물이 여과블록(100)의 하측에서 모아질 수 있도록 상기 여과블록(100)은 별도의 지지구조체(300)의 상부에 안착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지지구조체(300)는 종래의 유공블록(12)이 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312)가 형성된 상판(310)과 상기 상판(310)을 지지하도록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32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구조체(300)는, 수직판(320)이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상기 수직판(320)의 하부에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100)은 다수 개의 관통구(112)가 형성되는바, 여재층(200)을 통과한 물이 여과블록(100)의 각 부위를 통해 고르게 투과될 수 있고, 역세수나 역세공기가 각 관통구(112)를 통해 고르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여과블록(100)의 관통구(112)가 종래 유공블록(12)의 오리피스(13)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바, 상기 여과블록(100)이 저면과 대응하는 부위에 개구부(312)가 형성된 지지구조체(300) 상에 안착되더라도 여재층(200)을 통과한 물이 고르게 투과되고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고르게 분산 공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유공블록(12)은 다수 개의 오리피스(13)를 가공하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므로 제조비용이 높아지지만, 상기 지지구조체(300)는 유공블록(12)에 비해 제조공정이 단순하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집수장치는, 상기 여과블록(100)이 종래의 유공블록(12)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여과블록(100)이 유공블록(12)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면, 종래의 하부집수장치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여과블록 110 : 몸체
112 : 관통구 120 : 하측망
130 : 상측망 200 : 여재층
210 : 여과사 220 : 안트라사이트
C : 활성탄

Claims (9)

  1.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내벽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 내에 활성탄이 채워지는 몸체;
    탄성을 갖는 탄력망으로 제작되어, 상기 관통구의 상측입구 전체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측망; 및
    상기 상측망보다 큰 메쉬수를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관통구의 하측입구 전체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측망;
    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구의 하측입구로 역세수 및 역세공기를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상기 관통구의 하측입구로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공급될 때, 상기 상측망 중 상기 관통구의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부위가 상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늘어나, 상기 관통구의 내부공간 크기가 증가되면서 상기 상측망의 눈 크기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육각형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는 벌집판 구조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의한 여과블록;
    상기 여과블록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여과사와 안트라사이트를 구비하는 여재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여과블록이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여과블록의 저면과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도록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지지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
KR1020160086716A 2016-07-08 2016-07-08 활성탄을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 KR101685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716A KR101685637B1 (ko) 2016-07-08 2016-07-08 활성탄을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716A KR101685637B1 (ko) 2016-07-08 2016-07-08 활성탄을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637B1 true KR101685637B1 (ko) 2016-12-13

Family

ID=5757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716A KR101685637B1 (ko) 2016-07-08 2016-07-08 활성탄을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6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052B1 (ko) * 2020-04-17 2021-09-30 주식회사 에스티유 이물질 유입 방지 및 도보용 디딤돌 제조방법
KR20220001184A (ko) * 2020-06-29 2022-01-05 가람환경기술(주) 세척이 용이한 스크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661A (ko) * 1996-11-22 1998-08-05 배경석 정수기
KR100773510B1 (ko) 2006-12-28 2007-11-06 (주) 디아이엔바이로 급속여과지의 유공블록 시공방법
JP2011245407A (ja) * 2010-05-26 2011-12-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ストレーナー
KR101578676B1 (ko) * 2015-03-20 2015-12-21 (주)쓰리에이씨 공기조화기의 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661A (ko) * 1996-11-22 1998-08-05 배경석 정수기
KR100773510B1 (ko) 2006-12-28 2007-11-06 (주) 디아이엔바이로 급속여과지의 유공블록 시공방법
JP2011245407A (ja) * 2010-05-26 2011-12-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ストレーナー
KR101578676B1 (ko) * 2015-03-20 2015-12-21 (주)쓰리에이씨 공기조화기의 필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052B1 (ko) * 2020-04-17 2021-09-30 주식회사 에스티유 이물질 유입 방지 및 도보용 디딤돌 제조방법
KR20220001184A (ko) * 2020-06-29 2022-01-05 가람환경기술(주) 세척이 용이한 스크린
KR102504266B1 (ko) 2020-06-29 2023-02-27 가람환경기술(주) 세척이 용이한 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4454B1 (en)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with protection screen
WO2018103537A1 (zh) 水平流砂滤池及其水处理工艺
US9739047B2 (en) Non-point polluta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DE69904702T2 (de) Vorrichtung zur fest-flüssigkeittrennung, insbesondere zur biologischen reinigung von abwasser
ZA200608238B (en) Fine filtering apparatus controllable packing density using flexible fiber
KR101685637B1 (ko) 활성탄을 구비하는 하부집수장치용 여과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장용 하부집수장치
JP4777857B2 (ja) ろ過システム
KR101997861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100048030A (ko)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US201401512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KR101194030B1 (ko) 여과지의 집수거를 이용한 역세공기 공급구조
RU2174962C1 (ru) Кассетный фильтр
WO2002072227A1 (fr) Filtre a debit eleve et procede de filtration a debit eleve utilisant ledit filtre
KR101271089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의 다공성 플레이트 장치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451348B1 (ko) 여과 시스템
US4668389A (en) Cleaning device arranged in front of the inlet to a waterway
JP3815615B2 (ja) 繊維ろ材を用いた高速ろ過装置
CN108529775A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100544829B1 (ko) 여재 유실 방지 트러프
DE102017100875B4 (de) Einrichtung zum Filtern von Wasser und deren Verwendung
JP2009024111A (ja) 選炭システム
CN208517047U (zh) 一种一体化mbr设备
KR20110094158A (ko) 수처리장치
JP2003103121A (ja) 濾過エレ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