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205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205A
KR20190014205A KR1020170096144A KR20170096144A KR20190014205A KR 20190014205 A KR20190014205 A KR 20190014205A KR 1020170096144 A KR1020170096144 A KR 1020170096144A KR 20170096144 A KR20170096144 A KR 20170096144A KR 20190014205 A KR20190014205 A KR 2019001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rrection coefficient
unit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064B1 (ko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064B1/ko
Priority to US15/896,977 priority patent/US10386643B2/en
Publication of KR2019001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가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로 데이터를 공급하는 표시 구동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1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계수를 저장하며,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상기 표시 구동부로 전달하는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2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하기 위한 제2 보정 계수를 저장하며,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상기 표시 구동부로 전달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체에 직접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보통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라 불린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한 예로서, 머리 장착형 표시 장치(Head Mounted Display Device: 이하, "HMD"로 약기함)는 현장감 있는 영상을 표시하며, 고도의 몰입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머리 장착형 표시 장치는 영화 감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표시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가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로 데이터를 공급하는 표시 구동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1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한 제1 보정 계수를 저장하며,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상기 표시 구동부로 전달하는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2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한 제2 보정 계수를 저장하며,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상기 표시 구동부로 전달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제1 모드로 구동되고, 그 외의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보정 계수가 반영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보정 계수가 반영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기 전, 상기 제1 보정 계수 또는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구동용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1 구동용 메모리;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2 구동용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구동부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기 전, 상기 제1 보정 계수 또는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구동용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구동부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1 구동용 메모리; 및 상기 표시 구동부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2 구동용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디더링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디더링 방식과 상이한 제2 디더링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에 위치한 화소들 각각이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보정 계수가 생성되고,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에 위치한 화소들 각각이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2 보정 계수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구동 주파수보다 클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제1 모드인지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제1 모드일 때,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1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한 제1 보정 계수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2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한 제2 보정 계수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얼룩이 제거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얼룩이 제거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제1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구동 주파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에 포함된 얼룩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의 나머지 영역의 휘도를 참조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에 포함된 얼룩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의 나머지 영역의 휘도를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의 모서리에 위치한 제1 샘플링 포인트들의 휘도 평균값을 참조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의 모서리에 위치한 제2 샘플링 포인트들의 휘도 평균값을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얼룩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얼룩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얼룩 보상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로서 HMD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장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장치(30)는 프레임(3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에는 밴드(3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밴드(32)를 이용하여 프레임(31)을 머리에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31)은 표시 장치(1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될 수 있는 표시 장치(10)는 스마트 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스마트 폰 외에도,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 가능하며 표시 수단을 구비한 태블릿 PC, 전자북 리더기, 컴퓨터,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의료용 디지털기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프레임(31)에 장착되면 표시 장치(10)의 연결부(11)와 프레임(31)의 연결부(33)가 연결됨에 따라,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30)와 표시 장치(1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31)에 장착된 표시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하여, 웨어러블 장치(30)는 터치 센서, 버튼, 휠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면, 표시 장치(10)는 HMD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된 경우, 표시 장치(10)는 제1 모드(예를 들어, VR Mode)로 구동하고,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된 경우, 표시 장치(10)는 제2 모드(예를 들어, Normal Mode)로 구동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면 표시 장치(10) 가 자동적으로 제1 모드로 구동하고,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면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자동적으로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동작하거나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는 사용자의 두 눈에 대응되는 렌즈(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응되는 좌안 렌즈(21) 및 우안 렌즈(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30)는, 좌안 및 우안으로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하나로 통합된 렌즈(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렌즈(20)는 사용자의 관측 시야(FOV: Field of View)를 높이기 위하여 어안 렌즈, 광각 렌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표시 장치(10)가 프레임(31)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렌즈(20)를 통하여 표시 장치(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치 일정한 거리에 대형의 스크린을 두고 영상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서는,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탈부착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표시 장치(10)를 웨어러블 장치(30)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접할 수 있다.
다만,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사용자의 눈과 표시 장치(10) 간 거리가 매우 가까워지고, 렌즈(20)에 의하여 표시 장치(10)에 표시되는 영상이 확대되므로, 표시 장치(10)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에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던 얼룩도 제1 모드로 구동될 때에는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얼룩이 두드러지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표시부(100), 표시 구동부(200) 및 메모리(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화소들(PX)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사선(S1~Sn)과 하나의 데이터선(D1~Dm)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화소들(PX)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데이터 구동부(210), 주사 구동부(220), 구동용 메모리(230) 및 타이밍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주사선들(S1~Sn)로부터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들(D1~Dm)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화소들(PX)은 적색 화소, 녹색 화소, 흰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은 화소들(PX)은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전류량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220)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구동부 제어 신호(FLM, CLK1, CLK2)에 대응하여, 주사선들(S1~Sn)로 주사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220)는 주사선들(S1~Sn)로 주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주사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화소들(PX)이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10)는 화소들(PX)에 연결된 발광 제어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주사 구동부(220)는 발광 제어선들로 발광 제어 신호들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는, 표시 장치(10)는 발광 제어선들로 발광 제어 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발광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부(210)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대응하여 데이터선들(D1~Dm)로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선들(D1~Dm)로 공급된 데이터 신호들은 각 주사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화소들(PX)로 공급된다.
타이밍 제어부(250)는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21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5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210)의 사양에 맞는 영상 데이터(DATA)로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부(210)로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신호(DCS)에는 소스 시작신호,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 소스 샘플링 클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스 시작신호는 데이터 구동부(21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소스 샘플링 클럭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구동부(210)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데이터 구동부(21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들(FLM, CLK1, CLK2)을 주사 구동부(220)로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50)는 데이터 구동부(210) 및 주사 구동부(220)가 제1 모드로 구동하거나 제2 모드로 구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타이밍 제어부(250)는 모드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210) 및 주사 구동부(220)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모드에 대응되는 모드 제어 신호를 공급받은 데이터 구동부(210)는 제1 모드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를 표시부(1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에 대응되는 모드 제어 신호를 공급받은 주사 구동부(220)는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주사 신호를 표시부(100)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모드에 대응되는 모드 제어 신호를 공급받은 데이터 구동부(210)는 제2 모드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를 표시부(1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에 대응되는 모드 제어 신호를 공급받은 주사 구동부(220)는 제2 모드에 대응되는 주사 신호를 표시부(1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00)는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영상이나 제2 모드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일 때 영상의 구동 주파수는, 제2 모드일 때 영상의 구동 주파수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일 때 영상의 구동 주파수는 75Hz일 수 있으며, 이는 1초에 75번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모드일 때 영상의 구동 주파수는 60Hz일 수 있으며, 이는 1초에 60번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모리(310, 320)는 제1 메모리(310) 및 제2 메모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1 메모리(310)는,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얼룩을 제1 보정 영역 단위로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계수(V_dc1)를 저장하고, 제1 보정 계수(V_dc1)를 데이터 구동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2 메모리(320)는,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얼룩을 제2 보정 영역 단위로 보정하기 위한 제2 보정 계수(V_dc2)를 저장하고, 제2 보정 계수(V_dc2)를 데이터 구동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310, 320)는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상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RAM), 저항 랜덤 액세스 메모리(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RAM), 강자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표시부(100)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전, 제1 메모리(310) 또는 제2 메모리(320)로부터 제1 보정 계수(V_dc1) 또는 제2 보정 계수(V_dc2)를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구동용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구동용 메모리(230)는 타이밍 제어부(250) 또는 데이터 구동부(210)로 제1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제1 보정 계수(V_dc1)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에서, 구동용 메모리(230)는 타이밍 제어부(250) 또는 데이터 구동부(210)로 제2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제2 보정 계수(V_dc2)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구동용 메모리(230)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용 메모리(230)는 데이터 구동부(210)나 타이밍 제어부(2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 메모리(310) 및 제2 메모리(320)가 통합되어 제공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메모리(310) 및 제2 메모리(320)는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화소들(PX) 각각에 하나의 주사선이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소들에 포함된 화소 회로의 구조에 따라 화소들(PX) 각각에 복수의 주사선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데이터 구동부(210), 주사 구동부(220), 구동용 메모리(230) 및 타이밍 제어부(250)를 개별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필요에 따라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210), 주사 구동부(220), 구동용 메모리(230) 및 타이밍 제어부(250)는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칩 온 플라스틱(Chip On Plastic),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칩 온 필름(Chip On Film)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얼룩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3a는 제2 모드에서의 얼룩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제1 모드에서의 얼룩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는 표시부(100)의 일부 영역만을 도시하였으며, 도 3a에 도시된 표시부(100)의 일부 영역의 크기와 도 3b에 도시된 표시부(100)의 일부 영역의 크기는 동일하다.
도 3a를 참조하면, 표시부(100)에는 제2 얼룩(SM2)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얼룩(SM2)의 크기는 (2N X 2N) 화소 영역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는, 제2 단위 보정 영역(Ca2)을 기준으로, 제2 얼룩(SM2)을 제거하기 위한 제2 보정 계수(V_dc2)가 생성될 수 있다.
제2 단위 보정 영역(Ca2)의 크기는 (4N X 4N) 화소 영역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여기서, N은 2 이상 임의의 자연수). 제2 단위 보정 영역(Ca2)은, 제2 얼룩(SM2), 제2 얼룩(SM2)의 일 측에 위치한 영역 A와 영역 B, 및 제2 얼룩(SM2)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영역 C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 A 내지 C는 제2 얼룩(SM2)과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얼룩(SM2)을 제거하기 위한 제2 보정 계수(V_dc2)는, 영역 A 내지 C의 휘도를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얼룩(SM2)이 표시된 영역이 영역 A 내지 C와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도록, 제2 보정 계수(V_dc2)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제2 보정 계수(V_dc2)에 의하여, 제2 단위 보상 영역(Ca2)에 위치한 화소들 각각이 동일한 휘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얼룩이 제거될 수 있다.
생성된 제2 보정 계수(V_dc2)는 제2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제2 얼룩의 크키가 (2N X 2N) 화소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얼룩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여기서, (1 X 1) 화소 영역은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1 X 1) 화소 영역은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부(100)에는 제1 얼룩(SM1)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얼룩(SM1)의 크기는 제2 얼룩(SM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얼룩(SM1)의 크기는 (N X N) 화소 영역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는, 제1 단위 보정 영역(Ca1)을 기준으로, 제1 얼룩(SM1)을 제거하기 위한 제1 보정 계수(V_dc1)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단위 보정 영역(Ca1)의 크기는 제2 단위 보정 영역(Ca2)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N X 2N) 화소 영역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단위 보정 영역(Ca1)은, 제1 얼룩(SM1), 제1 얼룩(SM1)의 일 측에 위치한 영역 A', 영역 B' 및 제1 얼룩(SM1)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영역 C'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 A' 내지 C'는 제1 얼룩(SM1)과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얼룩(SM1)을 제거하기 위한 제1 보정 계수(V_dc1)는, 영역 A' 내지 C'의 휘도를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얼룩(SM1)이 표시된 영역이 영역 A' 내지 C'와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도록, 제1 보정 계수(V_dc1)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제1 보정 계수(V_dc1)에 의하여, 제1 단위 보상 영역(Ca1)에 위치한 화소들(PX) 각각이 동일한 휘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얼룩이 제거될 수 있다.
생성된 제1 보정 계수(V_dc1)는 제1 메모리(31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할 때, 더 작은 크기의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 계수를 생성함에 따라, 미세한 얼룩까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가 제2 모드로 구동할 때에는, 제1 모드 시 사용되는 단위 보상 영역과 같이, 불필요하게 작은 크기의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 계수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얼룩 또는 상기 얼룩 주변 영역의 휘도를 획득하기 위한 별도의 센싱회로(미도시됨) 또는 계조별 촬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선(D1~Dm) 및 데이터 구동부(210)를 이용하여 상기 얼룩 또는 상기 얼룩 주변 영역의 휘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정 계수(V_dc1) 및 제2 보정 계수(V_dc2)는 별도의 센싱 회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산출된 후 제1 메모리(310) 및 제2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도 있고, 제1 메모리(310) 및 제2 메모리(320)에서 제1 보정 계수(V_dc1) 및 제2 보정 계수(V_dc2)가 산출된 후 저장될 수도 있다.
제1 보정 계수(V_dc1) 및 제2 보정 계수(V_dc2)는 데이터 보정 값을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데이터 구동부(210) 또는 타이밍 제어부(250)에서 제1 보정 계수(V_dc1) 또는 제2 보정 계수(V_dc2)를 이용하여 데이터 보정 값을 생성하고, 이를 표시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얼룩(SM1, SM2) 및 상기 얼룩(SM1, SM2) 주변 영역(A~C, A'~C')의 휘도는 각 화소(PX)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센싱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얼룩(SM1, SM2) 및 상기 얼룩(SM1, SM2) 주변 영역(A~C, A'~C')의 휘도는 촬상을 통한 휘도를 측정함으로써 획득할 수도 있다. 이 때, 보정 계수(V_dc1, V_dc2)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화소의 휘도와 목표 휘도 간 편차가 없도록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영역의 휘도 값은, 각 영역에 위치한 화소들(PX)의 휘도 평균값, 휘도 최대값 및 휘도 최소값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얼룩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4a는 제2 모드에서의 얼룩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제1 모드에서의 얼룩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는 표시부(100)의 전체 영역을 도시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모드에서, 표시부(100)는 제2 단위 보정 영역들(Ca2-1~Ca2-8) 및 제2 샘플링 포인트들(SP2-1~SP2-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00)는 8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영역들 각각이 제2 단위 보정 영역(Ca2-1~Ca2-8)이 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단위 보정 영역(Ca2-1~Ca2-8)의 네 모서리에는 제2 샘플링 포인트들(SP2-1~SP2-15)이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제2 단위 보정 영역(Ca2-1~Ca2-8)에 대한 제2 보정 계수(V_dc2)는, 네 모서리에 위치한 제2 샘플링 포인트들(SP2-1~SP2-15)의 휘도 평균값을 참조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제2 단위 보정 영역(Ca2-1)이, 첫 번째 제2 단위 보정 영역(Ca2-1)의 네 모서리에 위치한 제2 샘플링 포인트들(SP2-1, SP2-2, SP2-4, SP2-5)의 휘도 평균값과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도록, 제2 보정 계수(V_dc2)가 생성될 수 있다. 나머지 제2 단위 보정 영역(Ca2-2~Ca2-8)에 대응하는 제2 보정 계수(V_dc2)도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제2 보정 계수(V_dc2)는 제2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00) 전체가 균일한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모드에서, 표시부(100)는 제1 단위 보정 영역들(Ca1-1~Ca1-16) 및 제1 샘플링 포인트들(SP1-1~SP1-2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00)는 16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영역들 각각이 제1 단위 보정 영역(Ca1-1~Ca1-16)이 될 수 있다. 즉, 제1 단위 보정 영역들(Ca1-1~Ca1-16) 각각의 크기는, 제2 단위 보정 영역들(Ca2-1~Ca2-8) 각각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각각의 제1 단위 보정 영역(Ca1-1~Ca1-16)의 네 모서리에는 제1 샘플링 포인트들(SP1-1~SP1-27)이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단위 보정 영역(Ca1-1~Ca1-16)에 대한 제1 보정 계수(V_dc1)는, 네 모서리에 위치한 제1 샘플링 포인트들(SP1-1~SP1-27)의 휘도 평균값을 참조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제1 단위 보정 영역(Ca1-1)이, 첫 번째 제1 단위 보정 영역(Ca1-1)의 네 모서리에 위치한 제1 샘플링 포인트들(SP1-1, SP1-2, SP1-4, SP1-5)의 휘도 평균값과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도록, 제1 보정 계수(V_dc1)가 생성될 수 있다. 나머지 제1 단위 보정 영역(Ca1-2~Ca1-16)에 대응하는 제1 보정 계수(V_dc1)도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제1 보정 계수(V_dc1)는 제1 메모리(3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00) 전체가 균일한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더 작은 크기의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 계수를 생성함에 따라, 제2 모드에서 표시되는 영상보다 더 균일한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샘플링 포인트들 각각은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샘플링 포인트들은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얼룩 제거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구동부(200), 특히 타이밍 제어부(250)는,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얼룩을 제거하기 위하여, 데이터에 디더링 기능을 적용하여 보정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모드일 때는 상기 데이터에 제1 디더링 방식을 적용하여 제1 보정 계수를 생성하고, 제2 모드일 때는 상기 데이터에 제2 디더링 방식을 적용하여 제2 보정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디더링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제1 계조와 제2 계조 사이의 임의의 실수 계조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으며, 제1 계조와 제2 계조 간의 간격이 2i개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i은 자연수이고, 제1 계조와 제2 계조 간 차이는 1 계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가 3, 제1 계조가 128 계조, 제2 계조가 129인 경우, 128.125 계조, 128.25 계조, 128.375 계조, 128.5 계조, 128.625 계조, 128.75 계조, 128.875 계조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가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디더링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제1 계조와 제2 계조 사이의 임의의 실수 계조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으며, 제1 계조와 제2 계조 간의 간격이 2j개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j은 i보다 큰 자연수이고, 제1 계조와 제2 계조 간 차이는 1 계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j가 4, 제1 계조가 128 계조, 제2 계조가 129인 경우, 128.0625 계조, 128.125 계조, 128.1875 계조, 128.25 계조, 128.3125 계조, 128.375 계조, 128.4375 계조, 128.5 계조, 128.5625 계조, 128.625 계조, 128.6875 계조, 128.75 계조, 128.8125 계조, 128.875 계조, 128.9375 계조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가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에 제1 디더링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제2 디더링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생성된 보정 계수의 수도 많고, 생성된 보정 계수 각각의 계조 차이가 작을 수 있다.
도 5a는 제2 모드에서 디더링 기능을 적용했을 때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제1 모드에서 디더링 기능을 적용했을 때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모드에서 제1 디더링 방식을 적용했을 때 영상의 균일성이 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표시 장치(10)와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지거나, 표시부(100)가 확대되어 보이더라도, 고품질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이하에서는 상술한 것과 상이한 내용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구동부(200a)는 제1 구동용 메모리(230a)와 제2 구동용 메모리(230b)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구동용 메모리(230a)에는 제1 메모리(310)로부터 공급되는 제1 보정 계수(V_dc1)가 저장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제2 구동용 메모리(230b)에는 제2 메모리(320)로부터 공급되는 제2 보정 계수(V_dc2)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제1 모드에서는 제1 구동용 메모리(230a)가 동작하고, 제2 모드에서는 제2 구동용 메모리(230b)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서는 제1 구동용 메모리(230a) 및 제2 구동용 메모리(230b)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용 메모리(230a) 및 제2 구동용 메모리(230b)는 데이터 구동부(210)나 타이밍 제어부(2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구동용 메모리(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용 메모리(400)는 표시 구동부(200b)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용 메모리(400)는 표시 구동부(200b)가 형성된 칩(chip)과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용 메모리(400)는, 표시부(100)로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기 전, 제1 메모리(310) 또는 제2 메모리(320)로부터 제1 보정 계수(V_dc1) 또는 제2 보정 계수(V_dc2)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제1 보정 계수(V_dc1) 또는 제2 보정 계수(V_dc2)는, 데이터 구동부(210)로 공급될 수 있으며, 타이밍 제어부(250)를 거쳐 데이터 구동부(210)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 때, 제1 모드에서는 제1 보정 계수(V_dc1)만이 구동용 메모리(400)로 공급되고, 제2 모드에서는 제2 보정 계수(V_dc2)만이 구동용 메모리(4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제1 구동용 메모리(400a) 및 제2 구동용 메모리(40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구동용 메모리(400a) 및 제2 구동용 메모리(400b)는 표시 구동부(200b)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구동용 메모리(400a) 및 제2 구동용 메모리(400b)는 표시 구동부(200b)가 형성된 칩(chip)과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구동용 메모리(400a)에는, 표시부(100)로 데이터가 공급되기 전, 제1 메모리(310)로부터 공급되는 제1 보정 계수(V_dc1)가 저장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제2 구동용 메모리(400b)에는, 표시부(100)로 데이터가 공급되기 전, 제2 메모리(320)로부터 공급되는 제2 보정 계수(V_dc2)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제1 모드에서는 제1 구동용 메모리(400a)가 동작하고, 제2 모드에서는 제2 구동용 메모리(400b)가 동작할 수 있다.
제1 보정 계수(V_dc1) 또는 제2 보정 계수(V_dc2)는, 데이터 구동부(210)로 공급될 수 있으며, 타이밍 제어부(250)를 거쳐 데이터 구동부(210)로 공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부
200, 200a, 200b: 표시 구동부
210: 데이터 구동부
220: 주사 구동부
230, 400: 구동용 메모리
310: 제1 메모리
320: 제2 메모리

Claims (15)

  1.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가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로 데이터를 공급하는 표시 구동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1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계수를 저장하며,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상기 표시 구동부로 전달하는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2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하기 위한 제2 보정 계수를 저장하며,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상기 표시 구동부로 전달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제1 모드로 구동되고, 그 외의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보정 계수가 반영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보정 계수가 반영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공급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기 전, 상기 제1 보정 계수 또는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구동용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1 구동용 메모리;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2 구동용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부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기 전, 상기 제1 보정 계수 또는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구동용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부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1 구동용 메모리; 및
    상기 표시 구동부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2 구동용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디더링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디더링 방식과 상이한 제2 디더링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에 위치한 화소들 각각이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보정 계수가 생성되고,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에 위치한 화소들 각각이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2 보정 계수가 생성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구동 주파수보다 큰 표시 장치.
  11.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제1 모드인지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1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한 제1 보정 계수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2 단위 보상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한 제2 보정 계수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얼룩이 제거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얼룩이 제거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제1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구동 주파수보다 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에 포함된 얼룩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의 나머지 영역의 휘도를 참조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에 포함된 얼룩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의 나머지 영역의 휘도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단위 보상 영역의 모서리에 위치한 제1 샘플링 포인트들의 휘도 평균값을 참조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상기 제2 단위 보상 영역의 모서리에 위치한 제2 샘플링 포인트들의 휘도 평균값을 참조하여 생성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70096144A 2017-07-28 2017-07-2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348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44A KR102348064B1 (ko) 2017-07-28 2017-07-2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5/896,977 US10386643B2 (en) 2017-07-28 2018-02-14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44A KR102348064B1 (ko) 2017-07-28 2017-07-2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205A true KR20190014205A (ko) 2019-02-12
KR102348064B1 KR102348064B1 (ko) 2022-01-10

Family

ID=6513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144A KR102348064B1 (ko) 2017-07-28 2017-07-2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86643B2 (ko)
KR (1) KR1023480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2335B2 (en) 2019-12-19 2023-06-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740A (ko) * 2013-02-21 2014-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365B1 (ko) 2004-05-07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화질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7332B1 (ko) 2004-07-06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저조도 화질 개선장치 및 방법
JP4222340B2 (ja) * 2004-09-22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における輝度補正方法
KR101333680B1 (ko) * 2007-04-12 2013-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밝기 조정방법
KR20110041282A (ko) 2009-10-15 201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675852B1 (ko) 2010-07-23 2016-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얼룩 보상을 위한 영상 표시 장치
JP5922160B2 (ja) * 2014-01-30 2016-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較正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160026143A (ko) * 2014-08-29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기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38248B1 (ko) 2015-10-02 2022-08-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밍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와 그 디밍 제어방법
KR101670923B1 (ko) 2016-01-20 2016-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740A (ko) * 2013-02-21 2014-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2335B2 (en) 2019-12-19 2023-06-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86643B2 (en) 2019-08-20
US20190033593A1 (en) 2019-01-31
KR102348064B1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7280B (zh) 个人沉浸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6531046B (zh) 显示装置
KR102328639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9230473B2 (en) Dual duty cycle OLED to enable dynamic control for reduced motion blur control with constant brightness i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10157568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0146996B2 (en)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compensate luminance based on reflected light
TWI395197B (zh) 特徵強調控制裝置,顯示設備,特徵強調設備,處理器及電腦程式產品
JP2018097360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N106935196B (zh) 显示装置、光学补偿系统及其光学补偿方法
US11942022B2 (en) Method of correcting input image data and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JP2019040036A (ja) 電子機器、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09389929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03751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34806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120019515A1 (en) Display method
US20190164260A1 (en) Personal immersio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423836B2 (en)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qualit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542980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518745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1568816B1 (en) Burn-in compensation scheme for light-emitting diode based displays
JP2021063943A (ja) 電気光学装置のデータセット登録方法
JP202103310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600690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45964A (ko) 표시 장치
JP2003288052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