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191A -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191A
KR20190014191A KR1020170095735A KR20170095735A KR20190014191A KR 20190014191 A KR20190014191 A KR 20190014191A KR 1020170095735 A KR1020170095735 A KR 1020170095735A KR 20170095735 A KR20170095735 A KR 20170095735A KR 20190014191 A KR20190014191 A KR 20190014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unit
sound wav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70095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4191A/ko
Publication of KR2019001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4Tyre sensors other than for detecting tyr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따르면,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음파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근거리모듈과 GPS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를 구비한 위치모듈과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부와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부와 지자기 센서부 중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구비한 센서모듈 및 상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차량 OBD와 연결된 OBD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OBD 연동부와,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발화 인식부와,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획득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가속도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가속도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확인하는 센서 확인부와,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황 파악부와,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나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는 음파 확인부와,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발화정보에 대응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하면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구비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In-vehicle Sound Wave Device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for Puncture of Tire}
본 발명은 음파신호를 입출력하는 음파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통신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모듈과,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모듈과, 가속도나 방향을 센싱하는 센서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모듈을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음파모듈을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상기 위치모듈을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이용한 긴급출동을 요청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발화 출력하여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발화 지시에 따라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는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음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는 기관제어시스템에 집적되어 있는 차량 진단/감시 시스템이다. OBD는 전 운전영역에 걸쳐 차량 내부의 모든 시스템을 감시하며,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OBD스캐너와 연결되어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한편 OBD는 차량 진단/감시 중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내역을 ECU에 저장하며, OBD스캐너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이를 조회할 수 있다.
한편 주지의 OBD스캐너를 이용한 차량 진단/감시 조회 서비스 이외에, 최근 블루투스 기능과 표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OBD 어댑터를 차량 OBD의 표준 인터페이스 연결하여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응급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브릿지로 이용하여 광대역망의 단말장치로 응급신호를 전송하는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특허공개공보 제10-2011-0113379호(2011년10월17일))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에 OBD스캐너를 이용한 차량 진단/감시 조회 서비스 이외에 차량 OBD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브릿지로 이용하여 다른 단말장치로 알림 서비스만을 제공할 뿐, 정작 차량 내 사용자에게는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브릿지로 이용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원이 지속적으로 브릿지 기능으로 점유 이용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연의 기능(예컨대, 전화통화, 인터넷 등)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근거리모듈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를 구비한 위치모듈과,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부와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부와 지자기 센서부 중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구비한 센서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모듈을 통해 차량 OBD(On-Board Diagnostics)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음파모듈을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가속도정보와 방향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상기 위치모듈을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이용한 긴급출동을 요청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발화 출력하여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발화 지시에 따라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는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는,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음파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근거리모듈과 GPS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를 구비한 위치모듈과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부와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부와 지자기 센서부 중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구비한 센서모듈 및 상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차량 OBD와 연결된 OBD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OBD 연동부와,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발화 인식부와,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획득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가속도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가속도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확인하는 센서 확인부와,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황 파악부와,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나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는 음파 확인부와,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발화정보에 대응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하면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구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상태정보 중 공기압 오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을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과 관련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확인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가속도정보를 통해 산출된 운동량정보의 벡터 성분을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과,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방향정보의 벡터 성분을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는,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연락처가 서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합의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연락처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전화 통화 기능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연락처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지정된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사이에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는,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지정된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연동하여 소정의 통화장치에서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호 연결 요청 확인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 연결 시 지정된 음성으로 타이어펑크상황을 발화 출력 가능한 타이어펑크상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타이어펑크상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펑크상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펑크상황정보는,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에 대한 차량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운영서버와 연동하여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을 확인하고,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 확인 시 상기 OBD 연동부와 연동하여 차량의 OBD를 통해 전조등 점등 동작과 경음기 출력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사용자가 차량 내에서 발화한 발화내용을 인식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가속도정보와 방향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상기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정보를 이용한 긴급출동 서비스를 자동으로 요청함으로써, 타이어 펑크 발생 시 자동으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확인을 근거로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자동 요청한 경우에 사용자가 긴급출동 서비스를 취소하기 위해 지정된 발화를 하면 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취소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확인을 근거로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자동 요청한 후에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무선단말로 걸려오는 전화 통화를 대신 받아 응대하여 긴급출동 차량의 접근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잡하게 개입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긴급출동 서비스가 처리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운영서버(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자동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105a)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105b)를 구비한 음파모듈(105)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1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부(110a)를 구비한 근거리모듈(110)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125a)를 구비한 위치모듈(125)과,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부(130a)와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부(130b)와 지자기 센서부(130c) 중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구비한 센서모듈(130)을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모듈(110)을 통해 차량 OBD(On-Board Diagnostics)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음파모듈(105)을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서모듈(130)을 통해 센싱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상기 위치모듈(125)을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이용한 긴급출동을 요청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발화 출력하여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발화 지시에 따라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는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105a)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105b)를 구비한 음파모듈(105)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1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부(110a)를 구비한 근거리모듈(110)과, GPS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125a)를 구비한 위치모듈(125)과,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부(130a)와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부(130b)와 지자기 센서부(130c) 중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구비한 센서모듈(130)과,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절차와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인식하는 절차와 GPS를 통해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절차와 가속도정보와 방향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확인하는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와 상기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둘 이상 정보의 조합)를 통해 차량의 실제적(또는 불가역적)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발화 출력하여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발화 지시에 따라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를 구비한 제어모듈(135)을 포함하며,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115a)를 구비한 전원모듈(115)을 포함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키 버튼이나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각종 동작 상태나 정보를 출력하는 LED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도시생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1의 실시예에서 "모듈"이라는 명칭은 편의 상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기능과 역할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한 용어일 뿐, 그 자체가 어떤 독리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음파모듈(105)은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구성부 중 지정된 음파 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105a)와 지정된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105b)를 구비한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입력부(105a)와 음파 출력부(105b)는 적어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입력하거나 출력 가능하며, 상기 음파 입력부(105a)나 음파 출력부(105b)를 제어모듈(135)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음파 입력부(105a)는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입력되는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음파입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입력부(105a)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예컨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음파신호)를 입력받고, 지정된 엔코드 규격에 따라 상기 입력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생성된 음파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135)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파 출력부(105b)는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음파신호를 음파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출력되는 음파신호의 신호강도와 출력품질을 제어하는 음파출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출력부(105b)는 상기 제어부(135a)를 통해 음파 출력하도록 요청된 음파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생성되는 음파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파 출력하되, 상기 음파 출력되는 음파신호의 신호강도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제어하여 음파 출력(예컨대, 차량 외부로 도달하지 않게 제어된 신호강도로 음파 출력, 또는 차량 주행 중에 창문이 열려 있어 바람에 의해 잡음이 지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거나 차량의 구성품 중 일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주변 잡음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음파신호의 신호강도를 일정 비율 증폭하여 음파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파 출력되는 음파신호의 출력품질(예컨대, Fs. Qts, Vas 등의 스피커 파라미터)을 제어하여 최대한 음파 왜곡을 차단하거나 억제하여 음파 출력(예컨대, 스피커의 공진에 의한 음파 왜곡을 차단/억제하도록 음파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 또는 음성신호의 경우 가청도(또는 청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될 수 있도록 음성신호 상의 분절음에 대응하는 음파 성분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음파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 또는 음파신호에 비트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경우 비트 열이 부호화되는 주파수나 신호강도의 왜곡을 차단/억제하도록 음파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20)은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통신망 연결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휴대인터넷 등)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무선망 통신부(120a)와, 무선AP나 중계기를 경유하는 근거리망(예컨대, 무선랜 등)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근거리망 통신부(120b)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부를 제어모듈(135)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기지국을 경유하는 광역 무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등)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35a)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35a)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35a)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를 통해 접속하는 무선망이 이동통신망인 경우,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는 이동통신망 이외의 다른 광역 무선망(예컨대,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 등)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무선망 상의 셀 기반 기지국을 경유하여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20b)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 이내, 또는 30m 이내 등)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근거리에 구비된 망접속장치(예컨대, 무선AP 등)와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상기 망접속장치가 접속한 통신망에 연결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망 통신, 블루투스 근거리망 통신, 지그비 기반 근거리망 통신, UWB 기반 근거리망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근거리에 구비된 망접속장치와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 간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망접속장치가 접속한 통신망에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20b)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구비한 차량이 이동하여 특정한 망접속장치의 무선 주파수 신호의 도달 범위에 진입하여 상기 망접속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망이 구현된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상기 근거리 무선망의 망접속장치를 경유하여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이하, 편의상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망 통신 기능은 무선망 통신부(120a)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망 통신부(120b)를 이용한 망 통신 기능도 제공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모듈(110)은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부(110a)를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와 제어모듈(135)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는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규격이 블루투스 규격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파이나 지그비 또는 UWB를 비롯한 모든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을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는 상기 차량 내에서 지정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블루투스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의 근거리 무선 통신 관련 구성이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블루투스 이외에 다양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음(예컨대, 와이파이 규격에 따른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지그비(ZigBee) 규격에 따른 지그비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UWB 규격에 따른 UWB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현존하거나 미래의 모든 근거리 무선 통신 관련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편의상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가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차량은 운전석 근처에 OBD(On-Board Diagnostics)-II 이후 규격이나 차량 제조사에 정한 규격에 따른 차량 OBD에 연결하기 위한 OBD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한 OBD모듈(250)과 셋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OBD모듈(250)은 상기 차량의 OBD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OBD포트로부터 동작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상기 OBD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 OBD로부터 지정된 OBD 규격에 따른 OBD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OBD모듈(250)은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구비된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와 페어링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합의된 통신프로콜에 따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OBD정보를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 근거리 무선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1 OBD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BD모듈(250)은 상기 OBD포트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OBD정보를 그대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용 음파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OBD모듈(250)로부터 상기 OBD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운행정보나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OBD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BD모듈(250)은 상기 OBD포트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OBD정보 중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운행정보와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선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용 음파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OBD모듈(25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나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OBD 연동 실시예에서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나 상태정보는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OBD정보의 용도나 기능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구분하는 명칭이다. 본 발명에서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운행정보는 차량 OBD로부터 획득 가능한 정보 중 사용자의 운전 행위에 의하거나 차량의 운행 중에 시시각각 변경되는 정보의 집합을 포함하고, 상태정보는 차량 OBD로부터 획득 가능한 정보 중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의 집합이다. 따라서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정보 중 어느 한 정보는 운행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상태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랴장치와 OBD모듈(25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암호 통신을 위한 키 값을 저장하거나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시점에 암호 통신을 위한 키 값을 교환할 수 있으며, 상기 OBD모듈(250)은 상기 키 값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OBD모듈(250)을 통해 암호화된 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상기 OBD모듈(250)과 차량용 음파장치(10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교환되는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구비된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와 OBD모듈(250)의 근거리 무선모듈은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또는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 이상)에 도달하지 않도록 설정된 신호강도로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수신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OBD모듈(250)과 차량용 음파장치(10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교환되는 정보가 차량 외부에서 탐지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확장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는 지정된 코드(예컨대,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고유 할당된 코드와 차량용 음파장치(100)에서 생성한 코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를 포함하며 미리 페어링되지 않은 수신장치에서도 수신하여 상기 코드를 인식 가능한 근거리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4.0 이후 규격의 BLE 기반 무선신호)를 단방향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는 상기 전원 공급부(115a)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단방향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코드를 포함하여 단방향 송출된 근거리 무선신호는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까지 도달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 이내에 구비된 수신장치로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를 인식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구비된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는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는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페어링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는 데이터 통신 가능모드(예컨대, 근거리 무선부(110a)가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경우 블루투스 규격의 직렬포트프로파일(SPP)을 통해 페어링한 근거리 무선 통신)로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데이터 통신하거나, 및/또는 전화 통화 가능모드(예컨대, 근거리 무선부(110a)가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경우 블루투스 규격의 핸드프리프로파일(HFP)이나 헤드셋프로파일(HSP)을 통해 페어링한 근거리 무선 통신)로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60)을 통해 전화 호를 발신하거나 착신하거나 통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는 차량의 OBD에 연결된 OBD모듈(25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에 적용된 근거리 무선 통신의 규격이나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종류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는 상기 OBD모듈(25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는 상기 OBD모듈(250)과 사용자 무선단말(260) 중 어느 하나와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는 상기 OBD모듈(2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면서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데이터 통신 가능모드나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 상기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는 제어모듈(135)과 연동하여 지정된 제어 절차에 따라 OBD모듈(2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과정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듀얼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는 기본적으로 OBD모듈(25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다가 제어모듈(135)에 의해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 상기 OBD모듈(25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일시적으로 해제(이 경우 OBD모듈(25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될 때까지 차량의 OBD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임시 저장함)한 후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 사용자 무선단말(26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된 경우 OBD모듈(25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복구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모듈(110)은 OBD모듈(2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제1 근거리 무선부(110a)와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제2 근거리 무선부(110a)를 포함하는 2개의 근거리 무선부(110a)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예시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실시예를 모두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이 매핑된 경우(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260)에 지정된 앱을 설치하여 최초 실행(차량용 음파장치(100)를 매핑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에서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와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식별정보(또는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을 고유 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에 등록하여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이 매칭 등록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는 상기 매칭된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지정된 각종 식별정보나 처리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지정된 운영서버(2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으로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을 통해 입력되거나 추출되거나 생성된 정보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제어모듈(135)로 전달되어 처리(예컨대, 음파 출력 또는 운영서버(200)로 전송)되거나 및/또는 지정된 운영서버(200)에서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 수신되거나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서 인식되거나 추출되거나 생성된 정보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으로 전달되어 처리(예컨대, 화면 출력 또는 운영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위치모듈(125)은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GPS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125a)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측위부(125a)와 제어모듈(135)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 측위부(125a)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구비한 차량)의 위치좌표를 측위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측위 기술을 통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위치좌표를 측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위치 측위부(125a)는 GPS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신호를 차량용 음파장치(100)가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A-GPS (Assisted-GPS) 방식, 지상의 기준 수신기로부터 보정신호를 받아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신호의 오차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위치좌표를 측위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위치좌표를 측위하는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125a)는 상기 전원모듈(115)의 전원 공급부(115a)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에서 위치좌표를 측위함으로써,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구비한 차량의 위치좌표를 측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위치 측위부(125a)의 측위 과정이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만 수행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 위치를 측위한 경우에 상기 위치 측위부(125a)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를 차량의 위치좌표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130)은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정보를 획득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부(130a)와 지정된 s(1≤s≤3)개의 좌표축 방향이나 자세를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부(130b)와 지구자기장을 센싱하여 동서남북을 포함하는 적어도 t(4≤t≤32)개의 방위 기반의 방향을 센싱하는 지자기 센서부(130c) 중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속도 센서부(130a)와 자이로 센서부(130b)와 지자기 센서부(130c) 중 상기 센서모듈(130)에 구비된 센서부와 제어모듈(135)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상기 가속도 센서부(130a)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구비한 차량)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센싱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차량의 엔진에 의해 생성되는 동력에 의해 가해지는 가속도를 센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속도 센서부(130a)는 상기 전원모듈(115)의 전원 공급부(115a)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에서 가속도를 센싱함으로써,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구비한 차량의 엔진에 의해 생성되는 동력에 의해 차량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속도 센서부(130a)의 센싱 과정이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만 수행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 가속도를 센싱하는 경우에 상기 가속도 센서부(130a)를 통해 센싱된 가속도를 차량의 엔진에 의해 생성된 동력에 가해지는 차량의 가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부(130b)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구비한 차량)가 지향하거나 진행하는 방향이나 자세를 센싱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자이로 센서부(130b)에 구비된 축의 개수에 따라 특정 방향을 센싱하거나 전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자이로 센서부(130b)는 상기 전원모듈(115)의 전원 공급부(115a)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에서 방향이나 자세를 센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자이로 센서부(130b)의 센싱 과정이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만 수행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 방향이나 자세를 센싱하는 경우에 상기 자이로 센서부(130b)를 통해 센싱된 방향이나 자세를 차량의 방향이나 자세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지자기 센서부(130c)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구비한 차량)가 지향하거나 진행하는 방위 기반의 방향을 센싱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자이로 센서부(130b)에 의해 센싱되는 상대적 방향을 지구자기장에 대응하는 방위 기반의 절대적 방향으로 처리하거나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자기 센서부(130c)는 상기 전원모듈(115)의 전원 공급부(115a)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에서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자기 센서부(130c)의 센싱 과정이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만 수행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 방향을 센싱하는 경우에 상기 지자기 센서부(130c)를 통해 센싱된 방향을 차량의 방향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5)은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통신모듈(120)을 통해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나 둘 이상을 조합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5a)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135a)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나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35b)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35a)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및/또는 각종 칩이나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지정된 인터페이스(예컨대, 버스(BUS) 등)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5a)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기능적 구성은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거나 및/또는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어 메모리부(135b)에 저장되었다가 로딩되어 연산되는 프로그램 형태 및/또는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기능적 구성부를 본 제어부(135a)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135b)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35a)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35b)는 기본적으로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는 기능적 구성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135b)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듈(115)은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인가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115a)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 전원의 전압 값이나 전류 값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 값이나 전류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차량 전원을 지정된 전압 값이나 전류 값을 지닌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115b)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전원모듈(115)은 상기 전원 공급부(115a)를 통해 상기 차량 전원이 공급되거나 상기 전원 변환부(115b)를 통해 상기 차량 전원이 동작 전원으로 변환되는 경우, 상기 차량 전원이나 동작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 차량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충전부(115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15a)는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거치되는 거치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115a)는 차량 시가잭으로부터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115a)는 차량 시가잭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지정된 전압과 전류량을 포함하는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여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내부 구성부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115a)는 상기 차량 전원(또는 동작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115c)(도시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이 꺼져 차량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내장(예컨대, 차량의 전장에 탑재)되거나 또는 차량 시가잭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로 차량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전원 공급부(115a)는 상기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5)은, 제어모듈(135)의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될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인식될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메모리부(135b)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제어모듈(135)의 OBD 연동부(145)를 통해 획득될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제어모듈(135)의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될 위치정보를 분석하여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제어모듈(135)의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될 가속도정보와 방향정보를 하나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센서분석판별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제어모듈(135)의 제조나 탑재 시점에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획득될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의 트리거 역할을 하는 정보와 비교되거나 상기 트리거 역할을 하는 정보와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35b)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예를들어, 상기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한 차량분석판별정보는 차량의 상태정보 중 공기압 오류 상태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차량의 엔진에 주입되는 연료량과 공기량 등의 운행정보와 타이어 펑크에 의해 증가한 마찰력에 위해 저하된 출력 변화를 판별하기 위한 운행속도 등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근거로 타이어 펑크 발생을 판별하기 위한 엔진에 주입되는 연료량과 공기량 대비 운행속도의 비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의 실시예가 상기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상기 제어모듈(135)이 탑재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서버로부터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와 비교되거나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갱신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나 취소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 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거나 취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인식될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한 인식대상정보는 타이어 펑크 발생 시점에 통상의 사용자가 발화하는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식대상정보의 실시예가 상기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와 매핑될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가 확인되는 시점에 미리 지정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지정되거나, 및/또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음파 출력부(105b)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식대상정보로 사용될 발화내용을 요청한 후 상기 음파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받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되어 등록/갱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매핑된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을 통해 등록/갱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제어모듈(135)의 제조나 탑재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될 위치정보와 비교되거나 이동거리(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계산하거나 지오펜스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35b)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상기 제어모듈(135)이 탑재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서버로부터 지정된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위치정보와 비교되거나 이동거리를 계산하거나 지오펜스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갱신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 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인식될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와 매핑될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가 확인되는 시점에 미리 지정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지정되거나, 및/또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음파 출력부(105b)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식대상정보로 사용될 발화내용을 요청한 후 상기 음파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받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되어 등록/갱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매핑된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을 통해 등록/갱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제어모듈(135)의 제조나 탑재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될 센싱정보와 비교되거나 임계값 범위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분석판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35b)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예를들어, 상기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한 센서분석판별정보는 타이어 펑크 발생 시점에 센싱될 가속도정보를 통해 산출된 운동량정보의 벡터 성분과 비교되거나 임계값 범위 연산을 수행할 운동량정보의 벡터 성분(예컨대, 타이어 펑크 발생 시 펑크난 타이어에 의해 차량 수평이 불안정하여 발생하는 운동량의 벡터 성분), 및/또는 타이어 펑크 발생 시점에 센싱될 방향정보의 벡터 성분과 비교되거나 임계값 범위 연산을 수행할 방향정보의 벡터 성분(예컨대, 타이어 펑크 발생 시 펑크난 타이어에 의해 차량 수평이 맞지 않아 펑크난 타이어 방향으로 기울어진 차량의 자세에 대응하는 벡터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분석판별정보의 실시예가 상기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상기 제어모듈(135)이 탑재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서버로부터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센싱정보와 비교되거나 임계값 범위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분석판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갱신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 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센서분석판별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인식될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센서분석판별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분석판별정보와 매핑될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센서분석판별정보가 확인되는 시점에 미리 지정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지정되거나, 및/또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음파 출력부(105b)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식대상정보로 사용될 발화내용을 요청한 후 상기 음파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받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되어 등록/갱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매핑된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을 통해 등록/갱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5)은,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확인 시에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제어모듈(135)의 제조나 탑재 시점에 하기 상황 파악부(165)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연락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락처정보는 각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 각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발화 인식부(150)와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과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200)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보험 계약된 보험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와 상기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연락처정보를 사용자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대응하는 연락처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5)은,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확인 시에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제어모듈(135)의 제조나 탑재 시점에 하기 상황 파악부(165)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함과 동시에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예컨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하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접수 합니다'라는 내용의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시에 긴급출동 서비스가 자동으로 개시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자동으로 개시된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정된 발화를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예컨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긴급출동 서비스를 취소하려면 xxx를 말하세요'라는 내용의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5)은,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를 통해 차량 OBD와 연결된 OBD모듈(2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하는 OBD 연동부(145)를 구비한다.
상기 OBD 연동부(145)는 차량 OBD와 연동하는 OBD연동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를 통해 차량 OBD와 연결된 OBD모듈(2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선별된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155)는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위치정보가 획득되더라도, 상기 OBD 연동부(145)는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운행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센싱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물리값산출식(예컨대, 충격량산출식이나 운동량산출식 등)에 상기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지정된 물리값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산출된 물리값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와 연계된 물리값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N(N≥1)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선별된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155)는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위치정보를 연계 저장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되어 있더라도, 상기 OBD 연동부(145)는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되는 센싱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센싱정보를 연계 저장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센싱정보를 연계 저장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를 지정된 물리값산출식에 적용하여 지정된 물리값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i(1≤i≤N)개의 정보와 상기 저장영역에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운행정보에 포함된 i개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황 파악부(165)로 상기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운행정보에 포함된 속도의 경우 급출발이나 급정거하는 경우에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운행정보의 속도가 비선형적으로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제공받은 운영서버(200)나 상황 파악부(165)는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속도를 이용하여 급출발이나 급정거를 제약하도록 요청하는 안전운전 서비스를 개시하도록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i(1≤i≤N)개의 정보(또는 i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정보)와 지정된 임계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황 파악부(165)로 상기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지정된 임계값 범위는 날씨 별 및/또는 도로 별 최고속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연동부(145)는 통신부를 통해 현재 날씨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와 지도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주행 중인 도로 종류를 확인한 후 현재 날씨 및/또는 도로 별 최고속도를 확인한 후 상기 운행정보에 포함된 속도와 비교하여 현재 날씨 및/또는 도로 별 최고속도를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제공받은 운영서버(200)나 상황 파악부(165)는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속도를 이용하여 안전속도를 유지하도록 요청하는 안전운전 서비스를 개시하도록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선별된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155)는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위치정보가 획득되더라도, 상기 OBD 연동부(145)는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로 확인하고, 지정된 물리값산출식에 상기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지정된 물리값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M(M≥1)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선별된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155)는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위치정보를 연계 저장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되어 있더라도, 상기 OBD 연동부(145)는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되는 센싱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센싱정보를 연계 저장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센싱정보를 연계 저장한 경우,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를 지정된 물리값산출식에 적용하여 지정된 물리값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j(1≤j≤M)개의 정보와 상기 저장영역에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j개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황 파악부(165)로 상기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145)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j(1≤j≤M)개의 정보(또는 j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정보)와 지정된 유효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황 파악부(165)로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5)은, 상기 음파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발화 인식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발화 인식부(15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음파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생성된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음성인식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음성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화 인식부(150)는 상기 음파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되는 음파신호 중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한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지정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함과 동시에 형태 분석, 의미 분석, 대화 분석 중 하나 이상의 자연어 처리 절차를 통해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을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음성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인식 과정은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200)(또는 별도의 음성인식서버(도시생략))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발화 인식부(150)는 상기 음파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되는 음파신호 중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한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음파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추출하고, 음성인식을 처리하기 위해 지정된 인식서버(도시생략)나 운영서버(200)로 상기 추출된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식서버나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함과 동시에 형태 분석, 의미 분석, 대화 분석 중 하나 이상의 자연어 처리 절차를 통해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을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발화 인식부(150)는 상기 인식서버나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용 음파장치(100) 내에서 인식된 발화내용인식정보인 것처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서버에서 상기 음성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생성한 경우 상기 인식서버는 상기 인식된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제공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절차에 이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3 음성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화 인식부(150)는 상기 제1 및 제2 음성인식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ㅇ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는 기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인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위해 구비된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으로, 편의상 상기 제1 음성인식 실시예를 기준으로 차량용 음파장치(100)가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직접 인식하는 것처럼 기재하더라도, 이는 실제로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인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5)은, 상기 위치 측위부(125a)를 통해 획득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155)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 확인부(155)는 상기 위치 측위부(125a)를 통해 획득된 위치좌표(예컨대, 위도, 경도)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구비한 차량이 진입/운행 가능한 지도정보 상의 위치정보(예컨대, 지도정보에 포함된 도로 상의 위치정보, 주차공간 상의 위치정보 등)를 확인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지도정보와 매칭되는 위치좌표 및/또는 지도정보 상의 도로정보 및/또는 지도정보 상의 공간이나 영역을 식별하는 지리식별정보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부(155)는 상기 전원모듈(115)의 전원 공급부(115a)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에서 측위된 위치좌표를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구비한 차량의 위치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위치 확인부(155)의 위치정보 확인 과정이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만 수행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위치 확인부(155)는 상기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 확인된 위치정보를 차량의 위치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5)은, 상기 가속도 센서부(130a)를 통해 센싱된 가속도정보와 상기 자이로 센서부(130b)와 지자기 센서부(130c)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센싱된 방향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확인하는 센서 확인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130a)를 통해 센싱된 가속도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차량에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지 않고, 언제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거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확인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근거로 차량의 직진 운행상태(예컨대, 차량의 핸들을 특정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키지 않고 운행하는 상태)에서 가해진 가속도정보의 벡터성분을 근거로 차량 전면의 정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정방향에서 가해지는 가속도정보의 벡터성분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차량의 측면방향이나 후방향에서 가해지는 가속도정보의 벡터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상기 전원모듈(115)의 전원 공급부(115a)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에서 센싱된 가속도정보와 방향정보를 하나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구비한 차량의 센싱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 확인부(160)의 센싱정보 확인 과정이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만 수행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상기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 확인된 센싱정보를 차량의 센싱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상기 자이로 센서부(130b)와 지자기 센서부(130c)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센싱된 방향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차량에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지 않고, 언제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거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확인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근거로 차량의 직진 운행상태(예컨대, 차량의 핸들을 특정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키지 않고 운행하는 상태)에서 방향정보를 차량 전면의 정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정방향에서 가해지는 방향정보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차량의 측면방향이나 후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상기 전원모듈(115)의 전원 공급부(115a)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에서 센싱된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구비한 차량의 센싱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 확인부(160)의 센싱정보 확인 과정이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만 수행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센서 확인부(160)는 상기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 확인된 센싱정보를 차량의 센싱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5)은,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황 파악부(165)와,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나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는 음파 확인부(170)와, 상기 음파 출력부(105b)를 통해 상기 확인된 발화정보를 발화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하면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처리부(175)를 구비한다.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차량의 내부나 외부에서 발생한 각종 상황을 파악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둘 이상 정보의 조합)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위치 확인부(155)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둘 이상 정보의 조합)를 통해 차량의 내부나 외부에서 발생한 각종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상태정보 중 공기압 오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를 판독하여 확인된 직전 주행 상태에서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상태정보 중 차량의 주행 불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오류정보를 확인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대상정보를 통해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을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과 관련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확인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을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과 관련된 사용자의 비명소리를 확인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가속도정보나 방향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가속도정보를 통해 산출된 충격량정보를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로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지정된 속도로 차량 주행 상태에서 정지된 대상과 정면 충격시의 기준 충격량정보나 차량 정지 상태에서 지정된 속도로 움직이는 대상과 정면 충격시의 기준 충격량정보 등과 상기 센싱된 가속도정보를 통해 산출된 충격량정보를 비교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방향정보를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로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어느 한 방향정보를 판독하여 차량에 고정된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방향(또는 자세)를 근거로 차량의 전복 상태를 판별하고, 차량의 전복 상태인 경우에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으로 파악하거나, 및/또는 특정 시간 전의 방향 정보와 현재의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정상 주행 시의 지정된 단위 시간 당 방향 변화량 이상의 방향 변화를 판별하고, 지정된 단위 시간 당 방향 변화량 이상의 방향 변화 판별 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6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7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센서 확인부(160)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145)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 파악부(165)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이 파악된 경우, 상기 음파 확인부(170)는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음파 출력부(105b)를 통해 상기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확인된 발화정보를 발화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파 확인부(170)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한 발화정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해 사용자의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음파 출력부(105b)를 통해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해 확인된 발화정보를 발화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40)를 긴급출동 취소를 확인하기 위한 인식대상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해 확인된 발화정보를 발화 출력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가 긴급출동 취소를 위한 인식대상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가 긴급출동 취소를 위한 인식대상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상황 파악부(165)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이 파악된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통지할 연락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락처정보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확인부(170)는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가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발화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도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발화정보를 발화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가 서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합의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가 전화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전화 통화 기능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예컨대, 콜센터, ARS 등)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통화장치와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를 이용하는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150)로 제공하여 상기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이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답변발화정보는 지정된 질의/답변 규칙에 따라 확인되거나 및/또는 메모리부(135b)의 지정된 저장영역이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는 운영서버(200) 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를 통해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에서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에 호 연결을 요청한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통화장치 사이에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고 통화장치 사이에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상기 통화장치와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를 이용하는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260) 사이의 전화 통화채널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발화 인식부(150)로 제공하여 상기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이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답변발화정보는 지정된 질의/답변 규칙에 따라 확인되거나 및/또는 메모리부(135b)의 지정된 저장영역이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는 운영서버(200) 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제1 내지 제3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의 실시예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통지하여 긴급출동을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일부 차량의 OBD의 경우 상기 차량의 OBD를 통해 트렁크 열기 동작이나 비상등 점등 동작 등이 가능하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상황 파악부(165)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이 파악된 경우 후속 차량에게 타이어 펑크 발생을 알리기 위해 상기 OBD 연동부(145)와 연동하여 차량의 OBD를 통해 트렁크 열기 동작과 비상등 점등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 펑크가 발생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모듈(110)의 근거리 무선부(110a)를 통해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지정된 근거리 무선부(110a)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연동하여 소정의 통화장치에서 전화망(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260)이 가입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지 확인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긴급출동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의 담당자(예컨대, 보험사 직원, 보험사와 제휴된 긴급출동 업체의 긴급출동 담당자, 긴급구조 기관의 긴급출동 담당자, 경찰서의 긴급출동 담당자 등)는 통화장치(예컨대, 담당자 소유의 이동통신단말 등)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전화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요청할 수 있는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지정된 전화망을 경유하여 호 연결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지정된 전화망을 경유하여 호 연결이 요청됨을 확인한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가상 인격체 전화 통화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지정된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 연결을 확인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타이어펑크상황을 발화 출력 가능한 타이어펑크상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타이어펑크상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타이어펑크상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에 대한 차량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가상 인격체 전화 통화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지정된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 연결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발화 인식부(150)로 제공하여 제공하여 상기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이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답변발화정보는 지정된 질의/답변 규칙에 따라 확인되거나 및/또는 메모리부(135b)의 지정된 저장영역이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는 운영서버(200) 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일부 차량의 OBD의 경우 상기 차량의 OBD를 통해 전조등 점등 동작이나 경음기 출력 동작 등이 가능하며,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운영서버(200)와 연동하여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을 확인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 확인 시, 상기 서비스 처리부(175)는 상기 OBD 연동부(145)와 연동하여 차량의 OBD를 통해 전조등 점등 동작과 경음기 출력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운영서버(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운영서버(200)의 실시예 및/또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제어모듈(135)의 기능 구성 중 적어도 일부의 기능 구성을 운영서버(200) 측에 구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도면1과 본 도면2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한 실시 방법(예컨대, 본 도면2의 운영서버(200) 측에 구현한 기능 구성 중 일부를 그대로 운영서버(200) 측에 구현하되 다른 일부를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제어모듈(135)에 구현하거나 상기 도면1의 제어모듈(135)에 구현한 기능 구성 중 일부를 그대로 제어모듈(135)에 구현하되 다른 일부를 운영서버(200) 측에 구현하는 실시 방법, 상기 도면1과 본 도면2에 도시된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 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권리범위로 포함하며, 상기 도면1과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차량 OBD에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정보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기능과 그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OBD모듈(250)과, 음파신호를 입출력하는 기능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기능과 상기 OBD모듈(2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기능과 GPS를 통해 위치를 측위하는 기능 및 상기 각 기능들을 제어하고 연동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나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서 상기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획득된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센서모듈(130)을 통해 센싱된 가속도정보와 방향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절차에 따라 수신하거나 확인하는 절차와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센싱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상황을 파악하는 절차와 상기 차량의 상황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의 경과나 결과에 대응하는 발화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용 음파장치(100)로 제공하는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는 운영서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인식되어 획득될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인식될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획득될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확인될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센싱될 가속도정보와 방향정보를 하나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센서분석판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확인될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의 트리거 역할을 하는 정보와 비교되거나 상기 트리거 역할을 하는 정보와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소정의 차량분석판별정보가 저장된 후 추가적인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확인될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와 비교되거나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갱신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나 취소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 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거나 취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인식될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와 매핑될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가 확인되는 시점에 미리 지정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지정되거나, 및/또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식대상정보로 사용될 발화내용을 요청한 후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입력받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등록/갱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매핑된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을 통해 등록/갱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확인될 위치정보와 비교되거나 이동거리(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계산하거나 지오펜스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분석판별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소정의 위치분석판별정보가 저장된 후 추가적인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확인될 위치정보와 비교되거나 이동거리를 계산하거나 지오펜스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위치분석판별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갱신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 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인식될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와 매핑될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가 확인되는 시점에 미리 지정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지정되거나, 및/또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식대상정보로 사용될 발화내용을 요청한 후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입력받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등록/갱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매핑된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을 통해 등록/갱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센싱될 센싱정보와 비교되거나 임계값 범위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분석판별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센싱될 센싱정보와 비교되거나 임계값 범위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센서분석판별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갱신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 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센서분석판별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인식될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센서분석판별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분석판별정보와 매핑될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센서분석판별정보가 확인되는 시점에 미리 지정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지정되거나, 및/또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식대상정보로 사용될 발화내용을 요청한 후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입력받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등록/갱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매핑된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을 통해 등록/갱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확인 시에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연락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락처정보는 각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 각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발화 인식부(150)와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110a)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앱과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200)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보험 계약된 보험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와 상기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연락처정보를 사용자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대응하는 연락처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확인 시에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함과 동시에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예컨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하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접수 합니다'라는 내용의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시에 긴급출동 서비스가 자동으로 개시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자동으로 개시된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정된 발화를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예컨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긴급출동 서비스를 취소하려면 xxx를 말하세요'라는 내용의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제어모듈(135)에 구비된 OBD 연동부(145)와 연계된 운영서버(200) 측 절차를 수행하는 OBD 처리부(20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선별된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정보가 획득되더라도,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운행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센싱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센싱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로 확인하고, 지정된 물리값산출식에 상기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지정된 물리값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된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되어 있더라도,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센싱정보가 연계 저장된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센싱정보가 연계 저장된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를 지정된 물리값산출식에 적용하여 지정된 물리값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i(1≤i≤N)개의 정보와 상기 저장영역에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운행정보에 포함된 i개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i(1≤i≤N)개의 정보(또는 i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정보)와 지정된 임계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운영서버(200)로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선별된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정보가 획득되더라도,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센싱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센싱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로 확인하고, 지정된 물리값산출식에 상기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지정된 물리값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된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되어 있더라도,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센싱정보가 연계 저장된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센싱정보가 연계 저장된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센싱정보를 지정된 물리값산출식에 적용하여 지정된 물리값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물리값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j(1≤j≤M)개의 정보와 상기 저장영역에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j개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j(1≤j≤M)개의 정보(또는 j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정보)와 지정된 유효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운영서버(200)로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205)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210)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OBD 처리부(205)를 통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215)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서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송한 경우,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OBD 처리부(205)를 통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15)는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해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210)와, 상기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을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는 발화 인식부(150)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서 상기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입력받고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해 상기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음파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150)는 상기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을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입력받고 지정된 서비스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해 상기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획득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서 차량 전원(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근거로 GPS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센싱된 가속도정보와 방향정보를 하나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서 차량 전원(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근거로 센서모듈(130)을 통해 센싱된 가속도정보와 방향정보를 하나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확인하여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센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황 파악부(165)와,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절차부(220)와,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나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는 음파 확인부(170)와, 상기 확인된 발화정보를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로 제공하여 발화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서비스 제공보(225)를 구비한다.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 중 공기압 오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를 판독하여 확인된 직전 주행 상태에서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상태정보 중 차량의 주행 불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오류정보를 확인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대상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과 관련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확인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과 관련된 사용자의 비명소리를 확인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가속도정보나 방향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가속도정보를 통해 산출된 충격량정보를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로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지정된 속도로 차량 주행 상태에서 정지된 대상과 정면 충격시의 기준 충격량정보나 차량 정지 상태에서 지정된 속도로 움직이는 대상과 정면 충격시의 기준 충격량정보 등과 상기 센싱된 가속도정보를 통해 산출된 충격량정보를 비교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방향정보를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로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어느 한 방향정보를 판독하여 차량에 고정된 차량용 음파장치(100)의 방향(또는 자세)를 근거로 차량의 전복 상태를 판별하고, 차량의 전복 상태인 경우에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으로 파악하거나, 및/또는 특정 시간 전의 방향 정보와 현재의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정상 주행 시의 지정된 단위 시간 당 방향 변화량 이상의 방향 변화를 판별하고, 지정된 단위 시간 당 방향 변화량 이상의 방향 변화 판별 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6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7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센싱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165)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 파악부(165)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이 파악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절차부(220)는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통지할 연락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연락처정보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가 서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절차부(220)는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합의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200)가 전화 통화 기능을 제공하거나 전화 통화 기능을 구비한 통화서버(도시생략)와 연계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절차부(220)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전화 통화 기능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예컨대, 콜센터, ARS 등)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서비스 절차부(220)는 상기 통화장치와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를 이용하는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절차부(220)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150)로 제공하여 상기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이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발화 인식부(150)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절차부(220)는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답변발화정보는 지정된 질의/답변 규칙에 따라 확인되거나 및/또는 지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절차부(220)는 상기 제1 내지 제2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의 실시예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통지하여 긴급출동을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상황 파악부(165)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이 파악된 경우, 상기 음파 확인부(170)는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보(225)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확인된 발화정보를 차량용 음파장치(100)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파 확인부(170)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한 발화정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해 사용자의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보(225)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해 확인된 발화정보를 차량용 음파장치(100)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의 차량용 음파장치(100)에서 차량의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센싱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발화 출력하여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발화 지시에 따라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차량의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측위된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정보 중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기 위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한다(300). 만약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기 위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둘 이상 정보의 조합)를 이용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한다(305).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 파악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305).
만약 상기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며(310),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4 내지 도면6의 과정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상기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통지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일 시점에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나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고(315), 사용자게 상기 확인된 발화정보를 발화 출력한다(320).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발화정보를 발화 출력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확인한다(325). 만약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가 긴급출동 취소를 위해 지정된 인식대상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330). 만약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가 긴급출동 취소를 위해 지정된 인식대상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취소하는 절차를 수행한다(335).
도면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긴급출동 요청을 위한 연락처정보가 서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이 확인된 경우 긴급출동 요청을 위해 지정된 연락처의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합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한다(400). 만약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전송한다(405).
도면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긴급출동 요청을 위한 연락처정보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이 확인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하여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송출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500), 긴급출동 요청을 위해 지정된 연락처의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전화망을 경유하여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고(505),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통화장치와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한다(510).
만약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515).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동안(예컨대, 상기 통화장치 측에서 전화를 끊기 전)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한다(520).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확인하고(525), 상기 확인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한다(530).
만약 상기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포함하는 응대내용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또는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535). 상기의 과정은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긴급출동 요청을 위한 연락처정보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사용자 무선단말(260) 간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가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을 경유하여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이 확인된 경우 근거리 무선부(110a)를 통해 근거리의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한다(600).
만약 근거리의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거나 기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하여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송출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605),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에서 긴급출동 요청을 위해 지정된 연락처의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전화망을 경유하여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고(61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의 호 연결 요청에 대하여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통화장치 사이에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한다(615).
만약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상기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620).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동안(예컨대, 상기 통화장치 측에서 전화를 끊기 전)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수신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한다(625).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확인하고(630), 상기 확인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한다(635).
만약 상기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포함하는 응대내용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640). 상기의 과정은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자동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차량용 음파장치(100)와 사용자 무선단말(260) 간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 차량용 음파장치(100)가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아 긴급출동 서비스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도면4 내지 도면6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요청정보가 통지된 후, 근거리 무선부(110a)를 통해 근거리의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한다(700).
만약 근거리의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거나 기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연동하여 소정의 통화장치에서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지 확인한다(705).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호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호 연결 요청된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한다(710).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지정된 음성으로 타이어펑크상황을 발화 출력 가능한 타이어펑크상황정보를 구성하고(715),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타이어펑크상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720).
한편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되거나 및/또는 상기 타이어펑크상황정보가 발화 출력되어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된 후,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동안(예컨대, 상기 통화장치 측에서 전화를 끊기 전)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60)로 수신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한다(725).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확인하고(730), 상기 확인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한다(735).
만약 상기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포함하는 응대내용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차량용 음파장치(100)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740). 상기의 과정은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100 : 음파장치 105 : 음파모듈
110 : 근거리모듈 115 : 전원모듈
120 : 통신모듈 125 : 위치모듈
130 : 센서모듈 135 : 제어모듈
140 : 정보 저장부 145 : OBD 연동부
150 : 발화 인식부 155 : 위치 확인부
160 : 센서 확인부 165 : 상황 파악부
170 : 음파 확인부 175 : 서비스 처리부
200 : 운영서버 205 : OBD 처리부
210 : 정보 수신부 215 : 정보 확인부
220 : 서비스 절차부 225 : 서비스 제공부
250 : OBD모듈 260 : 무선단말

Claims (27)

  1.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음파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근거리모듈;
    GPS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를 구비한 위치모듈;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부와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부와 지자기 센서부 중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구비한 센서모듈; 및
    상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차량 OBD와 연결된 OBD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OBD 연동부와,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발화 인식부와,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획득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가속도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가속도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확인하는 센서 확인부와,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황 파악부와,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나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는 음파 확인부와,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발화정보에 대응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하면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구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상태정보 중 공기압 오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을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과 관련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확인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가속도정보를 통해 산출된 운동량정보의 벡터 성분을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과,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방향정보의 벡터 성분을 판독하여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센서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센싱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타이어 펑크 발생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는,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연락처가 서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합의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연락처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전화 통화 기능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연락처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지정된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사이에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14. 제 10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15. 제 10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는,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16. 제 1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17. 제 1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18. 제 1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지정된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연동하여 소정의 통화장치에서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호 연결 요청 확인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 연결 시 지정된 음성으로 타이어펑크상황을 발화 출력 가능한 타이어펑크상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타이어펑크상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펑크상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펑크상황정보는,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에 대한 차량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운영서버와 연동하여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을 확인하고,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 확인 시 상기 OBD 연동부와 연동하여 차량의 OBD를 통해 전조등 점등 동작과 경음기 출력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KR1020170095735A 2017-07-27 2017-07-27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KR20190014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735A KR20190014191A (ko) 2017-07-27 2017-07-27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735A KR20190014191A (ko) 2017-07-27 2017-07-27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191A true KR20190014191A (ko) 2019-02-12

Family

ID=6536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735A KR20190014191A (ko) 2017-07-27 2017-07-27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4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6962A (zh) * 2021-03-08 2021-06-18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胎压监测的车辆紧急保障方法、云平台及客户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6962A (zh) * 2021-03-08 2021-06-18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胎压监测的车辆紧急保障方法、云平台及客户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010B1 (ko) 스마트폰 위치 결정 시스템 및 방법
US8922356B2 (en) Entryway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7912512B2 (en) Sharing account information and a phone number between personal mobile phone and an in-vehicle embedded phone
US7783328B2 (en) Cellular phone control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hands-free call placement apparatus
US93747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base station detection
EP3110230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public transportation detection for determining hands free mode settings
JP5121430B2 (ja) 監視システム
CN101911140A (zh) 用于发射补充或修改数据的车辆紧急呼叫系统
US8588731B2 (en) TYY interface module signal to communicate equipment disruption to call center
CN106959430A (zh) 经由信号强度和信号衰落事件确定车辆位置
US20200092837A1 (en) Device location detection for enhanced device connection for vehicles
KR20190014191A (ko) 타이어 펑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US8600011B2 (en) Navigation system support of in-vehicle TTY system
CN111746434A (zh) 智能体装置、智能体装置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8644889B2 (en) Restoring connectivity to a desubscribed telematics unit
US8433570B2 (en) Method of recognizing speech
KR20190014192A (ko) 도어 잠금/해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KR20190014189A (ko) 교통사고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KR20190014190A (ko)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음파장치
KR102401896B1 (ko) 차량용 음파장치와 그 운영 방법
KR20190014179A (ko) 차량용 음파장치와 그 운영 방법
KR20190014178A (ko) 차량용 음파장치와 그 운영 방법
US11751035B2 (en) Exterior speech recognition calling for emergency services
KR20180137082A (ko) 무선단말 기반 주차결제 제공 방법
KR20180137073A (ko) 대화형 차량장치의 등록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