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782A -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 - Google Patents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782A
KR20190013782A KR1020187034450A KR20187034450A KR20190013782A KR 20190013782 A KR20190013782 A KR 20190013782A KR 1020187034450 A KR1020187034450 A KR 1020187034450A KR 20187034450 A KR20187034450 A KR 20187034450A KR 20190013782 A KR20190013782 A KR 20190013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ing valve
heat sink
injection
coolant
baff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에르겐 하네케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13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1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or part of the dosing system being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53Sprayers or atomisers; Arrangement thereof in the exhaust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2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냉각제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냉각제 챔버(8)를 구비한 분사/계량 밸브(4)용 히트 싱크(2)에 관한 것이다. 냉각제 챔버(8)는, 냉각제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입부(14) 및 냉각제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부(16)를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유입부(14) 및/또는 배출부(16)는, 냉각제 챔버(8) 내부로 연장되는 일 단부를 갖는 파이프 세그먼트(20, 22)를 구비한다. 파이프 세그먼트(20, 22)의 냉각제 챔버 측 단부가 경사져 있음으로써, 파이프 세그먼트(20, 22)의 냉각제 챔버 측 단부는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자신의 둘레를 따라 냉각제 챔버(8) 내에 배치된 배플(12)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파이프 세그먼트(20, 22)의 단부는 또 다른 일 지점에서 자신의 둘레를 따라 배플(1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Description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
본 발명은, 분사 밸브 또는 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에 관한 것이다.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요소수("AdBlue"®)와 같은 유체 환원제를 연소 엔진, 특히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라인 내부로 분사하기 위하여 분사/계량 밸브가 사용된다. 이 경우, 분사/계량 밸브가 직접 배기가스 라인에 배치되고, 그럼으로써 작동 중에 고온에 노출된다.
분사/계량 밸브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분사/계량 밸브의 냉각을 목적으로 유체 냉각제에 의해 관류되는 히트 싱크가 분사/계량 밸브에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히트 싱크의 제조 공차는 상이한 관류 횡단면들을 야기하며, 그 결과 히트 싱크의 상이한 냉각 거동이 초래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가급적 일정한 냉각 거동을 갖는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는 유체 냉각제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냉각제 챔버를 포함한다. 냉각제 챔버는, 냉각제를 냉각제 챔버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입부 및 냉각제를 냉각제 챔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유입부 및/또는 배출부는, 냉각제 챔버 내부로 연장되는 일 단부를 갖는 파이프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파이프 세그먼트의 냉각제 챔버 측 단부가 경사져 있음으로써, 파이프 세그먼트의 냉각제 챔버 측 단부는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자신의 둘레를 따라 냉각제 챔버 내에 배치된 배플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는 또 다른 일 지점에서 자신의 단부면 둘레를 따라 배플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가 배플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점에 의해, 그리고 파이프 세그먼트의 경사진 단부의 각도에 의해, 약간의 공차를 갖는 규정된 기하 구조가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히트 싱크는 매우 일정한 냉각 거동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를 갖는 분사/계량 밸브, 그리고 환원제를 배기가스 라인 내부로 분사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분사/계량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연소 엔진의 배기가스 라인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배플이 파이프 세그먼트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정확한 기하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고,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가 경사져 있는 각도의 선택에 의해, 유입부 및/또는 배출부의 스로틀링 효과가 높은 정확도로 원하는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는 분사/계량 밸브용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는 그 내부에 배치된 분사/계량 밸브에 대해 배플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사/계량 밸브의 매우 균일한 냉각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제 챔버는 수용부 내에 배치된 분사/계량 밸브의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 히트 싱크는 매우 간단하게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이프 세그먼트의 축이 수용부 내에 배치된 분사/계량 밸브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확한 기하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고,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가 경사져 있는 각도의 선택에 의해 유입부 및/또는 배출부의 스로틀링 효과가 원하는 값으로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면이 7°< α < 26°의 각도(α)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각도는, 원하는 스로틀링 효과를 실현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일 실시예에서는, 유입부의 파이프 세그먼트의 각(αzu)이 배출부의 파이프 세그먼트의 각(αab)보다 작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분한 냉각제 흐름 및 이로써 분사/계량 밸브의 충분한 냉각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부의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면은 7°< αzu < 25°의 각도(αzu)로 경사질 수 있는 한편, 배출부의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면은 8°< αab < 26°의 각도(αab)로 경사져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배출부가 유입부에 마주 놓이도록 배열되어 있다. 특히, 배출부는 180°의 각도로 히트 싱크의 외측 둘레를 따라 유입부에 마주 놓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각제에 의한 냉각제 챔버의 완전한 관류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싱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히트 싱크 내에 형성된 냉각제 챔버 내부로 통하는 유입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계량 밸브(4)를 갖는 히트 싱크(2)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준다.
히트 싱크(2)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연소 엔진의 배기가스 설비의 배기가스 라인(3)에 배열되어 있다.
히트 싱크(2)는, 분사/계량 밸브(4)의 축(A)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 하우징(6)을 구비하며, 이 하우징 내에 냉각제 챔버(8)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제 챔버(8)는 외부 면에서 하우징(6)의 벽(10)에 의해 제한된다. 냉각제 챔버(8) 내에는 하나 이상의 배플(12)이 배치되며, 이 배플은 도 1의 하부 영역에 도시된 배기가스 라인 근처 영역에서 분사/계량 밸브(4)의 외부 둘레에 접한다.
유체 밀봉 방식으로 밀봉된 하우징(6) 내의 개구를 통과해서, 분사/계량 밸브(4)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 라인(5)이 하우징(6)의 내부로 안내된다.
냉각제 챔버(8) 내부로는, 냉각제를 냉각제 챔버(8) 내에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입부(14) 및 냉각제를 냉각제 챔버(8)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부(16)가 연통된다. 배출부(16)는 예를 들어 유입부(14)의 맞은 편에 놓이도록, 다시 말해 하우징(6)의 둘레를 따라 180°만큼 변위되어 배치된다. 이는, 냉각제 챔버(8)가 냉각제에 의해 완전히 관류되도록 한다.
유입부(14) 및 배출부(16)는 각각 원통형의 파이프 세그먼트(20, 22)를 구비하며, 이들 파이프 세그먼트의 축(B)은 각각 분사/계량 밸브(4)의 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렬된다. 분사/계량 밸브(4) 쪽을 향하는 각각의 파이프 세그먼트(20, 22)의 단부는, 상기 분사/계량 밸브(4) 쪽을 향하는 단부가 배플(12)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냉각제 챔버(8) 내부로 연장된다. 이 영역에서 배플(12)은 분사/계량 밸브(4)의 축(A)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다시 말해 파이프 세그먼트(20, 22)의 축(B)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렬된다.
도 2는, 배플(12)에 인접하는, 유입부(14)의 파이프 세그먼트(20)의 단부 영역을 확대 단면도로 보여준다.
배플(12) 쪽을 향하는 파이프 세그먼트(20)의 단부면이 경사져 있음으로써, 파이프 세그먼트(20)가 자신의 상부 영역에서는 조립 시 파이프 세그먼트(20)를 위한 스토퍼로서 이용되는 배플(12)에 접하고, 자신의 하부 영역에서는 배플(1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배플(12) 쪽을 향하는 유입부(14)의 파이프 세그먼트(20)의 단부면이 특히 7°< α < 25°의 각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파이프 세그먼트(20)의 하측 단부가 배플(12)로부터 2 내지 7㎜의 간격(a)을 두고 배치된다.
파이프 세그먼트(20)의 단부면이 경사지는 각도(α)의 선택에 의해, 또는 파이프 세그먼트(20)의 단부면의 하부 영역과 배플(12)의 간격(a)의 선택에 의해, 스로틀링 효과가 조절될 수 있다. 즉, 각도(α) 및 이와 더불어 간격(a)이 작을수록, 스로틀링 효과는 더 커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스로틀링 효과는 배플(12)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 예를 들면 하우징(6)의 벽(10)과 배플(12)의 간격(b)의 변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배출부(16)의 파이프 세그먼트(22)는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냉각제 챔버(8)를 통과하는 충분한 냉각제 흐름을 보장하기 위하여, 유입부(14)의 파이프 세그먼트(20)의 각도(αzu)는 일반적으로 배출부(16)의 파이프 세그먼트(22)의 각도(αab)보다 2°만큼 더 작다.
특히, 배출부(16)의 파이프 세그먼트(22)의 단부면은 8°< αab < 26°의 각도(αab)로 경사질 수 있다.

Claims (10)

  1. 유체 냉각제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냉각제 챔버(8)를 구비한 분사/계량 밸브(4)용 히트 싱크(2)로서,
    상기 냉각체 챔버(8)는 냉각제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입부(14) 및 냉각제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부(16)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입부(14) 및/또는 배출부(16)는, 냉각제 챔버(8) 내부로 연장되는 일 단부를 갖는 파이프 세그먼트(20, 22)를 구비하는,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세그먼트(20, 22)의 냉각제 챔버 측 단부가 경사져 있음으로써, 파이프 세그먼트(20, 22)의 냉각제 챔버 측 단부는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자신의 둘레를 따라 냉각제 챔버(8) 내에 배치된 배플(12)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파이프 세그먼트(20, 22)의 단부는 또 다른 일 지점에서 자신의 둘레를 따라 배플(1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2).
  2. 제1항에 있어서, 배플(12)이 파이프 세그먼트(20, 2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2)는, 배플(12)이 히트 싱크(2) 내에 배치된 분사/계량 밸브(4)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2).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냉각제 챔버(8)가 히트 싱크(2) 내에 배치된 분사/계량 밸브(4)의 축(A)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는,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2).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파이프 세그먼트(20, 22)는,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2) 내에 배치된 분사/계량 밸브(4)의 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렬된 축(B)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는,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세그먼트(20, 22)의 단부면이 7°< α < 26°의 각도(α)로 경사져 있는,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2).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부(14)의 파이프 세그먼트(20, 22)의 각도(αzu)가 배출부(16)의 파이프 세그먼트(20, 22)의 각도(αab)보다 작은, 히트 싱크(2).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부(16)가 유입부(14)에 마주 놓이도록 배치되는,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히트 싱크(2)를 구비한 분사/계량 밸브(4).
  10. 제9항에 따른 분사/계량 밸브(4)를 갖는 배기가스 라인(3)으로서,
    상기 분사/계량 밸브(4)는 환원제를 배기가스 라인(3) 내부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배기가스 라인(3).
KR1020187034450A 2016-05-30 2017-05-03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 KR201900137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9269.3 2016-05-30
DE102016209269.3A DE102016209269A1 (de) 2016-05-30 2016-05-30 Kühlkörper für ein Einspritz-/Dosierventil
PCT/EP2017/060466 WO2017207196A1 (de) 2016-05-30 2017-05-03 Kühlkörper für ein einspritz-/dosiervent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782A true KR20190013782A (ko) 2019-02-11

Family

ID=5866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450A KR20190013782A (ko) 2016-05-30 2017-05-03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67530B2 (ko)
EP (1) EP3464848B1 (ko)
KR (1) KR20190013782A (ko)
CN (1) CN109196196B (ko)
DE (1) DE102016209269A1 (ko)
WO (1) WO201720719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6265C5 (de) * 1998-02-16 2004-07-22 Siemens Ag Dosiersystem
US6279603B1 (en) * 1998-10-01 2001-08-28 Ambac International Fluid-cooled injector
US6481641B1 (en) * 2001-12-18 2002-11-19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injector assembly having a heat exchanger for fuel preheating
JP2009138627A (ja) * 2007-12-06 2009-06-25 Hino Motors Ltd 尿素水添加ノズル
DE102010051656A1 (de) 2010-11-17 2012-05-24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Halterung für einen Injektor
EP2627880B1 (de) * 2010-10-14 2016-03-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Halterung für einen injektor
DE102011075381A1 (de) * 2011-05-06 2012-11-08 Robert Bosch Gmbh Injektor zur Dosierung von Reduktionsmittel zum Abga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1077955A1 (de) * 2011-06-22 2012-12-27 Robert Bosch Gmbh Kühlbares Dosiermodul
DE102011086017A1 (de) * 2011-11-09 2013-05-16 Robert Bosch Gmbh Dosiermodul
US20140054394A1 (en) * 2012-08-27 2014-02-2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Reductant delivery unit for automotiv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s - active cooling
DE102013205309A1 (de) * 2013-03-26 2014-10-0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Zumessen von Fluid
DE102013211684A1 (de) * 2013-06-20 2014-12-24 Robert Bosch Gmbh Kühlkörper für Einspritzventil
DE102013224739A1 (de) * 2013-12-03 2015-06-03 Robert Bosch Gmbh Dosiermodul zur AdBlue-Dosierung
CN204239030U (zh) * 2014-10-22 2015-04-01 张家口百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scr尾气后处理系统的自循环冷却式尿素注射装置
CN104948277B (zh) * 2015-06-30 2018-05-04 苏州派格丽减排系统有限公司 一种无气泵水冷喷嘴
CN204827614U (zh) * 2015-07-15 2015-12-02 东莞市长原喷雾技术有限公司 一种带外冷却功能的电控型尿素喷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92965A1 (en) 2019-09-26
CN109196196A (zh) 2019-01-11
CN109196196B (zh) 2021-04-09
EP3464848B1 (de) 2020-03-04
US10767530B2 (en) 2020-09-08
WO2017207196A1 (de) 2017-12-07
EP3464848A1 (de) 2019-04-10
DE102016209269A1 (de)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3981B2 (ja) 配量モジュール
JP5934256B2 (ja) 尿素水溶液用のインジェクタ
KR101782549B1 (ko) Egr 시스템에서 배기가스관리를 위한 컴팩트 장치
US9488628B2 (en) Gas sensor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KR20140102123A (ko) 환원제 수용액 믹싱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KR20160111859A (ko) 냉각수 유로를 갖는 내연 기관용 실린더 헤드
KR101815797B1 (ko) 커먼 레일 시스템을 위한 플러그인 펌프, 및 내연 엔진, 커먼 레일 시스템, 및 플러그인 펌프를 갖는 엔진 장치
KR101795167B1 (ko) 배기매니폴드 및 egr쿨러 일체형 실린더헤드
KR20170031743A (ko) 열 교환기
JP2017527730A5 (ko)
KR20190013782A (ko) 분사/계량 밸브용 히트 싱크
US20110232274A1 (en) Exhaust gas-cooling pipe element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aust system
CN107559074A (zh) 尿素溶液喷射器模块
JP2008008568A (ja) 熱交換器
JP4869121B2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
US20150308754A1 (en) Coolant-supplying flange for a component to be cooled and component provided with such a flange
KR20150095927A (ko) 밸브, 특히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KR102145332B1 (ko) 환원제 도징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US11655745B2 (en) Exhaust gas heat exchanger
KR102123452B1 (ko) 차량용 egr 쿨러
JP2017223157A (ja) 噴射弁の冷却装置
JP6457883B2 (ja) 冷却構造
US20210131327A1 (en) Dosing module for use in aftertreatment system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2303621B1 (ko) 차량용 egr 쿨러
CN217714524U (zh) 喷嘴式疏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