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488A - Localized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ocalized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488A
KR20190013488A KR1020180080197A KR20180080197A KR20190013488A KR 20190013488 A KR20190013488 A KR 20190013488A KR 1020180080197 A KR1020180080197 A KR 1020180080197A KR 20180080197 A KR20180080197 A KR 20180080197A KR 20190013488 A KR20190013488 A KR 20190013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cury
detector
substrate
detection probe
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1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3075B1 (en
Inventor
박진성
조성재
김웅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13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4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0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52Attenuated total reflection
    • G01N21/553Attenuated total reflection and using surface plasmons
    • G01N21/554Attenuated total reflection and using surface plasmons detecting the surface plasmon resonance of nanostructured metals, e.g. localised surface plasmon reson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13Specific cations in water, e.g. heavy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021/258Surface plasmon spectroscopy, e.g. micro- or nanoparticles in suspen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01N2021/5903Transmissivity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e.g. extraordinary optical transmission [EO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localized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The localized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comprises: a substrate; a coupler arranged on the substrate; a metal nanoparticle arranged on the coupler; and a detector arranged on the metal nanoparticle, and having thymine selectively coupled to a mercury ion. Moreover, other localized surface plasma characteristics can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 coupling of the mercury ion in the detector.

Description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검출 방법 {Localized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 나노 입자를 통한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검출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 method for producing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nd a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using metal nanoparticles, .

화학, 생물학, 의학 및 환경 분야 등 많은 분야에서는 시험 용액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이온의 농도를 신속 정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분석에는 특정 이온에 대한 선택성이 있는 화학센서 물질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물질은, 특정 이온에 대한 전기, 저항 등의 전기적 성질이나, 색채, 형광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측 정하여 특정 이온의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 화학센서 물질 중 중금속 양/음이온, 유기물질, 강산 등을 감지하는 센서물질의 개발은, 산업, 환경, 바이오 분 야 등에서 이들의 잠재적인 적용 가능성 때문에 지난 수십 년간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In many fields, such as chemistry, biology, medicine, and th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quickly and accurately analyze the concentration of the various ions contained in the test solution, and for this analysis chemical sensor materials with selectivity to specific ions are used. These materials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specific ions by measuring changes in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electricity, resistance, etc., or optical properties such as color, fluorescence, etc., for a specific ion. The development of sensor materials for detecting heavy metal ions / anions, organic substances, and strong acids in chemical sensor materials has been of great interest for many decades due to their potential applicability in industry,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특히,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중금속 양이온 중에서 수은 이온은, 환경에 유출 시 인간, 환경 등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유해물질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수은 이온이 해양 환경으로 유입될 경우에, 박테리아는 수은 이온을 신경 독성을 갖는 메틸수은(II)으로 전환시키고, 이는 동물 및 인간에게 회복 불가능한 심각한 신경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수은 이온의 생물학적 타겟과 독성 프로파일은 이의 화학 조성에 의존하고, 낮은 농도의 수은 이온에 노출되어도, 수은 이온이 생물학적 막을 통하여 쉽게 통과할 수 있으므로, 소화기, 신장 및 신경계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Especially, among the heavy metal cations tha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mercury ions are harmful substances that can seriously affect people, environment and the like when they are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For example, when these mercury ions enter the marine environment, the bacteria convert mercury ions to methyl mercury (II), which has neurotoxicity, which can cause irreversible serious nerve damage to animals and humans. Biological targets and toxicity profiles of mercury ions depend on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even when exposed to low concentrations of mercury ions, they can cause digestive, kidney and neurological diseases because mercury ions can easily pass through biological membranes.

이러한 수은 이온에 따른 생물학적 또는 환경적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활 및 산업 쓰레기의 처리 경로에서 지속적인 현장 모니터링이 중요하고, 이러한 수은 이온의 현장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수은 이온을 간단한 공정으로 현장에서 신속하게 감지 및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물질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수은 이온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On-site monitoring of mercury ions is crucial in the treatment pathway of living and industrial waste to address the biological or environmental effects of these mercury ions. In order to monitor these mercury ions in situ,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sensor material that can be detected. Accordingly, various techniques for detecting mercury ions have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and develop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광학적 방법으로 수은 이온을 검출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for detecting mercury ions by an optical metho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간소화된 방법으로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in a simplified mann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은 검출의 신뢰성이 향상된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of mercury detection,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결합기, 상기 결합기 상에 배치되는 금속 나노 입자, 및 상기 금속 나노 입자 상에 배치되고, 수은 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티민(Thymine)을 가지는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기에 수은 이온의 결합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comprises a substrate, a coupler disposed on the substrate, metal nanoparticles disposed on the coupler, and a metal nanoparticle disposed on the metal nanoparticle, And a detector having a selective thymine, wherein the detector can provide different local surface plasma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ether the mercury ions are bonded or no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금(Au) 나노 입자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al nanoparticles may include gold (Au) nanoparticl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기의 길이는, 상기 검출기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coupler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detector.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세정 용액으로 세정하는 단계, 상기 세정된 기판 상에 아미노기를 갖는 전구체를 제공하여, 결합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기가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금속 나노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 상에 티민(Thymine)을 포함하는 검출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preparing the topi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substrate, cleaning the substrate with a cleaning solution, providing a precursor having an amino group on the cleaned substrate , Forming a coupler, providing a metal nanostructure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coupler is formed, and forming a detector including thymine on the metal nanostructu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세정 용액은, 황산 및 과산화수소가 3:1 내지 7:1의 농도로 혼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leaning solution may comprise sulfur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mixed in a concentration of 3: 1 to 7: 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구체는, 3-Aminopropyltrimethoxysilane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cursor may compris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기를 형성하는 단계는, Tris-EDTA 완충용액 기반의 티올(thiol) 그룹을 갖는 티민(Thymine)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forming the detector may comprise a Thymine solution having a thiol group based on a Tris-EDTA buffer solu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는, 금(Au) 나노 입자(particle)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al nanostructure may include gold (Au) nanoparticle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를 이용한 수은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를 이용한 수은 검출 방법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금속 나노 입자, 및 상기 금속 나노 입자 상에 배치되고 티민(Thymine)을 포함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에 있어서, 수은 이온이, 상기 검출기와 결합되는 수은 결합 단계, 및 상기 검출기 및 수은 이온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를 측정하는 수은 검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includes a substrate, metal nanoparticle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metal nanoparticles disposed on the metal nanoparticles and containing thymine Wherein the mercury ion comprises a mercury-binding step in which the mercury ion is combined with the detector, and a mercury-detecting step of measuring a change in the wavelength of the detection probe by the combination of the detector and the mercury ion can do.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은 검출 단계에서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는, 상기 수은 결합 단계에서 상기 검출기와 결합되는 수은 이온의 농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hange in the wavelength of the mercury ion detecting probe in the mercury detecting step may b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of the mercury ions combined with the detector in the mercury bonding step.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은 결합 단계에서 상기 검출기와 결합되는 수은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수은 검출 단계에서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이 긴 파장대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ons in the mercury-bonding step increases with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ons, the mercury-ion detection probe may include a shift of the wavelength of the mercury-ion detection probe to a long wavelength ban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결합기, 상기 결합기 상에 배치되는 금속 나노 입자, 및 상기 금속 나노 입자 상에 배치되고, 수은 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티민(Thymine)을 가지는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상기 검출기에 수은 이온이 결합되는 경우, 국소 표면 플라즈마 특성이 변화되어, 파장이 긴 파장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를 조사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수은 이온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A surface plasmon-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 combiner disposed on the substrate, metal nanoparticles disposed on the combiner, and a mercury ion detector disposed on the metal nanoparticle, And a detector having a thymine that selectively binds to the antibody.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can change the local surface plasma characteristic when the mercury ions are bonded to the detector, and the wavelength can be shifted to the long wavelength band. Accordingly, mercury ions can be easily detected by a simple method of examining the wavelength change of the surface-based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가 포함하는 금속 나노 입자 및 검출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수은 검출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결합되는 수은 이온의 농도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가 포함하는 금속 나노 입자를 촬영한 사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face plasmon-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are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al nanoparticle and a detector included in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a mercury detection method of a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7 is a graph showing a wavelength change of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ons to be bound.
8 is a photograph of a metal nanoparticle included in a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Also, while the terms first, second, third, etc.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us,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any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s its complementary embodiment. Also, in this specification, 'and / or' are us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components.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hould not be understood to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connection " is used to include both indirectly connecting and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가 포함하는 금속 나노 입자 및 검출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to FIG. 4 are schematic diagrams of a local surface plasma-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metal nanoparticle and a detector included in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00)이 준비된다(S1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 화합물 반도체 기판,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12 mm의 지름을 갖는 커버글라스 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substrate 100 is prepared (S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bstrate 100 may be a silicon substrate, a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a plastic substrate, a glass substrate, or the like. For example, the substrate 100 may be a cover glass having a diameter of 12 mm.

상기 기판(100)이 세정 용액으로 세정될 수 있다(S1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세정 용액은 황산(H2SO4) 및 과산화수소(H2O2)를 포함하는 피라냐(piranha) 용액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황산(H2SO4) 및 과산화수소(H2O2)가 3:1 내지 7:1의 농도로 혼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술된 비율에서 상기 과산화수소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황산(H2SO4)의 농도는 95 wt%일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H2O2)의 농도는 30 wt%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과산화수소(H2O2)의 농도가 30 wt%를 초과하는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100)이 상기 세정 용액으로 세정된 이후, 증류수로 30분의 시간 동안 한번 더 세정 될 수 있다. The substrate 100 may be cleaned with a cleaning solution (S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leaning solution may be a piranha (piranha) solution containing sulfuric acid (H 2 SO 4) and hydrogen peroxide (H 2 O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lfuric acid (H 2 SO 4 ) and hydrogen peroxide (H 2 O 2 ) may be mixed in a concentration of 3: 1 to 7: 1. Alternatively,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if the ratio of hydrogen peroxide increases in the above-mentioned ratio. The concentration of the sulfuric acid (H 2 SO 4 ) may be 95 wt%.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H 2 O 2 ) may be 30 wt%. Alternatively, if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H 2 O 2 ) exceeds 30 wt%,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fter the substrate 100 is cleaned with the cleaning solution, it may be cleaned once more with distilled water for a period of 30 minutes.

상기 기판(100)이 세정된 이후, 상기 기판(100) 상에 아미노기를 갖는 전구체가 제공되어 결합기(110)가 형성될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상기 전구체는 에탄올(ethanol)기반의 4 wt%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일 수 있다. 상기 상기 결합기(110)는 후술되는 금속 나노 구조체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100) 상에 상기 결합기(110)가 형성된 이후, 증류수로 세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기(110)가 형성된 상기 기판(100)은 60℃의 오븐에서 2시간 동안 베이킹 될 수 있다. After the substrate 100 is cleaned, a precursor having an amino group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100 to form a coupler 110 (S130). For example, the precursor may be 4 wt%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based on ethanol. The coupler 110 may be combined with a metal nanostructure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fter the coupler 11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0, it may be cleaned with distilled water. Further,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coupler 110 is formed can be baked in an oven at 60 DEG C for 2 hours.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기(110)가 형성된 상기 기판(100) 상에 금속 나노 구조체(120)가 제공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는, 금(Au) 나노 입자(particl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기(110)가 형성된 상기 기판(100)을 24 well에 배치한 후, 금 나노 입자와 1시간 동안 반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가 상기 결합기(110)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metal nanostructure 120 may be provided on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coupler 110 is formed (S140). For example, the metal nanostructure 120 may be a gold (Au) nanoparticle. Specifically,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coupler 110 is formed may be placed in 24 wells and reacted with gold nanoparticles for 1 hour. Accordingly, the metal nanostructure 120 can be coupled to the coupler 110.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 상에 검출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기(130)는 티민(Thymine)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기(130)는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가 제공된 상기 기판(100)을 Tris-EDTA 완충용액 기반의 티올(Thiol) 그룹이 달린 10줄의 1μM의 티민 용액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가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기판(100),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결합기(110), 상기 결합기(110) 상에 배치되는 상기 금속 나노 입자(120), 및 상기 금속 나노 입자(120) 상에 배치되는 상기 검출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 및 상기 검출기(130)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4, a detector 130 may be formed on the metal nanostructure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tector 130 may include a Thymine. Specifically, the detector 130 detects the substrate 100 provided with the metal nanostructure 120 by performing a reaction for 1 hour in a 10 μM thymine solution with a thiol-group-based thiol-EDTA buffer solution . Accordingly,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manufactured. That is,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100, the combiner 110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the metal 110 disposed on the combiner 110, Nanoparticles 120, and the detector 130 disposed on the metal nanoparticles 120. Hereinafter, the metal nanostructure 120 and the detector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상기 검출기(130)는 수은 이온(Hg2 +)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검출기(130)가 수은 이온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ce, LSPR)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파장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기(130)가 수은 이온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은, 상기 검출기(130)가 수은 이온과 결합되기 전과 비교하여 긴 파장대로 변화될 수 있다. The detector 130 may be coupled to a mercury ion (Hg < 2 + & gt ; ). When the detector 130 is combined with mercury ions,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change the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 characteristics. Accordingly, in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wavelength can be changed. Specifically, when the detector 130 is coupled to mercury ions, the wavelength of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ay be changed to a longer wavelength band as compared to before the detector 130 is coupled to mercury ions have.

즉,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상기 검출기(130)에 수은 이온의 결합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특성을 제공하고, 서로 다른 파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수은 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 That is,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provide different local surface plasma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ether mercury ions are coupled to the detector 130, and may exhibit different wavelengths. Accordingly, mercury ions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a change in wavelength of a mercury ion detection probe based on a local surface plasma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수은 이온의 검출에 있어서 국소 표면 플라즈마(LSPR) 기술이 사용됨에 따라, 표면 플라즈마(surface plasmon resonace, SPR) 기술과 비교하여 검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superior to the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technique in that the det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using the local surface plasma (LSPR) Can be improved.

구체적으로, 표면 플라즈마 기술의 경우 evanescent field를 만들기 위해 prism을 필수적으로 부착해야 하며, 편광된 빛을 사용해야 되는 구조적인 한계점이 있지만,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술의 경우 상술된 구조적인 한계점 없이 수은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표면 플라즈마 기술의 경우 evanescent field의 변화에 따라 신호가 감지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신호변화를 감지하게 되지만,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술의 경우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 주변 이외의 신호는 감지하지 않기 때문에 훨씬 민감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술의 경우, 표면 플라즈마 기술과 비교하여 검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case of surface plasma technology, the prism must be attached to make the evanescent field, and there is a structural limit to use polarized light. However, in the case of local surface plasma technology, mercury detection is performed without the structural limitations described above . In the case of the surface plasma technology, a signal is sens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evanescent field, thereby detecting an unnecessary signal change. However, in the case of the local surface plasma technique, since the signal other than around the metal nanostructure 120 is not detected, A measurement can be made. As a result, in the case of local surface plasma technology, the det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surface plasma technolog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기(110)의 길이(d1)는 상기 검출기(130)의 길이(d2)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은, 상기 검출기(130)가 형성된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를 상기 결합기(110)가 형성된 상기 기판(100) 상에 제공하여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를 제조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상기 결합기(110)를 통한 상기 기판(100)과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ngth d 1 of the coupler 110 may be less than the length d 2 of the detector 130. The method for fabricating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nanostructure 120 on which the detector 130 is formed is placed on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coupler 110 is formed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ubstrate 100 and the metal nanostructure 120 through the coupler 110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기(130)가 형성된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를 상기 결합기(110)가 형성된 상기 기판(100) 상에 제공하는 방법으로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가 제조되는 경우, 상기 검출기(130)의 길이(d2)가 상기 결합기(110)의 길이(d1)보다 길어, 상기 기판(100) 상에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의 증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100) 상에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가 제공되더라도, 상기 기판(100)과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 사이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is manufactured by providing the metal nanostructure 120 on which the detector 13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coupler 11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d 2 of the detector 130 is longer than the length d 1 of the coupler 110 so that deposition of the metal nanostructure 120 on the substrate 100 may not be easy. Accordingly, even if the metal nanostructure 120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100,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bstrate 100 and the metal nanostructure 120 may be deteriorated.

하지만,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판(100) 상에 상기 결합기(110)를 형성한 이후,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 및 상기 검출기(130)를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기(110)의 길이(d1)가 상기 검출기(130)의 길이(d2)보다 짧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기판(100) 상에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가 용이하게 증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기판(100) 및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face-based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the combiner 110 on the substrate 100, and then the metal nanostructure 120 and the detector 130 ) Can be sequentially formed. The metal nanostructure 120 can be easily deposited on the substrate 100 even though the length d 1 of the coupler 110 is shorter than the length d 2 of the detector 130. [ . As a resul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bstrate 100 and the metal nanostructure 120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은, 상기 검출기(130)가 형성된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를 상기 결합기(110)가 형성된 상기 기판(100) 상에 제공하여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를 제조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적은 양의 상기 검출기(130)로 수은 이온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forming the metal nanostructure 120 on which the detector 13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coupler 110 is formed Mercury ions can be easily detected by a small amount of the detector 130 as compared with a method of producing a mercury ion detection probe.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기(130)가 형성된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를 상기 결합기(110)가 형성된 상기 기판(100) 상에 제공하는 방법으로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가 제조되는 경우,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와 상기 결합기(110)가 접촉하는 부분과 상관 없이,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 전체 영역 상에 상기 검출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is manufactured by providing the metal nanostructure 120 on which the detector 13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coupler 11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or 13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region of the metal nanostructure 120 irrespective of the portion where the metal nanostructure 120 and the coupler 1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하지만,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판(100) 상에 상기 결합기(110)를 형성한 이후,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 및 상기 검출기(130)를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와 상기 결합기(110)가 접촉되는,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 상의 일 영역에는, 상기 검출기(13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술된 상기 검출기(130)가 형성된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120)를 상기 결합기(110)가 형성된 상기 기판(100) 상에 제공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은, 적은 양의 상기 검출기(130)로도 수은 이온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face-based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the combiner 110 on the substrate 100, and then the metal nanostructure 120 and the detector 130 ) Can be sequentially formed. 4, the detector 130 may not be formed in a region of the metal nanostructure 120 where the metal nanostructure 120 and the coupler 1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have. That is, in comparison with the method of providing the metal nanostructure 120 formed with the detector 130 described above on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coupler 110 is formed,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anufacturing method can easily detect mercury ions even with a small amount of the detector 13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기(130)는 제1 검출 프로브(130a) 및 제2 검출 프로브(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검출 프로브(130a, 130b)는 각각 복수의 티민(Thymi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검출 프로브(130a, 130b)가 포함하는 티민은 수은 이온(Hg2 + ion)과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검출 프로브(130a, 130b)는 수은 이온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검출 프로브(130a, 130b)는 수은 이온에 의하여 쌍(pair)을 이룰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tector 130 may include a first detection probe 130a and a second detection probe 130b.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probes 130a and 130b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ymines. Thymines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probes 130a and 130b may be combined with mercury ions (Hg 2 + ions).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probes 130a and 130b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mercury ions.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probes 130a and 130b may be paired by mercury ions.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 및 그 제조 방법이 설명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방법이 설명된다. Above,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ve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방법은, 수은 결합 단계, 및 수은 검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may include a mercury bonding step and a mercury detecting step.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method can be performed using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상기 수은 결합 단계는, 상기 기판(100),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금속 나노 입자(120), 및 상기 금속 나노 입자(120) 상에 배치되고 티민(thymine)을 포함하는 상기 검출기(130)를 포함하는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에 있어서, 수은 이온이 상기 검출기(13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은 이온은 상기 검출기(130)가 포함하는 티민에 의하여 상기 검출기와 결합될 수 있다. Wherein the mercury bonding step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the substrate 100, the metal nanoparticles 120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and the detector 130 disposed on the metal nanoparticles 120 and containing thymine. (130), mercury ions may be combined with the detector (130). Specifically, the mercury ions may be combined with the detector by thymine included in the detector 130.

상기 수은 검출 단계는, 상기 검출기(130)에 수은 이온이 결합된 경우,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기(130) 및 수은 이온의 결합에 의하여 변화되는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수은 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 The mercury detecting step may measure a change in the wavelength of the mercury ion detecting probe when mercury ions are bound to the detector 130. That is, mercury ions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mercury ion detecting probe which is changed by the combination of the detector 130 and mercury ions.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기(130)가 수은 이온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ce)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파장이 변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기(130)가 수은 이온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은, 상기 검출기(130)가 수은 이온과 결합되기 전과 비교하여 긴 파장대로 변화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detector 130 is combined with mercury ions,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ay have a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characteristic. Accordingly,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can be changed in wavelengt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detector 130 is coupled with mercury ions, the wavelength of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ay be selected such that the detector 130 has a longer wavelength band Can be changed.

즉,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상기 검출기(130)에 수은 이온의 결합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특성을 제공하고, 서로 다른 파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수은 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 That is,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ay provide different local surface plasma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ether the detector 130 is bonded to mercury ions, and may exhibit different wavelengths. Accordingly, mercury ions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wavelength of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은 검출 단계에서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는, 상기 수은 결합 단계에서 상기 검출기와 결합되는 수은 이온의 농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은 결합 단계에서 상기 검출기와 결합되는 수은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수은 검출 단계에서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이 긴 파장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이 길게 측정될수록, 고농도의 수은 이온이 존재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hange in the wavelength of the mercury ion detecting probe in the mercury detecting step may b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of the mercury ions combined with the detector in the mercury bonding step. Specifically, when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ons combined with the detector in the mercury-bonding step increases,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ay move to a longer wavelength band in the mercury detection step. Accordingl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longer the wavelength of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is,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ons is present.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방법이 설명되었다. 이하,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방법의 구체적인 실험 예 및 특성 평가 결과가 설명된다. Thus,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of the mercury ion detection method based on the surface plasm plasma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and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실시 예에 따른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수은 이온 검출Mercury ion detection 프로브Probe 제조 Produce

12 mm의 지름을 갖는 커버글라스가 준비된다. 상기 커버글라스를 95 wt% 농도의 황산(H2SO4) 및 95 wt% 농도의 과산화수소(H2O2)가 3:1의 비율로 혼합된 세정 용액으로 세정한 후, 에탄올(ethanol)기반의 4 wt% 3-Aminopropyltrimethoxysilane과 반응시켜 결합기를 형성하였다. A cover glass having a diameter of 12 mm is prepared. The cover glass was washed with a cleaning solution in which sulfuric acid (H 2 SO 4 ) at a concentration of 95 wt% and hydrogen peroxide (H 2 O 2 ) at a concentration of 95 wt% were mixed at a ratio of 3: 1, Of 4-wt%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계속해서, 결합기가 형성된 커버글라스 상에 금(Au) 나노 입자를 제공하고, 금 나노 입자가 제공된 커버글라스를 Tris-EDTA 완충용액 기반의 티올(Thiol) 그룹이 달린 10줄의 1μM의 티민 용액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금 나노 입자 상에 검출기를 형성시켰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를 제조되었다. Subsequently, gold (Au) nanoparticles were provided on a cover glass on which a coupler was formed, and a cover glass provided with gold nanoparticles was immersed in a solution of 10 μl of 1 μM thymine with a thiol group based on Tris-EDTA buffer For 1 hour to form a detector on the gold nanoparticles. Thus, a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was manufactured.

도 6은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수은 검출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a mercury detection method of a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을 측정하되, 검출기가 형성되지 않고 금 나노 입자만 형성된 경우(Gold nanoparticles, AuNP), 검출기가 수은 이온과 결합되기 전의 경우(AuNP-Thymine), 및 검출기가 수은 이온과 결합된 경우(AuNP-Thymine-Hg) 각각에 대해, wavelength(nm)에 따른 Extinction(a.u.)을 측정하였다. Referring to FIG. 6, the wavelength of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easured. When gold nanoparticles (AuNP) are formed without forming a detector and before the detector is bonded with mercury ions (AuNP Extinction (au) according to wavelength (nm) was measured for each of the detectors (AuNP-Thymine), and when the detector was bound to mercury ions (AuNP-Thymine-Hg).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검출기가 형성되지 않고 금 나노 입자만 형성된 경우(Gold nanoparticles, AuNP), 검출기가 수은 이온과 결합되기 전의 경우(AuNP-Thymine), 및 검출기가 수은 이온과 결합된 경우(AuNP-Thymine-Hg) 각각의 최대 extinction에서의 파장(nm)이 점점 긴 파장대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파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은 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6, when the detector is not formed and gold nanoparticles are formed (Gold nanoparticles, AuNP), before the detector is combined with mercury ions (AuNP-Thymine), and when the detector is combined with mercury ions AuNP-Thymine-Hg), the wavelength (nm) at the maximum extinction shifts to the longer wavelength band.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can detect mercury ions by a method of measuring a change in wavelength.

도 7은 결합되는 수은 이온의 농도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7 is a graph showing a wavelength change of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ons to be boun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을 측정하되, 검출기와 결합되는 수은 이온의 농도가 1 mM, 1μM, 100 nM, 1 nM, 및 0 M인 경우 각각에 대해 파장 변화 값(△λmax, nm)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FIG. 7, the wavelength of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measured. When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ons in the detector is 1 mM, 1 M, 100 nM, 1 nM, and 0 M, The change value (? Max , nm) was measured and shown.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검출기에 결합되는 수은 이온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파장 변화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파장 변화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 고농도의 수은 이온이 검출되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1 nM 농도의 수은 이온까지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 7,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 shows that the wavelength change value increases as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ons coupled to the detector increases. Accordingly,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can judge that a high concentration mercury ion is detected when the wavelength change value is high.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can detect mercury ions with a concentration of 1 nM.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가 포함하는 금속 나노 입자를 촬영한 사진이다. 8 is a photograph of a metal nanoparticle included in a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 중,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나노 입자를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촬영하였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기판 상에 금속 나노 입자가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mong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s of metal nanoparticles arranged on a substrate. As can be seen from FIG. 8,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etal nanoparticles are uniformly arranged on the substrate in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상기 기판(100),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결합기(110), 상기 결합기(110) 상에 배치되는 상기 금속 나노 입자(120), 및 상기 금속 나노 입자(120) 상에 배치되고, 수은 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티민(Thymine)을 가지는 상기 검출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는, 상기 검출기(130)에 수은 이온이 결합되는 경우, 국소 표면 플라즈마 특성이 변화되어, 파장이 긴 파장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를 조사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수은 이온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00, the coupler 110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the metal 110 disposed on the coupler 110, Nanoparticles 120 and a detector 130 disposed on the metal nanoparticles 120 and having a thymine that selectively binds mercury ions. The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can change the local surface plasma characteristic when mercury ions are bound to the detector 130, and can move the wavelength to a long wavelength band. Accordingly, mercury ions can be easily detected by a simple method of examining the wavelength change of the surface-based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기판
110: 결합기
120: 금속 나노 구조체
130: 검출기
100: substrate
110: coupler
120: metal nanostructure
130: detector

Claims (1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결합기;
상기 결합기 상에 배치되는 금속 나노 입자; 및
상기 금속 나노 입자 상에 배치되고, 수은 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티민(Thymine)을 가지는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기에 수은 이온의 결합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국소 표면 플라즈마 특성을 제공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
Board;
A coupler disposed on the substrate;
Metal nanoparticles disposed on the coupler; And
A detector disposed on the metal nanoparticles and having a thymine selectively binding to mercury ions,
Wherein the detector provides different local surface plasma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ether the mercury ions are coupled to the detec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금(Au) 나노 입자인 것을 포함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nanoparticles are gold (Au) nanoparticl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의 길이는, 상기 검출기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포함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coupler is less than the length of the detector.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세정 용액으로 세정하는 단계;
상기 세정된 기판 상에 아미노기를 갖는 전구체를 제공하여, 결합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기가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금속 나노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 상에 티민(Thymine)을 포함하는 검출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
Preparing a substrate;
Cleaning the substrate with a cleaning solution;
Providing a precursor having an amino group on the cleaned substrate to form a coupler;
Providing a metal nanostructure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coupler is formed; And
And forming a detector including thymine on the metal nanostructure. 2. The method of claim 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용액은, 황산 및 과산화수소가 3:1 내지 7:1의 농도로 혼합된 것을 포함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leaning solution comprises sulfur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mixed at a concentration of 3: 1 to 7: 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는, 3-Aminopropyltrimethoxysilane을 포함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cursor comprises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가 제공된 상기 기판 상에, Tris-EDTA 완충용액 기반의 티올(thiol) 그룹을 갖는 티민(Thymine) 용액을 포함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forming the detector comprises:
A method of preparing a local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comprising a Thymine solution having a thiol group based on a Tris-EDTA buffer solution on the substrate provided with the metal nanostructur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는, 금(Au) 나노 입자(particle)인 것을 포함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tal nanostructure is gold (Au) nanoparticles. ≪ Desc / Clms Page number 20 >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금속 나노 입자, 및 상기 금속 나노 입자 상에 배치되고 티민(Thymine)을 포함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에 있어서, 수은 이온이 상기 검출기와 결합되는 수은 결합 단계; 및
상기 검출기 및 수은 이온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를 측정하는 수은 검출 단계를 포함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를 이용한 수은 검출 방법.
A mercury ion detection probe comprising a substrate, metal nanoparticle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a detector disposed on the metal nanoparticle and comprising thymine,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comprising: a mercury binding step in which mercury ions are combined with the detector ; And
And a mercury detecting step of measuring a change in the wavelength of the mercury ion detecting probe by the combination of the detector and the mercury 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은 검출 단계에서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 변화는,
상기 수은 결합 단계에서 상기 검출기와 결합되는 수은 이온의 농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포함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를 이용한 수은 검출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mercury detecting step,
Wherein the mercury concentration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ons associated with the detector in the mercury-bonding step.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은 결합 단계에서 상기 검출기와 결합되는 수은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수은 검출 단계에서 상기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의 파장이 긴 파장대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국소 표면 플라즈마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 프로브를 이용한 수은 검출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ons associated with the detector in the mercury-bonding step increases,
And the mercury ion detection probe is moved to a longer wavelength band in the mercury detecting step.
KR1020180080197A 2017-07-28 2018-07-10 Localized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0307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546 2017-07-28
KR20170096546 2017-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488A true KR20190013488A (en) 2019-02-11
KR102103075B1 KR102103075B1 (en) 2020-04-22

Family

ID=6537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197A KR102103075B1 (en) 2017-07-28 2018-07-10 Localized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07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035A1 (en) 2019-02-01 2020-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imide film, flexible substrate using same, and flexible display comprising flexible substrate
KR20210088158A (en) * 2020-01-06 2021-07-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olorimetric sensor for detecting mercury ions or arsenic ions comprising surface-modified nanoparticles, method for detecting mercury ions or arsenic ions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10131723A (en) * 2020-04-24 2021-11-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gold-naringin nanoclusters for bio-imaging and intracellular sensing sensor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13804654A (en) * 2021-08-11 2021-12-17 江苏恒顺醋业股份有限公司 Hg based on optical fiber local surface plasma resonance2+Bio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36B1 (en) * 2009-03-24 2012-03-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Highly sensitive sensor for heavy metal ions using single gold nanoparticle
US20160209405A1 (en) * 2014-04-02 2016-07-2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agnetic detection of mercuric ion using giant magnetoresistive based biosensing system
JP6124327B2 (en) * 2012-11-26 2017-05-10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Metal detection sensor and meta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746517B1 (en) * 2016-01-07 2017-06-14 광주과학기술원 Detecting method of heavy metal ions and sens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36B1 (en) * 2009-03-24 2012-03-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Highly sensitive sensor for heavy metal ions using single gold nanoparticle
JP6124327B2 (en) * 2012-11-26 2017-05-10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Metal detection sensor and meta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60209405A1 (en) * 2014-04-02 2016-07-2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agnetic detection of mercuric ion using giant magnetoresistive based biosensing system
KR101746517B1 (en) * 2016-01-07 2017-06-14 광주과학기술원 Detecting method of heavy metal ions and sensor us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035A1 (en) 2019-02-01 2020-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imide film, flexible substrate using same, and flexible display comprising flexible substrate
KR20210088158A (en) * 2020-01-06 2021-07-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olorimetric sensor for detecting mercury ions or arsenic ions comprising surface-modified nanoparticles, method for detecting mercury ions or arsenic ions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10131723A (en) * 2020-04-24 2021-11-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gold-naringin nanoclusters for bio-imaging and intracellular sensing sensor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13804654A (en) * 2021-08-11 2021-12-17 江苏恒顺醋业股份有限公司 Hg based on optical fiber local surface plasma resonance2+Bio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075B1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iani et al. Layer-by-layer biofunctionalization of nanostructured porous silicon for high-sensitivity and high-selectivity label-free affinity biosensing
Raj et al. Surface Plasmon Resonance based fiber optic sensor for mercury detection using gold nanoparticles PVA hybrid
KR102103075B1 (en) Localized surface plasma-based mercury ion detection prob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rcury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Santos et al. Nanoporous anodic aluminum oxide for chemical sensing and biosensors
Eissa et al. A graphene-based label-free voltammetric immunosensor for sensitive detection of the egg allergen ovalbumin
Lepinay et al. Improved detection limits of protein optical fiber biosensors coated with gold nanoparticles
Zhang et al. Ultrastable substrates for 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Al2O3 overlayers fabricated by atomic layer deposition yield improved anthrax biomarker detection
Tang et al. Bacteria detection based on its blockage effect on silicon nanopore array
Zhang et al. Carbon nanotube/gold nanoparticle composite-coated membrane as a facile plasmon-enhanced interface for sensitive SERS sensing
Bertok et al. Comparison of the 2D and 3D nanostructured lectin-based biosensors for in situ detection of sialic acid on glycoproteins
Babu et al. Conventional and nanotechnology based sensors for creatinine (A kidney biomarker) detection: A consolidated review
Zhan et al. A silver-specific DNA-based bio-assay for Ag (I) detection via the aggregation of unmodified gold nanoparticles in aqueous solution coupled with resonance Rayleigh scattering
Ma et al. A spectral shift-based electrochemiluminescence sensor for hydrogen sulfide
Atapour et al. Integrated optical and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Cu 2+ ions in water using a sandwich amino acid–gold nanoparticle-based nano-biosensor consisting of a transparent-conductive platform
Endo et al. Fabrication of core-shell structured nanoparticle layer substrate for excitation of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and its optical response for DNA in aqueous conditions
Souiri et al. AFM, CLSM and EIS characterization of the immobilization of antibodies on indium–tin oxide electrode and their capture of Legionella pneumophila
Huo et al. ATP-responsive strand displacement coupling with DNA origami/AuNPs strategy for the determination of microcystin-LR using 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Kim et al. Highly sensitive biomolecule detection on a quartz crystal microbalance using gold nanoparticles as signal amplification probes
Lee et al. Extremely sensitive and wide-range silver ion detection via assessing the integrated surface potential of a DNA-capped gold nanoparticle
Tabrizi et al. Remote sensing of Salmonella-specific DNA fragment by using nanoporous alumina modified with the single-strand DNA probe
Samanman et al.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self-assembled layer by layer gold nanoparticles for highly sensitive label-free capacitive immunosensing
Tao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reagentless plasmon sensors based on Ag–Au alloy nanoparticles for detection of Hg
Choi et al. Gold nanoparticle-based fluorescent “turn-on” sensing system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mercury ions in aqueous solution
Shi et al. Ultrasensitive plasmon enhanced Raman scattering detection of nucleolin using nanochannels of 3D hybrid plasmonic metamaterial
US20090166222A1 (en) Electrical nanotraps for spectroscopically characterizing biomolecules with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