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751A -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 - Google Patents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751A
KR20190012751A KR1020170096233A KR20170096233A KR20190012751A KR 20190012751 A KR20190012751 A KR 20190012751A KR 1020170096233 A KR1020170096233 A KR 1020170096233A KR 20170096233 A KR20170096233 A KR 20170096233A KR 20190012751 A KR20190012751 A KR 20190012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hoe
smart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2618B1 (ko
Inventor
고평화
Original Assignee
(주)평화유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화유통 filed Critical (주)평화유통
Priority to KR102017009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6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electric heating arrangements
    • A43B7/04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protection against heat or co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슈즈가 개시된다. 스마트 슈즈는, 사용자의 발이 들어가기 위한 신발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본체부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각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발열을 하는 발열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발열부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발열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이하게 발열을 하고, 편리하게 온/오프가 가능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Smart shoes with easy heat generation}
본 발명은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이 용이하고, 압전이 용이하고, 아동이나 노인 등이 스마트 슈즈를 신고 다니면, 스마트 슈즈 착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위험상황을 미리 예측하여 위험을 방지하고자 하는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이나 날씨가 추운 지역에서는 슈즈를 신어도 발이 시린 경우가 많다. 특히, 발가락 중에서도 새끼발가락 부분이 좀 더 시린 경향이 있다.
그리고, 겨울철 야외에서 활동하는 경우, 심할 경우에는 발이 차서 동상이 걸릴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경찰청의 집계에 따르면 아동과 치매노인 또는 장애인 등이 실종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실종자들은 48시간이 초과하면 실종자 발견확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반면에 범죄에 노출됐을 가능성은 급격히 증가한다.
수년째 실종아동의 숫자가 줄어들지 않아 정부는 실종아동의 범위 확대, 지문 사전 등록제에 20억 지원 등 법개정을 비롯한 예산지원을 확대하는 추세에 있다. 문제는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고 신상카드 작성제출 의무 이행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미아나 치매노인 또는 장애인의 증가 추세에 따라 2050년 전체 노인 인구의 13%가 넘는 인구가 치매 환자로 예상된다.
그리고, 이러한 치매 환자 및 아동의 실종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가되며, 2050년에는 43조 2천억원의 비용소요가 예상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미아를 찾기 위한 위치 추적 시스템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 0799776호(인용발명, 발명의 명칭 : 미아 방지용 신발)에 개시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내부에 일정깊이만큼 요입된 수용부가 형성된 뒷굽을 갖는 바닥창, 수용부가 형성된 바닥창의 뒷굽 일측에 설치되는 긴급스위치, 안테나부의 외부에 포설되어 상기 안테나부를 보호하고 외부적으로 식별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커버, 신발의 앞굽 상단에 위치하고 위치 신호 수신을 위한 GPS 안테나, 안테나부에 근접 설치되고, 소리를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현재 위치 정보 송신을 위한 무선통신 안테나, 바닥창의 뒷굽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긴급 스위치, 안테나부 및 마이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긴급스위치가 눌러진 경우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무선통신 안테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수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단말기에 밀착되어 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은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소리(마이크)로 알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현재 위치 정보를 위성으로부터 받아 이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기설정된 단말기로 긴급메시지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인용발명은 긴급 메시지를 알리기 위해서는 긴급 상황에 처한 슈즈의 착용자가 인용발명의 긴급스위치를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매우 위급한 상황에서는 긴급스위치를 작동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인용발명의 경우, 납치된 슈즈의 주인이 작동시키지 못하도록 결박된 상태일 수 있으며, 또는 몸이 자유로운 상태라고 하여도 작동을 시킨 후에 납치자들에게 발각될 문제점도 있다.
또한, 슈즈의 주인이 치매에 걸린 경우에는 슈즈의 주인이 자발적으로 긴급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위치를 검출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전원 배터리가 없는 경우에도 작동이 불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발열을 하고, 편리하게 온/오프가 가능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람이 걸음을 걸으면 용이하게 자가발전을 하는 구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자가발전을 하는 스마트 슈즈를 제공하여 배터리 전원이 항상 충분하도록 하는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슈즈의 보호자가 원하는 시점에 슈즈 착용자의 위치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위험을 직감한 보호자가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스마트 슈즈의 위치가 미리 지정한 소정 구역을 벗어나기 전에 1차 알림을 보호자에게 미리 송신하고, 실제로 해당 구역을 벗어날 경우 경고를 하여 미리 보호자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스마트 슈즈의 위치로부터 집이나 특정 장소로부터의 거리나 소요시간 등을 알려주어 미리 보호자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스마트 슈즈 착용자가 위험한 경우라고 판단될 경우, SOS 신호를 표시하도록 하여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마트 슈즈는,
사용자의 발이 들어가기 위한 신발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본체부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각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발열을 하는 발열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발열부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발열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슈즈는,
외부의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원 온/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열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슈즈는
압전방식으로 자가발전을 하는 자가발전부;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발전되는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발전을 시작하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각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는,
사용자의 발이 들어가기 위한 신발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본체부 내부에는,
면상발열체 방식으로 발열을 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사람의 발이 닿는 부분인 제1 깔창부;
제1 깔창부 아래에 위치하고, 발 뒤꿈치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소정 모양의 홈이 형성된 제2 깔창부;
상기 제2 깔창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홈에서 뒷굼치 부분으로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의 열이 상기 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이하게 발열을 하고, 편리하게 온/오프가 가능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모가 스마트폰으로 온/오프가 가능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람이 걸음을 걸으면 용이하게 자가발전을 하는 구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가발전을 하는 스마트 슈즈를 제공하여 배터리 전원이 항상 충분하도록 하는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슈즈의 보호자가 원하는 시점에 슈즈 착용자의 위치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위험을 직감한 보호자가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슈즈의 위치가 미리 지정한 소정 구역을 벗어나기 전에 1차 알림을 보호자에게 미리 송신하고, 실제로 해당 구역을 벗어날 경우 경고를 하여 미리 보호자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슈즈의 위치로부터 집이나 특정 장소로부터의 거리나 소요시간 등을 알려주어 미리 보호자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슈즈 착용자가 위험한 경우라고 판단될 경우, SOS 신호를 표시하도록 하여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슈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부(120)와 그의 구성요소는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은,
스마트 슈즈(2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보호자의 단말기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위치정보 및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이동 가능한 지역을 설정한 설정범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20); 상기 슈즈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 소정 주기로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범위에서 소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 1차 알람을 하고,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보호가 단말기에 경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슈즈(200)가 SOS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서버(11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DB(121);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이동 가능한 지역을 설정한 설정범위를 저장하는 설정범위 DB(122);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고유번호 정보,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착용자의 인적사항 및 보호자 인적사항 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 슈즈 DB(123)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스마트 슈즈 DB(123)는 보호자 및 착용자 전화번호, 주소 비상연락처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특정지역의 위험지대 정보를 저장하는 위험지대 정보 DB(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슈즈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정보 DB(121)에 저장하는 정보 수신부(111);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 소정 주기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112);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범위에서 소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 1차 알람을 하고,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에 경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슈즈(200)가 SOS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위험 방지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설정범위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범위 DB에 저장하는 설정부(1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보호자가 설정한 특정지점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슈즈(200)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제공하거나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스마트 슈즈(200)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제공하는 거리 및 소요시간 제공부(115);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스마트 슈즈(200)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제공부(1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110)의 위험 방지부(113)는,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위치가 위험지역에 있는 경우, 이를 보호자 단말기(300)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슈즈(200)는,
사용자의 발이 들어가기 위한 신발 본체부(201)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본체(201)부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240);
압전방식으로 자가발전을 하는 자가발전부(230);
상기 자가발전부(230)에서 발전되는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부(240)를 충전하는 충전부(220);
상기 배터리부(240)의 전원을 각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80);
주변인에게 긴급한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SOS 표시부(260);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GPS부(250);
상기 서버(110)와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270);
상기 자가발전부(230)에서 발전을 시작하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각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280)를 제어하고, 소정 주기로 상기 GPS부에서 출력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270)를 통해 상기 서버(110)로 송신하는 제어부(21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서버(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SOS 표시부(260)에 긴급상황을 표시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SOS 표시부(260)는 생략할 수 있고, 대신 LED 표시는 GPS모듈의 고장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으로 대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GPS부의 정상작동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으로는 충분한 발전을 얻기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제어부(210)는 100보정도 걸을시 GPS신호를 한 두번 발송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신발장 등에 무선충전기를 구비하여 신발장에 스마트 슈즈를 올려만 놓으면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280)의 전원을 입력받아 발열을 하는 발열부(290);
상기 전원 공급부(280)의 전원을 상기 발열부(290)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발열 스위치(291)를 추가로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충전부(220)는 자가발전부(230)외에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외부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부(240)를 충전할 수도 있다.
외부의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27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전원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부가 전원 온/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열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신발 본체부 후면에는 도 3과 같이 더미(290)를 구비하고, 더미(290) 안에 모듈의 GPS부(250)가 내장하도록 한다. 특히, GPS부(250)는 인체가 가리게 되면 전파를 잡지 못하므로 인체에서 4~6mm로 튀어나오도록 하고, 바닥창에 더미(290)를 넣는 구조는 가급적 외관 디자인에서 돌출부분이 거슬리지 않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도 5와 같이 더미(290) 또는 본체의 좌측에 led를 달고 그 부분을 얇게 덧대어 밖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SOS 표시부(260)를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덧대는 재질은 투명재질이 아니라 불투명재로 하여 난반사가 되어 시각적으로 구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도 3과 같이 더미(290)의 외부에 리본 또는 고리를 추가 형성하고, 리본 또는 고리와 모듈을 연결하여 모듈이 창에 안착된 이후에 다른 모듈로 교체를 할때 리본이나 고리(292)를 당겨서 꺼내기 쉽도록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더미(290) 부분에 도 3과 같이 홈을 형성하고, 리본이 끊어졌을 때 일자드라이버로 모듈을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모듈에는 배터리부, 자가발전부(230), 충전부(220), 전원공급부(280), SOS 표시부(260), GPS부(250), 무선 통신부(270), 제어부(210)를 선택적으로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도 6과 같이 치구로 모듈을 고정시키기 위해 창 바닥면에 치구 구멍이 생기게 되며, 이는 추후 그 위를 덮는 고무재질로 2차 가공을 하여 메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발 제조시에 기존 신발 세멘팅공법과 같이, 아웃솔에 중창을 강력히 본드접착하고, 중창 위에 깔창을 걸쳐 올리기만 하면 완성된다.
그런데 여기서 모듈이 탈부착되기 위해, 아웃솔에 구멍을 형성하고,
중창에도 구멍을 형성하여 강력히 아웃솔에 본드 접착을 하고, 보강 깔창(마찬가지로 올리기만 하면 되나 중창구멍부위로 깔창이 주저앉지 않도록 보강)으로 깔창을 들어내기만 하면 모듈을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다.
또한, 중창을 무리하게 구멍 낼 경우 신발축이 뒤틀릴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구멍을 내어 모듈이 사선으로 들어가 안착이 될 수 있게 아웃솔 구멍의 앞부분 절단면 반을 45도로 또 한번 경사를 주어 최소구멍에 탈부착이 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도 7에 빗금친 부분에 보강을 함으로써 자가발전부(230)의 자가발전부(230)의 압전소자는 원활히 자극되나 중창과 창 구멍으로 발이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스마트 슈즈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스마트 슈즈(200)를 착용하고 걷기 시작하면, 자가발전부(230)가 압전방식으로 자가발전을 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자가발전이 시작되면, 상기 배터리부(240)의 전원을 각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280)를 제어하고, 소정 주기로 상기 GPS부(250)에서 출력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270)를 통해 상기 서버(110)로 송신한다.
그러면, 충전부(220)가 자가발전부(230)에서 발전되는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부(240)를 충전하고, 배터리부(240)의 전원은 전원 공급부(280)에 의해 각 부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서버(110)에서 긴급상황에 대한 표시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SOS 표시부(260)에 긴급상황을 표시한다.
한편, 서버(110)는 보호자 단말기(300)에 지도 정보를 제공하고, 보호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이동 가능한 지역을 설정받아 해당 스마트슈즈(200)의 이동가능한 지역의 설정범위를 설정범위 DB에 저장한다.
그리고 정보 수신부(111)는 상기 스마트 슈즈(2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위치정보 DB(121)에 저장한다.
또한, 정보 송신부(112)는 상기 슈즈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 소정 주기로 송신한다.
그리고 위험 방지부(113)는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범위의 외곽 경계선에서 소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 1차 알람을 한다. 예를 들어 경계선에 10m 거리에 도달한 경우 등에 보호자 단말기(300)에 알람을 하여 경계를 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위치가 상기 설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위험 방지부(113)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에 설정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라고 경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슈즈(200)가 SOS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슈즈(200)의 위치가 위험지대에 진입한 경우에도 위험 방지부(113)는 상기 보호가 단말기에 설정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리고 경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슈즈(200)가 SOS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그러면, 스마트 슈즈(200)에 SOS 표시부(260)에 SOS 등의 표시가 표시되고, 주위 사람들이 이 표시를 보고 경찰서에 데려다 주거나 보호자와 통화를 하도록 하여 안전한 설정지역 내로 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110)의 거리 및 소요시간 제공부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보호자가 설정한 특정지점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슈즈(200)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10)의 거리 및 소요시간 제공부(115)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스마트 슈즈(200)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제공하고, 경로 제공부(116)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스마트 슈즈(200)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스마트 슈즈(200)를 착용한 착용자에게 빠른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스마트 슈즈의 본체부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스마트 슈즈는
사용자의 발이 들어가기 위한 신발 본체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본체부(200) 내부에는,
압전방식으로 자가발전을 하는 자가발전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0)는,
사람의 발이 닿는 부분인 제1 깔창부(207);
제1 깔창부(207) 아래에 위치하고, 발 뒤꿈치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소정 모양의 홈(203)이 형성된 제2 깔창부(202);
상기 제2 깔창부(202)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자가발전부(230)가 삽입되는 지지부(20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깔창부(207)는 뒷꿈치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직육면체의 고정부(205)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05)의 하단부터 경사지면서 위로 상승하는 구조로 누름부(206)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자가발전부(230)는 직육면체 형태이고, 상부에 눌림부(231)가 직사각형 형태로 비스듬히 형성되고, 사용자가 걸음을 걷게 되고, 발 뒷굼치에 의해 눌림부(231)가 눌리면 자가발전이 되는 구조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걸음을 걸으면, 상기 누름부(206)가 상기 눌림부(231)에 의해 눌리고, 자가발전부(230)가 발전을 한다. 누름부(206)와 눌림부(231)는 접촉 면적이 직사각형 형태로서 매우 넓어 자가발전이 매우 원활하다.
여기서 자가발전부(230)는 압전소자일 수 있다.
상기 제2 깔창부(202)에 형성된 홈(208)은 상기 제1 깔창부(207)의 고정부(205)와 누름부(206)가 삽입된다. 따라서, 제1 깔창부(207)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깔창부(207)와 제2깔창부(202) 및 지지부(204)는 본딩으로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견고한 고정이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본딩을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깔창의 교체가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일반 깔창에 비하여 고정되는 지지력이 우수하여 신고다닐때도 제1 깔창부(207)가 움직이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발열부를 지지부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슈즈는 도 8 내지 도 11과 유사하며,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깔창부(202)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부(290)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홈(293)이 형성된 지지부(204)를 포함하며,
상기 홈(293)의 열이 뒷굼치 부분으로 전달되도록 통로(292)가 형성되며, 이 통로(292)를 통해 상기 발열부(129))의 열이 뒷굼치에 형성된 홈(208)에 전달되어 신발바닥 전체가 따듯해진다.
그리고 상기 통로(292)에는 필요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기 위한 전선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발열부(290)를 구성하는 발열 면상체를 새끼 발가락 부분에만 설치하더라도 통로(292)를 통해 전체적으로 열이 전달되어 신발 전체가 따듯해진다. 특히 취약부인 새끼 발가락 부분이 가장 따듯해진다.
또한, 다수개의 라인홈(294)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신발 앞부분을 구부리기가 용이하여 부드러운 착용감을 줄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이하게 발열을 하고, 편리하게 온/오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모가 스마트폰으로 온/오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가발전을 하는 스마트 슈즈를 제공하여 배터리 전원이 항상 충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슈즈의 보호자가 원하는 시점에 슈즈 착용자의 위치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위험을 직감한 보호자가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슈즈의 위치가 미리 지정한 소정 구역을 벗어나기 전에 1차 알림을 보호자에게 미리 송신하고, 실제로 해당 구역을 벗어날 경우 경고를 하여 미리 보호자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슈즈의 위치로부터 집이나 특정 장소로부터의 거리나 소요시간 등을 알려주어 미리 보호자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슈즈 착용자가 위험한 경우라고 판단될 경우, SOS 신호를 표시하도록 하여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사용자의 발이 들어가기 위한 신발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본체부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각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발열을 하는 발열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발열부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발열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슈즈.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원 온/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열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슈즈.
  3. 제2항에 있어서,
    압전방식으로 자가발전을 하는 자가발전부;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발전되는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발전을 시작하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각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슈즈.
  4. 사용자의 발이 들어가기 위한 신발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본체부 내부에는,
    면상발열체 방식으로 발열을 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사람의 발이 닿는 부분인 제1 깔창부;
    제1 깔창부 아래에 위치하고, 발 뒤꿈치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소정 모양의 홈이 형성된 제2 깔창부;
    상기 제2 깔창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슈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서 뒷굼치 부분으로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의 열이 상기 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슈즈.
KR1020170096233A 2017-07-28 2017-07-28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 KR101952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33A KR101952618B1 (ko) 2017-07-28 2017-07-28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33A KR101952618B1 (ko) 2017-07-28 2017-07-28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751A true KR20190012751A (ko) 2019-02-11
KR101952618B1 KR101952618B1 (ko) 2019-02-27

Family

ID=6536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233A KR101952618B1 (ko) 2017-07-28 2017-07-28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6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644Y1 (ko) * 2006-01-06 2006-04-11 김재수 발열 신발 깔창
KR20100016874A (ko) * 2008-08-05 2010-02-16 에스엠티코리아주식회사 Gps 모듈이 설치된 신발
KR20130048669A (ko) * 2011-11-02 2013-05-10 실버레이 주식회사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발열체와 이를 적용한 신발깔창
KR20140060764A (ko) * 2012-11-12 2014-05-21 구애경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KR20150008676A (ko) * 2013-07-15 2015-01-23 주식회사 자이월드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발열 깔창 및 이를 탑재하는 신발
KR20150033131A (ko) * 2013-09-23 2015-04-01 김선일 면상 발열체가 내장된 신발 안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644Y1 (ko) * 2006-01-06 2006-04-11 김재수 발열 신발 깔창
KR20100016874A (ko) * 2008-08-05 2010-02-16 에스엠티코리아주식회사 Gps 모듈이 설치된 신발
KR20130048669A (ko) * 2011-11-02 2013-05-10 실버레이 주식회사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발열체와 이를 적용한 신발깔창
KR20140060764A (ko) * 2012-11-12 2014-05-21 구애경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KR20150008676A (ko) * 2013-07-15 2015-01-23 주식회사 자이월드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발열 깔창 및 이를 탑재하는 신발
KR20150033131A (ko) * 2013-09-23 2015-04-01 김선일 면상 발열체가 내장된 신발 안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618B1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 tracking device in a footwear insole
KR101869074B1 (ko) 압전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EP3410884B1 (fr) Article vestimentaire intelligent et communicant,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communication bidirectionnelle avec un tel article vestimentaire
US20100267361A1 (en)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US20120266493A1 (en) Footwear with Position Determination Unit
US20100285771A1 (en) System containing location-bas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 device
US10373480B2 (en) Helmet and method of use for emergency notification
KR101356557B1 (ko)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실종방지 시스템
WO2015189700A1 (en) System and device for management of medication delivery devices
JP6077037B2 (ja) 見守りシステム
KR101952618B1 (ko) 발열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
KR101871587B1 (ko) 스마트 슈즈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0926239B1 (ko)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 위치 추적장치
CN106846731A (zh) 盲人防撞系统
KR101737074B1 (ko)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치매노인 실종 방지 시스템
CN103890821A (zh) 有关个人安全装置的改良
KR20160001136A (ko) 위치 및 이동 방식을 추적할 수 있는 신발 및 이를 거치하고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KR101489839B1 (ko) 전자구속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과 방법
EP3123454B1 (en) Helmet and method of use for emergency notification
KR20200055941A (ko) 발열 슈즈의 스마트 제어 장치
KR101754718B1 (ko) 반려 동물을 위한 전자 장치
WO2023079446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avertissement pour défibrillateur
KR20160081526A (ko) 스마트 슈즈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230012329A (ko) 신발에 부착되는 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모니터링 시스템
JPWO2017085795A1 (ja) 対象者発見支援システム及び対象者情報発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