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422A -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422A
KR20190012422A KR1020170095345A KR20170095345A KR20190012422A KR 20190012422 A KR20190012422 A KR 20190012422A KR 1020170095345 A KR1020170095345 A KR 1020170095345A KR 20170095345 A KR20170095345 A KR 20170095345A KR 20190012422 A KR20190012422 A KR 20190012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ttern portion
pattern
base substrate
imag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3983B1 (ko
Inventor
김현준
박광호
조현동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9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서로 이격하는 제 1 패턴부 및 상기 제 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이 상기 제 1 패턴부 및 상기 제 2 패턴부 간격의 거리 중심과 교차되는 축을 제 1 가상축으로 정의하고, 상기 광은 상기 제 1 가상축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1 광;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2 광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의 광량과 상기 제 2 광의 광량은 서로 다르고, 상기 베이스 기재는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하부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고, 상기 제 1 광은 상기 하부 방향으로 출사되고, 상기 제 2 광은 상기 상부 방향으로 출사된다.

Description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LIGHT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실시예는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내부에는 주행 중 편의를 위해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에는 운행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서 출사되는 광이 액정 패널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화면부로 영상이 표시되고, 운전자는 디스플레이에서 표현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에서 표현되는 영상이 차량의 창문 또는 전면 유리 등의 매개체에 의해 차량의 창문 또는 전면 유리에 불필요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야간 운전 중, 차량의 창문 또는 전면 유리 등에서 표시되는 허상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에 방해가 될 수 있어, 안전 운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에서 구현되는 영상이 차량의 다른 매개체에 허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특정 방향의 광을 제어할 수 있고 향상된 시인성을 가지는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서로 이격하는 제 1 패턴부 및 상기 제 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이 상기 제 1 패턴부 및 상기 제 2 패턴부 간격의 거리 중심과 교차되는 축을 제 1 가상축으로 정의하고, 상기 광은 상기 제 1 가상축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1 광;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2 광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의 광량과 상기 제 2 광의 광량은 서로 다르고, 상기 베이스 기재는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하부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고, 상기 제 1 광은 상기 하부 방향으로 출사되고, 상기 제 2 광은 상기 상부 방향으로 출사된다.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시야 각도를 기준으로 상부로 향하는 광 및 하부로 향하는 광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야 각도를 기준으로 상부로 향하는 광의 양을 제어하도록 패턴부의 각도, 폭, 높이 및 패턴부들의 간격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사되는 광의 상방으로 출사되어 차량의 전면 유리 등에 허상이 표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야간에 차량 운전시 운전자가 차량의 전면 유리에 표시되는 허상의 의한 시야 방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입사되는 광을 상기 패턴부를 통해 제어하여 주간에 차량 운전시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4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적용예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차량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정보, 차량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뿐만이 아니라 차량의 전면유리(FG) 등을 매개체로 하여 불필요한 노이즈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 영상은 차량 운전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차량으로 입사되는 광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바텀 커버(1100), 상기 바텀 커버(1100) 내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1200) 및 액정 패널(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1100)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바텀 커버(1100)는 하부가 막혀있고,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110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0) 및 액정 패널(1300)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0)은 상기 액정 패널(1300)에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0)은 면 광원으로 상기 액정 패널(1300)의 하면에 균일하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0)은 상기 액정 패널(13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0)은 광원(100), 도광판(200), 반사 부재(300), 광학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바텀 커버(1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반사 부재(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광원(10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전반사, 굴절 및 산란을 통하여 상방으로 출사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300)는 상기 도광판(2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반사 부재(300)는 상기 도광판(200) 및 상기 바텀 커버(1100)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300)는 상기 도광판(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100)은 상기 도광판(20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0)은 광을 발생시켜서, 상기 도광판(200)의 측면을 통하여, 상기 도광판(200)에 입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광원(100)에서 출사되는 광은 상기 도광판(200)의 측면을 통하여 상기 액정 패널(1300)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0)은 광을 출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100)은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광원(100)은 인쇄회로기판(150)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50)과 상기 광원(1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광원(1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500)을 통하여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0)들은 서로 이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5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은 일정하거나 또는 랜덤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50) 상에 실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200) 상에는 광학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400)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 및 광을 집광시키는 프리즘 시트 등의 집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는 광원이 도광판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도광판이 생략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 부재의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 부재에는 상기 광원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광원을 노출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는 백라이트 유닛 이외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패널(130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액정 패널(130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0)의 상기 광학 부재(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1300)은 패널 가이드(1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1300)은 상기 패널 가이드(1310)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1300)은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정패널(130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이다. 상기 액정패널(1300)은 TFT기판(1320), 컬러필터기판(1330), 두 기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300)은 편광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TFT기판(1320) 및 컬러필터기판(1330)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TFT기판(132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여 화소를 정의하고, 각각의 교차영역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 : thin flim transistor)가 구비되어 각각의 픽셀에 실장된 화소전극과 일대일 대응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기판(1330)은 각 픽셀에 대응되는 R, G, B 컬러의 컬러필터, 이들 각각을 테두리 하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가리는 블랙 매트릭스와, 이들 모두를 덮는 공통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패널(1300)의 가장자리에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PCB(1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PCB(1340)는 COF(Chip on film, 1350)에 의해 액정패널(1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OF(1350)는 TCP(Tape Carrier Package)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1300) 상에는 커버 기재(1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재(140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재(1400)는 소다라임유리(soda lime glass)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 등의 화학 강화/반강화유리를 포함하거나,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PPG) 폴리 카보네이트(PC) 등의 강화 혹은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또는 사파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기재(1400)는 광등방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기재(1400)는 COC(Cyclic Olefin Copolymer), COP(Cyclic Olefin Polymer), 광등방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광등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기재(1400)는 부분적으로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기재(1400)는 부분적으로는 평면을 가지고, 부분적으로는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재(1400)의 끝단이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지거나 랜덤한 곡률을 포함한 표면을 가지며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기재(1400)는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플렉서블(flexible) 기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기재(1400)는 커브드(curved) 또는 벤디드(bended) 기재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장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재(1400) 상에는 광 제어 부재(1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 제어 부재(1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광 제어 부재(1500)는 광 경로 제어 부재일 수 있다.
상기 광 제어 부재(150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착되거나, 또는 차량 및 건축물의 창문에도 접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제어 부재(1500)는 광 경로를 제어 하기 위한 용도의 다양한 위치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광 제어 부재(1500)는 베이스 기재(1510) 및 상기 베이스 기재(1510) 상에 배치되는 패턴부(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510)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510)는 플렉서블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510)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재(1510)는 PET(Poly-ester), PMMA(Poly Methyl Meta acryl), PA(Poly Carbonate) 등의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패턴부(1520)는 상기 베이스 기재(15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는 상기 베이스 기재(1510)와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는 상기 베이스 기재(1510)와 동일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는 상기 베이스 기재(1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는 복수 개의 패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베이스 기재(1510) 상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패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는 일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부(1520)는 상기 베이스 기재(1510)가 연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패턴부(1520)는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 기재(1510)가 연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부(1520)는 상기 베이스 기재(15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는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입사되는 입사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입사광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반사되어 사용자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부(1520)는 외부에서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패턴부에 의해 외부에서 입사되는 입사광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입사광이 사용자에게 바로 전달되어 발생하는 눈부심 등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는 상기 베이스 기재(1510)에 대해 경사를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패턴부(1520)는 상기 베이스 기재(1510)의 상면(1510a)에 대해 예각의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1510a)으로 입사되어,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1510b)을 통해 영상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1510b)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현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부광이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1501a)으로 입사되어,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1510b)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1510b)을 통해 외부 광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부는 운전석에 앉은 사용자의 정면 시야각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정의되고, 하부는 사용자의 정면 시야각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의 폭(W)은 3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패턴부(1520)의 폭(W)은 5㎛ 내지 3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패턴부(1520)의 폭(W)은 1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의 폭(W)이 약 3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패턴부(15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광투과율이 저하되어 사용자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부광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부(1520)의 높이(h)와 폭(W)의 비(h/W)는 약 2 내지 7일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의 높이(h)와 폭(W)의 비(h/W)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광 투과율 및 시인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패턴부(1520)의 설계 공정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패턴부(1521) 및 제 2 패턴부(152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패턴부(1520)는 복수 개의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부(1522)는 복수 개의 패턴부들 중 상기 제 1 패턴부(1521)와 가장 인접한 패턴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1521)는 4개의 끝단이 정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1521)는 상부 끝단 및 하부 끝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1521)는 상부의 제 1 끝단(E1a) 및 제 2 끝단(E2a)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의 제 3 끝단(E3a) 및 제 4 끝단(E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부(1522)는 4개의 끝단이 정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패턴부(1522)는 상부 끝단 및 하부 끝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패턴부(1522)는 상부의 제 1' 끝단(E1b) 및 제 2' 끝단(E2b)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의 제 3' 끝단(E3b) 및 제 4' 끝단(E4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에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상선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가상선들 중 상기 제 1 패턴부(1521)와 상기 제 2 패턴부(1522) 간격의 거리 중심(C)과 교차되는 축을 제 1 가상축(VA1)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가상선들 중 상기 제 1 패턴부(1521)의 상부 끝단들 중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하부 방향에 가까운 제 2 끝단(E2a)과 교차되는 제 2 가상축(VA2)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가상선들 중 상기 제 2 패턴부(1522)의 상부 끝단들 중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 방향에 가까운 제 1' 끝단(E1b)과 교차되는 제 3 가상축(VA3)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1521) 및 상기 제 2 패턴부(1522)는 상기 베이스 기재(1510)의 일 평면 및 상기 베이스 기재(1510)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가상축들에 대해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부(1521) 및 상기 제 2 패턴부(1522)는 상기 베이스 기재(1510)의 타면(1510b)과 제 1 경사각도(θ1)를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부(1521)의 제 4 끝단(E4a)과 상기 제 2 패턴부(1522)의 제 1' 끝단(E1b)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선(CL1)과 상기 베이스 기재(1510)의 타면(1510b)은 제 2 경사각도(θ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부(1521)의 제 2 끝단(E2a)과 상기 제 2 패턴부(1522)의 제 3' 끝단(E3b)을 연결하는 제 2 연결선(CL2)과 상기 제 2 가상축(VA2)은 제 3 경사각도(θ3)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부(1521)의 제 4 끝단(E4a)과 상기 제 2 패턴부(1522)의 제 1' 끝단(E1b)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선(CL1)과 상기 제 3 가상축(VA3)은 제 4 경사각도(θ4)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끝단(E2a, E2b)와 상기 제 4 끝단(E4a, E4b)를 연결하는 상기 제 1 패턴부(1521)의 측면 및 상기 제 2 패턴부(1522)의 측면면과 상기 제 2 가상축(VA2)은 제 5 경사각도(θ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각도(θ2), 상기 제 3 경사각도(θ3) 및 상기 제 5 경사각도(θ5)는 하기의 수식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tanθ5 = 1/(2tanθ2)-tanθ3/2
상기 수식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광 제어 부재의 광의 경로를 제어하여, 허상 및 정면 시야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경사각도(θ3)와 상기 제 4 경사각도(θ4)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4 경사각도(θ4)의 크기는 상기 제 3 경사각도(θ3)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3 경사각도(θ3)와 상기 제 4 경사각도(θ4)는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특정 방향의 광량과 관계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가상선들 중 상기 제 1 패턴부(1521)과 상기 제 2 패턴부(1522) 간격의 거리 중심과 교차되는 상기 제 1 가상축(VA1)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방향 즉, 하부측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1 광(L1) 및 제 2 방향 즉, 상부측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2 광(L2)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3 경사각도(θ3)는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측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량과 관계될 수 있고, 상기 제 4 경사각도(θ4)는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하부측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량과 관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4 경사각도(θ4)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하부측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1 광(L1)의 광량이 증가될 수 있고, 작아질수록 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경사각도(θ3)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측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2 광(L2)의 광량이 증가될 수 있고, 작아질수록 광량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경사각도(θ3) 및 상기 제 4 경사각도(θ4)의 크기가 다름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1 광(L1) 및 제 2 광(L2)의 광량은 서로 비대칭으로 출사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상기 제 3 경사각도(θ3) 및 상기 제 4 경사각도(θ4)의 크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출사되는 상기 제 2 광(L2)의 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출사되는 상기 제 2 광(L2)은 패턴부들에 의해 전반사되어 사용자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지 않는 광이 증가됨으로써, 전체적인 출사 광량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 3 경사각도(θ3)는 30°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경사각도(θ3)는 0° 내지 3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경사각도(θ3)는 10°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제 3 경사각도(θ3)가 10°미만인 경우,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측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량이 감소되면서, 운전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정면 방향의 광량도 함께 감소되므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해 사용자 시인성이 함께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경사각도(θ3)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측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전면 유리 등의 매개체에 허구의 영상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운전 중 허상으로 인해 시야가 방해될 수 있다.
상기 제 3 경사각도(θ3)와 상기 제 4 경사각도(θ4)의 크기는 상기 패턴부(1520)의 폭(W), 상기 패턴부(1520)의 높이(h), 상기 제 1 패턴부(1521) 및 상기 제 2 패턴부(1522) 사이의 간격(P) 및 상기 제 5 경사각도(θ5)의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520)의 폭(W), 상기 패턴부(1520)의 높이(h), 상기 제 1 패턴부(1521) 및 상기 제 2 패턴부(1522) 사이의 간격(P) 및 상기 제 5 경사각도(θ5)의 크기는 패턴부(1520)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효율 및 상기 제 3 경사각도(θ3)와 상기 제 4 경사각도(θ4)의 크기를 고려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패턴부(1520)의 경사각도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패턴부들의 상기 제 3 경사각도(θ3)의 크기는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점점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부들의 상기 제 5 경사각도(θ5)의 크기는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점점 작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경사각도(θ3)는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3a 경사각도(θ3a), 제 3b 경사각도(θ3b), 제 3c 경사각도(θ3c), 제 3d 경사각도(θ3d)의 크기로 순차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제어 부재(1500)는 상기 상부에서 상기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의 양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면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정면 방향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눈의 위치에 따라 제 3 경사각도(θ3) 및 제 4 경사각도(θ4)는 다양한 경사 각도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이 광 제어 부재(1500)의 중앙부에 있을 경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 및 하부에 있을 경우 각각의 패턴부들의 상기 제 3 경사각도(θ3)는 변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야 위치에 따라 상기 제 3 경사각도(θ3)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외부광이나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영상의 광의 양을 제어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패턴부(1520)의 높이(h)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패턴부들의 높이(h)는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점점 작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패턴부들의 높이(h)는 상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1 높이(h1)에서 제 2 높이(h2) 의 크기로 순차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제어 부재(1500)는 상기 상부에서 상기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의 양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면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정면 방향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눈의 위치에 따라 패턴부들의높이(h)는 다양한 높이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이 광 제어 부재(1500)의 중앙부에 있을 경우, 광 제어 부재(1500)의 상부 및 하부에 있을 경우 각각의 패턴부들의 높이는 변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야 위치에 따라 상기 높이(h)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외부광이나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영상의 광의 양을 제어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시야각도를 기준으로 상부로 향햐는 광 및 하부로 향하는 광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야 각도를 기준으로 상부로 향하는 광의 양을 제어하도록 패턴부의 각도, 폭, 높이 및 패턴부들의 간격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사되는 광의 상방으로 출사되어 차량의 전면 유리 등에 허상이 표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야간에 차량 운전시 운전자가 차량의 전면 유리에 표시되는 허상의 의한 시야 방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입사되는 광을 상기 패턴부를 통해 제어하여 주간에 차량 운전시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서로 이격하는 제 1 패턴부 및 상기 제 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이 상기 제 1 패턴부 및 상기 제 2 패턴부 간격의 거리 중심과 교차되는 축을 제 1 가상축으로 정의하고,
    상기 광은 상기 제 1 가상축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1 광;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2 광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의 광량과 상기 제 2 광의 광량은 서로 다르고,
    상기 베이스 기재는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하부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고,
    상기 제 1 광은 상기 하부 방향으로 출사되고,
    상기 제 2 광은 상기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 제어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부는 상부의 제 1 끝단 및 제 2 끝단, 하부의 제 3 끝단 및 제 4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턴부는 상부의 제 1' 끝단 및 제 2' 끝단, 하부의 제 3' 끝단 및 제 4'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이 상기 제 2 끝단과 교차되는 제 2 가상축이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이 상기 제 1' 끝단과 교차되는 제 3 가상축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패턴부 및 상기 제 2 패턴부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제 1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배치되고,
    상기 제 4 끝단과 상기 제 1' 끝단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선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은 제 2 경사각도를 가지고,상기 제 2 끝단과 상기 제 3' 끝단을 연결하는 제 2 연결선과 상기 제 1 가상축은 제 3 경사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 2 끝단과 상기 제 4 끝단을 연결하는 상기 제 1 패턴부의 측면과 상기 제 1 가상출은 제 5 경사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 2 경사각도, 상기 제 3 경사각도 및 상기 제 5 경사각도는 하기의 수식을 만족하는 광 제어 부재.
    [수식]
    tanθ5 = 1/(2tanθ2)-tanθ3/2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부는 상부의 제 1 끝단 및 제 2 끝단, 하부의 제 3 끝단 및 제 4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턴부는 상부의 제 1' 끝단 및 제 2' 끝단, 하부의 제 3' 끝단 및 제 4'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이 상기 제 2 끝단과 교차되는 제 2 가상축이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이 상기 제 1' 끝단과 교차되는 제 3 가상축이 정의되고,
    상기 제 4 끝단과 상기 제 1' 끝단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선을 가지고,
    상기 제 2 끝단과 상기 제 3' 끝단을 연결하는 제 2 연결선과 상기 제 1 가상축은 제 3 경사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 1 연결선과 상기 제 2 가상축은 제 4 경사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 3 경사각도의 크기와 상기 제 4 경사각도의 크기는 다른 광 제어 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경사각도의 크기는 상기 제 4 경사각도의 크기보다 작은 광 제어 부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경사각도의 크기는 10° 내지 30°인 광 제어 부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의 폭은 30㎛ 이하인 광 제어 부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의 높이와 상기 패턴부의 폭의 비(높이/폭)은 2 내지 7인 광 제어 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패턴부들의 높이는 상기 상부 방향에서 상기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작아지는 광 제어 부재.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경사각도의 크기는 상기 상부 방향에서 상기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커지는 광 제어 부재.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경사각도의 크기는 상기 상부 방향에서 상기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작아지는 광 제어 부재.
  11.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에 배치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 상에 배치되는 커버 기재; 및
    상기 커버 기재상에 배치되는 광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제어 부재는,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서로 이격하는 제 1 패턴부 및 상기 제 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이 상기 제 1 패턴부 및 상기 제 2 패턴부 간격의 거리 중심과 교차되는 축을 제 1 가상축으로 정의하고,
    상기 광은 상기 제 1 가상축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1 광;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 2 광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의 광량과 상기 제 2 광의 광량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095345A 2017-07-27 2017-07-27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345A KR102313983B1 (ko) 2017-07-27 2017-07-27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345A KR102313983B1 (ko) 2017-07-27 2017-07-27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422A true KR20190012422A (ko) 2019-02-11
KR102313983B1 KR102313983B1 (ko) 2021-10-18

Family

ID=6537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345A KR102313983B1 (ko) 2017-07-27 2017-07-27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9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7306A (ja) * 1994-10-11 1998-07-14 アライドシグ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面微小プリズム列を採用した照射装置
KR20120010328A (ko) * 2010-07-26 2012-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시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
KR20130001911A (ko) * 2011-06-28 2013-01-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정 패널,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1666A (ko) * 2012-11-14 2014-05-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KR20170021421A (ko) * 2015-08-17 2017-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7306A (ja) * 1994-10-11 1998-07-14 アライドシグ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面微小プリズム列を採用した照射装置
KR20120010328A (ko) * 2010-07-26 2012-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시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
KR20130001911A (ko) * 2011-06-28 2013-01-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정 패널,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1666A (ko) * 2012-11-14 2014-05-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KR20170021421A (ko) * 2015-08-17 2017-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983B1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93577B (zh) 视频墙显示装置
US8582282B2 (en) Display apparatus
CN105824149B (zh) 曲面显示装置
US106133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70235114A1 (en) Floating image display device
KR20190054484A (ko)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668867B2 (en) Display device
KR20140047903A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050136A (ko)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988917B2 (en) Display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WO2021065189A1 (ja) 表示装置
KR102485634B1 (ko) 액정표시장치
CN109917567B (zh) 视角控制膜和包括该视角控制膜的液晶显示装置
US11181774B2 (en)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355821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313983B1 (ko)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294465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34429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 부재
KR102355828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355832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20210018660A (ko) 표시 장치
CN115728991B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9116376B2 (en) Display device
KR101567065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JP2023125175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