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096A -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096A
KR20190012096A KR1020180056942A KR20180056942A KR20190012096A KR 20190012096 A KR20190012096 A KR 20190012096A KR 1020180056942 A KR1020180056942 A KR 1020180056942A KR 20180056942 A KR20180056942 A KR 20180056942A KR 20190012096 A KR20190012096 A KR 20190012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 mode
information
measurement
rrc
mod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004B1 (ko
Inventor
홍성표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CN201810789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309969B/zh
Priority to US16/040,924 priority patent/US10531326B2/en
Publication of KR2019001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 또는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캐리어 병합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셀 측정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는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저장 또는 적용하는 단계 및 RRC IDLE 모드에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controlling measurement process in RRC IDLE mode and Apparatuses thereof}
본 개시는 LTE 또는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캐리어 병합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셀 측정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 데이터 처리 요구, 고속의 데이터 처리 요구에 따라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일 예로,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5G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처리하기 위해서 단말과 기지국은 복수의 캐리어를 병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캐리어 병합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캐리어 병합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단말이 대상 캐리어의 품질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기지국 보고, 기지국의 캐리어 선택 및 캐리어 병합 결정 동작 등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다.
특히, 사용자의 통신 서비스에 대한 처리 속도 요구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복잡한 캐리어 병합 절차는 캐리어 병합을 통한 서비스 제공 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단말이 보다 빠르게 캐리어 병합을 완료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에서 본 개시는 단말이 RRC 연결 상태가 아닌 RRC IDLE 모드에서도 캐리어 병합을 위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절차를 변경하여 보다 빠르게 캐리어 병합을 위한 절차가 진행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일 실시예는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저장 또는 적용하는 단계 및 RRC IDLE 모드에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기지국이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을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RRC IDLE 모드에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저장 또는 적용하는 제어부 및 RRC IDLE 모드에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을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RRC IDLE 모드에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의 캐리어(셀) 측정 동작의 구체적인 절차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결과 보고를 RRC 연결 상태로의 전환 시에 빠르게 기지국으로 전달하여 캐리어 병합을 위한 전체적인 소요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종료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및 보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Access),TDMA(Time Division MultipleAccess),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Access),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Access),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transmission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3GPP에서 최근 논의 중인 NR(New Radio)에서 대표적인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가 제기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럭,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의 LTE와 NR은 서로 다른 무선접속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3GPP의 Release-15에서 논의 중인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을 NR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NR은 LTE와 다른 프레임 스트럭쳐, 채널, 코어망 기술 등 다양한 차이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대역에서의 무선전송,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 무선접속 기술을 LTE로 기재하여 설명하고, 3GPP에서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을 NR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또한, 기지국은 LTE 기술을 사용하는 eNB가 될 수 있고, NR 기술을 사용하는 gNB가 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셀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경로, 무선링크, 캐리어 등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하나의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두 개의 기지국이 각각 제어하는 셀을 통해서 단말이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제어하는 경우에 캐리어 병합으로 기재하고, 둘 이상의 기지국이 제어하는 복수의 셀을 이용하는 경우에 듀얼 커넥티비티로 기재하여 설명할 수 있다.
캐리어 병합(CA) 기술은 추가 셀을 통해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율을 부스팅하기 위한 기술이다. 종래 CA 기술에서는 단말에 RRC 연결을 구성하고, 핸드오버의 기준이 되는 셀을 프라이머리 셀(PCell)로 설정하고, 단말에 추가적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셀을 세컨더리 셀(SCell)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종래 CA 기술에서는 세컨더리 셀을 단말에 구성함에 있어서, 구성 절차와 구성된 세컨더리 셀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동작에 있어서 시간적 지연이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RRC 연결 상태(RRC 연결 모드) 단말에 대해 CA를 구성하기 전에 단말에 세컨더리 셀로 구성할 가능성이 있는 후보 셀의 주파수에 대한 측정 구성정보를 제공한다. 단말은 측정 구성정보에 따른 리포팅 구성을 이용하여 후보 셀의 주파수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대해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수신한 측정 리포트에 기반해 단말에 세컨더리 셀을 추가 구성한다. 이후 기지국은 해당 세컨더리 셀에 대한 또 다른 측정 리포팅, 송수신 데이터량 등을 고려해 세컨더리 셀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 상태로 지시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었다.
따라서, RRC 아이들(IDLE) 모드 단말이 CA를 구성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하여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고 구성된 캐리어 병합을 통해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까지 상당한 시간 지연이 존재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측정구성이나 측정 리포팅없이 기지국이 SCell을 구성하는 블라인드 SCell 구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버리지 또는 위치를 가지는 셀들에 대해서만 적용이 가능해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전술한 시간 지연 문제를 방지하면서 단말과 기지국이 빠르게 CA를 구성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RRC IDLE 상태의 단말이 측정 구성을 적용하고,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리포팅하는 구체적인 절차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단말이 RRC 아이들 모드(상태)로부터 RRC 연결 상태로 천이된 후에 빠른 SCell 구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SCell 셋업의 지연을 감소시키는 기술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LTE 기술에 적용될 수 있는 절차를 기준으로 본 기술 사상에 대해서 설명을 진행한다. 다만,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LTE 기술을 포함하여 차세대 무선접속 기술(New RAT, NR)을 포함하는 다양한 캐리어 병합 기술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기술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RRC IDLE 상태일 때 셀 측정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보고하는 절차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접속 기술에 제한은 없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각 메시지 및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해당 메시지 및 신호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메시지 또는 신호에는 3GPP TS 36.331에서 명시된 정보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불필요한 정보요소 또는 3GPP TS 36.331에 설명이 기재된 정보요소 등은 이해를 돕기위해서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RRC 아이들 상태의 단말이 RRC 연결 상태로 천이된 후에 빠르게 SCell을 셋업하여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는 기술을 IDLE 모드 측정, 저지연 SCell 측정, 저지연 측정, 저지연 SCell 셋업, 저지연 리포팅 등으로 기재하여 설명하며, SCell 셋업 감소 기능, 아이들 SCell/이웃셀 측정 기능, 연결셋업리포팅 기능, 이른 셋업/리포팅 기능 등 다양한 용어가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단말이 RRC IDLE 상태에서 셀 또는 캐리어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전송하는 기술에 대한 명칭에 제한은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의 셀 측정, 캐리어 측정, 주파수 측정, 채널 측정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SCell로 추가할 대상이 되는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채널 상태 측정은 다양한 채널 측정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SRP, RSRQ를 이용한 측정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그 외에도 공개된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측정 알고리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단말은 RRC IDLE 상태에서 전술한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측정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단말의 RRC 연결 상태에서 수신되거나, RRC 해제 동작 과정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일 예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 정보, 측정 지속시간 정보, 대상 셀 리스트 정보 및 측정 기준값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단말의 셀 재선택 동작에 따라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의 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유효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시스템 정보 블록 5 신호를 통해서 전술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RRC 연결 모드에서 RRC IDLE 모드로 상태 천이 과정에서 수신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서로 다른 신호를 통해서 수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시스템 정보 블록 5 신호를 통해서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 정보, 대상 셀 리스트 정보, 측정 기준값 정보 및 유효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측정 지속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복수의 신호를 통해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분리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유효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대상 셀 리스트 정보는 하나 이상의 물리셀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시간 정보는 타이머에 적용되어 단말에 구성되며, 단말은 해당 타이머의 동작 또는 만료에 따라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의 실행 여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의 저장/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저장 또는 적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단말은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저장하거나 이를 적용하여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은 단말이 RRC 연결 상태에서 RRC IDLE 상태로 상태 천이가 완료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지속시간 정보에 따라 유효시간이 설정된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서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유효시간이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되면 수신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해당 타이머가 적용되는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삭제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에 따라 획득되는 각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측정 결과 값을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측정 결과 값은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30).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에 따라 단말은 측정 대상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채널 상태(또는 채널 품질)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대한 정보를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에 포함하여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면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가 완료되면 IDLE 측정 결과정보를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서, 단말은 RRC 연결 상태에서 수신된 IDLE 측정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RRC IDLE 상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고,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면 바로 기지국으로 측정 결과를 알릴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RRC 연결 상태로 천이됨과 동시에 측정 결과를 확인하고, 캐리어 병합 동작을 진행할 수 있어서 단말의 캐리어 병합 구성 과정에서의 지연을 해소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단말이 측정 결과를 저장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세부 절차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 측정된 셀 별 측정 결과 값과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기준값 정보를 비교하여, 측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셀에 대한 측정 결과 값을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 캐리어 또는 셀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기준값과 측정된 각 셀 또는 캐리어의 측정 결과 값을 비교하여 측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측정 결과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측정 결과 값은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에 셀 별 또는 캐리어 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는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없으므로, 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
단말은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에 대한 기지국 처리가 가능함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2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블록 2에 해당 기지국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처리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술한 지시정보가 포함되는 시스템 정보 블록 2(SIB 2)가 수신되면, 해당 지시정보를 확인하여 기지국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인지한다.
단말은 단말의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 존재 지시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단말은 임의의 이유(예를 들어, 연결 상태 천이 이벤트 트리거)로 RRC IDLE 모드에서 RRC 연결 모드로 상태 천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 셋업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단말은 RRC 연결 셋업 절차에서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가 단말에 저장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존재 지시정보를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존재 지시정보를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존재 지시정보를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RRC 연결 모드로 상태 천이를 진행하고, 상태 천이가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메시지에 존재 지시정보를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서, 기지국은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저장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40).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단말 정보 요청 절차에 따라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존재 지시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에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가 포함되었음을 확인하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단말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말은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50). 예를 들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요청하는 단말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S210 단계에서 저장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단말은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를 완료한 후에 기지국으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RRC 연결 상태로 단말이 상태 천이를 수행한 후에 CA를 위한 측정 구성정보 수신, 셀 측정, 측정 결과 보고 리포팅 과정이 단말의 RRC 연결 상태로의 천이 후 바로 측정 결과를 리포팅하는 과정으로 변경되어 지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단말의 동작을 단말과 기지국 관점에서 신호의 흐름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종료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302)은 단말(301)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단말(301)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 정보, 대상 셀 리스트 정보, 유효영역 정보 및 측정 기준값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302)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 5에 포함하여 단말(301)로 전송한다.
단말(301)은 수신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320). 기지국(302)은 S310 단계의 메시지와는 별도의 메시지를 통해서 측정 지속시간 정보를 단말(301)로 전송한다(S330). 예를 들어, 기지국(302)은 단말(301)이 RRC 연결 상태에서 RRC IDLE 상태로 상태 천이를 진행하면,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유효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지속시간 정보를 단말(301)로 전송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S320 단계는 S330 단계와 동시에 진행되거나, 이후에 진행될 수도 있다.
단말(301)은 유효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유효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예를 들어, T331)를 동작시킬 수 있다(S340). 단말(301)은 타이머가 동작 중인 동안에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RRC IDLE 모드에서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한다(S350).
만약, 단말(301)이 RRC 연결 모드로 상태 천이를 진행하기 전에 타이머가 유효시간 경과에 따라 만료되면(S360), 단말(301)은 수신되어 저장되었던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해제한다(S370). 이를 위해서, 단말(301)은 해당 타이머가 만료되면,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도 중지한다. S350 단계 수행 중에 측정된 측정 결과 값은 S370 단계에서 함께 삭제될 수도 있고, 단말(301)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한 동작을 통해서 RRC IDLE 모드에서 단말(301)이 지속적으로 셀 측정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단말(301)의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및 보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310 내지 S350 동작은 도 3에서 설명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S350 단계의 동작에 따라 측정된 결과 값에 대해서, 단말(301)은 측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셀별 또는 캐리어 별 측정 결과 값을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로 저장한다(S410). 이후 단말(301)은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를 수행하면서,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를 기지국(302)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302)은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처리가 가능함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2를 브로드캐스팅한다(S420). 단말(301)은 S420 단계의 지시정보를 확인하고, RRC 연결 상태로의 상태 천이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301)은 RRC 연결 상태로의 상태 천이 과정에서 상태 천이가 완료되면,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단말(301)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저장하고 있음을 지시하는 존재 지시정보를 포함하여 기지국(302)으로 전송한다(S430).
기지국(302)은 존재 지시정보를 확인하고,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단말(301)로 전송하여,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440). 단말(301)은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302)으로 전송한다(S450).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단말(301)은 RRC IDLE 모드에서 RRC 연결 모드로 상태 천이를 수행한 후 빠른 시간에 셀 별 또는 캐리어 별 측정 결과를 기지국(302)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302)은 빠른 시간에 단말(301)에 캐리어 병합을 구성할지를 결정하고, 캐리어 병합 구성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실시예에 대해서 기지국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을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510). 일 예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 정보, 측정 지속시간 정보, 대상 셀 리스트 정보 및 측정 기준값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단말의 셀 재선택 동작에 따라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의 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유효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510). 기지국은 RRC IDLE 상태에서 전술한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측정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단말의 RRC 연결 상태에서 전송되거나, RRC 해제 동작 과정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블록 5 신호를 통해서 전술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RRC 연결 모드에서 RRC IDLE 모드로 상태 천이 과정에서 수신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서로 다른 신호를 통해서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블록 5 신호를 통해서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 정보, 대상 셀 리스트 정보, 측정 기준값 정보 및 유효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송하고,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측정 지속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복수의 신호를 통해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분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유효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대상 셀 리스트 정보는 하나 이상의 물리셀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시간 정보는 타이머에 적용되어 단말에 구성되며, 단말은 해당 타이머의 동작 또는 만료에 따라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의 실행 여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의 저장/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결과 값을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IDLE 모드에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510). 기지국은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에 따라 단말이 측정한 측정 결과에 대한 정보를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에 포함하여 단말이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를 진행한 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가 완료되면, IDLE 측정 결과정보를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에 대한 기지국 처리가 가능함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2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610).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블록 2에 해당 기지국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처리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술한 지시정보가 포함되는 시스템 정보 블록 2(SIB 2)가 수신되면, 해당 지시정보를 확인하여 기지국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인지한다.
기지국은 단말의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 존재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620). 예를 들어, 단말은 임의의 이유(예를 들어, 연결 상태 천이 이벤트 트리거)로 RRC IDLE 모드에서 RRC 연결 모드로 상태 천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의 RRC 연결 상태로의 상태 천이 과정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RRC 연결 셋업 절차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기지국은 RRC 연결 셋업 절차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에서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가 단말에 저장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존재 지시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존재 지시정보를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지국은 존재 지시정보를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RRC 연결 모드로 상태 천이를 진행하고, 기지국은 상태 천이가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메시지에 존재 지시정보를 포함하여 수신한다. 이를 통해서, 기지국은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저장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기지국은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요청하는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630). 예를 들어, 기지국은 존재 지시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에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가 포함되었음을 확인하고,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단말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기지국은 단말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기지국은 RRC IDLE 모드에서 측정된 셀 별 측정 결과 값과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기준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셀에 대한 측정 결과 값을 저장한 상기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640). 예를 들어, 기지국은 S630 단계에서 전송한 단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기지국은 단말이 RRC IDLE 상태에서 측정한 측정 결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단말이 RRC IDLE 상태에서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품질 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RRC 연결 과정에서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구체적인 절차에 대해서 제시한다. 이를 통해서, 기지국은 단말에 캐리어를 추가하기 위한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타이머를 통해서 RRC IDLE 측정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단말은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빠른 캐리어 추가 동작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각 절차 별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 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RRC IDLE 상태 단말의 SCell 측정을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 지시에 대한 실시예
RRC IDLE 상태에서 단말이 SCell 셋업 시간 감소를 위해서 SCell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구성정보를 지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은 특정 셀에 캠프 온한 RRC IDLE 상태 단말이 RRC 연결 상태로 천이 후, SCell 셋업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해당 셀을 통해 추가 셀로 구성할 수 있는 셀 리스트 정보(이웃셀/후보셀/후보이웃셀/후보셀주파수/후보주파수) 및 관련 정보를 시스템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블록 3(SystemInformationBlockType3)을 통해 인트라 주파수 셀리셀렉션 정보뿐만 아니라 인트라 주파수, 인터 주파수 또는 inter-RAT 셀 선택을 위한 셀리셀렉션 공통 정보에 SCell 셋업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셀로 구성할 수 있는 후보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블록 5(SystemInformationBlockType5)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 주파수 셀리셀렉션 정보, 즉 셀 리셀렉션을 위한 다른 E-UTRAN 주파수 그리고 인터 주파수 이웃 셀 정보에 SCell 셋업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셀로 구성할 수 있는 후보 셀 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전술한 시스템 정보 블록 5(SystemInformationBlockType5)와 구분되는 다른 시스템 정보를 통해 SCell 셋업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셀로 구성할 수 있는 후보 셀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전술한 시스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서, SCell 셋업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세컨더리 후보 셀 주파수, 세컨더리 후보 셀 별 서브 셀 인덱스 정보/셀 식별정보(Cell ID)/물리셀식별정보/ 서브 주파수 ID/셀지시필드(정수값으로 구성)/carrier indicator field/cgi-info(cellGlobalId, trackingAreaCode, plmn-Identitylist, 주파수밴드지시정보, 랜기반 페이징 영역/코드 정보) 정보, LAA 셀 구분정보, 디스커버리 시그널 측정 타이밍 구성(measDS-Config: dmtc-PeriodOffset, ds-OccasionDuration, MeasCSI-RS-Id, MeasCSI-RS-Config), 측정대역 정보, 측정 주기 정보, 측정항목/대상/레퍼런스심볼/구분정보(RSRP/RSRQ/RSSI/CRS/CSI-RS/NR SS/빔ID/디스커버리 시그널), 측정 값 평가를 위한 조건, LAA 밴드대역/LAA 채널 번호 및 채널번호에 대한 지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RRC 연결 상태 단말을 RRC IDLE 상태 천이시키기 위한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전술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보 중 일부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RRC IDLE 모드 단말이 SCell 셋업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SCellConfiguration(subframeStartPosition, laa-SCellSubframeConfig), 저지연 측정을 위한 유효시간 정보 및 저지연 리포팅의 유효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단말로 지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RRC IDLE 모드 단말의 저지연 측정 또는 저지연 리포팅 동작(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및 측정 결과에 대한 리포팅 동작)은 단말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단말이 저지연 측정 또는 저지연 리포팅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측정 후보 셀 리스트는 각각의 셀의 물리셀식별정보를 통해 단말에 지시되어 해당 단말이 저지연 측정을 수행하는 타겟 셀 또는 유효 셀 영역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은 지시된 물리셀식별정보를 가진 셀에 대해서만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지시된 물리셀식별정보를 가진 셀을 벗어나 다른 셀로 이동하면 저지연 측정을 중단하거나 저지연 측정을 위한 측정 구성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술한 저지연 측정을 위한 유효시간은 단말의 IDLE 모드 측정시간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지국을 통해 지시된 저지연 측정을 위한 유효시간을 수신하면 단말은 해당 값을 통해 타이머를 시작해 해당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만 IDLE 모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술한 측정 값 평가를 위한 조건은 단말의 IDLE 모드 측정 리포팅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은 측정 값 평가를 위한 임계값을 넘는 셀에 대해서만 측정 리포팅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측정 리포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RRC 연결 셋업 과정의 메시지 4(예를 들어 RRC Connection Setup 또는 RRC Connection Resume 또는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 상에 전술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셀의 식별정보로는 물리 셀 식별자, 글로벌 셀식별자, 셀 인덱스, SCellindex, Servcellindex, 셀 지시필드(정수값으로 구성) 및 carrier indicator field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단말은 전술한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단말의 효율적인 측정과 전력 절감을 위해 측정 지속시간 정보(측정 주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셀 특정한 DRX 사이클 길이 별로 다른 값을 가지고 단말에 지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술한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셀 특정한 DRX 사이클 길이 별로 다른 값을 가지고 단말에 사전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술한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단말 특정한 DRX 사이클 길이 별로 다른 값을 가지고 단말에 지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술한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단말 특정한 DRX 사이클 길이 별로 다른 값을 가지고 단말에 사전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술한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RAN 기반 페이징을 위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단말 특정한 DRX 사이클 길이 별로 다른 값을 가지고 단말에 지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술한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RAN 기반 페이징을 위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단말 특정한 DRX 사이클 길이 별로 다른 값을 가지고 단말에 사전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로 지시될 수 있다.
RRC IDLE 상태 단말이 RRC 연결 셋업 후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 RRC 연결 모드로 상태 천이 과정에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리포팅 구성은 측정구성 정보와는 별도의 구성정보를 통해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정보블록 유형과 구분되는 다른 시스템정보블록 유형을 통해 리포팅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리포팅 구성정보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정보블록 유형과 동일한 시스템정보블록 유형을 통해 리포팅 구성이 제공되는 경우에 측정 구성정보 요소와 구분되는 다른 정보요소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리포팅 구성정보는 RRC 전용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셋업 메시지에 리포팅 구성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측정 구성정보와는 다른 정보요소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전술한 단말의 효율적인 측정 또는 리포팅 또는 전력 절감을 위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의 리포팅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전술한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전용(dedicated)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되는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는 다음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무선 품질 정보(또는 측정결과 정보 또는 셀 구성을 위한 도움정보 또는 셀 활성화를 위한 도움정보)로 단말식별정보, 측정결과서브주파수(measResultsServFreq) 정보, 측정결과 주파수 정보, 세컨더리 후보 셀 주파수 정보, 세컨더리 후보 셀 별 서브셀인덱스/셀 식별정보(Cell ID)/물리셀식별정보/ 서브 주파수 ID/셀지시필드(정수값으로 구성)/carrier indicator field/LAA 셀 구분정보/cgi-info(cellGlobalId, trackingAreaCode, plmn-Identitylist, 주파수밴드지시정보, 랜기반 페이징 영역/코드 정보), 디스커버리 시그널 측정 타이밍 구성(measDS-Config: dmtc-PeriodOffset, ds-OccasionDuration, MeasCSI-RS-Id, MeasCSI-RS-Config), 측정대역 정보, 측정 주기 정보, 측정항목/대상/레퍼런스심볼/구분(RSRP/RSRQ/RSSI/CRS/CSI-RS/NR SS/빔ID/디스커버리 시그널), 측정 값 평가를 위한 조건/파라메터/임계값/이벤트, LAA-SCellConfiguration(subframeStartPosition, laa-SCellSubframeConfig), RSRP 결과, RSRQ 결과, RSRP-range, RSSI, CSI-RS 측정결과, NR SS 측정결과, NR CSI-RS 측정결과, 측정 이벤트(예를 들어, A1, A2, A3, A4, A5, A6 측정 이벤트) 만족여부, 또는 세컨더리 셀/셀/셀그룹의 구성/활성화/비활성화 결정을 위한 임계값, 셀별 임계값 만족여부, 셀별 셀품질 우선순위 정보(예를 들어 활성화할 셀의 셀별 우선순위 정보, 셀별 셀품질 상태 정보(예를 들어 상/중/하, 활성화 가능/양호/우수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셀별 측정결과를 코드화/abstraction한 정보, 셀별 품질/측정결과 범위(range/scale/code), 구성/활성화 가능 세컨더리 셀 셋/리스트, 최선측정결과SCell/Cell/주파수 정보(best 측정결과 셀정보 또는 특정 수 이상의 best 측정결과 셀정보), best 측정결과 셀의 측정결과(rsrpResult, rsrqResult, rs-sinr-Result, best beam ID,) 또는 특정 수 이상의 best 측정결과(rsrpResult, rsrqResult, rs-sinr-Result, 특정 수 이상의 best beam ID/best beam 측정결과, NR SS 측정결과, NR CSI-RS 측정결과), 측정 결과를 averaging 하기 위한 beam 수/절대값 이상을 가지는 beam수/특정 범위에 있는 beam 수 및 특정 범위, 측정 결과에 대한 averaging 횟수, 측정 결과에 대한 최소 측정횟수, 마지막 측정 결과, 마지막 측정 시간, 마지막 측정 후 경과 시간, 측정 시 단말 위치, 이른 측정 및 이른 리포팅의 유효시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RRC 연결 셋업 과정 또는 RRC 연결 셋업 완료 후에 전술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상에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상에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이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 메시지 4(예를 들어 RRC Connection Setup 또는 RRC Connection Resume 또는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 상에 전술한 리포팅을 허용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지시하면, 단말은 메시지 5(예를 들어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또는 RRC Connection Resume Complete 메시지) 상에 전술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지시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하면, 단말은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의 메시지 5(예를 들어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또는 RRC Connection Resume Complete 메시지) 상에 단말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저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존재 지시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단말의 RRC 연결 셋업이 완료되고, 메시지 5 상에서 단말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저장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경우에 단말로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서 기지국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면, 기지국은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SCell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전술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에 세컨더리 기지국 구성 또는 세컨더리 기지국 SCell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이 특정한 무선 플로우에 대해 또는 특정 PDU 세션에 대해 또는 코어망베어러(또는 E-RAB, 또는 특정 무선 플로우 그룹)에 대해서, SCell을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셀을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위한 일 예로, 기지국은 셀 별로 해당 셀의 활성화 상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로 세팅하여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특정 셀 그룹에 대해 해당 셀 그룹의 활성화 상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로 세팅하여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모든 셀에 대해 활성화 상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로 세팅하여 단말에 구성할 수도 있다.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셀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를 위한 전력소모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의 전송과 관련된 오버헤드와 시스템 부하가 증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력소모, 오버헤드 및 시스템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치도 요구된다.
일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허용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용하는 정보는 1비트 또는 2비트로 구성되어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의 허용 여부를 세팅하여 지시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허용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이를 위한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만약 기지국이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허용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경우에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만약 기지국이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허용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경우, 만약 단말이 RRC IDLE 모드 동작 캐퍼빌리티(예를 들어, 저지연 측정 캐퍼빌리티 또는 저지연 리포팅 캐퍼빌리티 또는 특정 단말 캐퍼빌리티)를 가진다면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위한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관련 구성을 가지고 있다면,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 또는 IDLE 모드 측정 결과 리포팅 구성정보 또는 특정 단말 구성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지시하여 단말이 이를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MME는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 또는 IDLE 모드 측정 결과 리포팅 구성정보 또는 특정 단말 구성정보를 NAS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지시하여 단말이 이를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기지국은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하여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전술한 측정 지속시간 정보를 단말로 지시하여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가 일정 시간 동안만 단말에 구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다른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와는 구분되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시스템 정보 블록 5를 통해서 단말로 지시되고,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로 지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만약 기지국이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허용하는 정보를 허용하지 않음으로 세팅하여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위한 관련 구성정보의 수신을 개시하지 않거나, 해당 구성정보를 무시/제거/삭제/디스카드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만약 기지국이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위한 전술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위한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 있다. 즉,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가 기지국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팅 되면, 단말은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또는 측정 결과 리포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리셀렉션 등에 따른 단말 동작 방법
일 예로 기지국은 RRC IDLE 상태 단말의 SCell 셋업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해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적용 또는 저장한다. 한편, 유휴(IDLE) 상태 단말은 단말 이동에 따라 새로운 셀로 셀리셀렉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 또는 IDLE 모드 측정 결과 리포팅 구성 정보를 해제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단말은 이동에 따라 리셀렉션한 셀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IDLE 모드 측정 구성 또는 IDLE 모드 측정 결과 리포팅 구성을 위한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리셀렉션한 셀에서 브로드캐스트 되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저장된 이전 셀의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 파라미터를 갱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RRC IDLE 상태 단말의 SCell 셋업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5)에 포함해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적용 또는 저장한다. 한편, 유휴(IDLE) 상태 단말은 단말 이동에 따라 새로운 셀로 셀리셀렉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 또는 IDLE 모드 측정 결과 리포팅 구성 정보를 해제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단말은 이동에 따라 리셀렉션한 셀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IDLE 모드 측정 구성 또는 IDLE 모드 측정 결과 리포팅 구성을 위한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리셀렉션한 셀에서 브로드캐스트 되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저장된 이전 셀의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 파라미터를 갱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RRC IDLE 상태 단말의 SCell 셋업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5)에 포함해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적용 또는 저장한다. 한편, 유휴(IDLE) 상태 단말은 단말 이동에 따라 새로운 셀로 셀리셀렉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저장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단말이 RRC 연결상태로 들어갈 때 또는 단말이 NAS에 의한 요청에 따라 수행되는 PLMN 선택을 수행할 때 또는 단말이 해당 셀과 다른 PLMN을 선택할 때 또는 단말이 다른 무선접속기술(RAT)을 선택할 때 또는 단말이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유효시간이 만료될 때 단말은 측정 구성정보 또는 리포팅 구성정보를 해제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단말은 이동에 따라 리셀렉션한 셀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IDLE 모드 측정 구성 또는 IDLE 모드 측정 결과 리포팅 구성을 위한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리셀렉션한 셀에서 브로드캐스트 되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저장된 이전 셀의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 파라미터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셀 리셀렉션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에 새롭게 선택된 셀에 기초하여 RRC IDLE 측정 동작과 관련된 구성을 갱신하거나, 이전 측정 동작과 관련된 구성을 해제하고 새로운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 상태를 고려한 RRC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 지시 방법 및 단말 동작 방법
기지국은 단말 상태 또는 단말 캐퍼빌리티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고려하여 복수의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전송하고, 단말은 자신의 이동성 상태에 기반하여 어느 하나의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단말의 MobilityState 별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단말로 이를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단말의 전력선호상태(PowerPreference) 별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전력선호가 전력절감선호로 세팅된 경우, 단말은 복수의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 중 하나 이상의 구성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의 전력선호가 전력절감선호가 아닌 것으로 세팅된 경우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특정 캐퍼빌리티를 가진 단말에 대해 전술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사용한 프로시져가 수행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NR capable 단말 또는 EN-DC capable 단말 또는 CA capable 단말에 대해 전술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사용한 프로시져가 수행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해당 캐퍼빌리티를 지원하는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캐퍼빌리티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은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 및 측정 결과를 리포팅하는 동작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MSG 3)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포함해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MSG 5)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포함해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단말 캐퍼빌리티 transfer 프로시져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MME를 통해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RRC IDLE 모드에서 단말이 셀 또는 캐리어 채널 상태 측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단말의 RRC 연결 상태로의 천이 후에 빠르게 측정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SCell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빠르게 수행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개시는 단말의 데이터 오프로딩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의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700)은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730)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저장 또는 적용하는 제어부(710) 및 RRC IDLE 모드에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730)는 RRC IDLE 상태에서 전술한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측정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단말의 RRC 연결 상태에서 수신되거나, RRC 해제 동작 과정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일 예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 정보, 측정 지속시간 정보, 대상 셀 리스트 정보 및 측정 기준값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단말의 셀 재선택 동작에 따라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의 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유효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부(730)는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부(730)는 시스템 정보 블록 5 신호를 통해서 전술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신부(730)는 RRC 연결 모드에서 RRC IDLE 모드로 상태 천이 과정에서 수신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신부(730)는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서로 다른 신호를 통해서 수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730)는 시스템 정보 블록 5 신호를 통해서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 정보, 대상 셀 리스트 정보, 측정 기준값 정보 및 유효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측정 지속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유효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대상 셀 리스트 정보는 하나 이상의 물리셀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시간 정보는 타이머에 적용되어 단말에 구성되며, 제어부(710)는 해당 타이머의 동작 또는 만료에 따라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의 실행 여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의 저장/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저장하거나 이를 적용하여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은 단말이 RRC 연결 상태에서 RRC IDLE 상태로 상태 천이가 완료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10)는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지속시간 정보에 따라 유효시간이 설정된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서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10)는 유효시간이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되면 수신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10)는 해당 타이머가 적용되는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삭제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에 따라 획득되는 각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측정 결과 값을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측정 결과 값은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에 따라 제어부(710)는 측정 대상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채널 상태(또는 채널 품질)를 측정하고, 송신부(720)는 측정된 결과에 대한 정보를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에 포함하여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면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720)는 RRC IDLE 모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가 완료되면 IDLE 측정 결과정보를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 캐리어 또는 셀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기준값과 측정된 각 셀 또는 캐리어의 측정 결과 값을 비교하여 측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측정 결과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수신부(730)는 기지국이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처리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2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730)는 기지국으로부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요청하는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송신부(720)는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 존재 지시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720)는 존재 지시정보를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송신부(720)와 수신부(730)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 메시지 및 정보를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한편, 제어부(710)는 전술한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의 채널 측정 동작 및 이를 기지국으로 리포팅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기지국(800)은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을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810)와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820) 및 RRC IDLE 모드에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820)는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에 대한 기지국 처리가 가능함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2를 전송하고,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요청하는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830)는 단말의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 존재 지시정보를 수신하고,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830)는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존재 지시정보를 포함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송신부(820)와 수신부(830)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 메시지 및 정보를 단말과 송수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한편, 제어부(810)는 전술한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의 채널 측정 동작 및 이를 기지국으로 리포팅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시스템", "프로세서", "컨트롤러", "컴포넌트", "모듈", "인터페이스", "모델", "유닛" 등의 용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구동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컨트롤러, 제어 프로세서, 개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가 모두 구성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구성 요소는 한 시스템에 위치하거나 두 대 이상의 시스템에 배포될 수 있습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저장 또는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RRC IDLE 모드에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며,
    상기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 정보, 측정 지속시간 정보, 대상 셀 리스트 정보 및 측정 기준값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상기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유효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셀 리스트 정보는 하나 이상의 물리셀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상기 단말의 셀 재선택 동작에 따라 상기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의 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유효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저장 또는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지속시간 정보에 따라 유효시간이 설정된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서 상기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RRC IDLE 모드에서 측정된 셀 별 측정 결과 값과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기준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셀에 대한 측정 결과 값을 상기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에 대한 기지국 처리가 가능함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2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 존재 지시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지시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기지국이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을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RRC IDLE 모드에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상기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 정보, 측정 지속시간 정보, 대상 셀 리스트 정보, 측정 기준값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셀 재선택 동작에 따라 상기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의 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유효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에 대한 기지국 처리가 가능함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2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 존재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요청하는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RRC IDLE 모드에서 측정된 셀 별 측정 결과 값과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기준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셀에 대한 측정 결과 값을 저장한 상기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지시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저장 또는 적용하는 제어부; 및
    상기 RRC IDLE 모드에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며,
    상기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 정보, 측정 지속시간 정보, 대상 셀 리스트 정보 및 측정 기준값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지속시간 정보는 상기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유효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셀 리스트 정보는 하나 이상의 물리셀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상기 단말의 셀 재선택 동작에 따라 상기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의 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유효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지속시간 정보에 따라 유효시간이 설정된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서 상기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RC IDLE 모드에서 측정된 셀 별 측정 결과 값과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기준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셀에 대한 측정 결과 값을 상기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에 대한 기지국 처리가 가능함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2 및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더 수신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단말의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 존재 지시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지시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의 RRC IDLE 모드에서 채널 상태를 측정을 위한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 5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RRC IDLE 모드에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구성정보는,
    상기 단말이 RRC IDLE 모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대상 캐리어 주파수 정보, 측정 지속시간 정보, 대상 셀 리스트 정보, 측정 기준값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셀 재선택 동작에 따라 상기 단말의 RRC IDLE 모드 측정 동작의 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유효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에 대한 기지국 처리가 가능함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2를 전송하고, 상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를 요청하는 단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의 RRC 연결 셋업 과정에서 상기 IDLE 모드 측정 결과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 존재 지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DLE 모드 측정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지시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80056942A 2017-07-26 2018-05-18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4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89449.9A CN109309969B (zh) 2017-07-26 2018-07-18 在rrc空闲模式下控制测量处理的方法及其装置
US16/040,924 US10531326B2 (en) 2017-07-26 2018-07-20 Methods of controlling measurement process in RRC idle mode and apparatus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94902 2017-07-26
KR1020170094902 2017-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096A true KR20190012096A (ko) 2019-02-08
KR102084004B1 KR102084004B1 (ko) 2020-03-03

Family

ID=6536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942A KR102084004B1 (ko) 2017-07-26 2018-05-18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0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3165A1 (en) * 2019-06-25 2020-12-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of idle measurement results in rrc_connected
KR20210025502A (ko) * 2019-08-26 2021-03-09 에이서 인코포레이티드 셀 선택 처리 방법, 관련 네트워크 장치 및 모바일 장치
KR20210121255A (ko) * 2019-02-14 2021-10-07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조기 측정들에서의 빔 정보
CN114586402A (zh) * 2019-10-25 2022-06-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配置多rat早期测量
WO2024053918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이 원하는 슬라이스를 빠르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0017A (ko) * 2009-03-05 2010-09-15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아이들 상태에서 측정 보고 메시지 수집 방법 및 그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WO2014185185A1 (ja) * 2013-05-17 2014-11-2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0017A (ko) * 2009-03-05 2010-09-15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아이들 상태에서 측정 보고 메시지 수집 방법 및 그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WO2014185185A1 (ja) * 2013-05-17 2014-11-2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255A (ko) * 2019-02-14 2021-10-07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조기 측정들에서의 빔 정보
US11949608B2 (en) 2019-02-14 2024-04-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information in early measurements
WO2020263165A1 (en) * 2019-06-25 2020-12-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of idle measurement results in rrc_connected
TWI772827B (zh) * 2019-06-25 2022-08-01 瑞典商Lm艾瑞克生(Publ)電話公司 在rrc連接中閒置量測結果之處理
KR20210025502A (ko) * 2019-08-26 2021-03-09 에이서 인코포레이티드 셀 선택 처리 방법, 관련 네트워크 장치 및 모바일 장치
US11528644B2 (en) 2019-08-26 2022-12-13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cell selection and related network device and mobile device
CN114586402A (zh) * 2019-10-25 2022-06-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配置多rat早期测量
CN114586402B (zh) * 2019-10-25 2024-04-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执行空闲模式测量的方法和装置
WO2024053918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이 원하는 슬라이스를 빠르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004B1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09969B (zh) 在rrc空闲模式下控制测量处理的方法及其装置
US11166214B2 (en) Machine-to-machine (M2M) terminal, base st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8640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easurements and mobi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103346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connection state of UE
EP32646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easur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7371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ange expans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2084004B1 (ko)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9521603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US20140036874A1 (en) Inter-frequency/inter-rat cell re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of ue in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956660B2 (en) Triggering measurements before the completion of connection resumption
KR20150051124A (ko) 단말에서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이동 통신 시스템
US11445416B2 (en) Cell reselection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radio terminal
WO2021106769A1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通信端末
KR20140105357A (ko) 무선랜 연결 상태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054642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基地局
KR20150005421A (ko)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14890A (ko) 단말의 세컨더리 셀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08661A (ko) Mtc 단말을 위한 커버리지 레벨 변경 방법 및 장치
KR20140106368A (ko) 이종망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WO2024026897A1 (zh) 信息处理方法、信息发送方法和装置
KR20190056827A (ko) Aerial Vehicle 단말을 위한 이동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130351A (ko)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