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421A -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421A
KR20150005421A KR1020140000458A KR20140000458A KR20150005421A KR 20150005421 A KR20150005421 A KR 20150005421A KR 1020140000458 A KR1020140000458 A KR 1020140000458A KR 20140000458 A KR20140000458 A KR 20140000458A KR 20150005421 A KR20150005421 A KR 20150005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mobility
base station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표
이경준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5000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04W36/008375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based on historic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러 종류의 셀들이 혼재되어있는 HetNet(Heterogeneous Network)환경에서 단말의 이동성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수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은 제 1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핸드오버의 타켓 기지국인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controlling Handover and Apparatuses of}
본 발명은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러 종류의 셀 타입들이 혼재되어있는 HetNet(Heterogeneous Network)환경에서 단말의 이동성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수행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기존의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기지국뿐만 아니라 좁은 지역에 다수의 사용자가 모이는 핫 스팟 지역 또는 기지국이 제공하는 넓은 커버리지의 경계부분에서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몰 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단말은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기지국과 상대적으로 좁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스몰 셀 기지국을 통해서 고속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다양한 데이터를 이동 중에도 끊김 없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오버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스몰 셀 기지국이 늘어남에 따라서 더 잦은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할 때 좁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스몰 셀 기지국은 핸드오버 실패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지국은 이동과 상태 천이를 지속하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없어,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에 대해 스몰 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방지하지 못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은 스몰 셀이 전개된 통신 환경에서 이동과 상태 천이를 지속하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적하여 핸드오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상황과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구분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에 따라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핸드오버의 타켓 기지국인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이동성 관련 정보 및 단말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 1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핸드오버의 타켓 기지국인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 2 기지국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이동성 관련 정보 및 단말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몰 셀이 전개된 통신 환경에서도 이동과 상태 천이를 지속하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적하여 핸드오버를 제어함으로써 통신 품질 저하를 감소시키기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상황과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구분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에 따라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이 다수의 셀이 중첩된 환경에서 이동하는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 및 기지국에 적용될 수 있는 핸드오버 절차에 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이 기지국과 RRC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이동성 관련 정보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이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이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이 수신하는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 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이 다수의 셀이 중첩된 환경에서 이동하는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커버리지가 넓은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제 1 기지국(101) 및 제 2 기지국(102)과 함께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스몰 셀 기지국(103, 104)이 전개되어 있다. 단말(100)은 이동 중에도 사용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술한 기지국들의 커버리지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100)은 제 1 기지국(101)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단말(100)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기지국(101)의 통신 커버리지를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00)은 제 2 기지국(102)의 매크로 셀 내로 진입하여 제 2 기지국(102)과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단말(100)이 제 1 기지국(101)과의 통신을 해제하고 제 2 기지국(102)과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는 핸드오버 절차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 2 기지국(102)의 매크로 셀과 일부 또는 전부가 중첩되어 전개된 스몰 셀 커버리지가 존재하는 경우에 단말(100)은 통신 상황이 더 좋은 스몰 셀 기지국(103, 104)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단말(100)이 제 2 기지국(102)과 통신을 수행하던 중에 특정 스몰 셀 기지국(103)의 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경우에 스몰 셀 기지국(103)으로 핸드오버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 2 기지국(102)은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단말(100)은 좀 더 근접하여 통신 상황이 좋은 스몰 셀 기지국(103)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단말(100)의 이동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매크로 셀을 빠르게 통과하여 인접 매크로 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말(100)이 매크로 셀보다 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좁은 스몰 셀 기지국(103, 104)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스몰 셀 기지국(103, 104)이 제공하는 통신 커버리지가 좁기 때문에 핸드오버가 빈번해질 수 있고, 불필요한 신호 품질 측정이 발생할 수 있어서 단말(100)의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것이 그 원인 중 이유이다. 즉, 단말(100)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스몰 셀 기지국(103, 104)으로 핸드오버를 하는 것은 전력 소모 또는 빈번한 핸드오버 발생으로 인한 통신 품질 저하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지국(101) 또는 제 2 기지국(102)은 단말(100)의 이동성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00)의 핸드오버를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100)의 이동성 상태와 핸드오버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본 발명의 단말 및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매크로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으로 기재하고,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스몰 셀 기지국으로 기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 및 기지국에 적용될 수 있는 핸드오버 절차에 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209)이 제 1 기지국(201)이 제공하는 셀을 벗어나 제 2 기지국(202)이 제공하는 셀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끊김 없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단말(209)은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핸드오버 절차의 일 예를 설명한다. 단말(209)은 통신을 수행 중인 셀의 신호 품질 및 인접한 셀의 신호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단말(209)이 측정해야 하는 대상 및 측정된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조건, 측정 시간 등의 측정 구성 정보는 제 1 기지국(201)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말(209)은 측정된 결과에 대한 보고 동작이 트리거되는 경우에 해당 측정 결과를 제 1 기지국(201)으로 보고한다(S210).
제 1 기지국(201)은 통신을 수행 중인 단말(209)의 측정 보고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9)의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한다(S220).
제 1 기지국(201)은 단말(209)을 제 2 기지국(202)으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제 2 기지국(202)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230).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제 1 기지국(201)과 제 2 기지국(202)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제 2 기지국(202)은 단말(209)의 핸드오버의 목표가 되는 타켓 기지국으로 제 1 기지국(201)으로부터 수신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240).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에는 핸드오버 요청을 받아들이는 정보 또는 핸드오버 요청을 거부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기지국(201)은 제 2 기지국(202)이 핸드오버 요청을 승인한 경우에, 단말(209)로 핸드오버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한다(S250).
단말(209)은 제 1 기지국(201)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여, 제 2 기지국(202)으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S260).
단말(209)은 이와 같이 제 1 기지국(201)으로부터 제 2 기지국(202)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이동상황에서도 지속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셀들이 혼재되어 운영되는 HetNet(Heterogeneous Network) 환경은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함) 경우와 non-CA 경우를 포함하며, 단일 캐리어 또는 멀티 캐리어 환경에서 구축될 수 있다. 효과적으로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의 데이터에 대한 오프로딩(off-loading)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매크로셀을 제공하는 기지국과 스몰셀을 제공하는 기지국 간에 강건한(robust) 이동성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HetNet 환경에서의 핸드오버 성능은 매크로 기지국만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성능보다 상대적으로 좋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의 경우에 더욱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즉, 빠르게 단말이 이동하는 상황에서 스몰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는 실패할 확률이 높으며, 빈번한 오프로딩 시도로 인해서 단말의 전력 소모가 급격히 높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HetNet 환경에서 스몰셀은 주로 느리게 이동하는 단말의 데이터 오프로딩을 타켓으로 하고 있어,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 사용을 회피하도록 한다면 핸드오버 실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에서 단말의 이동성 상태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LTE(Long Term Evolution) 망에서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는 단말이 일정시간 동안 이동횟수를 카운트하여 추정했다. 즉, 단말이 일정시간 동안 핸드오버를 수행한 횟수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단말이 유휴(이하, 'IDLE'이라 함)상태인 경우에 단말은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단말의 IDLE 상태에서 이동성 정보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IDLE 상태의 단말 이동성 상태는 셀 리셀렉션(cell reselections) 횟수를 이동 횟수로 카운트한다. 일 예로, IDLE 단말의 이동성 상태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이동속도를 추정하기 위한 파라메터(TCRmax, NCR_H, NCR_M)가 보내지면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단말 이동성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정한다.
- 미디엄(Medium) 이동성 상태 기준: 시간주기 TCRmax, 동안 이동횟수가 NCR _ M 를 넘고 NCR _ H 를 넘지 않는 경우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는 미디엄으로 추정할 수 있다.
- 높은(High) 이동성 상태 기준: 시간주기 TCRmax, 동안 이동횟수가 NCR _H 을 넘는 경우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는 높음으로 추정할 수 있다.
RRC 연결(Connected) 상태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파라메터(MobilityStateParametrs: t-Evaluation, n-CellChangeHigh, n-CellChangeMedium)는 측정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을 통해 구성된다.
단말은 셀 리셀렉션 대신 핸드오버를 카운팅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Evaluation은 전술한 TCRmax 에 해당하며, n-CellChangeHigh은 전술한 NCR _H 에 해당된다. 또한, n-CellChangeMedium은 전술한 NCR_M 해당된다. 따라서, 핸드오버 횟수가 n-CellChangeMedium를 넘고 n-CellChangeHigh를 넘지 않는 경우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는 미디엄으로 추정되고, n-CellChangeHigh를 넘는 경우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는 하이(High)로 추정된다.
단말은 전술한 마지막 시간주기(TCRmax 또는 t-Evaluation로 이하 '마지막 시간주기'로 기재) 이내에 상태 천이가 발생되는 경우 유휴 상태의 이동횟수와 연결 상태의 이동횟수를 누적해서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게 된다. 즉, 단말은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셀 리셀렉션 수와 핸드오버 수를 카운팅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한다. 예를 들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연결 상태 단말이 이동에 따라 2번의 핸드오버를 하고, inactivity timer 만료에 따라 유휴 상태로 천이된다. 이 후 유휴 상태 단말이 이동에 따라 1번의 셀 리셀렉션을 하는 경우 단말은 이동횟수로 3회를 카운팅해서 이동성 상태를 추정한다. 단말의 상태 천이란, 단말이 RRC 연결 상태에서 IDLE 상태로 변경되거나, IDLE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어렵다. IDLE 상태에서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RRC 연결(Connection)이 해제되어 있어, IDLE 단말에 대한 이동성 상태를 알 수 없다. 따라서, IDLE과 Connected 상태를 반복하는 통상의 단말에 대해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기 어렵다.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를 추정하기 어려운 기지국을 위해, IDLE 단말이 RRC Connection 설정 동안 기지국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안도 단말이 이동되는 경우 기지국에서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없었다. 기지국은 단말이 Connected 상태에서 이전에 방문한 셀 리스트에 대한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어, IDLE과 CONNECTED 상태를 반복하는 통상의 단말에 대해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HetNet 환경에서는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을 이용하는 경우 핸드오버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기지국에서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파악하여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을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를 추정하기 어려운 기지국을 위해서 단말이 연결 설정 동안 기지국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단말 이동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기지국에서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변경된 기지국은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의 스몰셀 이용을 방지할 수 없어 다시 핸드오버 성능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HetNet 환경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스몰셀을 이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기지국을 변경하더라도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을 이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서는 RRC Connection 연결 설정 이후 단말의 이동성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갱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단말은 통신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매크로 셀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이 스몰셀을 선택하더라도, 스몰셀에 캠프온(camp on)하는 동안, 단말은 통신을 수행하기에 더 적합한 셀을 리셀렉트(reselect)할 수 있다. 단말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주파수를 가진 적합한 셀을 리셀렉트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스몰셀의 주파수 우선순위에 비해서 매크로셀의 주파수 우선순위를 높게 하여 브로드캐스트하면, 단말은 적합한 매크로셀을 리셀렉트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이용하면 불필요한 핸드오버 수행 및 신호 품질 수행과 같은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이 기지국과 RRC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이 IDLE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단말의 핸드오버가 수행되지 않으므로, 셀 리셀렉션한 횟수를 기준으로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마지막 시간주기 이내에 상태 천이가 발생되는 경우, 단말은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셀 리셀렉션 수와 핸드오버 수를 누적하여 이를 기준으로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309)은 IDLE 상태에서 통신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셀을 탐색할 수 있고, 셀 리셀렉션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셀을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만약 마지막 시간주기 이전에 단말이 연결 상태에 있었다면, 핸드오버를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셀을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309)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는 단말(309)에 저장될 수 있다. 단말은 시간 경과에 따라 현재 시점에서 마지막 시간주기 보다 이전에 방문한 셀 정보는 제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단말의 방문 셀이란, IDLE 상태에서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말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한 셀로 단말이 RRC 연결을 설정하는 시점에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IDLE 상태에서 셀 리셀렉션을 수행하여 리셀렉션되는 셀 및 IDLCE 상태 이전 CONNECTED 상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 셀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방문 셀 가용정보란, 단말이 방문한 방문 셀 정보가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표시정보 또는 지시정보일 수 있다. 또는 단말이 방문 셀 정보를 보유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정보 또는 지시정보일 수 있다. IDLE 상태의 단말(309)은 기지국(301)과 RRC Connection 설정 동안 이동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는 IDLE 단말(309)이 일정시간 동안 셀 리셀렉션(cell reselections)과 핸드오버를 카운트하여 추정한 전술한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는 매크로셀에 비해 셀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스몰셀을 고려하여 기존의 단말 이동성 상태 정보를 개량하여 산출한 단말 이동성 상태 정보일 수도 있다. 개량된 단말 이동성 상태 정보의 일 예는 셀 특정한 가중치(cell specific weight)를 통해 산출된 단말 이동성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즉, 단말 이동성 상태 계산 시 셀 크기 또는 셀 유형 또는 이동 유형(inter-eNB cell, intra-eNB cell)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이동횟수를 카운트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매크로 셀-매크로 셀, 매크로 셀-스몰 셀, 스몰 셀-매크로 셀, 스몰 셀-스몰 셀 간의 리셀렉션과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에, 스몰셀과 관련된 리셀렉션과 핸드오버에 대해서는 매크로셀에 비해 적은 값을 카운트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개량된 단말 이동성 상태 정보는 매크로셀에 대해서만 이동횟수를 카운트한 단말 이동성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즉, 단말 이동성 상태 계산 시 스몰셀에 대해서는 이동횟수를 카운트하지 않고 산출된 단말 이동성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는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한 셀 히스토리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리셀렉션한 히스토리 정보는 이전 방문 셀 리스트(Last Visited Cell List)를 통해 최대 4개 또는 8개 또는 16개의 이전 방문 셀 정보(Last Visited Cell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 시간주기(TCRmax 또는 t-Evaluation)값은 30초, 60초, 120초, 180초, 240초 중에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전 방문 셀 정보는 글로벌 셀식별자(Global Cell ID), 셀 타입(Cell Type), 셀 내 머문 시간(Time in stayed in Cell)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는 전술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가 가용함을 나타내는 표시정보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309)에서 기지국(301)으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301)은 단말(309)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단말(309)에 해당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기지국(301)이 단말(309)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일 예로, 기지국(301)은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309)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301)이 단말 이동성 상태를 개량하여 산출하기 위한 셀 특정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트하면, 단말(309)은 기지국(301)이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는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establishment) 프로시져 동안 RRC 연결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309)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는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309)로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309)로 전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지국(301)은 단말(309)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을 받은 단말(309)은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지국(301)으로 전송한다. 또는 기지국(301)이 요청하지 않는 경우에도 단말(309)은 기지국(301)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309)이 기지국(301)으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 예로, 단말(309)은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S330).
즉, 단말(309)은 기지국(301)과 RRC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3과 같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309)은 기지국(301)에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310).
기지국(301)은 단말(309)로 RRC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셋업 메시지를 전송한다(S320). 전술한 바와 같이 RRC 연결 셋업 메시지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단말(309)은 기지국(301)과 RRC 연결을 수행하고,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330).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에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단말(309)의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기지국(30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새로운 RRC 메시지를 통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를 통해서 이동성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단말(309)은 이동성 관련 정보를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포함하여 보낼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의 높은 이동성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309)은 RRC 연결(Connection) 설정 이전에 높은 이동성 상태에 있는 경우 및/또는 네트워크로부터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높은 이동성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이동성 관련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 설명한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이동성 관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이동성 관련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포함되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이동성 관련 정보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에 단말의 IDLE 상태의 마지막 시간 주기 동안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이동성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성 관련 정보는 이동성 상태 정보 또는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 또는 방문 셀 정보의 가용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401)에 이동성 관련 정보로 높은 이동성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401)는 highmobilityInfo 필드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가 High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 리셀렉션한 횟수 정보 및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된 단말의 이동성 상태가 High인 경우 해당 필드의 값을 true로 설정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의 이동속도가 높다고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402)에 이동성 관련 정보로 이동성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402)는 mobilitystateInfo 필드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에서 추정된 이동성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high, medium, normal로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에 대해서 추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403)에 이동성 관련 정보로 방문 셀 정보의 가용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403)는 Cell-Inf-Available 필드에 단말의 방문 셀 정보가 가용함을 표시하는 가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예로 만약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가 마지막 시간주기 TCRmax 동안 리셀렉션한 히스토리 정보로 구성되는 경우, 단말은 마지막 시간주기 TCRmax 동안 리셀렉션한 히스토리 정보가 가용함을 나타내는 가용정보(표시정보)를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마지막 시간주기 TCRmax 이전에 단말이 연결 상태에 있었다면, 단말은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셀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 히스토리 정보가 가용함을 나타내는 가용정보(표시정보)를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403)의 Cell-Inf-Available 필드를 true로 설정하여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에 셀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 히스토리 방문 셀 정보가 가용함을 전달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으로부터 셀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 히스토리 방문 셀 정보의 전송 요청을 받아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는 셀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 히스토리 방문 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가 단말이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에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에 포함되는 예를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새로운 메시지가 정의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이동성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형태는 제한이 없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IDLE 상태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즉,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한 결과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단말은 불필요한 핸드오버 방지와 빈번한 핸드오버 실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몰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이 스몰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도록 아래에서 설명한 예시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RRC 연결 설정 절차 동안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수신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스몰셀로 핸드오버 결정을 하지 않고 매크로 셀 계층에 머물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예로, 네트워크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수신된 단말에 대해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몰셀 주파수 측정 대상(measurement object)에 대해 측정 구성을 하지 않음으로써, 단말이 스몰 셀에 대한 신호 품질을 측정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주기를 길게 하여 구성하거나, 스몰셀에 대해 일정시간 이후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품질을 측정함에 있어서, 스몰 셀에 대해서는 긴 측정 주기로 측정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측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여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수행하여 스몰셀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핸드오버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경우라도 매크로셀 무선품질 문제가 있거나, 매크로셀 무선 링크 실패가 발생한 경우와 같은 일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스몰셀로 핸드오버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설명한 방법으로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에 스몰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단말의 핸드오버 실패를 줄이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단말이 IDLE 상태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RRC 연결을 설정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구체적인 예시들과, 단말의 이동성 상태가 빠른 것으로 추정되면 핸드오버 실패를 방지하고 더 나은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서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한 기지국에서 새로운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경우에 새롭게 단말과 통신이 연결된 새로운 매크로 기지국은 IDLE 상태의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매크로 기지국은 IDLE 상태 이동성 관련 정보까지 고려한 핸드오버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한 타켓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각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즉, 빠른 속도로 이동중인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 간에 핸드오버를 수행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스몰 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각 실시예 별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단말과 통신을 수행 중이고,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소스 기지국을 제 1 기지국으로 기재하며, 단말의 핸드오버 목표가 되는 타켓 기지국을 제 2 기지국으로 기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509)은 전술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제 1 기지국(501)으로 전송한다(S510). 제 1 기지국(501)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위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제 1 기지국(501)은 단말(509)이 이동함에 따라서,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S520).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501)은 전술한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509)의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있고, 스몰 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는 수행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501)이 단말(509)을 제 2 기지국(502)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결정하면, 단말(509)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제 2 기지국(502)으로 전달할 수 있다(S530). 또한, 제 1 기지국(501)은 제 2 기지국(502)으로 단말(509)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핸드오버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이동성 관련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501)이 제 2 기지국(502)으로 전송하는 정보는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2 기지국(509)은 단말(509)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에 매크로 기지국일 수 있다.
제 1 기지국(501)은 제 2 기지국(502)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509)로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540).
이후, 단말(509)은 제 2 기지국(502)과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S550).
제 2 기지국(502)은 제 1 기지국(501)으로부터 전달받은 단말(509)의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509)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S535). 제 2 기지국(502)은 추정된 이동성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509)의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단말(509)의 이동성 상태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 기지국(502)이 단말(509)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획득하게 됨으로써, 제 2 기지국(502)은 RRC 연결 상태의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IDLE 상태의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정확한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609)은 제 1 기지국(601)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10).
제 1 기지국(601)은 수신된 단말(609)의 이동성 관련 정보 및 단말(609)의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620).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기지국(601)은 제 2 기지국(602)으로 단말(609)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만약 단말(609)의 이동성 관련 정보가 전술한 방문 셀 가용 정보인 경우에 제 1 기지국(601)은 제 2 기지국(602)으로 방문 셀 가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30). 또는 제 1 기지국(601)은 방문 셀 가용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609)로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고, 단말(609)로부터 방문 셀 정보가 수신되면 제 2 기지국(602)으로 방문 셀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일 예로, 제 1 기지국(601)이 제 2 기지국(602)으로 방문 셀 가용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1 기지국(601)은 단말(609)로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정보를 전송한다(S640).
단말(609)은 제 2 기지국(602)과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S650).
제 2 기지국(602)은 단말(609)과의 핸드오버 절차가 완료되면,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660). 또는 핸드오버 절차 중에 요청할 수도 있다.
단말(609)은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 셀 정보를 제 2 기지국(602)으로 전송할 수 있다(S670).
제 2 기지국(602)은 단말(609)로부터 수신된 방문 셀 정보 및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는 연결 상태에서의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609)의 이동성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S68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의 타켓 기지국인 제 2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이 소스 기지국과 RRC 연결을 맺은 상태에서의 이동성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IDLE 상태에서의 방문 셀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제 2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좀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으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추정 또는 갱신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높은 이동성 정보를 가지고 수신된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 간에서 이동하는 경우, 다른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높은 이동성 정보를 가지고 수신된 단말의 스몰셀 이용을 회피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 핸드오버 준비 정보( 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 메시지에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본 발명은 제 1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핸드오버의 타켓 기지국인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 및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이동성 관련 정보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에 포함되어 제 2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준비 동안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RRC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제 2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에서 핸드오버 이후에도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전술한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에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가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에 포함되는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이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의 AS-Context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와 AS-Context 정보는 도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이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S-Context 필드에 포함되는 이동성 관련 정보는 도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일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AS-Context 필드(801)는 단말의 높은 이동성을 표시하는 정보인 highmobilityInfo 정보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AS-Context 필드(802)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인 mobilitystateInfo 정보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AS-Context 필드(803)는 단말의 방문 셀 정보가 가용함을 나타내는 방문 셀 가용정보인 Cell-Inf-Availiable 정보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스몰 셀로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고, 단말의 이동성 상태가 고속으로 판단되면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 준비 동안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 이후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즉, 제 2 기지국은 단말을 스몰 셀로 핸드오버하도록 결정을 하지 않고 매크로 셀 계층에 머물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기지국은 높은(고속) 이동성으로 수신된 단말에 대해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몰셀 주파수 측정 대상(measurement object)에 대해 측정 구성을 하지 않음으로써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주기를 길게 하여 구성하거나, 스몰셀에 대해 일정시간 이후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수행하여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경우라도 일정한 경우(일 예로, 매크로셀 무선품질 문제, 매크로셀 무선 링크 실패)를 제외하고는 스몰셀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가 방문 셀 가용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기지국은 이하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로 방문 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가 전술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한 히스토리 정보로 구성되는 경우,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준비 동안 단말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한 방문 셀 정보가 가용함을 나타내는 표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방문 셀 정보 자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 2 기지국이 이동성 관련 정보로 방문 셀 가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 완료 후 단말에 RRC 메시지(예를 들어, 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로 단말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제 2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RRC 메시지(예를 들어 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단말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를 완료한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에 포함된 연결(Connected) 상태의 방문 셀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단말에 RRC 메시지(예를 들어, 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로 단말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RRC 메시지(예를 들어 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단말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전술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에 포함된 연결(Connected) 상태의 방문 셀 정보와 단말로부터 수신한 방문 셀 정보를 결합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에 포함된 연결(Connected) 상태의 방문 셀 정보가 하나의 셀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셀 내 머문 시간(Time in stayed in Cell)이 TCRmax보다 클 경우, 단말의 이동성 상태는 낮은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단말의 이동상태가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단말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리셀렉션한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필요 없이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낮은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에 포함된 연결(Connected) 상태의 방문 셀 정보가 NCR _H 보다 큰 셀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셀에서 셀 내 머문 시간들을 합한 값이 TCRmax보다 적은 경우, 단말의 이동성 상태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의 이동상태가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단말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필요 없이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높은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에 포함된 연결(Connected) 상태의 방문 셀 정보가 NCR _H 또는 NCR _M 보다 적고, 각 셀에서 셀 내 머문 시간들을 합한 값이 TCRmax보다 큰 경우 단말에 RRC 메시지(예를 들어 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RRC 메시지(예를 들어 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단말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수신하고, 전술한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에 포함된 연결(Connected) 상태의 방문 셀 정보와 결합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즉,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단말의 연결 상태의 방문 셀 정보 및 전술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로 방문 셀 가용정보가 수신되면, 단말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단말의 연결 상태 방문 셀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로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여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로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동성 상태 정보 및 단말의 연결 상태의 방문 셀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 핸드오버 요청( handover request ) 메시지에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제 1 기지국이 제 2 기지국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준비를 요청하기 위해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에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이 제공하는 타겟 셀에서 핸드오버 이후에도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에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의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는 단말의 이전 방문 셀 리스트(Last Visited Cell List)를 통해 최대 16개의 이전 방문 셀 정보(Last Visited Cell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 방문 셀 정보는 글로벌 셀식별자(Global Cell ID), 셀 타입(Cell Type), 셀 내 머문 시간(Time in stayed in Cell)에 대한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s)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한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 상의 이전 방문 셀 정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표 1은 이동성 관련 정보가 단말의 이동성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의 단말 히스토리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즉, 단말이 높은(high) 이동성 상태인 경우에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로 highmobilityinfo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표 1의 방법으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와 연결 상태에서 이전 셀 방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고,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2는 이동성 관련 정보가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의 단말 히스토리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즉,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에 따라서, 높은(high), 중간(medium), 보통(normal)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표 2의 방법으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와 연결 상태에서 이전 셀 방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고,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또 다른 예로, 만약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가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한 방문 셀 정보로 구성되는 경우,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 상의 이전 방문 셀 정보는 RRC 연결(Connection) 설정 이전에 리셀렉션한 셀 리셀렉션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수신한 단말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셀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 방문 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가 가용함을 나타내는 가용정보(표시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일 예로,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RRC 메시지(예를 들어 UE Information request메시지)를 통해 단말로 단말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고, RRC 메시지(예를 들어 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부터 단말의 IDLE 상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제 1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결정하면,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의 정보요소에 포함되는 마지막 방문 셀 리스트에 단말로부터 수신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리셀렉션한 및 핸드오버한 방문 셀 정보(방문 셀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기지국은 단말의 연결 상태 및 IDLE 상태에서의 셀 방문 또는 셀 리셀렉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의 정보요소에 포함되는 마지막 방문 셀 리스트는 가장 최근의 정보가 리스트의 위에 추가된다. 이와 같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한 방문 셀 정보에 포함되는 방문 셀 리스트도 가장 최근의 정보가 리스트의 위에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경험하여 연결 상태의 이전 방문 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한 방문 셀 정보 위에 가장 최근의 정보인 연결 상태의 이전 방문 셀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전술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에 새로운 정보 요소로 정의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통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 이후 수신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스몰셀로의 핸드오버 결정을 하지 않고 매크로 셀 계층에 머물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예로, 제 2 기지국은 높은 이동성(고속 이동)으로 수신된 단말에 대해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몰셀 주파수 측정 대상(measurement object)에 대해 측정 구성을 하지 않음으로써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주기를 길게 하여 구성하거나, 스몰셀에 대해 일정시간 이후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수행하여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경우라도 일정한 경우(일 예로, 매크로셀 무선품질 문제, 매크로셀 무선 링크 실패)를 제외하고는 스몰셀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 RRC 연결 재구성 완료(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에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 포함하는 방법.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기지국(901)은 단말(909)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S910). 제 1 기지국(901)은 제 2 기지국(902)으로 단말(909)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920).
제 2 기지국(902)은 단말(909)로 전달될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Handover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제 1 기지국(901)으로 전송할 수 있다(S930).
제 1 기지국(901)은 제 2 기지국(902)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909)로 전송한다(S940). 즉, mobilityControlInformation 필드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제 1 기지국(901)에 의해 단말(909)로 보내진다(S940).
단말(909)이 성공적으로 제 2 기지국(902)이 제공하는 타겟 셀에 액세스하면, 단말(909)은 핸드오버를 확인하기 위해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제 2 기지국(902)으로 전송한다(S950).
단말(909)은 전술한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에 단말(909)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즉, 제 2 기지국(902)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과는 달리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단말(909)로부터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이 수신하는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가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에 포함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단말은 핸드오버의 타켓 기지국인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함에 있어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로 단말의 이동성 상태가 높은 경우에 highmobilityInfo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1001)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로 단말의 이동성 상태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정보인 mobilitystateInfo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1002)는 mobilitystateInfo 필드를 포함하여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로 단말의 방문 셀 정보가 가용함을 나타내는 방문 셀 가용정보인 Cell-Inf-Availiable 정보요소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에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mobilityControlInformation 필드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을 통하여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로 전달되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제 2 기지국이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예를 들어, 전술한 highmobilityInfo 또는 mobilitystateInfo 또는 Cell-Inf-Availiable 또는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이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는 제 2 기지국이 제공하는 타겟 셀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기지국이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는 제 1 기지국이 제공하는 소스 셀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단말은 mobilityControlInformation을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제 2 기지국이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경우에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mobilityControlInformation을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대한 확인으로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보낼 경우에만 제 2 기지국으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예를 들어, 전술한 highmobilityInfo 또는 mobilitystateInfo 또는 Cell-Inf-Availiable 또는 방문 셀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기지국은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는 핸드오버에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해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와 결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3 실시예의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한 제 4 실시예 또는 제 6 실시예와 같이 단말이 기지국 변경 없이 연결(Connected) 상태를 유지하여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가 변경된 (높은 이동성 → 낮은 이동성) 것으로 추정되는 시점 이후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핸드오버가 발생되는 경우 또는 단말이 낮은 이동성 상태로 기지국과 RRC 연결(Connection)을 설정한 이후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지속하여, 기지국에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가 변경된 (낮은 이동성 → 높은 이동성)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단말 이동성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최신 이동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전술한 제 3 실시예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위에서 설명한 절차를 통해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이동성 관련 정보 등에 기초하여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통해 단말의 이동성 정보를 수신한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 이후 수신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스몰셀로의 핸드오버 결정을 하지 않고 매크로 셀 계층에 머물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예로, 제 2 기지국은 높은 이동성(고속 이동)으로 수신된 단말에 대해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몰셀 주파수 측정 대상(measurement object)에 대해 측정 구성을 하지 않음으로써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주기를 길게 하여 구성하거나, 스몰셀에 대해 일정시간 이후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수행하여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경우라도 일정한 경우(일 예로, 매크로셀 무선품질 문제, 매크로셀 무선 링크 실패)를 제외하고는 스몰셀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한 경우 일정시간 동안 스몰셀 이용을 배제하도록 하는 방법.
제 2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 상태에 기초하여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를 제어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핸드오버가 수행되면 일정 시간 동안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수행한 경우,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 이후 일정시간 동안 핸드오버를 완료한 단말이 스몰 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핸드오버를 완료한 단말이 높은 이동성 상태인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에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단말 또는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스몰셀 이용을 배제하기 위한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만약, 핸드오버 이후 일정시간 스몰셀 이용을 배제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 2 기지국은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핸드오버 이후 일정시간 스몰셀 이용을 배제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이후 일정시간 스몰셀 이용을 배제하기 위한 타이머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일 예로, 핸드오버 이후 일정시간 스몰셀 이용을 배제하기 위한 타이머는 제 1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핸드오버 이후 일정시간 스몰셀 이용을 배제하기 위한 타이머는 타겟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 : 측정 보고에 속도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방법.
제 2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의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이 제공하는 측정 보고에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은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 내에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에 포함되는 측정결과(MeasResults) 필드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측정 보고 메시지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측정 보고 메시지(1101)는 측정 결과 필드를 포함한다.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측정 결과 필드는 단말의 높은 이동성 정보(HighmobilityInfo)에 대한 정보 요소를 포함하거나, 이동성 상태 정보(MobilitystateInfo)에 대한 정보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측정 결과 정보 요소(1102)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 중 특정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인 높은 이동성 정보(HighmobilityInfo)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 결과 정보 요소(1102)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상태가 고속임을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정 결과 정보 요소(1103)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의 각 단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성 상태 정보(MobilitystateInfo)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 결과 정보 요소(1103)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동성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측정 보고는 제 1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제 2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단말과 연결 상태에 있는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이 전술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 내에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하도록 하기 위해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는 측정 구성(MeasConfig) 정보에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는 측정 구성(MeasConfig)에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측정 보고 메시지를 통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스몰셀로의 핸드오버 결정을 하지 않고 매크로 셀 계층에 머물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예로, 기지국은 높은 이동성(고속 이동)으로 수신된 단말에 대해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몰셀 주파수 측정 대상(measurement object)에 대해 측정 구성을 하지 않음으로써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주기를 길게 하여 구성하거나, 스몰셀에 대해 일정시간 이후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수행하여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경우라도 일정한 경우(일 예로, 매크로셀 무선품질 문제, 매크로셀 무선 링크 실패)를 제외하고는 스몰셀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의 이동성 상태는 끊임없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저속으로 이동하던 단말이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서 고속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고속으로 이동하던 단말이 저속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의 이동성 상태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성 상태를 변경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전술한 RRC 연결(Connection) 설정 절차 동안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 제 1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이동성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경우에 제 2 기지국으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갱신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기지국이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이동성 상태가 변경된 경우의 각 실시예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 6 실시예 : 높은 이동성 상태 유지 타이머를 사용하는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기지국은 RRC 연결(Connection) 설정 절차 동안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기지국은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이동성 상태를 수신하는 경우,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기지국은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기지국은 높은 이동성 상태로 수신된 단말에 대해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주기를 길게 하여 구성하거나, 스몰셀에 대해 일정시간 이후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기지국은 스몰셀에 대한 측정 구성을 수행하여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경우라도 일정한 경우(일 예로, 매크로셀 무선품질 문제, 매크로셀 무선 링크 실패)를 제외하고는 스몰셀로 핸드오버를 결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전술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RRC 연결(Connected) 단말에 대해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성 관련 정보의 전달은 위에서 설명한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의 방법에 따를 수 있고, 전달되는 이동성 관련 정보는 이동성 상태 정보 또는 방문 셀 가용정보 또는 방문 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만약, RRC 연결(Connected) 단말에 대해 전술한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 1 기지국은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갱신하거나 제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술한 조치를 해제할 수 있다.
전술한 타이머가 만료되어 단말 이동성 정보가 높은 이동성 상태가 아닌 상태로 갱신되거나 제거된 경우에는 핸드오버가 발생하더라도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타이머 정보는 제 1 기지국이 제 2 기지국으로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를 전달할 때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술한 타이머 정보는 제 2 기지국에 사전 구성되어 제 2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시작될 수도 있다.
제 7 실시예 : 단말로부터 이동성 상태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방법.
RRC 연결(Connection) 설정 절차 동안 고속 이동상태에 있던 단말이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이동상태에 변화가 생기면, 기지국은 고속 이동 상태의 단말이 스몰 셀로 핸드오버하지 않도록 하는 전술한 조치를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로 이동성 상태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일 예로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로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taion Request) 메시지에 단말의 이동성 상태 요청 표시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메시지를 통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성 관련 정보는 일 예로, 전술한 highmobilityInfo 또는 mobilitystateInfo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동성 관련 정보가 방문 셀 정보 또는 방문 셀 정보가 가용함을 표시하는 가용 정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 요청 표시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단말의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방문 셀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로 전술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시그널링은 기존 RRC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되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내기 위한 메시지는 기존 RRC 메시지 또는 새로운 RRC 메시지일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에서 단말에 이동성 관련 정보 요청 여부에 관계없이, RRC 연결(Connected) 단말은 RRC 연결(Connection) 설정 동안 기지국으로 보낸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와 다른 단말 이동성 상태가 검출되면, 변경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변경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일 예로, 높은 이동성 → 낮은 이동성)하면, 기지국은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술한 조치들을 해제할 수 있다. 단말이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는 기존 RRC 메시지 또는 새로운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RRC 메시지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또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 또는 업링크 정보 전송(UL Information transfer)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새롭게 정의되는 새로운 RRC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의 이동성 상태가 고속으로 변경된 경우에도 전술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은 RRC 연결(Connection) 설정 동안 높은 단말 이동성 상태가 아닌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제공한 단말이 높은 이동성 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스몰 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이 RRC 연결 설정 동안 중간(Medium) 이동성 상태 또는 보통(normal) 이동성 상태 또는 느린 이동성 상태를 지시하는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거나, 높은(High) 이동성 관련 정보를 미포함하여 RRC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에 이후, 단말의 이동성 상태 변화에 따라서 핸드오버를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핸드오버 이전 또는 핸드오버 동안 또는 핸드오버 이후에 단말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고, 변경된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변경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핸드오버 동안 단말 변경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시그널링은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변경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 이전 또는 핸드오버 동안 또는 핸드오버 이후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에 기초하여 변경된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히스토리 정보는 3GPP Release-11까지의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 또는 본 발명의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히스토리 정보(UE history information)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에서 단말에 이동성 관련 정보 요청을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RRC 연결(Connected) 단말은 RRC 연결(Connection) 설정 절차 동안 보낸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와 다른 단말 이동성 상태가 검출되면, 변경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지국(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으로 보낼 수 있다. 기지국이 변경된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변경 상태가 고속 이동성 상태로 판단되면, 기지국은 단말이 스몰셀 계층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이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내기 위한 메시지는 기존 RRC 메시지(예를 들어, measurement report 또는 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 또는 UL Information transfer 메시지) 또는 새로운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의 IDLE 상태에서 이동성 상태와 관련한 이동성 관련 정보는 RRC 연결 과정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 또는 단말로부터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고속 이동 단말이 스몰 셀 계층으로 핸드오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각각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은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핸드오버의 타켓 기지국인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S1210). 제 1 기지국은 단말과 RRC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를 통해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 및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성 관련 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또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단말과 RRC 연결을 설정하고, 단말의 이동 상황에 따라서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있다(S1220). 즉,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제 2 기지국으로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있다.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스몰 셀 계층으로 핸드오버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해서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230). 예를 들어, 이동성 관련 정보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제 2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이동성 관련 정보 및 연결 상태에서 단말의 방문 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고,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이동성 관련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으며, 제 2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이동성 관련 정보 및 단말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1310).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 및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이동성 관련 정보 및 RRC 연결 상태에서의 단말 방문 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추정된 단말의 이동성 상태에 기초하여 스몰 셀 계층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은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이동성 관련 정보 및 단말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은 이동성 관련 정보가 단말의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로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로부터 방문 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방문 셀 정보 및 단말의 연결상태 방문 셀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과 같이 제 2 기지국은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410). 이 경우, 이동성 관련 정보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이동성 관련 정보 및 연결 상태에서 단말이 방문한 방문 셀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S1420). 다른 예로, 제 2 기지국은 이동성 관련 정보에 방문 셀 가용 정보만이 포함되는 경우와 같이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기에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S1420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기지국은 이동성 관련 정보에 방문 셀 가용 정보가 포함되면 S1420 단계 없이 S1430 단계를 진행할 수도 있다.
만약, 수신된 이동성 관련 정보가 방문 셀 가용 정보인 경우에 제 2 기지국은 단말로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430). 일 예로, 셀 리셀렉션 히스토리를 요청하는 정보는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방문 셀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440). 일 예로, 방문 셀 정보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기지국이 요청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고, 다른 방법으로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또는 제 2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서 단말은 방문 셀 정보가 아닌 다른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이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이동성 관련 정보는 일 예로, 이동성 상태 정보일 수도 있다.
제 2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방문 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연결 상태 단말의 방문 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1420 단계가 생략되는 경우에 제 2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은 제 1 기지국으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1510). 예를 들어,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 및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또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제 1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한 후 제 1 기지국의 결정에 따라서 핸드오버 명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520).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과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530).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 2 기지국으로부터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기지국으로 방문 셀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기지국으로부터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은 제 1 기지국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610). 일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 및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동성 관련 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또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제 1 기지국의 결정에 따라 핸드오버 명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620).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과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S1630).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이동성 관련 정보가 단말의 방문 셀 가용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단말은 제 2 기지국으로부터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1640). 일 예로, 셀 리셀렉션 히스토리를 요청하는 정보는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단말은 제 2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IDLE 상태에서의 방문 셀 정보를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650). 일 예로, 방문 셀 정보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방문 셀 정보뿐만 아니라 단말의 IDLE 상태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HetNet 환경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스몰셀을 이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빠르게 이동하는 단말의 스몰셀 이용을 지속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핸드오버 성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의 이동성이 변경되는 경우 이를 갱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단말 이동성에 기반해 효과적으로 핸드오버 및 데이터 오프로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에서 획득되는 단말 이동성 관련 정보를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더라도 타켓 기지국이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타켓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정확히 추정하고, 이동성 상태에 기초한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를 수행하여 고속 이동 단말의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1700)은 단말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710)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제어부(1720) 및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핸드오버의 타켓 기지국인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1730)를 포함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수신부(1710)는 단말로부터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 및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수신부(1710)는 이동성 관련 정보가 포함된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또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부(1730)는 제 2 기지국으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1730)가 전송하는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제어부(1720)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며, 본 발명의 단말의 이동성 상태 추정 및 이동성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고,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필요한 전반적인 제 1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 외에도 송신부(1730)와 수신부(17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 및 제 2 기지국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1800)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810) 및 이동성 관련 정보 및 단말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는 제어부(1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기지국(1800)은 단말로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송신부(1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리셀렉션 히스토리를 요청하는 정보는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수신부(1810)는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 및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수신부(1810)는 단말로부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820)는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 및 단말의 연결상태 방문 셀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갱신할 수 있고,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성 상태를 추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20)는 본 발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성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제어하는 데에 필요한 제 2 기지국(1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 외에도 송신부(1830)와 수신부(18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 및 제 1 기지국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900)은 제 1 기지국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1920)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930) 및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어부(19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송신부(1920)는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성 관련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 및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성 관련 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또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920)는 제 2 기지국으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수신부(1930)는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고, 제 2 기지국으로부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 셀 리셀렉션 및 핸드오버 히스토리를 요청하는 정보는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910)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스몰 셀로의 핸드오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19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외, 송신부(1920)는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수신부(1930)는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몰 셀이 전개된 통신 환경에서도 단말의 과도한 핸드오버 수행을 방지하여 전력 소모 및 통신 품질 저하를 감소시키기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상황과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구분하여 단말의 이동성 상태에 따라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0)

  1. 제 1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핸드오버의 타켓 기지국인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 및 상기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또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인 방법.
  5. 제 2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 및 단말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 및 상기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가 상기 단말의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연결상태 방문 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는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인 방법.
  11.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 및 상기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또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는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고,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방법.
  16.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 1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핸드오버의 타켓 기지국인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 및 상기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또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기지국.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전송하는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인 기지국.
  20.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 2 기지국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 및 단말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추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 및 상기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가 상기 단말의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연결상태 방문 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갱신하는 기지국.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는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기지국.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인 기지국.
  26.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 및 상기 방문 셀 정보에 대한 가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련 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또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단말.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더 전송하는 단말.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는 단말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고,
    상기 마지막 시간주기 동안의 방문 셀 정보는 단말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하는 단말.
KR1020140000458A 2013-07-05 2014-01-02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054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657 2013-07-05
KR1020130078657 2013-07-05
KR1020130156570 2013-12-16
KR1020130156570A KR20150005417A (ko) 2013-07-05 2013-12-16 이동성 정보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21A true KR20150005421A (ko) 2015-01-14

Family

ID=524772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570A KR20150005417A (ko) 2013-07-05 2013-12-16 이동성 정보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KR1020140000458A KR20150005421A (ko) 2013-07-05 2014-01-02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570A KR20150005417A (ko) 2013-07-05 2013-12-16 이동성 정보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0541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220A1 (ko) * 2015-01-28 2016-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8147667A1 (ko) * 2017-02-09 2018-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21060955A1 (en) * 2019-09-26 2021-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specific customization of handover parameters using characterization of a device's radio environment
KR20230034716A (ko) * 2021-09-03 2023-03-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통신 기지국 서버, 이동 통신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220A1 (ko) * 2015-01-28 2016-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92773A (ko) * 2015-01-28 2016-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405232B2 (en) 2015-01-28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 balanc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147667A1 (ko) * 2017-02-09 2018-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이동성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986485B2 (en) 2017-02-09 2021-04-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easuring mobility state of terminal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WO2021060955A1 (en) * 2019-09-26 2021-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specific customization of handover parameters using characterization of a device's radio environment
US11696205B2 (en) 2019-09-26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specific customization of handover parameters using characterization of a device's radio environment
KR20230034716A (ko) * 2021-09-03 2023-03-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통신 기지국 서버, 이동 통신 방법 및 사용자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17A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9766B2 (ja) 無線端末、基地局、及びこれらの方法
US103346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connection state of UE
US10848983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EP26018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ange expans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1917793B1 (ko) Mbsfn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800075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easur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608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cooperative cell clustering-based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handover
CN110574424A (zh) 用于执行基于终端的切换的方法及其设备
US20140141785A1 (en) Cell change method and device
KR102001301B1 (ko) 단말의 연결 상태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EP2117250A1 (en) Method for handovering a terminal to a macrocell, system, terminal, ap and gateway thereof
US98877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asurement
KR102084004B1 (ko) Rrc idle 모드에서의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078683A1 (en) Method, node and ue for initiating handover
WO2014007337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無線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190281525A1 (en) Method for terminal to perform cell re-selection procedure, and device supporting same
KR20150005421A (ko)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986485B2 (en) Method for measuring mobility state of terminal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KR20140106368A (ko) 이종망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20160007959A (ko) 부하 분산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56827A (ko) Aerial Vehicle 단말을 위한 이동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89294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무선랜 신호 품질 측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