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793B1 - Mbsfn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Mbsfn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793B1
KR101917793B1 KR1020177009235A KR20177009235A KR101917793B1 KR 101917793 B1 KR101917793 B1 KR 101917793B1 KR 1020177009235 A KR1020177009235 A KR 1020177009235A KR 20177009235 A KR20177009235 A KR 20177009235A KR 101917793 B1 KR101917793 B1 KR 101917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mbms
service
interest
mbms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494A (ko
Inventor
김상원
이영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5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s, e.g. MB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6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comprising mechanisms for improved reliability, e.g. status reports
    • H04L12/1877Measures taken prior to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단말이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MBMS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단말은 제1 셀로부터 MBSFN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셀 리스트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셀은 상기 단말이 MBMS 베어러를 통해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이다. 단말은 수신된 상기 MBMS 셀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셀의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통해 MBMS 서비스를 수행한다.

Description

MBSFN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이동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MBMS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핸드오버(handover)란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현재의 통신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여 인접한 통신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할 때 인접한 통신 서비스 지역의 새로운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에 자동 동조(tuning)되어 지속적으로 통화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말한다. 즉, 특정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단말은 그 특정 기지국에서의 신호 세기가 약해질 경우 다른 인접 기지국에 링크(link)된다.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면 인접 셀로 이동 시 발생하는 호 단절(call disconnection)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는 기존의 CBS(Cell Broadcast Service)와 유사하게 동일하게 데이터 패킷을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CBS는 저속의 메시지 기반 서비스이지만 MBMS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CBS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이 아니지만 MBMS는 IP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MBMS에 따르면, 일정 수준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셀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공유 자원(또는 채널)을 사용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자원의 효율이 높아지고, 사용자들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값싸게 이용할 수 있다.
MBMS는 하나의 서비스를 복수의 단말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해서, 공용채널을 사용한다.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서, 기지국은 한 셀에서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의 수만큼 전용채널을 할당하지 않고, 하나의 공용채널만을 할당한다. 그리고 복수의 단말들은 상기 공용채널을 동시에 수신하므로, 무선 자원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MBMS 관련하여 단말은 해당 셀에 대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수신 후에 MBMS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MBMS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단말은 현재 MBMS 베어러(bearer)를 통해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로부터 MBSFN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BMS 셀 리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MBMS 셀 리스트를 기반으로, 이웃 셀로 이동하더라도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통해 단말들과 MBMS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MBMS 셀 리스트는 MBSFN 영역 단위, 서비스 영역 단위, 서비스 단위 또는 주파수 단위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이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1 셀로부터 상기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의 정보를 포함하는 MBMS 셀 리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MBMS 셀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2 셀이 상기 MBMS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상기 제2 셀의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통해 상기 MBMS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셀은 상기 단말이 MBMS 베어러(bearer)를 통해 상기 MBMS 서비스를 수행하는 셀일 수 있다.
상기 MBMS 셀 리스트는 MBSFN 영역 단위, 서비스 영역 단위, 서비스 단위 또는 주파수 단위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상기 MBMS 셀 리스트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USD(User Service Description) 또는 전용 시그널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2 셀은 상기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MBSFN 영역이 상기 제1 셀과 다를 수 있다.
상기 MBMS 셀 리스트는 상기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의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셀의 주파수는 상기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셀의 ID는 상기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이 RRC CONNECTED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셀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셀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유니캐스트 전송을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셀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ing)가 트리거 되는 셀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이 RRC IDLE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셀을 새로운 서빙 셀(Serving cell)로 선택하고, 상기 제2 셀에게 상기 유니캐스트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셀에게 RRC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셀은 품질 측정 결과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 값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니캐스트 베어러의 설정은 NAS 메시지 또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메모리; 송수신기;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가 제1 셀로부터 상기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의 정보를 포함하는 MBMS 셀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고, 수신된 상기 MBMS 셀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2 셀이 상기 MBMS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상기 제2 셀의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통해 상기 MBMS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셀은 상기 단말이 MBMS 베어러를 통해 상기 MBMS 서비스를 수행하는 셀일 수 있다.
상기 제2 셀의 ID는 상기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단말이 현재 MBMS 서비스를 받고 있는 MBSFN 영역에서, 다른 MBSFN 영역 또는 Non-MBSFN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MBMS 서비스의 지연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MBMS를 위해 핵심망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MBMS 지원을 위한 사용자 평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MBMS 지원을 위한 제어 평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단말이 기존의 MBSFN 영역에서 다른 MBSFN 영역 또는 Non-MBSFN 영역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RC_CONNECTED MODE에서 단말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RC_IDLE MODE에서 단말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BSFN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MBMS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는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LTE-A 시스템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TRAN은 단말에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S),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eNB), 피코 기지국(pico-eNB), 홈 기지국(Home eN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적어도 하나의 셀을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셀은 기지국(20)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선택적인(optional)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의 조합(combin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하나의 셀(cell)은 상향 및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이 항상 쌍(pair)으로 존재한다.
기지국(20)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소스 기지국(Source BS, 21)은 현재 단말(10)과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기지국을 의미하고, 타겟 기지국(Target BS, 22)은 단말(10)이 소스 기지국(21)과의 무선 베어러를 끊고 새롭게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하려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X2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간의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사용된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S(Evolved Packet System),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관리개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S-GW(Serving Gateway, 30)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과 MME/S-GW(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MME/S-GW(30)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PDN-GW(40)이 사용된다. PDN-GW(40)는 통신의 목적이나 서비스에 따라 달라지며,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PDN-GW(40)는 APN(Access Point Name) 정보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다.
E-UTRAN 내(Inter E-UTRAN) 핸드오버(handover)는 E-UTRAN 접속망간의 핸드오버시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핸드오버 메커니즘으로서, X2 기반의 핸드오버와 S1 기반의 핸드오버로 구성되어 있다. X2 기반의 핸드오버는 UE가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소스 기지국(source BS, 21)에서 타겟 기지국(target BS, 22)으로 핸드오버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이때 MME/S-GW(30)는 변경되지 않는다. S1 기반의 핸드오버에 의해, P-GW(40), MME/S-GW(30), 소스 기지국(21) 및 단말(10)간에 설정되어 있던 제1 베어러가 해제(release)되고, P-GW(40), MME/S-GW(30), 타겟 기지국(22) 및 단말(10)간에 새로운 제2 베어러가 설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MBMS를 위해 핵심망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접속망(EUTRAN, 200)은 다중셀 조정개체(Multi-cell Coordination Entity, 이하 MCE, 210)와 기지국(eNB, 220)을 포함한다. MCE(210)는 MBMS를 제어하는 주요 개체(main entity)로서, MBSFN 지역 내에서의 기지국(220)의 세션 관리, 무선자원할당(radio resource allocation)이나 허가제어(admission control)의 역할을 수행한다. MCE(210)는 기지국(220)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기지국(220)과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MCE(210)와 기지국(220)간의 인터페이스는 M2 인터페이스라 한다. M2 인터페이스는 무선접속망(200)의 내부 제어평면(internal control plane) 인터페이스로서 MBMS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MCE(210)가 기지국(220)내에 구현되는 경우, M2 인터페이스는 논리적으로만 존재할 수 있다.
EPC(Evolved Packet Core, 250)는 MME(260)와 MBMS 게이트웨이(MBMS GW, 270)를 포함한다. MME(260)는 NAS 시그널링, 로밍(roading), 인증(authentification), PDN 게이트웨이와 S-GW의 선택, MME 변경에 의한 핸드오버를 위한 MME 선택, 휴지모드 단말에 대한 접근성(reachability), AS 보안제어(security control)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MBMS 게이트웨이(270)는 MBMS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개체로서 기지국(220)과 BM-SC의 사이에 위치하며 기지국(220)으로의 MBMS 패킷 전송과 브로드캐스트를 수행한다. MBMS 게이트웨이(270)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지국(220)으로 전송하기 위해 PDCP와 IP 멀티캐스트를 이용하고, 무선접속망(200)에 대해 세션 제어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MME(260)와 MCE(210)간의 인터페이스는 무선접속망(200)과 EPC(250)간의 제어평면 인터페이스로서, M3 인터페이스라 하며 MBMS 세션 제어와 관련된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MME(260)와 MCE(210)은 세션 개시(Session start) 또는 세션 중단(session stop)을 위한 세션 개시/중단(session start/stop) 메시지와 같은 세션 제어 시그널링을 기지국(220)으로 전송하고, 기지국(220)은 셀 통지(notification)를 통하여 해당 MBMS 서비스가 개시 또는 중단되었음을 단말에 알려 줄 수 있다.
기지국(220)과 MBMS 게이트웨이(270)간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평면의 인터페이스로서, M1 인터페이스라 하며 MBMS 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된다.
한편, 단말이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중 위치 이동으로 인하여 셀을 변경할 경우, MBMS 서비스 수신을 연속적으로 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도 단말이 지속적으로 MBMS 서비스 수신을 위하여 복호화 동작을 수행할 경우 배터리 소모를 야기할 수 있다. MBMS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이 핸드오버 시에 자원의 낭비없이 MBMS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소스 셀(source cell)은 현재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셀을 의미한다. 소스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소스 기지국이라 한다. 인접 셀(neighbor)은 소스 셀과 지리적으로 또는 주파수 대역상에서 인접한 셀을 의미한다. 소스 셀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는 인접 셀을 주파수 내 인접 셀(Intra-frequency Neighbour Cell)이라 한다. 또한, 소스 셀을 기준으로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는 인접 셀을 주파수 간 인접셀(Inter-frequency Neighbour Cell)라고 한다. 즉, 소스 셀과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뿐만 아니라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로서, 소스 셀과 인접한 셀은 모두 인접 셀이라 할 수 있다.
단말이 소스 셀에서 주파수내 인접 셀로 핸드오버하는 것을 주파수내 핸드오버(Intra-frequency Handover)라 한다. 한편, 단말이 소스 셀에서 주파수간 인접 셀로 핸드오버하는 것을 주파수간 핸드오버(Inter-frequency Handover)라 한다. 핸드오버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인접 셀을 타겟 셀(target cell)이라 한다. 그리고 타겟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타겟 기지국이라 한다.
소스 셀과 타겟 셀은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기지국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스 셀과 타겟 셀이 서로 다른 기지국, 즉 소스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소스 기지국과 소스 셀간, 타겟 기지국과 타겟 셀간에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MBMS 서비스는 셀 기반(cell-based) 또는 지리 기반(geography-based)으로 관리 또는 지역화(localization)될 수 있다. MBMS 서비스 지역(service area)은 특정한 MBMS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을 널리 일컫는 용어이다. 예를 들어, 특정한 MBMS 서비스 A가 진행되는 지역을 MBMS 서비스 지역 A라고 한다면, MBMS 서비스 지역 A에서 네트워크는 MBMS 서비스 A를 송신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단말의 성능(capability)에 따라서 MBMS 서비스 A를 수신할 수 있다. MBMS 서비스 영역은 특정한 서비스가 일정 지역에서 제공되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응용(application) 및 서비스의 관점에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단말의 RRC 상태 (RRC state)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RRC 상태란 단말의 RRC 계층이 E-UTRAN의 RRC 계층과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 연결 상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RRC 아이들 상태라고 부른다. RRC 연결 상태의 단말은 RRC 연결이 존재하기 때문에 E-UTRAN은 해당 단말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RRC 아이들 상태의 단말은 E-UTRAN이 파악할 수는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단위로 CN(core network)이 관리한다. 즉, RRC 아이들 상태의 단말은 큰 지역 단위로 존재 여부만 파악되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통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RRC 연결 상태로 이동해야 한다.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단말은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 아이들 상태에 머무른다. RRC 아이들 상태의 단말은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을 때 비로소 RRC 연결 과정(RRC connection procedure)을 통해 E-UTRAN과 RRC 연결을 확립하고,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한다. RRC 아이들 상태에 있던 단말이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화 시도 등의 이유로 상향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거나, 아니면 E-UTRAN으로부터 호출(paging)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 등을 들 수 있다.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NAS 계층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하여 EMM-REGISTERED(EPS Mobility Management-REGISTERED) 및 EMM-DEREGISTERED 두 가지 상태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과 MME에게 적용된다. 초기 단말은 EMM-DEREGISTERED 상태이며, 이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초기 연결(Initial Attach) 절차를 통해서 해당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Attach)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단말 및 MME는 EMM-REGISTERED 상태가 된다.
단말과 EPC간 시그널링 연결(signaling connection)을 관리하기 위하여 ECM(EPS Connection Management)-IDLE 상태 및 ECM-CONNECTED 상태 두 가지 상태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 및 MME에게 적용된다. ECM-IDLE 상태의 단말이 E-UTRAN과 RRC 연결을 맺으면 해당 단말은 ECM-CONNECTED 상태가 된다. ECM-IDLE 상태에 있는 MME는 E-UTRAN과 S1 연결(S1 connection)을 맺으면 ECM-CONNECTED 상태가 된다. 단말이 ECM-IDLE 상태에 있을 때에는 E-UTRAN은 단말의 배경(context)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ECM-IDLE 상태의 단말은 네트워크의 명령을 받을 필요 없이 셀 선택(cell selection) 또는 셀 재선택(reselection)과 같은 단말 기반의 이동성 관련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단말이 ECM-CONNECTED 상태에 있을 때에는 단말의 이동성은 네트워크의 명령에 의해서 관리된다. ECM-IDLE 상태에서 단말의 위치가 네트워크가 알고 있는 위치와 달라질 경우 단말은 트래킹 영역 갱신(Tracking Area Update) 절차를 통해 네트워크에 단말의 해당 위치를 알린다.
다음은 단말이 셀을 선택하는 절차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전원이 켜지거나 셀에 머물러 있을 때, 단말은 적절한 품질의 셀을 선택/재선택하여 서비스를 받기 위한 절차들을 수행한다.
RRC 아이들 상태의 단말은 항상 적절한 품질의 셀을 선택하여 이 셀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원이 막 켜진 단말은 네트워크에 등록을 하기 위해 적절한 품질의 셀을 선택해야 한다. RRC 연결 상태에 있던 상기 단말이 RRC 아이들 상태에 진입하면, 상기 단말은 RRC 아이들 상태에서 머무를 셀을 선택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이 RRC 아이들 상태와 같은 서비스 대기 상태로 머물고 있기 위해서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 셀을 고르는 과정을 셀 선택(Cell Selection)이라고 한다. 중요한 점은, 상기 셀 선택은 상기 단말이 상기 RRC 아이들 상태로 머물러 있을 셀을 현재 결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므로, 가능한 신속하게 셀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일정 기준 이상의 무선 신호 품질을 제공하는 셀이라면, 비록 이 셀이 단말에게 가장 좋은 무선 신호 품질을 제공하는 셀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단말의 셀 선택 과정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제 3GPP TS 36.304 V8.5.0 (2009-03) "User Equipment (UE) procedures in idle mode (Release 8)"을 참조하여, 3GPP LTE에서 단말이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절차에 대하여 상술한다.
셀 선택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초기 셀 선택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는 상기 단말이 무선 채널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적절한 셀을 찾기 위해 모든 무선 채널을 검색한다. 각 채널에서 상기 단말은 가장 강한 셀을 찾는다. 이후, 상기 단말이 셀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적절한(suitable) 셀을 찾기만 하면 해당 셀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단말은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거나, 셀에서 방송하고 있는 정보를 활용하여 셀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셀 선택 과정에 비해 셀 선택이 신속할 수 있다. 단말이 셀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셀을 찾기만 하면 해당 셀을 선택한다. 만약 이 과정을 통해 셀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적절한 셀을 찾지 못하면, 단말은 초기 셀 선택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이 일단 셀 선택 과정을 통해 어떤 셀을 선택한 이후, 단말의 이동성 또는 무선 환경의 변화 등으로 단말과 기지국간의 신호의 세기나 품질이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선택한 셀의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단말은 더 좋은 품질을 제공하는 다른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셀을 다시 선택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현재 선택된 셀보다 더 좋은 신호 품질을 제공하는 셀을 선택한다. 이런 과정을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이라고 한다. 상기 셀 재선택 과정은, 무선 신호의 품질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단말에게 가장 좋은 품질을 제공하는 셀을 선택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무선 신호의 품질 관점 이외에, 네트워크는 주파수 별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단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우선 순위를 수신한 단말은, 셀 재선택 과정에서 이 우선 순위를 무선 신호 품질 기준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하게 된다.
위와 같이 무선 환경의 신호 특성에 따라 셀을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방법이 있으며, 셀 재선택시 재선택을 위한 셀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셀의 RAT와 주파수(frequency)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셀 재선택 방법이 있을 수 있다.
- 인트라-주파수(Intra-frequency) 셀 재선택: 단말이 캠핑(camp) 중인 셀과 같은 RAT과 같은 중심 주파수(center-frequency)를 가지는 셀을 재선택
- 인터-주파수(Inter-frequency) 셀 재선택: 단말이 캠핑 중인 셀과 같은 RAT과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셀을 재선택
- 인터-RAT(Inter-RAT) 셀 재선택: 단말이 캠핑 중인 RAT와 다른 RAT을 사용하는 셀을 재선택
셀 재선택 과정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말은 셀 재선택을 위하여 서빙 셀(serving cell) 및 이웃 셀(neighboring cell)의 품질을 측정한다.
둘째, 셀 재선택은 셀 재선택 기준에 기반하여 수행된다. 셀 재선택 기준은 서빙 셀 및 이웃 셀 측정에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인트라-주파수 셀 재선택은 기본적으로 랭킹(ranking)에 기반한다. 랭킹이라는 것은, 셀 재선택 평가를 위한 지표값을 정의하고, 이 지표값을 이용하여 셀들을 지표값의 크기 순으로 순서를 매기는 작업이다. 가장 좋은 지표를 가지는 셀을 흔히 최고 순위 셀(highest ranked cell)이라고 부른다. 셀 지표값은 단말이 해당 셀에 대해 측정한 값을 기본으로, 필요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 또는 셀 오프셋을 적용한 값이다.
인터-주파수 셀 재선택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된 주파수 우선순위에 기반한다. 단말은 가장 높은 주파수 우선순위를 가진 주파수에 머무를(camp on) 수 있도록 시도한다. 네트워크는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broadcast signaling)를 통해서 셀 내 단말들이 공통적으로 적용할 또는 주파수 우선순위를 제공하거나, 단말별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을 통해 단말 별로 각각 주파수 별 우선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을 통해 제공되는 셀 재선택 우선순위를 공용 우선순위(common priority)라고 할 수 있고, 단말별로 네트워크가 설정하는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전용 우선순위(dedicated priority)라고 할 수 있다. 단말은 전용 우선순위를 수신하면, 전용 우선순위와 관련된 유효 시간(validity time)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전용 우선순위를 수신하면 함께 수신한 유효 시간으로 설정된 유효성 타이머(validity timer)를 개시한다. 단말은 유효성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RRC 아이들 모드에서 전용 우선순위를 적용한다. 유효성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전용 우선순위를 폐기하고, 다시 공용 우선순위를 적용한다.
인터-주파수 셀 재선택을 위해 네트워크는 단말에게 셀 재선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예를 들어 주파수별 오프셋(frequency-specific offset))를 주파수별로 제공할 수 있다.
인트라-주파수 셀 재선택 또는 인터-주파수 셀 재선택을 위해 네트워크는 단말에게 셀 재선택에 사용되는 이웃 셀 리스트(Neighboring Cell List, NCL)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NCL은 셀 재선택에 사용되는 셀 별 파라미터(예를 들어 셀 별 오프셋(cell-specific offset))를 포함한다
인트라-주파수 또는 인터-주파수 셀 재선택을 위해 네트워크는 단말에게 셀 재선택에 사용되는 셀 재선택 금지 리스트(black list)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금지 리스트에 포함된 셀에 대해 단말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어서, 셀 재선택 평가 과정에서 수행하는 랭킹에 관해 설명한다.
셀의 우선순위를 주는데 사용되는 랭킹 지표(ranking criterion)은 수학식 1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7033217277-pct00001
여기서, Rs는 서빙 셀의 랭킹 지표, Rn은 이웃 셀의 랭킹 지표, Qmeas,s는 단말이 서빙 셀에 대해 측정한 품질값, Qmeas,n는 단말이 이웃 셀에 대해 측정한 품질값, Qhyst는 랭킹을 위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값, Qoffset은 두 셀간의 오프셋이다.
인트라-주파수에서, 단말이 서빙 셀과 이웃 셀 간의 오프셋(Qoffsets,n)을 수신한 경우 Qoffset=Qoffsets,n 이고, 단말이 Qoffsets,n 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Qoffset = 0 이다.
인터-주파수에서, 단말이 해당 셀에 대한 오프셋(Qoffsets,n)을 수신한 경우 Qoffset = Qoffsets,n + Qfrequency 이고, 단말이 Qoffsets,n 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Qoffset = Qfrequency 이다.
서빙 셀의 랭킹 지표(Rs)과 이웃 셀의 랭킹 지표(Rn)이 서로 비슷한 상태에서 변동하면, 변동 결과 랭킹 순위가 자꾸 뒤바뀌어 단말이 두 셀을 번갈아가면서 재선택을 할 수 있다. Qhyst는 셀 재선택에서 히스테리시스를 주어, 단말이 두 셀을 번갈아가면서 재선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단말은 위 식에 따라 서빙 셀의 Rs 및 이웃 셀의 Rn을 측정하고, 랭킹 지표 값이 가장 큰 값을 가진 셀을 최고 순위(highest ranked) 셀로 간주하고, 이 셀을 재선택한다.
상기 기준에 의하면, 셀의 품질이 셀 재선택에서 가장 주요한 기준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재선택한 셀이 정규 셀(suitable cell)이 아니면 단말은 해당 주파수 또는 해당 셀을 셀 재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제 MBMS 및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MBSFN 전송 또는 MBSFN 모드에서의 전송은 복수의 셀들에서 동일 시간에 동일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시 전송 기법을 의미한다. MBSFN 영역 내에 있는 복수의 셀들로부터의 MBSFN 전송은 단말에게 단일 전송으로 보이게 된다.
MBMS를 위한 전송채널 MCH 채널은 논리채널 MCCH 채널 또는 MTCH 채널이 맵핑될 수 있다. MCCH 채널은 MBMS 관련 RRC메시지를 전송하고, MTCH 채널은 특정 MBMS 서비스의 트래픽을 전송한다. 동일한 MBMS정보/트래픽을 전송하는 하나의 MBSFN(MBMS Single Frequency Network) 지역마다 하나의 MCCH 채널이 있으며, 복수의 MBSFN 지역들이 하나의 셀에서 제공될 경우, 단말은 복수의 MCCH 채널을 수신할 수도 있다. 특정 MCCH 채널에서 MBMS 관련 RRC 메시지가 변경될 경우, PDCCH 채널은 M-RNTI(MBMS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와 특정 MCCH 채널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전송한다. MBMS를 지원하는 단말은 상기 PDCCH 채널을 통해 M-RNTI와 MCCH 지시자를 수신하여, 특정 MCCH 채널에서 MBMS 관련 RRC 메시지가 변경되었음을 파악하고, 상기 특정 MCCH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MCCH 채널의 RRC 메시지는 변경 주기마다 변경될 수 있으며, 반복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방송된다.
단말은 MBMS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안, 전용 서비스(Dedicated Service)를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서, MBMS 서비스를 통해서 TV를 시청하는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MSN 또는 Skype같은 IM (instant messaging) 서비스를 이용하여 채팅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MBMS 서비스는 여러 단말이 같이 수신하는 MTCH를 통해서 제공되고, IM 서비스 처럼 각각의 단말에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DCCH 또는 DTCH같은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통해서 제공될 것이다.
한 지역에서, 어떤 기지국은 동시에 여러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주파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 주파수에서만 MBMS 서비스를 제공 하고, 그리고 모든 주파수에서 각 단말에게 전용 베어러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MBMS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주파수에서 전용 베어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 받던 단말이, MBMS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은 경우, 상기 단말은 MBMS가 제공되는 주파수로 핸드오버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MBMS 관심 지시자(interest Indication)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즉 단말은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 싶을 경우, MBMS 관심 지시자(interest indication)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은 상기 지시를 받으면, 단말이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 싶다고 인식하여, 상기 단말을 MBMS가 제공되는 주파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MBMS 관심 지시자는 단말이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 싶다는 정보를 의미하며, 추가적으로 어느 주파수로 이동하고 싶은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특정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은 먼저 상기 특정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파수 정보와 방송 시간 정보를 파악한다. 상기 MBMS 서비스가 이미 방송 중이거나 또는 곧 방송을 시작하면, 단말은 상기 MBMS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파수의 우선 순위를 가장 높게 설정한다. 단말은 재설정된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를 이용하여 셀 재선택 프로시저를 수행함으로써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로 이동하여 MBMS 서비스를 수신한다.
단말이 MBMS 서비스를 수신중에 있거나 또는 수신하는 것이 관심이 있는 경우 및 MBMS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파수에 캠프온 되는 동안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재선택된 셀이 SIB13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하와 같은 상황이 지속되는 한 MBMS 세션 동안 해당 주파수에 최우선순위가 적용되었다고 고려할 수 있다.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MBMS SAIs(Service Area Identities)가 해당 서비스의 USD(User Service Description)에 포함되어 있음이 서빙 셀의 SIB15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
- SIB15가 서빙셀 내에서 방송되지 않고 해당 주파수는 해당 서비스의 USD내에 포함되는 경우.
도 3은 MBMS 지원을 위한 사용자 평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MBMS 지원을 위한 제어 평면 구조를 나타낸다.
단말은 RRC_IDLE, RRC_CONNECTED 상태에서 MBMS 수신이 가능해야 한다.
RRC_IDLE 상태에서 단말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1) 상위 계층에 의하여 단말 특정적 DRX가 설정될 수 있다. 2) 단말은 콜, 시스템 정보 변화, ETWS 알림 등을 검출하기 위하여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인접 셀 측정 및 셀 선택(재선택)을 수행한다. 단말은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고, 가능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에서 단말은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전달하고, 하위 레이어에서 단말 특정적 DRX가 설정될 수 있다. CA를 지원하는 단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컨더리 셀을 프라이머리 셀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단말은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시스템 정보 변경을 검출하기 위하여 시스템 정보 블록(SIB) 타입 1 내용을 모니터링한다. 데이터가 자신을 위하여 스케줄링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공유 데이터 채널에 연관된 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채널 품질 및 피드백 정보를 제공한다. 단말은 이웃 셀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리포팅할 수 있으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MBMS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논리 채널인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는 다음 특징을 가진다.
하나의 MBSFN 영역은 하나의 MCCH와 연관되고, 하나의 MCCH 는 하나의 MBSFN 영역과 대응된다. MCCH는 MCH(multicast channel)를 통해 전송된다. MCCH는 하나의 MBSFN 영역 설정 RRC 메시지를 포함하며 모든 MBMS 서비스들의 리스트를 가진다. MCCH는 MBSFN 영역 유보 셀을 제외한 MBSFN 영역 내의 모든 셀들에서 전송된다. MCCH는 매 MCCH 반복 주기마다 RRC 전송된다. MCCH는 변경 주기(modification period)를 사용한다. 알림 메카니즘(notification mechanism)은 MCCH 세션 시작 또는 MBMS 카운팅 요청 메시지의 존재에 기인한 MCCH의 변경을 알리기 위하여 사용된다. 단말은 알림 메카니즘에 의하지 아니하고 알려지는 MCCH 변경을 변경 주기에서의 MCCH 모니터링을 통해 검출한다.
도 5는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MBSFN 전송은 서브프레임 단위로 설정된다. MBSFN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이라 한다.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는 PDCCH 전송을 위한 최초 2개의 OFDM 심벌을 제외한 나머지 OFDM 심벌들에서 MBSFN 전송이 수행된다. MBSFN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영역을 편의상 MBSFN 영역이라 하자. 그러면, MBSFN 영역에서는 유니캐스트를 위한 CRS는 전송되지 않고, 전송에 참여하는 모든 셀에 공통적인 MBMS 전용 RS를 사용한다.
MBMS를 수신하지 않는 단말에게도 MBSFN 영역에서 CRS가 전송되지 않음을 알려주기 위해서 셀의 시스템 정보에 MBSFN 서브프레임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한다.
대부분의 단말들이 CRS를 이용하여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RLF(radio link failrue)처리, 동기화를 수행하므로, CRS가 특정 영역에 없음을 알려주는 것은 중요하다.
MBSFN 서브프레임에서 PDCCH로 사용되는 최초 2개의 OFDM 심벌들에서는 CRS가 전송되며, 이 CRS는 MBSFN 용도를 위한 것이 아니다. MBSFN 서브프레임에서 PDCCH로 사용되는 최초 2개의 OFDM 심벌들에서는 전송되는 CRS의 CP는(즉, 상기 CRS가 노멀 CP를 사용하는가 아니면 확장 CP를 사용하는가) 노멀 서브프레임 즉,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에서 적용되는 CP를 따른다. 예를 들어, 노멀 서브프레임(511)에서 노멀 CP를 사용할 경우 MBSFN 서브프레임의 최초 2개의 OFDM 심벌들(512)에서도 노멀 CP에 따른 CRS가 사용된다.
한편,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은 FDD, TDD 별로 각각 지정되어 있으며, 비트맵을 통해서 MBSFN 서브프레임인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즉, 비트맵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비트가 1이면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됨을 나타낸다.
도 6은 단말이 기존의 MBSFN 영역에서 다른 MBSFN 영역 또는 Non-MBSFN 영역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여, 단말이 다른 MBSFN 영역 또는 Non-MBSFN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지연 문제를 설명한다.
1) 단계 1: 단말은 제1 MBSFN 영역 내의 제1 셀에 접속하고, 관심 있는 MBSFN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2) 단계 2: 단말이 제1 셀에서 제2 셀로 이동함에 따라, 단말은 제1 MBSFN 영역의 범위에서 벗어난 인트라-주파수(intra-frequency)를 갖는 제2 셀로 핸드오버 될 수 있다. 단말은 제2 셀의 SIB13(MBMS 수신에 필요한 정보 포함)을 읽은 후에, 제2 셀이 제1 MBSFN 영역의 범위에서 벗어난 셀임을 알 수 있다.
3) 단계 3: 단말은 제2 셀의 SIB15(인접한 반송파 주파수의 MBMS 수신에 필요한 정보 포함)를 읽고,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계속 수신하기 위해 적합한 주파수가 없음을 알 수 있다.
4) 단계 4: 단말은 유니캐스트를 통하여 그룹 통신을 계속 수신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레벨 시그널링(application level signaling)을 통해 유니캐스트 베어러 설정을 트리거할 수 있다.
MBSFN 영역 가장자리에서 MBSFN 신호 품질 및 단말 능력에 따라, 단말은 단계 1 이후 언제나 서비스 방해를 받을 수 있다. 표 2는 MBSFN 영역에서 다른 MBSFN 영역 또는 Non-MBSFN 영역으로 이동으로 인한 서비스 방해 시간을 나타낸다.
구성요소(Component) 시간 코멘트(Comment)
제2 셀 상의 MIB 읽기 지연 40ms
제2 셀 상의 SIB1 읽기 지연 80ms
제2 셀 상의 SIB2, SIB13 및 SIB15 읽기 지연 160ms SIB 13/15의 스케줄링 주기는 320ms이고, SIB2의 스케줄링 주기는 짧은 것으로 가정.
RRC_IDLE 상태에서 RRC_CONNECTED 상태로의 상태 천이 지연 80ms TR 36.912 Section B.1.1.1
VoIP 확립 위한 전용 베어러 115ms TR 36.868 Section 5.1.1.1
총 지연 475ms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대략 500ms 서비스 방해 시간이 관측됨을 알 수 있다. 기존 MBMS는 동영상 방송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지연시간에 대하여 큰 문제가 없었으나, 그룹 통신과 같이 방해에 민감한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BMS 서비스에 대한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RRC_CONNECTED MODE에서 단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면, MBSFN 영역으로부터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RRC_CONNECTED 모드에서의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은 유니캐스트/MBMS 베어러를 통한 MBMS 서비스의 계속적인 수신을 위해, 네트워크에게 MBMS 서비스의 유니캐스트/MBMS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1) 조건 1: 단말은 PCell로부터 mobilityControlInfo를 포함하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targetPhysCellId에 의해 지시되는 타겟 PCell은 관심 있는 MBMS 서비스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다.
- 바람직하게, ULInformationTransfer 메시지를 통한 핸드오버 이후에, 단말은 관심 있는 MBMS 서비스에 대한 유니캐스트/MBMS 전송을 타겟 PCell에게 요청할 수 있다.
2) 조건 2: 단말은 mobilityControlInfo를 포함하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carrierFreq에 의해 지시되는 타겟 PCell의 하향링크 주파수는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파수가 아니다.
3) 조건 3: 측정 보고는 트리거되고(예를 들어, A3와 같은 특정 이벤트에 의해),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타겟 셀은 관심 있는 MBMS 서비스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 바람직하게, 이 조건에 의한 측정 보고 수신 시, 기지국은 타겟 셀은 MBMS 서비스가 구성되어야 함을 MCE 또는 EPC(MME 또는 GCSE AS 같은)에게 지시할 수 있다(또는 단말은 MBMS 서비스를 위해 타겟 셀로 이동할 수 있다).
- 바람직하게, 측정 보고가 특정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되면, 단말은 단지 유니캐스트/MBMS 전송을 요청하고, 특정 이벤트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 바람직하게, ULInformationTransfer 메시지를 통한 핸드오버 전에, 단말은 관심 있는 MBMS 서비스의 유니캐스트/MBMS 전송을 소스 PCell에 요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RRC_IDLE MODE에서 단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면, MBSFN 영역으로부터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RRC_IDLE 모드에서의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은 유니캐스트/MBMS 베어러를 통한 MBMS 서비스의 계속적인 수신을 위해, 네트워크에게 MBMS 서비스의 유니캐스트/MBMS 베어러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1) 조건 1: 단말은 셀 선택 절차 또는 셀 재 선택 절차를 통해 새로운 서빙 셀을 선택하고, 새로운 서빙 셀은 MBMS 서비스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2) 조건 2: 이웃 셀의 측정 결과는 임계 값보다 좋고, 이웃 셀은 MBMS 서비스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 바람직하게, 유니캐스트/MBMS 베어러 설정은 MBMS 서비스를 지시하는 NAS 메시지 또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MBMS 셀 리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MBMS 셀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 바람직하게, MBMS 셀 리스트는 MBSFN 영역 단위로, 서비스 영역 단위로, 서비스 단위(예를 들어, MBMS 서비스 또는 GC 서비스)로 또는 주파수 단위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 바람직하게, MBMS 셀 리스트는 시스템 정보, USD,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방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해에 민감한 특정 종류의 MBMS 서비스(그룹 통신을 위한 MBMS 또는 공공 안전을 위한 MBMS)에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RC_CONNECTED MODE에서 단말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먼저, 단말은 MBMS 베어러를 통해 두 개의 그룹 통신(GC; Group Call) 서비스를 수신하고(즉, GC 서비스 #1 및 #2), GC 서비스 #1 및 #2는 각각 MBSFN 영역 #1 및 #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만약 GC 서비스 #1 및 #2가 MBMS 셀 리스트에 의해 제공된다면, 단말은 GC 서비스 #1 및 #2에 관심 있음을 네트워크게 지시할 수 있다)
1) 단말은 서빙 셀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MBMS 셀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701). 셀 A는 MBSFN 영역 #1(또는 서비스 영역 #1)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고, MBSFN 영역 #2(또는 서비스 영역 #2)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 셀 B는 MBSFN 영역 #1(또는 서비스 영역 #1)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만, MBSFN 영역 #2(또는 서비스 영역 #2)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대안적으로, 단말은 시스템 정보로부터 SAI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서비스 영역은 하나의 SAI에 맵핑되는 하나의 MBMS 셀 리스트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SAI와 MBMS 셀 리스트 간에 맵핑을 USD 또는 다른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SAI로부터 수신된 맵핑을 기반으로 MBMS 셀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2) 단말은 서빙 셀로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S702). (게다가, 측정 보고를 수신하면(예를 들어, A3와 같은 특정 이벤트로 인해), 기지국은 MCE 또는 EPC(MME 또는 GCSE AS 같은)에 타겟 셀은 MBMS 서비스가 구성되어야 함을 지시하거나, 단말은 MBMS 서비스를 위해 타겟 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지시는 타겟 셀에서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통해 또는 MBMS 베어러를 통해 MBMS 서비스를 준비하도록 네트워크를 트리거 할 수 있다.)
3) 단말은 서빙 셀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703). 서빙 셀로부터 지시되는 핸드오버 타겟 셀은 셀 B이고, 셀 B는 MBSFN 영역 #2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4) 단말은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통한 GC 서비스 #2를 계속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에게 유니캐스트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704).
5) 단말은 GC 서비스 #2를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통해 수신하는 반면(S705), 여전히 GC 서비스 #1은 MBMS 베어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S706).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RC_IDLE MODE에서 단말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먼저, 단말은 MBMS 베어러를 통해 두 개의 그룹 통신(GC; Group Call) 서비스를 수신하고(즉, GC 서비스 #1 및 #2), GC 서비스 #1 및 #2는 각각 MBSFN 영역 #1 및 #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1) 단말은 서빙 셀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MBMS 셀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801). 셀 A는 MBSFN 영역 #1(또는 서비스 영역 #1)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고, MBSFN 영역 #2(또는 서비스 영역 #2)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 셀 B는 MBSFN 영역 #1(또는 서비스 영역 #1)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만, MBSFN 영역 #2(또는 서비스 영역 #2)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대안적으로, 단말은 시스템 정보로부터 SAI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서비스 영역은 하나의 SAI에 맵핑되는 하나의 MBMS 셀 리스트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SAI와 MBMS 셀 리스트 간에 맵핑을 USD 또는 다른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SAI로부터 수신된 맵핑을 기반으로 MBMS 셀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2) 단말은 셀 B를 새로운 서빙 셀로 선택할 수 있다(S802).
3) 셀 B는 MBSFN 영역 #2에 해당하는 MBMS 셀 리스트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단말은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통해 GC 서비스 #2를 계속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유니캐스트 베어러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S803). 유니캐스트/MBMS 베어러 설정은 MBMS 서비스를 지시하는 NAS 메시지 또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4) 만약 유니캐스트/MBMS 베어러 설정이 서비스 요청과 같은 NAS 메시지라면, MME는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은 GC 서비스 #2의 유니캐스트/MBMS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는 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s 서버(GCSE-AS)에게 전송될 수 있다(S804).
5) 기지국으로부터 구성 시, 단말은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확립하고,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통해 GC 서비스 #2를 수신할 수 있다(S805). 반면에, GC 서비스 #1은 여전히 MBMS 베어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S806).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는 타겟 셀(셀 B)에서 GC 서비스 #2의 유니캐스트 베어러 대신에 MBMS 베어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단말이 MBSFN 영역에서 Non-MBSFN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른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MB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단말 동작을 MBMS 서비스의 한 종류인 그룹 통신을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룹 통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MBMS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BSFN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MBMS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제1 셀로부터 MBSFN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BMS 셀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910). 상기 제1 셀은 상기 단말이 MBMS 베어러를 통해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이다. 단말은 수신된 상기 MBMS 셀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2 셀의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 셀의 단말들과 MBMS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S920). 상기 제2 셀은 상기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셀이다. 단말은 상기 제1 셀로부터 미리 MBMS 셀 리스트를 수신받았으므로, 상기 제2 셀이 관심 있는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음을 미리 알 수 있고, 이동성 있는 단말이 상기 제2 셀로 이동하더라도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 셀 내에 있는 단말들과 MBMS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MBMS 서비스의 지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1000)은 프로세서(processor, 1001), 메모리(memory, 1002) 및 송수신기(transceiver, 1003)를 포함한다. 메모리(1002)는 프로세서(100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00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기(1003)는 프로세서(100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00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의 동작은 프로세서(10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말(1010)은 프로세서(1011), 메모리(1012) 및 송수신기(1013)를 포함한다. 메모리(1012)는 프로세서(10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0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기(1013)는 프로세서(10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01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단말의 동작은 프로세서(10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일례들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다양한 기법들이 도면과 도면 부호를 통해 설명되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기법들은 특정한 순서에 따라 다수의 단계나 블록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단계나 블록의 구체적 순서는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나 블록은 다른 순서로 구현되거나, 또 다른 단계나 블록들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간 단계나 블록이 한정적으로 기술된 것이나 아니며, 발명의 보호 범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계들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다양한 일례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발명의 모든 가능한 일례의 조합이 설명될 수 없다는 점을 알 것이고, 또한 본 명세서의 기술로부터 다양한 조합이 파생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다양한 일례를 조합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단말이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MBMS 베어러(bearer)를 통해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의 ID(identifier)를 포함하는 MBMS 셀 리스트를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된 MBMS 셀 리스트가 타겟 셀의 ID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타겟 셀이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빙 셀로부터 상기 타겟 셀로 이동하면,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에 대한 유니캐스트 전송을 상기 타겟 셀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상기 타겟 셀의 유니캐스트 베어러(unicast bearer)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BMS 셀 리스트는 MBSFN 영역 단위, 서비스 영역 단위, 서비스 단위 또는 주파수 단위로 시그널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BMS 셀 리스트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USD(User Service Description) 또는 전용 시그널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는 그룹 통신을 위한 MBMS 서비스 또는 공공 안전을 위한 MBMS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BMS 셀 리스트는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의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는 상기 MBMS 셀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RRC CONNECTED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ing)가 트리거 되는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을 새로운 서빙 셀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유니캐스트 베어러를 상기 새로운 서빙 셀에서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RRC IDLE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서빙 셀에게 RRC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서빙 셀은 품질 측정 결과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 값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된 MBMS 셀 리스트가 타겟 셀의 ID를 포함하면, 상기 타겟 셀이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빙 셀로부터 상기 타겟 셀로 이동하면,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상기 MBMS 베어러를 통해 상기 타겟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송수신기;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가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MBMS 베어러(bearer)를 통해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의 ID(identifier)를 포함하는 MBMS 셀 리스트를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된 MBMS 셀 리스트가 타겟 셀의 ID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타겟 셀이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빙 셀로부터 상기 타겟 셀로 이동하면,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에 대한 유니캐스트 전송을 상기 타겟 셀에게 요청하도록 제어하고, 및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상기 타겟 셀의 유니캐스트 베어러(unicast bearer)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된 MBMS 셀 리스트가 타겟 셀의 ID를 포함하면, 상기 타겟 셀이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빙 셀로부터 상기 타겟 셀로 이동하면,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상기 MBMS 베어러를 통해 상기 타겟 셀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77009235A 2014-10-27 2015-10-15 Mbsfn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17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69289P 2014-10-27 2014-10-27
US62/069,289 2014-10-27
PCT/KR2015/010929 WO2016068528A1 (ko) 2014-10-27 2015-10-15 Mbsfn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494A KR20170051494A (ko) 2017-05-11
KR101917793B1 true KR101917793B1 (ko) 2018-11-12

Family

ID=5585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235A KR101917793B1 (ko) 2014-10-27 2015-10-15 Mbsfn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310718A1 (ko)
KR (1) KR101917793B1 (ko)
CN (1) CN107148785A (ko)
WO (1) WO2016068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6145A1 (en) * 2015-01-21 2016-07-2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ervice based cell re-selection
KR102396800B1 (ko) * 2015-11-19 2022-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17190353A1 (zh) * 2016-05-06 2017-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播业务接收方法、多播业务发送方法、装置及系统
US10425926B2 (en) * 2016-05-10 2019-09-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additional system information
WO2017200299A1 (ko) * 2016-05-18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셀 재선택 절차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7222322A1 (ko) 2016-06-23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bms 서비스 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8082606A1 (en) * 2016-11-04 2018-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mbms reception
US10299084B1 (en) * 2017-10-05 2019-05-21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roup call service areas
US11758440B2 (en) * 2019-11-05 2023-09-12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or multicast support for standalone mode
WO2021162333A1 (ko) * 2020-02-14 2021-08-19 주식회사 케이티 Mbs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3543038B (zh) * 2020-04-15 2022-10-28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EP4214982A4 (en) * 2020-10-22 202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SENDING AN INDICATION OF INTEREST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IN A 5G WIRELESS NETWORK
WO2022165813A1 (zh) * 2021-02-07 2022-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2236592A1 (en) * 2021-05-10 2022-11-17 Nec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4668A1 (en) * 2011-08-15 2013-02-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fficient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ontinuity Methods
US20130301509A1 (en) * 2012-05-14 2013-11-14 Rene Purnadi Maintaining mbms continuit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27979C1 (ru) * 2007-04-30 2011-08-27 Интердиджитал Текнолоджи Корпорейшн Повторный выбор соты и передача обслуживания с помощью услуги мультимедийного широковещания/мультивещания
US9185682B2 (en) * 2010-06-15 2015-11-10 Mediatek Inc. Methods to support continuous MBMS reception without network assistance
US9173192B2 (en) * 2011-03-1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cell selection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ontinuity
US20130039250A1 (en) * 2011-08-12 2013-02-14 Mediatek, Inc. Method to Indicate MBMS Reception Status to Enable Service Continuity
KR20130019732A (ko) * 2011-08-17 2013-02-27 주식회사 팬택 Mbms 서비스에 관한 제어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4668A1 (en) * 2011-08-15 2013-02-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fficient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ontinuity Methods
US20130301509A1 (en) * 2012-05-14 2013-11-14 Rene Purnadi Maintaining mbms continu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494A (ko) 2017-05-11
US20170310718A1 (en) 2017-10-26
WO2016068528A1 (ko) 2016-05-06
CN107148785A (zh)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793B1 (ko) Mbsfn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61682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ist of cells providing SCPTM service
US110644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by terminal
JP629531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mbms情報報告方法及びそれをサポートする装置
US106815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V2X message
US9510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071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a cell quality measurement result for MDT by a terminal
KR10214901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1943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receiving service continuity indicator
US104482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pping and restarting MBMS service
US10849029B2 (en) Method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procedure by terminal,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10327111B2 (en) MBMS operation method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US20150011216A1 (en) Method for re-select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1801602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base station connected to mce by mme
KR2017001730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