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039A - Pier protector - Google Patents

Pier pro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039A
KR20190012039A KR1020170094910A KR20170094910A KR20190012039A KR 20190012039 A KR20190012039 A KR 20190012039A KR 1020170094910 A KR1020170094910 A KR 1020170094910A KR 20170094910 A KR20170094910 A KR 20170094910A KR 20190012039 A KR20190012039 A KR 20190012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member
pier
unit
rolling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9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3939B1 (en
Inventor
신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9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939B1/en
Publication of KR20190012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0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02B17/003Fe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Abstract

Disclosed is a pier protector. The pier protector comprises: a fram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vertical axis member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er at intervals and 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vertical axis member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rotary blocks installed in each of the vertical axis members to rotate around each of the vertical axis members. The rotary blocks include a cylindrical member capable of being rolled around the vertical axis members in response to shocks applied by a floating material moving along the flow of a fluid when floods occur. Moreover, the cylindrical member is installed to enable a portion of the cylindrical member to protrude higher than a flood water level.

Description

교각보호대{PIER PROTECTOR}{PIER PROTECTOR}

본원은 교각보호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ridge supports.

부유물이 유속에 의해 하류 측으로 이동되어 떠내려오면서 교각에 충돌하거나 걸려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고, 교각에 충격이 가해진다.As the float moves to the downstream side due to the flow velocity, it collides with the bridge pier or hits it, interrupting the flow of the fluid, and impacts on the bridge pier.

이러한 교각에 대한 부유물의 충돌로부터 교각을 보호하기 위해 교각보호대가 설치되었다. 다만, 종래의 교각보호대는 교각에 대한 부유물의 직접적인 충돌이 방지되도록 교각의 둘레를 단순히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었다.Pier guards were installed to protect the piers from the collision of the floats with these piers. However, the conventional pier guard is installed so as to simply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pier so that direct collision of the float with the pier is prevented.

이에 따라, 종래의 교각보호대는 부유물이 교각에 걸려 떠내려가지 못하고 정체되거나 부유물로 인해 가해지는 충격을 고스란히 받아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pier guard has a problem that the float is easily broken or deformed due to the impact that is stuck on the pier and can not be floated.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4059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4059.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홍수시 떠내려오는 부유물이 교각에 직접적으로 부딪치거나 걸려 유체의 흐름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유물로 인해 가해지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교각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stagnation of the flow of the fluid,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pier guard that can be used as a bridg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교각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 축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직 축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의 연직 축 부재 각각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연직 축 부재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동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 블록은, 홍수 발생시 유체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부유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연직 축 부재를 회동 축으로 구름 운동 가능한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는 그 일부가 홍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object, there is a frame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vertical shaft member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pi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shaft member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pivot blocks mount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haft members so as to be rotatable about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haft members, wherein the pivot block includes: And a cylindrical member capable of rolling on the pivot shaft of the vertical shaft member in response to an impact, wherein the cylindrical member can be installed such that a part of the cylindrical member protrudes upward from the flood level.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is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부유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대응하여 구름 운동 가능한 원통형 부재를 그 일부가 홍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부에 설치함으로써, 홍수시 떠내려오는 부유물이 교각에 직접적으로 부딪치거나 걸려 유체의 흐름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유물로 인해 가해지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교각보호대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rical member capable of rolling motion in response to an impact applied by the float is installed in the frame portion so as to protrude above the flood level, so that the float floating at the time of flooding is direct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tagnation of the flow of the fluid due to collision or hanging,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ierce guard which can effectively mitigate the impact caused by the floa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보호대가 원형 단면을 갖는 교각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보호대가 사각형 단면을 갖는 교각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회동 블록이 연직 축 부재를 회동 축으로 구름 운동하여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의 교각에 교각보호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수위의 교각에 교각보호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구름 유닛이 교각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구름 유닛이 교각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er gu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vot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4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ridge gu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ridg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FIG.
FIG. 4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ridge gu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ridg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FIG.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pivot block moves the float by rolling the vertical shaft member to the pivot axis.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idge guard is installed at a bridge angle of a flood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erce guard is installed at a pier of a flat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clou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a bridge pier.
FIG. 8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cloud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contact with a bridge pier.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op", "top", "under", "bottom"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상부, 하부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6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과 상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과 하부일 수 있다.The term (upper, lower, upper, lower, etc.) related to the direction or pos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set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each structure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the 12 o'clock direction may be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side, and the 6 o'clock direction may be generally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side.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보호대(1)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ridge pi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보호대(이하 '본 교각보호대'라고 함)는 하천이나 바다(해양)에 위치하는 교각에 대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 pier gu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ier gu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a pier located in a river or sea (ocean).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 블록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보호대가 원형 단면을 갖는 교각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보호대가 사각형 단면을 갖는 교각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gu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vot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4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ridge gu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ridge pi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ridge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lied state.

도 1를 참조하면, 교각보호대(1)는 프레임부(100) 및 복수의 회동 블록(2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bridge guard 1 includes a frame portion 100 and a plurality of pivot blocks 200.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부(100)는 교각(5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 축 부재(110) 및 복수의 연직 축 부재(1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직 축 부재(100)는 원형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직 축 부재(100)는 파이프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연직 축 부재(100)와 후술할 회동 블록(200) 사이에는 회동 블록(200)의 회동시의 마찰 저항을 저감할 수 있도록 베어링 등의 마찰 저감 유닛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연결 부재(120)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500)이 원형 단면을 갖는 경우, 연결 부재(120)는 이러한 원형 교각에 대응하여 원형 교각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형태로 구비되는 링 형태의 폐도형을 형성하는 부재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500)이 각형 단면을 갖는 경우, 연결 부재(120)는 이러한 각형 교각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형태로 구비되는 각형의 폐도형을 형성하는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연직 축 부재(110)와 연결 부재(120)는 강결하게 결합되어 프레임 골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직 축 부재(110)와 연결 부재(120)는 강(steel) 재질을 포함하는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직 축 부재(110)와 연결 부재(120)가 부식 환경에서 부식이 진행되는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의 표면에 방식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2, the frame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haft members 110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er 500, and a connecting member 11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shaft members 110 to each other 120). Illustratively, the vertical shaft member 100 may be a memb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For example, the vertical shaft member 100 may be a member in the form of a pipe. A frictional reducing unit such as a bea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vertical shaft member 100 and a pivot block 20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reduce the frictional resistance during the rotation of the pivot block 200. 2, the connecting member 120 may be a member extending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when the pier 50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the connecting member 1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pac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ier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pier As shown in Fig. 4B, when the bridge pillar 500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formed of a member that forms a prismatic clos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pac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tangular bridge pillar, Lt; / RTI >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and the connecting member 120 can be tightly coupled to form a frame structure. Illustratively,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and the connecting member 120 may be, but not limited to, members comprising a steel material. When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and the connecting member 120 include a material which is corroded in the corrosive environment, the surface of the member may be treated.

도3을 참조하면, 복수의 회동 블록(200)은 복수의 연직 축 부재(110) 각각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복수의 연직 축 부재(11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120)는 회동 블록(200)을 사이에 두도록 회동 블록(200)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회동 블록(200)은 연직 축 부재(110)가 상하 방향을 관통하는 형태로 프레임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lurality of pivot blocks 200 may be install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haft members 11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plurality of vertical shaft members 110. The connecting member 1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pivot block 200 so that the pivot block 200 i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ivot block 200 may be installed in the frame part 100 in such a manner that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passes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회동 블록(200)을 연직 축 부재(110)에 회동 가능한 형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회동 블록(200)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 유닛(300)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300)으로 회동 블록(200)을 상하 방향에 대하여 연직 축 부재(110)에 고정시켜 회동 블록(200)이 연직 축 부재(110)에서 상하로 가변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30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vot block 200 to fix the pivot block 200 in a rotatable manner to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 The pivot block 200 can be fixed to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xed unit 300 so that the pivot block 200 can not be vertically varied in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다른 예로, 고정 유닛(300)은 회동 블록(200)의 상측에서 회동 블록(200)를 누름 고정(부력체의 부력에 대응하여 눌러 고정)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본 교각보호대(1)는 회동 블록(200)을 자중에 의해 하향 가압하여 부력체(230)의 부력 중 적어도 일부를 상쇄하도록 회동 블록(200)의 상측에 안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300)은 자중에 의해 회동 블록(200)을 안정적으로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연직 축 부재(110)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유닛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300)은 복수 개 구비되어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xed unit 300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ivot block 200 is pushed and fixed (pressed and fix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buoyancy force of the buoyant body) on the upper side of the pivot block 200. 3, the pierce guard 1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vot block 200 so as to cancel at least part of the buoyancy of the buoyant body 230 by pressing the pivot block 200 downward by its own weight At least one fixed unit 300 may be provided. 3, the fixed unit 300 may be provided as a ring-shaped unit that is fitted to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so that the pivot block 200 can be pressed down by its own weight in a stable downward direction. Also, a plurality of fixing units 300 may be provided and stacked.

이와 같이 고정 유닛(300)이 회동 블록(200)을 누름 가능하도록 회동 블록(200) 상에 안착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원통형 부재(21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300)에 의한 자중만큼 상쇄된 부력에 대응하는 수준만큼 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5개의 고정 유닛(300)을 회동 블록(200) 상측에 배치하였을 때 도 6에 도시된 정도로 완충부(211)의 일부가 수위보다 돌출된다고 하였을 때, 상기 5개의 고정 유닛(300)을 전부 제거하면 완충부(211) 전체가 수위보다 돌출되는 정도로 본 교각보호대(1)가 상승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승 이동에 따라, 완충부(211)에 대한 유지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복수의 회동 블록(200) 각각의 부력체(230)의 부력이 조금씩 상이해져 교각(50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회동 블록(200) 간의 균형이 다소 어긋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회동 블록(200) 각각에 적용되는 고정 유닛(300)의 개수나 무게를 달리 설정함으로써, 복수의 회동 블록(200) 각각의 부력 불균형을 쉽게 해소할 수 있다.Since the fixed unit 300 is placed on the pivot block 200 in such a manner that the pivot block 200 can be depressed, the cylindrical member 210 is offset by the weight of the at least one fixed unit 300 The water level may be higher than the water level by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buoyant force. 6, when the five fixing units 300 are disposed above the pivot block 200, when a part of the cushion unit 211 protrudes beyond the water level, the five fixing units 300 The bridge guard 1 can be moved upward to such an extent that the entire buffering portion 211 protrudes beyond the water level. With this upward movement, the maintenance of the buffer part 211 can be smoothly performed. Further, it is judged that the buoyancy of the buoyant body 23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vot blocks 200 slightly differs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the balance between the pivot blocks 200 arranged to surround the pier 500 is slightly deviated The buoyancy imbal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vot blocks 200 can be easily solved by setting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fixed units 300 applied to each of the pivot blocks 200 differently.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연직 축 부재(11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각(5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연직 축 부재(110)의 간격은 회동 블록(200)의 바깥 지름(최대 외경)을 고려하여 회동 블록(200) 간의 간섭이 발생되는 않는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동 블록(200)이 연직 축 부재(110)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회동 블록(200)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회동 가능한 간격으로 연직 축 부재(110)가 교각(5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4A and 4B, the vertical shaft members 110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er 5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interval of the vertical shaft members 110 may be set to an interval at which no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pivot blocks 200 in consideration of the outer diameter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pivot block 200. That is, when the pivot block 200 pivots about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er 500 at a pivotable interval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pivot blocks 200 .

또한, 회동 블록(200)을 사이에 두도록 연직 축 부재(110)의 상측 및 하측에 연결 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직 축 부재(110)가 연결 부재(120)에 의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 부재(120)는 교각(500)의 둘레에 대응하여 교각(500)의 둘레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외측으로 확장(offset)된 형태로 연장되는 폐도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120)는 여러 개의 부재들이 상호 연결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so that the pivot block 200 is interposed therebetwee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ertical shaft members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ember 120,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pier 5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pier 500,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member 120 may be assembl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members are interconnected.

도 5는 회동 블록이 연직 축 부재를 회동 축으로 구름 운동하여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pivot block moves the float by rolling the vertical shaft member to the pivot axis.

회동 블록(200)은 홍수 발생시 유체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부유물(1000)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대응하여 연직 축 부재(110)를 회동 축으로 구름 운동 가능한 원통형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vot block 200 may include a cylindrical member 210 capable of rolling on the pivot axis of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in response to an impact applied by the floating body 1000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fluid flow when the flood occurs.

도5를 참조하면, 부유물(1000)이 유체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면서 어느 하나의 회동 블록(200)에 접촉했을 때, 원통형 부재(210)는 연직 축 부재(110)를 회동 축으로 회동하면서 부유물(1000)을 유체의 흐름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흘려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회동 블록(200) 각각이 부유물(1000)과 접촉하였을 때 그 접촉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회동(회전)됨으로써, 부유물(1000)이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교각(500)에 걸리지 않고 교각(500)을 비끼면서 통과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 블록(200)은 그에 가해지는 충격을 회동 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충격 중 적어도 일부를 완화(흡수)할 수 있어, 쉽게 파손되지 않는 교각보호대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교각보호대(1)에 의하면, 부유물(1000)이 유체의 흐름에 따라 흘러가면서 교각(5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며 교각(500)을 보호할 수 있다.5, when the float 1000 moves along the flow of fluid and contacts one of the pivot blocks 200, the cylindrical member 210 rotates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to the pivot axis, (1000) flow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fluid. When each of the plurality of pivot blocks 200 is in contact with the float 1000 as described above, the float 1000 is rotated (rotated) by an impact applied when the float 1000 contacts the bridge 10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bridge pier 500. 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pivot block 200 can convert (at least a part of) the impact by converting the impact applied thereto into a pivot mo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pierce guard structure that is not easily broken. Accordingly, the bridge pillar 1 can protect the bridge pillar 500 by reduc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bridge pier 500 while the suspension 1000 flows along the flow of the fluid.

예시적으로, 원통형 부재(210)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통형 부재(210)의 재질은 무게(밀도나 비중), 단가, 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함이 바람직하다.Illustratively, the cylindrical member 210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non-metallic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material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is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weight (density or specific gravity), unit price, strength, and the like.

도 6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의 교각에 교각보호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수위의 교각에 교각보호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ier guard is installed at a pier of a flood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ier guard is installed at a pier at an elevation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원통형 부재(210)는 그 일부가 홍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cylindrical member 210 may be installed such that a part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protrudes upward from the flood level.

일 구현예로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00)는 원통형 부재(210)의 일부가 홍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에 대응하여 교각(5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레임부(100)는 교각(500)에 볼트 고정되거나, 교각(500)에 삽입 고정된 부재와 볼트 연결 또는 용접 연결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교각보호대(1)는 원통형 부재(210)가 홍수위보다 상측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어, 홍수 발생시 떠내려오는 대량의 부유물(1000) 및/또는 고중량의 부유물(1000)로부터 교각(500)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6, the frame part 100 may be fixed to the bridge pier 500 in correspondence with a height at which a part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protrudes upward from the flood level. For example, the frame portion 100 may be bolted to the bridge pier 500, or may be bolted or welded to a member that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bridge pier 500. In this way, the bridge guard 1 can be provided such that the cylindrical member 210 partially protrudes above the flood level, so that the bridges 500 can be removed from the floats 1000 and / Can be stably protected.

다른 구현예로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프레임부(100)는 교각(500)에 고정되지 않고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회동 블록(200)은 원통형 부재(210)의 일부가 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준의 부력을 교각보호대(1)에 제공하는 부력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교각(500)에 고정되지 않은 프레임부(100)는 부력체(230)의 부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수위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게 교각(500)에 대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홍수위에서 프레임부(100)는 부력체(230)의 부력에 의해 홍수위에 대응하여 이동되고, 이때 부력체(230)는 원통형 부재(210)의 일부가 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준의 부력을 교각보호대(1) 전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평수위에서 프레임부(100)는 부력체(230)의 부력에 의해 평수위에 대응하여 이동되고, 이때 부력체(230)는 원통형 부재(210)의 일부가 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준의 부력을 교각보호대(1) 전반에 제공할 수 있다. 원통형 부재(210)에서 수위보다 돌출되는 일부는 후술할 완충부(211)의 일부일 수 있다.6 and 7 together, the frame part 100 is provided not to be fixed to the pier 500 but to have a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nd a buoyancy body 230 that provides buoyancy to the bridge guard 1 at a level where a portion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protrudes above the water level. That is, the frame part 100, which is not fixed to the bridge pier 500, can be installed relative to the bridge pier 500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vel by buoyancy of the buoyant body 230. 6, the frame part 100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flood level by the buoyant force of the buoyant body 230. At this time, the buoyant body 230 is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cylindrical body 210 protrudes upward from the water level Buoyancy can be provided in the first half of the bridge pier (1). 7, the frame part 100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buoyant body 230 by the buoyant force of the buoyant body 230. At this time, the buoyant body 230 is positioned above the water level by a part of the cylindrical body 210 A protruding level of buoyancy can be provided in the first half of the pierce guard 1. A portion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protruding beyond the water level may be a part of the buffer part 211 to be described later.

이처럼 홍수 발생시 원통형 부재(210)의 일부(예를 들면 완충부의 일부)가 홍수 발생시의 수위(홍수위는 High Water Level만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홍수나 폭우 발생시의 수위를 전부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수위에 맞춰 떠내려오는 부유물(1000)에 대응할 수 있고, 부유물(1000)이 원통형 부재(210)에 충돌될 때, 구름 운동하며 충돌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일부 전환시키면서 충격을 완화하여 교각(500)을 보호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a flood occurs, a part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for example, a part of the cushioning part) can not understand the level of the flood when the flood occurs (the flood level is not limited to the high water level, An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floating body 1000 which floats to the water level when the floating body 1000 collides with the cylindrical member 210. In addition, The bridge pillar 500 can be protected by mitigating the impact.

도 3을 참조하면, 부력체(230)는 원통형 부재(210)의 일부로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부력체(230)는 원통형 부재(210)애 내측에 마련된 중공형 공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완충부(211)에 대한 부유물(1000) 등의 충돌시에 원통형 부재(210) 내측의 종공형 공간을 통해 제공되는 부력체(2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력체(230)는 완충부(211)보다 하측 위치에 대응하여 원통형 부재(2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부력체(230)는 반드시 원통형 부재(210) 내부에 마련되는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부력체(230)는 원통형 부재(2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원통형 부재(210)의 하측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buoyant body 230 may be provided as a part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By way of example, the buoyant body 230 may be provided by a hollow space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member 210. 3, in order to prevent the buoyant body 230 provided through the cylindrical space inside the cylindrical member 210 from being damaged at the time of collision with the buffering part 1000 or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buffering part 211, (2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member (21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sition of the buffer part (211). However, the buoyancy member 23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member 210. As another example, the buoyant body 23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ylindrical member 210 and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부력체(230)의 부력 규모는 원통형 부재(210)의 일부(예를 들면 완충부의 일부)가 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교각보호대(1)를 부유시킬 수 있는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부유물(1000)이 원통형 교각보호대(1)에 충돌할 때 부유물(1000)의 형상, 부피, 밀도 등에 따라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서 충돌할 수도 있지만 수위보다 낮은 수중에서 충돌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원통형 부재(210)의 일부 또는 완충부(211)의 일부는 수위보다 위쪽으로 돌출되고, 원통형 부재(210)의 나머지 일부 또는 완충부(211)의 나머지 일부는 수위보다 낮은 수중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부유물(1000)의 수상 충돌 및 수중 충돌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부력체(230)는 원통형 부재(210)처럼 연직 축 부재(11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buoyant force of the buoyant body 230 may be set to a level at which the bridge guard 1 can float so that a part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for example, a part of the buffering portion) protrudes upward beyond the water level. Since the float 1000 may collid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level depending on the shape, volume, density, etc. of the float 1000 when the float 1000 collides against the cylindrical bridge guard 1, A portion of the cushion 210 or a portion of the cushion 211 protrudes above the water level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or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ushion 211 is located in the water below the water level, 1000) to cover both water crash and underwater crash. Also, the buoyant body 230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the vertical shaft member 110 like the cylindrical member 210.

한편, 회동 블록(200)은 원통형 부재(210)의 둘레면에 전 방향에 대하여 구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구름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전 방향 구름 운동 가능한 구름 유닛(220)은 볼 베어링일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유물(1000)의 충돌 등으로 인한 회동 블록(200)의 구름 운동시 회동 블록(200)과 교각(500) 사이의 마찰 면적이 대폭 축소(최소화)될 수 있어, 회동 블록(200)의 구름 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수위 변화로 인한 교각보호대(1)의 상하 방향 이동시에 회동 블록(200)과 교각(500) 사이의 마찰 면적이 대폭 축소(최소화)될 수 있어,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교각보호대(1)의 상하 방향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tation block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ing units 220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so as to be capable of rolling in all directions. 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 2, the rolling unit 220 capable of forward rolling is a ball bearing. 2 and 5, the friction area between the pivot block 200 and the pier 500 during rolling motion of the pivot block 200 due to collision of the float 1000 can be greatly reduced (minimized) , The rolling motion of the rotation block 200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2, 6 and 7, the friction area between the pivot block 200 and the pier 500 is greatly reduced (minimized) when the pier guard 1 is moved up and down due to the water level change So that the bridge guard 1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can be moved more smoothly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구름 유닛(220)은 원통형 부재(210)의 둘레면 중 상부 둘레면에 대하여 설치되는 상부 구름 유닛(221) 및 원통형 부재(210)의 둘레면 중 하부 둘레면에 대하여 설치되는 하부 구름 유닛(2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구름 유닛(221)은 상부 둘레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될 수 있고, 하부 구름 유닛(222)은 하부 둘레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통형 부재(21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구름 유닛(220)이 배치됨으로써 상하 방향에 대하여 회동 블록(220)이 2점 지지될 수 있어, 수위 변화로 인한 교각보호대(1)의 상하 방향 이동시에 회동 블록이 편중되게 기울어지지 않고 보다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고, 회동 블록(220)에 대한 부유물(1000)의 충돌시 그 충격으로 인해 회동 블록(2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면서 특정 지점에 응력(충격력)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lurality of rolling units 220 are disposed on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olling unit 221 and the cylindrical member 210 installed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And a lower cloud unit 222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2, a plurality of upper rolling units 221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lower rolling units 222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rotation block 220 can be supported at two point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by disposing the rolling unit 220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that the pivot block can be moved more balancedly and stably without inclination of the pivot block 220 when the pivot block 220 mov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ess (impact force) from being excessively concentrated at a specific point while being excessively inclin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도 8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구름 유닛이 교각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구름 유닛이 교각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8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clou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a bridge pier, FIG. 8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cloud units are in contact with a bridge p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복수의 구름 유닛(220)은 원통형 부재(210)가 교각(50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격 및 돌출량으로 설치될 수 있다.8A and 8B, the plurality of rolling units 220 may be installed at intervals and protrusions to prevent the cylindrical member 210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pier 500.

구름 유닛(220)이 원통형 부재(2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원통형 부재(210)에 설치되면서 구름 유닛(220)이 교각(500)에 접촉면적을 최소화(점 접촉)하면서 접촉되고, 원통형 부재(210)는 교각(50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구름 유닛(220)도 교각(500)에 항상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20)가 교각(500)으로부터 이격된 정도, 원통형 부재(210)의 직경, 구름 유닛(220)의 돌출량 등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 모든 회동 블록(200)의 구름 유닛(220) 전부가 교각(500)에 접촉되지는 않는 간격 여유치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유물(1000)이 유체의 흐름에 따라 떠내려와 회동 블록(200)에 충돌하였을 때, 그 충돌로 인해 회동 블록(200)이 회전과 함게 이동하면서 회동 블록(200)과 교각(500) 사이의 간격 여유치가 사라지고 회동 블록(200)의 구름 유닛(220) 중 적어도 하나가 교각(500)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구름 유닛(220)은 교각(500)에 2개가 동시에 직접 접촉되었을 때에도 2개의 구름 유닛(220) 사이의 원통형 부재(210) 부분이 교각(50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 및 돌출량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rolling unit 220 is installed on the cylindrical member 210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cylindrical member 210 so that the rolling unit 2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ier 500 while minimizing the contact area (point contact) 210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bridge pier 500. 4A and 4B, the cloud unit 220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always contact the bridge pier 500. That is, the degree 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spaced from the pier 500,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rolling unit 220, and the like, as shown in Figs. 4A and 4B, All of the cloud units 220 of the block 200 may be set to have a spacing margin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bridge pier 500. Referring to FIG. 5, when the floating body 1000 is float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fluid and collides with the pivot block 200, the pivot block 200 moves with rotation, At least one of the rolling units 220 of the pivot block 200 may be directly contacted to the bridge pier 500. 8B, the rolling unit 220 prevents the portion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between the two rolling units 220 from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bridge pier 500, even when two of the pier 500 are simultaneously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gap and a protrusion amount.

원통형 부재(210)는 부유물(1000)이 충돌되는 둘레면에 대응하여 부유물(1000)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적어도 일부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완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ylindrical member 210 may include a cushioning portion 211 that is provided to absorb at least a portion of the impact applied by the suspension 10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the suspension 1000 collides.

완충부(211)는 부유물(1000)이 떠내려오면서 원통형 부재(210)와 부딪치는 영역에 설치되어 부유물(1000)의 충격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완충부(211)는 부유물(1000)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쿠션형 부재 또는 재질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완충부(211)는 원통형 부재(210)의 둘레면 중 상측 둘레면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부력체(230)는 완충부(211)의 일부(상부)가 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부력을 교각보호대(1)에 대하여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완충부(211)의 다른 일부(하부)는 수위보다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완충부(211)의 다른 일부(하부)는 부유물(1000) 중 밀도, 비중, 중량 등이 커 물에 잠긴 부분이 많은 부유물이나,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물에 잠겨 있는 부유물에 대응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부유물(1000) 중 물보다 밀도가 크지만 유체의 거센 흐름에 따라 떠내려오는 고중량의 부유물 또한 다수 존재하므로, 완충부(211)의 다른 일부(하부) 또한 충분한 상하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시적으로, 완충부(211)는 원통형 부재(210)를 둘러싸도록 부착(설치)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완충부(211)는 원통형 부재(210)의 상단 부분이나 중간 부분에 장착되는 모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부력체(230)의 부력 상쇄 용도의 고정 유닛(300)의 조절을 통해 완충부(211)가 수위보다 상측으로 가급적 노출되도록 한 다음, 이 같이 수상으로 노출된 완충부(211)에 대한 교체 또는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완충부(211)는 고무, 탄성이 있는 소재 등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소재(소정의 탄성 압축 및 탄성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 buffering part 211 may be installed in a region where the floating body 1000 collides with the cylindrical member 210 so as to cope with the impact of the floating body 1000. That is, the buffering part 211 is preferably provided as a cushion-like member or material capable of buffering the shock applied by the floating body 1000. 2, 6, and 7, the buffer part 211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As shown in FIG. 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buoyant body 230 may be provided to provide buoyancy to the pierce guards 1 that a portion (upper portion) of the buffering portion 211 may protrude above the water level. The other part (lower part) of the buffer part 211 may be provided below the water level, and the other part (lower part) of the buffer part 211 may have a larger density, specific gravity, It is a part corresponding to a float with a lot of submerged part or a part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corresponding to a float immersed in water. It is preferable to set the other part (lower part) of the buffer part 211 so as to have a sufficient vertical length as well, since there are many floats of the floating body 1000 having a higher density than water but floating according to the strong flow of the fluid. something to do. Illustratively, the cushioning portion 211 may be provided to be attached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cylindrical member 210. Alternatively, the buffer part 21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odule mounted on the upper or intermediate part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Illustratively, the buffer unit 211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level as much as possible by adjusting the fixed unit 300 for buoyancy cancellation of the buoyancy body 230, Replacement or maintenance may be performed. Illustratively, the cushioning portion 211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 material capable of performing predetermined elastic compression and elastic restoration) such as rubber or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또한 도 2 및 도 8a를 함께 참조하면, 완충부(211)는 구름 유닛(220)이 교각(500)에 접촉될 때 완충되도록 구름 유닛(220)의 돌출량 이상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량 설정이 이루어진 완충부(211)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물(1000)이 회동 블록(200)에 충돌하여 해당 회동 블록(200)의 구름 유닛(220)이교각(500)에 접촉될 때, 완충부(211)는 교각(500)에 대해 오히려 탄성 압축 후 복원에 의한 반발력을 작용하게 되므로, 교각(500)에 대한 구름 유닛(220)의 점 접촉시의 마찰력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어, 회동 블록(200)의 회동이 보다 적은 마찰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2 and 8A, the buffer part 211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outward beyond the protruding amount of the rolling unit 220 so as to be buffered when the rolling unit 220 contacts the pier 500 . 5, the suspension 1000 collides with the pivot block 200 and the pivot angle of the swing block 220 of the pivot block 200 is 500 The buffering portion 211 acts on the bridge pier 500 by restoring force due to the restoring after the elastic compression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at the point contact of the rolling unit 220 with respect to the bridge pier 500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lock 200 can be smoothly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less frictional force is applied.

또한 도 8a 및 도 8b를 함께 참조하면, 완충부(211)는 구름 유닛(220) 2개가 교각(500)에 2점 접촉될 때(도 8b 참조), 구름 유닛(220) 1개가 교각(500)에 1점 접촉될 때(도 8a 참조)보다 더 많은 양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짐으로써, 탄성 압축에 따른 탄성 복원력에 의해 2점 접촉시의 구름 유닛(220)의 마찰력을 1점 접촉시의 구름 유닛(220)의 마찰력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 및 도 8b를 비교하여 보면, 구름 유닛(220) 1개가 교각(500)에 1점 접촉될 때(도 8a 참조)보다는 구름 유닛(220) 2개가 교각(500)에 2점 접촉될 때(도 8b 참조) 원통형 부재(210)의 외주면이 교각(500)에 보다 가깝게 접근하게 된다. 그런데, 구름 유닛(220) 2점 접촉시에는 원통형 부재(210)의 외주면이 교각(500)에 보다 가깝게 접근한 만큼 완충부(211) 또한 보다 많은 탄성 압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 압축후 다시 탄성 복원되는 변형량 및 힘(탄성복원력) 또한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완충부(211)는 교각(500)에 대한 구름 유닛(220) 2점 접촉시에 1점 접촉시보다 많은 탄성 복원력을 교각(500)에 작용하면서 구름 유닛(220)과 교각(500)의 접촉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더욱 저감하게 된다. 이렇게 구름 유닛(200)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정된 완충부(211)에 의해, 부유물(1000) 충돌시의 회동 블록(200)의 회동이 보다 저마찰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8A and 8B, when the two cloud units 22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ridge 500 at two points (see FIG. 8B), one buffer unit 220 is connected to the bridge 500 (See FIG. 8A), the frictional force of the rolling unit 220 at the two-point contact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due to the elastic compression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on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unit 220 can be reduced. Specifically, comparing FIGS. 8A and 8B, it can be seen that two of the cloud units 220 are connected to the bridge pier 500 by two-point contact (see FIG. 8A) when one of the cloud units 220 touches the bridge pier 500 at one point (See FIG. 8B),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comes closer to the bridge pier 500. However, when the rolling unit 2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wo poin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approaches the bridge pillar 500, so that the cushioning portion 211 is also subjected to more elastic compression, The deformation amount and the force (elastic restoring force) to be resiliently restored also become larger. The cushioning portion 211 can prevent the cloud unit 220 and the bridge pier 500 from exerting more elastic restoring force on the bridge pier 500 when the bridge unit 220 contacts the bridge pier 500,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the contact of the contact portion is further reduce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lock 200 at the time of collision with the suspension 1000 can be naturally performed in a lower friction state by the buffer part 211 which is set to project beyond the cloud unit 200. [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완충부(211)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물 수용 홈(211a)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 수용 홈(211a)의 상하 방향 폭은 물 수용 홈(211a) 내에 진입한 물이 표면장력에 의해 물 수용 홈(211a) 내에 고정되어 물 수용 홈(211a)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고 머무를 수 있는 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물 수용 홈(211a)의 폭(너비)은 물이 그 사이에 들어갔을 때 표면장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 빠져나오지 못하고 잔류하게 되는 미세한 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물 수용 홈(211a)의 폭은 mm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물 수용 홈(211a)에 의해, 교각(500) 또는 부유물(1000)과의 접촉으로 인한 완충부(211)의 탄성 압축시, 물 수용 홈(211a)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유출되는 물이 완충부(211)와 교각(500) 사이 또는 완충부(211)와 부유물(1000)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윤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홍수시와 같이 강수량이 많고, 빠른 풍속의 바람이 동반되어 큰 파도가 치는 경우, 물 수용 홈(211a)에는 쉽게 물이 진입할 수 있고 다량의 물이 잔류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홍수시 또는 태풍 통과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물(1000)이 원통형 부재(210)의 완충부에 충돌하면,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완충부가 탄성 압축되면서, 물 수용 홈(211a)에 잔류 중인 물 중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고, 이렇게 유출된 물이 완충부와 부유물(1000)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윤활 역할을 함으로써, 부유물(1000)의 충돌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마찰 저감에 따른 슬라이딩(미끄럼) 작용에 따라 완화될 수 있고, 이때 일부 회동 블록(200)에 전달된 충격은 회동 블록(200)이 회동되면서 회전 에너지로 전환되어 재차 완화될 수 있다.2, a plurality of water receiving grooves 211a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part 211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vertical width of the water receiving groove 211a is set so that the water entering the water receiving groove 211a is fixed in the water receiving groove 211a by the surface tension and can stay without flowing down from the water receiving groove 211a Width < / RTI > That is, the width (width) of the water receiving groove 211a can be set to a fine width that allows the water to remain at least partially due to the surface tension when the water enters therebetween. Illustratively, the width of the water receiving groove 211a may be set in units of mm. This water receiving groove 211a allows water to flow at least partially out of the water receiving groove 211a during elastic compression of the buffer part 211 due to contact with the bridge pillar 500 or the floating body 1000, 211 and the bridge pillar 500 or between the buffer part 211 and the float 1000.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a large amount of rainfall is accompanied by a large amount of precipitation and a wind of a fast wind speed as in the case of flooding, water can easily enter the water receiving groove 211a and a large amount of water may remain. 5, when the float 1000 collides with the cushion of the cylindrical member 210, the cushion of the elastic material is elastically compressed, so that the water receiving groove 211a,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remaining in the floating body 10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d water acts as a lubrication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the buffer part and the floating body 1000, so that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floating body 1000 And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rotary block 200 may be converted to rotary energy while the rotary block 200 is rotated to be relaxed again.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교각보호대
100: 프레임부
110: 연직 축 부재
120: 연결 부재
200: 회동 블록
210: 원통형 부재
211: 완충부
211a: 물 수용 홈
220: 구름 유닛
221: 상부 구름 유닛
222: 하부 구름 유닛
230: 부력체
300: 고정 유닛
500: 교각
1000: 부유물
1: Bridge guard
100:
110: vertical shaft member
120:
200: rotation block
210: cylindrical member
211: buffer
211a: water receiving groove
220: Cloud unit
221: upper cloud unit
222: Lower cloud unit
230: Buoyant body
300: fixed unit
500: Pier
1000: Float

Claims (9)

교각보호대에 있어서,
교각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 축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직 축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의 연직 축 부재 각각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연직 축 부재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동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 블록은, 홍수 발생시 유체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부유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연직 축 부재를 회동 축으로 구름 운동 가능한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는 그 일부가 홍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인, 교각보호대.
In the pier guard,
A fram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vertical shaft member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shaft members to each other; And
And a plurality of rotary blocks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haft members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respective vertical shaft members,
Wherein the rotation block includes a cylindrical member capable of rolling on the pivot axis of the vertical shaft member in response to an impact applied by a floating matter moving in accordance with a fluid flow when a flood occurs,
Wherein the cylindrical member is installed such that a part of the cylindrical member protrudes upward from the flood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블록은, 상기 원통형 부재의 둘레면에 전 방향에 대하여 구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구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름 유닛은 상기 원통형 부재가 상기 교각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격 및 돌출량으로 설치되는 것인, 교각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rolling units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so as to be capable of rolling in all directions,
Wherein the plurality of rolling units are installed at intervals and protrusions to prevent the cylindrical member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bridge pi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름 유닛은 상기 원통형 부재의 둘레면 중 상부 둘레면에 대하여 설치되는 상부 구름 유닛 및 상기 원통형 부재의 둘레면 중 하부 둘레면에 대하여 설치되는 하부 구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교각보호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rolling units include an upper roll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and a lower rolling unit provided on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부유물이 충돌되는 둘레면에 대응하여 상기 부유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적어도 일부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구름 유닛이 상기 교각에 접촉될 때 완충되도록 상기 구름 유닛의 돌출량 이상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인, 교각보호대.
3. The method of claim 2,
Said cylindrical member including a cushioning portion adapted to absorb at least a portion of the impact imposed by said float corresponding to a circumferential surface against which said floatage collides,
Wherein the buffering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outward beyond the projecting amount of the rolling unit so that the buffering unit is buffered when the rolling unit contacts the bridge pi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구름 유닛 2개가 상기 교각에 2점 접촉될 때, 상기 구름 유닛 1개가 상기 교각에 1점 접촉될 때보다 더 많은 양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탄성 압축에 따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2점 접촉시의 구름 유닛의 마찰력을 상기 1점 접촉시의 구름 유닛의 마찰력보다 경감시키는 것인, 교각보호대.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two cloud unit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ridge pier at two points, the cushioning unit provides a greater amount of the elastic compression than when one of the cloud units touches the bridge pier, so that the elastic recovery force Wherei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cloud unit at the two-point contact is lower tha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cloud unit at the one-point contac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물 수용 홈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물 수용 홈의 상하 방향 폭은 물이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물 수용 홈 내에 고정되어 상기 물 수용 홈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고 머무를 수 있는 폭으로 설정되며,
상기 교각 또는 상기 부유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상기 완충부의 탄성 압축시, 상기 물 수용 홈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유출되는 물이 상기 완충부와 상기 교각 사이 또는 상기 완충부와 상기 부유물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윤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 교각보호대.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water receiving grooves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portion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idth of the water receiving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et to a width at which the water is fixed within the water receiving groove by the surface tension and can stay without flowing down from the water receiving groove,
The water flowing out at least partially from the water receiving groove during the elastic compression of the cushioning portion due to contact with the bridge pier or the floating body reduces the friction between the cushioning portion and the pier or the friction between the cushioning portion and the floating body Which is a pillar gu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블록은 상기 원통형 부재의 일부가 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준의 부력을 상기 교각보호대에 제공하는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수위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교각에 대하여 설치되는 것인, 교각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vot block includes a buoyant body that provides buoyancy to the bridge guard at a level at which a portion of the cylindrical member protrudes above the water level,
Wherein the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bridge pier in such a manner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vel by buoyancy of the buoyant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블록을 자중에 의해 하향 가압하여 상기 부력체의 부력 중 적어도 일부를 상쇄하도록 상기 회동 블록의 상측에 안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에 의한 자중만큼 상쇄된 부력에 대응하는 수준만큼 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인, 교각보호대.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t least one fixed unit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vot block so as to cancel at least part of the buoyancy of the buoyant member by pressing down the pivot block by its own weight,
Wherein the cylindrical member protrudes above the water level by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buoyancy canceled by the self weight by the at least one fixed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원통형 부재의 일부가 홍수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교각에 고정 설치되는 것인, 교각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portion is fixed to the bridge pier corresponding to a height at which a part of the cylindrical member protrudes upward from the flood level.
KR1020170094910A 2017-07-26 2017-07-26 Pier protector KR102093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10A KR102093939B1 (en) 2017-07-26 2017-07-26 Pier pro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10A KR102093939B1 (en) 2017-07-26 2017-07-26 Pier prot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039A true KR20190012039A (en) 2019-02-08
KR102093939B1 KR102093939B1 (en) 2020-03-26

Family

ID=6536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910A KR102093939B1 (en) 2017-07-26 2017-07-26 Pier pro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939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6202A (en) * 2019-11-26 2020-03-17 北京工业大学 Socket joint type nod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hollow pier
CN111851272A (en) * 2019-04-24 2020-10-30 古志明 Rotatory pier buffer stop in advance
CN112211090A (en) * 2020-09-29 2021-01-12 西安建筑科技大学 Uniform-spreading energy-consumption type assembled bridge pier
CN112301961A (en) * 2020-11-05 2021-02-02 浙江海洋大学 Protection device of ocean platform spud leg
CN113356144A (en) * 2021-06-30 2021-09-07 孙二豹 Pier striking power of unloading buffer
CN117721766A (en) * 2024-02-18 2024-03-19 四川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Ship collision preventing device for deep water long-span brid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531A (en) * 1999-02-26 2000-09-12 Akihiro Kiyono Shock absorbing ring
KR100642338B1 (en) * 2006-08-11 2006-11-10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Collision protecting guard for a pier construction at the sea
KR101671260B1 (en) * 2016-05-04 2016-11-16 이신원 Liquid repell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sea lev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531A (en) * 1999-02-26 2000-09-12 Akihiro Kiyono Shock absorbing ring
KR100642338B1 (en) * 2006-08-11 2006-11-10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Collision protecting guard for a pier construction at the sea
KR101671260B1 (en) * 2016-05-04 2016-11-16 이신원 Liquid repell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sea level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1272A (en) * 2019-04-24 2020-10-30 古志明 Rotatory pier buffer stop in advance
CN111851272B (en) * 2019-04-24 2021-08-13 古志明 Rotatory pier buffer stop in advance
CN110886202A (en) * 2019-11-26 2020-03-17 北京工业大学 Socket joint type nod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hollow pier
CN112211090A (en) * 2020-09-29 2021-01-12 西安建筑科技大学 Uniform-spreading energy-consumption type assembled bridge pier
CN112211090B (en) * 2020-09-29 2021-11-30 西安建筑科技大学 Uniform-spreading energy-consumption type assembled bridge pier
CN112301961A (en) * 2020-11-05 2021-02-02 浙江海洋大学 Protection device of ocean platform spud leg
CN112301961B (en) * 2020-11-05 2022-02-01 浙江海洋大学 Protection device of ocean platform spud leg
CN113356144A (en) * 2021-06-30 2021-09-07 孙二豹 Pier striking power of unloading buffer
CN117721766A (en) * 2024-02-18 2024-03-19 四川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Ship collision preventing device for deep water long-span bridge
CN117721766B (en) * 2024-02-18 2024-04-30 四川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Ship collision preventing device for deep water long-span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939B1 (en)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2039A (en) Pier protector
EP1826116B1 (en) Mooring system for a floating structure
KR100642334B1 (en) The pier collapse prevention infrastructure
KR101687590B1 (en) 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 solar module on the sea
JP5137946B2 (en) Production of electrical energy from ocean waves
KR100671974B1 (en) The pier collapse prevention infrastructure
US20120141207A1 (en) Energy release buoyant actuator
KR101846125B1 (en) Bridge upper plate increase device for bridge bearing change
CN210420971U (en) One-way rotation formula pier buffer stop that can reset
CN108119315A (en) A kind of floating blower foundation for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CN114207218B (en) floating breakwater structure
CN210151558U (en) Bridge direction is unloaded power buffer stop
JP2011117146A (en) Flap gate
KR200488813Y1 (en) shock absorber unit for protection of bridge pier
CN113756183B (en) Self-adaptive pier scouring protection device based on water flow direction and flow velocity
KR20150018691A (en) Interface device of Floating Pier and Pile
KR101671260B1 (en) Liquid repell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sea level
JP5067703B1 (en) Sea buoyancy type wave absorber and sea wave attenu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2734826Y (en) Horizontal automatically-retractable floating type bridge pier anticollision device
CN103215915B (en) Floating dock
KR100583368B1 (en) Institution of injury protect for bridge
KR101402763B1 (en) Rolling pitching damper for aquatic facilities
CN114250696B (en) Traffic transportation facility buffer stop
JP2020026181A (en) Mooring system
CN106837672B (en) Swing impact type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