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939A -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939A
KR20190011939A KR1020170094655A KR20170094655A KR20190011939A KR 20190011939 A KR20190011939 A KR 20190011939A KR 1020170094655 A KR1020170094655 A KR 1020170094655A KR 20170094655 A KR20170094655 A KR 20170094655A KR 20190011939 A KR20190011939 A KR 20190011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authentication
bio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성
Original Assignee
라임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임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임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1939A/ko
Publication of KR2019001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에서,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하여 보안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안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보안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보안 장치로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SECURITY INFORMATION USING AUTHENTICA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 장치에 보안이 필요한 경우, 디바이스를 통해 생체 정보 인증이 완료되면, 디바이스에서 보안 장치로 보안 정보를 전송하여, 보안 장치에서 보안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의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보안이 필요한 사무실이나 사내 특정 지역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으며, 통제 지역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출입문에 설치된 보안 장치에 사원증을 확인시키면, 출입문이 개방되어 해당 지역에 대한 진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보안이 필요한 기기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키오스크 등에 설치된 보안 장치에 사원증을 확인시키면, 키오스크의 화면에 정보가 표시되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원증은 RFID, NFC, BLE 등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원 카드로 발급될 수 있는데, 카드를 분실하거나 타인에게 대여해주는 경우, 사원 본인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카드 소지만으로 통제 지역에 출입이 가능하고, 보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제 지역이나 보안이 필요한 기기에 별도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통제 지역이나 보안이 필요한 기기에 보안 장치를 별도로 구축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용자가 사원 카드를 통해 통제 지역에 진입하지 못하게 하거나,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지 못하게 하여, 보안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안 장치에 보안이 필요한 경우, 디바이스를 통해 생체 정보 인증이 완료되면, 디바이스에서 보안 장치로 보안 정보를 전송하여, 보안 장치에서 보안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생체 정보 인증이 완료되어야만 디바이스를 소지한 사용자가 보안이 필요한 지역에 진입하거나,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에서,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하여 보안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안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보안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보안 장치로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생체 정보 인증 수행 단계는,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단계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만 상기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은, 상기 생체 정보 인증 수행 단계 이전에, 상기 보안 장치에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 없이 기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하여 보안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무선 통신 범위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이 보안 장치와 연결되어, 보안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인식하는 생체 정보 인식 모듈; 상기 인식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생체 정보 인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보안 장치로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생체 정보 인식 모듈은,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만 상기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보안 장치에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 없이 기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완료해야만 디바이스에서 보안 정보가 전송되어, 보안 장치에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디바이스를 분실하여 다른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소지하더라도, 사용자 본인이 아닌 경우 디바이스에서 보안 정보가 전송되지 않아 보안 서비스도 제공되지 않으므로, 보안이 필요한 지역에 외부 사용자가 진입하지 못하게 하거나,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보안 장치가 설치된 기기에 대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이 필요한 기기에 보안을 위한 별도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아도, 보안 장치와 디바이스만으로 보안이 필요한 기기에 대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보안 시스템 구축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하여 보안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보안 장치(100) 및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보안 장치(100)는 어느 한 지점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가 반경 10m인데, 보안 장치(100)가 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0m 안에 디바이스(200)가 위치하면, 보안 장치(100)는 디바이스(200)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안 장치(100)와 디바이스(200) 간에는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무선 통신(NFC)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안 장치(1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보안 정보를 수신하면,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정보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보안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적합한 사용자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보안 장치(1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보안 정보를 기초로,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보안 서비스를 제공해도 적합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안 서비스 제공 시, 보안 장치(100)는 외부 서버를 통해 보안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안 장치(100) 자체적으로 보안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안 장치(100)는 출입문, 키오스크 등에 설치되어, 설치된 기기에 따라 다양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보안 장치(100)가 출입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출입문 개폐와 관련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키오스크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정보 제공과 관련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에 설치된 보안 장치(1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보안 정보를 수신하면,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해 진입할 수 있도록 출입문을 개방하는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키오스크에 설치된 보안 장치(1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면,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의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장치로,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원증, 카드, 밴드, 시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범위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를 제공하는 비콘(Beacon)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제공하는 태그 장치 등 무선 통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장치로, 기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정보는 디바이스(2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디바이스(200)로부터 디바이스(200)의 주변 기기들에게 전송될 수 있다.
즉, 디바이스(200)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기본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데, 보안 장치(100)가 디바이스(200)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면, 디바이스(200)로부터 보안 장치(100)로 기본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보안 장치(100)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보안 장치(100)를 통해 보안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지문 센서, 카메라, 마이크 등을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보안 장치(100)로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200)는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통해,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진정 사용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보안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적합한 사용자라는 것을 나타내는 보안 정보를 생성하여, 보안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장치(100)는 보안이 필요한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데, 디바이스(200)에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어, 보안 정보를 보안 장치(100)로 전송하면, 보안 장치(100)는 설치되어 있는 기기에 따라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100)가 출입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디바이스(200)에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어, 보안 정보가 보안 장치(100)로 전송되면, 출입문을 개방하는 보안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보안 장치(100)가 키오스크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디바이스(200)에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어, 보안 정보가 보안 장치(100)로 전송되면, 키오스크의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보안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200)는 통신 모듈(210), 생체 정보 인식 모듈(220) 및 생체 정보 인증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 모듈(210)은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면,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통신 수행 시,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디바이스(200)의 주변에 기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정보는 디바이스(2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 없이, 디바이스(200)의 주변 기기들에게 전송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주변에 기본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데, 보안 장치(100)와 디바이스(200)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면, 통신 모듈(210)은 보안 장치(100)와 연결되어, 보안 장치(100)로 기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 모듈(210)은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 없이, 보안 장치(100)에 기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보안 장치(100)와 연결되면, 보안 장치(100)로부터 보안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보안 확인 요청 신호에 따라 보안 장치(100)에 대해 보안이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안 장치(100)에 대해 보안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생체 정보 인식 모듈(220)은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문 센서, 마이크, 카메라 등이 디바이스(200) 내부에 구비되어 있거나, 별도 장치로 디바이스(200)와 연결될 수 있는데, 생체 정보 인식 모듈(220)은 지문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 정보를 생체 정보로 인식할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생체 정보로 인식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홍채 정보를 생체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인증 모듈(230)은 생체 정보 인식 모듈(220)에서 인식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정보 인증 모듈(230)은 생체 정보 인식 모듈(220)에서 인식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대응되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통신 모듈(210)은 보안 장치(100)로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보안 정보에 따라 보안 장치(100)에서 보안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210)은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통해,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보안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적합한 사용자라는 것을 나타내는 보안 정보를 보안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보안 장치(100)는 보안 정보를 확인하여,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정보를 표시하는 등의 보안 서비스를 디바이스(2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이후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만 보안 장치(100)로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기간 이후에는 보안 정보가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하여 보안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S301 단계에서, 디바이스(200)는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면,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주변에 기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정보는 디바이스(2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 없이, 디바이스(200)의 주변 기기들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보안 장치(100)와 디바이스(200)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면, 보안 장치(1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기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안 장치(100)는 기본 정보를 기초로 디바이스(200)를 파악하여, 디바이스(200)로 보안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S302 단계에서, 디바이스(200)는 보안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보안 확인 요청 신호에 따라, 보안 장치(100)에 대해 보안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또는 알림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안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또는 알림 장치를 통해 보안 확인 요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보안 장치(100)로부터 디바이스(200)로 보안 확인 요청 신호가 전송되거나, 보안 장치(100)에 보안 확인 요청 정보가 표시되어, 보안 장치(100)에 대해 보안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디바이스(200)는 S303 단계를 수행하여, 생체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보안 장치(100)에 의해 보안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디바이스(200)는 S301 단계 이전으로 복귀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주변에 기본 정보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100)에 제1 레벨의 보안 수준이 설정되어 있어, 기본 정보만으로 보안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보안 장치(1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기본 정보가 수신되는 것만으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안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보안 확인 요청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디바이스(200)는 S304 단계를 수행하여, 보안 장치(100)로 보안 정보를 전송하여, 보안 장치(100)에서 보안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100)에 제2 레벨의 보안 수준이 설정되어 있어, 기본 정보만으로 보안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고, 보안 정보를 통해서만 보안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보안 장치(1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기본 정보가 수신되더라도,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디바이스(200)로부터 보안 정보가 수신되면,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디바이스(200)는 S301 단계 이전으로 복귀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주변에 기본 정보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즉, 보안 장치(100)에 대해 보안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지 않아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보안 장치(100)에서 보안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디바이스(200)는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이후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만 보안 장치(100)로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기간 이후에는 보안 정보가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이후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디바이스(200)는 S301 단계 이전으로 복귀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주변에 기본 정보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완료해야만 디바이스(200)에서 보안 정보가 전송되어, 보안 장치(100)에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디바이스(200)를 분실하여 다른 사용자가 디바이스(200)를 소지하더라도, 사용자 본인이 아닌 경우 디바이스(200)에서 보안 정보가 전송되지 않아 보안 서비스도 제공되지 않으므로, 보안이 필요한 지역에 외부 사용자가 진입하지 못하게 하거나,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보안 장치가 설치된 기기에 대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이 필요한 기기에 보안을 위한 별도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아도, 보안 장치(100)와 디바이스(200)만으로 보안이 필요한 기기에 대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보안 시스템 구축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보안 장치
200 : 디바이스
210 : 통신 모듈
220 : 생체 정보 인식 모듈
230 : 생체 정보 인증 모듈

Claims (8)

  1. 디바이스에서,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하여 보안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안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보안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보안 장치로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인증 수행 단계는,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단계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만 상기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인증 수행 단계 이전에,
    상기 보안 장치에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 없이 기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5.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하여 보안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무선 통신 범위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이 보안 장치와 연결되어, 보안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인식하는 생체 정보 인식 모듈;
    상기 인식된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생체 정보 인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보안 장치로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인식 모듈은,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만 상기 보안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디바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보안 장치에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 없이 기본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KR1020170094655A 2017-07-26 2017-07-26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90011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655A KR20190011939A (ko) 2017-07-26 2017-07-26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655A KR20190011939A (ko) 2017-07-26 2017-07-26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939A true KR20190011939A (ko) 2019-02-08

Family

ID=6536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655A KR20190011939A (ko) 2017-07-26 2017-07-26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19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1740B2 (en) Wireless reader device with wiegand interface and methods
KR102494560B1 (ko) 방문자에게 건물로의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CN107018124B (zh) 用于控制访问的远程应用
US9396598B2 (en) Remote guest access to a secured premises
US2019034275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abling wearable device user access to secured electronic systems
EP24762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authentication by means of a cellular mobile radio network
US9007174B2 (en) Service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KR101425345B1 (ko) 와이파이 비콘 프레임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전자 출결 시스템의 인증 방법
US11462095B2 (en) Facility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KR101716406B1 (ko)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KR101855494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US11902791B2 (en) Reader device with sensor streaming data and methods
US115467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ce sensing reporting
US201902368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identification
US1123868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digital identity support on legacy access control systems
KR102063569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KR101623432B1 (ko) 블루투스 연결에 의한 실내에서의 출입인증을 차단할 수 있는 블루투스 출입인증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79855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US20180249312A1 (en) Mobile Device as a Form of Identification via Bluetooth
KR20160062369A (ko) 출입 인증 시스템 및 그 인증 방법
KR20130142646A (ko) Qr코드를 이용한 그룹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43876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authorizing reader devices
KR20190079332A (ko) 댁내 방문자 확인을 위한 신분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143716B1 (ko) Rf-card 기반의 출입통제시스템
KR20150081387A (ko)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