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464A - Cage apparatus for a building - Google Patents

Cage apparatus for a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464A
KR20190011464A KR1020170094034A KR20170094034A KR20190011464A KR 20190011464 A KR20190011464 A KR 20190011464A KR 1020170094034 A KR1020170094034 A KR 1020170094034A KR 20170094034 A KR20170094034 A KR 20170094034A KR 20190011464 A KR20190011464 A KR 2019001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astening member
frame
coupled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0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8013B1 (en
Inventor
이범호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013B1/en
Publication of KR2019001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0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2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build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ge apparatus for construction, wherein a connection beam of a main frame is mounted on a mounting space of a connection bracket connected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or a side surface of a slab, and then a coupling position of the connection beam is adjusted by a fastening member. Accordingly, the fastening member can be coupled while the main frame is stably mounted so that simplicity of installation and stability can be secured. Moreover, a height and horizontality of the connection beam can be adjusted by the fastening member. Therefore, the main frame can be fixed in a correct position even when bracket installation errors occur.

Description

건축용 케이지장치{CAGE APPARATUS FOR A BUILDING}[0001] CAGE APPARATUS FOR A BUILDING [0002]

본 발명은 건축용 케이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의 측면에 결합시킨 연결 브라켓의 안착공간에 메인 프레임의 연결 빔을 안착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메인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결 브라켓의 설치 오류 발생시에도 메인 프레임을 정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는 건축용 케이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o a cage apparatus for building, in which a connection beam of a main frame is seated in a seating space of a connection bracket coupled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or a side wall of a slab, It is possible to assure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stability and to adjust the height and the horizontal degree of the connecting beam by using the fastening member, To a cage device for a building which can fix the mainframe to a fixed position even when it occurs.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 시공시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외부 시설공사의 안전성과 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건물의 외벽에는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 케이지가 사용된다.Generally, a safety cage is us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to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er,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the external facility construction and the speeding up of the work.

종래의 안전 케이지는, 대부분 다수의 프레임을 격자 형태 등으로 조립시켜 일정 형상의 틀을 형성하며,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는 작업발판 및, 건물의 외벽과 프레임의 결합부를 조립시키기 위한 체결부재 등으로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safety cage includes a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assembled in a lattice form to form a frame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a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 fastening member for assembling a joint portion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frame.

그런데, 종래의 안전 케이지는 크레인 등을 이용해 건물의 외벽 높이로 프레임을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건물의 외벽과 프레임의 결합부를 조립시키는 과정에서 프레임의 유동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고, 이 경우 프레임의 결합부와 건물의 외벽에 체결부재를 결합시키는 과정이 어려웠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afety cage, there is a fear that the frame may flow dur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joint portion of the frame by using the fastening member after positioning the frame with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using a crane or the like. So that it is difficult to join the fastening member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또한, 중량이 많이 나가는 프레임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결합시켜야 하므로,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외벽에 체결부재가 오 조립된 경우,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정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어야만 했다.Further, since the fastening member must be engag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vy-weight frame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difficult to ensure safety of 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fastening member is assembled to the outer wall, Time and money.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7723호(2016년 12월 0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건축물의 외형에 맞춰 설치가능한 가변식 갱폼이 개시되어 있다.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37723 (December 01, 2016), and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iscloses a variable-type gantry which can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building, .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의 측면에 결합시킨 연결 브라켓의 안착공간에 메인 프레임의 연결 빔을 안착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메인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결 브라켓의 설치 오류 발생시에도 메인 프레임을 정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는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tabilize a main frame by placing a connection beam of a main frame in a seating space of a connection bracket coupled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or a side surface of a slab,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asiness of installation and stability and to adjust the height and horizontal degree of the connecting beam by using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main frame can be fixed And to provide a cage device for a building that can be us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 브라켓의 전면에 보조 브라켓을 결합시킴으로써, 연결 브라켓의 결합 상태가 하중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 브라켓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struction cag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connection state of a connection bracket from being changed by a load by attaching an auxiliary bracket to a front surface of a connection bracket, .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는, 건물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이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연결 빔과, 전면이 상기 외벽에 밀착되며, 상면에는 상기 연결 빔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전면을 상기 외벽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결 빔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positioned adjacent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having at least one operation footrest coupled thereto so that an operator can move, a connection beam horizontal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frame, A connection bracke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and has a seating space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beam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and a coupling bracket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connection bracket, And a fastening unit.

여기서, 상기 연결 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on beams are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the connection brackets are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more than one.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과,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들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 간격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frame may have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rames arrang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uter wall,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irst vertical frames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having opposite ends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wherein the operation footrest has a gap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 ≪ / RTI >

또한,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수평 프레임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pedestal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s, and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외벽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1수직 몸체의 후방에 수직하게 이격 위치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 몸체 및,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2수직 몸체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외벽을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된 전단이 상기 연결 빔의 후면을 가압 지지하는 제2체결부재 및,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3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cket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body that is vertically contacted with the outer wall, a second vertical body that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body and forms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ating space, A horizontal body coupled to the vertical body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body horizontally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the fastening unit including a first horizontal body and a second horizontal body, A second fastening member having a front end horizontally threaded through the second vertical body for pressingly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vertically thread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body and the connecting beam It is preferable that a third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또한, 상기 연결 빔의 전면에는 요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요홈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관통한 상기 제3체결부재의 상단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cess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and the upper end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eam is positioned inside the recess.

또한, 상기 제1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vertical body may have a first inclined portion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eating space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eating space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body.

한편, 본 발명의 건축용 케이지장치는 건물의 슬라브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이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연결 빔과, 전면이 상기 외벽에 밀착되며, 상면에는 상기 연결 빔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과, 후단이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슬라브의 상면에 안착되는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전단을 상기 보조 브라켓의 후단에 결합시키고, 상기 보조 브라켓을 상기 슬라브의 상면에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 빔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cag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positioned adjacent to a slab side of a building and coupled with at least one operation footrest so that an operator can move, a connection beam horizontal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frame, A connection bracket having a front surfa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and has a seating space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beam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to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auxiliary bracke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nd coupling the connection beam and the connection bracket.

여기서, 상기 연결 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on beams are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the connection brackets are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more than one.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슬라브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과,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들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 간격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frame may have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rames arranged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slab,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irst vertical frames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s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and the operation pedestal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and a second vertical frame,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수평 프레임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pedestal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s, and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1수직 몸체의 후방에 수직하게 이격 위치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 몸체 및,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2수직 몸체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보조 브라켓과 상기 제1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된 전단이의 후면을 가압 지지하는 제2체결부재와,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3체결부재 및, 상기 보조 브라켓과 상기 슬라브를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4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bracket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body closely attached to a side surface of the slab, a second vertical body spaced vertically from the rear of the first vertical body to form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ating space, A horizontal body coupled horizontally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vertical body and the second vertical body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the fastening unit horizontally extending through the auxiliary bracket and the first vertical body A second fastening member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end screwed horizontally through the second vertical body, a second fastening member for vertically screwing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body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ody, And a fourth fastening member that is vertically screwed through the slab and the auxiliary bracket.

또한, 상기 연결 빔의 전면에는 요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요홈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관통한 상기 제3체결부재의 상단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cess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and the upper end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eam is positioned inside the recess.

또한, 상기 제1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vertical body may have a first inclined portion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eating space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eating space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body.

또한, 상기 제1수직 프레임의 하단에는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길게 돌출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에는 경사 프레임이 더 결합되며, 상기 경사 프레임은 상단이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연장부재의 길이 상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extension part further protruding below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is further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an inclined frame is further coupled between the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frame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frame is inclined relative to the length of the extending member.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의 측면에 결합시킨 연결 브라켓의 안착공간에 메인 프레임의 연결 빔을 안착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메인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체결부재를 이용해 연결 빔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결 브라켓의 설치 오류 발생시에도 메인 프레임을 정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beam of a main frame is seated in a seating space of a connecting bracket coupled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or a side surface of a slab and then a connecting position of the connecting beam is adjusted by using a fastening member,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asiness of installation and stability and to adjust the height and horizontal degree of the connecting beam by using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main frame can be fixed to the right position even in case of the installation error of the connection bracket .

그리고, 본 발명은 체결부재들의 결합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연결 브라켓의 안착공간 내에 연결 빔이 위치되므로, 비상 상황시 메인 프레임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beam is located in the seating sp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even if the coupling state of the fastening members is change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all of the main frame in an emergency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은 연결 브라켓의 전면에 보조 브라켓을 결합시킴으로써, 연결 브라켓의 결합 상태가 하중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 브라켓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xiliary bracket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bracke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by the load,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can be easily adjusted.

아울러, 본 발명은 안착공간의 입구 부위에 경사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안착공간의 입구를 넓게 형성시킬 수 있어 연결 빔을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연결 빔이 안착공간으로 안내되므로 연결 빔을 설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inclined portion at the entrance portion of the seating space, the entrance of the seating space can be formed to be wide, the connecting beam can be easily placed, and the connecting beam is guided to the seating space,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nection bracket and a connection beam of a building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nection bracket and a connection beam of the building c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for illustrat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nection bracket and a connection beam of a building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nection bracket and a connection beam of a building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2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nection cage and a connection beam of the building c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nection bracket and a connection beam of a building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는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 빔(200)과, 연결 브라켓(300) 및, 체결유닛(A1)(A2)(A3)를 포함한다.1 to 6,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00, a connection beam 200, a connection bracket 300, and fastening units A1 and A2. (A3).

먼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건물의 외벽(1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로 제작할 수 있다.First, the main frame 100 is installed adjacent to an outer wall 10 of a building. The main frame 100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certain width using a metal-based material.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101)이 일정 길이로 설치된다.At least one work footrest 101 is installed to the main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worker can move.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건물의 외벽(10)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00 may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10 of the building.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110)과,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120) 및, 다수의 수평 프레임(130)의 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fram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rames 110,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frames 12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30.

상기 제1수직 프레임(110)들은, 도 1 내지 3에서처럼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건물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1 to 3, and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10.

또한, 상기 제1수직 프레임(110)들의 상하 길이 및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도 1 내지 3에서처럼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후방에 이격 위치된다.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1 to 3,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ar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여기서,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건물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10.

그리고,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로 배열이 가능하다.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may be arrang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물론, 상기 제1수직 프레임(120)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의 개수 및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Of course, the number and lengths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2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20 can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이와 같은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과 제1수직 프레임(120)들의 사이 간격에는 작업발판(101)이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할 수 있다.The operation pedestal 101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and the first vertical frames 120.

수평 프레임(130)들은, 도 1 내지 3에서처럼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과 제1수직 프레임(110) 및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유닛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s 130 are for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as shown in FIGS. 1 to 3. The horizontal frames 130 and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may be joined by welding or separate fastening units.

여기서,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층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frames 130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layer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예를 들어,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을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사이 간격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을 일정 간격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For example, by joining the horizontal frames 130 to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Can be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이때,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은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의 길이 방향 양단이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대응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frames 130 have length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horizontal frames 130 are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의 폭 방향에 제2수직 프레임(120)들이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유닛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s 130. The horizontal frames 13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may be welded or otherwise fastened Can be combined.

작업발판(101)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사이 간격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업발판(101)은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pedestal 101 is horizontally installed at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The operation pedestal 101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wall 10 It can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direction.

그리고, 상기 작업발판(101)들은 작업자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The work footrests 101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so that the worker can work at different heights.

또한, 상기 작업발판(101)은 다수의 빔을 수평하게 격자 형태 등으로 연결시킨 후, 작업자가 올라서는 상면을 메쉬 구조로 적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footrest 101 can prevent slipping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eams horizontally in a lattice shape or the like, and then applying an upper surface of the worker to a mesh structure.

이와 같은 상기 작업발판(101)은,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된 수평 프레임(130)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pedestal 101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s 130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과 건물의 외벽(1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 빔(200)은 후술 될 연결 브라켓(300)의 안착공간(301)에 안착된다.The connection beam 200 is for joining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the outer wall 10 of the building and the connection beam 200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301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

여기서, 상기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전면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다.The connection beam 200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uter wall 10.

그리고, 상기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된다.The connection beams 200 are arranged in at least one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또한, 상기 연결 빔(200)의 전면에는 요홈(210)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요홈(210)은 건물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A groove 210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beam 200. The groove 210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uter wall 10 of the building.

이와 같은 상기 요홈(210)의 내부에는, 연결 빔(200)의 하단을 관통한 후술 될 제3체결부재(A3)의 상단이 위치된다.An upper end of a third fastening member A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eam 200 is positioned inside the groove 210. [

아울러, 상기 연결 빔(200)의 하단에는 수평 몸체(330)에는 후술 될 제3체결부재(A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a coupling hole is vertically formed in the horizontal body 330 at a lower end of the coupling beam 200 so that a third coupling member A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연결 브라켓(300)은, 건물의 외벽(10)과 연결 빔(2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전면이 건물의 외벽(10)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The connection bracket 300 connects the outer wall 10 of the building to the connection beam 200. The connection bracket 300 is coupled to the outer wall 10 of the building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10 of the building.

그리고, 상기 연결 브라켓(300)의 상면에는 전술한 연결 빔(200)이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안착공간(30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The seating space 301 is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so that the connection beam 200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메인 프레임(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rackets 300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00 and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direc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uter wall 10.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제1수직 몸체(310)와, 제2수직 몸체(320) 및, 수평 몸체(330)로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bracket 300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body 310, a second vertical body 320, and a horizontal body 330.

상기 제1수직 몸체(310)는, 안착공간(301)을 기준으로 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부위로, 상기 제1수직 몸체(310)의 전면이 외벽(10)에 수직하게 밀착된다.The first vertical body 310 is vertic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pace 30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is closely contacted to the outer wall 10 vertically.

그리고, 상기 제1수직 몸체(310)에는 후술 될 제1체결부재(A1)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vertical body 310 has a fastening hole horizontally formed through which the first fastening member A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또한, 상기 제1수직 몸체(310)의 상단에는 안착공간(301)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311)가 형성된다.A first inclined portion 311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eating space 30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상기 제1경사부(311)는,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의 상부를 통해 안착시키는 경우, 연결 빔(200)의 하단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착공간(301)으로 이동시킨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slidably move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eam 200 to the seating space 301 when the connection beam 200 is seat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space 301 .

제2수직 몸체(320)는, 안착공간(301)을 기준으로 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부위로, 상기 제2수직 몸체(320)의 전면과 제1수직 몸체(310)의 후면은 이격 위치된다.The second vertical body 320 is formed vertically to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pace 301.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그리고, 상기 제2수직 몸체(320)의 상단에는 안착공간(301)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321)가 형성된다.A second inclined portion 321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eating space 30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상기 제2경사부(321)는,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의 상부를 통해 안착시키는 경우, 연결 빔(200)의 하단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착공간(301)으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1 slidably move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eam 200 forward to the seating space 301 when the connecting beam 200 is seat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space 301 .

이와 같이, 상기 제2경사부(321)와 제1경사부(311)는 안착공간(301)의 상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시킴과 아울러,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으로 안내함으로써,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고, 연결 빔(200)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1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form a relatively large space above the seating space 301 and guide the connecting beam 200 to the seating space, The coupling member 2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301 and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upling beam 200 can be easily adjusted.

수평 몸체(330)는, 제1수직 몸체(310)와 제2수직 몸체(320)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안착공간(30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The horizontal body 330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and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301.

여기서, 상기 수평 몸체(330)에는 후술 될 제3체결부재(A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Here, the horizontal body 330 is vertically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so that the third fastening member A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engaged.

체결유닛(A1)(A2)(A3)은, 연결 브라켓(300)의 전면을 외벽(100)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연결 빔(200)과 연결 브라켓(300)을 결합시킨다.The fastening units A1, A2 and A3 connect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to the outer wall 100 and also connect the connection beam 20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0 together.

이를 위한 상기 체결유닛은, 제1체결부재(A1)와, 제2체결부재(A2) 및, 제3체결부재(A3)로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unit for this purpos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member A1, a second fastening member A2, and a third fastening member A3.

상기 제1체결부재(A1)는, 제1수직 몸체(310)와 건물의 외벽(10)을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부재(A1)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A1 is coupled horizontally through the first vertical body 310 and the outer wall 10 of the building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A1 is coupled in a threaded manner.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재(A1)는 제1수직 몸체(310)의 체결홀을 통해 건물의 외벽(1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Here, the first fastening member A1 is coupled to the outer wall 10 of the building through a fastening hole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in a threaded manner.

예를 들어, 상기 제1체결부재(A1)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체결부재(A1)의 나사부가 건물의 외벽(10)에 결합되고, 머리부가 제1수직 몸체(310)의 후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bolts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first fastening member A1. In this case, the threaded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A1 is coupled to the outer wall 10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제2체결부재(A2)는, 제2수직 몸체(320)를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체결부재(A2)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The second fastening member A2 is coupled horizontally through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2 is coupled in a threaded manner.

여기서, 상기 제2체결부재(A2)는 제2수직 몸체(32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된다.Her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2) is threadedly coupled through a fastening hole of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예를 들어, 상기 제2체결부재(A2)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체결부재(A2)의 나사부가 제2수직 몸체(32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머리부가 제2수직 몸체(320)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2) may be a bolt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threaded portion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2) is thread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And the head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이와 같은 상기 제2체결부재(A2)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체결부재(A2)의 전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 빔(200)의 후면을 가압 지지한다.When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2 rotates in the locking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2 moves forward to press-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200. [

반대로, 상기 제2체결부재(A2)를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체결부재(A2)의 전단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 빔(2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2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2 moves rearwar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face of the connecting beam 200. [

즉, 연결 빔(200)의 전후 촉이 안착공간(301)의 전후 폭보다 작은 경우에도 제2체결부재(A2)의 지지력에 의해 연결 빔(200)이 흔들림 없이 고정된다.That is, even when the front and rear touches of the connection beam 200 are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seating space 301, the connection beam 200 is fixed without being shaken by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2.

제3체결부재(A3)는, 수평 몸체(330)를 통해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체결부재(A3)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The third fastening member A3 is coupled vertically through the horizontal body 330,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A3 is coupled in a threaded manner.

여기서, 상기 제3체결부재(A3)는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된다.Here, the third fastening member A3 is threadedly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of the horizontal body 330.

예를 들어, 상기 제3체결부재(A3)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체결부재(A3)의 나사부가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머리부가 수평 몸체(330)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fastening member A3 may be a bolt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threaded portion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A3 is threadedly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horizontal body 330, The head portion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ody 330. [

이와 같은 상기 제3체결부재(A3)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3체결부재(A3)의 상단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에 결합된다.When the third fastening member A3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A3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horizontal body 330 while moving upward.

반대로, 상기 제3체결부재(A3)를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3체결부재(A3)의 상단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third fastening member A3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A3 can be moved downward and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of the horizontal body 330. [

이와 같은 상기 제3체결부재(A3)는, 연결 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 빔(200)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third fastening member A3 can be position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eam 200, the height and the horizontality of the connection beam 200 can be easily controlled.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300)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A2)(A3)를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가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stening members A2 and A3 can be engaged with the main frame 300 stably mounted, ease of installation and stability can be ensured.

이하, 도 7 내지 1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8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construction cag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cag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연결 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a construction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nection bracket and a connection beam of a building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케이지장치는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 빔(200)과, 연결 브라켓(300)과, 보조 브라켓(400) 및, 체결유닛(B1)(B2)(B3)을 포함한다.7 to 12, a building c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00, a connection beam 200, a connection bracket 300, an auxiliary bracket 400, And units B1, B2, and B3.

먼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건물의 각 층을 형성하는 슬라브(20)의 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로 제작할 수 있다.First, the main frame 1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slab 20 forming each layer of the building. The main frame 100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certain width using a metal-based material.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101)이 일정 길이로 설치된다.At least one work footrest 101 is installed to the main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worker can move.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슬라브(2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00 may be vertically spac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lab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110)과,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120) 및, 다수의 수평 프레임(130)의 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fram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rames 110,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frames 12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30.

상기 제1수직 프레임(110)들은, 도 7 내지 9에서처럼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슬라브(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7 to 9, and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slab 20.

또한, 상기 제1수직 프레임(110)들의 상하 길이 및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도 7 내지 9에서처럼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후방에 이격 위치된다.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7 to 9,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ar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여기서,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슬라브(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slab 20.

그리고,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로 배열이 가능하다.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may be arrang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물론, 상기 제1수직 프레임(120)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의 개수 및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Of course, the number and lengths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2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20 can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이와 같은 상기 제2수직 프레임(120)들과 제1수직 프레임(120)들의 사이 간격에는, 작업발판(101)이 일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할 수 있다.In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and the first vertical frames 120, the operation pedestal 101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수평 프레임(130)들은, 도 7 내지 9에서처럼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과 제1수직 프레임(110) 및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유닛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s 130 are for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as shown in FIGS. 7 to 9. The horizontal frames 130 and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may be joined by welding or separate fastening units.

여기서,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층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frames 130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layer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예를 들어,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을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사이 간격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을 일정 간격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For example, by joining the horizontal frames 130 to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Can be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이때,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은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의 길이 방향 양단이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대응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frames 130 have length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horizontal frames 130 are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의 폭 방향에 제2수직 프레임(120)들이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프레임(13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s 130. The horizontal frames 13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separate fastening members Can be combined.

작업발판(101)은,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사이 간격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업발판(101)은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pedestal 101 is horizontally installed at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The operation pedestal 101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wall 10 It can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direction.

그리고, 상기 작업발판(101)들은 작업자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1수직 프레임(110)들과 제2수직 프레임(120)들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The work footrests 101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120 so that the worker can work at different heights.

또한, 상기 작업발판(101)은 다수의 빔을 수평하게 격자 형태 등으로 연결시킨 후, 작업자가 올라서는 상면을 메쉬 구조로 적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footrest 101 can prevent slipping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eams horizontally in a lattice shape or the like, and then applying an upper surface of the worker to a mesh structure.

이와 같은 상기 작업발판(101)은,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된 수평 프레임(130)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pedestal 101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s 130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과 슬라브(20)의 측면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 빔(200)은 후술 될 연결 브라켓(300)의 안착공간(301)에 안착된다.The connecting beam 200 is for joining the side surfaces of the slab 20 with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the connecting beam 200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301 of the connecting bracket 300 .

여기서, 상기 연결 빔(200)은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연결 빔(200)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Here, the connection beam 2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etal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but the material of the connection beam 200 is not limited.

그리고, 상기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전면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 빔(200)은 슬라브(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다.The connection beam 200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the connection beam 20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lab 20.

또한, 상기 연결 빔(200)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eams 200 are arranged in at least one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아울러, 상기 연결 빔(200)의 전면에는 요홈(210)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요홈(210)은 건물 외벽(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 groove 210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beam 200, and the groove 210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10.

이와 같은 상기 요홈(210)의 내부에는, 연결 빔(200)의 하단을 관통한 후술 될 제3체결부재(B3)의 상단이 위치된다.The upper end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eam 200 is positioned inside the groove 210. [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빔(200)의 하단에는 수평 몸체(330)에는 후술 될 제3체결부재(B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eam 200, a fastening hole is vertically formed in the horizontal body 330 so that a third fastening member B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연결 브라켓(300)은, 건물의 슬라브(20)와 연결 빔(2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전면이 슬라브(2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The connection bracket 300 is for coupling the slab 20 of the building with the connection beam 20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is tight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lab 20.

여기서,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연결 브라켓(300)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Here, the connection bracket 3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but the material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is not limited.

그리고, 상기 연결 브라켓(300)의 상면에는 전술한 연결 빔(200)이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안착공간(30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The seating space 301 is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so that the connection beam 200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메인 프레임(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슬라브(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rackets 300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00 and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direction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lab 20.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 브라켓(300)은, 제1수직 몸체(310)와, 제2수직 몸체(320) 및, 수평 몸체(330)로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bracket 300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body 310, a second vertical body 320, and a horizontal body 330.

상기 제1수직 몸체(310)는, 안착공간(301)을 기준으로 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부위로, 상기 제1수직 몸체(310)의 전면이 슬라브(20)의 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된다.The first vertical body 310 is vertic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pace 30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is vertically contact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lab 20.

그리고, 상기 제1수직 몸체(310)에는 후술 될 제1체결부재(B1)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The first vertical body 310 is horizontally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member B1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제1수직 몸체(310)의 상단에는 안착공간(301)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311)가 형성된다.A first inclined portion 311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eating space 30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상기 제1경사부(311)는,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의 상부를 통해 안착시키는 경우, 연결 빔(200)의 하단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착공간(301)으로 이동시킨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slidably move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eam 200 to the seating space 301 when the connection beam 200 is seat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space 301 .

제2수직 몸체(320)는, 안착공간(301)을 기준으로 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부위로, 상기 제2수직 몸체(320)의 전면과 제1수직 몸체(310)의 후면은 이격 위치된다.The second vertical body 320 is formed vertically to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pace 301.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그리고, 상기 제2수직 몸체(320)의 상단에는 안착공간(301)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321)가 형성된다.A second inclined portion 321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eating space 30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상기 제2경사부(321)는,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의 상부를 통해 안착시키는 경우, 연결 빔(200)의 하단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착공간(301)으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1 slidably move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eam 200 forward to the seating space 301 when the connecting beam 200 is seat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space 301 .

이와 같이, 상기 제2경사부(321)와 제1경사부(311)는 안착공간(301)의 상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시킴과 아울러,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으로 안내함으로써, 연결 빔(200)을 안착공간(301)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고, 연결 빔(200)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1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form a relatively large space above the seating space 301 and guide the connecting beam 200 to the seating space, The coupling member 2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301 and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upling beam 200 can be easily adjusted.

수평 몸체(330)는, 제1수직 몸체(310)와 제2수직 몸체(320)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안착공간(30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The horizontal body 330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and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301.

여기서, 상기 수평 몸체(330)에는 후술 될 제3체결부재(B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Here, the horizontal body 330 is vertically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so that 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이와 같이, 슬라브(20)의 측면에 본 발명의 케이지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연결 브라켓(300)에 메인 프레임(300)의 연결 빔(200)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B2)(B3)를 결합시킬 수 있다.When the c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lab 2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beams 200 of the main frame 300 are fastened to the connection brackets 300, ).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300)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B2)(B3)를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가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s B2 and B3 can be engage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frame 300 is stably mounted, thus ensuring ease of installation and stability.

보조 브라켓(400)은, 연결 브라켓(300)과 슬라브(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 브라켓(400)의 후단이 연결 브라켓(3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 상태로 슬라브(20)의 상면에 안착된다.The auxiliary bracket 400 is provided to firmly connect the connection bracket 300 and the slab 20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bracket 40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20 in a state of FIG.

여기서, 상기 보조 브라켓(400)은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보조 브라켓(400)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Here, the auxiliary bracket 4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but the material of the auxiliary bracket 400 is not limited.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조 브라켓(400)은 후단이 후술 될 제1체결부재(B1)에 의해 제1수직 몸체(310)의 전면에 결합된다.More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bracket 40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by a first fastening member B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를 위해, 상기 보조 브라켓(400)의 후단에는 제1수직 몸체(310)의 체결홀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체결홀이 수평하게 형성된다.To this end, a fastening hole is horizontally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bracket 400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fastening hole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그리고, 상기 보조 브라켓(400)에는 후술 될 제4체결부재(B4)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수직하게 형성된다.A coupling hole is vertically formed in the auxiliary bracket 400 so that a fourth coupling member B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이와 같은 상기 보조 브라켓(400)은 슬라브(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므로, 연결 브라켓(30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auxiliary bracket 400 is latch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20, the coupling force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can be further improved.

체결유닛(B1)(B2)(B3)(B4)은, 도 7 내지 12에서처럼 연결 브라켓(300)의 전단을 보조 브라켓(400)의 후단에 결합시키고, 상기 보조 브라켓(400)을 슬라브(20)의 상면에 결합시키며, 연결 빔(200)과 연결 브라켓(300)을 결합시킨다.7 to 12, the front ends of the connection brackets 300 are coupled to the rear ends of the auxiliary brackets 400, and the auxiliary brackets 400 are connected to the slabs 20 And connects the connection beam 20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0 to each other.

이를 위한 상기 체결유닛은, 제1체결부재(B1)와, 제2체결부재(B2)과, 제3체결부재(B3) 및, 제4체결부재(A4)로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unit for this purpos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member B1, a second fastening member B2, a third fastening member B3, and a fourth fastening member A4.

상기 제1체결부재(B1)는, 제1수직 몸체(310)와 보조 브라켓(400)의 후단을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부재(B1)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B1 is coupled horizontally through the rear ends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and the auxiliary bracket 400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B1 is coupled in a threaded manner.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재(B1)는 제1수직 몸체(310)의 체결홀을 통해 보조 브라켓(400)의 후단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B1 is coupled in a threaded manner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bracket 400 through a fastening hole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

예를 들어, 상기 제1체결부재(B1)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체결부재(B1)의 나사부가 제1수직 몸체(310)와 보조 브라켓(400)의 체결홀에 결합되고, 머리부가 제1수직 몸체(310)의 후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 bolt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first fastening member B1. In this case, the threaded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B1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holes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and the auxiliary bracket 400 And the head can be latch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ody 310.

제2체결부재(B2)는, 제2수직 몸체(320)를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체결부재(B2)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The second fastening member B2 is coupled horizontally through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2 is coupled in a threaded manner.

여기서, 상기 제2체결부재(B2)는 제2수직 몸체(32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된다.Her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2 is threadedly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of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예를 들어, 상기 제2체결부재(B2)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체결부재(B2)의 나사부가 제2수직 몸체(32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머리부가 제2수직 몸체(320)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2 may be a bolt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threaded portion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2 may be thread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And the head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body 320.

이와 같은 상기 제2체결부재(B2)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체결부재(B2)의 전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 빔(200)의 후면을 가압 지지한다.When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2 rotates in the locking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2 moves forward to press-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200. [

즉, 연결 빔(200)의 전후 촉이 안착공간(301)의 전후 폭보다 작은 경우에도 제2체결부재(B2)의 지지력에 의해 연결 빔(200)이 흔들림 없이 고정된다.That is, even when the front and rear touches of the connection beam 200 are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seating space 301, the connection beam 200 is fixed without being shaken by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2.

반대로, 상기 제2체결부재(B2)를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체결부재(B2)의 전단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 빔(2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2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2 moves awa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200 while moving backward.

제3체결부재(B3)는, 수평 몸체(330)를 통해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체결부재(B3)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is coupled vertically through the horizontal body 330,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is coupled in a threaded manner.

여기서, 상기 제3체결부재(B3)는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된다.Here, 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is threadedly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of the horizontal body 330. [

예를 들어, 상기 제3체결부재(B3)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체결부재(B3)의 나사부가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머리부가 수평 몸체(330)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may be a bolt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threaded portion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is threadedly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horizontal body 330, The head portion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ody 330. [

이와 같은 상기 제3체결부재(B3)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3체결부재(B3)의 상단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에 결합된다.When 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horizontal body 330 while moving upward.

반대로, 상기 제3체결부재(B3)를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3체결부재(B3)의 상단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수평 몸체(330)의 체결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can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of the horizontal body 330 while moving downward.

이와 같은 상기 제3체결부재(B3)는, 연결 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 빔(200)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third fastening member B3 can be position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eam 200, the height and the horizontality of the connection beam 200 can be easily controlled.

제4체결부재(B4)는, 보조 브라켓(400)과 슬라브(20)의 상면을 통해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4체결부재(B4)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The fourth fastening member B4 is coupled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bracket 400 and the slab 20 and the fourth fastening member B4 is coupled in a threaded manner.

이와 같이, 상기 제4체결부재(B4)에 의해 보조 브라켓(400)이 고정되므로, 제1수직 브라켓(310)의 전면을 슬라브(20)의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Since the auxiliary bracket 400 is fixed by the fourth fastening member B4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racket 310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lab 20. [

한편, 제1수직 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제2수직 프레임(120)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길게 돌출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제2수직 프레임(120)의 사이에는 경사 프레임(140)이 더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xtended portion that protrudes dow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120. An extended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20, (140) may be further combined.

상기 경사 프레임(140)은, 상단이 제2수직 프레임(1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경사 프레임(140)의 하단이 연장부의 길이 상에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frame 14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frame 140 can be inclined on the length of the extended portion.

이와 같은 상기 경사 프레임(140)은 제1수직 프레임(110)의 연장부에 결합된 하단을 기준으로 상단이 제2수직 프레임(120)의 하단을 지지하므로, 제1수직 프레임(110)과 제2수직 프레임(120)이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frame 140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120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coupled to the extens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2 Vertical frame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its own weight.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10) 또는 슬라브(20)의 측면에 결합시킨 연결 브라켓(300)의 안착공간(301)에 메인 프레임(100)의 연결 빔(200)을 안착시킨 후, 체결부재(A2)(A3)(B2)(B3)를 이용해 연결 빔(20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necting beam 200 of the main frame 100 is placed in the seating space 301 of the connecting bracket 300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outer wall 10 or the slab 20 of the build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upling beam 200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coupling members A2, A3, B2, and B3.

이로써, 메인 프레임(100)을 설치 위치에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으며, 체결부재(A2)(A3)(B2)(B3)를 이용해 연결 빔(200)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결 브라켓(300)의 설치 오류 발생시에도 메인 프레임(100)을 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main frame 100 to the mounting position and adjust the height and the horizontal degree of the connecting beam 200 using the fastening members A2, A3, B2, and B3, The main frame 100 can be fixed in a fixed position even when a mounting error of the bracket 300 occurs.

그리고, 본 발명은 체결부재들의 결합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연결 브라켓(300)의 안착공간(301) 내에 연결 빔(200)이 위치되므로, 비상 상황시 메인 프레임(1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connecting beam 200 is positioned in the seating space 301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even if the coupling state of the fastening members is changed, the fall of the main frame 100 in an emergency can be prevented, Safety can be ensured.

또한, 본 발명은 연결 브라켓(300)의 전면에 보조 브라켓(400)을 결합시킴으로써, 연결 브라켓(300)의 결합 상태가 하중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 브라켓(300)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from being changed by the load by connecting the auxiliary bracket 400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300, Can be easily controlled.

아울러, 본 발명은 안착공간(301)의 입구 부위에 제1경사부(311) 및 제2경사부(321)를 형성시킴으로써, 안착공간(301)의 입구를 넓게 형성시킬 수 있어 연결 빔(200)을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연결 빔(200)이 안착공간(301)으로 안내되므로 연결 빔(200)을 설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1 are formed at the entrance portion of the seating space 301, the entrance of the seating space 301 can be formed to be wide, And the connecting beam 200 is guided to the seating space 301, so that the connecting beam 200 can be easily moved to the mounting position.

지금까지 본 발명의 건축용 케이지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claims of the patent as well as the claims of the patent registration described later.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all a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R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외벽 20: 슬라브
100: 메인 프레임 101: 작업발판
110: 제1수직 프레임 120: 제2수직 프레임
130: 수평 프레임 140: 경사 프레임
200: 연결 빔 210: 요홈
300: 연결 브라켓 301: 안착공간
310: 제1수직 몸체 311: 제1경사부
320: 제2수직 몸체 321: 제2경사부
330: 수평 몸체 400: 보조 브라켓
A1: 제1체결부재 A2: 제2체결부재
A3: 제3체결부재 B1: 제1체결부재
B2: 제2체결부재 B3: 제3체결부재
B4: 제4체결부재
10: outer wall 20: slab
100: Main frame 101: Operation footrest
110: first vertical frame 120: second vertical frame
130: Horizontal frame 140: Inclined frame
200: connecting beam 210: groove
300: connection bracket 301: seat space
310: first vertical body 311: first inclined portion
320: second vertical body 321: second inclined portion
330: Horizontal body 400: Auxiliary bracket
A1: first fastening member A2: second fastening member
A3: Third fastening member B1: First fastening member
B2: second fastening member B3: third fastening member
B4: Fourth coupling member

Claims (15)

건물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이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연결 빔;
전면이 상기 외벽에 밀착되며, 상면에는 상기 연결 빔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전면을 상기 외벽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결 빔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A main frame positioned adjacent to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coupled with at least one operation pedestal so that the operator can move;
A connecting beam horizontal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frame;
A connection bracket having a front surface closely contacted with the outer wall and having a seating space formed concavely on an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connection beam is seated; And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to the outer wall and coupling the connection beam and the connection bra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beam
At least one layer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The connection bracket
Wherein the at least one layer is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and is arranged in at least one direc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uter wa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과,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들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 간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rames having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uter wall,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frames having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behind the first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having opposite ends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The operating footrest,
Wherei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수평 프레임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rating footrest,
Wherein the at least one layer is selectively coupled to upp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s and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외벽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1수직 몸체의 후방에 수직하게 이격 위치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 몸체 및,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2수직 몸체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외벽을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된 전단이 상기 연결 빔의 후면을 가압 지지하는 제2체결부재 및,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3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A second vertical body that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body and forms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ating space, and a second vertical body that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body, A horizontal bod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ody horizontally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The fastening unit includes:
A second fastening member having a front end screwed horizontally through the second vertical body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And a third fastening member vertically thread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ody and the horizontal bod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빔의 전면에는,
요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요홈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관통한 상기 제3체결부재의 상단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5,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The recess is recessed,
Inside the groove,
And an upper end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a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eam is position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body,
A first inclined portion downwardly inclined to the seating spa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body,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downwardly inclined to the seating space is formed.
건물의 슬라브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이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연결 빔;
전면이 상기 외벽에 밀착되며, 상면에는 상기 연결 빔이 안착되도록 안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
후단이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슬라브의 상면에 안착되는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전단을 상기 보조 브라켓의 후단에 결합시키고, 상기 보조 브라켓을 상기 슬라브의 상면에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 빔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A main frame positioned adjacent to the slab side of the building and having at least one operation pedestal coupled thereto for movement by an operator;
A connecting beam horizontal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frame;
A connection bracket having a front surface closely contacted with the outer wall and having a seating space formed concavely on an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connection beam is seated;
An auxiliary bracket that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lab in a state that a rear end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a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And
And a coupling unit for coupling a front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to a rear end of the auxiliary bracket and coupling the auxiliary bracket to an upper surface of the slab and coupling the connection beam and the connection bracket.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외벽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necting beam
At least one layer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The connection bracket
Wherein the at least one layer is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and is arranged in at least one direc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uter wall.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슬라브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수직 프레임과,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수직 프레임들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제2수직 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 간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main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rames having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lab,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frames having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behind the first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The operating footrest,
Wherei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수평 프레임들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rating footrest,
Wherein the at least one layer is selectively coupled to upp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s and arranged in at least one lay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1수직 몸체의 후방에 수직하게 이격 위치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 몸체 및, 상기 제1수직 몸체와 상기 제2수직 몸체의 하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보조 브라켓과 상기 제1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 몸체를 통해 수평하게 나사결합된 전단이의 후면을 가압 지지하는 제2체결부재와,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3체결부재 및, 상기 보조 브라켓과 상기 슬라브를 통해 수직하게 나사결합되는 제4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nection bracket
A second vertical body spaced vertically from the rear of the first vertical body and defining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ating space, and a second vertical body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side of the slab, A horizontal body coupled horizontally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body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The fastening unit includes:
A second fastening member horizontally threaded through the auxiliary bracket and the first vertical body, a second fastening member pressingly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end screwed horizontally through the second vertical body, A third fastening member screwed vertically through the body and a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eam, and a fourth fastening member screwed vertically through the slab and the auxiliary bracke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빔의 전면에는,
요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요홈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빔의 하단을 관통한 상기 제3체결부재의 상단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The recess is recessed,
Inside the groove,
And an upper end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a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eam is position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body,
A first inclined portion downwardly inclined to the seating spa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body,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downwardly inclined to the seating space is form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프레임의 하단에는,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길게 돌출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사이에는 경사 프레임이 더 결합되며,
상기 경사 프레임은,
상단이 상기 제2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연장부재의 길이 상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케이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Wherein an extended portion further protru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is further formed and an inclined frame is further coupled between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The inclined frame includes: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is inclined to the length of the extension member.
KR1020170094034A 2017-07-25 2017-07-25 Cage apparatus for a building KR102028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34A KR102028013B1 (en) 2017-07-25 2017-07-25 Cage apparatus for a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34A KR102028013B1 (en) 2017-07-25 2017-07-25 Cage apparatus for a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464A true KR20190011464A (en) 2019-02-07
KR102028013B1 KR102028013B1 (en) 2019-10-04

Family

ID=6536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034A KR102028013B1 (en) 2017-07-25 2017-07-25 Cage apparatus for a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0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840B1 (en) * 2020-11-25 2021-08-31 한의원 Curtain wall fr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12B1 (en) * 2007-01-12 2008-04-17 주식회사 근하기공 Construction method for gang form falling protection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of
KR20110094720A (en) * 2010-02-17 2011-08-24 송재근 Composite cage for construction
KR101364198B1 (en) * 2013-01-10 2014-02-20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Variable scaffold for vuilding outer wall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12B1 (en) * 2007-01-12 2008-04-17 주식회사 근하기공 Construction method for gang form falling protection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of
KR20110094720A (en) * 2010-02-17 2011-08-24 송재근 Composite cage for construction
KR101364198B1 (en) * 2013-01-10 2014-02-20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Variable scaffold for vuilding outer wall constr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840B1 (en) * 2020-11-25 2021-08-31 한의원 Curtain wall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013B1 (en) 2019-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07312A (en) Rail fixing device of elevator
KR20190011464A (en) Cage apparatus for a building
KR101895448B1 (en) Anchor bolt fixing device for wall form supporter
JP6021831B2 (en) Sasara girder positioning joint structure
JP4763572B2 (en) Pedestrian reinforcement device
JP6562859B2 (en) Passenger conveyor installation method
JP6738523B2 (en) Steel stairs and method of mounting steel stairs
JP2009220893A (en) Car frame of elevator
JP3971420B2 (en) Balcony railing
KR101973798B1 (en) Toe Board for Scaffolding
JP7050376B1 (en) Strut reinforcement and temporary scaffolding using this
JP5439002B2 (en) Expansion unit mounting structure, expansion unit mounting method and unit type building
JP4766424B2 (en) Passage, passage unit
JP3718556B2 (en) Rising ALC wall corner mounting structure
KR101798585B1 (en) Railing support on the handrail
KR200378136Y1 (en) Assembly stairs handrail
JP5271738B2 (en) Building unit and unit building
JP3236946U (en) Piping unit
JP2001164684A (en) Method of mounting precast concrete curtain wall
JP7014547B2 (en) Exposed stairs structure
JP5270950B2 (en) Stairs, tread mounting brackets for stairs
JP6377238B1 (en) Assembling staircase
JP4261327B2 (en) Wooden house
JP3506168B2 (en) Lumbar mounting bracket and lumbar wall mounting structure
JP3912047B2 (en) Floor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