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029A -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029A
KR20190011029A KR1020170093422A KR20170093422A KR20190011029A KR 20190011029 A KR20190011029 A KR 20190011029A KR 1020170093422 A KR1020170093422 A KR 1020170093422A KR 20170093422 A KR20170093422 A KR 20170093422A KR 20190011029 A KR20190011029 A KR 2019001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mounting bracket
bracket
vehicle body
stru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5348B1 (en
Inventor
서성욱
이강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348B1/en
Publication of KR2019001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3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A reinforcement unit for an engine room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ment unit for an engine room comprises: a mounting bracket mounted in a front end module arranged in the front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vehicle body; a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mounted in a shock absorber housing individually arranged 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connection member mounted in each member and a hood mount member in a position in which an A-pillar member, a cowl cross member, and a fender apron upper member of the vehicle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trut bar of which the front is mounted in the mounting bracket, and both ends are fixated to the connection member.

Description

엔진룸 보강유닛{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room reinforcement unit,

본 발명은 엔진룸 보강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엔드 모듈로부터 A 필러 멤버, 카울 크로스 멤버, 및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를 일체로 연결하여 엔진룸의 강건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room reinforcement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gine room reinforcement unit for integrally connecting an A-pillar member, a cowl cross member and a fender apron upper member from a front end module to secure robustness of an engine room .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차체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여 엔진룸을 형성하는 골격 구조로서, 엔진룸의 전방을 형성하고 쿨링 모듈과 헤드 램프 등이 장착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과, 엔진룸의 좌우 양측부를 형성하고 현가장치가 장착됨과 더불어 차륜이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프론트 펜더 에이프런 멤버, 엔진룸의 후방에 위치되어 승객실과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시 패널 등을 포함한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front vehicle body of a vehicle is a skeleton structure that forms an engine room at a front posi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vehicle, and includes a front end module in which a cooling module and a head lamp are formed, A front fender apron member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suspension is mounted and a wheel is installed, a dash panel positioned behind the engine room for partition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and the engine compartment, and the like.

또한 엔진룸의 하부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어 전방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강화시키고, 엔진룸에 설치되는 엔진과 트랜스미션뿐만 아니라 현가장치 등을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해 서브 프레임이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연결된다.In addition, a front side member, which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ngine room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o reinforc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front vehicle body. In addition to the engine and transmission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The subframe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memb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엔진룸은 하부가 차체와 연결되는 반면, 상부가 차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엔진룸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취약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ntional engine room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vehicle body, the upper portion of the engine room may be relatively less rigid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engine room.

또한, 개방된 엔진룸의 상부에서는 차체들 사이의 연결성 저하로 인해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지지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엔진룸의 상부에서 종 굽힘 비틀림 및 횡 굽힘 비틀림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upper part of the opened engine room,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distribute and support loads generated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due to deterioration of connectivity between the vehicle bodies. As a result, longitudinal bending torsion and transverse bending torsion can occur at the top of the engine compartment.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section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previous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방된 엔진룸 상부의 전, 후방과 좌, 우측이 연결되도록 프론트 엔드 모듈로부터 A 필러 멤버, 카울 크로스 멤버, 및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를 일체로 연결하여 엔진룸의 강건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차량용 엔진룸 보강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illar member, a front- A cow cross member, and a fender apron upper member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secure the robustness of the engine room.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은 차체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엔드 모듈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쇽 업소버 하우징에 장착되는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 차체의 A 필러 멤버, 카울 크로스 멤버, 및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멤버들과 후드 마운트 멤버에 장착되는 연결부재; 및 전방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고, 양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스트럿 바를 포함한다. 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n engine room reinforcement unit comprising: a mounting bracket mounted on a front end module disposed in front of a vehicle body; A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mounted on a shock absorber housing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connecting member mounted on each of the members and the hood mount member at a position where the A-pillar member, the cowl cross member, and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of the vehicle body are connected; And a strut bar to which a front end is mounted to the mounting bracket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스트럿 바는 상기 장착 브라켓에 고정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향하여 설정각도로 각각 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ut bar having a center portion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And a bent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and bent at an angle to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쇽 업소버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는 링 형상의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를 지나는 상기 절곡부를 상기 제1 브라켓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절곡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comprises: a ring-shaped first bracke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hock absorber housing; And a support bracket mounted on the first bracket and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while fixing the bent portion pa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to the first bracket.

상기 중앙부는 전방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일정부분 삽입되며, 접착제 또는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장착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bracket at a predetermined portion and can be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through an adhesive or riveting.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절곡부가 고정되도록 장착소켓이 장착될 수 있다.A mounting socket may be mounted on the end of the bent portion such that the bent portion is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장착소켓은 상기 절곡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절곡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볼팅될 수 있다.The mounting socket is fixed to the bent portion through an adhesive and riveting in a state where the bent portion is inserted, and can be bolted to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및 상기 후드 마운트 멤버에 각각 고정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스트럿 바가 장착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cowl cross member,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and the hood mount member, respectively; And a second link member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o which the strut bar is mounted.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및 상기 후드 마운트 멤버에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may be fixed by welding to the cowl cross member,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and the hood mount member.

상기 스트럿 바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rut bar may be formed in a " V " shape.

상기 스트럿 바는 그 재질이 탄소 강화 섬유 플라스틱 수지(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 CFRP)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rut bar may be made of 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CFR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에 의하면, 개방된 엔진룸 상부의 전, 후방과 좌, 우측이 연결되도록 프론트 엔드 모듈로부터 A 필러 멤버, 카울 크로스 멤버, 및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V자 형상의 스트럿 바를 장착함으로써, 엔진룸의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ngine room reinforc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illar member, the cowle cross member, and the fender apron are provided from the front end module so that the front, rear, left, By attaching the V-shaped strut bar to integrally connect the upper members, the robustness of the engine room can be ensured.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종 방향, 횡 방향, 및 축 방향 하중을 상기 A 필러 멤버,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 및 상기 프론트 어퍼 멤버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산 및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stribute and support longitudinal, lateral, and axial loads generated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through the A-pillar member, the cowl cross member, and the front upper member.

또한, 주행 중에 종 방향, 횡 방향, 축 방향 하중에 대한 엔진룸 상부의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주행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Further, the rigidity of the engine room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axial load during running is improved, so that the running stability can be improved.

나아가, 차체로 입력되는 종 방향, 횡 방향, 및 축 방향 하중을 효율적으로 차체에 분산하여 전달함으로써, 엔진룸 상부에서 종 굽힘 비틀림, 횡 굽힘 비틀림, 및 축 굽힘 비틀림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Further, longitudinally, transversely, and axial loads inputted to the vehicle body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whereby vertical bending twisting, lateral bending torsion, and axial bending torsio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at the top of the engine roo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에 적용되는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에 적용되는 제1 연결부재의 장착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to which an engine room reinforc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applied to an engine room reinforc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5 is a mounting state diagram of a first connecting member applied to an engine room reinforc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erms such as " ... unit ", " unit of means ", " part of item ", " absence of member ", and the like denote a unit of a comprehensive constitution hav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t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에 적용되는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에 적용되는 제1 연결부재의 장착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to which an engine room reinforc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 FIG. 5 is a mounting state diagram of a first connecting member applied to an engine room reinforc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5,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체(10)는 A 필러 멤버(12), 카울 크로스 멤버(14),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fender apron upper member, 16),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18), 및 쇽 업쇼버 하우징(shock absorber housing, 19)을 포함한다.1 and 2, the vehicle body 10 includes an A-pillar member 12, a cowl cross member 14, a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a front end module 16, 18, and a shock absorber housing 19.

상기 A 필러 멤버(12)는 차량에 장착되는 프런트 글라스(front glass)의 폭 방향 양측을 지지하며,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4), 및 상기 프런트 에이프런 어퍼 멤버(16)와 각각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A-pillar member 12 supports both widthwise sides of a front glass mounted on the vehicle,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cowl cross member 14 and the front apron upper member 16, respectively.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4)는 프런트 글라스(front glass)의 전방에 연결되는 멤버로,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카울 크로스 멤버(14)는 대시패널(dash penal, 11)로부터 연장되거나, 상기 대시패널(11)에 장착될 수 있다. The cow cross member 14 is a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front glass, and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cowl cross member 14 may extend from the dash panel 11 or may be mounted on the dash panel 11. [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6)는 펜더 에이프런(fender apron)의 상부 멤버이다. 즉,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6)는 펜더(fender)의 안쪽에서 휠(wheel)과 엔진룸의 칸막이 역할을 하는 펜더 에이프런의 상부에 구비된다.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is a top member of a fender apron. That is,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ender apron which serves as a partition between the wheel and the engine room inside the fender.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은 상기 차체(10) 전면의 여러 부품을 하나의 모듈(module)로 구성한 멤버이다. 즉, 상기 프런트 엔드 모듈(18)은 상기 프런트 보디의 최전방에 배치된다.The front end module 18 is a member in which various component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0 are constituted by one module. That is, the front end module 18 is disposed at the forefront of the front body.

그리고 상기 쇽 업쇼버 하우징(19)은 쇽 업쇼버(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6)와 프런트 사이드 멤버(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된다.The shock absorber housing 19 is a portion to which a shock absorber (not shown) is mounted,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and a front side member (not shown).

이러한 프런트 보디를 구성하는 상기 차체(10)의 멤버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mbers of the body 10 constituting such a front bod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10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0)의 엔진룸 상부에 장착되며, 스트럿 바(102), 장착 브라켓(110),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120), 및 연결부재(140)를 포함한다.1, the engine room reinforc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n engine room of the vehicle body 10 and includes a strut bar 102, a mounting bracket 110, An absorber mounting bracket 120, and a connecting member 140.

먼저, 상기 스트럿 바(102)는 상기 장착 브라켓(110)에 고정되는 중앙부(104)와, 상기 중앙부(104)의 양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재(150)를 향하여 설정각도로 각각 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ut bar 102 integrally includes a central portion 104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110 and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110 extending integrally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104 and bent toward the connecting member 150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이러한 스트럿 바(102)는 중공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트럿 바(102)는 상기 절곡부(106)가 상기 차체(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rut bar 102 is formed into a hollow bar shape. In addition, the strut bar 102 may be formed in a " V " shape in which the bent portion 106 is bent obliquely rearward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0.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스트럿 바(102)는 탄소 강화 섬유 플라스틱 수지(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 CFRP)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trut bar 102 thus configured may be formed of 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CFRP).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럿 바(102)가 CFRP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상기 스트럿 바(102)는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rut bar 102 is formed of a CFRP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rut bar 102 may be formed of steel or aluminum.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럿 바(102)가 중공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스트럿 바(102)의 강성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보강 폼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ut bar 102 is formed in a hollow bar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strut bar 102, Can be applied.

상기 장착 브라켓(110)은 차체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6)에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 브라켓(110)은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6)에 볼트 체결을 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110 is mounted on the front end module 16 dispos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mounting bracket 110 may be mounted to the front end module 16 through bolting.

여기서, 상기 중앙부(104)는 전방이 상기 장착 브라켓(110)에 일정부분 삽입된다. 이러한 중앙부(104)는 접착제 또는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장착 브라켓(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104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bracket 110 at a certain position. The central portion 104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110 through an adhesive or rivet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120)은 상기 차체(10)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쇽 업소버 하우징(19)에 장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s 120 are mounted on the shock absorber housing 19, which are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12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122)과 지지브라켓(124)을 포함한다.Here, the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120 includes a first bracket 122 and a support bracket 124,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제1 브라켓(122)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쇽 업소버 하우징(19)의 상부에 볼트(미도시)를 통해 체결된다. 이러한 제1 브라켓(122)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3, the first bracket 122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ck absorber housing 19 through a bolt (not shown). The first bracket 122 is formed in a ring shape.

상기 지지브라켓(124)은 상기 제1 브라켓(122)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지지브라켓(124)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브라켓(122)의 상부를 지나는 상기 절곡부(106)를 상기 제1 브라켓(122)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절곡부(106)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bracket 124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122. 2, the support bracket 124 is fixed to the bent portion 106 while fixing the bent portion 106 passing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122 to the first bracket 122, Can be supported.

이 때, 상기 절곡부(106)의 하부는 상기 지지브라켓(124)에 접착제 또는 리벳팅을 통해 상기 지지브라켓(124)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106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124 through an adhesive or riveting.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124)은 상기 제1 브라켓(122)의 상부에서 볼트 체결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bracket 124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122 through bolt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14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A 필러 멤버(12),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4), 및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6)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멤버들과 후드 마운트 멤버(15)에 장착된다.4, the connecting member 14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A pillar member 12, the cowl cross member 14, and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members and the hood mount member 15. [

여기서, 상기 절곡부(106)의 단부에는 상기 절곡부(106)가 상기 연결부재(140)에 고정되도록 장착소켓(130)이 장착될 수 있다.The mounting socket 130 may be mounted on the end of the bent portion 106 such that the bent portion 106 is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140.

상기 장착소켓(130)은 상기 절곡부(106)가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절곡부(106)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140)에 볼팅될 수 있다.The mounting socket 130 is fixed to the bent portion 106 through an adhesive and riveting in a state where the bent portion 106 is inserted and can be bol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40.

즉, 상기 장착소켓(130)은 탄소 강화 섬유 플라스틱 수지(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 CFRP)로 형성되는 상기 스트럿 바(102)의 절곡부(106)를 상기 연결부재(140)에 고정시키기 위해 장착된다.That is, the mounting socket 130 is mounted to fix the bent portion 106 of the strut bar 102 formed of 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CFRP) to the connecting member 140 do.

한편, 상기 연결부재(140)는 제1 연결부재(142)와 제2 연결부재(144)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connection member 14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member 142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144.

먼저, 상기 제1 연결부재(142)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4),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6), 및 상기 후드 마운트 멤버(15)에 각각 고정된다.Firs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42 is fixed to the cowl cross member 14,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and the hood mount member 15,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재(144)는 상기 제1 연결부재(142)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스트럿 바(102)가 장착된다.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4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42, and the strut bar 102 is mounted.

즉, 제2 연결부재(144)에는 상기 절곡부(106)에 장착된 상기 장착소켓(130)이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mounting socket 130 mounted on the bent portion 106 may be fix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4.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재(142)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후드 마운트 멤버(15)에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5 to 7,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42 is fixed to the hood mount member 15 through welding.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142)의 상부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4)에 용접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42 is welded to the cowl cross member 14.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재(142)에서 차량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는 측면은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6)에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A side surface of the first linking member 142 facing outward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is fixed to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through welding.

여기서,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6)의 후방에는 상기 A 필러 멤버(12)가 연결된다. Here, the A-pillar member 12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즉, 상기 제1 연결부재(142)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4)에 연결되고,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6)에 연결되며,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A 필러 멤버(12)에 연결된다.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42 is connected to the cowl cross member 14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the A filler member 12.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재(142)는 상기 제2 연결부재(144)와 함께 상기 스트럿 바(102)를 차량의 전, 후 방향, 상, 하 방향, 및 좌, 우 방향으로 3축 지지지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42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4 together form the strut bar 102 in the forward, backward, upward, downward, and leftward and right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can do.

따라서, 상기 스트럿 바(102)는 상기 차체(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엔진룸의 상부에서 상기 A 필러 멤버(12),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4),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6),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8), 및 상기 쇽 업소버 하우징(19)을 일체로 연결하도록 V 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서, 엔진룸의 연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strut bar 102 is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engine room provided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10, and the A-pillar member 12, the cowl cross member 14,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The front end module 18, and the shock absorber housing 19 integrally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vity of the engine room can be increased.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 입력되는 하중의 입력점이 상기 장착 브라켓(110), 상기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120), 및 상기 연결부재(140)를 통해 일체화시키고, 상기 스트럿 바(102)를 통해 상기 차체(10)에서 상기 A 필러 멤버(12),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4),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6)로 하중을 분산하여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An input point of a load input during traveling of the vehicle is integrated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110, the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120, and the connecting member 140, The caterpillar member 14,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and the A-pillar member 12,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and the like.

이에 따라, 엔진룸 상부에서 각 방향에 대한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켜 엔진룸 상부의 변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orsional rigidity in each direc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engine room,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engine room.

아울러, 상기 장착 브라켓(110), 상기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120), 및 상기 장착소켓(130)이 장착되는 상기 연결부재(140)가 상기 스트럿 바(102)를 삽입 또는 지지하는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스트럿 바(102)의 단면 형상 유지가 가능해지고, 동시에, 상기 스트럿 바(102)로 입력된 하중을 차체의 각 구성요소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mounting bracket 110, the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120, and the connecting member 140 on which the mounting socket 130 is mounted with a structure for inserting or supporting the strut bar 102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rut bar 102 can be maintained, and at the same time, the load input to the strut bar 102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each component of the vehicle body.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보강유닛(100)을 적용하면, 개방된 엔진룸 상부의 전, 후방과 좌, 우측이 연결되도록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8)로부터 상기 A 필러 멤버(12),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4), 및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6)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V자 형상의 상기 스트럿 바(102)를 장착함으로써, 엔진룸의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engine room reinforcement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he front end module 18 is connected to the front, rear, left, By mounting the V-shaped strut bar 102 to integrally connect the A-pillar member 12, the cowl cross member 14, and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16, the robustness of the engine room can be secured can do.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종 방향, 횡 방향, 및 축 방향 하중을 상기 A 필러 멤버(12),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4), 및 상기 프론트 어퍼 멤버(16)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산 및 지지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efficiently distribute and support the longitudinal, lateral and axial loads generated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through the A-pillar member 12, the cowl cross member 14 and the front upper member 16 can do.

또한, 주행 중에 종 방향, 횡 방향, 축 방향 하중에 대한 엔진룸 상부의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주행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Further, the rigidity of the engine room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axial load during running is improved, so that the running stability can be improved.

나아가, 차체로 입력되는 종 방향, 횡 방향, 및 축 방향 하중을 효율적으로 차체에 분산하여 전달함으로써, 엔진룸 상부에서 종 굽힘 비틀림, 횡 굽힘 비틀림, 및 축 굽힘 비틀림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Further, longitudinally, transversely, and axial loads inputted to the vehicle body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whereby vertical bending twisting, lateral bending torsion, and axial bending torsio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at the top of the engine roo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엔진룸 보강유닛
102 : 스트럿 바
104 : 중앙부
106 : 절곡부
110 : 장착 브라켓
120 :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
122 : 제1 브라켓
124 : 지지브라켓
130 : 장착소켓
140 : 연결부재
100: Engine room reinforcement unit
102: strut bar
104:
106:
110: Mounting bracket
120: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122: first bracket
124: support bracket
130: mounting socket
140:

Claims (10)

차체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엔드 모듈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쇽 업소버 하우징에 장착되는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
차체의 A 필러 멤버, 카울 크로스 멤버, 및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멤버들과 후드 마운트 멤버에 장착되는 연결부재; 및
전방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고, 양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스트럿 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A mounting bracket mounted on a front end module disposed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mounted on a shock absorber housing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connecting member mounted on each of the members and the hood mount member at a position where the A-pillar member, the cowl cross member, and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of the vehicle body are connected; And
A strut bar having a front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 and having opposite ends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an engine-room-reinforcement-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바는
상기 장착 브라켓에 고정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향하여 설정각도로 각각 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t bar
A center portion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And
A bending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and being bent at an angle to be inclined toward the connecting member;
And an engine-room-reinforcement-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쇽 업소버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는 링 형상의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를 지나는 상기 절곡부를 상기 제1 브라켓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절곡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A ring-shaped first bracke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hock absorber housing; And
A support bracket mounted on the first bracket and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while fixing the bent portion pa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to the first bracket;
And an engine-room-reinforcement-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전방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일정부분 삽입되며, 접착제 또는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장착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entral portion
Wherein the fro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bracket at a predetermined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through an adhesive or rivet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절곡부가 고정되도록 장착소켓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At the end of the bent portion
And a mounting socket is mounted to fix the bending portion to the connect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소켓은
상기 절곡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와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절곡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볼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unting socket
Wherein the bending portion is fixed to the bending portion through an adhesive and riveting in a state where the bending portion is inserted, and is bolted to the connec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및 상기 후드 마운트 멤버에 각각 고정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스트럿 바가 장착되는 제2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A first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cowl cross member,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and the hood mount member, respectively;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having the strut bar mounted thereon;
And an engine-room-reinforcement-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및 상기 후드 마운트 멤버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cowl cross member,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and the hood mount member are weld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바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t bar
And is formed in a " V "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바는
그 재질이 탄소 강화 섬유 플라스틱 수지(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 CFRP)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보강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t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s formed of 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CFRP).
KR1020170093422A 2017-07-24 2017-07-24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KR1023353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422A KR102335348B1 (en) 2017-07-24 2017-07-24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422A KR102335348B1 (en) 2017-07-24 2017-07-24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029A true KR20190011029A (en) 2019-02-01
KR102335348B1 KR102335348B1 (en) 2021-12-03

Family

ID=6536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422A KR102335348B1 (en) 2017-07-24 2017-07-24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34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343U (en) * 1996-09-25 1998-07-06 김영귀 Front body of car
JP2005225450A (en) * 2004-02-16 2005-08-25 Autech Japan Inc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of electric automobile
KR20140024661A (en) * 2012-08-20 2014-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inforcing unit for vehicle body
KR20150063854A (en) * 2013-12-02 201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iffness Reinforcing Structure of Front Vehicle Body Having a Hollow Closed Cross S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343U (en) * 1996-09-25 1998-07-06 김영귀 Front body of car
JP2005225450A (en) * 2004-02-16 2005-08-25 Autech Japan Inc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of electric automobile
KR20140024661A (en) * 2012-08-20 2014-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inforcing unit for vehicle body
KR20150063854A (en) * 2013-12-02 201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iffness Reinforcing Structure of Front Vehicle Body Having a Hollow Closed Cross S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348B1 (en)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766B1 (en)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US10486751B2 (en) Side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JP5001608B2 (en) Rear body structure
US5374081A (en) Motor vehicle
CN104968558B (en) Car body fore part arrangement
JP5329575B2 (en) Vehicle body front
CN110949523B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5870673B2 (en) Front subframe structure of automobile
US10953921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20190232911A1 (en) Utility vehicle
JP4910882B2 (en) Suspension member mounting structure
JP5942810B2 (en) Front subframe of automobile and its supporting structure
JP4923406B2 (en) Body front structure
JP5942811B2 (en) Undercarriage of the vehicle
JP5007580B2 (en) Body front structure
JP2018176866A (en) Sub-frame for vehicle
KR102335348B1 (en)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KR101352808B1 (en)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CN110949513B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2019018665A (en) Front sub-frame structure of vehicle
KR102429001B1 (en) Sub frame reinforcing unit for vehicle
KR100539434B1 (en) Part maintenance type sub frame in vehicle
KR102371243B1 (en) 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KR102297405B1 (en) Underbody structure of vehicle
US20220001925A1 (en) Subfram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