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974A - 경사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경사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974A
KR20190010974A KR1020170093298A KR20170093298A KR20190010974A KR 20190010974 A KR20190010974 A KR 20190010974A KR 1020170093298 A KR1020170093298 A KR 1020170093298A KR 20170093298 A KR20170093298 A KR 20170093298A KR 20190010974 A KR20190010974 A KR 20190010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opening
fixture
extending direction
fasten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010B1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7009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0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구강 내부에 보철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철 및 픽스츄어를 연결하도록 체결통로가 형성된 경사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통로는 기설정된 제1연장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제1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제1개구부가 개구된 제1체결관부와, 상기 제1연장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1각도로 경사진 제2연장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제2고정수단이 나사 체결되도록 제2개구부가 개구된 제2체결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수단의 삽입경로에 대응하여 함몰되도록, 상기 제1고정수단의 진입방향에 대향되는 상기 제1체결관부 및 상기 제2체결관부 사이의 연결부분에 유격포켓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사 어버트먼트{angular abutment for denture}
본 발명은 경사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내부에 보철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경사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 또는 보철은 결손된 치아를 대체하여 외형 및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치주조직을 의미한다.
상세히, 자연치아가 상실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결손된 치아의 인접치아 및 대합치아에 치열의 뒤틀림이 발생하여 안면형상의 변형이 초래되며, 저작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가중된다. 더욱이, 자연치아의 상실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결손된 치아를 둘러싸고 있던 치조골이 체내로 흡수되어 인공치주조직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상기 틀니 또는 보철은 구강 내부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완전틀니, 부분/완전보철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틀니는 내면측 형합홈에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어 잇몸의 표면에 접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보철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틀니는 잇몸의 외면에 지지됨에 따라 잇몸의 변형이나 다량의 이물감을 유발하므로 최근에는 치조골을 이용하여 지지되는 보철의 사용량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상세히, 상기 잇몸에는 상기 보철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픽스츄어가 치열궁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식립되며, 상단부에 어버트먼트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철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각 상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와 고정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각 위치에 대응되어 수직방향으로 관통배열되는 지지실린더로 구비되거나,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에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가 실질적으로 내삽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보철이 상기 구강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잇몸의 전치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픽스츄어가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부의 형성방향과 대응되는 수직방향으로 식립된다. 반면, 상기 잇몸의 구치측에 대응되는 부분은 특히 하악에 있어서, 턱의 양측에 하치조신경이 지나감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가 수직방향으로 식립될 경우 상기 픽스츄어의 단부가 상기 하치조신경에 닿아 신경이 마비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잇몸의 구치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픽스츄어가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식립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보철에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픽스츄어의 체결 각도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 각도와 상기 체결부의 형성 각도를 동시에 만족하여 매개할 수 있는 보철용 어버트먼트가 일부 개시되었다.
상세히, 종래의 보철용 어버트먼트는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잇몸의 연조직 내측에 구비되는 마진부와, 상기 마진부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와의 체결을 위한 제1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의 중심축에 대응하여 제1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2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연장방향에 대응하는 제2관통공이 상기 제1관통공과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보철용 어버트먼트는 상기 제1체결볼트가 체결시 간섭이 최소화되기 위하여 상기 제1관통공이 상기 보철용 어버트먼트의 길이방향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관통함에 따라 상기 결합부의 중앙부 및 측면부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관통공의 일측이 실질적으로 제1관통공에 포함됨에 따라 상기 제2체결볼트가 고정될 수 있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체결볼트의 체결시 가해지는 회전력 또는 상기 보철이 구강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반복적인 저작시 가해지는 저작압력에 의해 상기 제2체결볼트가 나사 체결된 부분이 손상되거나 파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상기 보철의 고정상태가 불량하여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이 가중되며, 특히 제2체결볼트가 상기 제2관통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보철대상자가 이를 삼키거나 기도로 삽입되어 심각한 인명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8438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부에 보철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경사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철 및 픽스츄어를 연결하도록 체결통로가 형성된 경사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통로는 기설정된 제1연장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제1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제1개구부가 개구된 제1체결관부와, 상기 제1연장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1각도로 경사진 제2연장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제2고정수단이 나사 체결되도록 제2개구부가 개구된 제2체결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수단의 삽입경로에 대응하여 함몰되도록, 상기 제1고정수단의 진입방향에 대향되는 상기 제1체결관부 및 상기 제2체결관부 사이의 연결부분에 유격포켓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수단은 일단부의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헤드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의 타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비되며, 상기 유격포켓홈부는 상기 제1개구부로 경사지게 진입되는 상기 제1고정수단의 타단부가 상기 제1체결관부의 하단부측으로 회동되면서 삽입되는 상기 삽입경로의 회전궤적에 대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고정수단의 연장부 외주 일측이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 중 상기 제2개구부와 인접한 일측과 대응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주 타측이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 대향 타측에 접하면 상기 연장부의 타단부가 상기 유격포켓홈부의 내면과 이격 배치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수단의 헤드부 일측이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 중 상기 제2개구부와 인접한 일측에 접하고 상기 연장부의 외주 타측이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 대향 타측에 접하면 상기 연장부의 타단부가 상기 제1체결관부의 하단부측 내주면과 이격 배치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격포켓홈부와 상기 제1체결관부의 하단부 사이에는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설되어 상기 헤드부가 걸림 구속되는 단턱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체결관부의 대향측에 상기 제1연장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2각도로 경사진 제3연장방향에 대응하는 제3체결관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3체결관부의 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와 대응되며, 상기 제3체결관부의 단부는 상기 유격포켓홈부와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연장방향은 상기 픽스츄어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며, 상기 제2연장방향은 상기 보철에 수직으로 형성된 체결홈부의 연장방향과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면부가 상기 제2연장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마진부와, 상기 마진부의 상면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연장방향과 동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연장방향과 동축으로 형성되되 외면이 상기 체결홈부의 내주 프로파일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제2개구부와 대향되는 상기 결합부의 측면부측으로 경사지게 개구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헥사홈에 형합되는 헥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일면이 상기 헥사돌기의 외면과 대응되는 비연속정렬면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제1개구부가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개구되어 이와 대향방향에 관통 형성된 제2체결관부의 개구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제1개구부와 인접한 상기 제2체결관부의 내주면 일측 면적이 상기 제2고정수단의 나사산과 견고하게 나사 체결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으로 연장되므로 체결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고정수단의 삽입방향에 대응하는 각 체결관부의 연결부분에 유격포켓홈부가 함몰 형성됨에 따라 경사진 상기 제1개구부가 상기 제1체결관부의 하단부측과 상이한 각도로 관통되더라도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상기 제1고정수단 및 체결기구의 삽입시 간섭이 회피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체결과정에서의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제2고정수단은 실질적으로 나사산의 피치간격이 조밀한 가는 미터나사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체결관부와의 나사 접촉면적이 더욱 증가되어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상기 보철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저작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나사 체결부분이 헐거워져 임의로 분리됨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의 일측방향 및 타측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에 제1고정수단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와 보철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연치아가 대부분 소실된 무치악 또는 부분무치악 환자의 구강 내부에 상기 자연치아를 대신하는 보철(도 5의 30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치조골(1)에 픽스츄어(f)가 식립되며, 상기 픽스츄어(f)와 상기 보철(도 5의 300)을 매개하는 어버트먼트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치측에는 상기 픽스츄어(f)가 실질적으로 상기 치조골에 수직으로 식립될 수 있으나 특히 하악의 구치측에 있어서, 하치조신경(4)과의 접촉 또는 가압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픽스츄어(f)가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식립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100)는 상기 치조골(1)에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식립되는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의 하단부측은 상기 픽스츄어(f)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연장되되 상단부측은 상기 보철(도 5의 3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부(도 5의 302a)의 연장방향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치조골(1)에 상기 픽스츄어(f)가 경사지게 식립되더라도 상기 보철(도 5의 300)과 연결되는 상기 어버트먼트(a) 및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의 상단부 연장방향은 실질적으로 대응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철(도 5의 300)을 구강 내부에 고정시 체결조작이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 만족감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의 일측방향 및 타측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에 제1고정수단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와 보철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에는 상기 보철(300) 및 픽스츄어(f)를 연결하도록 각 고정수단(40,50)이 삽입 또는 체결되는 체결통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통로는 제1체결관부(20)와 제2체결관부(3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관부(20)는 기설정된 제1연장방향(e1)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제1고정수단(40)이 삽입되는 제1개구부(21)가 개구된다.
한편, 상기 제1고정수단(40)은 일단부의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헤드부(41)로부터 연장된 연장부(42)의 타단부(43)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관부(20)는 상기 헤드부(41)의 외주직경을 초과하는 내주직경을 갖는 중공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타단부(43)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 내측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헤드부(41)에는 상기 타단부(43)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체결기구의 단부가 형합되는 회전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고정수단(40)은 상기 연장부(42)의 타단부(43)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 내측에 나사 체결되되 상기 헤드부(41)가 후술되는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내주면을 따라 돌설된 단턱돌기(23)에 걸림 구속된다. 이때,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와 상기 픽스츄어(f)가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단턱돌기(23)는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길이방향 중앙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수단(40)은 상기 단턱돌기(23)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 내측을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관부(30)는 상기 제1연장방향(e1)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1각도(d1)로 경사진 제2연장방향(e2)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제2고정수단(50)의 단부가 진입되는 제2개구부(31)가 개구된 관통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통로는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일측으로 상기 제2체결관부(30)가 분지되어 관통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수단(50)은 일단부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헤드부(51)가 구비되며 타단부측에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내주면(32)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52)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헤드부(51)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고정수단(50)이 상기 제2체결관부(30)에 체결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체결기구의 단부가 형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고정수단(50)은 상기 보철(300)에 형성된 상기 체결홈부(302a)의 상측으로부터 진입되며, 상기 나사산(52)이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내주면(32)에 형성된 나사홈(32a)에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보철(300)이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개구부(21) 및 상기 제2개구부(31)는 상호 대향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내주면(32)에 상기 제2고정수단(50)의 나사산(52)이 나사 체결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이 확보되도록 상기 제1개구부(21)는 상기 제2개구부(3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개구부(21)의 테두리 일측 및 타측 사이의 수평간격(w2)은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내주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수단(40)은 상기 제1개구부(21)를 통하여 상기 제1체결관부(20) 내측으로 삽입되되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로 진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삽입경로에 대응하여 함몰되도록,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진입방향에 대향되는 상기 제1체결관부(20) 및 상기 제2체결관부(30) 사이의 연결부분에 유격포켓홈부(6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격포켓홈부(60)는 상기 제1개구부(21)로 경사지게 진입되는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타단부(43)가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하단부측으로 회동되면서 삽입되는 상기 삽입경로의 회전궤적(r1)에 대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수단(40)이 상기 제1개구부(21)를 통하여 진입되면 상기 연장부(42) 외주 일측이 상기 제1개구부(21)의 테두리 중 상기 제2개구부(31)와 인접한 일측(21a)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유격포켓홈부(60)는 상기 연장부(42)의 외주 타측이 상기 제1개구부(21)의 테두리 대향 타측(21b)에 접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42)의 타단부(43)가 상기 유격포켓홈부(60)의 내면과 이격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격포켓홈부(60)의 내면은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타단부(43)의 회전궤적(r1)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격포켓홈부(60)의 내면은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타단부(43)측이 상술한 회전궤적(r1)에 대응하도록 함몰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42)의 외주 타측이 상기 제1개구부(21)의 테두리 타측(21b)에 접하여 지지되면서 회동되더라도 상기 체결통로 제1체결관부(20) 및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내주면과의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연장부(42) 외주 타측이 상기 제1개구부(21)의 테두리 타측(21b)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궤적(r1)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헤드부(41) 일측이 상기 제1개구부(21)의 테두리 일측(21a)에 접한다. 이때,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는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연장부(42)가 상기 제1개구부(21)의 테두리 타측(21b)에 접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됨에 의해 상기 타단부(43)가 상기 유격포켓홈부(60)의 내측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하단부측 내주면과 이격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는 상기 제1고정수단(40)이 상기 제1개구부(21)를 통하여 경사지게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42)의 타단부(43)가 상기 유격포켓홈부(60)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연장부(42)의 외주 타측이 상기 제1개구부(21)의 테두리 타측(21b)에 지지되어 회전조작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진입방향에 대향되는 상기 제1체결관부(20)와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연결부분에 상기 유격포켓홈부(60)가 함몰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타단부(43)가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하단부측으로 회동 가능한 여유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 내측 및 상기 단턱돌기(2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는 상기 제1고정수단(40)이 상기 제1체결관부(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체결관부(20) 내측으로의 진입 및 조작반경이 증가되므로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격포켓홈부(60)가 상기 제1개구부(21)와 대향되는 방향에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개구부(21) 및 상기 유격포켓홈부(60)의 내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w3)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수단(40) 및 상기 제1고정수단(40) 및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체결을 위한 체결기구가 진입 및 삽입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수단(40)이 상기 제1개구부(21)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진입되더라도 상기 타단부(43)가 상기 유격포켓홈부(60)를 경유하여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하단부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41)가 상기 제1개구부(21)에 간섭되거나 상기 타단부(43)가 상기 단턱돌기(23)에 걸림 간섭됨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수단(40)을 상기 픽스츄어(f)에 체결하기 위한 상기 체결기구의 삽입 및 조작공간이 실질적으로 확보됨에 따라 체결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유격포켓홈부(60)는 내면이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격포켓홈부(60)의 내면은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타단부(43)가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하단부측으로 회동되는 상기 회전궤적(r1)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진입 및 상기 체결기구의 조작시 각 단부가 걸림 구속됨을 방지하여 조작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유격포켓홈부(60)와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하단부 사이에는 내주면(22)으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설되어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헤드부(41)가 걸림 구속되는 상기 단턱돌기(2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턱돌기(23)의 내주직경은 상기 헤드부(41)의 외주직경보다 작으면서도 상기 연장부(42) 및 상기 타단부(43)에 형성된 나사산의 외주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타단부(43)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에 나사 체결되면 상기 헤드부(43)의 하면이 상기 단턱돌기(23)에 걸림 구속되면서 가압함에 따라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돌기(23)는 상면부가 상기 헤드부(41)의 하면과 대응되되 하면부는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내주면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원추형 연장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41)의 하면 및 상기 단턱돌기(23)의 상면부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가압에 의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관부(20)로 삽입되는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타단부(43)가 상기 단턱돌기(23)에 간섭됨이 방지되어 체결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턱돌기(23)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체결시 가해지는 가압력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대향측에 상기 제1연장방향(e1)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2각도(d2)로 경사진 제3연장방향(e3)에 대응하는 제3체결관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체결관부(70)의 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21)와 대응되며, 상기 제3체결관부(70)의 단부는 상기 유격포켓홈부(6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통로는 상기 제2체결관부(30) 및 상기 제3체결관부(70)의 단부가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분지되어 실질적으로 'Y'자 형의 통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3체결관부(70)는 내주직경(w1)이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헤드부(41) 외주직경을 초과하되 상기 제2각도(d2)에 대응하여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개구부(21)의 테두리 일측 및 타측 사이 수평간격(w2)이 상기 헤드부(41)의 외주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1고정수단(4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체결관부(70)가 상기 유격포켓홈부(60)와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수단(40)이 상기 제1개구부(21)를 통하여 진입되면 상기 제3체결관부(70)의 경사진 내주를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타단부(43)가 상기 유격포켓홈부(60)의 내측에 자연스럽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고정수단(40) 및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체결을 위한 상기 체결기구의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되므로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를 상기 픽스츄어(f)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체결관부(70)의 외주가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삽입방향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수단(40)이 회동 조작되면서 상기 헤드부(41)가 상기 제1개구부(21)의 테두리 일측(21a)에 접한 후 상기 제1체결관부(20)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여유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상기 제1고정수단(40) 및 상기 체결기구의 진입 및 삽입시 상기 제1개구부(21) 또는 상기 체결통로의 내주면에 간섭됨을 방지하여 체결조작시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체결관부(30) 및 상기 제3체결관부(70)가 상기 제1연장방향(e1)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2연장방향(e2) 및 상기 제3연장방향(e3)으로 경사지게 관통됨에 따라 상기 제1개구부(21) 및 상기 제2개구부(31) 사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내주면 일측이 상기 제2고정수단(50)이 나사 체결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도록 연장되므로 상기 제2고정수단(50)이 고정된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장방향(e1)은 상기 픽스츄어(f)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며, 상기 제2연장방향(e2)은 상기 보철(30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상기 체결홈부(302a)의 연장방향과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설정된 제1각도(d1)는 상기 픽스츄어(f)의 경사진 식립방향 및 상기 체결홈부(302a)의 연장방향 사이 각도와 대응되는 예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각도(d1)는 피시술자의 다양한 하악 크기 및 하치조신경 위치에 대한 평균값으로부터 산출되어 20° 내지 30°의 각도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도 2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는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결합돌기(11)와, 상기 결합돌기(11)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면부(12a)가 상기 제2연장방향(e2)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마진부(12)와, 상기 마진부(12)의 상면부(12a)로부터 연장되는 결합부(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11)는 상기 제1연장방향(e1)과 동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제2연장방향(e2)과 동축으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홈부(302a)의 내주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결합돌기(11)와 상기 기설정된 제1각도(d1)에 대응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관부(20)는 상기 결합돌기(11)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따라 관통되되 상기 제1개구부(21)가 상기 결합부(13)의 경사진 측면부(13c)의 외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관부(30)는 상기 결합부(13)의 연장방향 중앙부를 따라 관통되되 상기 제2개구부(31)는 상기 마진부(12)의 상면부(12a)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기 결합부(13)의 상면부(13b)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수단(40)은 상기 제1개구부(21)를 통하여 경사지게 진입되되 상기 제1체결관부(20)를 관통하여 상기 타단부(43)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에 나사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헤드부(41)가 상기 단턱돌기(23)에 걸림 구속되면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f)에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수단(50)은 상기 결합홈부(302a)의 상측으로부터 진입되되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산(52)이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내주면(32)에 형성된 나사홈(32a)에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보철(300)이 상기 구강 내부에 고정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체결관부(20) 및 상기 제2체결관부(30)는 관통방향 즉, 각 연장방향(e1,e2)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각 고정수단(40,50)의 체결방향은 실질적으로 상기 각 체결관부(20,30)의 연장방향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철(300), 상기 픽스츄어(f) 및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에서 상기 각 고정수단(40,50)이 체결되는 부분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사 체결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한 각 구성부품 간의 결합력 및 가압력에 대한 지지강도가 개선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개구부(21) 및 상기 제2개구부(31)는 상호 대향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개구부(21) 및 상기 제2개구부(31)를 분할하는 보강몸체부(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몸체부(14)는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부(13)의 상면부(13b) 및 측면부(13c)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대응되되 특히, 상기 제1개구부(21) 및 상기 제2개구부(31) 사이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2체결관부(30)는 상기 제1체결관부(20)와 연통되도록 관통되되, 상기 제1각도(d1)에 대응하는 상기 제2연장방향(e2)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내주면(32)의 일측이 타측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개구부(21)가 상기 제2개구부(31)와 대향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보강몸체부(14)의 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내주면 일측 면적 즉, 상기 보강몸체부(14)의 내측 간격(L1)이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의 전체적인 크기가 컴팩트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1체결관부(20) 및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중심의 교차점(x)은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의 길이방향 중앙부 또는 그의 상측으로 설정된다. 이때, 상기 각 개구부(21,31)가 상호 대향방향으로 경사지게 개구됨에 따라 상기 교차점(x)이 상술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의 최외곽양단부 간격이 최소한으로 설정되더라도 상기 보강몸체부(14)가 충분한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몸체부(14)의 내측으로 상기 제2고정수단(50)의 나사산(52)이 나사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홈구간이 연장됨에 따라 상기 보철(300)이 설치된 상태로 장기간 이용하더라도 상기 제2고정수단(5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몸체부(14)의 내측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내주면 일측과 대응되며, 후술되는 상기 보강몸체부(14)의 외측은 상기 결합부(13)의 측면부(13c)와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고정수단(50)은 상기 나사산(52)의 피치간격(p1)이 상기 보강몸체부(14)의 내측 간격(L1)에 대하여 0.2~0.25 길이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는 미터나사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고정수단(50)의 나사산(52) 및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내주면(32)에 형성되는 상기 나사홈(32a)의 피치간격이 조밀하게 형성됨에 따라 나사 체결면적이 증가하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몸체부(14)의 외측이 상기 체결홈부(302a)의 내면과 대응되는 면적 역시 증가하므로 상기 보철(300)과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의 고정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차점(x)이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의 길이방향 중앙부 또는 그의 상측으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13)가 종래의 어버트먼트보다 더욱 길게 연장되더라도 종래의 어버트먼트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수단(50)의 나사산(52)이 나사 체결되는 상기 보강몸체부(14)의 내측 간격(L1) 및 상기 체결홈부(302a)의 내면과 접촉되는 상기 보강몸체부(14)의 외면 면적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경사어버트먼트(100)의 부피가 컴팩트하면서도 상기 제2고정수단(50)이 상기 제2체결관부(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나사 체결 면적이 더욱 확장되므로 상기 보철(300) 및 상기 제2고정수단(50)의 탈락이 방지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부(13)의 상면부(13b) 및 측면부(13c)에 상기 각 개구부(21,31)가 상기 각 고정수단(40,50)이 삽입 및 체결되도록 상호 대향방향으로 개구되더라도 상기 결합부(13)의 실질적인 원추형 외면 프로파일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홈부(302a)의 내면 프로파일 형상을 복잡하고 정밀하게 설계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단순한 원추형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합부(13)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매칭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1)의 외주면에는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 내부면에 형성된 헥사홈(fa)에 형합되는 헥사돌기(11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헥사돌기(11a)가 상기 헥사홈(fa)에 일치하도록 결합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의 결합방향이 손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가 임의로 회전됨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일면이 상기 헥사돌기(11a)의 외면과 대응되는 비연속정렬면부(13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3)의 외주면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부(13)의 측면부(13c)에 대응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돌기(11)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가려지더라도 상기 비연속정렬면부(13a)를 가시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의 체결방향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설치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연속정렬면부(13a)는 상기 헥사돌기(11a) 및 상기 헥사홈(fa)과 대응되도록 단면이 육각형상을 갖는 헥사면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적어도 일면 이상의 디컷부로 가공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어버트먼트(100)는 상기 제1개구부(21)가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개구되어 이와 대향방향에 관통 형성된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개구부(3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개구부(21)와 인접한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내주면 일측 면적이 상기 제2고정수단(50)의 나사산(52)과 견고하게 나사 체결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으로 연장됨에 따라 체결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수단(40)의 삽입방향에 대응하는 각 체결관부(20,30)의 연결부분에 상기 유격포켓홈부(60)가 함몰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개구부(21) 및 상기 제1체결관부(20)의 하단부측이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게 관통되더라도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상기 제1고정수단(40) 및 체결기구의 삽입시 간섭이 회피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픽스츄어(f)에 상기 경사 어버트먼트(100)를 체결하는 과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고정수단(50)은 실질적으로 나사산의 피치간격(p1)이 조밀한 가는 미터나사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체결관부(30)의 내주면(32)과의 나사 접촉면적이 더욱 증가되어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상기 보철(300)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저작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임의로 분리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경사 어버트먼트 11 : 결합돌기
12 : 마진부 13 : 결합부
14 : 보강몸체부 20 : 제1체결관부
30 : 제2체결관부 40 : 제1고정수단
50 : 제2고정수단 60 : 유격포켓홈부
300 : 보철 f : 픽스츄어

Claims (10)

  1. 보철 및 픽스츄어를 연결하도록 체결통로가 형성된 경사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통로는
    기설정된 제1연장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제1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제1개구부가 개구된 제1체결관부와,
    상기 제1연장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1각도로 경사진 제2연장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제2고정수단이 나사 체결되도록 제2개구부가 개구된 제2체결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수단의 삽입경로에 대응하여 함몰되도록, 상기 제1고정수단의 진입방향에 대향되는 상기 제1체결관부 및 상기 제2체결관부 사이의 연결부분에 유격포켓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은 일단부의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헤드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의 타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비되며,
    상기 유격포켓홈부는 상기 제1개구부로 경사지게 진입되는 상기 제1고정수단의 타단부가 상기 제1체결관부의 하단부측으로 회동되면서 삽입되는 상기 삽입경로의 회전궤적에 대응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의 연장부 외주 일측이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 중 상기 제2개구부와 인접한 일측과 대응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주 타측이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 대향 타측에 접하면 상기 연장부의 타단부가 상기 유격포켓홈부의 내면과 이격 배치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의 헤드부 일측이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 중 상기 제2개구부와 인접한 일측에 접하고 상기 연장부의 외주 타측이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 대향 타측에 접하면 상기 연장부의 타단부가 상기 제1체결관부의 하단부측 내주면과 이격 배치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포켓홈부와 상기 제1체결관부의 하단부 사이에는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설되어 상기 헤드부가 걸림 구속되는 단턱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관부의 대향측에 상기 제1연장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2각도로 경사진 제3연장방향에 대응하는 제3체결관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3체결관부의 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와 대응되며, 상기 제3체결관부의 단부는 상기 유격포켓홈부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방향은 상기 픽스츄어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며,
    상기 제2연장방향은 상기 보철에 수직으로 형성된 체결홈부의 연장방향과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
  8. 제 7 항에 있어서,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면부가 상기 제2연장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마진부와, 상기 마진부의 상면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연장방향과 동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연장방향과 동축으로 형성되되 외면이 상기 체결홈부의 내주 프로파일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제2개구부와 대향되는 상기 결합부의 측면부측으로 경사지게 개구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헥사홈에 형합되는 헥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일면이 상기 헥사돌기의 외면과 대응되는 비연속정렬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어버트먼트.
KR1020170093298A 2017-07-24 2017-07-24 경사 어버트먼트 KR10203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98A KR102039010B1 (ko) 2017-07-24 2017-07-24 경사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98A KR102039010B1 (ko) 2017-07-24 2017-07-24 경사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974A true KR20190010974A (ko) 2019-02-01
KR102039010B1 KR102039010B1 (ko) 2019-10-31

Family

ID=6536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298A KR102039010B1 (ko) 2017-07-24 2017-07-24 경사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0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495A (ko) 2019-05-30 2020-12-10 주식회사 디오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20210123114A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디오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102378801B1 (ko) * 2021-04-23 2022-03-29 이노덴 주식회사 상악 전치부 순측 잇몸 두께 확보가 가능한 치과용 앵글형 어버트먼트
KR102594314B1 (ko) * 2022-12-21 2023-10-25 김성민 맞춤형 앵글드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552A (ja) * 2002-11-13 2004-10-14 Implant Innovations Inc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及びデンタル方法
US20090117520A1 (en) * 2007-11-01 2009-05-07 Hitachi Metals, Ltd. Implant keeper and its assembly, and keeper-fixing method
KR20130084387A (ko) 2012-01-17 2013-07-25 김노국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2014147431A (ja) * 2013-01-31 2014-08-21 Kyocera Medical Corp アバットメント及びインプラント
KR20140105098A (ko) * 2013-02-21 2014-09-01 주식회사 제노스 경사형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552A (ja) * 2002-11-13 2004-10-14 Implant Innovations Inc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及びデンタル方法
US20090117520A1 (en) * 2007-11-01 2009-05-07 Hitachi Metals, Ltd. Implant keeper and its assembly, and keeper-fixing method
KR20130084387A (ko) 2012-01-17 2013-07-25 김노국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2014147431A (ja) * 2013-01-31 2014-08-21 Kyocera Medical Corp アバットメント及びインプラント
KR20140105098A (ko) * 2013-02-21 2014-09-01 주식회사 제노스 경사형 임플란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495A (ko) 2019-05-30 2020-12-10 주식회사 디오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20210123114A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디오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102378801B1 (ko) * 2021-04-23 2022-03-29 이노덴 주식회사 상악 전치부 순측 잇몸 두께 확보가 가능한 치과용 앵글형 어버트먼트
WO2022225341A1 (ko) * 2021-04-23 2022-10-27 이노덴 주식회사 상악 전치부 순측 잇몸 두께 확보가 가능한 치과용 앵글형 어버트먼트
KR102594314B1 (ko) * 2022-12-21 2023-10-25 김성민 맞춤형 앵글드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010B1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0572B2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dental component to a dental implant
JP6346903B2 (ja) インプラント内に弾性的に固定される歯科装置固定ユニット、及び/又は、任意選択的な角度位置調整を可能にする、インプラント内に固定される歯科装置固定ユニット
CN106659550B (zh) 临时假体系统及其使用方法
KR20190010974A (ko) 경사 어버트먼트
EP1362560B1 (en) Latch for dental abutment
EP2934367B1 (en) Abutment
JP6410602B2 (ja) 歯科用構成部材のセット
KR10059475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JP2005504583A (ja) 歯科装具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040042866A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JP2018516704A (ja) スクリューレス歯科用インプラント接続体
EP1745758B1 (en) Dental implant for magnetic attachment
KR20130097036A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WO2013186764A1 (en) Triple lock abutment system
KR200424940Y1 (ko) 인공치아 시술용 픽스츄어드라이버
KR101559823B1 (ko)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EP0957811B1 (en) Device for attaching an element to a human or animal body
KR101873605B1 (ko) 상부구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856232B1 (ko) 개선된 스크루 헤드
KR101329597B1 (ko) 치과교정용 고정원
KR1012106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JP2018531713A (ja) 回転防止上部接続部を有する経上皮スリーブを備えた、歯科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補綴部品のセット
KR101067752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KR102226751B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