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885A -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 Google Patents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885A
KR20190010885A KR1020190002055A KR20190002055A KR20190010885A KR 20190010885 A KR20190010885 A KR 20190010885A KR 1020190002055 A KR1020190002055 A KR 1020190002055A KR 20190002055 A KR20190002055 A KR 20190002055A KR 20190010885 A KR20190010885 A KR 20190010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power generation
discharge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한민섭
한영진
김택용
한경화
김택민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0281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1706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0262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0980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0380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1706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1603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21020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1895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25307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5386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5758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6588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1216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7618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8860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9727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100282A/ko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PCT/KR2019/00033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39347A2/ko
Publication of KR20190010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6Pressure galleries or pressure conduits;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pressure conduit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use therewith, e.g. housings, valves,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05Installations wherein the liquid circulates in a closed loop ; Alleged perpetua mobilia of this or similar ki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도가 높은 산간 계곡이나 강, 하천 등지에 저수장치를 설치한 후 용수의 직각 낙차에 따른 고도차이를 이용하여 순환 시킴으로서 고효율의 전기를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친환경 발전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
본 발명의 중력의 작용과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히는 깊은 산간 계곡의 상류부를 막아서 1차 저수장치 즉 저수지 또는 댐을 설치한 후 하류 부분에 또다시 비슷한 용량으로 구성되는 2차 저수장치 즉 저수지 또는 댐을 구성한 후 밤에는 발전 단가가 싼 화력이나 원자력 전기를 이용하여 2차 저수장치에 저수된 물을 상부 1차 저수장치로 발전용수를 퍼 올린 후 전력 수요가 많은 낮에 수력발전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양수 발전 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방법은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한 화력발전, 우라늄을 이용한 원자력발전과 물의 힘을 이용한 수력발전 등이 있다.그중, 수력발전은 일반적으로 댐을 건설하여 물을 가두었다가 지속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개방하여 낙하시킴으로써 물의 무게와 중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이러한 발전 방법의 종래 일 예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470787호(2014.01.02 등록)에서는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력발전장치"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물의 흐름이 있는 하천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유속에 따라 발전량의 편차가 크게 발생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력 생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낮은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용수가 낙하 할 때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를 이용하여 전기의 연속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친환경 발전공법을 제공하여 고효율의 전기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발전 공법은, 경사지게 구성되는 계곡에 기초 콘크리트을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부에 1차 저수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와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에 2차 기초콘크리트를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2차 저수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의 저수부에 구성되는 유입파이프와 유입량 조절밸브 그리고 1차 저수장치를 관통하는 하단배출파이프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하단배출파이프의 끝단부에는 이송파이프를 결합시키고, 상기 이송파이프의 일측에 이물질청소구를 구성시키며, 상기 이송파이프의 하단부에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를 구성하고, 상기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에 관로 조절밸브 및 1차 저수장치로 발전용수를 재 펌핑하여 주는 송수 펌프를 구성하며, 상기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의 상단부에서 상기 이송파이프와 결합되어 구성되도록 발전용수 이송파이프를 구성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의 상단부에는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가 구비된 공기배출파이프를 구성하며,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의 끝단부에는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가 구성되고, 상기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의 끝단부에는 발전용수들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발전용수의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의 통수면적 보다도 작은 내경을 이루는 2차 배출파이프가 구성되며, 상기 2차 배출파이프의 배출측에는 2차 발전수차가 구성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의 중단부에는 상기 1차 저수장치의 하단부 최저 저수수위와 대응되는 높이에 끝단부 이송파이프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의 하단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형태의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발생 용기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일측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하부에는 내부에 자석봉이 구성된 원형파이프가 구성되며, 상기 자석봉의 상부에는 낙하하는 발전용수를 받아주는 충격흡수용기가 구성되고, 상기 충격흡수용기의 일측에는 배출량 조절밸브가 구비된 배출파이프가 연결 구성되며,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는 자석봉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발생용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프레임 하부에는 탄성 발생용스프링이 구성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는 마찰방지용 윤활유가 충진 구비되며, 상기 원형파이프의 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절연코일을 교차적으로 반복하여 감은 후 자석봉의 상하 유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여주도록 정류기 및 전류변환기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상하작동 발전기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 조절밸브를 폐쇄시킴과 함께 1차 배출량 조절밸브를 80~ 99%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유입파이프와 결합되어 있는 유입량 조절밸브를 100% 개방하여 1차 저수장치에 저수되어 있는 1차 발전용수가 하단배출파이프와 이송파이프,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 및 끝단부 이송파이프를 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로 이동되는 단계와;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의 개방량을 서서히 증가시켜 100%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를 개방하여 유입파이프와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와 하단배출파이프와 U자형 이송파이프와 상기 발전용수이송파이프와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의 내부에 공기가 차지 않고 공기 배출파이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를 10초~5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개방작동과 폐쇄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 내부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10초~5분 간격의 시차를 두고 방류되도록 하여 상하작동 발전기를 상하 작동시켜서 1차 저수장치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의 양이 80~95%가 소진 될 때까지 소비하면서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작동 발전기의 동작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송수 펌프를 구동시킴과 함께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를 개방시키고, 유입량 조절밸브와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를 폐쇄시키며, 관로 조절밸브를 개방함으로써 2차 발전용수가 2차 중력 가속도 발생용 용기와 2차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1차 저수장치로 연속 펌핑되면서 2차 배출파이프의 하단부에 구성된 2차 발전수차를 연속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도가 높은 산간 계곡이나 강, 하천 등지에 설치되는 저수장치의 직각 낙차에 따른 고도차이에 의해 발생 되는 높은 압력과 중력의 작용, 높은 압력으로 가중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을 이용하여 강제로 생성되는 고압력의 수압을 이용하여 고효율의 전기를 영구적으로 생산함으로 인해 부족한 에너지를 상당부분 자급자족 하여 주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그냥 버려지다 시피하고 있는 산간 계곡이나 강이나, 하천 등지의 자연환경을 그대로 이용하여 대량의 물을 저수하여 양수 발전을 하게 됨으로 인해 전기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상당부분 기여함은 물론 공업용수와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확보를 통하여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작용효과가 크다 할 것이다.또한, 그냥 버려지고 있는 여름철 집중 호우에 의해 생산되는 빗물들을 대량으로 저수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함으로 인해 국가 경제를 발전시켜줌과 동시에 깊게 준설되는 하천으로 인해 일시에 발생되는 대량의 빗물들을 모두 저수하여 놓을 수가 있음으로 인해 재해를 예방하여 주면서 동시에 대량의 하천수로 인하여 하천생태계가 되 살아나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작용효과가 있다.특히, 전기 사용량이 많은 시간대에는 높이 차이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전력수요가 적은 야간이나 심야 시간대에는 하류의 용수를 상부로 펌핑시켜서 발전이 이루어지는 순환 사이클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 청구항1에 따라 구성되는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청구항2에 따라 구성되는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청구항3에 따라 구성되는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 청구항4에 따라 구성되는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 청구항5에 따라 구성되는 제5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6과7과 본 발명 청구항6에 따라 구성되는 제6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 청구항7에 따라 구성되는 제7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 청구항8에 따른 제8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 청구항9에 따른 제9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 청구항10에 따라 구성되는 제10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 청구항11에 따라 구성되는 제11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 청구항12에 따라 구성되는 제12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 청구항13에 따라 구성되는 제13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 청구항14에 따라 구성되는 제14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 청구항15에 따라 구성되는 제15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 청구항16에 따라 구성되는 제16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 청구항17에 따라 구성되는 제17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 청구항18에 따라 구성되는 제18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다음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각각의 실시예와 그에 따른 각각의 청구항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1에 따라 구성되는 제1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청구항1에 따라 구성되는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산(9307)의 정상에 박스 형태 또는 산의 중간 허리 부터 산의 정상 까지 박스 형때 또는 항아리 형태로 대형 저수조(9305)를 구성하고, 상부 끝단부에는 상부 발전수차(9308)가 구성되고, 상기 대형저수조(9035)의 상단부와 상기 대형저수조(9305)가 구성되는 산의 하단부까지 하강파이프(9301)가 장설 되고,상기 하강파이프(9301)의 상단부 일단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9306)가 구비되어 발전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작용을 하고,상기 하강파이프(9301)의 일측에 상승파이프(9302)를 연결하고,상기 상승파이프(9302)의 중간에 변화되는 수위에 따라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하 위치 조절파이프(5123)를 상하 조절장치(5125)와 함께 결합 구성하며, 상기 상승파이프(9302)의 상부에 깔대기 형태로 1차 물받이통(5329)를 상부가 오픈된 형태로 구성시킴과 함께; 상기 1차 물받이통(5329)의 상부에는 재송수 파이프(5120)를 구성시키고, 상기 재송수 파이프(5120)의 하단부 중간에는 상하 위치 조절파이프(5121)와 결합 되는 상하조절장치(5122)가 구비되고,상기 위치 조절파이프(5121)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가 구비되고,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되는 구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의 하단부 일측에는 취수파이프(9309)와 결합 되는 이송펌프(2200)가 결합 구성되는 구조;상기 상승파이프(9302)의 상단부 하단에는 2차 배출량 조절밸브(5328)와 결합 되는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26)가 구성되고,상기 발전용수배출파이프(5126)의 하단부에는 오픈된 깔대기 형태로 2차 물받이통(5000)이 구성되고, 상기 2차 물받이통(5000)의 하단부에는 3차 배출량 조절밸브(8310)와 결합된 연결파이프(8871)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파이프(8871)의 일단부는 상기 재송수 파이프(5120)와 결합되는 구조로써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9306)와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5328)와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8310)를 폐쇄시킴과 함께 이송조절밸브(9311)를 개방시키고, 상기 이송펌프(2200)를 이용하여 저수지 또는 댐이나 강에 저수된 발전용수 또는 바닷물을 상기 대형 저수조(9305)에 펌핑하여 발전용수를 가득 채우는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이송조절밸브(93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9306)와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5328)와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8310)를 개방하여 상기 대형저수조(9305)에 저장된 발전용수를 상기 하강파이프(9301)와 상기 상승파이프(9302)와 상기 발전용수배출파이프(5126)와 상기 2차 물받이통(5000)과 연결파이프(8871)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를 통하여고압력으로 상기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다중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전기 생산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2에 따라 구성되는 제2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청구항2에 따라 구성되는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어 오는 유입수량의 저수를 위한 저수장치(1000)를 권양방식 또는 회전방식 또는 전도 방식 또는 고무댐방식으로 구성되는 물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상기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전면부에 유입구(5212)를 구성함과 함께 대향되는 방향의 후면부에 배출구(5111')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구(5111')의 후면부에 상승파이프(5115')를 연결하며, 상기 상승파이프(5115') 입구측에는 발전기(5112')를 구성하고, 상기 상승파이프(5115') 상단측에는 높이 조절을 위한 승하강 조절장치(5116)가 구성되며, 상기 상승파이프(5115')의 끝단부에 제2 발전기(5113')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발전기(5113')의 하단부에 물받이통(5000)과 결합되는 하강파이프(5117')를 상하 조절장치(5228)와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하강파이프(5117')의 하단부에 제3 발전기(5119')를 구성하고, 상기 제3발전기(5119')의 일측으로 2차 하강파이프(5211')를 연장 구성하며, 상기 하강파이프(5211')의 끝단부에 제4 발전기(5213)를 구성시키고, 상기 제4 발전기(5213')의 상부에 2차 상승 파이프(5215)를 구성하며, 상기 2차 상승파이프(5215)의 끝단부에 제5 발전기(5217)를 구성시키고, 상기 제5 발전기(5217)의 하단부에 물받이통(5000)와 결합되는 3차 하강파이프(5217)를 구성하며, 상기 2차 하강파이프(5217)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하천수의 유입량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상하 조절장치(5228)를 이용하여 변동되는 수위에 따라 수시로 발전가능 수위를 가변조절 하면서 다중으로 중첩되게 설치되는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3에 따라 구성되는 제3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청구항3에 따라 구성되는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다층으로 구성되는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상층부 내에는 물받이통(5000)이 구성되고 상기 물받이통(5000)의 하단부에는 유입파이프(9321)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유입파이프(9321) 하부에는 장공의 통공(9333)이 형성된 원형회전밸브(933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원형회전밸브(9332)에는 원형기어(9334)가 구성되며, 상기 원형기어(9334)와 치합되는 레크기어(9335)가 일측에 구비된 스크류기어(9336)의 구조와 상기 스크류기어(9336)의 타측에는 감속기(9331)와 결합 구성되는 배출수 조절장치(9880)를 이용하여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의 배출수량을 임의적으로 조절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 제3의 실시예는 산의 중간으로 부터 산의 정상까지 다층으로 구성되는 발전용수들을 용이하게 하층부분으로 배출하여주도록 구성되는 배출장치로서 본 발명 제3의 실시예를 변경하여 다층으로 구성되는 하천수들은 하류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변경 구성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3에 따라 구성되는 제3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 청구항4에 따라 구성되는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천바닥을 깊게 준설 한 후 상기 하천의 일측 제방과 타측 제방을 돌이나 석축 또는 돌망태 또는 게비온또는 호안블럭이나 옹벽블럭등으로 구성되는 하천시설물을 이용하여 정비하고 하천의 중앙 또는 어느 한 방향 일측 지점에 중앙 물분리막(98901)을 설치하여, 하천의 상류로 부터 유입되어오는 하천의 타측 수위를 높여서 하천의 내부에 선박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거나 레프팅등을 자유롭게 시행 할수 있도록 하천 수위를 높게 구성시킴과 동시에 중앙 물분리막(98901)의 일측 하천 바닥에는 발전기 가동을 위한 용수를 이송하는 다수개의 하강파이프(5211')를 구성하여 발전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5에 따라 구성되는 제5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 청구항5에 따라 구성되는 제5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산(9307)의 정상에 박스 형태 또는 산의 중간 허리 부터 산의 정상 까지 박스 또는 항아리 형태로 대형 저수조(9305)를 구성하고, 상기 대형 저수조(9305)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3051)와 결합되는 배출파이프(3052)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파이프(3052)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로 1차 저수통(3050)이 구비되고,상기 1차 저수통(3050)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 방향은 좁은 형태로 하강파이프(3076)가 구비되고;상기 하강파이프(3076)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대형저수조(9305)로 발전용수를 펌핑하여 줄때에 사용되는 재송수 파이프(3088)가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상단부까지 구성되며;상기 하강파이프(3076)의 상단부에는 1차 조절밸브(37)가 결합되는 구조; 상기 하강파이프(3076)는 상승파이프(3075)와 연결 결합되며,상기 상승파이프(3075)의 상단부에는 2차 조절밸브(3772)가 결합 구성되며;상기 상승파이프(3075)의 하단부에는 1차 발전수차(3071)가 구성되고,상기 1차 발전수차(3071)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로 2차 저수통(3077)이 구비되며, 상기 2차 저수통(3077)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 방향으로는 좁은 형태로 2차 배출파이프(3078)가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상단부에는 3차 조절밸브(3771)가 구성됨과 함께;상기 상승파이프(3075)의 상단부와 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상단부 사이에는 취수연결파이프(3072)가 취수 조절밸브(3073)와 결합 구성되는 구조; 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하단부 일측에는 4차 조절밸브(3775)가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하단부에는 2차 발전수차(3079)가 구성되는 구조;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하단부 일측에는 5차 조절밸브(38)와 결합 되는 취수파이프(9309)가 이송펌프(2200)와 결합 구성되는 구조로써 산(9307)의 하류 부분에 구성된 호수 또는 저수지 또는 바닷물을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내부에 펌핑하여 채우기 위하여 상기 상기 취수 조절밸브(3073)를 개방하고상기 배출량 조절밸브(3051)와 상기 1차 조절밸브(37)와 상기 2차 조절밸브(3772)와 상기 3차 조절밸브(3771)와 상기 4차 조절밸브(3775)를 폐쇄시킨 후 상기 이송펌프(2200)를 이용하여 민물이나 바닷물을 상기 대형저수조(9305)에 가득채운후 역 순으로 상기 취수 조절밸브(3073)를 폐쇄시킨후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3051)와 상기 1차 조절밸브(37)와 상기 2차 조절밸브(3772)와 상기 3차 조절밸브(3771)와 상기 4차 조절밸브(3775)를 순차적으로 개방시켜서 상기 대형저수조(9305)에 저수된 발전용수를 상기 배출파이프(3052)와 상기 1차 저수통(3050)과 상기 하강파이프(3076)와 상기 상승파이프(3075)와 취수연결파이프(3072)와 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경로를 통과 할 때에 자연적으로 상승되는 고압의 수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6에 따라 구성되는 제6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과7과 본 발명 청구항6에 따라 구성되는 제6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높은 산(1608)의 중간 아래 부분에 경사진 형태로 빗물을 흐르도록 유도하여 주는 빗물 수집 수로(1508)를 산의 전체 둘레에 산의 굴곡을 따라 구성시키되 모아진 빗물이 산(1608)의 일측에 위치한 계곡방향으로 모으도록 상기 빗물 수집 수로(1508)를 구성시킨 후 산의 계곡 상측에 물을 저수하여 주는 저수장치(6000)를 전도식이나 권양식 또는 회전식이나 고무댐 방식을 이용하여 물을 저수 할수 있도록 구성시키고;상기 저수장치(6000)의 하단부에 하강된 물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다시 상승할 수있도록 U자형 하단배출관(302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상기 하단배출관(3020)의 하단부와 연결하여 하협 상광의 형태로 상승파이프(303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배출관(3030)의 하단부에 물저장통(5000)을 구성시킨후 상광 하협의 형태로 배출파이프(3010)를 구성시킨후 상기 배출파이프(301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하여 산의 정상과 하류부분을 통과하면서 그냥 버려지는 빗물들을 상기 유도수로(1502)와 상기 저수장치(6000)에 저수한후 상기 U자형 하단배출관(3020)과 물저장통(5000)과 상기 하단배출관(3030)과 상기 발전수차(3000)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7에 따라 구성되는 제7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 청구항7에 따라 구성되는 제7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저수장치(6000)의 일측 하단부에는 1차 정량 배출 조절밸브(5908)와 결합되는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8899)가 구성되고,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8899)의 하단부에는 물 저장통(888)이 구비되고, 상기 물저장통(888)의 하단부에는 상단부 통수면적 크기와 하단부 통수 면적이 동일한 구조를 이루는 배출파이프(88)가 연결 구성되며,상기 배출파이프(88)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33)가 결합 구성됨과 함께 상기 배출파이프(88)의 상단부에는 2차 정량 배출조절밸브(80000)가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기 2차 정량배출밸브(80000)를 3초~2분간의 시간 동안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1차 정량 배출 조절 밸브(5908)를 개방하여 상기 물저장통(888)과 상기 배출파이프(88)의 상단부에 5kg~5000kg의 발전용수를 채워 넣은 후 상기 1차 정량 배출 조절밸브(5908)를 3초~2분간의 시간 동안 폐쇄시킨 후 상기 2차 정량 배출조절밸브(80000)를 개방하여 상기 물저장통(888)과 상기 배출파이프(88)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를 배출시켜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고효율의 전기 생산량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1차 정량 배출밸브(5908)와 상기 2차 장량 배출조절밸브(80000)를 주기적으로 개폐 조절하여 높은 곳에 저수된 발전용수들을 주기적인 시간차이를 두고 반복 배출 시켜서 상기 배출파이프(88)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333)를 고압력으로 회전 시켜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본 발명 제7의 실시예에서 정량 배출 조절 밸브(5908)를 이용하여 하강시키는 발전용수의 양을 임의적으로 변경 적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공법은 얼마든지 변경 구성이 가능함으로 이러한 설계 변경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8에 따라 구성되는 제8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 청구항8에 따른 제8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양수발전하기 위하여 높은 곳에 조성한 상부 댐 또는 대형저수조(9305)에 저수되는 발전용수를 하류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하류에 구성되는 발전기(3000)와 연결 구성하는 이송수로(8900)를 구성할 때에 중간 중간에 압력 분산용 연결박스(8990)를 설치한 후 상기 압력분산용 연결박스(8990)의 사이사이에 수압의 압력이 분산되도록 연속 결합되는 이송수로(8900)를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9에 따라 구성되는 제9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 청구항9에 따른 제9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상기 이송수로(8900)의 구조는 유입구는 넓고 하류방향으로 좁게 구성하여 수압의 압력이 가중되도록 구성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본 발명 제9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이송수로의 구조를 변경 구성하는 것은 매우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함으로 이러한 설계 변경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10에 따라 구성되는 제10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 청구항10에 따라 구성되는 제10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발전용수 이송파이프(8899)의 끝단부에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끝단부 배출구(5336)가 구성되며;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5133)가 구성되는 구조; 상기 발전수차(5133)의 하단부에는 물받이통(5000)이 구성되고; 상기 물받이통(5000)의 하단부에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로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하단부에는 이송수로(3070)가 구성되고; 상기 이송수로(3070)의 중간중간에는 상기 이송수로(3070)의 내부에 흐르는 수압에 의해 전기를 생산 하도록 다수개의 발전수차(6120)를 구성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된 구조;상기 이송수로(3070)의 끝단부 부분에는 상기 이송수로(307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상부로 이송하여 주는 상승파이프(3080)가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구조;상기 상승 파이프(3080)의 끝단부 배출구(5336)는 나팔 형태로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구조;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5133)가 구성되는 구조; 상기 발전수차(5133)의 하단부에는 상기 물받이통(5000)이 구성되고; 상기 물받이통기(5000)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10)와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구조를 이용하여 하천의 상류 또는 높은 계곡이나 높은 건출물에서 배출되는 발전용수를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8899)와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를 통하여 배출시킬 때에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5133)를 이용하여 1차로 전기를 생산 한후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물받이통(5000)과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로 유입된 후 상기 이송수로(3070)의 내부로 연속 이동되는 발전용수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수로(3070)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발전수차(6120)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 생산 시킨 후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가로 이송수로(3070)의 끝단부에 구성된 상기 상승파이프(3080)와 결합된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를 통하여 배출되는 발전용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5133)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 생산한 후 중력의 작용에 의해 또 다시 낙하하는 발전용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1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3000)를 연속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구조로 인하여 가중되어 발생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을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11에 따라 구성되는 제11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2는 본 발명 청구항11에 따라 구성되는 제11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천의 상부 측 수로를 깊게 준설한 후 양측 수로를 정비하여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문 또는 권양 장치를 이용하여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상기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에는 물이 흘러 내릴수 있도록 수로(8083)를 경사지게 구성하고 상기 수로(8083)의 내부와 끝단부에 전기를 순차적으로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수차(3000)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수로(8083)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오픈된 형태로 물받이통(5000)을 구성하고, 상기 물받이 통(5000)의 하단부에 상부는 넓고 하단부 방향으로 좁게 구성되는 물 저장고 겸용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를 구성하고,상기 물 저장고 겸용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일측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줄수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8080)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물 저장고 겸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하단부에는 수력으로 전기를 생산 하도록 구비되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후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8080)를 폐쇄 시킨 사태에서 상기 저수장치(1000)에 저수된 발전용수를 상기 수로(8083)로 방류하여 상기 수로(8083)의 내부와 끝단부에 설치된 상기 발전수차(3000)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함과 동시에 상기 물 저장고 겸용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내부에 물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8080)를 개방하여 상기 물 저장고 겸용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하단부에 구성된 상기 발전수차(3000)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12에 따라 구성되는 제12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 청구항12에 따라 구성되는 제12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저수용 탱크, 또는 상기 저수장치,또는 상기 물저장탱크,또는 상기 대형 저수조의 내부에서 수압이 확산 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의 모양으로 구성되는 수압감소용 내부 구조물(1236)의 구조와;상기 수압감소용 내부구조물(1236)에 다수개의 물 유통구(1237)가 구성된 수압감소용 내부 구조물(1236)을 상기 대형 저수조(9305)의 내부에 다중으로 중첩되게 구성하여 상기 대형 저수조(9305)의 내부에 가해지는 수압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대형 저수조(9305)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 제12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내부구조물의 형상은 당해업자라면 얼마든지 변경 구성이 가능함으로 이러한 설계 변경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13에 따라 구성되는 제13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4는 본 발명 청구항13에 따라 구성되는 제13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다단계로 점차 축소되는 구조를 이루고,하단부분 끈단부분 통수구(3939)의 통수 면적 지름을 상측의 통수면적 지름보다도 0.001%~5% 작은 크기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끝단부를 구성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내부에 발전용수들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전기를 생산 할 때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들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분자들 끼리 충돌하는 물질분자충돌작용과 물질분자 폭발작용에 의해 생성 되는 기포들이 물질분자 밀림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공기출입구(50000) 측으로 밀어내고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우선적으로 낙하 하도록 유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14에 따라 구성되는 제14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5는 본 발명 청구항14에 따라 구성되는 제14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구조는 상측의 통수 면적 넓이와 하측의 통수 면적 넓이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되, 하단부분 끈단부분 통수구(3939)의 통수 면적 지름을 상측의 통수면적 지름보다도 0.001%~5% 정도가 더 작은 크기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끝단부를 구성하여 상측에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들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분자들 끼리 충돌하는 물질분자충돌작용과 물질분자 폭발작용에 의해 생성 되는 기포들을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공기출입구(50000) 측으로 밀어내고,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우선적으로 낙하 하도록 유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15에 따라 구성되는 제15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6은 본 발명 청구항15에 따라 구성되는 제15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저수장치(6000)의 하단부에 상기 1차 정량 배출밸브(5908)와 결합 되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8899)가 설치되고;상기 이송파이프(8899)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깔대기 형태로 물받이 통(5000)이 구성되고;상기 물받이통(5000)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 방향으로 좁게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52)가 2차 배출량 조절밸브(5151)과 결합 구성되는 구조;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52)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되어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량에 따라 배출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52)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를 선택적으로 운영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다중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16에 따라 구성되는 제16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7은 본 발명 청구항16에 따라 구성되는 제16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내부에 가해지는 수압의 압력이 분산되도록 작용시키기 위해서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내부에 수압감소용 내부 구조물(1236)을 중첩되게 적층하여 상기 대형 저수조(9305)에 가해 지는 수압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대형저수조(9305)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 제16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형저수조(9305)읜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압의 압력이 분산되도록 중첩되게 적층하는 내부구조물의 형상을 변경구성하거나 적층하는 방법을 달리 구성하는 것은 당해업자라면 얼마든지 변경 구성이 가능함으로 이러한 설계 변경 모두가 본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17에 따라 구성되는 제17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8은 본 발명 청구항17에 따라 구성되는 제17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높은 지대에 위치한 하천(773)을 깊게 준설한 후 하천(773)의 양쪽 제방(770)을 하천시설물을 이용하여 정비한 후 물을 저수하여 주는 저수장치(7777)를 권양대(778)와 권양연결대(777)를 결합하여 높은 지대에 위치한 폭포가 형성된 하천(773)의 상류에 설치한 후 상기 저수장치(7777)의 일측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775)와 결합 되면서 유입구는 넓고 끝단부는 유입구 측 보다도 5%~200% 정도의 작은 크기로 구성되는 하천수 배출파이프(771)를 구성하고 , 상기 하천수 배출파이프(771)의 끝단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구조;상기 저수장치(7777)의 타단부에는 저수된 하천수를 폭포 방향으로 우회 배출하여주는 우회 수로(772)가 2차 배출량 조절밸브(776)와 결합 되는 구조로써 상기 저수장치(7777)의 하단부를 5mm~10cm 정도로 상시 개방하여 저층수 배출통로(7799)를 구성시켜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상층부로 밀러 올려 놓고 우선적으로 배출되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자연 정화시키는 수질정화 작용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관광객이 없는 밤시간대에는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776)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775)를 개방하여 상기 하천으로 유입되어 오는 하천수를 이용하여 상기 발전수차(3000)로 전기를 생산하는 작업을 수행하다가 관광객이 많이 찾는 낮시간대에는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775)를 폐쇄 시켜서 발전을 중단함과 동시에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776)를 개방하여 상기 우회수로(772) 방향으로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어오는 하천수를 우회방류하여 폭포가 형성 되도록 하는 하천수 방류 조절 방법을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그냥 버려지는 고 낙차의 하천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공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청구항18에 따라 구성되는 제18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 제18의 실시 예는 청구항 6을 변경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구성이다.
도19는 본 발명 청구항18에 따라 구성되는 제18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산의 둘레에 구성되는 상기 빗물 수집 수로(1508)와 결합 되는 저수장치(6000)를 원형 또는 박스 형태로 구성시킨후 빗물을 수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공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발전용수 배출파이프와 하강파이프 또는 하천수 배출파이프 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형상은 사각형이나 타원형 또는 삼각형이나 마름모꼴의 형상과 같이 매우 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함으로 이러한 설계 변경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배출량 조절밸브의 형식이나 구성은 매우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함으로 자세한 구조와 형상을 도시하지 않았다해도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얼마든지 변경 구성이 가능함으로 이로한 설게변경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1000: 저수장치

Claims (18)

  1. 산(9307)의 정상에 박스 형태 또는 산의 중간 허리 부터 산의 정상 까지 박스 형태 또는 항아리 형태로 대형 저수조(9305)를 구성하고, 상기 대형 저수조(9305)의 상부 끝단부에는 상부 발전수차(9308)가 구성되고, 상기 대형저수조(9035)의 상단부와 상기 대형저수조(9305)가 구성되는 산의 하단부까지 하강파이프(9301)가 장설 되고,상기 하강파이프(9301)의 상단부 일단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9306)가 구비되어 발전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작용을 하고,상기 하강파이프(9301)의 일측에 상승파이프(9302)를 연결하고,상기 상승파이프(9302)의 중간에 변화되는 수위에 따라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하 위치 조절파이프(5123)를 상,하 조절장치(5125)와 함께 결합 구성하며, 상기 상승파이프(9302)의 상부에 깔대기 형태로 1차 물받이통(5329)을 상부가 오픈된 형태로 구성시킴과 함께; 상기 1차 물받이통(5329)의 상부에는 재송수 파이프(5120)를 구성시키고, 상기 재송수 파이프(5120)의 하단부 중간에는 상,하 위치 조절파이프(5121)와 결합 되는 상,하조절장치(5122)가 구비되고,상기 상,하 위치 조절파이프(5121)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가 구비되고,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되는 구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의 하단부 일측에는 취수파이프(9309)와 결합 되는 이송펌프(2200)가 결합 구성되는 구조;상기 상승파이프(9302)의 상단부 하단에는 2차 배출량 조절밸브(5328)와 결합 되는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26)가 구성되고,상기 발전용수배출파이프(5126)의 하단부에는 오픈된 깔대기 형태로 2차 물받이통(5000)이 구성되고, 상기 2차 물받이통(5000)의 하단부에는 3차 배출량 조절밸브(8310)와 결합된 연결파이프(8871)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파이프(8871)의 일단부는 상기 재송수 파이프(5120)와 결합되는 구조로써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9306)와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5328)와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8310)를 폐쇄시킴과 함께 이송조절밸브(9311)를 개방시키고, 상기 이송펌프(2200)를 이용하여 저수지 또는 댐이나 강에 저수된 발전용수 또는 바닷물을 상기 대형 저수조(9305)에 펌핑하여 발전용수를 가득 채우는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이송조절밸브(93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9306)와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5328)와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8310)를 개방하여 상기 대형저수조(9305)에 저장된 발전용수를 상기 하강파이프(9301)와 상기 상승파이프(9302)와 상기 발전용수배출파이프(5126)와 상기 2차 물받이통(5000)과 연결파이프(8871)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를 통하여 고압력으로 상기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다중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전기 생산 공법
  2. 상간의 계곡에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어 오는 유입수를 저수하기 위한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 상기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전면부에 유입구(5212)를 구성함과 함께 대향되는 방향의 후면부에 배출구(5111')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구(5111')의 후면부에 상승파이프(5115')를 연결하며, 상기 상승파이프(5115') 입구측에는 발전기(5112')를 구성하고, 상기 상승파이프(5115') 상단측에는 높이 조절을 위한 승하강 조절장치(5116)가 구성되며, 상기 상승파이프(5115')의 끝단부에 제2 발전기(5113')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발전기(5113')의 하단부에 물받이통(5000)과 결합되는 하강파이프(5117')를 상하 조절장치(5228)와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하강파이프(5117')의 하단부에 제3 발전기(5119')를 구성하고, 상기 제3발전기(5119')의 일측으로 2차 하강파이프(5211')를 연장 구성하며, 상기 하강파이프(5211')의 끝단부에 제4 발전기(5213)를 구성시키고, 상기 제4 발전기(5213')의 상부에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2차 상승 파이프(5215)를 구성하며, 상기 2차 상승파이프(5215)의 끝단부에 제5 발전기(5217)를 구성시키고, 상기 제5 발전기(5217)의 하단부에 물받이통(5000)와 결합되는 3차 하강파이프(5217)를 구성하며, 상기 2차 하강파이프(5217)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하천수의 유입량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상,하 조절장치(5228)를 이용하여 변동되는 융입 수위에 따라 수시로 발전가능 수위를 가변조절 하면서 다중으로 중첩되게 설치되는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 제1항 에 있어서,
    다층으로 구성되는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상층부 내에는 물받이통(5000)이 구성되고 상기 물받이통(5000)의 하단부에는 유입파이프(9321)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유입파이프(9321) 하부에는 장공의 통공(9333)이 형성된 원형회전밸브(933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원형회전밸브(9332)에는 원형기어(9334)가 구성되며, 상기 원형기어(9334)와 치합되는 레크기어(9335)가 일측에 구비된 스크류기어(9336)의 구조와 상기 스크류기어(9336)의 타측에는 감속기(9331)와 결합 구성되는 배출수 조절장치(9880)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구성되는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의 배출수량을 임의적으로 조절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4. 제2항에 있어서,
    하천바닥을 깊게 준설 한 후 상기 하천의 일측 제방과 타측 제방을 돌이나 석축 또는 돌망태 또는 게비온 또는 호안블럭이나 옹벽블럭등으로 구성되는 하천시설물을 이용하여 정비하고 하천의 중앙 또는 어느 한 방향 일측 지점에 중앙 물분리막(98901)을 설치하여, 하천의 상류로 부터 유입되어 오는 하천의 타측 수위를 높여서 하천의 내부에 선박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천을 구성시킴과 동시에 중앙 물분리막(98901)의 일측 하천 바닥에는 발전기 가동을 위한 용수를 이송하는 다수개의 하강파이프(5211')를 구성하여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5. 산(9307)의 정상에 박스 형태 또는 산의 중간 허리 부터 산의 정상 까지 박스 또는 항아리 형태로 대형 저수조(9305)를 구성하고, 상기 대형 저수조(9305)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3051)와 결합되는 배출파이프(3052)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파이프(3052)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로 1차 저수통(3050)이 구비되고,상기 1차 저수통(3050)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 방향은 좁은 형태로 하강파이프(3076)가 구비되고;상기 하강파이프(3076)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대형저수조(9305)로 발전용수를 펌핑하여 줄때에 사용되는 재송수 파이프(3088)가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상단부까지 구성되며;상기 하강파이프(3076)의 상단부에는 1차 조절밸브(37)가 결합되는 구조; 상기 하강파이프(3076)는 상승파이프(3075)와 연결 결합되며,상기 상승파이프(3075)의 상단부에는 2차 조절밸브(3772)가 결합 구성되며;상기 상승파이프(3075)의 하단부에는 1차 발전수차(3071)가 구성되고,상기 1차 발전수차(3071)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로 2차 저수통(3077)이 구비되며, 상기 2차 저수통(3077)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 방향으로는 좁은 형태로 2차 배출파이프(3078)가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상단부에는 3차 조절밸브(3771)가 구성됨과 함께;상기 상승파이프(3075)의 상단부와 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상단부 사이에는 취수연결파이프(3072)가 취수 조절밸브(3073)와 결합 구성되는 구조; 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하단부 일측에는 4차 조절밸브(3775)가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하단부에는 2차 발전수차(3079)가 구성되는 구조;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하단부 일측에는 5차 조절밸브(38)와 결합 되는 취수파이프(9309)가 이송펌프(2200)와 결합 구성되는 구조로써 산(9307)의 하류 부분에 구성된 호수 또는 저수지 또는 바닷물을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내부에 펌핑하여 채우기 위하여 상기 상기 취수 조절밸브(3073)를 개방하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3051)와 상기 1차 조절밸브(37)와 상기 2차 조절밸브(3772)와 상기 3차 조절밸브(3771)와 상기 4차 조절밸브(3775)를 폐쇄시킨 후 상기 이송펌프(2200)를 이용하여 민물이나 바닷물을 상기 대형저수조(9305)에 가득채운 후 역 순으로 상기 취수 조절밸브(3073)를 폐쇄시킨후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3051)와 상기 1차 조절밸브(37)와 상기 2차 조절밸브(3772)와 상기 3차 조절밸브(3771)와 상기 4차 조절밸브(3775)를 순차적으로 개방시켜서 상기 대형저수조(9305)에 저수된 발전용수를 상기 배출파이프(3052)와 상기 1차 저수통(3050)과 상기 하강파이프(3076)와 상기 상승파이프(3075)와 상기 취수 연결파이프(3072)와 상기 2차 배출파이프(3078)의 경로를 통과 할 때에 자연적으로 상승되는 고압의 수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특징으로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 높은 산(1608)의 중간 아래 부분에 경사진 형태로 빗물을 흐르도록 유도하여 주는 빗물 수집 수로(1508)를 산의 전체 둘레에 산의 굴곡을 따라 구성시키되 모아진 빗물이 산(1608)의 일측에 위치한 계곡방향으로 모으도록 상기 빗물 수집 수로(1508)를 구성시킨 후 산의 계곡 상측에 물을 저수하여 주는 저수장치(6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저수장치(6000)의 하단부에 하강된 물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다시 상승할 수있도록 U자형 하단배출관(302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상기 하단배출관(3020)의 하단부와 연결하여 하협 상광의 형태로 상승파이프(303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배출관(3030)의 하단부에 물저장통(5000)을 구성시킨후 상광 하협의 형태로 배출파이프(3010)를 구성시킨후 상기 배출파이프(301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하여 산의 정상과 하류부분을 통과하면서 그냥 버려지는 빗물들을 상기 유도수로(1502)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장치(6000)로 수집하여 저수한후 상기 U자형 하단배출관(3020)과 물저장통(5000)과 상기 하단배출관(3030)과 상기 발전수차(3000)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 제 1항 내지 2항중 선택된 어느항 에 있어서,
    상기 저수장치(6000)의 일측 하단부에는 1차 정량 배출 조절밸브(5908)와 결합되는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8899)가 구성되고,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8899)의 하단부에는 물 저장통(888)이 구비되고, 상기 물저장통(888)의 하단부에는 상단부 통수면적 크기와 하단부 통수 면적이 동일한 구조를 이루는 배출파이프(88)가 연결 구성되며,상기 배출파이프(88)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33)가 결합 구성됨과 함께 상기 배출파이프(88)의 상단부에는 2차 정량 배출조절밸브(80000)가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기 2차 정량배출밸브(80000)를 3초~2분간의 시간 동안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1차 정량 배출 조절 밸브(5908)를 개방하여 상기 물저장통(888)과 상기 배출파이프(88)의 상단부에 5kg~5000kg 정도의 발전용수를 채워 넣은 후 상기 1차 정량 배출 조절밸브(5908)를 3초~2분간의 시간 동안 폐쇄시킨 후 상기 2차 정량 배출조절밸브(80000)를 개방하여 상기 물저장통(888)과 상기 배출파이프(88)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를 일시에 배출시켜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고효율의 전기 생산량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1차 정량 배출밸브(5908)와 상기 2차 장량 배출조절밸브(80000)를 주기적으로 개폐 조절하여 높은 곳에 저수된 발전용수들을 주기적인 시간차이를 두고 반복 배출 시켜서 상기 배출파이프(88)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333)를 고압력으로 회전 시켜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8. 제1항내지 2항내지 5항중 선택된 어느항에 있어서
    양수발전하기 위하여 높은 곳에 조성한 상부 댐 또는 대형저수조(9305)에 저수되는 발전용수를 하류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하류에 구성되는 발전기(3000)와 연결 구성하는 이송수로(8900)를 구성할 때에 중간 중간에 압력 분산용 연결박스(8990)를 설치한 후 상기 압력분산용 연결박스(8990)의 사이사이에 수압의 압력이 분산되도록 연속 결합되는 이송수로(8900)를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로(8900)의 구조는 유입구는 넓고 하류방향으로 좁게 구성하여 수압의 압력이 가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0. 발전용수 이송파이프(8899)의 끝단부에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끝단부 배출구(5336)가 구성되며;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5133)가 구성되는 구조; 상기 발전수차(5133)의 하단부에는 물받이통(5000)이 구성되고; 상기 물받이통(5000)의 하단부에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로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하단부에는 이송수로(3070)가 구성되고; 상기 이송수로(3070)의 중간중간에는 상기 이송수로(3070)의 내부에 흐르는 수압에 의해 전기를 생산 하도록 다수개의 발전수차(6120)를 구성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된 구조;상기 이송수로(3070)의 끝단부 부분에는 상기 이송수로(307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상부로 이송하여 주는 상승파이프(3080)가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구조;상기 상승 파이프(3080)의 끝단부 배출구(5336)는 나팔 형태로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구조;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5133)가 구성되는 구조; 상기 발전수차(5133)의 하단부에는 상기 물받이통(5000)이 구성되고; 상기 물받이통(5000)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10)와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구조를 이용하여 하천의 상류 또는 높은 계곡이나 높은 건출물에서 배출되는 발전용수를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8899)와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를 통하여 배출시킬 때에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5133)를 이용하여 1차로 전기를 생산 한후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물받이통(5000)과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로 유입된 후 상기 이송수로(3070)의 내부로 연속 이동되는 발전용수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수로(3070)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발전수차(612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 생산 시킨 후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가로 이송수로(3070)의 끝단부에 구성된 상기 상승파이프(3080)와 결합된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를 통하여 배출되는 발전용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5133)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 생산한 후 중력의 작용에 의해 또 다시 낙하하는 발전용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1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3000)를 연속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구조로 인하여 가중되어 발생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을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1. 하천의 상부 측 수로를 깊게 준설한 후 양측 수로를 정비하여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문 또는 권양 장치를 이용하여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상기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에는 물이 흘러 내릴수 있도록 수로(8083)를 경사지게 구성하고 상기 수로(8083)의 내부와 끝단부에 전기를 순차적으로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수차(3000)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수로(8083)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오픈된 형태로 물받이통(5000)을 구성하고, 상기 물받이 통(5000)의 하단부에 상부는 넓고 하단부 방향으로 좁게 구성되는 물 저장고 겸용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를 구성하고,상기 물 저장고 겸용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일측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줄수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8080)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물 저장고 겸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하단부에는 수력으로 전기를 생산 하도록 구비되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후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8080)를 폐쇄 시킨 사태에서 상기 저수장치(1000)에 저수된 발전용수를 상기 수로(8083)로 방류하여 상기 수로(8083)의 내부와 끝단부에 설치된 상기 발전수차(3000)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함과 동시에 상기 물 저장고 겸용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내부에 물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8080)를 개방하여 상기 물 저장고 겸용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하단부에 구성된 상기 발전수차(3000)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 탱크, 또는 상기 저수장치,또는 상기 물저장탱크,또는 상기 대형 저수조(9305)의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수압이 확산 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의 모양으로 구성되는 수압감소용 내부 구조물(1236)의 구조와;상기 수압감소용 내부구조물(1236)에 다수개의 물 유통구(1237)가 구성된 수압감소용 내부 구조물(1236)을 상기 대형 저수조(9305)의 내부에 다중으로 중첩되게 구성하여 상기 대형 저수조(9305)의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수압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대형 저수조(9305)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3. 제 1항내지 2항내지 3항내지 5항내지 7항내지 8항중에서 선택된 어느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다단계로 점차 축소되는 구조를 이루고,하단부 끝단부분 통수구(3939)의 통수 면적 지름을 상측의 통수면적 지름보다도 0.001%~5% 작은 크기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 끝단부를 구성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내부에 발전용수들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전기를 생산 할 때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들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분자들 끼리 충돌하는 물질분자충돌작용과 물질분자 폭발작용에 의해 생성 되는 기포들이 물질분자 밀림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공기출입구(50000) 측으로 밀어내고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우선적으로 낙하 하도록 유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4. 제1항내지 2항중 선택된 어느항 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구조는 상측의 통수 면적 넓이와 하측의 통수 면적 넓이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되, 하단부분 끈단부분 통수구(3939)의 통수 면적 지름을 상측의 통수면적 지름보다도 0.001%~5% 정도가 더 작은 크기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끝단부를 구성하여 상측에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들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분자들 끼리 충돌하는 물질분자충돌작용과 물질분자 폭발작용에 의해 생성 되는 기포들을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공기출입구(50000) 측으로 밀어내고,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우선적으로 낙하 하도록 유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5. 제 1항내지 제2항 중 선택된 어느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장치(6000)의 하단부에 상기 1차 정량 배출밸브(5908)와 결합 되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8899)가 설치되고;상기 이송파이프(8899)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깔대기 형태로 물받이 통(5000)이 구성되고;상기 물받이통(5000)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 방향으로 좁게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52)가 2차 배출량 조절밸브(5151)과 결합 구성되는 구조;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52)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되어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량에 따라 배출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52)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를 선택적으로 운영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다중 발전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6. 제1항내지 5항중 선택된 어느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내부에 가해지는 수압의 압력이 분산되도록 작용시키기 위해서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내부에 수압감소용 내부 구조물(1236)을 중첩되게 적층하여 상기 대형 저수조(9305)에 가해 지는 수압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대형저수조(9305)를 특징으로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7. 높은 지대에 위치한 하천(773)을 깊게 준설한 후 하천(773)의 양쪽 제방(770)을 하천시설물을 이용하여 정비한 후 물을 저수하여 주는 저수장치(7777)를 권양대(778)와 권양연결대(777)를 결합하여 높은 지대에 위치한 폭포가 형성된 하천(773)의 상류에 설치한 후 상기 저수장치(7777)의 일측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775)와 결합 되면서 유입구는 넓고 끝단부는 유입구 측 보다도 5%~200% 정도의 작은 크기로 구성되는 하천수 배출파이프(771)를 구성하고 , 상기 하천수 배출파이프(771)의 끝단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구조;상기 저수장치(7777)의 타단부에는 저수된 하천수를 폭포 방향으로 우회 배출하여 주는 우회 수로(772)가 2차 배출량 조절밸브(776)와 결합 되는 구조로써 상기 저수장치(7777)의 하단부를 5mm~10cm 정도로 상시 개방하여 저층수 배출통로(7799)를 구성시켜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상층부로 밀러 올려 놓고 우선적으로 배출되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자연 정화시키는 수질정화 작용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관광객이 없는 밤시간대에는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776)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775)를 개방하여 상기 하천으로 유입되어 오는 하천수를 이용하여 상기 발전수차(3000)로 전기를 생산하는 작업을 수행하다가 관광객이 많이 찾는 낮시간대에는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775)를 폐쇄 시켜서 발전을 중단함과 동시에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776)를 개방하여 상기 우회수로(772) 방향으로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어오는 하천수를 우회방류하여 폭포가 형성 되도록 하는 하천수 방류 조절 방법을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그냥 버려지는 고 낙차의 하천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8. 6항에 있어서
    산의 둘레에 구성되는 상기 빗물 수집 수로(1508)와 결합 되는 저수장치(6000)를 원형 또는 박스 형태로 구성시킨후 빗물을 수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90002055A 2018-01-09 2019-01-08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90010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332 WO2019139347A2 (ko) 2018-01-09 2019-01-09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818 2018-01-09
KR1020180002818A KR20180017063A (ko) 2018-01-09 2018-01-09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되게 발생시키면서 발전효율을 높여주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80002623 2018-01-09
KR1020180002623A KR20180009805A (ko) 2018-01-09 2018-01-09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되게 발생시키면서 발전효율을 높여주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80003808A KR20180017065A (ko) 2018-01-11 2018-01-11 발전효율을 높여주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80003808 2018-01-11
KR1020180016038A KR20180021020A (ko) 2018-02-09 2018-02-09 중력 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전효율을 높여주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80016038 2018-02-09
KR1020180018952A KR20180025307A (ko) 2018-02-18 2018-02-18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80018952 2018-02-18
KR1020180053865 2018-05-10
KR1020180053865A KR20180057584A (ko) 2018-05-10 2018-05-10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80065884A KR20180071216A (ko) 2018-06-08 2018-06-08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80065884 2018-06-08
KR1020180076180A KR20180088603A (ko) 2018-07-01 2018-07-01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80076180 2018-07-01
KR1020180097273A KR20180100282A (ko) 2018-08-21 2018-08-21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80097273 2018-08-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885A true KR20190010885A (ko) 2019-01-31

Family

ID=6532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055A KR20190010885A (ko) 2018-01-09 2019-01-08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10885A (ko)
WO (1) WO2019139347A2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129A (ko) * 2003-05-06 2004-11-12 김한중 저수 수력 발전 장치
KR100539208B1 (ko) * 2003-05-30 2005-12-27 유연덕 산악 계곡의 빗물 저장 및 이용 설비
KR200349016Y1 (ko) * 2004-02-06 2004-04-30 정백화 수리계통의 잉여낙차를 활용한 소수력 발전설비
JP5412897B2 (ja) * 2009-03-13 2014-02-12 Toto株式会社 水栓装置
KR101072367B1 (ko) * 2009-11-18 2011-10-11 (주)정토지오텍 골프장용 계단식 소수력 발전장치 및 발전방법
KR101278534B1 (ko) * 2010-03-10 2013-06-25 (주)엔아이티원 소수력 발전시스템
KR101565461B1 (ko) * 2014-06-05 2015-11-04 강석철 취수관을 이용한 중력식 수력발전시스템
KR20180002557A (ko) * 2017-12-09 2018-01-08 한상관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9347A2 (ko) 2019-07-18
WO2019139347A3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361B2 (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8231327B2 (en) River high pressure energy conversion machine
US9163606B2 (en) Hydro-electric tube generation
RU2629350C1 (ru) Гидроаккумул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WO2012177182A1 (ru) Каскад деривационных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й
KR101565461B1 (ko) 취수관을 이용한 중력식 수력발전시스템
KR102228133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공법
KR20190010885A (ko)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JP6560813B1 (ja) 重力加算水車
CN110017240A (zh) 一种蓄水池循环系统
KR20180002557A (ko)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80011038A (ko)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CN201722211U (zh) 新型湿地管道结构
KR20180017063A (ko)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되게 발생시키면서 발전효율을 높여주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RU2796337C1 (ru) Прилив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с дополнительным резервуаром
CN110980880B (zh) 一种潮汐驱动高压海水淡化系统
BE1026570B1 (nl) Inrichting voor het opwekken van elektriciteit
RU116508U1 (ru)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на водосбросном сооружении
CN201972837U (zh) 一种海水波动物理牧力发电机组
JP2010007654A (ja) 河川浄化式水力発電装置
RU149717U1 (ru)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20190044151A (ko) 중력의 작용과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90043692A (ko) 만유인력의 작용을 역으로 이용하면서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90044801A (ko)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중력의 작용과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가중되는 중력 가속도의 힘으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90045547A (ko)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가중되는 중력 가속도의 힘으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11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919

Effective date: 202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