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282A -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 Google Patents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282A
KR20180100282A KR1020180097273A KR20180097273A KR20180100282A KR 20180100282 A KR20180100282 A KR 20180100282A KR 1020180097273 A KR1020180097273 A KR 1020180097273A KR 20180097273 A KR20180097273 A KR 20180097273A KR 20180100282 A KR20180100282 A KR 20180100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wer generation
pipe
generating
acceleration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102018009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0282A/ko
Publication of KR2018010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282A/ko
Priority to KR1020190002055A priority patent/KR20190010885A/ko
Priority to PCT/KR2019/000332 priority patent/WO201913934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05Installations wherein the liquid circulates in a closed loop ; Alleged perpetua mobilia of this or similar ki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6Pressure galleries or pressure conduits;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pressure conduit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use therewith, e.g. housings, valves,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03G3/08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using fly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도가 높은 산간 계곡이나 강, 하천 등지에 저수장치를 설치한 후 용수의 직각 낙차에 따른 고도차이를 이용하여 순환 시킴으로서 고효율의 전기를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친환경 발전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A TECHNIQUE TO PRODUCE ELECTRICITY CONTINUOUSLY USING A WATER DROP POWER PLANT DESIGNED TO NAL ACCELERATION ACTIONS}
본 발명은 용수를 이용한 친환경 발전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 발전 단가가 저렴한 화력이나 원자력 전기를 이용하여 발전용수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전력 수요가 많은 낮에 수력발전으로 전기를 생산시키고자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는 용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방법은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한 화력발전, 우라늄을 이용한 원자력발전과 물의 힘을 이용한 수력발전 등이 있다.
그중, 수력발전은 일반적으로 댐을 건설하여 물을 가두었다가 지속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개방하여 낙하시킴으로써 물의 무게와 중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전 방법의 종래 일 예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470787호(2014.01.02 등록)에서는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력발전장치"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물의 흐름이 있는 하천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유속에 따라 발전량의 편차가 발생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력 생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낮은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470787호(2014.01.02. 등록) 국내특허등록 제789692호(2007.12.21. 등록) 국내특허등록 제1430909호(2014.08.11.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용수의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전기의 연속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친환경 발전공법을 제공하여 고효율의 전기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발전 공법은, 경사지게 구성되는 계곡에 기초 콘크리트을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부에 1차 저수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와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에 2차 기초콘크리트를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2차 저수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의 저수부에 구성되는 유입파이프와 유입량 조절밸브 그리고 1차 저수장치를 관통하는 하단배출파이프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하단배출파이프의 끝단부에는 이송파이프를 결합시키고, 상기 이송파이프의 일측에 이물질청소구를 구성시키며, 상기 이송파이프의 하단부에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를 구성하고, 상기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에 관로 조절밸브 및 1차 저수장치로 발전용수를 재 펌핑하여 주는 송수 펌프를 구성하며, 상기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의 상단부에서 상기 이송파이프와 결합되어 구성되도록 발전용수 이송파이프를 구성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의 상단부에는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가 구비된 공기배출파이프를 구성하며,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의 끝단부에는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가 구성되고, 상기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의 끝단부에는 발전용수들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발전용수의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의 통수면적 보다도 작은 내경을 이루는 2차 배출파이프가 구성되며, 상기 2차 배출파이프의 배출측에는 2차 발전수차가 구성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의 중단부에는 상기 1차 저수장치의 하단부 최저 저수수위와 대응되는 높이에 끝단부 이송파이프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의 하단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형태의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발생 용기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일측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하부에는 내부에 자석봉이 구성된 원형파이프가 구성되며, 상기 자석봉의 상부에는 낙하하는 발전용수를 받아주는 충격흡수용기가 구성되고, 상기 충격흡수용기의 일측에는 배출량 조절밸브가 구비된 배출파이프가 연결 구성되며,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는 자석봉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발생용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프레임 하부에는 탄성 발생용스프링이 구성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는 마찰방지용 윤활유가 충진 구비되며, 상기 원형파이프의 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절연코일을 교차적으로 반복하여 감은 후 자석봉의 상하 유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여주도록 정류기 및 전류변환기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상하작동 발전기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 조절밸브를 폐쇄시킴과 함께 1차 배출량 조절밸브를 80~ 99%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유입파이프와 결합되어 있는 유입량 조절밸브를 100% 개방하여 1차 저수장치에 저수되어 있는 1차 발전용수가 하단배출파이프와 이송파이프,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 및 끝단부 이송파이프를 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로 이동되는 단계와;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의 개방량을 서서히 증가시켜 100%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를 개방하여 유입파이프와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와 하단배출파이프와 U자형 이송파이프와 상기 발전용수이송파이프와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의 내부에 공기가 차지 않고 공기 배출파이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를 10초~5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개방작동과 폐쇄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 내부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10초~5분 간격의 시차를 두고 방류되도록 하여 상하작동 발전기를 상하 작동시켜서 1차 저수장치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의 양이 80~95%가 소진 될 때까지 소비하면서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작동 발전기의 동작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송수 펌프를 구동시킴과 함께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를 개방시키고, 유입량 조절밸브와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를 폐쇄시키며, 관로 조절밸브를 개방함으로써 2차 발전용수가 2차 중력 가속도 발생용 용기와 2차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1차 저수장치로 연속 펌핑되면서 2차 배출파이프의 하단부에 구성된 2차 발전수차를 연속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도가 높은 산간 계곡이나 강, 하천 등지에 설치되는 저수장치의 직각 낙차에 따른 고도차이에 의해 발생 되는 높은 압력과 중력의 작용, 높은 압력으로 가중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을 이용하여 강제로 생성되는 고압력의 수압을 이용하여 고효율의 전기를 영구적으로 생산함으로 인해 부족한 에너지를 당부분 자급자족 하여 주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그냥 버려지다 시피하고 있는 산간 계곡이나 강이나, 하천 등지의 자연환경을 그대로 이용하여 대량의 물을 저수하여 양수 발전을 하게 됨으로 인해 전기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국가 경제에 기여함은 물론 공업용수와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확보를 통하여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그냥 버려지고 있는 여름철 집중 호우에 의해 생산되는 빗물들을 대량으로 저수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함으로 인해 국가 경제를 발전시켜줌과 동시에 깊게 준설되는 하천으로 인해 일시에 발생되는 대량의 빗물들을 모두 저수하여 놓을 수가 있음으로 인해 재해를 예방하여 주면서 동시에 대량의 하천수로 인하여 하천생태계가 되 살아나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작용효과가 있다.
특히, 전기 사용량이 많은 시간대에는 높이 차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전력수요가 적은 야간이나 심야 시간대에는 하류의 용수를 상부로 펌핑시켜서 발전이 이루어지는 순환 사이클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8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9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10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12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13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14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15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16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17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8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19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20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21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의 구조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22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제23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41 및 도 42는 본 발명의 제24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25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44 및 도 45는 본 발명의 제26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46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 구조도.
도 47 및 도 48은 본 발명의 제27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49 및 도 50은 본 발명의 제28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51 및 도 52는 본 발명의 제29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53 및 도 54는 본 발명의 제30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55는 본 발명의 제31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56 내지 도 59는 본 발명의 제32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60 및 도 61는 본 발명의 제33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62는 본 발명의 제34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63 및 도 64는 본 발명의 제35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65는 본 발명의 제36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66은 본 발명의 제37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67 및 도 68은본 발명의 제38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69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 구조도.
도 70 내지 도 73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 구조도.
도 74 및 도 75는 본 발명의 제39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76 내지 도 78은 본 발명의 제40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79는 본 발명의 제41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80 및 도 81은 본 발명의 제42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82는 본 발명의 제43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83은 본 발명의 제44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84는 본 발명의 제45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85 및 도 8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상하작동 발전기 상세 구조도.
도 87 및 도 88은 본 발명의 제46 변형 예에 따른 상하작동 발전기 상세 구조도.
도 89 및 도 90은 본 발명의 제47 변형 예에 따른 상하작동 발전기 상세 구조도.
도 91은 본 발명의 제48 변형 예에 따른 상하작동 발전기 상세 구조도.
도 92는 본 발명의 제49 변형 예에 따른 상하작동 발전기 상세 구조도.
도 93 및 도 94는 본 발명의 제50 변형 예에 따른 상하작동 발전기 상세 구조도.
도 95 및 도 96은 본 발명의 제51 변형 예에 따른 상하작동 발전기 상세 구조도.
도 97 및 도 98은 본 발명의 제52 변형 예에 따른 상하작동 발전기 상세 구조도.
도 99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 구조도.
도 100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 구조도.
도 101은 본 발명의 제53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102는 본 발명의 제54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도 103은 본 발명의 제55 변형 예에 따른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 단면 상세도.
도 104는 본 발명의 제56 변형 예에 따른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 단면 상세도.
도 105는 본 발명의 제57 변형 예에 따른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 단면 상세도.
도 106은 본 발명의 제58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실시 예>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친환경 발전을 위한 발전 장치의 구성을 도 1 및 도 85 그리고 도 8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발전 장치는, 경사지게 구성되는 계곡 상류에 기초 콘크리트(1150)을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1150)의 상부에 1차 발전용수(1100)가 저수되는 1차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와 5~500m의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에 2차 기초콘크리트(2230)를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2230) 상부에 2차 발전용수(2100)가 저수될 수 있도록 2차 저수장치(2000)를 설치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 하부에는 하단배출파이프(1120)가 관통 구비되고,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내측에는 유입량 조절밸브(1170)가 구비된 역U자 형상의 유입파이프(111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외측에는 U자형 이송파이프(113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의 일측에는 이물질청소구(3300)가 구성되며,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의 하단부에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3310)를 구성하고, 상기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3310)에는 관로 조절밸브(2300) 및 1차 저수장치(1000)로 2차 발전용수(2100)를 재 펌핑하여 주는 송수 펌프(2200)를 구성하며, 상기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3310)의 상단부에서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와 결합되어 구성되도록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를 구성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의 상단부에는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1500)가 구비된 공기배출파이프(1510)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의 끝단부에는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구성되고, 상기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하부에는 발전용수들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발전용수의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의 통수면적 보다도 작은 내경을 이루는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 배출측에는 2차 발전수차(5130)가 구성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의 중단부에는 1차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최저 저수수위와 대응되는 높이에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의 하단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형상의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발생 용기(5000)의 하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내부에 자석봉(5082)이 구성된 원형파이프(5089)가 구성되며, 상기 자석봉(5082)의 상부에는 낙하하는 발전용수를 받아주는 충격흡수용기(5080)가 구성되고, 상기 충격흡수용기(5080)의 일측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092)가 구비된 배출파이프(5091)가 연결 구성되며, 원형 파이프(5089)의 내부에는 자석봉(508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발생용 스프링(5083)이 구비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5089)는 지지프레임(509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프레임(5090) 하부에는 탄성 발생용스프링(5086)이 구성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5089)의 내부에는 마찰방지용 윤활유(5085)가 충진 구비되며, 상기 원형파이프(5089)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절연코일(5081)을 교차적으로 반복하여 감은 후 자석봉(5082)의 상하 유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여 주도록 정류기(5087) 및 전류변환기(5110)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상하작동 발전기(6000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발전수차는 낙수 수압에 의한 회전력 발생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는 통상의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관로 조절밸브(2300)를 폐쇄시킴과 함께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를 80~ 99% 폐쇄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파이프(1110)와 결합되어 있는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100% 개방하여 1차 저수장치(1000)에 저수되어 있는 1차 발전용수(1100)가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U자형 이송파이프(1130),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 및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를 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의 개방량을 서서히 증가시켜 100%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1500)를 개방하여 유입파이프(1110)와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와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U자형 이송파이프(1130)와 상기 발전용수이송파이프(1160)와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의 내부에 공기가 차지 않고 공기 배출파이프(15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를 1초~5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개방작동과 폐쇄작동을 반복 함으로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 내부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1100)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1초~5분 간격의 시차를 두고 방류되도록 하여 상하작동 발전기(60000)를 상하 작동시켜서 1차 저수장치(1000)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1100)의 양이 80~95%가 소진 될 때까지 소비하면서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충격흡수용기(5080)이 방류용수의 수압 및 탄성 발생용 스프링(5083) 작용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면서 자석봉(5082)이 함께 상하 유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정류기(5087) 및 전류변환기(5110)에서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1차 발전용수(1100)는 배출파이프(5091)를 통해 2차 저수장치(2000)에 저수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1차 발전용수(1100)의 양이 80~95% 소진 될 때 까지 소비하여 대량의 전기를 필요로 하는 시간에 생산한 후, 전력 수요가 작은 시간에는 값싼 전기를 이용하여 2차 저수장치(2000)의 용수를 1차 저수장치(1000)로 재 펌핑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상하작동 발전기(60000)의 동작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송수 펌프(2200)를 구동시킴과 함께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1500)를 개방시키고, 유입량 조절밸브(1170)와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를 폐쇄시키며, 관로 조절밸브(2300)를 개방함으로써 2차 발전용수(2100)가 2차 중력 가속도 발생용 용기(5260)와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하여 1차 저수장치(1000)로 연속 펌핑되면서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단부에 구성된 2차 발전수차(5130)를 연속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1차 저수장치(1000)와 2차 저수장치(2000)의 용수를 순환 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실시 함으로써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 예>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의 친환경 발전 장치는, 경사지게 구성되는 하천 바닥에 1차 기초콘크리트(5150)를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5150)의 상단에 대량의 1차 발전용수(5100)를 저수하도록 1차 저수장치(7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와 고도 차이가 3m~100m의 낙차가 발생하는 하천의 하류 지역 바닥에 기초콘크리트(6150)을 설치 한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단에 2차 저수장치(6000)를 구성하며,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하단부에 경사 배출파이프(5300)를 부설하고, 상기 경사 배출파이프(5300)의 상단부에 배출량 조절밸브(5900)를 구성하며, 상기 경사 배출파이프(5300)의 하단부 끝단부에 상승 파이프(5880)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상승파이프(5880)의 상부에는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하단부 최저 저수 수위와 비슷한 위치에 "∩"자 형태로 이송파이프(5320)를 구성하며, 상기 상승파이프(5880)의 하단부 일측에는 이물질청소구(5220)을 구성하고, 상기 상승파이프(5320)의 끝단부 하단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게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가 결합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마찰 저항성이 작게 발생되면서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강화되어 발생되도록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하단부에는 1차 발전용수(5100)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 수차(5230)가 구성되고,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와 2차 저수장치(6000) 사이에는 재 송수파이프(5120)가 구성되며, 재송수 파이프(5120)의 하단부에 취수파이프(6300)가 구성되고, 상기 취수파이프(6300)에 취수펌프(5310)가 결합된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1차 저수장치(7000)의 내부에 1차 발전용수(5100)를 가득 채운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80%~99%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900)를 완전 개방하여 1차 저수장치(7000)에 저수되어 있는 1차 발전용수(5100)가 경사 배출파이프(5300)와 상기 상승파이프(5320)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 및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에 채워지도록 하게 된다.
이후, 상기 80~99% 폐쇄 되었던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00% 개방하여 1차 발전 용수(5100)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방류되도록 함으로써, 1차 발전수차(5230)를 연속 회전시켜서 1차 저수장치(7000)에 채워져 있던 1차 발전용수(5100)의 양이 80~95%가 소진 될 때까지 소비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발전 구동을 통하여 대량의 전기를 필요로 하는 시간에 전기를 생산한 후, 전력 수요가 작은 시간에는 값싼 전기를 이용하여 2차 저수장치(6000)의 용수를 1차 저수장치(7000)로 재 펌핑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취수펌프(5310)을 구동시켜서 2차 저수장치(6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들을 1차 저수장치(7000)로 재 펌핑 시켜서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 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를 통해 낙하되는 용수에 의해 2차 발전수차(5130)가 회전되도록 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1차 저수장치(7000)와 2차 저수장치(6000)의 용수를 순환 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실시 함으로써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제3 실시 예>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는 도 3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구성되는 계곡에 기초 콘크리트(1150)를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1150)의 상단부에 콘크리트 또는 토사를 이용하여 1차 저수장치(1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와 5m~500m의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의 하천바닥에 기초콘크리트(6150)를 설치하며, 상기 기초콘크리트(6150)의 상단부에 2차 저수장치(6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의 내부에 거꾸로 U자 형태로 유입파이프(1110)를 구성하며, 상기 유입파이프(1110)에 유입량 조절밸브(1170)가 구성되고, 상기 유입파이프(1110) 일측에는 하단배출파이프(112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최저수위와 대응되는 높이에는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결합 구성되는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가 구비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의 끝단부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를 이루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상단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로 구성되어 물질마찰작용과 저항작용이 작게 발생되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일측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수차(5230)가 설치되고, 상기 2차 저수장치(6000)의 내부와 상기 1차 저수장치(1000)를 연결하는 형태로 재 송수파이프(5120)가 구성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하단부에는 2차 저수장치(6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를 1차 저수장치(1000)로 재 펌핑하여 주는 송수 펌프(2200)가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상단부에는 공기배출파이프(1510)가 구성되며,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510)에는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1500)가 구비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상단 끝단부에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구성되며, 상기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끝단부에는 상단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를 이루는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5130)를 구성시킨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80%~99% 폐쇄시킴과 함께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완전 개방하여, 상기 유입파이프(1110)와 결합 되어 있는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 그리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및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내부공간에 1차 발전용수(1100)가 채워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00% 개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를 통해 방출되는 수압에 의해 1차 발전 수차(5230)가 회전되어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1차 저수장치(100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1100)의 총량 중에서 80%~95%의 수량이 소비 될때 까지 1차 발전이 실시되어지게 된다.
이후, 전력 수요가 적은 야간에 2차 저수장치(6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를 송수 펌프(2200)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저수장치(1000)로 펌핑시키게 되면, 펌핑된 2차 발전용수(6100)가 재 송수파이프(5120)의 상단 끝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2차 중력가속도 발생 용기(5260)를 경유하여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해 낙하됨으로서 2차 발전수차(5130)를 구동시켜 2차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발전용수(1100,6100)의 반복 순환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 예>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는 도 4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구성되는 하천이나 계곡에 기초 콘크리트(1150)을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1150)의 상단부에 1차 저수장치(1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와 5m~500m의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에 2차 저수용 블럭(8000)을 설치하여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에서 유입되는 1차 발전용수(1100)를 저수시키도록 2차 저수장치(9000)를 구성시키며,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의 내부에는 거꾸로 U자 형태를 이루는 유입파이프(1110)가 구성되고, 상기 유입파이프(1110)에는 유입량 조절밸브(1170)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파이프(1110) 일측에는 하단배출파이프(112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끝단부에는 1차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최저 저수수위와 대응되는 높이를 이루는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는 상부가 넓고 하단부는 좁게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 수차(3000)가 설치되며, 상기 2차 저수장치(9000)의 내부와 1차 저수장치(1000)의 상단부 사이에는 재 송수파이프(5120)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상부에는 공기배출파이프(1510)가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1500)와 함께 구성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하부에는 2차 저수장치(9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8100)를 상기 1차 저수장치(1000)로 재 펌핑하여 주는 송수 펌프(2200)가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상단 끝단부에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 및 2차 배출파이프(5250)가 구성되며,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513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80%~99% 폐쇄시킨 상태에서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완전 개방하여 1차 발전용수(1100)가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 및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의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이후,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00% 개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1차 발전수차(3000)를 고 낙차에 의해 발생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고압력으로 방류되는 상기 1차 발전용수(1100)를 이용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되, 1차 저수장치(1000)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1100)의 총량 중에서 80%~95%의 수량을 2차 저수장치(9000)의 내부로 방류하여 1차 발전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전력 수요가 적은 야간에 2차 저수장치(9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8100)를 송수 펌프(2200)를 구동시켜서 1차 저수장치(1000)로 이송 시키게 된다.
즉, 이때에는 2차 발전용수(8100)가 1차 저수장치(100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를 경유하여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해 낙하되는 과정에서 2차 발전수차(5130)로 부터 2차 전기가 생산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1,2차 발전용수(1100,8100)의 순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제5 실시 예>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경사지게 구성되는 계곡에 기초 콘크리트(1150)을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1150)의 상부에는 1차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의 하부에는 하단배출파이프(1120)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내측에는 유입량 조절밸브(1170)가 구비된 유입파이프(1110)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외측에는 U자형 이송파이프(113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의 하단부에는 이물질제거용 청소구(1301)가 구성되며,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의 일측에는 ㄱ자 형태로 재 송수파이프(5120)를 연결 구성하고,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단부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게 구성되는 1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26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1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260)의 하부에는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1780)를 구성하며,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와 5m~500m의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 하천이나 바다에는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취수파이프(1303)가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1303)에는 취수펌프(1306)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취수파이프(1303)에는 취수량 조절밸브(1302)가 구비되며,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와 재 송수파이프(5120)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위치에는 1차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최저 저수수위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어 끝단부 이송 파이프(119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끝단부 이송 파이프(1190)에는 끝단부 배출량 조절밸브(1191)가 구비되며, 상기 끝단부 이송 파이프(1190) 일측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게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형태를 이루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수차(3000)가 설치된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실시 예의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끝단부 배출량 조절밸브(1191)와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폐쇄시킴과 함께 취수펌프(1306)를 구동시킴으로서 하천 또는 바다속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취수파이프(1303)를 통해 민물 또는 바닷물을 재 송수파이프(5120)를 통해 이송시켜서 1차 저수장치(1000)로 펌핑함으로써 1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260)를 경유하여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해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2차 발전수차(1180)를 구동시켜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후,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와 상기 끝단부 배출량 조절밸브(1191)를 개방시키고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와 상기 취수량 조절밸브(1302)를 80%~99%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에 채워져 있는 민물 또는 바닷물을 이용하여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결합되는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와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와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가득 채워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를 완전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용수가 낙하되어짐으로서 1차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제6 실시 예>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높은 위치에 있는 밭이나 논 또는 산간 계곡의 물이 일정 수위로 저수되는 다수의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가 높이를 달리하여 계단 형태로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루도록 시공이 이루어지고, 상기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의 일측에는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의 내부에 채워지는 발전용수들이 결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봉 또는 전열선 등과 같은 발열장치(2500)가 구성되며, 상기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의 최 하단 저수수위에는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가 수평방향으로 일정 경사각을 이루어 연결되고,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에는 배출량 조절밸브(1191)가 구비되며,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의 일측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를 이루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를 이루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가 연결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수차(3000)가 설치되고, 상기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 보다 낮은 수위를 이루는 바다, 하천, 댐 또는 저수지에는 용수를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로 송수하기 위한 재 송수파이프(512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에는 송수 펌프(2200)가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상을 이루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를 이루는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513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실시 예의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1191)를 개방하여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에 저수된 용수를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해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로 낙수되도록 함으로써 1차 발전수차(3000)에서 전기가 생산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의 용수 저수량이 일정 수위 이하로 낮아지게 되거나 또는 야간에, 상기 송수펌프(2200)를 가동하여 하류측 용수를 재 송수파이프(5120)를 통해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로 이송시킴으로서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해 낙수되는 수압에 의해 2차 발전수차(5130)에서 전기가 생산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제7 실시 예>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산간 계곡에 1차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와 5m~500m의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에 2차 저수장치(2000)를 설치하며,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에 저장된 1차 발전용수(1100)를 하류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하단배출파이프(1120)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일측에는 유입량 조절밸브(7520)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상기 2차 저수장치(2000) 사이에는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일측에는 1차 저수장치(1000)에 저수되는 1차 발전용수(1100)가 방류 될 때에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1차 발전용수(1100)의 최저수위와 동일한 높이까지 수평상태를 이루는 1차 중력 평균 수위(10000)에 따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도록 직각상승 파이프(5880)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직각상승 파이프(5880)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을 촉진시켜서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되어 낙하되는 발전용수의 마찰작용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수차(3000)가 설치되며, 상기 1차 발전수차(3000)의 하부에는 금속 조각이나 모래 또는 자갈 또는 흙과 같은 중량 물질을 이송시켜주는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가 구성되고, 상기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에서 이송시켜주는 중량 물질을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로 이송시켜서 다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로 발전용수와 함께 낙하되도록 하기 위해 상승 컨베어벨트(2800)가 일정 경사각을 이루어 구성되며, 상기 2차 저수장치(2000)에 저수되는 2차 발전용수(6100)의 최저수위까지 펌핑하여 1차 저수장치(1000)에 저수되는 상기 1차 발전용수(1100)의 최고 저수수위 높이 이상의 위치까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재 송수파이프(5120)가 수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일측에는 송수펌프(2200)가 구성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일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게 구성되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1차 저수장치(1000)의 상단부까지 안내되는 2차 발전용수 이송파이프(5318)가 구성되며, 상기 2차 발전용수 이송파이프(5318)의 일단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를 이루는 2차 배출파이프(5250)가 하향으로 연장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5130)가 구성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실시 예의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80%~99% 폐쇄시킴과 함께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7520)를 완전 개방하여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와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1차 발전용수(1100)가 채워지도록 하게 된다.
이후,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00% 개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1차 발전수차(3000)를 고 낙차에 의해 발생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고압력으로 방류되는 상기 1차 발전용수(1100)를 이용하여 1차 발전이 이루어지되,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1100)의 총량 중에서 80%~95%의 수량이 2차 저수장치(2000)의 내부로 저수되도록 함과 함께,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와 상승 컨베어벨트(2800)에서 이송시켜서 공급하여 주는 금속 조각이나 모래 또는 자갈 또는 흙과 같은 중량 물질 50wt%~95wt%와 1차 발전용수(1100) 5wt%~50wt%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에서 혼합되어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1차 발전수차(3000)에서 연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2차 저수장치(2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를 송수 펌프(2200)와 재 송수파이프(5120)를 이용하여 1차 저수장치(1000)로 이송 시킴과 동시에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2차 발전수차(5130)를 이용하여 상기 2차 저수장치(2000)에 저장되어 있는 2차 발전용수(6100)의 총저수량이 80%~95% 정도까지 소비 될 때까지 재펌핑 하여 2차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8 실시 예>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고층건물의 상부에 1차 발전용수(1700)를 저장하도록 1차 저수장치(1800)가 구성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800)에서 건축물의 지하에 구성되는 저수조 또는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와 연결되도록 직각 낙하 연결 파이프(1701)가 구성되며, 상기 직각 낙하 연결 파이프(1701)의 일측에 연결 구성되되 1차 저수장치(1800)의 하단부 최저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구성되도록 직각 상승 파이프(1703)가 구성되고, 상기 직각 상승 파이프(1703)의 일측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를 이루는 중력 가속도 작용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상단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가 연결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수차(3000)가 설치되고,건축물의 지하에 구성되는 저수조 또는 상기 고층건물에 인접한 하천이나 강 또는 댐이나 바다 속에 저수되어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를 1차 저수장치(1800)로 펑핑 시키기 위한 송수펌프(2200)가 구비된 재 송수파이프(5120)를 일정 높이를 이루어 수직으로 구성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일측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상을 이루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1차 저수장치(1800) 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중단에는 추가적인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90)가 상기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 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하부에는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80%~99% 폐쇄시킴과 함께 유입량 조절밸브(1706)를 완전 개방하여 직각 낙하 연결 파이프(1701)와 직각 상승 파이프(1703)와 중력 가속도 작용발생용기(5000)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내부에 1차 발전용수(1700)가 채워지도록 하게 된다.
이후,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00% 개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를 통한 낙수 압력에 의해 1차 발전수차(3000)에서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수 펌프(2200)를 구동하여 2차 발전용수(6100)를 재 송수파이프(5120)를 따라 1차 저수장치(1800)로 펌핑 시킴으로서, 펌핑된 용수가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해 낙수 되어지면서 2차 발전수차(5130)에서 2차적인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자연 친화적으로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제9 실시 예>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민물이나 바닷물 또는 비중이 무거운 화공약품이나 비중이 무거운 수은과 같은 액체성 물질 또는 작은 크기로 만들어진 금속 덩이 또는 모래 또는 자갈이나 잘게 부순 깬돌이나 파쇄시킨 콘크리트 조각 또는 비중이 무거운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수납 하는 수납용기(3388)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용기(3388)의 상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하며, 상기 발전수차(3000)의 상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을 이루는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가 설치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 하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상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이송시켜주는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가 구성되며, 상기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 일측에는 이송되어진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상승파이프(3390)를 통해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의 내부로 펌핑하기 위한 이송펌프(338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통로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후, 수납용기(3388)에 채워져 있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시킨 후, 이송펌프(3380) 구동에 의해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로 공급하여 내부에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이 채워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순간적으로 개방하게 되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의 가중된 중력의 힘으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해 배출되어짐으로서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자연 친화적으로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제10 실시 예>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수문 또는 권양기 수문을 사용하여 산간 계곡이나 하천에 흐르는 물을 막아서 저수장치(6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저수장치(6000)로 흘러들어 오는 물을 낮은 곳으로 방류하여 발전 할수 있도록 저수장치(6000)의 하단부를 기점으로 수평 이송수로(8900)를 50m~5000m의 길이로 가로 방향으로 구성시키며, 수평 이송수로(8900)의 일측에는 발전용수의 배출량을 0.1초에서 20초 간격으로 배출하도록 조절하여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발전용수들이 서로 당겨지면서 뭉쳐지는 물질분자 뭉침 작용과 물질분자 결합 작용을 조절하여 주는 1차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8901)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의 끝단 부에 중력 가속도 작용은 발생되지만 만유인력의 작용이 발생되지 못하도록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나팔 형태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구성하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의 일측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덩어리 형태로 분리시켜서 발전수차를 향하여 낙하 시킬 때에 분리된 물질의 사이 사이에 자연적으로 공기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분리된 상태로 낙하하는 낙하 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서로 당겨 주거나 뭉쳐지도록 작용하는 물질분자 뭉침작용과 물질분자 결합 작용을 차단하여 주도록 작용하는 공기유입구(3701)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에는 발전 용수 또는 발전용수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의 하단부에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기압의 영향과 기류변화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의 영향을 차단하여 주는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를 3m~1000m의 수직 길이로 길게 설치하며, 상기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의 하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설치한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1차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8901) 또는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0.1초에서 1분 간격으로 개폐 작동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실시하게 되면,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를 통과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각각 따로 따로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뭉쳐진 상태로 낙하 하면서 낙하하는 물체의 힘을 더욱더 가중시켜주는 중력 가속도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증강하는 강한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제11 실시 예>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민물이나 바닷물 또는 비중이 무거운 화공약품이나 비중이 무거운 수은과 같은 액체성 물질 또는 작은 크기로 만들어진 금속 덩이 또는 모래 또는 자갈이나 잘게 부순 깬돌이나 파쇄시킨 콘크리트 조각 또는 비중이 무거운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수납 하는 수납 용기(3388)를 구성하고, 상기 수납 용기(3388)의 상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하며, 상기 발전수차(3000)의 상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를 이루는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의 배출량과 배출속도를 제어해주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일측으로 이송시켜주는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가 구성되며, 상기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에서 이송시킨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상승파이프(3390)을 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8)의 내부로 펌핑하여 주는 이송펌프(3380)가 구성되고, 상기 상승파이프(3390)의 끝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은 발생 되지만 만유인력의 작용이 발생되지 못하도록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배출파이프(3108)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조절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통로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수납 용기(3388)에 채워져 있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와 이송펌프(3380)의 구동을 통해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개방하여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의 가중된 중력의 힘으로 상기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함과 동시에 상기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펌프(3380)로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상부로 이송시켜서 펌핑하는 연속적인 반복 동작을 통하여 전기의 연속 생산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제12 실시 예>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민물이나 바닷물 또는 비중이 무거운 화공약품이나 비중이 무거운 수은과 같은 액체성 물질 또는 작은 크기로 만들어진 금속 덩이 또는 모래 또는 자갈이나 잘게 부순 깬돌이나 파쇄시킨 콘크리트 조각 또는 비중이 무거운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이 수납되는 수납용기(3388)를 구성하고,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일측으로 이송시켜주는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가 구성되며, 상기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에서 이송시킨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상승파이프(3390)를 통해 상부로 펌핑하여 주는 이송펌프(3380)가 구성되고, 상기 상승파이프(3390)의 상단부에는 만유인력의 작용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시켜주면서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시켜 주도록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 하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설치된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폐쇄시킴과 함께 이송펌프(3380)을 가동하여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 적층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펌핑하여 상승파이프(3390)와 발전수차 회전물질배출구(3188)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이송펌프(3380)를 연속 구동시켜서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연속적으로 펌핑시킴으로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에 의해 발전수차(3000)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제13 실시 예>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수문을 이용하여 조성시킨 저수장치 또는 기존에 댐이나 저수지에 조성된 1차 저수장치(1000)의 바닥 지표선(2580)보다도 더 깊은 깊이로 바닥을 깊게 준설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 내의 중간 부분에 중간 제당(8350)을 구성시켜서 일측 저수공간(1199)과 타측 저수공간(1188)을 구획시키며, 상기 중간 제당(8350)의 일측과 타측에 취수파이프(1958,1959)를 상부에서 연결되는 ∩자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취수파이프(1958,1959)의 상부 연결부위에는 일방향으로 펌핑을 실시하는 양수펌프(1955)가 구성되며, 상기 취수파이프(1958,1959) 각각에는 개폐 밸브(1962,1963)가 구비되고, 상기 취수파이프(1958,1959)의 일측과 타측에 만유인력의 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생 시키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직각 낙하 하도록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6,1957)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6,1957)의 상부에는 각각 배출 조절밸브(1960,1961)를 구성하고, 상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6,1957)의 하부에는 전기를 생산하여주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배출 조절밸브(1960)와 상기 개폐 밸브(1963)를 폐쇄시킴과 함께 취수파이프(1958)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7)와 상기 양수펌프(1955)를 이용하여 일측 저수공간(1199)에 저수되어 있는 발전 용수 총량 중에서 80%~95% 정도를 타측 저수공간(1188)으로 펌핑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7)의 하단부에 구성된 발전수차(3000)를 연속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후, 폐쇄되어 있는 상기 배출 조절밸브(1960)와 상기 개폐 밸브(1963)를 개방시킨후 배출 조절밸브(1961)와 개폐 밸브(1962)를 폐쇄시켜 놓은 상태에서 전기 생산이 필요한 시간에 타측 저수공간(1188)에 저수되어 있는 발전용수를 상기 취수파이프(1959)와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6)와 상기 양수펌프(1955)를 이용하여 타측 저수공간(1188)에 저수되어 있는 발전 용수 총량 중에서 80%~95% 정도를 일측 저수공간(1199)으로 펌핑하여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6)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3000)를 연속 회전시키는 과정이 반복 수행됨으로서, 전기의 연속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4 실시 예>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강이나 하천에 수문을 설치하여 1차 저수장치(7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하단부에는 ㄷ자형 하천수 유입구(1118)가 연결되며, 상기 하천수 유입구(1118)에는 유입량 조절밸브(1170)가 구비되고, 상기 하천수 유입구(1118)와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로 유입되는 이물질들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망(888)이 구성되며, 상기 하천수 유입구(1118)의 일단부에는 하천 지형에 따라 하천수가 낙하하도록 하강파이프(58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하강파이프(580)의 일단부에는 낙하하는 하천수를 상승 이동시켜주는 상승파이프(5858)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상승파이프(5858)의 일단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나팔 형태의 배출구(3108)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와 고도차이가 3m~1000m의 하류부분에는 2차 저수장치(6000)가 구성되며, 상기 2차 저수장치(6000)의 내부 지반고(590) 보다도 1m~50m 더 깊은 위치에서 발전수차 조작실(591) 내부에 발전수차(3000)가 설치되고, 상기 발전수차 조작실(591)의 하류에는 상측은 좁고 하류부분은 넓은 형태의 하천수 배출구(592)가 구비되며, 상기 발전수차 조작실(591) 상부에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나팔 형상의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2차 저수장치(6000)의 하상 바닥층에서 시작되어 ㄱ자 형태로 재 송수파이프(5120)가 설치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일측에는 송수펌프(2200)가 구비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일단부에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구성되며, 상기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형상의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5130)가 구성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폐쇄시켜서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내부에 1차발전용수(1100)를 가득 채우게 된다.
이후,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폐쇄 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개방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1차 발전용수를 가득채우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개방하여 상기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1차 발전용수(1100)의 양이 80%~95% 정도가 소진 될 때까지지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후, 상기 2차 저수장치(6000)에 저수되어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를 상기 송수펌프(2200)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내부로 80%~90%가 펌핑 될 때 까지 펌핑함과 동시에 상기 2차 발전수차(513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 제1 변형 예>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가능하도록 변형시킨 구조를 나타낸다.
즉, 이때에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이중 높이 조절 파이프(5811)를 삽입 구성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 상하조절이 가능하도록 승하강장치(5810)를 구성한 후 상기 상하 승하강장치(5810)의 하단부 타측을 상기 이중 높이 조절 파이프(5811)에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에는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중높이 조절파이프(5812)가 구성되고, 상기 이중높이 조절파이프(5812)의 일측에는 상하 이동파이프(5818)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상하 이동파이프(5818) 상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생 시켜 주도록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로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상하이동파이프(5818)의 일측과 이중높이 조절파이프(5812)의 타측에는 상하 높이조절 승하강 장치(5813)가 구성됨으로, 수시로 변하는 하천수 유입수위에 따라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높이 조절이 실시되어질 수 있게 된다.
< 제2 변형 예>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발전수차의 회전날개를 탈부착이 가능한 착탈 조립식 결합체를 이용하도록 하였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수차(3000)의 회전날개(3882)를 탈부착이 가능한 착탈 조립식 결합체(3383)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발전수차(3000)를 이용함으로써, 발전수차(3000)의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 제3 변형 예>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발전수차(3000)의 회전날개(3882)를 탈부착이 가능한 착탈 조립식 결합체(3383)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발전수차(3000)를 이용함으로써, 발전수차(3000)의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 제4 변형 예>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하천이나 강에 다단계로 구성되는 1단계 저수장치 ~ 50 단계 저수장치를 연속적으로 구성한 후 고도 차이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1단계 저수장치의 하단부에서 시작하는 발전용수 이송 배출파이프(7500)를 각각 구성시킨후, 하천의 하류에 구성되는 3단계 저수장치 또는 7단계 저수장치의 상단부로 이송한 후 상기 발전용수 이송 배출파이프(7500)의 하단부 끝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와 상기 발전수차(3000)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 한 후 3단계 또는 7단계 저수장치에 모아지는 발전용수를 이송시키기 위해서 3단계 또는 7단계 저수장치의 하단부에서 시작되는 발전용수 이송 배출파이프(7500)를 5단계 저수장치 또는 9단계 저수장치의 상단부 까지 연장 설치한 상기 이송 배출파이프(75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를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로 부터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 제5 변형 예>
한편,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3 실시 예(도 13)에서 1차 저수장치(1000) 일측에는 다수개의 물저장탱크(11177)를 추가적으로 구성한 후 상기 물저장탱크(11177)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토록 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 제6 변형 예>
한편,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998)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998)의 사이에 물이나 바닷물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낙하 하면서 만유인력의 작용을 방지하여 주도록 다수개의 통공구(991)가 구성되는 만유인력작용 방지판(999)이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도록 수납 구성되며, 상기 만유인력 작용방지판(999)의 일측에 상기 만유인력작용 방지판(999)를 전진운동과 후진작동을 시켜주는 연결막대(997)가 수납 구성되고, 상기 연결막대(997)의 타측은 상기 만유인력의 작용 방지판(999)를 전진운동과 후진작동을 시켜주는 크랭크축(996)이 수납 구성되며, 상기 크랭크축(996)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크랭크축(996)을 지지시켜주는 지지축(995)이 각각 수납 구성되고, 상기 크랭크축(996)의 일측에는 회전모타(993)가 수납 구성된다.
이에 따라,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에 투입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당김 현상과 접착력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통하여 낙하 할 때에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뭉쳐서 낙하하면서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 시키도록 상기 만유인력의 작용 방지판(999)을 상기 회전모타(993)가 1초에서 20초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진과 후진작용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통하여 낙하 할 때에 덩어리 형태로 각각 따로따로 분리되어 뭉쳐진 상태로 낙하 되어
< 제7 변형 예>
한편,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직각상승 파이프(5880)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끼움식 연결 파이프(5332)가 구성되고, 상기 끼움식 연결 파이프(5332)의 내부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파이프(5320)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끼움식 연결 파이프(5332)와 상기 상하이동파이프(5320)의 외부에 상기 끼움식 연결 파이프(5332)와 상기 상하이동파이프(53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주도록 상하 승강작동장치(5333)가 구성되고, 상기 가로 이송 파이프(5320)의 끝단부에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배출파이프(5335)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파이프(5335)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아지는 나팔형태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상단부가 오픈 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상측 원형 공간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낙하 할 때에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물질분자들 끼리 서로서로 잡아당기면서 결합 하는 물질분자 결합 작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작용시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낙하 속도를 강화시켜주는 공기를 유입시켜주는 다수개의 공기 출입구(5039)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시키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전기를 생산 할 때에 수시로 변하는 하천수 유입량에 따라서 배출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상하 승강작동장치(5333)를 이용하여 하천수 유입량에 따라서 상기 가로이송파이프(5380)와 상기 배출파이프(5335)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유입수위와 배출수위에 관계없이 항상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 제8 변형 예>
한편, 도 23은 본 발명의 제8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상기 상승 컨베어벨트(2800)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이송시킨 후 상기 상승 컨베어벨트(2800)와 결합하여 경사진 오픈 배출방식으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 이송통로(7200)를 구성한 후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 이송통로(7200)의 끝단 하단부에 발전기(3232)와 결합되어 있는 로타리 컨베어식 발전수차(3131)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낙하시켜서 상기 로타리 컨베어식 발전수차(3131)를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 제9 변형 예>
한편, 도 24는 본 발명의 제9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낙하 할 때에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뭉쳐서 낙하하면서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 시킴과 동시에 서로 당기거나 접착력을 유지하면서 뭉쳐지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시켜주는 물질분자 분리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측에 내부 배출구(7577)를 구성하고,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구(7575)를 물질분자배출량 조절장치(7576)와 결합 구성한 후, 상기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구(7575)의 개폐 주기를 0.1~5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로 낙하하도록 조절하여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된 힘을 더욱더 가중시키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가중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 제10 변형 예>
도 25는 본 발명의 제10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에 하천이나 강을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인위적으로 투입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뭉쳐지면서 발생되는 당김 현상과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결합하는 접착력을 차단시켜주는 작용을 발생 시켜주도록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에 배출량 조절구(9893)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량 조절구(9893)의 내부에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 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주도록 구비되는 배출량 조절판(9900)을 배출량 조절장치(9890)와 결합하여 구성시킨 후 상기 배출량조절판(9900)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배출량 조절장치(9890)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량 조절판(9900)의 개폐 주기를 0.1~ 1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상기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따로 따로 분리되어 낙하 하도록 조절하여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된 힘을 더욱더 가중시키면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가중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 제11 변형 예>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각각의 가이드(7578)가 수납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7578)의 내부에 물이나 바닷물로 이루어지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서로 당겨주면서 뭉쳐지는 물질분자 물침 작용이 발생되지 못하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발전수차로 낙하 할 때에 0.1초에서 1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낙하 하도록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배출구(7577)를 개방하는 작동과 폐쇄시키는 작동을 하도록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를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73)와 결합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52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전기를 생산할 때에 하천이나 강을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인위적으로 투입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물질분자 끼리 자연적으로 뭉쳐짐과 동시에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당김 현상과 접착력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통하여 낙하 할 때에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뭉쳐서 낙하하면서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 시키도록 상기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를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73)를 이용하여 0.1초에서 10초의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진과 후진작용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낙하 할 때에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각각 따로따로 분리되어 뭉쳐진 상태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더욱더 강해진 힘으로 낙하하면서 증강되는 강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 제12 변형 예>
도 27은 본 발명의 제12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 일측에 회전축(7581)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7581)에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발생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서로 뭉쳐지는 작용과 서로 당겨 지면서 낙하 속도를 낮추어 주는 물질분자 뭉침작용을 차단하여 주거나 조절하여 주는 개폐식 배출량 조절판(7582)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7581)의 상측에 회전축 조절장치(7587)을 구성하여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낙하 할 때에 자연스럽게 뭉쳐지는 작용과 당겨 지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시켜주도록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통로를 0.1~ 15초 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고 서로 당겨주는 현상을 차단 당하면서 자연스럽게 덩어리 형태로 뭉쳐진 상태로 순차적으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통로를 낙하하면서 자연스럽게 가중된 힘을 더욱더 가중되게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증강되어 발생하는 중력 가속도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 제13 변형 예>
도 28은 본 발명의 제13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의 가이드(7553)가 수납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7553) 내부 일측과 타측에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구(7551)를 각각 수납 구성하며, 상기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구(7551)의 일측에 각각의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52)를 결합 하고, 상기 가이드(7553)의 하단부에 중간이 중간판(3123)에 의해 분리되도록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게 되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나 바닷물로 이루어지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서로 당겨주면서 뭉쳐지는 물질분자 물침 작용과 물질분자 결합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면서 결합하거나 서로 당겨주는 점성력들이 발생되지 못하고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낙하 하도록 상기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구(7551)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각각의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52)를 0.1초에서 30초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배출구(7577)를 통하여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하단부로 순차적으로 낙하 할 때에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는 만유인력의 작용이 차단 되어짐에 따라 서로 각각 따로 따로 분리된 형태로 낙하 하면서 더욱더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 제14 변형 예>
도 29는 본 발명의 제14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 중간에 회전축(6551)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6551)에 회전식 개폐 밸브(6551)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축(6551)의 일측에 회전축 조절장치(6552)를 구성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와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나 바닷물로 이루어지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서로 당겨주면서 뭉쳐지는 물질분자 물침 작용과 물질분자 결합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면서 결합하거나 서로 당겨주는 점성력들이 발생되지 못하고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낙하하도록 상기 회전축(6551)의 일측에 구성되어 있는 회전축 조절장치(6552)를 이용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배출구(7577)를 개방하는 작동과 폐쇄시키는 작동을 0.1초에서 30초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작용시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하단부로 낙하 할 때에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 당함에 따라 서로 각각 따로 따로 분리된 형태로 낙하 하면서 더욱더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 제15 변형 예>
도 30은 본 발명의 제15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상단부에는 상단지지대(6558)를 구성시키고,하단부 중간에 회전축 지지대(6557)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 지지대(6557)에 회전축(6556)을 구성하며, 상기 회전축(6556)의 상측에 회전축(6556)을 회전시켜서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배출구(7577)를 개폐시켜주는 개폐작동장치(6554)를 구성시키고, 상기 회전축(6556)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 일측과 타측 사이에 다수개의 통공구(6560)가 구성되어 있는 고정원판(6555)을 고정시켜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6556) 중간에 상기 고정원판(6555)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통공구(6560)와 같은 위치와 같은 크기로 통공구(6559)가 구성되는 회전원판(6553)을 구성시키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작동장치(6554)를 이용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배출구(7577)를 개방하는 작동과 폐쇄시키는 작동을 0.1초에서 30초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작용시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하단부로 낙하 할 때에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 당함에 따라 서로 각각 따로 따로 분리된 형태로 낙하 하면서 더욱더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 제16 변형 예>
도 31은 본 발명의 제16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 중앙에 회전축(5521)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5521)에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발생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서로 뭉쳐지는 물질뭉침작용과 서로 당겨 지면서 낙하 속도를 낮추어 주는 물질분자 결합작용을 차단하여 주거나 조절하여 주는 회전식 배출량 조절판(5523)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5521)의 상측에 회전축 조절장치(5520)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낙하 할 때에 자연스럽게 뭉쳐지는 물질뭉침작용과 물질결합작용에 따라 물질분자 끼리 서로 당겨 지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시켜 주도록 상기 회전축 조절장치(5520)와 결합되어 있는 회전식 배출량 조절판(5523)을 0.1~ 1분 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상기 수평 이송수로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고 서로 당겨주는 현상을 차단 당하면서 자연스럽게 덩어리 형태로 뭉쳐진 상태로 순차적으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통로를 낙하 하면서 자연스럽게 가중된 힘을 더욱더 가중되게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증강되어 발생하는 중력 가속도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 제17 변형 예>
도 32는 본 발명의 제17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직각 낙하 할 때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증강된 중력의 힘을 가중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의 내부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시키며, 상기 바람 차단파이프(6800)의 하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구조를 이용하여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를 통하여 낙하 하면서 상기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발전을 할 때에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서로 당겨지거나 뭉쳐지면서 중력 가속도의 힘을 약화시키는 물질분자 결합 작용과 물질분자 뭉침작용을 차단 하여 주도록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배출되는 배출간격을 0.1초에서 30초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조절하여 덩어리 형태로 분리되어 각각 따로 따로 낙하 시켜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낙하 할 때에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증강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 제18 변형 예>
도 33은 본 발명의 제18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상기 2차 저수장치(6000)에는 대량의 발전용수들을 추가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2층 저수장치(30000)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양수발전용수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 제19 변형 예>
도 34는 본 발명의 제19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1차 저수장치(7000) 및 2차 저수장치(6000)에는 수평 이송수로(8900)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일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 하부에는 하단부에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기압의 영향과 기류변화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의 영향을 차단하여 주는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를 2m~1000m의 수직 길이로 길게 연결 설치하고,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 하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 상태에서,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를 통해 낙하되는 용수 압력에 의해 발전수차(3000)의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사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 제20 변형 예>
도 35는 본 발명의 제20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담겨지는 발전용기(8383)를 구성시킨 후, 상기 발전용기(8383)의 상단에 트러스 프레임 형태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 안치대(83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 안치대(8300)의 중앙에 바람과 같은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를 구성시키며, 상기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의 하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 상기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의 굵기 보다도 작은 크기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의 일측에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를 통하여 상기 발전수차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벽돌과 같이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뭉쳐서 낙하 하도록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의 통로를 0.1초에서 2분 간격을 두고 개폐 작동을 하여주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시키고, 상기 발전용기(8383)와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사이에 재 송수파이프(5120)를 구성시키며, 재 송수파이프(5120)의 하단부에 송수펌프(22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단부에 2차 발전수차(513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폐쇄시키고 송수펌프(2200)를 이용하여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가득 채움과 동시에 상기 2차 발전수차(5130)를 회전시키면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면서 상기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0.1초에서 3분 간격으로 개폐 작동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를 통과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벽돌 형태와 같이 덩어리 형태로 뭉쳐진 상태로 낙하 하면서 낙하하는 물체의 힘을 더욱더 가중시켜주는 중력 가속도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증강하는 강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 제21 변형 예>
도 36은 본 발명의 제21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바람과 같은 외부 영향을 차단하여 주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가이드 역할을 하여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에 가이드 통로 (7577)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와 가이드 통로 (7577)사이에 각각의 1층 가이드(7578)와 2층 가이드(7581)가 각각 수납 구성되고, 상기 1층 가이드(7578)와 2층 가이드(7581)의 내부에 각각의 1층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와 2층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9)가 수납되며, 상기 1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와 상기 2층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9)의 후면에는 각각의 1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73)와 2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80)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구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상기 2층 가이드(7581)와 결합 되어 있는 상기 2층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9)를 이용하여 상기 2층 가이드(7581)의 내부 통로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1층 가이드(7578)와 결합 되어 있는 상기 1층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와 상기 1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73)를 이용하여 상기 1층 가이드(7578)통로를 0.1초에서 10초 동안 개방하여 가이드 통로 (7577)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투입시킨 후 상기 1층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와 상기 1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73)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통로(7577)의 상단부를 폐쇄 시킨후 상기 가이드 통로 (7577)와 결합 구성되어 있는 상기 2층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9)와 결합되어 있는 2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80)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통로(7577)의 하단부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상기 발전수차(3000)로 낙하시키는 과정을 0.1초~20초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에 구성되어 있는 가이드 통로(7577)를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잡아당기는 물질분자 뭉침작용과 물질분자 결합작용의 지배를 받지 않고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가중되어 증강 되는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제15 실시 예>
도 37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민물이나 바닷물 또는 비중이 무거운 화공약품이나 비중이 무거운 수은과 같은 액체성 물질 또는 작은 크기로 만들어진 금속 덩이 또는 모래 또는 자갈이나 잘게 부순 깬돌이나 파쇄시킨 콘크리트 조각 또는 비중이 무거운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수납 하는 수납 용기(3388)가 구성되고,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 적층되는 상기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상측으로 펌핑시켜주는 이송펌프(2200)가 구성되며, 상기 이송펌프(2200)의 상부에 재 송수파이프(5120)가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단부 하단에 2차 발전장치(5130)가 구성되며, 상기 2차 발전장치(5130)의 하부에 상부 충격흡수용기(6801)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 충격흡수용기(6801)의 일측에 상부 배출구(6802)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배출구(6802)의 일측에는 펌핑수단(6806)이 구성되고, 상기 펌핑수단(6806)의 일측에 이송 파이프(5028)가 구성되며, 상기 이송파이프(5028)의 하단부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게 나팔 형태를 이루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의 회전날개의 가로 넓이와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 파이프(1111)가 결합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1111)의 일측에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1111)를 통하여 하부의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덩어리 형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따로따로 뭉쳐서 낙하 하도록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1111)의 통로를 0.1초에서 30초간격을 두고 개폐 작동을 주기적으로 하여주도록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1111)의 타측에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주기적인 개폐작동에 따라 각각 따로 따로 덩어리 형태로 분리되어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낙하 함과 동시에 따로따로 덩어리 형태로 분리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사이사이에 일정량의 공기가 자동으로 유입되면서 낙하하는 물질분자가 서로 결합하거나 달라 붙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하여 각각 따로 따로 낙하 하도록 작용하는 물질분자 분리작용을 발생시켜주는 공기 유입구(3701)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발전 장치를 이용한 수력 발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송펌프(2200)를 구동시켜서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 적층되는 상기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재 송수 파이프(5120)를 통해 상부 수납용기(6801)로 펌핑시키고, 중력의 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상부 배출구(6802)를 통하여 상기 펌핑수단(6806)으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0.1초에서 20초간격을 두고 압축 펌핑하여 상기 이송파이프(5028)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0.1초에서 20초간격을 두고 이송 시킨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이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1111)를 통하여 각각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뭉쳐지면서 순차적으로 낙하 할 때에 상기 공기 유입구(3701)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공기들이 낙하하는 물질분자들 사이사이에 자연적으로 유입되면서 낙하하는 물질끼리 서로 달라 붙지 않도록 작용시켜주는 상기 공기 유입파이프(3701)의 만유인력의 작용 차단 작용을 이용하여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각각 따로 따로 덩어리 형태로 분리되어 낙하할 때에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증강되어 발생되는 강한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 제22 변형 예>
도 38은 본 발명의 제22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직각 낙하 할 때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증강된 중력의 힘을 가중시켜주도록 직사각 형태로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를 1cm~1000cm 정도의 크기로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비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가 상부에 구성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직각 낙하하는 발전용수들이 직각 방향으로 낙하 하도록 유도하여 주어 발전효율을 높혀 주도록 직각 낙하 발전용수 흐름유도판(3331)를 칸막이 형태로 다수개 구성시키고, 상기 직각 낙하 발전용수 흐름유도판(3331) 하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비된 상태에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 및 낙하 발전용수 흐름유도판(3331)을 통하여 낙하 하면서 상기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발전을 할 때에 상기 직각 낙하 발전용수 흐름유도판(3331)의 유도에 의해 발전용수들이 흐트러짐 없이 직각 낙하하도록 유도하여 발전효율을 높혀 주게 된다.
< 제23 변형 예>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제23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 하부에는 다수개의 발전수차(3000)를 구성하되,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배출량 조절밸브 가이드(7578)가 구성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 가이드(7578)에는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에서 배출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주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중력 가속도 작용을 증강시켜서 발전량을 중강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공기 자동 유입구(5051)를 구성시키고,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 연결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 하부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방향을 조절하여 주는 유도판(5059)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이 순차적으로 낙하 할 때에 다수의 덩어리 형태로 뭉쳐진 상태로 낙하하도록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0.1초에서 15초 간격을 두고 개폐작동을 실시 하여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개폐작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덩어리 형태로 분리되어 뭉쳐지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물질분자 뭉침작용과 물질분자 결합작용에 따라 낙하 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상기 공기 유입구(5051)에서 자동으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가 발생시키는 만유인력 조절작용에 따라 낙하 하는 물질분자들이 서로 달라 붙거나 결합 하지 않는 층층분리 작용에 의해 서로서로 결합되지 않으면서 더욱더 낙하 속도가 증강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가속도 작용에 따라 더욱더 강해지는 강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5577은 개폐판을 나타낸다.
< 제24 변형 예>
도 41 및 도 42는 본 발명의 제24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 상부에는 다수개의 발전수차 회전물질 다중 배출구(5009)가 구성됨으로서,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이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 다중 배출구(5009)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낙하 할 때에 다수의 덩어리로 뭉쳐진 상태로 낙하하도록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0.1초에서 15초 간격을 두고 개폐작동을 실시 하여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개폐작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덩어리 형태로 분리되어 뭉쳐지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물질분자 뭉침작용과 물질분자 결합작용에 따라 낙하 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 제25 변형 예>
도 43은 본 발명의 제25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 하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바람과 같은 영향을 차단하여 주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가이드 역할을 하여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비되되,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에는 1차 가이드(7589)를 구성시키고, 상기 1차 가이드(7589)의 내부에 전진과 후진작동을 할 수 있도록 1차 배출량 조절 밸브(5888)를 구성하며, 상기 1차 가이드(7589)의 하단부에 다수개의 물질분자 성형구(7590)를 구성시키고, 상기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일측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과 같은 물질들이 규격화 되도록 성형시켜서 낙하시키는 물질분자들이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할 때에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서로 달라 붙는 점성력과 서로 결합하려고 하는 물질분자 결합 작용을 차단시켜주는 역할을 자동으로 발휘하여 주는 공기를 유입시켜주는 다수개의 공기 출입구(7591)를 구성시키며, 상기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하단부에 2차 가이드(7578)를 구성시키고, 상기 2차 가이드(7578)의 내부에 전진과 후진작동을 할 수 있도록 2차 배출량 조절 밸브(5888)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구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를 폐쇄 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유입시킨 후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5889)를 이용하여 상기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하단부를 폐쇄시킨 후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를 0.1초~ 20초의 시간동안 개방하여 상기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내부에 일정량의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유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를 이용하여 상기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상단부를 폐쇄 시킴과 동시에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5889)를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상기 발전수차(3000)로 낙하시키는 과정을 0.1초~20초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공기 출입구(7591)를 통하여 자동유입되거나 배출하여주는 공기가 자연적으로 발생시키는 만유인력조절 작용에 따라 낙하 하는 물질분자 끼리 서로 잡아당기는 물질분자 뭉침작용과 물질분자 결합작용의 지배를 받지 않고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면서 자연적으로 가중되어 증강 되는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 제26 변형 예>
도 44 및 도 45는 본 발명의 제26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원형 공간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낙하 할 때에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물질분자들 끼리 서로서로 잡아당기면서 결합 하는 물질분자 결합 작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작용시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낙하 속도를 강화시켜주는 공기를 유입시켜주는 다수개의 공기 출입구(5039)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시키며,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0.1초에서 15초 간격을 두고 개폐작동을 실시 하여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개폐작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덩어리 형태로 분리되어 뭉쳐지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물질분자 뭉침작용과 물질분자 결합작용에 따라 낙하 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상기 공기 출입구(5039)에서 자동으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가 발생시키는 만유인력 조절작용에 따라 낙하 하는 물질분자들이 서로 달라 붙거나 결합 하지 않는 층층분리 작용에 의해 서로서로 결합되지 않으면서 더욱더 낙하 속도가 증강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가속도 작용에 따라 더욱더 강해지는 강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제16 실시 예>
도 46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장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천이나 강을 깊게 준설하고 하천 양안을 정비한 후 하천의 전단면 전폭과 전체 길이의 수위 레벨에 따라 저수장치를 다단계로 연속적으로 구성한 후 고도 차이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1단계 저수장치의 하단부에서 시작하는 발전용수 이송 배출파이프(1988)를 각각 하천의 지하에 매설을 시작하여 하천의 하류 낮은 곳에 구성되는 3단계 저수장치 또는 7단계 저수장치의 하단부까지 상기 발전용수이송 배출파이프(1988)를 지하에 매립 설치하고, 상기 3단계 저수장치 또는 7단계 저수장치의 내부 상부에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바람과 같은 외부 작용을 차단하여 주면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달라 붙지 않도록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와 결합 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에 발전용수를 0.1초에서 30초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결합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가 각각 결합 구성되며, 상기 1단계 저수장치의 하단부 위치와 같은 레벨에 상단부 위치가 위치 하도록 구성되는 직각 이송 파이프(1999)를 상기 3단계 저수장치 또는 7단계 저수장치의 상측에 구성되는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상측까지 설치하고, 상기 직각 이송 파이프(1999)의 상측에 발전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도록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3308)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전용수 이송 배출파이프(1988)와 직각 이송 파이프(1999)를 폐쇄하여 발전용수 이송 배출파이프(1988)와 직각 이송 파이프(1999)의 내부에 발전용수를 저장시킨후, 상기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3308)를 개방하여 상기 1차 저수장치에서 중력의 작용에 따라 자동으로 유입되는 발전용수를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이용하여 1단계 저수장치에서 유입되는 발전용수들을 0.1초에서 30초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배출시킴으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들이 서로 달라 붙거나 결합을 하려고 하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지배 받지 않고 각각 분리되어 낙하하면서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 제27 변형 예>
도 47 및 도 48은 본 발명의 제27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 하부에는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가이드 역할을 하여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되,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에 가이드(7578)를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7578)의 일측에 만유인력의 작용을 조절하여 주는 작용을 발휘하여 주는 공기를 유입시켜주거나 배출시켜주는 공기 출입구(7591)를 구성하며, 상기 1차 가이드(7589)의 내부에 전진과 후진작동을 할 수 있도록 스프링(5118)이 삽입되고 스프링(5118)을 고정시켜주는 스프링 고정핀(5119)과 결합 되는 배출량 조절 밸브(5800)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량 조절 밸브(5800)의 일단부에는 회전모타(5115)와 결합되는 크랭크축(5116)이 구성되며, 상기 크랭크축(5116)의 중앙에는 캠밸브(5117)가 결합 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회전모타(5115)를 연속 회전시켜서 캠 밸브(5117)의 주기적인 회전에 따라 스프링 고정핀(5119)이 눌려지면서 스프링(5118)이 눌려 짐과 동시에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에서 시간차이를 두고 주기적으로 낙하 되는 발전 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이 정지되고, 회전모타(5115)를 연속 회전시켜서 캠 밸브(5117)의 주기적인 회전에 따라 눌려 있던 상기 스프링(5118)이 신장되면서 폐쇄되었던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개방하여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시간차이를 두고 주기적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공기 출입구(7591)를 통하여 자동으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들이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공간 사이로 공기가 자동으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면서 발생시키는 만유인력의 차단작용에 따라 더욱더 강한 힘을 발휘도록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가중되어 증강 되는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제28 변형 예>
도 49 및 도 50은 본 발명의 제28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에 배출량 조절장치(19890)와 결합 되는 개폐 수문(3333)을 구성하고, 상기 개폐 수문(3333)의 개폐 주기를 0.1~ 1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상기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따로 따로 분리되어 낙하 하도록 조절하여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가중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9 변형 예>
도 51 및 도 52는 본 발명의 제29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바람과 같은 영향을 차단하여 주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가이드 역할을 하여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비되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에는 조절실린더(5111)와 결합 되고 작동링크(5112)와 결합되는 상하 개폐식 밸브(5800)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 개폐식 밸브(5800)의 개폐 주기를 0.1~ 1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따로 따로 분리되어 낙하 할 때에 분리 되어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사이사이에 자동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시키는 만유인력 차단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가속도 작용따라 증강되어 작용하는 증강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하게 된다.
<제30 변형 예>
도 53 및 도 54는 본 발명의 제30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에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하천이나 강을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인위적으로 투입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뭉쳐지면서 발생되는 당김 현상과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결합하는 접착력을 차단시켜주는 작용을 발생 시켜주도록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에 배출량 조절구(9893)을 구성하고, 상기 배출량 조절구(9893)의 내부에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 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주도록 구비되는 배출량조절판(9900)을 배출량 조절장치(9890)와 결합하여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장치(9890)를 이용하여 배출량 조절판(9900)의 개폐 주기를 0.1~ 1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상기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따로 따로 분리되어 낙하 하도록 조절하여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된 힘을 더욱더 가중시키면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가중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31 변형 예>
도 55는 본 발명의 제31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수납 하는 수납 용기(3388) 일측에 회전모타(3389)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모타(3389)의 상측에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 적층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상부로 이송 시켜주는 회전스크류(5570)가 외부케이스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회전스크류(5570)의 상단부에서 부터 시작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장설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발전기와 결합 되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 상태에서,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 수납 적층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상기 상기 회전모타(3389)와 결합 되어 있는 상기 회전스크류(5570)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이송한 후 낙하 시킬 때에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강한 중력의 힘으로 낙하 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수차(300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게 된다.
<제32 변형 예>
도 56 내지 도 59는 본 발명의 제32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수납 하는 수납 용기(3388)의 일측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상측으로 이송시켜주는 재 송수파이프(5120)를 구성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단부에는 상측은 개방된 형태이며 깔대기 형태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결합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하단부에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는 전기를 생산하여 정격의 전기로 변환 시켜주는 발전장치와 결합 되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되며,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는 왕복운동을 통하여 상기 수납용기(3388)의 내부로 투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재 송수파이프(5120)를 통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로 펌핑 시킨다음 개폐작동을 하도록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개폐작동을 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내부공간을 시간차이를 두고 통과한 후 상기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주도록 제1 왕복실린더밸브(1718)가 제1 실린더 가이드(1730)와 결합 되고, 상기 제1 실린더 가이드(1730)의 상측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입구(1998)가 구성되며, 상기 제1 실린더 가이드(1730)의 끝단부에는 제1 상하작동 밸브(100)가 구성되어 상기 제1 왕복실린더밸브(1718)가 압착 시켜주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압착 시켜서 상측으로 밀어 올릴 때에 상기 제1 실린더 가이드(1730)의 통로를 개폐시키게 되며, 제2 왕복 실린더밸브(1189)가 제2 실린더 가이드(1720)와 결합 구성되고, 상기 제2 실린더 가이드(1720)의 상측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입구(1997)가 구성되며, 상기 제2 실린더 가이드(1720)의 끝단부에는 제2 상하작동 밸브(200)가 구성되어 상기 제2왕복실린더밸브(1189)가 압착 시켜주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압착 시켜서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이때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2실린더 가이드(1720)의 통로를 개폐시켜주는 작용을 하며, 제1 왕복실린더밸브(1718)와 제2 왕복 실린더밸브(1189)와 제1 상하작동 밸브(100)와 제2 상하작동 밸브(2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서 상측으로 펌핑시킨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모두 채움과 동시에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완전 개방하고,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연속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할 때에 자연적으로 발생시키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증강 되어 작용하는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게 된다.
<제33 변형 예>
도 60 및 도 61은 본 발명의 제33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직사각의 박스 형태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낮은 곳으로 배출하여 주는 배출구(525)가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525)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와 결합 되는 1차 가이드(7579)가 구성되며, 상기 1차 가이드(7579)의 하단부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를 통과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2차 조절하여 주는 2차 배출량 조절밸브(5889)와 결합 되는 2차 가이드(7578)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525)의 하단부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낙하 할 때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바람의 영향을 차단하여 주도록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출구(525)의 크기보다도 5%~20% 더 큰 크기이며 직사각형의 형태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보호파이프(3788)를 구성하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보호파이프(3788)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5889)를 폐쇄시킴과 함께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연속적으로 투입 하고, 이와 동시에 배출구(525)의 내부를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로 채운 상태에서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를 전진 시켜서 배출구(525)의 상단부를 폐쇄 시키며, 2차 배출량 조절밸브(5889)를 개방하여 배출구(525)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발전수차(3000)로 순차적으로 낙하 시키고, 공기 출입구(7591)를 통하여 자동으로 유입되거나 배츨되는 공기들이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공간 사이로 공기가 자동으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면서 발생시키는 만유인력의 차단작용에 따라 더욱더 강한 중력의 힘을 발휘도록 작용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무게가 자연적으로 가중되어 증강 되는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제34 변형 예>
도 62는 본 발명의 제34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송펌프(2200)와 결합 되는 재송수 파이프(5120)의 하단부에는 일정한 용량의 물이 담겨 ?을 때에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물레방아 형태의 회전수단(7308)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수단(7308)의 하단부에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바람과 같은 압력을 차단하여 주도록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 상태에서, 이송펌프(2200)에 펌핑시켜주는 물과 같은 발전용수 또는 자갈이나 모래 또는 금속이나 비철금속등으로 구성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상측으로 펌핑시켜서 상기 회전수단(7308)에 칸칸이 구성되는 수납공간에 이들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일정량 수납되었을 때에 이들이 가지고 있는 질량의 무게가 사전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진 회전수단(7308)의 수납공간을 순차적으로 채운상태가 되면 그 중량물이 발생 시키는 자연적인 회전작용에 따라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순차적으로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제35 변형 예>
도 63 및 도 64는 본 발명의 제35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비되되,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에 두쌍의 회전축(5350)과 각각 결합 되는 두쌍의 작동링크(5352)가 구성되고, 상기 작동링크(5352)의 일단부에는 각각의 좌우 방향 개폐 조절실린더(5351)와 결합되는 각각의 좌우 방향 개폐식 밸브(5800)가 구성되는 구조를 구성 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 개폐식 밸브(5800)를 이용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개폐 주기를 0.1~ 2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각각 시행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따로 따로 분리되어 낙하 할 때에 분리 되어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사이사이에 자동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시키는 만유인력 차단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가속도 작용따라 증강되어 작용하는 증강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하게 된다.
<제36 변형 예>
도 65는 본 발명의 제36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부호 1958920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에 구성되는 내부 배출구를 변형 구성한 상태를 나열하여 예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발전용수와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서로 잡아 당기거나 결합 하려고 하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하여 주도록 내부 배출구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제37 변형 예>
도 66은 본 발명의 제37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되,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사이에는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결합 하려고 하는 물질결합 작용과 뭉치려고 하는 물질뭉침 작용을 차단하여 주면서 서로 결합 하거나 뭉치지 못하도록 유도하여 주는 가이드 통로(7577)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통로(7577)의 하단부에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한번더 차단하여 주도록 원형 파이프로 구성되는 만유인력 차단 링(7799)이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는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장치와 결합되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일측과 타측에는 링크축(2527)이 구성되며, 링크축(2527)의 일측에는 작동링크(2526)가 결합되고, 작동링크(2526)의 끝단부에는 작동실린더(2525)가 결합되며, 작동실린더(2525)의 후면부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와 결합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에는 링크축(2527)과 2개로 각각 분리 결합 되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을 폐쇄 시켜놓은 상태에서 펌핑 수단을 연속 가동하여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를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을 모두 채움과 동시에 상기 배출량 조절 밸브(5800)를 완전 개방함에 따라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이 자연적으로 발생시키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수차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제38 변형 예>
도 67 및 도 68은 본 발명의 제38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저수장치(6000)에 연결 구성된 이송수로(8900)의 끝단부에 이송되어온 발전용수를 수직 상승시켜주는 수직상프파이프(9990)를 구성하고, 수직상승파이프(9990)의 하부에는 구경이 증가된 확관부(8500)를 형성하며, 상기 확관부 하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도 68과 같이 배출구(8502)와 배출구 조절밸브(8501)를 추가적으로 구성하며,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 하부에는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장치와 결합된 발전수차(3000)를 설치하여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6 실시 예>
도 69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경사지게 구성되는 계곡에 기초 콘크리트(1150)을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1150)의 상단부에 콘크리트 또는 토사와 사석을 이용하여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 상기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에 배출파이프(21000)를 구성하며, 상기 배출파이프(21000)의 하단부에 배출량 조절밸브(1170)를 구성시키고, 상기 배출파이프(21000)의 끝단부에 전기를 생산 하도록 발전기와 결합되는 1차 발전수차(20000)를 구성시키며, 상기 저수장치(1000)의 상측에 ∩자 형태로 저층수 배출파이프(23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배출파이프(23000)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27000)를 구성시키며, 상기 배출파이프(23000)의 하단부를 기점으로 중력의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저수장치(1000)로 유입되어 상기 저수장치(1000)의 상층부로 부상하는 하천수들이 자동으로 넘치도록 하협 상광의 나팔 형태로 상승배출파이프(26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상승배출파이프(26000)의 하부에는 상단부가 오픈 된 형태 이면서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상광 하협의 형태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시키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하단부에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바람과 같은 외풍을 차단하여 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2차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상태에서, 홍수시에 저수장치(1000)의 내부로 과다하게 유입되어 오는 발전용수로 상기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1차 발전수차(20000)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저층수 배출파이프(23000)와 상기 상승배출파이프(26000)를 타고 넘어 오는 발전용수를 이용하여 상기 2차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제17 실시 예>
도 70 내지 도 73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예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 중앙에 회전축(8606)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8606)은 회전수단(8601)과 결합 되며, 상기 회전축(8606)의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통공(8602)이 구비되는 1층 고정원판(8603)이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층부분과 결합 구성되고, 상기 1층 고정 원판(8603)의 상단부에는 5cm~1m의 두께로 구성 됨과 함께 내부에 다수개의 통공(8600)이 구성되는 2층 회전원판(8605)이 구비되며, 상기 1층 고정원판(8603)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통공(8602)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구성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다수개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2층 회전원판(8605)을 회전시켜서 1층 고정원판(8603)에 구성되어 있는 통공(8602)을 폐쇄시킨 후,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회전수단(8601)을 5초~ 3분의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좌우로 이동하여 2층 회전원판(8605)과 1층 고정원판(8603)에 구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통공(8602,8600)으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유입입량이 미리 정해진 양 만큼 유입이 되도록 하고, 회전수단(8601)을 이용하여 2층 회전원판(8605)을 우측으로 이동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통공(8600,8602)을 통하여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연속낙하 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제39 변형 예>
도 74 및 도 75은 본 발명의 제39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다수개의 가이드 통로(7577)를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통로(7577)의 상단부에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도록 다수개의 성형틀 공간(8801)이 구성되어 결합되는 배출량 조절밸브(8800)를 배출량 조절장치(8802)와 결합시키며, 상기 가이드 통로(7577)의 하단부에는 상기 성형틀 공간(8800)이 형성시킨 수량 만큼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바람과 같은 외풍을 차단하여 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는 전기를 생산하여주는 다수개의 발전수차(3000)가 구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장치(8802)가 1초~ 5분 간격을 두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8800)를 후진작동 시켜서 가이드통로(7577)를 폐쇠시킨 상태에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켜서 성형틀 공간(8800)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일정량 유입 되었을 때에 배출량 조절밸브(8800)를 전진시켜서 배출량 조절밸브(8800)에 구성되어 있는 성형틀 공간(8800)과 가이드통로(7577)가 상하 관통되도록 일체화 시키는 작동과정을 통하여 성형틀공간(8800)에 투입되어 있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1초~ 5분의 간격을 두고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발전수차(3000)로 낙하시켜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제40 변형 예>
도 76 내지 도 78은 본 발명의 제40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배출량 조절장치(8802)의 결합 형태 및 하부의 발전수차(3000) 배치 형태 및 갯수를 다양하게 변형기킨 상태를 나타낸다.
<제41 변형 예>
도 79는 본 발명의 제41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발전수차(3000)는 회전날개(3882)를 탈부착이 가능한 착탈 조립식 결합체(3383)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발전장치와 결합됨과 동시에 관성의 법칙에 따라 연속 회전하려고 하는 플라이휠 관성법칙 가속 발생용 공간(3385)이 다수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주기적으로 낙하 하면서 발전수차(3000)의 회전날개(3382)를 타격하여 회전시킬 때에 발전수차(3000)와 결합 되어 있는 플라이휠 관성법칙 가속 발생용 공간(3385)이 발생시키는 연속 회전 작용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에 구성되어 있는 회전날개를 연속 타격하지 않고도 발전기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제42 변형 예>
도 80 및 도 81은 본 발명의 제42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1차 저수장치(1000)의 상단부 둘레에 대량의 발전용수들을 추가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2층 저수장치(30000)를 추가적으로 구성하고, 1차 저수장치(1000)의 일측에 펌핑장치(8871)를 설치하며, 상기 펌핑장치(8871)와 결합하여 저수장치(1000)의 주변에 위치한 높은 산의 정상까지 펌핑파이프(8899)를 설치하고, 상기 펌핑파이프(8899)와 결합하여 상승파이프(8891)를 연결 구성하며, 상승파이프(8891)의 일단부에는 오픈 된 형태 이면서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상광 하협의 형태의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한 상태에서, 저수장치(1000)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들을 펌핑장치(8871)를 이용하여 펌핑파이프(8899)와 상승파이프(8891)를 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로 펌핑 시킨후, 배출량 조절밸브(5800)이용하여 펌핑되어온 발전용수들을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낙하 시킬 때에 1초에서 10분의 시간적 간격을 두고 발전용수들을 낙하시켜서 발전수차(3000)에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게 된다.
<제43 변형 예>
도 82는 본 발명의 제43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담겨지는 발전용기(8383)를 구성시키고, 상기 발전용기(8383)의 일측에 이송펌프(2200)와 결합 되는 재송수 파이프(5120)를 구성시키고, 상기 재송수 파이프(5120)의 일단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수납하도록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 일측에는 가이드 통로(7577)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통로(7577)에는 통로 개폐량 조절을 위해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도록 배출량 조절밸브(5809)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9)의 하부에는 유입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압촉시켜 주기 위해 전진과 후진 작동을 하는 압축 밀대(5851)가 성형공간(5855)과 압축밀대 가이드(5852)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압축 밀대(5851) 선단부에는 압축판(5853)이 구성되며, 상기 성형공간(5855) 일측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와 연결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 유입통로(7502)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9)를 전진시켜서 가이드통로(7577)을 폐쇄시킨후 압축 밀대(5851)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발전용기(8383)의 내부로 유입되어 오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이송펌프(2200)와 재송수 파이프(5120)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펌핑시키고, 승,하강 밸브(5813)를 상승시켜서 성형공간(5855)의 끝단부를 차단시키며, 배출량 조절밸브(5809)를 1초에서 5분의 시간동안 후진시켜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성형공간(5855)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이후 배출량 조절밸브(5809)를 전진시켜서 가이드통로(7577)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후진상태에 있는 압축 밀대(5851)를 전진 시켜서 성형공간(5855)에 유입되어진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압축 성형시키며, 이후 승,하강 밸브(5813)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압축 밀대(5851)를 전진 시켜서 성형되어진 발전수차회전물질(5500)들을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 유입통로(7502)를 통하여 발전수차(3000)로 낙하시켜서 발전수차(3000)에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게 된다.
<제44 변형 예>
도 83은 본 발명의 제44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발전수차(3000)에는 회전날개(3382)와 중간격벽(3386) 그리고 마감판(3386)이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45 변형 예>
도 84는 본 발명의 제45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발전수차(3000)에 구성되는 ss1차 회전날개(3591)와 2차 회전날개(3590)의 두께를 달리 하여 관성의 법칙과 플라이흴 법칙에 따라 외부작용이 없이도 연속동작하려고 하는 구조임
<<<<<<<<<84도 대한 설명 보충 요망>>>>>>>>>>>
<제46 변형 예>
도 87 및 도 88은 본 발명의 제46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상하작동 발전기(60000)는 상단 프레임(5096) 상부에 충격 흡수용 스프링(5093)이 구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용 스프링(5093) 상부에는 수납고리(5095)가 구성되어 충격흡수용기(5080)에 대한 완충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47 변형 예>
도 89 및 도 90은 본 발명의 제47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충격흡수용기(5080)의 상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밀폐 지지를 위한 상하 밀폐 교환장치(5062)가 구성되고, 충격흡수용기(5080)의 일측에는 전기를 생산할 때에 사용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배출하여 주는 상측 배출통로(5098)와 하측 배출통로(5099) 연결 부위에서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작용하는 수밀 밀폐 교환 장치(5097)가 구성되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는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내부와 상기 수납 용기(5080)의 내부와 상기 상측 배출통로(5098)와 하측 배출통로(5099)의 내부에 자동으로 수납되는 공기들을 뽑아내어 진공상태를 만들어주도록 진공펌프(5061)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 상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 연결 부위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폐쇄시킨 후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들을 80~98% 채우고, 진공펌프(5061)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내부와 수납 용기(5080)의 내부와 상측 배출통로(5098)와 하측 배출통로(5099)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들을 제거시켜서 진공상태를 형성시키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초~7분의 주기적인 간격을 두고 개폐작동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수납되는 발전용수들을 충격흡수용기(5080)로 주기적으로 낙하시킬 때에 진공상태에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낙하 하는 발전용수의 힘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자석봉(8082)과 절연코일(5081)과 탄성 발생용 스프링(5083)의 반복적인 상승작용과 하강작용에 따른 탄성 발생작용에 의해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제48 변형 예>
도 91은 본 발명의 제48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자석봉(5082)의 외부에 다수 가닥의 2중 절연코일(5030)을 중첩되게 감아서 상하 작동자석봉(5010)을 구성하고, 상기 상하 작동자석봉(5010) 중심에는 상하 작동봉(5070)을 삽입하여 구성되어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49 변형 예>
도 92는 본 발명의 제49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상하작동 발전기(60000)는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진공박스(5188)가 구성되고, 상기 진공박스(5188) 상부에는 충격흡수용기(5080)를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019)가 구성되며, 상기 진공박스(5188) 일측에는 진공펌프(5189)가 구성된다. 미설병 부호 5088은 진공공간이고, 5288은 진공공간에 충진된 유동성 물질을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진공펌프(5189)를 이용하여 진공박스(5188)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들을 제거시켜서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충격흡수용기(5080)에 발전용수들을 1초~7분의 주기적인 간격을 두고 낙하 시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충격력에 의해 진공상태에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상기 자석봉(5082)의 반복적인 상승작용과 하강작용에 따른 중력 가속도 작용과 탄성 발생작용에 의해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제50 변형 예>
도 93 및 도 94는 본 발명의 제50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하작동 발전기(60000)에는 자석봉(5082) 내부에 장공의 진공공간(5088)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 공간(5088)에는 자석봉(5082)의 상하 작동작용을 촉진시켜주도록 수은 또는 물의 유동성물질(5288)을 10%~80%로 충진시킨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충격흡수용기(5000)에 발전용수들을 1초~7분의 주기적인 간격을 두고 낙하 시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충격력에 의해 진공상태에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상기 자석봉(8082)이 반복적인 상승작용과 하강작용에 따른 중력 가속도 작용과 탄성 발생작용에 의해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51 변형 예>
도 95 및 도 96은 본 발명의 제51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하작동 발전기(60000)는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진공박스(5188)가 구성되고, 상기 진공박스(5188) 일측에는 진공펌프(5061)가 구성되며, 자석봉(5082) 내부에 장공의 진공공간(5088)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 공간(5088)에는 자석봉(5082)의 상하 작동작용을 촉진시켜주도록 수은 또는 물의 유동성물질(5288)을 10%~80%로 충진시킨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5061)를 이용하여 진공박스(5188)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들을 제거시켜서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충격흡수용기(5080)에 발전용수들을 1초~7분의 주기적인 간격을 두고 낙하 시켜서 낙하 시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충격력에 의해 진공상태에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상기 자석봉(8082)이 반복적인 상승작용과 하강작용에 따른 중력 가속도 작용과 탄성 발생작용에 의해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52 변형 예>
도 97 및 도 98는 본 발명의 제52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상하작동 발전기(60000)는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진공박스(5188)가 구성되고, 상기 진공박스(5188) 상부에는 충격흡수용기(5080)를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019)이 구성되며, 상기 진공박스(5188) 일측에는 진공펌프(5189)가 구성되고, 자석봉(5082) 내부에 장공의 진공공간(5088)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 공간(5088)에는 자석봉(5082)의 상하 작동작용을 촉진시켜주도록 수은 또는 물의 유동성물질(5288)을 10%~80%로 충진시킨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5189)를 이용하여 진공박스(5188)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들을 제거시켜서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충격흡수용기(5080)에 발전용수들을 1초~7분의 주기적인 간격을 두고 낙하 시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충격력에 의해 진공상태에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상기 자석봉(5082)의 반복적인 상승작용과 하강작용에 따른 중력 가속도 작용과 탄성 발생작용에 의해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제18 실시 예>
도 99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산의 정상에 항아리 형태로 대형 저수조(9305)를 구성하고, 상기 대형 저수조(9305)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9306)와 결합되는 하강파이프(9301)가 구성되며, 상기 하강파이프(9306)의 일측에 상승파이프(9302)를 연결하고, 상기 상승파이프(9302)에 변화되는 수위에 따라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하 위치 조절파이프(5123)를 조절장치(5125)와 함께 구성하며, 상기 상승파이프(9302)의 상부에 재송수 파이프(5120)를 구성하고, 상기 상승파이프(9302)와 재송수 파이프(5120) 연결부위에는 상부가 오픈된 깔대기 형태의 1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329)를 구성하며, 상기 상승파이프(9302)의 상단부 일측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5328)가 구비된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26)가 연결되고, 상기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26) 일측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주는 2차 배출량 조절밸브(9310)가 구비되고, 상기 재송수 파이프(5120)의 하부에는 수위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하 위치 조절파이프(5121)를 통해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상하 위치 조절파이프(5121)에는 조절장치(5122)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의 하부에는 이송펌프(2200)가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9307은 나무이고, 9308은 발전수차이며, 9309는 펌프 연장관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전기 생산 구동시에는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9310)를 폐쇄시킴과 함께 이송조절밸브(9311)를 개방시키고, 상기 이송펌프(2200)를 이용하여 저수지 또는 댐이나 강에 저수된 발전용수 또는 바닷물을 상기 대형 저수조(9305)에 펌핑하여 발전용수를 대형 저수조(9305)에 가득 채우며, 상기 이송조절밸브(9311)를 폐쇄시킨 후 배출량 조절밸브(9306)와 2차 배출량 조절밸브(9310)를 개방하여 대형저수조(9305)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들을 하강파이프(9301)와 상승파이프(9302)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를 통하여 발전용수들을 이송시켜서 발전수차(3000)를 타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제19 실시 예>
도 100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발전 공법에 적용되는 발전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어 오는 유입수량의 저수를 위한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 상기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전면부에 유입구(5212)를 구성함과 함께 대향되는 방향의 후면부에 배출구(5111')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구(5111')의 후면부에 상승파이프(5115')를 연결하며, 상기 상승파이프(5115') 입구측에는 발전기(5112')를 구성하고, 상기 상승파이프(5115') 상단측에는 높이 조절을 위한 승하강 조절장치(5116)가 구성되며, 상기 상승파이프(5115')의 끝단부에 제2 발전기(5113')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발전기(5113')의 하단부에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결합되는 하강파이프(5117')를 상하 조절장치(5228)와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하강파이프(5117')의 하단부에 제3 발전기(5119')를 구성하고, 상기 제3발전기(5119')의 일측으로 2차 하강파이프(5211')를 연장 구성하며, 상기 하강파이프(5211')의 끝단부에 제4 발전기(5213)를 구성시키고, 상기 제4 발전기(5213')의 상부에 2차 상승 파이프(5215)를 구성하며, 상기 2차 상승파이프(5215)의 끝단부에 제5 발전기(5217)를 구성시키고, 상기 제5 발전기(5217)의 하단부에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결합되는 3차 하강파이프(5217)를 구성하며, 상기 2차 하강파이프(5217)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하천수의 유입량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상하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변동되는 수위에 따라 수시도 가변조절하면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제53 변형 예>
도 101는 본 발명의 제53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대형저수조(9305) 내에는 하강파이프(9301)와 연결되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설치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발생용기(5000) 하부에는 유입파이프(9321)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유입파이프(9321) 하부에는 장공의 통공(9333)이 형성된 원형회전밸브(933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원형회전밸브(9332)에는 원형기어(9334)가 구성되며, 상기 원형기어(9334)와 치합되는 레크기어(9335)가 일측에 구비된 스크류기어(9336)의 타측에는 감속기(9331)가 구성됨으로서 배출수 조절장치(9880)를 사용하여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54 변형 예>
도 102는 본 발명의 제54 변형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하천의 일측제방과 타측 제방을 정비하고 하천바닥을 준설 한 후 하천의 중앙 또는 어느 한 방향 일측 지점에 중앙 물분리막(98901)을 설치하여, 하천의 상류로 부터 유입되어오는 하천수위를 높여서 하천의 내부에 선박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천을 정비함과 동시에 중앙 물분리막(98901)의 일측 하천 바닥에는 발전기 가동을 위한 용수의 안내하는 하강파이프(5211)이 구성된다.
<제55 변형 예>
도 103은 본 발명의 제55 변형 예에 따른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 단면 상세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는 상측의 통수 면적 넓이와 하측의 통수 면적 넓이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되, 측벽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이 구성되는 공기 출입구(50000)를 다수개 구성시켜서 만유인력의 작용과 물질분자 충돌작용과 물질분자 폭발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들이 물질밀림작용에 의해 하향 유도되어 발전수차(3000)에서 전기가 생산되어지게 된다.
<제56 변형 예>
도 104는 본 발명의 제56 변형 예에 따른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 단면 상세도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는 상측의 통수 면적 넓이와 하측의 통수 면적 넓이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되, 하단부 통수구부(3939)의 통수 면적 지름을 상측의 통수면적 지름보다도 0.001%~5% 작은 크기로 끝단부를 구성하여 상측에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들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분자들 끼리 충돌하는 물질분자충돌작용과 물질분자 폭발작용에 의해 생성 되는 기포들을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공기출입구(50000) 측으로 밀어내고,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우선적으로 낙하 하도록 유도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제57 변형 예>
도 105는 본 발명의 제57 변형 예에 따른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 단면 상세도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다단계로 점차 축소되는 구조를 이루고, 내부에 발전용수들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전기를 생산 할 때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들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분자들 끼리 충돌하는 물질분자충돌작용과 물질분자 폭발작용에 의해 생성 되는 기포들이 물질분자 밀림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상측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공기출입구(50000) 측으로 밀어내고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우선적으로 낙하 하도록 유도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제58 변형 예>
도 106은 본 발명의 제58 변형 예에 따른 발전장치 요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에는 정량 배출량 조절밸브(5908)가 구성되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상단부 통수면적 크기와 하단부 통수 면적이 동일한 구조를 이루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로 부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로 유입되는 발전용수들의 배출량을 1kg~2000kg의 중량으로 정량 유입하여 주도록 작용하는 정량 배출량 조절밸브(80000)가 구성된 상태에서, 정량 배출량 조절밸브(80000)를 폐쇄 시킴과 함께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를 통하여 1kg~2000kg의 발전용수들을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로 투입시키고, 이후 폐쇄 되어 있는 정량 배출량 조절밸브(80000)를 일시에 개방하여 방류시키는 동작을 1초에서 5분의 간격을 두고 반복 동작을 시행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가 관성의 법칙에 의하여 연속 회전되도록 발전용수 방류시간을 조절하여 전기를 연속 생산하게 된다.
1000 : 1차 저수장치 1100 : 1차 발전용수
1110 : 유입파이프 1118 : 하천수 유입구
1120 : 하단배출파이프 1130 : U자형 이송파이프
1160 : 발전용수 이송파이프 1170 : 유입량 조절밸브
1150 : 기초 콘크리트 1188,1199 : 저수공간
1190 : 끝단부 이송파이프 1191 : 끝단부 배출량 조절밸브
1302 : 취수량 조절밸브 1303 : 취수파이프
1306 : 취수펌프 1500 : 공기배출량 조절밸브
1510 : 공기배출파이프 1700 : 1차 발전용수
1701 : 직각 낙하 연결 파이프 1703 : 직각 상승 파이프
2000 : 2차 저수장치 2200 : 송수펌프
2230 : 기초 콘크리트 2300 : 관로 조절밸브
2900 : 가로이송용 컨베어벨트 3000 : 1차 발전수차
3100 :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
3200 : 1차 배출량 조절밸브 3310 :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
3388 : 수납용기 3390 : 상승 파이프
3700 : 기류변화 차단파이프 3701 : 공기 유입구
5000 :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 5080 : 충격흡수용기
5081 : 절연코일 5082 : 자석봉
5083 : 탄성 발생용 스프링 5085 : 마찰방지용 윤활유
5086 : 탄성 발생용 스프링 5087 : 정류기
5088 : 진공공간 5089 : 원형파이프
5090 : 지지프레임 5091 : 배출파이프
5092 : 배출량 조절밸브 5096 : 상단 프레임
5100 : 1차 발전용수 5110 : 전류변환기
5120 : 재송수 파이프 5130 : 2차 발전수차
5200 :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
5220 : 이물질 청소구 5230 : 1차 발전수차
5250 : 2차 배출파이프 5260 :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
5300 : 경사 배출파이프 5310 : 취수펌프
5320 : 이송파이프 5500 : 발전수차 회전물질
5800 : 배출량 조절밸브 5880 : 직각상승 파이프
5900 : 배출량 조절밸브 6000 : 2차 저수장치
6100 : 2차 발전용수 6150 : 기초콘크리트
6200 : 취수펌프 6300 : 취수파이프
7000 : 1차 저수장치 7500 : 발전용수 이송파이프
8000 : 저수용 블럭 8100 : 2차 발전용수
8350 : 중간 제당 8900 : 수평 이송수로
60000 : 상하작동 발전기

Claims (82)

  1. 경사지게 구성되는 계곡 상류에 기초 콘크리트(1150)을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1150)의 상부에 1차 발전용수(1100)가 저수되는 1차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와 5~500m의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에 2차 기초콘크리트(2230)를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2230) 상부에 2차 발전용수(2100)가 저수될 수 있도록 2차 저수장치(2000)를 설치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 하부에는 하단배출파이프(1120)가 관통 구비되고,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내측에는 유입량 조절밸브(1170)가 구비된 역U자 형상의 유입파이프(111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외측에는 U자형 이송파이프(113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의 일측에는 이물질청소구(3300)가 구성되며,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의 하단부에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3310)를 구성하고, 상기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3310)에는 관로 조절밸브(2300) 및 1차 저수장치(1000)로 2차 발전용수(2100)를 재 펌핑하여 주는 송수 펌프(2200)를 구성하며, 상기 송수유입 겸 배출파이프(3310)의 상단부에서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와 결합되어 구성되도록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를 구성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의 상단부에는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1500)가 구비된 공기배출파이프(1510)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의 끝단부에는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구성되고, 상기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하부에는 발전용수들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발전용수의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의 통수면적 보다도 작은 내경을 이루는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 배출측에는 2차 발전수차(5130)가 구성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의 중단부에는 1차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최저 저수수위와 대응되는 높이에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의 하단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형상의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발생 용기(5000)의 하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내부에 자석봉(5082)이 구성된 원형파이프(5089)가 구성되며, 상기 자석봉(5082)의 상부에는 낙하하는 발전용수를 받아주는 충격흡수용기(5080)가 구성되고, 상기 충격흡수용기(5080)의 일측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092)가 구비된 배출파이프(5091)가 연결 구성되며, 원형 파이프(5089)의 내부에는 자석봉(508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발생용 스프링(5083)이 구비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5089)는 지지프레임(509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프레임(5090) 하부에는 탄성 발생용스프링(5086)이 구성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5089)의 내부에는 마찰방지용 윤활유(5085)가 충진 구비되며, 상기 원형파이프(5089)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절연코일(5081)을 교차적으로 반복하여 감은 후 자석봉(5082)의 상하 유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여주도록 정류기(5087) 및 전류변환기(5110)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상하작동 발전기(60000)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 조절밸브(2300)를 폐쇄시킴과 함께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를 80~ 99%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유입파이프(1110)에 구성된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100% 개방하여 1차 저수장치(1000)에 저수되어 있는 1차 발전용수(1100)가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U자형 이송파이프(1130),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1160) 및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를 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로 이동되는 단계와;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의 개방량을 서서히 증가시켜 100%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1500)를 개방하여 유입파이프(1110)와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와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U자형 이송파이프(1130)와 상기 발전용수이송파이프(1160)와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의 내부에 공기가 차지 않고 공기 배출파이프(1510)을 통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를 1초~5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개방작동과 폐쇄작동을 반복 함으로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 내부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1100)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10초~5분 간격의 시차를 두고 방류되도록 하여 상하작동 발전기(60000)를 상하 작동시켜서 1차 저수장치(1000)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1100)의 양이 80~95%가 소진 될 때까지 소비하면서 정류기(5087)와 전류변환기(5110)를 통해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작동 발전기(60000)의 동작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송수 펌프(2200)를 구동시킴과 함께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1500)를 개방시키고, 유입량 조절밸브(1170)와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를 폐쇄시키며, 관로 조절밸브(2300)를 개방함으로써 하류측의 2차 발전용수(2100)가 2차 중력 가속도 발생용 용기(5260)와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하여 1차 저수장치(1000)로 연속 펌핑되면서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 구성된 2차 발전수차(513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2. 경사지게 구성되는 하천 바닥에 1차 기초콘크리트(5150)를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5150)의 상단에 대량의 1차 발전용수(5100)를 저수하도록 1차 저수장치(7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와 고도 차이가 3m~1000m의 낙차가 발생하는 하천의 하류 지역 바닥에 기초콘크리트(6150)을 설치 한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단에 2차 발전용수(6100)의 저수가 가능하도록 2차 저수장치(6000)를 구성하며,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하단부에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 배출파이프(5300)를 부설하고, 상기 경사 배출파이프(5300)의 상단부에 배출량 조절밸브(5900)를 구성하며, 상기 경사 배출파이프(5300)의 하단부 끝단부에 상승 파이프(5880)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상승파이프(5880)의 상부에는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하단부 최저 저수 수위와 대응되는 높이로 이송파이프(5320)를 구성하며, 상기 상승파이프(5320)의 끝단부 하단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게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가 결합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상단부의 넓이와 하단부의 넓이가 같은 크기로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하단부에는 1차 발전용수(5100)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 수차(5230)가 구성되고,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와 2차 저수장치(6000) 사이에는 재 송수파이프(5120)가 구성되며, 재송수 파이프(5120)의 하단부에 취수파이프(6300)가 구성되고, 상기 취수파이프(6300)에 취수펌프(5310)가 결합된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내부에 1차 발전용수(5100)를 가득 채운 후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80%~99%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900)를 완전 개방하여 1차 저수장치(7000)에 저수되어 있는 1차 발전용수(5100)가 경사 배출파이프(5300)와 상승파이프(5320)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 및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에 채워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80~99% 폐쇄 되었던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00% 개방하여 1차 발전 용수(5100)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방류되도록 함으로써, 1차 발전수차(5230)를 연속 회전시켜서 1차 저수장치(7000)에 채워져 있던 1차 발전용수(5100)의 양이 80~95%가 소진 될 때까지 소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와;
    상기 취수펌프(5310)을 구동시켜서 2차 저수장치(6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들을 1차 저수장치(7000)로 재 펌핑 시켜서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 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를 통해 낙하되는 2차 발전용수(6100)에 의해 2차 발전수차(5130)가 회전되도록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 경사지게 구성되는 계곡에 기초 콘크리트(1150)를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1150)의 상단부에 콘크리트 또는 토사를 이용하여 1차 저수장치(1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와 3m~1000m의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의 하천바닥에 기초콘크리트(6150)를 설치하며, 상기 기초콘크리트(6150)의 상단부에 2차 저수장치(6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의 내부에 거꾸로 U자 형태로 유입파이프(1110)를 구성하며, 상기 유입파이프(1110)에 유입량 조절밸브(1170)가 구성되고, 상기 유입파이프(1110) 일측에는 하단배출파이프(112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최저수위와 대응되는 높이에는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결합 구성되는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가 구비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의 끝단부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를 이루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상단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로 구성되어 물질마찰작용과 저항작용이 작게 발생되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일측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수차(5230)가 설치되고, 상기 2차 저수장치(6000)의 내부와 상기 1차 저수장치(1000)를 연결하는 형태로 재 송수파이프(5120)가 구성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하단부에는 2차 저수장치(6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를 1차 저수장치(1000)로 재 펌핑하여 주는 송수 펌프(2200)가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상단부에는 공기배출파이프(1510)가 구성되며,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510)에는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1500)가 구비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상단 끝단부에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구성되며, 상기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끝단부에는 상단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를 이루는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513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80%~99% 폐쇄시킴과 함께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완전 개방하여, 유입파이프(1110)와 결합 되어 있는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 그리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및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내부공간에 1차 발전용수(1100)가 채워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00% 개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를 통해 방출되는 수압에 의해 1차 발전 수차(5230)가 회전되어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1차 저수장치(100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1100)의 총량 중에서 80%~95%의 수량이 소비 될때 까지 1차 발전이 실시되는 단계와;
    전력 수요가 적은 야간에 2차 저수장치(6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를 송수 펌프(2200)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저수장치(1000)로 펌핑시키는 단계와;
    펌핑된 2차 발전용수(6100)가 재 송수파이프(5120)의 상단 끝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2차 중력가속도 발생 용기(5260)를 경유하여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해 낙하됨으로서 2차 발전수차(5130)를 구동시켜 2차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4. 경사지게 구성되는 하천이나 계곡에 기초 콘크리트(1150)을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1150)의 상단부에 1차 저수장치(1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와 3m~500m의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에 2차 저수용 블럭(8000)을 설치하여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에서 유입되는 1차 발전용수(1100)를 저수시키도록 2차 저수장치(9000)를 구성시키며,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의 내부에는 거꾸로 U자 형태를 이루는 유입파이프(1110)가 구성되고, 상기 유입파이프(1110)에는 유입량 조절밸브(1170)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파이프(1110) 일측에는 하단배출파이프(112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끝단부에는 1차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최저 저수수위와 대응되는 높이를 이루는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는 상부가 넓고 하단부는 좁게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 수차(3000)가 설치되며, 상기 2차 저수장치(9000)의 내부와 1차 저수장치(1000)의 상단부 사이에는 재 송수파이프(5120)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상부에는 공기배출파이프(1510)가 공기 배출량 조절밸브(1500)와 함께 구성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하부에는 2차 저수장치(9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8100)를 상기 1차 저수장치(1000)로 재 펌핑하여 주는 송수 펌프(2200)가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상단 끝단부에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 및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513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80%~99% 폐쇄시킨 상태에서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완전 개방하여 1차 발전용수(1100)가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 및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00% 개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1차 발전수차(3000)를 고 낙차에 의해 발생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고압력으로 방류되는 상기 1차 발전용수(1100)를 이용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되, 1차 저수장치(1000)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1100)의 총량 중에서 80%~95%의 수량을 2차 저수장치(9000)의 내부로 방류하여 1차 발전을 실시하는 단계와;
    전력 수요가 적은 야간에 2차 저수장치(9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8100)를 송수 펌프(2200)를 구동시켜서 1차 저수장치(1000)로 이송 시키는 단계와;
    상기 2차 발전용수(8100)가 1차 저수장치(100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를 경유하여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해 낙하되는 과정에서 2차 발전수차(5130)로 부터 2차 전기가 생산되는 단계;
    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5. 경사지게 구성되는 계곡에 기초 콘크리트(1150)을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1150)의 상부에는 1차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의 하부에는 하단배출파이프(1120)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내측에는 유입량 조절밸브(1170)가 구비된 유입파이프(1110)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외측에는 U자형 이송파이프(113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의 하단부 일측에는 이물질제거용 청소구(1301)가 구성되며,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의 하단부에는 취수파이프(1303)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취수파이프(1303)에는 취수펌프(1306)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취수파이프(1303)에는 취수량 조절밸브(1302)가 구비되며,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의 일측에 상부에는 재 송수파이프(5120)를 ㄱ자 형태로 연결 구성하고,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단부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게 구성되는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260)가 연결 구성되며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단부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게 구성되는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26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260)의 하부에는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1780)를 구성하며,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와 5m~500m의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 하천이나 바다에는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의

    하단부에는 취수파이프(1303)가 구성되고, 상기 취수파이프(1303)에는 취수펌프(1306)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취수파이프(1303)에는 취수량 조절밸브(1302)가 구비되며,


    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1130)와 재 송수파이프(5120)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위치에는 1차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최저 저수수위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어 가로 방향으로 끝단부 이송 파이프(119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끝단부 이송 파이프(1190)에는 끝단부 배출량 조절밸브(1191)가 구비되며, 상기 끝단부 이송 파이프(1190) 하단부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고 상부는 오픈되게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상부의 크기와 하단부의 크기가 같은 굵기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수차(30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끝단부 배출량 조절밸브(1191)와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폐쇄시킴과 함께 취수펌프(1306)를 구동시킴으로서 하천 또는 바다속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취수파이프(1303)와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재 송수파이프(5120)를 통해 민물 또는 바닷물을 상부로 이송시켜서 1차 저수장치(1000)로 펌핑하는 단계와;

    상기 펌핑된 용수가 2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260)를 경유하여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해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2차 발전수차(1780)를 구동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의 내부에 민물 또는 바닷물을 모두 채운 상태에서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와 끝단부 배출량 조절밸브(1191)를 개방시키고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와 취수량 조절밸브(1302)를 80%~99% 폐쇄시킨 상태에서 1차 저수장치(1000)에 채워져 있는 민물 또는 바닷물을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결합되는 U자형 이송파이프(1130)와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에 가득 채우는 단계와;
    상기 1차 배출량 조절밸브(3200)를 완전 개방시켜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용수가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1차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 높은 위치에 있는 산의 정상이나 산의 중간 부분이나 밭이나 논 또는 산간 계곡에 물이 저수되는 다수의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가 높이를 달리하여 층층을 이루면서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의 일측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발전용수들이 결빙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발열장치(2500)가 구성되며, 상기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의 최 하단 저수수위에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가 연결되고,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에는 배출량 조절밸브(1191)가 구비되며, 상기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의 일측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를 이루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가 연결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수차(3000)가 설치되고, 상기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 보다 낮은 수위를 이루는 바다, 하천, 댐 또는 저수지에는 용수를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로 송수하기 위한 재 송수파이프(512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에는 송수 펌프(2200)가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상을 이루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하단부에는 상부의 크기와 하단부의 크기가 같은 굵기로 이루는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5130)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1191)를 개방하여 다단계 저수용 탱크(1600)에 저수된 용수를 끝단부 이송파이프(1190)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해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로 낙수되도록 함으로써 1차 발전수차(3000)에서 전기가 생산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송수펌프(2200)를 가동하여 하류측 용수를 재 송수파이프(5120)를 통해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로 이송시킴으로서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해 낙수되는 수압에 의해 2차 발전수차(5130)에서 전기가 생산되도록 하는 단계;
    를 통하여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 산간 계곡에 1차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와 5m~500m의 고도 차이가 발생하는 하류지역에 2차 저수장치(2000)를 설치하며,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에 저장된 1차 발전용수(1100)를 하류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하단배출파이프(1120)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의 일측에는 유입량 조절밸브(7520)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상기 2차 저수장치(2000) 사이에는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일측에는 1차 저수장치(1000)에 저수되는 1차 발전용수(1100)가 방류 될 때에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1차 발전용수(1100)의 최저수위와 동일한 높이까지 수평상태를 이루는 직각상승 파이프(5880)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직각상승 파이프(5880)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을 촉진시켜서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되어 낙하되는 발전용수의 마찰작용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수차(3000)가 설치되며, 상기 1차 발전수차(3000)의 하부에는 금속 조각이나 모래 또는 자갈 또는 흙과 같은 중량 물질을 이송시켜주는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가 구성되고, 상기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에서 이송시켜주는 중량 물질을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로 이송시켜서 다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로 발전용수와 함께 낙하되도록 하기 위해 상승 컨베어벨트(2800)가 일정 경사각을 이루어 구성되며, 상기 2차 저수장치(2000)에 저수되는 2차 발전용수(6100)의 최저수위까지 펌핑하여 1차 저수장치(1000)에 저수되는 상기 1차 발전용수(1100)의 최고 저수수위 높이 이상의 위치까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재 송수파이프(5120)가 수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일측에는 송수펌프(2200)가 구성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일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게 구성되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1차 저수장치(1000)의 상단부까지 안내되는 2차 발전용수 이송파이프(5318)가 구성되며, 상기 2차 발전용수 이송파이프(5318)의 일단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를 이루는 2차 배출파이프(5250)가 하향으로 연장 구성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5130)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80%~99% 폐쇄시킴과 함께 유입량 조절밸브(7520)를 완전 개방하여 하단배출파이프(1120)와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와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1차 발전용수(1100)가 채워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00% 개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1차 발전수차(3000)를 고 낙차에 의해 발생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고압력으로 방류되는 1차 발전용수(1100)를 이용하여 1차 발전이 이루어지되, 1차 저수장치(100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1차 발전용수(1100)의 총량 중에서 80%~95%의 수량이 2차 저수장치(2000)의 내부로 저수되도록 함과 함께,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와 상승 컨베어벨트(2800)에서 이송시켜서 공급하여 주는 금속 조각이나 모래 또는 자갈 또는 흙과 같은 중량 물질들과 1차 발전용수(1100)들이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에서 혼합되어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1차 발전수차(3000)에서 연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2차 저수장치(2000)에 채워져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를 송수 펌프(2200)와 재 송수파이프(5120)를 이용하여 1차 저수장치(1000)로 이송 시킴과 동시에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2차 발전수차(5130)를 이용하여 상기 2차 저수장치(2000)에 저장되어 있는 2차 발전용수(6100)의 총저수량이 80%~95%까지 소비 될 때까지 재펌핑 하여 2차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의 반복을 통해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8. 고층건물의 상부에 1차 발전용수(1700)를 저장하도록 1차 저수장치(1800)가 구성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800)에서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와 연결되도록 직각 낙하 연결 파이프(1701)가 구성되며, 상기 직각 낙하 연결 파이프(1701)의 일측에 연결 구성되되 1차 저수장치(1800)의 하단부 최저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구성되도록 직각 상승 파이프(1703)가 구성되고, 상기 직각 상승 파이프(1703)의 일측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를 이루는 중력 가속도 작용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상단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가 연결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하부에는 1차 발전수차(3000)가 설치되고, 상기 고층건물에 인접한 하천이나 강 또는 댐이나 바다 속에 저수되어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를 1차 저수장치(1800)로 펑핑 시키기 위한 송수펌프(2200)가 구비된 재 송수파이프(5120)를 일정 높이를 이루어 수직으로 구성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일측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상을 이루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1차 저수장치(1800) 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중단에는 추가적인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90)가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 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하부에는 상단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상의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80%~99% 폐쇄시킴과 함께 유입량 조절밸브(1706)를 완전 개방하여 직각 낙하 연결 파이프(1701)와 직각 상승 파이프(1703)와 중력 가속도 작용발생용기(5000)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내부에 1차 발전용수(1700)가 채워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00% 개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를 통한 낙수 압력에 의해 1차 발전수차(3000)에서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송수 펌프(2200)를 구동하여 2차 발전용수(6100)를 재 송수파이프(5120)를 따라 1차 저수장치(1800)로 펌핑 시키는 단계와;
    상기 펌핑된 용수가 2차 배출파이프(5250)를 통해 낙수 되어짐으로서 2차 발전수차(5130)에서 2차적인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의 반복을 통해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9. 일정 비중을 갖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이 수납되는 수납용기(3388)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용기(3388)의 상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하며, 상기 발전수차(3000)의 상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을 이루는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가 설치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 하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상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이송시켜주는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가 구성되며, 상기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 일측에는 이송되어진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상승파이프(3390)를 통해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의 내부로 펌핑하기 위한 이송펌프(3380)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통로를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납 용기(3388)에 채워져 있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시킨 후 이송펌프(3380) 구동에 의해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로 공급하여 내부에 채워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개방하여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의 가중된 중력의 힘으로 상기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0. 수문 또는 권양기 수문을 사용하여 산간 계곡이나 하천에 흐르는 물을 막아서 저수장치(6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저수장치(6000)로 흘러들어 오는 물을 낮은 곳으로 방류하여 발전 할수 있도록 저수장치(6000)의 하단부를 기점으로 수평 이송수로(8900)를 50m~5000m의 길이로 가로 방향으로 구성시키며, 수평 이송수로(8900)의 일측에는 발전용수의 배출량을 0.1초에서 20초 간격으로 배출하도록 조절하여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발전용수들이 서로 당겨지면서 뭉쳐지는 물질분자 뭉침 작용과 물질분자 결합 작용을 조절하여 주는 1차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8901)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의 끝단 부에 중력 가속도 작용은 발생되지만 만유인력의 작용이 발생되지 못하도록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나팔 형태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구성하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의 일측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덩어리 형태로 분리시켜서 발전수차를 향하여 낙하 시킬 때에 분리된 물질의 사이 사이에 자연적으로 공기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분리된 상태로 낙하하는 낙하 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서로 당겨 주거나 뭉쳐지도록 작용하는 물질분자 뭉침작용과 물질분자 결합 작용을 차단하여 주도록 작용하는 공기유입구(3701)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에는 발전 용수 또는 발전용수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의 하단부에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기압의 영향과 기류변화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의 영향을 차단하여 주는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를 3m~1000m의 수직 길이로 길게 설치하며, 상기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의 하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1차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8901) 또는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0.1초에서 30초 간격으로 개폐 작동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를 통과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각각 따로 따로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뭉쳐진 상태로 낙하 하면서 낙하하는 물체의 힘을 더욱더 가중시켜주는 중력 가속도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증강하는 강한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1. 일정 비중을 갖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수납 하는 수납 용기(3388)를 구성하고, 상기 수납 용기(3388)의 상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하며, 상기 발전수차(3000)의 상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를 이루는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의 배출량과 배출속도를 제어해주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일측으로 이송시켜주는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가 구성되며, 상기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에서 이송시킨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상승파이프(3390)을 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8)의 내부로 펌핑하여 주는 이송펌프(3380)가 구성되고, 상기 상승파이프(3390)의 끝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은 발생 되지만 만유인력의 작용이 발생되지 못하도록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배출파이프(3108)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조절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통로를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납 용기(3388)에 채워져 있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와 이송펌프(3380)의 구동을 통해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개방하여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의 가중된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함과 동시에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를 이용하여 이송펌프(3380)로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상부로 이송시켜서 펌핑하는 연속적인 반복 동작을 통하여 전기의 연속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2. 일정 비중을 갖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수납하는 수납용기(3388)를 구성하고,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일측으로 이송시켜주는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가 구성되며, 상기 가로 이송용 컨베어 벨트(2900)에서 이송시킨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상승파이프(3390)를 통해 상부로 펌핑하여 주는 이송펌프(3380)가 구성되고, 상기 상승파이프(3390)의 상단부에는 만유인력의 작용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시켜주면서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시켜 주도록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 하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폐쇄시킴과 함께 이송펌프(3380)을 가동하여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 적층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상승파이프(3390)와 발전수차 회전물질배출구(3188)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이송펌프(3380)를 연속 구동시켜서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연속적으로 펌핑시킴으로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에 의해 발전수차(3000)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3. 수문을 이용하여 조성시킨 저수장치 또는 기존에 댐이나 저수지에 조성된 1차 저수장치(1000)의 바닥 지표선(2580)보다도 더 깊은 깊이로 바닥을 깊게 준설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1000) 내의 중간 부분에 중간 제당(8350)을 구성시켜서 일측 저수공간(1199)과 타측 저수공간(1188)을 구획시키며, 상기 중간 제당(8350)의 일측과 타측에 취수파이프(1958,1959)를 상부에서 연결되는 ∩자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취수파이프(1958,1959)의 상부 연결부위에는 일방향으로 펌핑을 실시하는 양수펌프(1955)가 구성되며, 상기 취수파이프(1958,1959) 각각에는 개폐 밸브(1962,1963)가 구비되고, 상기 취수파이프(1958,1959)의 일측과 타측에 만유인력의 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생 시키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직각 낙하 하도록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6,1957)를 연결 구성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6,1957)의 상부에는 각각 배출 조절밸브(1960,1961)를 구성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6,1957)의 하부에는 전기를 생산하여주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 조절밸브(1960)와 개폐 밸브(1963)를 폐쇄시킴과 함께 취수파이프(1958)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7)와 양수펌프(1955)를 이용하여 일측 저수공간(1199)에 저수되어 있는 발전 용수 총량 중에서 80%~95% 를 타측 저수공간(1188)으로 펌핑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7)의 하단부에 구성된 발전수차(3000)를 연속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와;
    폐쇄되어 있는 상기 배출 조절밸브(1960)와 개폐 밸브(1963)를 개방시킨후 배출 조절밸브(1961)와 개폐 밸브(1962)를 폐쇄시켜 놓은 상태에서 전기 생산이 필요한 시간에 타측 저수공간(1188)에 저수되어 있는 발전용수를 취수파이프(1959)와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6)와 양수펌프(1955)를 이용하여 타측 저수공간(1188)에 저수되어 있는 발전 용수 총량 중에서 80%~95% 를 일측 저수공간(1199)으로 펌핑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1956)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연속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4. 강이나 하천에 수문을 설치하여 1차 저수장치(7000)를 구성하고,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하단부에는 ㄷ자형 하천수 유입구(1118)가 연결되며, 상기 하천수 유입구(1118)에는 유입량 조절밸브(1170)가 구비되고, 상기 하천수 유입구(1118)와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로 유입되는 이물질들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망(888)이 구성되며, 상기 하천수 유입구(1118)의 일단부에는 하천 지형에 따라 하천수가 낙하하도록 하강파이프(58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하강파이프(580)의 일단부에는 낙하하는 하천수를 상승 이동시켜주는 상승파이프(5858)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상승파이프(5858)의 일단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나팔 형태의 배출구(3108)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와 고도차이가 3m~1000m의 하류부분에는 2차 저수장치(6000)가 구성되며, 상기 2차 저수장치(6000)의 내부 지반고(590) 보다도 1m~50m 더 깊은 위치에서 발전수차 조작실(591) 내부에 발전수차(3000)가 설치되고, 상기 발전수차 조작실(591)의 하류에는 상측은 좁고 하류부분은 넓은 형태의 하천수 배출구(592)가 구비되며, 상기 발전수차 조작실(591) 상부에는 만유인력의 작용이 발생되지 못하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나팔 형태를 이루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나팔 형상의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고, 상기 2차 저수장치(6000)의 하상 바닥층에서 시작되어 ㄱ자 형태로 재 송수파이프(5120)가 설치되며,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일측에는 송수펌프(2200)가 구비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일단부에는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가 구성되며, 상기 2차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260)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형상의 2차 배출파이프(5250)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2차 배출파이프(5250)의 하부에는 2차 발전수차(5130)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폐쇄시켜서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내부에 1차발전용수(1100)를 가득 채우는 단계와;
    이후,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폐쇄 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1170를 개방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1차 발전용수를 가득채우는 단계와;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개방하여 상기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1차 발전용수(1100)의 양이 80%~95%가 소진 될 때까지지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와;
    상기 2차 저수장치(6000)에 저수되어 있는 2차 발전용수(6100)를 상기 송수펌프(2200)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저수장치(7000)의 내부로 80%~90%가 펌핑 될 때 까지 펌핑함과 동시에 상기 2차 발전수차(513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의 반복을 통하여 연속적인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5.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7, 청구항 9, 청구항 11,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도록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이중 높이 조절 파이프(5811)를 삽입 구성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 상하조절이 가능하도록 승하강장치(5810)를 구성한 후 상기 상하 승하강장치(5810)의 하단부 타측을 상기 이중 높이 조절 파이프(5811)에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에는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중높이 조절파이프(5812)가 구성되고, 상기 이중높이 조절파이프(5812)의 일측에는 상하 이동파이프(5818)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상하 이동파이프(5818) 상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생 시켜 주도록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형태로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상하이동파이프(5818)의 일측과 이중높이 조절파이프(5812)의 타측에는 상하 높이조절 승하강 장치(5813)가 구성됨으로, 수시로 변하는 하천수 유입수위에 따라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높이 조절이 실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차의 회전날개를 탈부착이 가능한 착탈 조립식 결합구조로 구성하여 전기 생산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차의 회전날개를 스크류 형태로 구성하여 전기 생산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저수장치를 고도 차이를 주는 계단 형태로 9단계 이상 연속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연속적인 용수의 순환 이송을 통해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19.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저수장치(1000) 일측에는 다수개의 물저장탱크(11177)를 구성한 후 상기 물저장탱크(11177)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998)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998)의 사이에 물이나 바닷물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낙하 하면서 만유인력의 작용을 방지하여 주도록 다수개의 통공구(991)이 구성되는 만유인력작용 방지판(999)이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도록 수납 구성되며, 상기 만유인력 작용방지판(999)의 일측에 상기 만유인력작용 방지판(999)를 전진운동과 후진작동을 시켜주는 연결막대(997)가 수납 구성되고, 상기 연결막대(997)의 타측은 상기 만유인력의 작용 방지판(999)를 전진운동과 후진작동을 시켜주는 크랭크축(996)이 수납 구성되며, 상기 크랭크축(996)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크랭크축(996)을 지지시켜주는 지지축(995)이 각각 수납 구성되고, 상기 크랭크축(996)의 일측에는 회전모타(993)가 수납 구성된 상태에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에 투입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당김 현상과 접착력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이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를 통하여 낙하 할 때에 분리된 다수의 덩어리 형태로 뭉쳐서 낙하하면서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 시키도록 만유인력의 작용 방지판(999)을 회전모타(993)가 1초에서 20초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진과 후진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2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직각상승 파이프(5880)의 상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끼움식 연결 파이프(5332)가 구성되고, 상기 끼움식 연결 파이프(5332)의 내부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파이프(5320)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끼움식 연결 파이프(5332)와 상기 상하이동파이프(5320)의 외부에 상기 끼움식 연결 파이프(5332)와 상기 상하이동파이프(53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주도록 상하 승강작동장치(5333)가 구성되고, 상기 가로 이송 파이프(5320)의 끝단부에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배출파이프(5335)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파이프(5335)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아지는 나팔형태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상단부가 오픈 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상측 원형 공간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낙하 할 때에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물질분자들 끼리 서로서로 잡아당기면서 결합 하는 물질분자 결합 작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작용시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낙하 속도를 강화시켜주는 공기를 유입시켜주는 다수개의 공기 출입구(5039)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5200)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시키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전기를 생산 할 때에 수시로 변하는 하천수 유입량에 따라서 배출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하 승강작동장치(5333)를 이용하여 하천수 유입량에 따라서 가로이송파이프(5380)와 배출파이프(5335)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유입수위와 배출수위에 관계없이 항상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2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질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상승 컨베어벨트(2800)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이송시킨 후 상승 컨베어벨트(2800)와 결합하여 경사진 오픈 배출방식으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 이송통로(7200)를 구성한 후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 이송통로(7200)의 끝단 하단부에 발전기(3232)와 결합되어 있는 로타리 컨베어식 발전수차(3131)를 설치함으로써 중량물질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낙하시켜서 로타리 컨베어식 발전수차(3131)에서 발전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낙하 할 때에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뭉쳐서 낙하하면서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 시킴과 동시에 서로 당기거나 접착력을 유지하면서 뭉쳐지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시켜주는 물질분자 분리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측에 내부 배출구(7577)를 구성하고,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구(7575)를 물질분자배출량 조절장치(7576)와 결합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구(7575)의 개폐 주기를 0.1~5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반복 시행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로 낙하하도록 조절하여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된 힘을 더욱더 가중시키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가중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24.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7,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에 하천이나 강을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인위적으로 투입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뭉쳐지면서 발생되는 당김 현상과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결합하는 접착력을 차단시켜주는 작용을 발생 시켜주도록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에 배출량 조절구(9893)을 구성하고, 상기 배출량 조절구(9893)의 내부에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 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주도록 구비되는 배출량 조절판(9900)을 배출량 조절장치(9890)와 결합하여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장치(9890)를 이용하여 배출량 조절판(9900)의 개폐 주기를 0.1~ 1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반복 시행하여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따로 따로 분리되어 낙하 하도록 조절하여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된 힘을 더욱더 가중시키면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가중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2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각각의 가이드(7578)가 수납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7578)의 내부에 물이나 바닷물로 이루어지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서로 당겨주면서 뭉쳐지는 물질분자 물침 작용이 발생되지 못하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발전수차로 낙하 할 때에 0.1초에서 10초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낙하 하도록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배출구(7577)를 개방하는 작동과 폐쇄시키는 작동을 하도록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를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73)와 결합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52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를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73)를 이용하여 0.1초에서 10초의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진과 후진작용을 발생시키면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5200)를 통하여 낙하 할 때에 뭉쳐진 다수의 덩어리 형태로 각각 따로따로 분리되어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더욱더 강해진 힘으로 낙하하면서 증강되는 강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26.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7,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 일측에 회전축(7581)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7581)에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발생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서로 뭉쳐지는 작용과 서로 당겨 지면서 낙하 속도를 낮추어 주는 물질분자 뭉침작용을 차단하여 주거나 조절하여 주는 개폐식 배출량 조절판(7582)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7581)의 상측에 회전축 조절장치(7587)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통로를 0.1~ 15초 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고 서로 당겨주는 현상을 차단 당하면서 자연스럽게 덩어리 형태로 뭉쳐진 상태로 순차적으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통로를 낙하하면서 자연스럽게 가중된 힘을 더욱더 가중되게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증강되어 발생하는 중력 가속도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2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의 가이드(7553)가 수납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7553) 내부 일측과 타측에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구(7551)를 각각 수납 구성하며, 상기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구(7551)의 일측에 각각의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52)를 결합 하고, 상기 가이드(7553)의 하단부에 중간이 중간판(3123)에 의해 분리되도록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52)를 0.1초에서 30초 간격을 두고 반복 조절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배출구(7577)를 통하여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로 순차적으로 낙하 할 때에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 당함에 따라 서로 각각 따로 따로 분리된 형태로 낙하 하면서 더욱더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2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 중간에 회전축(6551)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6551)에 회전식 개폐 밸브(6551)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축(6551)의 일측에 회전축 조절장치(6552)를 구성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와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 조절장치(6552)를 이용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배출구(7577)를 개방하는 작동과 폐쇄시키는 작동을 0.1초에서 30초 간격을 두고 반복 작용시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하단부로 낙하 할 때에,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 당함에 따라 서로 각각 따로 따로 분리된 형태로 낙하 하면서 더욱더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2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상단부에는 상단지지대(6558)를 구성시키고,하단부 중간에 회전축 지지대(6557)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 지지대(6557)에 회전축(6556)을 구성하며, 상기 회전축(6556)의 상측에 회전축(6556)을 회전시켜서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배출구(7577)를 개폐시켜주는 개폐작동장치(6554)를 구성시키고, 상기 회전축(6556)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 일측과 타측 사이에 다수개의 통공구(6560)가 구성되어 있는 고정원판(6555)을 고정시켜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6556) 중간에 상기 고정원판(6555)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통공구(6560)와 같은 위치와 같은 크기로 통공구(6559)가 구성되는 회전원판(6553)을 구성시키는 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측 내부배출구(7577)를 개폐시켜주는 개폐작동장치(6554)를 이용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배출구(7577)를 개방하는 작동과 폐쇄시키는 작동을 0.1초에서 30초 간격을 두고 반복시켜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하단부로 낙하 할 때에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 당함에 따라 서로 분리된 형태로 낙하 하면서 더욱더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0.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7,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 중앙에 회전축(5521)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5521)에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발생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서로 뭉쳐지는 물질뭉침작용과 서로 당겨 지면서 낙하 속도를 낮추어 주는 물질분자 결합작용을 차단하여 주거나 조절하여 주는 회전식 배출량 조절판(5523)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5521)의 상측에 회전축 조절장치(5520)을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낙하 할 때에 자연스럽게 뭉쳐지는 물질뭉침작용과 물질결합작용에 따라 물질분자 끼리 서로 당겨 지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차단시켜 주도록 회전식 배출량 조절판(5523)을 0.1~ 15초 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고 서로 당겨주는 현상을 차단 당하면서 자연스럽게 다수의 덩어리 형태로 뭉쳐진 상태로 순차적으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통로를 통하여 낙하 하면서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증강되어 발생하는 중력 가속도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직각 낙하 할 때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증강된 중력의 힘을 가중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의 내부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시키며, 상기 바람 차단파이프(6800)의 하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를 통하여 낙하 하면서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키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배출과정에서 배출량 조절밸브(5800)에 의해 배출간격을 0.1초에서 30초 간격으로 조절함으로써, 다수의 덩어리 형태로 분리되어 낙하 되도록 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증강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2.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차 저수장치(6000)에는 대량의 발전용수들을 저장하기 위하여 2층 저수장치(30000)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양수발전용수가 확보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역으로 이용하면서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3.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차 저수장치(7000) 및 2차 저수장치(6000)에는 수평 이송수로(8900)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일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 용기(5000) 하부에는 상단부의 크기와 하단부의 크기가 같은 굵기로 구성되는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를 2m~1000m의 수직 길이로 길게 연결 설치하고,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 하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 상태에서,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를 통해 안정적으로 낙하되는 용수 압력에 의해 발전수차(3000)의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서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담겨지는 발전용기(8383)를 구성시킨 후, 상기 발전용기(8383)의 상단에 트러스 프레임 형태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 안치대(83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작용 발생용기 안치대(8300)의 중앙에 바람과 같은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를 구성시키며, 상기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의 하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 상기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의 굵기 보다도 작은 크기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의 일측에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를 통하여 상기 발전수차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벽돌과 같이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뭉쳐서 낙하 하도록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의 통로를 0.1초에서 30초간격을 두고 개폐 작동을 하여주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시키고, 상기 발전용기(8383)와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사이에 재 송수파이프(5120)를 구성시키며, 재 송수파이프(5120)의 하단부에 송수펌프(2200)를 구성시키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단부에 2차 발전수차(513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폐쇄시키고, 송수펌프(2200)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가득 채우며, 이와 함께 2차 발전수차(513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면서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0.1초에서 30초 간격으로 개폐 작동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3130)를 통과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다수의 덩어리 형태로 뭉쳐진 상태로 낙하 하면서 낙하하는 물체의 힘을 더욱더 가중시켜주는 중력 가속도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증강하는 강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바람과 같은 외부 영향을 차단하여 주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가이드 역할을 하여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구성시키고,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에 가이드 통로 (7577)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와 가이드 통로(7577) 사이에 각각의 1층 가이드(7578)와 2층 가이드(7581)가 각각 수납 구성되고, 상기 1층 가이드(7578)와 2층 가이드(7581)의 내부에 각각의 1층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와 2층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9)가 수납되며, 상기 1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와 2층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9)의 후면에는 각각의 1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73)와 2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80)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2층 밀대형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9)를 이용하여 2층 가이드(7581)의 내부 통로를 차단시키고, 1층 가이드(7578)와 결합 되어 있는 1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와 1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73)를 이용하여 1층 가이드(7578)통로를 0.1초에서 10초 동안 개방하여 가이드 통로 (7577)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투입시키며, 1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실린더(7572)와 1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73)를 이용하여 가이드통로(7577)의 상단부를 폐쇄 시키고, 2층 물질분자 배출량 조절장치(7580)를 이용하여 가이드통로(7577)의 하단부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발전수차(3000)로 낙하시키는 과정을 0.1초~20초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가이드 통로(7577)를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잡아당기는 물질분자 뭉침작용과 물질분자 결합작용의 지배를 받지 않고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가중되어 증강 되는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6. 민물이나 바닷물 또는 비중이 무거운 화공약품이나 비중이 무거운 수은과 같은 액체성 물질 또는 작은 크기로 만들어진 금속 덩이 또는 모래 또는 자갈이나 잘게 부순 깬돌이나 파쇄시킨 콘크리트 조각 또는 비중이 무거운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수납 하는 수납 용기(3388)가 구성되고,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 적층되는 상기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상측으로 펌핑시켜주는 이송펌프(2200)가 구성되며, 상기 이송펌프(2200)의 상부에 재 송수파이프(5120)가 구성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단부 하단에 2차 발전장치(5130)가 구성되며, 상기 2차 발전장치(5130)의 하부에 상부 충격흡수용기(6801)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 충격흡수용기(6801)의 일측에 상부 배출구(6802)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배출구(6802)의 일측에는 펌핑수단(6806)이 구성되고, 상기 펌핑수단(6806)의 일측에 이송 파이프(5028)가 구성되며, 상기 이송파이프(5028)의 하단부에는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게 나팔 형태를 이루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에 구성 되는 회전날개의 가로 넓이와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 파이프(1111)가 결합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1111)의 일측에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1111)를 통하여 하부의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덩어리 형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따로따로 뭉쳐서 낙하 하도록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1111)의 통로를 0.1초에서 30초간격을 두고 개폐 작동을 주기적으로 하여주도록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1111)의 타측에 공기 유입구(3701)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펌프(2200)를 구동시켜서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 적층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재 송수 파이프(5120)를 통해 상부 수납용기(6801)로 펌핑시키고,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부 배출구(6802)를 통하여 펌핑수단(6806)으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0.1초에서 20초간격을 두고 압축 펌핑하며, 이송파이프(5028)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0.1초에서 20초간격을 두고 이송 시킨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이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1111)를 통하여 각각 분리된 덩어리 형태로 뭉쳐지면서 순차적으로 낙하 할 때에 공기 유입구(370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들이 낙하하는 물질분자들 사이사이에 유입되면서 낙하하는 물질끼리 서로 달라 붙지 않도록 작용하여 강한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직각 낙하 할 때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증강된 중력의 힘을 가중시켜주도록 직사각 형태로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를 10cm~100cm의 크기로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비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가 상부에 구성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에는 직각 낙하하는 발전용수들이 직각 방향으로 낙하 하도록 유도하여 주어 발전효율을 높혀 주도록 직각 낙하 발전용수 흐름유도판(3331)을 칸막이 형태로 다수개 구성시키고, 상기 직각 낙하 발전용수 흐름유도판(3331)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비된 상태에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중력 가속도 작용 유도파이프(6900)를 통하여 낙하 하면서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발전을 할 때에, 직각 낙하 발전용수 흐름유도판(3331)의 유도에 의해 발전용수들이 흐트러짐 없이 직각 낙하하도록 유도하여 발전효율을 높혀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 하부에는 다수개의 발전수차(3000)를 구성하되,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배출량 조절밸브 가이드(7578)가 구성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 가이드(7578)에는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에서 배출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주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중력 가속도 작용을 증강시켜서 발전량을 중강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공기 자동 유입구(5051)를 구성시키고,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 연결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 하부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방향을 조절하여 주는 유도판(5059)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이 순차적으로 낙하 할 때에 다수의 덩어리 형태로 낙하하도록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0.1초에서 15초 간격을 두고 개폐작동을 실시 하며, 이러한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개폐작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다수의 덩어리 형태로 분리되어 뭉쳐지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면서 낙하 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공기 유입구(5051)에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 상부에는 다수개의 발전수차 회전물질 다중 배출구(5009)가 구성됨으로서,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이 발전수차 회전물질 다중 배출구(5009)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낙하 할 때에 덩어리 형태로 분리된 상태로 낙하하도록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0.1초에서 15초 간격을 두고 개폐작동을 실시 하여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개폐작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덩어리 형태로 분리되어 뭉쳐지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물질분자 뭉침작용과 물질분자 결합작용에 따라 낙하 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4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 하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형태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바람과 같은 영향을 차단하여 주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가이드 역할을 하여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비되되,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에는 1차 가이드(7589)를 구성시키고, 상기 1차 가이드(7589)의 내부에 전진과 후진작동을 할 수 있도록 1차 배출량 조절 밸브(5888)를 구성하며, 상기 1차 가이드(7589)의 하단부에 다수개의 물질분자 성형구(7590)를 구성시키고, 상기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일측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과 같은 물질들이 규격화 되도록 성형시켜서 낙하시키는 물질분자들이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할 때에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서로 달라 붙는 점성력과 서로 결합하려고 하는 물질분자 결합 작용을 차단시키도록 공기를 유입시켜주는 다수개의 공기 출입구(7591)를 구성시키며, 상기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하단부에 2차 가이드(7578)를 구성시키고, 상기 2차 가이드(7578)의 내부에 전진과 후진작동을 할 수 있도록 2차 배출량 조절 밸브(5888)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를 폐쇄 시킨 후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유입시키고, 2차 배출량 조절밸브(5889)를 이용하여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하단부를 폐쇄시킨 후,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를 0.1초~ 20초의 시간동안 개방하여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내부에 일정량의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유입시키며,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를 이용하여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상단부를 폐쇄 시킴과 동시에 2차 배출량 조절밸브(5889)를 순차적으로 개방하고, 이때 물질분자 성형구(759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발전수차(3000)로 낙하시키는 과정을 0.1초~50초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공기 출입구(7591)를 통하여 자동유입되거나 배출하여주는 공기에 의해 물질분자 끼리 결합 하려고 하는 물질분자 결합작용이 방지되면서 낙하력이 가중되어 증강 되는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41. 청구항 4,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원형 공간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낙하 할 때에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물질분자들 끼리 서로서로 잡아당기면서 결합 하는 물질분자 결합 작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작용시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낙하 속도를 강화시켜주는 공기를 유입시켜주는 다수개의 공기 출입구(5039)를 구성시키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시키며,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가 구비된 상태에서,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0.1초에서 15초 간격을 두고 개폐작동을 실시 하여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개폐작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덩어리 형태로 분리되어 뭉쳐지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뭉쳐지거나 서로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물질분자 뭉침작용과 물질분자 결합작용에 따라 낙하 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공기 출입구(5039)에서 자동으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가 발생시키는 만유인력 조절작용에 따라 낙하 하는 물질분자들이 서로 달라 붙거나 결합 하지 않는 층분리 작용에 의해 서로 결합되지 않으면서 더욱더 낙하 속도가 증강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가속도 작용에 따라 더욱더 강해지는 강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42. 하천이나 강을 깊게 준설하고 하천 양안을 정비한 후 하천의 전단면 전폭과 전체 길이의 수위 레벨에 따라 저수장치를 다단계로 연속적으로 구성한 후 고도 차이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1단계 저수장치의 하단부에서 시작하는 발전용수 이송 배출파이프(1988)를 각각 하천의 지하에 매설을 시작하여 하천의 하류 낮은 곳에 구성되는 3단계 저수장치 또는 7단계 저수장치의 하단부까지 상기 발전용수이송 배출파이프(1988)를 지하에 매립 설치하고, 상기 3단계 저수장치 또는 7단계 저수장치의 내부 상부에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바람과 같은 외부 작용을 차단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결합 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는 공기를 유입시켜주는 공기유입파이프가 결합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에 발전용수를 즉시 배출시켜주거나 또는 0.1초에서 30초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결합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가 각각 결합 구성되며, 상기 1단계 저수장치의 하단부 위치와 같은 레벨에 상단부 위치가 위치 하도록 구성되는 직각 이송 파이프(1999)를 상기 3단계 저수장치 또는 7단계 저수장치의 상측에 구성되는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상측까지 설치하고, 상기 직각 이송 파이프(1999)의 상측에 발전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상기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3308)를 이용하여 상기 발전용수 이송 배출파이프(1988)와 상기 직각 이송 파이프(1999)를 폐쇄하여 상기 발전용수 이송 배출파이프(1988)와 상기 직각 이송 파이프(1999)의 내부에 발전용수를 저장시킨후, 상기 발전용수 배출량 조절밸브(3308)를 개방하여 상기 1차 저수장치에서 중력의 작용에 따라 자동으로 유입되는 발전용수를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이용하여 1단계 저수장치에서 유입되는 발전용수들을 즉시 배출시켜주거나 또는 0.1초에서 100초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배출시킴으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들이 서로 분리되어 낙하하면서 가중되어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4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청구항 4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발생용기(5000) 하부에는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가이드 역할을 하여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되,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에 가이드(7578)를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7578)의 일측에 만유인력의 작용을 조절하여 주는 작용을 발휘하여 주는 공기를 유입시켜주거나 배출시켜주는 공기 출입구(7591)를 구성하며, 상기 1차 가이드(7589)의 내부에 전진과 후진작동을 할 수 있도록 스프링(5118)이 삽입되고 스프링(5118)을 고정시켜주는 스프링 고정핀(5119)과 결합 되는 배출량 조절 밸브(5800)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량 조절 밸브(5800)의 일단부에는 회전모타(5115)와 결합되는 크랭크축(5116)이 구성되며, 상기 크랭크축(5116)의 중앙에는 캠밸브(5117)가 결합 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회전모타(5115)를 연속 회전시켜서 캠 밸브(5117)의 주기적인 회전에 따라 스프링 고정핀(5119)이 눌려지면서 스프링(5118)이 눌려 짐과 동시에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에서 시간차이를 두고 주기적으로 낙하 되는 발전 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이 정지되고, 회전모타(5115)를 연속 회전시켜서 캠 밸브(5117)의 주기적인 회전에 따라 눌려 있던 상기 스프링(5118)이 신장되면서 폐쇄되었던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개방하여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시간차이를 두고 주기적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공기 출입구(7591)를 통하여 자동으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들이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공간 사이로 공기가 자동으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면서 발생시키는 만유인력의 차단작용에 따라 더욱더 강한 힘을 발휘도록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가중되어 증강 되는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44.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7,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에 배출량 조절장치(19890)와 결합 되는 개폐 수문(3333)을 구성하고, 상기 개폐 수문(3333)의 개폐 주기를 0.1~ 1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상기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따로 따로 분리되어 낙하 하도록 조절하여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가중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4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바람과 같은 영향을 차단하여 주면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가이드 역할을 하여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외부면에는 공기를 유입시켜주는 공기유입구(5160)이 구성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에는 조절실린더(5111)와 결합 되고 작동링크(5112)와 결합되는 상하 개폐식 밸브(5800)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 개폐식 밸브(5800)의 개폐 주기를 0.1~ 1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로 낙하하는 발전용수에 의한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46.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7,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에는 하천이나 강을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인위적으로 투입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뭉쳐지면서 발생되는 당김 현상과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결합하는 접착력을 차단시켜주는 작용을 발생 시켜주도록 배출량 조절구(9893)을 구성하고, 상기 배출량 조절구(9893)의 내부에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 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주도록 구비되는 배출량조절판(9900)을 배출량 조절장치(9890)와 결합하여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장치(9890)를 이용하여 배출량 조절판(9900)의 개폐 주기를 0.1~ 1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수평 이송수로(8900) 또는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를 통하여 상기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따로 따로 분리되어 낙하 하도록 조절하여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가중된 힘을 더욱더 가중시키면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가중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7570 7571,19890설명누락)
  47. 청구항 9, 청구항 11, 청구항 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수납 하는 수납 용기(3388) 일측에 회전모타(3389)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모타(3389)의 상측에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 적층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상부로 이송 시켜주는 회전스크류(5570)가 외부케이스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회전스크류(5570)의 상단부에서 부터 시작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장설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발전기와 결합 되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 상태에서,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 수납 적층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상기 상기 회전모타(3389)와 결합 되어 있는 상기 회전스크류(5570)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이송한 후 낙하 시킬 때에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강한 중력의 힘으로 낙하 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수차(300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48. 청구항 9, 청구항 11, 청구항 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수납 하는 수납 용기(3388)의 일측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상측으로 이송시켜주는 재 송수파이프(5120)를 구성하고, 상기 재 송수파이프(5120)의 끝단부에는 상측은 개방된 형태이며 깔대기 형태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결합되며,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하단부에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는 전기를 생산하여 정격의 전기로 변환 시켜주는 발전장치와 결합 되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되며, 상기 수납 용기(3388)의 내부에는 왕복운동을 통하여 상기 수납용기(3388)의 내부로 투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재 송수파이프(5120)를 통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로 펌핑 시킨다음 개폐작동을 하도록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개폐작동을 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내부공간을 시간차이를 두고 통과한 후 상기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주도록 제1 왕복실린더밸브(1718)가 제1 실린더 가이드(1730)와 결합 되고, 상기 제1 실린더 가이드(1730)의 상측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입구(1998)가 구성되며, 상기 제1 실린더 가이드(1730)의 끝단부에는 제1 상하작동 밸브(100)가 구성되어 상기 제1 왕복실린더밸브(1718)가 압착 시켜주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압착 시켜서 상측으로 밀어 올릴 때에 상기 제1 실린더 가이드(1730)의 통로를 개폐시키게 되며, 제2 왕복 실린더밸브(1189)가 제2 실린더 가이드(1720)와 결합 구성되고, 상기 제2 실린더 가이드(1720)의 상측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입구(1997)가 구성되며, 상기 제2 실린더 가이드(1720)의 끝단부에는 제2 상하작동 밸브(200)가 구성되어 상기 제2왕복실린더밸브(1189)가 압착 시켜주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압착 시켜서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이때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2실린더 가이드(1720)의 통로를 개폐시켜주는 작용을 하며, 제1 왕복실린더밸브(1718)와 제2 왕복 실린더밸브(1189)와 제1 상하작동 밸브(100)와 제2 상하작동 밸브(2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서 상측으로 펌핑시킨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모두 채움과 동시에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초~2분 정도의 간격을 두고 개방시키는 작동과 폐쇄 시키는 과정으로 통하여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발전수차(3000)로 낙하 할 때에 자연적으로 발생시키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따라 증강 되어 작용하는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4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직사각의 박스 형태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낮은 곳으로 배출하여 주는 배출구(525)가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525)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가 구비된 1차 가이드(7579)가 구성되며, 상기 1차 가이드(7579)의 하단부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를 통과한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2차 조절하여 주는 2차 배출량 조절밸브(5889)가 구비된 2차 가이드(7578)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525)의 하단부에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낙하 할 때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바람의 영향을 차단하여 주도록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출구(525)의 크기보다도 5%~20% 더 큰 크기이며 직사각형의 형태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보호파이프(3788)를 구성하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보호파이프(3788)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5889)를 폐쇄시킴과 함께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연속적으로 투입 하고, 이와 동시에 배출구(525)의 내부를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로 채운 상태에서 1차 배출량 조절밸브(5888)를 전진 시켜서 배출구(525)의 상단부를 폐쇄 시키며, 2차 배출량 조절밸브(5889)를 개방하여 배출구(525)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발전수차(3000)로 순차적으로 낙하 시키고, 공기 출입구(7591)를 통하여 자동으로 유입되거나 배츨되는 공기들이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공간 사이로 공기가 자동으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면서 발생시키는 만유인력의 차단작용에 따라 더욱더 강한 중력의 힘을 발휘도록 작용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의 무게가 자연적으로 가중되어 증강 되는 중력의 힘으로 발전수차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50.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펌프(2200)에는 재송수 파이프(5120)가 연결되되, 상기 재송수 파이프(5120) 하부에는 일정한 용량의 물이 담겨 ?을 때에 하중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물레방아 형태의 회전수단(7308)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수단(7308)의 하단부에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차단하여 주도록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 상태에서, 이송펌프(2200)에 펌핑시켜주는 물과 같은 발전용수 또는 자갈이나 모래 또는 금속이나 비철금속등으로 구성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상측으로 펌핑시켜서 상기 회전수단(7308)에 칸칸이 구성되는 수납공간에 이들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일정량 수납되었을 때에 이들이 가지고 있는 질량의 무게가 사전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진 회전수단(7308)의 수납공간을 순차적으로 채운상태가 되면 그 중량물이 발생 시키는 자연적인 회전작용에 따라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순차적으로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5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청구항 4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비되되,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와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 사이에 두쌍의 회전축(5350)과 각각 결합 되는 두쌍의 작동링크(5352)가 구성되고, 상기 작동링크(5352)의 일단부에는 각각의 좌우 방향 개폐 조절실린더(5351)와 결합되는 각각의 좌우 방향 개폐식 밸브(5800)가 구성되는 구조를 구성 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 개폐식 밸브(5800)를 이용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개폐 주기를 0.1~ 25초간격을 두고 개방작동과 폐쇄 작동을 주기적으로 각각 시행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로 따로 따로 분리되어 낙하 할 때에 분리 되어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사이사이에 자동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시키는 만유인력 차단작용에 따라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가속도 작용따라 증강되어 작용하는 증강된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5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청구항 4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되,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사이에는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만유인력의 작용에 따라 서로 결합 하려고 하는 물질결합 작용과 뭉치려고 하는 물질뭉침 작용을 차단하여 주면서 서로 결합 하거나 뭉치지 못하도록 유도하여 주는 가이드 통로(7577)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통로(7577)의 하단부에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한번더 차단하여 주도록 원형 파이프로 구성되는 만유인력 차단 링(7799)이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는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장치와 결합되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일측과 타측에는 링크축(2527)이 구성되며, 링크축(2527)의 일측에는 작동링크(2526)가 결합되고, 작동링크(2526)의 끝단부에는 작동실린더(2525)가 결합되며, 작동실린더(2525)의 후면부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와 결합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 내부에는 링크축(2527)과 2개로 각각 분리 결합 되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을 폐쇄 시켜놓은 상태에서 펌핑 수단을 연속 가동하여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를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을 모두 채움과 동시에 상기 배출량 조절 밸브(5800)를 완전 개방함에 따라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 물질들이 자연적으로 발생시키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가중되어 작용하는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수차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유인력의 작용을 역으로 이용하면서 중력가속도 작용이 가중되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5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수장치(6000)에 연결 구성된 이송수로(8900)의 끝단부에 이송되어온 발전용수를 수직 상승시켜주는 수직상프파이프(9990)를 구성하고, 수직상승파이프(9990)의 하부에는 구경이 증가된 확관부(8500)를 형성하며, 상기 확관부(8500) 하단부에는 배출구(8502)와 배출구 조절밸브(8501)를 구성하고, 기류변화 차단파이프(3700) 하부에는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장치와 결합된 발전수차(3000)를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확관부의 내부에 발전수차가 삽입된 형상을 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4. 경사지게 구성되는 계곡에 기초 콘크리트(1150)을 구성시킨 후, 상기 기초 콘크리트(1150)의 상단부에 콘크리트 또는 토사와 사석을 이용하여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 상기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에 배출파이프(21000)를 구성하며, 상기 배출파이프(21000)의 하단부에 배출량 조절밸브(1170)를 구성시키고, 상기 배출파이프(21000)의 끝단부에 전기를 생산 하도록 발전기와 결합되는 1차 발전수차(20000)를 구성시키며, 상기 저수장치(1000)의 상측에 ∩자 형태로 저층수 배출파이프(23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배출파이프(23000)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27000)를 구성시키며, 상기 배출파이프(23000)의 하단부를 기점으로 중력의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저수장치(1000)로 유입되어 상기 저수장치(1000)의 상층부로 부상하는 하천수들이 자동으로 넘쳐 흐르도록 하협 상광의 나팔 형태로 상승배출파이프(25000)와 가로 이송파이프(26000)를 구성시키고, 상기 가로이송파이프(26000)의 하부에는 상단부가 오픈 된 형태 이면서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상광 하협의 형태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구성시키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구성시키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하단부에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바람과 같은 외풍을 차단하여 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2차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홍수시에 저수장치(1000)의 내부로 과다하게 유입되어 오는 발전용수로 상기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1차 발전수차( 20000)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저층수 배출파이프(23000)와 상기 상승배출파이프(26000)를 타고 넘어 오는 발전용수를 이용하여 상기 2차 발전수차(3000)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55. 청구항 54에 있어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 중앙에 회전축(8606)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8606)은 회전수단(8601)과 결합 되며, 상기 회전축(8606)의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통공(8602)이 구비되는 1층 고정원판(8603)이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층부분과 결합 구성되고, 상기 1층 고정 원판(8603)의 상단부에는 5cm~1m의 두께로 구성 됨과 함께 내부에 다수개의 통공(8600)이 구성되는 2층 회전원판(8605)이 구비되며, 상기 1층 고정원판(8603)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통공(8602)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구성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3000)를 다수개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2층 회전원판(8605)을 회전시켜서 1층 고정원판(8603)에 구성되어 있는 통공(8602)을 폐쇄시킨 후,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회전수단(8601)을 5초~ 3분의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좌우로 이동하여 2층 회전원판(8605)과 1층 고정원판(8603)에 구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통공(8602,8600)으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유입입량이 미리 정해진 양 만큼 유입이 되도록 하고, 회전수단(8601)을 이용하여 2층 회전원판(8605)을 우측으로 이동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통공(8600,8602)을 통하여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연속낙하 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5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청구항 43,청구항5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다수개의 가이드 통로(7577)를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통로(7577)의 상단부에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도록 다수개의 성형틀 공간(8801)이 구성되어 결합되는 배출량 조절밸브(8800)를 배출량 조절장치(8802)와 결합시키며, 상기 가이드 통로(7577)의 하단부에는 상기 성형틀 공간(8800)이 형성시킨 수량 만큼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바람과 같은 외풍을 차단하여 주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는 전기를 생산하여주는 다수개의 발전수차(3000)가 구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장치(8802)가 1초~ 5분 간격을 두고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8800)를 후진작동 시켜서 가이드통로(7577)를 폐쇠시킨 상태에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켜서 성형틀 공간(8800)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일정량 유입 되었을 때에 배출량 조절밸브(8800)를 전진시켜서 배출량 조절밸브(8800)에 구성되어 있는 성형틀 공간(8800)과 가이드통로(7577)가 상하 관통되도록 일체화 시키는 작동과정을 통하여 성형틀공간(8800)에 투입되어 있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0.1초~ 5분의 간격을 두고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발전수차(3000)로 낙하시켜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57.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차(3000)는 회전날개(3882)를 탈부착이 가능한 착탈 조립식 결합체(3383)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발전장치와 결합됨과 동시에 관성의 법칙에 따라 연속 회전하려고 하는 플라이휠 관성법칙 가속 발생용 공간(3385)이 다수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58.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7 ,청구항 43 청구항5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저수장치(1000)의 상단부 둘레에 대량의 발전용수들을 추가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2층 저수장치(30000)를 추가적으로 구성하고, 1차 저수장치(1000)의 일측에 펌핑장치(8871)를 설치하며, 상기 펌핑장치(8871)와 결합하여 저수장치(1000)의 주변에 위치한 높은 산의 정상까지 펌핑파이프(8899)를 설치하고, 상기 펌핑파이프(8899)와 결합하여 상승파이프(8891)를 연결 구성하며, 상승파이프(8891)의 일단부에는 오픈 된 형태 이면서 상부는 넓고 하단부는 좁은 상광 하협의 형태의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 구성되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한 상태에서, 저수장치(1000)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들을 펌핑장치(8871)를 이용하여 펌핑파이프(8899)와 상승파이프(8891)를 통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로 펌핑 시킨후, 배출량 조절밸브(5800)이용하여 펌핑되어온 발전용수들을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낙하 시킬 때에 0.1초에서 10분의 시간적 간격을 두고 발전용수들을 낙하시켜서 발전수차(3000)에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5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이 담겨지는 발전용기(8383)를 구성시키고, 상기 발전용기(8383)의 일측에 이송펌프(2200)와 결합 되는 재송수 파이프(5120)를 구성시키고, 상기 재송수 파이프(5120)의 일단부에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수납하도록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연결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 일측에는 가이드 통로(7577)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통로(7577)에는 통로 개폐량 조절을 위해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도록 배출량 조절밸브(5809)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9)의 하부에는 유입되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압축시켜 주기 위해 전진과 후진 작동을 하는 압축 밀대(5851)가 성형공간(5855)과 압축밀대 가이드(5852)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압축 밀대(5851) 선단부에는 압축판(5853)이 구성되며, 상기 성형공간(5855) 일측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와 연결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 유입통로(7502)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부에는 발전수차(3000)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9)를 전진시켜서 가이드통로(7577)을 폐쇄시킨후 압축 밀대(5851)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발전용기(8383)의 내부로 유입되어 오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이송펌프(2200)와 재송수 파이프(5120)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펌핑시키고, 승,하강 밸브(5813)를 상승시켜서 성형공간(5855)의 끝단부를 차단시키며, 배출량 조절밸브(5809)를 1초에서 5분의 시간동안 후진시켜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들을 성형공간(5855)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이후 배출량 조절밸브(5809)를 전진시켜서 가이드통로(7577)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후진상태에 있는 압축 밀대(5851)를 전진 시켜서 성형공간(5855)에 유입되어진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5500)을 압축 성형시키며, 이후 승,하강 밸브(5813)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압축 밀대(5851)를 전진 시켜서 성형되어진 발전수차회전물질(5500)들을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 유입통로(7502)를 통하여 발전수차(3000)로 낙하시켜서 발전수차(3000)에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 발전기(60000)는 상단 프레임(5096) 상부에 충격 흡수용 스프링(5093)이 구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용 스프링(5093) 상부에는 수납고리(5095)가 구성되어 충격흡수용기(5080)에 대한 완충 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1. 청구항 60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용기(5080)의 상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밀폐 지지를 위한 상하 밀폐 교환장치(5062)가 구성되고, 충격흡수용기(5080)의 일측에는 전기를 생산할 때에 사용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을 배출하여 주는 상측 배출통로(5098)와 하측 배출통로(5099) 연결 부위에서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작용하는 수밀 밀폐 교환 장치(5097)가 구성되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일측에는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내부와 상기 수납 용기(5080)의 내부와 상기 상측 배출통로(5098)와 하측 배출통로(5099)의 내부에 자동으로 수납되는 공기들을 뽑아내어 진공상태를 만들어주도록 진공펌프(5061)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 상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 연결 부위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폐쇄시킨 후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들을 80~98% 채우고, 진공펌프(5061)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내부와 수납 용기(5080)의 내부와 상측 배출통로(5098)와 하측 배출통로(5099)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들을 제거시켜서 진공상태를 형성시키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발전용수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배출량 조절밸브(5800)를 1초~7분의 주기적인 간격을 두고 개폐작동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수납되는 발전용수들을 충격흡수용기(5080)로 주기적으로 낙하시킬 때에 진공상태에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낙하 하는 발전용수의 힘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자석봉(8082)과 절연코일(5081)과 탄성 발생용 스프링(5083)의 반복적인 상승작용과 하강작용에 따른 탄성 발생작용에 의해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2. 청구항 60에 있어서,
    상기 자석봉(5082)의 외부에 다수 가닥의 2중 절연코일(5030)을 중첩되게 감아서 상하 작동자석봉(5010)을 구성하고, 상기 상하 작동자석봉(5010) 중심에는 상하 작동봉(5070)을 삽입하여 구성되어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3. 청구항 60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 발전기(60000)는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진공박스(5188)가 구성되고, 상기 진공박스(5188) 상부에는 충격흡수용기(5080)를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019)이 구성되며, 상기 진공박스(5188) 일측에는 진공펌프(5189)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5189)를 이용하여 진공박스(5188)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들을 제거시켜서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충격흡수용기(5080)에 발전용수들을 1초~7분의 주기적인 간격을 두고 낙하 시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충격력에 의해 진공상태에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상기 자석봉(5082)의 반복적인 상승작용과 하강작용에 따른 중력 가속도 작용과 탄성 발생작용에 의해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4. 청구항 60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 발전기(60000)에는 자석봉(5082) 내부에 장공의 진공공간(5088)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 공간(5088)에는 자석봉(5082)의 상하 작동작용을 촉진시켜주도록 수은 또는 물의 유동성물질(5288)을 10%~80%로 충진시킨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충격흡수용기(5000)에 발전용수들을 1초~7분의 주기적인 간격을 두고 낙하 시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충격력에 의해 진공상태에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상기 자석봉(8082)이 반복적인 상승작용과 하강작용에 따른 중력 가속도 작용과 탄성 발생작용에 의해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5. 청구항 60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 발전기(60000)는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진공박스(5188)가 구성되고, 상기 진공박스(5188) 일측에는 진공펌프(5061)가 구성되며, 자석봉(5082) 내부에 장공의 진공공간(5088)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 공간(5088)에는 자석봉(5082)의 상하 작동작용을 촉진시켜주도록 수은 또는 물의 유동성물질(5288)을 10%~80%로 충진시킨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5061)를 이용하여 진공박스(5188)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들을 제거시켜서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충격흡수용기(5080)에 발전용수들을 1초~7분의 주기적인 간격을 두고 낙하시켜서 낙하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충격력에 의해 진공상태에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상기 자석봉(8082)이 반복적인 상승작용과 하강작용에 따른 중력 가속도 작용과 탄성 발생작용에 의해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6. 청구항 60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 발전기(60000)는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진공박스(5188)가 구성되고, 상기 진공박스(5188) 상부에는 충격흡수용기(5080)를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019)이 구성되며, 상기 진공박스(5188) 일측에는 진공펌프(5189)가 구성되고, 자석봉(5082) 내부에 장공의 진공공간(5088)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 공간(5088)에는 자석봉(5082)의 상하 작동작용을 촉진시켜주도록 수은 또는 물의 유동성물질(5288)을 10%~80%로 충진시킨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5189)를 이용하여 진공박스(5188)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들을 제거시켜서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를 통하여 충격흡수용기(5080)에 발전용수들을 1초~7분의 주기적인 간격을 두고 낙하 시켜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 또는 발전수차 회전물질들의 충격력에 의해 진공상태에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상기 자석봉(5082)의 반복적인 상승작용과 하강작용에 따른 중력 가속도 작용과 탄성 발생작용에 의해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7. 산의 정상에 박스 형태 또는 산의 중간 허리 부터 산의 정산 까지 다단계로 저수장치를 구성하거나 항아리 형태로 대형 저수조(9305)를 구성하고, 상기 대형 저수조(9305)의 일측에 배출량 조절밸브(9306)와 결합되는 하강파이프(9301)가 구성되며, 상기 하강파이프(9301)의 일측에 상승파이프(9302)를 연결하고, 상기 상승파이프(9302)에 변화되는 수위에 따라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하 위치 조절파이프(5123)를 조절장치(5125)와 함께 구성하며, 상기 상승파이프(9302)의 상부에 재송수 파이프(5120)를 구성하고, 상기 상승파이프(9302)와 재송수 파이프(5120) 연결부위에는 상부가 오픈된 깔대기 형태의 1차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329)를 구성하며, 상기 상승파이프(9302)의 상단부 일측에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5328)가 구비된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26)가 연결되고, 상기 발전용수 배출파이프(5126) 일측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주는 2차 배출량 조절밸브(9310)가 구비되고, 상기 재송수 파이프(5120)의 하부에는 수위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하 위치 조절파이프(5121)를 통해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상하 위치 조절파이프(5121)에는 조절장치(5122)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의 하부에는 이송펌프(2200)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2차 배출량 조절밸브(9310)를 폐쇄시킴과 함께 이송조절밸브(9311)를 개방시키고, 상기 이송펌프(2200)를 이용하여 저수지 또는 댐이나 강에 저수된 발전용수 또는 바닷물을 상기 대형 저수조(9305)에 펌핑하여 발전용수를 가득 채우며, 상기 이송조절밸브(9311)를 폐쇄시킨 후 배출량 조절밸브(9306)와 2차 배출량 조절밸브(9310)를 개방하여 대형저수조(9305)에 채워져 있는 발전용수들을 하강파이프(9301)와 상승파이프(9302)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9303)를 통하여 발전용수들을 이송시켜서 발전수차(3000)를 타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8.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어 오는 유입수량의 저수를 위한 저수장치(1000)를 구성하고, 상기 저수장치(1000)의 하단부 전면부에 유입구(5212)를 구성함과 함께 대향되는 방향의 후면부에 배출구(5111')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구(5111')의 후면부에 상승파이프(5115')를 연결하며, 상기 상승파이프(5115') 입구측에는 발전기(5112')를 구성하고, 상기 상승파이프(5115') 상단측에는 높이 조절을 위한 승하강 조절장치(5116)가 구성되며, 상기 상승파이프(5115')의 끝단부에 제2 발전기(5113')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발전기(5113')의 하단부에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결합되는 하강파이프(5117')를 상하 조절장치(5228)와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하강파이프(5117')의 하단부에 제3 발전기(5119')를 구성하고, 상기 제3발전기(5119')의 일측으로 2차 하강파이프(5211')를 연장 구성하며, 상기 하강파이프(5211')의 끝단부에 제4 발전기(5213)를 구성시키고, 상기 제4 발전기(5213')의 상부에 2차 상승 파이프(5215)를 구성하며, 상기 2차 상승파이프(5215)의 끝단부에 제5 발전기(5217)를 구성시키고, 상기 제5 발전기(5217)의 하단부에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결합되는 3차 하강파이프(5217)를 구성하며, 상기 2차 하강파이프(5217)의 하단부에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하천수의 유입량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상하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변동되는 수위에 따라 수시로 가변조절 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69.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대형저수조(9305) 내에는 하강파이프(9301)와 연결되는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설치되고, 상기 중력가속도 발생용기(5000) 하부에는 유입파이프(9321)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유입파이프(9321) 하부에는 장공의 통공(9333)이 형성된 원형회전밸브(933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원형회전밸브(9332)에는 원형기어(9334)가 구성되며, 상기 원형기어(9334)와 치합되는 레크기어(9335)가 일측에 구비된 스크류기어(9336)의 타측에는 감속기(9331)가 구성됨으로서 배출수 조절장치(9880)를 사용하여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0. 청구항 68에 있어서,
    상기 하천의 일측 제방과 타측 제방을 돌이나 석축 또는 돌망태 또는 게비온또는 호안블럭이나 옹벽블럭등으로 구성되는 하천시설물을 이용하여 정비하고 하천바닥을 준설 한 후 하천의 중앙 또는 어느 한 방향 일측 지점에 중앙 물분리막(98901)을 설치하여, 하천의 상류로 부터 유입되어오는 하천수위를 높여서 하천의 내부에 선박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천을 정비함과 동시에 중앙 물분리막(98901)의 일측 하천 바닥에는 발전기 가동을 위한 용수의 안내하는 하강파이프(521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1. 청구항 66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는 상측의 통수 면적 넓이와 하측의 통수 면적 넓이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되, 측벽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이 구성되는 공기 출입구(50000)를 다수개 구성시켜서 만유인력의 작용과 물질분자 충돌작용과 물질분자 폭발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들이 물질밀림작용에 의해 하향 유도되어 발전수차(3000)에서 전기가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2. 청구항 1,청구항2 청구항3 , 청구항 4, 청구항 43, 청구항 53,청구항 66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는 상측의 통수 면적 넓이와 하측의 통수 면적 넓이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되, 하단부 통수구부(3939)의 통수 면적 지름을 상측의 통수면적 지름보다도 0.001%~5% 작은 크기로 끝단부를 구성하여 상측에서 낙하 하는 발전용수들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분자들 끼리 충돌하는 물질분자충돌작용과 물질분자 폭발작용에 의해 생성 되는 기포들을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측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공기출입구(50000) 측으로 밀어내고,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우선적으로 낙하 하도록 유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3. 청구항 66에 있어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다단계로 점차 축소되는 구조를 이루고, 내부에 발전용수들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전기를 생산 할 때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 하는 발전용수들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분자들 끼리 충돌하는 물질분자충돌작용과 물질분자 폭발작용에 의해 생성 되는 기포들이 물질분자 밀림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기 중력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의 상측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공기출입구(50000) 측으로 밀어내고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를 향하여 우선적으로 낙하 하도록 유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4.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에는 정량 배출량 조절밸브(5908)가 구성되고,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부에는 상단부 통수면적 크기와 하단부 통수 면적이 동일한 구조를 이루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로 부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로 유입되는 발전용수들의 배출량을 1kg~2000kg의 중량으로 정량 유입하여 주도록 작용하는 배출량 조절밸브(80000)가 구성된 상태에서, 배출량 조절밸브(80000)를 폐쇄 시킴과 함께 발전용수 이송 파이프(7500)에 결합 되어 있는 상기 정량 배출량 조절밸브(5908)를 개방하여 1kg~2000kg의 발전용수들을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내부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상단부로 투입시키고, 이후 개방되어 있는 정량 배출량 조절밸브(5908)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폐쇄 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80000)를 일시에 개방하여 방류시키는 중복 동작을 0.1초에서 5분의 간격을 두고 반복 동작을 시행하여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1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발전수차(3000)가 관성의 법칙에 의하여 연속 회전되도록 발전용수 방류시간을 조절하여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5. 1항내지 2항내지 3항내지 4항내지 5항내지 6항내지 7항내지 8항내지 9내지 10항내지14항내지46항내지 48항내지 53항내지 54항내지 57항내지 58항내지 67항내지 68항네 있어서
    상기 하단배출파이프,상기 유입파이프,상기 U자형 이송파이프,상기 경사 배출파이프,상기 상승파이프,상기 이송파이프,상기 유입파이프,상기 하단배출파이프,발전용수이송파이프,상기 끝단부 배출파이프,상기 재송수파이프,상기 2차 배출파이프,상기 끝단부이송파이프,상기 직각낙하연결파이프,상기 직각상승파이프,상기 수평이송수로,상기 하강파이프,상기 직각이송파이프,상기 이송수로,상기 수직상승파이프,상기 저층수배출파이프,상기 상승배출파이프,상기 가로이송파이프,상기 발전용수배출파이프,상기 중력가속도 작용발생용배출파이프,상기 2차상승파이프,상기 취수파이프등을 구성할 때에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 또는 상기 2차 배출파이프의 통수 면적 크기보다도 10%~5000% 이상이 더 큰 통수면적을 가진 파이프로 구성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장치(6000)의 내부에 이송수로(8900)와 연결 구성되는 취수수위 위치 변화용 취수 파이프(9111)의 구조;
    상기 취수 수위 위치 변화용 취수 파이프(9111)와 상기 이송수로(8900)의 사이에 상기 저수장치(6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수위에 따라 취수 위치를 조절하도록 취수위치 조절 장치(9112)를 결합시킨 구조
    상기 저수장치(6000)의 하단부에 하천의 계곡을 따라 하향 방향으로 경사지게 50m ~ 50000m의 길이로 연결 구성되는 이송수로(8900)의 구조;
    상기 이송수로(8900)의 내부에 흐르는 수압에 의해 전기를 생산 하도록 다수개의 발전수차(6120)를 구성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로(8900)의 형상을 구성할 때에 수압의 강도가 강하게 발휘하도록 하천수가 유입되는 입구를 넓게 구성하고 하단부는 좁은 상광 하협의 형태로 파이프를 구성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8. 청구항6 항 내지, 청구 8항내지, 청구항 19 내지,청구항 67항내지, 청구항 69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 탱크, 또는 상기 저수장치,또는 상기 물저장탱크,또는 상기 대형 저수조의 내부에 수압이 줄어 들도록 구성되는 다중의 모양으로 구성되는 수압감소용 내부 구조물(1236)의 구조와;상기 수압감소용 내부구조물(1236)에 다수개의 물 유통구(1237)가 구성된 수압감소용 내부 구조물(1236)을 다중으로 중첩되게 설치하여 구성되는 다중 저수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저수조(9305)의 내부에 적층하여 상기 대형저수조(9305)의 내부에 가해지는 수압의 압력이 분산되도록 작용시키기 위해서 상기 수압감소용 내부 구조물(1236)의 형상을 역 마름모꼴의 용기 형태로 구성한 후 중첩되게 적층하여 구성되는 대형저수조를 특징으로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80. 양수발전하기 위하여 높은 곳에 조성한 상부 댐 또는 대형저수조(9305)에 저수되는 발전용수를 하류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하류에 구성되는 발전기(3000)와 연결 구성하는 이송수로(8900)를 구성할 때에 강한 수압에 견딜수 있도록 다중 결합되는 연결파이프를 이용하여 구성시킨 후 중간 중간에 연결박스(8990)이용하여 연속 결합되는 이송수로를 특징으로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81. 높은 산(1608)의 중간 아래 부분에 빗물을 한 곳으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주도록 유도수로(1508)을 산의 전체 둘레에 구성시킨 후 산(1608)의 일측 위치에 모아진 빗물을 저수하여 주는 저수장치(6000)를 구성시킨는 과정과;
    상기 저수장치(6000)의 하단부에 유입구의 굵기보다도 점진적으로 더 확대된 크기로 U자형 하단배출관(3020)(303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배출관(3020)의 하단부에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10)와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후 그냥 버려지는 빗물들을 한 곳으로 모아서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82. 1항내지 2항내지 3항내지 4항내지 5항내지 6항내지 7항내지 9항내지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의 끝단부에 상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나팔 형태로 끝단부 배출구(5336)가 구성되며;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5133)가 구성되는 구조;
    상기 발전수차(5133)의 하단부에는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로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하단부에는 이송수로(3070)가 구성되고; 상기 이송수로(3070)의 중간중간에는 상기 이송수로(3070)의 내부에 흐르는 수압에 의해 전기를 생산 하도록 다수개의 발전수차(6120)를 구성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된 구조;상기 이송수로(3070)의 끝단부 부분에는 상기 이송수로(307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상부로 이송하여 주는 상승파이프(3080)가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구조;상기 상승 파이프(3080)의 끝단부 배출구(5336)는 나팔 형태로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구조;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는 발전수차(5133)가 구성되는 구조;
    상기 발전수차(5133)의 하단부에는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가 구성되고;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의 하단부에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10)와 발전수차(3000)를 구성시킨 구조를 이용하여 하천의 상류 또는 높은 계곡이나 높은 건출물에서 배출되는 발전용수를 상기 발전용수 이송파이프(7500)와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를 통하여 배출시킬 때에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5133)를 이용하여 1차로 전기를 생산 한후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기(5000)와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로 유입된 후 상기 이송수로(3070)의 내부로 연속 이동되는 발전용수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수로(3070)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발전수차(6120)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 생산 시킨 후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가로 이송수로(3070)의 끝단부에 구성된 상기 상승파이프(3080)와 결합된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를 통하여 배출되는 발전용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끝단부 배출구(5336)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5133)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연속 생산한 후 중력의 작용에 의해 또 다시 낙하하는 발전용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용 배출파이프(301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발전수차(3000)를 연속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작용 가중 발생용 배출파이프(3060)의 구조로 인하여 가중되어 발생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을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80097273A 2018-01-09 2018-08-21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80100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273A KR20180100282A (ko) 2018-08-21 2018-08-21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1020190002055A KR20190010885A (ko) 2018-01-09 2019-01-08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PCT/KR2019/000332 WO2019139347A2 (ko) 2018-01-09 2019-01-09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273A KR20180100282A (ko) 2018-08-21 2018-08-21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282A true KR20180100282A (ko) 2018-09-10

Family

ID=6359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273A KR20180100282A (ko) 2018-01-09 2018-08-21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0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773A (ko) 2022-02-03 2023-08-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92B1 (ko) 2006-01-05 2008-01-03 김상대 하천수를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KR200470787Y1 (ko) 2013-01-14 2014-01-08 이재성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KR101430909B1 (ko) 2013-01-21 2014-08-21 박판석 송수관 매립 낙차의 폭포로 동력을 구하는 수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92B1 (ko) 2006-01-05 2008-01-03 김상대 하천수를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KR200470787Y1 (ko) 2013-01-14 2014-01-08 이재성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KR101430909B1 (ko) 2013-01-21 2014-08-21 박판석 송수관 매립 낙차의 폭포로 동력을 구하는 수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773A (ko) 2022-02-03 2023-08-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723B1 (en) Hydropower conversion system
CN104696175A (zh) 一种低水头能量收集装置和方法
KR20180100282A (ko) 중력 가속도 작용이 가중되도록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US20030192308A1 (en) System for generating power
KR20180088603A (ko) 계곡이나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80071216A (ko) 하천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80057584A (ko) 직각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용수 낙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CN107829892A (zh) 第三代气液耦合重力累加发电技术
CN108166447B (zh) 一种防汛抢险长管袋充填机
KR20180017063A (ko)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되게 발생시키면서 발전효율을 높여주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CN100575698C (zh) 气流式潮汐发电的方法及专用装置
KR20180002557A (ko)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80011038A (ko)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GB2522047A (en) Rigid body dynamics-based hydropower technology
AU2017213583A1 (en) Solid Pumped Hydro Energy Storage Using Slurry
CN212774588U (zh) 余电蓄能装置
KR20180025307A (ko)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80021020A (ko) 중력 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전효율을 높여주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80009805A (ko)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되게 발생시키면서 발전효율을 높여주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80017065A (ko) 발전효율을 높여주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80008362A (ko) 중력의 작용과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90084396A (ko) 중력의 작용을 가중되게 발생시키면서 발전효율을 높여주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80003492A (ko) 중력의 작용과 중력가속도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80005148A (ko) 발전효율을 높여주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KR20190055952A (ko) 중력 가속도 작용을 가중되어 발생 시키도록 구성되는 직각 낙하 발전설비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작용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발전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