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184A - Weighing raingauge using a paired barrel capable of automatic storage and emptying of water - Google Patents

Weighing raingauge using a paired barrel capable of automatic storage and emptying of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184A
KR20190010184A KR1020170092608A KR20170092608A KR20190010184A KR 20190010184 A KR20190010184 A KR 20190010184A KR 1020170092608 A KR1020170092608 A KR 1020170092608A KR 20170092608 A KR20170092608 A KR 20170092608A KR 20190010184 A KR20190010184 A KR 20190010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tank
inlet
precip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8023B1 (en
Inventor
임규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023B1/en
Publication of KR20190010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1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0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 weight rain gauge using a double water tank capable of automatic water storage and drainage, in which a double water tank is capable of automatic water storage and drainage for a heavy weight rain gauge, comprising: a double water tank having first and second inlets open at a top part and a bottom part to collect precipitation and a dividing plate dividing an inside into a first water tank and a second water tank; a load cell for collectively detecting a weight of the first tank and the second tank; and a rotation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double water tank in accordance with a center of gravity of the double water tank.

Description

자동 저수와 배수가 가능한 쌍수조를 이용한 중량 우량계 {WEIGHING RAINGAUGE USING A PAIRED BARREL CAPABLE OF AUTOMATIC STORAGE AND EMPTYING OF WATER} [0001] WEIGHING RAINGAUGE USING A PAIRED BARREL CAPABLE OF AUTOMATIC STORAGE AND EMPTYING OF WATER [0002]

본 발명은 자동 저수와 배수가 가능한 중량 우량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저수는 물론, 저수되는 강수의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는 자동 저수와 배수가 가능한 쌍수조를 이용한 중량 우량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weigh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storing and draining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ight weighing apparatus using an automatic water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draining water according to the weight of stored water, will be.

일반적으로 강수량 관측 표준 장비로서 전도형 우량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준 전도형 우량계는 분해능이 제한되며 강한 비의 경우 전도되(tipping bucket)의 교차에 동반되는 빗물 유실의 문제가 있다. 동일 장소의 관측을 비교하면 전도형 우량계는 중량형 우량계에 비하여 측정한 강수량이 10-30%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general, a conduction type rain gauge is used as a standard equipment for observing precipitation. These standard conduction type rain gauges have limited resolution and have a problem of storm drainage associated with the crossing of tipping buckets in the case of strong rain. Compared to observations at the same place, the conductivity type rain gauge showed 10-30% less precipitation than the weight type rain gauge.

따라서, 정밀 관측을 원하는 경우나 산악처럼 접근이 어려운 장소의 강수량 관측은 중량형 우량계를 사용한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중량형 우량계가 전도형 우량계보다 우월함은 잘 알려져 있다. 이는 중량형 우량계처럼 집수한 빗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전도형 우량계가 일정량의 부피에 도달하는 횟수로 강수량을 추정하는 것보다 정확하기 때문이다. 또한, 유사 강수 환경 하에서 전도형 우량계에 비하여 중량형 우량계가 10배 이상의 분해능을 달성할 수 있으며, 자동 관측, 원격 조정 측면에서 유리하다. Therefore, we use a weigh type rain gauge to observe precipitation in places where precise observations are required or where mountains are difficult to approach. It is well known that the weight type rain gauge is superior to the conduction type rain gauge in terms of function. This is because it is more accurate to measure the weight of rainwater collected like a weight type rain gauge than to estimate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conductivity type rain gauge reaches a certain volume. In addition, under a similar precipitation environment, the weight type rain gauge can attain a resolution of 10 times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conduction type rain gauge,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automatic observation and remote adjustment.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관측 현장에서 중량 우량계의 분해능이 전도형 우량계와 비슷한 수준이며 실용적인 측면에서 오히려 떨어진다. 가장 큰 이유는 고인 빗물을 적절하게 배수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차적으로 로드셀(무게센서, load cell)의 가격도 중량 우량계의 보급을 어렵게 한다. 기존 중량 우량계 중 사이펀 배수를 하는 경우 유동적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5-10초를 필요로 하였다. 최근에는 관측 기간 중 3 달 혹은 1 년 동안 빗물을 계속하여 모으면서 로드셀로 무게를 계측하고 있다. 즉, 일정 기간 동안 배수를 하지 않는 적산식(accumulation type) 중량 우량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However, in spite of the excellent performance mentioned above, the resolution of the weighing scale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duction type weighing scale at the observation site, and is rather lower in practical terms. The main reason is that no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drain the rainwater properly. Secondly, the price of the load cell (load sensor) also makes it difficult to supply the weight weighing system. Siphon drainage of existing weighing instruments requires at least 5-10 seconds, albeit fluid. In recent years, the weight of a load cell is measured while collecting rainwater continuously for 3 months or 1 year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at is, an accumulation type weight raising meter which does not drain wa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generally used.

위와 같은 적산식이나 사이펀 방식 중량형 우량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현대의 상업용 우량계는 고성능의 로드셀(load cell)을 사용하고 기후학적인 강수량을 감안하여 1년에 한번의 수동 배수법을 채택하고 있다. 미국의 Belfort Instrument, 독일의 OTT, 노르웨이의 Geonor 등의 대규모 제작사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합리적인 배수법의 부재는 중량 우량계가 일반적인 전도형의 2-3배 정도의 체적과 무게를 가지는 주된 이유이다. 상대적으로 큰 규모는 중량 우량계 사용에 많은 제약 사항을 유발한다.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integrated type and siphon type weight type rain gauge as described above, modern commercial rain gauge uses a high performance load cell and adopts a once-a-year manual drain method in consideration of climatological precipitation. Belfort Instrument in the United States, OTT in Germany, and Geonor in Norway. The absence of a reasonable drainage method is the main reason that the weighbridge has a volume and weight of about two to three times the typical conduction type. The relatively large scale causes many restrictions on the use of the weighing scale.

최근 상용화된 중량형 우량계의 경우 장시간 강한 강수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배수 시간을 단축하거나 원천적으로 제거하고자 대용량 수조를 채택하고 있다. 대용량의 수조는 일정 시간까지 연속적인 강수 관측이 가능하지만 우량계의 한계 용량에 따른 로드셀(load cell)의 피로도 증가와 우량 관측의 분해능 감소로 이어진다. 이러한 로드셀 활용의 제약은 중량형 우량계의 설치와 운영의 어려움, 제작비의 증가를 초래한다.In the case of recently commercialized weight type rain gauges, a large water tank has been adopted to continuously measure strong precipita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shorten the drainage time, or to remove it from the source. Large - capacity water tank can observe continuous precipitation for a certain time, but it leads to increase of fatigue of load cell and reduction of resolution of rainfall observation according to limit capacity of rain gauge. The limitation of the utilization of such a load cell results in the difficulty in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weight type rain gauge and the increase of the production cos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3613호Korean Patent No. 10-1183613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중량 우량계의 강수의 저수 용량 한계에 따른 정밀도 감소, 물리적인 체적 및 중량 증가에 따른 설치, 관측, 관리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쌍수조를 이용한 중량 우량계에 관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precision of precipitation of water in a conventional weight rais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ighted rain gauge using a dual water tank.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저수와 배수가 가능한 쌍수조를 이용한 중량 우량계는, 상부 및 하부에 개방되어 강수를 집수하는 제1 및 제2 유입구들이 구비되며, 내부를 제1 수조 및 제2 수조로 분할하는 분할판을 포함하는 쌍수조, 상기 제1 수조 및 상기 제2 수조의 무게를 통합 검출하는 로드셀 및 상기 쌍수조의 무게중심에 따라 상기 쌍수조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ighing scale using a double water tank capable of automatically storing and draining wat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inlets open at upper and lower sides to collect rain water, A load cell for collectively detecting the weight of the first water tank and the second water tank, and a rotation sensor for rotating the double water tank alo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uble water tank, wherein the double water tank includes a first water tank and a second water tank, And a driving unit.

상기 제1 유입구는 상기 제1 수조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유입구는 상기 제2 수조에 형성되고, 상기 쌍수조 내에 강수가 저수되어 상기 쌍수조의 무게중심이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쌍수조는 상기 제1 유입구가 상기 제2 유입구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irst inlet is formed in the first water tank and the second inlet is formed in the second water tank, and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uble water tank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the precipitation is stored in the double water tank, And the inlet is rotated to be positioned at the second inl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쌍수조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가 상부에 비해 직경이 작은 깔때기형으로 형성되어 강수를 수집하여 상기 쌍수조로 유입시키는 수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coll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injecto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uble water tank and formed in a funnel shape having a lower diameter than that of the upper part, collecting the rain water and introducing it into the double water tank.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쌍수조의 양측면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부에 힌지가 설치된 지지대, 일단이 상기 쌍수조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힌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및 제2 회전축부들 및 상기 쌍수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driving unit includes: a supporter having a hing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wo sides of the twin water tank; a first and a second hing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win water tank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2 rotating shafts, and a support plat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ouble water tank and supporting the suppo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할판은 상기 제1 수조 및 제2 수조를 이등분하며, 상기 윗면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rtition plate bisects the first water tank and the second water tank, and may extend toward the bottom surface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쌍수조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winned baths may be formed in a columnar sha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조에 저수된 강수가 배수되는 동안 상기 제2 수조에 강수가 저수되며, 상기 제2 수조에 저수된 강수가 배수되는 동안 상기 제1 수조에 강수가 저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cipit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water tank while the rain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is drained, and the precipitation can be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while the rain water stored in the second water tank is drained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쌍수조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강수를 저수하는 제1 부수조 및 제2 부수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수조 및 상기 제2 부수조는 상하 바뀐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 강수를 집수하는 제1 투입구 및 제2 투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each of which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aired water reservoir and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to store the precipitation, wherei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in a top- And may have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for collecting the precipitation,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조가 강수를 저수하는 동안 상기 제1 부수조는 상기 제1 투입구를 통해 강수를 저수하고, 상기 제2 수조가 강수를 저수하는 동안, 상기 제2 부수조는 상기 제2 투입구를 통해 강수를 저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ile the first water tank is storing the precipitation, the first side water reservoir stores the precipitation through the first inlet, and while the second water tank is storing the precipitation, The precipitation can be stored through the inl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수조에 저수된 강수가 배수되는 동안 상기 제2 부수조에 강수가 저수되고, 상기 제2 부수조에 저수된 강수가 배수되는 동안, 상기 제1 부수조에 강수가 저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precipit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side stream while the precipitation stored in the first side stream is drained, and precipitation can be stored in the first side stream while the precipitation stored in the second side stream is drained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쌍수조의 무게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유입구 또는 제2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하부에 위치시켜 상기 쌍수조 내에 저수된 강수를 배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selectively lowering the first inlet or the second inlet according to the result of weight detection of the twin water tank to drain the rainwater stored in the double water tank.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및 제2 수조들을 포함하는 쌍수조를 구성하여 강수가 저수되는 동안 배수가 가능함에 따라, 기존 중량 우량계의 관측 한계값을 제거하고 고정밀도이면서도 전도형과 동일하게 연속 관측이 가능한 중량 우량계를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since the dual water tank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water tanks is constructed and the water can be drained while the precipitation is stored, the observation limit value of the existing weight raising meter is removed, A heavy rain gauge capable of continuous observation can be manufactured.

또한, 현재 상용으로 유통되고 있는 중량 우량계의 1/3 수준으로 체적 및 무게를 소형화할 수 있고, 소형화된 중량 우량계는 설치, 관리가 편리하며 제작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ownsize the volume and weight to one third of the weight woofers currently in commercial use, and the compact weight woofers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anag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또한, 중량 우량계에 사용하는 로드셀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우량계의 정밀도, 분해능, 내구성 증가로 이어지며 제작비 및 설치비 감소와 관리의 자동화가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load cell used in the weight raising system can be utilized to the maximum.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accuracy, resolution and durability of the rain gauge, facilitating the reduction of production cost and installation cost and automation of management.

나아가, 쌍수조의 양측면에 제1 및 제2 부수조들을 설치함에 따라, 강한 강수 저수 시 유실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Furthermore, by install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groups on both sides of the twin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water loss during strong storm water stor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 우량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량 우량계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중량 우량계의 쌍수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쌍수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중량 우량계의 쌍수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도 3의 쌍수조의 양측면에 제1 및 제2 부수조들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또는 제2 부수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중량 우량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들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eavy weighing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weight raising instrument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ir of water weighing systems of FIG. 2;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aired water tank of FIG. 3;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airwise number of the weighing instrument of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aired water tank of FIG. 3;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first or second side group of Fig. 6; Fig.
8A to 8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weight raising instrument of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compris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figure, step, operation,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 우량계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중량 우량계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중량 우량계의 쌍수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쌍수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중량 우량계의 쌍수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heavy weighing instrument of FIG. 1, and FIG. 3 is an example of a pair of weights of the heavy weighing instrument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aired water tank of Fig. 3, and Figs.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aired water tank of Fig.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중량 우량계(1)는, 상부에 수수기(90)가 형성되며 강수(10)를 저수할 수 있는 수조 등의 설비 등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95)와, 상기 몸체부(95)의 내부에 설치되는 쌍수조(100), 로드셀(150), 회전 구동부(2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1 and 2, the heavy weighing sca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ter receiver 90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apparatus such as a water tank capable of storing the precipitation water 10 can be mounted A load cell 100 installed in the body 95, a load cell 150, a rotation driving unit 200, and a controller (not shown).

상기 수수기(90)는 하부가 상부에 비해 직경이 작은 깔때기형으로 형성되며, 강수를 수집하여 상기 쌍수조(100)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단부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 또는 눈에 섞인 이물질을 방지하기 위해 탈부착이 가능한 이물질 방지망이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receiver 90 is formed in a funnel shape having a lower diameter than that of the upper portion. The water collector 90 collects and flows the water into the double water tank 100. Although not shown, Alternatively, a detachable foreign matter prevention net can be formed to prevent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eyes.

상기 쌍수조(10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The double water tank 100 may have a columnar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may have a rectangular columnar structure as shown in FIGS. 5A and 5B. have.

상기 쌍수조(100)는 외기의 온도에 의한 측정 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내재된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쌍수조(100)는 열전달이 용이한 금속재 보다는 열전달율이 낮은 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여름철 기온이 높을 때 상기 쌍수조(100)에 저수된 강수가 증발되어 강수량 측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단열재를 사용하여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double water tank (100) may have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a measurement error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use a resin material having a low heat transfer rate rather than a metal material which can easily transfer heat. This is to prevent as much as possible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he measurement of precipitation by evaporation of the rainwater stored in the double water tank 100 when the summer temperature is high.

상기 쌍수조(100)는 상기 쌍수조(100)의 내부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조(110) 및 제2 수조(120)로 이등분하도록 상기 쌍수조(100)의 윗면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게 부착된 분할판(130)을 포함한다.3, the dual water tank 100 is divided into a first water tank 110 and a second water tank 120 so as to divide the inside of the double water tank 10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water tank 100, And a partition plate 130 attached to the partition plate 130 so as to extend toward the bottom surface.

그리하여 상기 쌍수조(100)는 상기 제1 수조(110) 및 제2 수조(120)를 포함하는 이중수조 구조를 이루게 된다.Thus, the dual water tank 100 has a dual water tank structure including the first water tank 110 and the second water tank 120.

상기 쌍수조(1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제1 유입구(111) 및 제2 유입구(121)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수조(110)에 상기 제1 유입구(111)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수조(120)에 상기 제2 유입구(121)가 형성된다.A first inlet 111 and a second inlet 121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ual water tank 100,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water inlet 110 is provided in the first water tank 110, and the second water inlet 121 is formed in the second water tank 120.

상기 수수기(90)로부터 상기 쌍수조(100)로 낙수된 강수는 상기 제1 유입구(111) 또는 상기 제2 유입구(121)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수조(110) 또는 상기 제2 수조(120)에 저수된 후, 상기 제1 수조(110) 또는 상기 제2 수조(120)의 하부에서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 150)에 의해 무게가 측정된다. The rainwater drained from the water injector 90 into the double water tank 100 passes through the first inlet 111 or the second inlet 121 and flows into the first water tank 110 or the second water tank 120 And then the weight is measured by a load cell 150 measuring the weight at the bottom of the first water tank 110 or the second water tank 120.

상기 로드셀(150)은 통상의 로드셀이 사용된다. The load cell 150 is a typical load cell.

상기 제1 수조(110) 또는 상기 제2 수조(120) 내에 강수가 저수되면 상기 로드셀(150)의 검출 무게는 점차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1 수조(110) 또는 상기 제2 수조(120) 내에 소정의 강수가 저수되면 상기 쌍수조(110)의 무게 중심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무게중심이 상기 쌍수조(1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중력에 의해 상기 쌍수조(100)는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rain water is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110 or the second water tank 120, the detection weight of the load cell 150 gradually increases. Whe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is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110 or the second water tank 12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ater tank 110 is raised,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ater tank 1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100 So that the double water tank 100 is rotated by gravity.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쌍수조(100)에 상기 로드셀(150)에서 측정된 무게를 입력받는다. 상기 제어부는 그 측정된 무게를 강수의 높이로 연산하여 연산된 결과를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기상청, 기상정보사업자 등에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the measured weight from the load cell 150 in the twin water tank 100.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measured weight as the height of the precipitation, and transmit the calculated result to the weather station,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er, and the like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일정한 주기로 상기 제1 수조(110) 또는 상기 제2 수조(121)의 무게 측정값을 연산 처리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rocess the measured values of the weight of the first water tank 110 or the second water tank 121 at regular intervals to store and process the data in real time, Can be transmitted.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쌍수조(100)의 무게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쌍수조(100)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유입구(111) 또는 제2 유입구(112)가 선택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쌍수조(100) 내에 저수된 강수를 배수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double water tank 100 according to the weight detection result of the double water tank 100 to selectively position the first inlet 111 or the second inlet 112 at the lower portion, It is possible to drain the precipitation water stored in the double water tank 100.

상기 회전 구동부는(200) 상기 쌍수조(10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대(210), 제1 회전축부(221), 제2 회전축부(222), 및 받침판(230)을 포함한다.The rotation driving unit 200 rotates the double water tank 100 and includes a support table 210, a first rotation axis part 221, a second rotation axis part 222, and a support plate 230.

상기 지지대(210)는 상기 쌍수조(100)의 양측면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부에 힌지(미도시)가 설치된다. The supporter 210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both sides of the double water tank 100, and a hinge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부들(221, 222)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한쌍의 회전축으로서 각각 상기 쌍수조(100)의 외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부들(221, 222)은 상기 쌍수조(100)의 외면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힌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부들(221, 222)은 상기 쌍수조(10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지만 상기 지지대(210)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받침판(230)에 고정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s 221 and 222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wel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water wash basins 100 as a pair of rotating shafts.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s 221 and 222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ouble water tank 100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The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s 221 and 222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pair of water wash basins 100 but the support table 21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230 without rotating.

한편, 도 6은 도 3의 쌍수조의 양측면에 제1 및 제2 부수조들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 또는 제2 부수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side groups are attach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paired water tank of FIG. 3,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first or second side tank of FIG.

본 실시예에 의한 중량 우량계(1)는, 상기 쌍수조(100)의 양측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강수를 저수하는 제1 부수조(310) 및 제2 부수조(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eighing sca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auxiliary tank 310 and a second auxiliary tank 320 which are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double water tank 100, ).

상기 제1 및 제2 부수조들(310, 320)은 대용량의 강수를 집수하는 경우 상기 강수의 유실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reservoirs 310 and 320 may be used to minimize the amount of precipitation of precipitation when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precipitation.

상기 제1 및 제2 부수조들(310, 320)은 상하가 바뀐 형태로 설치되며, 각각 강수를 집수하는 제1 및 제2 투입구들(311, 321)이 마련된다.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tanks 310 and 320 are installed in a vertically reversed form and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inlet ports 311 and 321 for collecting the precipitation, respectively.

그리하여, 상기 제1 수조(110)가 상기 제1 유입구(111)를 통해 강수를 저수하는 동안 상기 제1 부수조(310)는 상기 제1 투입구(311)를 통해 강수를 저수한다.Thus, while the first water tank 110 stores the precipitation through the first inlet 111, the first side tank 310 stores the precipitation through the first inlet 311.

그 다음, 상기 쌍수조(10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수조(110) 및 상기 제1 부수조(310)는 저수된 강수를 배수하며, 상기 제2 수조(120)는 상기 제2 유입구(121)를 통해 강수를 저수하고, 상기 제2 부수조(320)는 상기 제2 투입구(321)를 통해 강수를 저수한다.The first water tank 110 and the first water tank 310 drain the stored water and the second water tank 1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121, and the second auxiliary tank 320 stores the precipitation through the second inlet 321. [0064]

나아가, 상기 제2 수조(120) 및 상기 제2 부수조(320)에 강수가 저수되어 상기 쌍수조(100)가 다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수조(120) 및 상기 제2 부수조(320)에 저수된 강수는 배수되고, 상기 제1 수조(110) 및 상기 제1 부수조(310)에 강수가 저수된다. Furthermore, when precipit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water tank 120 and the second water tank 320 so that the water tank 100 rotates again, the second water tank 120 and the second water tank 320 Is drained, and precipitation is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110) and the first side water tank (310).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부수조들(310, 320)의 상기 제1 및 제2 투입구들(311, 312)에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거름망(미도시)이 설치되어, 나뭇잎이나 이물질 등이 상기 제1 및 제2 부수조들(310, 3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거름망에 걸러진 나뭇잎이나 이물질 등을 장기간 방치하면 원할한 강수의 집수를 방해할 뿐 아니라 오염되는 위험성이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A mesh network (not shown) made of a mesh network is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inlets 311 and 312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groups 310 and 320 so that leaves and foreign matter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tanks 310 and 320. If the leaves or foreign matter that are caught by the filtering net are left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desirable to clean i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중량 우량계(1)의 작동과정을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수(10) 발생 시 상기 강수(10)가 상기 수수기(90)에 수집되어 상기 제1 유입구(111)를 통해 상기 제1 수조(110)에 저수되고, 상기 제1 수조(110)의 하부(상기 받침판(230)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로드셀(150)이 상기 제1 수조(110)에 전달된 강수의 무게를 측정한다.8A to 8C, when the rain water 10 is generated, the rain water 10 is suppli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not shown) The load cell 15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water tank 110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late 230) is collected in the first water tank 110 through the first inlet 111, The weight of the rainwater transmitted to the first water tank 110 is measured.

한편, 상기 로드셀(150)은 상기 측정한 강수의 무게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그 측정된 무게를 강수의 높이로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상청, 기상정보사업자 등에 송신한다.Meanwhile, the load cell 150 transmits the weight of the measured precipitation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measured weight as the height of the precipitation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result to the weather station, weather information provider, do.

상기 제1 수조(110) 내에 상기 강수(10)가 저수됨에 따라, 상기 로드셀(150)의 검출 무게는 점차 증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쌍수조(100)의 무게 중심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무게중심이 상기 쌍수조(1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중력에 의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쌍수조(100)는 회전하게 된다.As the precipitation 10 is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110, the detection weight of the load cell 150 gradually increases. As a resul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uble water tank 100 is raised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ater tank 100 is positioned above the double water tank 100. As a result, the double water tank 100 is rotated do.

이 경우, 상기 쌍수조(100)는 중앙에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부들(221, 222)을 통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1 수조(110) 내에 저수된 강수는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In this case, the double water tank 100 rotat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s 221 and 222 provided at the center, and the rain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110 serves to transmit power .

이 때, 상기 쌍수조(10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조(110)에 형성된 상기 제1 유입구(111)가 상기 제2 유입구(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때까지 회전한다. 이 경우, 회전 반경은 180˚로 상기 쌍수조(100)는 반회전하게 되며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수조(110)에 저수된 강수가 하부로 쏠리게 되어 상기 제1 유입구(11)를 통해 배수된다.8C, when the first inlet 111 formed in the first tank 11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let 121, . In this case, the turning radius is 180 degrees, and the double water tank 100 is rotated in half, and the rain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110 by gravity is lowered and drained through the first inlet 11 .

이 경우, 상기 제1 수조(110)에 저수된 강수가 배수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수조(120)는 상기 제2 유입구(121)를 통해 강수(10)를 저수한다.In this case, the rain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110 is drained, and the second water tank 120 stores the precipitation water 10 through the second inlet 121.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중량우량계(1)는 상기 제1 및 제2 수조들(110, 120)을 포함하는 쌍수조(100)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쌍수조(100)에 채워진 강수를 배출하는 동시에 내부에 강수를 저수할 수 있다.Therefore, the weight gauge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 a pair of water tanks 100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water tanks 110 and 120, thereby discharging the rain water filled in the water gutters 100 And at the same time can store the precipitation inside.

이로써 상기 쌍수조(100)의 반회전 과정을 마치게 되며, 그 이후 제2 수조(320)에 저수된 강수를 배수시키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This completes the half-turn process of the double water tank 100, and the process of draining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water tank 320 thereafter can be performed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및 제2 수조들(100, 120)을 포함하는 쌍수조(100)를 구성하여 강수가 저수되는 동안 배수가 가능함에 따라, 기존 중량 우량계의 관측 한계값을 제거하고 고정밀도이면서도 전도형과 동일하게 연속 관측이 가능한 중량 우량계를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dual water tank 100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water tanks 100 and 120 is constructed so that drainage can be performed while the precipitation water is stored, thereby eliminating the observation limit value of the existing weight water meter A heavy rain gauge can be produced which can be continuously observed in the same manner as a conduction type while being highly accurate.

또한, 현재 상용으로 유통되고 있는 중량 우량계의 1/3 수준으로 체적 및 무게를 소형화할 수 있고, 소형화된 중량 우량계는 설치, 관리가 편리하며 제작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ownsize the volume and weight to one third of the weight woofers currently in commercial use, and the compact weight woofers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anag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또한, 중량 우량계에 사용하는 로드셀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우량계의 정밀도, 분해능, 내구성 증가로 이어지며 제작비 및 설치비 감소와 관리의 자동화가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load cell used in the weight raising system can be utilized to the maximum.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accuracy, resolution and durability of the rain gauge, facilitating the reduction of production cost and installation cost and automation of management.

나아가, 쌍수조(100)의 양측면에 제1 및 제2 부수조들(310, 320)을 설치함에 따라, 강한 강수 저수 시 유실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tanks 310 and 320 on both sides of the water tank 10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water loss during strong storm water storag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 : 중량 우량계 10 : 강수
90 : 수수기 95 : 몸체부
100 : 쌍수조 110 : 제1 수조
111 : 제1 유입구 120 : 제2 수조
121 : 제2 유입구 130 : 분할판
200 : 회전 구동부 210 : 지지대
221 : 제1 회전축부 222: 제2 회전축부
230 : 받침판 310 : 제1 부수조
320 : 제2 부수조 311 : 제1 투입구
321 : 제2 투입구
1: Weighing scale 10: Precipitation
90: Water dispenser 95: Body part
100: Dual water tank 110: First tank
111: first inlet port 120: second tank
121: second inlet 130: partition plate
200: rotation driving part 210:
221: first rotating shaft part 222: second rotating shaft part
230: Support plate 310: First auxiliary assembly
320: SECTION 2 311: First Inlet
321: 2nd inlet

Claims (10)

상부 및 하부에 개방되어 강수를 집수하는 제1 및 제2 유입구들이 구비되며, 내부를 제1 수조 및 제2 수조로 분할하는 분할판을 포함하는 쌍수조;
상기 제1 수조 및 상기 제2 수조의 무게를 통합 검출하는 로드셀; 및
상기 쌍수조의 무게중심에 따라 상기 쌍수조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입구는 상기 제1 수조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유입구는 상기 제2 수조에 형성되고,
상기 쌍수조 내에 강수가 저수되어 상기 쌍수조의 무게중심이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쌍수조는 상기 제1 유입구가 상기 제2 유입구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우량계.
A pair of water tanks each having first and second inlets open at upper and lower sides to collect rain water, and a partition plate dividing the inside into a first water tank and a second water tank;
A load cell integrally detecting the weight of the first water tank and the second water tank; And
And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pair of water tanks in accordance with a center of gravity of the pair of water tanks,
The first inlet is formed in the first water tank, the second inlet is formed in the second water tank,
Wherein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win water tank is stor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ouble water tank, the double water tank rotates so that the first inlet is located at the second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수조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가 상부에 비해 직경이 작은 깔때기형으로 형성되어 강수를 수집하여 상기 쌍수조로 유입시키는 수수기를 더 포함하는 중량 우량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ater collecto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uble water tank and formed in a funnel shape with a low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upper part to collect rain water and introduce it into the double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쌍수조의 양측면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부에 힌지가 설치된 지지대;
일단이 상기 쌍수조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힌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및 제2 회전축부들; 및
상기 쌍수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우량계.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A supporter having a hinge on an upper side of the pair of side walls;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win-ta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And
And a support plat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ouble water tank and supporting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상기 제1 수조 및 제2 수조를 이등분하며, 상기 윗면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우량계.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ater tank and the second water tank are bisected and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in the oblique direc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수조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우량계.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wiper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에 저수된 강수가 배수되는 동안 상기 제2 수조에 강수가 저수되며,
상기 제2 수조에 저수된 강수가 배수되는 동안 상기 제1 수조에 강수가 저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우량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in water is stored in the second water tank while the rain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is drained,
And the rain water is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while the rain water stored in the second water tank is dra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수조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강수를 저수하는 제1 부수조 및 제2 부수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수조 및 상기 제2 부수조는 상하 바뀐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 강수를 집수하는 제1 투입구 및 제2 투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우량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auxiliary tanks each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air of tanks for storing a precipitation water,
Wherein the first auxiliary tank and the second auxiliary tank are formed in a vertically inverted form and each have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for collecting the precipit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가 강수를 저수하는 동안 상기 제1 부수조는 상기 제1 투입구를 통해 강수를 저수하고,
상기 제2 수조가 강수를 저수하는 동안, 상기 제2 부수조는 상기 제2 투입구를 통해 강수를 저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우량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water tank reserves precipitation through the first inlet while the first water tank stores the precipitation,
Wherein the second water tank stores the rain water through the second inlet while the second water tank stores the rain wa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수조에 저수된 강수가 배수되는 동안 상기 제2 부수조에 강수가 저수되고,
상기 제2 부수조에 저수된 강수가 배수되는 동안, 상기 제1 부수조에 강수가 저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우량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ecipit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auxiliary tank while the precipitation stored in the first auxiliary tank is drained,
And the precipitation is stored in the first auxiliary tank while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econd auxiliary tank is dra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수조의 무게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유입구 또는 제2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하부에 위치시켜 상기 쌍수조 내에 저수된 강수를 배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우량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selectively placing the first inlet or the second inlet in the lower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weight detection result of the twin water tank to drain the rainwater stored in the double water tank.
KR1020170092608A 2017-07-21 2017-07-21 Weighing raingauge using a paired barrel capable of automatic storage and emptying of water KR1019480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08A KR101948023B1 (en) 2017-07-21 2017-07-21 Weighing raingauge using a paired barrel capable of automatic storage and emptying of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08A KR101948023B1 (en) 2017-07-21 2017-07-21 Weighing raingauge using a paired barrel capable of automatic storage and emptying of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184A true KR20190010184A (en) 2019-01-30
KR101948023B1 KR101948023B1 (en) 2019-02-14

Family

ID=6527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608A KR101948023B1 (en) 2017-07-21 2017-07-21 Weighing raingauge using a paired barrel capable of automatic storage and emptying of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0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5486A (en) * 2022-01-11 2022-04-15 山东省煤田地质局物探测量队 Mine water damage prevention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based on precipitation esti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7496B (en) * 2019-04-22 2021-04-02 南京绿水长流环保科技有限公司 Environmental monitoring sampling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613B1 (en) 2012-02-28 2012-09-17 코리아디지탈 주식회사 Apparatus for measuring a rainfal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558B1 (en) 2011-09-27 2013-02-15 웰비안시스템주식회사 Weighing type precipitation measuring device using a rotating reservoir to automatic drain
KR101567255B1 (en) 2014-11-05 2015-11-09 주식회사 이제이텍 Tipping bucket type rain gau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613B1 (en) 2012-02-28 2012-09-17 코리아디지탈 주식회사 Apparatus for measuring a rainfa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5486A (en) * 2022-01-11 2022-04-15 山东省煤田地质局物探测量队 Mine water damage prevention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based on precipitation esti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023B1 (en)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023B1 (en) Weighing raingauge using a paired barrel capable of automatic storage and emptying of water
KR101230558B1 (en) Weighing type precipitation measuring device using a rotating reservoir to automatic drain
CN101762446B (en) Leakage measuring instrument and method for measuring leakage by using same
CN107255603A (en) A kind of floatage-type cell runoff and sediment automatic observer
CN113624445A (en) Artificial rainfall runoff yield automatic measuring system and method
CN207780283U (en) A kind of plain type rainfall gauge
CN102385073B (en) Full automatic rain gauge
CN204882904U (en) Automatically, evaporate measurement system based on hold bars formula displacement sensor
CN115793106A (en) Weighing type rainfall det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4501893A (en) Wide-range high-precision automatic runoff yield measurement system
CN214041780U (en) Automatic evaporation station
CN205353384U (en) Evaporation measurement system
CN212200559U (en) A rainwater collection device for meteorological monitoring
CN111538110B (en) Rainfall on-lin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CN209656116U (en) A kind of hot type tipping bucket meter
CN209842104U (en) Double-cylinder type rain and snow measuring device
CN216696737U (en) Rainfall monitoring device based on weather forecast
CN208092265U (en) A kind of collect automatically penetrates water installations with measurement forest
CN109597146A (en) Rainfall monitoring meter
CN100334432C (en) Error control device of tipping water instrument
CN207516582U (en) The real-time automatically leveled rainfall gauge of the hydrology
CN219811061U (en) Rain gauge for measuring and reporting water condition
CN219266284U (en) Weighing leakage monitoring system suitable for lysimeter
CN204575149U (en) A kind of horizontal shaft type sediment run-off table
CN218566630U (en) Automatic monitoring device for sediment content of runoff pl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