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096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096A
KR20190010096A KR1020170092374A KR20170092374A KR20190010096A KR 20190010096 A KR20190010096 A KR 20190010096A KR 1020170092374 A KR1020170092374 A KR 1020170092374A KR 20170092374 A KR20170092374 A KR 20170092374A KR 20190010096 A KR20190010096 A KR 20190010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video signal
error
transmiss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준
윤석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2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0096A/ko
Priority to PCT/KR2018/002173 priority patent/WO2019017548A1/ko
Publication of KR2019001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출력단을 포함하는 신호처리부와; 영상신호의 입력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신호처리부의 출력단과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단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제1전송라인 및 제2전송라인과; 영상신호를 제1전송라인으로 통해 전송하고, 영상신호의 전송 중 제1전송라인에 오류가 발생하면, 제2전송라인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신호를 전송라인 중 일부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칩과 칩, 혹은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간 비디오 및 그래픽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사용한다.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복수개의 물리적 전송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물리적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한다.
특히, 영상 출력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다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및 그래픽 신호를 하나 또는 적은 수의 전송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디바이스 간 연결 시 케이블 채널 환경, 신호 손실(loss), 전자파 간섭(EMI) 및 주변 온도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라인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해 사용자가 시청하는 화면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화면이 깨지거나 영상이 끊기는 등 영상의 품질을 보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사용중인 전송라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환경적인 요인에 상관 없이 시청되는 영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출력단을 포함하는 신호처리부와; 영상신호의 입력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신호처리부의 출력단과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단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제1전송라인 및 제2전송라인과; 영상신호를 제1전송라인을 통해 전송하고, 영상신호의 전송 중 제1전송라인에 오류가 발생하면, 제2전송라인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사용중인 전송라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환경적인 요인에 상관 없이 시청되는 영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단과 상기 제1전송라인 사이에 마련되는 병렬-직렬 변환부와; 상기 제1전송라인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되는 직렬-병렬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다. 이에 따라, 복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적은 수의 전송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로 출력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데이터 인에이블(enable) 구간 동안 상기 제1전송라인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데이터 디스에이블(disable) 구간 동안 상기 제2전송라인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비활성화된 구간에서 전송라인을 변경하므로 끊김 없는 영상의 전송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각각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발생횟수가 적은 전송라인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장 오류 발생이 적은 전송라인을 선택하여 안정적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정상적인 영상신호의 참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송라인에 대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영상신호의 참조값을 저장해두고,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이와 비교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상기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중인 전송라인에 오류 발생시 다른 전송라인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에 오류 발생시, 상기 제1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라인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를 피드백하여 해당 전송라인에 대한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각각에 대한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전송라인에 대해 서로 다른 설정을 적용하여 온도 및 채널 환경 등의 변화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제2전송라인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라인에 대한 오류 검출이 가능하다.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제1채널 및 제2채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이 병렬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채널이 유휴상태인 경우, 상기 제1채널에 대하여 상기 오류 처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복수의 채널 중 활성화된 채널에 대해 오류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신호처리부의 출력단에 의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단과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송라인 및 제2전송라인 중 제1전송라인을 통해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단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어부에 의해, 영상신호의 전송 중 제1전송라인에 오류가 발생하면, 제2전송라인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사용중인 전송라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환경적인 요인에 상관 없이 시청되는 영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단으로부터 복수의 출력라인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제1전송라인으로 출력되도록 병렬-직렬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전송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복수의 입력라인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도록 직렬-병렬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적은 수의 전송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로 출력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의 데이터 인에이블(enable) 구간 동안 상기 제1전송라인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의 데이터 디스에이블(disable) 구간 동안 상기 제2전송라인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비활성화된 구간에서 전송라인을 변경하므로 끊김 없는 영상의 전송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각각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발생횟수가 적은 전송라인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장 오류 발생이 적은 전송라인을 선택하여 안정적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정상적인 영상신호의 참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송라인에 대한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영상신호의 참조값을 저장해두고,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이와 비교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상기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중인 전송라인에 오류 발생시 다른 전송라인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전송라인에 오류 발생시, 상기 제1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라인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를 피드백하여 해당 전송라인에 대한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각각에 대한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전송라인에 대해 서로 다른 설정을 적용하여 온도 및 채널 환경 등의 변화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제2전송라인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라인에 대한 오류 검출이 가능하다.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제1채널 및 제2채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이 병렬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채널이 유휴상태인 경우, 상기 제1채널에 대하여 상기 오류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복수의 채널 중 활성화된 채널에 대해 오류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사용중인 전송라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적인 요인에 상관 없이 시청되는 영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간별 오류 처리 동작을 도시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의 흐름을 도시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류 검출 알고리즘을 도시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류 검출 결과를 피드백하여 신호 전송을 위한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라인별로 신호 전송을 위한 서로 다른 설정값을 적용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채널이 모두 활성화된 경우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채널 중 활성화된 채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채널 중 활성화된 채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는 신호수신부(11), 신호처리부(12), 인터페이스(13), 디스플레이부(14), 제어부(15), 입력수신부(16) 및 저장부(17)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13)는 에러처리부(135)의 구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예컨대, TV, 스마트폰, 태블릿 및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에 포함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일부 구성을 제외하여 구성되거나, 추가적인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하나 혹은 적은 수의 전송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4)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는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영상신호는 예컨대, 비디오 또는 그래픽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는 수신하는 방송신호 및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수신부(11)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나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호수신부(11)는 DVD 플레이어, 게임기, PC 등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는 신호수신부(11)에서 수신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2)에서 수행하는 신호처리의 예로서,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 (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등이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처리부(12)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 구성들이 장착된 영상처리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처리부(12)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 구성을 더 포함한다. 즉, 신호처리부(12)는 영상신호를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해 예컨대, 프레임 컨트롤러(Frame Controller), RGB 데이터 인코더/디코더(encoder/decoder), 스크램블러(Scrambler) 및 8b/10b 인코더/디코더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3)는 신호처리부(12)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하나 이상의 전송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4)로 전송한다. 예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3)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병렬-직렬 변환부(22),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에러처리부(135) 및 직렬-병렬 변환부(25)를 포함하고, 추가적인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3)의 구성 중 에러처리부(135)는 신호처리부(1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전송하는 동안 제1전송라인(131)에 발생하는 오류(error)를 검출한다. 이 때, 에러처리부(135)는 제1전송라인(131)에 오류 발생시 제1전송라인(131) 대신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스위칭한다.
디스플레이부(14)는 신호처리부(12)로부터 출력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인터페이스(13)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4)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부(14)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수신부(16)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예로서, 입력수신부(16)는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수신부(16)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외측에 구비된 입력패널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장치(10)와 적외선 방식으로 통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수신부(16)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연결되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장치(10)에 마련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7)는 신호수신부(11)에서 수신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저장한다. 저장부(17)는 저장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의 데이터 각각에 대해 독취(read), 기록(write), 수정(edit), 삭제(delete), 갱신(update) 등이 수행되도록 한다. 저장부(17)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메인제어부(15)는 디스플레이장치(10)가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메인제어부(1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고, 제어, 연산, 레지스터의 세 영역을 포함한다. 제어영역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석하고, 해석된 명령의 의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의 각 구성으로 동작을 지시한다. 연산영역은 산술 연산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고, 제어영역의 지시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의 각 구성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수행한다. 레지스터는 CPU에서 명령어를 실행하는 동안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억 장소로, 디스플레이장치(10)의 각 구성에 대한 명령어 및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연산된 결과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는 인터페이스(13)의 구성을 이용하여, 신호처리부(1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13)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세부 구성으로서, 병렬-직렬(parallel to serial) 변환부(22),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에러처리부(135) 및 직렬-병렬(serial to parallel) 변환부(25)를 포함한다.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서브전송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러처리부(135)는 전송라인에 대한 오류 검출 및 전송라인을 선택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에러제어부(136)와, 선택된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 (233)의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에러제어부(136)와 멀티플렉서(233)는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과 디스플레이부(14)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되어,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에 발생되는 오류의 검출 및 그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일실시예로서, 신호처리부(12)의 출력단에서 복수의 출력라인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병렬-직렬 변환부(22)를 거쳐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는 에러제어부(136)의 제어동작에 의해 멀티플렉서(233)를 거쳐 둘 중 하나의 영상신호만이 출력된다. 이 때,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다시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해 직렬-병렬 변환부(25)를 거쳐 복수의 입력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4)의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에러제어부(136)는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제1전송라인(131)에 대해 오류를 검출한다.
또한, 에러제어부(136)는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각각을 통해 영상신호를 동일하게 전송하고, 전송하는 동안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각각에 대해 오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에러제어부(136)는 제1전송라인(131)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전송라인(131)을 사용하지 않고, 제2전송라인(132)으로 전환하여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에러제어부(136)는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한 제어신호를 멀티플렉서(233)로 전송한다. 에러제어부(136)는, 만일 제1전송라인(131)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제2전송라인(132)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로서 에러 플래그(ERR FLAG)를 '1'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233)로 전송한다. 이 때, 멀티플렉서(233)는 에러제어부(136)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참조하여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에러제어부(136)는 제1전송라인(131)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1전송라인(131)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로서 에러 플래그(ERR FLAG)를 '0'으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233)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멀티플렉서(233)는 전송된 제어신호을 참조하여 전송라인의 전환 없이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사용중인 일부 전송라인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나머지 전송라인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는 인터페이스(13)의 구성을 이용하여, 신호처리부(1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13)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세부 구성으로서, 도 2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그 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한다. 즉, 인터페이스(13)는 병렬-직렬 변환부(22),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에러처리부(135) 및 직렬-병렬 변환부(25)를 포함하고, 그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제1먹스(231) 및 제2먹스(232)와, FIFO(2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도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먹스(231) 및 제2먹스(232)는 신호처리부(12)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채널(도 9의 부호 91 참조) 및 제2채널(도 9의 부호 92 참조) 중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를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각각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즉, 제1먹스(231) 및 제2먹스(232)의 구성을 이용하여, 제1채널(91) 및 제2채널(92)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으로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로서, 전송라인 당 12.5GHz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칩을 사용하는 경우, UHD 4K 모니터에 대해 120Hz의 주파수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제1채널(91) 및 제2채널(92)를 모두 활성화하여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UHD 4K 모니터에 대해 60Hz의 주파수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제1채널(91)만을 활성화하여 두 개의 전송라인 중에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두 채널 중 제1채널(91)이 활성화된 경우, 에러제어부(136)는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전송 중 제1전송라인(131)에 대한 오류를 검출한다.
이 경우, 에러제어부(136)는 제1채널(91)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각각을 통해 영상신호를 동일하게 전송하고, 전송하는 동안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각각에 대해 오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오류 검출 과정에서, 제1전송라인(131)에서 오류 발생시, 제2전송라인(132)으로 전환하여,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서브전송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이외에 추가적인 전송라인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에 구현되는 전송라인의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모니터의 규격 및 전송 주파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FIFO(first in first out)(24)는 에러제어부(136)와 멀티플렉서(233) 사이에 마련되고,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컨대 버퍼(buffer)로 구현된다.
일실시예로서, 제1전송라인(131)에서의 오류 발생에 따라 제2전송라인(132)으로 전환하는 경우, 전환에 따른 과도기적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FIFO(24)는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2전송라인(132)으로의 전환에 따른 오류 발생시 저장된 영상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FIFO(24)의 구성을 이용하여 전송라인의 전환 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시청되는 화면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13)와 디스플레이부(14) 사이에는 제1전송라인(131) 또는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한 구동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하는 회로인 패널처리부(31)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간별 오류 처리 동작을 도시한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는 인터페이스(13)를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시간 구간별로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러제어부(136)는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 중 제1전송라인에 대한 오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전송라인을 선택한다.
도시된 예에서, 에러제어부(136)는 데이터 전송이 활성화되는 데이터 인에이블 구간(45) 동안, 제1전송라인(131)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는 동작(S40)을 수행한다. 또한, 에러제어부(136)는 데이터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데이터 디스에이블 구간(46) 동안,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S41)을 수행한다.
예로서, 에러제어부(136)는 오류 검출 결과 제1전송라인(131)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제2전송라인(132)으로 전환하여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에러제어부(136)는 오류 검출 결과 제1전송라인(132)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1전송라인(131)을 그대로 유지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비활성화된 구간에서 전송라인을 변경하므로 끊김 없는 영상의 전송이 가능하다.
여기서, 데이터 인에이블 구간(45) 및 데이터 디스에이블 구간(46)은 소정 주기를 가지고 교대로 반복된다. 즉, 에러제어부(136)는 오류 검출 동작(S40) 및 전송라인 선택 동작(S41)을 교대로 반복하여 구간별로 가장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지는 전송라인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에러제어부(136)는 데이터 인에이블 구간(45) 동안,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각각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는 동작(S4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데이터 인에이블 구간(45) 동안,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각각에 대해 오류 발생횟수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에러제어부(136)는 데이터 디스에이블 구간(46) 동안,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각각에 대한 오류 발생횟수를 비교하여, 더 적은 오류횟수를 가지는 전송라인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가장 오류 발생이 적은 전송라인을 선택하여 안정적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의 흐름을 도시한 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는 인터페이스(13)를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아래와 같은 동작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동작 S50에서, 에러제어부(136)는 데이터 전송이 활성화되는 데이터 인에이블 구간(45) 동안,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영상신호를 동일하게 전송한다. 이 때, 에러제어부(136)는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디폴트 전송라인으로서 제1전송라인(131)을 선택하고, 제1전송라인(131)을 선택하는 제어신호로서 에러 플래그(ERR FLAG)를 '0'으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동작 S51에서, 에러제어부(136)는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각각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동작 S51의 수행 결과, 제1전송라인(131)에 대한 오류 발생횟수가 제2전송라인(132)에 대한 오류 발생횟수보다 적거나 같은 경우, 동작 S521에서, 에러제어부(136)는 제1전송라인(131)을 유지한다. 이 때, 에러제어부(136)는 동작 S50에서 기 선택된 제1전송라인(131)을 유지하고, 에러 플래그(ERR FLAG)의 출력 값을 '0'으로 유지한다.
또한, 동작 S51의 수행 결과, 제2전송라인(132)에 대한 오류 발생횟수가 제1전송라인(131)에 대한 오류 발생횟수보다 적은 경우, 동작 S522에서, 에러제어부(136)는 제2전송라인(132)을 선택한다. 이 때, 에러제어부(136)는 제2전송라인(132)을 선택하는 제어신호로서 에러 플래그(ERR FLAG)를 '1'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S521 및 동작 S522는 데이터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데이터 디스에이블 구간(46) 동안 수행되고, 이후 다시 데이터 인에이블 구간(45)에 진입하면 동작 S50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다른 예로서, 동작 S51의 수행 결과,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S50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류 검출 알고리즘을 도시한 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러제어부(136)는 제1전송라인(131)에 대한 오류를 검출함에 있어, 제1전송라인(131)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의 데이터(D0)와 룩업테이블(137)에 기 저장된 참조정보(L0)와의 비교를 통해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참조정보(L0)는 정상적인 영상신호로 판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예컨대, 8B/10B 인코딩 데이터, CRC(cyclic redundancy check) 데이터 및 특정 코드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8B/10B 인코딩 데이터는, 영상신호에 대해 8비트(bit)를 10비트로 변환하는 인코딩 방식을 적용한 값으로, 에러제어부(136)는 영상신호의 데이터(D0)와 참조정보(L0)로 저장된 인코딩 값과의 비교를 통해 제1전송라인(131)에 대한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CRC 데이터는, 데이터의 전송시 전송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순환 중복 검사 방식을 적용한 값이다. 이 방식의 경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CRC 값을 계산하여 데이터에 붙여 전송하고, 데이터 전송이 끝난 후 수신한 데이터의 값으로 다시 CRC 값을 계산하여 두 값을 비교하게 된다.
정상적으로 처리된 영상신호의 경우, 룩업테이블(137)에 저장된 CRC값과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전송되어 계산된 CRC 값이 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영상신호가 비정상적으로 처리된 경우 룩업테이블(137)에 저장된 CRC값과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전송되어 계산된 CRC 값이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에러제어부(136)는 CRC 값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제1전송라인(131)에 대한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룩업테이블(137)에 기 저장된 참조정보(L0)로서 특정 코드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에러제어부(136)는 CRC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전송 이전에 설정한 코드값과 전송 후의 코드값을 비교하여 제1전송라인(131)에 대한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에러제어부(136)는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전송된 영상신호의 데이터(D0)와 룩업테이블(137)에 저장된 참조정보(L0)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영상신호의 데이터(D0)와 참조정보(L0)가 동일하면, 에러제어부(136)는 영상신호의 데이터(D0)를 정상적인 신호로 판단하고 제어신호로서 에러 플래그를 '0'으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233)로 전송한다. `
영상신호의 데이터(D0)와 참조정보(L0)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제어부(136)는 영상신호의 데이터(D0)를 비정상적인 신호로 판단하고 제어신호로서 에러 플래그를 '1'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233)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류 검출 결과를 피드백하여 신호 전송을 위한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13)는 세부 구성으로서 에러보상부(71)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에러제어부(136)는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제1전송라인(131)에 대한 오류 여부를 검출한다.
이 때, 에러제어부(136)는 오류 검출에 관한 결과를 피드백하기 위해 검출 결과를 에러보상부(71)로 전송한다.
일실시예로서, 에러제어부(136)는 오류 검출 결과 제1전송라인(131)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 발생 신호를 에러보상부(71)로 전송한다. 이 때, 에러보상부(71)는 오류 발생 신호에 기초하여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설정값은 예컨대, 이퀄라이저 파라미터(Equalizer parameter), 신호 강도(strengt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러보상부(71)는 오류 발생시 이퀄라이저 파라미터 등의 설정값을 변경함에 의해, 이후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오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라인별로 신호 전송을 위한 서로 다른 설정값을 적용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13)는 세부 구성으로서 제1에러보상부(81) 및 제2에러보상부(82)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에러보상부(81) 및 제2에러보상부(82)는 신호처리부(12)와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사이에 마련된다.
제1에러보상부(81) 및 제2에러보상부(82)는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에 대해 서로 다른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설정한다. 이 때, 전송설정값은,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중 두 전송라인(131, 132) 각각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송설정값은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이전에 서로 다른 특정 환경조건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송설정값의 설정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예로서, 제1에러보상부(81)는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이퀄라이저 파라미터를 상온 환경에 적합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2에러보상부(82)는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이퀄라이저 파라미터를 고온 환경에 적합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온 환경에서는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고온 환경에서는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오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각 전송라인에 대해 서로 다른 전송설정값을 적용함에 의해 온도 및 채널 환경 등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11에서는, 채널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영상신호의 특성(예컨대, 이미지의 해상도 등)에 기초하여, 채널을 하나로 할 것인지, 2 이상으로 할 것인지 판단하여 이에 맞게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채널이 모두 활성화된 경우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9는 두 개의 채널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로서, 예컨대 높은 해상도의 영상에 대해 두 채널을 모두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예이다.
도시된 예에서, 제1채널(91) 및 제2채널(92)이 모두 활성화된 상태에서, 신호처리부(12)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제1채널(91) 및 제2채널(92)을 통해 출력되어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으로 입력된다.
이 때, 제1먹스(231) 및 제2먹스(232)는 신호처리부(12)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제1채널(91) 및 제2채널(92)을 통해 영상신호를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으로 각각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활성화된 제1채널(91) 및 제2채널(92)로부터 출력되어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오류 처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채널 중 활성화된 채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0은 두 개의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유휴로 처리하는 경우로서, 예컨대 작은 해상도의 영상에 대해 활성화된 하나의 채널만을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예이다.
도시된 예에서, 신호처리부(12)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제1채널(91) 및 제2채널(92) 중 활성화된 제1채널(91)을 통해 출력되어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으로 입력된다.
이 때, 제1먹스(231) 및 제2먹스(232)는 신호처리부(12)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제1채널(91)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채널(92)이 유휴상태인 경우, 활성화된 제1채널(91)로부터 출력되어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오류 처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채널 중 활성화된 채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1은, 도 10의 경우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1채널(91)이 유휴상태인 경우, 도 10에서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오류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70에서, 신호처리부(12)의 출력단에 의해,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동작 S71에서, 에러제어부(136)에 의해, 신호처리부(12)의 출력단과 디스플레이부(14)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중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단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동작 S71은, 신호처리부(12)의 출력단으로부터 복수의 출력라인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제1전송라인(131)으로 출력되도록 병렬-직렬 변환하는 동작과, 제1전송라인(131)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복수의 입력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4)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도록 직렬-병렬 변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72에서, 에러제어부(136)에 의해, 영상신호의 전송 중 제1전송라인(131)에 오류가 발생하면, 제2전송라인(132)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동작 S72는, 영상신호의 데이터 인에이블 구간(45) 동안 제1전송라인(131)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는 동작과, 영상신호의 데이터 디스에이블 구간(46) 동안 제2전송라인(132)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동작 S72는,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 각각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발생횟수가 적은 전송라인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동작 S72는, 정상적인 영상신호의 참조정보에 기초하여 제1전송라인(131)에 대한 오류를 검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 S72는,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멀티플렉서(233)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동작S72는, 제1전송라인(131)에 오류 발생시, 제1전송라인(131)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동작 S72는,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 각각에 대한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러제어부(236)는,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과 디스플레이부(14)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신호처리부(12)의 출력단으로부터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제1채널(91) 및 제2채널(92) 각각에 대하여 제1전송라인(131) 및 제2전송라인(132)이 병렬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2채널(92)이 유휴상태인 경우, 제1채널(91)에 대하여 오류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사용중인 전송라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환경적인 요인에 상관 없이 시청되는 영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디스플레이장치
11: 신호수신부
12: 신호처리부
13: 인터페이스
131: 제1전송라인
132: 제2전송라인
135: 에러처리부
136: 에러제어부
14: 디스플레이부
15: 메인제어부
16: 입력수신부
17: 저장부
22: 병렬-직렬 변환부
231: 제1먹스
232: 제2먹스
233: 멀티플렉서
24: FIFO
25: 직렬-병렬 변환부
31: 패널처리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출력단을 포함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단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입력단으로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제1전송라인 및 제2전송라인과;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제1전송라인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 중 상기 제1전송라인에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제2전송라인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단과 상기 제1전송라인 사이에 마련되는 병렬-직렬 변환부와;
    상기 제1전송라인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되는 직렬-병렬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데이터 인에이블(enable) 구간 동안 상기 제1전송라인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데이터 디스에이블(disable) 구간 동안 상기 제2전송라인으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각각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발생횟수가 적은 전송라인으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상적인 영상신호의 참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송라인에 대한 오류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상기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에 오류 발생시, 상기 제1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각각에 대한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제2전송라인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제1채널 및 제2채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이 병렬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채널이 유휴상태인 경우, 상기 제1채널에 대하여 상기 오류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신호처리부의 출력단에 의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단과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송라인 및 제2전송라인 중 상기 제1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입력단으로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 중 상기 제1전송라인에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제2전송라인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단으로부터 복수의 출력라인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제1전송라인으로 출력되도록 병렬-직렬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전송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복수의 입력라인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도록 직렬-병렬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데이터 인에이블(enable) 구간 동안 상기 제1전송라인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의 데이터 디스에이블(disable) 구간 동안 상기 제2전송라인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각각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발생횟수가 적은 전송라인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정상적인 영상신호의 참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송라인에 대한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상기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라인에 오류 발생시, 상기 제1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 각각에 대한 영상신호의 전송설정값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제2전송라인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단 사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제1채널 및 제2채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전송라인 및 상기 제2전송라인이 병렬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채널이 유휴상태인 경우, 상기 제1채널에 대하여 상기 오류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092374A 2017-07-21 2017-07-2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0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374A KR20190010096A (ko) 2017-07-21 2017-07-2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8/002173 WO2019017548A1 (ko) 2017-07-21 2018-02-2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374A KR20190010096A (ko) 2017-07-21 2017-07-2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096A true KR20190010096A (ko) 2019-01-30

Family

ID=6501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374A KR20190010096A (ko) 2017-07-21 2017-07-2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10096A (ko)
WO (1) WO20190175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765A1 (ko) * 2019-09-11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1175A (ja) * 2004-04-16 2005-10-27 Sanyo Electric Co Ltd 映像データ伝送回路及び映像データ表示システム
KR100819439B1 (ko) * 2007-08-23 2008-04-04 주식회사 디에이텍 멀티미디어신호 직렬 전송장치
JP5593596B2 (ja) * 2008-02-04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送信装置および映像信号送信方法
KR101548351B1 (ko) * 2014-12-08 2015-08-28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다중신호 전송라인으로 제어되는 자가진단 및 복구형 전광판 시스템
KR102429907B1 (ko) * 2015-11-06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드라이버의 동작 방법,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765A1 (ko) * 2019-09-11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7548A1 (ko)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3666B (zh) 配置多显示器系统的显示装置和用于控制其的方法
US8704839B2 (en) Video frame self-refresh in a sink device
KR102154186B1 (ko) 테스트 효율성을 향상한 타이밍 콘트롤러, 소스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및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의 동작방법
US994260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a sink device to change video display resolution based on error counter value detected at the sink device using HDMI
US202001848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in response to image data
US8970789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785052B1 (en) Baseband video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receiving device, and transceiver system
CN105590574B (zh) 源极驱动器电路以及显示装置
US2012012008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l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00023145A1 (en) Content outputting device, content outputting method, and program
KR20130127468A (ko) 정적 프레임 제공 방법 및 장치
US9767769B2 (en)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US8799939B2 (en) Video receiving apparatus and video receiving method
KR20160016413A (ko)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986200B1 (en) Method and video conversion system of updating video setting
KR2019001009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15009A1 (en)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US20160360122A1 (en) Signal input switching circuit, method of controlling signal input switch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20090030681A (ko) 영상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US7808560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7191352B2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cut-off protection circuit
US2014000950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43385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커서 표시방법 및 오에스디 영상표시장치
US20210117145A1 (en) Multi-display apparatus with sensors
KR20100134285A (ko) 신호 전송방법, 신호 전송장치 및 신호 전송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