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096A -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 - Google Patents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096A
KR20190009096A KR1020170090881A KR20170090881A KR20190009096A KR 20190009096 A KR20190009096 A KR 20190009096A KR 1020170090881 A KR1020170090881 A KR 1020170090881A KR 20170090881 A KR20170090881 A KR 20170090881A KR 20190009096 A KR20190009096 A KR 20190009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
boundary
gymnasium
sector
cou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778B1 (ko
Inventor
조병구
신명희
한창석
천창희
정연욱
Original Assignee
조병구
정연욱
천창희
신명희
한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구, 정연욱, 천창희, 신명희, 한창석 filed Critical 조병구
Priority to KR102017009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7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층의 운동장은 다양한 운동 종목을 위한 섹터와 상기 섹터 사이를 구분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섹터는 각각의 운동 종목별로 구획된 코트경계를 가지는 코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코트의 코트경계는 상호 호환이 가능한 운동 종목의 규격에 맞추어 형성되고, 이웃하는 코트 간에 서로 호환이 가능하여 체육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섹터의 일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냉난방 부스를 포함하여, 각 코트에서 운동하는 플레이어들의 휴식을 도모할 수 있고, 체육관의 2,3,4층 높이의 내벽에 1층을 조망할 수 있는 캔틸레버부를 포함하여 관람석 대신 카페, 간이식당, 미디어실, 전자오락실, 바둑실, 조깅트랙 등의 위락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Multi sports center with air-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층의 운동장은 다양한 운동 종목을 위한 섹터와 상기 섹터 사이를 구분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섹터는 각각의 운동 종목별로 구획된 코트경계를 가지는 코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코트의 코트경계는 상호 호환이 가능한 운동 종목의 규격에 맞추어 형성되고, 이웃하는 코트 간에 서로 호환이 가능하여 체육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섹터의 일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냉난방 부스를 포함하여, 각 코트에서 운동하는 플레이어들의 휴식을 도모할 수 있고, 체육관의 2,3,4층 높이의 내벽에 1층을 조망할 수 있는 캔틸레버부를 포함하여 관람석 대신 카페, 간이식당, 미디어실, 전자오락실, 바둑실, 조깅트랙 등의 위락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여가시간이 늘고 건강에 관심이 많아져서 일반 대중들도 축구, 농구 등의 인기 있는 운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고자 하는 사회가 되었으나, 아직 관련시설의 미비로 쉽게 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올림픽이나 월드컵을 겨냥한 거대 체육시설들이 존재하지만, 이는 일반 대중들을 위한 것이 아니고, 또한 경기장 구조상 해당 종목 이외에 다른 스포츠를 즐기기는 힘들다. 또 거대 체육시설은 2,3,4층에 관람석이 대량으로 구비되어 있기에 대중을 위한 운동 코트는 부족할 수밖에 없고, 일반인들이 이러한 경기장에서 운동을 즐기기엔 부담된다.
최근 들어 초중고 각급학교에서도 적당한 운동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다양한 방과후 체육활동을 권장하면서 학생들의 체육활동 수요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지만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일반 대중이나 학생들을 위한 다목적 종합 체육시설 확충이 시급한 상황이다.
중,고등학교 체육관이나 동네 주민센터 등에 배드민턴장, 농구장 등이 구비된 경우가 종종 있으나, 이 역시 해당 종목에 맞춰진 코트의 한계 때문에 다른 운동 종목을 위해 사용하긴 힘들다. 혹은 도면 1과 같이, 농구장으로 설계되었어도 농구 경기가 없는 때에는 그 가운데에서 배드민턴 네트를 설치하여 시합하기도 하나, 양 종목 간 코트 크기의 차이 때문에 도면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낭비되는 공간(B1-B2)이 발생하여 공간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종목 간 공유 가능한 코트의 설계가 절실히 요구된다.
우리나라는 겨울철의 추위와 여름철의 더위로 야외에서 운동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기간으로 따지면 우리나라는 추위로 약 4개월(12월~3월), 더위로 약 4개월(6월~9월) 정도는 실외운동에 제약을 받는다. 1년 중 반이 넘는 기간이 실외에서는 운동을 하고 싶어도 운동하기 어려운 기후가 되는 것이다.
또한, 최근 들어 황사, 미세먼지 등이 연중 수시로 발생하고 있으며,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차단문제도 심각한 지경이다. 이렇듯 환경오염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노인이나 어린이, 신체허약자 등 운동이 더 필요한 사람들이 야외활동을 하기는 오히려 더 나쁜 환경으로 치닫고 있다.
따라서 실내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실내 경기장이 존재하는데, 우리나라의 실내 체육활동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여, 부족한 공간을 서로 사용하려다 보니 크고 작은 갈등이 발생하고 사건이 벌어지기도 한다. 이에 실내에서 마음껏 운동할 수 있는 다양한 종목의 체육관 확충이 매우 시급하다.
그리고 이러한 실내 경기장은 쾌적한 운동을 위해 여름/겨울철에 각각 냉/난방이 요구된다. 그러나 실내 경기장은 그 공간이 지나치게 넓어 이를 모두 냉난방 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전력이 소모된다. 체육관에 사람이 항상 가득 차 있는 것도 아닌데 전체 공간을 냉난방 하게 되면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낭비가 심한바, 그 해결방안의 필요성이 대두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육관을 복수의 섹터와, 섹터 사이를 구분하는 통로로 구분하고, 각각의 섹터는 상호 호환이 가능한 운동종목의 규격에 맞추어 이웃하는 코트 간 호환이 가능해 효율성 높은 체육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방향 경계와 단방향 경계를 구분하여 구성하여 이웃하는 코트간 호환성 있는 체육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측 코트를 타측 코트의 운동종목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시 낭비되는 공간이 없도록 하여 효율성이 높은 체육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코트를 구분하는 장치인 포스트를 포함하여 다른 종목을 위한 코트로 신속하게 변경 가능한 체육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스트를 특정 위치에 미리 포함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코트 변경이 가능한 체육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스트를 기준으로 일측 코트를 분할하는 구획수단을 포함하여 효율적인 코트 변경이 가능한 체육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레이어들의 휴식을 위한 냉난방 부스를 포함하여 쾌적한 휴식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운영이 가능한 체육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난방 부스의 덕트 배치를 이용하여 섹터 내지는 코트와 통로를 구분하고 경기를 방해하지 않는 체육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난방 부스 벽면을 투명재로 구성하여 휴식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체육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섹터의 상층에 다양한 시설을 포함하여 월드컵, 올림픽 등의 경기 관람을 위한 것이 아닌, 일반 시민들의 위한 체육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층에 조깅할 수 있는 시설을 포함하여 효율적 운용 가능한 체육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층에 다양한 위락시설 등을 포함하여 이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는 체육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 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운동종목을 위한 섹터와 상기 섹터 사이를 구분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섹터는 각각의 운동종목별로 구획된 코트경계를 가지는 코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코트의 코트경계는 상호 호환이 가능한 운동종목의 규격에 맞추어 형성되고, 이웃하는 코트 간에 서로 호환이 가능하여 체육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트경계는 장방향 경계와 상기 장방향 경계보다 짧은 단방향 경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트 중 일측 코트의 장방향 경계는 타측 코트의 단방향 경계의 대략 정수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트는 상기 장방향 경계를 따라 코트를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스트는 각 코트의 코트경계의 꼭지점에 형성되는 꼭지점 포스트, 각 코트의 장방향 경계를 따라 타측 코트의 단방향 경계의 정수배가 되는 지점마다 형성되는 중간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측 코트의 서로 마주보는 장방향 경계에 설치된 중간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여 일측 코트를 다수의 하부코트로 분할하는 구획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구획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코트는 타측코트의 규격과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섹터의 일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냉난방 부스를 포함하여, 각 코트에서 운동하는 플레이어들의 휴식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냉난방 부스의 덕트를 상기 포스트를 따라서 취부함으로서 운동경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냉난방 부스의 벽면을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내부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섹터가 위치하는 공간을 둘러싸는 벽체의 내측에 오버행잉되는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섹터에서의 운동경기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캔틸레버부의 일측 캔틸레버부는 조깅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캔틸레버부의 일측 캔틸레버부는 카페, 간이식당 또는 영상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함, 사용관계의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체육관을 복수의 섹터와, 섹터 사이를 구분하는 통로로 구분하고, 각각의 섹터는 상호 호환이 가능한 운동종목의 규격에 맞추어 이웃하는 코트 간 호환이 가능해 체육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일반 시민들이 다양한 종목의 운동경기를 각 상황에 따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장방향 경계와 단방향 경계를 구분하여 구성하여 이웃하는 코트간 호환성을 제공해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코트 확보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측 코트의 장방향 경계를 타측 코트의 단방향 경계의 정수배로 구성하여 다른 운동종목을 위한 용도로 변경할 시 낭비되는 공간이 없도록 해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코트를 구분하는 장치인 포스트를 포함하여 다른 종목을 위한 코트로 변경 가능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포스트를 특정 위치에 미리 포함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코트 변경이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를 돕는 효과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포스트를 기준으로 일측 코트를 분할하는 구획수단을 포함하여 이웃하는 코트의 운동경기에 방해받지 않고 경기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레이어들의 휴식을 위한 냉난방 부스를 포함하여 쾌적한 휴식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운영이 가능해 비용/에너지 절약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냉난방 부스의 덕트 배치를 이용하여 섹터 내지는 코트와 통로를 구분하여 경기 방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냉난방부스의 벽면을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플레이어들의 휴식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섹터의 상층에 다양한 시설을 포함할 수 있는 캔틸레버부를 제공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을 높이고, 체육관 이용자인 일반 시민의 편의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캔틸레버부의 일측에 조깅을 즐길 수 있는 조깅트랙을 포함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을 최대화하고, 쾌적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캔틸레버부의 일측에 카페, 간이식당, 영상시설 등을 포함하여 이용자들의 편안한 휴식과, 관람자들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실내 체육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육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종목 체육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코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코트의 구획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부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부스와 그 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종목 체육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와 구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운동경기장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농구장 코트(B1)가 가운데 위치하고, 2층(71)에는 이를 둘러싼 관중석(7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기장은 농구 전용으로 설계된 것으로, 농구 경기가 없는 날에 다른 종목의 운동을 즐기기엔 적합하지 않다. 도 2와 같이 농구장의 가운데에 네트를 설치해 배드민턴 코트(B2)를 만들어 즐기는 경우가 간혹 있으나, 양 종목 간 코트 크기의 차이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낭비되는 공간(도 2의 빗금 친 부분, B1-B2)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렇듯 해당 종목 외에 다른 운동을 즐기고 싶어도 공간상 제약으로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다.
도 1과 같은 대형 경기를 위한 체육관은, 그 상측에 관람석(71b)이 다량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일반시민을 위한 체육관은 이러한 시설이 불필요하고, 오히려 관람석의 존재가 운동을 즐기는데 방해가 되기도 한다.
또 도 1과 같은 운동경기장은 실내 냉난방을 위해 대용량 공기조화기(51a)를 갖는 경우가 많으나, 경기장의 크기를 감당하기 위해선 막대한 전력이 요구된다. 경기장에 항상 사람이 가득 차 있는 것도 아니기에, 소수의 사람들만을 위해 냉난방을 한다면 큰 에너지 낭비가 초래된다. 패시브 하우스나 IOT를 통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지만, 초기비용이 많이 발생하기에 아직까지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체육관의 사시도로써, 다종목 체육관은 다양한 운동종목을 위한 섹터(1)가 구비되어 있다. 섹터는 각각의 운동종목별로 구획된 코트경계를 가지는데, 상기 각각의 코트는 상호 호환이 가능한 운동종목의 규격에 맞추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종목 체육관은 상기 섹터(1)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제1섹터(11), 제2섹터(12),....제n섹터(1n)으로 표현할 수 있다(n>=1). 상기 섹터들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어 그 사이에 통로(3)를 포함하고, 이 통로에 의해 각각의 섹터는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체육관의 이용자들은 이 통로(3)를 통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코트가 구비된 섹터(1)까지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 개의 섹터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다종목 체육관은 최대한 많은 수의 운동종목 플레이가 가능하게 되어 일반시민의 다양한 운동을 돕는다.
상기 섹터(1) 중 하나인 제1섹터(11)를 예로 들면, 제1섹터(11)는 그 내부가 각각의 운동종목별로 구획된 코트경계를 가지는 코트(111,113,...11m 등)를 포함할 수 있다(m>=1) 이때 각각의 코트의 코트경계는 상호 호환이 가능한 운동종목의 규격에 맞추어 형성되고, 이웃하는 코트 간에 서로 호환이 가능하여 체육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코트 내에서 상호 호환 가능한 운동종목은 여러 종류들이 있을 수 있다. 풋살과 테니스가 그 코트의 크기가 같아 호환이 가능하고, 족구와 농구, 배구도 각각의 코트의 크기가 비슷하여 같은 코트를 두고 호환이 가능하다. 배드민턴과 탁구도 코트의 크기가 비슷하여 상호 호환될 수 있다. 이 외에 코트의 규격이 비슷한 어떠한 종목들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호환 가능한 코트들을 한개의 섹터(1) 내에 이웃하도록 배치하면 종목이 서로 다른 두 경기(예를 들어 테니스와 풋살이 가능하다)가 인접 거리에서 같은 시간에 진행되다가, 필요에 따라 일방 종목이 타방 종목과 같은 종목으로 전환되어 같은 운동 종목의 두 경기가 이웃하여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종목의 운동경기를 관람하고자 하는 이가 한 자리에서 복수 개의 경기를 관람할 수 있어 편리하다.
다음으로 도 4,5를 참고하여 하나의 코트를 여러 개의 작은 코트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상기 코트(111,113,...11m 등)는 긴 장방향 경계(11m1)와, 상기 장방향 경계(11m1)보다 짧은 단방향 경계(11m3)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지닐 수 있는데, 대부분의 운동 종목들은 그 코트의 형상이 정사각형이 아니므로 상호 호환성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상기 코트(111,113,...11m) 중에서 두 개의 코트(111,113)만 예로 들어보겠다.
일측 코트(111)는 타측 코트(113)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때 일측 코트(111)의 장방향 경계(1111)는 타측 코트(113)의 단방향 경계(1133)의 대략 정수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 코트(111)를 여러 개의 하부 코트(111a)로 나눌 수 있는데, 이 하부 코트(111a)는 타측 코트(113)와 그 면적과 크기가 동일하게 된다. 즉, 큰 일측 코트(111)를 여러 개의 타측 코트(113)로 나누어 코트의 크기가 다른 운동 종목을 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그 경계의 길이가 정수배로 형성되었기에 일측 코트(111)는 빈틈이 없이 여러 개의 하부 코트(111a)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렇게 공간 활용 측면에서 최대한의 효율을 내는 다종목 체육관은 종래 기술(도1, 2)과 비교할 시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일측 코트(111)의 장방향 경계(1111)의 길이는 타측 코트(113)의 단방향 경계(1133) 길이의 정수배가 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게시된 4등분 되는 지점 외에도 다양하게 분할하여 코트의 규격이 서로 대략 정수배가 되는 어떠한 종목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일측 코트(111)의 장방향 경계(1111)이 타측 코트(113)의 단방향 경계(1133)의 정수배가 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종목들도 가능하다. 또는 각 경계가 서로 정수배가 되는 코트를 가지는 종목들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일측 코트(111)에서 플레이 될 수 있는 운동 종목이 농구, 족구, 테니스, 풋살 등이 있다. 상기 네 종목은 코트의 크기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또는 일측 코트(111)가 배구라면, 타측 코트(113)에서 플레이 될 수 있는 운동 종목은 배드민턴 혹은 탁구가 있다. 배구와 배드민턴은 1:2 호환, 배구와 탁구는 1:3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설명한 일측 코트(111)와 타측 코트(113)의 경우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여러 개의 코트(111,113,...11m, m>=1)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분할되어 효율적인 공간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코트(11x, 1=<x=<m)를 그 장방향 경계(11x1)를 따라, 다른 코트(11y, 1=<y=<m)의 단방향 경계(11y3)의 정수배가 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작은 하부 코트(11xa)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하부코트(11xa)는 상기 다른 코트(11y)와 그 크기와 면적이 대략 일치하여 그 코트(11y)를 위한 운동종목 플레이에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9를 참고하여 코트의 분할을 위한 포스트(91)와 그 구획수단(93)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이때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여러개의 코트(111,113,...11m 등) 중에서 두 개의 코트(111,113)만을 그 예로 들어 서술하겠다.
상기 분할을 위해 일측 코트(111)의 장방향 경계(1111)를 따라 타측 코트(113)의 단방향 경계(1133)의 정수배의 길이가 되는 지점에 포스트(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포스트(91)는 일반적으로 운동 경기시 그물망(네트)을 걸 수 있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포스트(91)를 상기 지점에 고정 시켜둘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운동경기에 방해되지도 않고, 복수 개의 하부 코트(111a)로 분할할 때 매번 포스트(91)의 위치를 계산하여 선정하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획하여 간편하게 코트의 재편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포스트(91)는 일측 코트(111)의 꼭지점에 설치되는 꼭지점 포스트(911)와, 장방향 경계상에 설치되는 중간 포스트(913)로 구분될 수 있다. 꼭지점 포스트(911)에는 구획수단(93)이 체결되어 일측 코트(111)를 이웃하는 일측 코트 또는 통로(3)와 구분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비하여 중간 포스트(913)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하부 코트(111a)로 구획할 경우에만 구획수단(93)이 체결되어 하부 코트(111a) 간에 경계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포스트(91)에는 그 일측에 체결수단(91a)을 포함하여 전술한 구획을 위한 구획수단(93)이 체결될 수 있는데, 이 구획수단(93)은 그물망으로 형성된 네트가 될 수도 있고, 그 밖에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어떠한 구획수단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7을 참고하여 운동을 즐기다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냉난방 부스(5)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섹터(1)의 일측에는 냉난방 부스(5)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스(5)는 섹터(1)마다 한 개 이상씩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섹터 경계를 기준으로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경기에 방해를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스(5)는 각 코트에서 운동하는 플레이어들의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실내 체육관 전체를 냉/난방하던 종래의 기술과 비교시 사람들이 몰리는 일정 지역에만 냉난방장치(51)를 가동함으로써 냉난방 효율을 높여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이는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일정 공간에만 냉난방을 실시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휴식을 취하는 플레이어들의 쾌적한 휴식을 도모할 수 있다.
실외기와 통하기 위한 냉난방 덕트(53)는 상기 포스트(911,913) 위에 각 섹터의 둘레를 따라 설치하여 각 섹터와 통로(3)을 구분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운동 경기에 방해를 최소화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덕트(3)는 최소한 사람 키높이를 넘는 위치에 형성하여 통로와 섹터를 드나들 때 방해가 없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스(5) 내부의 냉난방장치(51)는, 필요에 따라 냉방기(511)는 상부에, 난방기(513)는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냉방기(511)에서 나온 찬 공기는 아래쪽으로 가라앉는 성질을 띄며, 난방기(513)에서 나온 뜨거운 공기는 위쪽으로 상승하려는 성질을 띄기에 이러한 구성을 통해 냉/난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스(5) 문의 상부에 에어커튼(57)을 구비하여 문이 열릴 때마다 외부로 냉/난방된 공기가 유입/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난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부스(5) 벽면(55)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휴식 중에도 내부에서 타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질은 유리나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할 수 있다.
휴식 중에 더욱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산소 공급기 내지는 피톤치드 확산기(591,593)를 설치할 수 있으며, 안내방송을 듣거나 음악을 감상하기 위해 스피커(595)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영상시설물을 설치해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냉난방부스(5)의 활용시 체육관 전체에 냉난방 하던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적은 전력만으로도 냉난방이 가능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은데, 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전력 절약이 가능한지 계산해보겠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체육관의 부피 중 일 실시 예를 상정해보면, 풋살, 족구, 농구, 배구, 테니스, 배드민턴, 탁구, 볼링, 스크린 골프, 게이트볼, 미니테니스, 스쿼시, 야구투수 및 타석, 헬스, 전통놀이장 등 15개 종목에 대해 종목별로 1~수개의 구장을 만든다고 가정할 때 90m*94m=8,460m^2의 면적이 필요하고, 이때 체육관의 높이를 20m로 잡으면, 총 체적은 (8,460m^2)*20m=169,200m^3가 된다.
이 중에서 냉난방 부스(5)의 체적을 계산하기 위해 몇 개의 부스(5)가 필요한지 먼저 검토한다. 부스(5)의 높이를 2.5m로 가정한다.
1층 경기장에 있는 부스 체적은 운동 가능한 총 인원수를 기준으로 1명이 점유하는 부스면적으로 계산하고 2,3층 휴식공간은 상기 체육관의 면적을 기준으로 할 때 각층별로 54개의 부스가 설치된다고 가정하여 부스 1개의 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1층의 부스 총 면적은 상기 15개 종목에서 운동하는 인원수는 164명 1인당 의자에 앉을 때 점유 면적은 1.5m*0.6m이다. 따라서 1층의 부스 체적은 1.5*0.6*2.5*164=369m^3가 된다. 1층 부스만 난방 한다면 천체 공간을 난방 하는 것과 비교하면 0.2% 즉, 500배의 난방효과가 발생한다.
2,3층의 부스체적은 108개*1.5*2.4*2.5=972m^3가 되고 1층의 부스 체적과 합하면 1341m^3가된다. 따라서 1,2,3층 의 부스 천체를 모두 난방해도 1%의 적은 비용으로 난방이 가능하다. 그런데 실질적으로는 필요한 구역만 난방이 가능 하므로 훨씬 더 적은 비용이 소요되리라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체육관 4벽의 유리창은 1층, 4층의 경우 모든 창을 개폐하여 온도조절 및 환기할 수 있고, 2, 3층의 경우 1/2은 개폐식, 나머지는 유리벽으로 구성하여 온도조절 및 환기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의 단면도와 도 3을 참고하여 섹터(1)의 상측에 설치되는 캔틸레버부(7)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섹터가 위치하는 공간을 둘러싸는 벽체(77)의 내측에 오버행잉되어 1층의 섹터를 조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부(7)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캔틸레버부(7)는 상기 섹터(1)에서의 운동경기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캔틸레버부(7)에는 종래의 체육관 2,3층에 설치되던 관람의자를 제거하고, 그 일측에 조깅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은 2,3층에 관람의자가 구비되었었는데, 일반 시민을 위한 체육관에는 그렇게 많은 관람석이 불필요하고, 오히려 이 때문에 코트의 면적과 개수가 줄어들어 원하는 경기를 즐길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관람의자를 제거하고 대신에 조깅트랙을 포함함으로써 조깅을 즐기는 사람은 상기 섹터(1)의 코트(111,113 등)에서 경기를 즐기는 플레이어들에게 방해를 끼치거나 받지 않고 자유롭게 운동이 가능하다. 더구나 상위층에 존재하기에 1층의 경기를 내려다보며 넓은 시야를 확보한 채 운동이 가능하여 더욱 쾌적한 조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캔틸레버부(7)의 일측에 카페(711), 간이식당(713), 관람시설(715), 미디어 영상시설(731), 전자오락실(733), 바둑실(755), 가상체험실 등의 다양한 위락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코트에서 운동을 즐기다가 휴식시간에 목을 축이거나 배를 채우기 위하여 외부 매점으로 나가는 일이 종종 있는데, 체육관 내에 이러한 위락시설을 포함함으로써 이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체육관에 오는 사람들 모두가 운동을 즐기는 것은 아니고, 가족이나 친구를 따라 방문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러한 사람들을 위한 휴식공간이 기존에는 관람석(71b) 밖에 없어 매우 불편하였다. 일행이 관람석에 앉아 지루하게 기다리는 경우 운동 경기를 즐기고자 하는 플레이어들도 편한 마음으로 경기에 임할 수 없었는데, 본 발명과 같이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다양한 시설을 갖는 다목적 레포츠 센터로 해결 가능하다.
이러한 캔틸레버부(7)를 통해 체육관의 제한된 면적을 최대한으로 활용 가능하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전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1: 종래의 실내 체육관 농구장
B2: 종래의 실내 체육관 배드민턴장
51a: 종래의 실내 체육관 냉/난방장치
71b: 종래의 실내체육관 2층 관람석
1: 섹터 11: 제1 섹터 13: 제2 섹터
1n: 제n 섹터
111: 일측 코트 113: 타측 코트 11m: m번째 코트
3: 통로
5: 냉난방부스 51: 냉난방장치 53: 냉난방덕트
55: 부스 벽면 71: 캔틸레버부 2층 711: 카페
73: 캔틸레버부 3층
75: 캔틸레버부 4층 751: 조깅트랙

Claims (12)

  1. 다양한 운동종목을 위한 섹터와 상기 섹터 사이를 구분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섹터는 각각의 운동종목별로 구획된 코트경계를 가지는 코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코트의 코트경계는 상호 호환이 가능한 운동종목의 규격에 맞추어 형성되고, 이웃하는 코트 간에 서로 호환이 가능하여 체육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종목 체육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경계는 긴 장방향 경계와 상기 장방향 경계보다 짧은 단방향 경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목 체육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 중 일측 코트의 장방향 경계는 타측 코트의 단방향 경계의 대략 정수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목 체육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는 상기 장방향 경계를 따라 코트를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목 체육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각 코트의 코트경계의 꼭지점에 형성되는 꼭지점 포스트,
    각 코트의 장방향 경계를 따라 타측 코트의 단방향 경계의 정수배가 되는 지점마다 형성되는 중간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목 체육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코트의 서로 대향하는 장방향 경계에 설치된 중간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여 일측 코트를 다수의 하부코트로 분할하는 구획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구획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코트는 타측코트의 규격과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목 체육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의 일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냉난방 부스를 포함하여, 각 코트에서 운동하는 플레이어들의 휴식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목 체육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부스의 덕트를 상기 포스트를 따라서 취부함으로서 운동경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다종목 체육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부스의 벽면을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내부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목 체육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가 위치하는 공간을 둘러싸는 벽체의 내측에 오버행잉되는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섹터에서의 운동경기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목 체육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부의 일측 캔틸레버부는 조깅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목 체육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부의 일측 캔틸레버부는 카페, 간이식당, 관람시설, 미디어 영상시설, 바둑실, 컴퓨터실, 전자오락실, 가상체험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목 체육관.
KR1020170090881A 2017-07-18 2017-07-18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 KR102025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881A KR102025778B1 (ko) 2017-07-18 2017-07-18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881A KR102025778B1 (ko) 2017-07-18 2017-07-18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096A true KR20190009096A (ko) 2019-01-28
KR102025778B1 KR102025778B1 (ko) 2019-09-26

Family

ID=6526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881A KR102025778B1 (ko) 2017-07-18 2017-07-18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6704A (zh) * 2020-10-23 2021-08-06 赵炳九 具有冷暖气装置的多项目体育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012A (ja) * 1995-03-03 1996-09-17 Misawa Homes Co Ltd 建物ユニット
JP2006142010A (ja) * 2004-11-18 2006-06-08 Mondo Spa 多目的スポーツ施設
KR20140113840A (ko) * 2013-03-15 2014-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깅트랙을 구비한 선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012A (ja) * 1995-03-03 1996-09-17 Misawa Homes Co Ltd 建物ユニット
JP2006142010A (ja) * 2004-11-18 2006-06-08 Mondo Spa 多目的スポーツ施設
KR20140113840A (ko) * 2013-03-15 2014-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깅트랙을 구비한 선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6704A (zh) * 2020-10-23 2021-08-06 赵炳九 具有冷暖气装置的多项目体育馆
EP3988739A1 (en) * 2020-10-23 2022-04-27 Cho, Byoungkoo Multi-sport center with cooling and heating system
US20220127868A1 (en) * 2020-10-23 2022-04-28 Byoungkoo CHO Multi-sport center with cooling and heating system
JP2022069380A (ja) * 2020-10-23 2022-05-11 ク チョ,ビョン 冷暖房装置を備えた多種目体育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778B1 (ko)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3915B2 (ja) 冷暖房装置を備えた多種目体育館
KR102025778B1 (ko) 냉난방 장치가 있는 다종목 체육관
CN114040804B (zh) 具有交互式球门围栏的用于团队球赛的系统
RU2782751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портивный центр с системой охлаждения и нагрева
JP6899526B1 (ja) 多目的区域フロア
Schulke Challenging the Stadium
US4650179A (en) Health spa for exercise, recreational and social activities
Kristiansen Game Spaces: On Liminality and the Magic Circle of Games
Bogar Trends in collegiate recreational sports facilities
CN103122699A (zh) 多功能复合空间体育馆
Tuyen et al. Globalization and entertainment of urban families in Ho Chi Minh City
AÇICI Classification and Functions of Sports Structures
Loshadkina EFFICIENCY EVALUATION OF USE OF THE STADIUM KAZAN ARENA
Johnson et al. Sports facilities: indoor and outdoor
Nowailaty et al. Jeddah social sports club
US20160155205A1 (en) Sports theme based property development
Lorenz et al. Transcending the Norm—Bowling Green's Rec Center
Kennedy The good life
Khan Rangpur International Cricket Stadium
Kanokpinit Golf trendy training center
Ahmed Children's perception on their living spaces in Dhaka City: a qualitative overview
SPORTS ATHLETICS AND RECREATION FACILITIES
Abazi STADIUM FUTBOLLI
Flansburgh New Wave Student Housing
Quang Exercise & Fitness: Ho Chi Minh City Sty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