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058A - 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 Google Patents

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058A
KR20190009058A KR1020170090758A KR20170090758A KR20190009058A KR 20190009058 A KR20190009058 A KR 20190009058A KR 1020170090758 A KR1020170090758 A KR 1020170090758A KR 20170090758 A KR20170090758 A KR 20170090758A KR 20190009058 A KR20190009058 A KR 20190009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pace
plate
lower plat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3339B1 (en
Inventor
김정모
Original Assignee
김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모 filed Critical 김정모
Priority to KR102017009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339B1/en
Publication of KR20190009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0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3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type ondol flooring material and, more specifically, to a dry type ondol flooring material which has excellent durability for enduring load, reduces the use (input) amount of hot water, and improves a shape of a flow path for circulating the hot water therethrough to prevent degradation of a thermal transfer efficiency to an upp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 type ondol flooring material comprises: a flat plate-shaped lower plate (110); an upper plate (12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late in parallel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side plates (130) to interconnect a lateral end part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a plurality of inclined partitions (140) installed with an inclin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in a zigzag shape; and a plurality of spaces having first and second spaces (151, 152) alternately formed by the inclined partitio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have a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an inverted triangular cross section, respectively. The lower, upper, and side plates (110, 120, 130)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hot water is circulated through only a part of the space (150).

Description

건식 온돌 바닥재{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본 발명은 건식 온돌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주택, 빌라,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용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어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floor heating floor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 floor heating floor material installed on a floor of a residential building such as a single-family house, a villa, an apartment, and the like to circulate hot water for heating.

일반적으로 단독주택, 빌라,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용 건축물에 적용되는 난방시스템은 습식공법이다. 습식공법은 콘크리트 바닥에 파이프를 매설하고 이 파이프에 온수와 같은 난방유체를 공급하여 바닥을 가열하는 구조이다.Generally, the heating system applied to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single-family houses, villas, apartments, etc. is a wet-type method. The wet method is a structure in which a pipe is buried in a concrete floor, and a heating fluid such as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pipe to heat the floor.

그러나 이와 같은 습식 난방시스템은 열효율이 낮아 열손실이 크고, 시공시 콘크리트의 양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추후 파이프의 노후로 인한 누수발생시 모르타르 층으로 이루어진 바닥면을 파헤쳐야함에 따라 난방시스템의 보수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보수비용 역시 많이 소요된다.However, such a wet heating system has a low heat efficiency and a large heat loss, and the concrete curing takes a long time during the construction, which leads to a longer construction period.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mortar layer must be digested in the event of the leakage of the pipe due to the aging of the pipe, the maintenance of the heating system is troublesome and the maintenance cost is also high.

이와 같은 습식 난방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콘크리트, 합성수지, 황토와 같은 재질의 패널에 온수파이프를 내장하거나 온수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요홈 또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건식 온돌 바닥재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of the wet heating system, there has been developed and provided a dry Ondol flooring having a built-in hot water pipe in a panel made of concrete, synthetic resin, or loess, or a groove or a fixing member for inserting a hot water pipe.

이러한 건식 온돌 바닥재는 대부분 조립식 난방 시스템으로, 사전에 제작된 건식 패널을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써 공사기간이 단축됨은 물론 추후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Most of these dry floor heating flooring systems are prefabricated heating systems, and they can be easily assembled in the field by assembling the prefabricated dry panels in the field,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이와 같은 건식 온돌 바닥재의 일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2826호(특허문헌 1)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판과 바닥에 접하는 하판이 일체로 구성되고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온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상판과 하판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고 유로를 다수층 나누는 다수개의 수직격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각 면의 유로 양 측면으로 홈이 파인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플로링보드와, 상기 플로링보드의 유로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크기에 유로로 온수를 공급하는 투터치 휘딩이 형성되고, 투 터치 휘딩의 양 측면으로는 상기 삽입홈과 일치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투터치 휘딩에 온수를 공급하는 연결배관의 양 측면으로는 호스나 마개가 끼움 가능한 연결부가 각각 형성된 덮개부가 구비되어, 상기 플로링보드의 양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덮개부의 돌출부를 끼움하는 방식으로 끼운 후 초음파 융착방식으로 플로링보드와 덮개부를 각각 접착한 온수 순환마루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와 인접하는 플로링보드의 연결부사이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호스나 마개가 선택 끼움되어 각 온수 순환마루의 유로로 온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의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를 제안한 바 있다.In Korean Patent No. 10-0712826 (Patent Document 1), as an example of such a dry flooring flooring material, a top plat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bottom plate contacting the floor are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A plurality of vertical partition plates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viding a plurality of flow passages into one body, And a protruding portion which protrudes to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insertion groove and is insertable into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touch touching, And a hose or a plug-connecting portion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ipe for supplying hot water to the two-touch fitting A flood board and a lid are adhered to each other by an ultrasonic welding method after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id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looring board, A hot water circulation floor for floor heating is proposed using a flooring board in which hot water is circulat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looring board by a hose or a plug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and circulating hot water through the channels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floor.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바닥재(플로링 보드)는 다수의 수직격판에 의해 분할 형성된 다수의 유로 내에 전부 온수가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 사용(투입)량이 커서 그만큼 보일러의 용량이 커져야 하므로 설치 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유지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각 유로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바닥재 상판으로의 열 전달 효율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flooring (the flooring board) as in Patent Document 1 is designed such that the hot water flows in all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formed by the plurality of vertical partitioning plates, the amount of hot water used (input) is large and the capacity of the boiler must be increas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flow rate, and the efficiency of heat transfer to the flooring top plate is not high because each channel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2826호(2007.5.7.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12826 (2007. 7. Announcement)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중을 견디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온수의 사용(투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온수가 순환되는 유로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상부 플레이트로의 열 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 exchanger which is excellent in durability to withstand loads and can reduce the amount of hot water used (inpu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y Ondol flooring material which can prevent the transmission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식 온돌 바닥재는,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평판 형태의 하부플레이트;A bottom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측에서 평행하게 이격 설치된 상부플레이트;An upper pl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so as to form a space above the lower plate;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각 횡방향 양쪽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A pair of side plates interconnecting both the transverse ends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 다수의 경사격판;A plurality of inclined diodes inclined in a zigzag form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상기 경사격판에 의해 단면이 삼각 형태의 제1공간 및 역삼각 형태의 제2공간이 교번하여 다수 형성된 공간; 을 포함하고,A space formed by alternating a first space of a triangular shape and a second space of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by the inclined diaphragm; / RTI >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부플레이트, 측면플레이트 및 경사격판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plate, the upper plate, the side plates, and the inclined diaphragm ar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에 의하면, 바닥재에 형성된 유로 분할용 격판이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져 유로의 단면이 삼각형과 역삼각형이 반복 형성되므로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역삼각형 형태의 유로에만 온수가 순환되므로 온수 사용(투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보일러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바닥재의 상부플레이트 전체 면이 온수와 직접 접촉되므로 열 전달 효율의 향상과 함께 열 절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ry Ondol floo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aphragm for dividing the flow path formed in the bottom material is formed in a zigzag shape, the triangular and inverted triangles are repeatedly form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flow path, so that the durability against load is excellent, The amount of hot water used (input) can be reduced, so that the capacity of the boiler can be reduced. Therefore,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bottom material is in direct contact with hot wat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at loss loss can be minimized.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닥재는 경사격벽이 삼각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어서 하중에 대한 바닥재의 전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ottom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table because the inclined partitions are formed in a triangular structure, so that the overall durability of the bottom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load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주로 단면이 역삼각 형태의 제2공간으로 온수가 흐르게 되므로 온수 유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보일러의 용량을 늘릴 필요가 없고, 또한 보일러의 과부하를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난방 능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난방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hot water flows mainly into a second space having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hot water inflow, and there is no nee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boiler, and the overload of the boiler can be blocke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to the heating.

즉, 온수 유입량이 난방 능력과 직결되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온수 유입량은 감소시키면서 보일러로의 온수 회수가 빠르고 물흐름이 좋아 오히려 난방효율과 기능적(보일러 히팅 능력)인 측면은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특허문헌 1 구조의 바닥재(플로링 보드)는 3.3㎥ 당 약 7.9리터의 온수가 소요되나,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00)는 3.3㎥ 당 약 5.4리터의 온수가 소요되어 2.5리터의 온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감안하면 바닥 전체 면적을 고려할 때 많은 온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considering that the hot water inflow amou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heating capacity, the flo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hot water inflow and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and functional (boiler heating ability) . For the reference, the flooring material (Flooring Board) having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requires about 7.9 liters of warm water per 3.3 m 3, but the floor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bout 5.4 liters of hot water per 3.3 m 3,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quantity of hot water considering the whole floor area considering thi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가 경유하지 않는 제1공간의 하단면에 나사용 구멍 등 기타 타공이 가능하여 온수 연결구를 비롯하여 차단부재 등을 자유로운 방식, 예를 들면, 접착방식, 끼움방식, 나사 고정방식 등으로 바닥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바닥에 대한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ore holes or the like at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irst space which is not passed through hot water, so that the hot water connector as well as the blocking member can be installed in a free manner, It can be fixed to the floor by a fixing method or the like, so that the fixability to the floor can be improved.

게다가 특허문헌 1의 경우 연결구가 바닥재(플로링 보드)의 양쪽 끝에 위치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벽에 붙어 있을 수밖에 없어 냉온에 의한 바닥재의 수축 및 팽창 시 지속적, 장기적으로 벽에 부딪힘에 따라 바닥재와 연결구 사이 이음새가 충격을 받아 누수현상이 생기는 등의 하자가 발생할 뿐 아니라 냉온 교차에 따른 결로 현상에 의해 곰팡이가 증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은 온수 연결구 설치가 자유롭기 때문에 바닥재 하부를 바닥에 연결, 고정할 수 있으므로 충격으로 인한 누수를 원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차단부재를 벽면에서 먼 위치에 시공하면 냉온 차이에 의한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because the connecting port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looring material (the flooring board), it is inevitably attach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When the shrinkage and expansion of the flooring material caused by cold temperature are continuously and continuously hit against the wall,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leakage of water due to a shock and a congestion due to a condensation phenomenon caused by a cold crossing,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 to install a hot water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due to the impact, and when the blocking memb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wall surfa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rowth of the mold due to the difference in cold temperature.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 몰딩 설치시 타카 등의 장비사용이 어렵다. 즉 벽까지 물이 흐르므로 시공 부주의시 천공으로 인한 누수 발생 원인이 되었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문제점을 완전 해결하고 타카 등의 장비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시공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lso,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it is difficult to use equipment such as a taka when installing a molding. In other words, since the water flows to the wall, it is a cause of leakage due to the puncture when the construction is negl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solves the problem and can use the equipment such as the taka and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더욱이, 특허문헌 1의 경우 연결구의 공간부족으로 인해 다수의 유로에서 동시에 배출된 많은 양의 물이 극심한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수압과 흐름 저항이 많이 발생하여 보일러의 과부하로 고장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온수 흐름이 늦어서 난방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원인이 되었으나, 본 발명은 온수 연결구를 넓은 하부플레이트의 임의의 위치에 다수 설치 가능하므로 연결이 편리하고 수축 및 팽창에 따른 충격이 없어 누수현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결구 구멍이 넓어져서 병목현상으로 인한 온수 흐름 저하와 연결구 통과시 발생하는 물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a large amount of water simultaneously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flow channels due to a lack of space at the connection port causes extreme bottleneck phenomenon, resulting in a large hydraulic pressure and flow resistance, However, since the hot water connector can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on the wide bottom plate, the connection is easy and the leakage phenomenon due to the shrinkage and expansion does not occur remarkably. Not only can it be improved, but also the hole of the connection hole is widened, so that the reduction of the hot water flow due to the bottleneck phenomenon and the problem of the water noise occurring when the connection hole is passed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에서 물이 통과하지 않는 삼각 구조에는 자연 진공상태에 있을 수 있으므로 열공기가 축열되어 보일러가 멈취도 온기를 오래 지속할 수 있으므로 건식난방의 단점인 빨리식는 문제점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iangular structure in which water does not pass may be in a natural vacuum state, the boiler can be kept warm fo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heat is accumulated,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fast cooling which is a disadvantage of dry hea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단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연결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와 온수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 따라 온수가 경유하는 공간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와 온수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보인 하부 관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와 차단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인 하부 관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ry Ondol flo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ry Ondol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hot-water Ondol flooring material and the hot wat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pace through which hot water flows according to the state of Fig. 3; Fig.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hot-floor Ondol flooring material and the hot wat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dry Ondol flooring material and the b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form just described, and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the ordinary vari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of the illustrated forms.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단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연결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ry Ondol flo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dry Ondol flo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00)는, 평판 형태의 하부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상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에서 평행하게 이격 설치된 상부플레이트(12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10)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각 횡방향의 양쪽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3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10)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120)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 다수의 경사격판(140)을 포함한다.1 and 2, a floor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late 110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 pair of side plates 130 interconnecting upper and lower plates 110 and 120 at both lateral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0 and 120, And a plurality of inclined diaphragms 140 sloped in a zigzag form between the plates 120.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의 하단부와 상단부는 각각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면과 상부플레이트(120)의 하단면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경사격판(140)의 하단부와 상단부는 각각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면과 상부플레이트(120)의 하단면에 연결된다.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3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face of the lower plate 110 and the lower end face of the upper plate 120 respectively and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diaphragm 140 are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110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상기 경사격판(140)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플레이트(110)와 상부플레이트(120) 사이에 다수의 공간(15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공간(150)은 단면이 삼각 형태의 제1공간(151) 및 역삼각 형태의 제2공간(152)이 교번하여 연속적으로 다수 형성된다.Since the inclined diaphragm 140 is continuously formed in a zigzag shape, a plurality of spaces 150 are formed between the lower plate 110 and the upper plate 120, and the space 150 has a triangular cross- A first space 151 of the shape and a second space 152 of the reverse osmosis shape are alternately formed in succession.

이때 생산성을 위해 상기 하부플레이트(110), 상부플레이트(120), 측면플레이트(130) 및 경사격판(140)은 상호 한 번의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plate 110, the upper plate 120, the side plates 130, and the inclined diaphragm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one molding process for productivity.

또한, 다수의 바닥재(100)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속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의 각 외면에는 결속돌기(131)가 돌출되게 하고, 상기 결속돌기(131)에 체결되는 결속구(200)를 매개로 하여 다수의 바닥재(100)를 횡방향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A coupling protrusion 131 protrudes from each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30 to allow the plurality of floor members 100 to be mutually and successively arrang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 plurality of the floor members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난방용 온수를 제2공간(152)으로만 경유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전체 공간(150) 중에서 부분적으로 온수가 경유하므로 온수의 유(투)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일러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제2공간(151)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플레이트(120) 전체 면에 열을 전달시킬 수 있으므로 열 절단 효율을 감소시키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t water for heating can be passed only through the second space 152. In this case, since the hot water partially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the entire spaces 150, the amount of hot water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apacity of the boiler. Further,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0, so that the heat cutting efficiency is not reduc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100)와 온수 연결구(300)의 결합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 따라 온수가 경유하는 공간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와 온수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보인 하부 관측 사시도로서, 상기 공간(150)의 일부분에 온수를 순환시키는 구조를 보인 것이다.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hot-water Ondol flooring 100 and the hot water connect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pace through hot water according to the state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hot-water Ondol flooring material and the hot wat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ructure for circulating hot water in a part of the space 150. [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식 온돌 바닥재는, 상기 공간(150) 중 일부분으로 온수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온수 연결구(30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dry Ondol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t water connector 300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hot water to a part of the space 150.

상기 온수 연결구(3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하단면 중 임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일측에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하단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The hot water connector 300 may be fixed at any position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and includes a fixing plate 320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110 at one side thereof .

상기 온수 연결구(300)는 내부에 유로(310)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310)의 양측 단부에는 온수 입출부(311)가 구비되며 상기 유로(310)와 상기 제1공간(151)의 어느 하나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통로(312)가 형성된다.The hot water connector 300 has a channel 310 formed therein and a hot water inlet 311 at both ends of the channel 310. The hot water inlet 300 may be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channel 310 and the first space 151 At least one connection passage 312 is formed.

또한, 상기 연결통로(312)와 접하게 된 제1공간(151)을 이루는 하부플레이트(110)에는 온수통로(11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통로(312)와 접하게 된 제1공간(151)을 이루는 양쪽 한 쌍의 경사격판(140)에는 각각 온수통로(141)가 형성됨으로써 유로(310)를 통해 공급되는 온수는 연결통로(312)를 경유하여 제1공간(151)으로 유입되고 순환되는 동시에 경사격판(140)의 온수통로(141)를 통해 양쪽의 제2공간(152)으로 순환된다.A hot water passage 111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110 constituting the first space 151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ssage 312 and a first space 151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ssage 312 The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flow path 310 flows into the first space 151 via the connection path 312 and is circulated at the same time And is circulated to both the second spaces 152 through the hot water passage 141 of the inclined diaphragm 140. [

따라서, 1개의 온수 연결구(300)에 2개의 연결통로(312)를 형성한 경우, 도 4에서 회색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공간(150) 중 일부분, 즉 제1공간(151) 2개소와, 제2공간(152) 4개소를 통하여 온수가 순환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wo connection passages 312 are formed in one hot water connector 300, as shown in gray in FIG. 4, a part of the space 150, that is, two spaces 151, The hot water can be circulated through four spaces of two spaces (152).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1개의 바닥재(100)에는 2개의 온수 연결구(3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온수 연결구(300)의 일측 입출부(311)를 통해 유입된 온수는 제1공간(151) 2개소와 제2공간(152) 4개소를 통해 바닥재(100) 내부를 순환한 다음, 다른 하나의 온수 연결구(300)의 입출부(311)를 통해 배수되면서 또 다른 바닥재(100)로 이송될 수 있다.5, one floor member 100 may be provided with two hot water connectors 300, whereby the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one inlet / outlet 311 of one of the hot water connectors 300 The water is circulated through the floor member 100 through two places of the first space 151 and the second space 152 and then drained through the inlet and the outlet 311 of the other hot water connector 300, (Not shown).

상기 입출부(311)에는 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입출부(311)를 막기 위해 마개(330)가 구비될 수 있다.A hos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unit 311 and a cap 330 may be provided to block the input / output unit 311 if necessary.

상기 바닥재(100)의 각 온수통로(111,141)는 드릴과 같은 공구를 하부플레이트(110)의 하단면을 뚫기 시작하여 경사격벽(140)까지 뚫음으로써 온수통로(111,141)가 형성되기 때문에 임의의 위치에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온수 연결구(300)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hot water passages 111 and 141 of the floor member 100 are formed by drilling a tool such as a drill into the inclined partition wall 140 starting to punc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So that the hot water connector 300 can be installed at a desired position by the operato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100)와 차단부재(400)의 결합 상태를 보인 하부 관측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floor heating element 100 and the blocking memb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는, 상기 공간(150) 중 온수가 경유하는 공간을 차단(폐쇄)하여 더 이상 온수가 순환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부재(400)를 더 포함한다.6 and 7, the dry floor heating flo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ing member 400 that blocks (closes) a space of the space 150 through which hot water flows, .

상기 차단부재(4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와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10)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하단면(내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다수의 공간(150)을 동시에 차단하는 차단돌기(4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10)를 합성수지 판재일 수 있고, 상기 차단돌기(420)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신축성과 탄성을 가진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400 includes a fixed plate 410 fixed in contact with the lower plate 110 and a fixing plate 410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xing plate 410 and having an upper end contacting the lower end surface Thereby blocking the plurality of spaces 150 at the same time. The fixing plate 410 may be a synthetic resin plate, and the blocking protrusions 4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such as silicone or rubber.

상기 고정플레이트(410)는 나사를 통해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때 나사를 체결할 때 온수가 순환하는 공간을 회피해야만 한다.The fixing plate 410 may be fixed to the lower plate 110 through a screw, in which case it is necessary to avoid a space in which the hot water circulates when tightening the screws.

또한, 상기 차단부재(400)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차단돌기(420)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경사격벽(140)에는 상기 차단돌기(420)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멍과 홈은 사출 성형 공정시 금형에 의해 임의 형성하거나, 또는 바닥재(100) 성형 후 공구를 이용하여 임의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400)는 하부플레이트(110)의 하단면 중 임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적의 설치할 수 있다.In order to install the blocking member 400, a hole through which the blocking protrusion 42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110, and a groove for receiving the blocking protrusion 420 is formed in the inclined partition wall 140. Such holes and grooves may be formed by a mold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or may be formed at any position using a tool after molding the floor material 100. [ Therefore, the blocking member 400 can be fixed at any position i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so that the blocking member 400 can be installed as required in the field.

한편, 도 7과 같이 차단부재(400)를 건출물의 벽면(W)에서 멀리 띄운 위치에 설치하면 온수가 차단부재(400)에 의해 차단되어 벽면(W)에 가까이 가지 않게 되어 온도 차이에 의한 벽면(W)의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7, if the blocking member 4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way from the wall surface W of the rundown material, the hot water is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400 and does not come close to the wall surface 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ensation phenomenon of the wafer W from occurring.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0: 바닥재
110: 하부플레이트
111: 온수통로
120: 상부플레이트
130: 측면플레이트
131: 결속돌기
140: 경사격판
141: 온수통로
150: 공간
151: 제1공간
152: 제2공간
160: 고정홈
200: 결속구
300: 온수 연결구
310: 유로
311: 입출부
312: 연결통로
320: 고정플레이트
330: 마개
400: 차단부재
410: 고정플레이트
420: 차단돌기
100: Flooring
110: Lower plate
111: Hot water passage
120: upper plate
130: side plate
131:
140: inclined diaphragm
141: Hot water passage
150: Space
151: First space
152: Second space
160: Fixing groove
200: Bonding District
300: Hot water connector
310: Euro
311:
312: connection passage
320: Fixing plate
330: Plug
400: blocking member
410: Fixing plate
420: blocking protrusion

Claims (6)

평판 형태의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측에서 평행하게 이격 설치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각 횡방향 양쪽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 다수의 경사격판;
상기 경사격판에 의해 단면이 삼각 형태의 제1공간 및 역삼각 형태의 제2공간이 교번하여 다수 형성된 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부플레이트, 측면플레이트 및 경사격판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A bottom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An upper pl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so as to form a space above the lower plate;
A pair of side plates interconnecting both the transverse ends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 plurality of inclined diodes inclined in a zigzag form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 space formed by alternating a first space of a triangular shape and a second space of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by the inclined diaphragm; / RTI >
Wherein the lower plate, the upper plate, the side plate, and the inclined diaphragm are integrally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각 외면에는 결속돌기가 돌출됨으로써 상기 결속돌기에 체결되는 결속구를 매개로 하여 다수의 바닥재가 횡방향으로 연결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flooring members are connectable in a lateral direction through binding members which are fasten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by protruding coupling protrusions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side plat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중 일부분으로 온수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온수 연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수 연결구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단면 중 임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t water connector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hot water as a part of the space, wherein the hot water connector is fixable at any position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pla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연결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양측 단부에 온수 입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로와 상기 제1공간의 어느 하나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통로와 접한 제1공간을 이루는 하부플레이트 및 한 쌍의 경사격판에는 각각 온수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제1공간을 경유한 온수가 온수통로를 통해 양측 제2공간을 경유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t water connector has a flow path formed therein, a hot water inlet and outlet at both ends of the flow path,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assage for interconnecting any one of the flow path and the first space,
The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pace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hot water passage by forming the hot water passages respectively in the lower plate and the pair of inclined partition plates forming the first spac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ssage, Ondol floor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중 온수가 경유하는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단면 중 임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a space through which hot water flows in the space, wherein the blocking member is fixable at any position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pla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단과 접하게 됨으로써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에는 상기 차단돌기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경사격벽에는 상기 차단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locking member includes a fixing plate fix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plate and a b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xing plate and having an upper end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to block the space,
Wherein the lower plate is provid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blocking protrusion penetrates, and a groove is formed in the inclined partition wall to receive the blocking protrusion.
KR1020170090758A 2017-07-18 2017-07-18 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KR1020133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758A KR102013339B1 (en) 2017-07-18 2017-07-18 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758A KR102013339B1 (en) 2017-07-18 2017-07-18 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058A true KR20190009058A (en) 2019-01-28
KR102013339B1 KR102013339B1 (en) 2019-08-22

Family

ID=6526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758A KR102013339B1 (en) 2017-07-18 2017-07-18 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33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313A (en) * 2003-12-19 2004-01-13 윤석일 Assembly Warm Water Panel
KR100694642B1 (en) * 2006-12-01 2007-03-14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connector for a hot water circulation floor
KR100712826B1 (en) 2006-07-28 2007-05-07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A hot water circulation floor for heating using a flooring board
KR101164871B1 (en) * 2011-05-20 2012-07-19 윤창우 Board for hot-water floor and hot-water floor having thereof
KR101235166B1 (en) * 2012-02-10 2013-02-26 우경식 air pocket hot water Flooring pan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313A (en) * 2003-12-19 2004-01-13 윤석일 Assembly Warm Water Panel
KR100712826B1 (en) 2006-07-28 2007-05-07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A hot water circulation floor for heating using a flooring board
KR100694642B1 (en) * 2006-12-01 2007-03-14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connector for a hot water circulation floor
KR101164871B1 (en) * 2011-05-20 2012-07-19 윤창우 Board for hot-water floor and hot-water floor having thereof
KR101235166B1 (en) * 2012-02-10 2013-02-26 우경식 air pocket hot water Flooring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339B1 (en)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2828B2 (en) Floor heating panel and floor heating panel assembly
KR100712826B1 (en) A hot water circulation floor for heating using a flooring board
US10627120B2 (en) Building panel intended for creating heating and/or cooling walls of buildings
US9410706B2 (en) Modular heating structure that can be fitted to the interior walls of buildings
KR100989517B1 (en) Expansion panel for an installation of heat-pipe, and hea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200021696A (en) Hot-water pannel assembly for heating
KR101296606B1 (en) A hot water circulation floor for heating
KR20190009058A (en) 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KR20110112194A (en) Hot-water pannel assembly for pressing out type
WO2004106810A1 (en) Heating system with heat transmission fluid distributed in finished floor boards
KR20140013566A (en) Indoor cooling and heating pipe module having simple and easy assembly-disassembly and construction fea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0004313A (en) Assembly Warm Water Panel
KR101432667B1 (en) Hot-water pannel assembly
KR20130061789A (en) Foor pannel used for air-conditioning
KR200351874Y1 (en) A fabricated hot-water heating system.
KR101702634B1 (en) Hot-water floor
KR102005051B1 (en) 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KR101025166B1 (en) Fabricated floor having circulation structure of hot-water
KR101315124B1 (en) Heating panel for fabrication
KR20180043638A (en) Hot-water pannel assembly
KR20130005535A (en) Warm water panel and the connecting apparatus
KR10066446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floor using hot water circulation floor
KR20170003751A (en) Hot water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hot water panel using the same
KR102088087B1 (en) Heating floor heating system
KR20140117911A (en) Plate-type cooling/heating module and Cooling/Heating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