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162A -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162A
KR20190008162A KR1020180138582A KR20180138582A KR20190008162A KR 20190008162 A KR20190008162 A KR 20190008162A KR 1020180138582 A KR1020180138582 A KR 1020180138582A KR 20180138582 A KR20180138582 A KR 20180138582A KR 20190008162 A KR20190008162 A KR 20190008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discharge
space
accommodation space
connec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601B1 (ko
Inventor
양형택
Original Assignee
양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형택 filed Critical 양형택
Priority to KR102018013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6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05B11/303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3001
    • B05B11/3067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길게 이루어져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 몸체의 상부에 끼워져 수용공간을 한정하고, 상부가 개방된 배치공간을 형성하며, 수용공간을 향하는 하부에 수용공간과 배치공간을 소통시키는 소통구를 구비한 연결커버; 소통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진공압력에 의해 승강함으로써 소통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체크판;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플랙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길게 형성되어 연결커버의 배치공간에 배치되고, 체크판의 상승에 의한 소통구의 개방 시 수용공간과 소통하여 내용물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로를 구비한 탄성펌프; 이동유로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연결커버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부로 통하는 토출로와 이동유로에 끼워져 그 이동유로를 밀폐시키는 밀폐돌출링을 내부에 구비하며, 체크판의 하강에 의해 소통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하강 시 이동유로에 진공압력을 발생시켜 밀폐돌출링과 밀착된 탄성펌프의 토출튜브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토출로와 이동유로를 서로 소통시키는 토출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효과적으로 토출할 수 있고 간소화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의료용 시약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액체용기는, 압력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펌프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펌프장치(펌프유닛)는 내용물을 공기와 차단하는 에어리스 타입과, 공기를 유입시켜 폼을 형성하는 거품타입, 용기의 바닥까지 관을 연결하여 내용물을 끌어올리는 딥튜브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뉜다.
에어리스타입의 액체용기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푸쉬버튼을 누르면 그 압력에 의해 용기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되고 이 진공압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일정량씩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딥튜브 타입의 액체용기는 사용자가 푸쉬버튼을 누룰 때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용기 내부와 외부를 소통시키는 관으로 내용물을 흡입시킴으로써 그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체용기는 사용자가 푸시버튼을 누름 동작하여 용이하게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내부에 잔류하는 소량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토출시키기 어렵고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지며 반복 사용 시 밀폐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6238호 「폼분출용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상태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효과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구조를 간소화시키며 높은 밀폐력을 가지는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는,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길게 이루어져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 몸체의 상부에 끼워져 수용공간을 한정하고, 상부가 개방된 배치공간을 형성하며, 수용공간을 향하는 하부에 수용공간과 배치공간을 소통시키는 소통구를 구비한 연결커버; 소통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진공압력에 의해 승강함으로써 소통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체크판;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플랙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길게 형성되어 연결커버의 배치공간에 배치되고, 체크판의 상승에 의한 소통구의 개방 시 수용공간과 소통하여 내용물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로를 구비한 탄성펌프; 이동유로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연결커버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부로 통하는 토출로와 이동유로에 끼워져 그 이동유로를 밀폐시키는 밀폐돌출링을 내부에 구비하며, 체크판의 하강에 의해 소통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하강 시 이동유로에 진공압력을 발생시켜 밀폐돌출링과 밀착된 탄성펌프의 토출튜브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토출로와 이동유로를 서로 소통시키는 토출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버튼은, 진공압력에 의한 상기 토출튜브의 형태 변형 시 상기 이동유로와 상기 토출로를 서로 소통시키는 소통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커버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하부에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통구가 중심에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크판은,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는 삽입링; 소통구의 내부 형태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승강하며 상기 소통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 및 개폐부재가 삽입링에 연결된 상태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링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토출버튼의 상승에 따라 상기 소통구가 개방될 경우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공간에 상승 가능하게 배치되고, 진공압력에 의한 상승 시 상기 내용물을 상기 이동유로 측으로 밀어올리며 상기 수용공간을 분할하여,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공간을 형성하는 인상피스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출튜브는, 상기 이동유로의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돌출링이 끼워지는 끼움홈을 형성하고, 내측에 배치된 토출튜브에 상기 이동유로와 끼움홈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돌출링은, 상기 내용물이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연통구와 엇갈리게 구비되며 상기 이동유로와 소통유로를 연통시키는 연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는, 몸체의 수용공간에 액체 상태나 겔 상태의 내용물이 수용되고, 소통구를 구비한 연결커버가 몸체와 체결되어 수용공간을 한정하고, 체크판이 진공압력에 의해 소통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며, 연결커버의 배치공간에 끼워진 탄성펌프가 토출버튼의 승강 시 수축되거나 복원되며 이동유로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키고, 토출버튼의 밀폐돌출링이 탄성펌프의 토출튜브에 밀착되며 이동유로를 밀폐시키고, 탄성펌프가 이동유로에 내용물을 유입시키고 토출튜브가 진공압력에 의해 형태 변형되어 그 내용물을 토출로로 토출시킴으로써, 액체 상태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효과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소하며 밀폐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토출버튼의 하강 시 탄성펌프에 의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토출버튼의 상승 시 내용물이 탄성펌프의 이동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1의 Ⅴ-Ⅴ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탄성펌프의 토출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탄성펌프의 토출튜브 및 토출버튼의 밀폐돌출링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토출버튼의 하강 시 탄성펌프에 의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토출버튼의 상승 시 내용물이 탄성펌프의 이동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Ⅴ-Ⅴ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는 몸체(100), 연결커버(200), 체크판(300), 탄성펌프(400), 토출버튼(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이며 길이를 가지며 길게 이루어져 내부에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01)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100)는, 플라스틱이나 아크릴과 같이 소정의 강도를 가지며 상기 내용물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그 상부에 상기 연결커버(20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01)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100)는 연결커버(200)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방식들 중에 끼움결합방식에 의해 연결커버(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커버(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그 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류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연결커버(200)를 분리하여 수용공간(101)에 내용물을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101)에 수용되는 상기 내용물은 화장품, 의료용 시약 등과 같이 액체 상태의 물질을 의미하며, 소정의 점도를 가지는 겔 상태의 물질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커버(200)는, 몸체(100)에서 개방된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수용공간(101)을 한정하며, 상부가 개방된 배치공간(202)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커버(200)는, 상기 수용공간(101)을 향하는 하부에 수용공간(101)과 배치공간(202)을 서로 소통시키는 소통구(201)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커버(200)는, 상기 몸체(100)와 같이 플라스틱이나 아크릴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커버(200)의 배치공간(202)은, 탄성펌프(400)가 설치되는 공간인 동시에 그 탄성펌프(400)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이다.
상기 연결커버(200)는 저면에 토출가이드관(20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가이드관(204)은 수용공간(101)을 향해 연결커버(2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소통구(201)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가이드관(204)은 연결커버(2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통구(201)와 수용공간(101)을 서로 소통시킨다.
상기 토출가이드관(204)은,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를 최초 사용 시 수용공간(101)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킴에 따라, 내용물이 내용물만주선(Z)에 위치한 경우 그 내용물만주선(Z)의 하측에 위치되어 일부분이 내용물에 잠김으로써, 탄성펌프(400)의 이동유로(401)와 수용공간(101)에 진공압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토출가이드관(204)은, 내용물의 토출을 위해 토출버튼(500)의 승강 구동 시 소통구(201) 측의, 진공압력에 의한 흡입력을 증대시켜 상기 내용물이 탄성펌프(400)의 이동유로(401)로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크판(300)은, 연결커버(200)의 하부에 구비된 소통구(201)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버튼(500)의 동작에 따른 진공압력에 의해 승강하여, 그 소통구(201)를 폐쇄 또는 개방한다. 상기 체크판(300)은 실리콘과 같은 플랙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체크판(300)은 상기 토출버튼(500)이 눌러질 때 소통구(201)를 폐쇄함으로써, 진공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펌프(400)에 수용된 내용물이 그 토출버튼(5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토출버튼(500)이 승강하며 눌러지기 전의 위치로 위치복원될 때, 상기 체크판(300)은 상승하며 소통구(201)를 개방하여 상기 수용공간(101)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탄성펌프(40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크판(300)은 내용물이 이동된 이후에 하강하여 상기 소통구(201)를 다시 폐쇄한다.
상기 탄성펌프(400)는, 실리콘과 같은 플랙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커버(200)의 배치공간(202)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탄성펌프(4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이동유로(401)를 내부에 구비한다.
상기 탄성펌프(400)의 이동유로(4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크판(300)의 상승에 의한 소통구(201)의 개방 시, 상기 수용공간(101)과 서로 소통하여 상기 내용물이 탄성펌프(4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펌프(400)는, 측면의 두께가 각 구간별로 차이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토출버튼(500)의 누름동작 시, 상기 두께가 얇고 배치공간(202)에 위치한 구간이 수축되며 이동유로(401)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킨다.(도 3 참조)
한편, 상기 탄성펌프(400)는, 토출버튼(50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될 경우, 수축됐던 구간이 원래 형태로 복원되며 상기 토출버튼(500)을 상승시켜 원위치시켜 내용물을 이동유로(401)로 유입시킨다.(도 4 참조)
상기 탄성펌프(400)는 연결커버(200)의 배치공간(202)에 끼워지며 상부가 토출버튼(500)과 체결되고,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거나 복원되며 내용물의 이동을 위한 진공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액체 밀폐용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토출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토출버튼(500)은, 토출로(501)와 밀폐돌출링(502)을 구비하며 연결커버(200)의 개방된 상부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밀폐돌출링(502)은 탄성펌프(400)의 최상단에 대향하는 토출버튼(500)의 내측면에 돌출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동유로(401)에 끼워짐으로써 그 이동유로(401)을 밀폐시킨다.
상기 밀폐돌출링(502)이 삽입되는 위치는, 상기 탄성펌프(400)의 최상측이며, 그 최상측에 토출튜브(40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튜브(402)는, 탄성펌프(400)에서 두께가 가장 얇고 토출로(501)와 인접한 구간으로, 진공압력의 발생시 형태가 변형된다.
상기 토출버튼(500)의 토출로(501)는, 외부와 이동유로(401)를 소통시켜 내용물이 그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토출로(501)는, 탄성펌프(400)의 토출튜브(402)와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토출튜브(402)가 외력에 의해 휘어질 경우 이동유로(401)와 외부를 서로 소통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는, 몸체(100)의 수용공간(101)에 액체 상태나 겔 상태의 내용물이 수용되고, 소통구(201)를 구비한 연결커버(200)가 상기 몸체(100)와 체결되어 수용공간을 한정하고, 상기 체크판(300)이 진공압력에 의해 소통구(20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며, 상기 연결커버(200)의 배치공간(202)에 끼워진 탄성펌프(400)가 토출버튼(500)의 승강 시 수축되거나 복원되며 이동유로(401)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키고, 토출버튼(500)의 밀폐돌출링(502)이 탄성펌프(400)의 토출튜브(402)에 밀착되며 이동유로(401)를 밀폐시키고, 탄성펌프(400)가 이동유로(401)에 내용물을 유입시키고 토출튜브(402)가 진공압력에 의해 형태 변형되어 그 내용물을 토출로(501)로 토출시킴으로써, 액체 상태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효과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고, 구조를 간소시키고 밀폐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한편, 상기 토출버튼(500)은 토출로(501)와 연결되는 소통유로(503)를 형성한다. 상기 소통유로(503)는 내용물이 이동유로(401)에 수용된 상태에서 토출버튼(500)의 누룸동작에 따른 진공압력에 의해, 상기 토출튜브(402)가 형태 변형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소통유로(503)는 상기 토출튜브(402)가 형태 변형되어 토출로(501)측으로(외측을 향해) 휘어질 경우, 그 토출로(501)와 탄성펌프(400)의 이동유로(401)를 서로 소통시켜줌으로써, 액체 상태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토출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때, 토출버튼(500)은 하강한 상태이며 체크판(300)에 진공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고, 그 체크판(300)이 연결커버(200)의 소통구(201)를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용물이 토출튜브(402)와 밀폐돌출링(502)의 사이로 토출되도록 한다.(도 3 참조)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체크판(300)은, 상기 연결커버(200)에서 소통구(201)이 형성된 삽입부(203)에 끼워짐으로써, 승강 시 연결커버(200)의 하부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삽입부(203)는 연결커버(200)에서 수용공간(101)을 향하는 하부에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상기 소통구(201)를 구비한다.
상기 체크판(300)은, 삽입링(301)과 개폐부재(302) 및 연결리브(3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링(301)은, 링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커버(200)의 삽입부(203)에 끼워진다. 상기 삽입링(301)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개폐부재(302)는, 소통구(201)의 내부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진공압력에 의해 승강하며 그 소통구(20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상기 개폐부재(302)는 토출버튼(500)의 누룸동작에 의한 승강 시 내용물과 함께, 수용공간(101) 또는 이동유로(401)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연결리브(303)에 의해 상기 삽입링(301)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리브(303)는,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링(301)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재(302)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복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리브(303)는 개폐부재(302)를 삽입링(301)에 연결된 상태에서 승강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5 참조)
아울러, 본 실시예는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101)에 배치되는 인상피스톤(6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상피스톤(600)은,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공간(101)에 상승 가능하게 배치되고, 진공압력에 의해 상승하여 내용물을 상기 탄성펌프(400)의 이동유로(401) 측으로 밀어올린다.
상기 인상피스톤(600)은, 상승 시 상기 수용공간을 분할하여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02)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공간(103)을, 그 수용공간(101)에 형성시킨다.
즉, 인상피스톤(600)은 상기 내용물이 토출버튼(500)의 토출로(50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 경우, 상기 토출버튼(500)의 위치 복원 시 소통구(201)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밀어올리며 그 내용물들의 이동량과 비례하게 상승한다. 상기 토출버튼(50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인상피스톤(600)은, 내용물을 반복해서 탄성펌프(400) 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수용공간(101)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탄성펌프의 토출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탄성펌프(400)의 토출튜브(402)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토출튜브(402)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돌출링(502)이 끼워지는 끼움홈(403)을 형성한다. 상기 토출튜브(402)는, 끼움홈(403)에 밀폐돌출링(502)이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밀폐돌출링(502)의 양쪽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토출버튼(500)의 승강하지 않을 경우 탄성펌프(400)의 이동유로(401)를 이중으로 밀폐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토출튜브(402)는, 토출버튼(500)의 하강 시 진공압력에 의해 상기 밀폐돌출링(502)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이동유로(401)에 수용된 내용물이 그 이격된 공간을 경유해 토출로(501)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탄성펌프의 토출튜브 및 토출버튼의 밀폐돌출링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탄성펌프(400)의 토출튜브(402) 및 토출버튼(500)의 밀폐돌출링(502)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토출튜브(402)는 연통구(40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구(404)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토출튜브(402)에서 내측에 배치된 토출튜브(402)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탄성펌프(400)의 이동유로(401)와 끼움홈(403)을 서로 소통(연통)시킨다.
한편, 상기 밀폐돌출링(502)은 연결구(50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504)는, 상기 연통구(404)와 엇갈린 위치에 구비되어 토출버튼(500)이 승강하지 않을 경우, 토출튜브(402)에 의해 폐쇄되어 이동유로(401)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7 참조)
상기 연결구(504)는, 상기 토출버튼(500)이 하강하여 탄성펌프(400)가 수축됨에 따라 진공압력이 발생될 경우, 토출튜브(402)의 탈리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이동유로(401) 및 연통구(404)를 경유한 내용물을 소통유로(503)로 이동시켜 상기 내용물이 원활하게 토출로(501)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몸체 101: 수용공간
102: 유입구 103: 공기유입공간
200: 연결커버 201:소통구
202: 배치공간 203: 삽입부
300: 체크판 301: 삽입링
302: 개폐부재 303: 연결리브
400: 탄성펌프 401: 이동유로
402: 토출튜브 403: 끼움홈
404: 연통구 500: 토출버튼
501: 토출로 502: 밀폐돌출링
503: 소통유로 504: 연결구

Claims (4)

  1.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길게 이루어져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끼워져 상기 수용공간을 한정하고, 상부가 개방된 배치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하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배치공간을 소통시키는 소통구를 구비한 연결커버;
    상기 소통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진공압력에 의해 승강함으로써 상기 소통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체크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플랙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커버의 배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체크판의 상승에 의한 상기 소통구의 개방 시 상기 수용공간과 소통하여 상기 내용물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로를 구비한 탄성펌프;
    상기 이동유로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커버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부로 통하는 토출로와 상기 이동유로에 끼워져 그 이동유로를 밀폐시키는 밀폐돌출링을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체크판의 하강에 의해 소통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하강 시 상기 이동유로에 진공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밀폐돌출링과 밀착된 탄성펌프의 토출튜브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토출로와 이동유로를 서로 소통시키는 토출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버튼은,
    진공압력에 의한 상기 토출튜브의 형태 변형 시 상기 이동유로와 상기 토출로를 서로 소통시키는 소통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하부에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통구가 중심에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크판은,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는 삽입링;
    상기 소통구의 내부 형태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승강하며 상기 소통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가 삽입링에 연결된 상태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링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버튼의 상승에 따라 상기 소통구가 개방될 경우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공간에 상승 가능하게 배치되고, 진공압력에 의한 상승 시 상기 내용물을 상기 이동유로 측으로 밀어올리며 상기 수용공간을 분할하여,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공간을 형성하는 인상피스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20180138582A 2018-11-13 2018-11-13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1987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582A KR101987601B1 (ko) 2018-11-13 2018-11-13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582A KR101987601B1 (ko) 2018-11-13 2018-11-13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645A Division KR101959131B1 (ko) 2017-07-14 2017-07-14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162A true KR20190008162A (ko) 2019-01-23
KR101987601B1 KR101987601B1 (ko) 2019-09-30

Family

ID=6532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582A KR101987601B1 (ko) 2018-11-13 2018-11-13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987B1 (ko) * 2019-11-29 2021-01-25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누액방지 기능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491B1 (ko) 2020-03-18 2021-01-20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에어 흐름이 개선된 액체 밀폐용기
KR102341003B1 (ko) 2020-05-27 2021-12-20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감도가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 용기
KR102341004B1 (ko) 2020-05-27 2021-12-20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감도 및 에어흐름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814A (ko) * 2007-04-13 2008-10-16 정만택 유체 펌핑장치
JP2008260580A (ja) * 2007-04-10 2008-10-30 Hee Jin Choi ノズルヘッド下降型真空密閉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120006639U (ko) * 2011-03-18 2012-09-26 펌텍코리아 (주)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0580A (ja) * 2007-04-10 2008-10-30 Hee Jin Choi ノズルヘッド下降型真空密閉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080092814A (ko) * 2007-04-13 2008-10-16 정만택 유체 펌핑장치
KR20120006639U (ko) * 2011-03-18 2012-09-26 펌텍코리아 (주) 화장품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987B1 (ko) * 2019-11-29 2021-01-25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누액방지 기능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601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919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20190142046A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20190008162A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0603503B1 (ko) 유동체저장용기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959131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WO2016043370A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1866230B1 (ko) 액체 배출 용기
KR101866233B1 (ko) 액체 배출 용기
KR102334654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2206987B1 (ko) 누액방지 기능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20120004976U (ko) 액체용기용 펌핑디스펜서
EP4302880A1 (en) Pump assembly
KR20110008194U (ko) 스포이트 타입의 화장품용기
KR102318862B1 (ko) 에어리스 펌핑형 화장품 용기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1565769B1 (ko) 토출부고정형 용기
JP7245081B2 (ja) 液体吐出用ポンプ
KR100875906B1 (ko) 액체용기의 간헐펌핑장치
KR102341003B1 (ko) 감도가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 용기
KR102573274B1 (ko) 튜브리스 토출 용기
KR102478899B1 (ko) 튜브리스 토출 용기
KR200265028Y1 (ko)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
KR102517636B1 (ko)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도 내용물만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 가압식 스프레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