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648A -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648A
KR20190007648A KR1020170088895A KR20170088895A KR20190007648A KR 20190007648 A KR20190007648 A KR 20190007648A KR 1020170088895 A KR1020170088895 A KR 1020170088895A KR 20170088895 A KR20170088895 A KR 20170088895A KR 20190007648 A KR20190007648 A KR 20190007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concentration
voltage
server
weath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151B1 (ko
Inventor
허일정
장태선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8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151B1/ko
Priority to PCT/KR2018/005649 priority patent/WO2018221877A1/ko
Publication of KR2019000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9/00Electrostatic separation not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전성 하전망 및 상기 하전망과 대향하여 설치된 포집체를 포함하는 집진부;
기 입력된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위치정보 송신부;
상기 하전망에 전압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서버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받는 기상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위치정보 송신부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위치의 기상정보를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로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기상정보 중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미세먼지 농도 보다 높은 경우 상기 하전망으로 전압을 인가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낮은 경우 하전망에 전압 인가를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adsorption of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위치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환경 문제 중 가장 이슈가 되는 오염물질은 미세먼지이다.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포함된 미세한 크기의 입자상 물질을 의미하며, 화석연료의 연소 또는 자동차의 매연, 공장의 배출가스에서 배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통상적으로 지름이 10 ㎛ 이하인 경우 미세먼지, 2.5 ㎛이하인 경우 초미세먼지로 분류한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황산염, 질산염, 암모늄염 성분과 함께 금속 물질을 포함하며, 미세한 입자크기 때문에 기관지뿐만 아니라 인체의 깊숙한 곳 까지 침투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세계 보건기구(WHO)에서는 미세먼지 중 디젤에서 배출되는 black carbon(BC)을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의 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상적으로 미세먼지의 배출 자체를 억제하거나, 실내에서 미세먼지를 정화함으로써 미세먼지가 제거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의 배출 자체를 억제하기 위한 내/외연기관 후처리 장치나,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은 국내 미세먼지 저감 및 미세먼지에 의한 질병 발생 등을 억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주변국으로부터 유입되는 초미세먼지 등은 국내 대기 중 미세먼지의 상당량을 차지하고, 현재 대기 중 미세먼지를 직접적으로 저감하여 대기질 개선을 위한 대량 보급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미 배출된 미세먼지를 실외에서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69791호에서는 인공강우를 생성하여 강우를 통해 실외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인공강우 생성 장치는 크기가 지나치게 크고, 국지적 제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수 설치되어 실제 국민의 거주영역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69791호
본 발명의 대기 중 분포하는 미세먼지를 농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흡착 제거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은
통전성 하전망 및 상기 하전망과 대향하여 설치된 포집체를 포함하는 집진부;
기 입력된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하전망에 전압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서버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받는 기상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송신부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로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미세먼지 농도 보다 높은 경우 상기 하전망으로 전압을 인가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낮은 경우 하전망에 전압 인가를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기상정보 중 강수확률이 설정된 확률보다 높은 경우, 해당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와 관계없이 하전망에 전압 인가를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은 기 설정된 미세먼지 농도 단계에 따라,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하전망에 인가하는 전력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변압기를 더 포함하며, 변압기가 상기 하전망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하전망에 인가하는 전력량은 하전망 1 ㎡ 당 5 W 내지 80 W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하전망에 인가하는 전압은 1 kV 내지 50 k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지주에 설치되어 실외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변압기는 지주와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하전망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기상정보는 유해가스 농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풍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풍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풍향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집진부를 풍향과 대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기상정보에 포함된 해당 지역의 풍향에 따라, 상기 집진부를 풍향과 대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은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하전망에 인가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대기중의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제어 시스템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부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부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통전성 하전망 및 상기 하전망과 대향하여 설치된 포집체를 포함하는 집진부;
기 입력된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하전망에 전압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서버로부터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송신부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위치의 기상정보를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로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미세먼지 농도 보다 높은 경우 상기 하전망으로 전압을 인가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낮은 경우 하전망에 전압 인가를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할 경우,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전력소모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낮은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은 미세먼지 제거장치(10) 및 서버(20)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통전성 하전망 및 상기 하전망과 대향하여 설치된 포집체를 포함하는 집진부(110), 기 입력된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120),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130) 및 상기 하전망에 전압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시스템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하전망에 전압을 인가하는 변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송신부가 해당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위치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는 송신받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위치에 따른 기상 정보를 상기 수신부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송신부가 수신 받은 기상정보 중,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높은 경우 상기 하전망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변압기를 제어하고,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낮은 경우 상기 변압기가 상기 하전망에 전압 인가를 중단하도록 변압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IOT 모듈을 통하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서버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등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 받은 기상정보 중, 강수확률이 기 설정된 확률 보다 높은 경우, 해당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와 관계없이 하전망에 전압 인가를 중단하도록 변압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강수확률에 따른 제어로, 강수에 의해 하전망에 인가된 전력이 유실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에서 전송하는 기상정보는 통상적인 의미의 기상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이밖에도 초미세먼지 농도, 유해가스 농도, 강수확률, 강우확률 및 풍향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해가스 농도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해가스의 농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은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상기 하전망에 인가되는 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미세먼지 농도를 바탕으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설정된 미세먼지 농도 단계에 현재 미세먼지 농도를 대입하여 미세먼지 농도 단계를 결정한다. 결정된 농도 단계에 따라, 각 단계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하전망에 인가할 수 있다. 즉,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을수록 많은 양의 전력이 인가되어 대기중의 미세먼지를 보다 다량 하전시킴으로써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전망은, 통전에 의해 미세먼지 입자를 하전시킬 수 있는 재질인 경우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전도성의 금속 재질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리계, 철계, 백금계, 금 및 은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거나, 혹은 이들이 혼합된 합금일 수 있다. 좋게는, 실외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고려할 때, 부식성이 낮은 철계 및 구리계 합금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하나 이상의 하전망을 포함할 수 있다. 좋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두 개의 하전망 및 상기 하전망에 개재된 포집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두 개의 하전망을 포함하며, 포집망이 이러한 하전망 사이에 개재된 경우, 바람의 방향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미세먼지의 포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하전망에 인가되는 전력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먼지의 농도 및 하전망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하전망 1 ㎡ 당 5 W 내지 80 W일 수 있다. 아울러, 변압기가 상기 하전망에 인가하는 전압은 상기 하전망을 통과하는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하전할 수 있는 범위인 경우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1 kV 내지 50 k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하전망과 대향하여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포집체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포집체는 1 내지 50 ㎚의 미세 기공이 형성된 섬유를 포함한다. 이렇게 섬유상에 형성된 미세기공에 의해, 상기 포집체는 상기 하전망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도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전망에 전압이 흘러 미세먼지를 하전시키는 경우, 더욱 높은 효율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포집체는 필름형태 또는 망상의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포집체가 필름 형태인 경우, 공기 순환이 가능한 10 내지 1000 ㎛의 채널을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으며, 망상의 구조물인 경우 체눈 크기는 10 내지 1000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포집체가 필름 형태인 경우 미세먼지 포집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으며, 상기 포집체가 망상의 구조물인 경우 형상의 구현이 용이하며 및 강수 등에 의한 포집체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포집체는 구체적으로 2 ㎚ 이하의 미공(micropore) 및 2 내지 50 ㎚ 크기의 메조세공(mesopore)이 형성된 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무기 복합 또는 단일소재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체가 상기 범위의 미공 및 메조세공을 포함하는 경우, 실외에 설치되어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및 질소산화물(NOx) 등의 기상의 대기오염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포집체의 두께는 10 내지 1000 ㎛ 일 수 있으며, 상술한 하전망의 두께 및 포집체의 두께에 의해 집진부의 접힘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경우 집진부를 접어서 보관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 집진부를 펼쳐서 미세먼지 제거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집진부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구동되지 않을 시 집진부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구동 시 집진부를 펼쳐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이러한 접힘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설정된 농도보다 낮은 경우, 집진부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 농도가 설정된 농도보다 높은 경우, 집진부를 펼치고 나아가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지주에 설치되어 실외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설치되는 지주는 미세먼지의 고정이 가능한 구조물인 경우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가로등, 신호등, 가드레일, 광고판 또는 안내판 등일 수 있으며, 좋게는 상기 하전망에 전압을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한 관점에서 가로등, 전봇대 또는 신호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지주가 가로등, 전봇대 또는 신호등 등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지주인 경우, 상술한 변압기는 상기 지주와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하전망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제어 시스템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동작 전 미세먼지의 농도 및 장치 구동 후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미세먼지 포집에 의해 낮아진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농도의 차이에 의해 목적하는 농도로 미세먼지의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가동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개수, 전류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이 수집, 축적되어 빅데이터화 될 수 있으며, 추후 다른 지역에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설치할 때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어 더욱 효율적으로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에서, 미세먼지의 흡착단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포함된 송신부에서 위치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S110), 서버에서는 송신받은 위치정보에 따른 기상정보를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수신부로 송신한다(S120). 이때, 송신받은 기상정보 중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높은지 판단하고(S130),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높은 경우 입력된 미세먼지 농도 단계에 대입하여 미세먼지 농도 단계를 결정한다(S140). 이때 결정된 미세먼지 농도 단계 대응하는 전력량을 하전망에 인가하여(S160)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경우 전력량의 증가로 더욱 효율적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높지 않은 경우, 하전망에 전압 인가를 중단하여(S150) 미세먼지 제거에 소요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포함된 송신부에서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위치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S110), 서버에서는 송신받은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기상정보를 미세먼지 제거장치 수신부로 송신한다(S120). 이때, 송신받은 기상정보 중 강수확률이 설정된 확률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고(S170), 강수확률이 설정된 확률보다 높은 경우 하전망에 전압 인가를 중단하여 전력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송신받은 기상정보 중 강수 확률이 기 설정된 확률 보다 낮은 경우,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높은지 판단하고(S130),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높은 경우 입력된 미세먼지 농도 단계에 대입하여 미세먼지 농도 단계를 결정한다(S140). 이때 결정된 미세먼지 농도 단계 대응하는 전력량을 하전망에 인가하여(S160)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경우 전력량의 증가로 더욱 효율적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높지 않은 경우, 하전망에 전압 인가를 중단하여(S150) 미세먼지 제거에 소요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10 미세먼지 제거장치
20 서버
110 집진부
111 하전망
112 포집체
120 송신부
130 수신부
140 제어부

Claims (11)

  1. 통전성 하전망 및 상기 하전망과 대향하여 설치된 포집체를 포함하는 집진부;
    기 입력된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하전망에 전압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서버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송신부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로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미세먼지 농도 보다 높은 경우 상기 하전망으로 전압을 인가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보다 낮은 경우 하전망에 전압 인가를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기상정보 중 강수확률이 설정된 확률보다 높은 경우, 해당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와 관계없이 하전망에 전압 인가를 중단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미세먼지 농도 단계에 따라,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하전망에 인가하는 전력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변압기를 더 포함하며, 변압기가 상기 하전망에 전압을 인가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망에 인가하는 전력량은 하전망 1 ㎡ 당 5 W 내지 80 W인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망에 인가하는 전압은 1 kV 내지 50 kV인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지주에 설치되어 실외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지주와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하전망에 전압을 인가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는 유해가스 농도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풍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풍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풍향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집진부를 풍향과 대향하도록 회전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기상정보에 포함된 해당 지역의 풍향에 따라, 상기 집진부를 풍향과 대향하도록 회전하는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KR1020170088895A 2017-05-30 2017-07-13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KR101968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895A KR101968151B1 (ko) 2017-07-13 2017-07-13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PCT/KR2018/005649 WO2018221877A1 (ko) 2017-05-30 2018-05-17 실외용 미세먼지 제거장치, 제거방법 및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895A KR101968151B1 (ko) 2017-07-13 2017-07-13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648A true KR20190007648A (ko) 2019-01-23
KR101968151B1 KR101968151B1 (ko) 2019-04-11

Family

ID=6528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895A KR101968151B1 (ko) 2017-05-30 2017-07-13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1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907B1 (ko) * 2019-08-29 2019-11-22 권오현 금속유기복합체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20200129020A (ko) * 2019-05-07 2020-11-1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실외용 먼지 포집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140137A (ko) * 2019-06-05 2020-12-15 곽정훈 실외 미세먼지 정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실외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621B1 (ko) * 2019-06-17 2019-12-13 안영진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679A (ko) * 2010-10-08 2012-04-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9311A (ko) * 2015-02-12 2016-08-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전기집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9791B1 (ko) 2016-04-07 2016-10-26 강석관 인공강우 생성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679A (ko) * 2010-10-08 2012-04-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9311A (ko) * 2015-02-12 2016-08-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전기집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9791B1 (ko) 2016-04-07 2016-10-26 강석관 인공강우 생성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020A (ko) * 2019-05-07 2020-11-1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실외용 먼지 포집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140137A (ko) * 2019-06-05 2020-12-15 곽정훈 실외 미세먼지 정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실외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KR102047907B1 (ko) * 2019-08-29 2019-11-22 권오현 금속유기복합체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151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151B1 (ko)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EP1829614A1 (en) Method for the removal of smut, fine dust and exhaust gas particles, particle catch arrangement for use in this method and use of the particle catch arrangement to generate a static electric field
KR101928095B1 (ko) 실외용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203068671U (zh) 一种双运行模式的空气净化机
JP2010131515A (ja) 電気集塵装置
CN104707732A (zh) 一种带电粒子消雾除霾的装置和方法
CN104588210A (zh) 油烟机及其油烟捕集装置
CN202655116U (zh) 车载静电除尘器
CN203886667U (zh) 车载高效pm2.5颗粒截灭装置
CN104033999B (zh) 一种基于车联网的汽车动态智能大气pm2.5净化系统
CN104815498A (zh) 一种室外除霾系统及其除霾方法
WO2018221877A1 (ko) 실외용 미세먼지 제거장치, 제거방법 및 미세먼지 흡착 제어 시스템
CN205299783U (zh) 室外区域性空气清新除霾设备
CN205225386U (zh) 新型高效汽车尾气颗粒物的吸附装置
CN104028070B (zh) 一种基于车辆的动态智能大气pm2.5净化系统
CN210107594U (zh) 一种环境空气质量监测与净化系统
CN2218328Y (zh) 除烟用空气净化装置
CN100429092C (zh) 汽车空气净化系统
CN209309839U (zh) 一种除霾式路灯
CN202266315U (zh) 一种尾气净化装置
EP3719406B1 (de) Strassenbeleuchtungsvorrichtung mit luftreinigungsanordnung
CN105728193A (zh) 安装于车辆顶部的大气除霾设备
CN109252918A (zh) 一种柴油机尾气颗粒物处理系统
KR20200144289A (ko) 휴대용 미세먼지 집진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31598B1 (ko) 집진필터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의 제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