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568A - 작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작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568A
KR20190007568A KR1020170088606A KR20170088606A KR20190007568A KR 20190007568 A KR20190007568 A KR 20190007568A KR 1020170088606 A KR1020170088606 A KR 1020170088606A KR 20170088606 A KR20170088606 A KR 20170088606A KR 20190007568 A KR20190007568 A KR 20190007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ase
crop
inner case
case
ut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900B1 (ko
Inventor
임용훈
윤시원
장기창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9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 조절 뿐만 아니라 습도의 조절, CO2 시비 등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조건이나 환경을 편리하게 제어함으로써 농작물 재배의 편의성과 생산성 향상, 생산비의 절감과 농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작물이 식재된 근권부에 적절한 생육환경을 국부적으로 신속하게 조성함으로써 작물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온실의 설비비 절감과, 운전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작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작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작물의 식재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유틸리티공급실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간격형성부재; 및 상기 유틸리티공급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 및 상기 간격형성부재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형성되는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물재배장치{PLANTS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작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 조절 뿐만 아니라 습도의 조절, CO2 시비 등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조건이나 환경을 편리하게 제어함으로써 농작물 재배의 편의성과 생산성 향상, 생산비의 절감과 농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작물이 식재된 근권부에 적절한 생육환경을 국부적으로 신속하게 조성함으로써 작물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온실의 설비비 절감과, 운전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작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재배는 토질, 기후 조건, 계절 등에 맞는 작물을 선택하여 노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상 노지에서의 작물재배는 일정 시기에 국한되어 있는 반면, 국민들의 소득수준은 나날이 높아져 신선 농산물에 대한 수요는 연중 지속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근래 이상기온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국내 농산물 수급과 물가 변동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상기온에 따른 불확실성을 줄이고, 소비자들의 연중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설원예산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시설원예는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원예시설 내부에 구성한 재배지에 작물을 식재하고, 작물의 재배에 이상적인 온도, 습도, CO2 등의 조건을 유지하도록 환경을 관리하면서 재배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시설원예는 작업성, 재배의 효율성 및 인건비 절감 등을 고려하여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 고설 재배장치로 호칭 되는 시설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상기한 고설 재배장치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떨어진 공중에 노출됨에 따라 작물이 식재되는 배드나 재배용기의 내부 열이 쉽게 방출되므로 토양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28734호에는 면상 발열시트를 이용한 고설 재배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면상 발열시트를 이용한 고설 재배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 재배용기(140), 면상 발열시트로 이루어진 발열기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20)는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입설되어 재배용기(140)가 지지되는 구조물로서 작업자가 서서 재배작물을 용이하게 다룰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고설 재배장치는 발열기구에 의해 온도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카본블랙층을 구비된 면상 발열시트로 구성됨에 따라 소비전력이 커서 지나치게 많은 에너지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종래 고설 재배장치는 온도의 조절은 가능하지만, 작물의 재배에 필수적인 습도의 조절, CO2 시비 등 다양한 재배환경을 조절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원예시설 내부의 재배환경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없으므로 재배되는 농작물의 수확량이 낮고, 작업자에 의존하여 관리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생산비의 상승은 물론이고 농작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한계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28734호 "면상 발열시트를 이용한 고설 재배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585806호 "딸기 고설 재배장치"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온도 조절 뿐만 아니라 습도의 조절, CO2 시비 등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조건이나 환경을 편리하게 제어함으로써 농작물 재배의 편의성과 생산성 향상, 생산비의 절감과 농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작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물이 식재된 근권부에 적절한 생육환경을 신속하게 조성함으로써 작물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온실의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운전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작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작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작물의 식재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유틸리티공급실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간격형성부재; 및 상기 유틸리티공급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 및 상기 간격형성부재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형성되는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작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작물의 식재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유틸리티공급실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간격형성부재; 상기 유틸리티공급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 및 상기 간격형성부재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형성되는 통기공; 및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부,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유틸리티공급실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유틸리티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틸리티배관은,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관; 및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상기 유틸리티공급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에 배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공급관은 상기 배관연결부에 접속되도록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작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작물의 식재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유틸리티공급실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간격형성부재; 상기 유틸리티공급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 및 상기 간격형성부재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형성되는 통기공;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부,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유틸리티공급실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유틸리티배관; 및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획득하는 태양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부는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형성부재는 상기 외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저부, 측부, 상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상기 유틸리티공급실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어판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상기 유틸리티공급실 또는 상기 식재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온열수단; 및 상기 유틸리티공급실 또는 상기 식재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열수단은 전원의 공급시에 발열되는 전열기기 또는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기기는 발열선 또는 열전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단은 전원의 공급시에 냉기를 방출하는 열전모듈 또는 냉수가 유동되는 냉수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상기 외부케이스 또는 상기 내부케이스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보온부재가 더 구비되거나, 상기 외부케이스에 설치되는 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상기 외부케이스에 설치되는 광발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발생모듈이 접속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사방향조절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에 의하면, 작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과 접하여 온열수단과 냉각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건기, 온기, 냉기, 수분, 이산화탄소 등을 공급하는 유틸리티공급실이 마련되어 통기공을 통해 공급할 수 있어서 온도 조절, 습도 조절, CO2 시비 등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조건이나 환경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농작물 재배의 편의성과 생산성 향상, 생산비의 절감과 농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에 의하면, 건기, 온기, 냉기, 이산화탄소 등을 온실의 천정 등에 마련된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작물이 식재된 근권부에 국부적으로 공급하므로 적절한 생육환경을 신속하게 조성할 수 있어서 작물의 관리가 용이하고 온실의 설비비와 운전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작물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9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절단한 상태에서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모식도 형태로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1)는 외부케이스(11), 내부케이스(12), 유틸리티공급실(15)를 형성하기 위한 간격형성부재(13), 및 통기공(14)이 구비된 것으로, 작물을 식재하여 재배할 수 있는 베드의 역활을 수행하면서 성장에 필요한 온도 조절, 습도 조절, CO2 시비 등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외부케이스(11)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의 소재로 형성된 판상부재에 의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케이스(11)는 대략 'U'자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원형 단면 구조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12)는 외부케이스(11)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작물의 식재공간(122)이 마련되도록 대략 'U'자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의 소재의 판상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간격형성부재(13)는 내부케이스(12)와 외부케이스(11)와의 사이에 틈새 형태의 유틸리티공급실(15)이 마련되도록 이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케이스(12)와 외부케이스(11)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면 구조나 형태에 특별한 제한 없이 구성할 수 있지만, 도3에서는 내부케이스(12)와 외부케이스(11)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간격유지부(131)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외부케이스(11), 내부케이스(12) 및 간격형성부재(13)는 인발가공(금속 소재일 경우)이나 사출성형(합성수지 등 사출성형이 가능한 소재일 경우)과 같은 제조법에 의해 제작하거나, 외부케이스(11)에 내부케이스(12)를 정위치 시키고 간격형성부재(13)를 용접이나 조립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통기공(14)은 작물을 향해 건기, 온기, 냉기, 수분, 이산화탄소 등을 공급하기 위해 유틸리티공급실(15)과 연통되게 천공되어 있다. 이때, 통기공(14)은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온실의 조건 등을 고려하여 외부케이스(11), 내부케이스(12), 및 간격형성부재(13)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건기, 온기, 냉기, 이산화탄소 등이 작물의 근권부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내부케이스(12)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1)는 온도 조절, 습도 조절, CO2 시비 등을 위한 건기, 온기, 냉기, 수분, 이산화탄소 등을 공급하기 위한 유틸리티배관(16,Utility pipe)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틸리티배관(16)은 건기, 냉기, 온기, CO2를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각각의 매체가 독립적으로 이동되는 독립 배관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틸리티공급실(15)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기체(건기, 냉기, 온기, CO2)의 경우 공급 후에 잔류물에 의한 별다른 악영향이 초래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단일의 기체공급관(161)을 설치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하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유틸리티배관(16)은 온수, 냉수, 양액 등과 같은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관(162)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액체공급관(162) 또한 각각의 액체가 독립적으로 이동되는 독립 배관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단일의 액체공급관을 설치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액체공급관(162)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온수의 공급시에 식재공간(122)이나 작물의 주변을 가온하는 온열수단의 기능을 수행하고, 냉수의 공급시에 식재공간이나 작물의 주변 온도를 낮추는 냉각수단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유틸리티배관(16)은 용도 등에 따라 외부케이스(11)의 외부, 내부케이스(12)의 내부, 및 유틸리티공급실(15)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액체공급관(162)은 온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어 난방 또는 냉방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내부케이스(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기체공급관(161)은 건기, 온기, 냉기, 이산화탄소 등을 공급하도록 유틸리티공급실(15)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기체공급관(161)에는 유틸리티고급실(15)로의 기체 분출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분출홀(미도시)이 천공되거나 소구경의 분기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온도 조절을 위해 유틸리티공급실(15)이나 식재공간(122)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온열수단(17)과 냉각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온열수단(17)은 전원의 공급시에 발열되는 전열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전열기기는 대표적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선(17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열기기는 발열선 외에도 면상발열체(미도시)나 열전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온열수단(17)은 발열선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전술한 유틸리티배관(16)으로 적용된 액체공급관(162)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액체공급관(162)에 온수를 공급하여 온수관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게 되면 열교환과정을 통해 식재공간(122)에 온기를 발산하여 가온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냉각수단은 전술한 액체공급관(162)에 냉수를 공급하여 냉수관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냉기를 식재공간에 발산하도록 구성하거나, 전원의 공급시에 냉기를 방출하도록 열전모듈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열전모듈(미도시)은 직류전류가 통전되면 펠티어(Peltier) 효과에 따라 일측 접합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타측 접합부에서 열을 발산하는 열전소자와, 이 열전소자의 일면 및 타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기판으로 구성된 것으로, 열전소자의 작용에 의해 2개의 기판 중에 일측 기판은 열기가 방출되고, 타측 기판은 냉기가 방출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11), 식재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12), 내부케이스(12)와 외부케이스(11)와의 사이에 유틸리티공급실(15)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간격형성부재(13), 유틸리티공급실(15)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통기공(14), 및 유틸리티배관(16)을 구비하되, 일정 높이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고설 재배장치로 이용할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1)에 설치되는 지지대(2)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2)는 설치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하부브라켓(21), 외부케이스(11)에 고정되는 상부브라켓(22), 및 하부브라켓(21)과 상부브라켓(22) 사이에 연결되는 지주(2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물재배장치(1)는 식재공간 부분을 보온하기 위한 보온부재(3)가 더 구성되어 있다. 보온부재(3)는 면상 단열재를 내부케이스(12)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틸리티공급실(15)로 유입된 기체를 보온함으로써 열손실에 따른 효율 저하를 방지하도록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1)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획득하는 태양전지부(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태양전지부(4)는 미사용시에 접어서 보관하거나 광의 입사각도에 맞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태양전지부(4)는 상부브라켓(22) 등에 설치된 힌지부재(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부(4)는 온실 내부에 식재된 작물로 투사되는 광의 유입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도록 투명한 염료감응형전지패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명 연료감응형전지패널은 연료감응형 태양전지(Dye sensitized solar cell)를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투명기판으로 형성된 음극계 전극과 양극계 전극 사이에 광흡수층 및 전해질이 내장된 통상의 연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외부케이스(11), 내부케이스(12), 간격형성부재(13), 및 통기공(14)이 구비되되, 간격형성부재(13)는 유틸리티공급실(15)이 형성될 수 있다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1) 및 내부케이스(12)의 저부나, 외부케이스(11) 및 내부케이스(12)의 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간격형성용 돌출부(132)를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형성용 돌출부(132)는 사출성형시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연결부재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로서, 이에 도시된 형태로 작물재배장치(1)를 조립하고, 내부케이스(12)의 식재공간(122)에 작물이 뿌리내릴 수 있는 토양이나 배지를 삽입하고, 작물을 식재하여 정해진 방식에 따라 재배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작물의 재배과정에서 동절기와 같이 식재공간이나 작물의 주변 온도의 상승이 필요한 경우 액체공급관(162)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여 순환시키거나 발열선(171)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 시킴으로서 식재공간(122)이나 작물의 주변 온도를 적절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하절기와 같이 식재공간이나 작물의 주변 온도의 하강이 필요한 경우 액체공급관(162)을 통해 냉수를 공급하여 순환시킴으로서 식재공간(122)이나 작물의 주변 온도를 적절하게 내릴 수 있다.
한편, 작물의 재배과정에서 습도 조절이나 작물의 잎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신속하게 해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체공급관(161)으로 건기를 공급하여 유틸리티공급실(15)로 분출하고 통기공(14)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작물이 식재된 근권부의 습도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의 시비가 필요한 경우 기체공급관(161)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유틸리티공급실(15)로 분출하게 되면 통기공(14)을 통해 배출되므로 작물이 식재된 근권부에 신속하게 시비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기체공급관(161)를 통해 온기나 냉기를 공급할 경우 작물 주변의 온도 조절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1)는 식재공간(122)이나 작물의 주변 온도를 재배지의 조건이나 작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물재배장치(1)에 유틸리티공급실(15)과 통기공(14)이 마련되어 건기, 온기, 냉기, 이산화탄소 등을 작물이 식재된 근권부로 단시간 내에 직접 공급할 수 있어서 생육조건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건기, 온기, 냉기, 이산화탄소 등을 온실의 천정 등에 마련된 배관을 통해 폭넓게 대량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작물이 식재된 근권부에만 국부적으로 공급하여 적절한 생육조건을 조성하는 것이므로 운전비용 및 유지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절단한 상태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11),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작물의 식재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12), 내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2)와의 사이에 유틸리티공급실(15)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간격형성부재(13), 및 유틸리티공급실(15)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통기공(14), 온기, 냉기, 수분, 이산화탄소 등을 공급하기 위한 유틸리티배관(16,Utility pipe)이 구비되되, 외부로부터 유틸리티공급실(15) 내부로 건기, 온기, 냉기, 이산화탄소 등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연결부(6)가 구성되어 있다.
배관연결부(6)는 연결파이프와 유사하게 형성된 것으로 일단이 외부케이스(11)에 유틸리티공급실과 연통되게 접속되고 타단이 유틸리티배관(16)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틸리티배관(16)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액체공급관(162)과 기체공급관(161)으로 구성되되 기체공급관(161)은 배관연결부(6)에 접속되도록 외부케이스(1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14)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건기, 온기, 냉기, 이산화탄소 등)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어판(7)이 구성되어 있다.
제어판(7)은 판상부재로 형성되되, 설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판(7)은 설치된 상태에서 불필요할 경우 제거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도8에서는 하단이 내부케이스(12)와 외부케이스(11)와의 사이에 마련된 틈새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의 작용효과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지만, 유틸리티공급실(15)과 연통되게 배관연결부(6)가 형성되어 유틸리티배관(15)과 접속되는 구조이므로, 유틸리티배관(기체공급관)을 작물재배장치(1)의 길이방향 전체 범위로 시공하지 않고 배관연결부(6)의 형성위치까지만 배관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자재비와 공사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설비비가 절감되고 온실의 내부 구조가 간결,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는 전술한 작물재배장치(1)를 상하방향으로 다단 배치하여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작물에 인위적으로 광을 공급하는 광발생모듈(8)이 구성되어 있다.
광발생모듈(8)은 광원으로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배열, 구성된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광발생모듈(8)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설치구조물 없이 외부케이스(11)의 저면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간결, 단순하게 설치될 수 있지만, 작물의 종류나 현장 조건에 따라 광의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조사방향조절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조사방향조절부재는 도면을 첨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힌지점을 기준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아암(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아암은 일단이 외부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에 광발생모듈(8)이 결합 됨으로써 사용자가 아암을 자유롭게 움직여 방향을 전환하면서 광의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작물재배장치 11:외부케이스
12:내부케이스 13:간격형성부재
14:통기공 15:유틸리티공급실
16:유틸리티배관 161:기체공급관
162:액체공급관 17:온열수단
2:지지대 3:보온부재
4:태양전지부 5:힌지부재
6:배관연결부 7:제어판
8:광발생모듈

Claims (16)

  1. 작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작물의 식재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유틸리티공급실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간격형성부재; 및
    상기 유틸리티공급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 및 상기 간격형성부재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형성되는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2. 작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작물의 식재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유틸리티공급실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간격형성부재;
    상기 유틸리티공급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 및 상기 간격형성부재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형성되는 통기공; 및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부,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유틸리티공급실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유틸리티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배관은,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관; 및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공급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에 배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공급관은 상기 배관연결부에 접속되도록 외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5. 작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작물의 식재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유틸리티공급실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간격형성부재;
    상기 유틸리티공급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 및 상기 간격형성부재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형성되는 통기공;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부,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유틸리티공급실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유틸리티배관; 및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획득하는 태양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는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7.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형성부재는 상기 외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저부, 측부, 상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8.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공급실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9.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공급실 또는 상기 식재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온열수단; 및
    상기 유틸리티공급실 또는 상기 식재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수단은 전원의 공급시에 발열되는 전열기기 또는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기기는 발열선 또는 열전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전원의 공급시에 냉기를 방출하는 열전모듈 또는 냉수가 유동되는 냉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13.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 또는 상기 내부케이스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보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14.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에 설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15.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에 설치되는 광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생모듈이 접속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사방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장치.
KR1020170088606A 2017-07-12 2017-07-12 작물재배장치 KR101972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06A KR101972900B1 (ko) 2017-07-12 2017-07-12 작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06A KR101972900B1 (ko) 2017-07-12 2017-07-12 작물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568A true KR20190007568A (ko) 2019-01-23
KR101972900B1 KR101972900B1 (ko) 2019-04-30

Family

ID=6528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606A KR101972900B1 (ko) 2017-07-12 2017-07-12 작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252A (ko) * 2019-07-22 2021-02-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효율 향상과 공기조화 기능을 갖는 식물재배용 광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686A (ko) 2019-11-29 2021-06-08 조보혜 가정용 작물재배 장치
KR20230102151A (ko) * 2021-12-30 2023-07-0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열환경 제어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757U (ko) * 1985-05-28 1986-12-02
KR100828734B1 (ko) 2007-01-31 2008-05-09 주식회사 코스모센추리 면상 발열시트를 이용한 고설 재배장치
JP2011125307A (ja) * 2009-12-21 2011-06-30 Yasunaga Corp 液体循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家庭用水耕栽培装置
KR20130012850A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엠에이에스 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
KR101585806B1 (ko) 2014-12-03 2016-01-15 주식회사 가람온실 딸기 고설 재배장치
JP2016154473A (ja) * 2015-02-24 2016-09-01 タキロン株式会社 中空栽培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757U (ko) * 1985-05-28 1986-12-02
KR100828734B1 (ko) 2007-01-31 2008-05-09 주식회사 코스모센추리 면상 발열시트를 이용한 고설 재배장치
JP2011125307A (ja) * 2009-12-21 2011-06-30 Yasunaga Corp 液体循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家庭用水耕栽培装置
KR20130012850A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엠에이에스 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
KR101585806B1 (ko) 2014-12-03 2016-01-15 주식회사 가람온실 딸기 고설 재배장치
JP2016154473A (ja) * 2015-02-24 2016-09-01 タキロン株式会社 中空栽培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252A (ko) * 2019-07-22 2021-02-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효율 향상과 공기조화 기능을 갖는 식물재배용 광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900B1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15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a plant in an at least partly conditioned environment
ES2745329T3 (es) Procedimiento de generación de energía eléctrica adaptado a los cultivos
KR101972900B1 (ko) 작물재배장치
CN106258916B (zh) 一种多功能无土栽培装置及其应用
JP2011217729A (ja) 水耕栽培装置、及び該水耕栽培装置を備えた水耕栽培設備
KR20130042790A (ko) 실내용 식물 재배 장치
KR20160108055A (ko) 수경재배장치
CN103120103A (zh) 空气加温型节能苗床及系统
CN201595046U (zh) 一种蔬菜大棚内部冬季育苗的控温装置
KR20140144042A (ko) 자동온도 변온 제어가 가능한 작물 재배용 하이배드 전열선 난방시스템
JP2016140304A (ja) 閉鎖空間太陽光式水耕栽培槽装置
KR20070008194A (ko) 비닐하우스용 냉난방장치
KR20180104848A (ko) 육묘 재배 하우스
EP3636068B1 (en)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the local cultivation environment
KR20200015299A (ko) 스마트 자립형 모종 배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종 배양 방법
JPH0734696B2 (ja) 噴霧式栽培装置
JP5200212B2 (ja) 植物栽培温度調整装置
JP6497805B2 (ja) 作物育成システム
JP2010220486A (ja) 植物栽培装置用局部断熱用囲い
KR20180135737A (ko)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
CN108174779B (zh) 油麦菜的培养装置
KR20120074075A (ko) 모듈식 식물공장
KR20160080968A (ko) Led 조사각, 온도 및 습도 관리가 용이한 스마트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재배기
KR200401411Y1 (ko) 하우스의 난방 및 습도 조절장치
KR102469637B1 (ko) 작물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