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063A -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063A
KR20190007063A KR1020187037230A KR20187037230A KR20190007063A KR 20190007063 A KR20190007063 A KR 20190007063A KR 1020187037230 A KR1020187037230 A KR 1020187037230A KR 20187037230 A KR20187037230 A KR 20187037230A KR 20190007063 A KR20190007063 A KR 2019000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media content
server
information
sign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4599B1 (ko
Inventor
배재현
김동연
소영완
양현구
박경모
부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0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23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a hash applied to IP addresses or c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using load balancing strategies, e.g. by placing or distributing content on different disks, different memories or different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L29/0814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16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data replication, e.g. over plural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7Communication with additional data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미디어 소스(media source) 위치 정보의 우선 순위와,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은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와,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 및 오리진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콘텐츠(media contents)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인터넷 텔레비젼(television: TV, 이하 "TV"라 칭하기로 한다)들이 향후 일상 생활의 의미 있는 일부가 될 전망이다. 그 중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mobile data traffic)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2020년 경에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약 80%가 스마트 폰에서 발생하고,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약 60%를 모바일 비디오 트래픽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 예로, 특정 시간, 일 예로 출근 시간대에 월드컵 경기와 같은 스포츠 경기가 진행될 경우 포털 사이트(portal site)에서 제공하는 고화질 생중계 서비스에 대해 이용자들이 집중될 수 있고, 이 경우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양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일 예로 스마트 폰을 통한 원활한 스포츠 경기 시청은 어려워질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실시간 생방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서비스 제공자, 일 예로 이동 통신 사업자는 실시간 생방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과 동시에 모바일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기존의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이하 "HTTP"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스트리밍 방식은 미디어 리소스 식별(media resource identification) 정보를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때 메타 데이터(meta data)에 포함시킨다. 만약 일 예로 10분의 미디어 컨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하기 위해 미디어 컨텐츠를 HTTP 방식 기반의 파일 형태로 변환할 경우, 상기 10분 동안의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정보가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이하 "URL"라 칭하기로 한다) 등과 같은 형태로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며,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가 수신 장치 측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상기 수신 장치 측에서는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 일 예로 URL 등과 같은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HTTP 방식 기반의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 원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송신해 줄 것을 요청하게 된다.
한편, 컨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s delivery network: CDN, 이하 "CDN"라 칭하기로 한다) 환경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환경, 서비스 사업자의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하나의 수신 장치, 일 예로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하나의 송신 장치가 하나의 네트워크 및 하나의 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통해서 세션을 개시하고, 상기 세션을 통해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때, 상기 수신 장치 또는 송신 장치의 필요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변경하거나 혹은 세션을 변경하여 끊김없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기존의 스트리밍 방식인 HTTP 방식은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때 상기 미디어 컨텐츠에 해당하는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를 메타 데이터에 포함시키게 되며, 이러한 방식은 실제 실시간 스트리밍 환경에서 동적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를 이용할 때 여러 가지 이슈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먼저, 기존의 HTTP 방식에서 사용하고 있는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 일 예로 URL 정보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실제 어드레스, 일 예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이하 "IP"라 칭하기로 한다) 어드레스 등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의 접속을 위해서는 도메인 네임 서버(domain name server: DNS, 이하 "DNS"라 칭하기로 한다) 등을 통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실제 어드레스를 검출해야만 하고, 따라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어드레스 검출로 인한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해당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때 설정 기간, 일 예로 설정 파일 기간 동안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어드레스를 메타 데이터에 포함시키기 때문에, 동적인 채널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는 해당 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한 프로그램 안에서는 동적으로 채널 및 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변경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또한, 기존의 HTTP 방식의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중에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어드레스가 변경될 경우 현재 이용중인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 장치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와 초기 접속 절차를 다시 수행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어드레스를 다시 수신한 후,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기존의 CDN을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환경에서도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때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를 메타 데이터에 포함시키며, 따라서 기존의 CDN 환경에서는 실시간 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환경에서도 수신 장치 또는 송신 장치의 필요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 서버 혹은 세션을 변경할 경우, 변경된 미디어 컨텐츠 서버 혹은 세션에 따라 동적으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수신 장치,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가 지역 3(area 3)에 위치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접속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지역 3에 위치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상기 지역 3에 위치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혹은 지정된 네트워크 자체에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해질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더 이상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혹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상기 지역 3에 위치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어드레스가 변경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현재 이용중인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혹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필요에 따라 혹은 미디어 컨텐츠 서버 혹은 세션을 변경해야 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현재 이용중인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상황을 기반으로 미디어 리소스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동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엠펙 미디어 트랜스포트(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media transport: MMT, 이하 "MMT"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기반의 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정적 미디어 리소스 할당 환경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개수 및 사용 환경, 위치 등 을 기반으로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를 동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실시간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때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의 상황, 일 예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개수 등과 같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상황에 따라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미디어 리소스 관리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 소스(media source) 위치 정보의 우선 순위와,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은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와,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 및 오리진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시그널링(signaling) 위치 정보의 우선 순위와, 적어도 3개의 시그널링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시그널링 위치 정보들은 기본 시그널링 위치 정보와, 대체 시그널링 위치 정보 및 오리진 시그널링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방법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 소스(media source) 위치 정보의 우선 순위와,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은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와,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 및 오리진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방법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시그널링(signaling) 위치 정보의 우선 순위와, 적어도 3개의 시그널링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시그널링 위치 정보들은 기본 시그널링 위치 정보와, 대체 시그널링 위치 정보 및 오리진 시그널링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 소스(media source) 위치 정보의 우선 순위와,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은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와,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 및 오리진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른 장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시그널링(signaling) 위치 정보의 우선 순위와, 적어도 3개의 시그널링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시그널링 위치 정보들은 기본 시그널링 위치 정보와, 대체 시그널링 위치 정보 및 오리진 시그널링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장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 소스(media source) 위치 정보의 우선 순위와,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은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와,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 및 오리진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장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시그널링(signaling) 위치 정보의 우선 순위와, 적어도 3개의 시그널링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시그널링 위치 정보들은 기본 시그널링 위치 정보와, 대체 시그널링 위치 정보 및 오리진 시그널링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개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개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용어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와 그 파생어들은 한정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내용을 의미하고; 상기 용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상황을 기반으로 미디어 리소스를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동적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MMT 방식 기반의 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정적 미디어 리소스 할당 환경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개수 및 사용 환경, 위치 등을 기반으로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실시간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때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의 상황, 일 예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개수 등과 같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상황에 따라 미디어 리소스 식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미디어 리소스 관리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 제공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제공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 의한 본 개시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상기 청구항들의 균등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현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가정용 기기(smart home appliance)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마트 가정용 기기는 텔레비젼과,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DVD, 이하 'DVD'라 칭하기로 한다) 플레이어와, 오디오와, 냉장고와, 에어 컨디셔너와, 진공 청소기와, 오븐과, 마이크로웨이브 오븐과, 워셔와, 드라이어와, 공기 청정기와, 셋-탑 박스(set-top box)와, TV 박스 (일 예로, Samsung HomeSyncTM, Apple TVTM, 혹은 Google TVTM)와, 게임 콘솔(gaming console)과, 전자 사전과, 캠코더와, 전자 사진 프레임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의료 기기(일 예로,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이하 'MRA'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자기 공명 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이하 "MRI"라 칭하기로 한다)과,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이하 'CT'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촬상 디바이스, 혹은 초음파 디바이스)와,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와, 전세계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이하 'GPS'라 칭하기로 한다) 수신기와, 사고 기록 장치(event data recorder: EDR, 이하 'ED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비행 기록 장치(flight data recorder: FDR, 이하 'FE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automotive infotainment device)와, 항해 전자 디바이스(일 예로, 항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자이로스코프(gyroscope), 혹은 나침반)와, 항공 전자 디바이스와, 보안 디바이스와, 산업용 혹은 소비자용 로봇(robot)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가구와, 빌딩/구조의 일부와, 전자 보드와, 전자 서명 수신 디바이스와, 프로젝터와, 다양한 측정 디바이스들(일 예로, 물과, 전기와, 가스 혹은 전자기 파 측정 디바이스들)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 각각은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이 될 수 있다. 또한, 용어 "사용자 단말기"는 클라이언트(client),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하 "UE"라 칭하기로 한다)와, 단말기,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이동 디바이스,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 MS, 이하 "MS"라 칭하기로 한다) 등과 혼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수신 장치는 일 예로 미디어 컨텐츠(media contents)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수신 장치는 일 예로 MMT 수신 엔터티(entity)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송신 장치는 일 예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송신 장치는 일 예로 MMT 송신 엔터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 각각은 미디어 소스(media source)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미디어 소스는 일 예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 각각은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서비스는 일 예로 미디어 컨텐츠(media contents) 서비스가 될 수 있으며,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일 예로 미디어 컨텐츠 서버라고 가정하기로 하며,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일 예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는 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media contents streaming ser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컨텐츠는 일 예로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media contents)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상황을 기반으로 미디어 리소스(media resource)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리소스 식별(media resource identification)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media signaling) 정보를 동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엠펙 미디어 트랜스포트(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media transport: MMT, 이하 "MMT"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기반의 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정적 미디어 리소스 할당 환경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개수 및 사용 환경, 위치 등 을 기반으로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를 동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실시간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때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의 상황, 일 예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개수 등과 같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상황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의 리소스 정보 및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미디어 리소스 관리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오버 더 탑(over the top: OTT, 이하 "OTT"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 사업자들이나 통신 사업자들은 통신 사업자 네트워크 내에 컨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s delivery network: CDN, 이하 "CDN"이라 칭하기로 한다) 서버 또는 컨텐츠 서버를 설치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키고자 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모바일 방송은 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존재하고, 사용자 단말기들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대한 접속 과정에서 모바일 데이터 사용이 증가되며, 이로 인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동시에 많은 사용자 단말기들이 접속할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사업자들이나 통신 사업자들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동시에 많은 사용자 단말기들이 접속함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리지날 데이터(original data)를 관리하는 오리진 서버(origin server)와 상기 오리진 서버와 상이한 별도의 서버, 일 예로 엣지 서버(edge server)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 단말기들이 상기 엣지 서버로부터 필요한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엣지 서버들의 개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엣지 서버 별 과부하, 접속 속도 지연 등과 같은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부하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네트워크와, 통신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복합 네트워크에서 복합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며, 특히 MMT 방식을 기반으로 복합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 및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와,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P-H, 이하 "DVP-H"라 칭하기로 한다), 및 모바일/휴대용 진화된 텔레비젼 시스템 협회(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mobile/handheld: ATSC-M/H, 이하 "ATSC-M/H"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 등과 같은 모바일 방송 서비스와,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젼(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이하 "IPTV"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과, MMT 시스템과,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이하 "EPS"라 칭하기로 한다)과,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ong-term evolution-advanced: LTE-A, 이하 "LTE-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하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이하 "HSD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상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이하 "HSU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 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3GPP2, 이하 "3GPP2"라 칭하기로 한다)의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 이하 "HRPD"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이하 "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국제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이하 "IEEE"라 칭하기로 한다) 802.16m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통신 시스템과,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 Mobile IP, 이하 "Mobile IP"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MMT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는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MMT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일 예로 MMT_general_location_info 등과 같은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와 컨텐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일 예로 유효 시간(valid time), 송신 억세스 타입(transmission access type) 등과 같은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가 제공되며,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동적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한 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가 제공된다.
일반적인 CDN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에서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CDN 서버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획득한 CDN 서버의 어드레스를 바탕으로 CDN 정보를 관리하는 CDN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수신 환경, 일 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등과 같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수신 환경에 적합한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CDN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한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어드레스를 바탕으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렇게 CDN은 온라인 상에서 대용량 미디어 콘텐츠를 비교적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기술로서, 주요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이하 "ISP"라 칭하기로 한다)들은 CDN 서버들에 미디어 컨텐츠를 분산시키고 사용자 단말기가 네트워크 경로 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자신과 가장 가까운 CDN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하여 트래픽이 특정 서버, 일 예로 오리지널 미디어 컨텐츠를 관리하는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집중 되지 않고 다수의 CDN 서버들로 분산되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CDN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기에게 주어지는 MMT 방식 기반을 기반으로 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및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네트워크 상태 및 네트워크 상황을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CDN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어드레스를 획득하기 위해 서비스 사업자 서버와 수행하는 CDN 서버 정보 획득 과정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CDN 관리 서버와 수행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주소 획득 과정을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 및 CDN 관리 서버가 아닌, 분산 리소스 식별(distributed resource identification: DRI) 서버와 수행한다. 여기서, DRI 서버는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에 관련되는 정보를 CDN 관리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CDN 관리 서버로부터 각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컨텐츠 서버의 어드레스를 수신한 후 수신 메시지 형태로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에게 DRI 메시지를 통해 해당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DRI 서버는 해당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주소를 획득하여 해당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게 분산 시그널링 정보(distributed signaling information: DSI, 이하 "DSI"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통해 제공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서비스 접속시 미디어 컨텐츠 서버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 각각의 메시지 버전(message version)을 확인하여 이미 수신했던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가 업데이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DRI 메시지는 DRI 서버가 CDN 서버 및 서비스 사용자 서버와 통신하여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의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DSI 메시지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 또는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수신된 MMT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일 예로 DSI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를 DRI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게 되고, 상기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컨텐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는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네트워크 상황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미디어 시그널링 서버 및 미디어 컨텐츠 서버 각각의 어드레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 순위와 관련된 정보를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게 송신한다.
그러면 여기서 표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DRI 메시지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표 1에서, message_id 필드는 DRI 메시지 ID를 나타내는 필드이며, 상기 message_id 필드는 일 예로 16개의 비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version 필드는 DRI 메시지들의 버전(version)을 나타낸다. 수신 장치, 일 예로 MMT 수신 엔터티는 수신된 DRI 메시지가 신규한지 여부를 상기 version 필드를 통해서 체크할 수 있다. 상기 version 필드는 일 예로 8개의 비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length 필드는 DRI 메시지들의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length 필드의 길이는 일 예로 16개의 비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length 필드는 상기 DRI 메시지의 바로 다음 필드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바이트(byte)까지 바이트들로 카운트되는 DRI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length 필드의 필드 값들 중 "0"은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표 1에서, MMT_package_id 필드는 서비스되고 있는 패키지(package)의 고유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여기서, 패키지는 일 예로 MMT 방식에서 사용되는 패키지가 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미디어 데이터(media data)의 논리적인 모음(logical collection)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에서, MMT_package_id_length 필드는 종료 널 캐릭터(terminating null character, 이하 "terminating null character"라 칭하기로 한다)를 제외한 MMT_package_id 스트링(string)의 바이트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표 1에서, MMT_package_id_byte 필드는 MMT_package_id의 한 바이트를 나타낸다. 상기 MMT_package_id_byte가 스트링일 경우, 상기 terminating null character는 상기 스트링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표 1에서, number_of_assets는 그 정보가 MMT 패키지(MMT package: MP, 이하 "MP"라 칭하기로 한다) 테이블에 의해 제공되는 애셋(asset)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애셋은 일 예로 MMT 방식에서 사용되는 애셋이 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asset_id 필드는 상기 asset_id와 연관되는 종속적인 애셋이 기반으로 하는 다른 애셋의 애셋 ID를 나타내며, 이는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asset_id필드에서 제공되는 ID들의 순서는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edia processing unit: MPU, 이하 "MPU"라 칭하기로 한다)들의 연접(concatenation)이 유효 MPU를 초래하고, 미디어 종속 하이어라키(media dependency hierarchy)를 따르도록 한다. 여기서, MPU는 MMT 방식에서 정의하고 있는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Figure pct00002
상기 표 2에서 asset_id_scheme 필드는 애셋 ID 방식을 제공하며, 상기 애셋 ID 방식은 애셋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asset_id_value에서 사용되는 애셋 ID의 방식을 식별하며,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표 2에서 asset_id_length 필드는 asset_id의 길이를 제공하며, asset_id_byte 필드는 asset_id의 한 바이트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한편, 상기 표 1에서, packet_id 필드는 MMT 프로토콜(MMT protocol: MMTP, 이하 "MMTP"라 칭하기로 한다) 패킷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MMTP 세션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상기 표 1에서, priority_type 필드는 미디어 소스 위치 지시자(media source location indicator)의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상기 priority_type 필드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4개의 값들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0"으로 설정될 경우, 수신 장치, 일 예로 MMT 수신 엔터티가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primary media source location, 이하 "primary media source location"라 칭하기로 한다)로부터 데이터 유닛, 일 예로 애셋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riority_type 필드에 설정될 수 있는 4개의 값들은 하기 표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priority_type 필드는 일 예로 2개의 비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값이 일 예로 "00"일 경우에는 수신 장치가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로부터 데이터 유닛, 일 예로 애셋을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값이 "01"일 경우에는 수신 장치가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alternative media source location, 이하 "alternative media source location"라 칭하기로 한다)로부터 데이터 유닛, 일 예로 애셋을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값이 "10"일 경우에는 수신 장치가 오리진 미디어 소스 위치(origin media source location, 이하 "origin media source location"라 칭하기로 한다)로부터 데이터 유닛, 일 예로 애셋을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origin media source location은 원본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혹은 저장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위치를 나타내며, primary media source location 및 alternative media source location은 origin media source location과 상이하다. 상기 origin media source location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CDN 환경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CDN 환경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primary media source location은 일 예로 CDN 환경에서 수신 장치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위치를 나타내며, 일 예로 상기 CDN 환경에서 상기 수신 장치에게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가장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alternative media source location은 상기 primary media source location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primary media source location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대신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들 중 "00"은 미래의 사용을 위해 예약됨(reserved)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valid_time_start 필드는 송신 세션 유효 시작 시간(transmission session valid start time)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network time protocol: NTP, 이하 "NTP"라 칭하기로 한다) 협정 세계 시(coordinated universal time: UTC, 이하 "UTC"라 칭하기로 한다)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valid_time_duration 필드는 송신 세션 유효 정지 시간(transmission session valid stop time)에 상응하는 NTP 포맷의 UTC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primary_media_source_location 필드는 수신 장치, 일 예로 MMT 수신 엔터티가 primary media source location로부터 데이터 유닛, 일 예로 에셋을 획득할 수 있는 미디어 소스 위치 및 전달 타입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alternative_media_source_location 필드는 수신 장치, 일 예로 MMT 수신 엔터티가 alternative media source location로부터 데이터 유닛, 일 예로 에셋을 획득할 수 있는 미디어 소스 위치 및 전달 타입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Number_of_alternative 필드는 에셋에 대한 alternative media source location 정보의 개수를 제공한다. 상기 Number_of_alternative 필드의 필드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데이터 유닛, 일 예로 애셋은 1개의 위치를 통해 전달된다. 애셋에 포함되어 있는 MPU들이 다수의 채널들을 통해 전달되는 벌크 전달(bulk delivery)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Number_of_alternative 필드의 필드값은 "1"로 설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alternative_media_source_id는 대체 미디어 소스(alternative media source)들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origin_media_source_location 필드는 수신 장치, 일 예로 MMT 수신 엔터티가 origin media source location로부터 데이터 유닛, 일 예로 애셋을 획득할 수 있는 미디어 소스 위치 및 전달 타입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MMT_general_location_info 필드는 데이터 유닛, 일 예로 애셋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MMT_general_location_info 필드에서 제공되는 애셋의 위치 정보는 MMT 방식에서 제공되는 애셋의 위치 정보와 동일하며, 하기 표 5 및 표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0x00'과 '0x06'간의 location_type 필드의 필드값이 애셋 위치를 위해 사용될 것이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상기 표 5 및 표 6에서, location_type 필드는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 정보의 타입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상기 표 7에서, packet_id 필드는 MMTP 패킷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packet_id를 나타내며, ipv4_src_addr 필드는 IP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플로우의 IP 버전 4 소스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ipv4_dst_addr 필드는 IP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플로우의 IP 버전 4 데스티네이션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dst_port 필드는 IP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플로우의 데스티네이션 포트 번호를 나타내며, ipv6_src_addr 필드는 IP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플로우의 IP 버전 6 소스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ipv6_dst_addr 필드는 IP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플로우의 IP 버전 6 데스티네이션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network_id 필드는 MPEG-2 TS를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식별자를 나타내며 (여기서, 상기 network_id 필드는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사용에 특정됨), MPEG_2_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TS, 이하 "TS"라 칭하기로 한다) 식별자를 나타내고, MPEG_2_PID 필드는 엘리먼트 스트림(element stream: ES, 이하 "ES"라 칭하기로 한다)를 전달하는 MPEG-2 TS 패킷의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ier: PID, 이하 "PID"라 칭하기로 한다)를 나타내며, URL_length 필드는 URL의 바이트 길이를 나타내며 (여기서, 종료 널(terminating null), 일 예로 "0x00"은 카운트되지 않을 것임), URL_byte 필드는 ULR의 한 바이트를 나타내며(여기서, 종료 널(terminating null), 일 예로 "0x00"은 포함되지 않을 것임), byte_offset 필드는 파일의 첫 번째 바이트로부터의 바이트 오프셋을 나타내며, length 필드는 바이트 범위의 바이트 길이를 나타내며, message_id 필드는 MMT 시그널링 메시지 식별자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transmission_delivery_type 필드는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미디어 컨텐트 전달의 송신 억세스 채널의 타입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transmission_delivery_type 필드는 일 예로 4개의 비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transmission_delivery_type 필드의 값이 일 예로 "0001"일 경우 송신 억세스 채널의 타입은 브로드캐스트 전달만(Broadcast delivery only)을 나타내며, 일 예로 "0010"일 경우 유니캐스트 전달만(Unicast delivery only)을 나타내며, 일 예로 "0011"일 경우 하이브리드 전달(Hybrid delivery)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transmission_delivery_type 필드의 필드 값들 중 "0100" 내지 "1111"은 미래의 사용을 위해 예약됨(reserved)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표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DSI 메시지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pct00009
상기 표 9에서, message_id 필드는 DSI 메시지 ID를 나타내는 필드이며, 상기 message_id 필드는 일 예로 16개의 비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9에서, version 필드는 DSI 메시지들의 버전을 나타낸다. 수신 장치, 일 예로 MMT 수신 엔터티는 수신된 DSI 메시지가 신규한지 여부를 상기 version 필드를 통해서 체크할 수 있다. 상기 version 필드는 일 예로 8개의 비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9에서, length 필드는 DSI 메시지들의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length 필드의 길이는 일 예로 16개의 비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length 필드는 상기 DSI 메시지의 바로 다음 필드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바이트까지 바이트들로 카운트되는 DSI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length 필드의 필드 값들 중 "0"은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표 9에서 valid_time_start 필드는 시그널링 메시지 송신 세션의 유효 시작 시간에 상응하는 NTP 포맷의 UTC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표 9에서 valid_time_duration 필드는 시그널링 메시지 송신 세션의 유효 송신 구간에 상응하는 NTP 포맷의 UTC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표 9에서, MMT_package_id 필드는 서비스되고 있는 패키지의 고유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상기 표 9에서, MMT_package_id_length 필드는 terminating null character를 제외한 MMT_package_id 스트링의 바이트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표 9에서, MMT_package_id_byte 필드는 MMT_package_id의 한 바이트를 나타낸다. 상기 MMT_package_id_byte가 스트링일 경우, 상기 terminating null character는 상기 스트링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표 9에서, number of mmt signaling는 DSI 메시지에 의해 참조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개수를 제공한다.
상기 표 9에서, priority_type 필드는 시그널링 위치 지시자(signaling location indicator)의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상기 priority_type 필드는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4개의 값들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0"으로 설정될 경우, 수신 장치, 일 예로 MMT 수신 엔터티가 기본 시그널링 위치(primary signaling location, 이하 "primary signaling location "라 칭하기로 한다)로부터 시그널링 정보, 일 예로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riority_type 필드에 설정될 수 있는 4개의 값들은 하기 표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10
상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priority_type 필드는 일 예로 2개의 비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값이 일 예로 "00"일 경우에는 수신 장치가 기본 시그널링 위치로부터 시그널링 정보, 일 예로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값이 "01"일 경우에는 수신 장치가 대체 시그널링 위치(alternative signaling location, 이하 "alternative signaling location"라 칭하기로 한다)로부터 시그널링 정보, 일 예로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값이 "10"일 경우에는 수신 장치가 오리진 시그널링 위치(origin signaling location, 이하 "origin signaling location"라 칭하기로 한다)로부터 시그널링 정보, 일 예로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origin signaling location은 원본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하거나 혹은 저장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의 위치를 나타내며, primary signaling location 및 alternative signaling location은 origin signaling location과 상이하다. 상기 origin signaling location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는 CDN 환경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CDN 환경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들 중 "00"은 미래의 사용을 위해 예약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9에서 primary_signaling_location 필드는 수신 장치, 일 예로 MMT 수신 엔터티가 primary_signaling_location로부터 시그널링 정보, 일 예로 시그널링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는 시그널링 메시지 위치 및 전달 타입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 9에서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는 수신 장치, 일 예로 MMT 수신 엔터티가 alternative signaling location로부터 시그널링 정보, 일 예로 시그널링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는 시그널링 메시지 위치 및 전달 타입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 9에서 Number_of_alternative 필드는 alternative signaling location들의 개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 9에서 alternative_server_id는 대체 시그널링 정보 서버들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9에서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는 수신 장치, 일 예로 MMT 수신 엔터티가 origin signaling location로부터 시그널링 정보, 일 예로 시그널링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는 시그널링 메시지 위치 및 전달 타입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 9에서 MMT_general_location_info 필드 및 transmission_delivery_type 필드는 상기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표 1 내지 표 10을 참조하여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은 일 예로 DR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이 "0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priority_type == 0)의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상기 DRI 메시지의 포맷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표 1 내지 표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 장치는 DR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를 기반으로 어떤 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통해서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이 "00"일 경우 primary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이 "01"일 경우 alternative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이 "10"일 경우 origin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 자신이 수신한 DR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없을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나머지 필드값들 중 하나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31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접속 동작을 수행한 후 3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3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DRI 메시지를 수신하고 31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DRI 메시지는 컨텐츠 사업자 혹은 서비스 사업자 혹은 DRI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DR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이 "00"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므로, 상기 315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DR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mary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primary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고,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상기 수신 장치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설정되어 있는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설정되어 있는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일 예로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 315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3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 즉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315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일 예로 "01"로 업데이트한 후, 3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7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alternative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alternative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고,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상기 수신 장치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설정되어 있는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설정되어 있는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일 예로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 317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3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 즉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317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일 예로 "10"으로 업데이트한 후 3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9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origin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고 321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origin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 즉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DRI 메시지를 통해서 제공되는 미디어 컨텐츠 리소스 할당 정보의 우선 순위는 컨텐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DRI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네트워크 상태 정보 등을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리소스 할당 정보의 우선 순위는 DRI 서버가 컨텐츠 사업자의 서버 혹은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에게 최적의 미디어 컨텐츠, 일 예로 최고 데이터 레이트의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primary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일 예로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 지정하며,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서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 이외에 차선의 미디어 컨텐츠, 일 예로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서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의 데이터 레이트 미만의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alternative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일 예로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 지정하는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primary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alternative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통해서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없을 경우라고 할지라도 DR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origin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즉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3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3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3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은 일 예로 DS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이 "0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priority_type == 0)의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상기 DSI 메시지의 포맷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표 9 내지 표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 장치는 DS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를 기반으로 어떤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를 통해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이 "00"일 경우 primary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이 "01"일 경우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이 "10"일 경우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 자신이 수신한 DS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없을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나머지 필드값들 중 하나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41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접속 동작을 수행한 후 4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3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DSI 메시지를 수신하고 41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DSI 메시지는 컨텐츠 사업자 혹은 서비스 사업자 혹은 DSI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DS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이 "00"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므로, 상기 415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DS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mary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primary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를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고,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가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설정되어 있는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거나, 혹은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의 버전이 상기 수신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의 버전보다 낮을 경우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설정되어 있는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일 예로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 415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4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해당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즉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415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일 예로 "01"로 업데이트한 후, 4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7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를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고,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가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설정되어 있는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거나, 혹은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의 버전이 상기 수신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의 버전보다 낮을 경우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설정되어 있는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일 예로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 417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4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해당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즉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417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일 예로 "10"으로 업데이트한 후 4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9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고 421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를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42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해당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즉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primary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및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를 통해서도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없을 경우라고 할지라도 DS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4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4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4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 예로 CDN 서비스에서 primary_location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가장 원활한 서비스, 일 예로 최고 데이터 레이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위치를 나타내며, alternative_location은 primary_location에서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origin_location은 CDN 환경 내에 존재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또는 CDN 환경 외에 존재하는 컨텐츠 사업자에서 관리하고 있는 컨텐츠 서버의 위치를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컨텐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별도로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은 "00"으로 설정된다.
하지만, 서비스 상황에 따라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은 컨텐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위치를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변경될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게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버와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는 별도의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도 있고, 1개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서 미디어 컨텐츠 또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즉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서 지정된 위치의 미디어 컨텐츠 서버 혹은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 또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1) 일반적인 CDN 서버는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 이하 "HTTP"라 칭하기로 한다) Request/Response 메시지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2) MMT 방식 기반의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지원하는 서버는 MMT 시그널링 메시지 내의 Request/Response 메시지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HTTP 방식의 경우 HTTP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timeout 정보에 상응하는 시간 내에 HTTP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혹은 HTTP response status code가 request Fail 등과 같이 설정되어 있는 HTTP Response 메시지와 같은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즉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 프로세스들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사용자 단말기가 원하는 정보, 즉 사용자 단말기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동작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에 접속하여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DRI 서버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DRI 서버는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 즉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필요한 정보를 CDN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의 주소를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DRI 서버는 상기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의 주소를 메시지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를 통해 해당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는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를 통해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 제공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 제공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과정의 일 예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먼저,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은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511)와,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513)와,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515)와, DRI 서버(517)와, 사용자 단말기(51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개수가 1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개수는 2 이상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DRI 서버(517)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에 접속함을 검출하면(521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로 DRI 메시지를 송신한다(523단계). 여기서, 상기 DRI 메시지에 대해서는 표 1 내지 표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DRI 서버(517)로부터 DRI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는 상기 DR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525단계).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과정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과정이므로, 상기 DR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은 "00"으로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는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515)로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는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515)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527단계).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515)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동작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515)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는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515)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529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515)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는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513)로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531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는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513)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533단계).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513)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동작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513)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는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513)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535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513)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는 상기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511)로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537단계). 그리고 나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519)는 상기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511)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539단계).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가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요청하게 되는데, 이때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는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 및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우선 접속 순위가 정해진다. 상기 DRI 메시지를 통해 DRI 서버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게 송신하게 되는데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의 우선 순위는 primary_media_source_location과, alternative_media_source_location과, origin_media_source_location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61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접속 동작을 수행한 후 6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3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DRI 메시지를 수신하고 61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DRI 메시지는 컨텐츠 사업자 혹은 서비스 사업자 혹은 DRI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DRI 메시지의 포맷은 표 1 내지 표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615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DR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획득한 후,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6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7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즉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관련되는 정보는 primary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primary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에 대해서는 표 1 내지 표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617단계에서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6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9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617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01"로 업데이트한 후 6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즉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관련되는 정보는 alternative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alternative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에 대해서는 표 1 내지 표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621단계에서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6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9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621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10"으로 업데이트한 후 6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3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즉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한 후 상기 6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관련되는 정보는 origin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origin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에 대해서는 표 1 내지 표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619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primary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중에 상기 미디어 서비스와 동일한 미디어 서비스이지만, 그 형태, 일 예로 해상도 혹은 코덱(CODEC: coder/decoder) 등과 같은 형태가 다른 미디어 컨텐츠를 alternative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서 제공하고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origin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 상기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다른 미디어 컨텐츠, 즉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6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6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6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제공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제공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제공 과정의 일 예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에 해당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제공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먼저,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은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1)와,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3)와,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5)와, DSI 서버(717)와, 사용자 단말기(71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의 개수가 1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의 개수는 2 이상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DSI 서버(717)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에 접속함을 검출하면(721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로 DSI 메시지를 송신한다(723단계). 여기서, 상기 DSI 메시지에 대해서는 표 9 내지 표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DSI 서버(717)로부터 DSI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는 상기 DS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725단계).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제공 과정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에 해당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제공 과정이므로, 상기 DS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은 "00"으로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는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5)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는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5)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727단계).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5)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동작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5)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는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5)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729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5)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는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3)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731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는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3)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733단계).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3)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동작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3)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는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3)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735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3)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는 상기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1)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737단계). 그리고 나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719)는 상기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711)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739단계).
한편, 사용자 단말기가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이외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해야만 하는데 상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는 DSI 메시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DSI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우선 접속 순위, 일 예로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은 미디어 컨텐츠 또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 및 네트워크 상황, 사용자 단말기의 상황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81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접속 동작을 수행한 후 8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3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DSI 메시지를 수신하고 81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DSI 메시지는 컨텐츠 사업자 혹은 서비스 사업자 혹은 DSI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DSI 메시지의 포맷은 표 9 및 표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815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DS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체크한 후,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8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7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즉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관련되는 정보는 primary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primary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대해서는 표 9 및 표 1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817단계에서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8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9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817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01"로 업데이트한 후 8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21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즉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관련되는 정보는 alternative_signlaing_location 필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대해서는 표 9 및 표 1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821단계에서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8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9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821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10"으로 업데이트한 후 8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23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즉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8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관련되는 정보는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대해서는 표 9 및 표 1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819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도 8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8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8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8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두 번째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이종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경우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 사업자 및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네트워크 상황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환경에 따라 이종 네트워크들을 통해 서비스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DRI 서버에서 제공하는 DRI 메시지와 DSI 서버에서 제공되는 DSI 메시지 내의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와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이종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SI 메시지와 DRI 메시지 내의 기본 서버, 즉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에 대한 정보로 설정을 하고 대체 서버, 즉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사업자의 서버에 대한 정보로 설정을 할 경우, 컨텐츠 사업자의 서버는 서비스 사업자의 네트워크 내에 있을 수도 있고 서비스 사업자 네트워크 밖에 존재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기는 지역 3(area 3)에서 처음으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에 접속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를 기반으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와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획득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와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기반으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미디어 컨텐츠의 수신을 위해 primary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와 primary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기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 또는 지정된 네트워크 내에서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 각각에 포함되는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변경하여 alternative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와 delivery_type 필드 에 정의된 전송 채널 및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서버와 elivery_type 필드 에 정의된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해당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끊김없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Wifi 네트워크 및 방송 네트워크 등과 같은 이종 네트워크들로만 송신되고 있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 또는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해줌으로써 또 다른 서비스 사업자의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는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종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지역 3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LTE 환경에서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다른 채널에서 제공하고 있는 방송 채널을 이용하기 위해 방송 채널 시그널링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다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일 예로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또는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상기 방송 채널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한 후 수신하여 해당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지정한 위치에서 미디어 컨텐츠 또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의 CDN 서버들은 HTTP 방식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요청 및 수신 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DRI/DSI 메시지내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지정된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요청을 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HTTP Request 메시지내의 Timeout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시간 내에 HTTP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HTTP Response 메시지 중 Fail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지정된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변경, 일 예로 업데이트한 후 상기 업데이트된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MMT 시그널링을 분석 또는 인지할 수 있는 CDN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게 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MMT Request 메시지내의 Timeout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시간내에 MMT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MMT Response 메시지 중 Fail 메시지 등을 수신할 경우 지정된 CDN 서버에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 판단하고,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변경, 일 예로 업데이트한 후 상기 업데이트된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한다.
세 번째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도중에 변경될 경우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가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에 접속하여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DRI 서버에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요청 하거나, 혹은 컨텐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관련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 내의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우선 접속 순위에 관련된 priority_type 필드를 바탕으로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가 이미 수신한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를 바탕으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중에 서비스 사업자가 네트워크 상황 및 사용자 단말기의 환경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컨텐츠 정보, 일 예로 해상도, bitrate 등과 같은 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변경하여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경우, 이미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던 기존의 사용자 단말기들은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와 새로운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리소스 정보간의 불일치가 발생하여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사업자 및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들이 집중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주변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로 인해 컨텐츠 사업자 및 서비스 사업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미디어 컨텐츠 정보, 일 예로 해상도 등과 같은 미디어 컨텐트 정보를 일시적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기존에 FHD(full HD)급 화질로 LTE 환경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Wifi 환경이나 사용자 단말기들이 일시적으로 집중되는 열악한 통신 환경에 처하게 될 경우, 컨텐츠 사업자 및 서비스 사업자는 끊김없는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일시적으로 HD급 화질로 사용자 단말기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존의 사용자 단말기는 primary_media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서 컨텐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고 있을 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시적인 네트워크 상황 및 서비스 상황이 변경될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이미 수신되어 있는 DRI 메시지 및 DSI 메시지 내의alternative_media_source_location 필드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서 해당 미디어 컨텐츠를 끊김없이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미디어 컨텐츠의 정보가 변경 시에는 변경된 정보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DSI 메시지 에 포함되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따라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 또는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 또는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부터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여 끊김없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지정한 위치에서 미디어 컨텐츠 또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의 CDN 서버들은 HTTP 방식을 기반으로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 및 수신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DRI/DSI 메시지 내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지정된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 요청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HTTP Request 메시지내의 Timeout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시간내에 HTTP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HTTP Response 메시지 중 Fail 메시지 등을 수신할 경우 지정된 위치에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변경, 일 예로 업데이트한 후 상기 업데이트된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만약,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MMT 시그널링을 분석 또는 인지할 수 있는 CDN 서버에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하게 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MMT Request 메시지내의 Timeout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시간내에 MMT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MMT Response 메시지 중 Fail 메시지 등을 수신할 경우 지정된 CDN 서버에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 판단하고, 상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변경, 일 예로 업데이트한 후 상기 업데이트된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상응하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로 미디어 컨텐츠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변경될 경우에는 먼저 해당 미디어 컨텐츠 리소스의 사용 여부에 따라 DRI 메시지내의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값을 변경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고, 기존의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바탕으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한다. 만약 변경된 미디어 컨텐츠 정보로 인해 기존의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할 경우 priority_type 필드의 필드 값을 변경, 업데이트한 후 기존의 DSI 메시지 내의 alternative_signaling_location 필드 또는 origin_signaling_location 필드에 상응하는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에서 새로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여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900)는 송신기(911)와, 제어기(913)와, 수신기(915)와, 저장 유닛(917)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913)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9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일 예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 등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900)가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일 예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 등에 관련된 동작은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911)는 상기 제어기(913)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 일 예로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DRI 서버, DSI 서버 등으로 다양한 신호들 및 다양한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911)가 송신하는 다양한 신호들 및 다양한 메시지들 등은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915)는 상기 제어기(913)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 일 예로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DRI 서버, DSI 서버 등으로부터 다양한 신호들 및 다양한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915)가 수신하는 다양한 신호들 및 다양한 메시지들 등은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917)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900)가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일 예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일 예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 등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900)가 상기 송신기(911)와, 제어기(913)와, 수신기(915)와, 저장 유닛(917)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900)는 상기 송신기(911)와, 제어기(913)와, 수신기(915)와, 저장 유닛(91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900)가 상기 송신기(911)와, 제어기(913)와, 수신기(915)와, 저장 유닛(917)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900)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및 서비스 사업자가 네트워크 상황 및 서비스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동적 미디어 리소스를 할당하여 실제 실시간 및 비실시간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 시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 및 끊김없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사업자가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의 우선 접속 순위 의 제공을 통해 이종 네트워크 간의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및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들, 일 예로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DRI 서버, DSI 서버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 각각은 송신기와, 제어기와, 수신기와, 저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해당 엔터티, 일 예로 기본 미디어 컨텐츠 서버, 대체 미디어 컨텐츠 서버, 오리진 미디어 컨텐츠 서버, 기본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대체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오리진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 서버, DRI 서버, DSI 서버 등 중 어느 하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상기 해당 엔터티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일 예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 등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해당 엔터티가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일 예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 등에 관련된 동작은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해당 엔터티와 다른,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엔터티로 다양한 신호들 및 다양한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가 송신하는 다양한 신호들 및 다양한 메시지들 등은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해당 엔터티와 다른,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엔터티로부터 다양한 신호들 및 다양한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가 수신하는 다양한 신호들 및 다양한 메시지들 등은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해당 엔터티가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일 예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 등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 일 예로 미디어 리소스 할당 정보 및 미디어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 등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해당 엔터티가 상기 송신기와, 제어기와, 수신기와, 저장 유닛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상기 해당 엔터티는 상기 송신기와, 제어기와, 수신기와, 저장 유닛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해당 엔터티가 상기 송신기와, 제어기와, 수신기와, 저장 유닛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상기 해당 엔터티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리드 온니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와,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상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 소스(media source) 위치 정보의 우선 순위와,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은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와,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 및 오리진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와,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 및 오리진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 중 하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와,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 및 오리진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 각각은 수신 장치가 데이터 유닛을 획득할 수 있는 미디어 소스의 위치 정보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는 수신 장치가 데이터 유닛을 획득할 수 있는 미디어 소스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기본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미디어 컨텐트 전달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는 수신 장치가 데이터 유닛을 획득할 수 있는 미디어 소스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유닛에 대한 대체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와, 대체 미디어 소스의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 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미디어 컨텐트 전달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진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는 수신 장치가 데이터 유닛을 획득할 수 있는 미디어 소스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오리진 미디어 소스 위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미디어 컨텐트 전달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서비스되고 있는 데이터 유닛의 식별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8.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시그널링(signaling) 위치 정보의 우선 순위와, 적어도 3개의 시그널링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시그널링 위치 정보들은 기본 시그널링 위치 정보와, 대체 시그널링 위치 정보 및 오리진 시그널링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기본 시그널링 위치 정보와, 대체 시그널링 위치 정보 및 오리진 시그널링 위치 정보 중 하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시그널링 위치 정보와, 대체 시그널링 위치 정보 및 오리진 시그널링 위치 정보 각각은 수신 장치가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서버의 위치 정보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시그널링 위치 정보는 수신 장치가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서버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기본 시그널링 위치 정보는 데이터 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미디어 컨텐트 전달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시그널링 위치 정보는 수신 장치가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서버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대체 시그널링 위치 정보는 대체 시그널링 위치 정보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와, 대체 서버의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 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미디어 컨텐트 전달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진 시그널링 위치 정보는 수신 장치가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서버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오리진 시그널링 위치 정보는 데이터 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미디어 컨텐트 전달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서비스되고 있는 데이터 유닛의 식별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송신 장치.
KR1020187037230A 2016-05-30 2017-05-30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44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6825 2016-05-30
KR1020160066825 2016-05-30
PCT/KR2017/005640 WO2017209490A1 (ko) 2016-05-30 2017-05-30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063A true KR20190007063A (ko) 2019-01-21
KR102344599B1 KR102344599B1 (ko) 2021-12-30

Family

ID=6047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230A KR102344599B1 (ko) 2016-05-30 2017-05-30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80588B2 (ko)
KR (1) KR102344599B1 (ko)
WO (1) WO201720949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928A2 (ko) * 2011-05-13 201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포인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업로드 제어 장치 및 그의 컨텐트 업로드 방법, 미디어 서버 및 그의 컨텐트 수신 방법
KR20130089709A (ko) * 2011-12-29 2013-08-13 한국과학기술원 변조된 url을 사용하는 미디어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783B1 (ko) 2004-10-06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방법
US7970169B2 (en) * 2004-12-30 2011-06-28 Ricoh Co., Ltd. Secure stamping of multimedia document collections
KR20070018472A (ko) * 2005-08-10 2007-02-14 에라 디지털 미디어 컴퍼니 리미티드 지능 대화형 멀티미디어
KR101231821B1 (ko) * 2011-07-05 2013-02-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9600632B (zh) 2011-10-13 2020-12-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和接收多媒体服务的方法和装置
KR20150035565A (ko) * 2012-05-02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Mmt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cas 또는 drm을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154819B2 (en) * 2013-03-15 2015-10-06 Cisco Technology, Inc. Video content priority aware congestion management
US20150128174A1 (en) * 2013-11-04 2015-05-07 Broadcom Corporation Selecting audio-video (av) streams associated with an event
US9871878B2 (en) * 2014-12-15 2018-01-16 Twin Prime, Inc. Network traffic accelerator
US10771359B2 (en) * 2015-12-14 2020-09-08 Fidessa Trading Uk Limited System capacity heatm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928A2 (ko) * 2011-05-13 201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포인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업로드 제어 장치 및 그의 컨텐트 업로드 방법, 미디어 서버 및 그의 컨텐트 수신 방법
KR20130089709A (ko) * 2011-12-29 2013-08-13 한국과학기술원 변조된 url을 사용하는 미디어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9490A1 (ko) 2017-12-07
KR102344599B1 (ko) 2021-12-30
US20190327498A1 (en) 2019-10-24
US10880588B2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089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Content from Multiple Servers
JP6502380B2 (ja) Mmt及びdashを使用するブロードキャスト及びブロードバンドハイブリッドサービス
TWI602415B (zh) 用於受遞送媒體之彈性快取的方法及裝置
US108805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media system
US113497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media system
US11824909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media resour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494266B1 (ko)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8079295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7787586B (zh) 用于在多媒体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US11012761B1 (en) Techniques for replacement content signaling i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3.0 television
US109929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related information of multimedia service
KR102344599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803101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cast-based multimedia service
WO2018068262A1 (zh) 一种获取视频码率的方法、装置及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