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847A -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나타내는 양에 따라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나타내는 양에 따라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847A
KR20190005847A KR1020187031341A KR20187031341A KR20190005847A KR 20190005847 A KR20190005847 A KR 20190005847A KR 1020187031341 A KR1020187031341 A KR 1020187031341A KR 20187031341 A KR20187031341 A KR 20187031341A KR 20190005847 A KR20190005847 A KR 20190005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filter
light
change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372B1 (ko
Inventor
안-카트린 세를렌
마리 뒤바일
아델르 롱고
코랄리 바르로
사라 마리
엘리스 폴레토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19000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2Photochromic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61B3/063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i.e. adapt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1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an electro-optical light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필터는 상기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을 개선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a)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 또는 두 눈의 동적 감도를 나타내는 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결정된 대표적인 양에 따라 상기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나타내는 양에 따라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과용 광학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필터는 상기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을 개선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필터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마지막으로 그러한 필터가 구비되는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필터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안과용 렌즈가 안경 착용자에게 처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해결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치료상의 필터의 분야에서, 착용자의 병상(백내장, 황반 퇴화, 당뇨병성 망막증 등)에 따라 다양한 필터 또는 다양한 타입의 필터를 착용자에게 제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필터는 일반적으로, 필터가 구비되는 다양한 안과용 렌즈를 착용자 상에서 시험하고 최대 개선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만을 보유함으로써 주관적인 테스트에 의해 매우 경험적으로 결정된다(예를 들어 Rosenblum 외, "낮은 시력 교정에서의 스펙트럼 필터들(Spectral filters in low­vision correction)", Ophthalmic Physiol. Opt. 20 (4), pp. 335­341, 2000 참조).
병상에 따라 대비의 시력이 개선되고/되거나 눈부심이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그러한 필터가 예를 들어, 렌즈의 병상의 CPF 범위에서 안과 실험실 Verbal에 의해 제안된다(http://www.verbal.fr/fr/optique-basse-vision).
또한 착용자의 색각의 결함이 교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해결법이 있다. 문서 WO 2001/057583은 예를 들어, 착용자의 스펙트럼 반응이 결정되고 정상적 눈의 시력에 근접한 색각을 재확립하는 필터가 만들어지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므로 필터를 결정하는 이러한 방법은:
- 주관적이고 필터의 특성의 선택이 최적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거나,
- 객관적이지만 색각의 개선에 제한되는 절차에 기반한다.
필터의 결정 동안, 착용자는 조명 환경, 연관된 시각 요건, 심미학 등의 다양성을 착용자가 고려해야 하는 복수의 기준 사이의 절충에 흔히 직면한다.
따라서, 이러한 알려진 결정 방법에서는,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필터를 결정하기 위해 동적일 수 있는 조명 환경의 특성에 대한 대상의 감도를 객관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더욱이, 이러한 알려진 결정 방법에서는, 광속에 대한 대상의 동적 감도가 고려되는 것, 즉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더 크거나 더 작은 적응성을 가능하지 않다.
종래 기술의 앞서 언급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상기 필터는 상기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을 개선하거나 유지할 수 있으며:
a)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 또는 두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결정된 대표적인 양에 따라 상기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광속의 변화들에 대한 착용자의 눈 또는 눈들의 동적 감도가 객관적으로 또는 주관적으로 결정되어, 주어진 작업 동안 착용자의 시기능 및/또는 시각적 쾌적성을 최적화하도록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특성을 파라미터화한다. 따라서, 필터는 착용자에 대해 개인화된다.
여기서 동적 감도가 의미하는 것은 0 lux와 1000 lux 사이에 포함되는 초기 휘도에 대해 예를 들어 0.1 초와 60 초 사이에 포함되는 시간 간격으로 예를 들어, 적어도 10 lux의 휘도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감지된 광속의 변화에 적응하는 눈 또는 눈들의 능력이다.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은 광속의 변화에 따른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의 진전을 대표한다.
이러한 광속의 변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광속의 강도 또는 파장 스펙트럼의 변경, 또는 심지어 광속의 공간적 변경, 예를 들어 광원의 빠른 이동에 상응할 수 있다.
이러한 시기능 및 시각적 쾌적성은 광속에 대한 착용자의 불충분한 동적 감도, 그리고 동시에, 필터의 본 특성들 둘 다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착용자가 필요로 하는 시각 정확성 및 광속의 변화들에 적응하는 착용자의 능력에 따라, 필터의 파라미터들이 상세하게 조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들 중 하나에 따르면, 광속의 변화는 이하에 상응할 수 있다:
- 착용자가 주어진 작업 동안 겪는 광속의 "실제" 변화; 즉, 특유의 광속은 시각 작업을 수행할 때 착용자가 있게 되는 주변 조명 환경의 특성;
- 또는, 인공 광속이 착용자가 겪을 광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현하고, 착용자에게 시각적 불쾌감 또는 시기능을 손실하는 것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대표한다는 의미에서 광속의 "인공적" 변화.
물론,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 또는 눈들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복수의 양을 결정하고, 단계 b)에서, 상기 필터의 상기 광학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대표적인 양들의 조합을 고려하는 것이 구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 a)는:
a1) 착용자가 상기 광속의 변화를 겪게 하는 단계, 및
a2) 이러한 광속의 변화에 대한 눈의 적응과 관련하는 양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광속의 변화를 겪는 착용자 상에서 수행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착용자가 광속의 변화를 겪게 하는 단계는 착용자가 일정 시각 작업을 수행할 것 같을 조명 환경에 착용자를 배치하는 것, 또는 착용자의 실제 상황을 가능한 한 근접하게 재현하도록 제어되는 특유의 광속에 의해 이러한 조명 환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현하는 것에 상응한다.
해부학적으로 그리고 생리적으로, 착용자의 눈의 복수의 구성 요소는 광속의 변화의 관리에서 상호 작용한다. 적절한 필터를 결정하기 위해, 착용자의 눈 및/또는 이러한 광속의 변화를 취급하는 눈들과 관련되는 구조체들의 생리적 특성들 모두를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다중 파라미터 분석). 이러한 눈의 능력 또는 연약함에 따라, 결정된 필터는 눈의 주어진 상태에 대해 최적으로 또는 적합하게 관리되지 않은 광 변화의 성분을 상기 눈에서 경감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광원들의 광학 및 광도 측정법 속성들이 착용자의 환경에서 측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분광기, 노출계 등과 같은 센서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광속의 변화를 특성화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광학 시뮬레이션 또는 광학 계산에 의해, 광속의 변화의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1)은 광속의 다양한 초기 강도에 대해 반복된다.
단계 a2)에서, 광속의 변화를 겪는 착용자의 하나의 눈 또는 양쪽 눈에 관한 측정들이 수행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은 이하의 양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 착용자의 객관적인 생리적 측정량,
- 착용자의 객관적인 물리적 측정량,
- 착용자의 감지 또는 표현과 관련되는 주관적인 측정된 양.
착용자의 "객관적인 생리적 측정량"이 의미하는 것은, 안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 또는 이러한 시스템과 관련되는 구조체들의 무결성 및 작동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의 측정에 관한 임의의 값이다. 그러한 대표적인 양의 선택은 광속의 특성들의 모두 또는 일부를 처리하는 눈 또는 관련된 요소들의 생리적 능력들이 수치가 평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분석은 착용자가 당연히 광속을 감당할 수 없을 조건들 또는 상황들이 식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필터의 처방은 그 때 시력 및/또는 시각적 쾌적성의 연관된 손실이 보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착용자의 "객관적인 물리적 측정량"이 의미하는 것은, 광학 및/또는 광도 측정법 측정을 통하여 구조체 및 안구 기능들, 또는 관련된 구조체들의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특성의 측정에 관한 임의의 값이다. 물리적 게이지의 추가는 안구 또는 관련된 구조체의 구성 요소가 추론에 의해 특성화되고 정량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대표적인 양의 선택은 물리적 측정을 통하여, 눈부심 과정들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안구 또는 관련된 구조체의 능력들 및 기능을 정량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된 구조체 및 얻어지는 결과들에 따라, 필터의 특성들은 당해의 안구 및 관련된 구조체의 연약함/연약함들에 따라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을 최적화하도록 상이하게 배향될 것이다.
착용자의 "감지 또는 표현과 관련되는 주관적인 측정된 양"에 대해서는, 의미하는 것은 착용자가 시각적으로 감지했거나 겪었던 것을 표현하게 되는 수단인 설문지 또는 수행된 테스트들에 관한 질문들에 응하여 착용자에 의해 표현되는 모든 응답이다. 그러한 대표적인 양의 선택은 착용자가 겪고 표현하는 시기능 및/또는 시각적 불쾌감이 주관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평가는 착용자가 최적의 시기능 및/또는 최적의 쾌적성을 얻는 조건들 또는 상황들, 그리고 또한 불쾌감 및 시기능의 손실의 조건들이 한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 단계 a1)에서, 착용자는 제1 노출 페이즈 동안 미리 결정된 광속을 겪고, 그 다음 착용자는 어둠 제2 페이즈 동안 어둠에 놓여지고, 단계 a2)에서, 제2 페이즈의 시작 후의 결정된 기간 동안 그리고/또는 착용자의 눈들의 광에 대한 감도가 미리 결정된 감도값을 회복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상응하는 어둠에 대한 적응의 시간 동안 평균 감도가 측정되고/거나
- 단계 a2)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른 동공의 크기의 변화는 단계 a1)의 적어도 상기 광속의 변화 동안 결정된다.
어둠으로의 복귀의 단계 a2) 동안 시간이 지남에 따른 동공의 크기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특유의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 a)는:
a3) 상기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감도가 평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설문지를 착용자가 겪게 하는 단계,
a4) 상기 설문지에 대한 착용자의 응답들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설문지는 예를 들어, 착용자가 직면하거나 직면할 것인, 그리고 시각적 불쾌감 또는 시기능의 손실이 보고되는 광속의 변화들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착용자에게 주어지는 하나 이상의 질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는 적어도:
- 상기 광속의 강도의 시간적이고/이거나 공간적인 변화 및/또는
- 상기 광속의 스펙트럼의 시간적이고/이거나 공간적인 변화 및/또는
- 상기 광속의 공간적 분포의 공간의 변화 및/또는
- 상기 광속의 각도 분포의 공간의 변화를 포함한다.
광속이 하나 이상의 광원에 의해 생성될 때, 상기 특유의 광속의 공간적 분포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소스(점광원, 확장 발생원)의 공간적 규모의 데이터에 상응한다. 각도 분포는 그 자체로서는 예를 들어, 각도 방사 패턴(시준된/지향성의 소스, 비지향성의 소스 등)의 데이터에 상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의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 광속의 강도의 시간적 변화는 주어진 시간적 변화 프로파일 및/또는 주어진 시간적 변화 속도, 및/또는 주어진 변화 크기 및/또는 주어진 초기 및/또는 최종 광속 강도로 달성되며;
- 단계 a)에서, 착용자는 다양한 주어진 시간적 변화 프로파일, 및/또는 다양한 주어진 시간적 변화 속도, 및/또는 다양한 주어진 변화 크기 및/또는 다양한 주어진 초기 및/또는 최종 광속 강도를 갖는 광속의 강도의 다양한 시간적 변화를 겪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의 다른 양태들에 따르면:
- 단계 b)에서, 필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광학 특징은:
- 상기 필터의 흡수도 및/또는 투과도 및/또는 반사도 및/또는 컷 오프도,
- 상기 필터의 스펙트럼 응답,
- 상기 안과용 렌즈에 걸친 이러한 특성들의 공간적 분포,
-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 및 이러한 속성들의 특성들의 존재로 구성된다.
필터의 컷 오프도는 예를 들어, 표준 ISO 8980­3:2003 "투과율 사양 및 테스트 방법들(Transmittance specification and test methods)"에 설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필터의 스펙트럼 응답은 그 자체로서는 예를 들어, 표준 D65 발광체를 사용하여 분광기에 의해 측정되는 반사율(R(λ)) 또는 투과율(T(λ))에 상응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필터의 광학 특성은 또한 착용자가 활동들에서 겪을 광속 및/또는 시각적 요구의 지표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유리한 특징들에 따르면:
- 단계 b)에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이러한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양이 광속의 강도의 양의 변화에 대하여 낮은 적응 능력을 나타냄에 따라, 그만큼 더 낮도록 결정되며;
- 단계 b)에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이러한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양이 광속의 강도의 음의 변화에 대하여 낮은 적응 능력을 나타냄에 따라, 그만큼 더 높도록 결정되며;
- 단계 b)에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이러한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광속의 강도의 양 변화 및 음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동적 감도를 고려하면서 결정되며;
-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광속의 변화 동안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 강도에 대한 쾌적성 임계값을 포함하고, 단계 b)에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이러한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이러한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광속의 변화 동안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 강도에 대한 이러한 쾌적성 임계값을 고려하면서 결정되며;
-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레벨의 광의 투과율에 상응하는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필터가 바뀌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고, 단계 b)에서, 상기 선명한 상태와 어두워진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투과율 레벨은 광속의 변화들에 대한 착용자의 동적 감도에 따라,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이러한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에 따라 결정되며;
-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레벨의 광의 투과율에 상응하는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필터가 바뀌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고, 단계 b)에서, 선명한 상태와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바뀌어 가는데 필요한 시간은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양이 광속의 강도의 음의 변화들에 대하여 낮은 적응 능력을 나타냄에 따라, 그만큼 더 짧도록 결정된다.
특히,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이러한 광속의 변화에 대한 눈의 적응 시간에 상응한다. 이는 특히 광속의 강도의 감소 후의 눈의 기능의 회복 시간 또는 광속의 강도의 증가 후의 동공의 대기 시간의 문제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시기능 및/또는 시각적 쾌적성의 감소가 관측되는 광 레벨의 측정치에 상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유리한 특징들에 따르면:
-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레벨의 광의 투과율에 상응하는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필터가 바뀌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고,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쾌적성 임계치의 변화에 상응하고, 단계 b)에서, 선명한 상태와 어두워진 상태 사이의 투과율의 차이, 및/또는 이러한 2가지의 상태 사이의 이행의 시간 및/또는 필터의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이행의 속도는 이러한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쾌적성 임계치의 이러한 변화에 따라 결정되며;
-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레벨의 광의 투과율에 상응하는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필터가 바뀌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고,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광속의 변화 동안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 강도에 대한 쾌적성 임계값에 상응하고, 단계 b)에서, 필터의 선명한 상태 및/또는 어두워진 상태의 투과율 레벨은 이러한 쾌적성 임계값에 따라 결정된다.
앞서 구상된 필터의 타입이 무엇이든, 필터의 광학 투과율 또는 필터의 선명한 또는 어두워진 상태 중 하나의 투과율 레벨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주어진 파장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주어진 파장 간격에서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필터의 광학 투과율 또는 필터의 선명한 또는 어두워진 상태 중 하나의 투과율 레벨은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주어진 공간 구역에서 결정된다.
필터의 상기 공간 구역은 예를 들어, 상부 또는 하부 주변 또는 중심 구역; 근거리 보기, 원거리 보기 또는 중간 보기 구역; 착용자의 응시 방향 상의 중심에 있는 구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이하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면서 결정되고:
- 착용자의 지난, 현재의 그리고/또는 장래의 광 노출 습관들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예를 들어, 광속의 변화 이전에 눈에 의해 수광되는 평균 초기 조도, 수행되는 활동/직업, 계절, 지리학적 위치, 자연 또는 인공광, 노출의 지속 기간 등,
- 착용자의 광속에 대한 정적 감도와 관련하는 파라미터: 착용자의 "광에 대한 감도"는, 일시적이거나 연속적인 광속 또는 자극들에 관하여 쾌적성 또는 시기능의 임의의 비교적 강하고 오래 계속되는 반응 또는 변경을 의미함,
- 광속의 강도 및/또는 스펙트럼의 공간적이고/이거나 시간적인 변화의 크기와 관련하는 파라미터,
- 주어진 조명 조건들 및/또는 조명 변화 조건들 하에서 착용자의 시기능과 관련하는 주관적인 파라미터,
- 주어진 조명 조건들 및/또는 조명 변화 조건들 하에서 시각적 쾌적성과 관련하는 주관적인 파라미터,
- 착용자의 연령과 관련되는 파라미터,
- 선글라스의 사용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 착용자의 눈의 안구 내-분산 계수와 관련되는 파라미터,
- 착용자의 눈의 황반 색소의 밀도 및/또는 분포와 관련되는 파라미터,
- 빛 또는 어둠에 적응하는 망막의 능력과 관련되는 파라미터,
- 조명의 중단 후의 동공의 대기 시간, 수축의 크기, 수축 속도, 및 회복 시간을 포함하는 광 변화에 대한 동적 동공 반응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 착용자의 시각적 병상 또는 잠재적 안구 이상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예를 들어 백내장 수술 후의 회절 결함 또는 인공 수정체의 존재,
-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의 변화의 표현되거나 측정된 임계치와 관련되는 파라미터: 예를 들어, 빛에서 어둠으로 또는 그 반대의 갑작스런 이행 후의 시기능의 회복 시간;
- 상기 단계 a)는 착용자가 상습적으로 겪는 동적 광속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광속을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착용자의 안경 또는 연결된 물체로 통합되거나 독립되는 광속 센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필터가 착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환경을 대표하는 양을 결정하는 단계가 또한 수행되고 상기 필터의 상기 광학 특성은 환경을 대표하는 이러한 양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환경을 대표하는 이러한 양은 예를 들어, 고도, 경도, 위도, 국가 등을 포함하는 지리학적 위치, 또는 1 년 중 계절에 관련되며, 즉 일사량 및 그에 따라 야외에서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속의 평균 강도와 관련된다. 이는 야외에서 보내는 시간의 일부를 대표하는 양의 문제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정에 의해, 전기 변색 타입의 필터의 광학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특성들은 변화들의 속도 및/또는 이러한 변화들의 크기 및/또는 초기 및 최종 강도들이 쾌적성 임계값들 미만으로 유지되기 위해 광속의 변화들을 제한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필터는 상기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을 개선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상술한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특정의 비제한적이고 유리한 특징들에 따르면:
- 이는 광변색 또는 전기 변색 타입의 능동 필터의 문제이며;
- 이는 필터의 결정된 광학 특성이 선택된 미리 결정된 필터의 동일한 광학 특성에 근접하도록 미리 결정된 필터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되는 수동 필터의 문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결정하는 4가지의 예시적인 방법을 이하에 상술하는 것이 제안되며, 실시예들에서:
- 실시예 1은 황반 색소의 밀도에 따른 필터의 결정에 관한 것이며;
- 실시예 2는 어둠 및/또는 빛에 대한 망막의 적응에 따른 필터의 결정에 관한 것이며;
- 실시예 3은 광속의 변화에 대한 동공 반응에 따른 필터의 결정에 관한 것이며;
- 실시예 4는 처방 추상체에 따른 필터의 결정에 관한 것이며;
- 실시예 5는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가 결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설문지에 기반한 필터의 결정에 관한 것이다.
후술하는 방법들은 개별적으로 구현되거나 실제로 결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이하의 예들의 설명은 본 발명 및 본 발명이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첨부 도면들에서:
- 도 1은 실시예 2에서 필터를 갖고 그리고 필터 없이 광속의 변화 후의 5 제1 분 동안 이러한 변화 후의 착용자의 눈의 감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의 곡선들을 도시한다.
- 도 2는 광속의 변화 후의 처음 30 분 동안 도 1의 곡선들과 유사한 이러한 변화 후의 착용자의 눈의 감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의 곡선들을 도시한다.
- 도 3은 선명한 상태(곡선 CT1) 및 어두운 상태(곡선 CT2)에서의 광변색 필터의 투과도를 도시한다.
- 도 4 및 도 5는 필터링하고 있거나(결과들 T1) 필터링하고 있지 않은(결과들 R) 안과용 렌즈가 구비되는 착용자들의 그룹에 대한 ㏈ 단위의 평균 감도 및 초 단위의 평균 회복 시간의 실험적 결과들을 도시한다.
- 도 6은 연령들에 따라 그룹화되는 다양한 착용자에 대한 시각적 쾌적성 레벨에 따른 동공의 대기 시간을 도시한다(실시예 3).
- 도 7은 실시예 4에서 결정되는 처방 추상체의 일 예를 부여한다.
- 도 8은 착용자의 쾌적성 조도 임계값에 대한 광속의 조도 변화의 프로파일의 영향을 도시한다.
- 도 9는 착용자의 눈의 적응 허용도에 대한 변화 전의 광속의 초기 휘도의 영향을 도시한다.
- 도 10 및 도 11은 광속의 조도의 변화에 따른 2명의 상이한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지표의 변화를 도시한다.
- 도 12는 실시예 4에서 착용자가 겪는 광속의 변화의 다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 도 13 및 도 14는 2명의 상이한 착용자에 대한 도 12의 광속의 조도의 변화에 따른 시기능의 회복 시간의 변화를 도시한다.
광속의 변화는 착용자에 따라 상이하게 시기능 및 쾌적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필터는 광속의 변화의 경우에 착용자의 시기능 및 쾌적성을 가장 양호하게 보존하도록 결정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필터는 상기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을 개선하거나 유지할 수 있으며:
a)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 또는 두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결정된 대표적인 양에 따라 상기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광속의 변화에 따른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의 진전을 대표한다.
이하에, 광속의 다양한 광도 측정법 특성, 특히
- 주어진 방향 상의 중심에 있는 단위 입체각 당 방사되는 광속에 상응하는 이러한 방향에서의 칸델라 단위의 광속의 광 강도,
- 평방 미터 당 칸델라 단위의 주어진 관찰 방향에서의 단위 입체각 당 그리고 단위 겉보기 면적(코사인) 당 방사되는 광속과 동등한 플럭스를 방사하는 광원의 휘도,
- lux 단위의 단위 면적 당 수광되는 광속과 동등한 조도가 언급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스의 휘도 및 광속의 조도는 광속의 강도와 관련되고, 일반적으로 광속의 강도가 언급될 것이다. 강도의 변화가 일반적으로 (소스가 동일하다면) 휘도 및 조도의 변화를 야기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광속의 변화는 적어도:
- 상기 광속의 강도의 시간적이고/이거나 공간적인 변화 및/또는
- 상기 광속의 스펙트럼의 시간적이고/이거나 공간적인 변화 및/또는
- 상기 광속의 공간적 분포의 공간의 변화 및/또는
- 상기 광속의 각도 분포의 공간의 변화를 포함한다.
광속의 변화가 광속의 강도의 변화와 관련하는 경우에, 이는 분명히 광속의 강도의 양 또는 음의 변화, 즉 강도의 증가 또는 감소의 문제일 수 있다.
광속의 모든 변화 조건, 특히 광속의 초기 및 최종 강도들 및 광속의 변화 속도가 여기서 고려된다.
스펙트럼의 시간적 변화의 경우에, 달라지는 것은 각각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값들이다. 평균 투과율은 그에 반해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광속의 강도의 시간적 변화는 주어진 시간적 변화 프로파일 및/또는 주어진 시간적 변화 속도, 및/또는 주어진 변화 크기 및/또는 주어진 초기 및/또는 최종 광속 강도로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단계 a)에서, 착용자는 다양한 주어진 시간적 변화 프로파일, 및/또는 다양한 주어진 시간적 변화 속도, 및/또는 다양한 주어진 변화 크기 및/또는 다양한 주어진 초기 광속 강도를 갖는 광속의 강도의 다양한 시간적 변화를 겪는다.
필터의 광학 특성, 즉 단계 b)에서 결정되는 특성은 특히,
-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주어진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어진 파장에서의 이러한 필터의 투과율,
-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주어진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어진 파장에서의 이러한 필터의 컷 오프도(흡수율 또는 반사율),
- 주어진 파장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미리 결정된 파장 영역에서의 광의 투과율의 제1 값, 및 제1 값보다 더 낮은 이러한 주어진 파장에서 또는 이러한 미리 결정된 파장 영역에서의 광의 투과율의 제2 값 각각과 연관된 적어도 2가지의 어두워진 그리고 선명한 상태를 갖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는 필터들에 대한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이행의 시간일 수 있다.
주어진 파장(λ)에서의 필터의 투과율(T(λ))은 필터에 의해 투과되는 광속의 강도(I)와 필터 상에 입사하는 광속의 강도(I0) 사이의 비율: T(λ) = I/I0에 의해 주어진다.
이러한 투과율은 0 또는 1 사이에 포함되거나 퍼센트로 표현된다.
이러한 투과율은 동등하게 흡수 필터 또는 간섭 필터를 통한 광속의 통과에 양호하게 기인할 수 있다.
흡수 필터의 경우, 필터의 흡수율(A(λ))은 1에서 필터의 투과율을 뺀 것과 같다:
A(λ) = 1 - T(λ), 즉 A(λ) = 100% - T(λ)(퍼센트 단위).
간섭 필터의 경우, 필터의 반사율(R(λ))은 1에서 필터의 투과율을 뺀 것과 같다.
이하에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투과율" 또는 "흡수율"이란 용어는 당해의 입사 광속의 스펙트럼의 전체 또는 관심 있는 파장 간격에서의 다양한 값을 갖는 투과 또는 흡수 스펙트럼을 통한 필터의 평균 투과율 또는 흡수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하의 예들을 읽을 시에 분명해질 것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단계 b)에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이러한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양이 광속의 강도의 증가(양의 변화라고도 함)에 대하여 낮은 적응 능력을 나타냄에 따라, 그만큼 더 낮도록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단계 b)에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이러한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양이 광속의 강도의 감소(음의 변화라고도 함)에 대하여 낮은 적응 능력을 나타냄에 따라, 그만큼 더 높도록 결정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단계 b)에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이러한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광속의 강도의 양 변화 및 음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동적 감도,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이러한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을 고려하면서 결정된다.
결정된 투과율값은 그 때 착용자의 동적 감도에 따른 최적의 절충을 나타낸다.
특히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광속의 변화 동안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 강도에 대한 쾌적성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고, 단계 b)에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이러한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이러한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광속의 변화 동안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 강도에 대한 이러한 쾌적성 임계값을 고려하면서 결정된다.
필터가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레벨의 광의 투과율에 상응하는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필터가 바뀌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가질 때, 그리고 단계 b)에서, 광속의 변화들에 대한 착용자의 동적 감도에 따른 상기 어두워진 상태 및 선명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투과율 레벨 및/또는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바뀌어 가는데 필요한 시간은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양이 광속의 강도의 음의 변화들에 대하여 낮은 적응 능력을 나타냄에 따라, 그만큼 더 짧도록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광 강도의 변화들을 증가시키는 것이 착용자로 하여금 더 신경이 쓰이게 만들면, 어두워진 상태로의 빠른 이행을 갖는 광변색 필터가 이에 제안될 것이다. 광 강도의 변화들을 감소시키는 것이 착용자로 하여금 더 신경이 쓰이게 만들면, 선명한 상태로의 빠른 이행을 갖는 광변색 필터가 이에 제안될 것이다.
예를 들어,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이러한 광속의 변화에 대한 눈의 적응 시간에 상응한다(실시예 2 및 실시예 3 참조).
이러한 적응 시간은, 예를 들어 눈의 기능의 회복 시간 또는 동공의 대기 시간이다.
회복 시간은 눈이 초기 쾌적성 및/또는 기능을 회복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이는 어둠으로의 복귀 시에 망막을 포화시키는 광속 또는 조도 레벨의 변화 후에 광수용기들의 색소들을 재생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상응한다.
동공의 대기 시간 (또는 반응 시간)은 광속의 강도의 증가 또는 감소 둘 다의 경우에 광속의 변화 후에 동공이 크기를 적응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다른 예에 따르면(실시예 4 참조),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는 필터는,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쾌적성 임계치의 변화에 상응하고, 단계 b)에서, 선명한 상태와 어두워진 상태 사이의 투과율의 차이, 및/또는 이러한 2가지의 상태 사이의 이행의 시간 및/또는 필터의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이행의 속도는 이러한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쾌적성 임계치의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대안적으로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광속의 변화 동안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 강도에 대한 쾌적성 임계값에 상응하고, 단계 b)에서, 필터의 선명한 상태 및/또는 어두워진 상태의 투과율 레벨은 이러한 쾌적성 임계값에 따라 결정된다(실시예 4 참조).
일반적으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이하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 착용자의 지난, 현재의 그리고/또는 장래의 광 노출 습관들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예를 들어, 광속의 변화 이전에 눈에 의해 수광되는 평균 초기 조도, 수행되는 활동/직업, 계절, 지리학적 위치, 자연 또는 인공광, 노출의 지속 기간 등,
- 광속에 대한 착용자의 정적 감도와 관련하는 파라미터,
- 광속의 강도 및/또는 스펙트럼의 공간적이고/이거나 시간적인 변화의 크기와 관련하는 파라미터,
- 주어진 조명 조건들 및/또는 조명 변화 조건들 하에서 착용자의 시기능과 관련하는 주관적인 파라미터,
- 주어진 조명 조건들 및/또는 조명 변화 조건들 하에서 시각적 쾌적성과 관련하는 주관적인 파라미터,
- 착용자의 연령과 관련되는 파라미터,
- 선글라스의 사용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 착용자의 눈의 황반 색소의 밀도 및/또는 분포와 관련되는 파라미터,
- 빛 또는 어둠에 적응하는 망막의 능력과 관련되는 파라미터,
- 조명 변화에 대한 동적 동공 반응 및/또는 다른 동공 특성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 착용자가 갖는 시각적 병상 또는 임의의 안구 이상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의 변화의 표현되거나 측정된 임계치와 관련되는 파라미터.
일반적으로, 설문지 또는 측정들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는 이후의 분석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계산 처리부로 송신된다. 이러한 계산 처리부는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 b)를 수행한다.
제1 가능성에 따르면, 계산 처리부는 다양한 이용 가능한 필터의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보유한다. 필터의 결정은 그 때 계산 처리부에 의해 수행되며, 계산 처리부는 필터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양에 따라 결정되는 광학 특성들에 가장 근접한 특성들을 갖는 필터를 목록으로부터 선택한다.
특성들을 갖는 모든 타입의 이용 가능한 필터들이 목록화된다. 수동 필터들의 경우: 흡수 및/또는 투과 스펙트럼들, 이러한 스펙트럼들의 편광, 그리고 필터의 영역에 걸친 흡수 또는 투과 스펙트럼의 공간적 변화가 명시된다.
수동 간섭 필터들의 경우, 필터 상의 광의 입사각에 따른 투과 및/또는 반사 스펙트럼의 변화가 또한 목록화된다.
광변색 필터들의 경우: 한 상태에서 다음 상태로의 이행의 속도, 그리고 각각의 선명하거나 어두운 상태의 흡수 또는 투과 스펙트럼, 또는 최소 및 최대 평균 투과율이 기록된다.
능동 필터들의 경우: 한 상태에서 다음 상태로의 이행의 속도, 그리고 각각의 선명하거나 어두운 상태의 흡수 또는 투과 스펙트럼, 또는 최소 및 최대 평균 투과율이 조명 환경을 특성화하는 센서들의 존재, 필터를 관리하는 센서들의 존재(투과율의 관리, 속도, 필터의 자동 제어와 관련되는 센서들 등) 및 통합된 기술의 특성들(전력 소모, 시스템의 안정화, 정보의 통신 등)에 따라 기록된다.
제2 가능성에 따르면, 처리부는 단계 b)에서 원하는 광학 특성들을 결정하고 필터 및/또는 이러한 정확한 광학 특성들을 포함하는 필터가 구비되는 안과용 렌즈의 제조를 지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을 개선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상술한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필터는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내의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안과용 렌즈에 속한다.
방법들의 제1 무리에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와 관련하는 양의 결정은 착용자의 이러한 눈의 생리적이거나 물리적인 특성의 객관적인 정량적 측정에 기반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제1 무리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포함한다.
실시예 1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 a)에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와 관련하는 상기 양이 착용자의 눈에서의 황반 색소의 밀도 및/또는 분포의 하나 이상의 측정된 값에 따라 결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황반 색소(MP)는 망막 편심(ε)의 중심 6°에서의 망막의 황반 구역에 위치된다(Wolf-Schnurrbusch 외, "황반 색소 밀도 및 분포의 인종학상의 차이들(Ethnic differences in macular pigment density and distribu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7, 48(8), pp. 3783-3787; Bernstein PS, "연령 관련 황반 퇴화 및 다른 망막 이상들에서의 황반 카르테노이드 색소 광학 밀도들 및 분포들의 측정값(The value of measurement of macular carotenoid pigment optical densities and distributions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other retinal disorders)", Vision Res. 2010). 황반 색소(MP)는 루테인 및 제아잔틴(눈의 카르테노이드들)으로 구성된다. 황반 색소(MP)는 망막의 외부 망상의 층에 위치되고 400 ㎚와 500 ㎚ 사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430 ㎚와 480 ㎚ 사이에 포함되는 특정 파장 범위에 포함되는 광속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이러한 황반 색소는 대략 460 ㎚의 파장에서 대략 40%의 최대 흡수율 피크를 갖는다.
황반 색소의 역할은 400 ㎚와 500 ㎚ 사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430 ㎚와 480 ㎚ 사이에 포함되는 파장들의 청색광에 의해 야기되는 광산화의 유해한 효과들로부터 세포 조직들을 보호하고, 청색광을 흡수함으로써 청색광의 산란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황반 색소의 밀도는 감소하고 따라서, 이러한 황반 색소의 농도와 연령 관련 황반 퇴화 또는 "ARMD"의 출현의 위험성 사이에 강한 연관성이 있다(예를 들어, Beatty S. 외,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1; 42:439­446 참조).
황반 색소의 공간적 분포는 착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분포는 원환체 형상이거나 뾰족할 수 있다. 제1 타입의 분포에서, 황반 색소의 밀도는 편심과 함께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때때로, 황반 레벨에서의 황반 색소의 공간적 분포에서 중심 공동이 관찰된다. 도넛 형상 또는 멕시칸 햇(Mexican-hat)분포가 그 때 언급된다.
황반 색소는 개인의 시기능에 영향을 주며: 이는 한편으로는, 시력에 대한 색수차들의 영향이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눈부심이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광속의 빠른 증가 후의 황반 색소의 밀도(dPM)의 강하와 한편으로는, 시력 및 대비 감도의 강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기능의 회복 시간의 증가 사이에 상당한 연관성이 또한 있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Stringham 외, "눈부심 조건들 하에서의 황반 색소 및 시기능(Macular pigment and visual performance under glare conditions)". Optom. Vis. Sci. 2008, 85(2), pp. 82­88).
착용자의 눈 내부의 황반 색소의 밀도 및 공간적 분포를 측정하는 디바이스들이 알려져 있다: Horus Pharma사의 MPS II 디바이스(http://www.horus-pharma.com/index.php/fr/hi-tech/mpsii), 및 Zeiss사의 "VisuCam" 디바이스(http://www.zeiss.com/meditec/en_de/products---solutions/ophthalmology-optometry/retina/diagnostics/fundus-imaging/visucam-500.html).
문헌(Stringham 외, 2011: "눈부심에서의 황반 색소 및 시기능: 포토스트레스 회복, 눈부심 장애 및 시각적 불쾌감에 대한 이익들(Macular Pigment and Visual Performance in Glare: Benefits for Photostress Recovery, Disability Glare, and Visual Discomfort)"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September 2011, Vol.52, 7406-7415 및 Stringham 외, 2008: Stringham JM, Hammond BR, "눈부심 조건들 하에서의 황반 색소 및 시기능", Optom Vis Sci. February 2008;85(2):82-8) 및 출원인의 연구들은, 특히 65 세 초과의 노인들에서의 황반 색소의 밀도와 광에 대한 정적 감도의 임계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색소의 밀도가 더 낮을수록, 광에 대한 감도의 임계치는 더 낮고, 그러므로, 광과민성은 더 높다.
색소의 밀도는 0과 1 사이에 포함되는 값으로 표현되며, 값 0은 최소 밀도에 상응하고 값 1은 최대 밀도에 상응한다. 최소 및 최대 밀도는 예를 들어, 이러한 대상 상에서 수행되는 모든 연구에 기반하여 통계적으로 결정된다.
광에 대한 감도의 임계치는 시각적 불쾌감이 착용자에 의해 표현되는 광 강도에 상응한다.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또는 불쾌감, 예를 들어 실시예 5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은 표준화된 평가 척도 상의 1과 5 사이에 포함되는 주관적인 쾌적성 지표를 사용하여 정량화된다. 따라서, 특히 400 ㎚와 500 ㎚ 사이의 청색의 파장 영역에서의 필터의 보호의 레벨, 즉 필터의 흡수율 및/또는 필터의 반사율은, 황반 색소의 밀도가 낮을 때 더 높음에 틀림 없다.
즉 단계 b)에서, 결정된 필터는 황반 색소의 밀도가 낮음에 따라, 그만큼 더 낮은 투과율을 갖는다.
더욱이, 이러한 광속의 강도의 갑작스럽고 실질적인 변화를 수반하는 광속의 변화 후 시력의 회복 시간은 또한 착용자의 눈의 황반 색소 밀도와 관련된다.
시력의 회복 시간은 예를 들어, 대비에 대한 감도의 시력 임계치 또는 측정치를 통하여 절대적으로 또는 광속의 변화 전의 눈의 기능의 백분율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눈이 미리 정해진 레벨의 시기능을 회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서 정의된다.
시력의 회복 시간은 착용자의 눈이 광속의 변화 전의 초기 시기능을 회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서 여기서 정의된다.
착용자의 눈의 황반 색소의 밀도가 더 낮을수록, 강도의 갑작스럽고 실질적인 증가 후의 이러한 회복 시간은 더 길다(Stringham JM, Hammond BR, "황반 색소 기능의 눈부심 추정(The glare hypothesis of macular pigment function)", Optom Vis Sci., September 2007, 84(9), 859-64, 및 "눈부심에서의 황반 색소 및 시기능: 포토스트레스 회복, 눈부심 장애 및 시각적 불쾌감에 대한 이익들",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September 2011, Vol.52, 7406-7415).
마찬가지로, 어둠에 대한 적응의 조건들 하의 시력의 회복 시간은 또한 황반 색소의 밀도의 값과 상관된다. 황반 색소의 밀도가 더 낮을수록, 어둠 조건들 하에서 회복 시간은 더 많이 증가한다(Stringham JM & al., "낮은 광 조건들에서의 황반 색소 및 시기능(Macular Pigment and Visual Performance in Low-Light Conditions)", Invest Ophthalmol Vis Sci., April 2015, 56(4), 2459-68).
따라서,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들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에 관한 양은 황반 색소 밀도의 값으로서 또는 심지어 주어진 광속의 변화 후의 착용자의 시력의 회복 시간의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a)에서, 필터를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착용자의 눈의 황반 색소의 밀도가 측정된다.
황반 색소 농도는 Zeiss VisuCam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것과 같은 객관적인 물리적 자가 형광 측정 방법에 의해 또는 "이색 플리커 광도 측정법"으로 지칭되는 주관적인 방법에 의해 실제로 측정될 수 있다(Creuzot-Garcher 외, "건강한 대상들의 황반 색소 광학 밀도를 측정하는 2가지의 방법의 비교(Comparison of Two Methods to Measure Macular Pigment Optical Density in Healthy Subjects)", Retina 2014 IOVS, May 2014, Vol. 55, No. 5, pp. 2941­2947).
(예를 들어, "이색 플리커" 방법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황반 색소의 평균 밀도, 또는 (예를 들어, 사진 촬영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황반 색소의 전체의 분포가 고려될 수 있다.
황반 색소의 밀도 및 공간적 분포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단계 b)에서 필터의 스펙트럼 응답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단계 b)에서, 필터의 흡수율은 파장에 따른 황반 색소의 흡수 곡선에 따르는 것으로, 즉 이러한 곡선과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지만 대상에서 측정되는 황반 색소의 밀도에 따라 단지 가변의 밀도이다.
바람직하게는, 필터는 필터 및 착용자의 눈에 의해 형성되는 시스템이 참조 눈의 투과율에 근접한 투과율을 갖도록 결정된다. "참조 눈"은, 광수용기들이 평균 감도를 갖는 사람 눈을 의미한다. "근접한"이란, 필터 및 착용자의 눈에 의해 형성되는 시스템의 스펙트럼 투과율이 참조 눈의 스펙트럼 투과율 주변의 미리 정해진 허용 오차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허용 오차는 참조 눈의 스펙트럼 투과율 주변의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15%일 수 있다.
즉, 결정된 필터의 스펙트럼은 황반 색소의 스펙트럼을 모사한다.
필터의 투과율은 황반 색소의 밀도의 값에 따라 결정된다.
상세하게는, 황반 색소의 밀도의 값은 망막을 보존하도록 제공되어야 하는 보호의 정도를 나타낸다.
보다 정확하게는, 단계 b)에서, 0.2보다 더 낮은 황반 색소의 밀도의 경우, 필터는 황반 색소의 보호 역할을 크게 보충해야 한다. 필터의 흡수도(A(λ))는 460 ㎚의 파장에 대해 40%의 최대 흡수도를 갖는 황반 색소의 흡수도와 동일하도록 결정된다.
0.2와 0.6 사이에 포함되는 황반 색소의 밀도의 경우, 필터는 황반 색소의 밀도가 최적이 아니므로, 황반 색소의 기능들 중 일부를 보충해야 한다. 필터의 투과율은 황반 색소에 의한 흡수의 부족을 보충하도록 결정되고, 이러한 부족에 비례하여: 필터의 흡수도(A(λ))는 그 때 관계식 A(λ) = (1 - d) × f(λ)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d는 제1 단계 a)에서 측정되는 황반 색소 밀도이고 f(λ)는 파장(λ)에서의 황반 색소의 흡수도이다.
0.6보다 더 높은 황반 색소의 밀도의 경우, 필터는 그 때 예방 역할을 한다(예를 들어 ARMD).
필터는 그 때 황반 색소의 작용을 보강하도록 결정되며: 필터의 흡수도(A(λ))는 또한 관계식: A(λ) = (1 - d) × f(λ)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d는 제1 작용에서 측정되는 황반 색소의 밀도이고 f(λ)는 파장(λ)에서의 황반 색소의 흡수도이다.
필터를 적응시키고 단계 b)에서 결정될 필터의 스펙트럼을 최적화하기 위해, 황반 색소의 망막 분포 및 특유의 광속의 스펙트럼 특성들을 고려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황반 색소의 평균 밀도에 따른 그리고/또는 이러한 색소의 망막 분포에 따른 양 만큼 필터의 흡수도를 증가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앞서 언급한 저서 중에 Wolf-Schnurrbusch 외 참조).
황반 색소의 분포는 항상 중심와 상의 중심에 있는 가우스 함수인 것은 아니다. 황반 색소의 분포는 "멕시칸 햇" 형상 또는 "도넛" 형상이라 일컬어지는 것인,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가 이러한 황반 색소를 가능한 한 가장 양호하게 보완할 것이라면, 필터는 이러한 황반 색소의 분포를 고려해야 한다.
황반 색소의 공간적 분포에 부합하기 위해 필터가 필터의 표면에 걸쳐 불균일한 흡수도를 갖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필터는 흡수도가 필터의 표면에 걸쳐 불균일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조정되기도 하는 적응 필터일 것이며, 흡수도는 예를 들어, 응시 추적 디바이스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특유의 광속의 스펙트럼 콘텐츠에 필터의 흡수도를 적응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적응은 정적이거나 동적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a)에서, 필터를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착용자의 눈의 황반 색소의 밀도가 측정되고 주어진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시력의 회복 시간이 추정에 의해 착용자의 눈의 황반 색소의 밀도로부터 추론되거나, 착용자의 시력의 상기 회복 시간이 직접 측정된다.
제1 경우에, 회복 시간의 추정은 예를 들어, 다양한 착용자에 대해 측정되는 이러한 회복 시간의 값들 및 황반 색소의 밀도의 값들을 함께 그룹화하는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수행된다.
착용자의 시력의 회복 시간은 상세히 후술할 암순응 측정 감도의 테스트를 통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조도의 음의 변화에 대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4 참조, 유사한 테스트들이 조도의 양의 변화에 대해 구상될 수 있음).
단계 b)에서, 필터는 그러한 광속의 변화 후의 착용자의 회복 능력들을 개선하도록, 즉 착용자의 시력의 회복 시간을 감소시키도록 결정된다.
상세하게는, 단계 b)에서, 예를 들어, 상이한 주어진 파장 영역에 대해 낮은 투과율을 갖는 상이한 투과 스펙트럼들을 갖는 다양한 필터를 착용자 상에서 테스트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파장 영역은 예를 들어, 황반 색소의 최대 흡수율의 파장들 상의 중심에 있다.
다음에, 단계 b)에서, 착용자의 시력의 회복 시간은 상기 암순응 측정 감도 테스트에 의해 각각의 테스트되는 필터마다 주어진 광속의 변화 후에 평가된다.
필터는 단계 b)에서 측정되는 회복 시간이 단계 a)에서 결정되는 회복 시간보다 더 짧은 테스트된 필터들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단계 b)에서 측정되는 회복 시간이 단계 a)에서 결정되는 회복 시간보다 더 짧은 테스트된 필터들의 특성들에 따라 선택된 필터의 특성들을 결정함으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로, 착용자는 광속의 변화 동안 더 적은 시기능을 손실할 것이고 시각적 쾌적성을 최적화할 것이다.
실시예 2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 a)에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와 관련하는 상기 양이 광속의 강도의 음의 변화 후의 착용자의 시력의 회복 시간의 하나 이상의 측정된 값에 따라 결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암순응 측정 감도 테스트가 수행된다.
그 때 단계 a)에서, 이하의 하위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a1) 착용자가 상기 광속의 변화를 겪게 하는 단계, 및
a2) 이러한 광속의 변화에 대한 눈의 적응과 관련하는 양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광속의 변화를 겪는 착용자 상에서 수행되는 것인 단계.
단계 a1)에서, 착용자는 제1 노출 페이즈 동안 0이 아닌 미리 결정된 강도의 광속을 겪고, 그 다음 착용자는 더 낮은 강도, 예를 들어 0에 가까운 광속(어둠)을 겪는다.
높은 광속에서 더 낮은 광속으로의 이러한 이행은 예를 들어, 높은 밝기의 야외 환경에서 실내의 또는 터널에서의 훨씬 더 어두운 환경으로의 이행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단계 a2)에서, 착용자의 눈 또는 눈들의 시기능의 양 특성이 측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단계 a2)에서, 착용자의 눈 또는 눈들의 시기능의 평균량 특성이 제2 페이즈의 시작 후의 결정된 기간 그리고/또는 착용자의 시기능의 상기 양 특성이 미리 결정된 값을 회복하는데 필요한 착용자의 시력의 회복 시간에 상응하는 어둠에 대한 적응의 시간 동안 측정된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값은 바람직하게는 광속의 변화 전의 상기 양 특성의 초기값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다음에, 착용자의 절대 망막 감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시간적 진전은 낮은 초기 휘도의 조명 자극이 망막이 적응함에 따라, 조명 자극의 휘도 감소를 인식하는 자동화된 테스트를 통하여 도표화된다. 자동화된 프로그램은 어둠에 대한 눈들의 적응 동안 감도 임계치의 진전을 추적하는 계단식 방법을 이용한다.
거짓 양성 테스트들이 상기 테스트에 무작위로 포함되고 거짓 양성 테스트들의 결과들은 측정의 신뢰성의 암시를 부여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여기서, 단계 a1)에서, 착용자는 5 분 동안 500 lux와 1000 lux 사이에 포함되는 착용자의 눈에서의 조도 또는 100 ㏅/m2와 300 ㏅/m2 사이에 포함되는 휘도를 생성하는 백색 가시 광선속, 예를 들어 중간 백색 발광 다이오드(LED) 스펙트럼을 겪는다. 광은 전체야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즉 시계를 완전히 채우도록 분포된다. 이러한 제1 페이즈 동안, 착용자는 착용자의 시계의 중심점을 응시한다.
일 변형예로서, 단계 a1)에서, 착용자는 지속 기간이 1 초 이하인 광의 플래시를 겪는다.
일반적으로, 단계 a1)에서, 조명 자극의 휘도, 스펙트럼 및 지속 기간은 특히 현실에 맞는 광 노출 조건들에 가능한 한 근접하게 도달하도록 조정 가능하다.
다음에, 착용자는 10 분 내지 30 분 동안 어둠 적응 페이즈를 겪는다.
이러한 제2 페이즈 동안, 착용자는, 3 초마다 100 밀리초 내지 300 밀리초 동안 나타나는 착용자 앞에 배치되는 스크린 또는 반구체의 중심에서 제공되는 10° 각도 규모의 원형 조명 자극을 감지하자마자 스퀴즈 벌브(squeeze bulb) 또는 버튼을 누르도록 요청 받는다.
자극의 휘도는 1 ㏈의 증분으로 0.318 ㏅/m2에 상응하는 30 ㏈과 0.318×10^-5 ㏅/m2에 상응하는 80 ㏈ 사이에서 달라진다. 0 ㏈ 레벨은 318 ㏅/m2로 설정된다(골드만 시야계의 기준). 휘도는 이러한 기준값에 대하여 ㏈로 여기서 표현되며, 0.318 ㏅/m2는 그 때 10*log(0.318/318) = 30 ㏈에 상응한다.
착용자가 자극을 감지할 때, 자극의 휘도는 1 ㏈의 증분 만큼 감소한다.
테스트의 주어진 순간에서 착용자에 의해 검출되는 ㏈ 단위의 휘도값은 이러한 순간에서의 착용자의 감도값이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이러한 감도의 진전을 추적하도록 도 1에 도표화된다.
착용자가 자극을 감지하지 않고, 그러므로 할당된 시간 동안 스퀴즈 벌브 또는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자극의 휘도는 약간 증가한다. 어둠에 대한 적응의 페이즈의 지속 기간 전체에 걸쳐, 착용자의 눈들은 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모니터링되어, 착용자가 잠들어 있지 않거나 착용자가 자극에 대한 중심 주시를 유지하고 있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단계 a2)의 끝에서, 착용자에 의해 검출되는 ㏈ 단위의 감도(S)의 시간적 진전이 도표화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러한 암순응 측정 곡선은 2개의 페이즈를 포함하며, 이 중에서 첫 번째 것만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빠른 제1 페이즈는 주간 시력에 수반되는 추상체 광수용기들의 활동에 상응한다. 이러한 페이즈는 6 분 미만으로 지속되고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5 분으로 설정된다(예를 들어, "AdaptRx 및 Goldmann-Weekers 어둠 암순응 측정기들의 비교(Comparison of AdaptRx and Goldmann-Weekers Dark Adaptometers)", John G. Edwards1, David A. Quillen, M.D.2, Laura Walter2, D. Alfred Owens, Ph.D.3 및 Gregory R. Jackson, Ph.D.2; "연령 관련 황반병의 평가를 위한 짧은 지속 기간 어둠 적응 프로토콜(A short-duration dark adaptation protocol for assessment of age-related maculopathy)", Gregory R. Jackson & John G. Edwards, J ocul biol dis inform (2008) 1:7-11; "건강한 성인들 및 AMD 환자들에 대한 AdaptRx 어둠 암순응 측정기의 측정 오류(Measurement Error of the AdaptRx Dark Adaptometer for Healthy Adults and AMD Patients)", Laura E. Walter, C.O.A. 1, David A. Quillen, M.D.1, John G. Edwards, M.S., M.B.A.2, D. Alfred Owens, Ph.D. 3 & Gregory R. Jackson, Ph.D.1 참조). 이러한 제1 페이즈는 대수 진전을 따른다.
이러한 제1 페이즈는 분명히 더 낮은 임계치에 도달하고 간상체들로 인한 것인 도 2에 도시된 더 느린 페이즈가 뒤따른다.
도 2에서, 제1 페이즈는 대략 0 분과 5 분 사이에서 기록되는 곡선에 상응하는데 반해, 제2 페이즈는 5 분과 30 분 사이에서 기록되는 곡선에 상응한다. 여기서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곡선은 Metrovision의 상업 암순응 측정 장치 MonPack ONE으로 얻어진다.
어둠에서 페이즈의 5 제1 분을 통한 추상체들의 암순응 측정 감도의 분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른 광속의 실질적 감소에 대한 착용자의 눈들의 감도의 매우 양호한 지표이다.
상기 분석은 어둠으로의 이행 후의 5 제1 분(= 300 초) 동안 착용자의 눈의 통합된 감도(㏈ 단위)를 한정하기 위해 이러한 5 분(암순응 측정 곡선의 제1 페이즈)까지의 ㏈ 단위의 감도의 곡선 아래의 면적을 계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 1은 5 제1 분, 즉 300 초에 걸친 어둠으로의 이행 후에 지난 시간에 따른 착용자의 눈의 ㏈ 단위의 감도의 시간적 진전을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에서, 2개의 세트의 감도 데이터가 도시되며: 제1 세트는 시각 투과율이 380 ㎚와 780 ㎚ 사이의 가시부에서 필터의 부재와 동등한 90%인 참조 필터가 구비되는 착용자에 대해 측정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지점들(P1)에 상응한다.
제2 세트의 데이터는 필터(T1)가 구비되는 착용자에 대해 측정되는 정사각형 형상의 지점들(P2)에 상응한다. 이러한 필터(T1)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는 필터의 선명한 상태에 상응한다. 이러한 선명한 상태에서, 필터(T1)는 400 ㎚와 455 ㎚ 사이의 청색-보라색 광의 40%를 차단하고 다른 파장들의 가시부는 지나게 한다.
그러므로, 필터(T1)의 투과율은 400 ㎚와 455 ㎚ 사이에서 50%이다.
전체 가시부를 통한 필터(T1)의 시각 투과율은 필터링이 선택적이므로, 380 ㎚ 내지 780 ㎚ 사이에서 85%와 90% 사이에 포함된다.
여기서 필터의 시각 투과율은 기준 D65의 태양광 발광체 및 눈의 광순응 감도에 의해 가중되는 광학 필터의 투과율로서 정의된다(ISO 13666: 1998 표준 - ISO 8980-3 표준).
파장에 따른 이러한 필터의 투과율이 여기서 도 3에 도시된다. 이러한 도면에서, 곡선(CT1)은 필터의 선명한 상태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에 상응하고, 곡선(CT2)은 이러한 필터의 어두운 상태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에 상응한다. 곡선(CT2)이 예로서 주어진다.
각각의 데이터세트의 대수 회귀는 도 1의 곡선들(C1 및 C2)을 부여한다.
수학식 S = 5.2267Ln(t) + 31.748의 곡선(C1)은 상관 계수 R2 = 0.8951를 갖는 참조 필터로의 측정치들에 상응한다.
수학식 S = 3.4118Ln(t) + 29.459의 곡선(C2)은 상관 계수 R2 = 0.9679를 갖는 필터(T1)로의 측정치들에 상응한다.
이러한 곡선들에 기반하여, 0.318 × 10-2 ㏅/m2의 조명 자극의 검출에 상응하는 50 ㏈과 동등한 감도를 착용자의 눈들이 회복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서 여기서 정의되는, 각각의 필터가 구비되는 착용자의 시력의 회복 시간을 추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러한 회복 시간은 참조 필터로 210 초, 그리고 필터(T1)로 단지 51 초와 동일하다(도 1).
따라서, 159 초의 회복 시간(Δt)의 개선, 즉 (필터의 부재와 동등한) 선명한 참조 필터에 대하여 76%의 개선이 관찰된다.
더욱이, 어둠으로의 이행 300 초 또는 5 분 후에, 필터(T1)를 갖는 착용자의 눈들의 감도는 참조 필터를 갖는 착용자의 눈들의 감도보다 ΔS = 8 ㏈만큼 더 높다(도 1).
일반적으로, 단계 b)에서, 어둠으로의 이행 5 분 후의 ㏈ 단위의 감도가 더 낮거나 50 ㏈과 동등한 감도를 회복하는 눈들의 회복 시간이 더 길수록, 결정된 필터가 전체 가시부 투과율 또는 청색의 스펙트럼 구역에서의 필터링하는데 더 많이 필요할 것이다.
즉, (380 ㎚와 780 ㎚ 사이의) 전체 가시 스펙트럼에 걸쳐 평균화되거나, (400 ㎚와 455 ㎚ 사이의) 청색-보라색의 스펙트럼 구역에 걸쳐 평균화되는 필터의 투과율은 어둠으로의 이행 5 분 후의 ㏈ 단위의 감도가 낮거나 50 ㏈과 동등한 감도를 회복하는 눈들의 회복 시간이 긺에 따라, 그만큼 더 낮다.
이러한 예는 백내장 수술 후에 백색 인공 수정체가 구비되는 인공 수정체 착용자들에 특히 적절하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착용자들은 인공 수정체 비착용자들보다 훨씬 더 높은 불편한 눈부심을 갖는다. 출원인에 의한 작업은 감광성 인공 수정체 착용자들의 광과민성 임계치가 건강한 나이가 더 많은 연령-일치 감광성 대상들의 광과민성 임계치보다 평균적으로 5배 더 낮다는 것을 특히 나타내었으며, 임계치는 두 경우에 동일한 조건들에서 결정된다. 광과민성 임계치는 착용자들이 인내할 수 있는 최대 광속의 조도 또는 강도값에 상응한다. 게다가, 인공 수정체 대상들은 비인공 수정체 대상들보다 상당히 더 낮은 감광성 임계치를 가지므로, 불쾌감 없이 수용할 수 있는, 즉, 최대 광속 조도 또는 강도값에 상응하는 광에 대한 제1 불쾌감의 더 낮은 임계치를 갖는다.
인공 수정체 대상들은 또한 광속의 변화들 동안 더 긴 회복 시간을 갖는다.
특히, 인공 수정체 대상들은 청색-보라색이 청색-보라색의 상당 부분을 필터링했던 본래 수정체에 의해서보다 인공 수정체에 의해 망막으로 훨씬 더 손쉽게 투과되므로, 짧은 파장들의 가시부인, 청색-보라색에 매우 감응성이다.
이러한 착용자들의 경우, 400 ㎚와 455 ㎚ 사이의 청색-보라색의 파장들을 차단하고, 이러한 파장들에서의 적어도 20%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의 광속을 차단하고, 불빛이 밝은 야외 환경들에서의 조명 불쾌감을 제한하기 위해 광변색 필터와 선택적으로 연관된 필터가 결정될 것이다. 그러므로, 400 ㎚와 455 ㎚ 사이에 포함되는 파장들에 대한 이러한 필터의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0%보다 더 낮고, 바람직하게는 60%보다 더 낮고, 바람직하게는 50% 보다 더 낮다.
이러한 착용자들에게 적절한 필터의 일 예는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필터(T1)와 동등한) 선명한 상태에서 400 ㎚와 455 ㎚ 사이에 포함되는 파장들에 대해 55%의 투과율, 그리고 (예를 들어, 도 3의 곡선(CT2)의 투과율과 유사한 투과율을 갖는 필터(T2)에 상응하는) 어두운 상태에서 이러한 파장들에 대해 10%의 투과율을 갖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는 안과용 렌즈이다.
이러한 안과용 렌즈를 구비한 16명의 인공 수정체 착용자를 대상으로 출원인이 수행한 연구는, 이러한 안과용 렌즈를 구비한 착용자들이, 안과용 렌즈 없이(앞서 언급한 참조 필터(R)의 존재와 동등한 경우) 어둠에 대해 적응하는 경우에 비해 어둠에 대한 더 양호한 적응을 보였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특히, 회복 시간의 상당한 감소가 관측되었으며, 즉 90 초 초과의 이러한 시간의 감소와 함께, 안과용 렌즈로 눈부심으로부터의 더 빠른 회복이 입증되었다.
보다 정확하게는, 5 분에서의 원감도는 안과용 렌즈가 없는 경우 평균적으로 47 ㏈과 49 ㏈ 사이에 포함되는 48 dB(95% 신뢰 구간)에 비해, 안과용 렌즈가 있는 경우 50 ㏈과 52 ㏈ 사이에 포함되는 51 ㏈(95% 신뢰 구간)이다.
상태(T1)에서의 렌즈로, 렌즈의 부재에 대하여 + 2 ㏈의 평균 감도차(ΔS), 즉 5 분의 말미에 추상체들의 감도의 6%의 평균 개선이 얻어진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하의 표 1에 요약되며, 여기서 열(R)은 안과용 렌즈가 없는 참조 경우에 상응하고 열(T1)은 착용자가 안과용 렌즈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응한다.
5분에서의 원감도(dB) R R1
N 16 16
평균치 48 51
중간치 48 51
표준 편차 2.27 2.39
최소치/최대치 42/51 45/56
제1 쿼터/제3 쿼터 47/50 50/52
-95% CI/ +95% CI 47/49 50/52
이러한 결과들은 또한 도 4에 그래프로 도시되며, 여기서 정사각형 지점은 평균값에 상응하고, 정사각형 지점을 둘러싸는 직사각형은 평균값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표준 편차 사이에서 연장되고, 바들은 평균값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95% 신뢰 구간 사이에서 연장된다.
50 ㏈의 감도가 회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회복 시간은 안과용 렌즈 없는 경우 평균적으로 171 초와 376 초 사이에 포함되는 274 초(95% 신뢰 구간(CI))에 비해, 안과용 렌즈 있는 경우 74 초와 271 초 사이에 포함되는 173 초(95% CI)이다. 상태(T1)에서의 렌즈로, 렌즈가 없는 상황에 대하여 101 초의 평균 회복 시간의 감소, 즉 37%의 50 ㏈ 감도 회복 시간의 평균 개선이 얻어진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하의 표 2에 요약되며, 여기서 열(R)은 안과용 렌즈가 없는 참조 경우에 상응하고 열(T1)은 착용자가 안과용 렌즈를 구비한 경우에 상응한다.
S = 50 dB까지의 시간 R T1
N 16 16
평균치 274 273
중간치 204 122
최소치/최대치 105/782 57/829
제1 쿼터/제3 쿼터 143/351 91/164
-95% CI/ +95% CI 171/376 74/271
이러한 결과들은 또한 도 5에 그래프로 도시되며, 여기서 정사각형 지점은 평균값에 상응하고, 정사각형 지점을 둘러싸는 직사각형은 평균값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표준 편차 사이에서 연장되고, 바들은 평균값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95% 신뢰 구간 사이에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착용자가 인공 수정체를 착용하고, 수술 이후 증가된 광과민성을 호소하고, 어둠에서의 낮은 동적 감도를 가지면, 청색-보라색의 파장들을 차단하는 광변색 필터가 착용자에게 제안된다. 필터의 광변색 특성들은 투과율과 선명한 상태로의 이행의 시간 사이의 가장 양호한 절충을 갖도록 결정된다. 특히, 착용자의 광 노출 프로파일에 따라 올바른 투과율 및 광변색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필터가 상술한 프로토콜에서 서로 비교될 수 있다.
실시예 3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 a)에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와 관련하는 상기 양이 착용자의 눈의 동공의 동적 특성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눈의 동공의 이러한 동적 특성의 하나 이상의 측정된 값에 따라 결정된다.
그 때 단계 a)에서, 앞서 언급한 하위 단계들 a1) 및 a2)를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단계 a1)에서, 착용자는 제1 노출 (또는 어둠) 페이즈 동안 가능하게는 0이거나(어둠의 조건) 0이 아닌 미리 결정된 강도의 광속을 겪고, 그 다음 착용자는 상이한 강도 그리고 특히 더 높은 강도의 광속을 겪는다.
단계 a2)에서, 착용자의 눈 또는 눈들의 시기능의 양 특성이 측정된다.
동공의 동적 특성은 특히 동공의 크기, 예를 들어 동공의 직경, 그리고 보다 정확하게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그리고 광속의 변화에 따른 이러한 크기의 변화에 관련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단계 a2)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른 동공의 크기의 변화는 단계 a1)의 상기 광속의 변화 동안 결정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착용자의 눈의 이미지들이 높은 획득 빈도 카메라에 의해 광속의 변화 동안 그리고 상기 변화 후에 획득된다. 이러한 획득 빈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hertz보다 더 높다.
여기서, 강도, 스펙트럼, 소스의 기하학적 구조, (순간적인 그리고 연속적인) 시간적 특성들의 면에서 달라질 수 있는 광속의 동적 작용에 직면할 때의 동공의 동적 작용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세하게는, 동공은 착용자의 눈 상에 입사하는 광속의 강도에 따라 수축하거나 확장한다. 그러므로, 동공의 크기는 광속의 변화에 응하여 달라진다.
동공의 특성 지속성은 특히, 동공의 대기 시간, 즉 동공이 광속의 변화에 응하여 크기를 변화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에 관련될 수 있다.
이는 착용자의 눈이 어둠 및 빛에 적응하는 시간에 상응한다.
광속의 파장, 그리고 광속의 시간적 변화들 또는 공간적 변화들의 강도에 따라, 동공의 크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동일한 진전을 갖지 않을 것이다.
상세들이 이하에 주어지는 출원인의 작업은 광 신호가 망막을 통해 그리고 홍채의 괄약근으로 더 빠르게 투과될수록, 즉 대기 시간이 더 짧을수록, 착용자의 연령, 휘도, 및 자극의 스펙트럼 및 시간적 특성들에 상관 없이 착용자의 불쾌감이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더욱이, 광속의 변화의 특성들은 착용자의 쾌적성 감각 및 착용자의 동공 직경의 시간적 진전에서의 주요한 요인들이다.
예를 들어, 40 세 미만의 연령의 젊은 대상들의 경우에, 조명 자극 후의 동공 수축 및/또는 이러한 수축의 지속의 크기는 광순응 휘도 및 상기 자극의 지속 기간에 상관 없이 619 ㎚의 파장에 대해서보다 465 ㎚ 파장의 조명 자극의 경우에 더 크다. 상세하게는 광순응 조명 조건들 하에서, 460 ㎚와 510 ㎚ 사이의 청색의 최소 에너지의 파장들은 동공 수축의 지속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멜라놉신 함유 신경절 세포들을 활성화시킨다(Gamlin, Mc Dougal 외, 2007, 멜라놉신 함유 망막 신경절 세포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람 및 마카크 동공 반응들(Human and macaque pupil responses driven by melanopsin-containing retinal ganglion cells), Vision Research, 47(7): 946-954).
다른 예에서, 465 ㎚ 파장의 조명 자극 및 동등한 지속 기간의 자극의 경우, 휘도가 더 클수록, (이러한 청색의 파장들에 감응성의) 증가하는 수의 멜라놉신 함유 신경절 세포가 활성화되므로, 수축의 지속이 더 크다.
다른 예에서, (예를 들어, 100 ㏅/m2와 400 ㏅/m2 사이의) 설정된 광순응 휘도에서 그리고 465 ㎚의 조명 여기 파장의 경우, 동공 수축의 지속의 증가가 1 ㎳와 500 ㎳ 사이의 증가하는 자극 시간들 동안 관찰된다. 500 ㎳를 넘어 그리고 예를 들어, 1 초까지, 동공 수축의 지속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이용되는 동공의 특성에 따라 조명 자극의 지속 기간을 조정하기 위해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각의 착용자의 경우, 착용자의 동공의 측정된 대기 시간에 따라 단계 b)에서 결정되는 필터의 투과율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대기 시간 참조 임계값이 많은 착용자 상에서 수행되는 측정들에 기반하여 주어진 레벨의 쾌적성마다 또는 특히 착용자마다 동공에 대해 한정된다. 이러한 참조 임계값은 착용자 동공 대기 시간이 참조 임계값보다 더 높은 것을 보장하도록 필터의 투과율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0 내지 5의 범위에 있는 척도 상에서) 레벨 3의 쾌적성에 대한 참조 임계값은 300 ㎳와 동등하다. 투과율이 30%인 필터로, 광속의 변화 후 착용자의 동공의 대기 시간이 220 ㎳와 같은 것으로 측정되면, 이는 이러한 필터가 광속의 변화들로부터 이러한 착용자를 충분히 보호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터의 평균 투과율은 그 때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착용자의 동공의 대기 시간이 참조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감소된다. 필터의 스펙트럼 특성들, 즉 다양한 파장 범위에 대한 필터의 투과율이 동공의 대기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최적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 즉 실시예 3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르면, 필터는 그 때 착용자의 눈의 동공의 측정된 대기 시간 및 주어진 레벨의 시각적 쾌적성에 상응하는 이러한 시간의 미리 결정된 임계값에 따라 결정된다. 일 변형예로서, 자극 또는 수축 크기에 따라 동공을 커버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속도와 같은 눈의 동공의 다른 동적 특성들에 따라 필터가 결정되는 것을 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기 시간의 참조 임계값의 결정은 사전 교정 단계에서 이하의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측정된 대기 시간과 착용자의 쾌적성의 레벨 사이의 연관성 관계를 확립하는 것의 문제이다.
다수의 착용자, 예를 들어 적어도 10명의 착용자를 포함하는 착용자들의 그룹의 각각의 착용자에 대해, 단계들 a1) 및 a2)가 다양한 광속의 변화로 수행된다. 단계 a2)에서, 더욱이,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과 관련하는 정보가 단계 a1)의 광속의 변화 후에 수집된다. 예를 들어, 착용자는 이미 앞서 언급되었던 쾌적성 지표로 느껴지는 쾌적성의 레벨의 등급을 매기도록 요청 받는다.
이러한 다양한 조건 하에서, 상기 착용자는 실시예 5에 설명하는 척도 상에서 0와 5 사이의 쾌적성의 등급을 매기도록 요청 받는다. 다음에, 통계적 분석으로 쾌적성의 레벨과 대기 시간 사이의 연관성 관계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하의 프로토콜을 추종하는 측정들이 수행된다:
측정 룸이 초기의 0이 아닌 광속으로 조명된다. 33 ㎝에서 착용자가 선명한 조명 타겟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러한 착용자에게는 결정된 최소 가법을 갖는 넓은 영역 시험 안경이 구비된다.
착용자는 자리에 앉아서 턱을 전용 턱받침 상에 놓는다. 균일한 확산되는 광을 방사하는 투사 시야계가 착용자 앞에 배치된다. 투사 시야계가 턴 오프된다. 측정 룸의 광이 턴 오프되고 착용자가 적어도 1 분 동안, 이상적으로 10 분 내지 15 분 동안 어둠에 놓여진다. 착용자는 휘도가 1 제곱 미터 당 1 칸델라(㏅/m2)인 광의 지점을 응시하도록 지시되며, 상기 지점은 투사 시야계 및 상기 착용자의 시야의 중심에 위치된다.
투사 시야계가 자극들을 방사한다: 각각의 자극에서, 투사 시야계는 10 초마다 1 초 동안 턴 온되고, 하나의 타입의 자극에 상응하는 결정된 파장 및 결정된 휘도의 광속을 방사한다.
투사 시야계는 자극의 타입 당 4 번 턴 온된다.
상기 자극들의 휘도들은 대략 0.00001 ㏅/m2의 소스의 휘도에 상응하는 착용자들의 감도 임계치 내지 0.01 ㏅/m2의 휘도의 범위에 있는 증가하는 암소시 광 강도들에 상응한다. 파장들은 각각의 휘도에 대해 잇따라서 660, 619, 525, 465 및 414 ㎚이다.
각각의 자극 사이에, 착용자는 앞서 언급한 5 레벨 쾌적성 척도 상의 조명 자극에 대한 쾌적성의 등급을 매기도록 요청 받는다.
착용자는 또한 5개의 파장에 대한 광순응 강도들의, 20 초마다 1 초의, 그리고 1 ㏅/m2에서 300 ㏅/m2로 증가하는 휘도의 자극들을 겪는다.
각각의 자극 사이에, 착용자는 앞서 언급한 5 레벨 쾌적성 척도 상의 조명 자극에 대한 쾌적성의 등급을 매기도록 요청 받는다.
제2 측정 세션 동안, 착용자의 눈들은 초기에 룸의 주변광에 적응된다. 투사 시야계는 5개의 파장에 대한 광순응 강도들의, 20 초마다 1 초의, 그리고 1의 대수 광순응 휘도 증분으로 1 ㏅/m2에서 300 ㏅/m2로 증가하는 휘도의 일련의 자극들을 방사한다.
각각의 자극 사이에, 착용자는 앞서 언급한 5 레벨 쾌적성 척도 상의 조명 자극에 대한 쾌적성의 등급을 매기도록 요청 받는다.
다음에, 투사 시야계는 복수의 파장, 예를 들어 3개의 파장, 즉 1 ㏅/m2 내지 1500 ㏅/m2의 범위에 있는 간격에 포함되는 총휘도로 465, 525 및 619 ㎚를 결합한 무색 자극들을 방사한다.
무색 자극들은 예를 들어, 20 초마다 1 초의 지속 기간이다.
동시에 각각의 자극에 대해, 착용자의 동공의 대기 시간은 이러한 동공의 이미지들을 분석함으로써 결정되며, 이미지들은 테스트 동안 높은 빈도로 기록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측정들의 분석으로 본 출원인은 광 신호가 망막을 통해 그리고 홍채의 괄약근으로 더 빠르게 투과될수록, 착용자의 연령, 휘도, 및 자극의 스펙트럼 및 시간적 특성들에 상관 없이 불편한 감각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유리하게는, 상기 측정들의 분석 테스트된 착용자들의 그룹 내의 착용자들의 다양한 하위 그룹의 존재를 고려할 수도 있다.
도 6은 이러한 측정들의 결과들을 요약한다. 밀리초 단위의 측정된 대기 시간들(TL)은 각각의 주어진 광속의 변화 후에 착용자들에 의해 평가되는 쾌적성 지표(IndC)의 상응하는 레벨에 따라 도시된다.
착용자들의 2개의 하위 그룹이 도 6에 도시되며: 18 세와 40 세 사이에 포함되는 연령의 "젊은" 모집단이 데이터가 원형 지점들(G1)로 나타내어지는 제1 하위 그룹을 형성하고; 60 세 초과인 연령의 "고령자" 모집단이 데이터가 정사각형 지점들(G2)로 나타내어지는 제2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분석은 대기 시간과 쾌적성 지표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내며, 연관성은 각각의 착용자 하위 그룹에 대해 계산되는 선형 회귀 곡선들(F1 및 F2)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IndC = -3.839 + 0.0246*TL의 곡선(F1)은 "젊은" 착용자들의 하위 그룹에 상응한다.
수학식 IndC = -0.7665 + 0.0149*TL의 곡선(F2)은 "고령자" 착용자들의 하위 그룹에 상응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관성 관계에 기반하여, 임의의 주어진 레벨의 쾌적성(예를 들어: 4 또는 3)에 상응하고 착용자 하위 그룹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효한 동공의 대기 시간의 참조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 임계값은 착용자 그룹의 전체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착용자 그룹의 전체에 대한 이러한 참조 임계값은, 각각의 하위 그룹의 참조 임계값들에 따라, 예를 들어 이러한 값들의 평균치를 취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 4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은 눈부심에 대한 상기 착용자의 동적 감도와 관련된다.
이는 앞서 언급한 단계들 a1) 및 a2)를 통하여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눈부심 및 착용 필터들, 예를 들어 태양광 필터들이 그러한 필터들이 구비되는 안과용 렌즈들의 착용자의 시력 및 시각적 쾌적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결정 방법에 의해, 특유의 광속의 변화에 상관 없이 착용자의 시력 및 쾌적성이 최적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필터의 스펙트럼 응답이 결정된다.
방법은 또한 필터의 스펙트럼 응답이, 필터가 능동이든 아니면 수동이든, 착용자에 따라 개인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제안되는 방법은 또한 이러한 착용자의 시기능에 기반하고 이것을 포함하는 최고의 가능한 정확성의 측정치를 얻기 위해 착용자의 굴절력을 고려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필터의 스펙트럼 응답의 결정은 여기서 동적 "처방 추상체"의 이용에 기반한다.
일반적으로, 단계 a)에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그 때 이러한 처방 추상체에 관련된다. 단계 b)에서, 필터는 그 다음 이러한 필터를 통해 착용자에 의해 수광되는 광속이 착용자의 처방 추상체의 내부에서 가능한 한 빈번하게 착용자가 겪는 플럭스 및 플럭스 변화 조건들 하에 위치되도록 결정된다.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이러한 처방 추상체 방법의 일반적 원리를 여기서 간단히 설명할 것이다.
정적 광속에 의해 착용자에게 야기되는 눈부심을 고려하는 정적 "처방 추상체"를 우선 설명할 것이다. 그 다음 광속의 변화들과 관련되는 쾌적성 및 시기능의 동적 측면들을 고려하기 위해 이러한 "처방 추상체"가 어떻게 변경되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정적 "처방 추상체"를 결정하는 방법은 이하의 페이즈들을 포함한다.
방법의 제1 페이즈에서, 단계 a1)에서, 착용자가 주어진 조명 환경에 놓여지고, 단계 a2)에서, 쾌적성을 보존하는 최소 필터 투과율이 결정된다. 이러한 투과율은 파장 간격에 걸쳐 평균화되거나 파장에 의존할 수 있다. 이는 주어진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결정의 후자 경우에서의 문제이다.
이는 휘도(E)에 따른 필터의 투과율(T)이 도시되었던 도 7에 의해 도시된다. 2개의 곡선이 이러한 도면에 도시되며, 쾌적성 임계치의 제1 곡선(111A)은 다음과 같은 2개의 별개의 구역을 한정하는 필터의 최소 투과율에 상응한다: 작업을 수행할 때, 착용자가 조명 환경을 신경쓰지 않는 제1 곡선(111A) 위에 위치되는 쾌적성 구역; 및 착용자가 신경쓰는 이러한 제1 곡선(111A) 아래에 위치되는 불쾌감 구역.
방법의 제2 페이즈에서, 단계 a2)에서, 단계 a1)에서와 동일한 조명 환경에 대해, 최적의 시력 기능을 유지하는(예를 들어: 대비들에 대한 시력 또는 감도의 유지) 최대 필터 투과율이 결정된다.
이는 필터의 최대 투과율에 상응하는 시기능 임계치의 제2 곡선(111B)에 의해 도 7에 도시되며, 2개의 별개의 구역, 즉 제2 곡선 아래에 위치되는 시기능 구역 및 이러한 제2 곡선(111B) 위에 위치되는 시력 손실 구역을 한정한다.
제3 페이즈에서, 2가지의 앞선 접근법이 처방 추상체(111)를 결정하도록 결합된다(도 7 참조).
이러한 처방 추상체는 착용자의 시기능 및 시각적 쾌적성이 보장되는 휘도에 따른 필터의 투과 영역에 상응한다. 따라서, 이러한 처방 추상체는 주어진 넓은 범위의 조명 환경들에 대해 시기능 및 시각적 쾌적성 둘 다를 보존하는 필터의 광학 특성들(투과율)이 결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의 구역(111C)은 착용자가 시기능의 손실 및 시각적 쾌적성의 손실 둘 다를 겪는 구역에 상응한다.
시기능 및 쾌적성 임계치의 곡선들(111A 및 111B)은 상승적 또는 하강적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하강적 방법의 경우, 착용자는 (주어진 파장 영역에 대해) 가장 어두운 렌즈로 시작하고, (쾌적성 및 기능) 임계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광속의 흡수율을 감소시키며/광속의 투과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착용자는 착용자의 망막이 포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한다.
상승적 방법의 경우, 착용자는 (주어진 스펙트럼, 또는 주어진 파장에 대해) 최소로 어두운 렌즈로 시작하고, (쾌적성 및 기능) 임계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필터의 투과율을 증가시키며/필터의 흡수율을 감소시킨다. 착용자는 착용자가 눈부심에 의해 앞이 잘 안 보일 수 있는 상태, 즉 망막이 광으로 과포화된 상태로 시작한다.
정적 "처방 추상체"를 결정하기 위해, 착용자는 제어되고 파라미터화된 특유의 광속을 겪도록 하는 조명 환경에 놓여진다.
이러한 특유의 광속은:
- 예를 들어, 0 lux와 20000 lux 사이에 포함되는 조도 범위;
- 예를 들어, 400 ㎚와 680 ㎚ 사이에 포함되는 가시 파장들의 범위;
- 예를 들어, 광원 배향 및 직경에 의해 한정되는 비지향성이거나 지향성의, 국부화되거나 확산된 조도에 의해 특성화된다.
단순함을 위해, 방법의 구현의 원리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러한 예에서 조도 변화들만이 고려될 것이다.
착용자의 눈의 감도는 착용자의 눈부심 감도 프로파일을 보다 정확하게 특성화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파라미터들 모두를 계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광에 대한 착용자의 감도 상의 특유의 광속의 스펙트럼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이러한 측정을 반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음에, 착용자는 미리 정해진 크기, 형상, 휘도, 휘도 대비 및 공간적 빈도의 타겟(또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채색된 타겟과 같은 시각 능력을 특성화하는 임의의 타겟)을 바라본다.
바람직하게는, 타겟은 착용자의 활동, 즉 당해의 시각 작업에 대해 원해지는 시력 요건에 따라 선택된다. 이는 예를 들어, 시력, 색상들이 렌더링되어야 하는 정확성에 대한 대비 감도 등의 면에서의 요구 사항들과 관련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착용자는 착용자의 굴절력의 최적의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안과용 렌즈(구면 및 원주)를 착용한다.
착용자는 또한 어느 하나의 눈 또는 양쪽 눈 앞에 배치되는 테스트 필터를 착용하며, 이러한 테스트 필터의 흡수도 및/또는 스펙트럼 응답은 가변적이다.
광속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의 측정이 그 다음 흡수도 및/또는 스펙트럼 응답이 달라지게 되는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는 테스트 필터에 의해 수행된다.
시기능에 관하여, 측정 단계는 흡수도가 높은 테스트 필터(가장 어두운 렌즈)로 시작된다.
상세하게는 시력 또는 대비의 측정의 경우에, 이러한 테스트 필터는 시력을 불리하게 하며: 착용자는 타겟을 더 이상 인지하지 않는다.
착용자는 그 다음 만족스러운 시각 감지를 달성할 때까지, (가능하게는 조작자의 도움으로) 필터의 흡수도를 감소시키도록 요청 받는다. 시기능 임계치가 그 다음 도달되었다("보이지 않음"에서 "보임"으로의 이행). 정신 물리학적 방법이 이러한 구역을 한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임계치를 한정하는 필터의 흡수도가 주목되며, 이러한 임계치는 당해의 특유의 광속에 대한 저하되지 않는 시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구역의 경계를 짓는다.
이러한 테스트가 상이한 조도들의 특유의 광속들에 대해 반복된다. 따라서, 도 7의 제2 곡선(111B)과 유사한 곡선이 얻어진다.
다음에, 동일한 측정이 반복되지만, 시력 테스트보다는 오히려, 착용자는 특유의 광속의 조도가 성가시거나 시각적 불쾌감을 야기하는 지점을 식별하도록 요청 받는다.
앞서와 같이, 도 7의 제1 곡선(111A)과 유사한 곡선이 얻어진다.
따라서, 시기능이 특유의 광속의 주어진 범위의 조도들에 대해, 그리고 필터의 다양한 흡수도에 대해 최적인 구역에 상응하는 처방 추상체(111)가 결정된다. 착용자의 시기능에 대한 필터의 부정적인 효과가 또한 이러한 처방 추상체에 의해 알려진다.
이러한 추상체는 광속의 강도 또는 소스의 휘도에 따라 한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처방 구역(111)에서, 필터의 광학 특성들, 즉 흡수도 또는 스펙트럼 응답과 같은 특성들은 그 다음 필터가 착용자의 쾌적성과 시기능 사이의 균형 상태를 달성하도록 결정된다.
다양한 스펙트럼에 의해 특성화되고 필터에 의해 또는 광원 그 자체에 의해 변경되는 특유의 광속을 착용자가 겪게 하면서 이러한 측정들을 반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착용자의 눈의 광에 대한 감도 상의 특유의 광속의 스펙트럼의 영향이 평가된다. 이는 필터의 하나 이상의 광학 특성의 선택이 유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측정들은 또한 시각적 쾌적성, 색상 감지, 움직임 감지 등과 같은 다른 기준들을 고려하면서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시력 및 쾌적성이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펙트럼 응답 범위가 얻어진다.
동적 "처방 추상체"가 광속의 변화들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고려하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노출 습관들, 착용자의 활동 및 착용자가 직면하는 조명 조건들(광 레벨의 점진적이거나 갑작스런 변화)에 따라, 동적 "처방 추상체"는 착용자의 쾌적성 구역에 진입하는데 상이한 보호를 필요로 할 것이다.
기능 또는 쾌적성 임계치의 각각의 한정된 곡선의 경우, 대상에 의해 용인되는 휘도 델타 또는 즉, 광속의 복수의 변화 조건에 기반하여 한정되는 동적 쾌적성 및 기능 구역들(112A, 112B)이 결정된다.
착용자의 동적 감도, 즉 광속의 변화들에 적응하는 착용자의 능력을 특성화하기 위해, 처방 추상체가 광속의 변화들의 복수의 파라미터로 생성된다.
착용자는 광속의 시간적 변화: 1 초 미만의 광 강도의 즉각적인 변화들, 또는 플래시들; 주어진 시간에 걸친 연속적인 광의 휘도의 선형 향상; 단계들로의 휘도의 향상, 예를 들어 1 초마다 20%의 변화를 갖는 휘도의 이산 증가를 겪는다. 예를 들어, 5%의 lux/sec(느린 속도), 25%/sec(중간 속도) 및 100%/sec(빠른 속도)의 플럭스의 변화의 속도들과 같은 플럭스의 다른 변화들이 가능하다.
단계적인 시간적 변화는 착용자에 의해 더 적극적인 것으로 느껴진다. 특정 착용자들은 휘도 변화가 점진적일 때, 더 높은 쾌적성 임계치들을 갖는다. 상기 대상은 더 적은 휘도 대비를 감지한다. 이는 도 8에 도시된다.
도 8은 시간에 따른 광속의 lux 단위의 조도의 변화를 도시한다. 이러한 광속의 초기 조도는 E1이다. 2가지의 향상, 즉 t1과 t3 사이의 선형 향상(V1) 및 t1과 t2 사이의 단계적인 향상(V2)이 도시된다.
단계적인 향상(V1)에 대한 착용자의 조도 쾌적성 임계값(ES1)은 선형 향상(V2)에 대한 쾌적성 임계값(ES2)보다 더 낮다. 더욱이, 이는 더 빠르게 도달된다.
그러므로, 조도에 대한 쾌적성 임계값은 광속의 변화의 시간적 프로파일에 따른다.
그러므로 도 7에서, 착용자의 쾌적성 임계치에 대한 2개의 조도 임계값(ESi1 및 ESi2)은 필터의 주어진 투과값(Ti)에 상응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러한 타입의 변화가 착용자의 시기능을 최적화하면, 즉 다른 타입들의 변화에 대해 얻어지는 것보다 더 높은 기능 및 쾌적성 조도 임계값에 상응하면, 망막 조도의 선형의 시간적 변화를 항상 보장하도록 필터의 투과율을 조정하는 전기 변색 필터를 단계 b)에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속의 강도의 시간적 변화는 복수의 파라미터, 특히 강도의 전체 변화(ΔI), 이러한 변화의 지속 기간(D) 및 강도의 전체 변화를 이의 지속 기간으로 나눈 것으로 정의되는 변화의 속도에 따른다.
느린, 예를 들어 5%의 lux/sec의, 중간인, 예를 들어 25%/sec의 그리고 빠른, 예를 들어 100%/sec의 플럭스 변화들의 속도들의 범위들이 제공될 수 있다.
플럭스 파라미터들(속도, ΔI 및 D)이 달라지게 함으로써, 플럭스의 변화들에 대한 착용자의 적응 허용도에 상응하는 동적 구역들(112A, 112B)이 한정된다.
따라서, 단계 b)에서, 필터가 전기 변색이거나, 필터의 한 광변색 기능이 없을 때, 필터의 투과율의 변화의 속도, 즉 선명한 상태에서 어두워진 상태로의 또는 그 반대의 이행의 속도, 예를 들어 선명한 상태와 어두워진 상태 사이의 투과율의 전체 변화 그리고/또는 선명한 상태에서 어두워진 상태로의 이행의 지속 기간이 광속의 조도의 변화 동안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 변화가 착용자에게 적절한 변화 특성들을 갖도록 조정되는 것을 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단계 b)에서, 착용자의 적응 허용도가 낮음에 따라, 그만큼 더 짧은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바뀌어 가는데 필요한 지속 기간이 결정된다.
따라서, 단계 b)에서, 착용자의 적응 허용도가 낮음에 따라, 그만큼 더 낮은 필터의 선명한 상태와 어두워진 상태 사이의 투과율의 전체 변화가 또한 결정된다.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속의 변화의 속도가 결정된 임계 속도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착용자의 쾌적성을 보장하는 광속의 변화의 임계 속도를 결정하고, 단계 b)에서, 필터의 투과율의 전체 변화 및/또는 선명한 상태에서 어두워진 상태로의 이행의 지속 기간을 결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대상이 초 당 lux 단위의 25%의 증가(25%/sec)와 동등한 광속, 조도 또는 휘도의 변화의 임계 속도를 갖고 대상이 겪는 강도, 조도 또는 휘도의 변화가 50%/sec이면, 투과율이 50%인 필터가 결정될 것이다. 착용자가 휘도의 다른 변화들을 겪으면, 능동 기능이 강도, 휘도 또는 조도의 변화의 타겟 쾌적성 임계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필터의 투과율을 각각의 상황에 적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착용자가 광속의 동적 작용에 대한 적응 능력을 가지면, 큰 시기능 및 쾌적성 임계치들의 선단의 값들(ESi1, ESi2) 사이의 차이들(도 7), 그리고 그러므로 큰 동적 구역들(112A, 112B)이 얻어질 것이다. 그에 반해서, 착용자가 플럭스의 변화들에 대한 낮은 동적 감도를 가지면, 동적 구역들(112A, 112B)은 좁을 것이다.
따라서, 동적 구역들(112A, 112B)의 폭과 관련되는 착용자의 적응-허용도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기능 및 쾌적성 임계치의 적응-허용도 파라미터의 결정은 특정 처방에 대한 필요를 결정할 것이다. 이러한 파라미터의 값이 낮으면, 착용자가 직면하는 조명 환경과 상관 없이 도 7에서의 처방 추상체(111) 및 동적 구역들(112A, 112B)에 의해 한정되는 동적 쾌적성 구역에 착용자가 남아 있도록 예를 들어, 필터의 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필터를 적응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필터들이 권장될 수 있다. 투과율은 대상이 주어진 강도 및 주어진 동적 작용에 대한 대상의 시각 쾌적성 및 시기능 포락선에 항상 남아 있도록 선택될 것이다.
적응-허용도는 무엇보다도, 광 강도 레벨, 하나 이상의 광원의 스펙트럼, 광원의 기하학적 구조(소스의 크기, 복수의 소스 사이의 광 강도들의 비율들 등) 및 광원의 시간적 구성 요소(순간적인, 연속적인 광)를 포함하는 복수의 요소에 따른다. 이러한 파라미터들 모두는 착용자의 광에 대한 감도의 완전한 프로파일을 특성화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더욱이, 적응-허용도 파라미터가 초기 망막 상태에 의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 다양한 초기 망막 상태에 대해, 즉 다양한 초기 주변 광 강도에 대해 동적 구역들을 특성화하도록 제공된다.
시간에 따른 광속의 조도의 시간적 진전을 나타내는 일 예가 도 9에 도시된다.
4개의 실험적 결과가 여기서 도시되며: 착용자는 상이한 초기 조도들(EiA 및 EiB)의 2개의 광속에 놓여지고, 각각의 초기 조도의 경우, 이러한 조도는 2개의 상이한 속도로 변화되며: 곡선들(V3 및 V5)은 각각 초기 조도들(EiA 및 EiB)로부터 제1 속도를 갖는 조도의 변화를 나타내는데 반해, 곡선들(V4 및 V6)은 각각 초기 조도들(EiA 및 EiB)로부터 제2 속도를 갖는 조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여기서, 착용자가 시각적 불쾌감을 나타낼 때까지, 조도는 증가된다. 그러므로, 도달되는 최대 조도값(ESA3, ESA4, ESB5, ESB6)은 상응하는 광속 변화 조건들 하에서의 착용자의 쾌적성 임계값이다. 이러한 쾌적성 임계값들이 조도의 초기값 및 조도의 변화의 속도에 따라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조도의 주어진 초기값에 대해 측정되는 2개의 쾌적성 임계값 사이의 차이로서 여기서 정의되는 적응-허용도 파라미터는 조도의 이러한 초기값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적응-허용도 파라미터는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착용자의 동적 감도와 관련하는 양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조도의 즉각적인(갑작스런) 변화들이 단계 a)에서 채용된다.
그렇게 하기 위해, 착용자는 균일한 확산된 광을 방사하는 투사 시야계 앞에 앉는다. 대상은 90 초 동안 주어진 초기 조도(20, 200, 2000 및 4000 lux)를 겪는다. 다음에, 조도의 갑작스런 양의 또는 음의 변화가 양의 변화에 대해 500, 1000, 2000 및 4000 lux 그리고 음의 변화에 대해 20, 200, 1000 및 2000 lux의 최종 조도들을 달성하도록 적용된다.
각각의 조명 상황에 대해, 쾌적성 지표의 값 및 시기능과 관련하는 양이 주목된다. 시기능과 관련하는 양은 예를 들어, 10% 대비에서의 시력 테스트를 통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착용자가 겪게 되는 조도의 변화(ΔE)에 따른 쾌적성 지표의 변화(ΔIndC)의 진전이 결정된다.
이러한 진전은 예를 들어, 2명의 상이한 착용자에 대해 기록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 10 및 도 11의 그래프들로 도시된다.
그 다음 착용자에 대한 쾌적성 지표의 최대 허용되는 변화, 예를 들어 쾌적성 평가 척도 상의 2개의 지점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다음 각각의 대상에 대해, 그러한 대상이 불쾌감을 겪을 조도의 임계 변화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착용자의 눈들의 동적 감도와 관련하는 양,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양은 그 때 이러한 조도의 임계 변화에 상응할 수 있다. 이는 착용자의 쾌적성 변화 임계치, 여기서 2개의 지점에 따라 결정된다.
단계 b)에서, 착용자가 시각적 쾌적성을 보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도 및 조도의 변화를 착용자의 눈들이 연속적으로 수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투과율의 변화를, 착용자의 환경의 광 강도 및 발광의 겪게 되는 변화들의 분석에 따라 태양광 장비의 능동적인 부분으로 통합되는 카메라에 의해 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기 변색 필터를 포함하는 장비의 이러한 부분이 그 다음 결정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도 10에 도시된 착용자는 조도가 10000 lux인 조명 환경에 있고 50%의 투과율을 갖는 필터를 착용하고 있다. 착용자의 눈들에 의해 수광되는 조도는 그 때 5000 lux이다.
이러한 착용자는 조도가 13000 lux인 밝은 구역으로 진입하려 하고 있다.
착용자는 그 때 필터의 투과율이 50%로 유지되면, 7500 lux를 수광할 것이다. 이는 도 10에서의 데이터에 따른 4개의 지점의 쾌적성 지표의 강하와 연관될 1500 lux의 조도의 증가와 동일하다.
단계 b)에서 제안되는 필터는 그 때 조도의 변화가 1000 lux로 제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쾌적성 지표의 변화가 2개의 지점의 손실에 제한된다.
상기 변화 후에 착용자에 의해 수광되는 조도는 그 다음 많아도 6000 lux임에 틀림 없으며, 이는 40% 이하의 필터의 투과율에 상응한다.
광 강도의 양의 변화들 동안, 시각적 쾌적성 및 시기능이 영향을 받는다. 광 레벨의 음의 변화들의 맥락에서, 시각적 쾌적성은 최적이지만, 그에 반해서, 이러한 발광의 강하는 대상의 시기능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대상은 망막 조도의 감소에 적응해야 한다. 대상은 무엇보다도 대비들에 대한 시력 및 감도를 손실할 수 있다. 시력 회복 시간은 망막 프로세스들이 재생될 때까지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정 예는 처방 추상체의 동적 구역들의 결정과 관련한 이러한 시력의 감소를 특성화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방법은 착용자의 시기능에 대한 상기 광속의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도가 다양한 광속의 변화, 즉 전체 강도의 다양한 변화 및 다양한 변화 지속 기간에 대해 초기값(EiC)에서 조도 쾌적성 임계값(ESC)으로 증가된 후에, 13 lux의 최소 조도값(Emin)을 달성하도록 조도의 갑작스런 감소가 적용된다.
시력 테스트가 그 다음 수행되며, 시력은 저작물 BORISH의 임상 굴절력 측정(BORISH'S CLINICAL REFRACTION), (Butterworth-Heinemann; 2nd Edition, October 27, 2006)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최소 가능한 각도에서 시력 검사표의 글자를 구별하는 능력으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테스트 동안의 광속의 조도의 변화가 도 12에 도시된다.
조도 쾌적성 임계값에 따라, 강하의 크기는 상이하다. 10% 대비 2/10 시력 문자가 광 레벨의 강하가 적용될 때(도 12에서 시간 t0 = 0), 투사 시야계의 후단에 표시된다. 착용자가 문자의 시력을 회복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12에서 시간(tp))이 주목된다. 문자는 간극이 무작위로 위치되는 란돌트(Landolt) C이다. 착용자는 간극의 방향을 가리켜야 한다. 문자의 간극을 정확하게 식별하는데 걸리는 초 단위의 응답 시간이 주목된다. 이는 여기서 다른 타입의 암순응 측정 감도 테스트의 문제이다.
결과들의 2개의 예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다. 결과들의 2개의 예는 2개의 상이한 대상에 대해 도달되는 쾌적성 조도 임계값(ESC)과 최소 조도값(Emin) 사이의 차이와 동등한 겪게 되는 조도의 강하의 크기와 초 단위의 시력 회복 시간(tp)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아핀 관계식이 회복 시간과 조도차 사이에 확립된다.
도 13의 경우, 이러한 아핀 관계식: tp = 1.2814 + 0.0005*(ESC - Emin)이 기록된다.
도 14의 경우, 이러한 아핀 관계식: tp = 8.313 - 0.0003*(ESC - Emin)이 기록된다.
도 13에 도시된 데이터 착용자의 경우, 조도의 강하의 크기가 더 클수록, 최적의 시력을 회복하는데 대상에 의해 필요로 되는 시간은 더 길다.
데이터가 도 14에 도시된 착용자의 경우, 착용자는 조도의 강하와 상관 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회복 시간을 갖는다.
착용자가 하나의 광학 장비를 착용하고 있을 때, 겪게 되는 조도의 강하는 입사 광속의 변화 및 착용자의 눈들 앞에 배치되는 필터의 존재 둘 다와 관련된다. 단계 b)에서, 필터의 투과율은 그 때 겪게 되는 조도의 강하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실제로, 이는 이러한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것의 문제이다.
도 13의 착용자의 경우에, 조명 환경에 적응할 수 있고(광변색 또는 전기 변색 필터) 어두워진 상태에서 선명한 상태로 가능한 한 빠르게 바뀌어 가는 필터가 권장된다. 1 초 내지 2 초의 어두워진 상태에서 선명한 상태로의 이행의 시간이 용인될 수 있다.
광변색 필터의 경우에, 선명한 상태로 빠르게 바뀌어 가는 필터가 제안될 것이다.
전기 변색 필터의 경우에,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의 강하를 1500 lux로 제한하는 투과율이 제안될 것이다.
필터에 대해 결정되는 투과율이 시력 최적화에 충분하지 않으면, 색조가 저하되는 필터를 제안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그러한 필터는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의 그러한 필터의 투과율의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변화를 가지며, 부분들은 착용자의 눈들 앞의 부분들의 위치에 대하여 위치된다.
상부 부분에서 어두운 색조 그리고 하부 부분에서 선명한 색조를 갖는 필터는 예를 들어, 보도들 및 높이의 차이들을 예를 들어, 보다 용이하게 감지하고, 고령자 시민들에 대한 넘어짐의 위험을 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일 변형예로서, 착용자의 시기능에 대한 광속의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는 단계에서, 이하의 양들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이 착용자에게 수행된다:
- 대비 감도: 다양한 치수의 정적 요소들(공간적 휘도 대비) 또는 동적 요소들(시간적 휘도 대비)의 휘도의 차이들을 검출하는 시각 시스템의 능력, 예를 들어 Sidorova 외, ("눈부심을 갖고 그리고 눈부심 없이 낮 시간에서 청년 및 중년의 건강한 사람들에서의 기능적 시력 대비 감도 평가(Functional acuity contrast sensitivity assessment in young and middle age healthy persons at the day time with and without glare)", Acta Medica Lituanica, Vol. 21, No. 1, 2014) 참조,
- 착용자의 눈이 정지되어 똑바로 앞을 향하고 있을 때 감지하는 공간의 규모에 상응하는 시야(BORISH의 임상 굴절력 측정, 앞에 든 저서 중에),
- 색상 감지, 즉 가시 광선의 스펙트럼 분포의 시각 감지. 이러한 감각의 근원은 망막 상에 위치되는 추상체들이라 일컬어지는 분화된 신경 세포들의 자극임(앞에 든 저서 중에),
- 거리 및 깊이 감지. 깊이 감지는 세상을 3차원으로 감지하고 다른 물체에 대하여 하나의 물체의 위치를 구별하는 시각 능력임(앞에 든 저서 중에),
- 눈꺼풀들의 완전하거나 부분적인 닫힘, 그리고 안정 위치에서보다 더 큰 근육 운동 후의 눈꺼풀 미동에 의해 특성화되는 눈꺼풀 움직임. 근육 운동은 연관된 전기적 활성(근전도)을 통하여 평가될질 수 있음, 예를 들어 Murray 외 ("안구 스트레스 모니터: 불편한 눈부심을 측정하는 새로운 디바이스(The ocular stress monitor: a new device for measuring discomfort glare)", Lighting Research and Technology, September 2002, 34:240) 참조,
- 동공 직경: 홍채의 중심에 위치되고, 동공의 수축 또는 확장을 통하여 눈을 통과하는 광의 양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원형 오리피스의 크기(Alexandridis E., "동공(The Pupil)". Springer; 1985 참조), 및 동공의 형상과 같은 다른 동공 특성들,
- 불쾌감 척도 상의 시각적 불쾌감: 강한 조명 자극들 후에 감각에 대하여 겪게 되는 불쾌감 또는 불만감(Mainster 외, "한 세기의 눈 연구 후의 눈부심의 원인들, 결과들 및 임상 과제들(Glare's causes, consequences, and clinical challenges after a century of ophthalmic study)". Am. J. Ophthalmol., 153 (4), pp. 587-593. 2012), 및
- 눈부심 이후 회복 시간: 눈부심에 의해 저하되었던 기능들의 모두 또는 일부를 회복하는데 필요한 시간(Shieber, "암소시 적응에서의 주변 시력에 대한 반응 시간 상의 눈부심의 낮은 대비 자극 효과에 대한 눈부심 회복 시간 및 연령(Age and Glare Recovery Time for Low-Contrast Stimuli Effect of glare on reaction time for peripheral vision at mesopic adaptation)"; Proceedings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Annual Meeting October 1994, 38:496-499).
어둠 적응 및 광과민성 임계치의 측정들과 연관된 착용자의 (지난 그리고 장래의) 광 노출 습관들의 인지는 착용자가 겪는 광속의 변화의 타입이 인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착용자의 쾌적성 조도, 휘도 또는 강도 임계값이 인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최상의 필터, 즉 스펙트럼 필터링과, 광변색 어두워짐의 레벨과, 선명한 상태로 복귀하는데 걸리는 시간 사이의 최상의 조합이 한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착용자는 눈부심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시기능을 보존한다.
방법들의 제2 무리에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와 관련하는 양의 결정은 착용자의 광 노출 습관들과 관련하는 설문지에 기반하여 측정되거나 수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무리는 실시예 5를 포함한다.
실시예 5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 a)는 이하의 하위 단계들을 포함한다:
a3) 상기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감도가 평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설문지를 착용자가 겪게 하는 단계,
a4) 상기 설문지에 대한 착용자의 응답들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다음,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 또는 눈들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단계 a3)에서 수집된 설문지에 대한 응답들을 고려하면서 결정된다.
실제로, 착용자는 광속의 변화들에 대한 착용자의 눈들의 동적 감도가 결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설문지를 완성하도록 요청 받는다.
다양한 광속의 변화 등에 대해 그리고 착용자의 활동들, 예를 들어 운전, 독서, 스포츠 활동을 수행하는 것, 또는 실내 또는 야외 활동에 따라 시각적 쾌적성 또는 시각 품질의 레벨의 지표를 착용자가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질문들의 세트가 요청된다.
설문지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3개의 상이한 시간적 페이즈를 고려해야 한다. 즉, 착용자의 수광의 주어진 시간(t)에 대하여, 하기에 대한 정보가 수집된다:
- 주어진 시간(t) 이전의 주어진 환경에서 착용자의 광 노출 습관들,
- 시간(t)에서 광속의 동적 작용에 대한 대상의 감도 및 적응의 분석,
- 생활 방식 습관들 및 착용자가 시간을 보내는 조명 환경.
시간(t)에서의 망막의 동적 감도 상태는 광 강도의 변화에 이어서 눈부심의 감각에 영향을 줄 것이다.
예를 들어, 대상이 낮은 강도의 만성 노출들을 겪으면, 광에 대한 대상의 감도는 더 높을 것이다. 따라서, 보호에 대한 필요성은 상이할 것이고 더 낮은 투과율을 갖는 필터 처방이 권고될 것이다.
더욱이, 출원인의 연구들은 착용자에 의해 수광되는 광속의 변화를 뒤따른 시각적 쾌적성이 이하의 파라미터들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광의 의도로 겪게 되는 변화의 크기,
- 광속의 변화 이전의 광속의 초기 강도.
보다 정확하게는, 변화 전의 광속의 강도가 더 높고 이러한 변화 전의 착용자의 망막 조도가 더 높을수록,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은 광속의 변화 후에 더 적게 감소된다.
실제로, 설문지는 다양한 기간(과거, 현재 및 미래)에 관하여, 가변의 척도(시간, 주, 월)로 정보가 수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설문지는 특히 당해의 착용자의 광 노출 습관들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착용자가 노출되는 광원들의 특성들: 인공 광(예를 들어, LED 또는 백열등) 또는 자연광, 확산되거나 포인트형의 광,
- 즉각적이거나, 짧거나(수 초 또는 분), 길거나(수 시간), 계속적이거나, 간헐적인 노출의 지속 기간;
- 착용자가 사는 지리학적 위치;
- 착용자가 사는 지리학적 위치의 기후 및 특히 평균 일사 지속 기간;
- 수행되는 활동들/직업: 이러한 정보는 조명 노출의 지속 기간 및 광원들의 특성들, 활동들이 실내 및/또는 야외에서 일어나는지 여부에 따른 강도, 스펙트럼, 조명 변화를 암시함.
예를 들어, 하루 종일 광산에서, 폐쇄된 환경에서, 낮은 강도의 인공광에서 일하는 사람의 망막은 이러한 낮은 플럭스에 사용되게 될 것이다. 광 및 광속의 변화들에 대한 상기 사람의 감도는, 주어진 외부 조명 환경에 직면할 때 더 높을 것이다. 그에 반해서, 하루 종일 야외에서 일하는 공사 현장 인부는 위와 동일한 광 레벨에 의해 신경이 덜 쓰일 것이다. 착용자의 눈들이 어둠에 적응되면, 광속의 변화에 대한 감도는 더 높을 것이다.
설문지는 또한 당해의 착용자에 대한 객관적이고 주관적인 정보가 수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연령,
- 광에 대한 일반적 감도,
- 조명 조건들(실내, 야외, 야간 등)에 따른 광에 대한 감도,
- 광속의 변화들, 즉 광속의 강도의 공간적이거나 시간적인 변화, 광속의 스펙트럼의 공간적이거나 시간적인 변화, 광속의 증가, 예를 들어 어두운 구역에서 조명되는 구역으로의 이행을 나타내는 양의 변화들, 및 광속의 감소, 예를 들어 조명되는 구역에서 어두운 구역으로의 이행을 나타내는 음의 변화들에 대한 감도,
- (대상의 광에 대한 감도에 영향을 주는) 시각 또는 신경학상의 병상, 백내장 수술 및 이식된 인공 수정체의 타입, 예를 들어 황색, 청색 필터링 또는 백색 인공 수정체,
- 주어진 조명 조건들에 따라, 상술한 주관적인 평가 척도로 표현되는 시기능 및 시각적 쾌적성,
- 조명 조건들에 따른 가끔의, 계속적인 선글라스의 정기적인 사용, 및 착용되는 안경의 평가.
이러한 설문지는 안경사에 의해 또는 착용자에 의해 안경점에서, 또는 착용자에 의해 착용자의 집에서 정기적으로 채워진다.
더욱이, 이러한 설문지는 주어진 조명 조건들 하에서 착용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채워질 수 있다. 즉, 착용자는 예를 들어, 현재의 시간에서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이 특성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질문에 응답한다.
이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상에 표시되는 질문의 문제일 수 있다.
동시에, 단계 a)는 착용자가 상습적으로 겪는 광속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현재의 시간에서 주변 광속의 특성들을 수집하는 안경 하나 또는 착용자의 연결된 물체,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연결된 와치로 통합되거나 독립되는 광속 센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센서(분광 광도계)는 착용자가 설문지를 채우고 있는 동안, 착용자가 겪는 광속의 특성들(특히, 강도, 스펙트럼, 시간이 지남에 따른 변화)이 수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설문지의 일 변형예로서, 착용자의 노출 습관들에 관한 정보, 특히 착용자가 노출되는 광원들의 특성들 및 노출 지속 기간이,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고, 계속적으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을 수행하는 이러한 센서들에 의해 직접 측정되는 것이 구상될 수 있다.
예로서, 착용자에게 요청되는 질문은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의 주관적인 평가로 구성될 수 있다. 착용자는 표준화된 평가 척도 상에서 1과 5 사이에 포함되는 주관적인 쾌적성 지표를 전할 수 있다.
이러한 척도 상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지표가 있다:
- 레벨 "1": 시각적 쾌적성의 견딜 수 없는 레벨 또는 시각 품질의 매우 낮은 레벨;
- 레벨 "2": 산만하게 하는 시각적 쾌적성 레벨 또는 시각 품질의 썩 좋지는 않은 레벨;
- 레벨 "3": 시각적 쾌적성의 거의 견딜 만한 레벨 또는 시각 품질의 거의 용인할 수 있는 레벨;
- 레벨 "4": 시각적 쾌적성 또는 시각 품질의 만족스러운 레벨;
- 레벨 "5": 시각적 쾌적성 또는 시각 품질의 우수한 레벨.
시각적 불쾌감은 수광된 광의 양, 분포 및 품질과 관련되는 시각적 불쾌감의 주관적인 감각으로서 정의된다. 시각적 불쾌감 척도는 다양한 기준에 따른 시각적 불쾌감의 표현의 단계적인 등급 매김에 상응한다(Gellatly 및 Weintraub, "불편한 눈부심에 대한 디 보어 평가의 사용자 재구성들(User reconfigurations of the de boer rating for discomfort glare)", 1990).
따라서 응답들에 따라, 광속의 변화들에 대한 착용자의 동적 감도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다음 다양한 방식으로 착용자의 동적 감도에 관한 양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어, 이하에 주어지는 예들 중 하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눈들의 동적 감도가 측정되었던, 그리고 동일한 설문지로 동적 감도 프로파일들이 결정되었던 필터 착용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착용자의 눈들의 동적 감도에 관한 양은 그 다음 동일한 동적 감도 프로파일을 갖는 데이터베이스의 착용자들의 눈들의 동적 감도에 관한 참조량에 기반하여, 예를 들어 이러한 참조량으로의 식별을 통하여 결정된다.
단계 b)에서, 제안된 필터는 예를 들어, 이하에 주어지는 예들에 따라 결정된다.
제2 방법에 따르면, 질문된 다양한 조명 변화 조건 및 다양한 활동에 대해 착용자에 의해 표현되는 주관적인 쾌적성의 지표가 착용자의 동적 감도의 직접적인 측정치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착용자의 동적 감도에 관한 양은 그 때 이러한 지표와 직접적으로 동등하거나, 이러한 지표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주어진 조명 변화와 관련하는 질문이 주어졌을 때,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낀다고 나타내면, 그 때 필터의 투과율의 레벨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쾌적성 지표에 의해 직접 결정될 수 있다.
그 때, 단계 b)에서, 예를 들어 상술한 척도 상에서 광속의 강도의 현재의 변화에 대한 레벨 "1"의 쾌적성 지표의 경우, 10%의 투과율을 갖는 필터가 결정된다. 그에 반해서, 레벨 "5"의 쾌적성 지표(불쾌감 없음, 우수한 쾌적성)의 경우, 90%의 투과율을 갖는 필터가 결정된다.
한 주를 실내에서 보내고 주말에 야외로 많이 나가고, 광 및 광속의 변화들에 대한 높은 표현된 감도를 갖는 착용자의 경우, 투과율이 필터를 클래스 3에 두고/두거나 편광되는 필터가 주말 이용 동안 권장된다.
광속의 변화들 동안 표현된 불쾌감 없이 빈번하게 야외에 있는 착용자의 경우, 필터를 클래스 1 및 클래스 2 중 어느 하나에 두는 투과율을 갖는 수동 필터가 단계 b)에서 결정된다.
광속의 변화들 동안 높은 표현된 불쾌감, 광에 대한 높은 감도, 및 가능하게는 광속의 변화 후에 시력의 손실에까지 미치는 시기능의 감소를 갖고 빈번하게 야외에 있는 착용자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필터를 클래스 3에 두는 투과율을 갖는 능동 필터가 결정된다.
이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광의 투과율의 2개의 상이한 레벨에 상응하는 필터의 선명한 상태에서 어두워진 상태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는 필터의 문제이다.
여기서 결정되는 필터는 또한 빠르게 선명해지며, 즉 어두워진 상태에서 선명한 상태로 바뀌어 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
이러한 필터는 높은 밝기에서 착용자의 쾌적성을 개선하도록 선택적으로 편광될 것이다.
교실에서, 작업장에서, 스크린들의 사용 등의 실내 활동 동안 색상 필터를 착용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임의의 경우에, 설문지에 대한 응답들은 착용자에 따라 또는 착용자가 질문에 상응하는 상황에 직면하는 빈도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실내보다 야외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 야외 조명 조건들과 관련하는 질문들이 더 많은 비중이 주어진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황이 직면되는 빈도를 부여하는 계수, 예를 들어 드문 상황에 대해 1의 계수, 가끔의 상황에 대해 2의 계수, 빈번한 상황에 대해 3의 계수, 및 매우 빈번한 상황에 대해 4의 계수를 각각의 질문과 연관시키도록 착용자에게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이 무엇이든, 설명하는 방법들 중 하나를 이용한 필터의 결정은 투과율이 안과용 렌즈를 통해 공간적으로 달라지는 필터의 사용을 시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광원들 및 광속의 변화들이 착용자의 환경에서 예상된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안과용 렌즈의 상부 및 하부 부분들에서 상이한 흡수도 및/또는 스펙트럼 응답을 갖는 필터의 사용을 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으로는, 상부 부분은 광속이 매우 높을 수 있고 이러한 플럭스의 스펙트럼이 자연광의 스펙트럼일 때, 야외 활동들 동안 주로 사용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부 부분은 광속이 제한되고 이러한 플럭스의 스펙트럼이 흔히 인공광의 스펙트럼일 때, 실내 활동들 동안 주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다양한 방법이 광학 필터의 결정을 개선하기 위해 서로와 결합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보다 정확하고 보다 완전한 착용자의 눈의 광에 대한 감도의 프로파일을 얻기 위해 황반 색소 방법(실시예 2)을 설문지(실시예 5)와 결합하는 것이 특히 가능하다.
더욱이, 단계 b)에서의 필터의 결정은 착용자를 둘러싸는 상습적이거나 현재의(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광속의 특성들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단계 b)에서의 필터의 결정은 착용자에 관한 파라미터들의 양들 및 값들, 즉 단계 a)의 맥락에서 결정되는 양들 및 값들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양들 및 값들은, 예를 들어 착용자의 동공, 망막 조도, 다양한 조건 하에서의 착용자의 정적이고 동적인 감도, 및 주어진 광속의 변화들에 관한 것이다.
단계 b)에서의 필터의 결정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환경에서의 광속의 특성들과 관련되는 환경 파라미터들의 값들을 고려한다.
이는 특히, 능동 필터 포함 안과용 렌즈들을 포함하는 안경에 센서들, 특히 분광 광도 센서들을 통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센서들은 파장에 따라 수광되는 광속(조도, 휘도 등)의 누계량을 측정하고 (하루, 주들의) 시간이 지남에 따른 조도의 진전을 기록한다. 이는 상기 능동 필터가 제어되고 개인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파장 당 누계량들은 외부 조도뿐만 아니라 수 일에 걸친 누계 조도에 따라 필터의 투과율의 변화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비교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를 들어, 가속도계 또는 GPS와 같은 다른 센서들에 의한 착용자의 움직임들의 식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망막 상에 입사하는 광속의 변화들이 예측되고 능동 필터가 예방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착용자의 광속의 시간적 변화들을 예상하기 위해, 광도 측정 영상 분석이 착용자의 감도 프로파일에 따라 예방적으로 필터의 특성들을 활성화하도록 통합된 센서들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센서들(형상, 크기)은 바람직하게는 30°보다 더 큰 시계에서 착용자의 동공들의 작용을 분석하고, 수평 필드에서 180° 초과에 걸쳐 그리고 수직 필드에서 90° 초과에 걸쳐, 적어도 5 미터의 분석 깊이까지 착용자의 환경을 탐색하기 위해 안경 프레임으로 통합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능동 필터들의 경우에, 안경 프레임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계산 처리부를 포함하여, 전기 변색 필터의 특성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단계 a)에서 측정되는/결정되는 양들 및/또는 파라미터들은 필터를 적응시키도록 착용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주어지는 쾌적성 지표를 포함하거나, 착용자의 행위의 객관적인 분석(동공, 눈꺼풀 움직임들의 분석, 불쾌감 지표, 머리 움직임 등)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정보는 필터의 선택의 규칙들, 즉 학습을 통하여 단계 b)에서 사용되는 규칙들을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노출 경험들 및 습관들이 착용자들의 생활 방식에 따라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알고리즘을 개선하도록 기록될 것이다(연속적인 루프). 더 나아가, 착용자에게 초기에 제공되는 안경은 "표준" 안경, 예를 들어 안경의 개인화가 학습에 의해서만 달성되는 평균 착용자에 대해 최적화되는 안경일 수 있다.

Claims (22)

  1.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필터는 상기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을 개선하거나 유지할 수 있으며,
    a)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 또는 두 눈 다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결정된 대표적인 양에 따라 상기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광속의 변화에 따른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의 진전을 대표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이러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양이 광속의 강도의 양의 변화에 대하여 낮은 적응 능력을 나타냄에 따라, 그만큼 더 낮도록 결정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이러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양이 광속의 강도의 음의 변화에 대하여 낮은 적응 능력을 나타냄에 따라, 그만큼 더 높도록 결정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이러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광속의 강도의 양 변화 및 음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동적 감도를 고려하면서 결정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광속의 변화 동안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 강도에 대한 쾌적성 임계값을 포함하고, 단계 b)에서, 이러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필터의 광학 투과율은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이러한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광속의 변화 동안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 강도에 대한 이러한 쾌적성 임계값을 고려하면서 결정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2개의 상이한 레벨의 광의 투과율에 상응하는 선명한 상태에서 어두워진 상태로 필터가 바뀌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고, 단계 b)에서,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투과율 레벨은 광속의 변화들에 대한 착용자의 동적 감도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레벨의 광의 투과율에 상응하는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필터가 바뀌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고, 단계 b)에서,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바뀌어 가는데 필요한 시간은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 즉 단계 a)에서 결정되는 양이 광속의 강도의 음의 변화들에 대하여 낮은 적응 능력을 나타냄에 따라, 그만큼 더 짧도록 결정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이러한 광속의 변화에 대한 눈의 적응 시간에 상응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레벨의 광의 투과율에 상응하는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필터가 바뀌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고,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쾌적성 임계치의 변화에 상응하고, 단계 b)에서, 선명한 상태와 어두워진 상태 사이의 투과율의 차이, 및/또는 이러한 2가지의 상태 사이의 이행의 시간 및/또는 필터의 선명한 상태 및 어두워진 상태 중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이행의 속도는 이러한 쾌적성 임계 속도 및/또는 쾌적성 임계치의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서의 2개의 상이한 레벨의 광의 투과율에 상응하는 선명한 상태에서 어두워진 상태로 필터가 바뀌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속성들을 갖고,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광속의 변화 동안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광 강도에 대한 쾌적성 임계값에 상응하고, 단계 b)에서, 필터의 선명한 상태 및/또는 어두워진 상태의 투과율 레벨은 이러한 쾌적성 임계값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상기 양은 하기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인 방법:
    - 착용자의 지난, 현재의 그리고/또는 장래의 광 노출 습관들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 광속에 대한 착용자의 정적 감도와 관련하는 파라미터;
    - 광속의 강도 및/또는 스펙트럼의 공간적이고/이거나 시간적인 변화의 크기와 관련하는 파라미터;
    - 주어진 조명 조건들 및/또는 조명 변화 조건들 하에서 착용자의 시기능과 관련하는 주관적인 파라미터;
    - 주어진 조명 조건들 및/또는 조명 변화 조건들 하에서 시각적 쾌적성과 관련하는 주관적인 파라미터;
    - 착용자의 연령과 관련되는 파라미터;
    - 선글라스의 사용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 착용자의 눈의 안구 내-분산 계수와 관련되는 파라미터;
    - 착용자의 눈의 황반 색소의 밀도 및/또는 분포와 관련되는 파라미터;
    - 빛 또는 어둠에 적응하는 망막의 능력과 관련되는 파라미터;
    - 조명 변화에 대한 동적 동공 반응 및/또는 다른 동공 특성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 착용자가 갖는 시각적 병상 또는 임의의 안구 이상과 관련하는 파라미터;
    -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의 변화의 표현되거나 측정된 임계치와 관련되는 파라미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는 착용자가 상습적으로 겪는 동적 광속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대표하는 양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 a)는,
    a1) 착용자가 상기 광속의 변화를 겪게 하는 단계; 및
    a2) 이러한 광속의 변화에 대한 눈의 적응과 관련하는 양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광속의 변화를 겪는 착용자 상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단계 a1)에서, 착용자는 제1 노출 페이즈 동안 미리 결정된 광속을 겪고, 그 다음 착용자는 어둠 제2 페이즈 동안 어둠에 놓여지고, 단계 a2)에서, 평균 감도는 제2 페이즈의 시작 후의 결정된 기간 동안 그리고/또는 착용자의 눈들의 광에 대한 감도가 미리 결정된 감도값을 회복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상응하는 어둠에 대한 적응의 시간 동안 측정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단계 a2)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른 동공의 크기의 변화는 단계 a1)의 적어도 상기 광속의 변화 동안 결정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광속의 변화는 적어도,
    - 상기 광속의 강도의 시간적이고/이거나 공간적인 변화 및/또는;
    - 상기 광속의 스펙트럼의 시간적이고/이거나 공간적인 변화 및/또는;
    - 상기 광속의 공간적 분포의 공간의 변화 및/또는;
    - 상기 광속의 각도 분포의 공간의 변화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착용자는 다양한 주어진 시간적 변화 프로파일, 및/또는 다양한 주어진 시간적 변화 속도, 및/또는 다양한 주어진 변화 크기 및/또는 다양한 주어진 초기 및/또는 최종 광속 강도를 갖는 광속의 강도의 다양한 시간적 변화를 겪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가 착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환경을 대표하는 양을 결정하는 단계가 더욱이 수행되고 상기 필터의 상기 광학 특성은 환경을 대표하는 이러한 양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방법.
  20.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로서, 상기 착용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또는 시기능을 개선하거나 유지하도록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필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전기 변색 또는 광변색 타입의 능동 필터이거나 필터의 결정된 광학 특성이 선택된 미리 결정된 필터의 동일한 광학 특성에 근접하도록 미리 결정된 필터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되는 수동 필터인, 필터.
  22.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도록 의도되고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청구된 필터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KR1020187031341A 2016-05-13 2017-05-12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나타내는 양에 따라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 KR102394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4323 2016-05-13
FR1654323A FR3051262B1 (fr) 2016-05-13 2016-05-13 Procede de determination d'un filtre pour une lentille ophtalmique en fonction d'une grandeur representative d'une sensibilite dynamique de l'œil d'un porteur a une variation d'un flux lumineux
PCT/FR2017/051159 WO2017194898A1 (fr) 2016-05-13 2017-05-12 PROCÉDÉ DE DÉTERMINATION D'UN FILTRE POUR UNE LENTILLE OPHTALMIQUE EN FONCTION D'UNE GRANDEUR REPRÉSENTATIVE D'UNE SENSIBILITÉ DYNAMIQUE DE l'OEIL D'UN PORTEUR A UNE VARIATION D'UN FLUX LUMINEU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847A true KR20190005847A (ko) 2019-01-16
KR102394372B1 KR102394372B1 (ko) 2022-05-04

Family

ID=5661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341A KR102394372B1 (ko) 2016-05-13 2017-05-12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나타내는 양에 따라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137624B2 (ko)
EP (1) EP3455669A1 (ko)
JP (1) JP6978436B2 (ko)
KR (1) KR102394372B1 (ko)
CN (1) CN109073918B (ko)
AU (1) AU2017263133B2 (ko)
BR (1) BR112018072343A2 (ko)
FR (1) FR3051262B1 (ko)
WO (1) WO2017194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2573B2 (ja) * 2017-07-18 2023-08-23 エシロール・アンテルナシオナル 人の姿勢及び視覚行動を判定する方法
EP3495875A1 (en) * 2017-12-06 2019-06-12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color filter, optical article comprising such a color filter
EP3598211A1 (en) * 2018-07-20 2020-01-22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 value of a global sensitivity parameter of a subject, methods using this value and system for determining said value
CN113631992B (zh) * 2019-03-14 2023-09-15 三井化学株式会社 镜片订购系统、镜片订购方法、程序以及数据结构
EP3753475A1 (en) * 2019-06-21 2020-12-23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 filter for a transparent support based on a determined individual light sensitivity
CN115885207A (zh) * 2020-05-29 2023-03-31 依视路国际公司 滤波器以及用于考虑配戴者的眼睛的眼介质的光谱透射率确定滤波器的方法
JPWO2022085633A1 (ko) * 2020-10-22 2022-04-28
AU2022226417A1 (en) * 2021-02-26 2023-09-07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ptical product intended to face an eye of a user using an eye resistance level and a light protection level
CN117795398A (zh) * 2021-07-30 2024-03-29 依视路国际公司 包括滤波器的眼科镜片以及用于确定提高配戴者的运动敏感度的滤波器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1102A1 (fr) * 2011-08-09 2013-02-14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Dispositif pour déterminer un groupe d'équipements d'aide a la vision adapte a un individu
WO2014079574A1 (de) * 2012-11-22 2014-05-30 Jürgen Röder Verfahren zum reduzieren der von einem träger einer brille wahrnehmbaren helligkeit mindestens eines objekts sowie blendschutzbrille
WO2014174067A1 (en) * 2013-04-25 2014-10-3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 method of controlling a head mounted electro-optical device adapted to a wearer
CA2949250A1 (en) * 2014-05-28 2015-12-03 Inoptec Limited Zweigniederlassung Deutschland Electronic spectac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8473B2 (en) 2005-10-07 2017-05-23 Percept Technologies Inc Enhanced optical and perceptual digital eyewear
JP2009050399A (ja) 2007-08-24 2009-03-12 New Industry Research Organization 分光視感効率測定システムおよび分光視感効率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1102A1 (fr) * 2011-08-09 2013-02-14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Dispositif pour déterminer un groupe d'équipements d'aide a la vision adapte a un individu
WO2014079574A1 (de) * 2012-11-22 2014-05-30 Jürgen Röder Verfahren zum reduzieren der von einem träger einer brille wahrnehmbaren helligkeit mindestens eines objekts sowie blendschutzbrille
WO2014174067A1 (en) * 2013-04-25 2014-10-3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 method of controlling a head mounted electro-optical device adapted to a wearer
CA2949250A1 (en) * 2014-05-28 2015-12-03 Inoptec Limited Zweigniederlassung Deutschland Electronic specta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3918B (zh) 2020-10-16
BR112018072343A2 (pt) 2019-02-19
EP3455669A1 (fr) 2019-03-20
JP6978436B2 (ja) 2021-12-08
AU2017263133A1 (en) 2018-12-06
FR3051262B1 (fr) 2022-08-12
US11137624B2 (en) 2021-10-05
WO2017194898A1 (fr) 2017-11-16
FR3051262A1 (fr) 2017-11-17
US20190212581A1 (en) 2019-07-11
CN109073918A (zh) 2018-12-21
KR102394372B1 (ko) 2022-05-04
JP2019517850A (ja) 2019-06-27
AU2017263133B2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372B1 (ko) 광속의 변화에 대한 착용자의 눈의 동적 감도를 나타내는 양에 따라 안과용 렌즈에 대한 필터를 결정하는 방법
US20230050368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filter for an ophthalmic lens and ophthalmic lens comprising such a filter
US2020014654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Light Filter Applied to a Spectacle Lens, Associated Display Device and Virtual Reality Helmet
RU2615123C2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для оценки очковых линз посредством вызванной активности зрительной коры головного мозга и способ проектирования для проектирования очковых линз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пособа оценки
US20170059886A1 (en) Method for optimizing an optical lens equipment for a wearer
US20200072669A1 (en) Advanced lighting effects investigation system and computerized method
CN114503015B (zh) 近视的多光谱和多焦点控制
US202304110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ppropriate moment for modifying or changing an initial myopia control solution
US202303718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assessing discomfort and/or disability glare of a subject
DAVOUDIAN Street lighting and older people
Mahmood et al. The effect of multifocal contact lenses on the dynamic accommodation step response
Moore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ffects of tinted spectacle lenses on visual performance
CN117795398A (zh) 包括滤波器的眼科镜片以及用于确定提高配戴者的运动敏感度的滤波器的方法
CN117379063A (zh) 致近视因素获取的眼镜系统和预防近视快速发展的方法
CN115244452A (zh) 可将单光眼镜镜片转换为具有非屈光不透明特征光学膜的近视管理眼镜镜片
Ruben et al. Physiological Op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