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834A -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834A
KR20190005834A KR1020187029743A KR20187029743A KR20190005834A KR 20190005834 A KR20190005834 A KR 20190005834A KR 1020187029743 A KR1020187029743 A KR 1020187029743A KR 20187029743 A KR20187029743 A KR 20187029743A KR 20190005834 A KR20190005834 A KR 20190005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ownlink
frequency
control reg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를 개시한다.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임 - ;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다.
5G 시스템에서 반송파 폭 변화 범위가 비교적 큰데, 예를 들면 최대 대역폭은 80MHz보다 크거나 같다. 현재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4G 중의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는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에서만 전송된다. 큰 대역폭 반송파의 5G 시스템에서, LTE/4G 중의 단일 동기화 채널, 방송 채널 방식은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워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큰 대역폭 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임 - ;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송신하는 것은, 일정 기간 내에 주기에 따라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중복 송신하는 것일 수 있고, 일정 기간 내의 하나의 주기에 하나의 주파수 포인트에서 송신하고 다음 주기에 다른 하나의 주파수 포인트에서 송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sequence)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방송 신호 및 동기화 신호는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측정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가 충돌할 경우, 펑쳐링(puncturing)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측정 참조 신호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단말 기기의 유휴 상태또는 연결 상태에서의 셀 검색 및 측정의 속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양태에 따르면,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임 - ;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단말 기기의 유휴 상태또는 연결 상태에서의 셀 검색 및 측정의 속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양태에 따르면, 제1양태 또는 제1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4양태에 따르면, 제2양태 또는 제2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제5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서 다른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양태 또는 제1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6양태에 따르면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서 다른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2양태 또는 제2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7양태에 따르면, 제1양태 또는 제1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제8양태에 따르면, 제2양태 또는 제2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보다 명확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첨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없이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 장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되,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님은 분명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원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주파수 분할 이중 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시분할 이중 통신(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등 현재의 통신 시스템, 특히 미래 5G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 모바일 플랫폼,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대리 또는 사용자 장치 등일 수 있다. 단말 기기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s, 무선랜) 중의 ST(STAION, 스테이션)일 수 있고,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세션 개시 프로토콜) 전화, WLL(Wireless Local Loop, 무선 가입자 회선) 스테이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정보 단말기),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컴퓨터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기기, 차량탑재 기기, 착용가능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모바일 플랫폼 또는 미래 에볼루션 PLMN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중의 에볼루션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상황 하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거나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차량탑재 기기, 착용가능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PLMN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송파는 셀로 표시되어 하나의 통신 시스템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의 반송파는 하나의 셀, 하나의 통신 시스템에 대응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 장면의 개략도이다. 도 1중의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eNodeB(20)과 같은 네트워크 및 예를 들면 UE(10), UE(11), UE(12), UE(13), UE(14), UE(15), UE(16) 및 UE(17) 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eNodeB(20)는 UE(10) 내지 UE(17)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를 위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어망에 접속한다. UE(10) 내지 UE(17) 중의 각각의 단말 기기는 eNodeB(20)가 송신한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한다. 큰 대역폭 반송파의 시스템에서, 단일 동기화 채널, 방송 채널 방식은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워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반송파/셀에 다수의 그룹의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설정하여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2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신호 전송 방법(200)은 네트워크 기기, 예를 들면 도 1 중의 eNodeB(20)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하나의 반송파/셀에서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 반송파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즉 도 2 중의 방법은 하나의 반송파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에 많은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200)은 단계 S210 및 S220를 포함한다.
S210: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이다
S220: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반송파의 단일 주파스 포인트에서 송신되는 것이 아니고, 반송파의 모든 주파수 포인트에서 송신되는 것도 아니기에,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시스템 오베헤드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정 시간은 일정 기간을 표시하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소정 시간은 하나 또는 다수의 무선 프레임일 수 있고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프레임 또는 부호일 수도 있다.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송신하는 것은, 일정 기간 내에 주기에 따라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중복 송신하는 것일 수 있고, 일정 기간 내의 하나의 주기에 하나의 주파수 포인트에서 송신하고 다음 주기에 다른 하나의 주파수 포인트에서 송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양한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의 패턴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며; 다양한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의 패턴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결정되어 단말 기기에 송신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다양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동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가 동기화 신호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고, 즉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동기화 신호를 중복 송신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그룹의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를 설정하고, 일반적으로 특정된 숫자 시퀀스이며, 각각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동기화 신호를 중복 송신한다.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하나의 5G반송파/셀의 주파수 대역폭이 80MHz이면, 20MHz 마다의 주파수 영역 리소스에 하나의 그룹의 시간 상 주기에서 중복되는 동기화 신호를 설정하고, 단말기가 임의의 하나의 그룹의 동기화 신호를 검색하면 셀과 동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5G반송파/셀의 상이한 주파수 영역 리소스 상의 동기화 신호가 사용하는 숫자 시퀀스는 상이할 수 있다. 사용한 숫자 시퀀수가 다르면, 동일한 5G반송파/셀의 상이한 주파수 영역 리소스 상의 동기화 신호가 사용하는 숫자 시퀀스는 일정한 내적 연관을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동일한 루트 시퀀스(root sequence)의 상이한 순환 시프트(cyclic shift)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순환 시프트는 일정한 특정 편이량(offset)을 사용하여 동일한 반송파/셀에 속함을 표시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가 방송 신호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방송 신호를 송신하고, 즉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방송 신호를 중복 송신한다. 예를 들면, 방송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5G반송파/셀이 셀 내 상이한 주파수 리소스에 다수의 그룹의 시간 상 주기에서 중복되는 기본 시스템 정보(basic system information)를 설정할 수 있고, 메인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이라 할 수 있으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을 사용하여 탑재하고, 여기에 다운링크/업링크 대역폭,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 안테나 개수, 제어 신호의 전송 모드 등을 포함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빠른 수신과 복조를 진행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PBCH 및 SS는 대응관계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각각의 동기화 신호가 설정된 주파수 영역 리소스(주파수 포인트)에 하나의 PBCH가 존재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제한된 주파수와 시간 리소스를 점유하고, 즉 주파수 상에서 해당 반송파의 전체 다운링크 대역폭보다 작고 시간 상에서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으며 최소 하나의 부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다운링크 공통 제어 영역이라 할 수도 있고, 공통 제어 채널 및/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공통 제어 채널은 전용 제어 채널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고, 전용 제어 채널은 어느 한 블록의 사용자 데이터의 복조를 위한 것이다. 공통 참조 부호는 유휴(IDLE) 상태 하에서의 셀 측정 재선택 및 연결(CONNECTED)상태 하에서의 셀 측정 전환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면, 단말 기기의 유휴 또는 연결 상태 하에서 측정한 속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는 표시되거나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5G반송파/셀 내의 어느 주파수 리소스의 공통 제어 채널의 존재 여부에 있어서, 만약 존재하면 그 위치와 차지하는 리소스 크기는,
5G반송파/셀 내의 상이한 주파수 리소스의 시작 및 종료 위치;
5G반송파/셀 내의 상이한 주파수 리소스의 무선 프레임 및 무선 서브프레임의 시간 할당;
(본 주파수 리소스 중)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예를 들면 시퀀스 길이, 전체 시퀀스에서 루트 시퀀스의 번호, 순환 시프트의 편이량 등);
동기화 신호 및 물리 방송 채널(PBCH)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
물리 방송 채널(PBCH)의 콘텐츠 - PBCH 콘텐츠 및/또는 패리티 비트에 누적된(superposition) 마스크(mask)를 포함함 - ;
제1 레벨의 시스템 정보(물리 방송 채널(PBCH)에 의해 탑재됨)가 지시하는 제2 레벨 또는 더 낮은 레벨의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한가지 방식 또는 상이한 방식(전체 방식이 아닐 수 있음)을 통해 지시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5G반송파/셀이 셀 내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상이한 주파수에서 주기적으로 유휴(IDLE) 상태 하에서의 셀 측정 재선택 및 연결(CONNECTED)상태 하에서의 셀 측정 전환을 위한 참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참조 신호의 밀도는 일반적으로 복조를 위한 참조 신호보다 낮으며, 측정 참조 신호(measurement reference signal, MRS)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이로써, 단말 기기가 유휴 또는 연결 상태 하에서 측정한 속도 및 정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측정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가 충돌할 경우, 펑쳐링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측정 참조 신호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 4 내지 도 7에서 다양한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이한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한정하지 않으며, 다시 말하면 상이한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 사이는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단말 기기의 유휴 상태또는 연결 상태에서의 셀 검색 및 측정의 속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네트워크 기기 측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였고, 이하 단말 기기 측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8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신호 전송 방법(800)은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고, 예를 들면 도 1 중의 UE(10) 내지 UE(17)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800)은, 단계 S810 및 S820를 포함한다.
S810: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이다.
S820: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신호 전송 방법(80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 측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인터랙션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단말 기기 측의 설명과 상응하기에,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단말 기기의 유휴 상태또는 연결 상태에서의 셀 검색 및 측정의 속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순번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한 어떠한 한정도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를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이하 각 기기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 과정을 참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9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900)는 결정 모듈(910) 및 송신 모듈(920)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910)은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이다.
송신 모듈(920)은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9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9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모듈(920)은 또한,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모듈(9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9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모듈(920)은 또한,상기 측정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가 충돌할 경우, 펑쳐링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측정 참조 신호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9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 중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900) 중의 각 모듈의 상기 및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전술한 각각의 방법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단말 기기의 유휴 상태또는 연결 상태에서의 셀 검색 및 측정의 속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10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1000)는 결정 모듈(1010) 및 수신 모듈(1020)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1010)은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임이다.
수신 모듈(1020)은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10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10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모듈(102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결정 모듈(10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결정 모듈(10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10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10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 중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단말 기기(1000) 중의 각 모듈의 상기 및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전술한 각각의 방법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단말 기기의 유휴 상태또는 연결 상태에서의 셀 검색 및 측정의 속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이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2)(예를 들면 CPU),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5) 또는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1106),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버스(1103)를 포함하여 이러한 장치 사이의 연결 통신을 구현한다. 프로세서(1102)는 메모리(1106)에 저장된 실행 가능 모듈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메모리(1106)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하드디스크 메모리이다.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5)(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의 통신 연결을 구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메모리(1106)에는 프로그램(11061)이 저장되고, 프로세서(1102)는 프로그램(11061)을 실행하여,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조작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임 - ;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02)는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02)는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다.
선택 가능하게, 프로세서(1102)는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프로세서(1102)는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02)는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프로세서(1102)는 또한, 상기 측정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가 충돌할 경우, 펑쳐링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측정 참조 신호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상의 기술적 해결수단으로부터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의 구조이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2)(예를 들면 CPU),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5) 또는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1206),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버스(1203)를 포함하여 이러한 장치 사이의 연결 통신을 구현한다. 프로세서(1202)는 메모리(1206)에 저장된 실행 가능 모듈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메모리(1206)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하드디스크 메모리이다.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5)(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의 통신 연결을 구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메모리(1206)에는 프로그램(12061)이 저장되고, 프로세서(1202)는 프로그램(12061)을 실행하여,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조작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임 - ;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02)는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02)는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다.
선택 가능하게, 프로세서(1202)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획득하고,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프로세서(1202)는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02)는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상의 기술적 해결수단으로부터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의 신속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단말 기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및/또는”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3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만 존재하는 3가지 경우를 의미한다. 이밖에, 본문에서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부하여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 및 간략화를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는 일일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된 여러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응용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또는 논의된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일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이상에서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장소에 위치하거나,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체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집적될 수 있거나, 각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해보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약간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에서 공개된 기술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해낸 변경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38)

  1.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임 - ;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및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측정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가 충돌할 경우, 펑쳐링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측정 참조 신호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1.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임 - ;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및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9.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0. 네트워크 기기로서,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임 - ;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3. 청구항 21또는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4.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5.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및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8.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주기에 따라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측정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와 다운링크 데이터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가 충돌할 경우, 펑쳐링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측정 참조 신호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0. 단말 기기로서,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공통 제어 채널 신호, 공통 참조 신호 및 측정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소정 시간 내 반송파의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반송파의 대역폭 내의 부분적인 주파수 포인트임 - ;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3. 청구항 31 또는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4. 청구항 30 내지 청구항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5. 청구항 30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 또는 공통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는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 중 각각의 주파수 포인트의 시작 및 종료 위치의 정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위치한 상기 무선 프레임 및 상기 무선 프레임 중의 서브프레임의 정보;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 -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 - 상기 상대적인 시간 주파수 위치의 정보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이 상기 동기화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포인트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방송 신호의 콘텐츠; 및
    상기 방송 신호가 지시하는 기본 시스템 정보의 콘텐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8. 청구항 30 내지 청구항 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측정 참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의 비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에 따라 송신한 상기 측정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KR1020187029743A 2016-05-12 2016-05-12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KR201900058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81880 WO2017193339A1 (zh) 2016-05-12 2016-05-12 信号传输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834A true KR20190005834A (ko) 2019-01-16

Family

ID=6026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743A KR20190005834A (ko) 2016-05-12 2016-05-12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11076384B2 (ko)
EP (2) EP3422651B1 (ko)
JP (2) JP7091253B2 (ko)
KR (1) KR20190005834A (ko)
CN (1) CN109076043B (ko)
AU (1) AU2016406274B2 (ko)
BR (1) BR112018073177B1 (ko)
CA (1) CA3022660C (ko)
HK (1) HK1258339A1 (ko)
MX (1) MX2018013518A (ko)
RU (1) RU2704254C1 (ko)
SG (1) SG11201809608XA (ko)
TW (1) TWI746549B (ko)
WO (1) WO2017193339A1 (ko)
ZA (1) ZA2018072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809608XA (en) * 2016-05-12 2018-11-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07734596B (zh) * 2016-08-12 2023-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物理广播信道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
CN113133090B (zh) * 2019-12-30 2023-03-3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及装置
CN117858027A (zh) * 2022-09-29 2024-04-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广播消息反馈和公共配置信息获取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89285B (zh) * 2008-01-17 2010-09-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用户设备接入方法及系统
CN101616360B (zh) * 2009-07-24 2012-05-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定位参考信号的发送方法及系统
US8885541B2 (en) 2009-08-04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Extension of UE-RS to DWPTS
US9144037B2 (en) * 2009-08-11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by puncturing transmission of interfering cells
US20110244877A1 (en) 2009-10-08 2011-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24384B2 (en) * 2009-12-14 2014-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BRPI1100024A2 (pt) 2010-02-17 2016-05-03 Zte Usa Inc métodos e sistemas para transmissão csi-rs em sistemas avançados lte
KR101376635B1 (ko) 2011-01-14 2014-03-2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Rex1을 포함하는 세포 리프로그래밍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 제조방법
KR101555112B1 (ko) 2011-03-01 2015-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US10638464B2 (en) 2011-04-01 2020-04-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rol channels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6026082B2 (ja) 2011-04-05 2016-11-16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基地局、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1818584B1 (ko) 2011-06-15 2018-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용 기준 신호를 위한 공통 제어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GB2493702B (en) * 2011-08-11 2016-05-04 Sca Ipla Holdings Inc OFDM subcarrier allocation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EP3975609A3 (en) * 2011-08-12 2022-08-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nterference measurement in wireless networks
GB2493780B (en) * 2011-08-19 2016-04-20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WO2013089344A1 (en) * 2011-12-15 2013-06-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the user equipment for the same
CN103379072B (zh) * 2012-04-20 2016-12-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
ES2548428T3 (es) 2012-05-07 2015-10-16 Mstar Semiconductor, Inc. Aparato de recepción y desmodulación de símbolos de OFDM y método de desmodulación
CN103428143B (zh) * 2012-05-22 2016-09-21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同步信号发送方法
WO2014021247A1 (ja) * 2012-07-30 2014-02-06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GB2506583A (en) * 2012-08-31 2014-04-09 Sony Corp Inserting a virtual narrowband carrier in wideband carrier of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03685119A (zh) * 2012-09-12 2014-03-2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上行数据传输方法及演进基站和用户设备
US9769807B2 (en) * 2012-09-28 2017-09-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CN103716841A (zh) 2012-09-29 2014-04-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装置
KR102020342B1 (ko) * 2013-02-28 2019-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새로운 반송파 형식에서의 간섭 측정 방법 및 장치
CN104052532B (zh) 2013-03-15 2019-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信道参考信号的发送方法和装置
CN103402251B (zh) * 2013-08-09 2017-02-22 上海瀚讯无线技术有限公司 同步信息收发方法、信道映射解析方法、控制信息发送方法
CN108900274B (zh) 2013-09-27 2021-02-0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先进lte的发现信号的方法和装置
EP2919407B1 (en) * 2014-03-14 2020-08-26 Fujitsu Limited Coverage exten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US10524142B2 (en) 2014-04-28 2019-12-31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WO2016043555A1 (en) 2014-09-18 2016-03-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maller bandwidth for low cos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304097B (zh) * 2015-05-15 2021-09-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使用方法、装置及系统
CN105451341B (zh) * 2015-11-06 2019-03-15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非授权频段中配置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CN106937361A (zh) 2015-12-31 2017-07-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无线小区中高频段同步信号的收发方法及装置
US9894602B1 (en) 2016-03-29 2018-02-13 Sprint Spectrum L.P. Management of cell selec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SG11201809608XA (en) * 2016-05-12 2018-11-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73177A2 (pt) 2019-02-19
US20190132168A1 (en) 2019-05-02
CN109076043A (zh) 2018-12-21
EP3422651A1 (en) 2019-01-02
MX2018013518A (es) 2019-03-14
CA3022660C (en) 2021-12-07
US11076384B2 (en) 2021-07-27
AU2016406274B2 (en) 2021-07-22
US20190141674A1 (en) 2019-05-09
JP7091253B2 (ja) 2022-06-27
TW201740751A (zh) 2017-11-16
CA3022660A1 (en) 2017-11-16
RU2704254C1 (ru) 2019-10-25
EP3490210B1 (en) 2021-10-06
BR112018073177B1 (pt) 2024-01-09
ZA201807290B (en) 2019-07-31
JP2019521539A (ja) 2019-07-25
HK1258339A1 (zh) 2019-11-08
TWI746549B (zh) 2021-11-21
US10849102B2 (en) 2020-11-24
SG11201809608XA (en) 2018-11-29
CN109076043B (zh) 2021-09-07
JP7228619B2 (ja) 2023-02-24
EP3422651A4 (en) 2019-04-03
EP3490210A1 (en) 2019-05-29
EP3422651B1 (en) 2021-10-06
AU2016406274A1 (en) 2018-11-22
JP2021121107A (ja) 2021-08-19
WO2017193339A1 (zh)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27694A1 (zh) Ssb候选位置索引指示、接收方法及装置、存储介质、基站、用户设备
AU201643334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1546889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JP7228619B2 (ja) 信号伝送方法、ネットワーク設備及び端末設備
US2019017443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1330543B2 (en) Signal sending method, signal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1160059A1 (zh) 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7193338A1 (zh) 传输系统信息的方法、基站和终端
WO2018171650A1 (zh) 时间信息的确定方法、网络节点和终端设备
US11382078B2 (en) Signal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ignal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JP6918929B2 (ja) 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
EP3493451A1 (en) Measuremen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US10939436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13016160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