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414A -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414A
KR20190005414A KR1020170086020A KR20170086020A KR20190005414A KR 20190005414 A KR20190005414 A KR 20190005414A KR 1020170086020 A KR1020170086020 A KR 1020170086020A KR 20170086020 A KR20170086020 A KR 20170086020A KR 20190005414 A KR20190005414 A KR 20190005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processing apparatus
laundry processing
ou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7949B1 (en
Inventor
한지훈
소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949B1/en
Priority to US16/028,627 priority patent/US20190010648A1/en
Publication of KR20190005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4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9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4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6Washing 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06F2105/04Water supply from separate hot and cold water inl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0Temperature of washing liquids; Heat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202/085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comprises: a step of applying power to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inputting an installation inspection command; a step of sensing an initial water level in an outer tank and storing the sensed initial water level value;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n the cold water valve is opened, whether or not the inner tank water level reaches a target water level within a first set time (t1), and a first error message indicating a water error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when the water level in an outer tank does not reach the target water level within the first set time (t1).

Description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 장치는 의류를 포함하는 세탁물을 세탁 또는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예를들어,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Generally,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an appliance for washing or drying laundry including clothes. For example,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또한,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물 투입구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상면에 형성되는 탑 로딩 방식과, 세탁물 투입구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전면에 형성되는 프런트 로딩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탑로딩 방식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물을 회전시키는 드럼의 회전축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프런트 로딩 방식 세탁물 처리 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ivided into a top loading type in which the laundry loading por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a front loading type in which the laundry loading por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 the top loading typ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he rotary shaft of the drum for rotating the laundry is vertically formed, and the rotary shaft of the drum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front loading typ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세탁물 처리 장치를 세탁실에 설치할 때,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여러가지 불량 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 장치를 세탁실에 설치할 때, 급수 호스의 꼬임, 꺾임, 또는 눌림 현상에 의하여 세탁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불량 사항, 냉수 호스 연결부에 온수 호스를 연결하는 것과 같은 호스 연결 불량, 배수 호스의 꼬임, 꺾임, 눌림, 또는 배수 호스가 배수 펌프보다 높은 위치에서 벤딩되는 현상에 의하여 배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불량, 호스 연결 부위의 누수에 의한 급배수 불량 등을 들 수 있다. When the laundry processing system is installed in the laundry room, various defects may occur if the install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For example, when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laundry room, defective items such as the twisting, breaking, or pressing phenomenon of the water supply hose fail to properly supply the wash water, poor hose connection such as connecting the hot water hose to the cold water hose connection, Defects such as twisting, bending, pressing, or hosing of the hose due to bending of the drainage hose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drainage pump, poor water supply / drainage due to leakage at the hose connection site, and the like.

설치 기사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설치 장소에 설치한 후 기본적인 테스트를 진행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테스트 모드 진입 방법을 잘 모르거나, 테스트를 수행할 시간적 여유가 없음을 이유로, 이를 간과하는 경우가 종종 발샐한다. 뿐만 아니라, 테스트 항목이 너무 많아서 설치 기사가 테스트 방법을 숙지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고, 불필요한 테스트 항목이 많아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Although installers should perform basic tests after installing the laundry system at the installation site, the installer often overlooks them because they do not know how to enter the test mode or do not have time to perform the test . In addition, there are too many test items, so it is difficult for the installer to understand the test method, and there are a lot of unnecessary test items.

한국공개특허 제2017-0033685호(2017년03월27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033685 (Mar. 27, 20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세탁물 처리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고, 설치 검사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외조 내 초기 수위가 감지되고, 감지된 초기 수위 값이 저장되는 단계; 및 냉수 밸브가 개방되고, 제 1 설정 시간(t1) 내에 외조 내 수위가 목표 급수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외조 내 수위가 상기 제 1 설정 시간(t1) 내에 목표 급수 수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급수 에러를 알리는 제 1 에러 메세지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inputting power to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he initial water level in the outer tank is sensed and the sensed initial water level value is stored; And the cold water valve is open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water level in the inner tank reaches the target water level in the first set time t1, and the water level in the outer tank is set to the target water level The first error message indicating the watering err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즉, 세탁물 처리 장치의 설치 검사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설치 불량 사항이 설치자에게 표시되어, 설치자가 이를 확인하고 수리하도록 안내하는 장점이 있다. That is, the installation inspection process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automatically performed, so that the installation defect is displayed to the installer, and the installer is guided to check and repair the laundry.

또한, 설치 검사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설치자가 수동으로 설치검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며, 설치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inspection process is performed automatica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er does not need to perform the installation inspection manually,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inspection can be saved.

또한, 반드시 필요한 설치 검사 항목을 설치자가 수행하지 않는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sibility that the installer does not perform necessary installation inspection items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FIG. FIG.

이하에서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한 종류인 탑로딩(top loading) 방식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top loading type washing machine, which is one type of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는, 베이스(9), 캐비닛(1), 탑 커버(2), 리드(lid, 4) 및 컨트롤 패널(3)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mbody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9, a cabinet 1, a top cover 2, a lid 4, Panel 3 as shown in FIG.

상세히, 상기 베이스(9)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바닥과 대응하는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캐비닛(1)의 네모서리 부근에 설치된 4개의 지지다리(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9) 상에는 배수 배수 펌프(45)가 설치될 수 있다.In detail, the base 9 is formed in a flat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oor where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installed, and can be supported by four supporting legs 15 installed near four corners of the cabinet 1. A drainage drain pump 45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9.

그리고, 상기 캐비닛(1)은 상기 베이스(9) 상면 가장자리에 세워지며, 전면, 후면, 및 좌우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은 개구된다. The cabinet 1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9, and has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d right and left side surfaces, and a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t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 is opened.

상기 캐비닛(1)의 개구된 상단에는 탑 커버(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2)에는 세탁물(또는, “포”)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2)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리드(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top cover 2 may be coupled to the open upper end of the cabinet 1. The top cover 2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port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laundry (or " capsule "). The top cover 2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 a lid 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ading port.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물을 담기 위한 외조(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조(6)는 행거(8)에 의해 캐비닛(1) 내에 매달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행거(8)는 상단이 상기 탑 커버(2)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로드(8a)와, 상기 지지로드(8a)에 설치되어 상기 외조(6)의 진동을 완충하는 서스펜션(8b)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binet 1, an outer tank 6 for storing water may be disposed. The outer tub 6 may be hung in the cabinet 1 by means of a hanger 8. The hanger 8 includes a support rod 8a whose upper end is pivotally coupled to the top cover 2 and a suspension 8b mounted on the support rod 8a for buffering vibrations of the outer tank 6. [ . ≪ / RTI >

상기 서스펜션(8b)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8b)은 상기 외조(6)를 지지하며, 상기 외조(6)가 진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로드(8a)를 따라 이동하는 외조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로드(8a)의 하단부에 고정배치되어, 상기 외조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spension 8b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suspension 8b supports the outer tank 6, and moves the outer tank 6 along the support rod 8a as the outer tank 6 vibrates.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uter tub supporting member.

상기 외조(6)는 상측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상측에는 외조 커버(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조 커버(7)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해 중앙부가 개구된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er tub 6 may be ope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outer tub cover 7 may be provided on the opened upper side. The outer cover (7)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central opening for entering and exiting laundry.

상기 외조(6)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조(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조(5)에는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멍들을 통해 상기 내조(5)와 상기 외조(6)가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side the outer tub 6, an inner tub 5 accommodating the laundry and rotated about a vertical axis may be disposed.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water passes can be formed in the inner tank 5, and the inner tank 5 and the outer tank 6 can be fluidly connected through the holes.

한편,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에는, 상기 외조(6)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밸로우즈(18)와, 배수 밸로우즈(18)를 단속하는 배수 밸브(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 밸로우즈(18)는 배수 펌프(45)와 연결되며, 제어부(26)의 제어 하에 상기 배수 밸브(64)가 개방될 때, 상기 배수 밸로우즈(18)를 통해 상기 배수 펌프(45)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배수 펌프(45)의 작동에 의하여 세탁수가 세탁물 처리 장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bellows 18 for draining water from the outer tank 6 and a drain valve 64 for interrupting the drainage bellows 18. The drainage bellows 18 is connected to a drainage pump 45 and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pump 45 through the drainage bellows 18 when the drainage valve 64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6. [ And water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by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45.

상기 내조(5)의 내부 바닥에는 펄세이터(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상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할 때, 상기 리브들에 의해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A pulsator (not shown)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inner tank 5. The pulsa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wardly projecting radial ribs. When the pulsator rotates, water flow can be formed by the ribs.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내조(5)와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세탁 모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 모터는, 상기 외조(6)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외조(6)와 함께 캐비닛(1) 내에 매달리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탁 모터는 구동부(14)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A washing moto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inner tank 5 and the pulsator. The washing motor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ub 6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hanging in the cabinet 1 together with the outer tub 6. The washing motor may be defined as being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14. [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펄세이터와 항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내조(5)와는 클러치(미도시)의 전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내조(5)와 결합된 상태로 동작할 때에는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내조(5)가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내조(5)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내조(5)는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펄세이터(15)만이 회전한다.The rotary shaft of the washing motor is always engaged with the pulsator, and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tub 5 in accordance with a switching operation of a clutch (not shown). Therefore, when the rotary shaft of the washing motor is operated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inner tub 5, the pulsator and the inner tub 5 rotate integrally. In a state where the rotary shaft of the washing motor is separated from the inner tub 5, only the pulsator 15 rotates while the inner tub 5 is stopped.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3)은,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가 제공하는 각종 운전 모드를 설정, 선택, 및 조정할 수 있는 키, 버튼,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24)와,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운전 상태, 상기 운전 모드의 선택에 따른 응답, 경고, 알림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5)는 램프, LCD 패널, LED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3 includes an input unit 24 including a key, a button, a touch panel, and the like for setting, selecting, and adjusting various operation modes provided by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a display unit 25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driving state, a respons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riving mode, a warning, a notification,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25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isplay panel such as a lamp, an LCD panel, or an LED panel.

상기 메모리(47)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운전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것으로, 휘발성/ 비휘발성 램(RAM), 롬(ROM), 플레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각종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47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operating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ay include various recording media such as volatile / nonvolatile RAM, ROM, and flash memory. have.

상기 탑 커버(2)에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첨가제를 내조(5) 내부로 물과 함께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17)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17)에 의해 공급되는 첨가제는 세제와 섬유 유연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op cover 2 may be provided with a dispenser 17 for supplying an additive, which acts on laundry, into the inner tank 5 together with water. The additives supplied by the dispenser 17 may include detergents, fabric softeners, and the like.

상기 배수 펌프(45)는, 순환수 배출 포트(451)와 배수 포트(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배수 펌프(45)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순환수 배출 포트(451)를 통해 물이 배출되어 상기 내조(5)로 공급된 뒤 상기 배수 밸로우즈(18)를 통해 상기 배수 펌프(45)로 되돌아온다. 반대로, 상기 배수 펌프(45)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배수 포트(452)를 통해 물이 세탁물 처리 장치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 펌프(45)는 물의 순환과 배수 기능을 모두 수행하므로, "배수 펌프"로 명칭을 한정하기보다 "펌프"로 정의할 수 있다.The drain pump 45 may include a circulating water discharge port 451 and a drain port 452. More specifically, when the drain pump 45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circulation water discharge port 451 to be supplied to the inner tank 5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pump 18 45). Conversely, when the drain pump 45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water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the drain port 452. Therefore, the drain pump 45 performs both water circulation and drainage functions, and thus can be defined as a "pump" rather than a "drain pump ".

순환호스(10)는 배수 펌프(45)에 의해 압송된 물을 순환 노즐(12)로 안내하는 것으로, 일 단부가 상기 순환수 배출 포트(451)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순환 노즐(12)과 연결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hose 10 guides the water pumped by the drain pump 45 to the circulation nozzle 12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water discharge port 45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nozzle 12 Lt; / RTI >

디스펜서(17)는 탑 커버(2)의 내측에 배치되는 디스펜서 하우징(171)과, 첨가제가 담기며 디스펜서 하우징(171)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드로워(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2)에는 드로워(172)가 통과되는 드로워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출입구에 대응하여 디스펜서 하우징(171)에는 상기 드로워 출입구를 대향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dispenser 17 may include a dispenser housing 171 disposed inside the top cover 2 and a drawer 172 containing the additive and being drawably received in the dispenser housing 171. The top cover 2 may be provided with a draw opening for allowing the drawer 172 to pass therethrough,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dispenser housing 171 corresponding to the draw opening, .

그리고, 상기 드로워 하우징(171)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급수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급수 포트들은, 세제 수용부(172a)로 온수와 냉수가 각각 유입되도록 하는 제 1 급수 포트(171a) 및 제 2 급수 포트(171b)와,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로 냉수(또는 온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3 급수 포트(171c)를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ort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housing 171. These water supply ports include a first water supply port 171a and a second water supply port 171b for allowing hot water and cold water to flow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72a respectively and cold water And a third water supply port 171c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급수 호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급수 호스들은 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제 1 급수 포트(171a)로 안내하는 제 1 급수 호스(미도시)와, 온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제 2 급수 포트(171b)로 안내하는 제 2 급수 호스(미도시)와, 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제 3 급수 포트(171c)로 안내하는 제 3 급수 호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one water supply hose (not shown)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such as a tap. These water supply hoses include a first water supply hose (not shown) for guid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source to the first water supply port 171a and a second water supply hose (not shown) for guid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source to the second water supply port 171b And a third water supply hose (not shown) for guid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source to the third water supply port 171c.

또한,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에는, 상기 급수 호스들의 개폐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급수밸브(34)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급수 호스(미도시)를 단속하는 제 1 급수밸브(미도시)와, 상기 제 2 급수 호스를 단속하는 제 2 급수밸브(미도시)와, 상기 제 3 급수 호스를 단속하는 제 3 급수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급수밸브들은 상기 제어부(26)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t least one water supply valve 34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hoses. For example, a first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for interrupting a first water supply hose (not shown), a second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for interrupting the second water supply hose, (Not shown), and each of the water supply valves may be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6. [003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상기 외조(6) 내부에 제공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는 수위 센서(54)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급수밸브(34) 및/또는 배수 밸브(64)를 제어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54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wash water provided in the outer tub 6. The control unit 26 can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34 and / or the drain valve 64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54. [

상세히, 수위 감지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일단이 상기 배수 밸로우즈(18)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에어 챔버가 형성되는 에어호스와, 상기 에어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호스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의 압력 변화에 따른 주파수 변동량으로 상기 외조(6)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54)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cting the level of water includes an air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18 and having an air chamber formed therein, and an air hos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hose And a water level sensor 54 for measuring a water level in the outer tank 6 with a frequency variation amount in accordance with a pressure change of air delivered through the air hose.

상기 외조(6)에 공급되는 세탁수의 수위가 변경되면, 상기 에어챔버의 내부로 세탁수가 유출입되면서 에어호스에 작용하는 공기 압력이 변하게 된다. 상기 수위센서(54)는 공기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주파수 변동량에 기반하여 상기 외조(8)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outer tub 6 is changed,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air chamber and the air pressure acting on the air hose is changed. The water level sensor 54 senses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accommodated in the outer tub 8 based on a frequency variation amount that varies with changes in the air pressure.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상기 내조(5) 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로서, 순환 노즐(12)과 직수 노즐(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 노즐(12)과 직수 노즐(13)은 탑 커버(2)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드로워(17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직수 노즐(13)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 호스(미도시)와, 상기 직수 공급 호스를 단속하는 제 4 급수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 circulation nozzle 12 and a direct water nozzle 13, which are nozzles for spraying water into the inner tank 5. The circulation nozzle 12 and the direct water nozzle 13 may be installed on the top cover 2 and preferably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drawer 172 interposed therebetween. A direct water supply hose (not shown) for guid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source to the direct water nozzle 13, and a fourth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for interrupting the direct water supply hos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세탁물 처리 장치를 설치한 후 실제 운전을 하기 전에, 설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자동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설치 검사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automatically checking whether a laundry is installed before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installed, Can be defined as an 'installation inspection mode'.

상세히, 설치 기사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구매자(사용자)가 지정한 설치 장소에 설치하고, 파워 코드를 연결하여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그러면, 세탁물 처리 장치의 입력부(24)에 전원이 인가되어 운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설치 기사는 설치 검사 명령을 입력한다(S11). In detail, the installer installs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t the installation site specified by the purchaser (user), and connects the power cord to supply power. Then, power is supplied to the input unit 24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a state in which a driving command can be inputted is obtained. In this state, the installer inputs an installation inspection command (S11).

상세히, 상기 설치 검사 명령은 설치 검사 모드를 시작하라는 지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입력부(24)에 설치 검사 모드용 버튼이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고, 다른 운전 명령을 위한 다수의 입력부 중 두 개 이상을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조작하여 설치 검사 모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치 검사 모드는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 장치를 최초로 설치하였을 때를 제외하고 사용 빈도가 매우 낮으므로, 별도의 입력 버튼을 설치하기보다, 기존에 있는 명령 입력 버튼들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stallation inspection command is an instruction to start the installation inspection mode. The installation inspection mode button may be separately provided to the input unit 24, and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for another operation command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stallation inspection mode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at a time difference. The installation inspection mode is generally very low, except when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installed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existing command input buttons rather than installing a separate input button.

설치 검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6)에서는 수위 센서(54)를 통하여 외조의 수위를 감지한다(S12). 상기 수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값으로 제어부(26)에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수위가 설정 수위 미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상기 설정 수위는 외조 내에 세탁수가 없는 수준의 수위, 즉 완전 배수에 대응하는 수위를 의미한다. 만일, 감지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으로 판단되면 감지된 수위가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다. When the install inspec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26 senses the level of the outer tank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54 (S12). The water level can be recognized by the control unit 26 as a frequency value, as described above.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detected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set water level. The set water level means a water level which is not washable in the outer tank, that is, a water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 water drainage. If the detected water level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sensed water level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 unit.

그리고, 최초 수위가 감지된 상태에서 냉수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여(S13), 세탁수가 상기 외조(6)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세탁수 수위가 제 1 설정 시간(t1) 내에 목표 급수 수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4). 상기 목표 급수 수위는 제어부(26)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설치 기사에 의하여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설치 기사에 의하여 목표 급수 수위가 직접 입력되는 경우는, 최초 감지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이다. 즉, 제품의 검사 과정에서 외조(6)로 공급된 물이 완전히 배수되지 않고 제품 출시 시에 외조(6)에 물이 어느 정도 남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는, 설치 기사가 목표 급수 수위를 직접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Then, in a state where the initial water level is sensed, the cold water valve is opened (S13), and the wash water is supplied into the outer tank 6.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wash water level has reached the target water supply level within the first set time t1 (S14). The target water supply level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26 or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installer. When the target water level is directly input by the installer, the first detected water level is judged to be higher than the set water level. That is, the water supplied to the outer tank 6 may not be completely drained during the inspection of the product, and some water may remain in the outer tank 6 at the time of product launch. In this case, the installer may need to adjust the target water level manually.

상세히, 설정 시간 내에 수위가 목표 설정 수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공급된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 감지 단계가 수행된다(S15). 그러나, 제 1 설정 시간(t1) 내에 수위가 목표 급수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 1 에러 메세지가 표시부에 표시된다(S28). 제 1 에러 메세지의 표시와 함께 냉수 밸브는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level has reached the target set water level within the set time, a water temperature sensing step is performed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wash water (S15). However, if the water level has not reached the target water level within the first set time t1, the first error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28). The cold water valve can be automatically closed with the display of the first error message.

상기 제 1 에러 메세지는, 급수 호스의 꺾임 또는 눌림 현상에 의하여 세탁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거나, 설치 장소의 수압이 너무 낮아서 세탁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에러 표시가 뜨는 경우, 설치 기사는 급수 호스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거나 수압을 체크할 수 있다. The first error message may be displayed when the wash water is not properly supplied due to the bending or pressing phenomenon of the water supply hose or the water pressure of the installation place is too low to supply the wash water properly. If the first error indication appears, the installer can check the water supply hose connection or check the water pressure.

한편, 감지된 수온이 설정 온도(T)보다 낮은지 여부가 판단되며(S16), 설정 온도(T)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냉수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었다고 판단하여 온수 밸브 개방 단계(S17)로 넘어간다. 그러나, 감지된 수온이 설정 온도(T)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냉수 공급 포트에 온수 호스가 잘못 연결된 것으로 보아 제 2 에러 메세지가 표시부에 표시된다(S29). 제 2 에러 메세지의 표시와 함께 배수 펌프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wate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T (S16), it is determined that the cold water is normally suppli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hot water valve opening step S17.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wate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T, the second error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ecause the hot water hose is incorrectly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upply port (S29).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can be stopped together with the display of the second error message.

제 2 에러 표시가 뜨는 경우, 설치 기사는 냉수 호스가 냉수 공급 포트에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다시 확인하고, 온수 호스가 냉수 공급 포트에 연결된 경우 온수 호스를 분리하고 냉수 호스를 다시 연결할 수 있다. In the event of a second error indication, the installer may re-check that the cold water hose is properly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upply port and disconnect the hot water hose and reconnect the cold water hose when the hot water hose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upply port.

냉수 호스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온수 밸브를 개방하여 온수가 원활하게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보일러가 작동하지 않거나 온수 호스가 온수 공급 포트에 연결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온수가 외조(6) 내부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에러 메세지가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고, 온수 밸브 개방 시간이 제 2 설정 시간(t2)을 경과하면 자동으로 온수 밸브가 폐쇄되도록 한다(S19).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온수 공급에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에러 메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If the cold water hose connection is established properly, the hot water valve can be opened to determine whether hot water is being supplied smoothly. If the boiler does not operate or the hot water hose is not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port, hot water may not be supplied into the outer tank (6). In this case, a separate error message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hot water valve is automatically closed when the hot water valve opening time passes the second set time t2 (S19).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error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 problem in supplying hot water.

또한, 온수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트 스프레이(미도시)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S20). 제트 스프레이는, 외조(6)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고압의 세탁수가 세탁물 표면에 분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트 스프레이 작동 시간이 제 3 설정 시간(t3)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S21), 제트 스프레이 작동을 중지한다(S22). In addition, the jet spray (not shown) may be operated while the hot water valve is closed (S20). The jet spray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 6, and the high-pressure wash water is sprayed onto the surface of the laund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jet spray operation time has passed the third set time t3 (S21), the jet spray operation is stopped (S22).

그리고, 제트 스프레이 작동이 중지한 상태에서, 상기 수위 센서(54)를 통하여 외조(6) 내의 현재 수위를 감지한다(S23). 그리고, 배수 펌프가 작동하여(S24), 외조(6)에 저장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4 설정 시간(t4) 내에 수위가 목표 배수 수위까지 낮아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5). 그리고, 제 4 설정 시간(t4) 내에 목표 배수 수위까지 수위가 낮아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 3 에러 메세지가 표시부에 표시된다(S30). 제 3 에러 메세지는, 배수 호스가 꺾이거나 눌려서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배수 펌프에 문제가 생긴 경우, 또는 배수 호스의 출구단 또는 상측으로 휘어진 부분이 배수 펌프 또는 현재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놓여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에러 메세지가 뜨면 설치 기사는 배수 호스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배수 펌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n, in a state where the jet spraying operation is stopped, the current water level in the outer tank 6 is sens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54 (S23). Then, the drain pump is operated (S24), and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6 is drained.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water level is lowered to the target drainage level within the fourth set time t4 (S2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level is not lowered to the target drainage level within the fourth set time t4, the third error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30). The third error message indicates that when the drain hose is bent or pressed and the drainage is not smooth, the drainage pump has a problem, or the outlet end of the drainage hose or the bent portion of the drainage hose is located higher than the drainage pump or the current water level It can be displayed when drainage is not smooth. Therefore, when the third error message is displayed, the installer can confirm the state of the drain hose or check the state of the drain pump.

한편, 제 4 설정 시간(t4) 내에 수위가 목표 배수 수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탈수 모드가 작동한다(S26). 탈수 모드에서는 세탁 모터가 최대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세탁 모터의 작동 시간이 제 5 설정 시간(t5)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설치 검사 모드를 종료한다. 여기서, 탈수 모드를 작동시키는 이유는, 세탁 모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세탁 모터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세탁 모터가 최대 속도로 회전하지 못할 수도 있고, 진동이나 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 기사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전원을 강제로 오프시켜 세탁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level has reached the target drainage level within the fourth set time t4, the dehydration mode is activated (S26). In the dehydration mode, the washing motor rotates at the maximum spe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time of the washing motor has reached the fifth set time t5, the installation inspection mode is terminated. Here, the reason for operating the dehydration mode is to judge whether or not the washing motor is operating properly. In the event of a problem with the washing motor, the washing motor may not be able to rotate at full speed, and excessive vibration or noise may occur. In this case, the installer can turn off the washing motor by forcibl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이와 같이, 세탁물 처리 장치를 설치 장소에 최초로 설치한 상태에서, 설치 검사 모드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세탁물 처리 장치의 설치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가 확인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manner, the installation inspection mode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ite for the first tim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installed automatically.

Claims (6)

세탁물 처리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고, 설치 검사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외조 내 초기 수위가 감지되고, 감지된 초기 수위 값이 저장되는 단계; 및
냉수 밸브가 개방되고, 제 1 설정 시간(t1) 내에 외조 내 수위가 목표 급수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외조 내 수위가 상기 제 1 설정 시간(t1) 내에 목표 급수 수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급수 에러를 알리는 제 1 에러 메세지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A step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nstallation inspection command is inputted;
The initial water level in the outer tank is sensed and the sensed initial water level value is stored; And
The cold water valve is open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water level in the inner tank reaches the target water level in the first set time t1,
Wherein when the water level in the outer tank does not reach the target water level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t1, a first error message indicating a watering err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냉수 밸브가 폐쇄되고, 외조 내로 공급된 세탁수의 온도가 감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감지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 2 에러 메세지가 표시부에 표시되며,
상기 제 2 에러 메세지는 온수 호스가 세탁물 처리 장치의 냉수 공급 포트에 잘못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d water valve is clos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supplied into the bath is sensed,
If the detected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 second error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second error message i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hot water hose is incorrectly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upply port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제 2 항에 있어서,
온수 밸브가 제 2 설정 시간 동안 개방되어, 온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ot water valve is opened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period so that hot water supply is smoothly per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제트 스프레이가 제 3 설정 시간 동안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perating the jet spray for a third set time.
제 2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조 내 현재 수위가 감지되고, 배수 펌프가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4 설정 시간 내에 외조 내 수위가 목표 배수 수위에 도달하는지 못하는 경우, 배수 에러를 알리는 제 3 에러 메세지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the current water level in the bath and operating the drain pump,
A third error message indicating a multiple err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water level in the outer tank does not reach the target drainage level within the fourth set time.
제 5 항에 있어서,
세탁 모터가 최대 속도로 제 5 설정 시간 동안 회전하는 탈수 모드 작동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dehydration mode operation step in which the washing motor rotates for a fifth predetermined time at a maximum speed.
KR1020170086020A 2017-07-06 2017-07-06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379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20A KR102437949B1 (en) 2017-07-06 2017-07-06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6/028,627 US20190010648A1 (en) 2017-07-06 2018-07-06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20A KR102437949B1 (en) 2017-07-06 2017-07-06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14A true KR20190005414A (en) 2019-01-16
KR102437949B1 KR102437949B1 (en) 2022-09-01

Family

ID=6490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020A KR102437949B1 (en) 2017-07-06 2017-07-06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010648A1 (en)
KR (1) KR1024379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9327B2 (en) 2019-07-22 2022-06-1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water supply lev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962A (en) * 2019-10-31 2021-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laundry treat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275A (en) * 2010-07-06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ntrol method of the washing machine
EP3073006A1 (en) * 2015-03-27 2016-09-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malfunction of a recirculation pump in 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using such method
KR20170033685A (en) 2015-09-1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76127B1 (en) * 2009-12-03 2013-02-04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FILLING OF A WASHING CUBE OF 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THAT EXECUTES SUCH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275A (en) * 2010-07-06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ntrol method of the washing machine
EP3073006A1 (en) * 2015-03-27 2016-09-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malfunction of a recirculation pump in 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using such method
KR20170033685A (en) 2015-09-1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9327B2 (en) 2019-07-22 2022-06-1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water supply le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949B1 (en) 2022-09-01
US20190010648A1 (en)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106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49371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40841B1 (en) method for washing laundry with steam
EP1895041A1 (en) Pedestal dryer for laundry machine and combined laundry machine
US988513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0801557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washing machine
US1128003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66362B2 (en) Washing machine capable of controlling control panel related to operation of heaters
KR20180102828A (en) Washing apparu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37949B1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021832B2 (en) Detergent box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1689719B1 (en) A control method of the washing machine
KR102348371B1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7797952B2 (en) Defrosting method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090044204A (en) Control method for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220056145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20056146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774808B1 (en) A washing machine
AU201733858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US1123080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080042610A (en) A washer and washing method by bubble thereof
JP2022159586A (en) washing machine
WO202121922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KR20070015306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