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376A - Diluted solution supplying device - Google Patents

Diluted solution supply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376A
KR20190005376A KR1020170085925A KR20170085925A KR20190005376A KR 20190005376 A KR20190005376 A KR 20190005376A KR 1020170085925 A KR1020170085925 A KR 1020170085925A KR 20170085925 A KR20170085925 A KR 20170085925A KR 20190005376 A KR20190005376 A KR 20190005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tank
diluent
wate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3753B1 (en
Inventor
최농훈
정한성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753B1/en
Publication of KR2019000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3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Abstract

Provided is a diluent supply device capable of stably supplying a diluted disinfectant of an appropriate dilution ratio. A diluted disinfectant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disinfectant tank to which a disinfectant may be injected; a water supply source which is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make a diluted disinfectant; a first diluent tank which is capable of mixing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supply source to form a diluted disinfectant and store the same; a second diluent tank which is capable of mixing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form a diluted disinfectant and store the same; and a selection valve which allows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be supplied to any one of the first diluent tank and the second diluent tank.

Description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Diluted solution supplying device}Disclosed is a diluted solution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안정적으로 일정한 농도의 소독제 희석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capable of stably supplying a constant concentration of disinfectant diluent.

가축 전염병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농가 및 축산시설을 출입하는 차량에 대한 철저한 소독이 필요하다. 특히, 다수의 차량이 한곳에 모이는 도축장, 사료공장, 도계장 또는 계란 집하장과 같은 시설에서의 소독은 특이 중요하다. 축산물 수송 차량 한 대가 다수의 농가를 방문하기 때문에 철저한 소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가축전염병의 전국적인 유행이 일어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livestock epidemics,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disinfect the vehicles entering and leaving the farm and livestock facilities. In particular, disinfection at facilities such as slaughterhouses, feed mills, slaughterhouses or egg collecting houses where a large number of vehicles are gathered is of particular importance. A livestock transport vehicle visits a large number of farms, and if thorough disinfection is not achieved, the national epidemic of livestock epidemics can occur.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의하여 도축장, 사료공장 또는 축산농가 등과 같은 축산관계시설의 차량출입지역에 소독시설을 설치하도록 하여 출입차량에 대한 소독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적절한 소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정 농도의 소독제 희석액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경우, 소독제와 경수를 섞어 만든 소독액이 전염성 질병 원인체에 대한 효과를 내기 위한 적정 희석배수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적정 수준의 소독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Korea, it is required to disinfect access vehicles by installing disinfection facilities in the access areas of livestock related facilities such as slaughterhouses, feed factories, or livestock farms by Livestock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Act. Proper disinfection dilution should be used to ensure proper disinfec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isinfectant diluent supply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infectant solution prepared by mixing the disinfectant and hard water does not maintain an appropriate dilution rate for effecting the infectious disease agent, and it is difficult to disinfect the proper leve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정적으로 적정 희석배수의 소독제 희석액을 공급할 수 있는 희석액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luting liquid supply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supplying a diluting liquid of a disinfectant with an appropriate dilution drainage.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소독제가 투입될 수 있는 제1소독제탱크와, 소독제 희석액을 만들기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원과, 상기 제1소독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하여 소독제 희석액을 형성하고 수용할 수 있는 제1희석액탱크와, 상기 제1소독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하여 소독제 희석액을 형성하고 수용할 수 있는 제2희석액탱크와, 상기 제1소독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1희석액탱크와 상기 제2희석액탱크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는 선택밸브를 구비하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infectant system comprising a first disinfectant tank into which a disinfectant can be introduced, a water supply source capable of supplying water for making a disinfectant diluent, a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 first diluent tank capable of mixing and containing water to form and accommodate a disinfectant diluent and a second diluent tank for mixing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to form a second disinfectant diluent, And a selector valve for supplying the diluting liquid tank,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one of the first diluting liquid tank and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 RTI >

나아가 상기 제1소독제탱크의 유출구가 연결된 소독제밸브와, 상기 소독제밸브의 유출구에 연결된 제1유입구,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제2유입구 및 하나의 중간유출구를 갖는 펌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밸브는 유입구, 제1유출구 및 제2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선택밸브의 유입구는 상기 펌프의 중간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선택밸브의 제1유출구는 상기 제1희석액탱크의 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선택밸브의 제2유출구는 상기 제2희석액탱크의 유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disinfectant valve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 pump having a first inlet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disinfectant valve, a second inlet connected to the water source and one intermediate outlet, Wherein the inlet of the selector valve is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outlet of the pump, the first outlet of the selector valve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first diluent tank, the selector valve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selector valve, The second outlet of the second diluent tank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second diluent tank.

이 경우, 소독제가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소독제밸브에 유출구가 연결된 제2소독제탱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anitiz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isinfectant tank to which the disinfectant may be introduced and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disinfectant valve.

상기 소독제밸브는 상기 제1소독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상기 제2소독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 중 어느 하나만을 상기 펌프로 공급할 수 있다.The disinfectant valve may supply only one of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to the pump.

또는, 상기 제1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펌프로 공급될 시, 상기 선택밸브는 상기 제1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제1희석액탱크로 공급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펌프로 공급될 시, 상기 선택밸브는 상기 제2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제2희석액탱크로 공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are supplied to the pump, the selection valve supplies water from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first diluent tank Wherein when the disinfectant in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and water from the water source are supplied to the pump, the selection valve is set such that water from the disinfectant in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an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flows into the second diluent tank . ≪ / RTI >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상술한 것과 같은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1희석액탱크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양이 줄어드는 동안에는, 상기 제1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2희석액탱크로 공급되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as described above, wherein, while the amount of the diluting liquid of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luent tank is reduced, the disinfectant is supplied from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supply source Wherein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상기 제1희석액탱크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양이 줄어드는 동안에는 상기 제2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2희석액탱크로 공급되고, 상기 제2희석액탱크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양이 줄어드는 동안에는 상기 제1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1희석액탱크로 공급되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infectant in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are supplied to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while the amount of the diluting liquid of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luting liquid tank is reduced, Wherein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are supplied to the first diluent tank while the amount of the disinfectant diluent in the second diluent tank is reduc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적정 희석배수의 소독제 희석액을 공급할 수 있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capable of stably supplying a dilution liquid of disinfectant with an appropriate dilution drainage.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infectant dilu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isinfectant dilu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various components such as layers, films, regions, plates, and the like are referred to as being " on " other components, . Also,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 three axes.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는 제1소독제탱크(110), 물공급원(210), 제1희석액탱크(310), 제2희석액탱크(320) 및 선택밸브(410)를 구비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infectant dilu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disinfectant tank 110, a water supply source 210, a first diluent tank 310, a second diluent tank 320, (410).

제1소독제탱크(110)에는 희석될 소독제가 투입될 수 있다. 희석될 소독제는 액상이며, 소독제 희석액을 만들기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과 혼합될 수 있다. 물공급원(210)은 소독제 희석액을 만들기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경수(일반수돗물)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원(210)은 상수도에 연결된 물탱크일 수 있다.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may be filled with a disinfectant to be diluted. The disinfectant to be diluted is a liquid and can be mixed with water from a water source 210 that can supply water to make a disinfectant diluent. The water supply source 210 is capable of supplying water for making a disinfectant diluent, and can supply hard water (general tap water). This water source 210 may be a water tank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제1희석액탱크(310)와 제2희석액탱크(320)는 각각 제1소독제탱크(110)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물공급원(2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하여 소독제 희석액을 형성하고 수용할 수 있다. 제1소독제탱크(110)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물공급원(2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소독제 희석액이 제1희석액탱크(310)에 저장되느냐 제2희석액탱크(320)에 저장되느냐는, 선택밸브(410)에 의해 결정된다. 즉, 선택밸브(410)는 제1소독제탱크(110)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물공급원(2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1희석액탱크(310)와 제2희석액탱크(32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한다.The first diluent tank 310 and the second diluent tank 320 may be formed by mixing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210 to form and disinfect the disinfectant diluent . Whether the disinfectant diluent which is formed by mixing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210 is stored in the first diluent tank 310 or the second diluent tank 320 , And is determined by the selection valve 410. That is, the selection valve 410 may supply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210 to one of the first diluent tank 310 and the second diluent tank 320 .

제1희석액탱크(310)와 제2희석액탱크(320)에 저장된 소독제 희석액은 바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희석액탱크(310)와 제2희석액탱크(320)에 저장된 소독제 희석액은 차량의 외부 및/또는 하부에 살포되어, 차량의 소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는 이와 같이 소독제 희석액이 사용되는 도중에도,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적정 희석배수의 소독제 희석액을 계속해서 생성할 수 있다.The diluting liquid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first diluting liquid tank 310 and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320 may be used immediately. For example, the diluting liquid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first diluting liquid tank 310 and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320 may be sprayed to the outside and / or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and used for disinfecting the vehicle.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inuously generate a disinfectant diluent having an appropriate dilution rate, the concentration of which is kept constant even during the use of the disinfectant diluent.

종래의 희석액 공급장치의 경우, 하나의 탱크를 이용하여 소독제와 물을 희석 후 저장 및 사용하여 왔다. 저장된 희석액을 사용하면 양이 줄어들게 된다. 이 과정에서 탱크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희석배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탱크 내 저장된 소독액이 일정량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급수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소독제는 추가적으로 투입되지 않아 소독액의 농도가 점차 낮아지게 된다. 또한, 탱크에 물을 공급하면서 소독제를 투입하게 되면, 탱크 내의 용액에 있어서 그 위치에 따라 소독제의 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물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산 등의 현상으로 전체적으로 희석배수가 일정하게 되지만, 탱크에 물을 공급하면서 소독제를 투입하는 그 순간에는 희석액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소독제의 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독제를 물에 추가적으로 투입하는 순간 바로 녹지 않기 때문에 적정 농도로 높아지는데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다량의 소독제가 추가됨으로써 사용 초반에는 기준보다 높은 농도로 분사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소독액의 농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점들이 소독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소독제 희석장치의 내구성을 낮추고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diluent feeders, one tank has been used to store and use disinfectants and water after dilution. The amount of stored diluent is reduced.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dilution rate of the diluting liquid of the disinfectant in the tank can not be kept constant.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tank drops below a certain amount, the water supply is automatically performed, but the disinfectant concentration is gradually lowered because no additional disinfectant is added. Further, when the disinfectant is supplied while supplying water to the tank,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olution in the tank. Of course, over time, the dilution factor will be constant as a whole due to the phenomenon of diffusion, but the concentration of disinfectant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disinfectant at the moment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tank and the disinfectant is introduced. Likewise, since the disinfectant is not dissolved immediately when it is added to water, it takes time to raise the concentration to a proper level, and since a large amount of disinfectant is added, it is sprayed at a higher concentration than the standard in the early stage of 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centration is lowered. These points not only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from being kept constant, but also serve as a major factor in reducing the durability and life span of the disinfectant diluting device.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희석액탱크(310)에 저장된 소독제 희석액을 제1플로우스위치(3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는 동안에는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과 제1소독제탱크(110)로부터의 소독제를 제2희석액탱크(320)에 공급하여 제2희석액탱크(320) 내에 소독제 희석액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2희석액탱크(320)에 저장된 소독제 희석액을 제2플로우스위치(32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는 동안에는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과 제1소독제탱크(110)로부터의 소독제를 제1희석액탱크(310)에 공급하여 제1희석액탱크(310) 내에 소독제 희석액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제1희석액탱크(310) 내의 소독제 희석액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제2희석액탱크(320) 내에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적정 희석배수의 소독제 희석액을 생성하고, 제2희석액탱크(320) 내의 소독제 희석액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제1희석액탱크(310) 내에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적정 희석배수의 소독제 희석액을 생성함으로써, 소독제 희석액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적정 희석배수의 소독제 희석액이 계속해서 준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적정 희석배수의 소독제 희석액을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ccurrence of such a problem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or example, while the diluted liquid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first diluting liquid tank 3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flow switch 312,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210 and the disinfectant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2 diluent tank 320 so as to generate a diluting liquid for the disinfectant in the second diluent tank 320. The diluting liquid stored in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3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flow switch 322 so that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210 and the disinfectant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1 diluent tank 310 so as to generate a diluting liquid for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luent tank 310. Accordingly, during the use of the diluting liquid in the first diluting liquid tank 310, the diluting liquid having a proper dilution level is maintained in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320, and the diluting liquid in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320 A diluent of the disinfectant diluted with the appropriate diluent is maintained in the first diluent tank 310 so that the disinfectant diluent of the appropriate diluted diluent continuously maintained at a constant concentration Can be prepa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use a disinfectant diluent having an appropriate dilution ratio, the concentration of which is kept constant.

한편, 원활하게 소독제 희석액을 생성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가 펌프(510)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는 제1소독제탱크(110)의 유출구가 연결된 소독제밸브(4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제1소독제탱크(110)의 유출구에 연결된 관로(L11)는 소독제밸브(420)의 일측에 연결되고, 소독제밸브(420)의 타측에 연결된 관로(L13)는 펌프(510)의 제1유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원(210)에 연결된 관로(L21)는 펌프(510)의 제2유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제1소독제탱크(110)의 유출구가 소독제밸브(4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펌프(510)의 제1유입구가 소독제밸브(420)의 타측인 유출구에 연결되며, 펌프(510)의 제2유입구가 물공급원(2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moothly generate the disinfectant diluent,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may be provided with the pump 510 as shown in Fig. And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infectant valve 420 to which the outlet of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is connected. That is, the pipeline L11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infectant valve 420 and the pipeline L13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disinfectant valve 4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an be connected to the inlet. And a conduit L21 connected to the water source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of the pump 510. [ This is because the outlet of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infectant valve 420 and the first inlet of the pump 510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other side of the disinfectant valve 420, 2 inlets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ource 210.

한편, 선택밸브(410)는 유입구, 제1유출구 및 제2유출구를 갖는다. 이에 따라 선택밸브(410)의 유입구는 관로(L54)를 통해 펌프(510)의 중간유출구에 연결되고, 선택밸브(410)의 제1유출구는 관로(L31)를 통해 제1희석액탱크(310)의 유입구에 연결되며, 선택밸브(410)의 제2유출구는 관로(L32)를 통해 제2희석액탱크(320)의 유입구에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lection valve 410 has an inlet, a first outlet, and a second outlet. The inlet of the selector valve 410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outlet of the pump 510 through the pipeline L54 and the first outlet of the selector valve 410 is connected to the first diluent tank 310 through the pipeline L31, And the second outlet of the selector valve 410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second diluent tank 320 through the channel L32.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경우, 예컨대 제2희석액탱크(320)에서 소독제 희석액을 생성할 경우, 먼저 소독제밸브(420)를 오픈시켜 제1소독제탱크(110) 내의 소독제가 펌프(510)를 통해 제2희석액탱크(32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 역시 펌프(510)를 통해 제2희석액탱크(32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펌프(510)의 중간유출구에 연결된 선택밸브(410)는 펌프(510)로부터의 물, 소독제 및/또는 혼합액이 제2희석액탱크(320)에 공급되도록 한다. 사전설정된 양의 소독제가 제1소독제탱크(110)로부터 공급되면, 소독제밸브(420)를 차폐시켜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만이 제2희석액탱크(320)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소독제탱크(110)의 크기에 맞춰 사전설정된 정확한 양의 소독제가 제1소독제탱크(11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generating a disinfectant diluent in the second diluent tank 320, for example, the disinfectant valve 420 may be opened so that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n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320 through the second diluent tank 510. In this process, water from the water source 210 may also be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320 through the pump 510.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selector valve 410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outlet of the pump 510 allows water, disinfectant and / or mixed liquid from the pump 510 to be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32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disinfectant is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the disinfectant valve 420 is shielded so that only water from the water source 210 is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320. Accordingly,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disinfectant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물론 이후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을 제2희석액탱크(320)에 공급하면서 제2희석액탱크(320)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수위가 사전설정된 수위가 되도록 함으로써, 역시 사전설정된 정확한 양의 물이 제2희석액탱크(32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산 등의 현상에 의해 제2희석액탱크(320) 내에서 전체적으로 희석배수가 일정한 소독제 희석액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2희석액탱크(320) 내에서 전체적으로 희석배수가 일정한 소독제 희석액이 될 때까지는 제2희석액탱크(320) 내의 소독제 희석액을 사용하지 않고 제1희석액탱크(310) 내의 소독제 희석액을 사용함으로써, 희석배수가 일정하지 않은 소독제 희석액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f course, by supplying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210 to the second diluent tank 320 while allowing the water level of the diluting liquid in the second diluent tank 320 to reach a predetermined level, 2 < / RTI > The dilution liquid can be made to be a disinfectant diluent having a constant dilution drainage in the second dilution liquid tank 320 by the phenomenon of diffusion or the like over time. Of course, by using the disinfectant diluting liquid in the first diluting liquid tank 310 without using the disinfecting liquid diluting liquid in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320 until the entire dilution liquid is made to have a constant disinfectant dilution in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3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 of a disinfectant diluent having a non-constant water content.

이와 같이 제2희석액탱크(320) 내에서 전체적으로 희석배수가 일정한 소독제 희석액이 형성된 이후에는 제2희석액탱크(320) 내의 소독제 희석액을 차량의 소독 등에 사용하며, 제2희석액탱크(320) 내의 소독제 희석액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상술한 것과 동일/유사한 방법을 통해 제1희석액탱크(310) 내에 전체적으로 희석배수가 일정한 소독제 희석액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희석배수가 일정한 소독제 희석액을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disinfectant dilution liquid having a constant dilution rate is formed in the second dilution liquid tank 320 as described above, the disinfectant dilution liquid in the second dilution liquid tank 320 is used for disinfection or the like of the vehicle. In the second dilution liquid tank 320, A dilute solution of a predetermined dilution drainage is formed in the first dilution tank 310 through the same or similar method as described above.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tinuously and continuously use the disinfectant diluent having a constant dilution factor.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는 소독제가 투입될 수 있으며 관로(L12)를 통해 소독제밸브(420)에 유출구가 연결된 제2소독제탱크(120)를 더 구비한다. 제2소독제탱크(120)는 소독제밸브(420)를 통해 펌프(5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소독제밸브(420)는 제1소독제탱크(110)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제2소독제탱크(120)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 중 어느 하나만을 펌프(510)로 공급할 수 있다.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isinfectant diluen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luting liquid suppl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cond disinfectant tank 120 through which a disinfectant can be introduced and an outlet is connected to the disinfectant valve 420 through a pipe L12.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120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510 via a disinfectant valve 420. The disinfectant valve 420 may supply only one of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and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120 to the pump 510.

제1소독제탱크(110) 내의 소독제와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이 펌프(510)로 공급될 시, 선택밸브(410)는 제1소독제탱크(110) 내의 소독제와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이 제1희석액탱크(310)로 공급되도록 설정된다. 이를 통해 제1희석액탱크(310) 내에 사전설정된 희석배율의 소독제 희석액이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이 동안에는 제2희석액탱크(320) 내에 형성되어 있던 소독제 희석액이 제2플로우스위치(3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소독제탱크(120) 내의 소독제와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이 펌프(510)로 공급될 시에는, 선택밸브(410)는 제2소독제탱크(120) 내의 소독제와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이 제2희석액탱크(320)로 공급되도록 설정된다. 이를 통해 제2희석액탱크(320) 내에 사전설정된 희석배율의 소독제 희석액이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이 동안에는 제1희석액탱크(310) 내에 형성되어 있던 소독제 희석액이 제1플로우스위치(3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and the water from the water source 210 are supplied to the pump 510, the selection valve 410 is disconnected from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and the water source 210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diluent tank 310. [0064] Thereby allowing a predetermined dilution dilution of the disinfectant to be formed in the first diluent tank 310. Of course, during this time, the diluting liquid formed in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3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flow switch 322. When the disinfectant in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120 and the water from the water source 210 are supplied to the pump 510, the selection valve 410 disinfects the disinfectant in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120 and the water source 210, Is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320). Thereby allowing a dilution of the disinfectant diluent to be formed in the second diluent tank 320 at a predetermined dilution rate. Of course, during this time, the diluting liquid formed in the first diluting liquid tank 3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flow switch 312.

제1소독제탱크(110)와 제2소독제탱크(120) 각각에는 사전설정된 양의 소독제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소독제탱크(110) 내에 투입된 소독제가 모두 제1희석액탱크(310)에 공급되고, 아울러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이 제1희석액탱크(310)에 공급되도록 하면서 제1희석액탱크(310) 내의 사전설정된 수위까지 소독제 희석액이 차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게 사전설정된 희석배율의 소독제 희석액이 제1희석액탱크(310) 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소독제탱크(120) 내에 투입된 소독제가 모두 제2희석액탱크(320)에 공급되고, 아울러 물공급원(210)으로부터의 물이 제2희석액탱크(320)에 공급되도록 하면서 제2희석액탱크(320) 내의 사전설정된 수위까지 소독제 희석액이 차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게 사전설정된 희석배율의 소독제 희석액이 제2희석액탱크(320) 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1소독제탱크(110) 내의 소독제 수용량과 제2소독제탱크(120) 내의 소독제 수용량이 상이할 수 있으나, 제1희석액탱크(310) 내의 사전설정된 수위와 제2희석액탱크(320) 내의 사전설정된 수위가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희석액탱크(310)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희석배율과 제2희석액탱크(320) 내의 소독제 희석액 배율이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A predetermined amount of disinfectant may be introduced into each of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and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120. All the disinfectant injected into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is supplied to the first diluent tank 310 while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210 is supplied to the first diluent tank 310, So that a disinfectant diluent of a precisely predetermined dilution factor is formed in the first diluent tank 310. In this case, Likewise, all of the disinfectant injected into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120 is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320 whil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210 is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320, So that a disinfectant diluent at a precisely predetermined dilution factor is formed in the second diluent tank 320 by allowing the disinfectant diluent to cool to a predetermined level in the diluent tank 320. Of course, the disinfectant capacity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may be different from the disinfectant capacity in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120. However, the predetermined level in the first diluter tank 310 and the preset level in the second diluent tank 320 As a result, the dilution ratio of the diluting liquid in the first diluting liquid tank 310 and the diluting liquid diluting liquid in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320 can be made equal.

지금까지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술한 것과 같은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은 소독제나 물 등의 공급 등에 대한 설명이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only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has been described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description of the supply of disinfectant, water, etc.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경우,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제1희석액탱크(310)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양이 줄어드는 동안에는, 제1소독제탱크(110) 내의 소독제와 물공급원(2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제2희석액탱크(3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경우에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제1희석액탱크(310)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양이 줄어드는 동안에는 제2소독제탱크(120) 내의 소독제와 물공급원(2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제2희석액탱크(3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2희석액탱크(320)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양이 줄어드는 동안에는 제1소독제탱크(110) 내의 소독제와 물공급원(2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제1희석액탱크(31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a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the amount of the disinfectant diluent in the first diluent tank 310 is reduced while the amount of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210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320. In the case of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while the amount of the diluting liquid of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luent tank 310 decreases, the disinfectant in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120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210 is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320 while the amount of the diluting liquid in the second diluting liquid tank 320 is reduced so that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110 and the water supply sourc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diluent tank 210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diluent tank 31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제1소독제탱크 120: 제2소독제탱크
210: 물공급원 310: 제1희석액탱크
312: 제1플로우스위치 320: 제2희석액탱크
322: 제2플로우스위치 410: 선택밸브
420: 소독제밸브 510: 펌프
110: First disinfectant tank 120: Second disinfectant tank
210: water source 310: first diluent tank
312: first flow switch 320: second diluent tank
322: second flow switch 410: selection valve
420: Disinfectant valve 510: Pump

Claims (7)

소독제가 투입될 수 있는 제1소독제탱크;
소독제 희석액을 만들기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원;
상기 제1소독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하여 소독제 희석액을 형성하고 수용할 수 있는 제1희석액탱크;
상기 제1소독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하여 소독제 희석액을 형성하고 수용할 수 있는 제2희석액탱크; 및
상기 제1소독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1희석액탱크와 상기 제2희석액탱크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는 선택밸브;
를 구비하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
A first disinfectant tank into which a disinfectant may be introduced;
A water source capable of supplying water for making a disinfectant diluent;
A first diluter tank capable of mixing a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wit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form and accommodate a disinfectant diluent;
A second diluent tank capable of containing and containing a disinfectant diluent by mixing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And
A selector valve for supplying a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one of the first diluent tank and the second diluent tank;
Wherein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독제탱크의 유출구가 연결된 소독제밸브; 및
상기 소독제밸브의 유출구에 연결된 제1유입구,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제2유입구 및 하나의 중간유출구를 갖는, 펌프;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밸브는 유입구, 제1유출구 및 제2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선택밸브의 유입구는 상기 펌프의 중간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선택밸브의 제1유출구는 상기 제1희석액탱크의 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선택밸브의 제2유출구는 상기 제2희석액탱크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infectant valve to which an outlet of said first disinfectant tank is connected; And
A pump having a first inlet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disinfectant valve, a second inlet connected to the water source and one intermediate outlet;
Further comprising:
The selector valve having an inlet, a first outlet and a second outlet, the inlet of the selector valve being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outlet of the pump, the first outlet of the selector valve being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first diluent tank, And a second outlet of the selector valve is connected to an inlet of the second diluent tank.
제2항에 있어서,
소독제가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소독제밸브에 유출구가 연결된 제2소독제탱크를 더 구비하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isinfectant tank to which a disinfectant can be introduced and to which an outlet is connected to the disinfectant val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밸브는 상기 제1소독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와 상기 제2소독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제 중 어느 하나만을 상기 펌프로 공급하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sinfectant valve supplies only one of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to the pum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펌프로 공급될 시, 상기 선택밸브는 상기 제1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제1희석액탱크로 공급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펌프로 공급될 시, 상기 선택밸브는 상기 제2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제2희석액탱크로 공급되도록 설정되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are supplied to the pump, the selection valve is set such that water from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are supplied to the first diluting tank And,
When the disinfectant in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an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are supplied to the pump, the selection valve is set such that water from the disinfectant in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an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are supplied to the second diluting tank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제1항의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1희석액탱크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양이 줄어드는 동안에는, 상기 제1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2희석액탱크로 공급되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for the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are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while the amount of the disinfectant diluent in the first diluent tank is reduced.
제3항의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1희석액탱크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양이 줄어드는 동안에는 상기 제2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2희석액탱크로 공급되고, 상기 제2희석액탱크 내의 소독제 희석액의 양이 줄어드는 동안에는 상기 제1소독제탱크 내의 소독제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1희석액탱크로 공급되는,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for a disinfectant diluent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3,
The disinfectant in the second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are supplied to the second diluent tank while the amount of the diluting liquid in the second diluent tank is reduced while the amount of the diluting liquid in the first diluent tank is reduced, The disinfectant in the first disinfectant tank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are supplied to the first diluent tank.
KR1020170085925A 2017-07-06 2017-07-06 Diluted solution supplying device KR101993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25A KR101993753B1 (en) 2017-07-06 2017-07-06 Diluted solution supply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25A KR101993753B1 (en) 2017-07-06 2017-07-06 Diluted solution supply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76A true KR20190005376A (en) 2019-01-16
KR101993753B1 KR101993753B1 (en) 2019-06-27

Family

ID=6528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925A KR101993753B1 (en) 2017-07-06 2017-07-06 Diluted solution supply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75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44B1 (en) * 2019-06-12 2020-01-22 장희정 Smart system of barn management with mist spray system
KR102053639B1 (en) * 2019-06-12 2020-01-22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Barn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system
KR102053642B1 (en) * 2019-06-12 2020-01-22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Smart system of barn management with mist spraying system
KR102092259B1 (en) * 2019-06-12 2020-03-23 장희정 Mist spraying system for cattle shed
KR102102732B1 (en) * 2019-06-12 2020-04-21 장희정 Smart system of barn management
KR20210113927A (en) * 2020-03-09 2021-09-17 (주)퓨로젠코리아 Ecofrendly virus sterilization device using chlorine dioxi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2198B2 (en) * 2005-12-28 2012-03-21 コイト電工株式会社 Liquid mixture supply device
KR20130053551A (en) * 2011-11-15 2013-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method for treating water and a ship having the same
KR101480061B1 (en) * 2014-04-29 2015-01-09 주식회사 동우 recycling control method of nutrient solution
KR20160023190A (en) * 2014-08-21 2016-03-03 최호성 a sterilizer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2198B2 (en) * 2005-12-28 2012-03-21 コイト電工株式会社 Liquid mixture supply device
KR20130053551A (en) * 2011-11-15 2013-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method for treating water and a ship having the same
KR101480061B1 (en) * 2014-04-29 2015-01-09 주식회사 동우 recycling control method of nutrient solution
KR20160023190A (en) * 2014-08-21 2016-03-03 최호성 a sterilizer device for vehic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44B1 (en) * 2019-06-12 2020-01-22 장희정 Smart system of barn management with mist spray system
KR102053639B1 (en) * 2019-06-12 2020-01-22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Barn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system
KR102053642B1 (en) * 2019-06-12 2020-01-22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Smart system of barn management with mist spraying system
KR102092259B1 (en) * 2019-06-12 2020-03-23 장희정 Mist spraying system for cattle shed
KR102102732B1 (en) * 2019-06-12 2020-04-21 장희정 Smart system of barn management
KR20210113927A (en) * 2020-03-09 2021-09-17 (주)퓨로젠코리아 Ecofrendly virus sterilization device using chlorine diox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753B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753B1 (en) Diluted solution supplying device
DE69532432T2 (en) Device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endoscopes
US9352986B2 (en) Drain pan treatment apparatus utilizing recycled condensate water
JP6290762B2 (en) Flow rate adjusting mechanism, diluted chemical supply mechanism, liquid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5999280B1 (en) Ballast water treatment method
JP2009141332A (en)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ozone-water mixed liqui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JP2006255696A (en) Method for liquid mixing supply
KR101263537B1 (en) Point-of-use process control blender systems and corresponding methods
JP2018023975A5 (en)
EP2706042B1 (en) Point-of-use water dispenser and method for using said water dispenser
JP6074338B2 (en) Liquid processing apparatus, concentration corr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452115A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tube network
US11135346B2 (en) Dialysis machine, method of controlling the dialysis machine, and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JP2022160142A (en) Coolant supply device
JP2011127810A (en) Water treatment system
JP5780810B2 (en) Liquid management system
JP2007059749A (en) Apparatus for diluting cleaning stock solution
WO2008082033A1 (en) Manufacturing and delivering system of concentrate for hemodialysis
JP6121349B2 (en) Diluted chemical liquid supply apparatus, substrate liquid processing apparatus, and flow rate control method
JP6720912B2 (en) Ship and ballast water treatment method
JP6545841B2 (en) Flow rate adjustment mechanism, diluted chemical solution supply mechanism, liquid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7318936U (en) A kind of developer solution supply system
JP2020192291A (en) Chemical liquid supply device and blood purification system
JP20190982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rinse wastewater of substrate cleaning machine
WO2021112245A1 (en) Dialysate solution suppl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