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371A - 감피 또는 파프리카로부터 루테인, 지아잔틴 결정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감피 또는 파프리카로부터 루테인, 지아잔틴 결정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371A
KR20190005371A KR1020170085917A KR20170085917A KR20190005371A KR 20190005371 A KR20190005371 A KR 20190005371A KR 1020170085917 A KR1020170085917 A KR 1020170085917A KR 20170085917 A KR20170085917 A KR 20170085917A KR 20190005371 A KR20190005371 A KR 20190005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otenoid
hexane
extract
crystals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광
이택환
신흥묵
조명래
이한나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안국건강 주식회사
한약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국건강 주식회사, 한약진흥재단 filed Critical 안국건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5371A/ko
Publication of KR2019000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03/00Derivatives of cyclohexane or of a cyclohexene or of cyclohexadiene, having a side-chain containing an acyclic unsaturated part of at least four carbon atoms, this part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cyclohexane or cyclohexene or cyclohexadiene rings, e.g. vitamin A, beta-carotene, beta-ionone
    • C07C403/06Derivatives of cyclohexane or of a cyclohexene or of cyclohexadiene, having a side-chain containing an acyclic unsaturated part of at least four carbon atoms, this part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cyclohexane or cyclohexene or cyclohexadiene rings, e.g. vitamin A, beta-carotene, beta-ionone having side-chains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403/08Derivatives of cyclohexane or of a cyclohexene or of cyclohexadiene, having a side-chain containing an acyclic unsaturated part of at least four carbon atoms, this part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cyclohexane or cyclohexene or cyclohexadiene rings, e.g. vitamin A, beta-carotene, beta-ionone having side-chains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by hydroxy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88Applications,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9/02Crystallisation from solutions
    • B01D9/04Crystallisation from solutions concentrating solutions by removing frozen solvent therefr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를 헥산(hexane)으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한 헥산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및 (c) 상기 농축 생성물을 저온처리하여 농축 생성물로부터 카로티노이드 결정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로티노이드 결정의 제조방법을 통해 카로티노이드를 확보하는 공정을 최소화하고, 이러한 공정 개선을 통하여 확보 과정 중 발생하는 카로티노이드의 변성을 최소화하고 카로티노이드 확보에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로티노이드 결정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AROTENOID CRYSTALS}
본 발명은 (a)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를 헥산(hexane)으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한 헥산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및 (c) 상기 농축 생성물을 저온처리하여 농축 생성물로부터 카로티노이드 결정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C40 이소프레노이드 화합물(isoprenoid compounds)로서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한 군의 색소를 총칭하며, 현재까지 알려진 카로티노이드는 6백여 종에 이른다. 이들은 각각 다른 형태로 존재하며 분자 구조에 따라서도 노란색, 적색, 주홍색, 주황색 등 여러 색으로 존재한다. 그 예로 β-카로텐(β-carotene; 당근의 주황색 색소), 라이코펜(licopene; 토마토의 적색 색소), 푸코잔틴(fucoxanthin; 해조류의 황갈색 또는 갈색 색소) 등이 있다. 카로티노이드는 인체 내에서 비타민 A의 전구체로서의 역할을 하며, 산화 방지 효과와 유해산소 소거작용, 암세포 증식 억제작용 및 발암 억제작용이 강하여 순환기 질환, 암 및 성인병 등을 예방하는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카로티노이드가 직접적인 자외선에 의한 신체의 면역기능을 향상시켜 자외선 노출로부터 피부의 손상을 줄여주거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이 밝혀지면서 유럽이나 미국에서 미용 소재로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현재 카로티노이드는 건강식품 소재(영양 보충제), 인간을 대상으로 한 약학적 제제와 식품 착색제 또는 동물용 사료의 색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카로티노이드는 물에 불용성이므로 신선한 조직에 아세톤 등 유기용매를 가해서 추출할 수 있다. 기존에 알려져 있는 카로티노이드 결정의 형성, 분리 및 정제를 위한 화학적 방법은, 산업 규모로 적용시 카로티노이드 결정의 수율이 낮으며 그 과정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미국등록특허 제5,648,564호). 따라서, 카로티노이드 확보 공정을 간소화하여 확보 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카로티노이드의 변성을 최소화하고, 또한 고순도의 카로티노이드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카로티노이드 결정을 수득하는 공정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헥산(hexane)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고 이를 농축한 후 저온처리 과정을 거칠 경우, 카로티노이드 확보 공정을 간소화하면서도 고순도의 카로티노이드 결정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a)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를 헥산(hexane)으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한 헥산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및 (c) 상기 농축 생성물을 저온처리하여 농축 생성물로부터 카로티노이드 결정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를 헥산(hexane)으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한 헥산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및 (c) 상기 농축 생성물을 저온처리하여 농축 생성물로부터 카로티노이드 결정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종래 카로티노이드 확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진공증류법의 경우, 카로티노이드 확보를 위해 많은 공정이 추가되고 고온에서 공정을 할 경우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변성을 불러일으킨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를 헥산(Hexane)추출 후 헥산 추출액의 1/2 미만이 될 정도로 농축하고, 이를 저온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는 카로티노이드 확보 공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a)단계로서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를 헥산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에 헥산(Hexane)용매를 첨가하고 이를 교반기에서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헥산 용매의 사용량은 충분하고 효과적인 카로티노이드 성분 추출을 위하여,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20배의 부피비(예컨대,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 1000g 에 대하여 20,000 mL의 용매 첨가), 구체적으로 5 내지 15배, 보다 구체적으로 8 내지 12배의 부피비일 수 있다.
상기 추출시간은,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충분한 추출을 위하여 1 내지 12시간, 구체적으로 3 내지 6시간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온도는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충분한 추출을 위하여 실온 내지 헥산 용매의 끓는점까지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헥산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방법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추출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침법, 가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전기적 추출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에,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 무게의 10배에 해당하는 헥산 용매를 첨가하고 교반기에서 약 4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을 거쳐 헥산 추출액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본 발명의 용어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는, 카로티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식물, 세균, 곰팡이, 조류 등을 의미하고, 파프리카, 호박, 깻잎, 고구마, 애호박, 양배추, 아욱, 미나리, 브로콜리, 당근, 단호박, 고추, 케일, 신선초, 소송채, 쑥갓, 부추, 파슬리, 시금치, 피망, 망고, 귤, 토마토, 수박, 감, 살구, 연어, 도미, 옥수수, 미역, 톳, 달걀 등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원료가 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루테인 및 지아잔틴을 함유하는 시금치, 브로콜리와 같은 녹황색 채소, 리코펜을 함유하는 토마토, 수박과 같은 붉은 과일 및 채소, 베타카로틴을 함유하는 당근, 호박, 고구마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파프리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황색 파프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자연에서 채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유기용매(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메탄올)를 사용하여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추출한 결과를 비교하였다(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각 추출물의 루테인 및 지아잔틴의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유기용매로 아세톤 및 메탄올을 사용한 경우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함량이 매우 낮게 나타난 반면, 헥산 용매를 사용한 경우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예 2).
따라서, 본 발명은 추출용매로서 헥산(Hexane)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고함량의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b)단계로서 (a)단계에서 수득한 헥산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는, (a)단계에서 수득한 헥산 추출액을 추출액의 초기 부피보다 작아지도록 농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이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 뒤,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농축은 헥산 추출액이 전체 추출액 총량 대비 1/2 미만이 될 때까지 농축시키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전체 추출액 총량 대비 1/4 이하가 될 때까지 농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헥산 추출물이 초기 부피의 1/4이 될 때까지 농축한 경우 카로티노이드 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카로티노이드 최종 수율이 0.9%로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반면, 헥산 추출물을 초기 부피의 1/2이 될 때까지만 농축한 경우, 카로티노이드의 결정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었고 카로티노이드 최종 수율이 0.01%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및 비교예 4).
따라서, 본 발명의 카로티노이드 결정의 추출을 위해서는 헥산 추출물을 전체 추출액 총량 대비 1/2 미만이 될 때까지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단계로서 (b)단계의 농축 생성물을 저온처리하여 농축 생성물로부터 카로티노이드 결정을 수득하는 단계는, 농축 생성물을 저온에서 24시간 내지 7일 동안 정치시킴으로써 카로티노이드 결정을 수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저온처리는 4 ℃ 이하로 보관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20 ℃ 이하로 보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로티노이드 결정은 지아잔틴, 베타카로틴, 루테인 등 카로티노이드 성분이 함유된 결정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생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지아잔틴 결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로티노이드 헥산 추출액을 -20 ℃에서 24시간 내지 7일 동안 정치시킨 결과,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일종인 지아잔틴 결정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a)단계 수행 후 (a)단계에서 수득한 헥산 추출액에 알칼리 처리를 하여 비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비누화 공정"은, 에스터에 가수분해를 일으켜 카복실산과 알코올을 생성하는 반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비누화 공정은 과일이나 야채에 함유되어 있는 카로티노이드 및 지방산의 에스터결합을 분해하여 순수 카로티노이드로 변환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비누화 공정은 강염기를 첨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KOH, NaOH, (Ca(OH)2) 등을 첨가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KOH 또는 NaOH를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강염기는 물이나 에탄올 또는 메탄올에 포화시킨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헥산 추출액에 10% 에탄올성 KOH를 첨가하여 비누화 공정을 수행하였고, 비누화 공정 전후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한 결과, 카로티노이드 성분 자체에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2 및 도 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처리 헥산을 용매로 하여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추출한 결과, 카로티노이드 추출 과정에서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최종 수율이 0.2%로 확인되었고, 상기 비누화 공정을 거치는 알칼리 처리를 한 경우 최종 수율이 0.9%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카로티노이드 결정의 제조방법은,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로부터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로티노이드 결정의 제조방법을 통해 카로티노이드를 확보하는 공정을 최소화하고, 이러한 공정 개선을 통하여 확보 과정 중 발생하는 카로티노이드의 변성을 최소화하고 카로티노이드 확보에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a) 대조군 지아잔틴 및 (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잔틴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a) 비누화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추출한 지아잔틴 및 (b) 비누화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한 지아잔틴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다양한 용매로부터 추출한 지아잔틴 및 루테인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지아잔틴의 화학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지아잔틴의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지아잔틴의 13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a) 헥산 추출물 및 (b)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로부터 수득한 카로티노이드 결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헥산을 용매로 사용하여 카로티노이드 성분 추출
1) 무처리 헥산 추출
주황색 파프리카 1,000 g에, 파프리카 무게의 10배에 해당하는 헥산 10,000 mL를 첨가하고 교반기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종이 필터(Whatman NO.1)를 이용하여 추출액을 여과한 뒤, 회전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추출액이 1/4 부피(500 mL)가 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상기 농축액을 -20 ℃에서 24시간 내지 7일 동안 정치시킨 결과,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일종인 지아잔틴 결정이 형성되었다. 생성된 결정을 회수한 후, 상온수로 3회 세척하고, 동결건조하여 지아잔틴을 확보하였다.
2) 알칼리 처리 헥산 추출
주황색 파프리카 1,000 g에, 파프리카 무게의 10배에 해당하는 헥산 10,000 mL를 첨가하고 교반기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종이 필터(Whatman NO.1)를 이용하여 추출액을 여과한뒤, 추출액의 양이 초기 부피의 1/4인 2,500 mL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 2,500 mL에 10% 에탄올성 KOH (200 mL)를 넣어 pH가 12 이상이 되도록 설정하고, 2시간 동안 연속적인 알칼리 처리를 하였다. 이후 알칼리 시료에 500 mL의 10% NaCl을 넣어 반응을 종료시키고 중화시켰다.
이어서 반응 결과물을 분액 깔때기에 넣어 40 ℃의 물 2,000 mL를 첨가하고, 흔들어 주면서 시료를 세척하였다. 세척이 완료된 헥산 및 물의 혼합물을 6시간 정도 정치하여 물층과 헥산층을 분리한 뒤, 헥산층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헥산층에 40 ℃의 물 2,500 mL를 첨가하여 흔들어 주면서 시료를 세척하고, 6시간 정도 정치하여 물층과 헥산층을 분리한 뒤, 헥산층을 회수하였다. 상기 과정을 2회 추가로 반복하여 헥산층에 존재한 염 및 기타 수용성 성분을 세척하였다.
최종 세척이 완료된 헥산층은 200 mL이 될 때까지 농축한 후, -20 ℃에서 24시간 내지 7일 동안 정치시킨 결과,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일종인 지아잔틴 결정이 형성되었다. 결정 회수 후, 상온수로 3회 세척하고 동결건조하여 지아잔틴을 확보하였다.
< 비교예 1> 지아잔틴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되, 헥산 용매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 비교예 2> 지아잔틴의 아세톤 추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되, 헥산 용매를 아세톤으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 비교예 3> 지아잔틴의 메탄올 추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되, 헥산 용매를 메탄올으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 비교예 4> 헥산 추출물을 1/2로 농축하여 지아잔틴 추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되, 헥산 추출액을 초기 부피의 1/2인 5,000 mL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 실험예 1> 지아잔틴의 HPLC 및 NMR 확인
무처리 헥산을 용매로 하여 지아잔틴 성분을 추출한 결과, 지아잔틴 추출 과정에서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최종 수율이 0.2%로 나타났고(실시예 1-1), 상기 비누화 공정을 거치는 알칼리 처리를 한 경우 최종 수율이 0.9%로 나타났다(실시예 1-2). 따라서, 알칼리 처리를 한 경우 지아잔틴의 최종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득된 지아잔틴은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HPLC 컬럼은 YMC 카로티노이드 컬럼(4.6 X 250 mm)을 사용하였고, 용매는 (A)메탄올:MTBE:물 = 81:15:/4, (B)메탄올:MTBE:물 = 7:90:3을 이용하여 A:B=100:0 - 0:100의 조건으로 30분 동안 진행하였다. HPLC의 유속은 1.0 mL/분으로 하였으며, UV 450 nm에서 지아잔틴을 검출하였다.
도 1(a)는 대조군 지아잔틴의 HPLC 크로마토그램이고 도 1(b)는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지아잔틴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주황색 파프리카를 원료로 하여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수득한 지아잔틴의 결정의 HPLC 크로마토그램이, 대조군 지아잔틴의 HPLC 크로마토그램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헥산 추출물을 알칼리 처리를 통하여 얻은 비누화 생성물에서 분리된 지아잔틴 결정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으로, (a)알칼리 처리 전(순도 80%)의 크로마토그램과 (b)알칼리 처리 후(순도 84%)의 크로마토그램이 서로 일치하는 양상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지아잔틴의 1H NMR 스펙트럼 및 13C NMR 스펙트럼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지아잔틴: Orange powder, C40H56O2, m/z-568.9 UV max-450, 477; 1H-NMR(CDCl3, 500MHz) δ: 3.99 (2H, m), 1.95 (12H, s), 1.71 (6H, s), 1.05 (12H, s); 13C-NMR (CDCl3, 125MHz) δ: 138.7, 138.0, 137.8, 136.7, 135.9, 132.8, 131.5, 130.3, 126.4, 125.8, 125.1, 65.3, 48.6, 42.8, 37.4, 30.5, 28.9, 21.9, 13.1, 13.0
< 실험예 2> 용매에 따른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주황색 파프리카를 다양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결과를 HPLC 크로마토그램 분석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HPLC 크로마토그램의 피크 면적(peak area)을 계산하여 주황색 파프리카에서 추출된 카로티노이드 성분인 루테인 및 지아잔틴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용매 지아잔틴 함량 (peak area) 루테인 함량 (peak area)
실시예 1 509.71 98.86
비교예 1 556.17 105.14
비교예 2 73.47 20.78
비교예 3 - -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용매로 아세톤을 사용한 경우(비교예 2) 및 메탄올을 사용한 경우(비교예 3)에서는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함량이 낮게 나타나, 상기 성분이 거의 추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아세톤 및 메탄올은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추출 용매로 사용될 경우 추출된 함량이 낮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고, 반면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는 카로티노이드 성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용매에 따른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결정 형성 비교
전술한 바와 같이,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추출에 적합한 용매인 헥산(실시예 1) 및 에틸 아세테이트(비교예 1)로 추출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결정 형성을 비교하였다.
도 7(a)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기용매로 헥산을 사용한 헥산 추출물을 저온에서 정치(실시예 1)시킨 결과,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결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7(b)에서 볼 수 있듯이,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한 추출물로부터는 저온에서 추출물을 정치시킨 후에도, 카로티노이드 결정이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비교예 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유기용매로 헥산을 사용하여 헥산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20 ℃에서 24 시간 내지 7일 동안 정치하는 것이,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순도가 높게 나타남과 동시에 저온처리 후 카로티노이드 결정이 원활히 형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헥산 추출물의 농축 정도에 따른 카로티노이드 수율의 비교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헥산 추출물의 농축 정도에 따른 카로티노이드 최종 수율을 비교하였다.
헥산 추출물을 부피가 1/4이 되도록 농축한 경우(실시예 1) 카로티노이드 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카로티노이드 최종 수율이 0.9%로 나타났다. 반면, 헥산 추출물을 초기 부피의 1/2이 될 때까지만 농축한 경우, 카로티노이드의 결정화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고, 카로티노이드 최종 수율이 0.01%로 나타났다(비교예 4).
주황색 파프리카 헥산 추출물 카로티노이드 최종 수율 (%)
비교예 4 0.01
실시예 1 0.9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카로티노이드를 고수율로 수득하기 위해서는 헥산 추출물을 최소 1/2 미만이 되도록 농축 후, 저온보관하여야 카로티노이드 결정 형성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a)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를 헥산(hexane)으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한 헥산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및
    (c) 상기 농축 생성물을 저온처리하여 농축 생성물로부터 카로티노이드 결정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수행 후 (a)단계에서 수득한 헥산 추출액에 알칼리 처리를 하여 비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처리는 KOH 또는 NaOH를 첨가하는 것인,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는 파프리카, 호박, 깻잎, 고구마, 애호박, 양배추, 아욱, 미나리, 브로콜리, 당근, 단호박, 고추, 케일, 신선초, 소송채, 쑥갓, 부추, 파슬리, 시금치, 피망, 망고, 귤, 토마토, 수박, 감, 살구, 연어, 도미, 옥수수, 미역, 톳 및 달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로티노이드 함유 시료는 파프리카인 것인,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로티노이드는 지아잔틴인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헥산 추출액이 전체 추출액 총량 대비 1/2 미만이 될 때까지 농축하는 것인,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헥산 추출액이 전체 추출액 총량 대비 1/4 이하가 될 때까지 농축하는 것인,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저온처리는 4 ℃ 이하로 보관하는 것인,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저온처리는 -20 ℃ 이하로 보관하는 것인, 카로티노이드 결정 제조방법.


KR1020170085917A 2017-07-06 2017-07-06 감피 또는 파프리카로부터 루테인, 지아잔틴 결정의 제조 방법 KR20190005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17A KR20190005371A (ko) 2017-07-06 2017-07-06 감피 또는 파프리카로부터 루테인, 지아잔틴 결정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17A KR20190005371A (ko) 2017-07-06 2017-07-06 감피 또는 파프리카로부터 루테인, 지아잔틴 결정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71A true KR20190005371A (ko) 2019-01-16

Family

ID=6528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917A KR20190005371A (ko) 2017-07-06 2017-07-06 감피 또는 파프리카로부터 루테인, 지아잔틴 결정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53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1165A (zh) * 2019-07-03 2019-09-17 齐鲁工业大学 一种从玉米蛋白粉酶解胶状物中提取玉米黄素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1165A (zh) * 2019-07-03 2019-09-17 齐鲁工业大学 一种从玉米蛋白粉酶解胶状物中提取玉米黄素的方法
CN110241165B (zh) * 2019-07-03 2021-05-18 齐鲁工业大学 一种从玉米蛋白粉酶解胶状物中提取玉米黄素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4673B1 (en)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xanthophyll crystals
EP1963245B1 (en) Process for purification of free xanthophylls
GB2445430A (en) 4-hydroxy-2,3-disubstituted-cyclohex-2-en-1-on-5-yl isoprenoids, extractable from Antrodia camphorata, as anti-tumour &amp; cardiovascular agents, &amp; antioxidant
JP5795572B2 (ja) 種々の植物からカロテノイド結晶を分離する方法
US6689400B2 (en) Process of obtaining compositions of stable lutein and lutein derivatives
WO2009027850A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xanthophyll crystals
JP2000063827A (ja) 抗酸化剤の製造方法
KR20190005371A (ko) 감피 또는 파프리카로부터 루테인, 지아잔틴 결정의 제조 방법
KR102081489B1 (ko) 알카리 가수분해 및 염석결정화를 이용한 토마토로부터 수용성 라이코펜 제조 및 라이코펜 분말 수득방법
KR20050097698A (ko) 감 껍질을 이용한 올레아놀산 및 우르솔산의 제조방법
KR102580873B1 (ko) 양파로부터 쿼세틴의 함량이 증가된 양파 추출물을 생산하는 방법
US11654173B2 (en) Purified xanthophyll composition comprising (trans,R,R)-lutein and(trans,R,R)-zeaxanthi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2022254867A1 (ja) 新規フェニルプロパノイド化合物
WO2017111761A1 (en) Process and method for optimal recovery of carotenoids from plants
CN110545832B (zh) 肌肤暗沉抑制剂及肌肤屏障功能维持或改善剂
JPH111686A (ja) 抗酸化剤
JP2641632B2 (ja) 食品の鮮度保持剤
JP2006241071A (ja) 抗菌剤及びその製造法
JPH06256175A (ja) 安定化されたビタミンk1組成物
JPH06256188A (ja) 安定化されたビタミンb6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