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138A -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 Google Patents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138A
KR20190005138A KR1020180078456A KR20180078456A KR20190005138A KR 20190005138 A KR20190005138 A KR 20190005138A KR 1020180078456 A KR1020180078456 A KR 1020180078456A KR 20180078456 A KR20180078456 A KR 20180078456A KR 20190005138 A KR20190005138 A KR 20190005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active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090B1 (ko
Inventor
김은주
임지희
장두성
정진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9000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04L67/26
    • H04L67/32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서비스 로그를 수집하는 로그 수집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상황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 중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기 추출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규칙을 생성하는 규칙 생성부, 상기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기초하여 능동형 서비스를 생성하는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능동형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다.

Description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SERVICE PROVISION SERVER, USER DEVICE AND METHODE FOR PROVIDING ACTIVE SERVICE}
본 발명은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개인 비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처리하고, 사용자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이다. 지능형 개인 비서는 인공 지능(AI) 엔진과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일정 관리, 이메일 전송, 식당 예약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지능형 개인 비서는 주로 스마트폰에서 맞춤형 개인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애플의 시리(siri), 구글의 나우(now), 삼성의 빅스비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6-0071111호는 전자 장치에서의 개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 지능형 개인 비서는 메시지 또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푸시(push)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지능형 개인 비서는 푸시(push) 메시지를 사운드 모듈 또는 LED 모듈을 통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지능형 개인 비서는 LED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LED 모듈을 단순한 표시 장치로 이용하거나, 단말 내에 고휘도 LED 모듈이 내장된 등기구(예를 들어, 무드등) 형태로만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푸시 메시지를 인지하고, 해당 메시지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한계가 존재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의 요청 전에 사용자에게 필요한 능동형 서비스를 푸시(push) 메시지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와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외부의 상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알맞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미디어 재생 장치 내의 다양한 출력 모듈(예를 들어, 사운드 모듈 또는 LED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푸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서비스 로그를 수집하는 로그 수집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상황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 중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기 추출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규칙을 생성하는 규칙 생성부, 상기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기초하여 능동형 서비스를 생성하는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능동형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서비스 로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 중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기 추출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규칙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기초하여 능동형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능동형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상황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여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요청 없이 상기 수신된 능동형 서비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기 전송된 상황 정보 중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가 분석되어 상기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규칙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능동형 서비스가 생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요청 전에 사용자에게 필요한 능동형 서비스를 푸시(push) 메시지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와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외부의 상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알맞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 내의 다양한 출력 모듈(예를 들어, 사운드 모듈 또는 LED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푸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캐릭터와 함께 토스트 메시지 기반의 능동형 서비스가 제공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LED 기반의 능동형 서비스가 제공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능동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디스플레이 장치(115) 및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디스플레이 장치(115) 및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능동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능동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15)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00)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수집된 상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100)에 의해 발생하여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의 발생 빈도 및 상기 조건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한 경우 발생한 결론의 발생 빈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중요도가 결정되고, 서비스 규칙은 결정된 중요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의 요청 없이 수신된 능동형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중요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출력 방법에 따라 능동형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능동형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100)로부터 응답을 입력받기 위한 응답 요청 정보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의 이벤트를 수집하고,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STB 및 인공지능 스피커 장치와 능동형 서비스 제공 APP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5)는 능동형 서비스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15)는 사용자(100)의 주의를 끌 수 있도록 캐릭터와 함께 능동형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15)는 능동형 서비스를 토스트 메시지 기반으로 하여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로그 수집부(210)는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100)에 의해 발생된 서비스 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100)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수집된 상황 정보 중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추출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규칙은 전체 사용자에게 적용될 일반 규칙, 특정 사용자에게 적용될 사용자 맞춤 규칙 및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리자 생성 규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수집된 서비스 로그와 수집된 서비스 로그가 발생할 때의 상황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발생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서비스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의 발생 빈도 및 조건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한 경우 발생한 결론의 발생 빈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규칙은 결정된 중요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조건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한 경우 발생한 결론에 대해 기설정된 가중치에 더 기초하여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기초하여 능동형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능동형 서비스는 사용자(100)의 요청 없이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따라 수집된 상황 정보 중 사용자(100)의 현재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능동형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사용자(100)의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중요도에 기초하여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에 대한 출력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능동형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100)로부터 응답을 입력받기 위한 응답 요청 정보를 능동형 서비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100)에게 제공된 서비스 규칙 및 사용자(100)에게 제공된 서비스 규칙에 관하여 사용된 서비스에 기초하여 능동형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100)의 반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산출된 반응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중요도를 재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산출된 반응도에 따라 재결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에 대한 출력 방법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재결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생성된 서비스 규칙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집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100)의 상황 정보를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로그 수집부(200), 상황 정보 수집부(210), 추출부(220), 규칙 생성부(230),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 전송부(250) 및 반응도 산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로그 수집부(200)는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100)에 의해 발생된 서비스 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서비스 로그는 사용자 행동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행동 정보는 사용자가 단말에 입력한 음성 명령(예를 들어, 음성을 통한 채널 이동), 리모콘 기반 명령(예를 들어, 리모컨을 통한 채널 이동) 등을 통해 수집된 행동 정보일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사용자의 행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이 감지한 이벤트일 수 있다. 이벤트는 예를 들어, 사용자(100)가 현재 TV 시청을 망설이고 있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황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100)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사용자(100)의 상황 정보는 일정 정보, TASK 정보, 반복 명령 정보, 사용자 행동 패턴 정보, Heuristic 규칙 기반 행동 패턴 정보, 사용자 발화 정보, 사용자 감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 정보는 사용자가 등록한 일정 또는 알람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110) 또는 외부 단말(예를 들어, PC, 휴대폰 등)을 통해 등록된 것일 수 있다.
TASK 정보는 사용자(100)가 이전에 수행한 TASK의 시퀀스(sequenc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복 명령 정보는 단위 기간(예를 들어, 1달) 동안 특정 명령에 대한 반복 수행/해제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Heuristic 규칙 기반 행동 패턴 정보는 미리 정해진 Heuristic 규칙에 따라 사용자(100)의 행동을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발화 정보는 사용자(100)의 발화 및 발화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감정 정보는 현재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된 카메라, 스피커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100)의 감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황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상황 정보는 소음, 조도, 사용자 움직임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Figure 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상황 정보는 소음, 조도, 움직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음은 마이크 등의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수집된 주변 소음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조도는 조도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주변 조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카메라 등의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 수집된 주변의 움직임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황 정보 수집부(210)는 외부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외부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는 예를 들어, 날짜, 날씨, 교통, 외부 서버에서 푸시 되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Figure pat00004
표 4를 참조하면, 외부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는 날짜, 날씨, 교통, 기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날짜는 현재 날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날씨는 현재 날시, 예보 및 특보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교통은 기등록된 경로 상의 도로 교통 상태, 주변 정류장에 지하철/버스 도착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정보는 속보, 재난 경보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황 정보 수집부(210)는 외부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외부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는 예를 들어, 날짜, 날씨, 교통, 외부 서버에서 푸시 되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추출부(220)는 수집된 상황 정보 중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규칙 생성부(230)는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추출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표 5를 참조하면, 서비스 규칙은 전체 사용자에게 적용될 일반 규칙, 특정 사용자에게 적용될 사용자 맞춤 규칙 및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리자 생성 규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규칙은 전체 사용자의 상황 정보 연관 규칙 마이닝 알고리즘 또는 순차 패턴 마이닝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생성된 규칙일 수 있다. 사용자 맞춤 규칙은 사용자(100) 별로 수집된 상황 정보에 대하여 각각 연관된 마이닝 알고리즘 또는 순차 패턴 마인이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생성된 규칙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맞춤 규칙은 전체 사용자에 대한 중요도 및 해당 사용자에 대해 추출된 중요도의 결합을 통해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중요도의 결합은 전문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확신도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확신도는 (중요도전체+중요도사용자A-중요도전체X중요도사용자A)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관리자 생성 규칙은 관리자가 생성한 heuristic 규칙일 수 있다.
규칙 생성부(230)는 수집된 서비스 로그와 수집된 서비스 로그가 발생할 때의 상황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발생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서비스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규칙 생성부(230)는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의 발생 빈도 및 조건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한 경우 발생한 결론의 발생 빈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규칙은 결정된 중요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규칙 생성부(230)는 조건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한 경우 발생한 결론에 대해 기설정된 가중치에 더 기초하여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도는 가중치가 고려된 신뢰도일 수 있으며, 중요도 및 가중치는 0~1 사이의 실수일 수 있다. 중요도는 (결론 B의 가중치)*(조건 A 발생 이후, 결론 B가 발생한 빈도)/(조건 A가 발생한 빈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중치는 사용자(100)의 편의성을 위해 관리자가 설정한 것으로, 알람, 일정 관련, 기상 특보, 재난 경보 등의 상황에 대해서는 가중치가 높게 설정되고, 일반적인 경우에 대해서는 가중치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 A는 "시간:오전&액션:전원켜기"->결론 B는 "Task" 음악 듣기"의 경우, 조건 A의 "시간:오전&액션:전원켜기"가 10번 발생되고, "시간:오전&액션:전원켜기" 및 "Task" 음악 듣기"가 동시에 3번 발생하면, 결론의 가중치가 0.1이 되고, 중요도는 0.03이 될 수 있다.
규칙 생성부(230)는 반응도 산출부(260)에서 산출된 반응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중요도를 재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규칙 생성부(240)는 재결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생성된 서비스 규칙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칙 생성부(230)는 반응도 산출부(260)에서 산출된 반응도에 기초하여 사용자(100)의 능동형 서비스 제공 여부 및 제공 횟수를 재결정할 수 있다. 재결정된 중요도는 예를 들어,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에 기초하여 재결정될 수 있다.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기초하여 능동형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능동형 서비스는 예를 들어, 뉴스, 교통정보, 콘텐츠 제공, 정보 제공, 알람, 텍스트 메시지 및 감성 채팅 메시지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따라 수집된 상황 정보 중 사용자(100)의 현재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능동형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능동형 서비스는 사용자(100)의 요청 없이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중요도에 기초하여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에 대한 출력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캐릭터 기반, TTS(음성), LED 모듈 기반, 음향 기반 및 메시지 기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출력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중요도가 높은 경우, 사용자(100)의 응답/동의/명령 없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사용자 캘린더 정보 및 외부 정보(교통)에 기초하여 출근시간 10분 전, LED 메시지-청색 빠르게 점멸+음성 메시지를 설정하여, "회사가지 가는 3412번 버스가 10분 후에 정류장에 도착합니다. 서두르세요."와 같이 능동형 서비스 및 출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외부 정보(기상특보)에 기초하여 LED 메시지-적색, 빠르게 점멸+음성 메시지를 설정하여, "오늘 오후 서초구에 태풍이 온대요. 조심하세요."와 같이 능동형 서비스 및 출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중요도가 낮은 경우, 캐릭터, ELD 등을 이용하여 능동형 서비스 제공의 사실을 사용자(100)에게 알리고, 사용자(100)의 응답/명령을 유도하고, 사용자(100)의 응답/명령 이후에 해당 능동형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상황 정보(채널 재핑)의 경우,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심심하시죠.재미있는 영화 추천을 원하시면 저를 부르신후 재미있는 영화 추천해줘"라고 말씀해주세요."와 같은 토스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사용자 상황 정보(유휴 시간)과 로그 정보의 경우,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와 음성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며 "잊지 않으셨나요.저 여기 있어요."와 같은 음성을 출력하며, 사용자(1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10분 후에 XX님께서 즐겨 시청하시는 무한도전이 시작해요. 보실래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상황 정보(반복 명령)의 경우, 사용자(100)로부터 "기가지니, 회사가는 버스 도착 예정시간 알려줘"와 같은 음성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10)에서 "3412번 버스는 약 7분 후에 도착해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 및 토스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약 한달이 지나서, 사용자가 월, 수, 금요일마다 같은 질문을 한 경우,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지난 한달동안 월, 수, 금요일마다 같은 질문을 하셨어요. 앞으로 월, 수, 금요일 오전 7시반에 3412번 도착 예정시간을 자동으로 알려드릴까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 및 토스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사용자 상황 정보(캘린더 정보)와 외부 정보(교통)의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서 LED 녹색, 빠르게 점멸되도록 하는 LED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며, 사용자(100)로부터 음성을 수신하면, "지금 서초구에 비가 오고 있어요. 시내 교통상황도 좋지 안아요. 평소보다 여유있게 출발하세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 및 텍스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능동형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100)로부터 응답을 입력받기 위한 응답 요청 정보를 능동형 서비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서비스의 중요도 및 특성에 따라 사용자(100)의 응답을 입력받기 위한 응답 요청 정보를 서비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100)로부터 능동형 서비스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응답 메시지에 기초한 능동형 서비스에 대응하는 세부 정보를 전달하거나,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240)는 반응도 산출부(260)에서 산출된 반응도에 따라 규칙 생성부(230)에서 중요도가 재결정되면, 재결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에 대한 출력 방법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전송부(250)는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사용자(100)의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반응도 산출부(260)는 사용자(100)에게 제공된 서비스 규칙 및 사용자(100)에게 제공된 서비스 규칙에 관하여 사용된 서비스에 기초하여 능동형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100)의 반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반응도 산출부(260)는 능동형 서비스가 사용자(100)에게 제안된 횟수 및 실제 제공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반응도가 높을수록 능동형 서비스의 제공 횟수는 증가될 수 있다. 반응도는 예를 들어,
Figure pat00008
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1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100)에 의해 발생된 서비스 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100)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수집된 상황 정보 중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추출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기초하여 능동형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사용자(100)의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 능동형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100)로부터 응답을 입력받기 위한 응답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상황 정보 수집부(400), 전송부(410), 수신부(420) 및 출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 정보 수집부(400)는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00)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전송부(410)는 수집된 상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420)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100)에 의해 발생하여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의 발생 빈도 및 상기 조건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한 경우 발생한 결론의 발생 빈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중요도가 결정되고, 서비스 규칙은 결정된 중요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출력부(430)는 사용자(100)의 요청 없이 수신된 능동형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부(430)는 중요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출력 방법에 따라 능동형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30)는 능동형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100)로부터 응답을 입력받기 위한 응답 요청 정보를 더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에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5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100)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수집된 상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100)에 의해 발생하여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의 요청 없이 수신된 능동형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캐릭터와 함께 토스트 메시지 기반의 능동형 서비스가 제공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캐릭터(600)와 함께 푸시 메시지를 토스트 메시지(610) 기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에서 사용자 로그 및 상황을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로그 및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로그 및 상황에 기초하여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연동된 디스플레이 장치(115)를 통해 푸시 메시지 병합 화면을 사용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이 사용자(100)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대해 "무슨일이야?"라는 음성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한 음성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수신한 사용자 응답 메시지에 대한 상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15)를 통해 상세 메시지가 병합된 화면을 사용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세 메시지가 병합된 화면은 캐릭터(600)와 토스트 기반의 메시지(6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토스트 기반의 메시지(610)는 예를 들어, "영화가 새로 등록되었어요. 추천해 드릴까요?"라는 텍스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LED 기반의 능동형 서비스가 제공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외부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상황을 감지한 경우, 감지된 긴급 상황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상황 정보는 예를 들어, 폭염 주의보일 수 있다. 푸시 메시지는 예를 들어, "LED 기반 메시지", "긴급", 적색, 0.5s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한 푸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적색 LED를 표시하고, 적색 LED가 점멸(delay: 0.5s)되도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이 사용자(100)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대해 "무슨일이야?"라는 음성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한 음성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수신한 사용자 응답 메시지에 대한 상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15)를 통해 상세 메시지가 병합된 화면을 사용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세 메시지가 병합된 화면은 캐릭터(700)와 토스트 기반의 메시지(7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토스트 기반의 메시지(710)는 예를 들어, "우리 동네에 폭염 예보가 있어요. 낮 동안 야외활동을 자제하세요"라는 텍스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은 모닝 브리핑 및 문안 인사를 사용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모닝 브리핑은 예를 사용자의 이용 로그에 기초한 행동 패턴(평일 오전 7시 브리핑 요청 고객) 및 선호 정보(뉴스 종류)에 따라 평일 오전 7시 정치 뉴스 및 날씨를 포함하는 모닝 브리핑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0)가 아침 인사(좋은 아침, 굿모닝)등을 발화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발화에 대응하는 인사 응답 이후, 모닝 브리핑을 제공할 수 있다. 문안 인사는 시간대와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기초하여 시간대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능동형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캐릭터를 통해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15)를 통해 능동형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캐릭터(800)를 디스플레이 장치(115)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캐릭터(800) 표시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캐릭터(800)는 서비스의 종류 또는 중요도에 따라 캐릭터의 표정 또는 애니메이션이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의 중요도가 높은 경우, 캐릭터(800)는 뛰거나, 점프 등과 같이 움직임을 많이 발생시켜 사용자(100)의 시선을 끌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 상황에 따라 비가 오는 경우 우산을 쓴 캐릭터를 제공하고, 출근 시간의 경우 급하게 뛰어가는 캐릭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800)는 화면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며, 캐릭터(800)에 대응하는 효과음 또는 음악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TTS 기반의 표시 방법을 통해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의 내용을 TTS를 이용하여 사용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 기반으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의 LED 모듈(810)에 포함된 복수의 LED 유닛 전체 또는 각각에 대한 색상 변경, 점멸(횟수 또는 속도 등)을 통해 메시지의 발생을 사용자(100)에게 전달하고, 사용자(100)의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메시지의 경우, 노색 점등 및 느리게 점멸하고, 긴급 메시지의 경우, 적색 점등 및 빠르게 점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음향 기반 표시 방법을 통해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향(의성어, 의태어, 멜로디 등)을 통해 메시지의 발생을 사용자(100)에게 전달하고, 사용자(100)의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기반의 표시 방법을 통해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15)를 통해 토스트 메시지(830)를 띄어 메시지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c를 통해 설명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8c를 통해 설명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미디어 재생 장치
115: 디스플레이 장치
120: 서비스 제공 서버
200: 로그 수집부
210: 상황 정보 수집부
220: 추출부
230: 규칙 생성부
240: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
250: 전송부
260: 반응도 산출부
400: 상황 정보 수집부
410: 전송부
420: 수신부
430: 출력부

Claims (17)

  1.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서비스 로그를 수집하는 로그 수집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상황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 중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기 추출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규칙을 생성하는 규칙 생성부;
    상기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기초하여 능동형 서비스를 생성하는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능동형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따라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능동형 서비스를 생성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생성부는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와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가 발생할 때의 상황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발생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서비스 규칙을 생성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의 발생 빈도 및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실행한 경우 발생한 결론의 발생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결정하고,
    상기 서비스 규칙은 상기 결정된 중요도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생성부는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실행한 경우 발생한 결론에 대해 기설정된 가중치에 더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결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에 대한 출력 방법을 설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규칙은 전체 사용자에게 적용될 일반 규칙, 특정 사용자에게 적용될 사용자 맞춤 규칙 및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리자 생성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능동형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응답을 입력받기 위한 응답 요청 정보를 상기 능동형 서비스에 포함시키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 규칙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 규칙에 관하여 사용된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능동형 서비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반응도를 산출하는 반응도 산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생성부는 상기 산출된 반응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중요도를 재결정하고,
    상기 능동형 서비스 생성부는 상기 재결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에 대한 출력 방법을 재설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생성부는 상기 재결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서비스 규칙을 변경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12.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서비스 로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 중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기 추출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규칙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기초하여 능동형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능동형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능동형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응답을 입력받기 위한 응답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14.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상황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여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능동형 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요청 없이 상기 수신된 능동형 서비스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 및 상기 전송된 상황 정보 중 상기 수집된 서비스 로그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가 분석되어 상기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규칙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서비스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능동형 서비스가 생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의 발생 빈도 및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실행한 경우 발생한 결론의 발생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중요도가 결정되고,
    상기 서비스 규칙은 상기 결정된 중요도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중요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출력 방법에 따라 상기 능동형 서비스를 출력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능동형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응답을 입력받기 위한 응답 요청 정보를 더 출력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KR1020180078456A 2017-07-05 2018-07-05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KR102467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5308 2017-07-05
KR1020170085308 2017-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138A true KR20190005138A (ko) 2019-01-15
KR102467090B1 KR102467090B1 (ko) 2022-11-16

Family

ID=6503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456A KR102467090B1 (ko) 2017-07-05 2018-07-05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0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961A (ko) * 2012-09-20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71111A (ko) * 2014-12-11 201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의 개인 비서 서비스 제공
KR20160150612A (ko) * 2015-06-22 2016-12-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조명 맞춤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961A (ko) * 2012-09-20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71111A (ko) * 2014-12-11 201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의 개인 비서 서비스 제공
KR20160150612A (ko) * 2015-06-22 2016-12-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조명 맞춤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090B1 (ko)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9857B2 (en) Notification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US20130204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ub-Panel Creation and Management
US2014001803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difiable Observational Logic for Mobile Terminal Data Analysis and Distribution
CN102184212A (zh) 定制流内容呈现
US10104524B2 (en) Communications via a receiving device network
US20230208897A1 (en) Custom content insertion for user groups
CN109446031B (zh) 终端设备的管控方法、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2004110A (zh) 提示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CN111259246A (zh) 信息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5517757A (ja) 複数の通知モードを用いる移動端末の通知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移動端末
KR100718011B1 (ko) 방송 프로그램별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
CN105282621A (zh) 一种语音消息可视化服务的实现方法及装置
CN109791654A (zh) 用于预测用户设备的用户的参与度水平的方法、相关的参与度预测设备和用户设备
CN106572131A (zh) 物联网中媒体数据分享的方法及系统
US9706055B1 (en) Audio-based multimedia messaging platform
US20190036720A1 (en) Method and device to select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livery attributes
KR102467090B1 (ko)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CN109658924B (zh) 会话消息处理方法、装置及智能设备
US107498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sending a message with an image attached thereto
JP2012526317A (ja) ユーザグループのメンバーの経験レポート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1012977B2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nd method for broadcasting to a communication terminal of a user, information manager and broadcaster
CN107665709B (zh) 一种信息提醒方法、智能机器人以及移动终端
CN102917008A (zh) 一种基于Android平台的移动终端监控方法
CN114025317A (zh) 多媒体资源的传播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CN113079086A (zh) 消息发送方法、消息发送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