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079A - Apparatus for removing fo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fo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079A
KR20190005079A KR1020170085657A KR20170085657A KR20190005079A KR 20190005079 A KR20190005079 A KR 20190005079A KR 1020170085657 A KR1020170085657 A KR 1020170085657A KR 20170085657 A KR20170085657 A KR 20170085657A KR 20190005079 A KR20190005079 A KR 20190005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unit
drones
information
f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0902B1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102017008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902B1/en
Publication of KR2019000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0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9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3/00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e.g. on roads, on air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30Lighter-than-air aircraft, e.g. aerostatic aircra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64C2201/022
    • B64C2201/126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pparatus for removing fog using solar heat.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g using solar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lloon unit having an inner space to which hydrogen or helium is injected; an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hydrogen or helium to the inner space of the balloon unit; a drone body unit having a driving control unit to provide driving power; a camera mounted on the drone body unit; a first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drone body unit and the balloon unit; a reflection plate for reflecting solar light to a specific point by receiving solar light;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drone body unit and the reflection plate. Moreover,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g using solar heat includes: a balloon unit having an inner space to which hydrogen or helium is injected; an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hydrogen or helium to the inner space of the balloon unit; a central control unit for allowing a person to get on and control the balloon part; a camera mounted on the central control unit; a first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drone body unit and the balloon unit; a reflection plate for reflecting solar light to a specific point by receiving solar light;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drone body unit and the reflection plate.

Description

수소, 헬륨 기구를 이용한 태양열 반사 안개제거장치 {APPARATUS FOR REMOVING FOG}[0001] APPARATUS FOR REMOVING FOG [0002]

본 발명은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수소, 헬륨과 같은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이용하여 기구를 띄우고, 안개가 많이 발생하는 장소로 태양열이 반사될 수 있도록 드론 또는 탑승용 기구에 연결된 반사판의 방향을 조절하여 안개를 제거할 수 있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g removing apparatus using solar heat, more specifically, a fog removing apparatus using solar fog, more specifically, a fog removing apparatus using solar fog removing apparatus using a gas which is lighter than air such as hydrogen and heliu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g removing device using solar heat, which can remove fog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a reflector connected to a device.

산업이 발전하고 다양화되면서 짙은 안개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빈번해지고 규모도 대형화되고 있다.As the industry develops and diversifies, the damage caused by heavy fog and property damage are frequent and the scale is becoming larger.

도로, 해안지역과 공항에서 발생하는 안개는 차량과 선박 및 항공 산업을 이용한 운수업 등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Fogs from roads, coastal areas and airports are causing enormous damage to the transportation of vehicles, ships and the aviation industry.

도로교통 안전관리공단의 2004년~2006년 통계에 따르면, 안개가 발생한 날은 시정장애를 일으켜 맑은 날이나 비, 눈이 오는 날에 비해 사망자 수가 약 4배에 이른다고 전망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2004-2006 statistics of the Road Traffic Safety Authority,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fatalities is about four times higher than on a clear day, rain, and snow due to mental disorder on the day of fog.

이러한 안개를 소산하기 위해 여러 방안이 모색 중에 있는데, 주로 흡습성 물질을 이용한 시딩, 강한바람, 열가열 등의 기술이 이에 속한다.Several methods are being sought to dissipate this fog, such as seeding using a hygroscopic material, strong winds, and heat heating.

종래의 안개소산장치로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87710호에서는 열풍공기를 분사하는 안개 소산 장치부, 다수의 지지대,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 강우 강설 센서부, 안개 소산 제어부, 원격지 관리부로 이루어진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열풍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소모가 많아 고비용이 발생되고, 방출되는 열풍 공기로 인해 가로수를 고사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conventional mist dissipating apparatu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87710, a mist dispersing unit for spraying hot air, a plurality of supports, a fog correction distance measuring unit, a rainfall snowfall sensor unit, a mist dissipation control unit, An active type fog dissipating system has been proposed, but it has a problem in that it consumes a large amount of energy to generate hot air and causes a high cost, and the roadside air is damaged due to the hot air discharged.

또한, 지지대가 일방향으로만 바라보는 고정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어, 특정방향으로만 열풍공기를 분사시키기 때문에 지지대를 기준으로 전방위적으로 안개를 소산시킬 수가 없어, 안개소산율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in a fixed type that is viewed only in one direction, the hot air is injected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so that the fog can not be dissipated omnidirectionally on the basis of the support, and the fog dissipation rate is somewhat lowered.

그리고, 기존의 안개소산장치가 일반금속재질로 되어 있어, 안개, 빗물, 눈과 같은 이물질 접촉시, 쉽게 마모되거나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mist dissipating device is made of a common metal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asily worn or corroded when foreign substances such as mist, rain water, snow are contacted.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87710호 (등록일 : 2014.04.1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87710 (Registered on April 4, 2014)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 헬륨과 같은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이용하여 기구를 띄우고, 안개가 많이 발생하는 장소로 태양열이 반사될 수 있도록 드론 또는 탑승용 기구에 연결된 반사판의 방향을 조절하여 안개를 제거할 수 있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fog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reflector connected to the drone or the boarding instrument so that the apparatus is floated using a gas lighter than air such as hydrogen or helium and the solar heat is reflected to a place where a lot of mist is generated And to provide a fog removing device using solar heat.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는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기구부; 상기 기구부의 내부 공간에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구동 제어부가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론 본체부; 상기 드론 본체부에 설치되는 촬영기기; 상기 드론 본체부와 상기 기구부를 연결하여 주는 제1 연결부; 태양광을 받아들여 특정 지점으로 태양광을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 및 상기 드론 본체부와 상기 반사판을 연결하여 주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removing fog using solar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chanism including an internal space into which hydrogen or helium can be injected; An injecting unit capable of injecting hydrogen or helium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echanical unit; A drone main body provided with a drive control uni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An imaging device installed in the drones;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drone main part and the mechanical part; A reflector that accepts sunlight and reflects the sunlight to a specific point;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drones to the reflec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는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기구부; 상기 기구부의 내부 공간에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사람이 탑승하여 상기 기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중앙통제부; 상기 중앙통제부에 설치되는 촬영기기; 상기 중앙통제부와 상기 기구부를 연결하여 주는 제1 연결부; 태양광을 받아들여 특정 지점으로 태양광을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 및 상기 중앙통제부와 상기 반사판을 연결하여 주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Also,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g using solar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chanism including an internal space into which hydrogen or helium can be injected; An injecting unit capable of injecting hydrogen or helium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echanical unit; A central control unit on which a person can ride to control the mechanism unit; An imaging device install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A first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mechanical unit; A reflector that accepts sunlight and reflects the sunlight to a specific point;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reflector.

또한, 상기 반사판을 이용하여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시설으로 태양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태양광 발전시설은 반사된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Further, the reflector reflects sunlight to a solar power generating facilit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solar power generating facility can be driven to absorb the reflected sunlight to generate electric energy.

또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드론 본체부에 설치된 구동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signal to a driving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drone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안개제거장치 주변의 안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안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안개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안개를 제거할 곳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반사판에 의해서 반사된 태양광을 상기 결정부에서 결정된 장소에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드론 본체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신호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fog information around the fog removing device; A determining unit for analyzing the fo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ing a place to remove the fog using the fog removing apparatus; And a driving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drone main body unit so that the sun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late can be irradiated to a place determined by the crystal unit.

또한, 상기 반사판은 태양광을 모으고 발전을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flector may be a solar panel that collects sunlight and generates electricity to produce electricity.

또한, 상기 반사판은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이상의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ion p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metal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gnesium and aluminum.

또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의 공간적 위치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전파 환경 정보 및 운행 제한 정보를 분석한 다음, 상기 드론 본체부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이 운행경로 및 운행 고도를 결정하고, 상기 구동신호 전달부는 상기 운행경로 및 운행고도에 따른 구동이 될 수 있도록, 구동신호를 상기 드론 본체부의 구동 제어부에 전달하며, 상기 운행 제한 정보는 드론 본체부의 비행이 제한 또는 금지되는 운행 제한 지역 및 드론 본체부에 탑재된 기능이 제한될 필요가 있는 기능 제한 지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결정부는 상기 전파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의 전파 환경이 제공되는 지역 및 고도를 통과하도록 상기 운행 경로 및 운행 고도를 결정하되, 상기 운행 제한 지역을 회피하도록 상기 운행 경로 및 상기 운행 고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unit analyzes the radio wav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restric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spatial position of the fog removing device using the solar heat and the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ron i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of the dron main body The driving signal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control unit of the drones so that the driving signal may be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route and the driving altitude. And a function restricting area in which functions mounted on the drones are limited, wherein the path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ropagation environment of a predetermined standard or more is provided based o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Determining the driving route and the driving altitude so as to pass the area and the altitude, The driving route and the driving altitude can be determined so as to avoid the operation restriction area.

또한, 상기 통신부는 운행 중인 드론 본체부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운행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행 중인 드론에 대한 관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제 정보를 상기 구동신호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제어부에 전송하는 관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운행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행중인 드론 본체부가 상기 운행 제한 지역으로 접근 또는 진입하는 경우, 운행 제한 지역에 대한 접근 또는 진입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행중인 드론이 상기 운행 제한 지역으로 접근 또는 진입하는 경우, 상기 운행 중인 드론 본체부의 운행 방향 및 운행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운행 중인 드론 본체부의 기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신호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for the running dron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unning drone main unit and the travel restri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driv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ccess or entry to the restricted area in the case where the intruder body is in or out of the restricted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stricted travel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t least one of a running direction and a running altitude of the drones in operation when the drones are approaching or entering the restricted operation area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rone main bod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blocking the drive function by way of a signaling can be transmitted to the drive control.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 헬륨과 같은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이용하여 기구를 띄우고, 안개가 많이 발생하는 장소로 태양열이 반사될 수 있도록 드론과 연결된 반사판의 방향을 조절하여 안개를 제거할 수 있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og by regulating the direction of the reflector connected to the drone so that the apparatus is floated using a gas that is lighter than air such as hydrogen or heliu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d mist remov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제거장치의 기능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개제거장치의 기능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안개제거장치가 동작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mi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i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fog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 fog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illustrate that they are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component appearing in more than one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similar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of the depicted area, but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form, for example, by manufa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mi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제거장치의 기능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i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개제거장치의 기능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fog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안개제거장치가 동작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 fog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는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기구부 및 상기 기구부의 내부 공간에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g using solar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chanism including an inner space into which hydrogen or helium can be injected, and an injection unit capable of injecting hydrogen or helium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echanism.

수소와 헬륨은 원소기호 1번과 2번으로서, 분자량이 아주 작으며 가벼운 기체이다. 따라서, 대기중의 공기와 비교하여 매우 가볍기 때문에 안개제거장치를 공중에 띄우는데 이용된다. 다만, 기구장치를 띄우는데는 용이하나 바람등의 외부환경과 특정한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원하는 곳으로 태양광을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드론 본체부와 같은 별도의 조정장치가 필요하게 된다.Hydrogen and helium are elemental symbols 1 and 2, with very small molecular weight and light weight. Therefore, it is very light compared to the air in the air, so it is used to float the mist eliminator in the air. However, since there is no particular directionality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wi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adjusting device such as a drone main body described later in order to reflect sunlight to a desired place.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는 구동 제어부가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론 본체부; 상기 드론 본체부에 설치되는 촬영기기; 및 상기 드론 본체부와 상기 기구부를 연결하여 주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removing fog using solar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one main body provided with a drive control uni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An imaging device installed in the drones; And a first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drone main body and the mechanical unit.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는 태양광을 받아들여 특정 지점으로 태양광을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 및 상기 드론 본체부와 상기 반사판을 연결하여 주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A fog removing apparatus using solar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lection plate for receiving sunlight and reflecting sunlight to a specific point;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drones to the reflector.

반사판은 태양광을 모으고 발전을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반사판은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이상의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태양광을 반사하기 위해서는 반사성능이 좋은 물질을 이용하여야 한다. 금속물질중에서는 알루미늄 호일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성분이 태양광을 잘 반사시켜 좋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The reflector may include a solar panel that collects sunlight and generates electricity to generate electricity, and the reflector may include at least one metal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gnesium and aluminum. Basically, in order to reflect sunlight, it is necessary to use a material having good reflection performance. Among metal materials, metal components such as aluminum foil and magnesium can reflect solar light well and obtain good efficiency.

또한, 단순히 태양광을 반사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것이 아닌,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반사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안개는 대부분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안개제거장치를 이용한 이후 낮 시간에는 사용하지 않게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안개제거장치를 그냥 놔두는 것이 아닌, 태양광패널을 이용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에너지를 저장하여 자체적으로 드론을 구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안개제거장치에 별도의 구동에너지를 주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드론 자체를 구동시키는 이외에도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다가 지상에 내려왔을 때 이를 별도의 에너지 저장공간에 저장하여 다른 곳에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태양광모듈은 태양광의 입사방향과 입사각에 따라 효율이 달라지는데, 본 발명에 의한 안개제거장치는 드론을 이용하여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태양광의 입사방향과 입사각에 따라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로고 방향을 변경하여 줌으로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form the reflection plate so as to have various functions instead of merely reflecting sunlight. That is, since the fog occurs mostly at the early morning or early morning, it is often not used during the daytime after using the fog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oduce and use the electric energy using the solar panel instead of leaving the mist removing device alone. The energy can be stored and used to drive the drone itself. In this case, it is not troublesome to inject separate driving energy into the mist eliminator, so that it is easy to use. In addition to driving the drones themselves, they also accumulate energy, and when they land on the ground, they can be stored in a separate energy storage space and used elsewhere.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the solar module varies depending on the incidence direction and the incidence angle of the sunlight. However, the fog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best efficiency according to incidence angle and incidence angle of the sunlight, The effect can be maximized.

기구부가 안개제거장치를 띄우는데 목적이 있다면, 드론 본체부에 연결된 반사판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원하는 위치로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드론 본체부가 필요하다. 드론 본체부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조정으로 인하여 방향을 컨트롤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안개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태양광을 반사시켜 줌으로써 안개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드론 본체부에는 촬영기기를 설치하여 외부의 환경상태를 촬영하여 제공함으로써 기상상태 파악, 지상촬영용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order to reflect the sunlight to a desired position using a reflector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drones, a drone body is required if the mechanism is intended to float the mist removing device. The drone body can control the direction by remote contro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y using this principle, the fog can be removed by reflecting the sunlight in an area where a lot of fog occurs. In addition, the drone main body can be provided with a photographing device and photographs and provides an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 so that i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weather condition grasp, a ground photographing, and the like.

또한, 상기 반사판을 이용하여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시설으로 태양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태양광 발전시설은 반사된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기구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시설로 태양광을 집중시켜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태양광을 반사시켜 안개를 제거할 수 있고, 태양광을 직접 흡수하여 태양광 발전을 시킬 수도 있으며, 태양광을 지상의 태양광 발전시설로 반사시켜 효율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Further, the reflector reflects sunlight to a solar power generating facilit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solar power generating facility can be driven to absorb the reflected sunlight to generate electric energy. This has the advantage of not only installing solar panels on the apparatus, but also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solar power generation by concentrating the sunlight on the ground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g can be removed by reflecting the sunlight, the sunlight can be directly absorbed by the sunlight, and the sunlight can be reflected to the grou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Which is an invention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imultaneously.

드론은 무선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다. 카메라, 센서, 통신시스템 등이 탑재돼 있으며 25g부터 1200kg까지 무게와 크기도 다양하다. 처음에는 공군기나 고사포, 미사일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 구실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무선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찰기 개발되어 적의 내륙 깊숙히 침투하여 정찰 ·감시의 용도로도 운용되었다. 근래에 들어 드론에 미사일 등 각종 무기를 장착하여 공격기로도 활용되고 있다.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대형 비행체의 군사용뿐만 아니라, 초소형 드론도 활발하게 개발 연구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취미활동으로 개발되어 상품화된 것도 많이 있다.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을 투입하여 운용한다.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하여 수송목적에도 활용하는 등 드론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드론이 개발되던 초기에는 표적드론(target drone) ·정찰드론(reconnaissance drone) ·감시드론(surveillance drone)으로 분류하였지만 현재는 활용 목적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분류가 가능하다.Drones are unmanned aerial vehicles that can be controlled by radio waves. Cameras, sensors and communication systems, and weighs between 25g and 1200kg. Initially, it was used as a target instead of the enemy in the practice shooting of an air force, an anti-aircraft gun, and a missile.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wireless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the reconnaissance aircraft gradually penetrated deeply into the enemy's inland. Recently, it has been used as an attacker by attaching various weapons such as a missile to a drone. Drones have been developed variously in various sizes and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but not only for military use but also for miniature drones, they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and studied. There are also many thing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as personal hobbies. The drones are put into operation in areas that are not accessible to humans, such as jungles, remote areas, volcanic areas, natural disasters, and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reas. Recently, the application range of drones has been gradually widened by utilizing dron for transportation purposes. In the early days when the drones were developed, they were classified as target drone, reconnaissance drone, surveillance drone, but now it is possible to classif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urpose.

미국은 2004년부터 드론을 공격에 활용했다. 2010년에는 122번 넘게 파키스탄과 예멘에 드론으로 폭격을 가했다. 비영리 뉴스제공 기관인 조사보도국(Bureau of Investigative Journalism)은 “미국의 드론 공격이 2~3천명의 사상자를 만들었다”라고 보도했다. 드론 공격으로 어린이 등 민간인 수백 명이 목숨을 잃게 되자, 드론 공격에 대한 비난이 거세졌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후 드론으로 무차별한 폭격을 가하는 것에 좀 더 엄격한 기준을 제시하기로 하고, 드론을 이용한 공격을 줄이기도 했다.The United States has used the drones since 2004. In 2010, it bombed Pakistan and Yemen with more than 122 drones. The Bureau of Investigative Journalism, a not-for-profit news agency, reported that "the drones attack in the United States created two to three thousand casualties." When hundreds of civilians, including children, were killed in a drones attack, criticism of the drones was aggravated. US President Barack Obama has since decided to set a more stringent standard for indiscriminate bombardment of drones, and has also reduced attacks using drones.

현재 드론은 군사용 뿐 아니라 기업, 미디어, 개인을 위한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드론 시장에 나온 제품 가운데 90%는 군사용이다. 앞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많은 선진국이 드론 기술력을 높이는 데 더 힘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국방부는 2014년 12월 드론을 위한 공항을 따로 구축하기로 했고, 3300만달러(약 366억원)를 투자하기도 했다.Currently, drone is used not only for military use but also for business, media, and individual use. But still 90% of the products on the drones market are military. In the future, many advanced countries,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will be more inclined to increase their technology.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decided to build a separate airport for the drones in December 2014 and invested $ 33 million.

국내에서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대한항공이 드론 연구 개발에 적극적이다. 방위산업체나 중소기업, 택배업체들도 최근 드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아직 드론을 사용하는 데 여러가지 제약이 있다. 드론은 아직까지 항공기로 취급받고 있고, 법도 아직은 기존 군사용이나 공적인 업무로 사용하던 것을 중심으로 제정돼 있는 상태다. 드론을 상업용으로 확장하려면 관련 규정이나 법 개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 뿐만 아니라 북미나 유럽 지역도 비슷하다.In Korea, Korea Aerospace Industries (KAI) and Korean Air are activ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rones. Defense companies,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nd home delivery companies are also interested in drone. Korea still has many limitations in using drones. The drones are still being handled as aircraft, and the law is still in the process of being used primarily for military or public service. To expand the drones to commercial, related regulations or legal amendments are needed. This situation is similar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North America and Europe.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같은 전세계에서 내로라하는 기업들은 최근 몇 년 새 드론 기술을 개발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아마존은 2013년 12월 ‘프라임에어’라는 새로운 배송 시스템을 공개했다. 아마존은 재고 관리와 유통시스템을 자동화하는 데 기술 투자를 하고 있다. 아마존 프라임에어는 택배직원이 했던 일을 드론이 대신하는 유통 서비스다. 아마존은 이를 위해 드론을 개발하는 연구원을 대거 고용했다. 아마존은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허가를 기다리는 중이며, 법적인 규제가 풀리는대로 드론 배달 서비스를 내놓을 예정이다.Companies around the world, such as Google, Facebook and Amazon, are keen to develop new drone technology in recent years. Amazon unveiled a new shipping system called 'Prime Air' in December 2013. Amazon is investing in technology to automate inventory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s. Amazon Prime Air is a distribution service on behalf of the drones. Amazon hired many researchers to develop drones for this. Amazon is waiting for the US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to approve it, and will release a drones delivery service as legal restrictions are lifted.

드론이 장점만 지니고 있는 건 아니다. 많은 나라가 드론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안전’을 꼽는다. 테러리스트가 드론에 위험물질을 넣어 배달할 수도 있고, 드론이 고장나 갑자기 추락할 수도 있다. 해킹을 당하거나 장애물에 부딪힐 위험도 상존한다. 촬영용 드론이 많아질수록 사생활 침해 위협도 늘어난다. 현재 방송사 등에서 상업용으로 사용하는 드론은 미리 관련 부처에 신고를 하고 이용하는 게 대부분이다. 독일 DHL은 드론을 이용하기 위해 비행 구간도 따로 만들고 속도도 시간당 40마일로 제한해서 운행한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안개제거를 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안전과 높은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발명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Drones do not have merit. Many countries consider 'safety' as the biggest problem of drones. Terrorists can deliver dangerous materials to the drones, or the drones may break down and suddenly crash. There is also a risk of being hacked or bumping into obstacles. The more drones you shoot, the greater the threat of privacy. Currently, most of the drones that are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by broadcasters are reported to the relevant ministry in advance. DHL has also set up a flight section for drones and operates at speeds of up to 40 miles an hour. Due to these disadvantages, the present invention has invented variou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safety and high efficiency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g using dron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는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기구부; 상기 기구부의 내부 공간에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사람이 탑승하여 상기 기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중앙통제부; 상기 중앙통제부에 설치되는 촬영기기; 상기 중앙통제부와 상기 기구부를 연결하여 주는 제1 연결부; 태양광을 받아들여 특정 지점으로 태양광을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 및 상기 중앙통제부와 상기 반사판을 연결하여 주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Also,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g using solar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chanism including an internal space into which hydrogen or helium can be injected; An injecting unit capable of injecting hydrogen or helium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echanical unit; A central control unit on which a person can ride to control the mechanism unit; An imaging device install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A first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mechanical unit; A reflector that accepts sunlight and reflects the sunlight to a specific point;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reflector.

상기 설명한 발명과 다른 점은 드론 본체부 대신에 사람이 직접 탑승하여 조종할 수 있는 중앙통제부가 설치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중앙통제부는 사람이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제어함으로써 드론을 이용할 때보다 더 정확한 제어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is that a central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place of the drones for direct maneuvering. This central control un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than when using the dron by visual confirmation and control by the person. Hereinafter,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드론 본체부에 설치된 구동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안개제거장치 주변의 안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안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안개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안개를 제거할 곳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반사판에 의해서 반사된 태양광을 상기 결정부에서 결정된 장소에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드론 본체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신호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g removing apparatus using solar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signal to a driving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drone main body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ata; A determining unit for analyzing the fo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ing a place to remove the fog using the fog removing apparatus; And a driving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drone main body unit so that the sun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late can be irradiated to a place determined by the crystal unit.

도2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신부는 드론 본체부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드론 본체부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드론 본체부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드론을 조종할 수 있는 무선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경 및 운행정보를 분석한 드론의 운영기능은 드론 본체부내에 실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외부 드론 운영시스템에서 운영될 수도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rones or outside the drones. When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ron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drone is installed on the ground so as to transmit a radio signal that can control the drone.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drone analyzing the environment and running information may be mounted in the drone body, And may be operated in a separate external drones operating system.

또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의 공간적 위치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전파 환경 정보 및 운행 제한 정보를 분석한 다음, 상기 드론 본체부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이 운행경로 및 운행 고도를 결정하고, 상기 구동신호 전달부는 상기 운행경로 및 운행고도에 따른 구동이 될 수 있도록, 구동신호를 상기 드론 본체부의 구동 제어부에 전달하며, 상기 운행 제한 정보는 드론 본체부의 비행이 제한 또는 금지되는 운행 제한 지역 및 드론 본체부에 탑재된 기능이 제한될 필요가 있는 기능 제한 지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결정부는 상기 전파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의 전파 환경이 제공되는 지역 및 고도를 통과하도록 상기 운행 경로 및 운행 고도를 결정하되, 상기 운행 제한 지역을 회피하도록 상기 운행 경로 및 상기 운행 고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unit analyzes the radio wav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restric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spatial position of the fog removing device using the solar heat and the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ron i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of the dron main body The driving signal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control unit of the drones so that the driving signal can be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route and the driving altitude, And a function restricting area in which functions mounted on the drones are limited, wherein the path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ropagation environment of a predetermined standard or more is provided based on the propag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Determining the driving route and the driving altitude so as to pass the area and the altitude, The driving route and the driving altitude can be determined so as to avoid the operation restriction area.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론은 국가와 지역에 따라서 운행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 효율적인 드론운행을 위하여 운행 제한 정보를 분석한 다음, 이에 대응하여 드론을 운용함으로써 안개제거장치의 사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noted above, drones often have limited travel restrictions depending on the country and region. In this case, the operation limitation information is analyzed for efficient drone operation, and the use of the fog removing device is maximized by operating the drone correspondingly.

또한, 상기 통신부는 운행 중인 드론 본체부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운행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행 중인 드론에 대한 관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제 정보를 상기 구동신호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제어부에 전송하는 관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운행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행중인 드론 본체부가 상기 운행 제한 지역으로 접근 또는 진입하는 경우, 운행 제한 지역에 대한 접근 또는 진입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행중인 드론이 상기 운행 제한 지역으로 접근 또는 진입하는 경우, 상기 운행 중인 드론 본체부의 운행 방향 및 운행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운행 중인 드론 본체부의 기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신호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for the running dron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unning drone main unit and the travel restri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driv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ccess or entry to the restricted area in the case where the intruder body is in or out of the restricted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stricted travel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t least one of a running direction and a running altitude of the drones in operation when the drones are approaching or entering the restricted operation area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rone main bod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blocking the drive function by way of a signaling can be transmitted to the drive control.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기구부
20 : 제1 연결부
30 : 드론 본체부
40 : 촬영기기
50 : 제2 연결부
60 : 반사판
10:
20: first connection portion
30: Drone body part
40: Photography equipment
50: second connection portion
60: reflector

Claims (9)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기구부;
상기 기구부의 내부 공간에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구동 제어부가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론 본체부;
상기 드론 본체부에 설치되는 촬영기기;
상기 드론 본체부와 상기 기구부를 연결하여 주는 제1 연결부;
태양광을 받아들여 특정 지점으로 태양광을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및
상기 드론 본체부와 상기 반사판을 연결하여 주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
A mechanism including an inner space into which hydrogen or helium can be injected;
An injecting unit capable of injecting hydrogen or helium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echanical unit;
A drone main body provided with a drive control uni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An imaging device installed in the drones;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drone main part and the mechanical part;
A reflector for receiving the sunlight and reflecting sunlight to a specific point; and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drones to the reflection plate.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기구부;
상기 기구부의 내부 공간에 수소 또는 헬륨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사람이 탑승하여 상기 기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중앙통제부;
상기 중앙통제부에 설치되는 촬영기기;
상기 중앙통제부와 상기 기구부를 연결하여 주는 제1 연결부;
태양광을 받아들여 특정 지점으로 태양광을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및
상기 중앙통제부와 상기 반사판을 연결하여 주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
A mechanism including an inner space into which hydrogen or helium can be injected;
An injecting unit capable of injecting hydrogen or helium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echanical unit;
A central control unit on which a person can ride to control the mechanism unit;
An imaging device install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A first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mechanical unit;
A reflector for receiving the sunlight and reflecting sunlight to a specific point; and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reflector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드론 본체부에 설치된 구동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signal to a driving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drone main body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안개제거장치 주변의 안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안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안개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안개를 제거할 곳을 결정하는 결정부;및
상기 반사판에 의해서 반사된 태양광을 상기 결정부에서 결정된 장소에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드론 본체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fog information around the fog removing device;
A determination unit for analyzing the fo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ing a place to remove the fog using the fog removing apparatus;
And a driv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drive signal for driving the drone body unit to irradiate the sun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late to a place determined by the crystal unit.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태양광을 모으고 발전을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eflector comprises a solar panel for collecting sunlight and generating electric power to generate electricity.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이상의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eflection plate includes at least one metal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gnesium and aluminum.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을 이용하여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광 발전시설으로 태양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태양광 발전시설은 반사된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flector reflects sunlight to a solar power generating facility installed on the ground,
Wherein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driven to absorb reflected sunlight to generate electric energ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의 공간적 위치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전파 환경 정보 및 운행 제한 정보를 분석한 다음, 상기 드론 본체부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이 운행경로 및 운행 고도를 결정하고,
상기 구동신호 전달부는 상기 운행경로 및 운행고도에 따른 구동이 될 수 있도록, 구동신호를 상기 드론 본체부의 구동 제어부에 전달하며,
상기 운행 제한 정보는 드론 본체부의 비행이 제한 또는 금지되는 운행 제한 지역 및 드론 본체부에 탑재된 기능이 제한될 필요가 있는 기능 제한 지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결정부는 상기 전파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의 전파 환경이 제공되는 지역 및 고도를 통과하도록 상기 운행 경로 및 운행 고도를 결정하되, 상기 운행 제한 지역을 회피하도록 상기 운행 경로 및 상기 운행 고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analyzes radio wav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operation restric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spatial position of the fog removing apparatus using the solar heat and then determines the operating path and the operating altitude of the dron based on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of the dron main body And,
The driving signal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control unit of the dron main body unit so as to be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route and the driving altitude,
Wherein the travel restric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service restriction area in which the flight of the drones is restricted or inhibited and a restriction area in which functions mounted on the drones are limited,
Wherein the rout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travel route and the travel altitude so as to pass through an area and an altitude at which a radio wave environmen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or higher is provided based on the radio wav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travel route and the travel altitude The fog removing device using the solar hea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운행 중인 드론 본체부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운행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행 중인 드론에 대한 관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제 정보를 상기 구동신호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제어부에 전송하는 관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운행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행중인 드론 본체부가 상기 운행 제한 지역으로 접근 또는 진입하는 경우, 운행 제한 지역에 대한 접근 또는 진입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행중인 드론이 상기 운행 제한 지역으로 접근 또는 진입하는 경우, 상기 운행 중인 드론 본체부의 운행 방향 및 운행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운행 중인 드론 본체부의 기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신호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mmunication unit generates control information on the running drones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ones in operation and the operation restri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drive control unit through the drive signal transfer unit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alarm signal for warning of approach or entry to the restricted area when the intruder body part approaches or enters the restricted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stricted travel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at least one of a running direction and a running altitude of the running drone main body when the in-service drone approaches or enters the running restricted area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shutting down the function of the drone main body in oper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drive control unit through the drive signal transfer unit.
KR1020170085657A 2017-07-05 2017-07-05 Apparatus for removing fog KR102120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657A KR102120902B1 (en) 2017-07-05 2017-07-05 Apparatus for removing fo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657A KR102120902B1 (en) 2017-07-05 2017-07-05 Apparatus for removing fo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079A true KR20190005079A (en) 2019-01-15
KR102120902B1 KR102120902B1 (en) 2020-06-17

Family

ID=6503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657A KR102120902B1 (en) 2017-07-05 2017-07-05 Apparatus for removing fo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9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027A (en) * 2020-09-16 2022-03-24 이민형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ground using hybrid unmanned airs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844B1 (en) * 2021-05-17 2023-07-27 대한민국 Substance dispersion system and method using by unmanned aerial vehicle for fog dispers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4514A (en) * 1989-02-03 1990-08-14 Kawasaki Heavy Ind Ltd Fog removing method from runway and its vicinity
KR101141734B1 (en) * 2011-11-21 2012-05-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Method for local territorial temperature control by using stratospheric airships and reflector
KR101387710B1 (en) 2012-09-19 2014-05-12 케이엠인더스트리(주) System for active fog dissipation
JP2015113100A (en) * 2013-12-16 2015-06-22 株式会社ニコン・トリンブル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unmanned flight body controller
KR20170040520A (en) * 2015-10-05 2017-04-13 자이로캠주식회사 The dron partially floating by balloon buoyancy which filled with thinner gas than ai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4514A (en) * 1989-02-03 1990-08-14 Kawasaki Heavy Ind Ltd Fog removing method from runway and its vicinity
KR101141734B1 (en) * 2011-11-21 2012-05-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Method for local territorial temperature control by using stratospheric airships and reflector
KR101387710B1 (en) 2012-09-19 2014-05-12 케이엠인더스트리(주) System for active fog dissipation
JP2015113100A (en) * 2013-12-16 2015-06-22 株式会社ニコン・トリンブル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unmanned flight body controller
KR20170040520A (en) * 2015-10-05 2017-04-13 자이로캠주식회사 The dron partially floating by balloon buoyancy which filled with thinner gas than a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027A (en) * 2020-09-16 2022-03-24 이민형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ground using hybrid unmanned air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902B1 (en)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0760B2 (en) Modular sensing systems and methods
Kim et al. Designing UAV surveillance frameworks for smart city and extensive ocean with differential perspectives
US10078328B1 (en) Solar array remote acoustic sensing (SARAS)
US20230387580A1 (en) Methods and systems using networked phased-array antennae applications to detect and/or monitor moving objects
WO2020131497A1 (en) Edge intelligence powered security solutions and other applications for a smart city
US20170253330A1 (en) Uav policing, enforcement and deployment system
Belmekki et al. Unleashing the potential of networked tethered flying platforms: Prospects, challenges, and applications
KR20190005079A (en) Apparatus for removing fog
Chao et al. Weather impact assessment for urban aerial trips in metropolitan areas
CN102501978B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all-weather aircraft landing or carrier landing by quantum entangled-state light
Dietrich et al. Development of a local air surveillance system for security purposes: design and core characteristics
Kramar et al. Unmanned aircraft systems and the nordic challenges
Bedford Unmanned aircraft system (uas) service demand 2015-2035
Belmekki et al. Unleashing the potential of networked tethered flying platforms for B5G/6G: Prospects, challenges, and applications
Son et al. A brief survey of sensors for detect, sense, and avoid operations of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210111521A (en) solar collective cluster drone's collection method with solar panel
Surmin et al. Investigation about use of drone in a patrol purpose and applicability of this surveillance particularly to existing legislation
Sedunov et al. Long-term testing of acoustic system for tracking low-flying aircraft
Martin et al. Flight test of a passive millimeter-wave imaging system
KR1016764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one rader using mobile cell towers
Albrigtsen The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snow avalanche search and rescue
Getsov et al. An unmanned aerial surveillance system in urban environments
Chuzha et al. On-board warning system about the proximity of UAVs and other objects on the air
EP34417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ementing sensor data
Laouira et al. Wireless energy supply scheduling strategy in a combined border surveillance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