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541A -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및 그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및 그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541A
KR20190004541A KR1020170084905A KR20170084905A KR20190004541A KR 20190004541 A KR20190004541 A KR 20190004541A KR 1020170084905 A KR1020170084905 A KR 1020170084905A KR 20170084905 A KR20170084905 A KR 20170084905A KR 20190004541 A KR20190004541 A KR 20190004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spital
animal
electronic chart
in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509B1 (ko
Inventor
심동희
Original Assignee
심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동희 filed Critical 심동희
Priority to KR1020170084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5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실시예는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전자차트 정보 획득할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할 가상화 환경과 연동하는 설정 전자차트 구동 명령 정보를 포함한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와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에 따른 웹으로 구동할 설정 웹 환경 정보 및, 동물병원 전자차트 정보와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설정 연동 정보를 등록한 저장부 및, 상기 설정 웹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하여 웹으로 구동하고 더불어, 상기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차트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자차트 정보를 상기 설정 연동 정보에 따라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연동해서 동물병원 전자차트와의 연동으로 기본 진찰 운영 동작과 더불어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해서, 동물병원의 상황 파악할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따라 동물병원 전자차트 실시간 인터넷으로 접속 운영하여, 클라우드 기반 동물병원 종합 경영 동작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의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및 그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물병원에서 가장 많이, 중요하게 이용되는 전자차트를 사용하여, 더불어 동물병원 전반을 관리하는 운영 방식(또는, 체계) 구체적으로는, 클라우드 기반의 경영 플랫폼을 사용해서 등을 통해 기존 전자차트로 커버할 수 없는 영역이 발생하는 점을 해소하고 즉, 고객관리, 진료, 처방 부분의 기존 전자차트가 커버하는 영역과 더불어, 그 이외에 진단, 재고-자원-인사 관리, 경영 분석 등 경영 관련 부분은 허술한 상황을 해소한다.

Description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및 그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using could based platform of animal hospital management method for recognizing animal individual with based noseprint constructed with based i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동물병원 정보를 관리하는 운영 장치 및 이러한 운영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려동물 관련 시장은 2012년 9,000억. 2016년 2조 2,900억. 2020년 5조 8,100억 예상하는데, 시장 성장세 중심 동물병원은 2008년 2,832개 병원. 2014년 4,000여개 병원. 자영업 형태지만 동물병원은 일반 자영업과 매출, 운영 복잡성에서 현격한 차이를 가지고,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으로 동물병원과 수의사의 위상도 높아지고 있으며, 향후 동물병원은 더욱 늘어날 것이며 매출도 계속해서 성장세이다.
한편, 동물병원 전반을 관리하는 운영 프로그램이 없고, 동물병원에서 가장 많이, 중요하게 이용되는 것은 전자차트인데, 하지만, 지금 전자차트는 말 그대로 '전자' 차트로의 기능만 가지고 있으며, 동물병원은 매출이나 위상에 비해 경영 관리 분야가 너무나 열악하고, 주먹구구식이며, 전자차트를 아우르는 동물병원의 경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니즈가 시장에 가진다(선행문헌 참조, 선행문헌: 대한민국출원번호 제10-2003-0066635호, 발명의 명칭 "인터넷을 이용한 동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또한, 종래 동물병원 위상과 매출이 성장하면서 기존 전자차트로 커버할 수 없는 영역이 발생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고객관리, 진료, 처방> 부분이 기존 전자차트가 커버하는 영역으로, <진단, 재고-자원-인사 관리, 경영 분석> 등 경영 관련 부분은 허술한 상황이다.
더불어, 현재 업계의 3사 전자차트 모두 설치형으로 초기 부담이 최소 100만원 이상이고, 설치형, 서버PC와 클라이언트의 부담을 두는 시스템 외에 별다른 선택지가 없으며, 전자 차트 등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서버 PC가 필수이고, 서버 PC가 고장나거나 없어진 경우 차트 프로그램이 아예 작동이 안되며, 병원 외부에서 현재 상황을 살펴볼 수가 없고, 원내에서만 차트 접속되며, 서버 PC에 정기적으로 데이터 백업이 필요하다.
개시된 내용은, 동물병원에서 가장 많이, 중요하게 이용되는 전자차트를 사용하여, 더불어 동물병원 전반을 관리하는 운영 방식(또는, 체계) 구체적으로는, 클라우드 기반의 경영 플랫폼을 사용해서 등을 통해 기존 전자차트로 커버할 수 없는 영역이 발생하는 점을 해소하고 즉, 고객관리, 진료, 처방 부분의 기존 전자차트가 커버하는 영역과 더불어, 그 이외에 진단, 재고-자원-인사 관리, 경영 분석 등 경영 관련 부분은 허술한 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즉, 클라우드 환경을 활용한 동물병원 전자 차트 및 경영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체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개나 고양이 등의 개체 비문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는,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하여 웹으로 구동하고 더불어, 상기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차트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자차트 정보를 상기 설정 연동 정보에 따라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연동해서 동물병원 전자차트와의 연동으로 기본 진찰 운영 동작과 더불어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해서, 동물병원의 상황 파악할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따라 동물병원 전자차트 실시간 인터넷으로 접속 운영하여, 클라우드 기반 동물병원 종합 경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은,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개체의 코에 대한 직접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 위치별 개체와의 자장 연동성을 가진 상이한 세기의 자장 유도 지지 특성을 나타내는 접촉 지지체와 상기 자장 유도 지지 특성에 따른 접촉하는 개체와의 접촉 위치별 상이한 자장 세기에 따라 상기 상이한 자장 세기에 대응하는 상이한 계조에 대응해서 비문의 화소를 형성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비문을 인식해서 비문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개체의 외관 이미지를 촬영해서,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설정 기관 단말기를 통해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로 연결하여, 상기 설정 기관 단말기를 통해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에 연결할 경우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는 메뉴 생성을 활성화하여, 상기 메뉴 생성 활성화에 따라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해서, 상기 생성된 개체의 아이디별로 동물병원의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를 관리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동물병원에서 가장 많이, 중요하게 이용되는 전자차트를 사용하여, 더불어 동물병원 전반을 관리하는 운영 방식(또는, 체계) 구체적으로는, 클라우드 기반의 경영 플랫폼을 사용해서 등을 통해 기존 전자차트로 커버할 수 없는 영역이 발생하는 점을 해소하고 즉, 고객관리, 진료, 처방 부분의 기존 전자차트가 커버하는 영역과 더불어, 그 이외에 진단, 재고-자원-인사 관리, 경영 분석 등 경영 관련 부분은 허술한 상황을 해소한다. 특히, 기존 재고 관리 기능이 약한데, 즉 동물병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품의 관리 기능이 약한데, 이러한 점을 해결한다.
그리고, 기존 전자차트 모두 설치형으로 초기 부담이 크며, 설치형, 서버 PC와 클라이언트의 부담을 두는 시스템 외에 별다른 선택지가 없는 점을 해소하고, 더불어, 서버 PC가 고장나거나 없어진 경우 차트 동작이 전혀 작동이 안됨을 해결하며, 병원 외부에서 현재 상황을 살펴볼 수가 없고 원내에서만 차트 접속이 된 점을 해소하고, 서버 PC에 정기적으로 데이터 백업이 필요한 점을 해결한다.
추가하여, 현재 시중의 전자차트는 동물병원 내부에 서버를 설치하고 외부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원을 활용해야 하는 점과 달리, 1차적으로 동물병원의 전자차트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동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전자차트 기능 뿐만 아니라 재고, 채무, 인사까지 관리하는 종합 경영의 플랫폼이고, 이 플랫폼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축되므로 기존 전자차트가 할 수 없었던 기능들을 구현한다. 부가하여,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클라우드 플랫폼 간의 연동과 더불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한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으로 동물병원 종합 경영하는 클라우드 기반 동물병원 종합 경영 동작을 수행해서, 고객관리, 진료, 처방 부분의 기존 전자차트가 커버하는 영역과 더불어, 그 이외에 진단, 재고-자원-인사 관리, 경영 분석 등 경영 관련 부분은 허술한 상황을 해소하는 등을 제공한다.
또한, 웹으로 구동해서 빠르고 편리하며, 즉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하여 웹으로 구동해서 빠르고 편리하며, 원장 입장에서는 출근을 하지 않고도 원내 상황 파악하며 서버 PC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즉,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 하에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차트 정보를 획득해서, 원장 입장에서는 출근을 하지 않고도 원내 상황 파악하며 서버 PC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데이터가 클라우드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되어서, 보안성이 우수하다.
더불어, 진료를 기록할 때 환부 내지는 환축의 이미지에 진료기록을 남겨 놔야 하지만 기존 전자차트에서는 이미지에 기록하고 보호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있으며, 그리고, 많은 수의사들이 진료한 반려동물의 보호자에게 병세와 증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도 이미지 기능을 원하며(바디 차트(Body chart)), 정확한 이미지가 없는 진료 기록은 제 3자가 볼 때 의견이 분분하고 오독의 여지가 있고, 이는 진료 기록을 교환할 때에도 문제 발생 여지가 있는 점을 해소한다.
또한,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즉, 클라우드 환경을 활용한 동물병원 전자 차트 및 경영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체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개나 고양이 등의 개체 비문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는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할 가상화 환경과 연동하는 설정 전자차트 구동 명령 정보를 포함한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와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에 따른 웹으로 구동할 설정 웹 환경 정보 및, 동물병원 전자차트 정보와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설정 연동 정보를 등록한 저장부 및, 상기 설정 웹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하여 웹으로 구동하고 더불어, 상기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차트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자차트 정보를 상기 설정 연동 정보에 따라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연동해서 동물병원 전자차트와의 연동으로 기본 진찰 운영 동작과 더불어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해서, 동물병원의 상황 파악할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따라 동물병원 전자차트 실시간 인터넷으로 접속 운영하여, 클라우드 기반 동물병원 종합 경영 동작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의 제어부를 포함한다.
추가로, 사용자 설정 전자 차트 접속 명령 등을 포함한 클라우드 기반 동물병원 종합 경영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 설정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03)로 전달하는 사용자 키 입력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01)는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동물병원 전자차트나 단말기 예를 들어, 기관 PC나 스마트 폰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인 기관 단말기(400)와 신호 인터페이스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기관 단말기(400)를 사용해서, 일실시예에 따라 비문을 인식하는 비문 인식 단말기(300)와 접속하여 상기 비문 인식 단말기(300)를 일실시예를 통해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100)에 연결한다.
저장부(102)는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할 가상화 환경과 연동하는 설정 전자차트 구동 명령 정보를 포함한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와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에 따른 웹으로 구동할 설정 웹 환경 정보 및, 동물병원 전자차트 정보와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설정 연동 정보를 등록한 것이다. 즉, 상기 저장부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전자차트 정보 획득할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할 가상화 환경과 연동하는 설정 전자차트 구동 명령 정보를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가상화 정보 포맷(format)이나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정보 포맷과 연동하는 유사 클라우드 가상화 정보 포맷으로 전자차트 구동 명령 정보를 설정한 설정 전자차트 구동 명령 정보를 포함한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를 설정 등록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에 따른 웹으로 구동할 설정 웹 환경 정보 구체적으로는, 동물병원 내부에 설치한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의 식별 정보와 경로 정보 및 해당 운영 장치의 서버 식별 정보나(또는, 서버 주소 정보) 네트워킹 정보(또는, 정보 전송 경로 정보) 간 웹 환경화하여 유사 웹 동물병원 종합 경영 정보로 연결해서 웹 환경화에 따른 웹으로 구동할 설정 웹 환경 정보를 설정 등록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저장부는 동물병원 전자차트 정보와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설정 연동 정보를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동물병원 전자차트 정보와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에 매핑하여 상호 간 데이터 변환하는 설정 정보 변환 포맷을 사용해서 동물병원 전자차트 정보와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연동하는 설정 연동 정보를 설정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상 처방 약품 정보 및 진료 정보와 동물병원 상 약품 입고 정보 및 약품 출고 정보 간의 연동 정보를 등록한다.
제어부(103)는 상기 설정 웹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하여 웹으로 구동하고 더불어, 상기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차트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자차트 정보를 상기 설정 연동 정보에 따라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연동해서 동물병원 전자차트와의 연동으로 기본 진찰 운영 동작과 더불어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해서, 동물병원의 상황 파악할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따라 동물병원 전자차트 실시간 인터넷으로 접속 운영하여, 클라우드 기반 동물병원 종합 경영 동작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의 제어부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상 처방 약품 정보 및 진료 정보와 동물병원 상 약품 입고 정보 및 약품 출고 정보 간의 연동 정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200)를 구동하여 획득한 해당 전자 차트(200) 정보 내 처방 약품 정보 및 진료 정보를 동물병원 상 약품 입고 정보 및 약품 출고 정보에 반영해서 추가나 삭제와 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해서,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200)와 연동에 따른 약품 처방과 재고 연동으로 약품 재고 관리하는 것이다.
도 2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는 먼저,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할 가상화 환경과 연동하는 설정 전자차트 구동 명령 정보를 포함한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와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에 따른 웹으로 구동할 설정 웹 환경 정보 및, 동물병원 전자차트 정보와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설정 연동 정보를 등록한다(S201).
즉,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전자차트 정보 획득할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할 가상화 환경과 연동하는 설정 전자차트 구동 명령 정보를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가상화 정보 포맷(format)이나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정보 포맷과 연동하는 유사 클라우드 가상화 정보 포맷으로 전자차트 구동 명령 정보를 설정한 설정 전자차트 구동 명령 정보를 포함한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를 설정 등록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에 따른 웹으로 구동할 설정 웹 환경 정보 구체적으로는, 동물병원 내부에 설치한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의 식별 정보와 경로 정보 및 해당 운영 장치의 서버 식별 정보나(또는, 서버 주소 정보) 네트워킹 정보(또는, 정보 전송 경로 정보) 간 웹 환경화하여 유사 웹 동물병원 종합 경영 정보로 연결해서 웹 환경화에 따른 웹으로 구동할 설정 웹 환경 정보를 설정 등록한다.
더불어, 동물병원 전자차트 정보와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설정 연동 정보를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동물병원 전자차트 정보와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에 매핑하여 상호 간 데이터 변환하는 설정 정보 변환 포맷을 사용해서 동물병원 전자차트 정보와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연동하는 설정 연동 정보를 설정 등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설정 웹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하여 웹으로 구동해서(S202) 빠르고 편리하며, 더불어, 상기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 하에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차트 정보를 획득해서(S203) 원장 입장에서는 출근을 하지 않고도 원내 상황 파악하며 서버 PC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으로 접속하고, 상기 획득된 전자차트 정보를 상기 설정 연동 정보에 따라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연동해서 동물병원 전자차트와의 연동으로 기본 진찰 운영 동작과 더불어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해서, 동물병원의 상황 파악할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따라 동물병원 전자차트 실시간 인터넷으로 접속 운영하여, 클라우드 기반 동물병원 종합 경영 동작을 수행한다(S204).
그래서, 동물병원에서 가장 많이, 중요하게 이용되는 전자차트를 사용하여, 더불어 동물병원 전반을 관리하는 운영 방식(또는, 체계) 구체적으로는, 클라우드 기반의 경영 플랫폼을 사용해서 등을 통해 기존 전자차트로 커버할 수 없는 영역이 발생하는 점을 해소하고 즉, 고객관리, 진료, 처방 부분의 기존 전자차트가 커버하는 영역과 더불어, 그 이외에 진단, 재고-자원-인사 관리, 경영 분석 등 경영 관련 부분은 허술한 상황을 해소한다.
그리고, 기존 전자차트 모두 설치형으로 초기 부담이 크며, 설치형, 서버 PC와 클라이언트의 부담을 두는 시스템 외에 별다른 선택지가 없는 점을 해소하고, 더불어, 서버 PC가 고장나거나 없어진 경우 차트 동작이 전혀 작동이 안됨을 해결하며, 병원 외부에서 현재 상황을 살펴볼 수가 없고 원내에서만 차트 접속이 된 점을 해소하고, 서버 PC에 정기적으로 데이터 백업이 필요한 점을 해결한다.
추가하여, 현재 시중의 전자차트는 동물병원 내부에 서버를 설치하고 외부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원을 활용해야 하는 점과 달리, 1차적으로 동물병원의 전자차트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동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전자차트 기능 뿐만 아니라 재고, 채무, 인사까지 관리하는 종합 경영의 플랫폼이고, 이 플랫폼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축되므로 기존 전자차트가 할 수 없었던 기능들을 구현한다. 부가하여,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클라우드 플랫폼 간의 연동과 더불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한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으로 동물병원 종합 경영하는 클라우드 기반 동물병원 종합 경영 동작을 수행해서, 고객관리, 진료, 처방 부분의 기존 전자차트가 커버하는 영역과 더불어, 그 이외에 진단, 재고-자원-인사 관리, 경영 분석 등 경영 관련 부분은 허술한 상황을 해소하는 등을 제공한다.
또한, 웹으로 구동해서 빠르고 편리하며, 즉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하여 웹으로 구동해서 빠르고 편리하며, 원장 입장에서는 출근을 하지 않고도 원내 상황 파악하며 서버 PC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즉,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 하에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차트 정보를 획득해서, 원장 입장에서는 출근을 하지 않고도 원내 상황 파악하며 서버 PC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으로 접속한다.
한편, 일실시예는 기존 전자차트는 진단, 재고-자원-인사 관리, 경영 분석 등 경영 부분은 허술한 상황인데, 특히 재고 관리 기능이 약하다. 즉, 동물병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품의 관리 기능이 너무 부실하다. 이러한 부실한 이유로는 낮은 사용성, 실무자의 지식 부족 등이 있다. 더불어, 약품 처방과 재고 연동 기능을 거의 사용치 않는다. 이러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는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상 처방 약품 정보 및 진료 정보와 동물병원 상 약품 입고 정보 및 약품 출고 정보 간의 연동 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상 처방 약품 정보 및 진료 정보와 동물병원 상 약품 입고 정보 및 약품 출고 정보 간의 연동 정보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전자 차트 상 처방 약품의 사용량에 대응하여 동물병원 상 약품의 재고량을 감소해서 약품 입고량이나 약품 출고량을 정산하는 연동 동작을 포함한 전자 차트 상 처방 약품 정보 및 진료 정보와 동물병원 상 약품 입고 정보 및 약품 출고 정보 간의 연동 정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구동하여 획득한 해당 전자 차트 정보 내 처방 약품 정보 및 진료 정보를 동물병원 상 약품 입고 정보 및 약품 출고 정보에 반영해서 추가나 삭제와 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해서,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에 따른 약품 처방과 재고 연동으로 약품 재고 관리한다.
한편, 일실시예는 전자 차트 정보와 경영 정보를 포함한 동물병원 종합 경영과 관련된 정보 즉, 데이터가 클라우드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되어서, 보안성이 우수하다. 즉, 일실시예는 상기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연결해서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를 획득한 경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정보나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기본의 진찰 운영 동작을 관리하거나 상기 진찰 운영 동작 이외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하는 정보를 클라우드 포맷(format)으로 예를 들어, 클라우드 가상화 정보 포맷에 해당하는 클라우드 포맷으로 암호화하는 정보 설정하여, 상기 획득된 전자 차트 정보나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기본의 진찰 운영 동작을 관리하거나 상기 진찰 운영 동작 이외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한 해당 정보를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클라우드 포맷으로 암호화하여 등록해서, 클라우드 기반(Cloud Based) 보안화 처리하여, 보안성이 우수하다.
한편, 일실시예는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관리자(예: 원장), 수의사, 스탭, 미용사 등 사용자별 맞춤 권한 부여하여 편의성을 높인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는 상기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연결해서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획득된 전자 차트 정보를 상기 설정 연동 정보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의 연동에 따라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기본의 진찰 운영 동작과 상기 진찰 운영 동작 이외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하는 구성과 연동하여, 관리자(예: 원장), 수의사, 스탭, 미용사 등 사용자별 맞춤 권한 부여해서 편의성을 높인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상이한 동물병원 사용자별 맞춤 권한 부여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 접속시,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확인해서,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사용자의 권한이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구동할 설정 권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구동해서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 획득을 허용하고,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사용자의 권한이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정지할 설정 권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정지해서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 획득을 차단하며,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사용자의 권한이 동물병원의 진찰 운영 동작을 구동할 설정 권한이나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구동할 설정 권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관리하는 기본의 진찰 운영 동작 관리를 허용하거나 상기 진찰 운영 동작 이외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 관리를 허용하고,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사용자의 권한이 동물병원의 진찰 운영 동작을 차단할 설정 권한이나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차단할 설정 권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관리하는 기본의 진찰 운영 동작 관리를 차단하거나 상기 진찰 운영 동작 이외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 관리를 차단하여 관리해서, 관리자(예: 원장), 수의사, 스탭, 미용사 등 사용자별 맞춤 권한 부여해서 편의성을 높인다.
한편, 일실시예는 월등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맞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즉 상기 설정 웹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을 웹 환경화하여,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에 웹으로 구동하는 경우, 다수의 상이한 동물병원 사용자별 맞춤 인터페이스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 접속시, 해당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로 상기 설정 웹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을 웹 환경화해서,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에 웹으로 구동하여, 사용자 맞춤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서 월등한 사용성을 제공하고, 부가해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를 제공하며,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기능에서 병원별, 사용자별 커스터마이징하고, 확장성의 업그레이드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앱이나 커뮤니티와 원격 보안 제안 등과 연동해서 확장성의 업그레이드한다.
한편, 일실시예는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즉, 클라우드 환경을 활용한 동물병원 전자 차트 및 경영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체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개나 고양이 등의 개체 비문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일실시예는 단말기와 연동하여 예를 들어, 기관 PC나 스마트폰이 아닌 비문 인식 단말기와 연동하여 자신 동물병원 전자차트 클라우드 플랫폼의 제어부에 연결을 할 경우,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상기 개체의 코에 대한 직접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 위치별 개체와의 자장 연동성을 가진 상이한 세기의 자장 유도 지지 특성을 나타내는 접촉 지지체와 상기 자장 유도 지지 특성에 따른 접촉하는 개체와의 접촉 위치별 상이한 자장 세기에 따라 상기 상이한 자장 세기에 대응하는 상이한 계조에 대응해서 비문의 화소를 형성하여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해서 비문을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의 외관 이미지를 촬영해서 획득한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는 메뉴 생성을 활성화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메뉴 생성 활성화에 따라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해서 개체의 아이디별로 동물병원의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를 관리하는 동작을 관장 처리한다.
부가하여, 상기 개체의 코에 대한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 개체 식별 정보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는 메뉴 생성을 활성화하는 것은 해당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성별, 생년, 품종, 중성화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ID를 생성하는 부가 ID 생성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해서, 상기 개체의 코에 대한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의 외관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해당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성별, 생년, 품종, 중성화 여부를 포함하여 개체 식별 정보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해서 메뉴 생성을 활성화한다.
일실시예는 진료를 기록할 때 환부 내지는 환축의 이미지에 진료기록을 남겨 놔야 하지만 기존 전자차트에서는 이미지에 기록하고 보호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많은 수의사들이 진료한 반려동물의 보호자에게 병세와 증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도 이미지 기능을 원하며(바디 차트(Body chart)), 정확한 이미지가 없는 진료 기록은 제 3자가 볼 때 의견이 분분하고 오독의 여지가 있다. 이는 진료 기록을 교환할 때에도 문제 발생 여지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이미지를 배경으로 삼아 바디 차트(body chart)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진료기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일실시예가 환부나 환축 이미지의 형상, 색상, 크기를 포함한 환부나 환축 이미지 구성 요소를 설정 다수의 동물 신체 부위 주의 문제도 요소로 표현한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와 상기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를 상기 설정 다수의 동물 신체 부위 주의 문제도 요소로 표현된 환부나 환축 이미지 구성 요소에 대한 투영-배경-아틀라스 복합 처리에 따라 배경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설정 배경화 변환 정보를 설정해서 등록하여, 사용자 키 조작에 따른 진료 기록 요청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해당 개체의 아틀라스 이미지 진료 기록이 없는 경우에 상기 전자차트에 환부나 환축의 이미지로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를 상기 배경화 변환 정보에 따라 배경 오브젝트로 배경으로써 처리해서 바디 차트(Body chart)로 제공하여 전자차트에서 이미지에 텍스트를 기록하고 편집할 툴 요소로써 제공해서 상기 배경 오브젝트의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 위로 진료 기록 텍스트를 기록하여 해당 아틀라스 이미지와 진료 기록을 개체별과 환부나 환축별로 등록하고, 해당 개체의 아틀라스 이미지 진료 기록이 있는 경우에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에 대응되는 아틀라스 이미지를 추출하여 해당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를 배경으로써 처리한 배경 오브젝트를 배경으로 해서 기록한 해당 진료 기록 텍스트와 상기 추출된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에 대응되는 아틀라스 이미지를 상기 배경화 변환 정보에 따라 배경 오브젝트로 배경으로써 처리해서 조합해 결합하여 바디 차트(Body chart)로 제공해서 전자차트에서 이미지에 텍스트를 기록하고 편집할 툴 요소로써 제공하여 상기 진료 기록 텍스트가 조합된 배경 오브젝트의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 위로 진료 기록 텍스트를 기록하거나 편집하여 해당 아틀라스 이미지와 진료 기록을 개체별과 환부나 환축별로 등록해서 전자 차트 정보 획득해, 전자차트 진료기록을 등록, 관리하여, 전자차트에서 이미지를 기록하고 보호자 등에게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일실시예는 개체의 진료 기록을 조회하는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진료 기록 표시 객체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에 대응되는 아틀라스 이미지를 추출하고, 더불어 해당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를 배경으로써 처리한 배경 오브젝트를 배경으로 해서 기록한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에 대응되고 더불어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 아틀라스 이미지에 대응되는 진료 기록 텍스트를 추출해서 제공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은 먼저, 설정 기관 단말기를 통해 예를 들어, 설정 기관 PC나 스마트폰을 통해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간을 웹 환경화하여 웹으로 구동하고 더불어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연결해서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를 획득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기가 해당 모듈을 사용해서,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개체의 코에 대한 직접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 위치별 개체와의 자장 연동성을 가진 상이한 세기의 자장 유도 지지 특성을 나타내는 접촉 지지체와 상기 자장 유도 지지 특성에 따른 접촉하는 개체와의 접촉 위치별 상이한 자장 세기에 따라 상기 상이한 자장 세기에 대응하는 상이한 계조에 대응해서 비문의 화소를 형성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비문을 인식해서 비문 정보를 획득한다(S301). 부가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개와 고양이의 비문을 인식하는 기기는 즉, 단말기는 스마트폰의 형태이고 한 면에는 개와 고양이의 코에 직접 터치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모듈과 소형 카메라가 장착된다.
그리고,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해당 개체의 외관 이미지를 촬영해서,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S302).
다음, 상기 설정 기관 단말기를 통해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로 연결하여, 상기 설정 기관 단말기를 통해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에 연결할 경우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는 메뉴 생성을 활성화하여, 상기 메뉴 생성 활성화에 따라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한다(S303).
부가하여,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는 메뉴 생성을 활성화하는 동작은 구체적으로는, 해당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성별, 생년, 품종, 중성화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ID를 생성하는 부가 ID 생성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해서,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의 외관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해당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성별, 생년, 품종, 중성화 여부를 포함하여 개체 식별 정보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해서 메뉴 생성을 활성화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생성된 개체의 아이디별로 동물병원의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를 관리한다(S304).
그래서,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이러한 개체의 아이디별로 동물병원의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를 관리하며 더불어,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해서, 일실시예에 따라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일실시예는 ID와 비문으로 개체의 판매 샵, 관리하던 병원, 거주 지역의 기본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고 최근 그 정보를 등록한 동물병원 내지는 유기 동물 보호소로부터 추가된 정보나 진료 기록 등에 대한 공유도 요청할 수 있도록, 상기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비문을 인식해서 비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후,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를 통하여 생성한 개체의 아이디와 비문 별로 개체의 판매 샵과 관리하던 병원 및 거주 지역의 기본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하는 단계 후,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을 통한 비문의 이미지 인식에 따른 개체의 아이디와 비문으로 개체의 판매 샵과 관리하던 병원 및 거주 지역의 기본 정보를 독출하고, 더불어 설정 최근 기간에 해당 정보를 등록한 동물병원 정보처리장치나 유기 동물 보호소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추가된 정보나 진료 기록에 대한 공유도 요청하여, ID와 비문으로 개체의 판매 샵이나 관리하던 병원과 거주 지역의 기본 정보를 검출하고, 최근 그 정보를 등록한 동물병원 내지는 유기 동물 보호소로부터 추가된 정보나 진료 기록 등에 대한 공유도 요청한다.
한편, 일실시예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등록된 개체일 경우 분실동물인지 아니면 유기동물인지 확인한다. 그래서, 분실동물이나 유기동물로 등록된 상황일 경우 관리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예를 들어, 대한수의사회나 농림축산검역본부 산하 동물보호관리시스템을 통해 주인에게 적절한 조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일실시예가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하는 단계 후, 해당 설정 정보 입력시, 상기 개체가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에 등록된 개체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개체가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에 등록된 개체일 경우 분실동물인지 유기동물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개체가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에 등록된 개체가 아닐 경우 분실동물인지 유기동물인지 확인하지 않으며, 상기 확인 결과 분실동물이나 유기동물로 등록된 경우 등록 관리 정보처리장치로 해당 개체에 대한 분실동물이나 유기동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서,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등록된 개체일 경우 분실동물인지 아니면 유기동물인지 확인하여, 분실동물이나 유기동물로 등록된 상황일 경우 관리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예를 들어, 대한수의사회나 농림축산검역본부 산하 동물보호관리 정보처리장치나 시스템을 통해 주인에게 적절한 조치가 진행된다.
한편, 일실시예는 이전 진료 기록이 필요할 경우 개체를 진료했던 동물병원에게 기록을 열람 요청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하는 단계 후, 해당 개체를 진료했던 동물병원 정보처리장치 정보를 개체의 아이디(ID) 별로 설정하여 등록해서,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설정 시점 전의 이전 진료 기록을 요청받을 경우, 해당 개체를 진료했던 등록 동물병원 정보처리장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등록 동물병원 정보처리장치에 기록 열람을 요청하고 승인받아, 진료 기록을 얻어 제공해서, 이전 진료 기록이 필요할 경우 개체를 진료했던 동물병원에게 기록을 열람 요청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한편, 일실시예는 일실시예에 따라 기관 PC나 스마트폰으로 유니버스 접속 후 비문 인식 단말기를 연결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하는 단계 후, 상기 개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한 사용자 설정 전자차트 구동 개시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을 웹 환경화하여,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에 웹으로 구동할 상기 설정 웹 환경 정보와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연결해서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를 획득하는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정보처리장치 연결 정보를 변환하여 단말기를 연결하는 설정 기관 단말기로 우선 설정 1차 접속 순서에 따라 상기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에 접속하여 설정 2차 접속 순서에 따라 자신의 단말기를 연결해서, 상기 개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한 전자차트 구동 개시 정보를 전송하여 등록된 개체의 아이디(ID)로 승인받은 경우, 상기 승인받은 개체의 아이디로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를 통해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을 개시시켜 상기 전자차트에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받은 진찰 세부 정보를 기록하고, 사용자 설정 전자차트 구동 완료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를 통해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을 종료시켜, 일실시예에 따라 기관 PC나 스마트폰으로 유니버스 접속 후 비문 인식 단말기를 연결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는 비문 인식 단말기의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인터페이스부 102 : 저장부
103 : 제어부 104 : 사용자 키 입력부

Claims (15)

  1.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전자차트 정보 획득할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할 가상화 환경과 연동하는 설정 전자차트 구동 명령 정보를 포함한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와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에 따른 웹으로 구동할 설정 웹 환경 정보 및, 동물병원 전자차트 정보와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설정 연동 정보를 등록한 저장부; 및
    상기 설정 웹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 웹 환경화하여 웹으로 구동하고 더불어, 상기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 전자차트를 연결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차트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자차트 정보를 상기 설정 연동 정보에 따라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 연동해서 동물병원 전자차트와의 연동으로 기본 진찰 운영 동작과 더불어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해서, 동물병원의 상황 파악할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따라 동물병원 전자차트 실시간 인터넷으로 접속 운영하여, 클라우드 기반 동물병원 종합 경영 동작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의 제어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상 처방 약품 정보 및 진료 정보와 동물병원 상 약품 입고 정보 및 약품 출고 정보 간의 연동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상 처방 약품 정보 및 진료 정보와 동물병원 상 약품 입고 정보 및 약품 출고 정보 간의 연동 정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구동하여 획득한 해당 전자 차트 정보 내 처방 약품 정보 및 진료 정보를 동물병원 상 약품 입고 정보 및 약품 출고 정보에 반영해서 추가나 삭제와 갱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해서,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에 따른 약품 처방과 재고 연동으로 약품 재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연결해서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를 획득한 경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정보나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기본의 진찰 운영 동작을 관리하거나 상기 진찰 운영 동작 이외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하는 정보를 클라우드 포맷(format)으로 암호화하는 정보 설정하여, 상기 획득된 전자 차트 정보나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기본의 진찰 운영 동작을 관리하거나 상기 진찰 운영 동작 이외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한 해당 정보를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클라우드 포맷으로 암호화하여 등록해서, 클라우드 기반(Cloud Based) 보안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연결해서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획득된 전자 차트 정보를 상기 설정 연동 정보에 따른 동물병원 경영 정보 간의 연동에 따라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기본의 진찰 운영 동작과 상기 진찰 운영 동작 이외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관리하는 것은
    다수의 상이한 동물병원 사용자별 맞춤 권한 부여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 접속시,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확인해서,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사용자의 권한이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구동할 설정 권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구동해서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 획득을 허용하고,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사용자의 권한이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정지할 설정 권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정지해서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 획득을 차단하며,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사용자의 권한이 동물병원의 진찰 운영 동작을 구동할 설정 권한이나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구동할 설정 권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관리하는 기본의 진찰 운영 동작 관리를 허용하거나 상기 진찰 운영 동작 이외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 관리를 허용하고,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사용자의 권한이 동물병원의 진찰 운영 동작을 차단할 설정 권한이나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을 차단할 설정 권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연동하여 관리하는 기본의 진찰 운영 동작 관리를 차단하거나 상기 진찰 운영 동작 이외 동물병원 경영 운영 동작 관리를 차단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웹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을 웹 환경화하여,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에 웹으로 구동하는 경우,
    다수의 상이한 동물병원 사용자별 맞춤 인터페이스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 접속시, 해당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로 상기 설정 웹 환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을 웹 환경화해서,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에 웹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와 연동하여 자신 동물병원 전자차트 클라우드 플랫폼의 제어부에 연결을 할 경우,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상기 개체의 코에 대한 직접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 위치별 개체와의 자장 연동성을 가진 상이한 세기의 자장 유도 지지 특성을 나타내는 접촉 지지체와 상기 자장 유도 지지 특성에 따른 접촉하는 개체와의 접촉 위치별 상이한 자장 세기에 따라 상기 상이한 자장 세기에 대응하는 상이한 계조에 대응해서 비문의 화소를 형성하여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해서 비문을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의 외관 이미지를 촬영해서 획득한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는 메뉴 생성을 활성화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메뉴 생성 활성화에 따라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해서 개체의 아이디별로 동물병원의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를 관리하는 동작을 관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의 코에 대한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 개체 식별 정보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는 메뉴 생성을 활성화하는 것은
    해당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성별, 생년, 품종, 중성화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ID를 생성하는 부가 ID 생성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해서, 상기 개체의 코에 대한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의 외관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해당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성별, 생년, 품종, 중성화 여부를 포함하여 개체 식별 정보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해서 메뉴 생성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환부나 환축 이미지의 형상, 색상, 크기를 포함한 환부나 환축 이미지 구성 요소를 설정 다수의 동물 신체 부위 주의 문제도 요소로 표현한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와 상기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를 상기 설정 다수의 동물 신체 부위 주의 문제도 요소로 표현된 환부나 환축 이미지 구성 요소에 대한 투영-배경-아틀라스 복합 처리에 따라 배경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설정 배경화 변환 정보를 설정해서 등록하여, 사용자 키 조작에 따른 진료 기록 요청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해당 개체의 아틀라스 이미지 진료 기록이 없는 경우에 상기 전자차트에 환부나 환축의 이미지로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를 상기 배경화 변환 정보에 따라 배경 오브젝트로 배경으로써 처리해서 바디 차트(Body chart)로 제공하여 전자차트에서 이미지에 텍스트를 기록하고 편집할 툴 요소로써 제공해서 상기 배경 오브젝트의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 위로 진료 기록 텍스트를 기록하여 해당 아틀라스 이미지와 진료 기록을 개체별과 환부나 환축별로 등록하고, 해당 개체의 아틀라스 이미지 진료 기록이 있는 경우에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에 대응되는 아틀라스 이미지를 추출하여 해당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를 배경으로써 처리한 배경 오브젝트를 배경으로 해서 기록한 해당 진료 기록 텍스트와 상기 추출된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에 대응되는 아틀라스 이미지를 상기 배경화 변환 정보에 따라 배경 오브젝트로 배경으로써 처리해서 조합해 결합하여 바디 차트(Body chart)로 제공해서 전자차트에서 이미지에 텍스트를 기록하고 편집할 툴 요소로써 제공하여 상기 진료 기록 텍스트가 조합된 배경 오브젝트의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 위로 진료 기록 텍스트를 기록하거나 편집하여 해당 아틀라스 이미지와 진료 기록을 개체별과 환부나 환축별로 등록해서 전자 차트 정보 획득해, 전자차트 진료기록을 등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개체의 진료 기록을 조회하는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진료 기록 표시 객체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에 대응되는 아틀라스 이미지를 추출하고, 더불어 해당 환부나 환축의 아틀라스 이미지를 배경으로써 처리한 배경 오브젝트를 배경으로 해서 기록한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에 대응되고 더불어 해당 개체의 환부나 환축 아틀라스 이미지에 대응되는 진료 기록 텍스트를 추출해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10. 설정 기관 단말기를 통해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간을 웹 환경화하여 웹으로 구동하고 더불어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연결해서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를 획득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기가 해당 모듈을 사용해서,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개체의 코에 대한 직접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 위치별 개체와의 자장 연동성을 가진 상이한 세기의 자장 유도 지지 특성을 나타내는 접촉 지지체와 상기 자장 유도 지지 특성에 따른 접촉하는 개체와의 접촉 위치별 상이한 자장 세기에 따라 상기 상이한 자장 세기에 대응하는 상이한 계조에 대응해서 비문의 화소를 형성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비문을 인식해서 비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해당 개체의 외관 이미지를 촬영해서,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정 기관 단말기를 통해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로 연결하여, 상기 설정 기관 단말기를 통해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에 연결할 경우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는 메뉴 생성을 활성화하여, 상기 메뉴 생성 활성화에 따라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개체의 아이디별로 동물병원의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는 메뉴 생성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해당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성별, 생년, 품종, 중성화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ID를 생성하는 부가 ID 생성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해서,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의 외관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해당 동물 개체를 포함한 개체의 성별, 생년, 품종, 중성화 여부를 포함하여 개체 식별 정보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해서 메뉴 생성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비문을 인식해서 비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후,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를 통하여 생성한 개체의 아이디와 비문 별로 개체의 판매 샵과 관리하던 병원 및 거주 지역의 기본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하는 단계 후,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을 통한 비문의 이미지 인식에 따른 개체의 아이디와 비문으로 개체의 판매 샵과 관리하던 병원 및 거주 지역의 기본 정보를 독출하고, 더불어 설정 최근 기간에 해당 정보를 등록한 동물병원 정보처리장치나 유기 동물 보호소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추가된 정보나 진료 기록에 대한 공유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하는 단계 후,
    해당 설정 정보 입력시, 상기 개체가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에 등록된 개체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개체가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에 등록된 개체일 경우 분실동물인지 유기동물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개체가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에 등록된 개체가 아닐 경우 분실동물인지 유기동물인지 확인하지 않으며, 상기 확인 결과 분실동물이나 유기동물로 등록된 경우 등록 관리 정보처리장치로 해당 개체에 대한 분실동물이나 유기동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하는 단계 후,
    해당 개체를 진료했던 동물병원 정보처리장치 정보를 개체의 아이디(ID) 별로 설정하여 등록해서,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설정 시점 전의 이전 진료 기록을 요청받을 경우, 해당 개체를 진료했던 등록 동물병원 정보처리장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등록 동물병원 정보처리장치에 기록 열람을 요청하고 승인받아, 진료 기록을 얻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의 코에 직접 접촉해서 비문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획득한 비문 정보와 개체 외관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개체의 아이디(ID)를 구성하여 생성하는 단계 후,
    상기 개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한 사용자 설정 전자차트 구동 개시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을 웹 환경화하여,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와 해당 운영 장치 간에 웹으로 구동할 상기 설정 웹 환경 정보와 클라이언트인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 구동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화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물병원의 전자 차트를 연결해서 구동하여 더불어 해당 전자 차트 정보를 획득하는 설정 클라우드 환경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정보처리장치 연결 정보를 변환하여 단말기를 연결하는 설정 기관 단말기로 우선 설정 1차 접속 순서에 따라 상기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에 접속하여 설정 2차 접속 순서에 따라 자신의 단말기를 연결해서, 상기 개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한 전자차트 구동 개시 정보를 전송하여 등록된 개체의 아이디(ID)로 승인받은 경우, 상기 승인받은 개체의 아이디로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를 통해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을 개시시켜 상기 전자차트에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받은 진찰 세부 정보를 기록하고, 사용자 설정 전자차트 구동 완료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를 통해 동물병원 전자차트 구동을 종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KR1020170084905A 2017-07-04 2017-07-04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및 그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KR102083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05A KR102083509B1 (ko) 2017-07-04 2017-07-04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및 그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05A KR102083509B1 (ko) 2017-07-04 2017-07-04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및 그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541A true KR20190004541A (ko) 2019-01-14
KR102083509B1 KR102083509B1 (ko) 2020-03-04

Family

ID=6502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905A KR102083509B1 (ko) 2017-07-04 2017-07-04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및 그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5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95A (ko)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유니메오 동물병원 영수증을 이용한 오씨알 기반 전자진료차트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14444485A (zh) * 2022-01-24 2022-05-06 四川大学 一种云环境网络设备实体识别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4853A1 (en) * 2003-07-30 2005-02-03 Mellen Thomas-Benedict Modularized light processing of body components
KR20120087335A (ko) * 2011-01-20 2012-08-07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40137149A (ko) * 2013-05-22 2014-12-02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4853A1 (en) * 2003-07-30 2005-02-03 Mellen Thomas-Benedict Modularized light processing of body components
KR20120087335A (ko) * 2011-01-20 2012-08-07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40137149A (ko) * 2013-05-22 2014-12-02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95A (ko)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유니메오 동물병원 영수증을 이용한 오씨알 기반 전자진료차트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14444485A (zh) * 2022-01-24 2022-05-06 四川大学 一种云环境网络设备实体识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509B1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8884B2 (en) Encrypted portabl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US201301266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nd Scanning an ID Tag Linked to Information about a User
CN107278957B (zh) 用于管理效率化的宠物关系网基础系统及构建应用方法
BRPI0717818A2 (pt) Sistema de segurança para registros médicos; método para acesso seguro dos registros médicos; e sistema para acesso seguro dos registros médicos.
KR101708774B1 (ko) 제3자 중심의 공개인증 기반 의료기록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101486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CN111798997A (zh) 远程就诊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8018470A (ja) 健康医療介護連携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用のプログラム、健康医療介護連携システムおよび健康医療介護連携システム統合基盤
US20140136219A1 (en) Patient and physician gateway to clinical data
US20050107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input of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KR20190004541A (ko) 동물병원 경영 클라우드 플랫폼의 운영 장치 및 그 기반으로 구축한 비문 기반 동물 개체 인식 방법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EP34255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in medical consultation
US113346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 user experience based on patient context, user roles, current workflow, and display proximity
Kuo et al. Smart health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organizations usin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echnology in hospitals or emergency applications
KR102341749B1 (ko) 반려동물 비문을 이용한 등록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18100B1 (ko) 의료서비스 통합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19236B1 (ko) 스마트 요양간호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94031B1 (ko) 전용 이메일을 이용한 반려동물 진료정보 관리시스템
CN105373994A (zh) 电子病历管理方法及系统
KR102527701B1 (ko) 반려동물의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09640A (ko) 개인 의료정보의 개인소지 및 공유 방법
US202304109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atient work flow for medical data
US20240013885A1 (en) Medication target pers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11862306B1 (en) Customer health activity based system for secure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of health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