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479A - Automatic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ing foods and beverages in stor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utomatic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ing foods and beverages in stor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479A
KR20190004479A KR1020170084747A KR20170084747A KR20190004479A KR 20190004479 A KR20190004479 A KR 20190004479A KR 1020170084747 A KR1020170084747 A KR 1020170084747A KR 20170084747 A KR20170084747 A KR 20170084747A KR 20190004479 A KR20190004479 A KR 20190004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formation
tray
tag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9355B1 (en
Inventor
오흥일
Original Assignee
오흥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흥일 filed Critical 오흥일
Priority to KR102017008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355B1/en
Publication of KR2019000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3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ing a food and a beverage in a store and a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A prepared product is put on a plate to which a tag is attached when the product should be received in a store after preparing the product ordered through an ordering terminal, a kiosk, a POS terminal, and so on, the tag of the plate used for an order is set by selecting order information by using a store terminal, the tag of the plate is tagged in a reader provided in a pick-up tray when the plate in which the setting is completed is put on one pick-up tray among a plurality of pick-up trays, the order information set in the tag of the plate is displayed in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pick-up tray, and an orderer is checked with a product receiving authentication apparatus.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a user can be improved and the work efficiency of a store manager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Automatic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ing foods and beverages in store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ing food and beverage stores,

본 발명은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NFC 태그, RFID 태그 등의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로 주문자를 확인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utomatically ordering and serviceing food and beverage stores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ng order and service automation in a food and beverage store, Sets the tag of the bowl used for the order by selecting the order information by using the store terminal and places the set bowl on a pick-up tray of one of the plurality of pick-up trays, A food and beverage store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on system for tagging a tag of a corresponding bowl in a reader, displaying order information set in a tag of the bowl on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pick-up tray, .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상품을 주문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There are various ways to order goods online or offline.

이러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준비된 상품을 매장을 방문하여 직접 수령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매장 내 고객이 많은 경우 자신이 주문한 상품의 준비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고, 매장 내 진열되는 상품이 자신의 상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동일한 제품을 주문한 복수의 고객이 있는 경우, 해당 제품이 자신이 주문한 상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customer intends to visit the store by himself or herself,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preparation state of the product he / she has ordered, and whether or not the product displayed in the store is his or her own produc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plurality of customers who ordered the same product and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product is the product ordered by the customer.

또한, 공급자 입장에서도 상품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 진동벨을 이용하는 방법, 주문번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고객을 호출하는 방법 등을 활용하고 있으나, 이는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가 해당하는 주문번호를 정확히 인지해야 하기 때문에 착오의 우려가 있고, 관리자가 복수일 경우 일원화된 서비스 제공에 혼선이 발생하게 된다.Also, from the viewpoint of the supplier, the method of using the vibration bell as the method of delivering the product to the customer and the method of calling the customer by displaying the order number on the display are utilized, but the manager (or the product preparation / There is a possibility of a mistake becaus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recognize the order number of the service provider.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managers, confusion arises in the provision of unified service.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616호 [명칭: 식음료 예약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044616 [Name: food and beverage reservation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로 주문자를 확인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commodity ordered through an order terminal, a kiosk, a POS terminal, etc., placing a prepared commodity in a tag attached with a tag, selecting the commodity information using the commodity terminal, When a tag of a bowl is set and a set bowl is placed on a pick-up tray of one of a plurality of pick-up trays, a tag attached to the bowl is tagged by a reader provided in the pick-up tr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and beverage store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which ar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provided in a pick-up tray and confirm an orderer with an article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은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주문 장치에 의해,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주문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주문 장치에 의해,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 및 배달 예정 시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주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직접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될 때,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복수의 그릇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와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automating order and service automation in a food and beverage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automatically ordering and serviceing a food and beverage store, ; After the settlement function is completed, the order device displays one or more of the settlement function execution result information, the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the wait time information, the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the order number, the order code, Or in the form of a receipt; Displaying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dering device by the store terminal after the settlement function is completed; Confirming, by the store terminal, a method of receiving goods in the order information; And when the goods receipt system in the order information is a direct receipt state in a store, when a commodity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a tag provided at one side of a bowl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vessels by the store terminal, And setting an order number in the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및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oduct name and a quantity, a product reception method, an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a wait time information, a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an order number, NFC information of the order devic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purchas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주문 번호가 설정된 태그를 구비한 그릇이 복수의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 상에 위치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된 리더기에 의해,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에 의해, 상기 태그의 태깅에 따라 상기 태그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에 의해,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의 다른 일측 또는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는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된 상품 수령 인증 장치에 의해, 주문자에게 발행된 주문 코드 또는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를 인증하여 주문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tainer having the tag with the order number is position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trays, a read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ne of the trays, Tagging a ta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wl located on the tray; Confirming the order number set in the tag according to tagging of the tag by the reader; Displaying the confirmed order number on 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associated with the reader by the reader; And confirming the orderer by authenticating the order code issued to the purchaser or the NFC information of the ordering device by 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associated with the reader or on one side of the cabinet accommodating the tray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은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주문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하고,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 및 배달 예정 시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형태로 출력하는 주문 장치; 상기 주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직접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될 때 복수의 그릇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와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하는 매장 단말; 상기 주문 번호가 설정된 태그를 구비한 그릇이 복수의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 상에 위치될 때,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하고, 상기 태그의 태깅에 따라 상기 태그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는 리더기; 상기 리더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주문자에게 발행된 주문 코드 또는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를 인증하여 주문자를 확인하는 상품 수령 인증 장치; 및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고, 상기 수납된 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트레이에 포함된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order and service automation system of the food and beverage st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ng food and beverage stores and services, An order device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payment function performance result information,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wait time information,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order number, order code, and estimated delivery time information, ;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dering device, confirming a method of receiving a commodity in the order information, receiving a commodity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A store terminal for setting a tag and a order number in the order information on one side of one of the selected vessels; Tagging a tag provided on a tray disposed on the tray when the container having the tag with the order number is positioned on one of the plurality of trays; A reader identifying the numb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firmed order number under the control of the reader; A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for confirming an orderer by authenticating an order code issued to an orderer or NFC information of the ordering device; And a cabinet for receiving the tray, supplying power to the received tray, and controlling accessories included in the tra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주문 장치는, 주문 단말, 키오스크 및 POS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ing device may be any one of an order terminal, a kiosk, and a POS termin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lected tray so as to tag tags provided on the tray placed on the tra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에 대한 정보인 주문 번호나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다른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on another side of the selected tray so that a plurality of orderers can confirm an order number or a product, which is information on a prepared produc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을 수령하기 위하여 주문자 여부를 인증하는 장치로,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다른 일측에 형성하거나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lected tray or on one side of the cabinet, which is a device for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a customer is a purchaser in order to receive a prepared product .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는 장치로, 수납된 상기 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매장 단말 또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캐비닛 통신부; 및 캐비닛의 부속 장치와 상기 캐비닛에 수납된 상기 트레이에 포함된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캐비닛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y accommodated in the tray. A cabinet communicating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tore terminal or the server; And a cabine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ccessories of the cabinet and accessories included in the tray received in the cabinet.

본 발명은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매장 내 직접 수령인 상품의 경우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로 주문자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매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of a recipient's product directly in a store, after arranging a commodity ordered through an order terminal, a kiosk, a POS terminal, etc.,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the prepared commodity in the tag-attached vessel and selects the order information using the commodity terminal When a tag of a bowl used for the order is set and a set bowl is placed on a pick-up tray of one of a plurality of pick-up trays, a tag attached to the bowl is tagged by a reader provided in the pick-up tray,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set order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pick-up tray and confirm the purchaser with 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store manag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on system for a food and beverage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or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ordering food and beverage stores and automating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stor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be properly understoo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escribe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and beverage store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10)은 주문 장치(100), 매장 단말(200), 그릇(300), 태그(400), 트레이(500), 리더기(600), 디스플레이부(700) 및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1, a food and beverage store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on system 10 includes an ordering device 100, a store terminal 200, a bowl 300, a tag 400, a tray 500, a reader 600, A display unit 700, and an article receipt authentication apparatus 800. Not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food and beverage store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on system 10 shown in FIG. 1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food and beverage store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on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May be implemented, or a food and beverage store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on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상기 주문 장치(100)는 사용자(또는 주문자)가 소지한 주문 단말(또는 사용자 단말), 매장 내 구비된 키오스크, 매장 내 구비된 POS(point of sales) 단말 등일 수 있다.The ordering device 100 may be an order terminal (or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or an orderer), a kiosk provided in a store, a POS (point of sale) terminal provided in a stor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주문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ordering device 100 performs an ordering and payment function for one or more products selected by the user in association with a payment server (not shown) according to the user input.

또한, 결제 완료 후, 상기 주문 장치(100)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 포함), 배달 예정 시각 정보 등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등의 형태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는 상품명,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직접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After completion of the settlement, the ordering apparatus 100 may receive the payment function execution result information,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wait time information,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order number, order code (for example, QR code, ), Scheduled delivery time information, or the like, or output it in the form of a receipt or the like. Here, the payment function execution result information includes a product name, a quantity, a method of receiving goods (for example, receiving in-store delivery, visiting packaging, delivery, reservation, etc.),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또한, 결제 완료 후, 상기 주문 장치(100)는 주문 정보를 해당 매장과 관련한 매장 단말(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the payment is completed, the ordering device 100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tore terminal 200 related to the store. Here,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oduct name and a quantity, a method of receiving a product (for example, a receipt within a store, a visit packing, a delivery, a reservation, etc.), an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a wait time information, NFC information of the ordering device 100, delivery information, contact information of the purchaser, and the like.

상기 매장 단말(200)은 매장 내(예를 들어 매장 내 서빙 영역, 매장 내 조리 영역 등 포함)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매장 단말(200)은 매장 내 상품을 준비하는 곳에 위치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store terminal 200 is provided in a store (for example, a store area, a cooking area, etc.). At this time, the store terminal 200 may be a terminal located in a place where a merchandise is prepared in a store.

또한, 상기 매장 단말(200)(또는 상기 주문 장치(100)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store terminal 200 (or a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ordering apparatus 100) may be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terminal, a telematics terminal, a navigation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e.g.,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a Wibro terminal, an IPTV (Internet Protocol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such as a television terminal, a smart TV,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terminal, an A / V (Audio / Video) system, and a flexible terminal.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장 단말(200)(또는 상기 주문 장치(100)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은 통신부(210), 저장부(220), 표시부(230), 음성 출력부(240) 및 제어부(25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매장 단말(2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매장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매장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다.2, the store terminal 200 (or a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order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storage unit 220, a display unit 230, an audio output unit 240 And a control unit 250. Not all the components of the store terminal 200 shown in Fig. 2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store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The store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상기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상기 주문 장치(100), 상기 태그(400), 상기 리더기(600), 상기 디스플레이부(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communicates with any one of internal components or external one or more terminals via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the external arbitrary terminal may include the ordering apparatus 100, the tag 400, the reader 600, the display unit 700, and the like.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es a wireless LAN (WLAN),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a microwave (WiMAX),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In additio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and Wi-Fi Direct.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 USB communication, an Ethernet, a serial communication, an optical / coaxial cable, and the like.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transmit information to and from an arbitrary terminal through a universal serial bus (USB).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주문 장치(100), 상기 태그(400), 상기 리더기(600), 상기 디스플레이부(700),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The ordering device 100, the tag 400, the reader 600, the display unit 700, 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for example, 800 and the like.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주문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der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50. [ Here,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oduct name and a quantity, a method of receiving a product (for example, a receipt within a store, a visit packing, a delivery, a reservation, etc.), an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a wait time information, NFC information of the ordering device 100, delivery information, contact information of the purchaser, and the like.

상기 저장부(또는 메모리)(2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or memory) 220 stores various user interfaces (UI),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매장 단말(2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20 stores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store terminal 200 to operate.

즉,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매장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매장 단말(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되고, 매장 단말(200)에 설치되어, 제어부(250)에 의하여 상기 매장 단말(2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unit 22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that are driven by the store terminal 200, data for operation of the store terminal 2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and may be installed in the store terminal 200 and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250 to perform operations (or functions) of the store terminal 200.

또한, 상기 저장부(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장 단말(2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2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22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A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And a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In addition, the store terminal 2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220 on the Internet, or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the web storage.

또한,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20 stores ord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230 can display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using the user interface and / or graphical user interfa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 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0 includes various text or image data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data) and a menu screen including data such as an icon, a list menu, and a combo box.

또한, 상기 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3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 e-ink display, and an LED (Light Emitting Diode).

또한,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주문 정보를 표시한다.Also, the display unit 230 displays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상기 음성 출력부(240)는 상기 제어부(25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2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voice output unit 240 outputs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50. Here, the audio output unit 240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240)는 상기 제어부(25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Also, the voice output unit 240 outputs the guidance voic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250.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240)는 상기 제어부(250)에 의해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정보)를 출력한다.Also, the audio output unit 240 outputs audio information (or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by the control unit 250.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매장 단말(2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는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엔진(engine)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executes an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store terminal 20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50 may be a processor or an engine.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장 단말(2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22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0 executes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store terminal 200 using the programs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The control unit 250 may include a RAM, a ROM, a CPU, a GPU, and a bus, and the RAM, the ROM, the CPU, and the GPU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The CPU accesses the storage unit 220 and performs booting using the O /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The CPU 220 may use various programs, contents, data, and the lik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So that various operations can be performed.

주문이 완료된 이후(또는 정상 결제가 완료된 이후),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주문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After the order is completed (or after the normal settlement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250 receives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der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Here,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oduct name and a quantity, a method of receiving a product (for example, a receipt within a store, a visit packing, a delivery, a reservation, etc.), an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a wait time information, NFC information of the ordering device 100, delivery information, contact information of the purchaser,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상기 표시부(2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250 also outputs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and / or the audio output unit 240.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한다.Also, the control unit 250 confirms the method of receiving goods in the order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을 각각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0 performs predetermined functions according to the confirmed goods receipt method.

즉,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이 배달인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미리 설정된 배달 단말(미도시)에 상품명과 수량, 상품 수령 방식,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배달 예정 시각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한다.That is, when the confirmed goods receipt system is a delivery, the controller 250 stores the goods name and quantity, the goods receipt system, the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the order number, and the estimated delivery time information (not shown) Delivery information, contact information of the purchaser, and the lik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또한, 해당 배달 단말은 상기 매장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상품명과 수량, 상품 수령 방식,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배달 예정 시각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품명과 수량, 상품 수령 방식,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배달 예정 시각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표시한다.Also, the delivery terminal receives the product name and the quantity, the product delivery method, the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the order number, the estimated delivery time information, the delivery destination informatio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orderer, etc. transmitted from the store terminal 200, The received goods name and quantity, the goods receipt system, the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the order number, the estimated delivery time information, the delivery place information, and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purchaser.

또한, 해당 배달 단말을 소지한 배달자는 상기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주문 상품이 준비되는 시각에 상기 매장 단말(200)과 관련한 매장에 방문하여, 상기 준비된 상품을 수령한 후 배달지 정보에 따라 배달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elivery person having the delivery terminal refers to the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visits the store related to the store terminal 200 at the time when the order product is prepared, receives the prepared goods, To perform the delivery function.

또한,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또는 주문 상품)이 준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배달)에 따라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배달 단말에 전송한다.When the merchandise (or the ordered merchandise) in the order information is prepared by the manager (or the merchandise maker / chef) in the store, the controller 250 stores the received merchandise (Or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oduct preparation has been completed is transmitted to the delivery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

또한, 상기 배달 단말은 상기 매장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표시한다.In addition, the delivery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or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oduct preparation is completed from the store terminal 200.

또한, 해당 배달 단말을 소지한 배달자는 상기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에게 확인받은 후, 상기 준비된 상품을 수령하고, 상기 수령한 상품을 배달지 정보에 따라 배달 기능을 수행한다.Further, the delivery person having the delivery terminal receives the prepared goods after confirming the goods prepa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r in the store, and performs the delivery function according to the delivery destin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또는 주문 상품)이 준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방문 포장)에 따라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merchandise (or the order item) in the order information is prepared by the manager (or the merchandise maker / cook) in the store, the controller 250 determines whether the merchandise (or the order item) (Or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oduct preparation has been complet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매장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표시한다.Also, the user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or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oduct preparation completed from the store terminal 200 is completed.

또한, 해당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또는 주문자)는 상기 상품 준비 완료 정보(또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등)를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에게 확인받거나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에 인증한 후, 상기 준비된 상품을 수령한다.Further, the user (or the purchaser) having the user terminal confirms the goods prepa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or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payment function execution) to the manager in the store or 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800, The goods are received.

또한,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또는 주문 상품)이 준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예약)에 따라 예약 일시에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When the merchandise (or the ordered merchandise) in the order information is prepared by the manager (or the merchandise maker / cook) in the store, the control unit 250 stores the received merchandise (Or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oduct preparation is completed at the reservation date and tim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매장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예약 시각에 따른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표시한다.Further, the user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or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oduct prepara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reservation time transmitted from the store terminal 200. [

또한, 해당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또는 주문자)는 상기 해당 예약 시각에 따른 상품 준비 완료 정보(또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등)를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에게 확인받거나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에 인증한 후, 상기 준비된 상품을 수령한다.In addition, the user (or the purchaser) having the user terminal can confirm the goods prepa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or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payment function, etc.) according to the reservation time by the manager in the store, And then receives the prepared goods.

또한,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또는 주문 상품)이 준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에 따라 상기 매장 단말(200)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복수의 그릇(30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400)에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또는 기록)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300) 위에는 상기 준비된 상품이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그(400)는 NFC 태그, RFID 태그 등일 수 있다.When the merchandise (or the ordered merchandise) in the order information is prepared by the manager (or the merchandise maker / cook) in the store, the controller 250 determines whether the merchandise A tag 400 provided at one side of one of the plurality of vessels 300 selected by a manager (or a product maker / cook) of the stor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Set (or record) the order number. At this time, the prepared merchandise may be located on any one of the selected vessels 300. Here, the tag 400 may be an NFC tag, an RFID tag, or the like.

즉,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된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매장 내에 구비된 복수의 그릇(300) 중에서 선택되는 특정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400)에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한다.That is, when the goods receipt system in the order information is the recipient in the store and the good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are prepared,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vessel 300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the vessels 300 The order number in the order information is set in the tag 400 provided on one side.

상기 그릇(300)은 매장 내에서 사용하는 유리 그릇, 플라스틱 그릇, 스테인리스 그릇, 알루미늄 그릇, 멜라민 수지 그릇, 1회용 용기(또는 1회용 포장 용기) 등을 포함한다.The bowl 300 includes a glass bowl, a plastic bowl, a stainless steel bowl, an aluminum bowl, a melamine resin bowl, a disposable container (or a disposable container) used in a store, and the like.

이와 같이, 상기 그릇(300)은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owl 300 can be made of various kinds of materials.

또한, 상기 그릇(300)의 일면(또는 일측)에는 상기 태그(400)가 부착된다.The tag 400 is attached to one side (or one side) of the vessel 300.

또한, 상기 그릇(300) 상에는 상기 매장 단말(200)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상기 준비된 상품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상품 수령 방식이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인 경우, 상기 준비된 상품은 상기 그릇(300)에 의해 포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pared commodity is located on the vessel 300 by the manager (or the commodity prepara- tor / chef) of the commodity terminal 200. At this time, if the commodity receiving method is visiting packing, delivery, reservation, etc., the prepared commodity can be packed by the bowl 300.

상기 태그(tag)(또는 전자 태그)(400)는 NFC 태그, RFID 태그 등을 포함한다.The tag (or electronic tag) 400 includes an NFC tag, an RFID tag, and the like.

또한, 상기 태그(400)는 상기 그릇(300)의 일면(또는 일측)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태그(400)는 상기 그릇(30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ag 400 is attached to one side (or one side) of the bowl 300. At this time, the tag 400 may be removably attached to the bowl 300.

또한, 상기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수령인 경우, 상기 태그(400)는 상기 매장 단말(200)에 의해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가 설정된다.When the goods receipt system is the in-store recipient, the order number in the order information is set by the store terminal 200 in the tag 400.

상기 트레이(tray, 칸막이 상자)(500)는 N×M 형태(여기서 상기 N, M은 자연수)로 제작되는 다각형(예를 들어 사각형, 원형 등 포함) 형태의 프레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500)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일 수 있다.The tray 500 may be a polygon (e.g., rectangular, circular, etc.) formed in an N × M shape (where N and M are natural numbers). At this time, the tray 500 may be fixed or movable.

또한, 상기 트레이(500)는 상기 상품을 포함하는(또는 구비하는) 그릇(30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y 50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capable of accommodating a bowl 300 containing (or having) the product.

또한, 상기 트레이(500)는 상기 상품이 포함된 그릇(300)을 임시로 수납(또는 저장)한다.In addition, the tray 500 temporarily stores (or stores) the container 300 containing the goods.

또한, 상기 트레이(500)의 일측(또는 일면)에는 리더기(600), 디스플레이부(700),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reader 600, a display unit 700, and an article receipt authentication apparatus 800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one side) of the tray 500.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트레이(500)의 일측(또는 일면)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트레이(500) 내부에 구성되는 그릇(300)의 일측에 형성된 태그(400)를 태깅(또는 리딩)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500)의 일측에 형성할 수 있다.The reader 600 is formed on one side (or one side) of the tray 500. The reader 60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tray 500 so as to tag (or read) a tag 400 formed at one side of the bowl 300 formed in the tray 500 .

또한, 상기 트레이(500)가 복수로 구성된 경우, 각 트레이(500)에 구성되는 리더기(600)는 인접한 다른 트레이(500)에 대해 태깅하지 않도록(또는 간섭하여 태깅하지 않도록) 트레이(500)에서의 특정 위치에 구성하고, 상기 리더기(600)와 관련한 트레이(500)를 커버하는 주파수 영역에서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the trays 500 are formed, the reader 600 formed in each tray 500 is moved from the tray 500 to the adjacent tray 500 so as not to tag (or interfere with the tagging) And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in a frequency region covering the tray 500 related to the reader 600. [

또한,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트레이(500)에 위치한 상기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400)를 태깅한다(또는 리딩한다). 이때, 상기 리더기(6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트레이(500) 내의 영역에 대한 태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ader 600 tags (or reads) a tag 4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wl 300 located on the tray 500. At this time, the reader 600 may perform a tagging operation for an area within the tray 500 at a preset period.

또한,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태그(400)의 태깅에 따라 상기 태그(400)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reader 600 confirms the order number set in the tag 400 according to the tagging of the tag 400.

또한,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리더기(600)와 관련한 트레이(5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한다.In addition, the reader 600 displays the confirmed order number through the display unit 70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500 related to the reader 600. FIG.

또한, 상기 리더기(6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해당 트레이(500)에 위치한 태그(400)를 태깅하며, 트레이(500) 상에 태그(400)가 구비된 그릇(300)이 주문자에 의해 수령되어 더 이상 위치하지 않을 때 해당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되는 주문 번호의 표시를 중단한다.The reader 600 tags the tag 400 located on the tray 50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tainer 300 having the tag 400 on the tray 500 is received by the purchaser And stops displaying the order numb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0 when it is no longer located.

또한, 주문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되는 주문 번호 및 상기 영수증 형태로 출력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고,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 포함) 또는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를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에 인증하여 해당 트레이(500) 상에 위치하는 상품이 준비된 그릇(300)을 가져갈 수 있다.The orderer confirms the order numb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0 and the order number output in the form of receipt and confirms the order code (for example, QR code, bar code, etc.) The user can authenticate the information to the article receipt authentication apparatus 800 and take the prepared vessel 300 on the tray 500.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주문 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500)의 일측(또는 일면)에 형성한다.The display unit 700 is formed on one side (or one side) of the tray 500 so that a plurality of purchasers can confirm information (for example, order number) about the prepared goods.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7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 three dimensional display, hav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주문 번호, 상품 등 포함)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리더기(600)의 제어에 의해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700 displays the order number confirmed by the control of the reader 600 so that a plurality of purchasers can confirm the information on the prepared goods (for example, order number, commodity, etc.).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와 관련된 트레이(500)에 위치한 태그(400)를 포함하는 그릇(300)이 사용자에 의해 수령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상기 리더기(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주문 번호의 표시를 중단한다.The display unit 700 may be controlled by the reader 600 when the user receives the container 300 including the tag 400 located on the tray 500 related to the display unit 700 The display of the order number is stopped.

또한, 상기 주문 번호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에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 상품 정보, 매장 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If the order number is not displayed, the display unit 700 may display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the product information, the store information, and the like stored in advance on the display unit 700.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인증하는 장치로 상기 트레이(500)의 일측(또는 일면)에 형성한다.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800 is formed on one side (or one side) of the tray 500 with a device for authenticating the plurality of orderers to receive the prepared goods.

또한,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는 상기 트레이(500)를 수납하는 캐비닛(미도시)의 일측(또는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트레이(500)를 수납하는 장치로, 수납된 상기 트레이(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와, 상기 매장 단말(200) 또는 서버(미도시)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캐비닛 통신부(미도시)와, 캐비닛의 부속 장치와 캐비닛에 수납된 상기 트레이(500)에 포함된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캐비닛 제어부(미도시)를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각각 형성한다.The product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800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one side) of a cabinet (not shown) for receiving the tray 500. The cabine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y 500 housed in the tray 500 and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 cabinet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ccessory devices included in the tray 500 housed in the cabinet, and a cabinet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respectively .

또한,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는 주문자에게 발행된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 포함) 또는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를 인증하여 관련된 트레이(500)에 인증자가 주문한 상품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800 authenticates the order code (for example, QR code, bar code, etc.) issued to the purchaser or the NFC information of the order device 100, Check whether the goods are located.

또한,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는 인증이 완료된 후 관련된 트레이(500)에 상품 보관을 위한 개폐 장치(미도시)가 있을 경우, 개폐 장치(미도시)의 잠금을 해제한다.In addition, when the related tray 500 has an opening / closing device (not shown) for storing a product after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product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800 releases the opening / closing device (not shown).

이와 같이,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매장 내 상품 수령인 경우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In this way, after arranging a product ordered through an order terminal, a kiosk, a POS terminal, and the like, if the recipient is an item in the store, the prepared item is placed on the tag attached to the tag, the corresponding order information is selected using the store terminal, And when a set bowl is placed on a pick-up tray of one of a plurality of pick-up trays, a tag of the bowl is tagged by a reader provided in the pick-up tray, and an order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pick-up tra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rdering food and beverage stores and automat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ordering food and beverage stores and automating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주문 장치(100)는 사용자(또는 주문자) 입력에 따라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주문 단말(또는 사용자 단말), 매장 내 구비된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일 수 있다.First, the ordering device 100 performs an order and payment function for one or more goods in cooperation with a payment server (not shown) according to a user (or an orderer) input. The ordering device 100 may be an order terminal (or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a kiosk provided in a store, a POS terminal, or the like.

또한, 상기 주문 장치(100)는 결제 완료 후,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 포함), 배달 예정 시각 정보 등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등의 형태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는 상품명,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After completion of the settlement, the order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information on settlement function execution result,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wait time information,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order number, order code (for example, QR code, ), Scheduled delivery time information, or the like, or output it in the form of a receipt or the like. Here, the payment function execution result information includes a product name, a quantity, a method of receiving a goods (for example, receipt within a store, visit packing, delivery, reservation, etc.),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일 예로, 주문 장치(100)에 포함되며 매장 내 구비된 키오스크(미도시)는 주문자 입력에 따라 결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카페라떼 2잔에 대한 주문 및 현금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현금 결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오스크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0분), 대기 시간 정보(예를 들어 7분),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7분),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등을 해당 키오스크 상에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표시(410)하고 영수증 형태로 출력한다.For example, a kiosk (not shown) included in the ordering apparatus 100 and provided in the store performs an order and a cash settlement function for two cups of cafe latte by interlocking with a payment server according to an input of an orderer. As shown in FIG. 4, after the cash settlement function is normally performed, the kiosk may receive settlement function execution result information,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1:10 PM on May 1, 2017) (For example, 7 minutes),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1:17 pm on May 1, 2017), an order number (for example, 1357), an order code Code) is displayed (410)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seconds) on the kiosk and outputted in a receipt form.

다른 일 예로, 주문 장치(100)에 포함되며 원격지의 사용자가 구비한 사용자 단말(미도시)은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결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배달 주문 기능을 사용하여 딸기 빙수 1개, 팥빙수 1개, 망고 주스 3잔에 대한 주문 및 카드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카드 결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3분), 대기 시간 정보(예를 들어 10분),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23분),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74), 주문 코드(예를 들어 바코드), 배달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45분) 등을 표시한다(S310).As another example, a user terminal (not shown) included in the ordering device 100 and provided by a user at a remote location may interlock with a payment server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 a bean curd, and 3 mango juice. Further, after the card settlement function is normally performed,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settlement function execution result information,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1:13 pm on May 1, 2017) provided from the settlement server, (For example, 10 minutes),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1:23 pm on May 1, 2017), order number (for example, 1374), order code , Scheduled delivery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1:45 PM on May 1, 2017), and the like (S310).

주문이 완료된 이후(또는 정상 결제가 완료된 이후), 매장 단말(200)은 상기 주문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200)은 매장 내 상품을 준비하는 곳에 위치하는 단말일 수 있다.After the order is completed (or after the normal payment is completed), the store terminal 200 receives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dering device 100. Here,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oduct name and a quantity, a method of receiving a product (for example, a receipt within a store, a visit packing, a delivery, a reservation, etc.), an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a wait time information, NFC information of the ordering device 100, delivery information, contact information of the purchaser, and the like. Also, the store terminal 200 may be a terminal located in a place where goods are prepared in the store.

또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표시한다.Also, the store terminal 200 displays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일 예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전송되는 상품명과 수량(예를 들어 카페라떼 2잔),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0분), 대기 시간 정보(예를 들어 7분),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7분),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등을 포함하는 제 1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제 1 주문 정보(510)를 표시한다.For example, the store terminal 200 may store information such as a name and a quantity of goods (for example, two café latte) transmitted from the kiosk, a goods receipt system (for example, in-store receipt), an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Eg, 1:10 pm on May 1, 2015), waiting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7 minutes) 1357), an order code (for example, a QR code), and the lik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store terminal 200 displays the received first order information 510.

다른 일 예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품명과 수량(예를 들어 딸기 빙수 1개, 팥빙수 1개, 망고 주스 3잔),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배달),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3분), 대기 시간 정보(예를 들어 10분),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23분),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74), 주문 코드(예를 들어 바코드),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 배달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45분), 배달지 정보(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234-5678),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예를 들어 010-9876-5432) 등을 포함하는 제 2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제 2 주문 정보를 표시한다(S320).In another example, the store terminal 200 may store a merchandise name and quantity (e.g., one strawberry iced beer, one bean curd, one mango juice) sent from the user terminal, a goods receipt (e.g., delivery) Date and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1:13 PM on May 1, 2017), waiting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10 minutes), product preparation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1 pm on May 1, 2017 (For example, bar code), the NFC information of the order device 100, and estimated delivery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1:00 pm on May 1, 2017) 45 minutes), delivery information (for example, 1234-5678 in Yeoksam-ro, Gangnam-Gu, Seoul) and contact information of the purchaser (e.g., 010-9876-5432). Also, the store terminal 200 displays the received second order information (S320).

이후,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한다.Then, the store terminal 200 confirms the method of receiving goods in the order information.

또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을 각각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tore terminal 200 performs predetermined functions according to the checked goods receipt method.

일 예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제 1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을 확인한다.For example, the store terminal 200 confirms the goods receipt method (e.g., receipt in the store) i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다른 일 예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제 2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배달)을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배달 단말(미도시)에 상품명과 수량(예를 들어 딸기 빙수 1개, 팥빙수 1개, 망고 주스 3잔),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배달),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23분),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74), 배달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45분), 배달지 정보(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234-5678),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예를 들어 010-9876-5432) 등을 전송한다(S330).In another example, the store terminal 200 confirms the goods receipt system (for example, delivery) in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and stores the goods name and quantity (for example, one strawberry ice number (For example, delivery),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1:23 pm on May 1, 2017), order number (for example, 1374), delivery schedule information (for example, 1:45 pm on May 1, 2017), delivery information (for example, 1234-5678 in Yeoksam-ro, Gangnam-gu, Seoul) 9876-5432) or the like (S330).

이후,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된 경우,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매장 단말(200)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복수의 그릇(30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400)에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300) 위에는 상기 준비된 상품이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그(400)는 NFC 태그, RFID 태그 등일 수 있다.When the goods receipt system in the order information is the recipient in the store and the good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are prepared, the store terminal 200 is managed by the manager (or the product prepara- tor / cook) of the store terminal 200 The order number in the order information is set in the tag 400 provided on one sid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vessels 300. At this time, the prepared merchandise may be located on any one of the selected vessels 300. Here, the tag 400 may be an NFC tag, an RFID tag, or the like.

일 예로, 상기 제 1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주문 정보에 따른 카페라떼 2잔이 준비된 상태일 때,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매장 단말(200)의 관리자에 의해 복수의 그릇(300) 중에서 선택된 제 3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제 3 태그(400)에 상기 제 1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를 설정한다(S340).For example, when the goods receipt system i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a state of the recipient in the store, and two cups of café latte according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re prepared, the store terminal 200 is managed by the manager of the store terminal 200 The order number (e.g., 1357) i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set in the third tag 4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hird vessel 300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vessels 300 at step S340.

이후, 상기 매장 단말(300)의 관리자에 의해 주문 번호가 설정된 태그(400)를 구비한 그릇(300)이 복수의 트레이(500)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500) 상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500)의 일측에 구비된 리더기(600)는 상기 리더기(600)와 관련한 트레이(500) 상에 위치한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400)를 태깅한다.When the container 300 having the tag 400 having the order number set by the manager of the store terminal 300 is placed on one of the plurality of trays 500, The reader 600 provided at one side of one tray 500 tags the tag 4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wl 300 located on the tray 500 related to the reader 600. [

또한,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태그(400)의 태깅에 따라 상기 태그(400)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reader 600 confirms the order number set in the tag 400 according to the tagging of the tag 400.

일 예로, 매장 내의 특정 위치에 구비된 복수의 트레이(500) 중에서 제 2 트레이(500) 상에 상기 카페라떼 2잔이 올려진 제 3 그릇이 위치될 때, 상기 제 2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된 제 2 리더기(600)는 상기 제 2 트레이 상에 위치한 제 3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제 3 태그를 태깅한다.For example, when a third bowl on which two cups of café latte are placed on a second tray 500 among a plurality of trays 500 provided at a specific position in a store, The second reader 600 tags the third ta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ird vessel located on the second tray.

또한, 상기 제 2 리더기는 상기 제 3 태그에 설정된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를 확인한다(S350).Also, the second reader checks the order number (e.g., 1357) set in the third tag (S350).

이후,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리더기(600)와 관련한 트레이(5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리더기(6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해당 트레이(500)에 위치한 태그(400)를 태깅하며, 트레이(500) 상에 태그(400)가 구비된 그릇(300)이 주문자에 의해 수령되어 더 이상 위치하지 않을 때 해당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되는 주문 번호의 표시를 중단한다.Thereafter, the reader 600 displays the confirmed order number through the display unit 70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500 related to the reader 600. At this time, the reader 600 tags the tag 400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tray 50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tainer 300 equipped with the tag 400 on the tray 500 is received by the purchaser And stops displaying the order numb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0 when it is no longer located.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리더기는 상기 제 2 트레이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제 2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610)를 표시한다(S360).6, the second reader may receive the identified order number (e.g., 1357) 610 via the second display unit 70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tray (S360).

이후, 주문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되는 주문 번호 및 상기 영수증 형태로 출력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와 관련한 트레이(500)의 다른 일측(또는 상기 트레이(500)를 수납하는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된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로 주문 시 발행된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 포함) 또는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를 인증한 후 해당 트레이(500) 상에 위치하는 상품이 준비된 그릇(300)을 가져갈 수 있다.The orderer confirms the order numb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0 and the order number output in the receipt form and confirms the order number displayed on the other side (or the tray 500) of the tray 500 related to the display unit 700, (For example, a QR code, a bar code or the like) issued at the time of ordering or the NFC information of the ordering device 100 is authenticated by 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800 provided in the order receiving device 100 The user can take the prepared container 300 placed on the tray 500.

일 예로, 상기 주문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되는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610) 및 상기 영수증 형태로 출력된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를 확인한 후, 상기 트레이(5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를 통해 상기 영수증 형태로 출력된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를 인증한 후 해당 트레이(500) 상에 위치하는 상품이 준비된 그릇(300)을 수령한다(S370).For example, the orderer confirms the order number (for example, 1357) 61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700 and the order number (for example, 1357) output in the form of the receipt, (For example, a QR code) output in the form of a receipt through 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80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500, 300) (S37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매장 내 상품 수령인 경우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로 주문자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매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product ordered through an order terminal, a kiosk, a POS terminal, or the like is prepared, if the item is received in the store, the product is placed in a tag attached to the tag, The tag of the bowl to be used in the order is selected by placing the selected bowl on the pick-up tray of one of the plurality of pick-up trays, The order information set on the tag of the bow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pick-up tray, the purchaser is confirmed by 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mproved, and the work efficiency of the store manager is increased.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매장 내 상품 수령인 경우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로 주문자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매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분야, 단말 분야, 매장 관리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product ordered through an order terminal, a kiosk, a POS terminal or the like is prepared, the product is placed in a tagged container in the case of a goods receipt in the store, the corresponding order information is selected using the store terminal, And when a set bowl is placed on a pick-up tray of one of a plurality of pick-up trays, a tag of the bowl is tagged by a reader provided in the pick-up tray, and an order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pick-up tray and 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can confirm the purchaser,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enhanc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store manager. Field, store management field, and the like.

10: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100: 주문 장치 200: 매장 단말
300: 그릇 400: 태그
500: 트레이 600: 리더기
700: 디스플레이부 800: 상품 수령 인증 장치
10: Food and beverage store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on system
100: order device 200: store terminal
300: bowl 400: tag
500: Tray 600: Reader
700: display unit 800: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Claims (9)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주문 장치에 의해,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주문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주문 장치에 의해,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 및 배달 예정 시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주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직접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될 때,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복수의 그릇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와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
In food and beverage store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on methods,
Performing an ordering and payment function for one or more products selected by the order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orderer's input in cooperation with a payment server;
After the settlement function is completed, the order device displays one or more of the settlement function execution result information, the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the wait time information, the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the order number, the order code, Or in the form of a receipt;
Displaying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dering device by the store terminal after the settlement function is completed;
Confirming, by the store terminal, a method of receiving goods in the order information; And
When a product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is prepared in a state where the item is received in the order information directly in a store, a tag provided at one side of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selected by the store terminal, ≪ / RTI >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및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s:
Product name and quantity, product receipt system,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waiting time information, product preparation completion time information, order number, NFC information of the ordering apparatus, delivery point inform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of the purchaser How to order food and beverage outlets and automate ser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번호가 설정된 태그를 구비한 그릇이 복수의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 상에 위치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된 리더기에 의해,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에 의해, 상기 태그의 태깅에 따라 상기 태그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에 의해,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의 다른 일측 또는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는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된 상품 수령 인증 장치에 의해, 주문자에게 발행된 주문 코드 또는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를 인증하여 주문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 container having the tag with the order number is positioned on one of the plurality of trays, a read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ne tray, one side of the tray positioned on the tray associated with the reader Tagging the tag included in the tag;
Confirming the order number set in the tag according to tagging of the tag by the reader;
Displaying the confirmed order number on 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associated with the reader by the reader; And
Confirming the orderer by authenticating the order code issued to the purchaser or the NFC information of the ordering device by 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associated with the reader or on one side of the cabinet housing the tray A method for automating the ordering and service of food and beverage stores.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주문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하고,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 및 배달 예정 시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형태로 출력하는 주문 장치;
상기 주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직접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될 때 복수의 그릇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와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하는 매장 단말;
상기 주문 번호가 설정된 태그를 구비한 그릇이 복수의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 상에 위치될 때,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하고, 상기 태그의 태깅에 따라 상기 태그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는 리더기;
상기 리더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주문자에게 발행된 주문 코드 또는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를 인증하여 주문자를 확인하는 상품 수령 인증 장치; 및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고, 상기 수납된 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트레이에 포함된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In a food and beverage store ordering and service automation system,
And performs an order and payment function for one or more product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entry by interlocking with the payment server. After the payment function is completed, the payment function execution result information,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waiting time information, Order device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rder number, order code, and estimated delivery time information or outputting it as a receipt;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dering device, confirming a method of receiving a commodity in the order information, receiving a commodity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A store terminal for setting a tag and a order number in the order information on one side of one of the selected vessels;
Tagging a tag provided on a tray disposed on the tray when the container having the tag with the order number is positioned on one of the plurality of trays; A reader identifying the numb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firmed order number under the control of the reader;
A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for confirming an orderer by authenticating an order code issued to an orderer or NFC information of the ordering device; And
And a cabinet for receiving the tray, supplying power to the received tray, and controlling accessory devices included in the tra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장치는,
주문 단말, 키오스크 및 POS 단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rdering device comprises:
An order terminal, a kiosk, and a POS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ader includes:
Wherein the tra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lected tray so as to tag tags provided on the tray placed on the tra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에 대한 정보인 주문 번호나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play unit includes:
Wherein the plurality of purchasers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lected tray so that the order number or the product, which is information on the prepared goods, can be confirm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을 수령하기 위하여 주문자 여부를 인증하는 장치로,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다른 일측에 형성하거나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oods receipt authentication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purchasers are devices for authenticating the purchaser to receive the prepared goods and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lected tray or form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는 장치로,
수납된 상기 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매장 단말 또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캐비닛 통신부; 및
캐비닛의 부속 장치와 상기 캐비닛에 수납된 상기 트레이에 포함된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캐비닛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cabinet,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y;
A cabinet communicating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tore terminal or the server; And
And a cabine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cessories of the cabinet and the accessories included in the tray received in the cabinet.
KR1020170084747A 2017-07-04 2017-07-04 Automatic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ing foods and beverages in store and method thereof KR1019593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47A KR101959355B1 (en) 2017-07-04 2017-07-04 Automatic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ing foods and beverages in stor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47A KR101959355B1 (en) 2017-07-04 2017-07-04 Automatic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ing foods and beverages in stor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79A true KR20190004479A (en) 2019-01-14
KR101959355B1 KR101959355B1 (en) 2019-07-02

Family

ID=6502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47A KR101959355B1 (en) 2017-07-04 2017-07-04 Automatic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ing foods and beverages in stor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35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4297A1 (en) * 2019-06-04 2020-12-10 口碑(上海)信息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processing beverage orders implemented on basis of iot device, and order controller
KR102523137B1 (en) * 2022-08-18 2023-04-18 주식회사 유스풀제스트 Automatic customized food vending machine and system for pet
WO2023075254A1 (en) *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사운드그래프 Pick-up guide method and system using object recogn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88644B1 (en) * 2023-01-04 2023-10-12 주식회사 와이콘즈 Service providing method performing server of integrated order system using application based on plat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513B1 (en) * 2019-11-01 2021-11-29 주식회사 퀸즈스마일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comprising tim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501A (en) * 2007-11-27 2009-06-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using near fiel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JP2009207843A (en) * 2008-03-06 2009-09-17 Ishino Seisakusho Co Ltd Ordered food and drink conveyer system
KR20110059048A (en)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Goods selling method using self-service deposit apparatus
KR20140109162A (en)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Smart order system and method
KR20160044616A (en) 2014-10-15 2016-04-26 전민우 Reservation method of bever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501A (en) * 2007-11-27 2009-06-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using near fiel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JP2009207843A (en) * 2008-03-06 2009-09-17 Ishino Seisakusho Co Ltd Ordered food and drink conveyer system
KR20110059048A (en)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Goods selling method using self-service deposit apparatus
KR20140109162A (en)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Smart order system and method
KR20160044616A (en) 2014-10-15 2016-04-26 전민우 Reservation method of beverag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다음블로그) '美 샌프란시스코에 무인 자동화 레스토랑 등장' (2016.03.01.) 1부.*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4297A1 (en) * 2019-06-04 2020-12-10 口碑(上海)信息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processing beverage orders implemented on basis of iot device, and order controller
WO2023075254A1 (en) *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사운드그래프 Pick-up guide method and system using object recogn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23137B1 (en) * 2022-08-18 2023-04-18 주식회사 유스풀제스트 Automatic customized food vending machine and system for pet
KR102588644B1 (en) * 2023-01-04 2023-10-12 주식회사 와이콘즈 Service providing method performing server of integrated order system using application based on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355B1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355B1 (en) Automatic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ing foods and beverages in store and method thereof
US9117231B2 (en) Ordering method and system for restaurants
US11544772B2 (en) Intelligent item tracking and expedited item reordering by stakeholders
US10740814B2 (en) Detector tags to determine perishability of food items
EP2706490A1 (en) Self-service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102011836B1 (en) Method for guiding foodstuff
KR101707979B1 (en) Integrated platform system using beacon
EP2828816A1 (en) Customer assistance request system using smart device
US201800253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ne or more inventories
US20180240205A1 (en) Order Management Server, Order System, and Recording Medium
WO2015030675A1 (en) Electronic device for food and beverage retail shops
WO2017059480A1 (en) Improvements in food storage
JP6475287B2 (en) Order reception system
JP2019138493A (en) Refrigerator, commodity order placement method and commodity order placement system
KR101662153B1 (en) Local specialty based automatic vending machin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3273B1 (en) System for next generation kiosk type order based on smart phone payment and payment method
WO2014076296A1 (en) Vending apparatus for beverages by the glass provided with remote user interface
JP6293603B2 (en) Product information browsing system,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WO2018156994A1 (en) Associating tags with a user and assigning such tags to products
KR201800667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of Expiration Date of Agricultural Product through Code
KR20140125090A (en) System for purchasing goods using mobile smart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14071578A (en) Commodity purchase support method, information terminal, order reception server
KR20160068266A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Food Using Digital Table and Transferring Apparatus for Serving
KR20140011999A (en) Transaction processing method and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JP2012048677A (en) Article information provision apparatus, articl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