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406A - 휴대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406A
KR20190004406A KR1020170084398A KR20170084398A KR20190004406A KR 20190004406 A KR20190004406 A KR 20190004406A KR 1020170084398 A KR1020170084398 A KR 1020170084398A KR 20170084398 A KR20170084398 A KR 20170084398A KR 20190004406 A KR20190004406 A KR 20190004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ing fan
user
sens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382B1 (ko
Inventor
강상우
홍현진
조안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3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8Personalised ai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시 미관상 부담이 적으며 높은 풍?과 공기정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팬케이스; 상기 팬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공기배출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공기유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케이스와 상기 팬케이스 사이에 신체일부 또는 외부 구조물이 삽입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용 공기청정기{PORTABLE AIR CLEANER}
본 발명은 휴대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일부에 착용하여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사람들이 실외 활동을 하기 어려운 환경이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개인이 휴대하면서 흡입하는 공기의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330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701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9727호 등에는 휴대용 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의 호흡기로 공급하기 위해 머리나 얼굴에 착용하거나 목에 거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머리, 얼굴 또는 목에 착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착용시 미관이 좋지 않으므로 사용하기 부담스러운 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머리, 얼굴 또는 목에 착용하기 때문에 무게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므로, 초소형 팬 및 필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풍량 및 공기정화성능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KR 10-2016-0103305 A KR 10-2011-0097019 A KR 10-2008-008972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사용시 미관상 부담이 적으며 높은 풍?과 공기정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팬케이스; 상기 팬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공기배출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공기유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케이스와 상기 팬케이스 사이에 신체일부 또는 외부 구조물이 삽입 가능한 휴대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가 용이하고, 미관상 부담이 감소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가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공기청정기가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필터케이스(110), 공기정화필터(120), 팬케이스(130), 송풍팬(140), 공기유동관(150) 및 배터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스(110)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박스형태의 부재로서, 외부공기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흡입구(112)와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14)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케이스(110)는 정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그릴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기흡입구(112)는 그릴부재(116)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공개배출구는 필터케이스(11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케이스(110)의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정화필터(120)는 필터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필터(120)는 공기흡입구(112)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필터(120)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공기배출구(114)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정화필터(120)는 공기흡입구(112)와 공기배출구(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정화필터(120)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헤파필터(HEPA Filter) 또는 극세사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기정화필터(120)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필터부재가 중첩된 필터조립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팬케이스(130)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박스형태의 부재로서, 외부공기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32)와,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134)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유입구(132)는 팬케이스(13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토출구(134)는 팬케이스(13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송풍팬(140)은 팬케이스(13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유입구(132)로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34)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40)은 높은 흡입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원심팬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기유동관(150)은 공기배출구(114)와 공기유입구(132)를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케이스(11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공기배출구(114)로 배출되어 공기유동관(150)을 통해 팬케이스(130)의 공기유입구(132)로 유동하여 팬케이스(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필터케이스(110)와 팬케이스(130)는 공기유동관(150)을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유동관(150)은 필터케이스(110)의 양측에 구비된 공기배출구(114)와 팬케이스(130)의 양측에 구비된 공기유입구(132)를 각각 연결하도록 필터케이스(110)와 팬케이스(130)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동관(150)은 필터케이스(110)의 공기배출구(114)와 팬케이스(130)의 공기유입구(132)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송풍팬(140)의 흡입력이 필터케이스(110)의 공기흡입구(112)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140)이 가동되면, 송풍팬(140)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필터케이스(110)의 공기흡입구(112)를 통해 필터케이스(110)의 내부로 흡입되어 공기정화필터(1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공기배출구(114)와 공기유동관(150) 그리고 공기유입구(132)를 통해 팬케이스(13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때, 팬케이스(13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팬(140)에 의해 공기토출구(13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공기정화필터(120)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팬케이스(130)의 공기토출구(134)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필터케이스(110), 팬케이스(130) 및 공기유동관(150)이 조립된 조립체는 링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필터케이스(110)와 팬케이스(130)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일부 또는 외부 구조물을 삽입하여 사용자의 신체나 외부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다양한 크기의 신체일부 및 외부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도록, 공기유동관(150)이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공기유동관(150)은 팬케이스(130) 및 필터케이스(110)를 사용자의 신체일부 또는 외부 구조물에 압박 고정하는 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공기유동관(150)은 필터케이스(110)와 팬케이스(130)의 일측에만 구비되고, 필터케이스(110)와 팬케이스(130)의 반대측에는 공기유동관(150) 대신 밴드 또는 길이조절 밸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160)는 팬케이스(130)에 결합되며 송풍팬(1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팬케이스(130)에는 송풍팬(140)을 작동시키는 전원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송풍팬(140)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제어회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사용자의 머리, 얼굴 또는 목이 아닌 손목이나 팔에 착용 가능하기 때문에 착용시 미관상 부담이 적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에 착용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머리나 목에 착용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중 및 부피에 대한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우므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공기정화필터(120)를 사용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풍량이 많은 송풍팬(140)을 사용할 수 있어서 공기정화성능이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공기가 흡입되는 필터케이스(110)와 공기가 토출되는 팬케이스(130)가 서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의 머리카락이나 침 또는 땀 같은 체액이 공기흡입구(112)로 유입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표시조작부(15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조작부(155)는 공기유동관(150)의 외측면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송풍팬(140)의 작동상태, 배터리(160)의 용량, 현재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조작부(155)는 송풍팬(140)을 조작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센서 또는 버튼 즉, 송풍팬(140)을 조작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UI)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조작부(155)는 그 구성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와 신호입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터치패널 또는 액정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태를 표시하는 전구와 접점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받는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70)와, 상기 착용부재(170)에 구비되어 송풍팬(14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부재(175)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부재(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어깨, 팔, 다리, 발, 목 등 사용자가 신체를 움직여서 상기 스위치부재(175)를 온오프할 수 있는 신체부위에 착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서, 착용부재(170)에 구비된 스위치부재(17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177)을 통해 팬케이스(130)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착용부재(170)와 팬케이스(1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스위치부재(175)는 사용자가 착용부재(170)가 착용된 신체를 움직여서 온오프시킬 수 있는 리드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재(170)가 장갑형태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을 오므리는 동작을 통해 스위치부재(175)를 작동시켜 송풍팬(140)에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사용자가 착용부재(170)가 착용된 신체를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용이하게 송풍팬(140)의 작동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필터케이스(110) 또는 팬케이스(130)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생체전기신호 또는 사용자의 신체 동작을 감지하는 온오프센서(180)와, 상기 온오프센서(180)에 연결되어 온오프센서(180)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송풍팬(140)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사용자의 생체전기신호 또는 사용자의 신체 동작을 통해 가동 및 가동정지 될 수 있다.
일 예로, 온오프센서(180)는 생체전기신호로서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취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온오프센서(180)는 사용자가 취하는 특정 신체 동작(손 모양, 제스처 등)을 감지하는 모션인식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온오프센서(180)를 통해, 사용자는 간단한 신체 동작으로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온오프센서(180)가 구비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온오프센서(180)는 팬케이스(130), 필터케이스(110), 공기유동관(150) 및 착용부재(170) 중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송풍팬(140)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송풍팬(140)의 풍량을 조절할 수도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생체신호, 신체활동 및 주변 공기의 공기질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송풍팬(140)의 풍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송풍팬(140)의 풍량은 송풍팬(140)에 설치된 팬(미도시)의 회전수 조절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가 사용자의 신체활동에 따라 송풍팬(140)의 풍량을 조절하는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케이스(110), 팬케이스(130) 및 공기유동관(150) 중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센서(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신호 측정센서(200)는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량, 체온 및 땀 분비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생체신호 외에도 사용자의 호흡량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신호 측정센서(200)는 심박수, 호흡량, 체온 및 땀 분비량을 각각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하나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생체신호 측정센서(200)는 측정값을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생체신호 측정센서(200)의 측정값에 따라 송풍팬(140)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90)는 생체신호 측정센서(200)의 측정값의 증감에 따라 송풍팬(140)의 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사용자가 많은 호흡량을 필요로 하는 신체활동(달리기, 계단오르기, 자전거 타기 등)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공기청정기(100)의 필터케이스(110), 팬케이스(130) 및 공기유동관(1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사용자의 신체활동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운동강도 측정센서(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동강도 측정센서(210)는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신체의 진동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예를 들어, 만보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체의 진동속도 외에도 사용자의 호흡량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신체활동의 강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운동강도 측정센서(210)는 측정값을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운동강도 측정센서(210)의 측정값에 따라 송풍팬(140)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90)는 운동강도 측정센서(210)의 측정값의 증감에 따라 송풍팬(140)의 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사용자가 많은 호흡량을 필요로 하는 신체활동(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생체신호 측정센서(200) 및 운동강도 측정센서(210)를 장치 자체에 구비하지 않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생체신호(심박구, 호흡량, 체온, 땀 분비량 등) 및 운동강도(운동에 의한 신체의 진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웨어러블 기기(3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웨어러블 기기(30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신호 또는 운동강도를 기초로 송풍팬(140)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300)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기기(스마트 폰, 스마트 밴드,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라스 등)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90)는 블루투스, Wi-Fi, RFID, NFC 또는 비콘(Beacon) 등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웨어러블 기기(300)로부터 생체신호 및 운동강도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사용자의 신체활동이 활발해지는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여과된 공기로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의 신체활동이 비활발해지는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호흡을 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고 제어부(190)에 측정값을 전달하는 먼지센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먼지센서(220)의 측정값에 따라 송풍팬(140)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90)는 먼지센서(220)의 측정값의 증감에 따라 송풍팬(140)의 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주변의 공기질이 나쁜 경우에 송풍팬(140)의 풍량을 증대시켜서 먼지를 여과하는 여과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다량의 여과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별도의 먼지센서(220)를 구비하지 않고, GPS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위치의 공기질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위치의 공기질 정보에 따라 송풍팬(140)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휴대용 공기청정기(100)에는 GPS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위치의 공기질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240)와, 위치정보수신부(240)에서 수신한 공기질 정보를 기초로 현재위치의 공기질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선한 제어신호를 제어부(190)에 전달하는 정보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정보처리부(23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송풍팬(140)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위치의 공기질 정보에서 현재위치의 공기질이 나쁜 경우 정보처리부(230)는 제어부(190)가 송풍팬(140)의 풍량을 증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현재위치의 공기질 정보에서 현재위치의 공기질이 좋은 경우 정보처리부(230)는 제어부(190)가 송풍팬(140)의 풍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휴대용 공기청정기
110: 필터케이스 112: 공기흡입구
114: 공기배출구 116: 그릴부재
120: 공기정화필터 130: 팬케이스
132: 공기유입구 134: 공기토출구
140: 송풍팬 150: 공기유동관
155: 표시조작부 160: 배터리
170: 착용부재 175: 스위치부재
177: 케이블 180: 온오프센서
190: 제어부 200: 생체신호 측정센서
210: 운동강도 측정센서 220: 먼지센서
230: 정보처리부 240: 위치정보수신부
300: 웨어러블 기기

Claims (16)

  1.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팬케이스;
    상기 팬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공기배출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공기유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케이스와 상기 팬케이스 사이에 신체일부 또는 외부 구조물이 삽입 가능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가 양측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팬케이스가 양측에 상기 공기유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유동관이 상기 필터케이스와 상기 팬케이스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케이스, 상기 팬케이스 및 상기 공기유동관이 링(Ring) 형태를 구성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관은 신축성을 가지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송풍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관의 외측면에 상기 송풍팬의 작동상태, 상기 배터리의 용량,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송풍팬을 조작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센서 또는 버튼을 구비하는 표시조작부가 구비된 휴대용 공기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재; 및
    상기 착용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재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형태로 구성된 휴대용 공기청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 또는 상기 팬케이스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생체전기신호 또는 사용자의 신체 동작을 감지하는 온오프센서; 및
    상기 온오프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온오프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에 측정값을 전달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조절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센서는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량, 체온 및 땀 분비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측정값의 증감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증감시키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2.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활동의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에 측정값을 전달하는 운동강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동강도 측정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조절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강도 측정센서는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신체의 진동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강도 측정센서의 측정값의 증감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증감시키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4. 제9항에 있어서,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에 측정값을 전달하는 먼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먼지센서의 측정값의 증감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증감시키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5. 제9항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위치의 공기질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 및
    상기 위치정보수신부에서 수신한 공기질 정보를 기초로 현재위치의 공기질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조절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량, 체온, 땀 분비량, 운동에 의한 신체의 진동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별도의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한 측정값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조절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KR1020170084398A 2017-07-03 2017-07-03 휴대용 공기청정기 KR102545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398A KR102545382B1 (ko) 2017-07-03 2017-07-03 휴대용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398A KR102545382B1 (ko) 2017-07-03 2017-07-03 휴대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06A true KR20190004406A (ko) 2019-01-14
KR102545382B1 KR102545382B1 (ko) 2023-06-21

Family

ID=6502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398A KR102545382B1 (ko) 2017-07-03 2017-07-03 휴대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3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536B1 (ko) 2019-02-13 2019-11-27 주식회사 이젠엔지니어링 사이클론 타입 휴대용 복합 공기청정기
KR20210052114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미지에너텍 자이로 및 가속도 센서가 구비된 스포츠형 공기 청정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49300A (ko) * 2020-10-14 2022-04-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음압기가 구비된 음압복
KR20220075888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휴대용 공기청정 및 체온조절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727A (ko) 2007-04-02 2008-10-08 세주엔지니어링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110097019A (ko) 2010-02-24 2011-08-31 김경중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160103305A (ko) 2015-02-24 2016-09-01 이승현 다용도 휴대용 가습 공기청정기
KR101701828B1 (ko) * 2016-08-05 2017-02-02 (주)텍스트무브 넥밴드형 에어 블로워
US20170106218A1 (en) * 2015-10-14 2017-04-20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smart air purifi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727A (ko) 2007-04-02 2008-10-08 세주엔지니어링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110097019A (ko) 2010-02-24 2011-08-31 김경중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160103305A (ko) 2015-02-24 2016-09-01 이승현 다용도 휴대용 가습 공기청정기
US20170106218A1 (en) * 2015-10-14 2017-04-20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smart air purifier
KR101701828B1 (ko) * 2016-08-05 2017-02-02 (주)텍스트무브 넥밴드형 에어 블로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536B1 (ko) 2019-02-13 2019-11-27 주식회사 이젠엔지니어링 사이클론 타입 휴대용 복합 공기청정기
KR20210052114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미지에너텍 자이로 및 가속도 센서가 구비된 스포츠형 공기 청정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49300A (ko) * 2020-10-14 2022-04-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음압기가 구비된 음압복
KR20220075888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휴대용 공기청정 및 체온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382B1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382B1 (ko) 휴대용 공기청정기
US20220071562A1 (en) Face mask with integrated physiological sensors
ES2961744T3 (es) Espirómetro portátil
EP2875778B1 (en) Wear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biological signal with the same
CN109938739B (zh) 一种颈椎监测装置
JP2019529018A (ja) 空気をろ過するためのフェイスマスクおよび空気監視システム
US20190275357A1 (en) Portable positive air filtration device
KR20170008216A (ko) 모듈형 센서 플랫폼을 가지는 조정 가능한 웨어러블 시스템
KR20190004156A (ko) 휴대용 공기청정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205458646U (zh) 穿戴式装置
CN105816176A (zh) 一种柔性呼吸监测装置
CN107223067A (zh) 智能口罩和智能口罩的吸气供应量调节方法
CN112040848A (zh) 便携式手持电子肺活量计
CN206312069U (zh) 可穿戴式智能装置及智能系统
JP3124788U (ja) 手袋式生理測定装置
KR20180072145A (ko) 넥밴드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알림 시스템
KR20190014203A (ko) 헬멧형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 시스템
KR20220169983A (ko) 마스크 살균 장치 및 이를 부착한 마스크
CN208448457U (zh) 可穿戴空气净化装置
KR102287379B1 (ko) IoT 공기정화 마스크 시스템
KR102328750B1 (ko) 자기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마스크 시스템
CN110101171A (zh) 一种具有安全边界检测功能的防走失体感手环
CN210644023U (zh) 智能型呼吸侦测穿戴装置
CN216439184U (zh) 一种基于人体呼吸特征参数的便携式智能呼吸监测仪
US11833303B2 (en) Wearable concentration improv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