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170A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170A
KR20190004170A KR1020170084424A KR20170084424A KR20190004170A KR 20190004170 A KR20190004170 A KR 20190004170A KR 1020170084424 A KR1020170084424 A KR 1020170084424A KR 20170084424 A KR20170084424 A KR 20170084424A KR 20190004170 A KR20190004170 A KR 2019000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164B1 (ko
Inventor
최원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1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의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한다.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Multi-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정보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대면적 또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종 정보나 광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베이스 기판(base substrate)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면적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복수의 표시모듈을 조합하여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표시모듈들을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하고, 이웃하는 표시모듈들을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현된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Multi-Display Apparatus) 또는 타일링 디스플레이 장치(Tiling Display Apparatus)로 지칭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모듈들이 타일링 방식으로 조합하여 하나의 대형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각 표시모듈들 사이에 이음새(seam)가 존재하게 된다. 이음새는 블랙 색상의 실런트(sealant)를 이용하여 처리된다. 이음새는 영상이 구현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장치로부터의 빛이 블랙 색상의 실런트에 의해 차단되므로, 이음새가 시청자에게 인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표시모듈의 측면은 봉지재로 처리되며, 표시모듈이 상호 이웃하여 배열되는 경우 양측 표시모듈의 측면 봉지재 영역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비표시 영역은 더욱 넓어지게 된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인식되는 경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인식하는 것을 방해하여, 영상 몰입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과제는 표시모듈 사이에 있는 비표시 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양질의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영상이 출사되는 전면 영역을 기준으로 제1높이를 갖는 제1 표시모듈과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는 제2 표시모듈은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며, 제1표시모듈 및 제2표시모듈의 높이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의 영상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모듈들을 배열할 시 표시모듈의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열함으로써 표시모듈의 측면 봉지재로 인해 발생하는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엇갈린 상태로 배열된 각 표시모듈의 높이 차이에 따라 입력된 영상 대비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제공함으로써, 동일 평면상에 배열된 표시모듈이 제공하는 영상과 동일하게 시인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모듈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모듈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와 비교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을 포함한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을 통해 하나의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제공된 하나의 영상을 표시모듈(100)들의 면적에 대응하는 큰 화면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을 통해,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영상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이 상호 조합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이웃하는 표시모듈들 사이에 이음새(seam) 영역(S)이 존재한다. 이음새 영역(S)이 시청자에게 인지될 경우, 영상을 시청할 시에 몰입감을 방해시킨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표시장치(10)는 이러한 이음새 영역(S)인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이음새 영역(S)의 인지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가 4개의 표시모듈(10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구성하는 표시모듈(100)이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모듈(100)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을 덮는 봉지(encapsulation) 기판(112)을 포함한다. 봉지 기판(112)은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수분 및 산소 등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에 배치된 소자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복수의 픽셀(PIX)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들 각각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의 일측에는, 표시모듈(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와 연결되는 패드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유기화합물층과 유기화합물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를 포함한다. 유기화합물층은, 발광층(Emission layer, 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통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100)의 측면부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을 지지 고정하는 측면 봉지재(B)가 배치된다. 측면 봉지재(B)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의 움직임을 구속 및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 플라스틱, 합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모듈(100)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은 표시패널(201), 백라이트 유닛(202),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201)과 백라이트 유닛(202)은 이들을 고정하는 케이스 부재들과 함께 조립되어 표시모듈(100)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201)은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층(213)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된 제1 기판(210), 제2 기판(212), 하부 편광 필름(미도시), 및 상부 편광 필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01)은 각 픽셀 별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213)을 구동함으로써, 액정층(213)의 광 투과율을 조절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층(213)은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다양한 모드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12)의 구체적인 구성은 구동 모드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21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복수의 픽셀(PIX)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픽셀(PIX)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픽셀 전극, 및 픽셀 전극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통 전극은 액정층(213)의 구동 방식에 따라 제2 기판(21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기판(210)의 일측에는 표시패널(20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는 패드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판(212)은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제1 기판(2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패널(201)이 COT(Color filter On TFT), 또는 TOC(TFT On Color filter)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컬러 필터는 제1 기판(2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유닛(202)은 표시패널(201)의 아래에 구비되어, 표시패널(201)의 배면(背面)에 빛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202)은 직하형(direct type) 또는 에지형(edge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202)은 도광판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광원이 배치되고, 표시패널(201)과 도광판 사이에 다수의 광학시트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202)은 도광판을 통해 선광원 또는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된 빛을 표시패널(201)에 조사한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202)은 표시패널(201)의 아래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확산판을 통해 확산된 빛을 표시패널(201)에 조사한다.
표시모듈(100)의 측면부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을 지지 고정하는 측면 봉지재(B)가 배치된다. 측면 봉지재(B)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의 움직임을 구속 및 제한한다. 이러한, 측면 봉지재(B)는 금속, 플라스틱, 합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와 비교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모듈(100)들 간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들 간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이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된다.
표시모듈(100)의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B)를 포함한다. 표시모듈(100)의 영상의 표시영역은 도 3에서 설명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을 포함하거나, 도 5에서 설명한 표시패널(201) 및 백라이트 유닛(2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봉지재(B)를 갖는 표시모듈(100)들은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각 표시모듈(100)들 사이의 이음새는 측면 봉지재(B)에 의해 각 표시모듈(100)들이 조합된다. 따라서, 측면 봉지재(B)로 인해 발생하는 비표시 영역은 양 측 측면 봉지재(B)의 폭(W)의 2배인 2W만큼 비표시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이 각기 다른 평면상에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열된다.
표시모듈(100)의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B)를 포함한다. 표시모듈(100)의 영상의 표시영역은 도 3에서 설명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을 포함하거나, 도 5에서 설명한 표시패널(201) 및 백라이트 유닛(2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100)은 측면 봉지재(B)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봉지재(B)로 인해 발생하는 비표시 영역은 양 측 측면 봉지재(B)의 폭인 2W보다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교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이음새로 인한 비표시 영역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음새 영역의 인지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모듈(100-1, 100-2)의 상부에는 표시모듈(100-1, 100-2)들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30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모듈(100-1, 100-2)들은 측면 봉지재(B-1, B-2)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표시모듈(100-1, 100-2)의 두께(d)만큼 커버 윈도우(300)로부터의 높이(h1, h2)의 차이가 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윈도우(300)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표시모듈(100-1)은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고, 상대적으로 가까운 표시모듈(100-2)은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는 표시모듈(100-1, 100-2)의 두께(d)만큼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의 차이로 인해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영상은 각기 다른 원근감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300)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제1 높이(h1)를 갖는 제1표시모듈(100-1)에 표시된 영상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 높이(h2)를 갖는 제2표시모듈(100-2)에 표시된 영상에 비해 더 작게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높이(h1, h2)에 따라 입력된 영상보다 확대 혹은 축소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높이 차이를 갖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되는 영상들이 동일한 원근감을 갖는 영상으로 시인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모듈(100-1, 100-2)들의 상부에는 표시모듈(100-1, 100-2)들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30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모듈(100-1, 100-2)들은 측면 봉지재(B1, B-2)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각 표시모듈(100-1, 100-2)은 커버 윈도우(300)로부터의 높이가 차이가 날 수 있다.
각 표시모듈(100-1, 100-2)에서 일괄적으로 원본 영상 "I"을 표시할 경우,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영상은 각기 다른 원근감을 갖게 된다. 즉, 커버 윈도우(300)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제1표시모듈(100-1)에 표시된 영상은 상대적으로 작게 시인되고, 커버 윈도우(300)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표시모듈(100-2)에 표시된 영상은 상대적으로 크게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서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높이에 따라 입력된 원본 영상 "I"보다 확대된 영상 "I1"을 표시하거나, 축소된 영상 "I2"를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표시모듈(100-1, 100-2)이 높이에 따라 확대 혹은 축소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자는 높이 차이를 갖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되는 영상들이 동일한 원근감을 갖는 영상으로 시인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의 확대 비율과 축소 비율은 표시모듈(100)의 크기, 표시모듈들(100-1, 100-2) 간의 높이 차이, 타깃이 되는 시청자의 시청거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화면 크기, 주로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종류(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제1표시모듈(100-1)은 원본 영상 "I"를 표시하고, 제2표시모듈(100-2)은 축소 영상 "I2"를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2표시모듈(100-2)은 원본 영상 "I"를 표시하고 제1표시모듈(100-1)은 확대 영상 "I1"을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모듈들(100-1, 100-2)의 상부에는 표시모듈(100-1, 100-2)들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300-1, 300-2)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모듈(100-1, 100-2)들은 측면 봉지재(B-1, B-2)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각 표시모듈(100-1, 100-2)은 커버 윈도우(300-1, 300-2)로부터의 높이가 차이가 날 수 있다.
각 표시모듈(100-1, 100-2)에서 일괄적으로 원본 영상 "I"을 표시할 경우,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영상은 각기 다른 원근감을 갖게 된다. 예를 들면, 커버 윈도우(300-1, 300-2)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제1표시모듈(100-1)에 표시된 영상은 상대적으로 작게 시인되고, 커버 윈도우(300-1, 300-2)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표시모듈(100-2)에 표시된 영상은 상대적으로 크게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서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높이에 따라 커버 윈도우(300-1, 300-2)에 광학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높이 차이를 갖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되는 영상들이 동일한 원근감을 갖는 영상으로 시인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 윈도우(300-1, 300-2)는 표시모듈(100-1, 100-2)들을 보호하고, 표시모듈(100-1, 100-2)들을 제 위치에 정렬 및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1, 300-2)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된 원본 영상 "I"를 확대 혹은 축소함으로써 사용자가 원본 영상 "I"와 같은 영상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1표시모듈(100-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볼록 렌즈와 유사하게 기능하는 광학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제2표시모듈(100-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오목 렌즈와 유사하게 기능하는 광학패턴이 형성되거나, 도 9와 같이 평판 타입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패턴을 갖는 커버 윈도우는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와 같이 다중층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300-1, 300-2)는 유리,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와 같이 커버 윈도우(300-1, 300-2)가 다중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커버 윈도우(300-1, 300-2)는 베이스 기재(BL), 및 베이스 기재(BL)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하드코팅층(HL1, HL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재(BL)는 PI(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AR(polyarylate), PSF(polysulfone), COC(cyclic-olefin copolymer)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드코팅층(HL1, HL2)은 베이스 기재(BL)를 덮도록 구비되어, 베이스 기재(BL)의 표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광학 패턴은 커버 윈도우(300-1, 300-2)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면 및 하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 윈도우(300-1, 300-2)가 도 9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 광학 패턴(310)은 상부 하드코팅층(HL1) 또는 하부 하드코팅층(HL2)에 형성될 수 있고, 상/하부 하드코팅층(HL1, HL2)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광학 패턴은 사출성형, 또는 연마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윈도우(300-1, 300-2)에 형성된 광학패턴이 볼록 렌즈 타입(300-1)으로 형성된 경우, 표시모듈(100-1)에 표시되는 원본 영상 "I"보다 확대된 영상 "I'"가 표시될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오목 렌즈 타입으로 형성된 경우 원본 영상 "I"보다 축소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광학패턴이 평판 타입(300-2)으로 형성된 경우, 표시모듈(100-2)에 표시되는 원본 영상 "I"와 동일한 크기의 영상(I)이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표시모듈(100-1, 100-2)이 높이에 따라 커버 윈도우(300-1, 300-2)에 볼록 렌즈, 오목 렌즈, 평판 타입의 광학패턴을 형성하여,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시청자는 높이 차이를 갖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되는 영상들을 동일한 원근감을 갖는 영상으로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영상의 확대 비율과 축소 비율은 표시모듈(100-1, 100-2)의 크기, 표시모듈(100-1, 100-2) 간의 높이 차이, 타깃이 되는 시청자의 시청거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화면 크기, 주로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종류(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표시모듈의 사이즈가 55 inch이고 두께(d)가 3cm인 경우, 커버 윈도우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표시모듈 B에 표시된 영상의 적절한 비율은 102% 정도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모듈 A와 표시모듈 B 간의 영상의 크기 차이는 약 2%정도 발생할 수 있다. 표시모듈의 사이즈 또는 두께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표시패널 A는 원본 영상 대비 1% 축소된 영상을 표시하고 표시모듈 B는 원본 영상 대비 1%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두 표시모듈 간의 높이 차를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 윈도우에 광학패턴을 형성하여 높이 차이를 완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표시모듈 B의 상부에 위치한 커버 윈도우에 볼록 렌즈 타입의 광학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모듈 A와 표시모듈 B 간의 영상의 크기 차이가 약 2%정도 발생하는 경우 55inch 기준으로 최소 62.35cm에서 약 1217cm 사이의 곡률, 구체적으로는 608.5cm의 곡률을 갖는 볼록 렌즈 타입의 광학패턴을 형성하여 두 표시모듈 간의 높이 차를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퍼블릭 디스플레이(public display),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과 같은 대형 또는 대면적의 표시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이 출사되는 전면 영역을 기준으로 제1높이를 갖는 제1 표시모듈과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는 제2 표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 대비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 대비 축소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 대비 축소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과 대비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모듈 상부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제1 표시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하는 광학패턴과, 제2 표시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을 축소하는 광학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제2 표시모듈과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을 축소하는 광학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제1 표시모듈과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하는 광학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영상이 출사되는 전면 영역을 기준으로 제1높이를 갖는 제1 표시모듈과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는 제2 표시모듈은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며, 제1표시모듈 또는 제2표시모듈의 높이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의 영상을 표시한다.
제1 표시모듈은 제2 표시모듈보다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모듈은 제1 표시모듈보다 축소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표시모듈 B : 측면 봉지재
300 : 커버 윈도우

Claims (12)

  1.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모듈은,
    상기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모듈은,
    상기 영상이 출사되는 전면 영역을 기준으로 제1높이를 갖는 제1 표시모듈과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는 제2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 대비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 대비 축소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 대비 축소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과 대비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 상부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제1 표시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하는 광학패턴과,
    상기 제2 표시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을 축소하는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제2 표시모듈과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을 축소하는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제1 표시모듈과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하는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0.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모듈은,
    상기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이 출사되는 전면 영역을 기준으로 제1높이를 갖는 제1 표시모듈과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는 제2 표시모듈은 상기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표시모듈 또는 상기 제2표시모듈의 높이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모듈은 상기 제2 표시모듈보다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모듈은 상기 제1 표시모듈보다 축소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084424A 2017-07-03 2017-07-0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424A KR102326164B1 (ko) 2017-07-03 2017-07-0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424A KR102326164B1 (ko) 2017-07-03 2017-07-0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170A true KR20190004170A (ko) 2019-01-11
KR102326164B1 KR102326164B1 (ko) 2021-11-16

Family

ID=6502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424A KR102326164B1 (ko) 2017-07-03 2017-07-0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1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8671A (ja) * 1994-02-21 1995-05-1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262920B1 (ko) * 1996-03-18 2000-08-01 니시무로 타이죠 화상표시장치
KR20080084462A (ko) * 2007-03-16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095502A (ja) * 2014-11-11 2016-05-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8671A (ja) * 1994-02-21 1995-05-1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262920B1 (ko) * 1996-03-18 2000-08-01 니시무로 타이죠 화상표시장치
KR20080084462A (ko) * 2007-03-16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095502A (ja) * 2014-11-11 2016-05-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164B1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4630B2 (ja) 可撓性表示パネル及び該可撓性表示パネルを備える表示装置
US10001676B2 (en) Display device
US9164285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189010B1 (ko) 곡면 액정표시장치
US9229278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445807B (zh) Led拼接显示面板
KR101157425B1 (ko) 타일드방식의 대면적 표시장치
US8743302B2 (en) Display device
US20150340001A1 (en) Display apparatus
US20180284516A1 (en) Display device
WO2016165282A1 (zh)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649572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8724040B2 (en) Pixel structures of 3D display devices
KR20170066736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733568B2 (en) Transparent display
US2012000806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60054606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1139200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98978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GB2571921A (en) Displays
US20150185561A1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3008776A1 (ja) 表示装置およ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2326164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43493A (ko) 액정표시장치
KR20180128550A (ko) 타일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